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Abstract The Effect of Natural Extract Mixture on the Reduction of Oral Malodor Sung Ae Kim Department of Health Sciences, Graduate School, Kosin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Inchul Hwang To evaluate an effect to reduce the oral malodor as an mouthwash, the oral odor level of natural extract mixture (Patent registration No. 10-1605623, Inventors: Inchul Hwang, Jin-Ok Lee) was compared with a typical portable goggle spray, Dong-A Pharmaceutical's Garglin Fresh. The same thirty subjects were treated as control, as positive control, the Garglin-using group, and as experiment group, the natural extract mixture group. In each group, H2S and CH3SH concentration levels were measured using the Twin Bristle II (TBⅡ) after getting up from sleep, immediately after use of oral spray, and 30 minutes and 1 hour after. Then, organoleptic measurement after each experiment was followed by the subjects and the researcher. The concentration of H2S immediately after spraying in the natural extract mixture group was 156.5 ± 96.7 ppb from 492.8 ± 468.8 ppb of after getting up from sleep, which was lower than in the Garglin group, 270.2 ± 210.8 ppb from 470.3 ± 457.8 ppb (p<0.05). The concentration of H2S at 30 minutes and 1 hour after spraying was similarly reduced. The concentration of CH3SH immediately after spraying in the natural extract mixture group and in the Garglin group was reduced to 64.1 ± 59.9 ppb from 270.4 ± 241.5 ppb and 140.4 ± 120.5 ppb from 275.5 ± 327.3 ppb, respectively, and then it showed that natural extract mixture immediately after spraying is more effective than Garglin in reducing methyl sulfide, causing oral malodor (p<0.01). The concentration of CH3SH at 30 minutes and 1 hour after spraying were reduced to a similar level in both groups. The organoleptic measurement of subjects and researcher immediately after spraying showed that Garglin is more effective than natural extract mixture in reduction of oral malodor (p <0.01). This may be due to a masking effect by using chemical fragrances of Garglin. As evidence it may be regarded that the organoleptic measurement has a low correlation with the real level of H2S and CH3SH, primal oral malodor fac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atural extract mixture used in this study reduce oral malodor more effectively than Garglin Fresh, and then it seems to be preferable to use it as an mouthwash due to advantages that has no side effects and is safe. Keywords : Mouthwash, Natural extract mixture, Oral malodor
환상동화를 통한 문학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김성애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본 연구는 환상동화를 통한 문학활동 경험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그 교육적 가치를 밝혀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환상동화를 통한 문학 활동이 유아의 언어 표현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1-1 환상동화를 통한 문학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의 길이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1-2 환상동화를 통한 문학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1-3 환상동화를 통한 문학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의 유형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2. 환상동화를 통한 문학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2-1 환상동화를 통한 문학활동이 유아의 유창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2-2 환상동화를 통한 문학활동이 유아의 독창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2-3 환상동화를 통한 문학활동이 유아의 제목의 추상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2-4 환상동화를 통한 문학활동이 유아의 정교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2-5 환상동화를 통한 문학활동이 유아의 개방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연구의 대상은 수원시에 위치한 D 유치원 5세 유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30명씩 총 60명이었다. 연구절차는 예비검사, 사전검사, 본 검사, 사후검사의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실험집단 유아들은 10주 동안 20회에 걸쳐 대그룹으로 환상동화책을 읽어주고 문학활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기존의 유치원 수업을 하며 단원 주제별 동화 들려주기 활동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총 20권의 실험집단용 환상그림책과 사전·사후검사용 도구로 사용된 그림책 2권, 언어표현력 검사도구, 창의성 검사도구이다. 언어표현력 검사도구로는 언어표현의 길이는 주영희(1984)의 문장분류기준을 참고로 한 정남미(1996)의 연구에 사용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언어표현의 질은 Morrow(1990)가 사용한 이야기 질의 분석도구를 채종옥(1996)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고, 언어표현의 유형은 Weber(1990)의 이야기 유형분석도구를 채종옥(1996)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창의성 검사도구는 조성연이 번안한 Torrance의 창의적 사고 검사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TTCT)의 도형검사 A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를 이용하여 분석 처리하였고 집단 간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창의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분산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상동화를 통한 문학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는 언어표현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상동화를 통한 문학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가 구성한 이야기는 언어표현의 길이, 질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언어표현의 유형에서 해석적 유형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즉 환상동화를 통한 문학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언어표현력의 길이, 질, 유형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이는 환상동화를 통한 문학활동 경험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환상동화를 통한 문학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는 창의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상동화를 통한 문학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창의성의 하위요인 중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 개방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창의성의 하위요인 중 제목의 추상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환상동화를 통한 문학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창의성이 유의한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이는 환상동화를 통한 문학활동 경험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that the experience of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the fantasy picture book has on the language expression and creativity of young children's, This will then clarify its