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기통제력 및 음식에 대한 쾌락적 반응에 따른 외식소비자의 영양정보표시 이용과 건강메뉴 선택

        박정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Nowadays, chronic diseases, such as obesity or hypertension, are the leading cause of mortality in the world. Research indicated that an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eating out may be a key contributor to such chronic diseases. Menu labelling law has been implemented as a means to fight against the health issue in many countries. Although menu labelling has been positively perceived by restaurant customers, more than fifty percent of restaurant customers did not use the menu labels for menu selection. Research suggested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factors in eating out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self-control and hedonic responses to food in menu label use and healthy menu selection. Specificall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elf-control, hedonic responses to food, menu label use, and healthy menu sele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2) to identify the impact the levels of self-control has on the gap between menu label use and healthy menu selection, and (3)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gap by the levels of hedonic responses to food. An online, self-administrated survey was distributed by a research company in November, 2015. The sample of the study was restaurant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d menu label in the three months at the time of the survey. Among the 2,280 surveys distributed to the panels of the online research company, 512 surveys were returned, and 471 complete responses were enter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revealed that hedonic responses to food, menu label use, and healthy menu selection, respectively, is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Self-control, hedonic responses to food, and healthy menu selection, respectively, is different according to age. Besides, self-control and hedonic responses to food, respectively, is different according to frequency of eating out, while menu label use is different according to BMI. While menu label us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s of self-control, healthy menu select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s of hedonic responses to food. In addition, participants showed a gap between menu label use and healthy menu selection, which is differed by the levels of self-control and hedonic responses to food. The findings from the study offer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and practitioners. The results from the study extends the body of knowledge in healthy eating behaviors and public health by examining psychological factors in relation to menu label use and healthy menu selection. The study results may offer the basis for policy makers in developing guideline for menu labeling, such as the number of nutrients to be stated in menu labels. Restaurateurs may formulate strategies to increase the revenues for healthy menus by adding hedonic values to healthy menus, while menu labels are provided. 현대 사회에서 비만, 고혈압, 당뇨 등의 만성질환의 증가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외식은 이러한 만성질환 유발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외식행동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요인을 이해함으로써,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통한 국민들의 건강증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외식소비자들의 영양정보표시 이용과 건강메뉴 선택 간의 차이 및 관계를 파악하고, 두 변수 간의 차이에서 자기통제력과 음식에 대한 쾌락적 반응의 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세부목표는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기통제력, 음식에 대한 쾌락적 반응, 외식영양정보표시 이용, 건강메뉴 선택의 차이를 파악하고, 둘째, 자기통제력이 외식 영양정보표시 이용과 건강메뉴 선택 간의 차이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며, 마지막으로 음식에 대한 쾌락적 반응이 외식 영양정보표시 이용과 건강메뉴 선택 간의 차이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5년 11월 3일부터 11월 6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Survey)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표본은 최근 3개월 이내에 외식영양정보표시를 이용한 적이 있는 만 18세 이상의 외식소비자이며, 표본의 추출은 우리나라 외식인구 조성을 기준으로 한 할당표집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2,280명에게 메일로 발송되었고, 그 중 512부가 회수되었으며, 최종적으로 471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유효응답률 20.7%). 분석 결과, 자기통제력, 음식에 대한 쾌락적 반응, 외식영양정보표시 이용, 건강메뉴 선택은 성별, 나이, 외식빈도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외식영양정보표시 이용과 건강메뉴 선택 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자기통제력과 음식에 대한 쾌락적 반응에 따라 이 차이의 정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통제력이 높은 집단과 음식에 대한 쾌락적 반응이 낮은 집단은 외식영양정보표시 이용과 건강메뉴 선택 간의 차이가 적었으나, 자기통제력이 낮거나 음식에 대한 쾌락적 반응이 높은 사람들은 외식영양정보표시 이용과 건강메뉴 선택 간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메뉴의 판매를 증진시키고, 이에 외식영양정보표시 제도가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자기통제력 및 음식에 대한 쾌락적 반응을 고려한 전략이 필요하다. 영양 정책적으로는 외식영양정보표시 제도를 꾸준히 확대하되, 외식영양정보표시 제공 방식에 대한 숙고가 필요하며, 영양교육 및 홍보가 지속적으로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외식업체 입장에서는 외식영양정보표시를 제공함과 동시에 건강메뉴에 쾌락적인 가치를 부여한다면, 건강메뉴 판매로 인한 소비자들의 긍정적 인식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 경기 일부지역 초등학생의 식품구성자전거와 식생활지침에 대한 이해도와 실천도의 연구

        홍은경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식품구성자전거와 어린이를 위한 식생활지침에 대한 이해도를 분석하고 영양정보를 통한 실천도를 파악하여 향후 학생들에게 영양정보에 대한 교육방법을 제시하고 영양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설문조사는 2012년 9월 용인시 초등학생 5, 6학년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Open-ended question)의 형태로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 중 남학생은 58명(53.7%), 여학생은 50명(46.3%)이고, 5학년은 50명(46.3%), 6학년은 58명(53.7%)이다. BMI는 저체중군 42명(38.9%), 정상 49명(45.4%), 위험체중 10명(9.3%), 비만 7명(6.5%)이고 가족수는 3-4명이 가장 많았다. 또한 어머니의 직업이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영양정보에 대한 관심정도는 ‘보통이다’가 가장 많았다. 식품구성자전거의 그림을 바탕으로 이해도를 파악할 수 있는 질문을 구성했다. 조사대상자의 식품구성자전거에 대한 인지도는 18.5%이고, 5학년보다 6학년의 인지도가 높았다. 하루에 섭취해야 하는 물의 양은 501-1000ml의 응답률이 높았는데, 이는 한국인 영양섭취기준(2010)보다 낮았다. 각 식품군의 이상적인 섭취량을 조사한 결과 곡류군, 고기·생선·계란·콩류, 채소류, 우유 및 유제품류는 기준섭취량보다 낮은 응답분포가 나타났고, 과일류, 유지·당류는 기준섭취량보다 높은 응답분포가 나타났다. 특히 유지·당류에 대한 남학생의 응답평균은 42g으로 실제 하루섭취량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BMI가 높을수록 과일의 하루 섭취량이 낮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식품구성자전거의 자전거의 의미를 잘 파악하고 있는 응답자는 47.2%였고, 식품구성자전거의 뒷바퀴의 식품군 비율 순서를 나열하는 질문에 남학생은 고기?생선?계란?콩류와 채소류, 과일류와 우유 및 유제품의 비율순서를 혼동했다. 