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영성치유에 관한 연구 : -HJ천주천보수련원과 HJ매그놀리아국제병원의 영적치유사례를 중심으로-

        이규박 선학유피대학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수련기관인 HJ천주천보수련원에서 이루어진 영성치유를, 정신질환에 대한 정신의학적 치료와 병행하면 더 나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문헌고찰을 중심한 사례연구를 통해 그 사실을 밝히려는 연구이다. 영성치유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이미 기독교 에서 많이 이루어져 왔지만,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에서의 연구는 제한적이고, 영성치유에 대한 의학적이며 실증적인 관점에 집중한 연구는 더욱 부족하여 본 연구가 필요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영성치유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둘째, HJ천주천보수련원의 영적치유를 HJ매그놀리아국 제병원에서의 정신의학적 치료를 중심으로 정신질환자 14명의 사례를 소개 하고 도출된 분석관점으로 분석하였고, 셋째, 그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세 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발전적 영성치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영성치유는 사탄과 악령의 역사로 영적 혹은 육적 고통과 질병에 시달리는 인간이, 천지인참부모님의 신령과 진리의 역사로 사탄과 악령을 분립하여, 진리의 말씀 실체화를 통해 전인적 성장을 이루어 천지인참부모님을 닮은 참 인간의 모습을 되찾아, 본연의 건강한 영인체와 육신으로 회복되어가는 과정이다. 이 정의로부터 도출된 분석관점은 사탄과 악령의 역사로 인한 질병 발생, 신령과 진리의 역사로 인한 영 분립, 그리고 말씀 실체화와 전인적 성장을 통한 영육 회복이다. 그리고 세계 평화통일가정연합의 발전적 영성치유를 위해, 영적 질병과 정신건강의학적 진단, 정신질환 치료와 영성치유에 임하는 치료자의 자세, 정신질환과 영성 치유에 임하는 환자 및 보호자의 자세, 그리고 예방과 재발 방지라는 방안 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영성치유, 영적치유, 정신건강의학, HJ천주천보수련원, HJ매그놀리 아국제병원 This study assumes that better effects can be expected if spiritual healing conducted at HJ Heaven and Earth CheonBo Training Center, a training institute of the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FFWPU), is combined with psychiatric treatment for mental illness, and the study aims to reveal the facts through case studies centered on literature review. Although much academic research on spiritual healing has already been conducted in Christianity, research at FFWPU is limited, and research focusing on medical and empirical perspectives on spiritual healing is even more lacking, thus making this study necessar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provide a theoretical review of spiritual healing of FFWPU; second, to present and analyze 14 cases of psychiatric patients from the derived analytic perspective, who underwent spiritual healing at HJ Heaven and Earth CheonBo Training Center, with a focus on psychiatric treatment at HJ Magnolia International Medical Center; third, to propose th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al spiritual healing of FFWPU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The spiritual healing of FFWPU separates Satan and evil spirits from humans suffering from spiritual or physical pain and illness due to the work of Satan and evil spirits, through the work of the Holy Spirit and Truth of the True Parents of Heaven, Earth and Humankind. It is a process of achieving holistic growth through substantializing the Word of Truth, regaining the true human from resembling the True Parents of Heaven, Earth and Humankind, and recovering the original healthy spirit and body. The analytical perspective derived from this definition is the occurrence of diseases due to the work of Satan and evil spirits, the separation of these spirits through the work of the Holy Spirit and the Truth, and the recovery of spirit and body through the realization of the Word and holistic growth. For the progressive spiritual healing of FFWPU, medical diagnosis of spiritual illness and mental health, the therapist's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 treatment and spiritual healing, the patient and guardian's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 and spiritual healing, and the methods of preventions and a plan to prevent recurrence were proposed. Keywords: spiritual healing, divine healing, psychiatry, HJ Heaven and Earth CheonBo Training Center, HJ Magnolia International Medical Center

