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기도 일부 중학생의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영양교육 요구도 조사

        이선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청소년은 가정 밖에서의 식생활 비중이 커지면서 기호 위주의 식생활과 불균형적인 식습관으로 인해 영양 불균형 및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학교급식은 교육의 일부로서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영양교육의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지만, 학생들의 요구에 부합되지 못하는 영양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을 한 영양교육의 요구도를 조사하여 영양교육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영양교육 주제 및 방법, 매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0년 3월 중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세부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체질량지수(BMI)를 알아보기 위해 신장과 체중을 조사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저체중’과 ‘보통’에 속한 학생들이 많았지만 자신의 건강 및 체형인식에 대해 여학생들이 남학생에 비해 부정적으로 본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나 청소년기의 비만과 체중조절에 대한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식습관과 식행동을 평가하기 위해 각 10문항씩 설문 분석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전체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식습관에서는 두 집단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었지만, 식행동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영양교육 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영양교육이 필요하지 않는 이유로는 ‘교육이 재미없다’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여 학교에서의 영양교육 과정이 학생들의 흥미와 요구에 부합되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넷째, 영양교육 주제에 대한 중요도와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이 중요도에 비해 요구도가 낮아 현재 영양교육이 학생들의 흥미에 부합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위생 및 보존’과 ‘비만과 체중조절’에 대한 중요도와 요구도가 높게 나타나 학생들이 요구하는 주제에 대한 영양교육 활성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영양교육 주제의 중요도 및 요구도를 건강상태 인식에 따라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건강인식, 체중조절 여부, 식습관 수준에 따라 주제의 중요도와 요구도의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어 학생들의 특성을 반영한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영양교육의 방법과 매체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방법에서는 ‘조리실습’이 가장 높았고, 매체에서는 ‘애니메이션, DVD 등 동영상’ 높게 나타나 실습위주의 교육과 매체를 활용한 영양교육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건강관련 특성 및 영양교육 주제와 방법?매체의 활용을 통하여 영양교육을 활성화시키고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 가임기 여성 대상의 웹기반 엽산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 사회인지이론의 적용

        김지현 충북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Adequate folate nutritional status of women of child-bearing age is essential for preventing neural tube defects. However, many Korean women of child-bearing age are not aware of the roles of folate, and consume dietary folate less than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s (EAR), and does not take folic acid supplement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women of child-bearing age to promote folate nutritional status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SCT),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Seventy-eight women aged 19 to 35 years who were at risk of folate deficiency were randomly assigned to ‘educational group’ or ‘control group’. The 4-weeks education program consists of one face-to-face education session followed by three web-based education sessions. Questions on folate dietary behavior and SCT constructs were collected at pre- and post-test. The data of 74 women who participated in all the program were analyzed using SAS 9.3 program. The education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ost-test scores in folate dietary behavior, outcome expectations, behavioral cap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umption frequency of folate sources, folate intake, and self-efficacy between the two groups. Folate dietary behavior was explained by behavioral capability, outcome expectations, self-efficacy, observational learning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is effective in increasing folate dietary behavior for women of child-bearing age by increasing behavioral capability, outcome expectations, self-efficacy and observational learning.

