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 나타난 '선한 행위' : 레비나스 타자윤리와 관련하여

        김성애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2

        The study aims at discussing on the significances of the Good Conducts in Heidelberg Catechism in relation to Lévinas Ethics of 'the others', and then suggesting the significances for the Korean Christianity. More detailed objectives and related contents are as followed. First, the study looks into the significants of 'Good Conducts' in the Heidelberg Catechism. From here the historic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in terms of the Heidelberg Catechism are described, and the concepts of the Good Conducts is mentioned as well. And relation to the Good Conducts, the meaning of gratitude, belief, holy spirit, Lord's prayer and the Ten Commandments in the Heidelberg Catechism are discussed. Lastly, the Good Conduct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ocially poor and weak in the Heidelberg Catechism. Ursinus has mentioned that the Good Conducts comes out the true beliefs, follows God's Laws, and they are all about the glory of God. Therefore, the Good Conducts for the socially poor and weak should be what Christian is to obey God's command of serving the poor and weak. Second, the study examines the Good Conducts in the Lévinas' ethic of 'the others'. From here the features, 'the others', and the concept of God in the Lévinas Ethics are mentioned. He asserts that the ethic should be giving up 'oneself' in the point of view 'the others'. The others has the face of the poor, weak, a widow, an orphan, and orders us, as our Lord. The accountability on the others implies 'the love of our neighbor' in the Bible. It expresses the love of suffering people. Third, the Study discusses on the significants of the Good Conducts in the Heidelberg Catechism related to Lévinas' Ethic. What we believe should be done in our lives. “Not everyone who says to me, 'Lord, Lord', will enter the kingdom of heaven, but the one who does the will of my Father who is in heaven(Matthew 7:21).” This word would be deeply related to care the others in the Lévinas' ethic, and also it could be in the center of the Good Conducts in the Heidelberg Catechism. 'The others' in Lévinas' philosophy command on the Good Conducts, but in there, there should be assurance of God's existence, obey, and the beliefs of God. Lastly, the study makes some suggestions for the Korean Christianity regarding the Good Conducts in the Heidelberg Catechism and the Lévinas' ethic. Korean society in the super individualism neglects the socially weak, and churches in the society passes over those individualism in silence. In the society and the church, the awareness of community would be buried under the capitalistic economy. In such a phase, necessity of Christianity Role should be strongly come to the fire, which could recover on the awareness of community in the society and the church.. So it should be necessary to the ethical conducts for the poor and weak, as a code of conduct for Korean Christianity. Therefore the Korean Christianity should look for new significants in Jesus' Commands, that you shall love your God and your neighbor as yourself. 이 연구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서의 선한 행위의 의미를 레비나스 타자 윤리와 관련하여 논의하고, 그것이 한국 기독교에 주는 과제를 시사하는 목적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과 그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선한 행위의 의미를 살펴본다. 여기서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역사적 배경, 성격 및 구조가 다루어진다. 또한, 선한 행위의 개념과 감사, 믿음, 성령, 주기도문, 십계명에서의 선한행위 의미를 찾는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약자를 중심으로 한 선한 행위를 논한다. 우르시누스는 선한 행위는 참된 믿음에서 나오는 하나님의 율법을 따르되,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는 것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그러므로 사회적 약자 중심의 선한 행위는 중생한 인간이 사회적 약자를 섬기라는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는 것이다. 둘째, 이 연구는 레비나스 타자 윤리학 차원에서 선한 행위의 내용을 살펴본다. 여기서는 레비나스 윤리학의 성격을 알아본다. 동시에 레비나스의 타자 및 신의 개념을 살펴본다. 레비나스는 타인의 관점에서 자기를 버리는 것이 윤리적이라는 것이다. 타자는 가난한 자와 나그네, 과부와 고아의 얼굴을 하며, 우리에게 명령하면서 우리 주인의 모습을 한다. 타인에 대한 책임성은 성경에서의 ‘이웃사랑’, 특히 고통 받는 타자를 사랑하는 것을 말한다. 셋째, 이 연구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선한 행위에서 본 레비나스 타자 윤리의 의미를 논한다. 우리가 믿는다고 하는 것은 삶 속에서의 행함을 말한다고 할 것이다. “나더러 주여 주여 하는 자마다 천국에 다 들어갈 것이 아니요 다만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대로 행하는 자라야 들어가리라(마 7:21).” 이러한 예수님의 말씀은 레비나스의 윤리관에 담긴 ‘타자’의 돌봄이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서의 선행의 중요한 핵심으로 자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레비나스가 말하는 ‘타자’가 기독교인의 선한 행실을 온전히 실천하도록 명령하지만, 거기에는 반드시 하나님의 임재에 대한 확신과 순종이 믿음으로 입증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레비나스 타자 윤리학에서의 선한 행위가 한국 기독교에 주는 과제를 논한다. 초개인주의 시대 속에 있는 지금의 사회는 점차 소외되는 사회적 약자를 방치하고 있고, 그 안에서 교회는 신앙 공동체적인 사명보다는 구성원 개개인의 이기심에 따른 계약 관계의 형성을 묵과하고 있다. 이렇게 점차 경제적 자본주의 논리 속에 매몰되어 공동체 의식과 이웃이 상실된 우리의 사회와 교회에서, 공동체와 이웃의 회복을 위한 기독교의 역할은 절실히 필요하다. 그래서 사회적 약자에 대한 윤리적 행위가 이 시대의 한국 기독교의 행동 강령으로 자리할 필요가 있다. 한국 기독교는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예수의 새 계명이 가지는 의미를 새롭게 찾아야 한다.

