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쇠얀 키에르케고어 (Søren Kierkegaard)의 실존 개념에 대한 신학적 연구

        최정성 한세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쇠얀 키에르케고어의 저작인 『공포와 전율』과 『죽음에 이르는 병』을 중심으로 그 속에 나타나는 신앙 실존의 개념을 연구하는 것이다. 기존의 키에르케고어의 실존 개념에 대한 해석은 철학적 영역에 머물러 있었다. 또한 실존이라는 기호는 그동안 철학적 의미로 해석되어온 경향이 강했다. 그러나 키에르케고어의 실존에 대한 통찰은 철학적 개념이 아닌 신학적 개념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을 때 키에르케고어의 실존 개념에 대한 오개념(誤槪念)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진행되었다. 실존주의 철학자들과 키에르케고어의 철학적 해석자들은 키에르케고어의 실존 개념에서 하나님을 소거함으로 그를 우울한 철학자로 만들어 버렸다. 현대 실존주의도 주체를 고아, 던져진 존재 등과 같이 우울한 존재로 여기게 된 것은 인간 실존의 문제에서 하나님을 소거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키에르케고어의 실존의 개념은 주체를 우울한 현실에서 탈주하여 주체의 본질인 위대한 존재성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현대 실존주의자들과 철학적 해설자들은 이 부분에서 완전한 오개념을 만들었다. 또한 실존주의는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한 철학적 사조로 분류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키에르케고어의 인식적 방법론과 함께 그가 설명한 ‘자기(自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극복하고 실존적 공동체로의 방향성을 모색한다. 본 연구의 중심 사유는 키에르케고어를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그동안의 연구들의 성과를 무시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키에르케고어가 주장한 독특한 인식체계인 ‘진리의 주관성’에 기반 하여, 통속적 해석을 지양(止揚)하고 주관성을 기반으로 하여 징후적 독해(徵候的 讀解, Symptomatic reading)를 바탕으로 『공포와 전율』그리고『죽음에 이르는 병』의 실존개념을 연구 했다. 본 연구는 첫째, 철학적 실존주의 그 자체가, 키에르케고어가 비판한 “절망하여 자기 자신이려고 하는 절망”이라는 것을 밝힘으로 실존에 대한 철학적 해석의 한계지점을 밝힌다. 둘째, 키에르케고어의 실존주의가 개인주의적 경향의 사조라는 오해에 대해 키에르케고어의 ‘자기’ 이해를 바탕으로 정면으로 반박하며, 공동체적 실존을 밝힌다. 이러한 연구는 인간의 주체성에 대한 신학적 연구의 타당성을 굳건히 하며, 교회 공동체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어 줄 것이라 기대한다.

      • 실존적 교육을 위한 시적 사유의 교육적 재음미

        김경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근대 공교육으로부터 계승되어온 현대 학교교육이 가지는 한계를 전망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안하기 위한 의도로 기획되었다. 근대 교육관은 합리적 교육내용과 집단적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교육내용으로서의 합리성의 강조는 합리적 지식이 가지는 보편타당성에 의해 언제 어디에서나 통용될 수 있다는 믿음을 전제로 하며, 명확한 준거를 가지고 분석하는 방식의 교육방법을 채택한다. 이는 상당히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교과지식들을 습득하는 데 용이하지만, 교육내용을 추상화하여 교육이 개인의 삶과 연결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교육과 삶을 분리하여 배움이 서열, 학점, 등급 등의 숫자로서만 역할하게 되는 현상을 낳는 현대사회의 모순을 초래한다. 또한, 집단적 구조로 운영되는 학교교육 시스템은 소수의 교사가 다수의 학생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통제하기에 적합한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노동자를 일괄적으로 양산하기 위함을 공교육의 목표로 두던 근대 교육의 모습이 그대로 전해져 내려온 것일 뿐, 그 교육적 효과에는 제고가 필요하다. 다수의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일환으로 운용되는 규율문화는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자유와 책임을 외부에 위임하게 한다. 그러한 문화 속에서 자기 자신을 잃은 아이들이 타자에 대한 바른 인식을 배울 길은 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현상을 두고 각각을 ‘자기없음’과 ‘타자없음’이라 정의하고자 한다. 이와 대립되는 ‘자기있음’과 ‘타자있음’의 모습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실존주의적 개념이 필요하다. 실존이라는 것은 인간이 스스로를 만들어나가는 주체성을 인간의 본질로 보는 개념이다. 외부로부터 강요받거나, 겉치레에 불과한 치장에 얽매여 휘둘리듯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으로 사는 것을 말한다. 타자 역시 타자 자신으로 살게 하는 것이 바로 실존적 대인對人이다. 따라서 필자는 앞서 제시한 현대교육이 가지는 ‘자기없음’과 ‘타자없음’의 부작용을 극복하고자 실존적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현대 학교교육이 초래하는 실존의 부재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Martin Heidegger의 ‘시적 사유’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그는 모더니즘의 합리적이고 분석적인 사고방식에 편중된 당대의 사회모습을 비판하면서, 실존적 사유를 통해 자연의 본질을 회복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사유가 시적詩的 방식으로 운용되어야 세계의 본질에 가까이 갈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언어라는 것은 곧 그 이름을 붙인 외부세계의 관념을 반영하기 때문에, 구체적이고 명확한 언어일수록 본질과는 거리가 멀며 시와 같은 예술적 방식으로 마주해야 사유하고자 하는 대상이 본질을 드러낼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이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Michael Bonnett이 시적 사유에 관해 정리한 『Children’s Thinking』을 ‘자기있음’과 ‘타자있음’의 측면에서 살펴볼 것이다. 본고에서는 시적 사유의 속성을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한다. 첫째는 ‘자기없음’을 극복하고 자아의 주체성을 실현할 수 있는 책임적 사유이다. 둘째는 세계에 대한 사랑과 존중을 바탕으로 하는 공감적 사유로 그 특징을 말할 수 있다. Bonnett은 합리주의자들의 여러 우려에도 불구하고, 성인은 물론이고 아동의 사유에서조차 실존적 측면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하며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필자는 그의 논의를 토대로 하여 실존적 교육이 우리 교육현장에 가지는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Heidegger가 직접 강연한 강의록을 엮어 출판한 『What is Thinking?』을 근거로 하여, 시적 사유의 속성을 보다 분명하게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우리가 교육을 실천할 때, 어떠한 것을 준거로 두고 실존적 교육을 하고 있는지 성찰하는 것에 도움을 줄 것이다. 필자는 시적 사유의 속성을 크게 네 가지로 보고 있다. 첫 번째는 존재 자체의 본질에 가까이 가고자 하는 ‘존재에 대한 사유’이며, 두 번째는 고정된 목적지나 결과를 지향하는 방식이 아니라 끊임없이 순환하고 회귀하는 길 위에 있는 방식으로서의 ‘과정적 사유’이다. 이 두 가지는 모두 내용적 측면에서의 ‘자기있음’에 대한 구체적 속성이 된다. 이어서 세 번째 속성은 사유하고자 하는 대상과의 진실된 연결을 통해 만나는 ‘대화적 사유’이다. 네 번째로 사유가 관념적 행위에서 그치는 정적인 활동이라는 오해에 대해 해명할 수 있는 ‘행위의 사유’가 있다. 셋째와 넷째 속성은 실천적 측면에서의 ‘타자있음’을 설명해주는 단초가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 우리는 실존이 부재한 학교교육의 문제점을 알고, 현재의 학교현장에서 실존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알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실존적 교육을 위해 시적 사유가 어떠한 의의를 가지는지 파악하여, 실제 학교교육에서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필자는 교육이 사회를 바꾸는 첫걸음이 될 수 있다는 신념을 기반으로 하여, 더 나은 모습의 세상이 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시적 사유를 제안한다. 다만, 시적 사유라는 것을 특정한 교육방법론으로 보아서는 안 된다. 우리가 주목해야할 것은 시를 통해 실존적 교육을 해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실존적 교육을 시를 통해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어디까지나 교육의 방향성은 실존으로 향함에 있으며, Heidegger의 시적 사유는 그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방편으로 제안된 것임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따라서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는 교육현장에 실존적 문화가 뿌리내릴 수 있도록 기초를 닦는 것에 있다. 세계의 모든 존재가 실존한다는 것, 즉 자기 자신으로 존재하여 살아간다는 것은 누구하나 자신을 부정당하거나 자기를 훼손하지 않는 일일 것이요, 자신 역시 타자를 부정하며 상처내지 않을 수 있는 사랑의 세계라는 것을 말한다. 어떤 이의 눈에는 이러한 논의가 허무맹랑하고 이상적인 희망에 불과할 수 있겠지만, 교육이라는 것은 본래 희망적인 것이다. 교육의 희망적 본질을 잊지 않고 실존적 삶을 향해 나아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with the intention of predicting the limitations of modern school education, which has been inherited from modern public education, and suggesting alternatives. The modern view of education is characterized by rational educational content and collective structure. The emphasis on rationality as an educational content presupposes the belief that rational knowledge can be used anytime and anywhere due to its universal validity, and adopts an educational method that analyzes with clear criteria. Although it is easy to acquire fairly specific and detailed subject knowledge, it can prevent education from being connected with an individual’s life by abstracting the educational content. As a result, it creates a contradiction in modern society that separates education and life, resulting in a phenomenon in which learning only serves as a number such as rank, grade, rating, etc. In addition, the school education system operated in a collective structure is suitable for a small number of teachers to efficiently manage and control a large number of students. However, this method is just the handed down of modern education, which aimed to mass-produce workers as the goal of public education, and its educational effect needs to be improved. Discipline culture operated as part of effective management of a large number of students allows students to delegate their freedom and responsibilities to the outside. In such a culture, there is no way for children who have lost themselves to learn the correct perception of others. This study intends to define these two phenomena as “selflessness” and “No-otherness”, respectively. An existentialist concept is needed to examine the contrasting aspects of “being self” and “being other”. Existence is a concept that sees the subjectivity of human beings as the essence of human beings. It means living on your own, rather than being forced from the outside or being swayed by mere appearances. It is the existential interpersonal act that makes the other also live as the other himself. Therefore, the author proposes the necessity of existential education to overcome the side effects of “selflessness” and “No-otherness” of modern education presented above. More specifically, I would like to explore Martin Heidegger’s “poetic thinking” as a way to resolve the absence of existence caused by modern schooling. He criticized the appearance of society at the time, which was biased towards the rational and analytical way of thinking of modernism, and argued that the essence of nature should be restored through existential thinking. And he thought that thinking could be approached to the essence of the world only if it was operated in a poetic way. Since language reflects the conception of the external world to which it was named, the more specific and clear language it is, the farther it is from its essence, and it is believed that the object to be thought of can reveal its essence only when confronted in an artistic way such as poetry. To explore this in depth, we will examine 『Children’s Thinking』, which Michael Bonnett summarizes on poetic thinking, in terms of “being self” and “being other”. In this paper, the attributes of poetic thought are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The first is responsible thinking that can overcome “selflessness” and realize the subjectivity of the self. Second, it can be characterized as empathic thinking based on love and respect for the world. Bonnett argues that the existential aspect is essential in the thinking of children as well as adults, despite the concerns of rationalists, and suggests a way to put it into practice. Therefore, I would like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existential education in our educational field based on his discussion. Lastly, based on 『What is Thinking?』, which is a compilation of lecture notes delivered by Heidegger, I would like to understand the nature of poetic thinking more clearly. This will help us to reflect on what kind of existential education we are using as a reference when we practice education. I view the attributes of poetic thought in four major ways. The first is ‘thinking about being’, which seeks to get closer to the essence of existence itself, and the second is ‘thinking as process’ as a method that is on the path of constant circulation and return, rather than a method oriented toward a fixed destination or result. Both of these are concrete attributes of “being self” in terms of content. Next, the third attribute is ‘conversational thinking’, which is met through a sincere connection with the object to be thought. Fourth, there is ‘thinking of action’ that can explain the misunderstanding that thinking is a static activity that ceases to be an ideal action. The third and fourth attributes will be the starting point for explaining the “being other” in the practical aspect.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an know the problems of school education in which existence is absent, and how to achieve existence in the current school field. The important thing i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poetic thinking for existential education and to be able to put it into practice in school education. Based on the belief that education can be the first step to change society, I propose poetic thinking as one of the ways to make the world a better place. However, poetic thinking should not be viewed as a specific educational methodology. What we need to pay attention to is not that we should do existential education through poetry, but that we can do existential education through poetry. It should not be forgotten that the direction of education is towards existence, and Heidegger’s poetic thinking was proposed as a means in that way. Therefore, the task given to us is to lay the foundation for an existential culture to take root in the educational field. It means that all beings in the world exist, that is, that to exist and live as oneself means that no one will be denied or harmed oneself, and that it is a world of love in which oneself can also deny others and not hurt them. In the eyes of some, such a discussion may be futile and an ideal hope, but education is inherently hopeful. We look forward to moving towards an existential life without forgetting the hopeful essence of education.

