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아반 교사의 연령별 보육프로그램 실행의 장애요인

        김명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표준보육과정을 실행하는데 있어 영아반 교사들의 실행의 장애요인 및 요구와 개선방안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영아반 교사들의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표준보육과정의 실행에 있어서의 장애요인, 영아반 교사의 연령별 보육프로그램 적용상의 문제점에 대해 파악함으로써 영아반 교사들의 표준보육과정의 실행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각 연구문제를 담당 연령별, 근무유형별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1. 영아반 교사의 영아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영아반 교사의 영아표준보육과정 실행에 있어서의 장애요인은 무엇인가? 3. 영아반 교사의 연령별 보육프로그램 적용상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영아를 보육하고 있는 시설의 영아반 담당 교사 1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집단별 평균분석, 표준편차, One-Way ANOVA 검사를 실시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나온 결과에 대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반 교사의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 수준은 보통보다 높은 인식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식이 가장 잘 되고 있는 부분은 표준보육과정의 6개 영역으로 기본생활영역, 신체운동영역, 사회관계영역, 의사소통영역, 자연탐구영역, 예술경험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인식이 잘 되지 않은 부분은 평가에 대한 부분으로 평가준거, 평가방법, 평가내용 순으로 나타났다. 담당연령별로 알아본 결과는 담당반이 없는 시설장, 0세반 담당교사, 2세반, 1세반 담당교사의 순으로 인식이 잘되고 있고, 기관유형별로는 가정어린이집, 국공립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영아전담어린이집의 순으로 인식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준보육과정의 인식의 정도는 담당연령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반 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실행에 있어서의 장애요인은 ‘담당하는 영아들의 개인차가 심하다’, ‘표준보육과정에 따른 활동 준비를 위한 시간 부족’, ‘표준보육과정에 적합한 영아 보육프로그램의 부족’, ‘표준보육과정의 홍보나 지원의 부족’, ‘담당반 월령의 편차가 심하다’의 순으로 나타났다. 담당연령별로 알아본 결과는 2세반 담당교사, 1세반, 0세반 담당교사의 순으로 장애를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관유형별로는 민간어린이집, 영아전담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국공립어린이집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별활동이 표준보육과정을 실행하는데 어떠한 장애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영아를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특별활동은 전체의 92.5%가 실시하고 있으며 특별활동의 과목은 음악, 체육, 영어의 순으로 나타났다. 실시시간대는 오전과 오후 모두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활동 실시의 이유로는 ‘아이들의 다양한 경험을 위해서’, ‘부모들의 요구에 의해서’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표준보육과정과의 통합교육은 37.2%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표준보육과정의 실행에 있어 특별활동이 장애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반 교사의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실행에 있어서의 장애요인은 ‘활동명만 제시되어 있는 부분에 부연설명이 표시되면 도움이 된다’, ‘주간계획안에 참고사항으로 소개된 부분의 설명이 명확하고 자세하게 제시되었으면 한다’, ‘제시된 프로그램의 실시를 위해 교구를 만들기엔 업무량의 과다와 시간상으로 맞지 않는다’, ‘같은 활동의 반복이더라도 요일별로 모든 영역활동을 제시해 주면 도움이 된다’, ‘제시된 보육프로그램의 실시를 위한 교구를 만들려면 보조교사의 도움이 필요하다’, ‘0세 프로그램처럼 다른 영아 프로그램에도 1수준과 2수준으로 나누어 주는 것이 좋다’의 순으로 나타났다. 담당연령별로 알아본 결과는 2세반 담당교사, 1세반, 0세반 담당교사의 순으로 장애를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관유형별로는 가정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국공립어린이집의 순으로 나타났다.

      • 만2세 영아의 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개별화지도 연구

        이예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만2세 영아의 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해 발달수준의 평가와 진단을 통해서 영아에게 적합한 개별화 지도를 실시하여, 영아에게 나타나는 사회적 행동의 증진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영아 개인의 발달 수준에 맞춘 개별화교육의 시행을 통해, 만2세 학급 전체 영아들의 사회적 행동 증진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2세 영아의 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개별화 교육은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2. 만2세 영아의 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개별화 교육은 학급전체 영아들에게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에 소재한 민간 공공형 어린이집 만2세 영아 6명으로 구성된 한 교실의 두 학급(총 12명) 중 사회적 행동이 부족한 영아 1명이다. 사전에 학급 전체 영아를 대상으로 정서지능 검사와 사회·정서 행동 측정 도구(Infant Toddler Social-Emotional Assesment: ITSEA)로 검사를 실시하여, 점수가 가장 낮은 영아를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영아의 현 수준을 파악하고, 설문지와 학부모 면담,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대상 영아의 개별화 지도와 관련된 자료 분석을 하였다. 연구 대상 영아의 현재 발달수준에 근거하여 물리적 환경의 재구성, 상호작용 전략의 구성, 또래관계 향상 전략의 구성으로 나누었고, 긍정적인 행동지원, 정서적 반영하기, 행동반영, 또래 모델링, 타인 의도 설명해주기로 세분화 하여 전략을 구성하였다. 선정된 지도전략과 총 20차시의 삽입 교수 활동을 통해 개별화 지도가 이루어졌다. 자료의 분석은 개별화 교육계획 삽입교수활동을 통한 영아의 사회적 행동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20차시의 개별화 교육계획 삽입교수활동이 끝난 후, 사전검사와 마찬가지로 정서지능 검사와 사회정서행동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변화를 총점과 평균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2세 영아의 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개별화 지도전략은 대상 영아의 사회적 행동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급 전체의 영아들에게도 개별화 교육활동이 또래 간 상호작용을 통해서 사회적 행동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질적 분석한 결과에서는 학급전체 영아들과 함께 활동을 참여함을 통해서, 교사와 또래와의 친밀감이 형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개별화 교육활동이 대상 영아의 전반적인 사회적 행동 증진에 도움이 되었으며 더불어 학급 전체 영아들에의 사회적 행동 증진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영아교사의 개별화 지도 방안과 영아들의 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기초적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behavior on an infant by conducting personalized guidance for the infant through the evaluation and diagnosis of developmental level to promote the social behaviors of the two-year-old infant. In addition, it is to see the effects of the implementation of individualized education tailored to the developmental level of individual infants in the class.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effect of individualized education on the improvement of the social behaviors of a two-year-old infant? 2. How does individualized education for improving the social behaviors of two-year-old infant affect all other infants in the classroom?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n infant with weak social behaviors out of two classes of 2-year-old infants (n=12) in a privately-owned public purpose Children’s House in Kyungsangnam-do. The Infant Toddler Social-Emotional Assessment (ITSEA) was performed for all infants in the class in advance and the infant with the lowest score in emotion perception and expression was selected. Individual infant data analysis was made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ith parents and teachers. Based on the present development level of the infants, they were divided into physical environment reconfiguration group, interaction strategy composition group, and peer relationship enhancement strategy group. Strategies were composed to explain positive behavior support, emotional reflection, behavioral reflection, peer modeling, and explaining others' intentions. Individualized instruction was made through the selected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the insertion teaching activities were made in 20 units of classes.