      • 마르틴 부쳐의 요리문답 연구

        최준혁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1

        This thesis is a study of New Culinary Catechism that Martin Bucer wrote for local churches and schools. Bucer is less known compared to Martin Luther and John Calvin, considering his influence on the Reformation. However, we cannot forget his legacy he has left as a faithful minister and christian educator. He was born in Schlettstadt, Germany in 1491. He studied in Schlettstadt Latin school, moved into a Dominican monastery and got trained there for financial reasons. Later, he moved to Heidelberg and began to work as a reformer through the influence of Luther after Heidelberg Disputation in 1518. Chapter II is dealing with what he did for reformation of St. Aurelia Church in 1523 and St. Thomas Church in Strasbourg in 1531. He built a fundamental frame of worship of reformation, by destroying religious images, closing Mass, turning alter into pulpit, singing congregation praise, and delivering gospel preaching. He devoted his effort to educational reformation and built general public school system. He emphasized Catechism education. He insisted on a disciplinary system to protect church members from Anabaptist and spiritualist and worked for religious education, making three Catechisms. Chapter III is about Bucer's motivation for writing Catechism and its structure. He wrote it to protect church members from Anabaptist and spiritualist in 1534. He rewrote the New Catechism since its old version was too broad and difficult for children in 1537. This used wooden pictures to help children understand the Lord’s Prayer, The Ten Commandment, Baptism, Eucharist, and church discipline. It is rare and this study will present wooden pictures. He wrote the third Catechism, including Ordination, Complaint, Public Worship, Public Prayer, Praise, and Offering in 1543. It was done in the dialogue style. Chapter IV is dealing with the contents of Catechism and theological ideas in it are touched in Chapter V. Chapter VI studies the influence of Catechism around it. Bucer developed his Catechism further, although it was based on Luther’s Catechism. His Catechism affected 『Genevan Church Catechism』of John Calvin’s second writing in 1541. He gave advice in many ways regarding necessity of education of Catechism and Sacrament through Censura and De Regno Christi. He affected churches in Hessen greatly in making 『Church Ordinance』and education of Catechism. He worked as a pastor for 28 years, 25 years in Strasbourg and 3 years in Englands respectively. He could not distribute any more actively published his Catechism and should leave because of Strasbourg was subjected to the influence of Roman Catholic Church with The Augsburg Interim again.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onto him and study his Catechism further. 이 논문은 독일 슈트라스부르크 지역의 교회와 학교에서 사용하기 위 해 마르틴 부쳐가 집필했던 세 요리문답들에 대한 연구서다. 부쳐는 루터와 칼빈과 같은 시대에 살며 종교개혁에 공헌한 바가 크지만 그들에 비해 거 의 잊혀진 종교개혁자다. 그렇지만 그는 신실한 목회자요 목회신학자이며 기독교 교육가로서 많은 업적을 남겼다. 부쳐는 독일 슐레트슈타트에서 1491년에 태어났다. 당시 명문학교였던 슡레트슈타트 라틴어 문법학교를 졸업했고,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도미니쿠스회 수도원 학교에서 수도사로 훈련받았다. 하이델베르크로 전학했고, 1518년 4월에 있었던 하이델베르크 논쟁에서 루터를 통해 복음을 듣고 그는 종교개혁자의 길을 걸었다. II 장에서는 그가 1523년부터 슈트라스부르크 시에 있는 성 아우렐리아 교회, 그리고 1531년에는 성 도마 교회 등에서 사역하며 개혁한 내용을 다루었다. 가톨릭의 성상을 파괴하고, 미사를 폐지했으며, 제단을 강단으로 바꾸었고, 회중찬송과 복음적 설교를 하는 등 그는 개혁교회 예배의 틀을 마련했다. 신앙교육과 일반 공립학교 교육체계도 정립했다. 특히 요리문답 교육을 중시했다. 재세례파와 신령주의자들로부터 성도들의 신앙을 보호하려고 권징 제도를 주장했고, 세 개의 요리문답을 만들어 신앙교육에 힘썼다. III 장에서는 부쳐의 요리문답의 집필 배경과 구조와 특징을 살폈다. 재세례파와 신령주의자들 로부터 성도들의 신앙을 보호하려고 1534년에 대요 리문답을 집필했다. 이 교재가 방대하고 아동들이 이해하기에 어려우므로 이를 보완하려고 1537년에 소요리문답을 다시 집필했다. 이 요리문답 교재 는 목판화 24점을 삽화로 사용해서 사도신경과 주기도문과 십계명과 세례 와 성만찬과 권징 등을 쉽게 가르칠 수 있도록 구성했다. 그 요리문답은 희귀본인데, 본 논문에서 그의 삽화도 소개했다. 그리고 1543년에는 직분자의 임직과 견신례, 공예배 모임과 공동기도회, 회중찬송, 헌금에 이르기까지 실 제적인 교회생활의 내용들을 교리화해서 세 번째 요리문답을 집필했다. 그의 세 요리문답들은 모두 대화체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IV장에서는 요리문답의 내용을, 그리고 V장에서는 요리문답에 배어있 는 신학사상을, 그리고 VI장에서는 그의 요리문답이 주변에 끼친 영향을 살폈다. 그의 요리문답은 루터의 소요리문답에 기초했지만 더욱 개혁 교리 를 발전시켰다. 동시에 그의 요리문답은 칼빈이 1541년에 두 번째로 집필한 『제네바교회 요리문답』에도 영향을 주었다. 영국에 가서는 『검열』과 『그리스도 왕국론』을 통해 요리문답 교육의 필요성과 성례에 대해 많이 조언했다. 헤센 지역 교회들에게는 『교회법령』의 제정과 요리문답 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슈트라스부르크에서 25년, 그리고 영국에서 3년, 도합 28년 동안 사역했다. 활발하게 출판되던 그의 요리문답은 『아우구스부르크 가신조협 정』으로 인해 슈트라스부르크가 다시 로마 가톨릭이 지배하는 도시로 변 하므로 그의 요리문답이 교재로 정착할 수 없어서 아쉽다. 앞으로 그의 요리문답에 대해 더욱 관심있는 연구가 요청된다.

