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정락 慶雲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 2007 국내석사
This paper is proposed Kyeongbuk regional PDP industrial trends and prospects and suggested development schemes by the study of core technology report and the technical road map. In this result, we proposed visions and driving strategies of kyeongbuk region PDP industrial development. In addition to, we proposed a rearing plan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re related with material and equipment.
黃仁碩 경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8 국내석사
This paper was researched Kyeongbuk regional LCD industrial prospects and development schemes by the study of the core technology reports and the technical road maps. In this result, we proposed visions and driving strategies of kyeongbuk region LCD industrial development. In addition to, we proposed a rearing plan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re related with LCD material and equipment.
권오준 慶雲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 2004 국내석사
'고령'이란 흔히 老의 개념이며 일반적으로 볼 때, 60세 혹은 65세 정도의 연령이상의 사람들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우리 사회는 이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인간이 보다 더 오래 산다는 일은 분명히 축복이다. 그러나 오래 산다는 것이 단순히 생명을 연장하는 일에만 그쳐, 그 외 인간이 누려야 할 여러 가지 다른 행복의 요인들을 놓쳐 버린다면 그것은 오래 사는 것이 아니라, 그저 질긴 생명을 겨우 이어가는 일에 불과할 것이다. '노화'는 인간으로부터 많은 것을 잃게 하는 과정이다. 노화로부터 야기되는 생리적, 심리적, 환경적 변화는 노년층의 인간을 무기력, 상실감, 절망이나 좌절 등을 경험하게 하며, 그러한 결과로부터 인간의 노년은 불행해지기 쉬운 것이다.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는 그러한 노인 인구가 급증하고, 또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이 전망되는 가운데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노인들은 무엇보다 경제적 문제로부터 자유롭지 못하여 빈곤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국가적으로 볼 때, 국민 전체의 노인부양비가 증가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또한 노인 인구는 자신들의 역할을 제대로 찾지 못하여 정체성의 혼란을 겪게 되며, 남아도는 여가 시간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 뿐만 아니라 가족이나 사회로부터 겪는 소외감은 노인들의 가슴에 치명적인 상처를 입히며, 심신기능의 저하로 인한 건강문제는 삶에 대한 의욕마저도 잃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노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등장한 것이 실버산업이다. 실버산업이란 노인계층, 혹은 노인집단의 사회적, 심리적 지원 등을 총체적으로 포괄하는 개념으로 크게 주거관련분야, 의료관련분야, 여가활동분야, 금융관련분야, 생활관련 분야의 다섯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고, 앞으로 더욱 고령사회로 치닫을 우리나라는 노인 인구의 앞서 제시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버산업의 각 분야가 발전할 여러 가지 요인을 다분히 가지고 있으며 실버산업의 기회 역시 무진하다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단 우리나라는 노인 인구 및 보호를 필요로 하는 요보호 노인이 증가하고 있다는 데서 실버산업의 발전 기회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이전의 노년층과는 달리 앞으로의 노인들은 그 가치관이 매우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데서도 노인복지의 증진을 위한 실버산업이 발전할 여지가 충분하다. 노인들의 경제력이 점차 향상하고 있다는 것도 실버산업이 호기를 맞은 좋은 증거가 될 수 있다. 아직은 초보 단계에 있는 한국 실버산업이지만 그 발전 가능성과 기회를 예측해 본 결과 다음의 몇 가지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21세기 중산층 신세대 노인들은 노후를 위해 저축, 연금, 보험, 고정소득원, 개인의 재산 등을 준비해 온데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노인복지 서비스 정책으로 실버타운사업은 상당히 활성화 될 전망이다. 둘째, 실버상품은 대개 노인의 질병치료, 간병, 건강유지와 관련한 품목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21세기에는 매우 다양한 용도의 아이디어 상품이 노인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할 것이다. 셋째, 노인들의 경제적 안정을 도모해 주는 실버금융상품도 1990년대 중반부터 국민들 사이에 노후는 스스로 미리 준비해 두어야 한다는 의식이 자리 잡아 가면서 개인연금보험의 경우만도 2000년 말 계약건수만 6백만 건에 달하고 있을 정도로 활성화되고 있다. 넷째, 고연령층은 질병 발생률이 높은 만큼 보험에 가입할 수 있는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었으나 근래 보험회사들이 노인문제를 좀더 세분화해 특정 노인질병을 보장하는 보험 상품을 속속 내놓고 있다. 이 밖에도 노인 주택 및 주거시설을 확충하는 데서부터 시작해, 의료, 보건 서비스의 구체적이고 다양한 구비, 노인복지용품의 생산 및 유통의 확대, 노인 여가 프로그램 개발 및 시설 확충, 노인 소득보장 및 연금의 안정적 보장, 실버산업 활성화를 위한 전국민적 관심 제고 등을 통해 우리나라의 실버산업 및 노인 인구의 복지를 위해 힘을 써야 할 때이다. 이러한 구체적이고도 적극적인 노력은 노인 인구의 복지만 발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점차 고령사회로 접어들고 있는 사회 전체 차원의 발전을 앞당길 수 있으며, 그로부터 보다 많은 노인 인구가 노후를 여유롭고 행복하게 맞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 ripe old age' it means that the people who 60 year old or 65 year old and more. Therefore, we would say our society became 'a ripe old aging'. To live longer indicates blessing. But in case of 'live longer' means not only continuing breath but also enjoy their lives, after sufficient of enjoying their lives we could say about 'a happy life'. In korea, it is growing a number of old people in number, in future more and more the number of old people would increase. Most of problems in concern of 'old people' is a economic poverty, confusion of one's value and a sense of alienation. To solve above problems, we