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포츠클럽의 서비스 품질과 운동지속의사 및 사회성의 관계

        오경민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 among service quality, intention to exercise adherence and sociality for youth sports club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order to develop effective 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sports club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450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ports clubs as a convenience sample. Actual data analysis included 386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completely. The present research was based on survey data. The questionnaire included service quality(Huh, 1997; Bang, 2003), The intention to exercise adherence(Jang, 2005) and sociality(Jeong, 1971; Han, 1998). Cronbach's α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the validity, reliability of the scale and the model fit. In data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collinear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Win ver. 14.0. Path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LISREL 8.3.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ly, male students had higher service quality and the intention to exercise adherence than female students Therefore new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heighten girls' participating satisfaction. Secondly, service quality by grade were affected by program and instructors. Programs considering individual development stage should be developed. Competent professionals should be trained. And efforts are needed to induce children to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ies. Thirdly, main facilities and programs affect the intention to exercise adherence. This result indicates that high quality sports club facilities or program can affect children's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ies positively. Support is needed to activate the sports clubs in order to induce children to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ies constantly. Fourthly, facilities and program affect sociality. Therefore main facilities and program should be developed systematically. Fifthly, The intention to exercise adherence has positive effect on sociality. Therefore efforts are needed in order to induce children to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ies. Sixthly, in terms of causal relationship among service quality, The intention to exercise adherence and sociality, service quality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tention to exercise adherence and sociality. But The intention to exercise adherence has non-significant effect on sociality. Continuous and various approaches are needed for further research in order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tion to exercise adherence and sociality. In conclusion, continuous physical activities are needed without distinction of sex, age and social class. Expansion and remodeling of main facilities, various programs by levels are required for effective physical activities. In addition, with systematical training programs for professionals, an opportunity for setting a foundation to consolidate school physical education, elite sports, and sports for all can be made. 본 연구는 스포츠클럽의 서비스 품질에 따른 운동지속의사와 사회성의 관계를 연구함으로서 이를 기초로 향후 스포츠클럽의 발전에 효과적인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8년 C시 소재 초등학교 고학년(4∼6학년)중 스포츠클럽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 총 450명을 표집하였으며, 설문조사 후 386부의 설문지를 분석에서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서비스 품질을 묻는 문항은 대표적 서비스 품질 측정척도인 SERVQUAL 등을 토대로 허현미(1997)가 개발하고 방신웅(2003)이 사용한 설문지를 기초로 사용하였고, 운동지속의사를 묻는 항목은 장윤희(2005)가 사용한 운동지속의사 척도를 기초로 한 설문지를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사회성은 묻는 항목은 정범모(1971)가 개발하고, 한태룡(1998)의 연구에서 사용된 사회성 척도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과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사를 위해 내적 일치도 계수인 Cronbach's α 방법과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자료처리의 방법으로는 SPSS Win ver. 14.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LISREL 8.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통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가설의 유의 수준은 α= .05에서 판단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해 스포츠클럽의 서비스 품질과 운동지속의사 및 사회성의 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성별에 따른 서비스 품질과 운동지속의사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앞으로 여학생의 참여 만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학년에 따른 서비스 품질에서는 프로그램과 지도자에 영향을 받았다. 