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대 해석학에서의 폴 리꾀르의 해석학 연구 : 이해론 중심으로

        김동복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71

        (Abstract) This study approaches the matter of 'understanding' in contemporary hermeneutics and the hermeneutic principles and theological values of P. Ricoeur who extends the nature of hermeneutics from existentialism to phenomenology, text theory, symbolism, and even to the life of human beings. The essential thing in hermeneutics is 'understanding (Verstehen). It was the task of general hermeneutics to find ways that how past events could be understood by us today, and to solve the question on understanding itself such as what the presupposition of understanding is. In hermeneutics, 'understanding' itself belongs to something historical, contains historical features, has relation to historical tradition, and even is subordinated to history. This means that not only the ways of understanding but also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understanding objects change in the process of history. F. E. D. Schleiermacher extended the traditional hermeneutics, which was limited within document-hermeneutics and hermeneutics, into general hermeneutics. W. Dilthey systemized Schleiermacher's ideas much more epistemologically and established the methodology of the science of mind based on hermeneutics. M. Heidegger put hermeneutics on the ontological base and H. G. Gadamer tried to retrieve the ontological base that Heidegger missed in his ideas through the effective-historical hermeneutics. But Gadamer kept away from the idea of methodology-epistemology and tried to emphasize the idea of truth-ontology. P. Ricoeur didn't consider truth and methodology implied in the reflection of Gadamer's hermeneutics in contrast, but he took it in reciprocal tension of relation and tried to explain the hermeneutics on ontology in terms of epistemology. It means understanding is both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phenomenon. He also developed his theory of the text discourse as well as the theory of hermeneutics through putting the contradictive theories into a dialectical way of arbitration. Ricoeur, therefore, reached the hermeneutic epistemology by taking a long detour of 'language analysis' and 'text hermeneutics.' His aim was to arrive at self-understanding through analysing and understanding of the semantic analysis of languages. This Ricoeur's theory has provided some clues for study on 'productive functions of imagination' in literary works and the Bible, as well as it is important itself. As Bultmann who said, "the matter of hermeneutics is that of understanding," Ricoeur himself understood the matter of hermeneutics lies in ontological understanding, that is existing while understanding. By now hermeneutics has been focused on the gap between the writers and readers and the ways to overcome the gap between them. So far. we have been thought we could clarify the truth of revelation through the hermeneutics and we could hold the truth in our hands. In terms of modern hermeneutics, however, it seems that the truth in the Bible is not in our hands, but in the category of understanding, reciprocal relation to the text, and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comprehensible human beings. The chapter II of this dissertation treats of hermeneutic disputes on hermeneutics started since the early Christian age and examines what is the problem of modern theological hermeneutics, especially what is the limit of the ways to solve the gap between the Bible and people in understanding of the Bible text. In the chapter III I surveyed the history of hermeneutics since the modern hermeneutics and searched for the various aspects of hermeneutics in treating analytic understanding through the major philosophers since Schleiermacher. Especially, M. Heidegger, who is the leader of ontological hermeneutics which became the touchstone of Ricoeur's hermeneutics, and Gadamer's theory of hermeneutic understanding are fully described. Chapter IV treats of the background of Ricoeur's thought in the modern hermeneutic history and the process of adopting and developing the traditional hermeneutics. The change of Ricoeur's thought from phenomenology to ontological hermeneutics is explained, and his way to work out hermeneutic problems through the dialectic relation of phenomenology and hermeneutics is searched for. Also, Ricoeur's answers to the matter of understanding in theology are revealed through the text theory, belief and revelation, and symbol. Finally, it is described how Ricoeur's hermeneutic programs take human beings and what is the final destination of understanding. (초록) 이 논문은 해석학의 본질인 ‘이해’의 문제를 현대 해석학에서 어떻게 규명해 나가고 있는지 살펴보고 해석학의 문제를 실존론에서 현상학으로, 현상학에서 텍스트 이론으로, 상징 이론으로, 나아가 인간 존재의 삶으로까지 ‘이해’의 문제를 풀어나가는 리꾀르의 해석학적 원리와 신학적 의의를 살펴보고는 것이 목적이다. 해석학에서 관건이 되고 있는 것은 ‘이해’(Verstehen)이다. 과거의 사건이 오늘 우리에게 어떻게 이해될 수 있으며, ‘이해’의 전제는 무엇인가 하는 ‘이해’ 자체에 대한 물음이 일반해석학에서 풀고자 하는 과제였다. 해석학에서는 ‘이해’ 자체가 역사적 유형의 것이며, 역사적 성격을 띠기 때문에 역사적 전승들과 연관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스스로 역사에 종속되어 있다고 보았다. 이는 ‘이해’의 방법들이 개별적으로 역사 속에서 변천할 뿐만 아니라 과제의 성격과 내용도 변화됨을 의미하였다. 슐라이어마허는 재래적으로 문헌해석과 성서해석학에 국한되어 이해된 해석학을 일반해석학으로 전개시켰다. 딜타이는 이러한 슐라이어마허의 착상을 더욱 더 인식론적으로 체계화하여, 해석학을 정신과학의 방법론으로 정초시켰다. 하이데거는 해석학을 존재론적 착상에 기초하였고 가다머는 하이데거의 착상이 도외시한 인식론적 정초를 그의 영향사 해석학의 착상을 통해서 다시 복권시키고자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다머는 방법-인식론적 착상을 멀리하고, 진리-존재론적 착상에 강조점을 두고 자 하였다. 리꾀르(P. Ricoeur)는 가다머의 해석학적 반성에 내포되어 있는 진리와 방법을 대립적으로 보지 않고, 상호긴장 관계적으로 보면서 존재론에 정위된 해석학을 인식론적으로 해명하고자 하였다. 즉, 이해란 인식론적 현상임과 동시에 존재론적인 현상이라는 것이다. 또한 그는 서로 상반되는 이론들을 ‘변증법적 중재방법’을 토대로 하여 해석학에 관한 이론뿐만 아니라, 텍스트의 담화에 대한 이론을 전개하였다. 따라서 리꾀르 자신은 ‘언어분석’, ‘텍스트 해석’이라는 긴 우회로를 거쳐 ‘해석의 인식론’에 이르는 길을 택하였다. 이는 ‘언어의 의미론적 분석’을 거쳐 이해에로, 자기 이해에로 이르는 것이 그의 목표였다. 이러한 그의 이론은 그 자체로 중요성을 띠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문학 작품과 성서 텍스트에 나타나 있는 ‘상상력의 생산적 기능’을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 불트만이 “해석의 문제는 바로 이해의 문제”라고 한 것처럼 리꾀르에게도 해석학의 문제는 “이해하면서 존재하는 존재론적 이해”에 있었다. 지금까지의 성서해석은 성서 이해를 위해서 저자와 독자 사이의 간격(gap), 성서와 해석자 사이의 간격을 어떻게 극복하며 연결시킬 수 있을까?하는데 초점을 두고 해석의 문제를 풀어왔었다. 지금까지 우리는 성서해석 방법을 통해 계시의 진리를 규명할 수 있고 그 진리 우리 손에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해왔었다. 그러나 현대 해석학적 방법을 통해서 볼 때 성서의 진리가 우리 손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이해의 지평에 있으며 텍스트와의 상호관계성에 있고 나아가 이해하는 인간 존재의 존재론적 이해에 있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것을 본 논문에서 다루기 위해 II 장에서는 초기 기독교시대부터 시작된 성서 해석을 둘러싼 해석학적 문제에 대한 역사적으로 살펴보고 현대 신학적 해석학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규명해 보았다. 특히 성서 텍스트 이해에 나타난 성서와 현대인 간의 간격(gap) 해소를 위한 성서해석방법의 한계를 살펴보았다. III 장에서는 현대 해석학의 출현된 해석학 역사를 간략하게 살피면서 슐라이어마허 이후의 현대 해석학이 해석학적 이해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대표적인 사상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리꾀르 해석학의 시금석이 되는 존재론적 해석학의 대표 주자인 하이데거와 가다머의 해석학을 이해론 중심으로 충분히 살펴보았다. IV 장은 현대 해석학사에 나타난 리꾀르의 사상적 배경을 비롯하여 전통해석학을 수용 발전시켜나가는 과정을 살펴보았고, 현상학에서 출발한 그의 사고가 존재론적 해석학에로 전환되는 과정 및 그의 현상학적 해석학의 근간을 이루는 현상학과 해석학의 관계를 통해 변증법적으로 해석학의 문제를 풀어나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그가 이해의 문제를 신학적으로 어떻게 접근하며 해결해 나가고 있는지를 텍스트 이론이나 신앙과 계시, 상징을 통해 규명해 보았다. 그리고 리꾀르의 이러한 일련의 해석학적 프로그램은 인간 존재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를, 이해의 궁극적인 목표가 어디로 나아가는지를 살펴보았다.

