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금강경에 나타난 심성 함양: 메타프락시스적 관점

        김경민 충북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plain that the questions and answers between Buddha and Subhūti are activities for cultivation of mind. A disciplinant of Mahayanist Buddhism practises 'the wisdom which has gone beyond'(prajñā-pāramitā), in order to be reborn as an ideal person called 'Bodhisatta'. 'The wisdom which has gone beyond' makes the truth of Mind, or Suchness as the object of immediate self-discipline, and the questions and answers between Buddha and Subhūti are its typical examples. Buddha and Subhūti treat the principles of operating 'the mind of the highest and best realization' as the main topic, so when the disciplinant achieves the mind, then he can become the real Bodhisatta. The process of cultivating the mind consists of the special questions and answers between Buddha and Subhūti, and the special practical efforts according to this process. Self-denial of Tathāgata and World-denial of Bodhisatta can be grasped from Buddha's and the disciplinant's perspective, respectively. Buddha manifests out and out the truth of Self-denial for communicating the Mind. He claims to overcome the perception of a self and the view of a self through 'Self-denial of Tathāgata'. As long as the disciplinant accepts his self as the substance, he can not operate 'the mind of the highest and best realization'. In Buddhist doctrine, self as the substance is not real as it is, but wrong-formed due to ignorance, in other word, only the products formed from the attachment to the physical and mental elements. With the logic of ‘A is not A', Buddha leads to self-denial of the disciplinant by denying not only himself, his own existence but his own preaching. Finally Buddha leads the disciplinant to have insights into not only himself but all existing phenomena through the nature of 'the dependent arising'(pratītya-sammutpāda) Buddha also emphasizes that the Bodhisatta should produce a thought without attachment by operating 'the mind of the highest and best realization'. He asks Subhūti not to attach to six objects of material form, sounds, smells, tastes, touchables, mind-objects, and their six sense organs of eyes, ears, noses, tongues and bodies. In Buddhist doctrine, the world is understood as 12 āyatana combined with six objects and six sense organs. Therefore, if the disciplinant should produce a thought without attachment, he is to be true as he is through World-denial. As the world is formed of six sense organs, so the World-denial of Bodhisatta, an ideal disciplinant, can be also denial of physical existence, Self-denial. In light of the conceptual model of two-fold structure of the mind and the world, the mind achieved by the disciplinant should be regarded not the lower layer(the mind as phenomena), but the upper metaphysical layer(mind as Suchness). Buddha leads the disciplinant to initiate into the metaphysical world(Reality) by denying his existence itself revealed on the empirical world(Phenomenal world), and to achieve Suchness which is 'the standard before representation'. Then the disciplinant studies 'upāya', representation of Suchness such as questions and answers between Buddha and Subhūti(or prajñā-pāramitā) without stopping, and in the changing mind in the middle of the changing world, he is to recover his mind as 'true as it is'. In other word, the life of the disciplinant can be regarded as the process for cultivation of Mind, which establishes the mind of 'the standard before representation'. As we have seen, the disciplinant, on the one hand, totally relies on the teachings of Buddha, and, on the other hand, completes the self-education of cultivating the mind entirely based on his practical efforts. Thus, the disciplinant who is on the way of Bodhisattva becomes a living upāya, and lives as Suchness. In short, the process of cultivating the mind evinced by the disciplinant of Mahāyāna Buddhism can be said to be a process of honest and significant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self-existence as 'true as it is.' Finally, this thesis emphasizes that the questions and answers of Buddha and Subhūti are truth itself about mind as they are, and explains that subject matter education is the very activities for cultivating the mind. Like the Text(preaches of Buddha), subject matters(ie. theoretical knowledge) are the means which embody the mind, thus studying subject matters can be said to be activities for cultivating the mind by means of knowledge which represents the mind.