앞으로 개인의 발달 단계별 프로그램의 개발과 충분한 능력을 갖춘 전문가를 양성해야 할 것이고, 운동을 계속하려는 생각들을 실제적인 참여로 유도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주 시설, 프로그램요인이 운동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포츠클럽의 시설적인 면이 좋거나 운영하는 프로그램의 질에 따라서 운동을 계속하려는 생각들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체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도록 스포츠클럽 활성화를 위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서비스 품질의 하위요인 중 시설과 프로그램은 사회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성 발달에 서비스 품질의 요인인 주 시설, 프로그램들을 체계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하겠다. 다섯째, 운동지속의사는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지속적인 많은 참여를 이끌도록 노력해야겠다. 여섯째, 서비스 품질과 운동지속의사와 사회성의 인과적 관계에서는 서비스 품질은 운동지속의사와 사회성에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운동지속의사는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지속의사와 사회성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 지속적이고 다양한 접근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져야겠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살펴보면 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대상으로 성, 연령, 계층에 차별 없이 꾸준한 신체활동이 필요하며 효과적인 신체활동을 위해서는 주 시설의 확충 및 보수, 수준에 맞는 눈높이 프로그램, 전문적인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활용한다면 사회성의 발달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학교체육, 엘리트체육, 생활체육을 통합하는 스포츠클럽의 기반을 마련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 청소년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실태와 체육학습태도의 관계

        이재명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paper is an attempt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attitude toward physical activities, to offer the efficiency of physical education teaching-learning, and to induce teenagers' lifelong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through school sports clubs by comparing students who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ies with those who do not, and by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sports clubs and attitude on physical activities. The subjects are 359 students from 9~11 graders from 4 schools in Gapyeong, This paper used Frequency Analysis to know the normal properties of respondents, X²to know the difference in their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s by population statistics factor, and t-verification, one way-ANOVA to know the difference in physical education attitude depending on respondents' normal properties. And this paper used one way-ANOVA to know the difference in school sports clubs participation degree and physical education learning attitude depending on events and t-verification to know the difference in physical education learning attitude depending on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or non-participation. The result is as following. First, frequency Analysis about school sports clubs participation, The following are the most frequently responded options : "team sports" among the events, and "aptitude and hobby" among the motivations, and "break time and lunch time" among the times, and "more than 3 years" among the periods, "3~4 days" among the frequencies, "less than 1 hour a day" among the intensities. That is, the study showed that most students who took part in school sports clubs played team sports for over 3 years, less than one hour per day, with their own interest and during lunch time. As for girls, they participate more in individual sports according to the study. The study showed that most girls did sports with their family or friends after school and for less than one year. Second, difference by gender and grade in Physical education learning attitude, Boys showd higher points than girls in every section: recognition degree, interest degree, confidence, attention degree and aunonomy. In terms of grade, 11th year appeared to have highest points, followed by 9th, 8th and 10th was the las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degree and learning attitude in P.E, the result suggested that ; in terms of the period students who spent longer in doing sports had more positive attitude in general learning ; in terms of the frequencies, the best was 3~4 days a week followed by over 5 days and 1~2 days respectively ; in terms of the intensities, less than 1 hour was the first, 1~2 hours second and more than 2 hours third. Consequently, learning attitude in physical education seemed to be best when they do participate in school sports clubs for more than 3 years, 3~4 days a week and less than 1 hour a day. Fourth, difference by events in school sports clubs and learning attitude in P.E, Those who joined team sports had the most positive learning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Pair sports and individual sports in order followed team sports. Fifth, differences learning attitude in P.E depending on participation of physical activities, Students paticipating in school sports clubs seemed to be more positive in learning attitude, constitution factor, interst, confidence, attention degree and autonomy than students who were not. Therefore, teachers should be aware of the positive effect of participation in the school sports clubs on learning attitude and be careful in choosing the events of school sports clubs, time allocation, picking instructer out, and securing a school budget in order to manage an effective and systematic school sports club programs. By doing so, they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participate in sports autonomously and help build health social relationship and further to enjoy lifelong sports.