suggest that 'silver industry' : that is definded as supporting class of old people, a social issue in concern with old people. To be concrete, we expect that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 'silver industry, from this point of view, because it growing the number of old people who needed to be taken care of. Also, old people's value has been changed before and it is a good time to prosper that the fact increasing a economic power of old people. Even though, the level of 'silver industry' now in korea it is still in First stage, but I conclude that possibilities of development for 'silver industry as below : First, I expect that 'silver industry is hopeful, because of it caused by policy of the Government and the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which public welfare in concern with old people, moreover in 21century , what is called, new generation old people are preparing of savings, a pension, insurance and so on. Second, in 21century, various product for old people would be suggested, in difference now there are just proposed to a medical treatment, nursing and so on. Third, it is activating that contract a pension-insurance help old people to settle in economically, in an atmosphere of mind for needing to prepare to one's old aging by oneself. Fourth, there are many kind of insurance product which guarantee for old people in subdividing. In addition, we concentrate on housing, medical care, health service, leisure program, activating silver industry, guarantee income and annuity. Effort as like above, will develop welfare of old people in present and in future and be a great help to growing of socially and also nationally.
김민규 慶雲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 2005 국내석사
양안시차 방식을 이용한 안경식 또는 무안경식 디스플레이 방식은 일찍부터 산업에 적용되어 상업화되었으며, 3차원 monitor, 개인용 휴대전화 단말기 등을 통한 상용화 모델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stereoscopic 기술이 상업화 측면에서 볼 때, 아직은 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기술의 완성도가 높은 만큼 그 한계점이 분명하다. 즉, 3차원 영상을 양안시차로만 제공하므로 관찰자의 두통을 유발할 수 있고, 영상의 입체감만을 제공할 뿐 시야에 따른 실제 입체정보를 제공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Volumetric 기술과 holography 기술은 아직까지 기술의 특성상 대화면화, 저가격화, 기구의 소형화가 어려워서 그 가능성과 잠재력을 연구로 확인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지만, 향후 디스플레이 장치나 정보 저장 처리장치의 획기적인 발전과 더불어 그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앞으로의 기술 발전에 따라 3차원 영상을 인지하는 원리인 양안시차 뿐만 아니라, 운동시차, 초점조절 등을 모두 적용하고, 여러 명이 동시 시청이 가능할 수 있도록 완전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을 적용시킨 상품으로의 연구개발 및 산업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최근 정부는 정보통신부 주관으로 '3D 비전 2010'이라 불리는 차세대 디지털 디스플레이 육성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것은 입체 3D 디스플레이 발전계획을 담은 것으로 3D 분야가 앞으로 다른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엄청나기 때문에, 향후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국가경쟁력 강화 및 표준화에 커다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정부가 기업, 대학과 더불어 활발하게 연구 및 상업화가 추진되고 있는 만큼 아직 시작 단계에 있는 3D 디스플레이 산업은 신기술 개발의 여지가 충분하고, 3차원 디스플레이의 기반이 될 수 있는 핵심 기술들을 체계적으로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한다면 양산화되는 시점부터는 세계 시장에 경쟁 우위에 들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3D 디스플레이 사업에 성공적으로 진입하기 위해, 평판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의 우위를 적극 활용하고, 국내 디스플레이 양산기술과 부품소재산업을 최대한 활용하여 양산화 시기를 최대한 앞당겨 세계시장을 선점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국가가 전략적으로 산업정책을 펼치고, R&D 비용의 절감을 위해서 산학연 협동 연구개발 및 상품화를 이끈다면, 3D 디스플레이 산업을 국가 핵심산업으로 이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 업체의 국제경쟁력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배현구 慶雲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 2007 국내석사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how the companies enhance competitivenes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dvances in information technology (IT) present opportunities for managers to create management know ̄how such as productivity improvement and competitive advantage.