      • 초등학생 대상 체험식 영양교육의 효과와 지속성 연구

        진아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생 고학년을 대상으로 체험식 영양교육을 실시하여 영양교육의 효과와 지속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전라남도 소재 8개 초등학교 고학년(4~6) 448명을 대상으로 대조군(n=224)과 교육군(n=224)으로 나누어 ‘아침식사 매일 하기’, ‘올바른 간식섭취’, ‘올바른 손씻기’, ‘건강한 식생활’, ‘나의 체조성 바로알기’에 대한 내용으로 영양교육을 실시하였다. 교육군은 사전, 교육 후 1주, 교육 후 5주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영양교육 없이 동일기간 내 사전과 5주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군은 교육 후 1주 후 아침식사 횟수, 아침식사에 관한 인식, 아침식사에 관한 영양지식이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5주 동안 지속되었다. 간식섭취 횟수는 교육 후 5주 뒤 섭취 횟수가 줄었고, 간식섭취 시기는 교육 1주 후 집에서 간식을 섭취하는 비율이 늘어났지만 5주 후에는 다시 감소하였다. 손씻기 횟수(하루 기준), 손 씻기 실천율, 손씻기 인식율은 1주 후 교육의 효과가 나타났고, 5주 동안 지속되었다). 식습관 총 점수도 1주 후 교육의 효과가 나타났고, 5주 동안 교육의 효과가 지속되었다. 우유 섭취, 싱겁게 먹기, 천천히 먹기, 과자나 패스트푸드 적게 먹기, 식사 거르지 않기, 과식하지 않기에 대한 점수는 교육 5주 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지만 채소, 동·식물성 단백질, 과일 섭취, 골고루 먹기는 교육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영양지식의 총 점수도 교육 5주 후에도 교육의 효과가 나타났는데, 영양소의 급원식품(탄수화물 지방, 철, 칼슘)은 교육의 효과가 나타났지만 단백질의 급원식품, 빈칼로리 식품과 패스트푸드와 함께 섭취하면 좋은 식품에 대한 문항에서는 교육효과가 없었다. 그러므로, 체험식으로 구성된 본 연구에서는 아침식사 횟수, 아침식사에 대한 인식, 아침식사와 관련된 지식, 손씻기 횟수, 손씻기 인식율, 손씻기 실천율, 식습관 총 점수, 영양지식 총 점수가 5주 후에 교육의 효과가 나타나 초등학교에서 영양교육시간 부족이라는 취약점을 보완하여 활용할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교육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던 간식섭취 시기, 식습관에서 낮은 점수를 보인 항목(우유 섭취, 콩이나 두부의 섭취, 빠른 식사속도)과 영양지식에서 낮은 점수를 보인 항목(단백질 급원식품, 빈칼로리 식품)에 대해서는 교육 자료 개발이나 교육내용을 강화하여 교육 효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보완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5주 동안 교육 효과가 지속되었던 항목이 교육 효과가 사라지는 시기에 대한 조사를 할 수 있도록 연구기간을 확대하여 교육 내용별 적절한 교육 주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The study intends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s regarding the effect and sustainability of nutrition education. It will do so by conducting nutrition education experience aimed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Nutrition education was conducted on such topics as, ‘having breakfast every morning’; ‘the proper intake of snacks’; ‘proper hand washing’; ‘healthy eating habits’; and ‘knowing my body’s composition’. This was done by dividing the control group (n=224) and the education group(n=224and aiming at the upper grades of 8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Jeonnam. The education group filled out the survey before the education, one week after the education, and the control group conducted the survey before and 5 weeks after the study in the same period without nutrient education. The educated group had a positiv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icipants eating breakfast one week after the education, recognition of breakfast’s importance, and nutrient knowledge regarding breakfast and it continued for 5 weeks. The snacks between meals decreased 5 weeks after the education. Regarding the time between meals, the ratio of eating between meals at home increased a week after the education but decreased 5 weeks after Hand washing, knowing the time of hand washing (ratio of awareness), and the duration of hand washing(ratio of practice) showed the effect of the education after one week and was continued for 5 weeks. The score of source food (carbohydrate, fat, iron, and calcium) nutrient knowledge positively increased but the education had no effect on questions regarding sources of protein, foods which are good to eat with empty calorie foods and fast-foods. Therefore, the study showed the education’s effect after 5 weeks on the number of breakfasts, breakfasts and health, knowledge relating to breakfast, Hand washing duration(ratio of awareness), the time to wash hands(ratio of practice), total score of eating habits and total score of nutrient knowledge. This indicates this is the proper program to be utilized in elementary schools. But, time of snack intake as well as items showing a low score in eating habit (drinking milk, eating beans, and a rapid eating speed), and items showing a low score in nutrient knowledge (sources of protein and empty calorie foods), indicates that methods to continue the educations effect should be established by developing education materials or strengthening education contents. Also, the research should be followed up by another study that extends the research period to study the period when the education effects disappear in contrast to items with 5 weeks of continuous educational effect.

      • 경기(구리시)지역 중학생의 BMI에 따른 식습관 및 건강, 심리상태 연구와 영양교육 요구도 분석

        박현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경기(구리시)지역 중학생의 BMI, 식습관 및 건강, 심리상태와 학교 영양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 보다 효율적인 학교 영양교육을 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 대상자는 총 261명(남-50.6%, 여-49.4%)으로 65.5%가 규칙적인 식사를 하고 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규칙적인 식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식 여부에 52.5%가 편식을 하지 않는다고 하였는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편식을 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직업 유무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편식을 하는 이유로는 ‘입맛에 맞지 않아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채소류를 가장 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식 섭취는 하루 1회(47.8%) 섭취비율이 높았으며 선호하는 간식 종류로는 스낵류(34.6%)가 가장 높았다. 간식을 선호하는 이유는 ‘배고파서’가 가장 높았다. 이를 통해 올바른 식생활 지도와 간식의 종류 및 질 개선이 요구되며 학생 개인의 상황에 맞는 영양교육 및 관찰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자신의 체형을 인지함에 있어 전체적으로 ‘보통체형’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여학생은 정상체중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뚱뚱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체중에 대한 관심도와 평상시 스트레스도 남학생보다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 조절을 하는 이유로는 ‘성취감을 느끼고 심리적으로 자신감을 갖게 될 것 같아서’(42.7%)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교 영양교육을 통한 올바른 체형인식과 건강 체중 유지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학교 영양교육 희망 여부에 잘 모르겠다(46.4%)가 가장 높았고 학교 영양교육을 받고 싶은 이유에 대해서는 올바른 식습관 및 식사예절을 확립하기 위해서(32.4%)가 가장 높았으며, 영양교육을 통해서 가장 배우고 싶은 것은 균형된 식품 섭취(27%)가 가장 높았다. 선호하는 영양교육 담당자로는 영양(교)사(81.2%)를, 영양교육 방법으로는 조리 실습(21%)으로 가장 높았다. 이를 통해 영양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및 활동이 요구되며 영양(교)사의 중추적 역할 및 다른 교사, 사회의 협력 및 연계 방안이 필요 할 것이다. 단순히 영양지식의 획득에 중점을 두는 인식 위주의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학생들에게 직접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등 체계적인 영양교육 계획 설정과 프로그램 개발 등 계속적인 연구가 요구되며 학교 영양교육을 통한 식습관 및 영양개선 도모를 기대해 본다.