      • 신유의 영성

        이명재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5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oretical understandings of the spirituality which brings Divine Healing and practical way of the spirituality which brings Divine Healing. Human beings have a trouble with various diseases by composite factors, such as physical, mental, and social factors, and they are suffered because of these factors. Old days or now or the actuality of the human being is not different. Being important the God did not look away the pain of the human being is point. In the Old Testament, We will be able to discover the God who heals. The God healed many people. Abraham, Abimelech, Sarah, Rhea, Rachel, Moses, Hannah, the son of the woman who lives in Sunem, Naaman who was the commander of the Syrian army. Even on this outside possibility the many people experienced healing in ability of the God. Healing Ministry is one of the important employing which Jesus does was. Jesus Christ provided healing ministry effectively in the various ways with words of God and love of God, depending on the situations where he was doing ministry. In the New Testament, We will be able to discover the Jesus Christ who heals many people. The ministry of Christ, including proclaiming the kingdome of God, preaching the gospel, and healing for the sick and the disease, is not ended but still doing now. And also the disciples of Jesus Christ did a healing ministry. They healed a cripple person, a blind person. Aeneas, who for eight years had been sick in bed and could not move was healed. Dorcas dies revived. Eutychus who falls from the window revived again. The many people experienced the ability of healing even on this outside. It is a ministry of the God where healing is joined together from old Testament time. So Paul said 'The Healing is one of the Spiritual Gifts' in 1 Corinthian chapter 12. The ministry of healing was joined together even in early church time. Justin Martyr, Tertullian, Origen, Novatian, Augustine etc, These are famous Church Father in early church time. In the medieval times, St Francis of Assis is representative. The many employment people happened even to religious reform periodic after that. George Fox, John Wesley, Dorothea Trudel, etc. These are famous Minister in religious reform periodic. In 19th~20th century many healing Minister are being active even at day. Andrew Murray, Albert Simpson, Wimber, Oral Roberts, Benny Hinn, etc. We can find The healing employment people in Korean church history. Kil sun-ju(1869~1935), Kim ik-du(1874~1950), Lee sung-bong, Park jae-bong, etc. Today Cho young-ki and Son ki-chul are famous minister in healing ministry. The God from old Testament time until currently got up the history of healing. The God every time built the person of the God and it stands it got up the history of healing. Now We must do a healing ministry. Must be used with the tool of the God. We can use many way. Pray(and the imposition of hands), Worship(and Sacrament), Sermon, Praise, Mind-Body Medicine, Inner Healing, Christo Therapy and Bible, etc. We must remember we are the passage of healing, the possibility becoming the tool of healing. 이 논문의 목적은 신적인 치유를 가져오는 영성에 대한 신학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것이며, 동시에 신유를 가져오는 실제적인 방법이 무엇인지 연구하는 것이다. 인간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고통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사회적 요인들로부터 고통 받으며 살아간다. 그런데 인간의 이러한 현실은 예나 지금이 나 다름이 없다. 옛 사람들도 오늘의 우리와 같이 고통 받으며 살았다는 말이다. 중요한 것은 하나님께서 이렇게 고통 받는 인간의 현실을 좌시하지 않으셨다는 점 이다. 우리는 구약성경을 통해서 치유하시는 하나님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하나님 은 정말 많은 사람들을 치유하셨다. 아브라함, 아비멜렉, 사라, 레아, 라헬, 모세, 한나, 수넴여인의 아들, 시리아의 군대장관이었던 나아만 등 정말 많은 사람들을 치유하셨다. 구약성경 속에는 하나님의 치유의 능력을 경험한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로 가득하다. 치유하는 사역은 예수님께서 이 땅에서 행하셨던 중요한 사역 중 하나였다. 예수님 께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치유를 행하셨다.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함으로 치유하셨고, 하 나님의 사랑을 행함으로 치유하셨다. 예수님께서는 그가 처한 상황 속에서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치유의 역사를 일으키셨다. 우리는 신약성경을 통해서 치유하시는 예수님의 모습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이렇게 하나님의 나라를 선포하고, 복음을 설교하 며, 고통받는 많은 사람들을 치유하는 사역은 끝나지 않았다. 여전히 지금 우리에게도 일어나고 있다. 이 사역은 예수님의 제자들에게 이어졌다. 제자들 또한 예수님께서 하셨던 치유의 사역을 행했다는 말이다. 그들은 앉은뱅이를 일으켜 세웠고, 눈먼 사람의 눈을 뜨게 했 으며, 중풍병으로 고생하는 애니아를 치유하기도 했다. 또한 죽었던 도르가를 다시 살렸고, 창문에서 떨어진 유두고를 다시 살리기도 했다. 이 외에도 수많은 사람들이 치유 의 능력을 경험했다. 이렇게 구약시대부터 이어져온 치유의 역사는 하나님의 역사이다. 그래서 바울은 고린도전서 12장에서 치유하는 능력을 성령의 선물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이다. 치유 사역은 이제 초대교회로 이어진다. 저스틴 마터, 터툴리안, 오리겐, 노바티안, 어거스틴 등이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이들은 스스로 치유를 경험했을 뿐아니라 치유의 역사를 일으키는 도구로 사용되고도 했다. 중세시대에는 아시시의 성 프란시스가 대표 적인 인물이다. 종교개혁시대 이후에도 치유 사역자들이 일어났다. 조지 폭스, 존 웨슬리, 도로시 트 루델 등이 그들이다. 이들이 종교개혁시대 이후 등장한 유명한 치유 사역자들 중 일부 이다. 19세기와 20세기에도 많은 사역자들이 등장했다. 앤드류 머레이, 알버트 심슨, 윔버, 오랄 로버츠, 베니 힌 등이 그들이다. 우리는 우리 나라 교회사 속에서도 치유 사역자들을 발견할 수 있다. 길선주, 김익 두, 이성봉, 박재봉 등이 그들이며, 오늘날에는 조용기, 손기철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처럼 하나님은 구약시대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치유의 역사를 이어오셨다. 하나 님은 매 시대마다 하나님의 사람을 세우셨고, 그들이 하나님의 치유의 역사를 이어갔다. 이제 우리가 치유 사역을 이어갈 차례이다. 우리는 하나님의 도구로 사용되어야만 한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주신 성령의 능력을 활용하여 치유의 역사를 이어가야 한다. 오늘날 많은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하나님께서 역사하시는 치유의 방편이 무엇인지 확 인할 수 있다. 기도와 안수기도, 예배와 성례전, 설교, 찬양, 심신의학, 내적치유, 크리스 토 테라피, 성경 등이 바로 그것이다. 곧 매 주일 예배와 성경공부 모임이 바로 치유의 방편이라는 말이다. 우리는 우리가 치유의 도구라는 사실을 잊지 말고 치유의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사 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 영성발달을 통한 부정적 자아의 치유