      • 안드로이드 악성코드의 효율적 분석을 위한 화이트리스트

        김경민 숭실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목표로 하는 악성코드의 수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악성코드들을 분석함에 있어 가장 큰 어려움은 분석해야 하는 코드의 크기가 크다는 것이다. 코드의 크기가 크면 분석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정확한 분석결과를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코드의 크기가 큰 이유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3rd-party 라이브러리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3rd-party 라이브러리 사용은 개발자가 편하게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불필요한 코드를 포함시키는 단점이 있다. 보다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 분석을 위해서는 악성코드가 아니라고 알려진 정상적인 코드들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해야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악성코드를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하는 화이트리스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구축한 화이트리스트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을 측정한다. 구축한 화이트리스트 데이터베이스에는 정상코드라고 알려진 3rd-party 라이브러리에서 추출한 화이트리스트의 핵심구성요소가 포함된다. 실험을 통해 화이트리스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악성코드를 분석할 경우, 분석해야하는 메소드의 개수가 크게 줄어들고 이로 인하여 분석시간이 줄 수 있음을 보인다. The number of malicious code targeting the Android platform is increasing day by day. The biggest difficulty in analyzing the malicious code is the large amount of source code that needs to be analyzed. The larger the size of the source code, the longer the analyzing time and the longer the analyzing time, the less accurate the result of the analysis. Generally, the Android application programmers tend to use a lot of 3rd party libraries and it causes the size of the source code to increase. The use of 3rd-party library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programmers to easily develop applications, but it has the disadvantage of including unnecessary codes in the source code. For analyzing a Android application efficiently it would be better exclude well known normal code, which is called, Whitelist from the original source code. In this thesis, we present the Whitelist for Android applications. The Whitelist contains feature information from the 3rd-party library known as normal. It can be used for reducing the amount of source code to by analyzed when a malware Analyst analyze the malicious codes in Android applications. Experiments show that the number of methods to analyze when using malicious code using Whitelist Database is greatly reduced and analysis time can be shortened.

      • 한 여름밤의 꿈 에 나타난 갈등과 화해

        김경민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셰익스피어가 그려낸 희극세계는 풍자와 혼란, 비 이성적인 요소와 현실을 융합함으로써 약간은 몽환적이면서 감미로운 작품세계로 관객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또한, 셰익스피어의 희극은 주로 젊은 연인들이 사랑을 시작하고 나서 힘든 시련(갈등)을 겪지만, 결국은 조화와 화해 속에서 사랑의 결정체인 결혼을 이룬다는 구조를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주인공들이 겪는 갈등을 크게 세가지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먼저 전통과 권위와 규율의 세계로 이성과 분별로 통제되는 궁정세계 안에서 그 세계를 대표하는 기성세대인 테세우스, 이지어스와 젊은 세대를 대표하는 라이샌더, 디미트리어스, 허미아, 그리고 헬레나와의 갈등을 알아보았고, 그 다음, 젊은 연인들간의 개별적인 갈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요정세계에서의 갈등이 왜 발생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 요정세계에서의 갈등이 각 계층의 인간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끼쳤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아테네에서의 세대간의 갈등은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의 가치관의 차이에서 야기된 것으로써 젊은 세대들의 숲으로의 도피와 그들간의 사랑이 얽히게 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아테네의 권위와 법을 옹호하는 허미아의 아버지 이지어스는 자신이 선택한 디미트리어스와 자신의 딸을 결혼시키려고 하지만 신세대인 허미아는 자신이 선택한 남자인 라이샌더와의 결혼을 주장한다. 