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평생학습 참여가 여성 성인학습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은희 부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평생학습 참여가 여성 성인학습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평생교육 · 인적자원개발 전공 박은희 본 연구는 여성 성인학습자들의 평생학습 참여가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성인학습자들의 평생학습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평생학습 실태에 따른 삶의 질 차이는 어떠한가? 넷째, 평생학습 참여 동기가 여성 성인학습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를 달성하기 위해 부산광역시에 거주하고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 성인학습자 317명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도구는 SPSS Statistics 22.0 프로그램을 사용했고, 신뢰도분석을 거쳐 빈도분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성인학습자들의 학습참여 개인적 특성을 볼 때 연령은 50세∼59세, 월 소득은 300만원∼500만원, 학력은 대학 졸업, 직업은 전업주부가 많았다. 둘째, 여성 성인학습자들의 평생학습 참여 실태를 보면 프로그램 참여기간은 3년 이상이 가장 높았으며, 참여횟수는 8회 이상 참여집단이 높았다. 참여 이유(목적)는 지식 학력제고 및 취업 창업 보다는 사람들과의 교류와 사회참여가 훨씬 비중이 높았다. 프로그램 개선점에 대해서는 교육내용에 관심이 높았고, 참여 경로는 대부분 본인 스스로 하고 싶어서 참여하였다. 평생학습 교육기관은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선호도가 높았다. 셋째, 평생학습 참여 동기가 여성 성인학습자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다. 가정생활 변화상황에 미치는 영향은 활동지향 동기와 학습지향 동기가 높을수록 가정생활 변화상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정서적 변화상황에 미치는 영향은 활동지향 동기와 학습지향 동기가 높을수록 신체적·정서적 변화상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여가활동의 변화상황에 미치는 영향은 활동지향 동기와 목표지향 동기가 높을수록 사회적·여가활동의 변화상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성·자아감의 변화상황에 미치는 영향은 참여 동기가 높을수록 자율성·자아감의 변화상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감의 변화상황은 활동지향 동기, 목표지향 동기, 학습지향 동기가 높을수록 행복감의 변화상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전체적으로 요약하면 여성 성인학습자들의 평생학습 참여 동기가 삶의 질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참여 동기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 영어학습자문학을 이용한 중학교 영어 협동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 및 적용

        박은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틀 안에서 중학교 영어 교육은 미래 세계 민주 시민으로 갖춰야 할 핵심적인 역량 강화를 반영하며 통합적인 언어 교육 뿐만 아니라 창의·인성 교육을 실현하고 핵심성취 기준과 성취평가제, 자유학기제 등의 변화에 본격적으로 적응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변화를 현장의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영어학습자문학을 활용한 협동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며 이를 위해 중학교를 대상으로 한 영어 협동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언어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에서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은 영어학습자문학을 활용한 중학교 영어 협동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개발한 모형의 효과를 적용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정을 거쳤다. 첫째, 철학적 배경으로 구성주의적 교육학과 협동학습, 총체적 언어교수법, 영문학 활용 수업 대한 이론적 근거 및 선행연구를 탐색하고 현장의 요구조사를 근거로 중학교 영어 협동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영어학습자문학의 활용 측면에서 총체적 언어교수법을 바탕 이론으로 하였고 협동학습에 대한 연구는 철학적 이론보다는 교실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협동학습 모형과 실제 수업에 투입할 수 있는 활동중심으로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다. 현장에서의 협동학습 및 학습자문학 활용 영어 수업에 대한 실태 및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전문가 평가와 파일럿팅 실험을 통해 정교화 하였다. 둘째, 중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교수·학습 모형을 교과과정 재구성을 거쳐 수업으로 구현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2014년 8월부터 12월까지 한 학기 동안 중학교 1학년 실험 학급과 통제 학급 각 한 학급씩을 선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영어 능력 검사지, 정의적 영역 조사를 활용하였으며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학생인터뷰, 교사의 관찰일지, 모둠활동반성지, 사후반응 평가지와 교사참관록을 활용하였다. 영어 능력 검사지와 정의적 영역 검사 검사지는 독립표본 t-검증 분석, 모둠활동반성지의 리커트식 질문은 대응표본 t-검정 분석하였고 자료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영어 협동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언어적 능력은 신장되었다. 