      • 슐츠의 실존적 공간론을 기반으로 한 현대건축 실내공간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박형진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807

        실존적 관점에서 현대의 도시적 환경은 건축의 장소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따라서 현대건축의 실존적 장소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도시적 환경의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슐츠는 장소론을 통해 주변세계의 의미를 폭넓게 해석함으로써 현대건축의 배경으로서 도시경관의 복합적인 의미의 해석을 가능케 하였다. 또한 주변세계의 총체적인 의미가 실존적 공간구조의 정위와 정체성으로 현시되는 것으로 봄으로써 다소 사변적인 건축의 실존성을 보다 합리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슐츠의 장소론에 나타나는 실존적 공간론을 토대로 도시적 환경을 배경으로 한 현대건축의 장소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슐츠의 실존적 공간론에 나타나는 주변세계의 의미와 그것을 반영하는 실존적 공간의 구조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슐츠의 장소론에서 주변세계는 실존적 건축의 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건축은 존재적 의미에서 ‘주변세계’와 필연적인 관계를 맺는다. 실존적 공간은 인간과 환경 사이에서 형성된 안정된 쉐마, 환경의 이미지를 의미한다. 그는 하이데거의 ‘4중의 개념’을 토대로 주변세계를 사물, 질서, 성격, 빛 등으로 범주화하였다. 주변세계는 하늘과 대지의 자연적 경관과 인간과 정신의 인문적 경관의 총체적 의미를 지닌 것이다. 또한 그는 하이데거의 ‘사물’과 ‘모임’의 개념을 토대로 주변세계의 총체적 의미가 실존적 공간구조의 정위와 정체성으로 구체화되는 것으로 보았다. 요컨대 실존적 건축의 장소는 정위와 정체성을 통해 주변세계를 모으고 반영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며, 그는 정위와 정체성을 통해 구체적인 건축의 장소를 파악하였다. 정위는 실존적 공간의 공간적 측면이다. 정위는 주변세계를 내부적으로 구조화함으로써 실존을 구체화한다. 실존적 공간의 정위는 중심, 축, 영역의 기하학적 공간 요소를 통해 주변 자연환경의 공간적 구조를 반영한다. 또한 건축물의 경계면으로서 벽체와 개구부는 건축의 정위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정체성은 실존적 공간의 구체적인 성격, 분위기 등을 의미한다. 실존적 건축의 정체성은 주변세계의 하늘과 대지, 인간과 정신의 총체성을 반영하여 현상을 모으고 실현하는 것이다. 건물은 기초, 지붕, 모서리, 개구부 등의 기본적인 의장적인 요소를 통해 자연적, 인문적 환경의 의미를 반영함으로써 실존성을 획득한다. 특히 실내공간의 정체성은 인간의 목적(건축물의 용도)과 관련된 인문적 요인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슐츠의 장소론에 나타나는 주변세계의 의미와 실존적 공간의 구조를 토대로 현대건축의 정위와 정체성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주요 관점 및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방법 및 범위 : 슐츠는 실존적 공간의 주변세계를 자연적, 인문적 요인의 총체적인 의미로 해석하였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실존적 공간의 배경으로서 도시의 근본적인 특성, 생성원리 등과 인문적 경관을 위주로 고찰하였다. 특히, 현대건축의 실내공간에 나타나는 비선형적 조형어휘, 유동적인 공간의 특성, 모호한 경계의 형성 등은 도시 하부조직의 복합성, 불확정적 특성 등과 많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대경관의 복합적 의미가 실존적 건축의 장소적 특성에 끼치는 영향을 실내공간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슐츠는 중심, 축, 영역의 다소 기하학적인 공간 구조를 통해 자연환경을 반영하는 것으로 건물의 정위를 파악하였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총체적 경관의 의미가 다소 복합적인 공간 구조를 통해 현시됨으로써 현대건축의 정위가 형성된다는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또한 슐츠는 건축물 내, 외부의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해 -주변세계의 총체적 의미를 반영하고 보충하는 개념에서- 의장적 측면으로 접근하였다. 반면에 현대건축의 내, 외부공간에는 전통적인 개념의 비례감이나 미적기준으로 판단할 수 없는 고유한 정체성이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정체성을 의장적 요소를 통해 파악하기 보다는 인문적 경관을 토대로 한 건축가의 프로그램의 해석이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 접근한다. 현대건축의 정위와 정체성의 특성 : 현대건축의 실존적 정위는 도시의 총체적인 경관을 반영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현대도시의 근본적 특성, 생성 원리, 경관이 지니는 사회적, 개인적인 복합적 의미가 건축의 실존성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관을 반영한 내부지향적인 공간 구조와 외피 경계면의 다양한 표현 특성 등은 정위에 영향을 끼친다. 전자와 관련하여 현대건축은 총체적 경관에 의한 내부적 계기성에 의해 외부와 단절된 공간구조의 특성이 나타나며, 그 결과로서 내부적으로 완결된 정위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경향의 건축물의 실내공간에 나타나는 유동성, 다중심적 공간구조, 통로의 비선형화, 탈영영화 등의 특성은 현대경관의 복합적 의미를 수용함으로써 실존성을 획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자와 관련하여 현대건축의 경계면에 나타나는 다양한 전이적 공간, 랜드스케이프적 특성, 투명한 외피를 통한 내, 외부공간의 물리적, 의미적 연결 구조 등은 건축물의 실존적 정위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건축물의 내, 외부공간에 나타나는 정체성은 도시의 물리적 경관에 절대적으로 의존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관의 복합적 의미는 의장적인 측면으로는 이해하기 힘든 장소적 정체성의 동인(動因)이 되고 있다. 건축물의 외부형상은 감정이입에 의한 상징성을 통해 실존적 의미를 드러내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경관을 반영한 실내공간의 정체성은 투명한 외피를 통해 외부 형상의 정체성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내부공간의 각 영역의 불분명함과 모호한 분위기, 의사 도시적 경관 등은 총체적인 경관을 반영하고 내, 외부공간을 의미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정위뿐만 아니라 정체성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현대건축의 실내공간의 정체성은 체험자의 현상학적 경험을 통해 완성됨으로써 실존성을 획득하게 된다. 현대건축의 정위와 정체성에 나타난 실존적 특성을 토대로 렘 콜하스, 다니엘 리베스킨트, 도요 이토, 스티븐 홀의 10개의 건축을 사례로 선정하여 실내공간의 장소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콜 하스의 경우 도시관과 관련된 프로그램의 해석이 건축 실내공간의 장소성에 절대적 영향을 끼치고 있다. 쥬시 도서관으로 대표되는 콜하스 건축의 실내공간에 나타나는 유동적 공간, 탈영역적 공간 구조는 작가의 도시관을 반영한 것으로 정위와 정체성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리베스킨트의 건축에는 현대경관의 사회적, 역사적 의미와 개인의 기억 등의 복합적 의미를 반영한 실존적 장소성이 나타났다. 건축물 내, 외부공간의 파편적, 탈정형적인 조형어휘는 경관의 가시적, 비가시적인 의미를 부각시킴으로써 내, 외부공간을 얽어매는 장소적 특성을 창출하고 있다. 이토의 센다이 미디어테크는 작가의 도시관과 인문적 경관을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의 해석이 건축의 장소적 특성을 결정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도시관을 바탕으로 한 내, 외부공간의 소통의 개념과 건축물의 용도와 관련한 공공건물이 지향해야할 개방성의 개념 등이 건축물 내, 외부공간의 정위와 정체성을 형성함으로써 장소를 형성하고 있다. 홀은 대지와 주변 환경의 물리적 경관을 중요시할 뿐만 아니라 인문적 배경을 토대로 한 작가의 개념을 통해 건축의 장소를 창출하고 있다. 무엇보다 그의 건축공간에는 시점에 따른 공간의 변화와 현상학적인 요소들의 결합을 통해 공감각적인 장소적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슐츠가 실내공간의 현상학적인 체험을 통한 통합적인 장소성을 강조한 것과 일치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슐츠는 주변세계의 ‘장소의 혼’을 총체적인 의미로 해석함으로써 현대경관의 복합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였다. 또한 실존적 공간의 구조(정위, 정체성)를 통해 건축의 실존적 장소를 파악함으로써 현상학적인 실존적 장소를 합리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2. 슐츠의 실존적 공간론에서 정위는 쉐마의 공간적 측면으로서 주변세계를 중심, 축, 영역 등의 기하학적 요소를 통해 내부적으로 구조화함으로써 실존을 구체화한 것이다. 정체성은 주변세계의 총체적 의미를 모으고 구체화함으로써 획득되며, 이는 건축물의 외부형상과 실내공간의 분위기를 통해 현시된다. 3. 현대건축의 실존적 장소는 물리적 경관보다는 인문적 경관 및 도시성을 토대로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슐츠가 실존적 공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언급한 사회문화적 요인, 인간의 목적 등과 관련된 ‘변주’적 요인이 현대건축에서는 ‘주제’의 역할을 하게 된다. 4. 연구사례의 현대건축에는 총체적 경관을 반영한 내부지향적 정위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 외부 경계면의 외피의 다양한 건축적 특성을 통해 유기적인 정위가 형성된다. 내, 외부공간의 정체성은 주변의 물리적 경관에 의존하지 않으며, 인문적 경관을 반영한 감정이입적인 특성이 나타났다. 이는 이전에 볼 수 없었던 외부형상, 내부적 분위기로서 현상학적 체험을 통해 획득된다. 5. 인문적 경관을 바탕으로 한 건축가의 프로그램의 해석이 현대건축의 실존성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대건축의 실존적 장소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 표현적 특성과 함께 장소형성의 동인으로서 건축 프로그램의 해석 과정을 고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슐츠의 실존적 공간론은 주변세계와의 관계를 통해 건축을 이해함으로써 현대의 도시적 환경을 바탕으로 한 건축의 실존적 장소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슐츠의 이론을 토대로 현대의 경관과 건축의 실존적 관계를 고찰한 결과, 현대경관의 복합적인 의미는 건축가의 프로그램의 해석을 토대로 현대건축 실내공간의 장소성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성과를 토대로 현대건축의 실존적 장소에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동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존적 배경으로서 경관뿐만 아니라 건축의 장소형성에 관여하는 복합적 요인들 간의 상호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현대건축의 장소적 특성을 더욱 명확히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From an existential perspective, the contemporary urban environment has an impact on the place of architecture in many ways. That is, contemporary architecture is influenced by a contemporary cityscape with complex meaning much more than in the past. As Schultz broadly understands, with his place theory, the meaning of the surroundings, he permits to analyze the complex meaning of a cityscape as the background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Add to that, he presents a methodology to rationally comprehend the placenes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grasping that the whole meaning of the surroundings shows the orientation and the identity of the structure of existential space. With the existential space theory in Schultz's place theory, the study examines a characteristic of the plac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based on urban environment. At the outset, it studies the meaning of surroundings in Schultz's place theory and of the structure character of existential space. Architecture is inevitably connected with the surroundings in existential meaning. Existential space means the image of surroundings, stabilized 'schema' formed between a human being and environment. In this point, the surroundings as the background for existential space have a significance on forming the place of construction. Rooted in Heidegger's 'The concept of fourfold', Schultz grasps the surroundings, dividing them into each category of an object, order, a feature, light and others. The surroundings have the whole meaning of natural and human landscape. Schultz sees that the surroundings as the whole meaning are embodied in existential space by the concepts of Heidegger's 'object' and 'gathering'. In short, the place of architecture converges and reflects the surroundings through orientation and identity, forming the structure of existential space. Orientation is the spatial side of existential space. It forms existence by structurizing the surroundings internally. By Schultz's account, the orientation in existential space shows spatial structure of the surroundings through the parts of geometrical realm like the center and an axis. With the process of forming the orientation in existential space, a wall and an opening work an important role as a boundary of a construction. Identity is the character and atmosphere of existential space. Schultz says the identity presents