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급식소 안전사고 현황 및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 제주지역 초.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김정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51

        본 연구는 제주도내 학교급식소에서의 안전사고 발생 현황과 원인, 급식시설 공간 및 기구 현황, 조리종사자의 안전사고에 대한 인식 정도를 분석하여 향후 학교급식 환경 개선을 통한 급식종사자 근무여건 개선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학교급식 위생·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학교급식소에서 준수해야 할 관련 법령 및 지침을 분석하는 이론적 고찰과 둘째, 제주도내 초·중·고등학교 영양(교)사, 조리종사자를 대상으로 학교급식 현황, 학교급식소에서의 안전사고 발생 현황 및 원인, 급식시설 작업환경과 안전사고에 대한 인식,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 정도 등을 알아보는 설문조사 두 가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2015. 8.11.~31.까지 제주도내 초·중·고등학교 조리종사자 및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분석을 위한 자료 처리는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에 의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 현황 및 원인, 급식시설 환경, 안전의식 및 교육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응답분석과 -검증에 의한 교차분석, 기술통계 분석, 독립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으로는 Duncan test를 이용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검증방법들의 유의수준은 =0.05, 0.01, 0.001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식 위생·안전사고 예방관련 법령 및 지침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2010년 이후 교육부 및 각 시·도교육청에서는 학교급식 기본방향에 안전사고 예방관련 내용 추가, 학교급식 위생관리 지침서·학교급식 운영평가 및 위생·안전점검 세부요령·학교급식소 안전보건 관리대책 책자 발간·보급을 통해 안전사고 예방관련 학교급식법 및 산업안전보건법 등 법령을 준수하도록 하는 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고용노동부, 안전보건공단에서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내서 제작·보급, 교육청과 협업하여 급식종사자 교육에 강사 지원 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의 경우 2011년 이후 학교급식소에서의 안전사고 발생 건 수가 대폭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급식 현황에 따른 최근 5년간 안전사고 발생 현황 및 원인을 보면 전체로는 안전사고 경험 있음이 33.3% 였으며, 관리 형태별로는 영양교사 단독배치(35.8%)가 공동배치(25.5%)보다 경험이 더 많았으며, 급식인원 및 조리종사자가 많은 큰 규모의 학교일수록 안전사고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형별 안전사고 발생 시 작업공정을 보면 발생 빈도가 높은 타박상의 경우 청소 중(40.5%), 조리 중(35.7%)에 주로 발생하였고, 화상의 경우에는 조리 중(61.8%)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나머지 유형별 사고가 발생한 작업공정도 대부분 조리 중이나 청소 중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 작업 중에서 조리작업 및 청소작업 시간이 가장 많이 소요되고 노동 강도가 가장 센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안전사고의 주된 원인을 보면 본인 부주의(22.9%), 조리종사자의 과도한 업무량(20.9%), 미끄러운 바닥 재질(9.8%) 순으로 나타났고,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적정 인력 배치(52.7%)가 가장 많았고, 노후 급식시설 개선(15.6%), 조리종사자 안전교육(13.8%) 순으로 나타났으며, 노동 강도가 가장 큰 작업은 식기류 세척/소독작업(33.8%), 급식소 청소작업(32.4%), 조리작업(29.8%)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급식시설 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종합해 보면, 급식시설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조리종사자가 영양(교)사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학교급식시설 환경에 대한 만족도에서 만족(28.5%)보다 불편(35.2%)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이 불편한 이유 중 가장 많은 답변이 불편한 구조이고, 특히 시설 사용자가 가장 많은 직종인 급식보조원은 41.0%(불편+매우 불편)가 불편하다고 답하였고, 불편하다고 답한 35.2% 중에서 현대화 학교의 경우 불편한 구조와 급식소가 너무 넓어서, 너무 좁아서 라고 답한 비율이 42.3%로 나타나 앞으로 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추진 시 급식소 구조와 규모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항목임을 보여주고 있다. 여섯째, 안전사고 예방교육의 필요성 및 기회 만족도에서 안전사고 예방교육의 필요성은 4.28로 매우 높았고, 안전사고 예방교육 내용 만족도 및 불만족 이유에서 안전사고 예방교육 내용 만족도의 경우 만족이 89.0%로 대부분 만족하였고, 안전사고 예방교육에 불만족하는 47명을 대상으로 그 이유를 알아본 결과는 알고 있는 내용 되풀이(40.4%)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형식적 교육(27.7%), 실제 급식현장과 안 맞음(21.3%) 순으로 나타나 학교급식종사원에 대한 안전사고 예방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도교육청이나 안전보건공단에서는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한 교육방법이나 내용 등에 대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고등학교 체육활동 시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실태 및 예방에 관한 연구