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실태를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참여와 비참여에 따라 나누어 분석해 보고 학교스포츠클럽과 체육학습태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체육학습태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체육 교수-학습의 효율성을 제공하며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을 통한 청소년들의 평생스포츠 활동 참여를 유도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 가평군에 소재한 중, 고 각 4개의 학교 중 8, 9, 10, 11학년 35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이용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청소년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스퀘어 검정(X²)을 이용하였고,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에 따른 체육학습태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 way-ANOVA)을 이용하였다. 학교스포츠클럽의 참여정도, 참여종목에 따른 체육학습태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 way-ANOVA)을 이용하였으며,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유·무에 따라 체육학습태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이용하였으며, 실증분석의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에 관한 일반적 경향을 알아본 결과, 참여종목은 단체스포츠, 참여동기는 나의 적성과 취미가 있기 때문, 참여형태는 쉬는 시간 및 점심시간에 참여, 참여기간은 3년 이상, 참여빈도는 3∼4일, 참여강도는 1시간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학생은 지난 3년 이상, 1주일에 3∼4일, 1일 1시간 미만, 적성과 취미 때문에, 쉬는 시간에 단체스포츠를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종목에서 여학생은 개인스포츠에 참여하고 있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남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참여형태에서 여학생은 방과 후 가족이나 친구와 운동한다가 상대적으로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참여기간에서 여학생은 1년 미만이 상대적으로 남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전체 체육학습태도와 구성요인 인지도, 흥미도, 자신감, 집중도, 자율성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에 따른 체육학습태도는 11학년이 가장 높았고, 9학년, 8학년, 10학년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의 참여정도에 따른 체육학습태도의 결과, 참여기간에 따른 차이는 3년 이상, 1년 미만, 1∼2년 순으로 나타났으며, 참여기간이 긴 경우가 전체적인 학습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빈도에 따른 차이는 1주일을 기준으로 3∼4일, 5일 이상, 1∼2일 참여자 순으로 나타났으며, 참여강도에 따른 차이는 1시간 미만, 1∼2시간, 2시간 이상 참여자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스포츠클럽의 참여정도에 따른 체육학습태도는 학교스포츠클럽을 3년 이상 참여하고, 1주일을 기준으로 3∼4일, 1일 기준으로 1시간 미만 참여한 학생이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스포츠클럽의 참여종목에 따른 체육학습태도의 결과, 참여종목에 따른 차이는 단체스포츠, 대인스포츠, 개인스포츠 순으로 단체스포츠에 참여하는 학생이 체육학습태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유·무에 따른 체육학습태도의 결과는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참여하고 있지 않은 학생들보다 전체 체육학습태도와 구성요인 인지도, 흥미도, 자신감, 집중도, 자율성 모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학교스포츠클럽의 참여에 따라 체육학습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점을 교사는 명확히 인지하고, 이에 따른 학교스포츠클럽의 종목 선정과 시간 배분, 강사 선정, 학교예산 확보 등 효율적이고 조직적인 학교스포츠클럽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 써 청소년들을 스포츠로의 참여를 유도하고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나아가 평생스포츠로 즐길 수 있도록 지도해야 될 것이다.

      •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와 학교생활만족의 관계

        이정근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mpact for school life satisfaction by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also, the study intends to provide necessary data for school sports club development and oper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100 middle school students of each school were chosen from three middle schools in Seoul, Korea. Among them, some data in which the response were considered poor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so questionnaires of 298 students were used for this study. And,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WIN 23.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difference based on the gender, the mal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all factors than the female students. But regarding the difference based on the school year, there’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of students.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on period, sports type were not effect on their school life satisfaction. However, regarding the difference based on the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on frequenc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The students who joined three times per week were more satisfied than students who joined one or two times and over four times per week.