        탁균호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324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nature of spirituality and to heal a negative self image or untrue self-the old self or old man- through Spirituality Development. Psychology, counseling, psychoanalysis, and so forth have been accepted as healing methods instead of spirituality development up until now, and it is true that people owe the former a great deal for the healing. But spirituality development is much different from them in that it seeks the origin and cause of illness in a negative self image. Spirituality development is important not only for the qualitative growth of the church but also for the spiritual development of presons. And it seems to be an important approach to solving various social, ethical, moral, and spiritual problems by developing spirituality through the work of the Holy Spirit by means of Christian education. It is basically impossible for humans to deal with and solve human problems without spiritual power because humans are not only ethical beings but are also spiritual beings. It is true that human beings have lost the image of God because of Adam's disobedience and so they possess a negative self or untrue self. Therefore the solution to this problem is simple. Once we recover the image of God, we will find the answer very easily. Spirituality is a process of living a life of a self toward Christlikeness in a Biblical relationship with God and people. Self is an important issue without which spirituality development cannot be discussed because spirituality is a relationship of a self with God and with men. Christians have two types of self or natures. The Bible speaks of man as possessing two natures which are in conflict with each other. Therefore while, we are still upon the earth, we possess a double life, which Paul refers to as being "the old man-a negative self" and "the new man-a positive self. The former is alienated and isolated from the community of faith, while the latter is reconciled with God, His people, and with one's own self. Healing of the negative self through the recovery of relationships with God, other people, and one self can be accomplished by Spirituality Development.

      • 영성이 암 환우 치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소고

        김귀한 건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논문은 기독교 영성이 암환우의 치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기독교 영성 관점에서 암 치유의 경험을 질적 연구방법론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9명의 면접자를 중심으로 심층 인터뷰를 했다. 암 환우들의 영과 혼과 육을 총체적으로 살피어서, 각개인마다 고유한 근원적인 원인을 제대로 파악해야 치유에 도움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돌연변이된 암 줄기세포를 가진 진짜 악성종양인 경우에 현대의학의 표준치료법으로는 대개가 암 종양의 역습을 당해 생명이 단축될 수 있다. 표준치료법으로 살아남는 경우들은 상당한 후유증을 갖고 살아가게 된 유사암 환자들이다. 유사암이 아닌 진짜 악성 종양에 있어서 치유는 생명의 주관자이신 하나님의 주권 아래에 있다. 또한 연구 분석 결과, 9명의 면접자들이 암을 다스리기 위해 치병 생활을 하는 동안에 암이 가져다준 유익이 드러났다. 영성 회복을 위한 공동체의 치유 예배의 과정이 개발되어 정착하면 암 환우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치유 예배 과정은 영적, 심리적, 육체적, 사회 환경적 원인을 찾아내고 치유까지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말씀과 기도 중심의 영성 회복 프로그램이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 spirituality and cure for cancer patients.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experiences of cancer survivors were analyzed in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spirituality. This study consis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nine interviewees. This study found out that identifying the underlying cause of cancer for individuals by looking into patients’ spirits, souls, and bodies can help treat cancer. For the case of the real malignant tumors with mutated cancer stem cells, standard treatment from modern medical science can actually shorten life of the patient as the tumors counterattack. The patients who survived after getting standard treatment for cancer are the patients with pseudo-cancer. God, who is in control of life, has sovereign authority over curing cancer for the patients with malignant tumors. Furthermore, this study found out that 9 interviewees benefitted from the period of fighting against cancer. It will be helpful for cancer patients if the program of church community healing service for restoration of Christian spirituality is developed and established. This program of healing worship should be a restoration program for Christian spirituality with the Word and prayer at its center so that patients can discover spiritual, psychological,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al causes and attain healing.