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a pre-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changes in social behavior of infants through insertion teach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and the change was analyzed by total and average score using emotional intelligence tests and social emotional behavior measurement tools like the pre-test after the 20 sessions of insertion teaching according to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dividualized teaching strategy to improve the social behaviors of the two-year-old infant had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ocial behaviors of the two-year-old infant. Second,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activities also showe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behaviors of the infants in the class through peer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analysis showed that intimacy among teachers and peers was formed through participation in activities with all infants in the class. In conclusion, individualized education activities for social behavior enhancement promoted overall social behavior of the individual infant, and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promoting social behaviors of all infants in the clas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guidance of individualized teaching plan of teachers and the promotion of social behaviors of infants.

      • 영아의 보육 이용경험과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윤세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영아의 보육 이용경험과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25개월에서 36개월의 영아 142명(남아 73명, 여아 69명)이었다. 영아의 사회·정서적 문제행동 측정은 Briggs-Gowen과 Carter(2001)가 개발하고 신지연과 최석란(2005)이 번안·수정한 ‘Infant Toddler Socio-Emotional Assessment(ITSEA)’척도를, 영아의 보육 이용경험은 보육 시작 월령, 하루 평균 보육시간, 주당 평균 보육일, 보육기관 변경횟수를 묻는 질문지를,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은 이은해, 송혜린, 신혜영과 최혜영(2003)이 개발한 ‘영아반 평가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영아의 사회·정서적 문제행동 및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은 교사가, 영아의 보육 이용경험은 어머니가 직접 응답하였다.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이용하여 영아의 보육 이용경험,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 영아의 사회·정서적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영아의 보육 이용경험과 어린이집 질적 수준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보육 이용경험과 영아 사회·정서적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보육 이용경험의 하위요인 중 하루 평균 보육시간과 영아 사회·정서적 문제행동의 하위요인 중 내면적 문제행동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영아의 하루 평균 보육시간의 양이 많을수록 영아의 내면적 문제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과 영아 사회·정서적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 질적 수준의 하위영역 중 놀이 환경, 놀이 활동, 일상적 양육과 영아 사회·정서적 문제행동의 하위요인 중 내면적 문제행동 간에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린이집에서 영아에게 적합한 놀이 환경과 놀이 활동, 일과에 따른 일상적 양육 욕구를 적절히 지원할수록 영아의 내면적 문제행동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영아의 보육 이용경험과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문제행동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 질적 수준의 하위영역 중 놀이 환경과 일상적 양육이 영아 사회·정서적 문제행동의 하위요인 중 내면적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대적인 영향력을 동시에 살펴보았을 때, 보육 이용시간 등의 보육 이용 경험 관련 변인보다 어린이집에서 영아에게 적합한 보육 시설과 다양한 놀잇감을 제공하고 영아의 일과에 따른 양육 욕구를 적절히 지원해주는 것이 영아의 내면적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영아의 보육 이용시간은 영아의 내면적 문제행동과 상관이 있고,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 역시 영아의 내면적 문제행동과 유의한 상관이 있다. 그러나 보육의 양적인 측면인 보육 이용경험과 질적인 측면을 동시에 살펴 볼 경우,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이 영아의 내면적 문제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child care experiences and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centers on the socio-emotional problem behaviors of the infa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randomly selected from those infants who attend child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 and their age was controlled in the margin of 25 to 36 months. Total of 142 mothers of the 2-years-old infants (73 male, 69 female) and the teachers answered the questionnaires. The socio-emotional behavior problems were measured based on the ‘Infant Toddler Socio-Emotional Assessment(ITSEA)’ scale, developed by Briggs-Gowen & Carter(2001) and interpreted and modified by Shin Ji Youn, Choi Suk Ran(2005). The data regarding the child care experiences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including the following items: starting age, average child care center using hours per day, average child care center attendance per week, and the total number of changes of a child care center, which could be related to the stability of child care experiences.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centers were assessed by the ‘Infant Class Assessment Scales,’ developed by Rhee En Ha et al.,(2003). The questionnaires related to the socio-emotional problem behaviors and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centers were answered by the teachers, and the questions regarding the child care center experiences were answered by the mothers of the infant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motional problem behaviors, the child care experiences, and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center.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find the effects of the child care experience and the quality of child care center on the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child care center using hours per da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nfant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is indicates that as the infants stay longer in the child care center, it can relate to showing more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Second, the play environment, playing activity, and daily life nurturing factor, which are the sub-elements of the child care qualit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 other words, the better quality of the child care was related with showing less socio-emotional problem behaviors among infants. Third, when both quantity and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experiences were analyzed to predict infants socio-emotional problem behaviors, only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were shown to predict the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 sum, the hours of using the child care center and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center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nfants socio- emotional problem behaviors. However, when the relative predictability was examined, only the play environment and the daily life nurturing were the factors which significantly explained the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the infants.