educational value, and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in the spo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mentioned abov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up. 1. Whether the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the fantasy picture book will have influence on the increase of language expression of young children's? 1-1. Whether the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the fantasy picture book will show difference in the length of language expression of young children's? 1-2. Whether the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the fantasy picture book will show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anguage expression of young children's? 1-3. Whether the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the fantasy picture book will show difference in the type of language expression of young children's? 2. Whether the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the fantasy picture book will have influence on the increase of creativity of young children's? 2-1. Whether the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the fantasy picture book will show difference in the increase of fluency of young children's? 2-2. Whether the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the fantasy picture book will show difference in the increase of originality of young children's? 2-3. Whether the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the fantasy picture book will show difference in the increase of abstractness of titles of young children's? 2-4. Whether the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the fantasy picture book will show difference in the increase of elaboration of young children's? 2-5. Whether the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the fantasy picture book will show difference in the increase of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of young children'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otal 60 children's whose age is 5 years old who were by 30 young children's respectively at D kindergarten located in Paldal-gu, Suwon. Study procedure progressed in the order of preliminary test, prior test, main test, and post test. And, this researcher read the fantasy picture book and executed literature activities as large group for the young children's in experiment group over 20 times for 10 weeks and didn't do the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the fantasy picture book but performed existing kindergarten lessons. Study tools used in this study are total 20 volumes of fantasy picture books for experiment group, 2 volumes of picture books used as the tools prior test and post test, tool for testing language expression, and tool for testing creativity. As for the tools for testing language expression, this researcher used what Chung, Nam Mi(1996) used for study with reference to the standard of sentence classification of Choo, Young Heui(1984) about the length of language expression, and this researcher used what Chae, Jong Ok(1996) corrected and supplemented the analysis tool of story quality that Morrow(1990) used about the quality of language expression, and this researcher used what Chae, Jong Ok(1996) corrected and supplemented the analysis tool of story type of Weber (1990) about the type of language expression. As for the tool for testing creativity, this researcher used A type of figure test of creative thinking test of Torrance (Rorre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TTCT) that Cho, Sung Yeon adapted. About collected data, this researcher executed analysis handling by using SPSS/PC through the course of grading and coding and executed ANCOVA by making the score of prior test of public variable factor so 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language expression and creativity of young children's among groups. Following information include the summarization of above experiment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anguage expression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hich experienced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the fairy tale of fantasy. As for the story that young children's at experiment group who experienced the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the fantasy picture book,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ngth and quality of language expression, and the frequency of interpretational type appeared high in the type of language expression. That is, experiment group which experienced the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the fantasy picture book was improved to the level to be significant in the length, quality, and type for language expression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This means that the experience of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the fantasy picture book had affirmativ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language expression of young children'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hich experienced the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the fantasy picture book in creativity. In experiment group which experienced the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the fantasy picture book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fluency, originality, elaboration and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out of the lower factors of creativ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 abstractness of titles out of the lower factors of creativity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That is, in experiment group which experienced the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the fantasy picture book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creativity was improved to significant level. This means that the experience of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the fantasy picture book had affirmativ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of young children's.