      • 가톨릭 교리서 『요리강령』 연구 : 『요리강령』 판본 연구와 『천주교요리문답』, 『가톨릭교회 교리서』 비교 연구

        김유진 가톨릭대학교 문화영성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85

        The purpose of Catholic doctrine education is to declare God revealed through Jesus Christ and to convey faith to God. This Catholic doctrine education was emphasized from the early church, and it has been continued as a faith in the era of persecution of the church.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doctrine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by proclaiming doctrine (teaching) even in the period when the church is reformed through the council. In the history of the Catholic Church, doctrine education has such an important influence. The early Korean Catholic Church has also been a history of spreading faith,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such doctrine education. Western scholarship translated into Chinese were voluntarily accepted and formed the early church faith community, and After the arrival of Father Joo Mun-mo, he established a foothold for doctrine education and mission through the chairmanship and the Myeongdo society. And the effect of this doctrine education was revealed as martyrs who proved faith as martyrdom. More characteristic was the doctrine education that led to voluntary faith within believers during the early church period and persecution period when there was no shepherd to lead specifically. Among many catechies delivered to the Korean Catholic Church, Yo-Li Gang-Iyeong, which has been popular since 1910 to 1985, was one of the mediators of faith delivery and was a popular catechism that many people could easily access Catholic doctrines because of its explanation of the text. It was also a part of the medium of faith that led to the generations of the family and was a doctrine known to many believers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The characteristics of Yo-Li Gang-Iyeong's catechism, which was translated and introduced into the first edition of the 1910 first edition and published in six editions, influenced the history of the doctrine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are easily explained by solving the original, but there are specific and detailed contents in the doctrine.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 of the doctrines that are proclaimed by the church and explained by the Bible as an example or the illustration of the saints is that Yo-Li Gang-Iyeong was able to reach many people easily for nearly a century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The doctrine is a medium that connects the society, culture, and environment of the time with the declaration of faith in the church. This paper introduces the origin and version of Yo-Li Gang-Iyeong in the introduction section,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is Yo-Li Gang-Iyeong, and presents the purpose, necessity, and expected effect of the study. The composition of this introduction was presented because there were few existing research data on the edition of Yo-Li Gang-Iyeong or its value as a textbook. In Chapter 2, the comparative studies of the first and second editions of Yo-Li Gang-Iyeong and the third editions of Yo-Li Gang-Iyeong were discussed in detail. In chapters 3, and 4, to present the meaning of the Catholic catechism of Yo-Li Gang-Iyeong, the first official catechism of Korean Catholicism since Chu-Gyo Yo-Ji, Cheon-ju-gyo yo-li-mun-dab, and the common and difference of Catholic universal doctrine Catholic Church catechism were studied. In conclusion, the study of Yo-Li Gang-Iyeong edition, the contribution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and the meaning of Yo-Li Gang-Iyeong as a Catholic catechism were re-examined and Yo-Li Gang-Iyeong as a Catholic catechism was evaluated. In addition, all of the biblical quotations presented in the main text of Yo-Li Gang-Iyeong were searched and presented in the appendix. Yo-Li Gang-Iyeong has many features of doctrines with biblical citations, but its origins are not recorded in the text, so they are presented in the paper. The study of Yo-Li Gang-Iyeong as a Catholic catechism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ranslation doctrines have led to the same composition as that they were continuously published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A study comparing the 6th edition of Yo-Li Gang-Iyeong found efforts to present the doctrines and recommendations proclaimed by the Church when the 2nd and 3rd editions were reissued. In addition, in the study Yo-Li Gang-Iyeong with the Catholic catechism, the rich pictures and Bible citations presented in Yo-Li Gang-Iyeong contributed to the education of catechism as a Catholic catechism and were found to have been passed down as a popular catechism. Today, the difficulties of the modern Catholic Church seem to be the tendency to decrease the interest in the church from the world and the meaning of faith gradually fade. This situation may be due to many reasons, but it can be said