        김영호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4367

        본 연구는 고등학교 체육활동 시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실태를 살펴보고 학생들의 안전교육과 예방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파주 지역 학교의 남, 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연구이다. 파주 지역에 재학 중인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취합하였으며 취합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분석 처리하였다. 체육활동 시 발생 되는 안전사고의 유형 및 원인을 조사한 결과는 첫째, 안전사고 1회 이상 경험한 학생은 전체의 37.6%로 나타났으며 안전사고 경험이 없는 학생은 전체의 62.4%를 차지하였다.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안전사고 경험 횟수에 차이가 있었으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안전사고 발생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남학생, 여학생 성별과 상관없이 사고 발생 요인은 학생 측면의 부주의 73%로 가장 높게 발생하였으며 시설 측면이 13%로 그다음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년에 상관없이 59%가 구기 운동 중 주운동을 할 때 안전사고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고 발생 요인 및 사고의 원인은 학생 측면에서 사고장소 중 운동장에서 발생영역 구기 종목을 주운동 했을 때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활동 영역의 범위, 활동량이 많은 단계에서 학생의 주의 부족이 가장 큰 원인이다. 학교 기자재 및 시설물들에 대한 안전 지시사항들에 대해 꾸준한 보수 관리와 학생들이 학교 안전에 대한 경감심을 가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학생 스스로 안전사고로부터 자신을 예방 및 보호할 수 있는 자세를 길러야 한다. 안전사고 예방 교육에 관한 인식 및 실태 연구 결과는 첫째, 학년 중 1학년이 50%로 예방 교육에 가장 관심이 있는 편이며 2학년 45%, 3학년 40% 순으로 나타났으며 ‘관심이 없다’도 학년에 상관없이 상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둘째, 학생들의 예방교육 빈도에 따른 교육의 도움은 1~2분 정도 짧게 실시했을 때 7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시간이 길어질수록 예방 교육의 도움이 잘 전달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면 신입생인 경우 예방 교육에 관심이 가장 높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관심도는 떨어짐을 알 수 있었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예방 교육에 관심이 더 많은 편이며 예방 교육 시간이 짧게 실시되었을 때 예방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짧은 영상을 선호하는 학생들의 입장을 잘 고려하여 안전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의 결과는 체육과 영역별 세분화된 안전교육 내용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며 학교 안전사고 실제 사례를 교사, 학생들에게 홍보하고 안전과 관련된 업무 부서를 독립 신설하여 학교안전예방에 힘써야 할 것이다.

      • 가상현실(VR)기반 입원 아동 안전사고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현라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4367

        The background and aim of this study are that hospitalized children have a high incidence of safety accidents during hospitalization due to unfamiliar environments and immature cognitive abiliti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safety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for hospitalized children is essential.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s based on the theory of learning using virtual reality (VR) as an educational means, which induces interest and immersion in hospitalized children, has not been verified. To this end, in this study, based on situational learning theory, we developed a 'virtual reality-based (VR) hospitalized child safety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and tried to verify the effect of hospitalized children on hospitalization safety knowledge, hospitalization safety awareness, and hospitalization safety practice behavior.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inpatient children and their guardians in the pediatric ward of W Hospital in Gyeonggi-do, and 33 people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Data collection was implemented from April 1, 2021 to March 31, 2022.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virtual reality (VR) contents after conducting preliminary theoretical education on safety accidents and prevention strategies that may occur during hospitalization. In the control group, training was provided orally by reading educational materials that are usually provided at the time of hospitaliz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8.0 Window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Hypothesis 1. In the hypothesi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virtual reality (VR)-based safety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hospitalized children will have a higher hospitalization safety knowledge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it.', the change of the post-pre-score of the two groups on hospitalization safety knowledge was 1.48 points by the experimental group and -0.36 points by the control group, which was higher by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z=-3.20, p=.001). Therefore, hypothesis 1 was supported. Hypothesis 2. In the hypothesi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virtual reality (VR)-based safety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hospitalized children will have a higher hospitalization safety perception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it.', the change of the post-pre-score of the two groups on hospitalization safety perception was 0.49 points by the experimental group and -0.07 points by the control group, which was higher by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t=7.43, p<.001). Therefore, hypothesis 2 was supported. Hypothesis 3. In the hypothesi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virtual reality (VR)-based safety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hospitalized children will have a higher hospitalization safety practice behavio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it.', the change of the post-pre-score of the two groups on hospitalization safety practice was 0.53 points by the experimental group and -0.05 points by the control group, which was higher by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t=6.02, p<.001). Therefore, hypothesis 3 was supported. To sum up, ‘virtual reality (VR)-based safety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hospitalized children is effective in improving hospitalization safety knowledge, hospitalization safety awareness, and hospitalization safety practice behaviors and preventing inpatients' safety accident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is program can be used in nursing practice fiel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of children hospitalized in the pediatric ward 본 연구의 배경 및 연구목적은 입원한 아동은 낯선 환경과 미성숙한 인지 능력으로 입원 기간 동안의 안전사고의 발생률이 높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입원 아동에게 안전사고 예방 교육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입원 아동에게 흥미와 몰입을 유발하는 가상현실(VR)을 교육 수단으로 이용하여 학습에 대한 이론에 입각한 교육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이 검증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황학습 이론에 입각하여 ‘가상현실 기반(VR) 입원 아동 안전사고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입원 아동이 입원 안전 지식, 입원 안전 인식, 입원 안전 실천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경기도 소재 W 병원의 소아과 병동에서 입원 치료 중인 입원 아동과 입원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각 33명으로 배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4월 1일부터 2022년 3월 31일까지 시행되었다. 실험군에게는 입원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예방 전략에 대한 사전 이론 교육을 시행 후 가상현실(VR) 컨텐츠를 제공했고, 대조군에서는 입원 시 통상적으로 제공 되어지는 종이로 된 교육자료를 보며 구두로 교육을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Window Program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가상현실(VR)기반 입원 아동 안전사고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입원 안전 지식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에서 입원 안전 지식에 대한 두 집단의 사후-사전 점수의 변화는 실험군이 1.48점, 대조군이 –0.36점으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z=-3.20, p=.001). 따라서, 가설 1은 지지되었다. 가설 2. ‘가상현실(VR)기반 입원 아동 안전사고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입원 안전 인식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에서 입원 안전 인식에 대한 두 집단의 사후-사전 점수의 변화는 실험군이 0.49점, 대조군이 -0.07점으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7.43, p<.001) 따라서, 가설 2은 지지되었다. 가설 3. ‘가상현실(VR)기반 입원 아동 안전사고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입원 안전 실천행동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에서 입원 안전 실천행동에 대한 두 집단의 사후-사전 점수의 변화는 실험군이 0.53점, 대조군이 -0.05점으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6.02, p<.001). 따라서, 가설 3은 지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가상현실(VR)기반 입원 아동 안전사고 예방교육 프로그램은 입원 아동에게 입원 안전 지식, 입원 안전 인식, 입원 안전 실천행동을 개선시키고 더 나아가 입원 아동의 안전사고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다. 이에 본 프로그램은 소아과 병동에 입원한 아동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간호 실무현장에서 활용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 학교안전사고 예방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위국환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34367