식품구성자전거의 유지·당류의 그림 면적이 작은 이유는 ‘몸에 좋지 않아서’라는 응답이 69명(63.9%)으로 나타났다. 어린이를 위한 식생활지침의 각 세부지침사항을 바탕으로 질문을 구성했다. 조사대상자의 어린이를 위한 식생활 인지도는 6.0%이고, 6학년보다 5학년의 인지도가 높았으며, BMI의 위험체중, 비만군은 모두 들어본 적이 없다고 답했다. 편식의 의미, 섭취해야하는 우유의 종류, 짠 음식, 단 음식, 기름진 음식, 불량식품, 유통기한에 대한 이해도는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나, 골고루의 의미, 표준체형, ‘천천히’의 정도, 영양표시에 대한 질문에는 낮은 이해도가 나타났다. 식품구성자전거와 어린이를 위한 식생활지침을 통한 실천도에서는 ‘아침식사를 꼭 먹습니다.'(M=4.28), ‘가족과 함께 식사하도록 노력합니다.'(M=4.22)등의 일반적인 질문의 항목에 대한 실천도가 높게 나타났고, ‘채소류의 식품을 하루 분량에 맞게 섭취합니다.’(M=3.48), ‘나이에 맞는 키와 몸무게를 알아서 표준체형을 유지합니다.’(M=3.44)의 항목은 실천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영양정보의 관심도에 따른 영양정보 실천도는 영양정보에 관심이 매우 많다고 응답한 그룹의 영양정보 실천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식품구성자전거와 어린이를 위한 식생활지침에 대한 인지도가 매우 낮고 세부적인 항목과 지침에 대한 이해도가 대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볼 때, 학생들이 정확한 정보를 통해 올바른 이해를 할 수 있도록 영양정보의 보조자료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영양정보에 대한 추가 연구가 계속된다면 효과적인 교육자료 개발 및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인터넷식품영양정보 이용과 식품영양정보관심도가 성인영양지수(NQ)에 미치는 영향

        양우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터넷은 정보이용의 주요 수단이 되었다. 현대인의 건강증진과 질환예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최근 발생한 COVID-19 영향으로 개인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건강 및 영양 정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20대부터 50대까지 성인 491명을 대상으로 인터넷식품영양정보 이용 현황을 알아보고, 식품영양정보관심도, 영양정보이해력, 인터넷식품영양정보 이용이 성인영양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맞춤형 온라인 영양교육 및 콘텐츠 개발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관심도는 전체 대상자의 83.5%로 나타났고, 영양정보이해력 평가에서는 73.3%가 ‘상’등급으로 분류되었다. 전체 대상자 491명 중 98.6%가 인터넷식품영양정보를 이용하였고, 20~30대는 체중관리, 40~50대는 건강관리를 위해 정보를 활용(92.8%)하고 있었다. 인터넷식품영양정보 이용 에 따른 성인영양지수를 평가한 결과, 이용빈도, 이용필요도, 이용만족도가 높을수록 성인영양지수가 높았고, 정보를 실생활에 활용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성인영양지수가 우수하였다. 대상자의 연령, 식품영양정보관심도, 영양정보이해력이 높을수록 성인영양지수가 높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인영양지수와 유의성이 나타난 연령과 식품영양정보관심도, 영양정보이해력을 보정한 후, 인터넷식품영양정보 이용요인이 성인영양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용빈도, 이용필요도, 이용만족도, 실생활적용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때 보정 변수인 연령과 식품영양정보관심도는 여전히 유의한 영향이 있었던 반면에 영양정보이해력은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식품영양정보관심도가 성인영양지수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인터넷식품영양정보 이용요인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이용빈도, 이용필요도, 이용만족도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성인의 식품영양정보관심도와 인터넷식품영양정보 이용이 성인영양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정보이용자의 식행동에 도움을 주는 맞춤형 온라인 영양정보 콘텐츠 및 교육자료 개발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Internet has become a major means of using health and nutritional information. Interest in improvement of health and disease prevention has increased, and the demand for Internet health-nutrition information to protect individual health has increased due to COVID-19 pandemic.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ood- and nutrition-related Internet Use by adults aged 20 to 50 years, and to identify the effects and mediating effects of interest in food-nutrition information, and Utilization of Internet food-nutrition information on Nutrition Quotrition for adults(NQ). A total of 491 subjects were surveyed, and the ratio of age groups in their 20s to 50s was uniform at around 25%. The level of interest in the information regarding food and nutrition was 83.5% of all subjects, and 73.3% of them were classified as an "upper" level in Nutrition Literacy Assessment. Of the 491 subjects, 98.6% were using Internet food-nutrition information, those in their 20s and 30s used weight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ose in their 40s and 50s used information for health care. Nutrition Quotrition for adults(NQ) was higher in subjects with higher the age group, interest in food-nutrition information, and nutritional information understanding. An analysis after adjustment for age, nutritional information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food nutrition information demonstrated that the higher the frequency, need, and satisfaction of Internet food-nutrition information use, the higher Nutrition Quotrition for adults(NQ). Also the frequency, need, and satisfaction of Internet food-nutrition information use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est in food-nutrition information and Nutrition Quotrition for adults(NQ). This research thus has a significance in developing customized nutritional content and educational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dietary behavior of information users

      • 대중매체 영양정보가 대학생의 영양지식과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안현미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중매체에서 제공하는 영양 정보가 대학생의 식행동과 영양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올바른 식습관 정립과 향후 영양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대구, 경북 소재 3개 대학교의 재학생 268명을 대상으로 대중매체 영양정보에 대한 관심도, 이용도, 신뢰도와 식행동과 영양지식을 설문을 통해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 중 여학생은 55.6%이었고, 1학년 30.6%, 2학년 19.0%, 3학년 25.4%, 4학년 25.0%으로 비슷한 비율이었다. 전공은 인문사회계열 50.4%, 자연공학계열 30.6%, 예체능계열 16.8%로 나타났고, BMI는 정상체중 63.8%, 저체중 22.8%, 과체중 9.3%, 비만 4.1%로 나타났다. 2. 대학생의 대중매체 영양정보의 관심도 조사 결과, 보통이라는 응답자가 38.1%로 가장 많았으며, 영양정보 중 가장 관심을 가지는 주제는 비만과 다이어트로 나타났다. 영양정보를 가장 많이 얻는 매체는 인터넷(61.6%)이었고, TV, 일반잡지, 라디오 순으로 나타났다. 영양정보를 습득하는 방법은 대강 읽기, 듣기, 보기가 63.1%로 가장 많았고, 가장 개선되어야 할 부분은 영양관리와 실생활에 유익한 정보(36.9%)로 응답하였다. 대중매체 영양정보의 빈도로 분석한 신뢰도는 TV와 서적 3.8점, 신문 3.5점, 일반잡지 3.4점, 인터넷 3.2점으로 나타났다. 3. 일반사항에 따른 대중매체 영양정보의 관심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고, 학년별로는 1학년 보다는 2, 3, 4학년에서 더 관심도가 높았다(p<0.05). 영양정보 중 가장 관심을 가지는 주제는 남학생은 식품 위생과 안전, 여학생은 비만과 다이어트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성별, 학년, 전공, BMI별 가장 많이 영양정보를 습득하는 매체는 인터넷이었으며, 방법도 모든 군에서 대강 읽기, 듣기, 보기가 가장 많았다. 영양정보 중 개선되어야 할 내용은 모든 군에서 영양관리와 식생활에 유익한 정보로 조사되었고, 학년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5). TV에 대한 신뢰도는 3, 4학년이 1, 2학년 보다 높았다(p<0.01). 4. 식행동 점수는 50점 만점에 여학생 32.2점, 남학생 31.6점이었고, 자연공학계열이 33.5점으로 가장 높았다. 식행동 문항 중 아침식사 여부 3.9점으로 가장 점수가 높았고, 과식, 폭식과 동물성 기름, 콜레스테롤이 많은 음식의 섭취가 각각 2.2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5. 영양지식 20문항의 평균 정답률은 70.9%이었고, 영양문제 영역에서 80.8%로 정답률이 가장 높았으며, 위생과 안전 영역에서 34.3%로 가장 낮았다. 문항별로는 영양문제 영역의 ‘체내에 철분이 부족하면 빈혈에 걸린다’ 89.6%로 가장 높았고, 위생과 안전 영역의 ‘HACCP 마크는 친환경 식재료를 사용한 우수한 식품임을 정부가 인증한 표시이다’ 9.7%로 가장 낮았다. 6. 