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요양보호사 교육수료자의 직업의식 및 윤리에 관한 연구

        이부심 순천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는 의료기술의 발달 및 생활환경 개선 등으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핵가족화 및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로 인해 가족 내에서 장기간 노인들을 돌보는데 한계에 직면하게 되었으며, 장기간 노인요양에 따른 가족의 경제적 부담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지금까지 개인이나 가족에게 맡겨졌던 노인부양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에서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서비스 질 향상이라는 목적하에 재가복지 및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 직접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할 인력으로 새롭게 도입한 요양보호사 양성 교육기관의 관리체계를 개선하고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 및 윤리수준을 고찰하여 요양보호사의 질적 수준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전라남도 동부지역 요양보호사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이수한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그중 308부의 설문지를 최종적으로 활용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그리고 x² 검증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여성이었으며, 연령은 40세 이상이 76%, 학력은 고졸이하가 73.4%였으며 대상자의 76.6%가 종교를 가지고 있었다. 결혼상태는 85.7%가 기혼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교육관련 특성으로는 105명(34.1%)이 사회복지기관을 포함한 일반기관에서 주로 교육을 이수하였고, 학력, 연령, 자격증에 무관한 신규자반이 220명(71.4%)으로 가장 많게 조사되었다. 요양보호사 교육에 참여하게 된 동기로 106명(34.4%)이 장래성이 있는 직업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요양보호사 자격취득 후 취업을 원하는 대상자는 258명(83.8%), 자격취득 후 일하고 싶은 서비스 분야는 노인요양시설 136명(44.2%)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요양보호사 직업의식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Likert식 5점 척도를 활용하여 살펴본 결과 전체적인 직업의식은 5점 만점에 4.28점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4.62점, 연령은 40세 이상이 4.33점, 학력은 고졸이하가 4.36점, 결혼 상태별로는 기혼인 경우가 4.28점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넷째, 요양보호사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업윤리는 연령, 학력, 결혼상태, 월소득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요양보호사 교육관련 직업의식에 대한 결과로 교육기관별 직업의식은 일반기관이 4.38점, 교육과정에 따른 직업의식은 신규자반이 4.36점, 교육참여 동기에 따른 직업의식은 장래성이 있어서 교육에 참여한 경우가 4.66점, 교육 수료 후 취업을 원하는 대상자들의 직업의식이 4.40점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여섯째, 교육관련 특성에 따라 직업개념, 윤리필요성, 근무태도, 직업의 가치등을 파악해 보는 직업윤리는 요양보호사 교육기관, 교육과정, 교육수료후 취업유무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곱째, 요양보호사 교육수료자들의 요양보호사 교육기관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3.95점으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기관의 만족도를 하위 영역별로 살펴본 결과, 기관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4.15점으로 가장 높았고 이론교육은 4.09점, 실기교육은 3.67점, 현장교육은 3.58점으로 가장 낮았다. 이상의 연구결과, 요양보호사가 노인의 건강 돌봄을 위한 전문 직업으로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서 요양보호사 전문 교육기관이 자격요건을 갖추고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관리·감독을 강화하며 교육대상자의 수준에 맞는 차별화된 이론교육, 실기교육, 현장실습 등이 제공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요양보호사 교육을 통하여 직업의식 및 윤리를 향상시킬 때 양질의 요양보호사 제도가 정착 될 것이다. Korea has been rapidly changing into an aging society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medical technology and living environment. The taking care of elderly people is faced with limitations owing to the increase of the nuclear family and women's social activities, which makes us difficult in economy. So the government has been introducing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policy for elderly people and has been implementing it in order to provide a supporting system for those who had been in charge of his or her family. Therefore,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in the long term Care-Giver policy for elderly people. This policy is likely to contribute to improving an service quality by improving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Care-Giver specialist in an educational institute, where a medical facility for the elderly has been introduced to directly provide long term Care-Giver system. The samples of this research are medical Care-Giver experts who have taken relevant educational courses in the eastern educational institutes of Jeollanam-do. Of these samples, 308 copies of the answer sheet were used as final data. this data from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rough a SPSS program and colorimetric analyzed as frequency, percentage, T-verification, one-way ANOVA, chi-square(x²) verification. The result is following as; First, most of the survey samples were done by women-over 40 years old(76%), below secondary education(73.4%), who have religious (76.6%), and married people(85.7%). Second, 105(34.1%) of these samples took a course in a general institute including a social Care-Giver facility. 220(71.4%) of the people were not concerned about education, age, or certificate, which was the highest number. The motivation of attendance at the Care-Giver expert seminar was due to prospective jobs, 106(34.5%). After acquiring this certificate, those who wish to get the job were 258(83.8%). After acquiring this certificate, 136(44.2%) want to work in a service field. Third, we scrutinized professional consciousness on a Care-Giver expert by using the Likert 5-point, according to the general feature. As a result, overall professional consciousness was 4.28 which was the highest score(5 being the highest)-men(4.62), over 40 years old(4.00), below secondary education(4.03), married people(3.98). Fourth, of the Care-Giver expert education-concerned professional consciousness, general facility is 4.38, professional consciousness on educational courses is 4.17(newcomers), professional consciousness on educational attendance motive is 4.66 as prospect. After acquiring this certificate, those who want to get a job are 4.40. Fifth, the professional consciousness of a Care-Giver expert concerned about general features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e,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monthly incomes. And the professional consciousness concerned about the educat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al facility, educational courses, whether they can get a job or not after taking the courses. Sixth, in the survey of the degree of the satisfaction a Care-Giver expert is 3.95. Scrutinizing the satisfaction degree of educational facility concerned about the below field, we found that the satisfaction degree about facility environment is 4.15 which is the highest score. And theoretical education is 4.09, actual performance education is 3.67 and on-the-job education is 3.58. As a result of these surveys, Care-Giver expert profession educational facility should be qualified with requirements, strengthen the management and directions in order to provide a well organized and consistent education. Only if professional consciousness and ethic are improved through such a systemic professional Care-Giver expert education, the Care-Giver expert policy will be settled.

