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립대학 행정조직 구성원의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행복플로리시의 매개효과와 오센틱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용석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사립대학 조직구성원의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행복플로리시의 매개효과와 오센틱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직몰입은 구성원이 개인과 조직을 동일시하여 조직에 헌신하면서 조직에 계속 남아 있으려는 심리상태로 조직효과성을 나타내는 보편적인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사립대학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 제고를 위한 원인변수로 조직공정성을 선정하였다. 조직공정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조직몰입뿐만 아니라 조직시민행동 같은 조직 행동을 유의하게 설명해 준다. 또한, 최근 ‘일과 삶의 균형’ 풍조와 함께 개인 및 직장에서의 행복 추구 경향에 맞춰 행복플로리시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였다. 직장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되는 리더십으로 긍정심리와 내면화된 도덕적 관념으로 형성되는 오센틱리더십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조직공정성이 행복플로리시를 매개하여 조직몰입에 이르는 경로를 강화시키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대전·충청지역 소재 대학에 근무하는 행정직원 534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SPSS 25.0과 PROCESS macro 4.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조직공정성은 조직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분배공정성은 정서적몰입, 지속적몰입, 규범적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절차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은 정서적몰입과 규범적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지속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조직공정성과 그 하위변수는 행복플로리시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행복플로리시는 조직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행복플로리시가 정서적몰입, 규범적몰입에는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지속적몰입 부(-)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조직공정성과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행복플로리시의 정(+)적인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의 하위변수 간의 관계에서도 행복플로리시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조직공정성의 3개 하위요인이 행복플로리시를 경유하여 지속적몰입에 이르는 경로에서는 부(-)의 간접효과가 있어 부적 매개효과 있었다. 다섯째, 조직공정성과 행복플로리시 간의 관계에서 오센틱리더십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조직공정성이 높아지면 행복플로리시도 높아지는데, 오센틱리더십이 높을수록 이러한 증가가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 상승효과가 있었다. 여섯째,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서 행복플로리시의 매개효과는 오센틱리더십에 따라 조절되었다.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 행복플로리시의 매개효과는 상사의 오센틱리더십 지각이 높을수록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조직공정성의 하위변수와과 조직몰입의 하위변수 간의 관계에 있어서 행복플로리시의 매개효과 또한 오센틱리더십에 따라 조절되었고, 상사의 오센틱리더십 지각이 높을수록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과 지속적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행복플로리시의 매개효과도 오센틱리더십에 따라 조절되었으나, 상사의 오센틱리더십 지각이 높을수록 부적 효과가 강화되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립대학 행정조직 구성원의 행복플로리시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공정성 인식은 분배공정성 인식이 가장 큼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립대학 행정조직 구성원의 분배공정성 인식 제고를 위해서 구조적인 제도 개선에 나설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성과에 따른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본 연구는 Diener et al.(2010)이 개발한 플로리싱 척도와 긍정적 정서 및 부정적 정서 척도을 사용하여 사립대학 행정조직 구성원의 행복플로리시를 측정하고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는 국내에서의 행복플로리시에 대한 연구 영역을 확장했다는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 투입된 변수 중 지속적몰입은 선행연구(Cohen, 2003; Dunham, Grube, & Castaneda, 1994; Hackett, Bycio, & Hausdorf, 1994; Ko, Price & Mueller, 1997; Meyer et al., 2002)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연구에 투입된 다른 변수와 상관관계가 매우 낮거나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 전반적 조직몰입의 개념을 수렴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조직공정성이 행복플로리시를 높이고 조직몰입을 높이는 인과관계를 강화하는 대안변수로 오센틱리더십의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조직경영과 인적자원 개발의 측면에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아울러 직원의 역량개발을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근거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오센틱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팔로워십의 매개효과

        이소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기업을 포함하여 각 분야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오센틱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팔로워십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오센틱 리더십이란 리더가 높은 도덕적 가치로 자아를 인식하고 일관되며, 윤리적인 자기 규제를 통해 리더 자신과 구성원들의 긍정적 심리역량과 도덕적 분위기 및 긍정적 자기개발을 촉진하고 증진하는 리더의 행동양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리더의 오센틱 리더십이 독자적으로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또한 오센틱 리더십이 팔로워십을 통해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았다. 그 결과, 오센틱 리더십은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센틱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팔로워십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오센틱 리더십을 통해 조직구성원들과의 관계를 강화하여 팔로워십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한 오센틱 리더십과 팔로워십의 강화방안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 되었다.