      • 알림장을 통해 본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와 어머니 간 의사소통 분석

        김소영 아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어린이집 알림장에 나타난 영아반 교사-어머니 간 의사소통 내용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함으로써, 영아보육에 관해 어머니와 교사가 어떠한 생각과 의견을 나누는지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즉, 알림장을 통해 교환하는 어머니-교사 간 의사소통의 주요 내용 및 양상을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영아 양육 및 교육에 대한 가정과 기관 간의 상호 호혜적인 소통과 교류를 지원하고 보다 질적인 영아보육이 이루어지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린이집 영아반 알림장에 나타난 교사-어머니 간 의사소통 내용의 양적 빈도는 어떠한가? 1-1. 알림장에 나타난 교사-어머니 간 의사소통의 내용 주제별 빈도는 어떠한가? 1-2. 교사-어머니 간 의사소통의 내용 주제별 빈도는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어린이집 영아반 알림장에 나타난 교사-어머니 간 의사소통의 구체적 내용 맥락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어린이집 영아반 알림장에 나타난 교사-어머니 간 의사소통 빈도와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 A 시에 소재한 H 어린이집의 만 1세반, 만 2세반에서 2016년 3월 2일부터 2017년 2월 16일까지 작성된 알림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만 1세반 영아 2명의 알림장 2권, 만 2세반 영아 2명의 알림장 2권을 대상으로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와 어머니 간에 이루어진 총 1,063건의 의사소통이 분석되었다. 먼저, 알림장에 나타난 영아반 교사-어머니 간 의사소통 빈도를 내용 및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영아반 교사-어머니 간 의사소통을 내용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6가지 내용 주제 중 가장 활발하게 의사소통이 일어난 것은 ‘건강과 영양’으로 전체의 35.4%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가정 연계, 교육활동, 영아 발달, 부모 역할 지원, 안전과 위생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별에 따른 영아반 교사-어머니 간 의사소통 내용을 분석한 결과, 만 1세반 교사-어머니 간 가장 활발하게 의사소통이 일어난 것은 ‘건강과 영양’으로 전체의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교육활동, 가정 연계, 영아 발달, 부모 역할 지원, 안전과 위생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 2세반 교사-어머니 간 가장 활발하게 의사소통이 일어난 것 역시 ‘건강과 영양’으로 전체의 42.9%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가정 연계, 교육활동, 영아 발달, 안전과 위생, 부모 역할 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내용 주제별, 연령별 의사소통 빈도 분석 결과 두 가지 요소 모두 다 ‘건강과 영양’ 빈도가 가장 높게 나왔는데, 이는 연구 대상이 영아이며 교사-어머니는 영아에 대해 보호와 교육 중 영아가 건강하고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1차적 기능인 보호적 기능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알림장에 나타난 영아반 교사-어머니 간 의사소통 내용의 구체적 맥락을 살펴본 결과, 교사와 어머니가 공통된 관심사나 주제를 가지고 있을 때 의사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교사와 어머니는 영아의 발달 및 교육, 어린이집 생활과 가정생활 등에 관련하여 다양한 생각과 의견을 나누었으며, 알림장을 통해 영아에 대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정보를 서로 주고받으며 보다 협력적으로 영아 양육과 교육을 실천할 수 있다. 반면, 어머니와 교사가 서로의 관점에 중점을 두어 대화 초점에 차이가 생기거나, 어머니가 교사의 기록에 대응하지 않는 등의 경우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기도 하였다.