아버지의 권위에 도전하는 딸을 처벌하기 위해 공작 테세우스에게 딸을 사형시키거나 평생 혼자서 살게 해달라고 간청을 하자, 공작은 이를 받아드린다. 지극히 가부장적인 이지어스는 자신의 딸을 소유물로 여기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허미아는 자신의 뜻을 주장하며 당돌하게 행동한다. 기성세대 앞에서 당당히 자신의 의견을 말하는 허미아지만, 그녀도 법 앞에서는 무력하다. 허미아와 라이샌더는 결국 아테네의 법이 통하지 않는 숲으로의 도피행각을 감행한다. 또한 허미아를 좋아했던 디미트리어스도, 그를 짝사랑하는 헬레나도 모두 숲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아버지와 딸의 갈등으로 인해 각 세대를 대표하는 세대간의 갈등으로 확장이 됐다. 숲으로의 이동 후 새로운 갈등인 연인간의 갈등이 등장하게 된다. 연인간의 갈등은 앞선 세대간의 갈등과는 다르게 그들의 의해 주도된 것이 아니다. 요정세계의 왕인 오베론과 하인 퍽, 그리고 사랑의 묘약인 꽃 즙에 의해서다. 숲으로 도피한 허미아와 라이샌더의 모습에서 시간이 낮에서 밤으로 변하며 허미아(여자)는 그대로인데 라이샌더(남자)는 약간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같은 예는 꽃 즙을 눈에 바르고 나서 변하는 두 남자의 태도에서도 명확히 나타난다. 꽃 즙이 발려진 후, 라이샌더와 디미트리어스는 돌변해서 그토록 싫어하는 헬레나에게 사랑을 열변하는 모습, 그리고 당황해 하는 헬레나의 모습에서 남자는 시간의 변화뿐만 아니라 환경의 변화에서 쉽게 변모하는 남성의 모습을 보며, 아마도 셰익스피어는 숲으로의 이동과 꽃 즙이라는 특수장치를 넣어 우리가 일반적으로 '남자가 더 지조 있다'라고 알려진 것과는 다르게 남자는 쉽게 환경의 변화에 반응하고 변심을 잘하며 오히려 여자가 더 지조 있다는 것을 말하려는 것 같다. 자유를 찾아 떠난 숲으로의 이동 후 연인간의 갈등은 더욱 증폭하게 되는데 앞에서 말했듯이 이는 그들에 의해서 주도된 것이 아니고 요정에 의해 발생한 것이다. 허미아를 찾아나선 디미트리어스와 그를 쫓아온 헬레나의 대화를 들은 오베론은 안타까운 마음에 꽃 즙을 디미트리어스의 눈에 바르라고 퍽에게 시킨다. 이로써 연인간의 갈등에 요정이 개입하게 되고 이는 큰 후폭풍을 불러일으킨다. 요정 퍽의 실수로 인해 디미트리어스와 라이샌더는 헬레나에게 푹 빠지게 되고 이를 안 허미아는 헬레나와 다투며 갈등은 최고조가 된다. 이를 본 오베론은 잘못된 상황을 잡기 위해 다시 꽃 즙을 사용하고 이들은 숲 속에서 일어났던 모든 일을 꿈을 꾼 듯이 말한다. 요정에 의해 생긴 갈등이 다시 요정에 의해 해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행복하고 안정된 관계를 맺게 된 이들의 모습을 본 테세우스도 젊은 연인들의 사이를 인정하게 된다. 비록 퍽이 바른 사랑의 묘약인 꽃 즙으로 인해 갈등이 생겼지만, 그로 인해 연인들간 뿐만 아니라 기성세대와의 갈등 역시 해소되어 조화를 이루는 결말을 맺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살펴본 요정간의 갈등은 이 작품에서 지금까지 살펴본 갈등 중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갈등은 요정의 왕 오베론과 여왕 티타니아 사이에서 발생한 것인데, 아주 사소한 대립에서 온 것이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겠다. 오베론은 티타니아가 인도에서 데려온 어린 인간소년을 자신의 시중으로 삼으려고 한다. 요정의 왕인 자신에게도 없는 것을 여왕이 갖고 있다는 것은 공평하지도 않고 평등이 깨진다고 생각한 것이다. 하지만 티타니아는 단호히 거절을 했다. 그리하여 그들간의 갈등이 시작되었고 이것은 자연현상 뿐만 아니라 인간세계에도 영향을 끼치게 된다. 오베론은 퍽에게 사랑의 묘약인 꽃 즙을 구해오라고 한다. 티타니아에게 짓궂은 장난을 치려 함이다. 그의 하인인 퍽은 이 과정에서 숲에서 연극연습을 하고 있는 직공에게 장난을 친다. 이로 인해 하층민인 보텀과 요정의 여왕인 티타니아와의 우스꽝스러운 로맨스가 펼쳐지게 된다. 정말 있을 수 없는 계층간의 사랑이 시작된 것이다. 『한여름 밤의 꿈』은 이러한 갈등들이 극복되어 나가는 과정을 담고 있는데, 그 희극적 해결 방식은 3가지로 설명된다. 숲으로의 이동과 기능공 바텀의 역할, 그리고 극중극 "피라머스와 티스베"를 통한 조화가 그것이다. 셰익스피어의 낭만희극에서의 '숲'이란 공간은 중요하다. 이곳은 주인공들이 자신들이 살던 곳으로부터 도피하는 공간으로써, 자유를 찾아갔지만 오히려 시련을 겪게 되는 공간이다. 또한 그 시련을 겪으며 변화되어 화해와 조화를 이루게 되는 공간으로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한여름 밤의 꿈』에서는 아테네의 젊은 연인들이 기성세대를 대표하고 이성과 현실의 세계를 상징하는 궁정세계에서 벗어나 감정과 꿈의 세계인 숲의 세계로 오게 된다. 여기에서 초자연적인 힘에 의해 혼란과 갈등을 경험하게 되고, 요정의 여왕 티타니아 역시 그 힘에 의해 당나귀머리를 한 보텀과 사랑에 빠지는 등 혼란을 겪게 된다. 하지만 젊은 연인들은 이런 시련을 겪으며 진정한, 그리고 원숙한 사랑을 깨닫고 다시 화합하게 된다. 그리고 날이 밝아지면서 그들은 다시 원래의 세계로 돌아가게 된다. 이 숲에서 변화를 겪는 것은 이들뿐 만이 아니다. 냉철하고 이성적인 아테네의 귀족 테세우스 또한 내적인 변화가 일어났음을 보여준다. 사냥하러 나왔다가 숲 속에서 서로 화해하며 진정한 사랑을 찾은 젊은 연인들의 모습을 보고 그들의 결혼을 승낙한 것과 "피라머스와 티스베"라는 연극을 보다 히폴리타가 불평을 터트리자 그것을 달래며 기능공들의 세계를 참을성 있게 이해하며 그 세계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에서 그가 너그러운 지도자가 되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갈등이 해소되는 정점에 퀸스와 보텀을 위시한 기능공들의 극중극이 있다. 이들의 극중극은 등장인물들의 갈등 - 세대간 ? 연인간 ? 계층간 - 이 해소되었음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세계 - 궁정세계 ? 요정세계 ? 기능공의 세계- 가 화합하게 되었음을 나타낸다. 이 작품에서의 갈등과 화해는 숲으로의 이동과 보텀의 가교적인 역할, 그리고 극중극에 의해 이루어지며 특히 화해의 과정에서 요정의 역할은 두드러진다. 한 낱 어린 소년의 소유를 두고 시작된 요정의 왕 오베론과 여왕 티타니아의 갈등과 화해는 인간의 각 계층에게도 큰 영향을 끼쳐 극 전체를 궁극적인 화해로 이끌어간다. 