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enhancement of companies' competitiveness is associated with development in information technology (IT). It means the association between IT development and companies' competitiveness among industries. IT appears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value of companies according to their countermeasure plans for enh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this group of firms, IT expenditure ratio as a percent of total sales is the highest among industry groups and the estimated coefficient of IT expenditures is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est whether the main purpose of using IT in a business makes a different impact on a firm's financial performance and the sample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a cost ̄down group and a customer ̄support group. Most of manufacturing firms use IT to reduce marketing and administrative cost and are classified to a cost ̄down group. For this group, IT expenditure ratio as a percent of total sales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a marketing and administrative cost ratio. But the estimated coefficient of IT is nega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Most service firms uses IT to support their customers and are classified to a customer ̄support group. For this group of firms, the estimated coefficient of IT is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research makes two important practical contributions. First, the evidence shows that IT information is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stock price in a number of industries. This suggests that IT expenditures provide future economic benefit and are capital expenditures. This also suggests that the relevance and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could be improved by disclosing IT information as a separate item in financial reporting. Second, this research is the first to use the accounting identity model (valuation model) to determine whether IT provide future economic benefit. Thus it adds an alternative way that may be useful in evaluating IT investments. In short, If company wants to succeed, enterprise must analyz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real time and besides adjust the analyzed data to the company. That is exactly an indispensable condition in enhancement of companies' competitiveness.
정일경 경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Information Technology is causing the transformation of administration operation and administration, and is settled as a type of participation forms that reflect the interest and idea of local residents in the administration operation. Internet, nowadays, is the most representative Information-Communication method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Our lives are composed of relationships with many social groups and human beings We lead our lives through various social interactions And we can find the most of the human relations are com posed of the relationship of leading and being led. Forthe all-round social life, what we need desperately is the leadership of a leader, which keeps the machine of human relationship running fast and helps us accomplish the goals of our groups or organization effectively. The reasons why hierarchial structure of organization and order-unity based structure showed their limits and became the object of reformation is that they resulted in th phenomenon of bottle neck of information flow. The revolution of information flow is now asking for a new theory of existence. This flow is now coming up with new things, like a gigantic Black Hole which have gulped everything. And it is now requesting an individual or a company that it would evolve at the same speed and scale with the country. This flow is needed because of society. while the evolution of flow is continuing, a new leader may suddenly appear or a competent leader may stand back for good. Now the adaptation to information flow has become a necessary condition of survival. Nowadays information flow has become a necessary condition of survival. Nowadays information flow is so rapid that the uncertainty and complexity of management are increasing. For this reasons, leaders are being asked to have high level of bottle neck of information circulation production and information circulation competency. But we couldn't avoid facing the phenomenon of bottle neck of information flow, especially in too much subdivided hierarchical structure and horizontally, and the delay of idea settlement is easily expected. To cope with time-centered competitive situation promptly, idea settlement should be made as soon as possible. So it can be said that the success or failure of an organization is up to a leader in the past or now Until now, we asw, in an enlarged pyramidical hierarchical structure, that no leader could cope with the information society flexibly. So changes into horizontal organizations, simple organizations, and network organizations are necessary for the achievement of a flexibility or an organization through leader's speedy information circulation in an