      • 영아의 자기조절력에 대한 영아 및 교사 관련 변인의 영향 연구

        김병화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를 대상으로 영아 관련 변인인 성과 기질, 교사관련 변인인 교사 경력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이 영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성을 밝히고,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아 관련 변인과 영아의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1-1. 영아의 성에 따라 자기조절력은 차이가 있는가? 1-2. 영아의 기질과 자기조절력은 관계가 있는가? 2. 교사 관련 변인과 영아의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1. 교사의 경력과 영아의 자기조절력은 관계가 있는가? 2-2. 교사-영아의 상호작용과 영아의 자기조절력은 관계가 있는가? 3. 영아 관련 변인과 교사 관련 변인이 영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B시에 위치한 가정․민간․법인․국공립 어린이집 50개원에 다니고 있는 만 2세 영아 202명과 담임교사 101명이다. 영아의 자기조절력을 측정하기 위해 김호인(2010)의 ‘영아 사회정서발달척도’와 손복용(2011)의 ‘유아 자기조절능력 평정도구’, 김주영(2011)의 ‘영아 정서조절측정척도’를 양옥승, 류은미, 신성숙, 윤지영(2012)의 영아 자기조절 구성요인 및 하위요인을 기초로 분류한 후 영아에게 적절한 문항으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영아의 기질을 측정하기 위해 Buss와 Plomin(1984)이 개발한 유아용 기질 척도인 EAS(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를 한세영, 박성연(1996)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교사-영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강숙현(1994)이 APECP(Assessment Profile Childhood Program)에 근거하여 만든 ‘한국판 유아교육 평가척도’ 중 ‘교사-영아 상호작용’을 홍근민(1997)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t검증과 Pearson의 상관분석, 그리고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 관련 변인과 영아의 자기조절력 관계에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자기조절력이 높다. 영아 기질의 정서성, 즉 부정적 정서성은 자기조절력과 부적 관계를, 사회성은 정적 관계를 보이며, 활동성은 자기조절력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는다. 둘째, 교사 관련 변인과 영아의 자기기조절력 관계의 경우 교사 경력은 유의미한 관계가 없으며, 교사-영아 상호작용은 영아의 자기조절력과 정적 관계를 보인다. 셋째, 영아 관련 변인과 교사 관련 변인이 영아의 자기조절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영아의 기질과 교사의 경력, 교사-영아 상호작용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 관련 변인은 23%의 설명력을 가지며, 교사 관련 변인이 추가되었을 때 10%의 설명력이 증가하였다.

      • 영아의 숲체험놀이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정계환 안양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들의 숲체험놀이 과정에서 상호작용과 놀이를 탐구하여 영아기 숲체험놀이의 의미와 놀이의 특징을 탐구하는데 있다. 숲체험놀이가 영아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와 놀이의 특징이 어떠한지 를 밝히기 위하여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경기도 G시의 I어린이집의 만 2세 영아 7명 과 교사 1명, 부모 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2015년 3월부터 2015년 12월 말까지 영아들을 대상으로 참여관찰 하였으며 교사와 부모들을 대 상으로 형식적?비형식적 면담을 실시하였고, 기타 문서 등의 자료를 수 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영아들의 숲체험놀이는 어떠한 의미가 있는가? 연구문제2: 숲체험놀이에서 나타난 영아들의 놀이 특징은 어떠한가? 첫째, 영아의 숲체험 놀이의 의미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아들은 숲에서의 자유로운 놀이를 통해 직접적인 체험을 하며 민감 한 감각적 탐색을 하였다. 반복적인 탐색은 또 다른 체험의 기회로 연속 되어 자연의 대상과 현상에 대한 속성과 개념을 내면화하여 새로운 지식 을 스스로 구성하며 자연을 이해하고 관계를 형성하는 기회를 제공하였 다. 영아들은 숲체험놀이를 통해 쌓였던 부정적 감정들을 해소하여 안정 적 정서를 경험하였고, 풍부한 자연 놀잇감을 가지고 놀며 나눔을 알게 되었다. 숲의 자유로운 환경이 주는 여유로움은 함께 놀이를 전개하는 가운데 양보와 배려를 알게 하였고, 부모와 영아, 교사가 함께 하는 놀이 는 영아들의 놀이 형태를 변화시켰으며, 보조교사로 참여한 부모들은 영 아의 숲체험놀이를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더불어 영아들 이 생물체의 입장으로 자신의 감정을 이입하여 타자의 감정을 읽을 줄 알게 되었고, 이는 또래와의 갈등상황에서도 타협하고 받아들이며 관계 형성이 변화되었다. 영아들은 지속적인 숲체험놀이를 통해 자연에 대한 친밀감과 안정감을 갖게 되었고, 다양한 대상들을 오감으로 느끼며 영아 들의 감정을 다양하게 표현하였으며, 자신의 감정을 탐색하고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였다. 둘째, 숲체험놀이에서 나타난 영아들의 놀이 특징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아들은 상징놀이를 하며 자연물에서 실제사물을 연상하여 ‘사물을 가작화’하면서 상황에 따라 다르게 의미를 부여하였다. 영아 들은 상징놀이를 통해 사고의 확장과 새로운 지식을 구성하였으며 창조 적인 놀이를 즐기고 또래관계를 형성해갔다. 영아들은 또래들과 역할을 나누고 점차 놀이영역을 넓혀 사회적 협동놀이를 창조적으로 전개해나갔다. 본 연구 결과는 영아를 대상으로 매일 2시간씩 이뤄지는 숲체험놀이가 영아들의 다양한 영역에서 전인적발달이 이뤄짐을 보여주고 교육현장에서 보다 적극적인 활용방안 모색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forest experience play for young children by investigating the interactions and plays involved in forest experience play for young children. I have used an ethnographic method to bring light on what forest experience play means to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my study selected as its subjects seven 2-year-olds from I-daycare center in the G-city in Gyeonggi-do, one teacher, and seven parents. From March 2015 through December 2015, I took participant observation in their activities to observe the kids, conducting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the teacher and the parents, and collecting other data like documents for the analysis. Research questions for the study are as follows: 1. What does forest experience play mean to young children? 2. What characterizes the plays involved in forest experience play for young children? First, the study on what forest experience play means to young children has come up with the following results. Young children engaged in sensitive, sensational explorations through their personal experiences in the free play in the forest. Repeated exploring led to further opportunities for some other experiences and provided the children with an opportunity to organize new knowledge, understand nature, and form relationships by internalizing natural phenomena and their attributes and concepts. Through their forest experience play, the young children experienced emotional stability by dissolving the negative emotions piled up and came to learn sharing while handling ample natural playthings. The leisureliness delivered