셰익스피어는 주인공들이 이러한 갈등의 해소를 통한 새로운 인간관계의 재발견과 진실된 사랑이 무엇인지를 깨닫게 하고,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성장한 주인공들이 다시 궁정세계로 돌아가 보다 조화롭고 화해로운 사회를 만들라는 희망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flicts and reconciliations in a Shakespeare`s early comedy, A Midsummer Night`s Dream. Distinguish itself from his early comedies, A Midsummer Night`s Dream is a master piece among the Shakespeare`s comedies. Since the comedy world and romance world are in harmony in this play, while those are crossed in other ones. The plot of this comedy consists of loving, conflicting, conciliating, being in harmony. It makes audience attract to this work by blending irrational facts and realistic ones. In this play, three conflicts suffered by the main characters are shown. They are generation gap, individual difference, and the conflicts of spirit`s world. First of all, the generation gap, which occurs between the old generation who represents the tradition and the authority at the court and the young generation who is against the old, is shown in part Ⅱ. In Athens, the generation gap, which is caused by the different sense of values between patriarchic Egeus and his daughter Hermia offers running away to the forest and entangling young couple`s love. Secondly, the individual differences of the young lovers is described in part Ⅲ. They ran away to the forest for freedom from the authority, but there, conflicts between them were climaxed. These were caused not by their intention, but by spirit`s. To correct young generation`s love, king of the spirit Oberon interfered using the juice of love-in-idleness, but by mistake of servant Puck, young lovers experienced complex love. This conflicts also was fixed by Oberon`s intervention. He made young lovers think that this whole thing was just a midsummer night`s dream. Finally, young lovers were not only made a good relationship with happiness, but also healed the conflict with the old generation. They, eventually, were in balance. Finally, the conflicts of spirit`s world and how these have affected in each classes of the human society are described in part Ⅳ. The spirit`s conflict occurs between Oberon , the king of the spirit world, and Titania, the queen of it. This conflict have affected in a human society. With the remedy of love, Oberon dramatically directed humorous, but unbelievable love story between Titania and worker, Bottom who are from different class level. A Midsummer Night`s Dream shows the comic resolutions of these three conflicts as follows : the movement to the forest, the Bottom`s role, and the harmony through the worker`s play, Pyramus and Thisbe. The main characters are not the only ones who experience these changes in such places. Theseus, who is a reasonable person, convinced to admit young lovers. Also, the conflicts are solved by Bottom who connects human being and the spirit and by the workers` play which brings the reconciliation of the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lovers, and social classes. The whole conflicts were solved by the above three effects; however, in my point of view, the conflicts were started by the spirit and they were solved by them at the end. The conflicts between Oberon and Titania affected to the each social classes of the human society, and it naturally and peacefully got solved regardless of their intention. By looking at this, it is to be predicted that these worlds within all creatures are in a systematic connection. Shakespeare gives the idea of rediscovery of the human relationship through the solution of the conflicts and realization of true love. I think Shakespeare hopes the matured main characters to build a moral and justice society through these processes.

      • 일반인을 위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연구