        학교안전사고 문제는 사후해결을 위한 보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사전예방을 위한 제도가 구축되어 있어야 한다. 그동안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등과 같은 학교의 안전문화와 관련한 법령을 정비하고, 교육부의 기본계획 등을 바탕으로 학교안전주간 지정, 안전문화운동 시범학교 등의 정책을 추진하는 등 학교의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왔지만, 한계가 있었다. 학교안전정책 관련 법제도 측면에서 보면, 관련 법규 및 유관부처의 담당 업무가 산재되어 있어 학교안전 관련 조항이 정비되어 있지 않았으며 누락된 부분도 많았다. 이는 유관부처들의 역할과 책임에 관한 논란을 야기할 수 있으며, 부처간 협력관계 구축이 절실한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지진이나 태풍 등의 피해를 대비한 실질적인 방재교육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그나마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안전교육도 극히 피상적이고 단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을 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한국의 학교안전사고예방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아동 및 학생들을 사고나 재해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먼저 국가가 학교안전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국가는 교과별 안전교육 내용을 체계적으로 개편하여 일선학교에서 안전교육이 철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학교급별, 학년별 안전교육 목표에 따른 안전교육 프로그램과 자료를 개발ㆍ보급하여 일선 학교에서 널리 이용될 수 있도록 법체계를 정비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안전교육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은 교원이므로 모든 교원이 안전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과 지식을 지니고 책임감 있게 학생을 지도할 수 있도록 국가는 이들에 대한 연수를 최우선적으로 실시해야 할 것이다. 넷째, 교내뿐만 아니라 가정이나 지역사회에서 학생들의 안전을 지키기 위하여 국가는 학교와 경찰 등의 관련기관이나 단체가 언제든지 서로 만나 의견을 교환하거나 협조가 가능한 장을 마련하는 등 지역사회 전체가 서로 연계ㆍ협력하여 지도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관련 제도 및 법령을 구비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국가는 내진성이 확보되어 있지 않아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학교 건물에 대한 예산을 하루 빨리 투입, 안전성을 확보하여 다가올 재해를 사전에 대비하고 학생들의 안전이 확보되도록 법제도를 개정해야 할 것이다.