둘째, 영어 협동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집단은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수업 참여도 등의 정의적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위와 같은 두 번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본 영어 협동 교수·학습 모형은 중학교 학생들에게 언어적 측면에서 긍정적 상호 작용과 개인 책무성과 같은 협동학습의 원리가 적절하게 작동하여 학생들이 과제 수행에 있어 서로 협력과 토론을 통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결과적으로 긍정적인 성과를 거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동료에 의한 수정과 피드백은 정의적 여과장치를 낮춰주어 보다 자유롭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언어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와 같은 정의적 측면에서 언어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정의적 측면에서 협동학습을 활용한 영어 수업은 영어에 대한 흥미, 자신감 그리고 창의·인성적 측면 등 정의적인 측면에서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이는 그동안의 교사중심의 수동적인 수업 방식에서 벗어나 학생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과 맡은바 책임을 다하는 책무성, 자기주도적인 활동, 모둠원간의 토론 등의 활동을 통해 나눔과 배려, 협력 등의 긍정적인 정의적 영역에서의 배움과 발전이 가능했다고 생각된다. 위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공적인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흥미와 현실 적용을 고려하여 문학 교재를 선정해야 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협동학습 활동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과 재구성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때, 문학 작품 자체의 해석과 의미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통합적인 언어 학습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학습 요소를 적절하게 추출하여 적절한 협동학습 활동과 연계하여 적용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둘째, 정의적 여과장치를 낮추는 수업 분위기를 위하여 모둠별 협동학습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동료첨삭과 토론을 통해 서로 지식을 발견하고 형성해갈 수 있다. 이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다양하면서도 전체적인 수업 흐름에서 연계성 있는 협동학습 활동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이러한 과정은 한두 번의 모둠 수업으로 길러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교육과정 상에서 계획을 세워 장기적으로 수업을 실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문학 작품에 대한 반응을 개인적 차원에서가 아니라 협동학습을 통해 적극적으로 이끌어 내었고, 한 학기 동안 협동학습을 정규 수업에 적용하여 언어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이를 위하여 문학 텍스트를 활용하여 교과 재구성을 통해 내용과 적절한 수업활동과 자료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통합적 언어학습이 학생들의 흥미와 자발적 참여 속에서 가능하였다. 온라인 오프라인 영어도서실 시스템 환경 조성, 영어독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영어 학습자문학 활용을 위한 기반이 닦여지고 있는 현재, 자유학기제와 교사별 교육과정과 같은 비교적 자유로운 교육과정 편성을 활용하여 보다 활발하게 다양한 형태의 학습자 중심 영어 수업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문학을 활용한 영어 수업을 통하여 통합적 언어 학습과 함께 핵심역량 중심의 창의·인성을 함께 교육할 수 있는 다양한 개발과 교수 학습 과정 방안의 연구가 앞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 한국 상차림을 위한 식기의 형태소와 의미소 추출 및 활용 연구

        박은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As so much information and knowledge are being quickly shared, different countries are using strategies to enhance the image and value of their unique and traditional brands. Table setting as a cultural style is constantly transformed and changed by the influence of time, society, and, culture, an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efine it in simple words. Nonetheless, in countries and cultures, table setting reflects their characteristics and are, ultimately, inseparable from various factors. This study aimed to promote the value and recognition of Korean table setting and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e relevant system, in order to popularize and globalize the traditional culture. Particularly, food culture is established in a unique form for each nation, from such direct factors as eating, types of food, cooking, and setting to mental factors such as table manner, meaning, and formality. Currently, Korean traditional table setting has lost its identity and meaning relating to the food, tableware, and setting, while adding too many decorative elements. Therefore, in-depth research is required in order to preserve and pass down the traditionality. The author focused on the standard in using the functionality and symbolism of contemporary Korean table setting. In order to bring out the standard, in the first step, grounded theory methodology was applied to extract the morpheme of tableware of each cultural era; in the second step, open coding and behavior setting analysis were used to extract the functional and symbolic episememe; and, in the final step, the standard of morpheme and episememe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cases. In other words, the study was an attempt to examine what constitutes proper tableware as a component of Korean table setting, and brought out the standard of utilization by extracting morpheme and episememe of the tableware for Korean table setting. Also, based on the extracted data, three cases large-scale formal banquet with vertical hierarchy, ‘small-scale formal banquet with vertical hierarchy, mid-scale informal banquet with horizontal hierarchy, were applied to proposing the standard of table setting.