      • 미용 종사자의 오센틱 리더십과 이미지 관리 행동,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조직변화의 매개효과

        이선영 서경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32319

        오늘날 현대인들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자신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며, 개인만이 아닌 특정 목표와 그 목표를 이루고자 하는 조직 내에서도 나타난다. 대부분의 조직은 생존과 유지, 성과와 성장을 위해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조직 구성원의 내적·외적 역량을 강화시키는 다양한 인적 관리와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리더의 효율적인 리더십이 필요하다. 조직 구성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이끌어 내고 이를 바탕으로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헌신과 노력을 유도하게 만드는 리더십이 필수적인 요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경쟁이 치열해지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구성원 개인의 능력뿐 아니라 타인과 끊임없는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 삶을 영위해 나가기 때문에 상대방에 대한 지각은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용 종사자의 오센틱 리더십과 이미지 관리 행동을 통해 리더십의 실증적인 분석과 함께 최종적인 자아 이미지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미용 종사자의 오센틱 리더십과 이미지 관리 행동,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조직변화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조직문화를 위한 진정성 있는 올바른 리더십의 방향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이미지 관리 행동의 형성을 통해 미용 산업에 보다 넓게 접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한 표본 조사는 서울·경기 지역의 미용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 조치가 해제 됨과 동시에 자기 기입식 설문지법(Self-administered Queationnaire Survey Method)을 사용하여 직접 연구의 대상자가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의 경우 여자가 남자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결혼 여부의 경우 미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의 요인분석 결과는 오센틱 리더십은 ‘자기규제’와 ‘자기인식’, 이미지 관리 행동은 ‘내적 이미지’ 와 ‘외적 이미지’, 조직변화의 요인분석은 ‘정서적 변화’ 와 ‘구조적 변화’, 조직성과의 요인분석 결과는 ‘능률성’과 ‘효과성’의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용 종사자의 오센틱 리더십, 이미지 관리 행동, 조직변화와 조직성과의 차이는 성별에 따른 오센틱 리더십을 알아본 결과 자기인식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성의 평균이 남성의 평균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오센틱 리더십이 조직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구조적 변화는 오센틱 리더십의 자기규제, 자기인식 요인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규, 자기인식 순으로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규제, 자기인식이 높아질수록 구조적 변화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오센틱 리더의 신뢰적 행동이 높아질수록 조직 구성원들의 수준 높은 조직변화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진솔하고 진정한 대인관계와 공정하고 투명한 윤리 규범을 따르는 신념있는 행동이 조직을 잘 이끌어 나아갈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다섯째, 오센틱 리더십과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조직변화의 매개효과를알아본 결과, 2단계 검증에서 자기규제는 조직성과의 하위요인인 능률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4단계에서 조직변화의 구조적 변화를 투입했을 때,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으므로 구조적 변화의 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이미지 관리 행동이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조직변화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외적 이미지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2단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나 4단계에서 조직변화의 정서적 변화와 구조적 변화를 투입했을 때, 회귀계수 값이 늘어나 정서적 변화와 구조적 변화의 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수 없어 기각되었다. 이는 외모지상주의가 팽배한 현재의 사회는 다른 사람을 평가하는 기준을 모두 외모에 두고 있지만 외모를 가꾸어 내는 기본 바탕은 내면적 가치에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결과로 보여진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미용 종사자의 오센틱 리더십은 자신의 실수에 대한 솔직한 인정과 올바른 생각을 담아 격려하고 자신과 반대되는 의견 또한 받아들여 내면화된 도덕적 관점과 자신의 핵심가치를 바탕으로 의사를 결정하는 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리더십은 결국 자신의 변화를 가져와 조직 구성원들과 친화적이고 진취적인 조직문화를 형성하도록 이끌어가는 태도를 통해 긍정적인 조직변화와 함께 조직성과에도 큰 힘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진의 매개효과와 오센틱 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 중심으로