      • 초등학교 체육수업 시에 발생하는 안전사고 예방에 관한 연구

        이병익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34367

        현재의 일선 교육 현장에서는 체육 수업 시간에 많은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되고있다. 본 연구는 체육수업 시 발생되는 안전사고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안전사고 예방활동과 개선방법을 찾아 제시함으로서 체육수업의 활성화와 안전사고 문제점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도했다. 연구목적을 위해 구체적인 문제는 초등학교 체육수업 시 발생되는 안전사고 실태인 안전사고 경험, 학년별, 시간대별, 지도단계별, 지도 영역별 안전사고 발생, 체육실기 기능 및 성격과의 관계, 안전사고 발생요인, 기구 및 설비에서의 안전사고 발생을 조사 분석한다. 안전사고 예방활동과 개선방법인 안전사고에 대한 교사의 관심, 안전사고 예방 교육 실시 여부, 교사 연수 후 예방 가능성, 안전지도 학습 자료 준비, 안전위원회 조직 여부, 시설 및 설비점검, 교사 연수와 아동교육, 행정기관의 안전사고 여건 조성, 안전사고 활성화 방안을 분석하고 예방활동과 개선방법을 제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수업 시 안전사고를 88.1% 교사가 경험한 것으로 응답하여 많은 교사가 안전사고 경험을 하고있다. 둘째, 안전사고는 고학년으로 갈수록 높게 발생되었다. 그리고 오전수업 때보다 오후 수업인 5, 6교시와 수업 후가 안전사고 발생이 높고 학년별 안전사고 발생에서는 성별, 경력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체육수업 지도 단계별 안전사고는 주로 82.2%가 주 운동 단계에서 발생되고 영역별 안전사고는 기계운동에서 78.5%가 발생되며 게임에서도 13.15%가 발생된다. 그리고 기구 및 설비는 뜀틀(63.9%)과 철봉(14.6%)에서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된다. 넷째, 체육 실기 기능이 높은 아동 (14%)보다 실기 기능이 낮은 아동(53.6%)과 성격이 느긋한 아동(12.1%)보다 성격이 급한 아동 (67.9%)이 안전사고 피해를 더 많이 입는다. 다섯째, 안전사고 발생요인은 아동측면(85.0%), 시설측면(10.3%), 교사측면(2.5%)순이며 아동측면의 주요원인은 아동부주의와 아동간의 장난 그리고 교사지시 불이행이다. 시설측면은 시설노후, 규격 불량, 시설부족이고 교사측면은 지도내용 미숙, 교사부주의, 아동관리 부족 순이나, 주로 안전사고는 아동측면에서 발생된다. 여섯째, 안전사고에 대한 교사의 관심은 98.3%로 매우 높고 경력에 따라 관심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안전사고 예방교육을 96%의 교사가 실시한다. 경력이 많을 수록 경력이 낮은 교사보다 더 많은 안전사고 예방교육을 실시하며 경력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일곱째, 안전사고 관련 교육이나 연수 실시 후 안전사고 예방가능성에서 94.9%가 가능하다고 긍정적으로 응답했다. 그리고 안전사고 학습 지도 자료는 78.2%가 부족하고 심지어 19.3%는 전혀 없다고 했다. 결론적으로 체계적인 연수 실시와 지도 자료 개발이 요구된다. 여덟째, 학교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위원회는 77.6%가 조직이 안되었고 조직은 겨우 7.6%로 문제점이 나타났다. 경력별 분석 결과 안전위원회 조직 여부에서 경력이 많을 수록 조직이 되었다고 하여 경력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P< .01)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시설 및 설비 점검을 82.2%가 하고 있으나 가끔 한다가 56.4%이고 정기적이나 수시 점검은 25.8%로 나타나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시설 및 설비 점검은 성별 경력별 직위별 모두 유의미한 차를 보이고 있다(P< .01). 아홉째,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교내 교사 연수를 54.1%가 하지 않는다고 했고 한다고 해도 가끔 한다가 44.2%로 연수가 내실 있게 운영되지 않는다. 아동에 대한 안전 교육도 48.2%가 하지 않고 가끔 한다가 47%로 아동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있으나 직위별에서는 부장교사가 아동교육을 더 많이 하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P< .05) 열째, 행정기관에서는 평소 학교 안전사고 예방 활동 여건을 44.8%가 조성한다고 했으나 가끔 한다 47.3%로 본다면 행정기관이 예방활동 적극적으로 조성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성별, 경력별, 직위별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활성화 방안과 합리 적인 활동 및 개선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체육 교과 영역별 안전교육 내용 신설 57.5%와 안전사고 사례 홍보가 31.7%로 나타나 많은 시사점을 주고있다. 예방활동 및 개선방법의 대표적인 사례는 준비 운동 철저, 엄격한 통제와 질서 유지, 아동중심(능력) 수업, 동 학년 연수 등이고 개선방법은 교사의 정신적 안정, 기본생활정착 지도자료 확충, 가정교육, 공동체의식, 교사의 체육실기 기능 향상 등이다. 결론적으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합리적인 교사 연수와 지도자료 개발, 학교 안전위원회 조직, 체계적인 시설 및 설비 점검, 효율적인 아동관리와 세심한 아동관찰, 체육과 영역별 안전교육 내용 신설 등으로 볼 수 있다. 끝으로 학교 안전사고는 학교. 가정. 사회 모두가 관심을 갖고 함께 노력해야하고 학교 안전사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있어야 한다. Frequent safety accidents have increased in recent actual field of Physical Educa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acilitate P. E. classes and enhance safety accidents by analyzing actual safety accidents in P. E. classes and presenting safety activities. To meet the purposes of the study, it is researched and diagnosed concerning about grades, class time, instruction stag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s of P. E. and characteristics of it, and the causes of safety-accidents. The results of the safety precautions are as followings : First, 88.1 percent of responded teachers have experienced safety accidents. Second, higher rates of safety accidents are shown on the upper grade students and during afternoon classes. Third, safety accidents have taken place mainly during the main activities in instruction stages(82%). Heavy gymnastics has caused the highest rate(78.5%) of safety accidents. Fourth, less arithmetically proficient students(53.6%) and hot tempered students( 67.9%) show higher rates of safety accidents than highly arithmetically proficient students(14%) and slow students(12.1%). Fifth, the causes of safety accidents are classified as students factor(85.5), facility factor(10.3%), and teacher factor(2.5%). Sixth, the interest in safety accidents is high as 98.3%, and 96% of teachers present safety education. More experienced teacher tend to pay more attention to safety precautions. Seventh, safety education and instructions are believed to avoid safety accidents(94.9%). On the contrast, 78.2% of teachers answered teaching materials are not sufficiently supplied and 19.3% of teachers have no materials of it. Eighth, the committees for safety precautions are required to be consisted(77.6%). Facility inspections mainly have been executed(82.2%). On the other hand, mostly rare inspections(56%) and regular or frequent inspections(25.8%) have been performed. Inspections of P. E. facilities show the different inclination as to sex, experience, and teacher's position. Ninth, adequate training for safety precautions are required. 54.1% of teachers do not perform it and 44.2%of respondents answered to rare training. Safety education is performed by 48.2% respondents. Half of them(47%) carry out rare safety education. On the contrary, chief teachers tend to more concentrate on safety education. Tenth, administrational units are required to facilitate safety activities. The administrational units barely encourage safety activities by 44.8%. The followings hopefully improve to facilitate safety education and reasonable activities. The instances of safety precaution are to confirm warming-up exercises, strict control and student level based instruction. In conclusion, the main points are adequate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teaching materials enhancement, composition of safety-accidents committee, systematic facility inspections, and efficient attention to student management. School safety accidents can be solved with continual attention from school, society, and family in cooperation.