대중매체 영양정보 이용에 따라서 비교적 관심이 있는 군에서 식행동 점수는 50점 만점에 32.6점, 영양지식 점수 20점 만점에 14.5점으로 가장 높았다. 영양정보 주요 습득 매체가 정확한 정보를 전달한다고 판단되는 서적인 경우 식행동 점수는 35.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영양지식 점수도 16.0점으로 가장 높았다. 식행동 점수 평균(32.0점) 이상의 군에서 영양지식 점수가 15.0점으로 식행동 점수 평균 이하의 군 13.5점 보다 높게 나타났다(p<0.001).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조사대상자들의 대부분은 대중매체의 영양정보에 비교적 관심이 있었지만, 신뢰도가 높지 않았음을 미루어 볼 때 올바른 영양정보 전달을 위해 대중매체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특히 대학생에게 이용도가 높은 인터넷과 TV를 이용한다면 올바른 영양정보를 전달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본 연구 대상 대학생들의 영양지식은 보통으로 나타나 타 지역과 유사하였다. 식행동 점수가 높을수록 영양지식 수준도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대학생에게 영양지식을 증진시킬 방안이 요구되며, 대중매체와 영양 정보 관련한 강좌를 개설하여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강좌에서는 대중매체와 영양정보에 관한 내용을 다루어 정보를 비판하여 걸러내고 수용하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자세와 필요한 정보만을 찾아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안목을 키우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 영양정보 개선점으로 영양관리와 식생활에 유익한 정보를 가장 많이 지적하였으므로 식생활 적용성이 높은 정보를 제공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ublic media on dietary behavior and the level of knowledge for nutrition of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is respect, level of concern, availability, reliability,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 knowledge for the public media was surveyed by targeting 268 numbers of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1. Among the targets, female students accounted for 55.6%, male 44.5% and 1st grader 30.6%, 2nd grader 19.0%, 3rd grader 25.4%, and 4th grader 25.0%, respectively. It was revealed that in terms of major, affiliation of liberal arts accounted for 50.4%, affiliation of natural science, 30.6% and affiliation of arts/physical education, 16.8%, respectively. In terms of BMI, normal weight accounted for 63.8%, low weight, 22.8%, over weight, 9.4% and obesity, 4.1%, respectively. 2. As a result of survey for concern over public media by the university students, it was revealed that students responded with average accounted for 38.1% which was the largest ratio among the respondents. The most popular subject of the public media was revealed to be obesity and diet. Media that obtained the largest nutrition information was surveyed to be internet(61.6%) and the method of acquiring nutrition information was divided into rough reading, listening and watching(63.1%) which means that most of the information was acquired through watching media. A part that needed urgent improvement was nutritional management and information useful for actual life(36.9%) and the reliability of nutri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ubic media was revealed to the highest as 3.80/5 points in the field of TV. 3. Female students had shown more concern over nutri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ublic media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an the male students and in terms of each grade, 2nd, 3rd and 4th graders had shown more concern than 1st graders(p<0.05). The most popular subject among the nutrition information was revealed to be food sanitation and safety in case of the male students and obesity and diet in case of the female students(p<0.05). Media that acquired the largest nutrition information depending on gender, grade, major, and BMI was internet and in terms of its method of acquiring information, method of rough reading, listening and watching had shared the largest portion in all the groups. Among the nutrition information, the contents that was required to be improved were surveyed to be nutrition management and information useful for dietary life in all the groups and depending on each grad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p<0.05). In case of accountability of TV, 3rd and 4th graders had shown more accountable for TV than 1st and 2nd graders. 4. In terms of score of dietary behavior of which full score was 50, score of female students was 32.2 points and male 31.6 points, respectively and that of affiliation of natural science was revealed to the highest as 33.5 points(p<0.05). Among the questions of dietary behavior, score for habit of taking breakfast was the highest as 3.9 points and score for habit of overeating, binge and taking food of high animal fat and cholesterol was revealed to the lowest as 2.2. 5. Average rate of correct answer of 20 questions for nutrition knowledge was 70.9% and in the area of nutrition-related questions, rate of correct answer was revealed to the highest as 80.8% followed by sanitation and safety as 34.5% which was the lowest. Question with the highest rate of correct answer was nutrition-related question , insufficiency of iron in the body leads to anemia'. and its score was 89.6% and question with the lowest rate was sanitation and safety-related question, 'HACCP is a government-certified mark representing an excellent food using eco-friendly food material'. and its score was 9.7%. 6. In the relatively interested groups depending on use of nutrition information of public media, score of dietary behavior was 32.6 points (full score is 50 points), followed by score of nutrition knowledge as 14.5(full score is 20) which was the highest. In case of books that were considered to the best media for addressing nutrition information, score of dietary behavior was 35.5 points which was the highest followed by nutrition knowledge as 16.0 points which was also the highest. In the group of which dietary behavior score was over average(32 points), score of nutrition knowledge was 15.0 points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group of which score was below the average of dietary behavior(13.5)(p<0.001). In view of the above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the role of public media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and in particular, if internet and TV that are favoured by the university students, should be utilized, it would be effective for addressing right nutrition information. As the score of dietary behavior is getting higher, so is the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raised and therefore, a method of enhancing nutrition knowledge of the university students is required and efforts shall be exerted so that information and knowledge having high applicability of dietary life rather than a simple information for nutrition and health would be provided.