        나수양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는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진의 매개효과와 오센틱 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여 가설을 검증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소재 K1, K2 대학병원 간호사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3월 21일부터 5월 6일까지이며, 연구에 참여하기로 자발적 동의를 얻어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최종 22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로 이직의도는 Wayne, Shore와 Liden(1997)이 개발한 도구를 이진복(2014)이 번역한 5개의 문항과 Lyons(1971)의 연구를 참고하여 휴직 후 복직의사를 묻는 한 개의 문항을 추가하여 측정하였으며, 소진은 Maslach와 Jackson(1981)에 의해 개발된 한국어 버전의 Maslach Burnout Inventory(MBI), 감정노동은 Brotheridge와 Lee(2003)에 의해 개발되었고 서미라(2013)에 의해 번역된 Emotional Labor Scale(ELS), 오센틱 리더십은 Avolio, Gardner와 Walumbwa(2007)에 의해 개발된 한국어 버전의 Authentic Leadership Questionnaire(ALQ)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분석 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조절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조절된 매개효과 지수(Index of Moderated Mediation)에 대한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검정을 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로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이직의도는 7점 만점에 평균 4.1(±1.07), 소진의 감정고갈은 5점 만점에 3.57(±0.59), 자아성취감은 3.38(±0.43), 감정노동의 표면행위는 5점 만점에 3.45(±0.73), 내면행위는 2.91(±0.70), 간호사가 지각하는 상사의 오센틱 리더십은 4점 만점에 2.22(±0.68)점으로 나타났다. 2) 변수별 영향관계에서는 감정노동의 표면행위가 소진의 감정고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이 있었고, 소진의 자아성취감에는 부(-)적 영향이 있었다. 감정노동의 내면행위는 소진의 자아성취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이 있었다. 소진의 감정고갈은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이 있었고 자아성취감은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이 있었다. 3) 매개효과에서는 감정노동의 표면행위가 소진의 감정고갈 및 자아성취감을 매개하여 이직의도로 가는 경로가 유의 하였으며, 감정노동의 내면행위가 소진의 자아성취감을 매개하여 이직의도로 가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4) 오센틱 리더십의 조절효과는 감정노동의 표면행위와 소진의 감정고갈 사이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5) 오센틱 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감정노동의 표면행위가 소진의 감정고갈을 매개로 하여 이직의도로 가는 경로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간호사가 표면적 감정노동을 많이 수행할수록 감정고갈과 자아성취감 저하를 경험하게 되고 이러한 소진상태는 이직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면적 감정노동을 수행하게 되면 자아성취감이 증가하게 되어 이직의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표면행위로 인한 감정고갈이 이직의도로 가는 경로에서 상사가 오센틱 리더십을 발휘하게 되면 이직의도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 관리자들은 간호사들의 내면행위를 강화시키고 표면행위를 줄임으로써 소진과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고, 오센틱 리더십의 효과의 증대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총장의 오센틱 리더십, 조직 학습 문화, 행정 직원의 심리자본과 자기주도학습 및 오센틱 리더십 간의 구조적 관계 : 사립대학교를 중심으로