from the free forest environment let the children learn yielding and being considerate through their joint engagement in the play. The plays shared with the teacher brought changes to the form of the play for the young children, all the while helping the parents who engaged as assistant teachers understand forest experience play for young children. At the same time, the young children came to read others’ feelings by putting their feelings into other bioorganisms, which led to their compromising and accepting attitude in their conflicts with their peers, thus changing their created relationships. The young children came to feel close to and secure about nature through continuous forest experience play. While feeling various objects through their senses, the young children gave various expressions to their feelings, explored their feelings, and experienced positive feelings. Second, my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s play as shown in forest experience play has come up with the following results. The young children awarded different meaning to natural objects under different circumstances by picturing actual objects through them while ‘creating a metaplay with objects’ in their symbolic play. Through symbolic play, young children expanded their thinking and organized new knowledge, enjoying creative plays and forming peer relationships. Young children chose roles among them and gradually expanded the scope of their play, thus creatively unfolding social collaboration. A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2-hour daily forest experience play promotes young children’s total development in diverse categories, thus pointing to the need to explore a plan to use it more actively in actual education.

      • 만 2세 영아-어머니 공동주의에 따른 영아의 상징놀이 수준과 놀이 참여도

        김훈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symbolic play level and play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joint attention(JA) during toddler-mother play inter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pairs of toddlers and their mothers living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concept of coordinated joint attention(Bakeman & Adamson, 1984) was used to analyze the toddler-mother’s JA. The toddler’s play level was coded with the Gowen(1995)’s symbolic play categories. Toddler’s play involvement behaviors were analyzed by modified Caldera, Huston, & O’Brien(1989)’s categories. Research procedures included visiting homes of each subject, offering toys and recording natural play interactions between mothers and toddlers. Collected data was coded by using The Observer XT 13 and analyzed by using t-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s of JA. The frequency and duration were higher in the JA episodes than non-JA, especially when the JA was initiated by the toddler.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vels of symbolism and play involvement.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symbolic play were higher and longer than non symbolic play. Third, the level of symbolic play and play participation of the toddler were higher in the JA episodes, when the JA initiated by toddler than when initiated by mother. When JA was initiated by mothers, the frequency and duration rates of toddler's non-play and non-symbolic play behavior were significantly higher, as well as toddler's non-participation and passive participation. In conclusion, in the mother-toddler play situation, the JA increases the level of toddler’s symbolism and involvement in play, especially when a toddler initiates the JA. 본 연구는 어머니와 영아 간 놀이 상호작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공동주의를 파악하고, 공동주의에 따른 만 2세 영아의 상징놀이 수준과 놀이 참여도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24~35개월 영아와 그들의 어머니 50쌍이었다. 영아와 어머니의 공동주의를 파악하기 위해 Bakeman과 Adamson(1984)의 연구에서 제시한 ‘협응적 공동주의(coordinated joint attention)’의 개념을 토대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영아의 상징놀이 수준을 Gowen(1995)의 ‘상징놀이 행동 분석기준’에 비놀이와 비상징놀이를 추가하고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영아의 놀이 참여도는 Caldera, Huston 그리고 O’Brien(1989)이 사용한 ‘영아 놀이참여 행동 분석기준’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공동주의와 영아의 놀이 수준, 놀이 참여도는 The Observer XT 13을 활용하여 연속적 분석으로서 행동의 횟수와 지속시간을 통해 출현률과 지속률을 계산하였다. 연구 절차는 연구자가 각 가정을 방문하여 상징놀이를 위한 놀잇감을 제시하고 영아-어머니의 놀이상황을 촬영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he Observer XT 13을 통해 코딩하였고, SPSSWIN 25.0를 통해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주의 빈도와 지속시간은 공동주의 유무와 공동주의 시도자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비공동주의 상황보다 공동주의 상황일 때, 어머니가 시도한 공동주의보다 영아가 시도한 공동주의일 때, 영아-어머니 공동주의의 빈도와 지속시간이 높았다. 둘째, 영아 상징놀이 수준과 놀이 참여도의 빈도와 지속시간은 놀이 수준과 참여도의 하위요인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비상징놀이보다 상징놀이를 더 많이 하고 오래 지속하였으며, 상징놀이 중 가장 오래 나타난 수준은 상 수준이었다. 셋째, 공동주의 시도자에 따른 영아의 놀이 수준 및 놀이 참여도의 출현률과 지속률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우선 놀이 수준을 살펴보면, 영아가 시도한 공동주의에서 영아의 상징놀이 비율이 높았고, 어머니가 시도한 공동주의에서는 비놀이와 비상징놀이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영아의 놀이 참여도에서는 영아가 시도한 공동주의의 경우 놀이 참여와 적극적 참여가 높았으며, 어머니가 시도한 공동주의의 경우 비참여와 소극적 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두 사람 간 놀이상황에서 공동주의는 영아의 상징놀이 수준과 놀이 참여도를 높이며, 특히 영아가 공동주의를 시도한 경우 더 높은 상징놀이 수준과 참여도가 나타난다.