집단 이야기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성애 숙명여자대학교 특수대학원 2008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음악치료활동이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 이었다. 본 연구는 2008년 10월 4일부터 10월 19일 까지 서울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G교회와 E교회의 중학교 1, 2, 3학년 2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15.2세였다. 실험 참가자는 연구자에 의해 무작위로 실험집단 12명과 비교집단 11명으로 배치되었고 세션에 한 번 이상 불참한 4명을 제외하고 19명의 데이터를 통계처리 하였다. 분석결과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비교집단보다 이야기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적용한 실험집단의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r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story-telling music therapy activities on self-efficacy of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 middle school students at G church and E church in Seoul. he average age of subjects was 15.2.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October 4 to 19 in 2008.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he two groups. While one group composed of 12 students received story-telling music therapy while the other group composed of 11 participated in the story-telling activities without music. Since four subjects did not finish the treatment completely, data from the 19 subjects were finally collected. The results showed that story-telling music therapy group increased their self efficacy scores more significantly than story-telling therapy group without music.
음악의 역사는 멈춤 없이 유동하는 하나의 흐름과도 같다. 이러한 이유로 깊은 단절의 틈을 두는 일은 좀처럼 없다. 또한 지금까지 어떠한 작곡가도 자기가 어떤 시대의 종말에 와있다는 의식을 가진 적도 거의 없다. 그러나 음악의 역사가 변화하는 과정을 여러 단계로 구분을 하게 될 때에는 체계화를 필요로 하게 된다. 그것은 어떤 거리를 두고 되돌아 볼 경우에만 그 시대와 경계를 지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후기 바로크 시대와 로코코 시대 사이에 걸쳐있는 작곡가 Domenico Scarlatti와 고전주의의 Joseph Haydn, 인상주의의 Claude Debussy, 19세기 후반 민족주의의 Modest Mussorgsky를 통해 음악의 역사가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1740년대의 건반악기를 위한 소나타를 소나타 역사에 있어서의 시작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carlatti의 건반악기를 위한 550여 곡이 되는 소나타 중 L.58을 통해 초기 소나타의 특징을 알아보고, 빈고전주의의 Haydn에 와서는 이 소나타가 또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Hob. XVI41을 예로 들어 살펴보고자 한다. Debussy는 프랑스의 위대한 작곡가 중의 한 사람이며 20세기 현대 음악에 중요한 영향을 준 사람 중의 하나이다. 그의 피아노곡 Estampes(판화)의 작품 성격을 살펴봄으로서 인상주의의 선구자이며 낭만주의에서 현대 사조로 옮아가는 과정에 있어서의 가교 역할을 하는 인물로서의 Debussy를 살펴보겠다. 19세기 후기 낭만주의의 또다른 흐름인 민족주의의 배경으로 탄생한 러시아 5인조 중 가장 독창성이 강하다고 생각되는 Mussorgsky는 그의 최고의 피아노 작품 Pictures at an Exhibition(전람회의 그림)이라는 모음곡을 작곡하였는데 이것의 작곡배경과 곡의 해석을 첨부하고자 한다. 필자가 연주하려고 하는 D. Scarlatti L.58, J. Haydn Hob.XVI 41, C. Debussy Estampes(판화), M. Mussorgsky Pictures at an Exhibition(전람회의 그림)의 4곡을 통해 본 논문을 작성하고자 하며 이로 인해 보다 나은 연주를 꾀하려 하였으며, 부족하나마 본 논문이 위의 작품들을 공부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원한다. Music has been a process of continuous development and composers had not been aware when they came to an end of certain period. However, looking back, one can categorize each period. In my graduation thesis, the music of D. Scarlatti, J. Haydn, C. Debussy and M. Mussorgsky will be discussed. By examining sonata L.58 by Scarlatti, sonata Hob. XVI41 by Haydn, Estampes by Debussy and Pictures at an Exhibition by Mussorgsky we can get a glimpse of unique styles of different periods. I genuinely hope that by studying the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the music: it will enhance the performance aspect and understand the composers' intentions better.