      •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직무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홍미애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에 의해 활동하는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무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려는 데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세부 연구문제들에 관한 분석을 통하여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 향상 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발견해보려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남지역의 시설 및 재가 노인요양 서비스에 종사하고 있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조사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응답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본 결과, 요양보호사의 대부분이 여자였고, 연령은 40대가 가장 많았고, 종교는 불교가 가장 많았으며, 학력은 고졸이 가장 많았다. 요양보호사의 직무수행 상황을 보면, 월수입은 100만원 미만이 많이 차지하고 있었고, 돕고 있는 어르신의 수는 4명 이상이 많았다. 주당 업무시간은 40시간 이상이 많았으며. 근무연수는 13개월 이상이 많았고 일한 시설의 종류는 노인요양시설이 가장 많았다. 요양보호사의 직무에 대한 만족도 및 직무몰입의 수준을 보면, 직무만족도는 다소 낮은 편이었고, 직무몰입도는 아주 높은 수준이었다.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으로 시설장과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사회적 인정 이었으며,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이는 영역은 어르신과의 관계와 보수로 파악되었다. 직무만족도와 직무몰입도가 개별적인 속성이나 직무수행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분석한 결과, 요양보호사의 연령에 따라 직무만족도는 차이가 없었으며, 종교가 있는 경우 종교가 없는 경우 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직무몰입도는 연령에 따라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직무몰입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종교가 있는 집단이 종교가 없는 경우 보다 직무몰입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 자신의 서비스 질에 대한 인식은 아주 긍정적이었고, 하위요인 중 신뢰성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유형성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았다. 직무몰입과 서비스 질 사이에도 정의 상관이 있어 요양보호사의 직무몰입이 높을 때 서비스의 질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와 서비스 질 관계에서 직무몰입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의 정도가 이들이 제공하는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몰입의 수준에 의해 완전히 매개됨이 검증되었다. 즉,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몰입도가 높아져 이를 매개로 하여 서비스의 질을 유의하게 높이는 효과를 가져온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 제고를 위한 직무환경 개선에 관한 다음 몇 가지 제언을 한다. 요양보호사의 수당 상향조정을 필요한 처우개선, 요양보호사의 직무의 범위를 명확히 하는 일, 요양보호사들의 자질과 전문성확보를 위한 교육훈련 체계 재정비, 요양보호사의 재교육이나 보수교육의 강화 등이 그것이다.

      • 요양보호사 교육과정 전 · 후의 지식 및 직업의식 변화 수준 비교

        김필녀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 교육과정 전 · 후의 지식 및 직업의식 변화 수준을 파악하여 요양보호사 교육과정을 올바르게 개선 ·보완하고 교육의 질을 향상시켜 요양보호사 교육과정을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발전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일부를 중심으로 요양보호사 교육기관의 교육생 195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설문조사방법으로 2010년 3월부터 4월까지 요양보호사 교육과정 전 · 후에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17.0 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요양보호사 교육 전 · 후의 표준교육과정 지식점수를 측정한 결과 교육 전 지식총점은 2.99±1.07 이었으나 교육 후에는 3.74±0.65로 교육과정 전체 지식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t=8.292, p=0.000). 교육대상별로는 간호사가 사회복지사(p=0.000)보다 지식의 점수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학력별로는 고졸 이하가 전문대졸(p=0.001),과 대졸 이상(p=0.0 00)보다 요양보호지식 점수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연령별로 조사한 결과 55세 이상이 34세 이하(p=0.000)와 35∼44세(p=0.001)보다 지식 점수 변화가 낮았다. 종교별로 조사한 결과 기독교, 불교, 카톨릭, 무교/기타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0.400, p=0.753). 2) 요양보호사 교육과정 전 · 후의 직업의식을 측정한 결과 교육 전 직업의식 총점은 2.10±0.63 이었으나, 교육 후에는 3.95±0.62 로 교육과정 전체 직업의식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t=28.960, p=0.000). 교육대상별로 조사한 결과 신규자와 사회복지사가 간호사(p=0.000), 물리치료사·작업치료사·간호조무사(p=0.000)보다 직업의식의 점수변화가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력별 교육 전 · 후 직업의식 점수는 고졸 이하가 전문대졸(p=0.000)보다 직업의식 점수변화가 높았다. 연령별로는 34세 이하가 45∼54세(p=0.045), 55세 이상(p=0.043)보다 직업의식 점수변화가 낮게 나타났다. 종교별 교육과정 전 · 후의 직업의식 변화는 기독교, 불교, 카톨릭, 무교/기타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0.338, p=0.7 98).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요양보호사 교육과정은 요양보호사 교육생의 지식수준과 직업의식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대상별, 연령별, 학력별로 요양보호사 교육과정의 교육 전 · 후의 점수 향상 정도가 다르게 나타남을 보였다. 즉 요양보호 지식수준에서는 간호사의 요양보호 지식의 점수변화가 가장 높았고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요양보호 지식의 점수변화가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직업의식의 변화수준에서는 신규자와 사회복지사가 높게 나타났고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직업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전문직종인 간호사와 연령, 학력은 요양보호 지식수준에는 높은 영향을 미치지만 그와 반대로 직업의식에서는 신규자와 사회복지사, 연령이 높고, 학력이 낮을수록 직업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고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이후의 요양보호사 교육과정에서는 교육대상, 연령과 학력수준도 고려하여 더욱 체계적인 교육과정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주요어 : 요양보호사 교육과정, 요양보호사 교육생, 요양보호 지식점수, 직업의식 The present study concerns the changes in knowledge and occupational consciousness of Care givers before and after training courses to improve and develop professional, systematic and qualitative aspects of the training courses for Care givers. 195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among trainees attending Care giver training institutions located in some parts of Seoul and Gyeonggido.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from March to April, 2010 before and after Care giver training courses to collect data, which were then statistically treated using SPSS version 17.0. The findings in this study boil down to the following: 1) In terms of knowledge scores measured before and after standard training courses, the total scores before and after training were 2.99±1.07 and 3.74±0.65, respectively, resulting in higher knowledge scores after overall training courses(t=8.292, p=0.000). Also, compared to social workers, nurs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knowledge scores (p=0.000), and trainees whose formal school was lower than or equal to high school graduat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scores of knowledge on care than college graduates(p=0.001) and those equal to or higher than university graduates(p=0.000). In terms of age, those who were over 55 showed less change in knowledge scores than those who were under 34(p=0.000) and 35∼44(p=0.001). In terms of relig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hristians, Buddhists, Catholics and atheists/others(F=0.400, p=0.753). 