        김경민 建國大學校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술관은 프랑스 혁명에 의해서 민주화 되었고 산업혁명이라는 사회적 변화와 근대사회의 전환에 의해서 사회적 교육기관으로 자리 잡았다. 과거의 미술관은 특정한 집단을 대상으로 존재하였지만, 현대의 미술관은 대중에게 중요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면서, 다양한 전시물을 통해 적극적인 참여의 기회를 부여하여 사회교육기관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새로운 문화를 창조, 보급, 확대시키는 기능이 첨가되어 미술관의 역할은 확대 되고 있다. 미술관의 역할이 확대됨에 따라 일반인에게 미술관은 평생교육을 위한 장소이며 미술관교육프로그램의 활용은 제2차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인이 기존 어린이, 학생 등과 차별되는 것은 스스로 자발적인 의지에 의해서 교육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그들의 미술문화에 대한 욕구는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예술작품과 더불어 미술문화발전에 기여한다는데 있다. 일반인이 미술관을 이용하고 교육프로그램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제도교육에서 교육받은 미술에 대한 선지식으로부터 관심을 증폭시켜 미술에 대한 지적욕구를 만족시키는 것이다. 미술관교육은 미술관을 관람하여 미술관 내 풍경에서 오는 교육적 체험과 작품이 주는 미적 체험을 형성하고 체계화 시켜서 활성화하는데 있다. 또한 미술생산자 뿐만 아니라 미술소비자를 위한 교육까지도 균형 있게 소화해 낼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을 실행하는데 있어 미술관이 차지하는 의미와 일반인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국내 미술관프로그램의 현황과 사례분석을 통하여 미술관교육이 활성화되며,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일반인이 미술관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육받음으로써 미술에 대한 이해와 미술품에 대한 애착을 고취시켜 과거, 현재와의 연계성을 알 수 있으며 미술생산자, 수요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의 재창출을 유도하여 개인의 미적 심미안을 형성을 하는 것이 중요한 목적이다. 하지만 우리 나라는 미술관의 사회적 기능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증폭됨에도 불구하고 역사가 매우 짧고 다양화된 프로그램의 연구가 미약한 실정이다. 미술관마다 특성을 살린 교육프로그램이 있기는 하나 아직까지는 미술관 소장품들을 활용한 교육내용보다는 실기, 이론 프로그램으로만 구성 되어있고 교육의 기회가 서울과 경기 지역에 집중화되는 지역적인 한계성도 있으며 국내 미술관 대부분은 미술관교육을 위해 지녀야할 전문성의 결여로 많은 부분이 미약하고 한계성을 가지고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관의 일반인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위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성인을 위한 미술관교육의 발전을 위한 개선 방안으로서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미술관교육프로그램은 첫째, 사회환원적 교육차원에서 활용 되어져야 한다. 둘째, 교육적 차원에서 사회와 연계성을 이루어야 한다. 셋째, 평생교육기관의 차원에서 미술관을 이용하여야 한다. 넷째, 심미안은 교육을 통하여 형성 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프로그램을 다양화. 입체화 하여야 한다. 다섯째, 미술관교육프로그램의 다양화는 개인의 삶의 질과 관계가 있음을 알고 충실해야 한다. 여섯째, 전문인력의 배치로 미술인 확대 저 변화에 힘써야 한다. 이상의 본 연구를 통해 미술관교육이 일반인들에게 미적 체험과 교육적 체험의 장으로 자리잡기 위한 개선 방안과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앞으로도 체계적이며, 다양한 미술관교육프로그램이 구체적으로 연구, 개발 되어 미술생산자로서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도록 미술문화교육의 지침 돌이 되길 기대한다. Museum was established as a scientific, social education institution by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Industrial Revolution. Old museum was only for specified person but it has become widely popular today through diverse exhibitions. It executes its function as social institution by offering opportunity of participation. Also its function is scaled up as creation, extension, replenishment of new culture. Consequently museum education system is a curriculum. The public, especially adult, spontaneously study because they are not restricted by a school system. Also, promotion of personal inclination will improve the quality of living, contribute to change art culture. Viewing museum activates systematizing art knowledge and assimilates not only producer education but also consumer. This study focuses on activation of museum education and presentation desirable way via making recognize program's importance, condition of national museum and a case study. The public understands or attachs to art objects and discharge as a art producer, but national research has been weak because of shortage budget, lack of manpower on an education. Most of national museums have limitations, assume and respect of dependant