중학교 영재교육대상자를 위한 로봇 주제 중심의 TEAMS 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성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영재교육대상자를 위한 로봇 주제 중심의 과제를 선정하고, 선정된 과제에 따른 TEAMS 통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하여 TEAMS 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개념 모형과 절차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 영재교육대상자를 위한 로봇 주제 중심의 TEAMS 통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TEAMS 통합 교육 프로그램은 준비, 개발, 평가의 3단계로 이루어졌으며, 개선 단계의 평가 결과를 반영한 수정・보완 활동을 포함하여 총 14개의 세부 단계를 거쳐 개발되었다. 준비 단계에서는 (1) 중학교 영재 교육 기관의 영재교육대상자와 교사의 통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분석, (2) TEAMS 통합 교육 프로그램에 적합한 분석 모형 개발 및 통합 유형 선정, (3) 영재 교육 과정 모형 구안, (4) 단계별 과제 선정을 위한 준거 도출을 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1) TEAMS 통합 교육 프로그램의 단계별 과제 선정, (2) 단계별 학습 내용 추출, (3) 단계별 통합망 작성, (4) 단계별 학습 내용 조직, (5) 단계별 수업목표 진술, (6) 단계별 과제 내용 구성을 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1) 전문가 집단에 의한 평가, (2) 예비 시험 및 현장 시험을 통한 영재교육대상자에 의한 평가를 실행하였으며,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수정・보완함으로서 TEAMS 통합 교육 프로그램은 완성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인 중학교 영재교육대상자를 위한 로봇 주제 중심의 TEAMS 통합 교육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TEAMS 통합 교육 프로그램은 로봇을 주제로 한 기술 교육이 중심이 된 통합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중학교 영재교육대상자의 창의적 문제 해결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 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TEAMS 통합 교육 프로그램은 총 4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1단계‘1센서 1모터 발명품 만들기(1+1, 생활용품의 똑똑한 변신)’, 2단계‘바퀴 없는 로봇의 개발(움직임의 INNOVATION)’, 3단계‘자유도에 따른 발명품 제작(산업용 로봇팔을 벗어난 자유도)’, 4단계‘노인문제와 로봇(노인문제를 해결한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과제로 구성되었다. 셋째, TEAMS 통합 교육 프로그램은 교사용 지도안, 학생용 활동지, 평가 루브릭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사용 지도안은 현장의 일반화를 위해 영재 교육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양식을 사용하였으며, 학생 활동지는 영재성을 최대한 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평가 루브릭은 자기평가, 모둠평가, 동료평가, 댓글평가의 학생 평가와 완제품 평가의 교사 평가로 이루어져 다양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평가는 영재교육대상자 활동의 피드백 자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 나타난 '선한 행위' : 레비나스 타자윤리와 관련하여
김성애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The study aims at discussing on the significances of the Good Conducts in Heidelberg Catechism in relation to Lévinas Ethics of 'the others', and then suggesting the significances for the Korean Christianity. More detailed objectives and related contents are as followed. First, the study looks into the significants of 'Good Conducts' in the Heidelberg Catechism. From here the historic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in terms of the Heidelberg Catechism are described, and the concepts of the Good Conducts is mentioned as well. And relation to the Good Conducts, the meaning of gratitude, belief, holy spirit, Lord's prayer and the Ten Commandments in the Heidelberg Catechism are discussed. Lastly, the Good Conduct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ocially poor and weak in the Heidelberg Catechism. Ursinus has mentioned that the Good Conducts comes out the true beliefs, follows God's Laws, and they are all about the glory of God. Therefore, the Good Conducts for the socially poor and weak should be what Christian is to obey God's command of serving the poor and weak. Second, the study examines the Good Conducts in the Lévinas' ethic of 'the others'. From here the features, 'the others', and the concept of God in the Lévinas Ethics are mentioned. He asserts that the ethic should