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tableware in Korea, China, and Japan. In terms of eras, in Korea, the Three States, Goryeo, and Joseon Dynasty were selected; in China, Ming and Qing Dynasties when the pottery culture flourished were selected; and in Japan, the modern era was selected. The new suggestions made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categorized tableware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different countries by the era. This was an attempt to categorize a lot of tableware in terms of their characteristics, by applying ground theory methodology,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at integrates similarities based on formal characteristics in each case. In other words, it attempted to categorize plenty of tableware based on their form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find the basic forms of tableware. After classifying tableware based on the cultural eras and forms, 22 types in total were extracted. Second, by reanalyzing the 22 types found earlier, tableware morpheme was extracted. For convenience of categorizing the research analysis groups, 11 morphemes in total were extracted by shortening the names as ‘concave dish’ ‘wide dish’ ‘slim dish’ ‘neck dish’ and ‘hole dish’. Third, based on the tableware morphemes found earlier, episememes that correspond to each morpheme were extracted. To do so, open coding in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nd behavior setting analysis were performed before applying the axial coding and selection coding in order to bring out the result. Among tableware selected as research data, many were either archeological relics or antiques, which made the research rely on photographic data alone. In finding morphemes and episememes, in order to prevent errors of subjectivity, colleague researchers fully reviewed the examination process. However, participation of researchers from more diverse fields would have helped bring out more objective data. Despite such limitations, the systematic relationship between episememes and morphemes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able to be used as a model for constituting and setting tableware for Korean table setting, a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the first study to methodologically deal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 and meaning of tableware in Korean table setting. Furthermore, in the latter half of the study, a case of applying such method to create table setting was proposed to suggest the standard for utilizing it. 많은 정보 및 지식의 빠른 공유로 인해 각 국가는 독특하고 전통적인 자국의 브랜드 이미지와 가치를 높이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문화 양식으로서 상차림은 시대적, 사회적, 문화적 영향 하에서 부단히 변화 발전하는 것으로 그 형식을 간단하게 정의하기란 불가능하다. 그럼에도 특정 국가나 문화에 있어 상차림은 그 사회가 갖는 특수성을 반영하는 것이며 결국 다양한 영향요인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한식문화(韓食文化)의 가치 및 인식을 확산시키고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여 전통문화의 대중화 및 세계화에 이르는 과제를 추진하고자 하였다. 특히 음식문화(飮食文化)는 각 민족마다 고유의 독특한 형태로 정착하게 되고, 먹는 행위, 음식의 종류, 조리법, 차림법과 같은 직접적 요인에서부터 식사예절, 의미, 격식과 같은 정신적 요인에 이르는 상차림의 문화가 있다. 현재 한국 전통음식 상차림 연출은 사용되는 음식, 식기, 배치 등 상차림의 요소들의 정체성에 대한 의미가 상실된 채 장식적인 요소가 지나치게 가미되어 전통성을 보존하고 계승하는 일에 대한 깊은 연구가 필요하였다. 연구자가 주목하게 된 것은 현대적 한국 상차림에 대한 식기의 기능성과 상징성의 활용기준이었다. 이 기준을 도출하기 위해 1단계로 근거이론방법분석을 적용하여 시대 문화별 식기의 형태소를 추출하고, 2단계에서 분석과정 중 개방코딩과 행동장면분석을 통해 기능성 및 상징성 의미소를 추출하였고 최종단계에서 활용사례에 따른 형태소와 의미소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상차림의 구성 요소로서 적절한 식기란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탐구를 시도하였고 그 결과로 한국 상차림을 위한 식기의 형태소와 의미소 추출을 통한 활용의 기준을 도출하였다. 또한 추출된 자료를 사용하여 '수직적 위계의 격식적 대규모 연회' '수직적 위계의 격식적 소규모 연회' '수평적 위계의 비격식적 중규모 연회'의 3종류 사례를 적용하여 상차림 기준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한ㆍ중ㆍ일 세 나라의 식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시대별 범위로 한국은 삼국, 고려, 조선시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중국은 도자문화가 번창했던 명·청 시대를 선택하였고 일본의 경우는 현대시대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제시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대별로 표집한 각국의 자료를 토대로 식기를 형태적으로 유형화하였다. 