      • 구세군의 사회봉사에 관한 연구 : 역사적 및 신학적 고찰

        전상영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논문은 사회봉사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함께 구세군의 사회봉사의 실제를 모델로 제시하여 한국교회가 사회적 책임을 공감하고 실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작성되었다. 또한 사회봉사의 신학적 연구는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미할 뿐만 아니라 복지국가를 지향하며 광범위한 복지정책을 펴나가는 현대의 추세에도 크게 못 미치는 형편임을 지적하였다. 이에 2장에서는 사회봉사의 개념을 알아보고 그 신학적 근거를 성서에서 찾아 사회봉사가 자기만족이나 선행을 위한 방편이 아니라 사회적 약자와 함께 온전한 공동체를 만들어나가야 하는 교회의 책임임을 살펴보았다. 또한 교회사를 통해 사회봉사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사회봉사는 초대교회부터 중세교회까지 그리스도인의 당연한 의무로 여겨졌고, 시설 운영도 활발하였으나 종사자들의 타락으로 인한 변질도 있었다. 그러나 종교개혁자들은 올바른 사회봉사신학의 이론적 기초를 제시하고 사회에 적용하는 노력을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운동은 사회 변혁에도 기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오늘날 사회봉사에 있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그 역사적 신학적 연구에 있어 도외시되고 있는 구세군의 사회봉사 역사와 창립자 윌리엄 부스의 신학사상, 그리고 구세군의 사회봉사신학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에는 존 웨슬리의 사상, 당시 영국의 현실, 그리고 윌리엄 부스의 사회적 약자를 위한 투쟁을 함께 기록했다. 4장에서는 국내 기독교의 역사는 사회봉사와 늘 함께 자리해 왔으며 선교초기와 6.25전쟁 후에는 사회봉사가 더욱 활발히 전개된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그 이후의 사회봉사는 복음전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처졌기에 사회봉사가 선교적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5장 결론에서는 연구된 내용을 요약 정리하였고 사회봉사신학의 이론적 연구 확대의 바람과 함께 몇 가지 제언으로 논문을 마무리하였다. 앞으로도 사회봉사신학의 연구는 사회복지사업과 함께 계속되어져야 하고, 교회는 사회봉사를 거룩한 시민운동으로 승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The following thesis as written by indicating both consideration of historic concern and the Salvation Army's reality work on social service volunteering. By completing this research, I hope that the Korean church itself will share and practice social responsibility. Also, religious research on social service when compared to other fields, is not only relatively ineffective but also far behind what the Government has planned for building a economically strong country as far as expectations and hopes are concerned. In chapter 2, shows that social service is neither satisfactory nor expedient in building an unimpaired community working with people of feeble strength in society. And then through the affairs of the church, I looked into what has changed in the process of the social service. From the early ages to the medieval, it was a justly concerned duty although management of running establishments were somewhat in active, There were changes, because of the moral corruption of engagers. However, religious reformers did suggest proper ways of theoretical foundation and showed ways of adapting it. These activities contributed towards society reformation. In chapter 3, In spite of the Army's vast work on devotional volunteer activities in the society, Their achievements have been somewhat ignored. Therefore, I looked into three things of the Salvations Army's historic volunteer work in society according to the Theological ideology of William Booth, A founder of Salvation Army and the Army's theology on social service in the society. In this later part of the chapter I record the ideology of John Wesley, actuality of England at that time, and the struggle of William to help the weak in society. In chapter 4, I looked through and concluded that the history of Christianity has always been together with volunteer work of society, and also pointed-out how active they were during early periods of mission and after the korean war. Also, I mentioned that volunteer work has relatively been behind gospel preaching especially after the korean war. Therefore, I concluded that volunteer work is a way of conducting missionary preaching. In chapter 5, conclusion, I summarize the contents of research. I hope that enlargements of society's better point of view on volunteer work have to continue with the welfare of society's reformation. The church itself carry on social service as sanctified citizen movements.