organization and valuable co-operation about an essential tasks. In the past industrial society, whether it was a public or private organization, the ability of a good leader was judged by the quantity of information age, the ability of information of information age, the ability to create high added value has become the criterion of an evaluation of a leadership. It is because in an information age the invisible soft thing have become the sours of more decisive competitive power, and the intellectual wealth, and appeared as a subject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ne of the essential gained through study on leadership of an information of an information age is that what is should not be a dictator or a contrller, but he should be a sincere advisor of a subordinate or fellow worker, and that he should stimulate his potentials and that he should stimulate his to act to the best of his potentials and himself set fine example, ultimately, double the capacity of an organization the level of no need of administration. The leadership of the past put great emphasis on authority and power, management method, the success or failure of an organization dose largely depend on the individuals abilities. Successful leadership is a complex subject which can be achieved through quality, situation, official education and training, experience, and so on. This means that these factors have an great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not separately but generelly, and the quality of a leadership can be accomplished through private experience or official education and training. In general for the contents of leadership program,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properly selected, goals of training should be evaluated, too. Information age is the era in which information has the most important value. Information is a kind of materials which is usefully utilized in idea settlement through information owner's value allowance With the generalization of computer, we have got complex view of values where diversity and unity are co-existent. The most important virtue of leadership in an information age of 21st century is to have future-oriented attitude In the circumstances of various values exist and great changes are so rapid, a leader can show vision to the group members with it The importance of electronic information in an information age has resulted in new arguments that we have never experienced before. And to cope with this situation effectively, leaders should achieve the objects of the organization through the members' self-motivation, prepare a systematic device to share the information in the organization, have their minds open to the flow of information, acquire good level of electronic computing knowledge to innovate himself to keep up with the impending knowledge-based society, and heighten the equity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he alienated class. In other words, leaders should make constant efforts to innovate themselves and adapt to rapid changes.
김흥우 경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16 국내석사
생태산업단지는 산업단지와 입주기업 간 재활용 Network시스템 구축으로 자원에너지 이용 및 효율의 극대화와 환경오염물질의 원천적 감소가 이루어지는 산업생태시스템 조성하는 것이다. 즉,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이라는 환경보전과 경제성장을 지속적으로 동시에 달성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개별기업의 차원에서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중요하고, 기업 간의 연계로 공장과 기업이 하나의 생산시스템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 자원순환 Network 뿐만 아니라 생태산업단지 구축을 통하여 산업단지내의 기업에게 기타폐기물처리나 안전 및 시설교육, 비상사태 관리, 환경정보시스템 등 공동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정보교류 향상과 기업 간 및 지역사회와의 정보교류 활성화를 이용한 재활용 관련 신사업 창출로 기업 간 경쟁력 강화 및 고용창출을 이룰 수 있으며, 따라서 경제적 이익으로 이어지고 기업들은 산업비용의 분담으로 경제적인 기대효과를 이룰 수 있으며, 이러한 경제적 기대효과는 제조업 중심의 산업시설이 노후하거나 낙후된 지역일수록 크게 나타날 수 있다. 생태산업단지의 활성화는 친환경적설계를 바탕으로 한 적극적인 기업의 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을 가능하게 하며, 기존의 개발된 산업단지에 첨단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을 유치하고 지역의 벤처기업에게 새로운 사업영역을 개방하고, 결과적으로 고용 창출증대로 이어지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다. 환경적인 문제의 개선과 기업 및 지역사회와의 경제적 이익향상, 그리고 인적자원의 공평한 활용이라는 지역사회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활용 가능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공유함으로써 기업과 지역사회와의 협력이라는 친환경적인 기업공동체를 지향하여 적은 기회비용으로 사회적인통합을 이룰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산업단지내에 발생되는 폐부산물 및 폐자원의 재생을 통한 산업단지에서 발생되는 폐부산물 및 폐자원의 발생량과 처리현황을 파악하고 폐부산물의 자원순환을 위한 Network와 Symbiosis map을 구축하여 생태산업단지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려한다.