      • 성 프란치스코의 생애를 통해 살펴본 인간의 욕망에 대한 치유 영성

        방영진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445

        Contemporary society more than any society in the past, is entering a phase of extreme crisis. This crisis is besetting not just society, but also the Christian Church, ‘the Church in the world,’ (ecclesia ad extra). Among the root causes of the crisis facing the people of our day are egotism and greed. Humanity is thrown into chaos and on the path to destruction because of desire. In the midst if this crisis, the Church is called to make her voice heard and to carry out her mission. However, the Church is also tossed about on the stormy seas of the world and finds it difficult to carry out her task. The world’s crisis is becoming the Church’s crisis. True, the Church is engaged in many works for the salvation of humanity. It needs to look carefully at where the present crisis is rooted and attempt to address it if she is to fulfil her task of carrying out God’s saving plan. To do this, she must recognize the original human condition of craving and desire. Desire, has nudged humanity towards affluence and better quality of life, but greed knows end. People are inflicting wounds upon each other and bringing more suffering on themselves. To help humanity out of this condition, the Church must proclaim the Gospel, the Good News, that, two thousand years ago, Jesus Christ, God Incarnate, came to this earth for our salvation. The Good News is that Jesus Christ won our salvation by his life, suffering, death and resurrection. The Church, by means of this Gospel, must lead the wounded and suffering world to salvation. Rather than looking for a new theory or a new form, the Church should look to the treasures already placed in hand by God. Over the course of salvation history, God’s Church in the midst of the stormy sea’s of the world, has seen God’s saving plan of salvation constantly unfolding. This can be seen especially in how God works through people, namely, the saints who are worthy of our veneration. The saints gave themselves entirely to the Gospel and became for the people and the Church of their time, the face of God. The saints can provide a good model for our own age stained by inordinate desire. The Church doesn’t see the saints confined to particular periods in the past, but, as invitations to those who would look at them with an open heart. Eight hundred years ago in medieval Europe, St Francis of Assisi appeared as a model of Gospel living. He was even give the glorious title, “the Second Christ,” because of his perfect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Jesus Christ by living out the Gospel. He was a man of his time caught up in unbridled desire and suffered accordingly. But he came to experience God’s loving plan of salvation reaching down to him in the Incarnation which made God present to him. The Incarnation, which had taken place in Judea one thousand two hundred years before Francis, made it possible for Francis to encounter Christ in his own time and place. And having met Christ, he gave up everything to follow Him. This thesis considers how, despite the self-inflicted suffering caused by human greed and craving, the helping hand of God is always reaching down to us. To aid our reflection, I will examine the life of St Francis of Assisi who followed Jesus Christ by living according to the Gospel. His life is not a mere historical legend, but is something fresh and living with applications for our own time. For people living today, Francis’ Gospel life provides healing and serves as a sure compass. Chapter 1 - An examination of human greed and the suffering it causes, and the effort which is needed to be healed. Chapter 2 – A concrete examination of the background and influences in the life of Francis who was born into an era of greed and human ambition. He found himself plunged into suffering, but came to understand that the helping hand of God could heal him. And an