      • 식품교환법 중심 소책자를 활용한 영양교육 효과 : 고혈압 환자 대상

        이진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develop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individual daily energy requirements and food exchange units using Food Exchange System for hypertension patients at a community health center. Developed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ur weeks' nutrition education including provided twice individual meal as diet therapy (2 hour/lesson/week, 4 week), was provided to 32 diabetic elderly (4 male, 28 female, 50-75 yrs): 1st lesson "Introduction: management of Hypertension ", 2nd lesson "6 Food groups and sources of 6 food groups", 3rd lesson "Individual daily energy requirements and food exchange units", and 4th lesson "Food choices for the management of hypertension". For effects' analysis of the developed program, we assessed the changes in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nutrient intakes using 24 hr recall method. Effects of the develop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ere as follows: weigh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ody Mass Index(BMI),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and blood urea nitrogen (BU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distribution of subjects in Total-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LDL-chol was significantly changed. In protein : fat : carbohydrate (PFC) ratio, it was significantly changed from 15.43 : 18.77 : 65.93 to 17.95 : 21.27 : 60.99. In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s b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 energy, protein, folic acid, Fe and zinc were shown significantly positive changes in distribution of subjects according to intake level. The index of nutrition quality (INQ), nutrition adequacy ratio (NAR) and mean nutrition adequacy ratio (MA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nclusion, the developed 4 weeks'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exchange units using Food Exchange System pamphlet for hypertension patients improved dietary behavior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intake. Therefore, this type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should give a positive effect on symptoms of hypertension is a need to provide for community health centers.

      • 경남 김해지역 초등학교 교사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손근영 인제대학교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영양교육의 실태,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영양지식을 파악함으로서 초등학교에서의 영양교육 효율화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결과에서 초등학교 교사의 영양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2006년 영양(교)사 배치 이후 초등 교사들이 실시하고 있던 영양교육이 영양(교)사에게로 많이 이전되어 영양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영양교육의 자료가 부족하고 영양(교)사들의 영양교육 실시 시간이 확보되지 않아 체계적 영양교육이 어렵다. 따라서 영양(교)사들이 사용할 수 있는 전문 영양교육자료 개발 및 영양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시간이 확보 되어야겠다.

      • 영양교육 관련 논문분석을 통한 유아대상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제안

        김경화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유치원 유아들이 군형식에 대한 영양지식을 알고, 아침결식 및 편식의 식습관을 개선과 식생활에 대한 인식과 행동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아대상 영양‧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하여 그 효과를 평가한 연구이다. 유아의 식생활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경기도 의정부시에 소재한 S유치원의 만5세 유아(2학급 52명)을 대상으로 영양‧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효과 평가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3차시의 교육을 통해 유아들의 점심 섭취량이 증가되었으며, 특히 김치, 밥, 생선요리의 섭취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반복교육에 의해 큰 효과를 볼 수 있었다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영양·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은 단순 지식의 전달교육이 아니고 유아 스스로가 참여 하여 만지고, 냄새 맡고, 먹고, 이야기 하면서 체험하는 것이 가장 큰 효과를 가져 온다고 볼 수 있으며, 교육 횟수도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반복교육이 유아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여 개선되고 발전하는 것에 큰 영향을 가져옴을 알 수 있었다. 유아들의 점심 섭취량의 증가는 유아의 영양 상태를 향상시키며 향상된 식습관은 추후 성장기의 건강을 위한 기초가 될 것이다. 급식관리 측면에서도 잔반의 감소로 급식비의 사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하겠다.