be giving up 'oneself' in the point of view 'the others'. The others has the face of the poor, weak, a widow, an orphan, and orders us, as our Lord. The accountability on the others implies 'the love of our neighbor' in the Bible. It expresses the love of suffering people. Third, the Study discusses on the significants of the Good Conducts in the Heidelberg Catechism related to Lévinas' Ethic. What we believe should be done in our lives. “Not everyone who says to me, 'Lord, Lord', will enter the kingdom of heaven, but the one who does the will of my Father who is in heaven(Matthew 7:21).” This word would be deeply related to care the others in the Lévinas' ethic, and also it could be in the center of the Good Conducts in the Heidelberg Catechism. 'The others' in Lévinas' philosophy command on the Good Conducts, but in there, there should be assurance of God's existence, obey, and the beliefs of God. Lastly, the study makes some suggestions for the Korean Christianity regarding the Good Conducts in the Heidelberg Catechism and the Lévinas' ethic. Korean society in the super individualism neglects the socially weak, and churches in the society passes over those individualism in silence. In the society and the church, the awareness of community would be buried under the capitalistic economy. In such a phase, necessity of Christianity Role should be strongly come to the fire, which could recover on the awareness of community in the society and the church.. So it should be necessary to the ethical conducts for the poor and weak, as a code of conduct for Korean Christianity. Therefore the Korean Christianity should look for new significants in Jesus' Commands, that you shall love your God and your neighbor as yourself. 이 연구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서의 선한 행위의 의미를 레비나스 타자 윤리와 관련하여 논의하고, 그것이 한국 기독교에 주는 과제를 시사하는 목적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과 그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선한 행위의 의미를 살펴본다. 여기서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역사적 배경, 성격 및 구조가 다루어진다. 또한, 선한 행위의 개념과 감사, 믿음, 성령, 주기도문, 십계명에서의 선한행위 의미를 찾는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약자를 중심으로 한 선한 행위를 논한다. 우르시누스는 선한 행위는 참된 믿음에서 나오는 하나님의 율법을 따르되,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는 것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그러므로 사회적 약자 중심의 선한 행위는 중생한 인간이 사회적 약자를 섬기라는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는 것이다. 둘째, 이 연구는 레비나스 타자 윤리학 차원에서 선한 행위의 내용을 살펴본다. 여기서는 레비나스 윤리학의 성격을 알아본다. 동시에 레비나스의 타자 및 신의 개념을 살펴본다. 레비나스는 타인의 관점에서 자기를 버리는 것이 윤리적이라는 것이다. 타자는 가난한 자와 나그네, 과부와 고아의 얼굴을 하며, 우리에게 명령하면서 우리 주인의 모습을 한다. 타인에 대한 책임성은 성경에서의 ‘이웃사랑’, 특히 고통 받는 타자를 사랑하는 것을 말한다. 셋째, 이 연구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선한 행위에서 본 레비나스 타자 윤리의 의미를 논한다. 우리가 믿는다고 하는 것은 삶 속에서의 행함을 말한다고 할 것이다. “나더러 주여 주여 하는 자마다 천국에 다 들어갈 것이 아니요 다만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대로 행하는 자라야 들어가리라(마 7:21).” 이러한 예수님의 말씀은 레비나스의 윤리관에 담긴 ‘타자’의 돌봄이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서의 선행의 중요한 핵심으로 자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레비나스가 말하는 ‘타자’가 기독교인의 선한 행실을 온전히 실천하도록 명령하지만, 거기에는 반드시 하나님의 임재에 대한 확신과 순종이 믿음으로 입증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레비나스 타자 윤리학에서의 선한 행위가 한국 기독교에 주는 과제를 논한다. 초개인주의 시대 속에 있는 지금의 사회는 점차 소외되는 사회적 약자를 방치하고 있고, 그 안에서 교회는 신앙 공동체적인 사명보다는 구성원 개개인의 이기심에 따른 계약 관계의 형성을 묵과하고 있다. 이렇게 점차 경제적 자본주의 논리 속에 매몰되어 공동체 의식과 이웃이 상실된 우리의 사회와 교회에서, 공동체와 이웃의 회복을 위한 기독교의 역할은 절실히 필요하다. 그래서 사회적 약자에 대한 윤리적 행위가 이 시대의 한국 기독교의 행동 강령으로 자리할 필요가 있다. 한국 기독교는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예수의 새 계명이 가지는 의미를 새롭게 찾아야 한다.