        박시남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32319

        본 연구의 목적은 사립대학교 행정 직원의 오센틱 리더십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총장의 오센틱 리더십, 조직 학습 문화, 행정 직원의 심리자본 및 자기주도학습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장의 오센틱 리더십은 조직 학습 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총장의 오센틱 리더십과 조직 학습 문화는 행정 직원의 심리자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총장의 오센틱 리더십, 조직 학습 문화, 행정 직원의 심리자본은 자기주도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총장의 오센틱 리더십, 조직 학습 문화와 행정 직원의 심리자본 및 자기주도학습은 오센틱 리더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대학 행정 조직의 형태인 팀제와 과부제에 따라 각 잠재변인 간 잠재평균의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고 20개 사립대학교에서 근무하는 745명의 정규 직원이 표본으로 추출되었다. 연구모델을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수집한 자료는 AMOS(18.0)와 Mplus(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이 활용되었다. 구조방정식 통계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장의 오센틱 리더십이 조직 학습 문화에 긍정적 직접효과가 있다. 둘째, 총장의 오센틱 리더십이 행정 직원의 심리자본에 긍정적 직접효과가 있고 조직 학습 문화를 통한 간접효과가 있다. 셋째, 총장의 오센틱 리더십이 행정 직원의 자기주도학습에 긍정적 직접효과는 없으나 조직 학습 문화와 행정 직원의 심리자본을 통한 간접효과가 있다. 넷째, 사립대학교에서 행정 직원의 오센틱 리더십 개발에 총장의 오센틱 리더십이 긍정적 직접효과와 조직 학습 문화, 행정 직원의 심리자본 및 자기주도학습을 통한 간접효과가 있다. 다섯째, 팀제가 도입된 사립대학교가 과부제를 시행하는 대학보다 총장의 오센틱 리더십, 조직 학습 문화, 행정 직원의 심리자본, 자기주도학습 및 오센틱 리더십의 잠재평균이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도출된 결론은 총장의 오센틱 리더십이 조직 학습 문화, 행정 직원의 심리자본 및 자기주도학습을 통하여 행정 직원의 오센틱 리더십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특히 총장의 오센틱 리더십은 행정 직원의 오센틱 리더십에 영향력 있는 주요 변인이었다. 또한, 행정 직원의 심리자본 및 자기주도학습을 통한 간접효과가 실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직 학습 문화가 행정 직원의 오센틱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행정 직원의 심리자본 및 자기주도학습을 통하여 오센틱 리더십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해 볼 때 조직 학습 문화는 행정 직원의 오센틱 리더십을 향상시키는 데 여전히 중요한 변인 임이 추론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residents' authentic leadership,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administrat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directed learning and authentic leadership at private universities in order to seek for the administrators' authentic leadership development.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at influence did presidents' authentic leadership have on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Second, what influences did presidents'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have on the administrat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rd, what influences did presidents' authentic leadership,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and administrat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ve on self-directed learning? Fourth, what influences did presidents' authentic leadership,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administrat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elf-directed learning have on authentic leadership? Fifth, what differences of latent means did there exist among latent variables between bureaucracy and team structure at private universitie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sample(n=745) was drawn from administrators at 20 private universitie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zed research mod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18.0) and Mplus(6.0) program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from SEM were as follows. First, presidents' authentic leadership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Second, presidents' authentic leadership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administrat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had a indirect positive influence through the intervening variable of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Third, presidents' authentic leadership had no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administrators' self-directed learning but had indirect positive influences through the intervening variables of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and administrat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urth, presidents' authentic leadership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administrators' authentic leadership and had indirect positive influences through the intervening variables of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administrat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elf-directed learning. Fifth, all latent means were higher in team structure than those in bureaucracy at private universities. Conclusions fro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xistence of positive influences of presidents' authentic leadership,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administrat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elf-directed learning with authentic leadership at private universities. In particular, presidents' authentic leadership had the most influential effect on administrators' authentic leadership. In addition, administrat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elf-directed learning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s. Although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is study,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for administrat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elf-directed learning. With research indicating that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had affected administrat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elf-directed learning, it may be inferred that enhancing organization learning culture would be still an effective way to boost administrators' authentic leadership.