      • 다윗과 밧세바의 결혼과 철기문명

        김정섭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55

        사무엘상 11장-12장에서 보도되고 있는 다윗과 밧세바 이야기는 이스라엘의 위대한 왕 다윗이 간음죄을 저지르고 그 남편까지도 살해하는 범죄를 저질렀음에도 불구하고 회개하고 용서받아서 다윗과 밧세바 사이에 태어난 솔로몬은 하나님의 사랑을 받아서 왕위를 계승하고 다윗왕조를 굳건히 세우게 된다는 서술은 후대의 신명기 사가의 신학적 의도에 의해 개정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그동안의 사무엘상 11장-12장의 연구는 주로 다윗의 강간이나 아니면 간통이냐의 논쟁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다윗과 밧세바 이야기의 초기 본문을 복원한 연구를 바탕으로 성경에 보도된 다윗과 밧세바의 결혼이 치정사건이 아니라 정략결혼을 통한 정치적 연합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정략결혼의 이유로 철기문명과 관련하여 히타이트(헷 족속)의 후손으로 예루살렘에 정착한 철기 제작 기술과 연관 있는 밧세바 집안과 정치적 연합이었음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동기 및 목적을 밝히고, 연구사들을 살펴 본 후 역사적 재구성을 위한 다양한 연구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그동안 소홀했던 사회과학적 연구 방법을 비롯해 다양한 연구 방법들을 도구로 삼아 다윗과 밧세바 이야기의 역사를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과정으로 다윗 시대 즈음의 이스라엘과 이웃 나라들을 살펴보았고 다윗 왕위 등극 사화들을 중심으로 사울과 다윗에 대한 바른 인식과 함께 성경의 저자의 친다윗적, 친왕권적 서술 의도에 관하여 인식할 수 있었다. 다윗의 결혼에 관하여 다윗의 아내들인 아비가일과 아히노암, 마아가, 미갈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다윗의 결혼들이 정치적 목적으로 자신의 세력 신장을 꾀한 정략결혼들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청동기 문명에서 철기 문명 시대로 전환기에 놓인 이스라엘의 상황 중에서 사울 시대 철기 제작 기술이 빈약했던 이스라엘이 주전 10세기 무렵 비약적인 철기 무기와 농기구의 증가를 보인 것은 블레셋의 봉신으로 활약했던 다윗이 용병이나 다른 이방세력들과의 연합을 통해 철기 제작기술을 획득할 수 있었을 가능성을 짐작할 수 있었다. 다윗과 밧세바 이야기의 초기 본문을 연구한 한동구의 연구를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다윗과 밧세바 이야기의 초기 본문은 다윗과 밧세바의 간음의 문제가 아니라, 전쟁에서 죽은 부하 장수 우리야의 아내인 밧세바를 불쌍히 여겨 자신의 아내로 받아들인 다윗 왕은 축복을 받아 그들 사이의 아들 솔로몬의 왕위계승은 정당하다고 묘사하고 있는 친다윗, 친솔로몬, 친왕권적인 초기 본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우리야와 밧세바의 정체에 대한 연구들을 통해서 우리야와 밧세바는 헷 족속인 히타이트의 유민으로 예루살렘에 정착한 세도가의 일원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특히 헷 족속의 후손으로 예루살렘의 세도가의 딸인 밧세바와의 결혼을 통해 다윗은 철기 관련 세력과 정치적 연합을 이룰 수 있었음을 짐작해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searches king David and Bathsheba story reported in 1 Samuel 11-12 was amended by later theological intent of Deuteronomist; the content of the story is that although king David had committed adultery and killed Bathsheba's husband, king David repent and received forgiveness and became a great king of Israel and Solomon, born from David and Bathsheba, succeeded to the throne and the love of God be firmly established the Davidic dynasty. The main issue of recent studies for chapter of 1 Samuel 11-12 was whether king David assaulted and raped or committed adultery with Bathsheba. But based on a study to restore the initial text of the story of David and Bathsheba, this study says that the marriage of David and Bathsheba, the events described in the Bible, was not a crime of passion but political union through a marriage of convenience. The marriage of convenience was established to maintain the relationship with the descendants of the Hittite who have advanced iron making technology and Bathsheba's families were one of them. This study wants to reconfigure the actual history of the story of king David and Bathsheba by using social scientific research methods that had previously neglected and other research methods This study examines the period of king David's Israel and neighboring countries. In the History of Rise of David, this study discovers the correct recognition for king Saul and king David, and recognizes about the narrative intent of the authors of the Bible: an amicable attitude with David and kingship. This study recognizes that David's wives, Abigail the widow of Nabal of Carmel and Ahinoam of Jezreel, Maacah daughter of Talmai king of Geshur, Michal daughter of king Saul, were of convenience marriages with David to attempt penetration of their own political purposes. When the situation of Israel lay in the transition from the Bronze Age to the Iron Age, king Saul's Israel had no technology of forging iron. However in the 10th century BC, iron weapons and agricultural implements rapidly increased in Israel. This study assumes that the possibility of iron production technology could be obtained through David's mercenary or vassal of the Philistines and the union of the forces of the Gentiles. This study, examines closely Han dong-gu's study for the initial text of the story of David and Bathsheba, concludes that the initial text of the story of David and Bathsheba is not a matter of adultery of David and Bathsheba, instead it is the king David's pitiful reaction for Bathsheba who became a widow from Uriah's death at the war. For David's righteous action God blessed them and their son Solomon. Solomon was loved by God, and his succession of the throne was justified according to the initial text of the story of David and Bathsheba. Therefore the initial text of the story of David and Bathsheba had an amicable attitude with David and Solomon kingships. In addition, through the study of the identity of Uriah and Bathsheba, this study can guess that they were the descendants of influent refugees in Jerusalem from the Hittite who played a influent role with producing iron weapons. This study can conclude that through marriage with Bathsheba, David could achieve political coalition with forces who were relevant technology of forging iron.