김성애 慶雲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2009 국내석사
본 연구는 노인들의 건강상태와 의료복지서비스욕구를 조사ㆍ분석하여 이들의 욕구에 적합한 의료복지서비스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북 구미시의 65세 이상 노인 281명을 대상으로 건강상태와 건강관리, 의료복지서비스욕구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다수의 노인들이 “스스로가 건강하지 않다”고 인식함으로써 주관적으로 느끼는 건강상태는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수의 노인들이 만성질환을 앓고 있었지만, 대부분이 혼자서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노인들의 만성질환의 정도는 그다지 심각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건강에 대한 관심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다수의 노인들이 자신들의 건강관리에 소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건강관리방법으로는 걷기나 체조 등 비교적 간단한 방법을 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이 이용하는 의료기관을 보면 가벼운 질환인 경우는 병·의원을, 장기치료나 전문적 치료를 요하는 경우는 종합병원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노인의료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식도와 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호하는 노인의료복지서비스는 노인무료건강검진제도, 노인전문병원, 방문간호사업 등 주로 노인케어와 관련된 서비스를 많이 원하고 있었다. 재가복지사업에 대한 인식도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선호하는 재가복지사업은 경로당방문 보건사업, 마을 순회 진료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확대되어야 할 의료복지사업으로는 만성질환자관리, 거동불능자관리, 독거노인관리 순으로 나타났으며, 의료보호혜택의 확대와 노인전문병원의 지역 내 설치 등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구미시 노인의 의료복지서비스욕구에 적합한 의료복지서비스정책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호하는 노인의료복지서비스가 적극적으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보건소의 건강관리사업을 활성화하고 훈련된 인적자원을 충분히 활용해야 할 것이다. 둘째,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제공되고 있는 재가복지서비스의 홍보를 강화하고 대상을 확대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노인들의 욕구에 부합하는 의료복지제도의 구축과 적합한 지원정책의 수립이 요구된다. 넷째, 노인의 건강상태와 의료복지서비스욕구를 사정·평가하여 개인에게 맞는 의료복지서비스 계획을 수립하고 맞춤형 의료복지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보건소, 사회복지기관, 의료기관과 연계한 지원 등 사회복지 차원의 다양한 의료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at presenting fundamental material for the establishment of medical and welfare services suitable for elderly people's desire after examining and analyzing their health status and desire regarding medical and welfare services. For this, a survey on the elderly health status, health management, and desire regarding medical and welfare service was conducted involving 281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in Gumi, North Gyeongsang provinc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First, most of the elderly people perceived that they were not healthy, indicating that the health status being subjectively felt by the elderly was not good. Although many of the elderly people suffered from chronic diseases, most of them carried out their daily lives for themselves. This indicated that chronic diseases suffered by them were not severe. Second, in spite of their high interest in health, most of the elderly people neglected their health management. They practiced relatively simple health management methods, such as walking and physical exercises. As for medical institutions used by the elderly people, the elderly people visited a small hospital or clinic when their disease was not severe, and used a general hospital in case they needed specialized treatment. Third, they displayed relatively higher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medical and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Of various medical and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they largely preferred service related to elderly care, such as free medical check-up for the elderly, geriatric hospital, and visiting service. They displayed relatively low perception of domiciliary welfare services. Domiciliary welfare services preferred by them included visiting an elderly community hall, health care service and free health check-up at their villages. With regard to medical and welfare projects which should be expanded, the management of patients suffering from chronic diseases took first place, followed by management of patients not capable of moving for themselves and the management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hey also wanted the expansion of health care benefits and the establishment of a geriatric hospital within their distric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Gumi city's medical and welfare services policy suitable for elderly people's desire regarding medical and welfare services. First, in order to vigorously carry out preferred medical and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health centers' health management project should be promoted, and trained human resources should be well utilized. Second, domiciliary welfare services mainly granted to low income families should be publicized more and expanded to benefit more people. Third, the formation of a medical and welfare system that satisfies elderly people's desire and the establishment of an appropriate support policy are required. Fourth,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system that provides various medical and welfare services at social welfare level, like support linking a health center,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nd medical institution, in order to offer customary medical and welfare services to the elderly by examining their health status and desire regarding medical and welfare services and then establishing medical and welfare services suitable for an elderly individual.