on only theoretical program and their education centered in Seoul and Kyoung-Gi. This research got to conclusion through the case study of public education system of museum. First, education program of museum is applied as educational of restoration to society. Second, it is constituted connection with society as education. Third, it is used by continuing educational institution. Forth, it should recognize that an eye for the beautiful can be formed by education and diverse program. Fifth, it is understood diversity of education system of museum is connected with quality of personal living. Sixth, it is strived for increasing artist as contrariety of professional manpower. I groped scheme that how can museum education system be a place of educational and aesthetic experience by this research. I anticipate that education system of museum become a guide of art education to execute function as art producer by concrete development.

      • 배삼식 희곡의 서사적 종결 양상 연구

        김경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 of the epic ending that appears there, targeting Bae Sam-sik's plays. As a completed work, when the narrative ends, the narrative may or may not end. So the narrative may not satisfy the reader's desire. Or it may not satisfy the desire of the character or author. In addition, it was considered that the close and end of the narrative do not necessarily appear the same. On the premise of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appearance and coexistence of narratives that end and those that do not end in Bae Sam-sik's plays. There were a total of five plays that were analyzed: 「Woman from afar」, 「1945」, 「Hwajeonga」, 「Snow in March」, and 「Yeolha Diary Manbo」. This study discussed the absence of termination or difficulty in the completion in the plays. Among them, 「Woman from afar」, 「1945」. and 「Hwajeonga」 were regarded as works that were not terminated due to the influence outside the text of the work, such as actual historical events or other literary works. In the narratives of the three works, each of them was influenced by historical events in Korean history, such as the Daegu subway disaster,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leading to the actual history outside the work, and there was no end. On the other hand, 「The Snow of March」 was viewed as a work with a narrative without an end through elements generated inside the narrative. As the mastermind of the work, Jang-oh lived his life, the place of hanok and the various desires of the characters related to the place appeared in the narrative, and when the hanok was finally broken, the characters Lee Soon and Hwang, who symbolize Jang-oh's memory, remained in the broken hanok, leaving no end to Jang-oh's narrative. And it was considered that the epic close of the work was absent by occupying the epic end of the work. In this way, various narratives coexist in one work and transition into narratives with one narrative of work, and in the process, narrative termination becomes impossible or continues to be reserved, using 「1945」, 「Hwajeonga」, and 「Yeolha Diary Manbo」 as examples. In the two works, narratives that do not end by satisfying desires or failing to answer questions created by narratives and narratives that end by satisfying the above requirements appear together. However, unless the narratives are combined and related to the actual history outside the work and the related ideology, the narrative that constitutes and supplements the actual historical events is not terminated, it may be difficult to end as well as continuously absent. In addition, through the 「Yeolha Diary Manbo」, we looked at how each character's narrative changes only in the unrealistic space and time of the Yeolha village, but continues to repeat the same structure, and the ending is continuously reserved in the narrative of the work made by combining them. By analyzing such specific works as examples, it can be seen that the epic ending in Bae Sam-sik's play is made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how the desires of the authors, readers, and characters related to the narrative of the work work work.