2) Regarding occupational consciousness before and after Care giver training courses, the total scores before and after training courses were 2.10±0.63 and 3.95±0.62, respectively, leading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scores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after overall training courses(t=28.960, p=0.000). Scores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changed statistically higher in beginner trainees and social workers compared to nurses(p=0.000) and physical therapists and others (p=0.000). Trainees who were equal to or lower than high-school graduates showed more changes in occupational consciousness scores before and after courses than college graduates (p=0.000). Trainees who were under 34 years old showed less changes in occupational consciousness scores compared to 45∼54(p=0.045) and 55-plus (p=0.043) age group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s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scores among Christians, Buddhists, Catholics and atheists/others(F=0.338, p=0.798). In sum, Care giver training courses were found to improve the levels of knowledge and occupational consciousness of Care giver trainees. Also, trainees' demographic data including profession, age and formal schooling, were associated with different degrees of changes in score improvement before and after Care giver training courses. Namely, as for care-knowledge scores, nurses showed the highest changes in scores, and the younger they were and the higher their formal schooling was, the higher the changes in scores of care knowledge. By contrast, in view of the changes in occupational consciousness scores, beginners and social workers showed more changes in scores. The older trainees were and the lower their formal schooling was, the higher the occupational consciousness was. In short, occupational specialty as in nurses, age and formal schooling influence the level of knowledge on care to a high extent, whereas in respect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beginners and social workers, older age and lower formal schooling are linked with higher expectation toward the Care giver profession and more influence on occupational consciousness. Given the findings aforesaid, it seems necessary to develop more systematic training course programs for Care givers in the future with traine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profession,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taken into account. Key words : Care giver training course, Care giver trainees, care- knowledge score, occupational consciousness

      • 요양원 요양보호사의 직장동료 갈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연구 : 직업윤리의식 매개변수 효과

        김미선 가톨릭꽃동네대학교 사회복지카리타스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충청북도에서 장기요양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29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구조화 된 설문지를 통해서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과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요양보호사의 직장동료 갈등과 직업윤리의식, 서비스 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근무경력, 교육이수 횟수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남성보다 여성이 직장동료 갈등, 직업윤리의식, 서비스 질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근무경력과 교육이수 횟수가 많을수록 직장동료 갈등, 직업윤리의식, 서비스 질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직장동료 갈등과 직업윤리의식을 살펴본 결과, 직장동료 갈등 중 감정 갈등과 의사소통갈등이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의식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장동료 갈등과 서비스 질을 살펴본 결과, 직장동료 갈등 중 역할갈등과 의사소통갈등이 입소자에 대한 서비스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직장동료 갈등, 직업윤리의식, 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직장동료 갈등과 서비스 질과의 관계에서 직업윤리의식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직업윤리의식은 직장동료 갈등과 서비스 질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종합해 보면, 요양보호사의 직장동료 갈등 수준을 낮추고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서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의식 향상이 필요하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직업윤리의식수준 향상을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요양보호사들의 전문인력으로서의 역량강화를 위한 장기요양지원센터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요양보호사들의 갈등 해소를 위해서 돌봄인력을 대상으로 하는 전문적인 힐링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요양보호사들의 직업윤리와 윤리적 민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기적인 윤리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자로서의 권익 보장을 위해서 요양보호사들의 복지와 제도가 개선되고, 재정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요양보호사들의 권위 향상을 위한 인식개선의 홍보방안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업의식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광웅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career and work environment, job stress, job consciousness and job attitudes, and to analyze the factors related to job attitudes including job satisfaction and the intent to leave, among long-term care givers, so that the results could provide suggestive information to contribute to improving work environment and raising the morale for long-term care givers, and furth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for the aged long-term care pati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15 long-term care givers working in geriatric facilities and for visiting care services in two cities of Changwon and Jinhae, Gyeoung-nam by using a structured an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March 9 to 16, 2010, and were analyzed for χ2-tes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SPSS Ver 1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long-term care givers surveyed were characterized as 93% for women, mostly the age group of 40s' and 50s', 57.8% for high school graduates, 52.7% for self-recognizing economic status of middle level, 76.8% for monthly average income of less than 1 million won, and 74.5% for work career of less than a year. Considering the type of work, 80.4% of the subjects was working on visiting care services such as visiting long-term care or bathing service, while 19.4% working in geriatric facilities such as nursing home, and 48.6% had a certificate of care assistant, followed by 8.9% for nurse's aide, 8.3% for social worker, etc., as the other certificate or licence. Second, the subjects were taking care of 1.8 patients a week on the average, while those working in the facilities 3.2 patients, twice as much as 1.5 patients for those working on visiting care services(p=0.000), and only 14.4% was doing shift work with 55.9% for the group working in facilities.