and actualizes all of natural and human things. With a basic decorative part like a roof, an angle, an opening and others, the identity of architecture acquires the existence by reflecting the meaning of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 The identity of internal space is particularly influenced by a human factor associated with the use of a construction. Given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urban environment, this study is to present an analytic method of the plac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with reinterpreting the meaning of surroundings and the structure of existential space in Schultz's place theory. The main point and findings in the study are as follow. method and scope of the study : Schultz describes the surroundings of existential space as the whole meaning of natural and human factors. Whereas this paper centers around urban fundamental characters and human landscape in urban environment. The complexity and indeterminacy of urban infrastructure are closely correlated with the features of nonlinear shape, liquid space and obscure boundary of internal space in modern architecture. This study, hereby, deals with the complex meaning of urban environment having an impact on what happens to a characteristic of the place of existential architecture, focused on internal space. On the basis of Schultz's existential theory, the study demonstrates a character of plac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taking a look at orientation and identity of construction. By Schultz's account, orientation in existential space shows spatial structure of the surroundings through the parts of geometrical realm like the center and an axis. In the other hand, this article seizes orientation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with the whole meaning of landscape appeared from the structure of complex space. What is more, Schultz reveals the whole meaning of the surroundings for seeing internal and external identity of construction, and he comprehends the identity with the approach of decorative side. In internal and external spac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there is its own identity that's incomprehensible with traditional ratio and an aesthetic standard. Therefore, the study sees identity of the place more with architects' program, less with decorative factors. This study considers this identity of place with the basis of the interpreting an architect's program related human landscape, rather than with decorative factors. the characters of orientation and identity in modern architecture : The existential orientation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is formed by reflecting the entire cityscapes. The social and complex meaning of contemporary cities have an impact on the existence of architecture. As a result, there are two kinds of features in modern architecture. One is inside-oriented structure of space and the other is a boundary of the exterior. Orientation is influenced by the inside-oriented structure of space and a boundary of the exterior. In the former, contemporary architecture has completed orientation cutting from the outside. Related with the later, existential orientation is influenced by various transpositional space, a boundary, landscaped characteristic, the structure of physical and meaningful connection through transparent cover. Identity shown in internal space and external shape of construction is related with other things as well as urban physical landscape. The complex meaning of contemporary landscape is an important agent of place identity. The external shape of construction tends to reveal existential meaning with symbolization by having empathy. Additionally, the identity of internal space reflecting landscape has an impact on the identity of external shape through transparent cover. Internal space is not clearly separated and that creates an ambiguous atmosphere. As its atmosphere and urban landscape reflects the whole landscape and significantly links internal space to external shape, that influences on the identity as well the orientation. As completing a person's actual experience, the identity of internal space acquires existence. With that consideration of the existential character of contemporary architect, the study chooses ten examples of Rem Koolhaas, Daniel Libeskind, Toyo Ito and Steven Holl's buildings and deals with the character of existential place of internal space. For Koolhaas, the placeness of internal space of construction is under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interpretation of program associated with a view of urban. libraries for Jussieu is a model of Koolhaas' construction having the structure of liquid and unfixed space of internal space. That structure reflects an architect's view of urban and has an impact on orientation and identity. The complex meaning, that includes soci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and personal memory, gives existential placeness to Libeskind's construction. With fragmental and unfixed shape, the revealed and unrevealed meaning are outstanding, and they create the placeness binding up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a building. Ito‘s Sendai Media Tech is a model that architect's interpretation, based on his view of urban and human landscape, for a program forms a feature of the place. Based on a view of urban, the orientation and identity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 in a building are influenced by communicati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space, and openness of public buildings moving toward. Appeared in the place theory of traditional meaning, what matters to Holl is the concept of the place that the earth and surroundings have. Add to that, he originates the place of construction rooted in human background. For a start, his construction space has a synesthetic character of place through connection between spatial change and phenomenological factors by a point of view. That accords with an integrated character of place through Schultz's highlighting a phenomenological feature of internal space. The findings in the study are as follow. 1. With Schultz understanding, ‘Genius loci' of the surroundings is the whole meaning, and he imparts a basis to comprehend the complex meaning of contemporary landscape. What is more, he suggests a methodology to rationally grasp a phenomenological character by seeing existential place of orientation and identity. 2. In Schultz's theory of existential space, orientation is the spatial side of Schema, as structuralizing the surroundings internally with the parts of geometrical realm like the center and an axis, and is to embody existence. Identity is acquired by converging and embodying the whole meaning of the surroundings, it comes out through an external shape of a building and atmosphere of internal space. 3.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existential place is formed by human landscape and urbanism rather than physical landscape. By Schultz's account, a social and cultural factor and the purpose of people have an impact on existential space. In modern architect, a variation factor related with them is a 'subject' that influences on existence. 4. In the case of the study, inside-oriented orientation reflecting the whole landscape is formed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dd to that, organic orientation is created by various characteristics of a boundary of the exterior. Identity has empathy with human landscape, without urban physical landscape. An external shape and internal atmosphere appear and are acquired by a phenomenological experience. 5. On a basis of human landscape, it finds that an architect's interpretation of program significantly influences on the existence of modern architecture. Consequently, it is inevitable that considering the process analyzing program of construction, for understanding existential placenes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Schultz's existential space theory, he sees architecture understanding relation with the surroundings. With that, he suggests a useful point of view for comprehending existential placeness of architecture with the urban environment. Rooted in Schultz's theory, the study deals with existential relations between contemporary landscape and architecture. As a result, the complex meaning of contemporary cityscapes has an impact on the placeness of internal spac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Of particular point in this process, an architect's interpretation of program ha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existential plac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Us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needs that researching diverse causes having an impact on existential plac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As dealing with correlation among the complex factors that intervene place formation as well as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plac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can be more cleary examined.