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a polysexual structure is formed in the narrative of Bae Sam-sik's play by the fact that the beings express their desires individually and exert influence on the narrative. 본 연구의 목적은 배삼식의 희곡들을 대상으로 삼아 거기에서 나타나는 서사적 종결의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하나의 완성된 작품으로서 서사물이 끝났을 때 서사는 종결될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그래서 서사는 독자의 욕망을 충족시켜주지 못할 수 있다. 혹은 인물이나 저자의 욕망도 충족시키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서사의 끝과 종결은 반드시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라고 보았다. 이를 전제로 본 연구는 배삼식의 희곡들에서 종결되는 서사와 종결되지 않는 서사들이 나타나고 공존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대상으로 삼은 희곡 작품은 「먼 데서 오는 여자」, 「1945」, 「화전가」, 「3월의 눈」, 「열하일기 만보」로 총 5편이었다. 본 연구는 해당 희곡들에서 종결이 부재하거나 그 완성에 난항을 겪는 양상을 논의하였다. 그 가운데 「먼 데서 오는 여자」, 「1945」, 「화전가」를 실제 역사적 사건이나 다른 문학작품 등 작품 텍스트 외부의 영향에 의해 종결이 부재 하는 작품이라고 보았다. 세 작품의 서사에서는 각각 대구 지하철 참사, 광복, 한국전쟁이라는 한국사의 역사적 사건들에 영향을 받음으로써 서사가 작품 외부의 실제 역사와 이어지며 종결이 부재하게 되는 양상이 나타난다고 보았다. 한편 「3월의 눈」은 서사의 내부에서 생성된 요소들을 통해 종결이 부재 하는 서사를 가진 작품이라고 보았다. 작품의 주동 인물인 장오가 평생을 살아온 곳으로써 한옥의 장소성과 그 장소에 얽힌 인물들의 다양한 욕망이 서사에서 나타나다가 마침내 한옥이 부서지게 되었을 때, 장오의 기억을 상징하는 이순과 황 씨라는 인물이 부서져 가는 한옥에 남음으로써 장오의 서사에 종결이 부재하게 된다. 그리고 그것이 작품의 서사적 끝을 차지함으로써 작품의 서사적 종결이 부재하게 된다고 보았다. 이처럼 한 작품 내에서 다양한 서사가 공존하며 그것들이 작품이라는 하나의 서사를 가진 서사물로 이행해 가고, 그 과정에서 서사적 종결이 불가능성을 갖게 되거나 지속해서 유보되어가는 양상에 대해 「1945」와 「화전가」, 「열하일기 만보」를 예시로 삼아 논의하였다. 두 작품에서는 욕망을 충족하거나 서사가 만들어낸 질문에 답변하지 못함으로써 종결되지 않는 서사와 전술한 요건들을 충족함으로써 종결되는 서사들이 함께 나타난다. 하지만 그 서사들이 합쳐지며 작품 외부의 실제 역사 및 그에 관련된 이념과 관계 맺음으로써 실제 역사적 사건들을 구성하고 보충하는 서사들이 종결되지 않는 이상 종결이 지속적으로 부재할 뿐만 아니라 이후에도 종결되기는 어려울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열하일기 만보」를 통해서는 각각의 인물들이 가지고 있는 서사가 열하 마을이라는 비현실적 시공간에서 그 인물만 바뀔 뿐 같은 구조를 유지하며 계속 반복되고, 그것들이 합쳐져 만들어진 작품의 서사에서 결국 종결이 지속적으로 유보되어가는 양상을 살폈다. 이처럼 구체적인 작품들을 예시 삼아 분석함으로써 배삼식의 희곡에서 나타나는 서사적 종결은 작품의 서사와 관계하는 저자, 독자, 인물 등이 가지고 있는 욕망이 어떻게 작동하는가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그 존재들이 자신의 욕망을 저마다 발화하여 서사에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점을 통해 배삼식 희곡의 서사에서 다성적 구조가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 초등학교 체육교과 수준별 교수·학습 모형이 학생들의 운동기능향상에 미치는 영향

        김경민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I apply the teaching-learning model that developed in KICE(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Evaluation) to the scope (a vaulting horse, a horizontal bar) center of heavy gymnastics of the functional center among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this study and execute it. It is so done, and I recognize whether a meaningful change is with physical education study achievement of learners. I am based on this, and there is a meaning to prepare reference data for normal operation of a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study object is four groups of Busan Y elementary school, and I divided them to the experiment group which apply a teaching-learning model(38 schoolboy, schoolgirl 32) and the control group which didn't apply those(39 men, woman 32). After being so, I analyze an elevation degree through a preliminary-post inspection with comparison and recognize how very much I affect it in a functional elevation of students the teaching-learning model by level, and actual technique evaluation criteria table is utilized in order to recognize a functional extension degree of students in heavy gymnastics (a vaulting horse, a horizontal bar) and I executed a preliminary-post evaluation and got the following conclusion. 