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 was working 4 hours or less a day on the average, and, however, 62.2% 4 hours or less for those working on visiting care services while 59.9% more than 8 hours for those working in the facilities(p=0.000). Although the number of working days between 20 to 24 days a month was the most prevalent as 73.0%, and,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showing 78.7% for those working on visiting services while only 49.2% for those working in facilities(p=0.000) Third, the mean score of job stress for long-term care givers was below the moderate level as 2.44 points, and the mean score of job-related stress was the highest among stress types as 2.66 points, followed by pay-related stress as 2.58, patients-related stress as 2.50 and personal relations stress as 2.17. The levels of job consciousness and job satisfaction were above the moderate, showing the mean scores of 3.38 and 3.22 points, respectively, while intent to leave the job was almost near the moderate level as 2.94 points on the average. Forth, the mean levels of job stres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uch groups of the males, monthly income of more than one million wons, engaging at shift work, working for 10-19 days a month(p=0.000 each), while job conscious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only among female group (p=0.007). Job satisfaction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s of the female, work career with more than one year(p=0.016) and working more than 20 days a month(p=0.000), and, however, the intent to leav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p=0.050) and the average working days a month(p=0.001). Fifth, Job consciousness and job stress including all 4 categori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intent to leave, while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atient-related and job-related stresses, job consciousness, and the intent to leave. Six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job satisfaction among job attitud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job consciousness, patient-related and job related stresses, and, however, the intent to leave by job satisfaction, pay-related stress, patient-related stress and job-consciousness in order. In conclusion, in spite of poor work conditions including low salary level, short work hours and small number of patients taking care as compared with long work days, job stress levels among long-term care givers were not particularly high, and job consciousness and job satisfaction was also affirmative a little, while the level of intent to leave the job was not so high. Since long-term care givers are the important manpower playing a bridge role between medical personnel and patients' family as well as supporting household and physical affairs by patient side, it is suggested that work environment and treatment should be improved along with strengthening and specializing training programs for long-term care givers to achieve high level of job consciousness and to provide high quality of long-term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본 연구에서는 최근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의 시행으로 새로운 직종으로 부각된 요양보호사의 경력 및 근무여건과 관련된 특성과 직무스트레스, 직업의식, 직무태도 수준을 파악하고, 업무만족도 및 이직의사 등 직무태도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함으로서 이들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 개선 및 사기 진작을 통하여 노인성질환자에 대한 서비스 질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2010년 3월 9일부터 16일까지 경남 창원시와 진해시에서 시설 및 재가서비스에 종사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31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Ver.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교차분석, t-검증,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요양보호사의 성별은 여성이 93%, 연령은 40-50대가 대부분이었으며, 학력은 고졸이 57.8%, 경제 상태는 ?중’이 52.7%로 가장 많았고, 월 평균 수입은 76.8%가 월 100만원 미만이었다. 근무 유형은 방문요양 및 방문목욕 등 재가근무 서비스 종사자가 80.6%, 노인요양시설 등 시설근무자가 19.4%로 재가근무자가 훨씬 더 많았으며, 근무 경력은 1년 미만이 74.5%나 되었고, 타 자격증은 간병인 수료증 48.6%, 간호조무사 8.9%, 사회복지사 8.3% 등의 순으로 소지하고 있었다. 둘째, 요양보호사가 주당 돌보는 환자 수는 평균 1.8명인데 시설근무자가 돌보는 환자수가 3.2명으로 재가근무자 1.5명보다 두 배 이상 많았고(p=0.000), 근무형태는 교대근무가 14.2%, 특히 시설근무자의 55.9%가 교대 근무를 하고 있었으며, 하루 평균 근무시간은 4시간 이하가 과반수이상을 차지하였으나 재가근무자는 4시간 이하 근무자가 62.2%나 되었던 반면, 시설근무자는 하루 8시간 이상 근무자가 59.9%였다(p=0.000). 또한 월평균 근무 일수는 20-24일이 73.0%로 가장 많았으나 재가근무자의 78.7%, 시설근무자의 49.2%만 월 20-24일 근무하고 있어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000).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평균 2.44점으로 보통 수준보다 낮았으며, 영역별로는 업무관련 스트레스 2.66점, 급여관련 스트레스 2.58점, 환자관련 스트레스 2.50점, 대인관계 스트레스 2.17점의 순이었고, 직업의식은 평균 3.38점으로 보통 수준보다 높았다. 직무태도 중 업무만족도는 평균 3.22점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이었고, 이직의사는 2.94점으로 거의 보통 수준에 가까웠다. 넷째, 조사대상 요양보호사의 특성별로 보면 남성, 시설근무자, 근무경력 1년 이상인 군, 월평균 급여가 100만원 이상인 군, 교대 근무를 하는 군, 월평균 근무일수가 10-19일인 군에서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고(각 p=0.000), 직업의식은 여성에서만 유의하게 높았다(p=0.007). 업무만족도는 여성(p=0.050), 근무경력이 1년 이상인 군(p=0.016), 월평균 근무일수에서 20일 이상인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0), 이직의사는 성별(p=0.016), 월평균 근무일수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001). 다섯째, 직업의식과 직무스트레스 4개 영역 모두 이직의사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업무만족도는 환자관련 스트레스, 업무관련 스트레스, 직업의식, 이직의사와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여섯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직무태도 중 업무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업의식, 환자관련 스트레스, 업무관련 스트레스 등이었으며, 이직의사에는 업무만족도, 급여관련 스트레스, 환자관련 스트레스, 직업의식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면 요양보호사들의 낮은 보수 수준, 근무 일수는 많은데 비해 짧은 근무시간과 돌보는 환자 수는 적은 등 근무 여건이 열악한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직무스트레스는 그다지 높은 편이 아니었으며, 직업의식과 업무만족도는 긍정적인 편이었고, 이직의사도 보통 수준에 가까워 높은 편이 아니었다. 요양보호사는 환자의 측근에서 가사 및 신체 지원은 물론 의료인과 가족의 교량 역할을 하는 중요한 인력이므로 근무 환경 및 처우 개선이 요양보호사 양성교육의 강화 및 전문화와 함께 이루어 질 때 높은 직업의식의 함양과 양질의 노인요양서비스 문화가 정착될 것이다.

      • 요양보호사의 직무교육 만족도가 조직몰입,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치숙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03