      •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한 산업체 근로자 식습관 영향요인 및 영양교육 효과

        임지숙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Workers' eating habits affect their physical health and individual quality of life, and socially, they are closely related to workplace productivity and worker health care costs. Therefore, it is an area in need of intervention. Eating habits are formed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re also affect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hift work, it is known that the ratio of smoking and drinking groups is high, and interest in eating habits and health is low. An in-depth understanding of eating habits and behavior patterns according to working conditions is required to identify and improve workers' eating habi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a foundation for nutrition education for general workplace workers by conducting nutrition education and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based on an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the behavioral meaning of eating habits and factors that regulate the nutritional index in different working environm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equal weight o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based 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of previous studies. The data of each study were collected,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using the simultaneous triangulation method that can best understand the research hypothesis for the research problem. The study data were targeted at manufacturing workers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For the qualitative stud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2 people, and the contents were analyzed. The quantitative study analyzed the nutritional index difference factors and the moderating effects related to smoking and drinking in 738 subjects. Educational subjects and contents were derived based o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and nutrition education was conducted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It was named Random-easy program, implying that the subject of education is random, and the content is easy. The main results of integrating the results of each type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affecting workers' eating habits were examined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of previous studies. The effect of dietary factor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on-shift work than in shift work,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Not drinking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factors related to eating habits according to the level of drinking. Second, he qualitative study found that shift workers eat quickly and cannot keep regular mealtimes because of shift work. Non-shift workers do not consider food taste and nutritional balance because they prioritize individual preferences. In particular, workers living alone or male workers had difficulty solving eating and revealed problems with eating and food choices while drinking or smoking. Accordingly, the need for an assistant to manage eating habits and regular nutrition counseling at work was raised. These results became the basis for a concrete understanding of shift workers' situations and behavior in the quantitative study results. Third, shift workers had significantly lower nutritional indexes than non-shift workers in a quantitative study on the nutritional index.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according to the influencing factors: work experience, gender, age,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family composition. In addition, different control effects were found in the areas of balance, variety, and moderation of workers’ nutritional index according to the degree of smoking and drinking. Drinking had a more substantial effect on the balance area than smoking. Smoking had a more substantial effect than drinking alcohol in the variety area. The moderation area was affected by smoking and drinking at the same time. Fourth, the group that particularly needs nutrition education was workers with lower nutritional indexes who needed monitoring; shift workers, male workers, divorced, bereavement, and workers who drink and smoke in the integrated analysis of the mixed methods research conducted in combination wit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above.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meal suggestions by work type, meal suggestions when drinking or smoking, methods to reduce sugar or sodium intake, and metabolic syndrome, a disease related to eating habits and lifestyle. Fifth,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random-easy program) was shown in both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nutrition education. Scores in the nutritional index, balance, variety, moderation, and eating habits were improved as face-to-face nutrition education sessions increased. Nutrient index through nutrition educ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in shift workers, face-to-face education, and subjects who drink or smoke or do both simultaneously. In the case of non-face-to-face nutrition education, the educational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for shift workers after education, for those who drink and smoke at the same time, or only smoke, compared to before education. This study applied mixed methods research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workers' eating habits and proved the effect with simple nutrition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In future research on workers' eating habits, it is necessary to collect qualitative data on perception and behavior decision methods,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hat reflects work characteristics, and apply it to individual workplaces. To this end, a follow-up study is proposed because the preparation of workplace worker nutrition projects based on a national policy must be prioritized.