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와 학교생활만족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실증함으로써 향후 학교스포츠클럽 및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운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학교스포츠클럽의 개념·범주와 운영 현황 및 학교생활만족의 다양한 요인들에 관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설문 조사를 계획·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2018년 9월 6일부터 20일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3개 교의 중학교에서 각 100명씩 무작위로 표집하여 총 300명의 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한 다음 회수하였다. 회수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2부를 제외한 298부를 기 계획된 연구 방법에 따라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회귀분석(regression anlysis)을 실시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위와 같은 절차를 거쳐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의 참여가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모든 학교생활만족 하위 요인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 학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학년이 높아질수록 학교만족도가 낮게 나타나기는 하였으나 유의미한 차이라고 보이지는 않았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로는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기간이나 참여 종목의 유형(개인, 단체, 대인)은 학교생활만족도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횟수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 차이는 주 당 3회 참여 시의 만족도가 주 당 1회, 2회, 4회 이상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 학교스포츠클럽 참가 학생의 스포츠맨십·비스포츠맨십 행위유형 및 맥락 탐색

        오익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에 참가하는 학생의 스포츠맨십·비스포츠맨십의 행위유형과 맥락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질적 사례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인천광역시 소재 B 중학교의 방과 후 학교스포츠클럽 축구 활동에 참여하는 학생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체크리스트, 면담, 성찰 일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했다. 연구 결과, 첫째, 학교스포츠클럽에서 스포츠맨십 행위는 비스포츠맨십 행위보다 실천 횟수가 많이 나타났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에서 스포츠맨십과 비스포츠맨십 행위는 하위 요인별로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포츠맨십·비스포츠맨십 행위는 학교스포츠클럽의 참가 상황에서 경쟁 스포츠의 특성, 개인의 특성, 사회화 주관자에 의해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았다. 즉 동전의 양면처럼 학교스포츠클럽 축구 활동 시 여러 가지 상황과 배경 등 맥락에 의해 스포츠맨십뿐만 아니라 비스포츠맨십 행위또한 다양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스포츠클럽에 참가하는 학생들이 인성을 함양하고 바람직한 스포츠 문화를 형성해나가기 위해서 지도자는 학생이 스포츠맨십에 호의적인 태도를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하고, 스포츠 종목의 특성과 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의도적이고 구체적인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한다. 또한 지도 과정에서 학생의 상황별 행위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며 실천적 지도 지식을 발휘하고 학생들에게 스포츠맨십 행동과 태도를 솔선수범하는 인성 모델이 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behavioral types and contexts of sportsmanship and non-sportsmanship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s clubs.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after-school sports club were selected as the study participants at 'B' Middle School in Incheon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 checklists, interviews, and activity reflection log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sportsmanship behavior was practiced more than non-sportsmanship behavior in school sports clubs. Second, sportsmanship and non-sportsmanship in school sports clubs were variously categorized according to each factor. Finally, when exploring the context or situation that induces students' behavior, their sportsmanship and non-sportsmanship were the results caused by a comb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competitive spor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ocialization organizers. In other words, like two sides of the coin, not only sportsmanship but also non-sportsmanship can appear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ontext such as various situations and backgrounds during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Therefore, in order for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ports clubs to cultivate personality and form a desirable sports culture, leaders should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can show a favorable attitude toward sportsmanship, and apply a deliberate and specific school sports club program that takes account of the characteristics of sports events and students. In addition, while instructing them, it is necessary to lead by example as an instructor. That is, instructors should demonstrate practical guidance knowledge and exemplary sportsmanship to students while understanding their situational behaviors in depth.