        Effect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in Job Training Program for Caregive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Chee-Sook Le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Counselling, Seoul Venture University Seoul,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Sang-Hae Byun, Ph. D) Recently, the promotion of welfare for old people and solutions to problems involving them are becoming more and more of a major social issue in the context of aging society. Accordingly, diverse education programs are being implemented to help improve the job performance of caregivers. This study focuses on how educational satisfaction in job training programs for caregivers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a survey was carried out on 400 caregivers who work in elderly medical and welfare facilities and home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located in Seoul and Kyunggi areas. Out of the total questionnaires collected, 14 were disregarded due to insincere response and only 386 were used for the study. On the final raw data,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were performed using SPSS V.21.0 for its validity, followed by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aregivers,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were mostly females, representing 96.4% of the total respondents, and those in their 50’s and 60’s accounted for 90.9%. In the meantime, high school and middle school graduates constituted the majority. To obtain caregiver’s license, they chose to participate in educational programs rather than to take examination. The respondents were working more at home-care facilities(63.7%) than medical and welfare facilities, and 20.7% of the education was provided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n the analysis of the necessity of job training, it was fond that most respondents wanted job training and that major areas of interest were the securement of service quality, acquisition of specialized knowledge and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caregivers themselves. In terms of the motive for education, enhancement of caregiver’s quality and securement of service quality were found to be among the strongest factors, but the 17.9% participated in eduction for an involuntary reason- preparing for the assessment of facilities. It was also found that educational satisfaction in job training program differed depending on caregiver’s age, educational background, compensation, career record, type of facilities. The average evaluation of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3.77 and that of education contents was 3.95, while the quality of instructor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were evaluated at an average that exceeds the mean value. In the type of facilities,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higher in home care facilities than in medical and welfare facilities. Second, the greatest factor that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education satisfaction in job training for caregivers was found to be the contents of education. In the meantim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quality of instructors did not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aregivers. Third, the greatest factor that affects self-efficacy in the education satisfaction in job training for caregivers was found to be the contents of education, followed by the quality of instructor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Fourth, factors that affect education satisfaction in job training for caregivers were found to be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the quality of instructors. However, educational environment did not affect job satisfaction of caregivers.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were considered in relation to educational satisfaction in job training all at the same time. It is also a meaningful finding that educational satisfaction in job training enhan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lf-efficacy, serving as a factor that affects job satisfaction. key word: caregiver, educational satisfaction in job train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최근 고령화 사회의 노인복지 증진과 장기요양의 문제가 갈수록 더 큰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으며, 요양보호사의 노인 돌봄이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요양보호사의 직무능력 향상 방안으로 다양한 형태의 직무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요양보호사의 직무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조직몰입,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노인의료복지시설과 재가노인복지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서울·경기 지역의 요양보호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중 응답이 불성실한 응답지 14부를 제외한 38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SPSS V.21.0을 활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기술적 통계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은 여성(96.4%)이 대부분이었다. 연령은 50대와 60대 이상이 90.9%를 차지하였으며, 고등학교와 중학교 졸업자가 많았다. 자격취득 방법에서는 시험합격보다 교육이수가 더 많았다. 근무기관유형으로는 요양시설보다 재가시설(63.7%)이 더 많았으며, 직무교육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실시하는 교육이 20.7%로 나타났다. 직무교육이 직무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지의 여부에 대해 분석한 결과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서비스의 질 확보와 전문지식습득과 자질향상으로 나타났다. 교육 동기에서 자질향상과 업무능력 향상이 많았지만, 시설평가를 위해서가 17.9%를 차지해 비자발적인 참여 동기를 나타내 보여주고 있었다. 요양보호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가운데 연령, 학력, 급여, 근무경력, 기관유형 등에 따라 직무교육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직무교육 만족도는 평균 3.77점으로 교육내용은 평균 3.95점이며 전반적으로 강사자질, 교육환경은 중앙값을 상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기관유형에서 요양시설보다 재가시설이 직무교육에 대한 만족도 수준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직무교육에 대한 만족도 중 교육내용이 요양보호사의 조직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육환경과 강사자질은 요양보호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무교육 만족도 중 교육내용과 강사자질, 교육환경 순으로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직무교육에 대한 만족도 중 교육내용과 강사자질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환경은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 많이 연구되지 않은 요양보호사의 직무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조직몰입과 자기효능감, 직무만족을 동시에 고려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요양보호사의 직무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조직몰입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직무만족에 중요한 영향 요인임을 확인하였다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연구 결과라 할 수 있다.