      • 명상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경미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명상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연구의 결과는 현장 적용을 위한 영아용 사회정서 발달 교수법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연구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명상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명상활동이 영아의 기본정서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명상활동이 영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3. 명상활동이 영아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4. 명상활동이 영아의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2개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2세 영아 총 2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3명(남-5명, 여-8명)과 통제집단 13명(남-8명, 여-5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사전-사후 검사는 교사의 관찰에 의해 김호인(2010)이 개발한 사회정서 발달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사회정서 발달을 기본정서 및 사회적 행동 7문항, 자아개념 7문항, 자기조절 16문항(인지조절 4문항, 정서조절 12문항), 사회적 관계 9문항의 4구성요인 3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항에 대해 교사가 유아를 관찰하여 기록하는 Likert 5단계 척도로 되어 있다. 실험은 예비검사를 포함하여 2015년 12월 07일부터 2016년 02월 29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실험집단 13명에게는 사회정서 발달을 위한 영아 명상활동을 오전 오후 자유놀이 시간에 총 12주간 48회기로 12개 명상활동을 매일 5~10분으로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13명에게는 표준보육과정 일과운영에 따른 활동을 실시하였다. 영아 명상활동은 김 진(2013)의 ‘명상아! 놀자’와 박미진 외(2013)의 ‘몸과 마음을 깨우는 유아 명상 놀이’, 임재택 외(2006)의 ‘선생님 우리도 명상할 수 있어요’, Sylvia Lendner–Fischer(2004)의 ‘아이의 창의적 감성과 집중력을 길러주는 어린이 명상놀이’에 기초하여 현장에서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호흡 명상, 오감을 통한 명상(듣기명상, 보기명상, 먹기명상, 촉감명상, 향기명상), 감사명상을 적용하여 영아 명상활동을 재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처리는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 명상활동을 경험한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 능력의 영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 명상활동을 경험한 영아의 기본정서 및 사회적 행동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 명상활동을 경험한 영아의 자아개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영아 명상활동을 경험한 영아의 자기조절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영아 명상활동을 경험한 영아의 사회적 관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명상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명상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을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교육수단일 수 있으며 유아교육현장에서의 그 효용가치 또한 기대된다.

      •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정에서 초임교사의 어려움과 대응전략

        이지윤 배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iculties and coping strategies experienced by beginning teachers during the adaptation process of infants to daycare centers. The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difficulties of beginning teach adaptation process of infants to daycare centers? 2. What are the coping strategies of beginning teachers in the adaptation process of infants to daycare centers? To this e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for about 5 months, from February to July 2022, targeting 8 beginning teachers in charge of 1 & 2 year old infants working at S workplace daycare centers. In-depth interviews between researchers and research participants, participatory observations by entering the classrooms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journals written by research participants were collected. Interviews were conducted a total of 18 times, 2 to 3 times for 50 to 60 minutes for each research participant, and a total of 16 observations were made. The interview used a semi-structured list of question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difficulties and coping strategies experienced by beginning teachers during the adaptation process of infants are as follows. Regarding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beginning teachers during the adaptation process of infants, first, it was a difficulty arising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During the adaptation period, infants often expressed emotions such as crying, refusal to go to center, or conflicts between peers. Beginning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helping unfamiliar infants adapt and having to soothe several infants at once. Second, it was a difficulty arising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Beginning teachers were experiencing various problems arising from parents who preferred communication with experienced teachers, parents who did not have trust, lack of experience in childrearing, and communication about work and operation of daycare centers. Third, it was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ginning teachers and collegue teachers. in the case of running classes with experienced teachers together, they felt the relative inferiority. Although the beginning teachers tried to show their abilities, they faced the difficulties of dealing with various kinds of tasks in education field. As such, difficulties arising from various human relationships that beginning teachers met during the period of infants' adaptation to daycare centers were discovered. As a result of examining coping strategies to solve the problems, first, efforts were made to solve them through strategies such as using attachment objects in the teacher-infant relationship, approaching as a kind teacher, and constantly providing a play environment to infants. Second, the difficul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were solved using strategies such as us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SNS notifications through smart phones, communicating with parents after careful observation of infants, and creating a soft relationship with good words. Third, in the relationship with colleague teachers, the difficulties were solved through methods such as approaching colleague teachers in a humane way, helping colleague teachers by participating in class management with enthusiasm, and solving psychological stress in their own ways. It is hoped that the coping strategies obtained from this study will be of help to beginning teachers who are struggling to help infants adapt to their first social life. 본 연구는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정 중 초임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대응전략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정에서 겪는 초임교사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2.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을 위한 초임교사의 대응전략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S직장보육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만 1, 2세 영아반 초임교사 8명을 대상으로 연구자는 2021년 2월 말부터 2022년 7월 말까지 약 5개월에 걸쳐 질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자와 연구참여자 간의 심층면담과 연구자가 연구참여자의 교실에 입실하여 이루어진 참여 관찰, 연구참여자가 작성한 저널을 자료로 수집하였다. 