      • 대중매체의 식품영양정보가 성인의 영양지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

        전은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As people pay more attention to healthy life recently, we can get health information easily from mass media and many people are utilizing health related information. Although we have much interest in health and dietary life, we do not have accurate information. We tend to uncritically accommodate information that mass media provide and sometimes do it with overconfid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agnose the problems of the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s on the mass media and to identify corrective actions for the problems by researching the effects of the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s of the mass media on the level of nutritional knowledge of the adult. The subjects were 357 adults over 19 living in Seoul, Suwon and Gwangju. We surveyed the utilization, the interest, and the reliability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s on the mass media and their knowledge on nutrients through questionnaire. From the research results, we found the followings; The main sources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s are television and radio(50.7%), internet(30.5%) in that order. The biggest number of adult acquired information 2 to 3 times a month(48.2%) and the most frequently acquired information or the most interesting information they had was the functionality of the food against the disease and the functionality of the food for general health improvement. The reliability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s on the mass media was 2.49 points out of 5, the interest was 2.22 points out of 5, and the utilization in real life was 2.06 points out of 5. There were significantly more responders in women(p=.001), older(p=.001), lower educational level respondents(p=.000), full-time housewives(p=.007) than any other group that answer they see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s through television and radio. There were significantly more responders in over 50s(p=.000), full-time housewives and self-employers(p=.002) than any other group that answer they see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s once to three times a week. In the interest for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s showed significantly higer scores in women(p=.031) and in the reliability showed significantly higer scores in women(p=.026), 20s and overs 40s(p=.025) and in the utilization in real life showed significantly higer scores in lower education middle schoo(p=.044). The most frequently seen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s was the functionality of the food against the disease among women and the functionality of the food for general health improvement among men(p=.025). Additionally, respondents who have lower education were more interested in the functionality of the food against the disease and those who have higher education were more interested in the functionality of the for general health improvement(p=.008). The nutritional knowledge score of the respondents was 7.6 points out of 12. In the nutritional knowledge scores according to the category, the highest (2.4 out of 5) was from the question about the functionality of food according to disease, and the lowest was from the question about the food hygiene, safety and harmfulness(1.44 out of 5). In the nutritional knowledge scores related to diseases, less than 4 times a week was significantly high(p=.006). In the functional nutritional knowledge scores related to general health improvements, 'through television, radio and internet' was significantly high(p=.031).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most adults showed high interest, reliability and utilization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s that mass media provided. Therefore, consumer education to enable them to select right information form that mass media are providing is very important. In particular, those who have lower education than middle school and those who are over 50s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 in nutritional knowledge although the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utilization. Thus we need to have support system to provide the right nutritional information and educate them to select good information only. 최근 건강한 삶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러 가지 대중매체에서 건강에 관한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고 많은 사람들이 건강관련 정보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건강과 식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에 비해 정확한 지식은 적은편이고, 매스컴에 나타나는 정보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과신하는 경향이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중매체의 식품영양정보가 성인의 영양지식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봄으로써, 대중매체 식품영양정보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향후 개선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수원, 광주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 357명이었으며, 설문지를 통해 대중매체의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이용도, 관심도, 신뢰도와 영양지식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성인들이 식품영양에 관한 정보를 얻는 주요 대중매체로는 텔레비전과 라디오(50.7%)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인터넷(30.5%)이었다. 정보 습득 빈도로는 월 2-3회(48.2%)가 가장 많았고, 가장 많이 접하는 정보 및 가장 관심 있게 보는 정보로 대부분의 응답자가 질병에 따른 식품의 기능성, 일반건강기능증진에 따른 식품의 기능성으로 대답했다. 대중매체의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신뢰도는 2.49점/5점, 관심도는 2.22점/5점, 실생활 활용도는 2.06/5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성인의 주요 대중매체 급원으로 조사된 텔레비전과 라디오를 가장 많이 시청하는 그룹은 여성(p=.001), 연령대가 높아질수록(p=.001), 낮은 교육수준에서(p=.000), 전업주부(p=.007)의 경우에 유의적으로 많았다. 주 1-3회 이상 식품영양정보를 본다는 응답자는 50대 이상(p=.000), 전업주부와 자영업자(p=.002)의 경우에 유의적으로 많았다. 대중매체의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관심도는 여성(p=.031)이 높았고, 신뢰도는 여성(p=.026), 20대와 40대 이상의 연령층(p=.025)에서 높았고, 실생활 활용도는 중졸 이하의 학력자(p=.044)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가장 자주 보는 식품영양정보로 여성은 질병에 따른 식품의 기능성 정보로 대답했고, 남성은 일반건강기능에 따른 식품의 기능성 정보로 나타났다(p=.025). 또한 교육수준이 낮아질수록 질병에 따른 영양정보를 보는 관심 있게 보았고,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일반건강증진에 따른 식품의 기능성 정보를 관심 있게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8). 영양지식 조사결과 총 12점 만점에서 7.6점이 나왔고, 영양지식 종류 별 점수로는 질병에 따른 식품 기능성을 묻는 질문에서 가장 높은 점수(2.4점/5점)가 나왔고, 식품 위생과 안전 및 유해성을 묻는 질문에서 가장 낮은 점수(1.44점/5점)가 나왔다. 질병 관련한 식품기능성 영양지식 점수는 주 4회 미만으로 정보를 습득하는 경우 유의적으로 높았다(p=.006). 일반건강기능증진 관련한 식품의 기능성 영양지식 점수는 텔레비전과 라디오, 인터넷을 통해 식품영양정보를 얻는 경우 유의적으로 높았다(p=.031).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성인들 대다수가 대중매체가 제공하는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높은 관심도, 신뢰도, 활용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중매체가 제공하는 정보를 올바르게 선별할 수 있는 소비자 교육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중졸 이하의 학력자와 50대 이상의 연령층의 경우 활용도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영양지식점수는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에게는 영양 정보 선별 교육과 올바른 영양 정보를 심어주는 지원 체계 마련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대중매체 영양정보와 건강기능식품 구매의 상관성 연구