      • 대학생의 실존적 공허 인식에 대한 차원과 범주

        김옥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삶의 의미와 삶의 가치 발견을 위해 극복되어야 할 실존적 공허가 어떤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경험적으로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실존적 공허의 차원은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실존적 공허의 범주와 그 중요도는 어떠한가를 탐색하여 실존적 공허의 개념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충북지역에 소재하는 2개 대학의 낮은 PIL 점수(92점 이하)와 높은 SONG 점수(79점 이상)를 보이는 사람으로 현재 실존적 공허를 경험하고 있으며, 인터뷰와 상담에 참여 신청을 한, 대학에 재학 중이거나 휴학 중인 대학생으로 20명을 선정했다. 핵심문장 산출을 통해 얻어진 진술문 통합 및 편집, 차원 명과 범주 명을 합의하기 위하여 4명의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였다. 20명의 연구 참여자들로부터 79개의 최종 진술문을 얻었으며, 이 중 18명의 연구 참여자에게 진술문을 유사성에 따라 분류하고, 최종 진술문이 실존적 공허를 경험하게 하는데 중요한가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유사성 분류자료를 바탕으로 다차원척도와 위계적 군집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2차원, 10개의 범주로 구성된 개념도가 도출되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나 스스로 실존 욕구 좌절-타인을 통한 나의 실존 욕구 좌절’ 차원과 ‘외부 장벽-내적 의미 실현 실패’ 차원, 2개의 차원으로 실존적 공허를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계적 군집분석 결과와 연구 참여자들이 선택한 범주의 수 및 다차원 척도분석 결과로써 지도상의 진술문들의 분포를 고려하였을 때, 실존적 공허 인식 요인은 10개의 범주로 구분되었다. 79개 진술문은 범주1) 바람은 있으나 이루지 못함(4문항), 범주2) 중요한 영향을 주지 못함(4문항), 범주3) 세상에서 그저 흔한 사람이라고 느낌(10문항), 범주4) 가치있는 삶을 살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16문항), 범주5) 사람들 사이에서 내 자신이 의미없는 존재라고 느낌(9문항), 범주6) 남에게 맞추려고 나를 돌보지 않음(4문항), 범주7) 앞으로의 진로가 불투명함(5문항), 범주8)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부족한 모습(9문항), 범주9) 지금하고 있는 일이 무의미함(7문항), 범주10) 어려운 상황에 벽을 느낌(11문항)으로 범주화 되었다. 또한 각 진술문들이 실존적 공허를 경험하게 하는데 얼마나 중요한가를 알아본 결과 10개의 범주의 평균은 3.54로 모두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범주별로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면, 범주1) 바람은 있으나 이루지 못함(M=3.90), 범주2) 중요한 영향을 주지 못함(M=3.78), 범주3) 세상에서 그저 흔한 사람(M=3.72), 범주4) 가치 있는 삶을 살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M=3.71) 등이었고, 반면 범주8)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자신의 부족함(M=3.30), 범주9) 지금하고 있는 일이 무의미함(M=3.29), 범주10) 어려운 상황에 벽을 느낌(M=3.15) 등은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이론과 연구들을 통해 보고되어 온 실존적 공허를 질적인 방법과 양적인 방법을 함께 사용하는 개념도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실존적 공허를 경험하는 대학생들이 실존적 공허의 개념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 경험적으로 확인한 데 그 의의가 있다. 이 결과는 실존적 공허의 모호한 개념을 상담자들에게 경험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실존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내담자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실존과 관련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의 초기 구성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개념도로 확인된 실존적 공허의 범주를 활용하여 집단 상담 프로그램 내 회기 별 활동을 구조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중요도가 높은 진술문들을 활용하여 실존적 위기로 인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위한 요구조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더불어 개념도 연구의 범주 및 중요 진술문은 실존적 공허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실존적 읽기 지도 방법 연구

        최지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독자가 텍스트 존재 의미를 밝혀 자아를 이해하고 삶의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는 읽기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하이데거(Martin Heidegger)는 기존의 순수의식을 탐구하는 형이상학을 비판하고 대상과의 관계를 통해 우리의 의식이 드러날 수 있음을 강조한다. 하이데거는 존재자에 대한 탐구를 통하여 존재를 인식함으로써 개인이 현존재가 된다고 본다. 존재는 존재자의 본질적 특성으로 현존재가 밝힘으로써 드러나게 된다. 이것을 텍스트 읽기와 연결하면, 텍스트 존재 의미를 독자가 밝혀냄으로써 독자의 존재(가치)가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실존적 읽기 교육에서는 학습자가 텍스트와 존재 의미를 공속함으로써 자기 이해를 하고, 이를 존재 가능성으로 밝혀 가치를 삶 속에서 실현하게 한다. 이에 따라 실존적 읽기 수업에서 교사는 학습자가 존재 의미를 밝혀 삶 속에서 존재 의미인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Ⅱ장에서는 하이데거의 존재론의 토대가 되는 존재자와 현존재의 개념을 고찰한다. 또한, 하이데거의 관점에서 텍스트 존재자와 독자 현존재의 개념을 정립한다. 끝으로 실존적 읽기의 특성과 과정을 논의하여 실존적 읽기의 의의를 밝힌다. Ⅲ장에서는 실존적 읽기 지도를 위한 원리로 발현성의 원리, 공속성의 원리, 자각성의 원리, 기투성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이 원리들은 하이데거의 현존재에 대한 논의에 기초하여 학습자가 독자 현존재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존재 지각하기-존재 공속하기-존재 밝히기-존재 실행하기’의 실존적 읽기 지도 모형을 구안하였다. 모형의 각 단계에서는 학습자의 활동을 제시하고 각 활동을 위한 교사의 지도 전략을 마련하여 구체적인 지도 계획을 수립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자가 초등학교 4학년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3편의 텍스트를 선정하여 6차시의 실존적 읽기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의 활동지에 나타난 반응과 교사의 관찰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존적 읽기를 통해 학습자가 자기 이해 및 가치 실현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삶과 직접 연결 짓지 못하는 현행 읽기 교육 방식에서 벗어나 학습자가 가치를 삶 속에서 실현해 자기 삶의 변화를 이끌도록 하고, 텍스트와 독자 모두를 강조함으로써 독자의 실제적인 변화를 이끄는 읽기를 가능하게 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읽기 교육에서 텍스트를 통한 독자의 삶의 연결을 독려하고 실존적 읽기와 관련된 다양한 읽기 교육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 실존철학상담을 위한 장주(莊周)의 ‘우화’ 활용 연구 : 장주(莊周)의 ‘내편(內篇)’을 중심으로