      • 메타버스 활용 체험요소 및 교육만족도가 안전사고예방에 미치는 영향

        홍준성 가천대학교 산업환경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4366

        2019년 12월 중국 우한시에서 발생한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인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불어닥치며 갑작스런 팬데믹 상황이 발생 됨에 따라 사회구성원들 간의 접근성이 떨어지면서 서로 간의 커뮤니케이션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특히, 교육 분야에서도 학교 대면 교육이 점점 힘들어 짐에 따라 다양한 비대면(언택트) 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방법이 생겨나고 있다. 대표적으로 모바일이나 컴퓨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소통 할 수 있는 클라우드 플랫폼인 줌(Zoom)을 통해 화상교육이 활성화되고 있지만, 교육 현장에서는 온라인을 통한 쌍방향 시스템과 프로그램 활용에 대해 어려움을 갖고 있으며 이와 함께 교육콘텐츠의 한계도 깨닫게 되었다. 특히, 대면을 통한 체험학습교육에 대한 한계점이 노출되면서 가상융합기술(XR)을 활용한 쌍방향 연동식의 학습 콘텐츠가 체험교육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와 요구가 더욱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전 세계적 산업 전반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모델이 바로 ‘메타버스(Metaverse)’이다. 이러한 메타버스는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면서 현실 속에서 사회·경제·문화 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를 활용한 안전체험교육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메타버스 체험요소인 교육적 체험, 심미적 체험, 오락적 체험, 일탈적 체험을 검토하고 체험요소 및 교육만족도가 안전사고예방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메타버스 체험요소인 교육적 체험, 심미적 체험, 오락적 체험, 일탈적 체험과 교육만족도를 연구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안전사고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메타버스 체험요소가 안전사고예방 관계에서(F=24.431, p<.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약 31.7%로 나타났다. 따라서 체험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메타버스 체험요소인 교육적 체험, 심미적 체험, 오락적 체험, 일탈적 체험 서비스가 현실처럼 느끼고 안전교육과 관련하여 재미있는 콘텐츠가 쉽게 전달이 되어야 화재 및 안전사고예방에도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메타버스 체험요소 및 교육만족도가 안전사고예방과의 관계에서(F=48.851, p<.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증 결과, 메타버스 체험요소 및 교육만족도는 안전사고예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 .003, p<.01). 상대적 영향력의 평가인 표준화 계수의 크기를 비교하면 메타버스 체험요소가 안전사고대응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고(β =.598), 다음으로 교육만족도(β =.003) 순으로 안전사고대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이 결과는 메타버스 체험요소인 교육적 체험, 심미적 체험, 오락적 체험, 일탈적 체험 서비스를 통해 안전교육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실생활에서의 위험요소에 대해 사전 예방할 수 있는 교육이 될 것이며, 또한, 입체감과 현존감이 있는 콘텐츠를 통해 효율적인 안전사고예방이 될 것이다. 구체적인 해결방안으로, 먼저, 몰입감, 현실감, 도전감을 느낄 수 있는 콘텐츠 제공을 통해 메타버스 내 다른 사용자와의 경험과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가 활성화되어야 하며, 체험교육의 효율적인 수업방식, 강사의 역량도 강화, 안전사고의 다양한 콘텐츠 개발, 연령별, 지역별, 화재 및 안전사고 발생 요인별 특성을 가미한 특색있는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향후 연구과제로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체험형 화재 및 안전교육을 가상세계에서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교육과정 프로그램, 강사역량 강화 훈련 등 기존 강의식 안전교육 한계와 문제점 의견을 수립하여 교육만족도를 향상시키고 메타버스를 활용한 다양한 체험교육 콘텐츠 강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 가정 내 아동 안전사고 예방 및 응급처치 교육의 효과