      • 부정적 감정 해소를 위한 시편 활용 영성 지도에 관한 연구 : 자기심리학과 영성 신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박영아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시편을 활용한 영성 지도가 부정적 감정을 효과적으로 치유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여 교회가 시편을 활용하여 교인들의 심리적 상처를 치유할 뿐 아니라 영적 성장까지 도모할 수 있음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에바그리오스와 카시아누스와 같은 초대 기독교 교부들이 시편을 활용하여 영적 성장을 도왔던 것처럼 기도와 묵상에 시편을 활용해 볼 것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시편이 찬양의 모델, 기도와 묵상의 교훈, 그리고 경건을 추구하는 영감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구체적 실제를 제시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부정적 감정으로 힘들어 하는 사람들을 치유하고 회복하도록 돕는 방법으로 공예배나 소그룹 그리고 일대일 만남에서 다양한 시편 적용을 제안할 것이다. 이를 위해 렉시오 디비나와 구심기도와 같은 기독교 전통의 기도훈련법과 영성 일기를 적용해 보았다. 시편을 통한 영성 지도의 실제들은 한국교회의 제자훈련 프로그램이 갖고 있는 제한점을 많이 보완해 줄 수 있으며 이는 본 연구의 활용의의라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examines how Psalms can engage and help those who are struggling with pessimism and negative emotions. Psalms has the potential possibility not only to heal one’s psychological wounds that are caused by pessimism, but also restore one’s spiritual health. Moreover, this research promotes the usage of Psalms in meditation and prayer to help one’s spiritual growth, as it was intended by the early church leaders, such as Evagrius and Cassianus. Some of the practical applications of how mediation and prayer of Psalms can help one’s spiritual life will be suggested. The research will also encourage various applications of Psalms in corporate worship, small groups, and individual encounters, with specific focus on how they can bring restoration and healing to those who struggle with pessimism and negative emotions. Traditionally, Lectio Divina, Centering prayers, and spiritual journals have been encouraged as tools to help one cope with such problems. This research argues that Psalms can also be a useful tool in a similar manner, with the hope that Korean churches and discipleship programs will adopt some of the suggestions made in this research.

      • 벤자민 워필드의 ‘성경의 영감과 권위’의 이해에 관한 역사적 고찰

        권윤근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55

        연구자는 지금까지 벤자민 워필드의 성경의 영감과 권위(The Inspiration and Authority of the Bible)와 근본주의 운동 및 신학을 연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 논문은 특별히 성경의 권위에 관하여 역사적으로 고찰하는 가운데 성경의 영감과 무오 교리에 관한 벤자민 워필드와 근본주의의 주장이 가지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려고 시도하였다. 또한, 영감된 성경이 어떠한 근거 위에서 신적 권위를 가지게 되는지 살펴보았다. 제 Ⅱ장에서 워필드의 성경의 영감과 권위를 분석함으로서 성경의 권위를 드러내는 영감론의 긍정적 측면을 살펴보았다. 워필드가 성경 무오성 교리를 스스로 고안한 것이라는 견해와는 달리, 성경 무오의 교리는 모세 시대부터 종교개혁 시대에 이르기까지 전통적으로 전수되어왔던 교회의 가르침이다. 워필드는 이 책에서 ⑴ 계시의 성경적 개념 ⑵ 교회의 영감 교리 ⑶ 성경적 영감 개념 ⑷ 영감의 실재적 문제 ⑸ 성령으로 영감된 성경 ⑹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 ⑺ 하나님의 신탁을 논리적으로 주장하였다. 그는 이런 연구를 통하여 성경의 신적 권위를 확고히 하려고 하였으며 구 프린스턴 신학이 미국 지성사에 큰 영향을 끼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제 Ⅲ장에서 성경의 권위를 보수하려는 근본주의의 초기와 후기의 상황을 분석함으로서 영감론의 부정적 측면을 살펴보았다. 초기 근본주의는 워필드가 속한 구 프린스턴 신학의 영향을 받아서 건전한 양상을 띠었다. 반면에, 후기 근본주의는 세대주의의 영향을 받아서 극단적 보수주의의 모습을 가지게 되었다. 구 프린스턴 신학과 근본주의는 성경관에 있어서는 동일한 측면을 가지지만, 이성과 과학에 대한 견해와 종말론 및 진화론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제 Ⅳ장에서 성경의 신적 권위와 영감된 성경의 속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첫째, 성경의 권위는 두 가지 토대 위에서 확립되었다. 하나님께서 성경의 저자이신 것과 인간 저자에 의한 성경의 구술에 성령의 작용이 있었다는 것이다. 성경이 초자연적인 성격을 가지는 것은 이 두 가지 때문이다. 이러한 토대 위에서 성경은 권위를 가질 수 밖에 없다. 아울러, 역사적인 자료들을 통하여 하나님의 성경의 저자 되심과 성령의 작용이 성경의 영감과 무오에 어떻게 역할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하나님의 특별계시로서의 성경의 필요성과 영감된 성경이 반드시 가져야 하는 충족성과 명료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충족성과 명료성은 영감된 성경의 여러 속성들 가운데 특별히 하나님의 신적 권위를 부각시켜 줄뿐만 아니라, 충족성과 명료성을 살펴보는 것은 성경의 필요성을 확증하는 것이었다. 제 Ⅴ장에서 지금까지 살펴본 워필드의 성경관에 대한 연구가 성경의 권위를 세우는데 어떻게 공헌하였는지를 평가하였다. 역사적으로, 성경의 권위가 상실된 이후에 교회가 무너졌다. 프란시스 쉐퍼(Francis A. Schaeffer)는 “성경의 영감과 권위에 대한 불신이 미국의 타락과 퇴폐를 초래했으며 미국의 복음주의는 불 꺼진 등과 맛 잃은 소금으로 전락되었다”라고 지적하였다. 영감과 무오에 대한 확고한 입장이 전제되지 않은 채, 권위에 대해서 논할 수 있는가? 절대적인 권위에 대한 입장 대신 상대적인 권위에 대한 입장이 제시된다면, 성경이 어떤 위치에 서게 될 것인가? 워필드의 영감 이해는 성경의 신적 권위를 변증하려는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그가 성경 영감 교리에 공헌한 것은 참으로 지대하였다. 워필드는 성경이 말하는 것은 하나님이 말씀하시는 것이라는 전통적인 개혁주의 성경관에 입각하여 성경의 신적 권위에 대해 매우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an meaning of inspiration in the Benjamin Warfield's The Inspiration and Authority of the Bible and compare theology of Benjamin Warfield with fundamentalism. Benjamin Warfield was a outstanding apologist of significant theologians in the Old Princeton School. Fundamentalism was come out in America at the end of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Both of them had a biblical view in common. But, there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 tried to make clear that there were some commonness and difference between Benjamin Warfield and fundamentalism in the middle of consideration on the authority of Bible historically. In addition, I made an observation that divine authority of inspired Bible was based on solid ground which is called a Biblical inerrancy. In the second chapter, I have observed a positive aspect on argument of inspiration which reveals the authority of the Bible as I have made an analysis of Warfield's The Inspiration and Authority of the Bible. Warfield have been considered to invent Biblical Inerrancy. But Biblical Inerrancy have been a teaching of church instructed traditionally from the Mosaic age to the Reformation. In this book, Warfield have logically argued seven theses. They are as follows: ⑴ The Biblical Idea of Revelation ⑵ The Church Doctrine of Inspiration ⑶ The Biblical Idea of Inspiration ⑷ The Real Problem of Inspiration ⑸ God-Inspired Scripture ⑹ Scripture says, God says ⑺ The Oracles of God. Warfield had firmly constructed a divine authority of the Bible in the study. Moreover, he had played a decisive role in effecting on intellectuals in America by the Old Princeton theology. In the third chapter, I have observed a negative aspect on argument of inspiration which reveals the authority of the Bible as I have made an analysis of the early days and latter days of the Fundamentalism for protecting the authority of the Bible. The early fundamentalism was come under the influence of the Old Princeton theology, but The latter fundamentalism was affected by the dispensational theology. The former was sound in theology and practice, but the latter went to extremes to conservatize. For examples, they agreed to the view on the Bible and did not agree to the view on science, reason, and evolution. In the fourth chapter, I have observed the divine authority of the Bible and the nature of God-inspired scripture. First, the authority of the Bible is established on the God's authorship of the Bible and works of Holy Spirit on human authors. These two foundations guarantees the authority of the Bible. Second, Bible as a special revelation of God is needed as a guide and teacher to God the Creator. There are adequateness and clearness in the Bible. That is, Bible is inspired with adequateness and clearness which highlights divine authority of the Bible. In the fifth chapter, I have observed the contribution of Warfield on the inspiration and authority of the Bible. Historically, church was crumbled as the authority of the Bible was deprived. Francis A. Schaeffer said that lack of confidence on the inspiration and authority of the Bible have raised the corruption and decay of America and evangelism in America was degraded as a dying light and untasty salt. Without firm standpoint on the inspiration and inerrancy, how can we argue an authority of the Bible? Relative authority of the Bible is presupposed instead of Absolute authority of the Bible, how will Bible stand at any foundations? Warfield have understanded the meaning of inspiration to demonstrate the authority of the Bible in a dialectical manners. He have stressed this thesis on the traditional reformed view of Bible.