examination of how Francis, cured of his greed, lived out his changed life. Chapter 3 – Examines how Francis’ life and spirituality have practical applications for Gospel living in our own era. The healing spirituality of Francis can help contemporary society’s suffering from greed to turn from self-centered love to other-centered divine love. Francis offers to a modern world, where the self and others are plunged into pain and unhappiness, a chance to receive the totally self-giving love of the Blessed Trinity. Accepting and living this love of God for us frees us from the quagmire of pain and unhappiness and enables us to experience the fullness and the abundance of the Kingdom of God whilst looking towards the eternal Kingdom with hope. 현대사회는 어느 시대보다 보다 더 어려운 위기의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현대사회의 위기는 이 세상뿐만 아니라 ‘세상 안의 교회(ecclesia ad extra)’인 그리스도의 교회의 위기로 이어진다. 이러한 위기는 현대인들이 이룩한 문질문명 속에서 인간의 욕망에서 비롯된 자기중심적인 이기심과 탐욕에서 초래되었다. 이러한 인간의 이기심과 탐욕에서 기인한 욕망은 인간 스스로와 세상을 혼란스럽게 하고 파괴하여 스스로 파멸의 길을 자초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위기상황에서 인류구원을 위해 교회는 위기의 상황이 어디에서 출발하는지를 보다 근본적으로 바라보며 진단할 필요가 있다. 위기의 뿌리가 무엇인지를 밝히고 풀어 나아감으로써 세상에서 하느님의 구원사업을 지속해야 하는 것이다. 욕망에 의해서 빚어진 고통 속에 있는 인류를 치유하고 구원하기 위해서 교회는 ‘욕망’에 대해 심도 깊은 눈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욕망을 분석하기 위한 본질적인 연구를 위해 교회는 인간에 대한 심층적 이해가 필요하다. 인간학적이고 심리학적이고, 신학적인 통합적 성찰로 인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인간의 욕망에 대한 연구를 우리 그리스도교의 대표적 성인인 아씨시의 성 프란치스코(Francisco d’Assisi)의 영성적 성과를 통해서 성찰하고 있다. 팔백여 년 전, 중세유럽 아씨시의 성인 프란치스코 또한 당시 극변하는 세계 속에서 잘못된 욕망으로 인한 탐욕의 세상 속에서 자신도 여느 인간처럼 고통과 아픔을 겪었다. 그러한 그가 마침내 하느님의 교회 재건과 인류의 구원계획을 위해 손 내미시는 하느님에 대한 깊은 체험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체험은 프란치스코가 잘못된 욕망으로 인한 탐욕과 교만 안에 살면서도 하느님이 자라도록 하신 생명의 영에 대한 움직임에 실낱같은 희망을 보았고, 그 생명의 영이 그를 하느님의 사람으로 거듭나게 하였다. 하느님께로 눈을 돌린 프란치스코는 참된 사람이시며, 하느님이신 예수 그리스도와의 만남을 통해 그 자신의 욕망으로 빚어진 상처와 고통을 치유할 수 있었다. 이러한 만남으로 인해 그는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치며 예수 그리스도를 뒤따를 수 있게 된 것이다. 본 논문은 인간의 욕망이라는 관점 안에서 인간이 잘못된 욕망을 품음으로써 얼마나 상처를 만들고 고통 속에 빠지게 하는지 또 그러한 인간을 치유하고 구원하기 위해 하느님께서는 어떻게 손길을 내밀고 계시는지 성찰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성찰이 과거의 전설적인 이야기가 아니라 오늘날까지도 생생하게 살아있으며 적용될 수 있음을 기대해보며 연구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오늘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개인의 욕망에서 빚어진 잘못된 삶의 방향에서 벗어나 조금이나마 하느님이 창조하신 인간 본연의 모습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삶의 나침반이 되기를 희망해 보며 본 논문을 작성하였다. 제 1장에서는 욕망이 어떻게 인간에게 고통을 주는지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그리스도교의 인간이해 속에서 욕망이 어떻게 인간에게 고통을 주는지 그리스도교의 인간관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접근을 위해서는 그리스도교 인간관의 배경이 된 고대 그리스의 인간관과 구약성서의 인간관을 먼저 살펴보았고, 욕망으로 인한 인간이해를 거쳐 신약 시대와 이 후 교부들의 그리스도교 인간관 안에서의 욕망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제 2장에서는 12-13세기 프란치스코가 욕망에 의한 격동의 사회적 배경 속에서 자신의 욕망을 어떻게 인식하였으며, 그것이 고통으로 이어지는 것임을 깨닫고 어떻게 하느님의 손길에 의탁하게 되었는지 그 전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프란치스코가 살던 시대적 배경 속에서 욕망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전개되었던 영성운동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욕망으로 인해 상처투성이가 프란치스코를 하느님이 어떻게 치유 해주시고, 그는 또 어떻게 회개의 삶을 살아갔는지 치유-변화된 프란치스코의 삶의 여정을 고찰해 보았다. 제 3장에서는 프란치스코의 삶과 영성이 현대인들의 영성에도 유의미하다는 사실을 살펴봄으로써, 하느님으로부터 치유되어 세상에 복음화를 실현시킬 수 있는 신앙인의 모습을 바라보았다. 어느 시대보다도 더 욕망으로 점철된 이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 프란치스코의 삶과 영성은 여전히 유효하다. 치유된 모습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발자취를 따르는 삶을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연구 과정을 통하여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욕망으로 얼룩진 현대사회에서 인간 자신과 또 다른 모든 피조물에게도 고통을 안겨주는 ‘자기중심적인 자기애성(Self-centered, Self of Love)’으로 가득 찬 욕망을 ‘프란치스코의 치유 영성’을 통하여 하느님의 사랑과 은총에 힘입어서, ‘하느님중심적인 이타적 사랑(Other-centered, Love of God)’으로 치유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처럼 욕망을 극대화함으로써 타인과 자신을 고통과 불행 속에 빠트리고 있는 이 시대 속에서 자신의 모든 것을 내어주는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을 수용하고 따름으