        권준수 인제대학교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4351

        가정 내 아동 안전사고 예방 및 응급처치 교육의 효과 권 준 수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관리학 영 유아의 안전사고로 인한 상해는 가정 내에서 가장 많이 일어난다. 본 연구는 영 유아의 사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부모들을 대상으로 가정 내 영 유아 안전사고 및 응급처치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고, 부모의 안전사고 예방 및 응급처치에 대한 지식을 조사하며, 이에 대한 교육을 했을 때 가정 내 안전실태가 변화하는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만1세~만5세 자녀를 둔 부모님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설문조사는 사전 설문지와 전화 면접을 통한 사후 설문으로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사고 실태는 빈도와 백분율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녀 사고, 안전 지식 및 안전 인식, 교육 전 후 안전 실태 등의 차이는 교차분석, t-test,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년 이내에 가정 내 자녀의 사고경험이 있는 경우가 56.0%였으며, 부모의 안전사고 및 응급처치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는 18.8%로 나타났다. 가정 내에서 경험한 사고의 발생 장소는 방 및 침실이 34.3%로 가장 높았으며, 사고 유형은 충돌 및 부딪힘이 24.3%로 가장 빈번하였다. 치료 기간은 1주~2주일 사이가 가장 높았으며, 회복 상태는 별반 문제없이 해결됨이 70.0%로 나타났다. 자녀의 안전사고 당시 보호자가 있었던 경우가 79.3%로 나타났다. 가정 내 안전사고 및 응급처치에 대한 지식의 정답률은 55.2%를 보였으며, 가정 내 안전사고 및 응급처치에 대한 인식은 평균 3.5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사고 경험과 일반적 특성과의 관계에서는 부모의 성별, 연령, 학력, 자녀 성별, 자녀 나이, 자녀 형제 수, 부모의 교육경험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가정 내 안전 교육 프로그램 교육 전과 후의 변화된 안전조치 실태에서는 부모의 성별, 부모 연령, 부모 학력, 자녀 성별, 자녀 형제 수, 주거형태, 자녀의 사고 경험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교육 전에 비하여 교육 후 약 25%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안전사고 예방 및 응급처치 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01점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대부분의 부모들은 가정 안전 교육에 대한 높은 요구를 지니고 있었으며, 가정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부모들로 하여금 가정 내 위험에 대한 안전 지식과 태도를 익히고 실천방법을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유아 교육기관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차원의 실질적 홍보 및 지원이 필요하다.

      • 대학 연구실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인식에 따른 교육 방향 고찰 :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주현영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4351

        대학 연구실에서 지속적인 사고가 발생되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 되어, 연구실 사고 예방하기 위해 2005년도 연구실 안전 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제정하여 기본적인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 법에서는 연구활동종사자를 위한 안전교육의 종류 및 시기, 교육내용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고, 연구실 정기안전교육 이행여부는 98.8%로 대단히 높은 실시율을 보였다. 하지만 정기안전교육이 대부분 온라인으로 진행하다보니, 이론위주의 교육과정으로 실습 교육과정의 부족, 1년에 2회 실시로 교육으로 한정된 교육과정으로 반복된 교육과정으로 인한 흥미저하, 대면교육시 활용 가능한 표준 교재의 내용의 빈약함 등으로 대학 연구실 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으며, 안전점검 후 개선 할 수 있는 연구활동종사자를 위한 안전교육과정이 없어 사고 예방에 한계가 있다. 이번 연구는 대학 연구실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연구활동종사자인 학생들의 연구실 안전인식과 대면 안전교육의 필요성을 조사하여 연구실 안전교육이 보다 실효성 있도록 나아갈 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고 사고발생이 높은 화학/화공분야, 바이오분야 6개 학과 소속 대학생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의 연구실 안전에 대한 인식은 대체적으로 높았으며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실 사고 중에서는 화학물질을 이용한 실험 중 초자기구등에 의한 베임이 20명, 찔림 5명, 기타(화상3명)으로 사고 유형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학년보다 신입생이, 남학생 보다 여학생이 사고가 더 많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안전인식이 높은 학생이 안전사고 경험이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체험 교육 훈련을 받은 학생이 받지 않은 학생에 비해 안전의식이 매우 높게 나타났고, 교육의 필요성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체험교육을 통해 대학생들의 안전의식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사고 예방을 위한 ‘다양한 사고 사례를 통해 사고원인 분석 및 대응’에 대한 교육 과정을 보다 쉽게 접근하기 위해 분류의 체계화와 세분화가 필요하다. 고학년과 저학년 학생에 대한 교육과정에 대한 분리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개발활동 전 시행하는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의 결과를 이론교육과 병행한 사고 대응 훈련을 시행해야 하며, 1주차 필수 항목으로 지정 운영해야 한다.