      • 열왕기하와 역대기하에 나타난 요시야 종교개혁

        박선원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55

        (Abstract) Deuteronomistic History and Chroncler's History, recording Josianic reformation, show the different framework of their stories derived from the different views and interpretations of historians. This paper concentrates on the fact that there is an discordance in the time the reformation occurred and the place Josiah died stated in both history books. To clarify the problem, this paper gives priority to studying the text itself concerning Josianic reformation rather than depend on established research findings. Historian's theological paradigms in Deuteronomistic History and Chroncler's History formulate the literary structure of Josianic reformation ,which consists of mainly three steps, repairing a sanctuary, discovering the book of the law, and restoring Yahweh's faith by renewing a promise. In addition, the religious reformation and the Passover's festival are described as practical religious activities. In Chroncler's History, the religious reformation that is fulfilled by the kig, Josiah, is charactered by holiness of high priests' theology. In Deuteronomistic History the king, Josiah, carries out the religious reformation, which allows him to be evaluated as a faithful one to all the ways of the David and the Mosaic Law. In short, historians reflect their theological paradigms into the massage of reconstruction of the ideal nations that is accomplished by Josiah ,their role model, through the process of repairing a sanctuary, discovering the books of the law, and restoring Yahweh's belief by renewing a promise, the religious reformation and the Passover's festival. Deuteronomistic History presents an ideal prophet for their period by emphasizing on the king and nation to observe the Mosaic Law. Chroncler's History also suggests an ideal nation that the king, Josiah, high priests, levite, and the people leads as a community keeping fidelity to Yahweh's faith. (초록) 요시야 종교개혁을 보도하고 있는 본문들은 신명기 역사서와 역대기 역사서이다. 두 역사서는 역사적 요시야 종교개혁을 역사가의 역사관점과 해석에 따라 역사 서술함으로써, 본문의 이야기 구조와 보도의 내용이 차이를 보여주고 있었다. 요시야 종교개혁에 대한 보도가 종교개혁의 시기와 요시야 죽음에 대한 장소에 대하여 두 역사서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이 문제 해결에 있어서 기존의 역사 연구를 탈피하여 요시야 종교개혁을 보도하고 있는 본문 자체에 연구가 이루어졌다. 역사가들의 신학적인 패러다임이 요시야 종교개혁을 결정하고 역사 이야기를 나타내었다. 신학적인 패러다임은 기본적으로 성전수리와 율법책 발견 그리고 언약 갱신으로 야웨 신앙을 회복하는 것으로 문학 구조를 형성한다. 이에 대한 활동적인 모습으로 종교개혁과 유월절 축제 등이 이야기 전체를 패러다임의 흐름으로 나타난다. 역대기 역사서는 야웨 신앙을 찾은 요시야 왕이 단행한 종교개혁의 성격을 정결에 둔 제사장 신학으로 나타났다. 신명기 역사서는 율법책을 계기로 종교개혁을 단행함으로써 요시야 왕이 다윗의 모든 길과 모세의 율법에 충실한 왕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이 역사가들의 신학적 패러다임은 역사적 요시야 왕을 모델로 하여 성전과 율법책, 언약 갱신 그리고 종교개혁과 유월절 축제 등의 야웨 종교 활동으로 야웨 신앙을 회복함으로써 이상적인 국가를 재건하자는 메시지를 나타내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신명기 역사서는 다윗의 길을 따르며 모세의 율법에 충실한 이상적인 왕과 국가를 강조함으로써 자신들의 시대를 향한 예언자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역대기 역사서도 요시야 왕과 함께 제사장과 레위인 그리고 백성들을 중심으로 야웨 신앙에 충실한 예배 공동체로서의 이상적인 제사장 나라를 제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 한국 CCM의 예배음악화 : 시대별로 나타난 신학적 주제와 음악을 중심으로