      • 노인복지시설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윤숙정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요양보호사들의 직업의식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대구·경북 소재 15개 노인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300명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설문조사는 약 2개월 간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총 300부의 설문지가 배포되어 281부가 회수되었으며, 그중에서 분석하기에 부적절한 답변을 제거하고 최종 자료로 총 261부를 표본화 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총 261매의 설문지를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 기술적 통계방법,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등의 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이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즉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정함으로써 조직유효성 향상을 위한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의 가치를 확인하기 위해 이루어졌으며, 요양보호사가 인식한 직업의식의 전체 평균은 3.17점으로 대체로 보통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위요인 중 가장 높은 평균을 보이는 요인은 전문성 인식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소속·사명감, 근속의지 순이었으며, 자부심이 가장 낮은 평균을 보인 요인이었다. 자부심은 내가 하는 일에 긍지와 자부심을 느끼고 직업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사회에 반드시 필요한 직종의 하나라고 생각하는 것일 것이다. 따라서 요양보호사 업무를 즐겁게 할 수 있도록 또한 대상자 서비스를 통해 성취감을 얻을 수 있도록 관리자들은 요양보호사들을 다양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며, 담당 요양보호사는 일에 긍지와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스스로 자존감을 높이는 훈련과 취미활동이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요양보호사가 인식한 조직유효성의 전체 평균은 3.14점으로 대체로 보통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위요인 중 가장 높은 평균을 보이는 요인은 직무만족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조직몰입이었으며, 이직의도가 가장 낮은 평균을 보인이 요인이었다. 2) 연구대상자의 일반적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직무만족은 5점 만점에 3.26점으로 보통수준이었으며 최종학력에 따라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연령, 종교, 근무경력, 근무형태, 그리고 월평균수입에 따른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최종학력은 중졸 이하와 고졸집단이 전문대 졸 이상 집단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학력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특성에 따른 조직몰입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조직몰입은 5점 만점에 3.24점으로 보통수준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일반적특성에서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이직의도는 5점 만점에 2.82점으로 보통수준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일반적 특성에서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3) 연구대상자의 일반적특성과 직업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검정을 위해 직무만족을 종속변수로 하고 일반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통제한 후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정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문성인식이 높을수록, 자부심이 낮을수록, 그리고 근속의지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업의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검정을 위해 조직몰입을 종속변수로 하고 일반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통제한 후,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정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속 사명감이 높을수록, 전문성 인식이 높을수록, 자부심이 낮을수록, 그리고 근속의지가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특성과 직업의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검정을 위해 이직의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일반적특성을 독립변수로 통제한 후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정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이 많을수록, 정규직일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전문성인식이 높을수록, 그리고 근속의지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과 조직유효성 간의 유의미한 부분과 유의미하지 않은 측정도구를 다시 검토하고 재조명함은 물론 조직유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끊임없는 후속연구와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of care worker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th its subjects being 300 care workers working at 15 senior-caring welfare facilities located in the areas of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buk Provinc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about two months.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subjects and 281 of them were recollected. Excluding 20 questionnaires impossible to use for an analysis, this study utilized 261 questionnaires as samples and analyzed them. The data acquired from the 261 questionnaires were proces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a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 percentil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y were also processed by conducting a t-test, one-way ANOVA and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is study examined significant influences of care workers' occupational consciousnes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nsisting of thei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to quit their jobs. Also it tried to find the meaning of care workers' occupational consciousness in increas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average point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perceived by care workers was found to be 3.17, which shows that care workers had an ordinary level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Out of the sub-factors, the one with the highest average point was found to be the perception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followed by the sense of belonging and duty, and the intention to stay long at the same organization. The sub-factor of self respect showed the lowest average point. Self respect is what care workers think of what they do, in other words, how proud they are of their work, and whether they think their work to be essential for the society. Management should support care workers in various ways so that they can work delightfully and have a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their service for those in need of cares. At the same time, care workers need training and leisure activities to enhance self respect and feel proud. The average point of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care workers was found to be 3.14, which shows that care workers perceive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t an ordinary level. Out of the sub-factors, the one with the highest average point was found to be job satisfaction, followed by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intention to quit the organization was the sub-factor that showed the lowest average point. 2)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The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showed was found to score 3.26 on a five point scale, which shows that care workers had job satisfaction at an ordinary level. Their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However, age, religion, working years, working type and average monthly income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Referring to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high school graduates and those with educational background of middle school graduation or less showed a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 or higher institutes. In a wor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was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lower was their job satisfaction.