이것은 다양한 식기들의 특징별로 유형 구분을 시도한 것이며 이로써 각 사례들에 나타나는 형태적 특징들을 바탕으로 유사성을 통합해가는 질적연구방법 중 하나인 근거이론방법론을 적용한 것이다. 즉, 유형화의 방법으로 여러 식기들의 형태적 특징들을 중심으로 유사한 것들을 하나로 하여 유형화함으로써 식기의 기본 형태를 찾고자 시도 하였다. 시대 문화별로 식기를 형태적으로 분류한 후에 최종적으로 22개의 대표유형을 도출하였다. 둘째, 앞에서 도출한 22개의 대표 유형을 재분석하여 식기 형태소가 추출되었다. 연구 분석의 집단구분의 편의성을 위해 각각‘오목 그릇’‘넓적 그릇’‘잘록 목 그릇’‘주둥이 그릇’‘굽’‘덮개’‘손잡이’‘무굽 받침’‘굽 받침’‘칸’‘귀때’등으로 약칭하여 총 11가지의 형태소를 추출하였다. 셋째, 앞에서 도출된 식기 형태소를 가지고 형태소별로 대응되는 의미소를 추출하였다. 이를 위해 근거이론 방법론의 개방코딩과 함께 행동장면분석의 과정을 걸쳐 축코딩, 선택코딩의 단계를 적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자료로 선택한 식기들 중 상당수가 고고학적 유물이거나 골동품인 관계로 사진 자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아쉬움이 있었다. 형태소와 의미소를 찾는 과정에서 주관성에 기인하는 오류를 상쇄시키기 위한 동료연구자의 점검과정을 충분히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가 다수 참여하였다면 더 객관적인 데이터가 도출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의미소와 형태소 간의 관계성의 체계적 구성은 향후 한국 상차림의 식기 구성 및 배치에 대한 모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한국 상차림의 식기의 형태와 의미 간의 관계를 방법적으로 다룬 첫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후반부에는 이와 같은 방식을 직접 적용하여 상차림을 구성하는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그 활용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 유아를 위한 마음챙김 기반 사회정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은희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mindfulness-based social emotional program and prove its effectiveness by assessing changes in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self-regulatory behaviors. 12 5-year-old children from a kindergarten in Seoul were grouped as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Preliminary assessment data was collected in both group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The control group had 8 weeks of general daily routine without receiving the program while the test group received 15 sessions of the program over 8 weeks period before the second assessment. The outcome was measures by using Yang Ok-seung and Lee Jung-ran (2003)’s self-regulation and Oh Kyung-ja and Kim Young-ah(2008)’s CBCL’s 1.5-5-year-old problem behavior scale. T-test and Wilcoxon analysis were used to test the hypothe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positive effect in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This was especially significant in aggression which is a type of externalization behavior.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behavioral inhibition which is a type of self-regulatory mechanism.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 기반 사회정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문제행동의 변화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서울의 S 유치원에 다니는 5세 어린이 12명의 집단을 대상으로 통제 및 실험조건으로 설정하여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을 구성하였고 통제집단에서 첫 번째 사전검사 후 8주간 일상적인 유치원 과정을 지내고 두 번째 사전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실험집단에서 8주간 주 2회 15회차의 마음챙김 사회정서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사후검사를 진행하여 결과를 측정하였다. 측정 도구는 양옥승과 이정란(2003)의 유아의 자기조절력 척도와 오경자와 김영아(2008)의 CBCL 1.5-5세 문제행동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t-test와 Wilcoxon 분석을 시행하여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 연구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특별히 문제행동에서 외현화 문제의 하위요인인 공격성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의 하위요인인 행동억제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 쉬르레알리즘의 미학적 특성을 표현한 바디아트 작품제작