      • 부모 대상 영아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한수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4351

        아동은 성인에 비해 사고에 취약하다. 특히 영아는 빠른 성장발달과 많은 호기심으로 인해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고, 영아의 안전사고는 충분히 예방 가능하므로, 영아를 둔 부모에게 안전의 중요성과 사고 예방행동에 대해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6-18개월 영아의 부모를 위한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안전교육 프로그램은 건강신념모델을 기반으로 ADDIE 모형 의 5단계에 따라 개발되었다. 프로그램은 크게 소그룹 교육, 가정 안전환경 점검 및 피드백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영아기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낙상, 화상, 익수, 흡인, 중독, 질식, 베임, 타박상과 차량관련 안전사고, 영아 응급처치를 포함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중재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군은 개발된 안전교육 프로그램에 4주 동안 참여하였고, 대조군은 안전사고 예방지침이 담긴 유인물을 제공받았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영아 안전에 대한 지식, 영아 안전에 대한 신념(민감성, 심각성, 이익, 장애), 영아 안전에 대한 자기 효능감, 영아 안전사고 예방행동 실천, 최근 1개월 간 안전사고 발생을 통해 평가되었다. 실험군의 경우 프로그램 참여 전, 종료 직후와 종료 4주 후 자료를 수집하였고 대조군의 경우 4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일반화 추정 방정식으로 분석 하였다. 안전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던 실험군의 영아 부모는 프로그램 참여 후 안전 관련 유인물을 받았던 대조군에 비해 안전 지식 (p=.002), 안전 자기효능감(p=.008), 안전 실천(p<.001)이 증가 하고 지각된 장애가 감소하는(p=.015)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지각된 민감성, 심각성, 이익, 안전사고 발생률은 그룹과 시간에 따른 변화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프로그램은 영아 부모를 대상으로 한 안전교육 프로그램이 영아 부모의 안전관련 지식과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안전사고 예방행동에 대한 장애수준을 감소시켜, 안전사고 예방행동 실천에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6-18개월의 어린 아동을 둔 부모를 대상으로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평가한 새로운 시도였으며, 집단 중재와 개별 중재를 동시에 적용하여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안전교육 프로그램은 보건소, 병원, 산후조리원 등 영아 부모에게 접근가능성이 높은 시설 어디에서나 적용 가능하며, 아동의 사고 예방을 통한 건강증진에 이바지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who have infants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terms of safety knowledge, safety belief, safety self-efficacy, and safety practice. The Health Belief Model was appli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This program was also developed according to the 5 steps of the ADDIE model. The developed program consisted of 5 different education strategies including 2 small education groups (90 minutes), 2 home safety environment evaluation & feedback, home safety kit, handouts, and educational information.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a pre-post test study design was used, and 65 par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the experimental group (n=35), the safety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for 4 weeks, and mothers allocated to the control group (n=31) were given written material with content on infant safety guideline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arents’safety knowledge, safety belief (susceptibility, severity, benefit, barrier), safety self-efficacy, safety practice, and safety accident occurrence were measured by questionnaire. All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24.0 using the Generalized Equation Estimation adjusting for the infant's 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increased knowledge (p=.002), self-efficacy (p=.008), and practice (p<.00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a decreased perceived barrier (p=.01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improvement of perceived susceptibility, severity, and benefit. On the other hand, the infant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had a score of 4.9 for program satisfaction out of 5. Additionally, about 83.85% of the safety plans that the par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made were put into action when the program ended. This study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a safety accident prevention program implemented at any place nurses meet infants and parents. Th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njury prevention studies on infants in Korea.