that it is not easy to approach the church in the process of delivering and learning Catholic doctrine, and that the image of God proclaimed by the church is not well sympathized to the public. For this reason, The meaning of Yo-Li Gang-Iyeong as a catechism that made it easy for the public to get close to the church can be regarded as a part that must be newly evaluated and studied in the reality facing the Catholic Church today. In other words, it is to reevaluate the meaning of doctrine that informs the position of doctrine that followed the Korean Catholic Church and makes it easy for the general public to learn Catholic catechism. However, even though this meaning is meaningful, there is not much data on the value of Yo-Li Gang-Iyeong as a book of editions or doctrines. 2020 marks the 110th anniversary of Yo-Li Gang-Iyeong's translation into the Korean Catholic Church. Therefore, it is a chance to know that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Yo-Li Gang-Iyeong as a catechism of Yo-Li Gang-Iyeong, which was used by many people for nearly 100 years, and the uniqueness of Yo-Li Gang-Iyeong was the place of faith that has been connected to the Korean Catholic Church. In addition, the effects of comparative research on the two catechisms that have been used in the Catholic Church and the editions published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are beneficial to examine the effects of Yo-Li Gang-Iyeong on the Korean Catholic Church as a Catholic catechism. 가톨릭 교리 교육의 목적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드러난 하느님을 선포하고 하느님께로 향하는 신앙을 전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톨릭 교리 교육은 초기 교회에서부터 중요시되었고 교회를 박해하던 시대에는 신앙으로 이어져왔다. 더불어 공의회를 통해 교회의 쇄신이 이루어지는 시기에도 교의(敎義)를 선포하면서 교리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가톨릭교회의 역사 안에서 교리 교육은 그만큼 중요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 것이다. 초기 한국 가톨릭교회도 이러한 교리 교육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신앙을 전파하는 역사를 이어왔다. 한역서학서(漢譯西學書)를 자발적으로 받아들여 초기 교회 신앙공동체를 형성하였고, 주문모 신부의 입국 후, 회장제와 명도회(明道會)를 통해 교리 교육과 선교에 발판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교리 교육의 효과는 순교로써 신앙을 증거한 순교자들로 드러났다. 더욱 특징적인 것은 특별히 이끌어주는 목자가 없었던 초기 교회 시기와 박해시기에 교우(敎友)들 안에서 자발적인 신앙으로 이어진 교리 교육이었다. 한국 가톨릭교회에 전해진 많은 교리서 중에서 1910년부터 1985년 이후까지 보급되고 이어져 온 『요리강령』은 상본을 풀어 설명하는 특징으로 많은 사람들이 쉽게 가톨릭 교리를 접할 수 있게 했던 대중적인 교리서였다. 또한 가보(家寶)로도 이어질 정도로 한국 가톨릭교회에서 많은 신자들에게 알려졌던 교리서였고, 신앙 전달의 매개체 중에 한 부분이었다. 1910년 초판본 1판본으로 번역, 소개되고 6개의 판본으로 발행되어 한국 가톨릭교회의 교리 역사에 영향을 주었던 『요리강령』의 교리서로서 특징은 상본을 풀어 쉽게 설명하는 부분도 있지만, 교리서 안의 내용이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서술된 부분이다. 특히 교회에서 선포하는 교리들을 상본으로 풀어서 설명하고, 성경을 예시할 경우나 여러 성인들의 예화도 상본으로써 설명한 교리서라는 특징은 『요리강령』이 한국 가톨릭교회에 근 1세기 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었던 이유라고 볼 수 있다. 교리서는 그 시대의 사회, 문화, 환경과 더불어 교회 안에서 신앙의 선포로 연결해주는 매개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요리강령』의 특징을 중심으로 본 논문에서는 서론 부분에 『요리강령』의 유래와 판본에 대해 소개하면서,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기대효과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러한 서론의 구성은 『요리강령』의 판본 연구나 교리서로서의 가치에 대한 기존의 연구 자료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제시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2장에서는 『요리강령』의 초판본 1판본과 2판본의 판본 비교연구와 3판본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요리강령』판본 연구의 세부적인 부분을 다루었다. 3장과 4장에서는 『요리강령』의 가톨릭 교리서로서의 의미를 제시하기 위하여 주교요지 이후 최초의 한국 가톨릭교회 공식 교리서인 『천주교요리문답』과 가톨릭교회의 보편교리서인 『가톨릭교회 교리서』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구하였다. 결론에서는 『요리강령』의 판본 연구의 의의와 한국 가톨릭교회에서 기여한 부분과 가톨릭 교리서로서의 『요리강령』의 의미를 다시 언급하며 가톨릭 교리서로서의 『요리강령』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부록 부분에 『요리강령』본문 안에 제시된 성경 인용 부분을 모두 찾아 기록하는 작업을 하였다. 『요리강령』은 성경 인용을 많이 한 교리서의 특징을 갖지만, 본문 안에 출처의 표기가 기록되지 않았기 때문에 논문 안에 작업하여 기록한 것이다. 가톨릭 교리서로서의 『요리강령』을 연구하면서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번역된 교리서가 한국 가톨릭교회에서 계속적으로 발행되었음에도 같은 구성으로 이어진 교리서라는 특징이었다. 그리고 『요리강령』의 6개의 판본을 비교하는 연구에서는 2판본과 3판본을 재발행할 때 교회에서 선포하는 교리와 권고를 교리서 안에 제시하려는 노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요리강령』을 『천주교요리문답』과 『가톨릭교회 교리서』와 비교하는 연구에서는 『요리강령』 안에 제시된 풍부한 상본과 성경 인용이 가톨릭 교리서로서의 교리 교육에 이바지했고 대중적인 교리서로 전해진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오늘날 현대 가톨릭교회의 어려움은 세상으로부터 교회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고 신앙에 대한 의미가 점차 퇴색되어가는 경향이라고 본다. 이러한 상황은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가톨릭 교리를 전달하고, 배우는 과정에서 교회 안으로 쉽게 다가가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고, 교회에서 선포하는 하느님의 모습이 대중들에게 잘 공감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그렇기 때문에 『요리강령』이 대중들로 하여금 교회 안으로 쉽게 근접할 수 있게 한 교리서라는 의미는 오늘날 가톨릭교회가 직면한 현실에서 새롭게 평가되어야 하고, 연구되어야 하는 부분이라 볼 수 있다. 즉 한국 가톨릭교회에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던 교리서로서의 위치를 알리는 것이고, 대중들이 쉽게 가톨릭 교리를 배울 수 있었던 교리서였음을 재평가하기 위함이다. 2020년은 『요리강령』이 한국 가톨릭교회에 번역되어 소개된 지 110주년이 되는 해이다. 그렇기에 근 100년 가까이 많은 사람들에게 사용되었던 『요리강령』의 교리서로서의 특징과 『요리강령』만의 독특함을 연구하는 것은 한국 가톨릭교회에 이어져온 신앙의 자리였음을 알 수 있는 계기라고 본다. 또한 한국 가톨릭교회에서 발행된 판본을 연구하고, 가톨릭교회에서 대중적으로 사용되어 온 2개의 교리서와의 비교 연구의 효과는 『요리강령』이 가톨릭 교리서로서 한국 가톨릭교회에 미친 영향을 고찰할 수 있는 유익함이라 볼 수 있다.