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sed as data to lay the foundation for workers' health promotion policies and interventions to improve eating habits. 근로자의 식습관은 개인의 신체적 건강을 바탕으로 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사업장 전반의 생산성과 근로자의 건강관리를 위해 지출되는 비용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중재가 필요한 분야이다. 건강행태의 일환으로 여겨지는 식습관은 근로자 개인으로부터 형성되는 개별적인 요인과 개인을 둘러싼 전반적인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특히 교대근무 형태를 취하는 사업장의 경우 근로자의 흡연과 음주군의 비율이 높고 식습관 및 건강관심도는 낮은 편에 속한다. 이에 근로자의 근무 형태별 식습관 행동기제를 포괄하는 심층적 이해를 바탕으로 근로자의 식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인자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대 및 비교대 환경에서 식생활이 갖는 행동적 의미와 영양지수 조절 요인에 대한 통합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효과성을 평가함으로써 일반 사업장 근로자의 영양교육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에 기초하여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에 동등한 비중을 두어 수행하였으며, 각 연구의 자료를 수렴하여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가설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동시 삼각 측정법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자료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제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질적 연구는 32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고 내용분석 하였으며, 양적 연구는 738명을 대상으로 영양지수 차이요인과 흡연, 음주 관련 조절효과를 분석 하였다.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대상과 내용을 도출하고 대면 및 비대면 방식으로 영양교육을 진행하였으며, 교육 대상이 Random하고 내용이 쉽다(easy)는 의미를 함축하여 Random-easy 프로그램으로 명명하였다. 각 연구의 유형별 결과를 도출하여 이를 통합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근로자 식습관 영향 요인을 살펴본 결과, 근무 형태에 따라 비교대 근무가 교대 근무에 비해 식습관 관련 요인 효과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주 수준에 따라 음주를 하지 않는 것이 식습관 관련 요인 향상에 더욱 효과적임을 확인 하였다. 둘째, 질적 연구 결과 교대 근로자는 교대근무로 인한 식사교대로 바쁘게 식사하거나 정기 식사 시간을 유지 하지 못했고 비교대 근로자는 개인의 기호도를 우선시 하므로 음식의 맛과 영양적 균형을 생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혼자서 생활하는 근로자, 남성 근로자의 경우 식사를 해결하기 어려워하였고, 음주나 흡연 상황에서의 식사와 식품선택에 대한 문제를 드러냈다. 이에 따라 식습관 관리에 조력자의 필요성과 직장에서의 상시적 영양상담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양적연구 결과에서 교대 근무자의 식습관에 대한 상황과 행동에 대한 이해를 구체화 할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셋째, 영양지수에 대한 양적 연구 결과 교대 근무자가 비교대 근무자에 비해 영양지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영향요인으로 근무경력, 성별, 연령, 월간 가계 수입, 가족 구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흡연과 음주 정도에 따라 근로자의 영양지수 균형, 다양, 절제 영역에서 각기 다른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음주량은 균형 영역에 흡연보다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흡연은 다양 영역에 음주보다 강한 영향을 미치고, 절제 영역은 흡연과 음주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기의 질적 및 양적 연구를 병용하여 진행한 혼합연구방법의 통합 분석 결과 영양교육이 특히 필요한 대상은 영양지수가 낮은 모니터링 필요 군, 교대 근로자, 남성 근로자, 이혼·사별·독립으로 혼자서 생활하는 근로자, 음주·흡연하는 근로자였다. 연구 유형별 주요 결과의 통합 분석에 따라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근무형태별 식사 제안, 음주·흡연시의 식사제안, 당·나트륨 줄이는 방법, 식습관과 생활습관 관련 질환인 대사증후군으로 구성하였다. 다섯째, 영양교육(Random-easy프로그램)의 효과는 대면 및 비대면 영양교육에서 모두 나타났다. 대면 영양교육의 경우 회 차가 늘어날수록 영양지수 및 균형, 다양, 절제, 식습관 영역의 점수가 향상되었고 교대 근무자에서, 대면교육의 방법에서, 음주 또는 흡연을 하거나 이를 동시에 하는 대상자의 경우에 영양교육을 통한 영양지수가 유의하게 높아졌다. 비대면 영양교육의 경우도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에, 교대 근무자일수록, 음주와 흡연을 동시에 하는 경우일수록, 흡연만 하는 경우 일수록 교육 효과 상승 폭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혼합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근로자의 식습관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간단한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근로자의 식습관과 영양상태의 개선을 효과적으로 입증하였다. 향후 근로자의 식습관 연구는 인식과 행위 결정 방식에 대한 질적 자료의 수집, 업무 특성을 반영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개별 사업장에서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정책에 기반 한 사업장 근로자 영양 사업의 직장 내에 마련이 선결되어야 하므로 이를 후속 연구에 제언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근로자의 건강증진 정책과 식습관 개선을 위한 중재 마련의 기반을 다지는 자료로써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 비만 여고생의 체중조절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이난조 啓明大學校 大學院 2008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사회인지이론을 적용하여 비만 여고생을 대상으로 체중조절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여 학교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체중조절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구 시내에 소재한 전문계 고등학교 1학년 재학 중인 여학생 중 BMI가 23이상인 과체중과 비만에 해당하는 학생 중에서 자발적으로 참여한 28명(중도 포기자 3명)이었다. 프로그램은 1박 2일 캠프로 시작하여 14주 동안(2006년 4월5일~7월 5일) 매주 1회씩 방과 후에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교육매체는 자체 개발한 프로그램 및 소책자‘ 슬림 다이어리’를 이용하였고, 효과 측정의 방법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영양교육 프로그램 실시 전?후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신장과 체중은 평균 159.2 cm와 71.3 kg이었고, 체지방량은 41.2%, BMI는 평균 28.1로 중등 비만상태였다. 영양교육 프로그램실시 전에 조사한 연구대상자의 영양소 섭취상태는 1일 평균 에너지 섭취량은 2702.7 kcal로, 전체 대상자의 80.6%가 평균필요량 이상으로 섭취하고 있었다.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비타민 B6, 인, 나트륨, 콜레스테롤 등은 초과 섭취한 영양소들이었으며 반면 비타민 C, 비타민 B2, 엽산, 칼슘, 식이 섬유소는 부족 되게 섭취하고 있는 영양소였다. 비타민 C, 칼슘은 71%, 64.5%로 평균필요량 이하로 섭취하고 있었다. 체중조절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영양교육 프로그램 목표는 성공적인 체중조절을 위해 영양지식, 결과기대감, 자아효능감, 자기통제력을 높이고, 친구나 가족의 도움과 강화를 적극 활용하여 건강 체중을 유지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본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특징은 학습자가 자기스스로 목표를 설정하여 학습을 수행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형태이며, 지식위주교육이 아닌 행동중심교육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었다. 체중조절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전에 비만여고생 9명을 대상으로 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으며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체중조절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1차 영양프로그램개발과 시범운영을 한 후 수정?보완하여 본 영양교육프로그램을 개발 하였고 효과적인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서 연구보조원을 두어 책임지도를 하였다. 연구보조원은 영양학을 전공한 대학원생 2명 및 식품영양학과 대학생 6명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개발과 프로그램 운영은 전문가 교수께 자문을 구하였고, 설문지 조사는 영양지식, 체중조절에 대한 결과기대감, 자아효능감, 자기통제력, 식행동 등을 포함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체중조절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조절 영양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영양지식 점수(p<0.05), 결과기대감(p<0.05), 자아효능감(p<0.0001), 자기통제력(p<0.01) 점수는 영양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유의적으로 모두 높아졌다. 