      • 스포츠클럽에 대한 생활체육 동호인의 인식 : 농구 동호인을 중심으로

        이태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초 록 스포츠클럽에 대한 생활체육 동호인의 인식 이 태 훈 서울대학교 대학원 체육교육과 글로벌스포츠매니지먼트 생활체육 동호인 조직은 생활체육 활동에 참여하기 위해 형성된 가장 기본적이고 보편화한 조직체계이다. 하지만 구조적인 차원에서 생활체육 동호인 조직은 대부분이 성인 남성을 위주로 한정되어 여성, 유소년, 노인과의 연계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학교 운동부를 대체하여 엘리트 선수를 공급할 원천으로도 기능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불균형적 발전에 우리나라 정부도 선진형 스포츠 시스템 구축을 위한 체육 정책 중 하나로 스포츠클럽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스포츠클럽 지원사업은 시설 및 자생력 확보 측면에서 지속해서 문제점이 노출되는 실정이다. 이에 성공적인 스포츠클럽 도입을 위한 제도적, 재정적, 사회문화적 환경 구축에 대한 활성화 방안이 제시되고 있긴 하지만, 보다 근본적으로 국내 환경에서 스포츠클럽이 어떠한 역할로 기능할 수 있는지를 밝혀내려 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최대 스포츠 활동체인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조직변화와 이에 따른 변화관리 단계를 살펴봄으로써 이들이 경험하는 문제점과 한계를 파악하고, 대안으로 스포츠클럽이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스포츠클럽에 대한 동호인의 인식과 연결 지어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문헌 분석과 총 8명의 생활체육 동호인 조직의 운영진을 심층 면담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참여 목적에 따른 세력화’ 및 ‘팀 이탈에 따른 운영 불안정성’이 정체성의 문제로 제시되었다. 또한 열악한 시설 인프라와 대관 체제로 인한 ‘제한적 시설 접근성’과 ‘높은 종목 진입장벽’이 접근성의 문제로 지적되었다. 마지막으로 ‘비공식적 거대 커뮤니티’의 활성화와 ‘소수에게 편중된 동호회 대회’가 배타성의 문제로 나타났다. 또한 스포츠클럽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는, 긍정적 인식으로 ‘관심 스포츠 저변 확대’, ‘체제의 일원화’, ‘리그 체제 개선을 통한 참여 확대’가 도출되었다. 부정적 인식으로는 ‘잠재적 시설 확보의 경쟁’, ‘폐쇄적 운영 방식에 대한 우려’ 등이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연구 참가자들의 제언을 바탕으로 스포츠클럽을 통한‘수준별 정기 리그형 대회 추진’ 및 ‘정보 접근에 대한 일원화 된 지원 체제 구축’등의 효과적인 스포츠클럽 활용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현재 추진하고 있는 스포츠클럽 지원 사업이 우리나라 실정에서 구체화 되지 못한 환경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이에 스포츠클럽에 대한 이해와 프로그램을 실질적으로 겪어 본 동호인을 대상으로 한 경험적 탐구가 제한된다. 따라서 생활체육 동호인 조직과 스포츠클럽의 연계가 더 활발히 이루어진 연구 환경에서 본 연구로부터 도출한 스포츠클럽 활용방안을 보다 자세하게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스포츠클럽이 가지는 역할에 대한 합의가 명확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에서, 우리나라 최대 스포츠 활동체인 생활체육 동호인과 스포츠클럽을 연결 지어 살펴봄으로써 보다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효과적인 스포츠참여 방안에 필요한 의의와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주요어 : 생활체육 동호회, 스포츠클럽, 조직변화, 변화관리 학 번 : 2019-28506 Abstract Perception on Comprehensive Sports Clubs From the Traditional Sports Clubs’ Perspective Tae Hoon Lee Global Sport Management,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Traditional community sports clubs are most basic and popularized form of sports participation in Korea. Yet, on a structural level, traditional community sports clubs are mostly limited to adult males as they fail to include female, youth, and senior participants. Thereby, the current system cannot function as a source of raising elite athletes as well. Due to such developmental bias, the Korean government is attempting to adopt comprehensive community sports clubs as one of its sports policies in establishing advanced sports systems. However, the comprehensive community sports clubs in Korea are constantly exposing limitations in terms of securing facilities and self-sustaining. Although measures to revitalize the institutional, financial, and social environment for comprehensive community sports clubs are constantly being proposed, researches that focus on a detailed and practical roles that comprehensive community sports clubs may have in Korean settings are somewhat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first aims to explore the stages of organizational change and its corresponding change management strategies of traditional community sports clubs to understand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they have on current sports participation system. On top of that, in order to suggest the alternative ways the comprehensive community sports clubs may be used to their problem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traditional community sports club members have on the concepts of comprehensive community sports clubs. Qualitative research, consisting of document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8 different traditional sports club executives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ccordingly, ‘Power gam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participation’, ‘Operational instability due to team breakdown’, ‘Limited access to facilities’, ‘High barriers of entry to sports’, ‘Activation of the unofficial community’ and ‘Club tournaments biased against minority’ have been found as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raditional sports clubs face. As for the perception on comprehensive sports clubs, ‘Expanding the bases for sports of an interest’, ‘System unification’, and ‘Increase in participation