        박은희 성신여자대학교 융합디자인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 문 개 요 현대의 예술은 새로운 가치를 설정하여 새로운 탈출구를 바라는 현대인에게 잠재된 욕구불만을 해소 시킬 수 있는 상상력이 풍부한 내용을 가지고 독특한 표현과 디자인으로 계속 변화되어 더 많은 예술 사조를 만들어 내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무의식의 세계와 꿈의 세계의 표현을 지향하였던 쉬르레알리즘의 영향력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쉬르레알리즘의 미학적 특성을 표현함에 있어서 기존의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바디아트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스토리를 상상할 수 있도록 하여 바디아트가 상업성을 지닌 것만이 아닌 예술의 대중성, 그리고 학문적으로 전문성을 함께 가져서 체계적으로 접근하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문화와 예술 분야에서 예술적 재해석이 돋보이는 쉬르레알리즘의 미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응용하여 바디아트의 작품을 제작하는데 목적이 있다. 쉬르레알리즘과 바디아트 이론에 대한 고찰은 국내·외의 단행본, 학위논문, 학술지, 인터넷 자료 등을 참고하였으며, 작품 제작은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를 토대로 쉬르레알리즘의 미학적 특성을 응용한 바디 아트 작품 총 5점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토대로 쉬르레알리즘의 미학적 특성을 우연성, 환상성, 해학성, 상징성, 관능성으로 분류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작품 Ⅰ은 쉬르레알리즘의 ‘우연성’을 표현한 것으로 주제는 번뇌이다. 인생의 우연성과 필연성으로 시간의 흐름 속에 공간 속에 살아가는 우리의 인생을 도형 안에 다양한 형태의 기하학적 문양과 컬러를 이용하여 환상적으로 표현하였다. 작품 Ⅱ는 쉬르레알리즘의 ‘환상성’을 표현한 것으로 주제는 현실이다. 물고기는 여러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특별하다. 현실과 환상의 이중성으로 내면의 세계와 외면의 세계가 분리된 것이 아니라 함께 공존하면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환상속의 물고기를 통해 자연의 경이로움과 그에 대한 존중을 몽환적이고 신비로운 세계로 표현하였다. 작품 Ⅲ은 쉬르레알리즘의 ‘해학성’을 환상적 테마로 표현한 것으로 주제는 마음이다. 책들은 마음속의 부적이고, 따라서 하고자하는 일은 모두 영혼의 눈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의미이다. 과거와 현재, 현실과 비현실 그 사이에 있는 마음의 이미지를 모두 부적에 담아 시적이고 수수께끼 같은 상형문자를 형상화하여 무의식적인 인간의 욕망을 구속 없이 자유롭게 표현하였다. 작품 Ⅳ는 쉬르레알리즘의 ‘상징성’을 표현한 것으로 주제는 생명이다. 죽음은 단순한 죽음, 끝이 아니라 새로운 생명의 시작, 창조를 상징한다는 의미이다. 죽음을 고목나무에 비유하여 앙상한 고목나무에서 시작되는 탄생, 부활, 창조의 모순적 이미지를 초현실적으로 아이러니하게 표현하였다. 이는 ‘반어적 표현의 미’ 즉 아이러니 속의 미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작품 Ⅴ는 쉬르레알리즘의 ‘관능성’을 표현한 것으로 주제는 사랑이다. 사랑과 성을 소용돌이와 같은 것으로 비유하여 본질이 다른 남성과 여성, 음과 양의 조화로운 모습을 표현하였고, 인간 내면의 성적충동을 자극하기 위해 붉은색을 사랑과 열정의 상징으로 묘사하였고, 생동감 넘치는 곡선의 흐름을 비대칭적으로 구성하여 표현하였다. ABSTRACT The production of the body art works express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urrealism Park, Eun Hee The Graduate School of Convergence Design and Arts Make-up · Special Effect Make-up Major Sungshin women's University Modern art is the imagination that can relieve potential frustration that modern man wants a new exit has a wealth of information are constantly changing in a unique design expression and creating a more artistic zeitgeist. This trend can be seen as the influence of surrealism who directed the expression of the unconscious world and the world of dreams. This study is the popularity of body art is art, not only with the commercial to help in express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urrealism to break the existing stereotype imaginable variety of interpretations and stories about body art, and together academic expertise it is significant to gajyeoseo to approach systematically. So there is an artistic reinterpretation of the cultural and arts sector analysis of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urrealism and compelling application which aims to produce a piece of body art. Study of surrealism and body art theory of domestic and foreign book, thesis, journals, reference was an internet resource, such productions are based on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vious studies the application of body art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urrealism works out of 5 it was produced. This study is based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urrealism previous study contingency, fantasy, haehakseong, symbolism was classified as a sensuality. Results of thd study were as follows. Ⅰ works that are expressed 'contingency' of surrealism theme is agony. To live our lives in the area in the flow of time and the inevitability of life contingency and inevitability of in the from of geometric shapes using a variety of patterns and colors were represented as fantastic. Ⅱ works as a expressed 'fantasy' of surrealism theme is real. Fish is special to have several meanings. Respect for the duality of reality and the inner visions of nature through a fantasy world inside and outside the world of fish that are connected together and co-exist as separate wonder and it is expressed as a dreamlike and mysterious world. Ⅲ works that is expressed in the 'haehakseong' fantastic surrealism theme is the heart. Books are part and mind, therefore want to do alll means os through the eyes of the soul. Past and present, reality and unreality is served in both the poetic images of the heart between the talisman, the enigmatic hieroglyphs symbolizing the unconscious