      • 초등학교 안전교육 실태와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석혜민 서울시립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34351

        우리나라의 아동사망요인 중 가장 큰 원인이 각종 사고로 인한 것으로 나타나 어린이의 사고위험을 줄이기 위한 안전교육의 중요성이 뚜렷하게 부각되고 있음에도 외국에 비해 안전교육과정 내용을 매우 소홀히 다루고 있거나 현시대에 맞는 안전교재도 제대로 갖추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외 초등학교의 안전교육 과정과 각종 안전교재를 비교·분석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어린이들의 안전사고를 줄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리나라와 미국, 영국, 일본의 안전교육 교육과정과 교과내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초등학생용 각종 안전교재를 비교·분석하여 문제점을 진단하여, 앞으로의 안전교재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와 미국, 영국, 일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 안전교육 및 교과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안전교육 내용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안전교육은 각종 사고에 대해 여러 교과서에 조금씩 분산하지 말고 하나의 교과로 통합하여 다루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본다. 둘째, 안전교육 내용이 교과 교육 속에 체계적으로 편성되어 있지 않아 실질적으로 지도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므로, 교과과정의 변화가 요구된다. 셋째, 현재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안전교육 내용은 너무 단조롭고 재미가 없으므로, 학습자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 다루어지는 안전교육 내용에 현 시대의 사회적인 문제를 다루어야 한다. 다섯째, 학교에서 안전교육을 실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학습 자료가 부족하므로 안전사고와 관계가 깊은 기관이나 단체에서 자료를 개발하여 학교에 적극 보급해야 한다. 또한 안전교육과 관련하여 사용하는 초등학생용 안전교재를 우리나라, 미국, 영국, 일본 각 국가별로 비교하여 우리나라 초등학생용 안전교재를 분석한 결과 나타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해발생 과정에 대한 교육 의도가 나타나지 않는 등 사고 및 재난의 본질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둘째, 사고에 대한 단편적 통계와 이론을 획일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셋째, 사고 사실을 계몽 위주의 학습배경으로만 활용하고 있다. 넷째, 단순한 훈련 매뉴얼 방식의 구성이 대부분이었으며, 안전관련 기술에 대한 이해 및 운용 학습이 취약하였다. 다섯째, 금지 용어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학습자에게 정서적 거부감을 주어 학습자의 능동적이고 주도적인 학습 효과를 획득하기 어려웠다. 여섯째, 안전확보를 위한 공동체 사회망 형성이 곤란하고, 디지털 시대에 맞는 네트워크 활용방안 제시가 없어 자발적 정보획득 학습이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어린이 사고를 줄이기 위한 현 시대에 맞는 안전교재 개선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 결과들로 볼 때, 초등학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학생들이 안전한 행동을 습관화 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적절한 안전교육과정과 안전교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교육현장에서는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학교안전이 체계적으로 실시되도록 해야 하고, 가정과 지역사회에서는 안전교육 중요성에 대한 관심을 갖으며, 국가적으로는 안전 홍보등의 프로그램을 개발하도록 하여, 학생들의 자발적 안전학습을 통해 안전사고 예방교육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Recently, children's deaths are found to be mostly caused by various accidents in Korea. But it is in reality that the safety training are very roughly conducted, and even contemporarily appropriate training materials are not sufficiently furnished contrary to the increasing significance of the safety training to reduce the children's accidental risks.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the safety training courses of domestic and overseas elementary schools and various safety training materials. This study is purposed ultimately to reduce the accidental risk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suggesting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This study is firstly to determine the problems in safety training courses and materials in Korea, USA, UK and Japan and to compare the safety training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 view to identify the substantial problems. Then,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of safety materials are to be presented.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the safety trainings and materials at schools in Korea, USA, UK and Japan are as follows. Firstly, it will be more efficient if the safety training currently dispersed into several accident-related subjects should be integrated into one independent subject at elementary school. Secondly, the training courses should be restructured for more practical instructions as the contexts of the safety training textbooks are not consistent. Thirdly, the safety training materials are too monotonous. So they should be improved in the way of motivating the learners. Fourthly, the safety training materials are far from reality. The current social issues should be updated in the materials. Finally, the supplementary materials to help the safety training at school are lacking. The accident-related institutions or societies should assume the responsibility for the material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to the schools. The following problems are found from the comparison of each country's safety training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USA, UK and Japan. Firstly, training objectives in regard to the process of accident outbreak are not distinctive, and the natures of accident and disaster are not sufficiently explained. Secondly, fragmentary statistics and theories on accidents are uniformly described. Thirdly, the accidental cases are used only for educational backgrounds. Fourthly, simple training manuals are mostly used, and understanding and training the safety-related technology are short. Fifthly, forbidding terms are repeatedly used to give an emotional refusal to the learners, which diminishes positive effectiveness. Finally, it is hard to make a social network of communities to ensure the safety, and no web-based presentations to meet the digital times make the learners' spontaneous information search hard.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s of the safety training materials' improvement to settl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and to cope with the contemporary needs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children's accidents. It is concluded in this study that more appropriate safety training courses and materials should be provided to train the students to habituate their safe behaviors with a view to protect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gainst the accidents. In addition, the safety training should be conducted consistently by reflecting the students' characters, and the pertinent train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students' spontaneous learning and for more practical preventive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