      • 성막에 나타난 영성적 치유의 자원들 : 영성지도와 정신분석적 심리치료 중심으로

        이선영 한세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32430

        ABSTRACT Spiritual healing resources appeared in the Tabernacle - Focusing on Spiritual direction and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This paper is a study about Spiritual healing resources appeared in the Tabernacle. Spiritual healing of the Tabernacle is characterized by spiritual direction and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Chapter Ⅰ is an introduction. Chapter Ⅱ deals with the features of spiritual direction. Spiritual direction takes precedence over relationships with God. But the relationship with God leads to the encounter with the inner side of man himself. In this respect, Spiritual direction is also associated with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Chapter Ⅲ discusses the features of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It deals with concepts of psychoanalysis. Then this paper studies mourning as a therapeutic process. Chapter Ⅳ studies the Tabernacle as a resource of spiritual healing. First, it deals with the symbolic meaning of the wilderness where the Tabernacle is located. The wilderness symbolizes false self, and is a place facing itself. And it symbolizes the experience of God as father, mother, and husband. It is a place of holy space and time. Repetitive rituals are held there. The wilderness is also a place of spiritual healing for Moses. The burnt offering is also a place of healing. In the burnt offering, Israel confronts its pathology and sin through sacrifices. The burnt offering, the Azazel Goat(scapegoat), and the peace offerings are a series of mourning processes. The burnt offering also symbolizes the empathy of God's intense sorrow toward Israel. The basin symbolizes facing the monster of the human abyss. But It also means a relief in the womb of God. Through this ritual, Israel goes from chaos into new creation. The Table of Showbread means the divine word of God. In particular, the Ten Commandments reveal spiritual healing. The lampstand symbolizes dreams, fantasies and parables. These are the resources of spiritual healing. Altar of incense means the prayers. Prayer that appears in Psalms show the process of being transformed through the mourning. The Holy of Holies symbolizes death and resurrection. Facing death causes healing and transformation. Through the rituals of the tabernacle Israel was healed. Israel goes to Canaan. Canaan symbolizes Israel's new life.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resources of spiritual healing in the Tabernacle.

      • 영성과 치유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미석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4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at relationship there is between the healing of diseases and spirituality. Humans were created by God to keep company with God. However, this relationship was destroyed by the Sin Adam committed. People came to live to feed their desires. The diseases are also caused by the rupture of their relationship with God. If we keep tracking to find the root of all the diseases, the root we will find is the lack of the spirituality. That is why the healing for diseases should be to recover the relationship with God. The core of the spirituality of Christians is the recovery of the relationship with God. We can develop spirituality through the recovery of relationship between God, humanity and nature. Therefore, the premise of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of the spirituality and the healing.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how spirituality influences the healing of diseases by comparing spirituality and healing. In Chapter Two, will compare general spirituality and Christian spirituality and present two core factors, that are relationship and other-centeredness, defining the nature of Christian spirituality. In Chapter Three, I will deal with diseases and healing deeply. In Chapter Four, the Christian lives of spirituality and healing, the Spirit of the Lord and healing, the healing of the whole man and the method of the healing will be present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the spirituality and healing. In Chapter Five, my conclusion, I will recommend some suggestions about healing in pastoral ministry today. The range of this study includes not only the Biblical area, but also the psychological one, because humans consist of spiritual and psychological things. Spirituality is a living process a self goes forward with Christ by making a Biblical relationship with God and human beings. The person who spirituality is developed well should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God through obedience and living an other-centered life within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The innocent men who were created by God brought physical, mental, and spiritual diseases as a result of Sin. Therefore, the recovery of the relationship with God is premised on this healing. When one lives a God-centered life, the relationship with God will get better, and by living an other-centered life, one can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The development of spirituality causes not only the change of relationships with others but also the healing of the physical, mental, and spiritual diseases by the recovery of relationship with God. In conclusion, I suggest that these diverse studies like the spiritual training for the development of spirituality and the healing ministry of the whole human should be kept.

      • 영성발달과 치유의 관계성에 관한연구

        송기태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36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healing. Spirituality is a process of living a life of a self toward Christlikeness in a Biblical relationship with God and people, which engenders a valuable character, that is other-centeredness and a valuable behavior, that brings spiritual power. Spirituality development is important not only for qualitative growth of the church and the ethical development of society, but also for individual healing. To clarify the nature of spirituality exploring history of spirituality, perspectives of scholars, biblical and theological views in chapter Ⅱ. Aspects of spirituality development in chapter Ⅲ, focused on Relationship, especially relationship with God, people and environment, which is the basis of spirituality development. And described three domain (cognitive domain, emotional domain, psychomotor domain), process (self, healing, development), christian education and the works of Holy Spirit. In chapter Ⅳ, a study on aspects of healing, described relationship, domain, process as aspects of spirituality development. Breaking the relationship with God is channel of a disease, that is worse off relationship with others. we can find that in the work of Jesus Christ. also through the works of Jesus Christ to make relationship. The common denominator of Spirituality and Healing is relationship, which is with God, people and environment. but an object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chapter Ⅴ, study deals with relationship, domain, mission charges and self. And finally, The two question, Is healing the sick engender spirituality development? Is spirituality development engender healing? was answered in aspect of relationship.