man's freely expressed desire without restraint. Ⅳ works as a expressed 'symbolism' of surrealism theme is life. Death is just a dead end, not the beginning of a new life, a meaning that symbolizes creation. This may have the 'beauty of ironic expression' , that is irony inside beauty . Ⅴ works as a expressed 'sensuality' of surrealism theme is love. The parable of love and sex that was swirling like to express harmonious museup of other male and female, yin and yang nature, were depicting red to stimulate the sexual urge of the human inside as a symbol of love and passion, lively curve configuration of the asymmetric flow was expressed.

      • 부부의 자아분화가 갈등대처방식과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은희 대구가톨릭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self- differentiation of married couples on their way of coping with material conflicts and marital satisfaction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improve their conjugal relationship. And it's also meant to sprea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 of self-differentiation as a means to boost their way of handling marital conflicts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to offer the rationale for the importance of self- differenti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0 married men and women who resided in Daegu. A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On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ir self-differentiation was Jei Seok- bong(1989)'s Self-Differentiation Scale that was based on Bowen's self- differentiation concept. Another instrument used to evaluate their pattern of handling marital conflicts was Choi Kyu-ryeon(1994)'s inventory, and the third instrument used to check their marital satisfaction was Lee In-soo (1986)'s inventory.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differentiation collective average of the respondents was a little above the average. By subfactor, they scored highest in family projection, followed by cognitive vs. emotional function, family regression, emotional cutoff and ego-integrity. Second, the collective average of the respondents in conflicts-coping pattern was slightly above the average. By subfactor, an avoidant type was most rampant, followed by negative emotional outpouring/behavior and rational coping. Third, the collective average of the respondents in marital satisfaction was slightly above the average. There were gaps in marital satisfaction among the married men and wome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involving gender, age, the term of marriage, the number of children, academic credential and monthly income. Fourth, as for the influence of self-differentiation on pattern of handling marital conflict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By subfactor, ego-integrity, family projection and emotional cutoff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o their pattern of coping with marital conflicts, but cognitive vs. emotional function and family regression exerted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that. Fifth, in regard to the impact of self-differentiation on marital satisfac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By subfactor, cognitive vs. emotional function, ego-integrity and emotional cutoff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marital satisfaction, and family projection and family regression exercise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at. In conclusion,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was found to affect their pattern of coping with marital conflicts and marital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proper self-differentiation of individuals could be said to improve marital relationship and the quality of family life. Therefore in which way the self-differentiation of individual people could be taken to another level should be considered. To bolster self-differentiation, both of parents and children should be helped to boost their intellectual abilities instead of getting emotional and to attain an independent growth instead of merely relying on others.