면담은 연구참여자 별로 50∼60분 간 2∼3회씩 총 18회 진행하였고, 참여 관찰은 1회 60~90분간 총 16회 이루어졌다. 면담은 반구조화된 질문목록을 사용하였으며 자료를 수집한 후 이를 분석하여 범주화하는 과정을 거쳤다. 영아의 적응과정 중 겪는 초임교사의 어려움과 대응전략에 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아 적응과정 중 겪는 초임교사의 어려움은 첫째, 교사-영아 간 관계에서 오는 어려움이었다. 적응기간에 영아들은 울음이나 등원 거부, 또래 간의 갈등과 같은 감정표현을 표출하는 경우가 많았다. 초임교사는 익숙하지 않은 영아의 적응돕기와 한꺼번에 여러 명의 영아를 달래야 한다는 점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둘째, 교사-부모 간 관계에서 생기는 어려움이었다. 경력교사와의 소통을 더 선호하는 부모와 신뢰감을 갖지 않는 부모, 양육에 대한 경험부족과 어린이집 일과 운영에 대한 소통에서 오는 다양한 문제를 초임교사는 겪고 있었다. 셋째, 초임교사와 동료교사와의 관계에서 겪는 어려움이었다. 영아반 초임교사의 경우 경력교사와 반을 운영할 때 느끼는 상대적 열등감, 교사로서의 능력을 보여주고자 하였지만 교직 생활 중 수행해야 하는 다양한 업무로 인한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었다. 이렇듯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기간 중 초임교사가 만난 다양한 인간관계에서 비롯되는 어려움이 발견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응전략을 살펴본 결과로는 첫째, 교사-영아 간 관계에서 애착물을 활용하거나 친절한 교사의 모습으로 다가가기, 영아에게 적절한 놀이환경 제공하기와 같은 전략을 통해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부모 간 관계의 어려움은 평소 익숙하게 사용해오던 스마트폰을 통한 SNS 알림장 소통기능 활용, 세심한 영아 관찰 후 부모와 소통하기, 칭찬으로 부드러운 관계 만들기와 같은 전략을 사용하여 해결하고 있었다. 셋째, 동료교사와의 관계에서는 인간적인 모습으로 동료교사에게 다가가기, 열정을 가지고 학급 운영에 참여하여 동료교사 돕기, 심리적 스트레스를 자신만의 돌파구로 해결하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해결하고 있었다. 본 연구로부터 얻은 대응전략들이 첫 사회생활에서 영아의 적응을 돕느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초임교사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수준 및 양육효능감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서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수준 및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영아발달 수준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고, 어머니 및 영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수준, 양육효능감, 영아발달수준간의 차이를 규명하고,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수준, 양육효능감이 영아발달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영아발달에 영향을 주는 주요 연구변인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총23개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19개월~36개월 영아와 그들의 어머니 19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영아를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들과 어린이집에서 영아의 보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에게 설문과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와 ANOVA,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대상의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수준은 높은 수준이었고,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다소 높은 편이었다. 본 연구대상 영아의 발달 점수는 원점수를 백분위 점수로 환산하여 보면, 총 발달 백분위의 평균은 60.60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저 0.2에서 최고 95.2점으로 백분위 분포를 나타내었다. 월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달 원점수가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영아의 성별, 월령에 따른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수준과 양육효능감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영아의 출생순위에 따른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양육효능감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영아의 출생순위에 따른 어머니의 애착수준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가운데 ‘보호’에 관한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수준에서 영아의 출생순위에 따른 차이가 나났다. ‘보호’에 관한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수준은 둘째이상 영아보다 첫째영아를 양육하는 어머니들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수준과 양육효능감은 어머니의 연령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어머니의 학력수준에 따라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수준과 양육효능감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양육효능감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애착수준에 있어서 근접추구 하위영역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미취업모가 취업모에 비해 근접추구에 있어 더 높은 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수준과 양육효능감이 영아발달수준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영아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영아의 성별과 영아의 의사소통 발달 간의 정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및 가정의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영아의 발달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어머니의 연령과 영아의 기본생활 발달의 부적인 관련성을 나타내 어머니의 나이가 많을수록 영아의 기본생활 발달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의 월평균수입과 영아의 의사소통 발달 수준간의 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내 가정의 월평균 수입이 많을수록 영아의 의사소통 발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애착수준과 영아의 발달수준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애착수준의 하위요인 가운데 대근육 발달, 의사소통 발달, 기본생활 발달 및 영아의 전체 발달 간의 정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즉 어머니의 접촉을 즐기며 추구하는 경향의 어머니일수록 영아의 대근육, 의사소통, 기본생활 발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의 하위요인인 근접추구(분리불안)은 영아 발달의 하위요인 가운데 인지발달과 부적인 관련성을 나타냈다. 어머니가 영아와 분리불안이 낮을수록 인지발달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영아의 발달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의사소통 능력과 관련된 효능감과 영아발달의 하위요인 가운데 인지발달 및 전체발달 간의 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냈다. 즉 자녀와 의사소통하는 능력에 관한 효능감이 높을수록 영아의 인지발달과 전체 발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 관련된 효능감과 영아발달의 하위요인 가운데 대근육, 의사소통, 인지 및 전체발달 간의 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내 자녀의 교육에 관한 효능감이 높을수록 영아의 대근육 발달, 의사소통 발달, 인지 발달 및 전체발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하게 양육하는 능력과 관련된 효능감은 영아발달의 하위요인 가운데 대근육, 소근육, 사회정서, 인지, 기본생활 및 전체발달 간의 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내어 자녀를 건강하게 양육하는 능력과 관련된 효능감이 높을수록 영아의 대근육 발달, 소근육 발달, 사회정서발달, 인지발달, 기본생활발달과 전체발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지원과 관련된 효능감과 영아발달의 하위요인 가운데 대근육, 소근육 의사소통, 인지, 기본생활 및 전체발달 간의 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냈으며, 자녀의 발달을 지원하는 것과 간련된 효능감이 높을수록 여앙의 대근육 발달, 소근육 발달, 의사소통 발달, 인지 발달, 기본생활 발달과 전체 발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영아발달을 예측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첫 번째로 영아 및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변인,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 양육효능감이 영아의 의사소통 발달 및 기본생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각 변인들이 영아의 의사소통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은 영아의 성별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수준 및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서 영아의 의사소통 발달에는 미치는 변인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기본생활 발달의 경우에서는 어머니의 연령만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수준 및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의 하위요인이 영아의 기본생활 발달에서는 미치는 변인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는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 양육 효능감이 영아의 대근육, 소근육, 사회정서, 인지 및 전체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영아의 소근육 발달의 경우,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변인 가운데 발달지원만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발달의 