through improved league systems’ have been found as positive expectations. Yet, ‘Potential competition in securing facilities’ and ‘Concerns on closed operations’ have been found as negative expectations. Based on findings and research participants’ suggestions, the researcher could suggest effective way of using the comprehensive community sports clubs as a platform for the ‘Promotion of regular league-type competitions’ and ‘Unified system for information access’. A perceived limitation to this study was that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in an environment where comprehensive community sport clubs have not been actualized in Korean settings. Hence, the experiential exploration of participants who have actually experienced the comprehensive sports clubs are limi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findings derived from this study in a research environment where the participants of comprehensive sports clubs are more actively engaged. Keywords : sport clubs, organization change, change management Student Number : 2019-28506

      •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가경험과 공격성의 관계

        성철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가경험과 중학생의 공격성의 관계를 분석하여, 학교스포츠클럽대회가 청소년들의 지속적인 스포츠 참가를 유도하고, 바람직한 성격과 정체성 형성이라는 발달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교육적 가치를 내재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 학교스포츠클럽대회를 활성화 할 수 있는 효율적인 운영방안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와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강서구와 양천구에 소재한 10개 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총 365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365부 중 불성실한 응답 19부를 제외한 346부를 최종 분석 하였다. 설문지의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을 빈도분석하고, 신뢰도를 분석하였으며, 공격성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변인에 따른 공격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e의 사후검증을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방법과 자료 분석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가경험이 없는 중학생은 참가경험이 있는 중학생보다 공격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공격성의 하위 영역인 적대감, 분노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가경험이 없는 남학생은 참가경험이 있는 남학생보다 공격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공격성의 하위 영역인 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적대감도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가경험이 없는 여학생은 참가경험이 있는 여학생보다 적대감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가 경험이 있는 학생 중 종목에 따른 공격성의 차이는 영역형 종목(축구, 농구, 플로어볼)이 필드형 종목(야구, 킨볼), 네트형 종목(탁구, 배드민턴) 보다 적대감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가 경험이 있는 학생 중 성별, 참여 게임 수, 참여 기간, 주당 연습시간에 따른 공격성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결과,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가경험이 있는 중학생은 참가경험이 없는 중학생보다 공격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가는 학생들의 신체적 발달뿐만 아니라 정신적, 사회적 발달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학교스포츠클럽대회는 청소년들의 지속적인 스포츠 참가를 유도하고 평생체육으로 가는 밑거름이 되는 동시에 향후 사회적 지지가 커질 수 있도록 단기적인 활성화 방안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계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이는 청소년들의 새로운 체육문화를 선도하는 대안으로 정착될 수 있고, 학교 문화를 바꾸어 나갈 것이며, 우리나라 스포츠의 선진화에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 학교스포츠클럽의 교육적 운영 개선을 위한 중학교 우수사례 질적 분석

        오대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우수학교 학교스포츠클럽이 이루어지는 제도적, 실천적 모습이 어떠한지 분석해 보고,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확인해 본 후, 학교스포츠클럽이 교육적 가치 실현을 위한 장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교육적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로는 첫째, 우수학교 학교스포츠클럽은 어떻게 운영되는가? 둘째, 우수학교 학교스포츠클럽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셋째, 우수학교 학교스포츠클럽의 교육적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넷째, 우수학교 학교스포츠클럽의 교육적 효과를 최대화시키기 위한 운영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이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에 기초하면서, 사례 연구의 논리와 기법에 기반을 두고 2012년 11월부터 2014년 1월까지 총 1년 3개월 동안 진행하였다. 전문가 협의와 문서 자료를 바탕으로 한 사례 분석을 통해서 학교스포츠클럽을 교육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세 곳의 중학교를 우수사례로 선정하였고, 각 학교의 교사 및 학생, 관할 교육청 행정가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 참여 관찰 및 비참여 관찰, 현지문서,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서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사례 기록 분석과 귀납적 범주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윤리를 준수하기 위해 인간연구심의위원회로부터 연구 승인을 완료하였으며, 연구의 전 과정에서 구성원 간 검토, 동료 간 협의, 삼각검증법을 활용하여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서 도출된 연구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곳의 우수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현황을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의 측면에서 분석하였고,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우수학교의 공통된 특성을 도출하였다. 