        김정미 명지대학교 통합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철학이 영혼의 질병을 몰아내지 않는다면, 아무 쓸모가 없다.” - 에피쿠로스 장주(莊周)는 중국 전국 시대 중기의 사상가이다. 장주의 사상을 집대성한 작품으로는 크게 「내편(內篇)」, 「외편(外便)」, 「잡편(雜篇)」이 있다. 필자는 이「내편(內篇)」의 우화(寓話)를 연구, 활용하여 실존철학상담에 적용하였다. ‘이야기하기’는 철학 상담에 매우 유용하다. 내담자의 정서적 몰입과 공감을 끌어내 줄 뿐 아니라, 상담사의 개입을 최소화함으로써 내담자가 자신이 처한 어려움을 좀 더 주도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돕기 때문이다. 또한, 마르코 야코보니(Marco Iacoboni)의 ‘거울 이론(mirror neurions)’ 기능을 철학 상담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이야기가 가지고 있는 ‘재미’는 상담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뿐만 아니라 내담자가 끈기 있게 상담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야기’ 중에서도 우화는 딴 사물에 빗대어 교훈적, 풍자적 내용을 엮은 것으로 철학적 함의를 담고 있다. 특히 장주의 우화는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도(道)를 시청각적 요소로 은유한 것이다. 동양 철학의 핵심적 요소 중 하나라 할 수 있는 ‘도(道)’를 마치 손에 잡힐 듯 형상화해 낸 것이 바로 장주의 우화이다. 이러한 장주의 우화는 삶의 깨달음을 위한 비유적 표현으로 실존철학상담을 도울 수 있다. 19세기 중엽 키르케고르(Kierkegaard)에 의해 주창된 실존주의는 ‘개인’을 중요하게 여기는 철학적 흐름이다. 개인의 단독성과 주체성, 자유, 선택을 중요하게 여기는 실존철학자들은 삶의 체험에서 갖게 되는 근원적 이해로 자기와 세계에 대해 분석하고 ‘실존’의 모습을 밝혔다. 이러한 실존주의 철학을 상담에 적극 도입한 것이 바로 ‘실존철학상담’이다. 동양 철학은 대부분 철학자가 철학과 실천을 분리하여 생각하지 않았다. 특히 장주는 전쟁과 비극으로 가득 차, 사는 것이 고통일 수밖에 없었던 전국 시대에 자기의 길을 자기가 걸어간 사람이다. 위대한 자유인이라는 삶의 목표를 위해 끊임없이 고뇌하고 비상한 사람이다. 이것은 실존적 삶 그 자체가 아닐 수 없다. 필자는 장주의 ‘내편’ 중 실존철학상담에 유용하게 쓰일 만한 우화를 선별, 정리하였다. ‘응제왕(應帝王)’에서는 이상적인 황제와 임금의 자격이 무엇인지를 논하는 우화가 등장한다. 그중 대표적 우화가 바로 ‘혼돈의 죽음’이다. 장주는 이 우화를 통해 무위(無爲)와 반대되는 인위(人爲)가 순수를 훼손시킬 수 있음을 경고한다. ‘덕충부(德充符)’는 ‘흐르는 물’이라는 우화를 통해 내면의 덕이 충만하여 외적으로 발현되는 예(禮)를 덕의 가치로 강조했다. ‘제물론(齊物論)’은 만물과 주장을 같게 보는 것을 의미하는데. 가장 유명한 우화는 바로 ‘조삼모사’이다. ‘소요유(逍遙遊)’는 모든 속박에서 벗어난 자유자재의 상태이다. 장주는 이편에서 진정한 자유, 즉 절대 자유의 경지를 ‘붕새와 메추라기’라는 우화를 통해 제시했다. ‘인간세(人間世)’에서는 처세의 방법과 쓸모없음의 큰 쓸모를 논하고 있다. ‘지리소’라는 우화가 실존철학상담에 쓰일 것이다. ‘대종사(大宗師’)에서는 ‘순응자연(順應自然)’의 이치를 ‘진인’을 통해 밝혔고, ‘양생주(養生主)’에서는 ‘포정해우(庖丁解牛)’라는 우화를 통해 우리가 어떻게 하면 생명력을 가질 수 있는지 알려 주고 있다. 필자는 위에서 설명한 장주의 우화를 활용해 상담 절차를 구체적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임상 사례로 25년 동안 ‘강박증과 우울증으로 일상생활이 힘든 U씨’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U씨의 임상 사례는 성공적이었다. 내담자인 U씨가 자신을 변화시키려는 의지가 강했고, 철학에 대한 거부 반응이 없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번 연구를 통한 성과로는 첫째, ‘이야기하기’를 철학 상담에 활용하여 그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대부분 정신분석적으로만 해결해 오던 강박증을, 철학 상담을 통해 치유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았다. 셋째, 철학 상담에 철학 외에 다른 것들을 철학적으로 도입하여 내담자의 마음을 치유하는 데 효과를 거두었다. 넷째, 하나의 임상 사례를 대화체 형식을 빌려 자세하게 다룸으로써 회기마다 진행되는 상담 절차를 구체화했고, 그런 과정을 통해 앞으로 철학 상담이 나아갈 방향을 좀 더 확연히 알 수 있었다. Zhuangzi was a thinker from the middle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in China. Zhuangzi's major works include The Analects, the Analects, and the Miscellanies. I have studied and utilized the fables in the Inner Analects and applied them to existential philosophy counselling. "Storytelling" is very useful in philosophical counselling. It not only engages the client's emotional involvement and empathy but also minimizes the counsellor’s intervention, allowing the client to take more initiative in solving his or her difficulties. In addition, it helps to utilize Marco Iacoboni's "mirror neurons" in philosophical counselling, and the "fun" of stories not only energizes the counselling but also helps the client to persevere in the counselling. Among the 'stories', fables(寓話) are stories that weave didactic or satirical content by comparing other things and contain philosophical implications. In particular, Zhuangzi's fables are audiovisual metaphors for the ineffable Tao. One of the core elements of Eastern philosophy, the Tao, is symbolized as if it can be grasped in the hand. These fables of Zhuangzi can help to counsel existential philosophy as a figurative expression for life enlightenment. Existentialism, advocated by Kierkegaard in the mid-19th century, is a philosophical trend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individual. Existential philosophers, who value individual uniqueness, subjectivity, freedom, and choice, analyze the self and the world through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life experiences and reveal what "existence" looks like. Existentialist philosophy has been actively introduced to counselling through 'existential philosophy counselling'. In Eastern philosophy, most philosophers did not separate philosophy and practice. In particular, Zhang Zhu was a man who walked his path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which was filled with wars and tragedies, and where living was only pain. He is a person who constantly suffered and rose to the occasion to be a great free man. This is existential life itself. I have selected and organized fables from Zhang Zhu's "Inner Part" that may be useful for existential philosophical counselling. In 'King Ning', there are fables that discuss the qualifications of an ideal emperor and king. One such fable is the "Chaotic Death". Through this fable, Zhang Zhu warns that artifice, the opposite of inaction, can compromise purity. The fable of the "flowing water" emphasizes the value of virtue as the outward manifestation of the fullness of inner virtue. The most famous of these fables is the story of the Three Horsemen. "Siyou" is a state of freedom from all bondage. In this section, Zhuangzi presents the state of true freedom, or absolute freedom, through the fable of the Duck and the Quail. In "The Human World," Zhuangzi discusses how to deal with the world and the great usefulness of uselessness. A fable called "Jisso" was used to counsel existential philosophy. In "The Great Teacher," the principle of "conforming nature" is explained through "jin-yin. "Yangshengzhu" means "life-enhancing element," and it contains the fable of the "pacifying manatee". I used the fable of Zhang Zhu described above to specifically organize the counselling process. As a clinical case, I wrote about Mr. U, who had been suffering from OCD and depression for 25 years. Mr. U's clinical case was successful.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 client, Mr. U, had a strong will to change himself and did not reject the philosophy. The outcomes of this study were, first,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using "talking" in philosophical counselling; second, to see the possibility of curing OCD, which has been mostly solved only by psychoanalysis, through philosophical counselling. Third, introducing other things besides philosophy into philosophy counselling, it was effective in healing the client's mind. Fourth, by discussing a clinical case in detail using an interactive format, I was able to refine the counselling process for each session, and through this process, I was able to get a clearer picture of the future direction of philosophical counselling.