        박영신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55

        CCM,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is a new genre of Christian music based on modern popular music. It was excluded by the conservative Korean church and only limited use was allowed in young men's worship services. As a student who has studied Christian music, I do not agree with these ideas, instead I support the use of CCM as a part of Korean worship music in the belief that it also contains a blessing and God's will. CCM was brought into Korea from the U.S.A around the end of 1960s as a form of confession. And then in 1980s, it transformed into a form of praise the music became more complex. Active attempts to innovate the music have created various genres, promoting use of modern instruments, and developing a CCM related culture. These factors still cause CCM to be ostracized by the conservative Korean church society. I think it would be possible to use CCM at the worship service provided that we slowly integrate this style of music more and more. Above all,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encourage a change in mind set. This would mean a positive effort to combine CCM with traditional worship music, remembering and considering the hymns which were excluded when it was first introduced. We should bear in mind the purpose of CCM. It is made with good will only for praising God and God is grateful for our praise. We need to keep studying how we can make CCM be better used in worship service. CCM이란 Contemporary Christian Music의 줄임말로 현대적인 대중음악에서 도입된 기독교 음악의 새로운 장르이다. 이전에 볼 수 없었던 가사의 내용과 현대적인 음악요소로 인해 보수적인 한국 교회에서는 사용을 금지당하거나 청년부 예배로 한정되었다. 이에 필자는 교회음악을 공부한 신학도로서 안타까움을 느끼고 그 안에도 분명히 동일하게 임하시는 하나님의 역사하심과 성령의 은혜가 있다는 믿기에 CCM의 가사와 음악요소의 특징을 분석하여 예배음악으로의 사용에 대해 지지하였다. CCM은 한국에 1960년대 말, 미국에서 들어와 1980년대를 넘어서면서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감사와 간증에서 점차 순수한 경배와 찬양의 모습으로 변하였고 음악적으로는 현대적이고 세련된 화성이 많이 사용되었다. 음악에 대한 적극적인 변화의 시도들은 다양한 장르와 현대적 악기의 사용을 불러왔고 CCM에 관련된 문화를 발전시켰다. 이런 요소들은 보수적인 한국교회 안에서는 거부감을 일으켰고 많은 문제점들이 예측되었으나 CCM의 사용의 폭을 예배에서 점진적으로 확대해 간다면 무리가 없을 것이라 기대된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모든 성도들이 회중찬송도 당대의 평가가 가혹했었다는 사실을 기억하여 CCM에 대한 선입견을 버리는 사고의 전환과 CCM을 통해 청년들과 청소년의 부흥이 일어나고 진정한 예배자로 하나님께 나왔던 것을 기억하여 CCM을 전통적인 예배에 전목하려는 긍정적인 사고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우리는 CCM이 선한 목적으로, 온전히 하나님을 찬양하기 위해 만들어졌고 하나님은 분명 그 찬양에 기뻐하셨을 을 기억하여 올바른 CCM의 예배음악화에 대해 연구해야 할 것이다.

      • 한국 교회의 이혼 가정의 치유를 위한 대안과 이야기 치료의 접목

        이치형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55

        최근 한국의 급증하는 이혼율을 우려하는 교계의 많은 우려와 염려가 있다. 한국 교회는 이제 더 이상 이혼자들과 이혼자녀들에 대해서 방치만 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가정의 문제들이 점차 사회 문제화되기에, 한국 교회는 그리스도의 치유적인 목회 사역에 부응하기 위하여 이혼자들과 이혼자녀들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과 바른 성경적 안목을 가지고 치유 사역을 선도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제 2장에서 본 논문이 이론적 배경으로 이혼자들의 이혼 후 적응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이야기 치료의 내용들을 논의하였다. 제 3장에는 한국에서의 이혼문제에 관한 현황과 그 원인, 이혼으로 인해 파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논의하였다. 제 4장에서는 한국교회에서의 이혼문제에 대한 딜레마와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지적하였다. 제 5장에서는 이혼자들과 이혼자녀들에 대한 대안들을 이야기 치료의 기법들과 접목하여 논의하였다. 이제, 한국 교회는 먼저 이혼자들과 이혼자녀들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며, 또한 목회 차원적으로 이들을 돌볼 수 있는 넓은 마음들이 필요할 때인 것이다. 특별히 이혼을 결심하기 이전에, 미리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을 통하여 건강한 가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교회가 함께 도와야 할 것이다. 예로 들면, 요즘 많은 대형교회들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예비부부학교’나 ‘결혼 준비 학교’ 등을 통하여, 많은 젊은이들이 어떻게 하면, 하나님이 허락하신 가정을 잘 이끌어 나갈 것인가에 대한 고민들을 할 기회들을 가지게 하는 것이다. 물론 구체적인 갈등극복법과 대화기술, 고부간의 갈등을 해소할 여러 가지 관계훈련 등을 통하여, 자칫 결혼 생활의 근간을 흔들 우려가 있는 위기와 어려움들을 스스로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뒷받침들을 해 줄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이야기 치료의 여러 가지 기술들을 접목하여 보다 효과적인 상담과 치유의 사역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다. ‘Story-telling', 'Externalising', 'Re-authoring', 'Re-membering', 'Outsider witness practice' 등의 기법들을 접목할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지속적인 부부클리닉을 통하여, 삶을 영위해 가는 도중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기와 어려움들을 신앙적인 부분과 아울러 상담해 줌으로, 극복해 나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여기에는 교회 내의 아름답고 건강한 노부부의 가정을 멘토로 정하여 젊은 가정들이 도전을 받고, 새로운 결심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라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교회 차원의 가족 캠프나 수련회를 통하여, 신앙으로 다시 한 번 화합할 수 있는 기회들을 자주 가짐으로, 부부관의 혹은 가족관의 관계성이 깨어지고 아니하고 더욱 더 친근해 지도록 돕는 일도 사실은 교회의 몫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혼 이후의 성도들과 자녀들에 대해서는 색안경을 끼고 보기보다는 보다 주님의 마음으로 그들을 바라보아야 할 것이며, 사후 상담이나 집단상담 프로그램들을 통하여 치유의 노력들이 필요하며, 주일학교에서도 이혼자녀들에 대한 특별하고 각별한 관심과 애정이 요구되는 것이다. 특별히 스포트 그룹을 만들어 서로 아픔과 상처들을 나눔으로서, 서로가 하나 되고 더 나아가 지속적으로 위로와 위안을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삶의 질까지 높여 줄 필요가 있는 것이다. 끝으로, 이혼자녀들에 대하여 교회가 체계적이고 실질적이 도움을 주기 위하여 노력한다면, 많은 이혼자들이 한국교회의 분발을 통하여 치유되고 회복되어, 이 땅 가운데 하나님의 온전한 치유와 회복이 이루어지는 놀라운 일이 있을 것을 기대하면서 본고를 마치고자 한다. Recently, Korean Church have much worries about the increased divorce rate in Korea. Korean church could not leave divorce people and children of divorce more. Therefore, Korean Church may have to guide healing ministry with the right sense of values and viewpoint on Bible about divorce people and children of divorce, because theses family problems effect on social problems.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d the preceding studies about the adaption of divorced people as theoretical background. In addition, this paper discussed the concept and skills of 'Narrative Therapy' in the second chapter. In the third chapter, this paper discussed the real situation, the reasons of divorce and many problems which were derivative from divorce. The forth chapter pointed out the dilemma about divorce problems of Korean church and various problems. This paper discussed the alternatives about divorce people and children of divorce children using 'Narrative Therapy' in the fifth chapter. Firstly, Korean church should change the viewpoint about divorce people and children of divorce. Furthermore, Korean christians need to have wide minds that look after these people in the dimension of pastoral counseling. Especially, before decide divorce, Korean church may have to help together so that can keep family which is healthy through various programs beforehand. For example, many mega church in Korea can give young people who want to get marriage many opportunities to think and prepare their married life through 'The Wedding School'. This school teaches how to overcome some conflict situation and how much different between men and women. In addition, through specific discord conquest art and a conversation technology, they can learn various relation training to solve discord between peoples. If young couples do not learn these skills, they can meet the conflicts which should break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 This paper suggested to connect between old couples and young couples, because old couples can be the mentor of young couples. In addition, throughout many skills of 'Narrative Therapy', Korean church can play an effective role to heal and counsel divorce people and children after divorcing. For example, there are ‘Story-telling', 'Externalising', 'Re-authoring', 'Re-membering', and 'Outsider witness practice', etc. Furthermore, through family camp or family training course, church should help them to be close between members of family and give them some opportunities to be one in belief. However, Korean church need to get rid of prejudice about divorce people and children of divorce and Korean church should see them having the mind of Jesus Christ. In addition, Korean church need to give some special concern and love about them after divorcing. Korean church can make 'support group' to share their own feeling and suffering. Finally, if Korean church have the systemic and helpful programs about divorce people and children of divorce, many divorce people and children of divorce can be healed. Furthermore, the kingdom of God will be accomplished on the earth.