반면 식행동 점수는 점수가 낮아졌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체중조절 영양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체지방량의 변화에 따라 체지방량 감소군(17명)과 증가군(9명)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체중조절 영양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체지방 감소군과 증가군 두 군 간의 영양지식, 결과기대감, 자아효능감, 자기통제력, 식행동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체지방 감소군(17명)을 영양교육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영양지식 점수가 영양교육 실시 전 14.1점, 실시 후 15.2점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p<0.05), 결과기대감은 영양교육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 각각 78.5점, 86.2점(p<0.05), 자아효능감은 영양교육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 각각 42.7점 58.9점(p<0.0001), 자기통제력은 영양교육 프로그램 실시 전 35.0점, 실시 후 42.8점으로(p<0.01) 영양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유의하게 높아졌다. 반면 체지방량이 증가한 군(9명)은 영양교육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영양지식, 결과기대감, 자기통제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자아효능감 점수는 영양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유의하게 높아졌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체중조절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자아효능감, 결과기대감, 영양지식, 자기통제력은 매우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며 식행동은 개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는 지속적인 영양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하는 결과라고 사료된다.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develop a nutrition-education program for overweight high school girls based on the social cognitive theory.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were twenty-eight 1st year high school girls attending a technical high school in Daegu city. They were all overweight girls with BMI over 23. They participated in an education program on controlling weight for 14 weeks, once a week after school, starting with a one night and two days camp. 'Slim diary', which is a small book made by our research team about this program, and 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is nutrition-education program. The survey is divided into two sections, before and after getting the education. The average height and weight of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9.2cm and 71.3kg. The mean body fat percentage was 41.2%, and the mean BMI was about 28.1, defining them as obese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s.Before entering the nutrition-education program, the mean energy intake was 2702.7 kcal per day, and 80.6% of the subjects took in more than they needed. The intake level of carbohydrates, fats, proteins, vitamin B6, phosphorus, sodium, and cholesterol were found to be excessively high. On the other hand, Vitamin C, Vitamin B2, folic acid, calcium and fibers were insufficiently consumed. The intake level of Vitamin C and calcium were about 71% and 64.5% respectively, which is below the necessary amount. The aim of this nutrition-education program is to enhance the nutrition knowledge, expectation on the outcome, self-efficiency and self-control in order to enable the participants to control their weight successfully. We encouraged them to get as much help as possible from friends or family so that they can maintain good health. The characteristic of this nutrition-education program is that the participants set their own goals and actively take part in the learning process. Therefore, this program is more focused on the actual activities. After the first nutrition-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in September, 2005, we went through several steps of examinations to modify and supplement the contents, which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current nutrition-education program. For efficient program management, we hired research assistants to direct the program. The research assistants consisted of two graduate school students who majored in nutrition science and six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Advices on making surveys and processing the program are given by expert professors,and the contents of the survey included nutrition knowledge, outcome expectation on controlling one's own weight, self-efficiency, self-control and eating habits. The outcome of this nutrition-education program is as follows. After participating in the nutrition-education program, we fou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nutrition knowledge (p<0.05), outcome expectation (p<0.05), self-efficiency (p<0.0001), and self-control (p<0.01). After the nutrition-education program, we divided the students into two groups. Onet group showed a decrease in body fat percentage (17 students), while the other group displayed an increase in body fat percentage (19 stud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trition knowledge, outcome expectation, self-control and eating habits between these two groups. However, among those who experienced a decrease in body fat ratio, we discovered that their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nutrition knowledge, from 14.1 before the program, to 15.2 after the program (p<0.05). Their expectation of the outcome was increased from 78.5 to 86.2 (p<0.05), self- efficiency from 42.7 to 58.9 (p<0.001), and self-control from 35.0 to 42.8 (p<0.01). When we examined the other group with increased body fat percentage, we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ir nutrition knowledge scores, outcome expectation scores, and self-control scores before and after they went through the program. But their self-efficiency score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Conclusively, this nutrition-education program on controlling weight was very effective on self-efficiency, expectation on outcome, nutrition knowledge and self-control. The effect on eating habits differed by individuals. This seems to imply that constant nutrition-education is very important and much needed among overweight high school girls.