서충호 경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4 국내석사
As Informatization progresses, the gap between those who use digital information and those who don't use is getting wider. Thus international societies as well as domestic nations have a deep concern about this issue and make efforts to solve this problem. As corresponding to this social situation, this report was made to clear various issues such as definition of digital divide and various perspectives on digital divide, necessity of bridging digital divide, and state and policy of digital divide. Finally, suggestion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divide policy were also provided in this report. There are three perspectives in dealing with digital divide, namely, diffusion theory, information gap hypothesis, and realistic view. Diffusion theory regard digital divide as a temporary phenomena that could happen in the process of informatization, thus believe that it would be reduced by the natural processes of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lowering of IT products prices. Information gap hypothesis regards digital divide problem to be a serious problem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us believe that redirection of neo-Iiberal economy based on the strong market system as well as huge government's policy intervention are required in order to reduce digital divide.In order to implement policies and programs for bridging digital divide efficiently, the vision that could be achieved through solving digital divide, namely "digital welfare society" and "digital opportunity nation", should be presented clearly. Unless consensus is attained among various social groups regarding necessity of the settlement of digital divide, it could be hard to allot social resources in bridging digital divide. Therefore it should be showed clearly that bridging digital divide will promote nation's competitiveness and lives of the information poor, and eliminate social conflict between the information rich and poor. In order to bridge digital divide, 1) provision of information network to all the people at reasonably equal condition, 2) establishment of environment that any person can use information devices and services, 3) improvement of the information poor's ability to use IT through the provision of educatee based IT teaming opportunity, 4) provision of digital contents useful to the information poor, and 5) promotion of cooperation among international societies, nations, and NGO's should be provided.
임재곤 慶雲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 2005 국내석사
디스플레이 산업은 현재 세계 최고 수준의 LCD 및 PDP 양산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정보 디스플레이산업을 10년 내에 10% 수준으로 높이기 위한 노력이 양산기술 개발뿐 만 아니라 핵심 부품재료 및 원천기술 개발도 병행되어야 한다. 2010년에는 1,00억 달러 이상의 세계 시장이 예측되므로 기존의 LCD 및 PDP 뿐만 아니라, 앞으로 산업화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제품의 핵심이 되는 기술 개발에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 디스플레이 용도별 전망을 요약하면 고화질(HD) TV에서는 PDP, TFT-LCD, FED 및 Rear-projection TV의 경쟁이 예상되고, 여기에 유기 EL이 가세할 전망이다. 단기적으로는 PDP가, 중기적으로는 TFT-LCD가, 장기적으로는 유기 EL과 FED가 유망할 전망이다. 모니터와 노트북 분야에서는 TFT-LCD가 주축을 이를 것이며, 유기 EL이 가세할 전망이다. 또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인 종이처럼 얇고, 필요할 때 펼쳐볼 수 있는 flexible display는 영화 속의 상상만이 아니라 가까운 장래에 실현 가능하며 유기 EL 디스플레이, 유기 TFT 및 전자종이 기술이 이와 같은 꿈을 실현시켜 줄 것이다. 디스플레이의 주생산국으로 현재는 일본, 한국 및 대만에 한정되어 있으나, 10년 이내에 중국이 가장 강력한 생산국가가 될 전망이다. 따라서 우리나라가 중국과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전략을 세워야 될 것으로 믿는다. 디스플레이는 정보 산업의 핵심 부품이며 반도체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산업이며, 기존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디지털 컨버전스 추세에 따라 신규 시장이 개척되는 미래 유망 산업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산업은 이미 세계 수준의 반도체, 이동통신, 인터넷 기술 및 가전 기술 등의 분야에서 국가경제 성장엔진으로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분야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미국, 일본 및 유럽연합 등 선진국뿐만 아니라 중국 등 신흥공업국의 도전에 직면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나노-정보 기술(NT-IT) 등 첨단 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신기술 개발과 신시장 개척에 주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