      • 학교장의 오센틱 리더십이 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 조직성과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이경민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32319

        School education is facing challenges and conflicts in the midst of a whirlpool of change and reform, as the government has been drastically expanding the autonomy of school curriculum operation by only providing the basic framework of curriculum for every school to operate a specialized curriculum. To solve this problem, the school principal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of the school must demonstrate a changed leadership for education alactivities that are suitable for this new era. Because there is a constant interaction between th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leadership of the principal, the school principal should strive to demonstrate leadership to develop the culture and atmosphere of the school in a positive direction. For this purpose, research is necessary to explore effective leadership that cultivates positiv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In addition, another core member of the school organization that achieves school educational goals and leads competitiveness is the teacher. The teacher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school organization, achieving the continuous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school organization together with the school principal. To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the role of the school principal and the efficacy of teachers are important in achieving the goals of the school organization through the principal’s leadership based on the teachers’ efforts. The leadership of the school principal is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affects teacher 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role conflict between teachers. Therefore, the principal should be equipped with an insight into the future, possessing genuine leadership qualities to persuade and communicate based on integrity, empathy, trust and responsibility. They should demonstrate authentic leadership with a genuine sense of calling and responsibility for the teachers, so that the school organization can reach greater achiev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he principal’s authentic leadership and the teacher’s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and to analyse the effect of the principal’s authentic leadership and the teacher’s self-efficac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verification between the variables, and als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gainst food service and culinary arts teachers of vocational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other area. A total of 292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empirically using the statistics programs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chool principal’s authentic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of the sub-variables of the teacher’s self-efficacy, including preference of assignment difficulty, self-regulation efficacy and confidence. From the teacher’s self-efficacy, only preference of assignment difficult and self-regulation 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 continuous commitment and emotional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 only the self-regulation efficacy of the teache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and the authentic leadership of the school principal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Such results imply that the trustful behavior and authenticity of the school principal can heighten the self-efficacy of teachers. Teachers with low teacher efficacy should be provided with more opportunities to develop their career, and efficacy should be improved by applying individual segmented leadership. In addi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uld be encouraged by clearly presenting the school’s vision and a sense of purpose to the teachers and allowing them to empathize with the sense of school community. The principal should strive to increas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expansion of programs to improve educational curriculum, training by external lecturers, and steady efforts to develop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teachers. They should also present accurate information and solutions for government policy changes to the teachers with authenticity and sense of trust, and demonstrate authentic leadership that can increas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staff.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al’s authentic leadership and the teacher’s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variables. A scale of segmented authentic leadership that is suitable for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working at vocational schools must be developed, and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vocational school, leadership type of the principal and the occupation. 최근의 학교교육 현장은 모든 학교가 특성화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국가는 교육과정 운영의 기본 틀만을 제시함으로써 학교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을 대폭 확대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변화와 개혁의 소용돌이 속에 갈등과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경영을 책임지고 있는 학교장이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교육활동을 위해서 변화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학교조직문화와 학교장의 리더십 간에는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에 학교장은 리더십을 발휘하여 학교의 문화와 풍토를 긍정적으로 발전시키도록 노력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 바람직하고 긍정적인 학교조직문화를 조성하는 효과적인 리더십이 무엇인지 대한 연구가 요구 되고 있다. 또한, 학교조직에서의 학교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고 경쟁력을 주도하는 또 하나의 학교조직의 중심 구성원은 교사이고 학교조직의 계속적인 변화와 발전을 학교장과 함께 이루어 가는 학교조직에서의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학교교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교장의 리더십은 교사들의 노력을 바탕으로 학교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학교장의 역할과 교사의 효능감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학교장의 리더십은 교사간의 역할 갈등, 교사 효능감. 조직 몰입,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 한다. 이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는 학교장은 미래에 대한 통찰력을 갖추고, 정직, 공감, 신뢰 및 책임감을 바탕으로 설득하고 소통하는 진정성 리더십의 소유자여야 할 것이며, 진정성 있는 사명감과 교사에 대한 책임감으로 학교조직이 더 많은 성과를 이룰 수 있도록 오센틱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장의 오센틱 리더십, 교사의 자기 효능감, 조직몰입 및 조직성과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들 변인 간의 검증을 통하여 학교장의 오센틱 리더십, 교사의 자기 효능감이 조직몰입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수도권과 기타지역에 내 외식조리전공 직업전문학교에 근무 중인 훈련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92부를 실증분석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18.0과 AMOS 18.0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학교장의 오센틱 리더십은 교사의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인 과제난이도선호,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자기효능감은 조직몰입 하위변인인 지속적 몰입과 정서적 몰입에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기조절효능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조직성과와의 관계에서는 교사의 자기조절효능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학교장의 오센틱 리더십이 조직몰입, 조직성과간의 관계에서도 모두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장의 신뢰적 행동과 진정성이 교사들의 자기 효능감을 높일 수 있으며, 교사 효능감이 낮은 교사들에게는 좀 더 경력개발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교사들의 개인의 세분화된 리더십을 적용시켜 효능감을 상승 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교사들에게 학교의 비젼과 목표의식을 확실히 인지시키고 학교 공동체 의식을 공감시켜 조직몰입을 시키고 교사들 간의 원할한 소통과 대인관계 발전을 위한 꾸준한 노력, 외부 인사를 통한 교육과, 교육의 커리큘럼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확대시켜 조직성과를 올릴 수 있도록 학교장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학교장의 진정성과 신뢰감을 갖고 교사들에게 정확한 정보와 국가정책 변화에 해결방안을 제시하며 교직원들의 조직몰입과 조직성과가 높일 수 있는 오센틱 리더십을 적극 발휘하여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장의 오센틱리더십, 교사의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조직성과간의 변인들의 관점에 맞춰 관계가 어떻게 있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직업전문학교에 현장에 근무하는 직업훈련교사들에게 적합한 세분화된 오센틱 리더십의 척도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직업학교의 규모나, 학교장의 리더십형태, 직종에 따른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 되어야 할 것이다.