교육목표 측면에서는 스포츠맨십 함양, 인성 함양과 같은 목표를 세움으로써 전인교육을 지향하는 교육적 관점의 목표를 설정하고 있었다. 교육내용 측면에서는 기법적 활동과 심법적 활동을 조화롭게 강조함으로써 스포츠를 잘 하도록 만들어줄 뿐만 아니라 스포츠의 정신, 전통, 안목 등을 함께 내면화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고 있었다. 교육방법 측면에서는 직접교수활동과 간접교수활동을 조화롭게 강조함으로써 기술지도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육적 가치를 습득할 수 있도록 방법을 활용하고 있었다. 교육평가 측면에서는 다양한 평가방법을 통해서 학교스포츠클럽이 교육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보완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우수학교 학교스포츠클럽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는데, 분석 결과 7가지 긍정적 영향과 3가지 부정적 영향으로 범주화하여 제시할 수 있었다. 먼저, 긍정적인 영향으로는 인성함양, 리더십함양, 진로탐색, 스포츠 문화체험, 긍정적 관계형성, 역량강화, 즐거움향유의 영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을 종합해볼 때, 학교스포츠클럽은 학생들의 문제행동을 감소시켜주는 소극적 관점의 접근을 넘어서서 긍정적인 가치들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적극적 관점의 교육적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부정적인 영향도 나타났는데, 소외학생 발생, 지나친 경쟁, 자율적 운영의 부작용 등이 나타났다. 이는 우수학교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수학교 학교스포츠클럽이 교육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본 결과, 교사 요인, 학생 요인, 내용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 요인으로는 교육적 운영자로서의 교사전문성, 교사 열정, 긍정적 관계 등의 특성이 나타났고, 학생 요인으로는 성공경험, 자발적 참여, 의사결정자로서의 학생 특성이 나타났으며, 내용 요인으로는 유비쿼터스포츠클럽, 학생중심 성찰활동 및 체험활동, 학생에게 부여된 운영 자율성, 클럽 고유의 전통성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요인들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학교스포츠클럽이 교육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요소가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은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넷째, 우수학교 학교스포츠클럽의 교육적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운영 방안들을 탐색한 결과, 인적 자원 측면, 운영 방법 측면, 행정 지원 측면으로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인적 자원 측면에서는 교사전문성 및 열정 고취를 위한 방안과 행정지원가의 역할 확대를 제시하였고, 운영 방법 측면에서는 학생중심 성찰활동 및 체험활동의 확대를 위한 방안과 저학년 리그 및 교내 리그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행정 지원 측면에서는 타당한 평가 척도 개발, 학급 운영과 동일한 지원체계 마련, 학교 급간 연계성 강화를 위한 노력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학교스포츠클럽이 보다 교육적인 방향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교사교육에서 학교스포츠클럽의 교육적 운영에 대한 내용을 다룰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서 특정 학교의 우수사례가 대다수 학교의 보편적 사례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이론적 수준과 실천적 수준의 통합을 위해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전담기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현재 운영되고 있는 학교스포츠클럽 리그운영 지원센터의 역할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의 교육적 가능성을 최대화하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양면적 특성을 지닌 요소들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동일한 요소임에도 활용하는 방법에 따라서 교육적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결과가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넷째, 학교스포츠클럽의 긍정적인 영향이 얼마나 지속되며, 일상생활로 전이되는 정도는 어떠한지에 관한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교육의 효과는 단시간에 일어나고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전부는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것을 고려하여 종단적인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 여자중학교 학생들의 스포츠클럽 참여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종보 강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여자중학교 학생들의 스포츠클럽 참여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 종 보 강원대학교 대학원 체육교육과 본 연구는 여자중학교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 389명과 비 참여 학생 401명에 대한 비교연구로 여자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동기가 학교생활 적응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밝혀보고 학교스포츠클럽의 효과를 알리며, 어떤 형태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동기가 효율적인 학교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고 그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과 비 참여 학생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는 학교생활전반, 교우관계, 학습관계, 교칙관계, 학교행사 요인 모두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이 비 참여 학생들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를 통하여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학교생활에 있어 활기차고 적극적인 활동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정도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는 참여기간에 따라 학교생활전반, 교육관계, 교사관계, 교칙관계, 학교행사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동기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의 차이는 학교생활, 교우관계, 학습관계, 교칙관계, 학교행사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관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참여시간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는 학교생활전반, 교사관계, 학습관계, 교칙관계, 학교행사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교우관계와는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자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차이 연구를 실제적인 측면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동해·삼척 소재 여자 중학생 중 학교스포츠클럽에 등록된 학생 389명과 비 등록학생 401명을 대상으로 배경변인과 종속변인에 따라 참가하고 있는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와의 관련성을 밝히고, 참여와 비 참여 학생들간의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동해·삼척 여자중학교 학생들은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 학생이 비 참 여 학생보다 학교생활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동해·삼척 여자중학교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기간은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동해·삼척 여자중학교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요인 이였다. 