김성애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This study investigate chorus coaching method using kodaly teaching method for useful middle school chorus class. Nowadays, in the middle school class, special activity like chorus class takes two or three times for one month and it is very short time for learning activity class. So, students are taking chorus class only by listening and repeating the music without sufficient musical experience about rhythm, melody, harmony, interval through chorus. Accordingly, this study tries to remove this problem and make students to experience music in a short time music class by efficient choru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ggest gradational method for middle school chorus class level using kodaly chorus teaching method and investigate chorus coaching method and apply the real chorus class on the basis of this suggestion. Chorus coaching contents are interval coaching, rhythm coaching, melody coaching, accord coaching, chorus coaching. Interval coaching's purpose is singing a song correctly by listening, feeling, noticing the interval relationship. Flying notation, scale ring, sound ladder, sound pillar, finger score was used for interval coaching. Rhythm coaching starts from making students familiar with beat. While coaching students about reading rhythm, feeling tune, rhythm cannon and rhythm ostinato, they are growing and keeping their rhythm sense by hitting the rhythm with their hands, speaking oral sound, moving their body Melody coaching tries to coach students sing a tone name correctly with kodaly's finger score, flying notation, moving drawing and tries to improve melody sense in their mind by inner listen study. Accord coaching tries to get an accord matching chorus naturally by 3accord, long-short 3degree accord, discord, consonant interval and teached students to listen the sound of their friends sitting beside them. Chorus coaching use the kodaly chorus sol-page program and tried to teach students make beautiful sound while listening other students sound and accord for singing responsory and antiphon, singing organum, singing ostinato, singing 2part, singing troll is adapted by degrees. Fore and after questionnaire investigation was used to make this study for chorus coaching more useful. In the fore questionnaire investigation, chorus class condition was analyzed by the investigation about chorus class's organization and operation, student's basic question about music. Kodaly teaching method was applied to these investigation and studied chorus coaching method. Investigated coaching method was applied to the students. After class, questionnaire investigated whether there som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apply kodaly teaching method and necessity of application for kodaly teaching method. After analysis, conclusion was made for this study. Short result of after questionnaire investigation abou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appling kodaly teaching method are as follows: 1. Students who cannot read musical score can read and understand musical score when they sing a song. 2. They can get more self confidence for their sound than the past. 3. They can adjust their sound while listenign other student's sound. 4. They can feel accord of sound. 5. They can enjoy sing a song. Generally, students show the positive reaction to chorus class using and they became have interest for the new coaching class method. Chorus class using kodaly teaching method need more teacher's effort than the student's effort. Although there are only few class time and wish to make students who start taking chorus class experience more music, kodaly teaching method will be very helpful for chorus class. I wish efficient coaching method for middle school chorus class studied more frequently. 