      • 위탁형 대안학교의 운영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박은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bout 65.000 students quit school every year in Korea. The rate of high school students' dropout is 4~5%(vocational), 1.5~1.7%(ordinary). Junior high school students' dropout rate reaches about 1.0% when they are under school age.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uggested precaution as a policy for this students in 1996 and established foundation management plan for Alternative School in 1997. In the end of 1997, The special vocational high school was founded, added Alternative school to this school. In this system, Alternative School system that can be realized a new education was legislated. To keep step with this, In 2001,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troduced The Alternative School System. unlike the primary purpose as a Alterity of public education. The problems of operation, expertise, diversity of program are coming out. Especially, maladjusted students based of absence of the social supporting system for the maladjusted go on an increase. More and more students are suffering from the ordinary school. This study will catch the actual Alternative School operating condition for this in many problems and will look through the aspect of operation, curriculum, relationship of the Alternative School. At the same time, The solution to the problems will be found for the revitalization. This study bring Jeon-Ju Alternative School in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a case study, and collect the information about this study from the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in this school. The results of study is following. The biggest problem of Alternative School is the difficulty of guarantee about independent operation. Second problem is the teacher's too heavy a responsibility that is not only school work but also center work. Third, Financial difficulties and problems from this. Finally, Original school is hardly interested in these students. The solution of the Alternative school problem is following. At first, To be realized the independent operation and financial support. If actual support is accomplished enough teachers will secured and be kept. Second, In the course of study, The self-renewal of students is necessary. We have to encourage to have a confidence and feel satisfaction from little things. To find the things that they want to be, they want to do and the teachers also have an eye that can see rather their potential than they are. In addition to this, They have to keep the connection with community, developing the program which keep up the connection. They need to apply for the program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order to be the school which develop with community together. Many programs like a fund-raisin; A thousand won per One in the homepage Jeon-Ju Alternative School have to be developed. Third, The personnels if the school have to lead participation of parents, using the resource of community. The key of desirable school operation is the organic matter between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The parents of the students in Jeon-Ju Alternative School scarcely participate in school operation for this. We will have to advice to them in order that they naturally participate in school operation. Finally We will have to let the school approach to the social welfare. Through the way to the social welfare, the school will accomplish the goal of education. Also,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adapt them to our society. The young boys and girls will be given their shelter and turning point of their life and will grow up to be a good member of our society. 