      • 칼빈과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의 율법이해

        이재근 亞細亞聯合神學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685

        Richard A. Muller has formulated an important thes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t-Reformation Reformed theology and the Reformer himself. He argues that although the theologians of the post-Reformation period used a scholastic methodology to clarify Reformed theological system, they remained in essential agreement with the first generation of Reformed thought in content. It is so called the ‘Muller Thesis.’ This study is written to support the ‘Muller Thesis.’ Especially, this study deals with the law in John Calvin as the Reformer and the law in the Heidelberg Catechism as the representative document of the early Reformed scholasticism. My purpose is to demonstrate that the Heidelberg Catechism does not transform or distort the Calvin’s theology, but supports it, especially in the field of the law. In the first part, I introduced the history of arguments concerning the ‘Muller Thesis.’ Through this process, I showed the position, meaning and importance of my thesis in the Reformation studies. Researching into the Calvin’s understanding of the law in the second part, I have speculated on the origin of his theology and its applied usage in his Institutes. Calvin understood the position of the law in the Bibl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covenant and he perfectly showed its biblical, soteriological, and real meaning. He did not think that the law as an Old Testament and the gospel as a New Testament were different or contradicted each other. As a result, he had asserted that the law is still efficient for converted believers and had declared this law is the norm guiding Christians to the holy way. It is the third use of the law that Calvin considers the principal use of the law. Through the third part of this study, readers can see expositions that the Heidelberg Catechism almost succeeds Calvin’s covenant principles. The Catechism stresses the believer’s voluntary obedience of the law that is playing a role in his life. Like Calvin, the Heidelberg Catechism understands the law in whole structure of the redemption of Christ and the covenant of grace. As mentioned above,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little discrepancies in content between both sides. However, these have discontinuity of emphasis in detail. In the theological structure, while Calvin comments all uses of the law collectively in the specific area of the Institutes(Ⅱ.7-9), the Catechism takes the divided arrangement. For the purpose of stressing the third use of the law and weaving the subject of the ‘law as the expression of gratitude,’ the Heidelberg Catechism included the first use of the law in the part of ‘Misery,’ and after explaining almost all doctrinal items in the second part of ‘Deliverance.’ It is not until the third part of ‘Gratitude’ that it exposes the Decalogue according to principles of the third use of the law. The second use is passed over. It’s intent is clear. “Believers live on thanksgiving in consequence of Christ’s redemptive work, the law of the ten commandments as a normative guide for the grateful life exists, and the prayer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gratitude God wants us to do.”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Heidelberg Catechism succeeded the Calvin’s principle of the law almost completely. However, the Catechism expanded some motifs superior to Calvin’s understanding. Especially, its expanded motifs, such as comfort, gratitude, and prayer are very distinguished. Therefore, there is no so called ‘distortion,’ or ‘modification,’ between Calvin and the Heidelberg Catechism.