      • 고혈압 성인 대상 4주 영양교육에 의한 혈액성상 및 식사개선

        안승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hypertention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HNEP) at a public health center, by assessing changes on hypertension patient's Body Mass Index(BMI), blood pressure,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salt intake and nutrition(specially salt) after program completion. A HNEP was conducted in Gochang-province for 4 weeks in 2009 by a public health center. Nutrition education lessons(2 hours/lesson 2time, food testing), 'desired weight and daily needed energy and food exchange units','meal guidance of daily needed energy and food exchange units' as the first lesson, 'low salt diet', 'desired select of snack and dining out', 'case-study presentation of nutrition counseling for hypertension' as the second lesson, 'experience of low salt diet for hypertensive patients' as a food testing, were provided to 26 adults(man 7, femal 19, 50yrs∼75yrs). We assessed the change in blood pressure and anthropometric data, biochemical assessment,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bout salt intake, nutrient intake using 24 hr recall. Chages after program completion indicated the following: BMI distribution was changed (p <0.001). Nutrition knowledge was increased (p <0.05), dietary attitude was in score of 'Table salt attitude'(p <0.05), 'Attitude about soups' (p <0.001), 'Attitude about spice' (p <0.001) was incresed by HNEP. In evaluation of nutrition intake by Dietary Referance Intake for Koreans (KDRIs) , dietary fiber, Vitamin E, Niacin, Vitamin B6, Folic acid, Ca, P, Fe, Zn were shown positive changes in distribution of number of adults according to intake level. But sodium intakes and blood pressure are not decreased after nutrition program. As a conclusion, it appears that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ve patients mignt effectively decrease BMI. It also improve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bout salt intake('Table salt attitude', 'Attitude about soups' , 'Attitude about spice'), degree of perceived sodium content nutrition labeling and nutrient intake (dietary fiber, Vitamin E, Niacin, Vitamin B6, Folic acid, Ca, P, Fe, Zn). It follows then, that a long term intervention program may need to decrease sodium intakes and blood pressure for hypertensive patients. 본 연구는 지역보건소에서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4주간의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교육을 완료한 환자를 대상으로 효과를 평가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고창군 보건소에 내원하는 50~75세이하의 성인 26명(남자 7명, 여자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혈압 및 신체계측의 변화, 혈액생화학적 특성변화, 생활습관 및 영양관리 인식 변화, 나트륨에 대한 영양지식, 식태도 변화 및 24시간 회상법을 통한 영양섭취조사의 변화와 영양섭취기준에 따른 영양소의 섭취분포 변화를 알아보았다. 1. 조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68세였고, 함께사는 가족의 형태는 혼자사는 경우가 31.8%로 가장 많았다. 직업의 유무는 63.6%로 절반이상의 대상자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다른 질병의 유무는 ‘관절염’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31.4%로 가장 많았다. 영양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50.0%였다. 생활관리 및 영양관리인식 변화에 있어서 과거흡연자가 교육 전 13.6%에서 교육 후 9.1%로 감소하였다. 음주상태에 대한 조사에서 ‘아니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86.4%에서 81.8%로 감소하였고, 규칙적인 운동을 실시하는 대상자는 31.8%에서 36.4%로 증가하였다. 