경우, 어머니의 근접추구로 나타난 영아에 대한 애착만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며, 영아의 전체적 발달에 미치는 변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Level of a mother’s attachment to her infant, patenting self-efficacy and general trends of infant development are the focus of this paper along with identifying the level of a mother’s attachment to her infant followi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 mother and an infant, parenting self-efficacy, difference of the infant development levels. Further studies will proceed with how such attachment level and self-efficacy are related to the infant development. Also the relative extent of influence between major study variables affecting development of an infant is another area to be studied by this paper. In this regard, a total of 194 infants in the age of 19 to 36 months and their mothers were surveyed out of 23 day care facilities for children in Seoul. The survey was conducted by way of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with the teachers taking care of the infants at the facilities as well as such mothers. All the data and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ere examined by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utcome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by its subjects: First of all, attachment level of the mothers surveyed was found to be rather high while their self-efficacy was a little bit high. If the raw score of infant development is converted into a hundred parts, average of total hundred parts of development was revealed as 60.60 ranging from the lowest of 0.2 to the highest of 95.2. As the age of month increases, their raw score of development tended to be raised. Second, no difference was noticed between the attachment level of a mother by the gender and age of month of the infants and the parenting self-efficacy. And the mothers did not show any different self-efficacy against the birth order of their infants and the attachment level to the infants with regard to “protection” out of sub elements varied according to the birth sequence. Attachment level of a mother raising first infant was proven to be higher than the one fostering a second infant. Third, ages of the mothers did not differentiate their level of attachment and parenting self-efficacy. Nor their educational level showed different attachment level and self efficacy. However, although their self-efficacy had no difference by whether they have jobs or not, difference was noticed in the near pursuit sub realm according to with or without jobs. Those without job showed higher level than those with job in the near pursuit. Fourth, reviewing the relevance how a mother’s attachment level to the infant and self-efficacy affects the development level of an infant, static relations were found in the gender and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of infants out of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infants.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ocio demographic variables of a mother and the family and development of infants, development of basic life of infants and mother’s age showed negative relation, which implies that the older the mother is, the lower the basic life development level of infants. As per the statistic relevance between average household income and the level of infant’s communication development, the higher the income is, the higher such level arrives. Reviewing the attachment level of a mother and the one of infant’s development, statistic relevance was found in the development of gross motor, communication, basic life and the entire development of infants out of the sub elements of attachment level.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self-efficacy about the ability of communication with children is, the higher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infants and their entire development become. Education related self-efficacy, gross motor out of the sub elements of infant development, communication, cognitive and entire development revealed static relevance, which implies that the higher the self-efficacy for the children’s education is, the higher the level of the development of gross motor of infants, communication, cognition and the entire development become. Self-efficacy related to the ability of raising children healthy revealed static relevance among gross motor, fine motor, social emotion, cognition, basic life out of the sub elements of infant development and the entire development. The higher the self-efficacy related to the ability of nurturing the children healthy is, the higher the entire development level becomes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gross motor, fine motor, social emotion, cognition and basic life. Static relations were found in the self-efficacy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support, gross and fine motor, communication, cognition, basic life and entire development. The higher the self-efficacy is in relation to supporting the children’s development, the higher the development of retribution gross motor and find motor, communication, cognition, basic life and entire development become among the sub elements of infant development. Fifth, investigation on the relative influence by variables through which infant development can be forecast revealed that each variable affecting communication development of infants was found to be the variable influenced by the gender of infants in terms of th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infant’s communication by mother’s attachment to her infant and the parenting self-efficacy. No variable was disclosed in the infant’s communication development skill affected by the level of mother’s attachment to her infant and her parenting self-efficacy. As per the basic life development of infants, age of a mother is the only influencing variable and the sub elements of the level of a mother’s attachment to her infant together with her self-efficacy does not cause any variables to the development of basic life of infant. Next issue is to review the gross and fine motor of infants, social emotion, cognition and entire development influenced by a mother’s attachment to her infant and parenting self-efficacy. In case of fine motor development, development support is the only affecting variable out of the parenting self-efficacy variables. And with regard to the cognitive development, only the attachment to an infant disclosed by near pursuit of a mother is an influencing variable and no variable was found affecting the entire development of inf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