      • 북한 이탈 청소년의 기독교 정체성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 : 기독교 영성 교육의 단계별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경선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2347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 중 근거 이론을 활용하여 북한 이탈 청소년의 남한 사회진입 후의 신앙발달과정을 살펴보고 신앙발달유형을 밝혀냄으로써 신앙 성숙을 위한 단계별 교육과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한 사회에 진입한 지 3년 이상이 되었으며 정기적으로 교회에 출석하는 탈북청소년 15명을 연구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원자료를 단위 분석하여 총 196개의 개념을 도출하고, 이중 유사하거나 공통인 것을 묶어 66개의 하위범주와 23개의 범주로 분류하였다. 23개의 범주를 Strauss와 Corbin(2015)이 제시한 패러다임 모형에 다시 배열하여 드러난 현상은 「기독교인의 정체성을 떠나 세상에서 바벨탑 쌓기」 이었다. 북한 이탈 청소년이 이 현상을 경험한 후의 과정으로서의 과정 분석에서는 훼손된 정체성 극복전략으로서의 자기 강화 단계, 무너진 사랑의 질서 재건단계, 기독교 영성의 발현 단계를 거쳐 건강한 자아 회복과 통일의 중간지대로서의 소명 의식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패러다임 모형과 과정 분석을 통해 북한 이탈 청소년의 신앙발달과정에서 나타난 핵심 범주는 「자유를 찾아 넘어온 남한 사회에서 물질과 이기적 욕망의 속박으로부터 진리의 말씀으로 자유 하게 되어 통일의 중간지대로 준비되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이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북한 이탈 청소년의 신앙발달과정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파울러(Fowler)의 신앙발달단계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로서, ‘감정적 신앙체험 유형’, ‘습관적 종교 생활유형’, ‘성숙한 신앙 정서유형’, ‘개방적 상호의존 유형’의 네 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경험한 현상과 관련된 다양한 상황 조건들이 상호작용하여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한 결과로서,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하여 기독교 정체감의 발달과정으로서의 4단계인 감정적 신앙체험 단계(1단계), 습관적 종교 생활 단계(2단계), 성숙한 신앙 정서 단계(3단계), 개방적 상호의존 단계(4단계)에 대한 상호작용 모형을 제시하고, 북한 이탈 청소년의 기독교 정체감 발달과정에 따른 기독교 영성 교육의 단계별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북한 이탈 청소년의 기독교 정체성 발달과정은 정체성과 영성의 상호역동적인 과정으로서, 정체성의 발달이 잘 이루어질 때 신앙발달도 잘 경험될 수 있었다. 특히 신앙발달과정의 2단계인 습관적 종교 생활 신앙방식에서 3단계인 성숙한 신앙 정서 신앙방식으로의 전이에 있어서 주요 안건이 되는 말씀의 내면화 과정은 북한 이탈 청소년의 정체성 치유와 회복을 선제조건으로 발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북한 이탈 청소년들이 훼손된 정체성을 회복하고 각자의 의미 있고 전망 있는 전문분야에서 통일의 중간지대 역할을 해내는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정체성의 발달과 상호역동적으로 발달하는 영성의 발달, 영성 발달을 위한 내적 치유의 필요성, 신앙적 성숙의 결과물로서의 진리 안에서의 자유, 그리고 이를 위해서 시기적절하게 투입되어야 할 기독교 영성 교육의 단계별 교육과정이 중요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와 논의에 근거하여 교회와 사회적 차원에서의 북한 이탈 청소년 사역을 지원하기 위한 일곱 가지 제안으로 본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On the basis of grounded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step-by-step curriculum for North Korean defectors’ spiritual development by examining the process of faith development after entering South Korean society and uncovering their developmental patterns. After conducting an in-depth interview with 15 North Korean defectors, unit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raw data collected to derive a total of 196 concepts. It was classified into 66 sub-categories and 23 categories. The phenomenon revealed by rearranging the 23 categories created in the open coding process to the paradigm model presented by Strauss and Corbin(2015) was to 「build a tower of Babel in the world, leaving the identity of the Christian」. In the process analysis, the self-reinforcement stage as a strategy to overcome the damaged identity, the reconstruction phase of the broken love with God, and the stage of manifestation of Christian spirituality reached healthy self-recovery and call to the middle ground of unification. Through the paradigm model and process analysis, the emerged core category was to be 「freed from the bondage of material and selfish desires and prepared as an intermediate place for unification」. Based on this core category, as a result of applying Fowler's theory of the stage of faith development in order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faith of North Korean defector youths, four types of North Korean defectors’ spiritual stage were derived: ‘emotional faith experience type’, ‘habitual religious life type’, ‘mature faith emotion type’, ‘open interdependence type’. As a result of analyzing how various situational conditions related to the phenomena experienced by the study participants interact and affect the outcome, interaction models for the four stages of Christian identity development: the emotional faith experience stage(1st stage), the habitual religious life stage(2nd stage), the mature faith emotion stage(3rd stage), and the open interdependence stage(4th stage) was presented. In addition, a step-by-step curriculum of Christian spirituality education is present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developing Christian identity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Christian identity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is a dynamic process of identity and spirituality, and when identity is well developed, the development of faith can be well experienced. In particular,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the Word, which is the main agenda in the transition from the habitual religious life belief method, which is the second stage of the process of faith development to the mature faith-spiritual faith method, which is the third stage, took place as a prerequisite for the healing and restoration of ident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order for North Korean adolescents to recover their damaged identities and grow into healthy adults who play a role in the middle ground of reunification in their respective meaningful and prospective professional fields, the development of identity and the development of mutually dynamic spirituality, the need for inner healing for spiritual development, freedom in truth as a result of religious maturity, and the step-by-step curriculum of Christian spirituality education that must be put in a timely manner for this purpose were important. Finally, based on these findings and discussions, this study was concluded with seven proposals to support the ministry of North Korean defectors at the church and social level.