        홍지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As people pay more attention and have more interest in health recently, the demand on various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health is increasing and more and more people get to pay attention to health functional food. With the increased attention, mass media are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on health and nutrition and nutrition information that mass media provide mak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 on the future purchase of health functional food associating with the interest in health. In this study, we tri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between nutrition information mass media provide and the purchase of health functional food by analyzing the purchase and the satisfaction for the health functional food with the most interested nutrition information, nutr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frequency, interest and reliability and the kind of the mass media which they get nutrition information mainly. The subjects were 568 adults in large cities such as Seoul, Daegu and Ulsan. When analyzing mass media related variables according to demographical variables, we found the followings; with the increased age and monthly average income, they tended to acquire nutrition information through TV, newspaper and magazine, had interest in nutrition information regarding disease prevention and cure. Those who are younger and have less monthly income tended to get nutrition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and have more interest in cosmetics and weight control(p<0.05). Male subjects tended to have interest in the recovery from tiredness and prevention and remedy from the disease, while female subjects tended to have higher interest in cosmetics and weight control(p<0.05). As they became older, they had more interest in nutrition information that mass media provide and acquired it more frequently. Female subjects showed higher interest and reliance on the nutrition information that mass media provide, which i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enders(p<0.05). From the analysis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e and satisfaction rate according to mass media related variables, we could find that those who have more interest in disease prevention and remedy, and health maintenance and promotion had significantly more experiences in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e. Those who have more interest in cosmetics and weight control had significantly less experiences in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e (p<0.05). Those who have more interest, are more reliance on and acquire nutrition information more frequently had significantly more experiences in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e(p<0.05). The number of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e according to the mass media from which they get nutrition information was 8.59 for others (including specialized books), 8.32 for the newspapers and the magazines, 7.61 for TV and 6.12 for internet(p<0.05). It shows the more they have interest in nutrition information and the oftener they acquire nutrition information, the more health functional food they buy. As the interest and reliability grows, the satisfaction for the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e grows together(p<0.05). From th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those who have more interest in nutrition information and acquire nutrition information more frequently have more purchase experiences and buy mor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secure the accuracy and expertise of the nutrition information to be delivered to the consumers through mass media. With this, we need to educate consumers so that they can judge the right and wrong of the nutrition information that mass media provide and how to select the right health functional food.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와 지식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관심과 비례하여 대중매체는 건강과 영양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추세이며 대중매체가 제공하는 영양정보는 건강에 대한 관심도와 연관되어 향후 건강기능식품 구매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중매체에서 제공하는 영양정보에 대한 성인들의 주요 대중매체 급원과 가장 관심 있는 영양정보, 영양정보 습득빈도, 관심도, 신뢰도와 함께 건강기능식품 구매 및 만족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대중매체 영양정보와 건강기능식품 구매의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도시(서울, 대구, 울산)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 568명을 대상으로 최근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대중매체 관련 변인 분석결과, 연령과 월평균 소득이 증가할수록 TV와 신문?잡지를 통해 영양정보를 취득하고 질병예방 및 치료에 관한 영양정보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연령과 월평균 소득이 감소할수록 인터넷을 통한 영양정보 취득률이 높고 미용과 체중조절에 관한 영양정보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남성은 피로회복과 질병예방 및 치료에 관한 영양정보에 높은 관심을 가지며 여성은 미용과 체중조절에 관한 영양정보에 더 높은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연령이 증가할수록 대중매체가 제공하는 영양정보에 대한 관심도, 습득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중매체가 제공하는 영양정보에 대한 관심도와 신뢰도는 여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성별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대중매체 관련 변인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구매 및 만족도 분석결과, 질병예방 및 치료와 건강유지 및 증진에 관한 영양정보에 관심이 많을수록 건강기능식품 구매경험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미용과 체중조절에 관한 영양정보에 관심이 많을수록 건강기능식품 구매경험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대중매체가 제공하는 영양정보에 대한 관심도, 신뢰도, 습득 빈도가 높아질수록 건강기능식품 구매경험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영양정보를 주로 얻는 대중매체 종류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구매개수는 37종 고시형 건강기능식품 중에서 기타(전문서적 포함)가 8.59개, 신문?잡지가 8.32개, TV가 7.61개, 인터넷이 6.12개 순으로 나타났다(p<0.05). 대중매체가 제공하는 영양정보에 대한 관심도, 습득 빈도가 높을수록 건강기능식품 구매개수가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심도와 신뢰도가 높을수록 건강기능식품 구매 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중매체가 제공하는 영양정보에 대한 관심도, 습득 빈도가 높을수록 건강기능식품 구매경험과 구매개수가 많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중매체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전달되는 영양정보에 대한 정확성과 전문성을 확립하는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와 더불어 대중매체가 제공하는 다양한 영양정보에 대한 옳고 그름을 판별할 수 있는 안목과 올바른 건강기능식품 선택에 대한 소비자 교육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외식업체 메뉴의 영양표시정보가 소비자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

        최병규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Recently, consumers attach great importance to nutrition indication on menus for their selection of food service companies. In this ve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food service companies' nutrition indication, consumers' recognition of nutrition indication, and the importance of nutrition indication. In addition,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 influence of food service companies' nutrition indication upon consumers' reliability and purchase attitude. Namel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consumers' demand on the current nutrition indication and then provide help to food service companies to improve their nutrition indication on menus. For thi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literature examination and empirical research simultaneously. Study subjects were 295 users of food service companies and a questionnaire survey of them was carried out over the period from August 5 to 25, 2009.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consumers' recognition of nutrition indication, the necessity of indication of nutritious components, the importance of indicated nutritious components, the reliability of information, satisfaction, purchase intention and so on.