현재 우리나라는 약 6만 5천여 명의 중ㆍ고등학생들이 해마다 학업을 중단하고 정규 학교를 떠나고 있다. 고등학생의 중도탈락 비율은 실업계 4~5%, 일반계 1.5~1.7%에 이른다. 의무교육 학령기인 중학생의 학업중단 비율도 전체 학생수의 1.0% 내외에 육박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탈학교 학생들에 대한 대책으로 1996년 학교 중도 탈락자 예방 종합대책을 제시하였고, 1997년에는 대안학교 설립 및 운영지원 계획을 수립하였다. 1997년 말에는 특성화고교라는 새로운 학교 유형을 창설하였고, 여기에 대안학교를 포함시켜 제도교육 안에서 새로운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대안학교 제도가 입법화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2001년 서울시 교육청에서는 위탁형 대안학교 제도를 도입하게 되었다. 그러나 공교육의 대안(alterity)이라는 원래의 취지와는 달리 학교 운영상의 문제, 교육 전문성의 문제, 프로그램의 다양성 및 적합성의 문제 등을 안고 있다. 특히 학교 ‘부적응’ 아이들을 위한 사회복지적 지원체계가 갖추어져 있지 않음으로써 기존의 제도권 학교에서 겪는 여러 가지 문제에 노출되는 학생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학업중단 위기의 학생들이 학업을 중단하지 않고 지속적이고 효율적으로 교육을 받고, 개인의 역량을 극대화하여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대안교육의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재 제도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위탁형 대안학교를 사례 연구하여 그 운영 실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나아가 사례 학교의 문제를 구성 및 운영 측면, 교육과정적 측면(프로그램 측면), 관계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하며, 이에 대한 활성화 방안도 같이 모색해보기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이 연구는 전라북도 교육청 지정 위탁형 대안학교인 ‘전주 대안학교’를 사례연구 대상으로 하며, 이 학교의 교직원, 학생, 학부모 등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비공식적 면접(informal interview)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위탁형 대안학교의 가장 큰 문제는 첫째, 독립적인 운영권 보장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며, 둘째, 이는 첫 번째 문제점과 직결되는 사안으로 대안학교 업무를 전담하는 직원은 다양한 학교 업무 뿐만 아니라 센터 내의 업무까지 이중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과중한 업무에서 오는 부담과 전문적인 역할 수행이 어렵다는 것이다. 셋째, 재정적인 어려움과 이로 인한 문제점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안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대다수의 프로그램과 참여 학생에 대하여 본래 학교의 관심도가 현저히 부족하다는 것이다. 위탁형 대안학교의 문제점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겠다. 우선, 전체적으로 운영권의 독립이 이루어지는 것과 재정적인 지원이 뒷받침 되는 것으로 정리 해 볼 수 있다. 이에 실질적으로 재정적인 뒷받침이 이루어진다면 충분한 강사진을 확보하고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둘째로, 교육과정에서는 아이들의 무기력하고 이미 익숙해져버린 수업태도 극복이 필요할 것이다. 사소한 것에서 성취감을 느끼고 자신이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끊임없이 격려하고 아이들이 하고 싶은 것, 되고 싶은 것을 찾을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사들 또한 학생들의 현재 상태보다 잠재된 가능성을 볼 수 있는 눈을 키워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지속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역사회와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한다. 사회복지기관에서의 프로그램 공모에 지원하여 지역사회와 함께 추진하는 학교로 거듭나야 한다. 학교부적응 학생들에게 좀 더 양질의 프로그램으로 정규학교와는 다른 차별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주 대안학교 홈페이지에 학교부적응 학생을 위한 기금마련을 위한 1인 1천원 후원모금 이라던지 시민과 학생 개개인과 후원관계를 맺어주는 등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로, 지역자원을 지속적으로 활용함과 더불어 학부모의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학교운영은 교사-학부모-학생이 유기적인 관계이어야 만이 모범적인 운영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전주 대안학교는 학부모의 참여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학부모가 자연스럽게 학교운영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권고와 학생들을 통한 홍보를 하여야 할 것 이다. 마지막으로 위탁형 대안학교에 사회복지적 접근을 가능토록 해야 할 것이다. 사회복지적 접근을 통해 학교가 본연의 교육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학교체계가 경험하는 다양한 복지적 상황에 개입하여 그와 관련된 개인, 집단, 조직 등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원조하게 된다. 또한 학생들이 사회에 재적응 할 수 있도록 사회통합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따라서 위탁형 대안학교에 사회복지적 접근의 적극적인 실현을 통해 청소년들에게 쉼터와 삶의 전환점을 제공하며, 그들 스스로 배울 권리를 보장하고 사회의 건강한 일꾼으로 자라나도록 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