      • 기독 중년여성의 위기와 영성의 상관성 연구

        전찬례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39

        (Abstract) As in the childhood or adolescence, people experience the developmental stages and crises in their adulthood. There are two major theories as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he adulthood. One is the crisis theory in that the crisis is inevitable, although its degree and intensity may be different for individuals. The other is the maturity theory in that only a few people experience middle life crisis, and that most people enjoy the happiest period of their lives. The developmental stage of the middle age is that people reflect upon their life and restructure it, and that they discover their true identity through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ir lives, they develop their personality and they try to establish their external and social life. However, in their second half, they turn inward and become deeply interested in spiritual matters. The middle age women experience various crisis accompanied by physical changes, family cycle changes,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nd self-identity problems. Christian women also experience these crisis. In order to understand how Christian women experience their crisis and how they overcome them, this thesis looked the theory of Levinson and the books on the developmental theories of adulthood. For spiritual aspects, it studied the individualization theory of Jung and the Well Being theory of Clinebell. With these theoretical frameworks, this research included the counselling data of 10 Christian women. The findings of the aforementioned research are as followings. First, the middle age is a very important developmental stage and experiencing a crisis is a common phenomenon. Middle life crisis varies for individuals. It can be a facilitator for a vital life or a significant factor for depression. Second, the middle life crisis is closely related with the life structure or the reality of each individual. Most people try to evaluate their life and to discover the meaning of their life and existence. At the same time, they come to understand the second half of their life and restructure it. As many scholars mentioned, the middle life crisis is closely related with religious matters. Third, Levinson's developmental theory of the adulthood includes both men and women, and suggests a new perspective on the development of the adult women. The focal point of the theory, as discovered by biographical interview, is gender splitting. Housewives and career women experience conflict and pain with regard to their family, joy, society and culture due to gender splitting and their effort to find their identity becomes apparent. Fourth, spirituality is to discover self-identity as a Christian and to experience in every day life. Jung claims that people focus on their inner life, and that they need the individualized process in middle age. Clinebell says that spirituality is a flower of the wholistic health and a key to well being. Last, for Christian women, the spiritual aspect of their life is the most important tool in overcoming their middle life crisis. The biographical interview of 10 Christian women shows that their faith plays a key role in seeing, interpreting and dealing with their crisis. The rightful relationship with God helps them live a fulfilled life and become a blessing to others. (초록) 아동기나 청소년기와 마찬가지로 성인기에도 발달의 단계가 있으며, 발달 과정에서 위기를 경험하게 된다. 중년기 특성에 관하여 중년기 위기는 보편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필연적인 과정으로 개인에 따라 위기 수준과 양상은 다양하다는 “위기이론”과 대부분의 중년에게 있어 중요한 발달의 시기이기는 하나 소수의 사람만이 위기를 경험하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생에 있어 가장 행복한 시기를 보낸다는 “성숙이론”의 관점이 있다. 중년기의 발달과제는 지금까지 살아온 삶을 평가하고 삶의 구조를 재조정하는 것이며, 개성화 (individuation)과정을 통하여 진정한 자아를 찾아가는 것이다. 인생의 전반부에는 인격의 확장과 바깥 세계에 적응하기 위하여 외향적인 태도를 지향하는 삶을 살지만, 후반부에서는 내부지향적인 삶을 살게 되며 영적인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된다. 중년의 여성들은 신체적인 변화, 가족주기의 변화, 사회. 문화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자아정체성의 문제로 위기를 경험하게 된다. 일반적인 중년기 위기는 기독여성들에게도 동일하게 찾아온다. 기독 중년여성들의 위기 수준과 위기 극복의 자원들을 찾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레빈슨의 이론을 중심으로 성인발달 이론에 대한 문헌연구를 하였다. 영성에 대한 부분은 융의 개성화와 클라인벨의 전인건강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10명의 기독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상담사례를 통하여 고찰한 이론들을 접목해 보고자 하였다. “기독 중년여성의 위기와 영성의 상관성 연구”를 통한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는 발달 단계에서 매우 중요하고 장기간에 걸쳐 있으며, 발달과정에서 보편적으로 위기를 경험하게 된다. 그러나 중년기 위기는 개인에 따라 다양하게 받아들여지며, 생산적으로 활용하여 인생의 황금기를 보내기도 하며, 침체에 빠져서 심각한 위기를 경험하기도 한다. 둘째, 중년기 위기는 각 개인이 중년기 이전까지 살아온 삶의 구조나 결과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정체성의 위기로써 지금까지 살아온 삶을 재평가하고 삶의 의미와 존재의 의미를 찾고자 한다. 동시에 인생의 오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하면서 삶의 구조를 재조정하게 된다. 중년기 위기는 여러 학자들이 언급한 것처럼 종교적인 면과 깊은 관련이 있다. 셋째, 레빈슨의 성인발달에 관한 연구는 남. 여 양성에 대한 통합적인 것으로 성인 여성에 관한 연구의 초보적인 단계에서 그의 연구는 성인 여성의 발달에 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해 주었다. 전기적 면담법을 통한 연구의 결과에서 성인 여성들의 삶속에서 ‘성의 분리’라는 주제가 위기의 핵심적인 요소임을 밝혔다. 넷째, 영성이란 기독교인의 자기 정체성을 확인하는 작업이며, 구체적인 삶 속에서 하나님을 체험하는 것이다. 융은 인생 후반부에는 내부지향적인 삶을 살게 되며, 자아를 찾아가는 개성화 과정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클라인벨은 영성은 전인건강의 꽃이라고 표현할 정도로 영성은 전인건강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다섯째, 기독여성의 경우 영성적인 면은 중년기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가장 큰 자원이 된다. 10명의 기독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면담을 통하여 삶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위기에 대하여 인지하고 해석하고 대응하는 데 있어서 영성은 가장 핵심적인 요소였다. 매일의 삶 속에서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는 개인의 삶을 풍성하게 하며, 호수 위에 동심원이 퍼져나가는 것처럼 타인에게도 복의 근원으로 살아갈 수 있는 소중한 자원이 된다.