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the subjects showed was found to score 3.24 on a five point scale, which shows that care workers had organizational commitment at an ordinary level. None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the intention to quit the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The intention to quit the organization that the subjects showed was found to score 2.82 on a five point scale, which shows that care workers had the intention to quit the organization at an ordinary level. None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ntion to quit the organization. 3)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ccupational consciousness on their job satisfaction, this study controlled job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s. To find factors to influence job satisfaction,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leading to the following result. The more conscious they were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the less proud they were, and the stronger was the intention to stay long at the same organization, the higher was their job satisfaction.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ccupational consciousness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controlle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s. To find factors to influ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leading to the following result. They were found to show more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they had more sense of belonging and duty, they were more conscious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they were less proud, and they had more intention to stay long at the same organization.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ccupational consciousness on their intention to quit the job, this study controlled the intention to quit the job as a dependent variabl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s. To find factors to influence the intention to quit the job, a multiple linear regress

      •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태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업의식의 조절변수를 중심으로

        양진만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understands the effect for job attitude and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of care helper and verify that the professional consciousness of care helper controls influencing relationship. Also, I studied managing the job stress of care helper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care helper by controlling job attitude and turnover intention, feeling the necessity about that nursing care facilities have to provide high-quality service. This study was made of focusing on moderating variables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to job attitude and turnover intention when the care helper faced stress related job. This verified the effects among variables by setting professional consciousness to moderating variables, job attitude and turnover intention to dependent variables, job stress to independent variables to care helpers who work at elderly care facilities the healthcare facilities for the aged. This study’s data conducted survey of 470 care helpers of Seoul and Incheon between september 1, 2015 and september 30 and used 433 copies of survey except 37 meaningless results to final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First, the highest of job stress of care helper was physical stress. The lowest was personal stress. Overall job stress was less than usual. This study found that care helper received many stresses by physical pain or diseases caused by job environment. Second, job attitude had companionship, importance of job, sense of belonging positively. Turnover intention was low condition. Professional consciousness the moderate variable was high condition to care helper. Third, there was the result of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General characteristic and job stress of care helper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assigned members, job career, salary. In contrast, general characteristic and job attitude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service period, employment status. General characteristic and turnover intention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service period and salary,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assigned members and employment status. Also, General characteristic and professional consciousness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age, and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employment status. Job stress, job attitude, professional consciousness the independent variables had negative relationship. And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had positive relationship. Fourth, after factor analysis of job stress of care helper, social and individual stress were shown each single factor,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ress were shown same factor. Job attitude of care helper as a dependent variable was analyzed that job satisfaction was shown as single factor except question no.8 and question no.8 did not elong to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hown as single factor except question no.1, question no.1 was shown close to job satisfaction.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of turnover intention was shown that all questions including inverse processed question no.5 were single factor.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the moderating variable was shown that custom, attitude, value are classified into same factor and two questions of opinion are classified into different factor. Fifth, general characteristic of care help couldn’t explain job attitude exactly. But the model of employment status, age, assigned members was effective to general characteristic. Job attitude was affected by the model of employment status, service period, assigned members but quantity of explanation was very low. Job stress had high quantity of explanation to job attitude and the model of job attitude included every lower level of society, individual, physical, psychological. Job stress explained turnover intention very well and included physical, individual, psychological stress except social one. Sixth,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effect for job attitude and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of care helper focusing on professional consciousness moderating variable is that the model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social, individual, physical stress could explain many parts of attitude. The result of analysis on regulation effect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was that interaction variable between job stress and professional