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 analysis of 11 questions for the considerations of nutrition indication in consumers' selection of food service companies' menus presents the fact that there are 2 factors: A visible factor (factor 1) and an effectiveness factor (factor 2). The factor analysis of 9 questions for the considerations of reliability reveals 2 factors too: The sincerity of information (factor 1) and the capability of information (factor 2). As the values of Cronbach's α for the variables are above 0.7, the reliability is seemingly high. As for the visible factor and the effectiveness factor, the value of Cronbach's α is 0.822. As for the sincerity of information and the capability of information, the value of Cronbach's α is 0.865. As for the satisfaction, it is 0.704. And as for the purchase intention, it is 0.801. As above, all the reliabilities are relatively high. Second, a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the common questions of nutritious component indication in relation to consumers' selection of food service companies. Study findings show the fact that 73% of respondents have the knowledge of nutrition indication system in advance. As for the recognition of necessity of nutrition indication, 86% of respondents answer that it is necessary. As for the experience of order, 70% of respondents answer that they had previously. As for the business category of ordering experience, 50.7% of respondents have it for fast food, and it is followed by pizza and chicken in order. As for the importance of nutrition indication, they list calorie, fat and protein in order. Third,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 of ordering menus in regard to food service companies' nutrition indic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feature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arried out. In relation to gend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factor and the purchase intention factor (t=-2.231, p<0.05). In relation to marital status,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incerity factor of information (t=2.758, p<0.05). As for ag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isible factor and the purchase intention factor (t=3.682, p<0.05). As for academic care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isible factor and the purchase intention factor (t=3.931, p<0.05). As for employment patterns and average monthly incomes,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ood service companies' nutrition indication upon sincerity and purchase intention. Study findings show that the visible factor (ß=.124, p<.05) and the effectiveness factor (ß=.136, p<.05) have positive (+) influence upon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for consumers' selection of nutrition indication menus. Study findings'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due to the nutrition indication system of processed food, the demand for the necessity of nutrition indication is high. But food service companies' participation in the nutrition indication system is low.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food service companies to provide correct information of nutrition indication to consumers and thus make them recogniz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nutrition indication. It is because consumers attach great importance to health for the present. Second, in order to improve consumers' reliability and repurchase intention, food service companies must improve and manage such visible factors of nutrition indication information as practical visibility, whether they display the information or not, the suitability of letter size, and the sincerity of content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dication of such sensible nutritious components as calorie, cholesterol and fat. Third, the obligatory indication of nutrition in 2010 must extend not only to processed food but also to food service companies. In addition, food service companies must have the same criteria of indication of nutrition, thus improving their system of indication of nutrition. Different from preceding studies which studied on the current status and recognition of nutrition indication, this study has dealt with consumers' purchase attitude toward food service companies which carrying out the system of nutrition indic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seems to be useful data for the study on the settlement and extension of nutrition indication in the future. In addition, study findings are seemingly meaningful in that it analytically found out the fact that food service companies had to improve consumers' reliability by improving and managing the visibility of their nutrition indication for consumers' order. 본 연구는 최근 외식업체 메뉴선정에 있어서 영양이 차지하는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외식업체 고객들을 대상으로 가공식품의 영양표시율 증가와 미흡한 외식업체의 영양표시제 실시에 대해 메뉴의 영양표시제 인식 및 중요성을 분석하고 영양표시제도가 신뢰성 및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영양표시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사항을 규명하여 외식업체 메뉴의 영양표시정보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헌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외식업체를 이용하는 고객 중 295명을 대상으로 2009년 8월 5일부터 2009년 8월 2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고객들의 영양표시정보에 대한 인식정도, 판매메뉴의 영양성분별 표시필요성, 표시되는 영양성분별 중요성, 정보의 신뢰성, 만족도, 구매의도 여부 등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외식업체의 메뉴 선택 시 영양표시정보 고려요인 11개 문항을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2개의 요인으로 추출하였으며, 각각의 요인들을 요인1을 가시성요인, 요인2는 효과성요인으로 요인 명을 부여하였다. 또한 신뢰에 대한 고려요인 9개 문항을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2개의 요인으로 추출하였으며, 요인1을 정보의 성실성, 요인2는 정보의 능력으로 부여하였다. 신뢰성 검증에서는 모든 요인들에 대한 Cronbach's α 값이 0.7이상으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가시성요인과 효과성요인은 Cronbach's α 값이 0.822이고 정보의 성실성과 정보의 능력요인은 0.865, 만족도요인은 0.704, 구매의도요인은 0.801로 높은 신뢰성을 나타냈다. 두 번째로 외식업체 메뉴 선택 시 영양성분표시에 대한 일반적 질문에 관한 문항을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빈도분석 결과는, 영양표시제의 사전지식에 대하여 알고 있다는 응답이 73%로 나타났다. 영양표시정보에 대한 필요성 인식정도 여부에 대하여 필요하다 라는 응답이 86%로 나타났다. 주문한 경험에 대한 여부에는 주문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가 70%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영양표시가 있는 메뉴를 주문한 경험이 있는 업종은 패스트푸드가 50.7%로 가장 많았고, 피자, 치킨 순으로 나타났다. 영양성분 중요도에 대한 조사에서 열량, 지방, 단백질 순으로 중요하게 느끼고 있었다. 세 번째로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따라 외식업체 영양표시정보에 대한 메뉴 주문 시 차이검증을 위해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따른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의 결과는 첫 번째 성별에 따라 효과성요인과 구매의도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고(t=-2.231, p<0.05),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정보의 성실성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고,(t=2.758, p<0.05), 연령에 따라서는 가시성요인과 구매의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t=3.682, p<0.05).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가시성요인과 구매의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t=3.931, p<0.05). 고용형태와 월평균소득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네 번째는 외식업체의 영양표시정보가 신뢰성 및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 가시성요인(ß=.124, p<.05), 효과성요인(ß=.136, p<.05)이 영양표시정보 메뉴선택 시 만족도와 구매의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공식품의 영양표시제도로 인해 영양표시 필요성은 높게 요구되는 반면에 외식업체의 영양표시제 참여율은 낮게 나타났다. 이에 외식업체는 최근 건강을 중요시하는 소비자들에게 올바른 영양표시정보를 제공하여 고객들이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지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영양표시정보의 눈에 보여 지는 실행여부, 비치여부. 글씨크기의 적당여부, 내용의 성실도 등의 가시성요인에 개선과 관리를 통해 소비자들의 신뢰성을 높여 방문업체의 재방문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겠다. 특히 고객들이 민감하게 인식하고 있는 칼로리, 콜레스테롤, 지방과 같은 특수 영양정보 표기에 효과적인 방안이 필요하겠다. 셋째, 2010년 영양표시 의무화를 가공식품뿐만 아니라 외식업체에서도 함께 시행하는 방안을 마련해야할 것 이고, 각각의 외식업체는 매장별로 다르게 표시해 영양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통일된 기준을 선정하고 올바른 영양표시제 개선을 꾀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기존연구에서는 영양표시제의 현황과 인식에 머물러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영양표시제를 시행하는 외식업체의 고객을 대상으로 구매태도의 관계를 연구하였기에 앞으로의 정착 및 확대에 용이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여한다. 또한 영양표시정보의 가시성요인의 개선과 관리를 통해 소비자들의 신뢰성을 높여 메뉴 주문 시 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분석 되었다.