      • 한국의 가족주의에 대한 기독교 상담학적 연구 : -미누친(S. Minuchin)의 구조 가족치료이론과 융(C. G. Jung)의 콤플렉스이론을 중심으로-

        김현하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39

        Korean family members adhere to each other closely. They are extremely sensitive and susceptible to each other emotionally. In social science, this type of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Korean culture is called Familism. Familism is pointed out as a cause of pathological phenomena of society in Korea. Christianity also views familism of Korea as a causal factor giving influence on the structural dysfunction of churches. However, there are a lack of research in the field of social psychology and a Christian counseling on how familism works in the Korean society and psychology of each individual and what kinds of effects it gives. Familism in Korea strengthens structural adverse effects on the family. Due to familism, the structure of the family in Korea is unable to adapt flexibly to changing situations of a surrounding area but hardens in and develops a false intimacy. Moreover, it creates an excessiv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and superiors and emphasizes a vertical relation. Furthermore, the more familism gets emphasized, the more a border line gets loosened and makes family members get stick to each other. It eventually hinders the autonomy of each individual. On a personal side, when I think in the point of complex theory of Carl Jung, familism forms personas in Koreans and worsens stress. In Korea, under the influence of familism, ‘following decisions of a family’ is emphasized form childhood. The development of adaptability forms persona. In this process, one side of the personality an individual is repressed, and the creates shadows and complexes in an inner side. In the Christian views familism distorts the structure of church adversely. Moreover, it restricts an individual from encountering God. An individual who has been accustomed to familism defines an image of God based on rules he / she experienced in a family. This makes it difficult for Koreans to healthy relationships with God. Christian counseling that is designed to help an individual break out from familism shall approach from a big point of view, the liberation of a perfect man. The first step is to realize the dysfunctional structure individuals, families, and churches faces due to familism. Then recognizing they have distorted images of God and the kingdom of God. 한국의 가족은 가족 구성원이 밀착되어 있다. 밀착된 관계의 가족은 감정과 정서적으로 서로에 대해 지나치게 예민하고 민감하다. 사회과학에서는 이러한 한국 가족의 특징적인 성격을 가족주의라고 한다. 한국에서 가족주의는 사회의 병리적 현상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기 때문이다. 기독교에서도 한국의 가족주의가 교회의 구조적 역기능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사회심리학 분야와 기독교 상담분야의 선행연구에서는 가족주의가 한국의 가족과 개인의 심리에 구체적으로 작용하는 방법과 영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편이다. 가족적인 측면에서 한국의 가족주의는 가족의 구조적 역기능을 강화시킨다. 구조 가족치료의 관점에서 볼 때, 한국의 가족주의로 인해 한국의 가족은 구조가 주변의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변화하지 못하고 고착되어 가짜친밀성이 발달하게 한다. 또한 하위체계들 간에 과도한 위계가 존재하게 하여 수직적인 관계가 강조되도록 한다. 더불어 가족주의가 강조될수록 경계선이 산만해 지기 때문에 가족들이 밀착되어 개인의 자율성이 발휘될 수 없다. 개인적인 측면에서 융의 콤플렉스이론을 통해 볼 때 가족주의는 한국인의 페르소나를 발달시키고 콤플렉스를 강화한다. 한국은 가족주의의 영향으로 개인에게 가족의 뜻에 순응하는 것을 어린 시절부터 강력하게 요구한다. 순응의 발달은 페르소나를 발달시킨다. 이 과정에서 자신이 갖고 있는 인격의 다른 부분들은 억눌러져 그림자와 콤플렉스를 형성하게 된다. 기독교적인 측면에서도 가족주의는 교회의 구조를 역기능적으로 왜곡시킨다. 또한 개인과 하나님의 만남을 제한한다. 가족주의에 익숙한 개인은 가족 안에서 경험된 규칙들에 미루어 하나님의 형상을 확정하기 때문에 하나님과 진실 되게 인격적인 만남을 추구하기 어렵다. 이러한 가족주의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기독교 상담은 전인해방이라는 큰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그 첫걸음은 가족주의로 인해 개인과 가족 그리고 기독교 공동체가 처해있는 역기능적 구조와 콤플렉스를 자각하여 하나님과 하나님 나라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를 갖고 있음을 인식하는 것에서 출발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