      • 찬양이 치유와 영성과 예배에 미치는 영향

        김도열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2334

        찬양은 인간들의 여흥을 즐기거나 스트레스 풀이용으로 이용되어서는 안된다. 찬양은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찬양은 찬양을 받을만한 가치가 있는 대상에게 드리는 것이다. 그 대상이 바로 하나님 이시다. 하나님은 그 어떤 제물보다도 찬양을 더 받으시기를 원한다. 이것이 성경에 명백히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는 챤양 해야 한다(시69:30-31). 그러나 신약의 성도들은 그것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입술의 제사인 것을 알기에 더욱 찬양한다(히13:15). 찬양은 하나님의 백성, 우리들의 본분이며 기쁨이다. "그 기쁘신 뜻대로 우리를 예정하사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자기의 아들들이 되게 하셨으니 이는 그의 사랑하시는 자 안에서 우리에게 거저 주시는 바 그의 은혜의 영광을 찬미하게 하려는 것"(엡1:5-6)임에 틀림없다. 그러므로 찬양은 해도 되고 말아도 되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구원받은 성도들의 당연한 의무요 도리인 것이다. 찬양은 결국 구원받은 자들의 기쁨과 감사의 표현임과 동시에 우리들의 믿음의 결론이다. 모든 신학과 성경공부와 봉사와 헌신의 결과는 감격의 찬양이 되는 것이다. 찬양의 요소는 많다. 말(언어)이 있고, 음악이 있고, 그리고 악기가 있다. 찬양이 광의의 의미로 쓰인다면 우리 삶의 전부분이 다 찬양이지만 협의의 의미로 쓰인다면 음악적 요소가 사용된 것이 찬양이다. 음악적 요소의 찬양이 바로 우리의 논의의 초점이다. 찬양은 영혼을 소성 시키고 눈을 밝게 하며 지혜와 명철을 준다는 것이 사실이다(시19:1-10). 그러므로 성경은 곳곳에서 찬양을 통한 기적이 나타나고있고, 또한 악한 생각에 사로잡혔거나 귀신에 들린 자가 찬양을 통하여 회복되는 것을 증거하고 있는 것이다. 음악은 인간의 본성에 가장 빨리 접근하는 도구이다. 이것이 나쁘게 사용되면 무서운 결과를 낳게 되지만 복음을 위하여 선용된다면 그 결과는 그 어떤 도구보다도 강력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특성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회, 특히 목회자는 목회에 있어서 그리고 공 예배에 있어서 찬양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이해를 다시금 새로이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주신 좋은 도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선용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중요한 자원 하나를 잃어 버린채 영적 전투에 임하는 꼴이 되고 만다. 그리고 두 번째로 이러한 찬양에의 확산을 위해서 성도들을 재교육시킬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이일에 헌신 할 수 있는 사역 자들을 발굴하고 훈련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각 교회는 교회 자체적으로, 혹은 연합으로 찬양사역자 학교를 개설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또한 개 교회마다 찬양에 대한 세미나를 통해 기존교인들의 전통에 굳어진 생각들을 새롭게 해 줄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렇게 정립된 찬양을 통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인간들에게는 치유와, 영성개발과, 올바른 예배를 드림으로 교회가 부흥하는 놀라운 역사를 통해서 오늘날 한국교회가 성장해 나갈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걸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