      • 대학교 급식의 영양정보제공이 대학생들의 건강메뉴선택에 미치는 영향

        박신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menu labeling at university food services has on healthy menu choices among college students. College years are the period during which students build up the first eating habits as adults. It is very significant for them to form their diet habits which may last for their lives, considering increasing rates for obesity and chronic diseases among twenties due to the increase in fast food consumption and high calories food intake. The study applied the VAB(Value-Attitude-Behavior) model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health value, attitudes (usefulness, truthfulness, accuracy, ease-to-understand) toward menu labeling at university food services, and menu label use and healthy menu choices. The sample of the study wer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in Seoul, which provides nutrition information at university dining services. Data were collected from 498 students by using a self-administered online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for Windows and AMOS 22.0. Such statistical analyses a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SEM were perform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College students' health value made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attitudes toward menu labeling, such as usefulness, the truthfulness and ease to understand, while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ccuracy. In addition, attitudes toward menu labeling made a positive effect on menu labeling use at college food services, while menu labeling use at university food services positively affected healthy menu choices. The groups with higher use of college food service menu labeling, those with higher nutrition knowledge, and those with degree of restaurants nutrition information usage, respectively, showed higher levels of health value, nutrition information use and healthy menu choices. The study proves that providing nutrition information at college food services positively affects college students' healthy menu sele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offer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promote menu labeling at college food services. 본 논문은 대학교 급식의 영양정보표시 제공이 대학생들의 건강한 메뉴 선택에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대학급식에서 영양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대학생들의 식습관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을 도출할 수 있다. 대학생들은 성인기의 첫 시점으로 고등학교 이후 식습관을 스스로 형성하는 시기이다. 식습관 형성에 가장 중요한 시기이지만, 요즈음 패스트푸드와 고칼로리의 음식 섭취가 증가하면서, 20대 비만율과 만성 질환율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 내 영양정보표시 제공이 대학생들의 영양 교육의 일환으로 사용되며,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는데 필요성이 있다. VAB(Value-Attitude-Behavior) 모델을 사용하여, 대학생들의 건강 가치(Health Value)가 영양정보표시의 유용성, 신뢰성, 정확성, 이해도에 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4가지의 태도가 대학급식의 영양정보를 이용과 건강메뉴선택에 영향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서울지역의 대학교 중 급식에서 영양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학교 4곳을 선정하여 교내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600명이 응답하였다. 설문결과는 SPSS와 AMO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량 및 구조방정식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건강가치가 높은 대학생들은 영양정보표시의 유용성, 신뢰성, 이해도에 대한 태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영양정보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인 대학생들은 대학 급식 내의 영양정보를 더 많이 이용하고 있었으며, 또한 대학급식 영양정보 이용을 할 때 건강메뉴 선택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대학 급식 영양정보 이용정도, 영양지식, 외식 영양정보 이용정도에 따라 고집단과 저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대학급식에서 영양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대학생들에게 건강한 음식을 선택하고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대학교에서는 영양정보를 제공하고, 학생들에게 영양정보를 이용하도록 권유 및 교육이 필요하다.

      • 정보이용자의 식생활 스타일에 따른 영양정보 이용 실태 및 질 평가

        김인혜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nutrition-related information provided by terrestrial TV programs, major newspapers, and some SNS with high utilization rates and investigate nutrition-related information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dietary style of 570 men and women aged between 20-30 years in order to provide correct nutrition-related inform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customized content.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program(ver. 24.0)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Evaluation with respect to media showed that quality evaluation score on TV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items of matching the title and content(p<0.01), exaggerated or distorted contents(p<0.001), and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with the consumer (p<0.001), as compared to the newspaper or SNS. The quality evaluation score on newspaper and SN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items of providing a scientific basis (p<0.001), clarity of the contents(p<0.001), sufficient explanation of the contents(p<0.05). Also the quality evaluation score on newspaper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item of the appropriacy of the selection of experts(p<0.001), and the quality evaluation score on SN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item of sufficient explanation of the terminology (p<0.001) as compared to the others. Evaluation with respect to subject showed that diet inform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items of providing a scientific basis(p<0.01), clarity of the contents(p<0.001), sufficient explanation of the contents(p<0.05), sufficient explanation of the terminology(p<0.01), advertising intent for a specific purpose(p<0.001), providing new information(p<0.001), and the appropriacy of the selection of experts (p<0.01) compared to the others. Evaluation with respect to frequency showed that ‘restaurant information'(64.8%) was the highest, followed by ‘diet'(57.5%) and, ‘food recipes'(55.7%), and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earch rate of diet inform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p<0.001), 20s(p<0.01), college students(p<0.01), and single(p<0.05). Different analysis of propensity to evaluate and satisfaction about nutrition-related information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p<0.05), occupation(p<0.05), household type (p<0.01)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group with low information utilization about search frequency, real-life application and sharing information to others had significantly less satisfaction than the group with high information utilization according to information utilization. Also, the overal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search frequency, real-life application and sharing information to others (p<0.001). Factor analysis according to the dietary lifestyle result was divided into four factors; convenience-oriented type, taste-oriented type, tradition-oriented type, and eating out-oriented type. With regard to the dietary lifestyle factors, the dietary lifestyle was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into 3 sub-groups; tradition-oriented group, eating out-oriented group, neutrality group. The result of difference analysi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lust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p<0.05), occupation(p<0.05), marital status(p<0.05), household type(p<0.001). The tradition- orient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rate of worker, married, multi-person household while the eating out-orient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rate of 20s and single. The results of information utiliza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groups showed that the eating out-oriented group searched about restaurant information(p<0.05) more while convenient food(p<0.001), had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in the items of advertising intent for a specific purpose(p<0.05), providing new information(p<0.01), the appropriacy of the selection of experts(p<0.01). Overall satisfaction was the lowest with 2.73 points in the item of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with the consumer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In conclusion, a continuous quality assessment should be conducted to provide the correct nutrition-related information and develop standardized customized content. Also, efforts are needed to come up with solutions to problems of nutrition-related information and to enhance users' satisfaction by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use and their dietary lifestyle. 