      •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성찬성례전의 비교분석과 적용연구

        신영섭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70

        본 논문에서는 개혁주의 신앙고백서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웨스트 민스터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성찬성례전의 부분에 관하여 객관성을 가지고 연구한 것이다. 논자가 한국교회 성찬의 문제점으로 성찬준비와 교육부재와 성찬의 횟수와 시기, 말씀과 성찬성례의 불균형 등을 언급하였다. 본 논문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혁주의 입장을 취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성찬성례전의 비교 분석과 적용점을 찾아서 한국교회의 성찬성례전의 갱신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이 논문을 통하여 우리가 더욱이 경각심을 가져야 할 것은 성찬이 예배의 형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있지만 정작 한국교회의 예배에서의 위치는 매우 초라하다는 사실이다. 논자는 한국교회 예배는 성찬 의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의미를 살려서 바람직한 성찬이 예배 속에 이루어져 한국회 예배에 성찬에 대한 필요성과 문제점을 인식하였다. 오늘날 한국교회 예배에서 시행되는 성찬에 대한 목회자의 신학과 교육의 부재에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러한 관점에서 한국교회 예배에 있어서 성찬에 대해 살피며 예배 시 성찬의 나아가야 될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함이 본 논문의 연구의 목적으로 삼는다. 그리고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성찬성례전을 비교 분석하고 조명하여 한국교회의 성찬성례전의 갱신 방향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혁주의 신앙고백서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가 작성될 당시 종교적, 사회적, 정치적 상황에 대하여 연구하여 올바른 성찬에 대한 신학적, 실천적 개념을 비교 분석을 한다. 이를 토대로 한국교회와 목회자들과 성도에게 직면한 성찬성례전의 문제점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16c 종교개혁자들의 교리문답과 교리교육의 중요성 연구 : 루터, 후프마이어, 칼뱅의 교리문답을 중심으로

        김두식 장로회신학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목회 현장에서 만나게 되는 많은 한국 교회의 성도들은 성경적인 세계관을 갖고 있지도 못하며 바른 신앙을 고백하고 있지도 못하다. 최근 교회 안팎에서 위기를 맞고 있는 한국 교회의 문제는 아마도 이와 같은 신앙교육 실패의 현실에 있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필자는 “신앙교육 실패의 원인과 대안은 어디에서 찾아야 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져보았다. 그리고 이에 대한 대답을 교회 역사 속에서 꾸준히 강조되어 온 교리교육의 부재에서 그 해답을 찾게 되었다. 교리교육은 2000년 기독교 역사 속에서 단 한순간도 소홀히 여겨진 적이 없었던 소중한 유산이었다. 그래서 교리교육이 약화되어버린 중세 로마 천주교회를 개혁하였던 종교개혁자들은 이구동성으로 교리교육의 중요성을 되살려 내었다. 성도들에게 바른 신앙의 고백과, 성경을 보는 해석적 틀과, 이단에 대처하는 변증적 신학의 기초를 교육하는데 있어 교리교육보다 유용한 것은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교개혁자들은 공통적으로 평신도 교육을 위한 교리문답서를 저술하는데 최선을 다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종교개혁자들의 노력을 비평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루터의 소교리문답, 후프마이어의 기독교 교리문답, 칼뱅의 1,2차 제네바 교리문답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이들 교리문답서들의 역사적 저술배경과 구조 분석, 신학적 비교를 통하여 교리문답은 역사적으로 중요할 뿐 아니라 교육 자료로서도 유용하다는 것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교리문답 교육은 다양한 교육 공학이 진일보한 오늘의 시대에도 분명한 신앙고백과 성경 해석의 틀을 제공해 주는 탁월한 안내서이다. 또한, 그리스도인이 가져야 할 신앙적 결단을 이끌어 내어 한국교회의 여러 문제들의 기본적인 해결책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교육적인 대안이라 평가할 수 있다. 이 논문을 통해 한국교회에 교리문답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기를 기대한다.