      • 오센틱 리더십이 부하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검증

        정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2319

        최근 기업을 둘러싼 환경의 불확실성, 급변하는 변화로 인해 기업은 이에 어떻게 대응하고 조직성과 향상을 꾀할 것인가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다. 전통적인 조직 환경에 있어서는 일방적이고 강압적인 리더십으로 조직 구성원을 통제했던 모습에 반해, 현재는 조직 구성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이끌어 내고 이를 바탕으로 직무에 대한 몰입,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헌신과 노력을 유도할 수 있게끔 만들 수 있는 오센틱 리더십이 필수적인 요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 확장으로서 오센틱 리더십이 부하의 성과(조직 몰입, 조직시민행동) 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인 모델로 실증하고자 했다. 이와 더불어 임파워먼트이 이들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오센틱 리더십과 부하의 성과 사이의 매개변수로서 조직의 창의성과 자율성을 될 수 있다고 판단된 심리적인 임파워먼트를 중점에 두고 연구하였다. 이론적 모형 및 가설 검증을 위해서 본 연구는 광주․ 전남 지역의 9개 조직, 130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배포했으나 불완전하게 응답한 설문 및 수집되지 않은 설문을 제외한 120부의 설문이 가설검증에 사용되었다. 연구를 통한 가설 검증 결과 발견한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센틱 리더십이 성과변수인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OCB-I, OCB-O) 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는 임파워먼트가 오센틱 리더십과 조직몰입, 오센틱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OCB-I, OCB-O)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발견에 근거하여 연구의 한계점에 대한 논의를 할 것이며, 향후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고자한다. Enterprises are constantly considering, how to deal with the uncertainties and variations in circumstance, and improve the harvest of enterprises. Contrary to the traditionally one-sided and suppressive control from leader to fellows, people realized authentic leadership is a necessary element in enterprises, which is subject to improving the freedom and creativity of fellows, and aimed at provoking their willingness and innovation. This work is an expansion of basic researches. We analyzed by the model of the influences from authentic leadership to the achievement of followers' work engagement and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Meanwhile, we studied the mediating of effect of empowerment.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authentic leadeship and the achievement of followers is studied around the empowerment, which is improving the creativity and freedom of followers. To testify the theoretical models hypothetically, my thesis surveyed the questionnaires to 130 fellows from 9 organizations of Chonnam Guangzhu area. Except for the unfinished and uncollected questionnaires, we totally gathered 120 pieces of questionnaires to testify the hypothesis. The results are listed as follow: 1 Authentic leadership positively influences the work engagement and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2 Considering the mediating of effect of empowerment, the research result is that empowerment is the medium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work engagement, and also the medium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The hypothesis is partly supported. So we also point out the limit of this thesis, which will be helpful for subsequent research.