넷째, 동해·삼척 여자중학교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시간은 교우관계 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1시간 30이상 – 2시간 미만의 참여를 가장 선호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학교생활 만족도가 높았으며 즐겁 고 행복한 학교생활을 위하여 보다 다양한 학교스포츠클럽을 기획·운영 하여야 한다. 2) 연구대상자들의 가정환경, 지역환경, 지역형태, 학교형태등을 좀 더 세밀 하게 구분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좀 더 다양하게 질문지를 작성하 고, 조사․분석하여 학교현장에 제공할 필요있다. 3) 스포츠클럽의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하고, 지역 단위의 강사풀과 시설에 대한 네트워크의 구축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스포츠클럽을 통하여 스포츠맨십을 기르고 향후 평생체육의 기틀을 마련 하고 건강한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5) 스포츠클럽의 기획과 운영에 필요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이를 현장에 투입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

      • 학교스포츠클럽의 교육적 의의

        정문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논문의 목적은 학교스포츠클럽의 교육적 의의를 탐구하는 데 있다. 학교스포츠클럽은 체육활동에 취미를 가진 같은 학교의 학생으로 구성되어 학교가 운영하는 스포츠클럽이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추구하는 인간상은 ‘스포츠 활동의 체험을 통해 올바른 인성 요소를 내면화하고 이를 학교생활에 직접 적용하는 사람’이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교육적 효과를 연구한 선행 연구에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인성교육에 효과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에서 학교스포츠클럽의 교육적 의의를 탐구하기 위해 연구자는 직접 학교스포츠클럽을 운영하였다. 2016학년도 서울중부교육지원청 관내의 서울○○초등학교 학교스포츠클럽은 인성교육을 목표로 운영되었으며 전국스포츠클럽 대회에 참가하여 페어플레이 교육부장관상을 수상하였다. 질적 연구 결과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인성교육 차원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실제 학교스포츠클럽을 운영하면서 학교스포츠클럽을 통한 인성교육을 실현하는 데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경험하였는데 특히 스포츠 경기의 경쟁적 요소로 인한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질적 연구와 함께 학교스포츠클럽의 교육적 의의에 대한 교육 철학적 탐구를 하였다. 학교스포츠클럽을 통한 인성교육 가능성의 근거는 뒤르켐(David Émile Durkheim)의 도덕 사회화 논의에서 발견할 수 있다. 뒤르켐에 의하면 도덕성의 근원은 사회이며, 도덕 교육은 개인이 사회 속에서 사회의 규범이나 예절 등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뒤르켐의 도덕 사회화 관점에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며 체육 교과의 기준을 내면화하고 사회적 차원에서 바람직한 태도를 갖추는 것은 의미 있는 인성교육이 될 수 있다. 신체활동 교육의 목적과 방법에 관련하여 플라톤(Plato)은 통치자를 위한 초기의 교육에서 체육 학교(gymnastike)와 음악 학교(mousike) 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육체의 아름다움과 영혼의 아름다움을 함께 추구할 때 완전한 인격을 추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교 교육에서는 육예(六藝)를 중시하였다. 육예는 예의, 음악, 활쏘기, 말타기, 글쓰기, 수학으로 유교에서 중시하는 여섯 가지 기초 교양이다. 육예의 과목인 활쏘기와 말타기 교육의 목적은 군자의 덕을 함양하는 것이다. 동서양의 전통적 관점에서 신체활동 교육은 신체적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강조되었을 뿐만 아니라 지식 교육과 함께 덕을 함양하는 데 필요한 교육으로 강조되었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과 함께 적절한 지식 교육이 이루어질 때 바람직한 인성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신체활동이 그 자체로서 교육적 가치를 가진다는 관점을 통해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의 유의점을 알 수 있다. 루소(Jean-Jacques Rousseau)와 하위징아(Johan Huizinga)는 ‘놀이’를 수단으로 목적을 이루고자 하는 생각을 경계하는데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목적이 결과 지향, 성과 지향적으로 변질되었을 때의 문제점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칫 인성교육이라는 교육 목적을 지나치게 강조하게 될 때 자발적 동기로부터 시작하는 놀이는 그 가치를 잃게 된다.

      • 학교스포츠클럽의 참여만족이 스포츠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

        류미경 한국체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스포츠클럽의 참여주체인 중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에 자발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갖게 되는 참여자로서의 만족감이 스포츠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지역에 소재하는 3곳의 중학교에서 6개월 미만부터 1년 이상의 기간 동안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한 2, 3학년 중학생 총 245명을 비확률 표집방법인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t sampling method)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서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표준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중학생의 경우 학교스포츠클럽의 참여에 따른 건강증진과 문제해결능력의 향상에 대한 만족이 스포츠 관심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여자 중학생의 경우 학교스포츠클럽의 참여에 따른 사회성함양과 정서함양에 대한 만족이 스포츠 관심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 둘째, 2학년 중학생의 경우 학교스포츠클럽의 참여에 따른 사회성함양, 정서함양 그리고 문제해결능력의 향상에 대한 만족이 스포츠 관심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는 반면 3학년 중학생의 경우 학교스포츠클럽의 참여에 따른 사회성함양, 정서함양, 건강증진 그리고 문제해결능력의 향상에 대한 만족이 스포츠 관심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