      • 실존주의적 진로집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홍유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effects of the existential career group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meaning in life. To this end, following questions were provided. 1. What effects does the existential career group program have on career maturity? 2. What effects does the existential career group program have on meaning in life? This study assigned the same number (n=12) of third graders in a middle school located at J-si, to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existential career group program for this study had been implemented for one hour a session, during a total of 8 sessions, in the creative experiential study time every Monday and Tuesday, from April, 9 to May, 1, 2018. The tools used in this study include the career maturity scale and the meaning in life scale, and the findings were addressed by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2.0. Independent t-test was initially conducted to verify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ANOCOVA with pre-test scores as covariates and post-test scores as dependent variables was conducted to compare performances of two groups. The findings verifi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istential career group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for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The results of pre- and post-test of the career maturity showed that the sub-factors such as career attitudes, career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enhanced, suggesting that the program influenced the change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s students could understand themselves and job world. Second, the existential career group program seemed to be effective in meaning in life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pre- and post-test of meaning in life exhibited that the sub-factors such as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in life were elevated, indicating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the change of attitudes toward life.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is study expects that the existential career group program may provide information to be educationally us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o prepare their near future and search for meaning in life. In addition, it may provide an opportunity for more active studies on the existential career group program, by proving that its effectiveness for career maturity and meaning in life. 본 연구는 실존주의적 진로집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실존주의적 진로집단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실존주의적 진로집단 프로그램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J시 소재의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12명씩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실존주의적 진로집단 프로그램 진행은 2018년 4월 9일부터 5월 1일까지 매주 월·화 창의적 체험학습 시간에 약 한 시간 동안 총 8회기에 걸쳐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는 진로성숙도 척도와 삶의 의미 척도를 사용하였고, 연구결과 처리는 통계처리 프로그램인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2.0을 이용하였다. 먼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독립 t-test를 실시하였고, 두 집단의 수행 간 차이비교를 위해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사후검사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한 공변량 분석(ANO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존주의적 진로집단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도의 사전·사후검사 결과 하위요인인 진로태도, 진로능력, 진로준비행동이 상승하였는데, 실존주의적 진로집단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이해와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지면서 진로준비행동의 변화까지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실존주의적 진로집단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삶의 의미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의미 사전·사후검사 결과 하위요인인 의미발견과 의미추구에 대한 상승된 변화를 볼 수 있는데, 이는 실존주의적 진로집단 프로그램이 삶의 대한 태도 변화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실존주의적 진로집단 프로그램이 가까운 미래를 준비해 나가고, 삶의 의미를 추구해 나가는 중학생들에게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제공의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실존주의적 진로집단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진로성숙도와 삶의 의미에 대한 효과성을 입증함으로써 앞으로 실존주의적 진로집단 프로그램에 대해 좀 더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 실존적 가치관 함양을 위한 문학교육상담 연구

        강미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7

        (초록) 본 논문은 문학을 주요 텍스트로 활용하는 인문학 프로그램 강의 현장에서 개선해야할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출발한 실행연구이다. 연구자는 00광역시의 공공도서관 성인교육 인문학 프로그램을 2014년부터 진행하면서 일반인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건강과 예방 차원의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인문학과 평생교육이 추구하는 인간다움과 자기실현을 위해서는 다양한 가치를 논의하면서 자기와 타자 이해와 공동체감까지 실존적 가치관 함양을 통한 정신적 치유와 성장 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사회적으로도 나날이 정신건강의 문제가 일반화되어 심각하게 논의되고 있기에 본 연구의 필요성을 더욱 느꼈다.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발달 및 건강학적 관점에서 실존적 가치관 함양 프로그램을 모색하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서는 소통 중심의 접근법이 참여자들에게서 요구되고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학술적으로도 가치관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그를 전개하기 위한 전개 모형을 문학치료학 안에서 논의한 적이 없기에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학치료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여러 대화론을 수렴하여 문학활동대화 EPTR 전개 모형을 제안했다. 이는 Mead의 상징적 상호작용 대화론에서 가치관 함양을 위한 근거이론을 찾고, Gadamer, Ricoeur의 해석학적 자기이해 대화론과 Bakhtin의 소설 대화론, 그리고 Buber의 직접적 만남의 대화론을 바탕으로 문학활동대화 EPTR (Emotion - Preconception – Text - Reconstitution)전개를 도출했으며, 문학교육상담 인문 프로그램에서 활용하게 되었다. 이를 본 연구는 2017년 봄에 실행하고 가을 학기에 재실행하여 질적으로 보다 의미 있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실행과정에서 새로운 현장에 적용할 기회를 가지게 되어 이 EPTR 전개 모형과 프로그램을 청소년 집단 특성에 맞게 보완하여 00소년원 분류심사 여자 위탁생 집단에서 실행했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실존적 가치관 성장을 통한 인문 프로그램으로서 의미와 가치를 거듭 확인할 수 있었기에 문학활동대화 EPTR 전개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모형을 토대로 실제 프로그램에서 반복 실행하고 그 결과의 의미를 분석하고 해석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 현장에서 시작한 실행 연구로서 실행연구의 성격에 따르면 보다 지속적으로 반복, 평가, 재계획 되어야 할 연구이지만, 그 동안의 연구에 대한 탐색을 정리하고 발표하여 다음 연구로 그 발전을 꾀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프로그램 연구는 삶의 실존적 문제를 바라는 보는 관점으로서 실존적 가치관 함양을 주목표로 하였다. 가치관에 따라 세계 내 자기, 타자에 대한 판단이 달라지며 행동이 달라지며 삶의 방식이 달라지기에 가치관은 삶의 기본 요소로서 매우 중요하다고 본 연구에서 논의되었다. 개개인의 구체적 삶을 토대로 재구성되는 실존적 가치관은 삶에의 만족감, 닥쳐오는 실존의 위기에 의연히 대처하기 위해 반드시 지속적으로 도야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존철학적 가치 영역을 토대로 문학 텍스트를 통해 가치경험하며 삶의 이야기로 확장하여 대화하는 문학교육상담을 실존적 가치관 함양의 방법으로 주장했다. 특히 전 생애적 문학 활동과 자기이해를 위한 자기교육으로서 문학교양이 필요함을 주장할 수 있었다. 둘째, 현장의 인문 프로그램이 강의식 교수법에 의존하고 있는데 참여자들은 자기이해와 소통을 원하고 있기에 기존 프로그램과는 다른 접근법을 모색해야 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화’라는 교섭적 맥락에서 여러 이론을 융합하여 문학활동대화 EPTR 전개 모형을 제안했다. 이 전개 모형에서는 정서를 환기하며(Emotion 단계), 참여자의 선입관을 질문하고(Preconception 단계), 문학(특히 소설) 텍스트를 매개로 하여 자기이해의 대화와 집단 상담 대화(Text 단계)를 통해 자기, 타자 그리고 의미실천 참여의 가치 재형성과 확장(Reconstitution 단계)을 논의할 수 있었다. 셋째, 프로그램에서 참여자들의 실존적 가치관은 크게 자기관, 타자관 그리고 의미실천 참여관을 중심으로 그 함양과 안정화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문학활동대화 EPTR 전개 방식의 문학교육상담을 통해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본래적 자기로서의 자기관과 상호주체적 타자관이 함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의미실천 참여관이 형성되었고 가족이나 사회 공동체 참여활동으로서 그 의미가 확장되어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는 사회적 현장(평생교육 현장)에서의 문제제기와 요구에 의해 시작되었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며 개선하고자 한 것으로, 문학활동대화 EPTR 전개 모형을 적용한 인문 프로그램은 사회적으로 평생교육 촉진화의 한 방안이 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같은 시기에 실행된 소외계층을 위한 청소년 문학교육상담 프로그램에서도 질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얻었기에 여러 현장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 문학활동대화 EPTR 전개 모형을 통한 프로그램은 문학 활동을 통한 교양 교육을 돕고 집단 상담에서 상호작용 소통했다. 이를 통해 타자 그리고 자기존중의 가치관을 형성하고 의미를 실천하도록 도울 수 있다. 그로써 이 프로그램은 평생학습이 궁극적으로 목적하는 인간됨과 자아실현에 기여하는 방안이 될 것이고, 실존적 가치관 함양을 희망하거나 위기에 처한 여러 연령대와 젠더 대상에 적용할 수 있는 모델로서 다양한 현장에서 폭넓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의미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에서 제한점이 있었기에 제언하고자 한다. 우선 실존적 가치관의 영역이 넓고 그 논의가 지속되어야 할 연구 분야이기에 사회적 변화에 따라 논의의 가치 영역은 다양해지며 이에 따라 실존적 가치 경험으로 활용할 문학 텍스트도 확장된다. 가치 영역 논의와 텍스트 선정의 연구와 적용은 앞으로 지속적으로 해결할 과제가 될 것이다. 한편 본 연구 프로그램은 공공도서관의 지지와 지원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공공도서관과 같은 평생학습기관의 지원도 계속되어야 하겠지만, 이러한 문학교육상담 프로그램이 건강과 예방, 발달적 차원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다방면의 사회복지 정책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한 논문에서 이론적 탐구와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을 두루 전개하려는 의욕으로 각각의 영역에서 적확한 연구가 되었는지 반성한다. 본 연구 결과의 가능성을 현장에서 적용하는데 있어 문제 발견과 해결은 앞으로도 연구자의 과제가 되겠지만, 다음 연구자들이 보완하며 비판적 연구가 이어지기를 바란다. 키워드 : 실존적 가치관 , 인문 프로그램, 대화론, 건강과 예방, 실행 연구, 문학교육상담, 문학활동대화 EPTR (Abstract) This study is an action research that recognizes and begins to solve problems that need to be improved in the course of a humanities program that utilizes literature as the main text. Since 2014 when we launched the humanities program for adults hosted by public libraries in 00 city, we have taken interest in adults' mental health and the prevention of mental problems. We realized this: we need to discuss the diverse values for the humanity pursued by humanities and life-long education and for self-realization, to understand myself and others, to have the sense of community, and to cultivate the existential value view, so as to ensure mental treatment and growth. Mental health problems are increasingly being generalized today and seriously being discussed socially, furthering a need for this study. We sought to develop the existential value view cultivation program in order to prevent such problems from the viewpoint of development and health science. To that end, a communication-oriented approach was required of the participants. This study was all the more needed because the model for value view cultiv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was not discussed in literary therapy science. Therefore, this study gathered and reviewed various dialogue theorie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literary therapy so as to propose the EPTR development model of literary activity dialogues. The EPTR (Emotion - Preconception – Text - Reconstitution) development model was derived after finding the reference theory for value view cultivation from Mead's symbolic interactive dialogue theory, and based on the interpretative self-understanding dialogue theory by Gadamer and Ricoeur, on Bakhtin's novel dialogue theory, and on Buber's direct encounter dialogue theory. The model was used for the humanities program for literary educational counseling. Thu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spring of 2017, and conducted again in the autumn semester of that year, so as to obtain a more meaningful result. Further,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model, a new opportunity emerged so the EPTR development model and program were complemented to fit the characteristics of youths, and implemented in the girl group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juvenile detention center. As a result, the youths could cultivate the existential value views, 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humanities program so the EPTR development model for literary activity dialogues is proposed. Further, this study tested and examined this model by applying it repeatedly to actual educational programs. It is supposedly designed for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and should be continuously repeated, evaluated and re-planned, but the findings thereof hitherto obtained are described as follow with the possibility of follow-up studies being open. First, this study aimed to cultivate the existential value view as the integrated belief and attitude that view the existential problems of life. Depending on the value view, the judgment for self and others varies in the world, and given the behaviors and lifestyles are changing, the value view was examined as a basic element of life and very important. The existential value view, which is reconstructed based on individuals' specific life, must be continuously maintained in order to cope with crises in our life satisfaction and coming existential crises. This study presented the literary educational counseling - which, based on the existential philosophical area, uses literary text in achieving value experience and in expanding that experience into a story of life, and thus in conducting conversation - as the existential value view method. In particular, life-long literary activities and literary general knowledge as self education were examined as necessary. Second, amid the field humanities programs depending on the lecture-style teaching method, participants wanted self-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a different approach from existing programs was required. This study thus proposed the EPTR model of literary dialogue activities by integrating various dialogue theories in the communicational context of dialogue.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is model that awakens emotions (Emotion stage), questions participants' preconceptions (Preconception stage), conducts the self-understanding dialogue and group counseling dialogue based on literary (especially, novel) text (Text stage), and reconstitutes the value of self, others and meaning-practice engagement values. Third, the existential value viewpoints of participants in the program were cultivated and stabilized centered on self view, view of others, and meaning-practice engagement view. Through the proposed EPTR-style literary educational counseling, participants could heal their conflicts and pains of hearts associated with existential problems, and cultivated self view as the original me through dialogue and empathy, and the inter-active view of others. This was expanded into the meaning-practice engagement view, and revealed its meaning as existential practice through self-realization engagement and activities engaging in family and community. Fourth, this study began as the social field (life-long educational field) raised problems and required a solution, and was used to improve the situation. As such, the humanities program based on the EPTR of literary activity dialogue model was found to be measures for promoting the life-long social education. In particular, the youth cultural education counseling program, conducted simultaneously for the marginalized people, revealed qualitatively significant results, and it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the diverse field situations. The proposed EPTR model helped general knowledge education through literary activities and interaction in group counseling. This helped form the view of respecting others and self, and helped practice such views. The program thus is expected to serve as measures that can contribute to humanity cultivation and self realization that the life-long education aims for, and to apply to various ages and genders that hope to cultivate existential value view or that are put in crisis. Nonetheles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indicated and a proposal for further studies is made hereunder. The area of existential value view is broad and it should be continue to be discussed, so it is increasingly diverse according to social changes, and thus literary text to be used as existential value experience is also being expanded. The discussion of value areas and the research and application of text should be a continuous task.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support and sponsorship of public libraries. The support should continue from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such as public libraries, and yet the diverse support in terms of social welfare policy should continue to effectively implement such literary educational programs in terms of health, prevention and development. Above all things, one single paper could not encompass all theoretical exploration and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he problems, arising when this program applies to the field, will remain for us to further tackle, and yet studies by other researchers are hoped to continue in this regard. Keywords : existential value view, humanities program, dialogue theory, health and prevention, practical research, literary educational counseling, EPTR of literary activity dialogue model