고혈압에 대한 처방에 있어서 약을 먹는 대상자가 교육 전, 후 모두 높았으나, 식사요법을 실시한 대상자가 0%에서 4.5%로 증가하였다. ‘자신의 체중에 대한 인식’, ‘바람직한 체중’, ‘하루 섭취열량’, ‘혈압인식’, ‘체중감소에 대한 시도’, ‘영양제 복용’에 대해서도 바람직하게 증가하였다. 건강 또는 영양정보를 ‘영양사&#8228;의사’에게 얻는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교육전 13.6%, 교육 후 22.7%로 증가하였다. 2. 신체계측적 특성과 혈압에 있어 영양교육 후 이완기 혈압과 수축기 혈압이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체중과 비만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압의 분포 변화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를 보였다. 3. 혈액생화학적 특성 변화에 있어서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은 감소하였고, HDL-콜레스테롤은 증가하였다. 혈액수치 분포의 변화에서는 정상군은 증가, 경계군은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DL-콜레스테롤와 HDL-콜레스테롤의 경우 위험군이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에 있어서 영양교육 후 식이섬유, 칼슘, 인, 철, 나트륨, 칼륨, 티아민, 리보플라빈, 비타민 B6, 나이아신, 엽산의 섭취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식이섬유를 적정섭취량이하 섭취한 대상자가 교육 전 77.3%에서 교육 후 40.9%로, 비타민 E는 90.0%에서 72.2%로 감소하였다. 평균필요량 이하 섭취한 대상자는 나이아신은 68.2%에서 27.3%로, 비타민 B6은 45.5%에서 4.5%로, 엽산은 86.4%에서 50.0%, 칼슘은 81.8%에서 45.5%, 인은 9.1%에서 0.0%로, 철은 9.1%에서 0.0%로 아연은 27.3%에서 0.0%로 감소하였다. 5. 식사의 질평가에 있어서 INQ는 단백질, 비타민 A의 섭취에 있어서 교육후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NAR은 티아민,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엽산, 칼슘, 인의 경우 교육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MAR은 교육 후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DDS는 교육 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MDFVG는 다섯가지 식품군을 모두 섭취한 경우가 교육 전 3.8%에서 교육 후 11.5%를 보였다. 6. 나트륨 섭취 관련 영양지식의 변화에 있어서 ‘술과 커피는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을 주어 고혈압 환자에게 좋다’와 ‘비만인 경우 살을 빼도 혈압과는 상관없다’, ‘소금에 들어있는 나트륨은 혈압을 높인다’, ‘소금을 적게 먹으려면 국이나 찌개에서 국물보다 건더기 위주로 먹는다’, ‘식사에서 섬유소를 충분히 섭취하려면 흰밥을 먹어야 한다’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고혈압에 대한 영양지식이 교육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7. 나트륨 섭취에 대한 식태도에 있어서 모든 문항에서 교육 후 좋은 식태도에 대한 응답률이 증가하였고, 문항별로 분류하여 보면 ‘식탁에서 소금치는 행동’, ‘국에 대한 태도’, ‘양념에 대한 기호도’의 문항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8. 나트륨 표시에 대한 인식도 변화에 있어서 ‘식품을 구입할 때 영양성분표시를 확인 하는 가’에 대한 질문에 ‘가끔 한다’로 응답한 대상자는 교육 전 0.0%에서 교육 후도36.4%로 증가하였다. ‘영양성분표시 중 나트륨함량을 확인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교육전 ‘가끔한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교육 전 0.0%에서 교육 후 27.3%로 증가하였다. ‘나트륨과 소금의 차이’를 알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조금 안다’는 교육 전 13.6%에서 교육 후 36.4%로 증가하였다. 나트륨 표시에 대한 인식도를 점수가 교육 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양교육을 실시한 고혈압 대상자의 BMI,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영양지식, 식태도 중 식탁에서 소금치는 행동, 국에 대한 태도, 양념에 대한 기호도에 대한 태도, 나트륨 표시에 대한 인식도, 영양소(식이섬유, 칼슘, 인, 철, 나트륨, 칼륨, 티아민, 리보플라빈, 비타민 B6, 나이아신, 엽산)에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영양교육 대상자들의 나트륨 섭취가 교육 후 감소하였지만 유의적이지 않아 고혈압 개선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하지만 BMI와 혈압,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등의 혈액생화학적 특성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그 이유는 4주라는 단기적인 시간에도 불구하고 강의식 수업에서 개인별 바람직한 체중 산출과 비만도를 직접 계산해 보고, 자신의 하루 필요 열량 산출을 산출해 봄으로써 자신의 비만도에 대한 인식도가 높아졌다. 그에 맞는 대책마련을 위하여 개인 상담과 활동량을 고려한 개인 열량에 맞은 1끼 식사 제공을 하여 실시와 함께 나트륨 섭취 감소를 위해 가정에서 먹는 국을 염도계로 측정하여 식사에서의 나트륨의 과잉 섭취에 대해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저염식을 실천할 수 있도록 기여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체중감소와 나트륨 섭취 감소를 위한 영양교육은 고혈압 환자의 혈압을 조절하는 데 크게 기여하지는 못하였지만,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