본 연구는 효율적인 중학교 합창반 수업을 위하여 코다이 교수법을 활용하여 합창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현재 합창반 수업과 같은 특별활동시간이 한 달에 2번에서 3번으로 수업시수가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학생들은 합창을 통한 리듬, 가락, 화성, 음정에 대한 충분한 음악적 경험을 해보지 못한 채, 지도악곡을 듣고 따라 부르는 방법의 합창수업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어려움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나 학생들이 짧은 시간의 수업 속에서도 합창에서 경험할 수 있는 음악적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서 코다이 합창 교수법을 활용하여 중학교 합창 반 수준에 맞는 단계적인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합창지도안을 연구하여 합창수업에 실제로 적용하였다. 합창지도의 내용은 음정지도, 리듬지도, 가락지도, 화음지도, 합창지도로 하였다. 첫째 음정지도에서는 음정 관계를 듣고, 느끼고, 앎으로 그 것을 정확하게 부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둘째 리듬지도는 기본 박을 익히는 것부터 하여 리듬읽기, 마디 느끼기, 리듬캐논, 리듬 오스티나토를 지도하면서 학생들이 손으로 리듬을 치고, 구음으로 말하고, 신체 활동으로 몸을 사용하며 리듬감각을 익혀 계속해서 리듬 감각을 유지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가락지도는 음정지도에서 활용하였던 코다이의 손가락 악보, 날으는 음표, 이동도법으로 계이름 읽기를 정확한 음으로 노래할 수 있도록 지도하였으며 내청학습을 통하여 마음속에 노래를 부르는 음정 감각을 키우도록 하였다. 넷째 화음지도는 합창에 어울리는 화음을 자연스럽게 터득하게 하였으며, 옆 사람의 소리를 듣는 연습을 하도록 지도하였다. 마지막으로 합창지도는 코다이 합창 솔페이지의 프로그램를 활용하였다. 그 중 웅창과 교창으로 부르기, 오르가눔 형태의 노래 부르기, 오스티나토로 노래부르기, 2성부 노래 부르기, 돌림노래 부르기를 단계적으로 적용하므로 서로의 소리와 화음의 울림을 들으며 합창반의 음색을 아름답게 맞추어 나가도록 지도하였다. 합창지도에 관한 본 연구를 활용하는 데에 보다 유용하게 사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전, 사후 설문검사를 통해 분석하여 연구하였다. 사전 설문에서는 합창반 수업을 하기 전 합창반의 구성과 운영, 개인의 음악에 대한 기초적인 질문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합창반의 상태를 분석하고 이에 맞게 코다이 교수법을 적용하여 합창 지도안을 연구하여 학생들에게 적용하였으며 수업 후에는 사후 설문검사를 통하여 학생들에게 코다이 교수법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차이점이 있었는지에 대한 조사, 그리고 코다이 교수법 적용의 필요성에 대하여 조사를 하여 분석하고 본 연구에 대한 결론을 이끌어냈다. 사후 설문검사에서 코다이 교수법을 적용한 지도를 하기 전과 후의 차이점으로 대답한 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악보를 전혀 보지 못했던 학생들을 포함하여 악보를 보고 노래를 부를 때 이해하며 부를 수 있었다. 둘째, 자신이 내는 음정에 대하여 예전보다 자신감을 가질 수 있었다. 셋째, 다른 사람의 소리를 들으며 자신의 소리를 맞출 수 있었다 넷째, 화음의 울림을 느낄 수 있었다. 다섯째, 즐겁게 노래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코다이 교수법을 활용한 합창반 수업에 대하여 학생들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새로운 수업방법에 흥미와 관심을 가졌다.
가족건강성과 또래관계 및 자기결정성 동기가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 약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가족건강성, 또래관계, 자기결정성 동기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와 가족건강성, 또래관계, 자기결정성 동기가 학교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학생의 다양한 개인차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여 청소년들이 보다 건강하고 학교적응을 잘 하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가족건강성, 또래관계 및 자기결정성 동기와 학교적응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중학생의 가족건강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중학생의 또래관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중학생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다섯째, 중학생의 가족건강성, 또래관계, 자기결정성 학습동기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부산 지역에 위치한 중학교 4개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738부의 설문지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등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가족건강성, 또래관계, 자기결정성 동기와 학교적응의 하위변인들은 대부분 하위변인들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가족건강성이 높을수록 학교적응이 높아졌으며, 가족건강성 하위요인 중 가족가치체계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또래관계의 수준이 높을수록 학교적응도 높아지고 있으며, 또래관계의 하위 요인 중 정서적 지지의 영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자기결정성 동기중 무동기와 외적내사조절 수준이 낮으면 낮을수록, 그리고 내재동기와 확인통합조절이 높으면 높을수록 학교적응 수준도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적응에 대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가족건강성으로 나타났으며, 또래관계, 자기결정성 동기의 순으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중학생들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가족간의 건강한 가치체계를 공유할 수 있도록 목표를 공유하고, 무엇이 중요한 것인가에 대한 생각도 공유하여, 전통과 가족사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가족 전통을 아는 가족이 되어야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부모훈련프로그램, 가족 알아가기 프로그램 등이 개발되어 학교와 지역사회기관에서 이루어져야겠다. 이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적응의 문제를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가족관계, 또래관계까지 고려하여 살펴봄으로써 학교부적응의 문제를 다각적으로 접근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방안을 찾아갈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교 현장에서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