      • 오센틱 리더십이 대학 스포츠 선수의 심리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모델

        양진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32319

        대학 스포츠 팀은 엘리트 선수양성과 모교 명성의 고취 그리고 재학생과 동문의 자긍심 함양과 더불어 우수한 고등학교 선수 수급 기여 등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반면 대학 스포츠 팀 지도자에 의한 잘못된 승리지상주의에 대한 집착은 스포츠 본질에 대한 왜곡뿐만 아니라 기능적인 변질을 초래하여 반기능적 현상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학 스포츠 팀 지도자의 품성과 진정성을 바탕으로 한 리더십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새로운 리더십의 패러다임으로 오센틱 리더십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변혁적 리더십이나 카리스마 리더십 그리고 서번트 리더십 및 윤리적 리더십과 비교하여 오센틱 리더십이 이를 아우를 수 있는 근간이 되는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리더 개인의 신념과 가치 및 긍정적 역량을 중요시하고 구성원과 밀접한 관계 형성과 긍정적 역할모델링을 통해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는 리더십으로 작용되기 때문이다. 특히 인적자원이 중요한 대학 스포츠 팀 선수들의 효과적인 역량 개발을 통하여 지도자와 팀이 추구하는 목표 이상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수단으로 작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센틱 리더십이 대학 스포츠 선수의 심리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모델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3년 수도권 소재의 대학 스포츠 팀 선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355부의 통계자료를 확보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통계분석으로는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 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측정항목을 정제하였으며, 이를 통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 검증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오센틱 리더십은 대학 스포츠 선수의 지도자 신뢰와 동일시 및 심리적 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대학 스포츠 선수가 지각한 지도자 신뢰는 지도자 동일시와 심리적 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대학 스포츠 선수가 지각한 지도자 동일시는 심리적 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오센틱 리더십과 지도자 동일시 간의 관계에서 지도자 신뢰는 부분매개하며, 오센틱 리더십과 심리적 자본과의 관계에서 지도자 신뢰와 지도자 동일시가 부분 매개된다. 또한 대학 스포츠 지도자 신뢰와 심리적 자본의 관계에서 지도자 동일시는 부분매개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오센틱 리더십이 지도자 신뢰와 동일시를 통하여 선수들의 심리적 자본을 형성할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이에 대학 스포츠 지도자는 자신을 먼저 돌이켜 보며 올바른 품성을 지닐 수 있도록 노력하고 이를 실천할 필요성을 확보하였다. 특히 오센틱적 성향은 개발될 수 있기 때문에 지도자의 작은 실천으로 시작된 오센틱 리더십은 지도자가 책임지는 팀과 선수 모두에게 긍정적 변화와 더불어 최종적으로 팀이 추구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됨을 시사한다.