      •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내용분석과 비교

        진귀남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giving help and instruction to today’s christians and churches of theological and faith aspects. Chapter 2 is focused on advent reason of Heidelberg catechism. Of historical research area of this chapter are made up of Luther’s Religious reformation, Heidelberg dispute and Fridriech III’s ideology. This chapter reveals theological back grounds of the catechism were for unity of the sacraments and the church’s theology, and acceptance of Calvin’s view of spiritual presence of Christ. Chapter 3 is for structural analysis of the catechism. The study on chapter 3 clarified similar structure of the catechism and Book of Romans, and contents analysis found all substances of the catechism were selected from Bible. In chapter 4, by comparing reformational creeds which were Luther’s catechism and Calvin’s, it was proved Heidelberg catechism’s superiority. By reasons of its more complementary editing and better specific questions and answers. Through out compared by Wesleyan method, it was discovered most likely Wesley’s theological ideology. Holistic view from comparing and analyzing above processes, Heidelberg catechism is proven as suitable material for church’s education. Therefore, Church community should use Heidelberg catechism more actively for more desirable catechism study.

      • 칼빈의 교육사상연구 : 교육목회를 중심으로

        배성업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0

        본 논문은 대표적 종교개혁자 칼빈의 교육사상에 대하여, 칼빈의 신학과 칼빈의 교육실천을 서로 통합해서 연구하려 하였다. 교육사상가로서의 칼빈은 당시 최고의 교육을 받았으며, 특히 인문주의 교육의 영향으로 인해 인간에 대한 탐구와 성경 원어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게 되었다. 칼빈은 성경이해를 위해『기독교강요』와 요리문답집, 설교집, 강해집, 서신서들을 집필하였다. 칼빈의 제1차 제네바 목회와 스트라스부르그에서의 목회, 제2차 제네바 목회활동은 교육을 지향한 교육목회였으며, 자신의 교육사상이 배어난 목회였다. 칼빈의 교육사상에서 칼빈의 교육목적은 하나님을 아는 것이며, 하나님에게 영광을 돌리는 것에 있었다. 그리고 그러한 교육목적을 전 삶의 영역에서 구현하는 것이었다. 칼빈은 삼위일체 하나님을 교사로 보았으며, 인간-교사는 하나님의 교육수행자로서 인간을 가르칠 사명을 가진 책임 있는 사명자로 보았다. 학생-인간은 교육 불가능한 존재에서 하나님의 교육의지에 의해, 즉 구속사역에 의해 교육 가능한 존재로 바뀌었으며, 하나님의 형상을 담지한 존재이며, 잘 배워야 하는 책임을 가진 교육당사자로 보았다. 성경은 칼빈에게 있어 주된 교육내용이었다. 여기에 덧붙여 성경을 이해하기 위한 신앙 내용의 기본가르침 즉 교리를 신앙의 초신자나 청소년을 위한 세례와 입교 준비교육을 위한 교육내용으로 삼았다. 칼빈의 교육방법은 교리교육과 관련하여 요리문답을 위한 문답식 교육방법이 대표적이다. 칼빈의 교육실제에서 교리교육은 중심점이다. 하나님의 교육기관인 교회를 통해 하나님의 이치의 내용인 교리를 가르침으로써 교육목적을 이루게 된다고 보았다. 우리 삶의 현장인 가정과 학교는 교회를 중심으로 서로 상호협조하며 교리교육을 할 것을 요구했다. 그런데 칼빈에 있어서는 교리교육의 구심점은 성례에 있었다. 세례(견신례)를 통해 교인으로서의 입문을 하게 되고 그로 말미암아 청소년 교육과 성인교육이 서로 나뉘게 되며, 성찬을 통해 하나님의 교육에 계속적으로 참여하게 된다고 하였다. 칼빈은 제네바 아카데미를 통해 인문주의 교육과 성경교육의 조화를 꾀하였으며, 목회자 양성과 사회지도자 양성을 통해 제네바의 신정정치가 세상 속에 보편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이러한 칼빈의 교육사상은 현대목회에 적용할 수 있는 것들이 많다. 교리교육에 대한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아동중심교육과의 대화를 통한 현대적인 적용을 한다면 현대 한국 기독교교육에 많은 유익을 줄 것이다. Calvin was born in Noyon, France, on July 10, 1509. He received formal instruction for the priesthood. Advised by his father to study law rather than theology. However, after Calvin's father died, he turned to his first love - study of classics and theology. He also had developed friendships with individuals who were reform-minded. These contacts set the stage for Calvin's eventual switch to the Reformed faith. In 1536 he published the first edition of Protestant doctrine, The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John Calvin believed that all life centered on the Bible. His writing The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contained four major divisions; Father, Son, Holy Spirit, and Church. He stressed that knowledge of God is the most important of all human crusades. Men and women are naturally imperfect, and since the fall of Adam and Eve they are unable to know God or escape damnation through personal effort. Calvin termed this a "destructive situation" wherein God has created a good world for people who are destined to be destroyed. This impasse was resolved through grace when God sent Jesus to explain how God wants people to achieve righteousness and escape the consequences of damnation. Those who learn Biblical truth about this Destructive Situation, and God's plan of redemption through faith in Jesus,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repent of their sinful condition and trust God for deliverance. Calvin's education which purposes were the knowledge of God and pleasing Him used Catechism designed to impose doctrine on all the members of the church. and the core of the doctrine was a sacred ceremony. Calvin established the Academy at Geneva, the first Protestant University, where thousands of young men were trained for the ministry of the Word. From these efforts, the gospel and Presbyterianism spread all over Europe. Furthermore, it was meaningful that the biblical and humanistic education were treated at the same time. Finally, even now, the Calvin's Educational Ministry can be very useful for our educational condition in point of an impartial instruction between bible and humanistic studies .