consciousness had only effective to job attitude. Job stress and professional consciousness had effect to turnover intention by including physical, individual, professional consciousness, psychological test. Regulation effect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was shown that interaction variables with physical stress and professional consciousness, social stress and professional consciousness can explain turnover intention. This result was shown that job stress can affect to job attitude, turnover intention and professional consciousness the moderating variable can control partially. This means that proper program which reducing job stress, giving positive effect to job attitude and turnover intention need to develop. In regulation effect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related with turnover of care helper, if job stress of care helper was low, job satisfaction could be high. As a result of high job satisfaction, turnover of care helper will have a positive impact. This study will expect that this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to handle turnover and job attitude related with job stress of care helper who works at the long term care for elderly and also this can improve quality of long term care for elderly by retaining the quality of care helper.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직무태도와 이직의도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이 그 영향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직무태도 및 이직의도를 조절하여 요양보호사의 삶의 질을 높이고, 요양보호시설이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요양보호사의 직무와 관련하여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면 직무태도와 이직의도의 영향에 대해 직업의식의 조절변수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노인의료복지시설인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독립변수를 직무스트레스로 하고 직무태도와 이직의도를 종속변수로, 직업의식을 조절변수로 하여 변수간의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서울 및 인천지역의 요양보호사 470명을 대상으로 2015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 사이에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무성의한 응답 37부를 제외한 433부의 설문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신체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개인스트레스가 가장 낮았으며 전체 직무스트레스는 보통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이는 요양보호사들은 신체적 통증이나 작업환경으로 인한 질병 등에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직무태도는 동료애, 업무의 중요성, 소속감 등을 긍정적으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 의도는 요양보호사들은 이직하고 싶은 의사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변수인 직업의식은 본 연구의 요양보호사들은 높은 직업의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요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징과 직무스트레스에서 요양보호사가 담당한 인원, 근무 경력, 월급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징과 직무태도는 근무기간과 고용형태와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징과 이직의도는 연령과 월급과는 부(-)적인 상관을, 담당하는 인원과 고용형태와는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징과 직업의식은 연령과는 정(+)적인 상관을, 고용형태와는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독립변수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태도. 직업의식은 모두 부(-)적인 상관을 나타내었고,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는 모두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요인 분석한 결과 사회스트레스와 개인스트레스는 각각의 단일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스트레스와 신체스트레스는 동일한 요인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속변수인 요양보호사의 직무태도를 요인분석한 결과 직무만족은 8번 문항을 제외한 문항이 단일요인으로 나타났고, 8번 문항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속하지 않는 문항임이 확인되었다. 조직몰입은 1번 문항을 제외한 문항이 단일요인으로 나타났고, 1번 문항은 직무만족의 요인과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를 요인분석한 결과 역산처리 한 문항 5번을 포함한 모든 문항이 모두 단일요인으로 나타났다. 조절변수인 직업의식의 요인분석 결과 관습, 태도, 가치는 모두 같은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의견의 두 문항만이 다른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다섯째,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성이 직무태도를 미비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용형태, 근무기간, 연령, 월급을 포함한 모형이 영향력이 있었다. 직무태도에는 고용형태, 연령, 담당인원의 모형이 영향력이 있었고 설명량은 매우 낮았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태도를 설명하는설명량은 매우 높게 나타났고, 사회, 개인, 신체, 심리의 모든 하위차원이 직무태도를 설명하는 모형에 포함되었다.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를 가장 잘 설명하고 있었으며, 사회 스트레스를 제외한 신체, 개인, 심리가 모형에 포함되었다. 여섯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업의식을 독립변수로 하고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직업의식, 사회, 개인, 신체 스트레스가 포함된 모형이 직무태도의 많은 부분을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의식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스트레스와 직업의식의 상호작용 변수가 유일하게 직무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직업의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신체, 개인, 직업의식, 심리스트레스가 모형에 포함되었고, 많은 부분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의식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신체스트레스와 직업의식, 사회스트레스와 직업의식의 상호작용 변수가 이직의도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태도와 이직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조절변수인 직업의식이 완전조절 역할은 하지 않지만 부분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였다. 이는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직무태도와 이직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적절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요양보호사의 이직과 관련한 직업의식의 조절효과에서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낮으면 직무에 대한 만족도 높아지고 직무에 대한 만족도 높아지면 그 결과 요양보호사의 이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로써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시설에 종사하는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직무태도와 이직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과 양질의 요양보호사 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전체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전수원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요 약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내 문경, 상주, 예천, 안동에 위치한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221명을 대상으로 조사ㆍ분석한 결과를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들의 직무만족은 동료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직무에 대한 만족도, 상사에 대한 만족도, 임금과 이직의 만족도 승진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의 서비스 질적 수준은 감정이입이 가장 높았으며 신뢰성, 대응성, 보증성, 유형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성 및 근무환경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질적 수준은 연령이 낮을수록, 근무경력이 높을수록, 임금이 높을수록 서비스의 질적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동료, 직무, 승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전체 서비스의 질적 수준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의 하위변인별로도 신뢰성, 대응성, 보증성, 감정이입은 직무, 승진, 동료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유형성은 직무와 동료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