      • 실존적 지능을 반영한 중등 미술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박혜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 사회는 빠른 변화와 혼란 속에 많은 삶의 의미와 가치를 필요로 한다. 입시 경쟁, 취업난과 같은 과도한 경쟁 속에 인공지능, 빅테이터 등을 기반으로 한 4차산업혁명시대와 같은 빠른 시대적 변화는 오히려 통찰력, 실존, 행복과 같은 가치를 찾는다. 현대인들도 도덕성 상실과 높은 스트레스 등과 같은 많은 부작용으로 실존적 자기 인식을 통해 스스로를 긍정하고 극복하는 삶의 자세가 절실히 필요한 시기이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로 인한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 인성 교육은 등한시되고, 학교 폭력, 따돌림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학교 현장에서도 새로운 교육의 대안과 변화가 필요했으며, 새로운 인간상을 요구하고 있었다.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과 ‘미래 인재상과 민주 국가의 발전과 인류 공영의 이상 실현’, ‘행복한 자아실현’과 같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실존적 지능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인간과 공존, 존재에 관한 통찰을 필요로 하며 실존의 물음에 대한 대안으로 하워드 가드너는 다중 지능 중 아홉 번째 지능으로 실존적 지능을 소개하였다. 여러 지능을 통합하고 긍정적으로 지능을 발현하기 위하여 실존적 지능의 이해와 교육적 논의를 촉구하였다. 실존적 지능은 인간 존재와 삶의 의미를 살펴보게 하며, 자아존중감과 정체성 확립을 바탕으로 자기를 바라보게 한다. 뿐만 아니라 공감적 태도로 타인을 공감하며 담대한 태도와 폭넓은 관점에 따라 더 큰 가치를 발견하여 영향력 있는 사람으로 성장하게 한다. 거대 담론에 관심을 가지면서도 타인과 더불어 살고, 더 나아가 사회 정의를 추구하는 지능으로 인간 사회의 ‘공존’에 관해 생각하게 한다. 각 개인에게는 삶의 방향을 제시하고 공동체로서는 전체 사회를 완성하게 한다. 또한, 실존적 지능은 삶, 사회, 시대를 통찰하며 인간의 존엄성을 소중히 여기는 진정한 통합적 비전을 가진 새로운 리더십을 제시해 주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 미술 교과가 감수성 표현, 정서적 발달에 도움을 주는 교과로 실존적 지능의 교육 연계가 가능한 교과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실존적 지능을 반영한 미술과 프로그램을 통해 삶의 의미와 정체성에 관해 생각해볼 수 있고, 나와 타인과 사회 전체, 관계의 문제까지 확장해 나가 시대와 공존의 문제와 삶의 통찰력까지 꾀하여 실존적 지능이 발현할 수 있도록 추구하였다. 우선 문헌 연구를 통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및 핵심 역량, 성취기준의 분석 결과와 실존적 지능과의 연계 가능성을 살펴보고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3차에 걸쳐 델파이 설문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실존적 지능의 필요성과 연계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프로그램의 방향과 내용을 정하여 성취기준과 체험, 표현, 감상의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도출된 ‘실존적 지능을 반영한 프로그램’과 교육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은 실존적 요소의 체계적, 통합적 적용과 델파이 전문가 합의를 통해 설계된 기준에 따라 1.나를 알기, 2.내면화하기, 3.파생하기, 총 3단계로 설정하고 각 단계에 실존적 지능의 핵심 요소를 구별하고 이에 따른 다섯 가지 수업예시안으로 구성하였다. 제시된 수업안은 1. 나를 알기는 ‘자기인식, 자아존중감, 자아정체성, 삶의 의미’의 ‘나의 페르소나 가면 만들기’는 자기에 대한 이해와 정체성에 관해 생각해보게 하며 자아 성찰을 촉구하였다. 2. 내면화하기는 ‘존재론적 의미, 근원적 가치, 타인 공감’의 ‘리디자인’은 사물 고유의 가치와 새로운 가치에 관해 생각하게 하며 ‘공익광고’는 공존의 의미와 나의 재능으로 긍정적 영향력을 끼칠 수 있게 하였다. 3. 파생하기는 ‘공동체의식, 봉사 헌신’의 ‘사회참여미술’과 ‘새로운 가치’의 ‘아트 캠페인’은 미술을 통한 선한 영향력으로 사회 전체를 볼 수 있게 하며 봉사와 헌신의 의미를 갖추게 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꾀하면서 찾게된 미술교육에서의 의의는 첫째, 삶과 자신에게 필요한 통찰력을 주며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다. 삶의 의미와 가치의 문제를 통합적으로 생각하게 하며, 자기 이해를 돕고 자아정체성 확립하게 한다. 근원적 가치 추구와 다른 생각과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게 한다. 자기 인식 및 자기효능감의 기회를 주고, 인간 존재의 균형과 조화로운 발달을 지향할 수 있다. 둘째, 자신이 가진 지능의 강점을 생각하게 하며, 통합적인 지능의 발현을 돕는다. 메타인지로 문제해결력을 키워주며, 또한 다중 지능이 ‘어떻게’ 활용되는가 하는 문제에서 강점 지능의 긍정적 발현을 통해 타인과 세상에 선한 영향을 주고, 미래는 어떤 방향으로 가는지에 대해 생각하게 해준다. 셋째, 함께 살아가는 자세와 사회적 공존의 문제를 생각하게 한다. 공공을 생각하는 미술과 나, 타인, 사회로 연결되는 관계에서 시대와 사회 속 자신의 역할을 미술교육을 통해 학습하며 타인과 사회 전체를 생각하게 한다. 작품의 제작 과정, 의미와 가치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타인의 공감과 의견을 듣는 수용적 태도는 타인을 이해하는 계기가 되며 미술을 통한 사회의 봉사와 헌신으로 ‘공존’의 문제를 생각해보게 된다. 넷째, 현대 사회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고, 올바른 가치관과 인성, 홀리스틱 교육에 대안이 될 수 있다. 인간성의 철학적 이해, 비인간의 윤리에 대한 고찰 및 판단, 소외성 등 도덕적, 사회적인 문제를 살펴봄으로써 이 시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준다. 또한, 미술을 통하여 자신의 감성을 표현함으로써 정서적 순화를 느낄 수 있으며, 자신의 미술이 사회 전체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점을 깨우칠 수 있다. 미술을 통한 사회가 변화할 수 있음을 인지하며, 사회에 봉사 헌신하며 영향력을 확대해갈 수 있다는 점을 배울 수 있다. 그리하여 실존적 지능은 개인의 행복과 더불어 세상을 더 이롭게 하는 교육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실존적 지능의 이론적 탐색을 통해 미술교육에서 실존적 지능의 반영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교사들의 델파이 설문을 통해 실존적 지능을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함으로 미술 교육의 범주 확대를 꾀하였다. 또한, 불안과 혼돈의 시대의 인간과 삶에 대한 통찰력과 삶의 의미와 가치, 본인의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인간과 시대의 요구 속에 실존적 지능을 활용하여 또 하나의 미술교육이 나아갈 수 있는 방향이라는 시사점을 찾았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를 기점으로 실존적 지능에 대한 다양한 적용 가능성 및 교육의 방향 탐색에 대한 연구가 형성되기를 기대한다.