      • 순수한 경건의 가르침 : 제1, 2차 신앙교육서를 중심으로 본 칼빈의 교리교육

        임영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6

        본 연구는 칼빈이 『신앙교육서』를 통해 하고자했던 신앙교육을 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의 측면으로 살며보고, 더 나아가 칼빈의 신앙교육이 준 영향과 한국 교회에 적용하기에 적합한가에 대한 연구이다. 가장 먼저 ‘교육자로서의 칼빈’의 모습을 통해 칼빈이 얼마나 교육에 관심이 있었는지를 알 수 있다. 칼빈 스스로는 물론 주변의 사람들, 후대의 학자들까지도 칼빈을 ‘교사’로 평가하는 것을 좋아했으며, 목회자로 있으면서도 그가 한 사역들을 보면 ‘교사’의 직무였음을 알 수 있었다. 특별히 『신앙교육서』를 포함한 교리 교육에 관한 책을 통해서도 칼빈이 ‘교사’로서 자녀들에게 교리를 가르치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깊이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다음으로는 『제1, 2차 신앙교육서』의 배경과 성격, 두 책의 차이점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성과를 보기도 전에 중단되었던 제1차 사역 시기(1536-1538)에 칼빈은 『기독교 강요』와 이 책의 요약 해설서인『제1차 신앙교육서』를 집필하게 된다. 제2차 사역 시기(1541-1546)는 제네바 시 전역뿐만 아니라 세계 교회의 개혁에까지 큰 영향을 끼친 놀라운 결과를 가져왔는데, 이때에 교회법을 비롯하여 신조, 예배 모범서 그리고『제2차 신앙교육서』를 작성하였다. 두 신앙교육서 모두 자녀가 교육을 통해 스스로 ‘신앙을 고백’하기 위한 일차적인 목표가 있었다. 이를 통해 1차 신앙교육서는 ‘신앙고백’의 성격을, 2차 신앙교육서는 신앙고백을 담은 ‘요리문답’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두 신앙교육서는 형식과 내용, 배열에 있어서 의도된 차이를 보이게 되는데 필자는 이것을 ‘교육에 적합한 발전’이라고 보았다. 다음으로는 칼빈의 신앙교육이 결국에는 교리교육임을 먼저 제시하면서, 『제1, 2차 신앙교육서』의 텍스트 안으로 들어가 교육의 목적와 내용, 방법 그리고 가르치는 자와 배우는 자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그리고 더 나아가 『신앙교육서』가 종교개혁 이후의 신앙고백서와 요리문답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통해 한국 교회에 까지 칼빈의 영향이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칼빈의 신앙교육이 한국 교회에 적용될 수 있는가를 교리(내용)의 중요성과 교리문답(방법)의 가치를 통해 확인해본다. 교리는 교회가 하나님의 말씀을 신앙고백 형식으로 진술한 명제로서 마땅히 교육되어져야 한다. 그 필요성은 성경적인 교회를 세우는 기반이 되고, 올바른 성경적인 경건에 이르도록 도우며, 신앙생활의 핵심적 요소가 된다. 또한 이단으로부터 교회를 지켜주며, 교리가 성경 이해의 기본이 되므로 교리교육이 필요하다. 문답의 방법 역시 하나님 말씀을 듣고, 그로부터 질문하고 답하는 것을 통해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명확하게 알 수 있게 되어 교리를 교육하기에 적합한 방법이다. 교육의 내용으로서 ‘교리’는 시대를 초월하여 지금 우리에게도 가치 있는 것이고, 교육의 방법으로서 ‘문답’ 역시 그렇다. 끝으로 이러한 교리교육은 유아기(6-7세)때부터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며 연구의 결론을 맺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