1) A functional elevation of horizontal bar education along application of a teaching-learning model by level of schoolboys and schoolgirls (1) A function appeared after an experiment group compared a schoolboy to a control group, and learning a horizontal bar by having improved. And I appeared with thing with a difference in a functional elevation after education in case of experiment group, and an experiment group improved more very much than a control group. (2) An experiment group improved after horizontal bar education more very much in case of schoolgirls control group and experiment group. However, I appeared with thing without a particular difference in a level of horizontal bar education. (3) Therefore, I am different and must apply an teaching-learning model of schoolboys and schoolgirls of an experiment group, but this is because I am different, and an effect of horizontal bar education appeared. 2) A functional elevation of a vaulting horse education along application of a teaching-learning model by level of man and woman schoolchild (1) An experiment group compared it to a control group, and, in case of schoolboys, horizontal bar learning function between a preliminary-post appeared by having increased. In case of experiment group, I was able to know that it appeared with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a preliminary-post and increased more very much than a control group. (2) An experiment group compared it to a control group, and, in case of schoolgirls, the increase volume of a preliminary-post vaulting horse learning function appeared with more things. However, the vaulting horse education level between a preliminary-post of a control group and an experiment group appeared without a meaningful difference. If I put the front contents into shape, the vaulting horse education effect of a schoolboy and schoolgirl of an experiment group was able to know other thing. (3) Therefore, I felt a need I classified it into sex in a class process, and to adapt itself to with a teaching-learning model. 3) A functional elevation of heavy gymnastics along application of a teaching-learning model by level of schoolboys and schoolgirls (1) An experiment group compared it to a control group, and, in case of schoolboys, horizontal bar learning function between a preliminary-post increased. And a meaningful difference appeared between a preliminary-post in case of experiment group, and it was able to know that increased more very much than a control group. (2) An experiment group compared it to a control group, and, in case of schoolgirls control group and experiment group, the increase volume of heavy gymnastics learning function between a preliminary-post appeared more very much. However, the heavy gymnastics education level didn't have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a preliminary-post of a control group and an experiment group. (3) It was different, and heavy gymnastics education effect of a schoolboy and schoolgirl of an experiment group appeared. This can know that it is necessary we classify it into sex in a class process, and to apply a teaching-learning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