올바른 영양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정보이용자의 식생활 스타일에 따른 맞춤형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지상파 TV 프로그램, 주요 신문사, 이용률이 높은 일부 SNS에서 제공된 영양 관련 정보 총 341건에 대해 질 평가를 실시하였고, 20∼30대 성인 남녀 총 570명의 식생활 스타일에 따른 영양 관련 정보 이용 실태와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매체별 영양 관련 정보에 대한 질 평가 결과, TV는 신문이나 SNS에 비해 제목과 내용의 일치와 내용의 과장이나 왜곡성, 수요자와의 의사소통 가능성 항목에서, 신문과 SNS는 TV에 비해 내용의 과학적 근거 제시와 내용의 명확성과 구체성, 내용의 충분한 설명 항목에서 질 평가 점수가 유의적으로 낮았고, 신문은 전문가 선정의 적절성 항목에서, SNS는 전문용어에 대한 충분한 설명 면에서 다른 매체에 비해 평가점수가 유의적인 차이로 낮았다. 주제어별 영양 관련 정보에 대한 질 평가 결과에서는 다이어트 정보가 다른 정보에 비해 내용의 과학적 근거 제시, 내용의 명확성과 구체성, 내용의 충분한 설명, 전문용어에 대한 충분한 설명, 특정 목적의 광고 의도성, 새로운 정보 제공, 전문가 선정의 적절성 면에서 질 평가 점수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조사대상자의 영양 관련 정보 검색은 ‘맛집 정보’(64.8%), ‘다이어트’(57.5%), ‘음식조리법’(55.7%) 순으로 높았으며, 다이어트 관련 정보는 여자, 20대, 대학생, 미혼일수록 검색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영양 관련 정보에 대한 만족도 차이분석 결과 정보를 일주일에 1회 미만 또는 거의 검색하지 않고 실생활에 적용한 경험이 없으며 타인에게 정보전달·공유를 한 경험이 없는 그룹 등 정보 이용률이 낮은 집단이 충분한 내용 설명에 대한 항목과 전체적인 만족도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낮았다. 식생활 스타일에 따른 요인분석과 군집분석 결과 조사대상자를 전통지향군, 외식지향군, 중립군으로 나눈 후 군집별 일반 특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통지향군은 직장인, 기혼, 다인 가구의 비율이 높았고, 외식지향군은 20대와 미혼의 비율이 높았다. 식생활 스타일 군집별 영양 관련 정보 이용 실태와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외식지향군은 맛집 정보와 편의식품에 대한 검색이 다른 군집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고, 특정 목적의 광고 의도성, 새로운 정보 제공, 전문가 선정의 적절성에 대한 만족도 평가에서 중립군이 다른 군집에 비해 만족도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전체 평균 만족도 중 ‘수요자와의 의사소통 가능성’ 항목에 대한 만족도 2.73점으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올바른 영양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해 전문기관과 전문가에 의한 지속적인 정보의 질 평가를 실시해야 할 것이고, 정보이용자의 특성과 식생활 스타일에 따른 맞춤형 정보 제공을 통해 정보이용자의 정보 활용률과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의료인과 비의료인의 인터넷상의 식품영양정보 취득형태 및 활용에 관한 비교 연구

        한상진 檀國大學校 情報通信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천안 지역 내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의료인(의사, 간호사)들과 천안지역 공단에서 근무하는 비의료인(일반사무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식품영양정보를 어떠한 방법으로 취득하여 어떻게 활용하는가를 비교 연구하고, 특히 인터넷상에서 취득한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만족도와 취득한 정보를 실생활에 이용하는 활용도를 측정하며, 식품영양정보를 취득하는 과정에서의 개선점을 파악하여 식품영양정보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으려고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인 149명과 비의료인 16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자료로 사용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일반사항, 영양에 대한 기본지식, 식습관 및 식생활태도 식품영양정보에 대한관심 및 취득한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실생활활용도를 설문지법으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년령은 20세부터 50세이후 까지였으며, 20대가 가장 많았고 학력은 의료인군은 대졸이 59.6%, 대학원졸이 36.5% 이었고 비의료인군은 대졸이 46,6%, 대학원졸이 6.2% 로 의료인군이 비의료인군보다 학력이 높았다. 수입에서는 의료인군이 비의료인보다 높았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볼 수 있었다. (p< 0.01) 2. 영양에 관한 기본지식은 의료인군의 점수가 높았으며 식습관 및 식생활 태도에 있어서는 비의료인군이 점수가 유의적으로 비의료인군보다 높았다. (p< 0.001) 3. 식품영양정보를 찾으려할 때 의료인군과 비의료인군 모두(52.3%)가 인터넷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그 다음은 의료인군은 전문서적(15.4%)을 이용하였으며 비의료인군은 방송(18.0%)에서 식품영양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인터넷이 식품영양정보의 가장 대중적인 매체로 이용되고 있으며 인터넷이 매체로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터넷상에서 가장 많이 접해본 정보는 의료인군은 질병과 관련된 식이요법이었고 비의료인군은 요리법으로 나타났다. 의료인군의 38.9%, 비의료인군의 37.3%가 인터넷의 장점으로 '쉽게 찾을 수 있어서'라고 답했다. 단점에 있어서는 의료인군, 비의료인군 모두 68% 이상이 응답을 하지 않았으며 의료인군의 6.0%, 비의료인군의 11.2%가 '컴퓨터 조작이 어려워서'라고 답하였다. 4. 인터넷을 통하여 식품영양교육을 받는다면 참여하겠다고 답한 의료인군은 44.3% 이었고 비의료인군은 34.8% 이었다. 참여하겠다는 이유로는 '편리하기 때문에'라고 대답하였다. 반면에 하지 않겠다는 사람들의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라고 대답하였다. 5. 식품영양정보를 실생활에 적용해본 경험에 대해서는 의료인군은 55.7%, 비의료인군은 58.4%가 '적용해 보았다'고 답했다. 적용한 분야에 대해서는 의료인군은 질병 관련에 따른 식이요법, 비의료인군은 요리법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천안지역에 근무하는 의료인은 기본 영양지식이 비의료인은 기본영양지식과 식생활 태도의 점수가 높았다. 건강과 밀접한 곳에서 근무하는 의료인군은 질병에 대한 식이 요법에 관심을 갖고 있었고 또한 일반인인 비의료인군도 식품영양정보에 많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었다. 의료인군, 비의료인군 모두 인터넷에서 식품영양정보를 찾을 때 인터넷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중매체 중 인터넷은 식품영양정보교육을 전문인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올바른 영양지식 보급을 위하여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볼 때 앞으로 인터넷상에서 식품영양정보를 빠르고 쉽게 찾아낼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며 정보의 정확성이 높여져야 하겠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atterns of aquiring and using information on food and nutrition between medical professional group(MP) and non-professionals group(NP). Questionnaire survey was answered by totally 310 subjects, 149 doctors/nurses(MP) working in Dankook University Hospital and 161 general labors(NP) in Cheonan area. Personal information, basic knowledge on nutrition, eating habit and attitude, interest in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and application of information on food and nutrition were asked in questionnair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ge of MP and NP ranged from 20 to 50. In education level, 59.6% of MP had college degree and 36.5 % graduate degree while 46.6% of NP had college degree and 6.2% graduate degree. 2. In the score for basic nutrition knowledge, MP showed the higher score than NP. Eating habit and attitude was good in both MP and NP. 3. The most favored source for information on food and nutrition by both MP(53.0%) and "(51.6%) was the related internet websites. Also MP(15.4%) tends to aquire the information from the related books while NP(18.0%) from a broadcast programs. The most interested information by MP on internet websites was the diet therapy with related to diseases while by NP cooking recipe. The advantage of internet websites as a source for the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was huge amount of information. However, MP(30.2%) pointed out inaccuracy of the information as a problem and "(31.5%) usefulness. 4. MP(44.3%) and NP(34.8%) answered that they would take part in the education on food and nutrition through internet system because of the convenience if provided to them. 5. Fifty six percent of MP and 58.4% of NP have applied the information on food and nutrition in their real life. The applied information for MP was diet therapy with related to disease while for NP was cooking recip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medical professionals and non-professionals in Cheonan area were generally good in the basic knowledge on nutrition, and eating habit and attitude. Internet system was very favored by both MP and NP as a source for information on food and nutrition, and many of MP and NP answered positively to the education on food and nutrition through internet system. The MP was most interested in diet therapy while NP cooking recipe. For being a better and efficient source for the information on food and nutrition, internet websites should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and easier method to find the needed information to the us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