      • 칼 야스퍼스에 있어서 초월자의 암호해독을 통한 실존해명

        강갑회 東亞大學校 2003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논문의 목적은 야스퍼스의 철학적 사유에서 나타나는 '실존해명'의 문제와 '초월자의 암호해독'이라는 문제를 "초월자의 암호해독을 통한 실존해명"이라는 주제로 재구성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야스퍼스의 형이상학을 실존해명을 위한 계기로서 정위하는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이 논문은 야스퍼스의 실존에 대한 사유가 "현존으로부터 실존에로, 실존으로부터 초월자에로의 이중의 초월"로 전개된다는 일반적인 해석을 따르지 않고 "현존으로부터 실존에로의 초월, 비극적 상황에 빠진 실존으로부터 초월자에로의 초월, 초월자와의 만남으로부터 실존에로의 복귀"라는 '긴장적 실존의 구조'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따라서 이 논문은 바로 이 긴장적 실존의 구조를 해명해 가는 과정으로 전개된다. 세계 내에서 신체성을 가진 인간의 현존은 자신에 대해서 불만을 갖는다. 그러나 인간의 현존은 그 자신을 초월하여 본래적인 자기로서 실존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현존이 자신을 초월하여 실존하는 데에는 어떤 계기가 필요하며, 그 결정적인 계기가 바로 변경할 수 없는 상황인 한계상황이다. 한계상황에 직면한 현존은 좌절하지 않을 수 없다. 한계상황에서의 처절한 난파는 현존으로 하여금 그 자신의 존재를 묻도록 만든다. 그러므로 한계상황을 적극적으로 체험하는 실존적 태도에서 비로소 우리는 현존을 초월하여 본래적 자기, 즉 실존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실존은 오직 순간적으로만 해명될 뿐이며, 이 순간적인 실존해명과 동시에 인간은 다시 단순한 현존으로서의 삶을 살아가지 않으면 안 된다. 결국 우리는 현존과 실존을 끊임없이 오가는 연속적인 긴장상태에서 살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이것이 이른바 실존의 비극이고 실존적 좌절이다. 현존의 좌절과는 달리 이 실존적 좌절은 철학적인 초월 체험의 새로운 암호가 된다. 즉 좌절의 경험은 '불안에서 안심에로의 비약'을 가능하게 하며, 능동적인 인내는 좌절의 경험을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초월자를 기다리게 한다. 초월자는 그 자신을 직접 드러내지 않고 다만 그의 암호들만을 보내어준다. 기독교에서의 유일신, 인격신, 성육신의 사건, 육화한 신으로서의 예수도 모두 초월자의 암호이다. 뿐만 아니라 우리의 실존적 상황의 무수한 일들도 초월자의 암호이다. 이처럼 모든 형상, 표상, 사상 등이 초월자의 암호로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초월자의 암호는 자연, 역사, 예술, 신비주의, 형이상학, 종교 등 어디서나 나타난다. 그러나 어떠한 암호도 초월자 또는 神 그 자신일 수는 없다. 이러한 초월자의 암호들은 영원화의 의지를 갖는 실존에게 존재의 영역을 열어준다. 초월자는 암호로서만 나타나는 존재이지 논증되는 존재자가 아니기 때문에 초월자의 체험은 인식으로서는 불가능하고 암호해독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암호해독은 '철학적 신앙', 즉 철학적 사유에 의한 초월자의 확신과 이 확신에 의한 실천적 결단을 전제로 한다. 우리를 암호해독의 길로 이끄는 이 철학적 사유는 '사변적 사유'이다. 사변적 사유에는 대상도 없고 내용도 없다. 진정한 사변적 사유는 하나의 내적 행위이다. 즉 존재 사변에 있어서 나 자신이 나를 변화시킬 경우에 비로소 존재가 밝혀진다. 사변적 사유에 의한 진정한 초월은 현실을 거부하는 것도 아니고 현실에서 떠나는 초월도 아니다. 오히려 가장 순수하고 가장 자기다운 자기로 돌아가서 스스로의 도그마를 만들지도 않고 그것에 얽매이지도 않는, 모든 속박으로부터 해방되는 초월이다. 이것이 바로 초월자의 암호해독을 통해서 해명되는 실존함의 의미이다. The aim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construct the problem of "the elucidation of existence" and that of "the reading of the transcendent's ciphers" with the theme of "The Elucidation of Existence through the Reading of the Transcendent's Ciphers."In order to achieve it, this dissertation attempts a new interpretation which will clarify the position of Karl Jaspers' metaphysics as an opportunity for an illumination of existence. The present writer does not follow the general interpretation that Jaspers' thought of existence of proceeds to the double transcending, that is, from being(Dasein) to existence(Existenz), and from existence to the transcendent, but brings forward "the structure of tense existence"in which the transcendence from being to existence, the transcendence from tragically situated existence to the transcendent, and the return to existence from the transcendent, happen. Therefore this dissertation will proceed to elucidate the very structure of tense existence. When man with a body is present in the world, he has discontent with himself. But his being has ability to transcend himself and exist as his original self(seines eigentliches Selbst). For a being to transcend itself and exist, it needs a moment, and the crucial moment is the boundary situation(Grenzsituation) which is an unchangeable one. A being confronted with the boundary situation cannot but be frustrated. Terrible wrecks in the boundary situation make a being ask about its existence. Therefore, in the existential attitude which actively experiences the boundary situation, can we transcend being and realize our original selves(i. e. existence). Existence can be elucidated only momentarily, and at the same time with the momentary elucidation of existence, must it live again a life as a simple being. After all, we will have to live in a continuous, tense situation, moving ceaselessly between being and existence. This is the so-called existential tragedy and frustration. Unlike frustration in being, the existential frustration experienced by freedom becomes a new ciper of the philosophical transcendental experience. In other words, an experience of frustration makes possible "a leap from anxiety to ease," and active patience facilitates an experience of frustration, and goes on to let one wait for the transcendent. The transcendent does not reveal himself but sends out only his ciphers. The one God, the anthropomorphous God, the event of incarnation and Jesus Christ as God incarnate which we find in christianity, are all of them the ciphers of the transcendent. Thus all the images, ideas and thoughts and the like can be the transcendent's ciphers. Therefore metaphysics, religions and the like. But none of the ciphers can be the transcendent or God himself. These ciphers of the transcendent's open the territory of existence(Sein) to Existenz which has the will of eternalization. However, revealed only in ciphers, we can experience the transcendent only through cipher reading, not by cognition. Cipher reading sets forth as a premise "a philosophical faith," namely, a firm belief in the transcendent by means of philosophical thinking, and a practical decision based on it. The philosophical thinking which conducts us toward cipher reading is "speculative thinking." Speculative thinking is an inner act. In other words, only when I transform myself in existential speculation, then is existence revealed. Authentic transcendence by means of speculative thinking neither denies reality nor is it transcendence departing from reality. Rather, it returns to its purest and most appropriate self, and it is transcendence which does not make its own dogma, not being tied to it, freed from all the bondages. This is what is meant by existence elucidated by the reading of the transcendent's cip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