      • 국립대학 중간 행정관리자의 오센틱 리더십, 학습조직 수준, 직원의 자기효능감과 조직유효성 간의 구조적 관계

        선태무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32317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 대학들이 학령인구의 감소와 대학재정의 감축 등 위기상황을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대학의 인적자원 개발을 통한 조직유효성 제고가 중요하다는 인식하에, 대학교 중간 행정관리자의 오센틱 리더십, 대학의 학습조직 수준, 행정직원들의 자기효능감, 대학의 조직유효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대학의 조직유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간 행정관리자의 오센틱 리더십, 학습조직 수준, 직원들의 자기효능감은 조직유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중간행정관리자의 오센틱 리더십과 학습조직 수준은 행정직원들의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중간행정관리자의 오센틱 리더십은 대학의 학습조직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전국의 20개 국립 대학교에서 근무하는 정규직원으로 683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18.0)와 AMOS(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델링 기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간 행정관리자의 오센틱 리더십, 학습조직 수준, 그리고 행정직원들의 자기효능감은 모두가 각각 조직유효성에 긍정적인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간행정관리자의 오센틱 리더십과 학습조직 수준은 모두가 직원들의 자기효능감에 각각 긍정적인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정관리자의 오센틱 리더십은 학습조직 수준에 긍정적인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간 행정관리자의 오센틱 리더십은 학습조직 수준과 자기효능감을 통해 조직유효성에 긍정적인 간접효과가 있었다. 다섯째, 학습조직 수준은 자기효능감을 통해 조직유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대학의 중간 행정관리자의 오센틱 리더십과 대학의 학습조직화 수준이 직원들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 대학의 조직유효성을 제고시키는 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 대학들이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극복하고 혁신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중간 행정관리자들의 오센틱 리더십 개발과 대학의 학습조직화에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mid-level administrators’ authentic leadership,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self efficacy of staff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t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at influence did mid-level administrators’ authentic leadership,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staffs’ self-efficacy hav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what influence did mid-level administrators’ authentic leadership,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have on staffs’ self-efficacy? Third, What influence did mid-level administrators’ authentic leadership have on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sample(n=638) was drawn from staffs at 20 national universitie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zed research mod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18.0)와 AMOS(22.0) program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from SEM were as follows. First, mid-level administrators’ authentic leadership,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staffs’ self-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spectively. Second, mid-level administrators’ authentic leadership and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were found to have indirect effects on staffs‘ self-efficacy respectively. Third, mid-level administrators’ authentic leadership had direct positive influences on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Forth, mid-level administrators’ authentic leadership had indirect effe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he intervening variables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staffs’ self-efficacy. Fifth,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had a in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he intervening variable of staffs’ self-efficacy. Conclusions was that the mid-level administrators’ authentic leadership and learning organization are important variables for the enhancement of the self-efficacy of staffs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particular, this study verified that authentic leadership can be the desirable leadership model of mid-level administrators’ authentic leadership in university. So, universities should exert effort on developing the authentic leadership of the mid-level administrator to keep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universities.

      • 한중 댄스스포츠 지도자의 오센틱 리더십에 따른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및 혁신행동에 관한 비교연구

        탕탕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226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compares and analyzes the effects of authentic leadership of dance sports leaders in Korea and China on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and innovative behavior, thereby forming an academic knowledge system in the field of dance sports in Korea and China, which has been lacking in the past, as well as prolonging the‘COVID-19 Pandem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expand the base of the dance sports field, which has faced a crisis due to th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s so far,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n both South Korea and China, the factor perceived most highly by dance sports participants was intellectual respect for the leader. Second, the authentic leadership,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and innovative behavior of Korean dance sports leaders showed differences in al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the authentic leadership,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and innovative behavior of Chinese dance sports leaders differed only by age. Third, the authentic leadership of Korean dance sports leaders partially affected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and innovative behavior. Authentic leadership of Chinese dance sports leaders partially influenced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and innovative behavior. Fourth,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of Korean dance sports leaders partially affected the innovation behavior. The leader-member exchange of Chinese dance sport leaders partially influenced innovation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