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강합성 교량의 안전성 평가

        이태훈 원광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기존의 교량안전진단 방식은 변형률게이지와 가속도계 등의 센서를 부착하 고, 교량에 대한 정 동적 재하시험을 하여 그 결과 값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계측센서의 노이즈, 현장작업시의 문제점, 그리고 재하시험 시의 교통통제로 인한 교통체증유발 등의 문제로 인하여 개선되어야 할 점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대두 되는 교량안전진단 방법은 광섬유센서를 이용하여 교량의 거동계측을 수행하 는 것이다. 즉, 광섬유센서는 광섬유 자체의 물리적 변화에 기초하여 센서에 가해진 물리량을 측정하기 때문에 한가지 형태의 물리량만을 측정하는 기존의 전기저항식 센서에 비하여 적용 및 응용기법에 따라서 다양한 물리량의 측정 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광섬유 자체가 전송선의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응용방법에 따라서 하나의 단일 광섬유를 이용하여 여러 부위에서의 측정이 가능하며, 전자기 간섭이나 온도와 같은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다. 안정적이고 정밀한 계측수단인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교량의 거동이력자료 를 제공하여 현행 교량 안전진단의 주관적인 판단의존성을 보완하여 교량 건 전도의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부터 구조물의 내구성향상과 수 명연장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교량계측기법이 확립 된다면 상시계측시스템의 표준화 확립이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기점검 대상 구조물 중 강합성 교량의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광 섬유 센서를 이용하였다. 강합성 교량에 광섬유 변형률, 변위 센서를 부착하여 정적, 동적 재하시험을 실시한 후 구조 응답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 이터를 구조해석 결과 값과 비교한 후 응답비를 산출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Existing safety diagnosis method for a bridge is to carry out static and dynamic tests for a bridge with a FBG-STRAIN gauge and a FBG-ACC sensor attached and analyze measured data. However, many problems with this method have been pointed out, such as noises of measurement sensor, difficulties of field work, and traffic congestion caused by traffic control for the load test. Bridge behavior measurement using optic fiber is emerging as the most effective solution to the problems of existing safety diagnosis method for a bridge. Unlike an electrical resistance sensor, existing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LVDT) measuring a single physical quantity makes it possible to measure various physical quantities, depending on application method, by using an optic fiber sensor, which measures physical quantity applied to the sensor, on the basis of physical changes of optic fiber. In addition, as optic fiber itself functions as a transmission cable, it is possible to measure in many sections with a single optic fiber, according to application method, with no impacts from outside environment such as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temperature. Provision of bridge behavior history record based on optic fiber as a stable and precise measurement tool maximizes reliability of bridge soundness, by supporting dependence on subjective judgment of current bridge safety diagnosis method, and thereby enhances durability of a structure and extension of its lifespan. The establishment of optic fiber sensor-based bridge measurement method is expected to realize standardization of regular measurement system. Therefore, this study used an optic fiber sensor to test for safety of a steel-composite bridge among the structures of initial inspection. Static and dynamic load tests for a steel-composite bridge with an FBG-STRAIN and a differential transformer were carried out, before structural response data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structural analysis, with response ratio being calculated to test for safety of a structure.

      • 불연속면 특성을 고려한 암반사면 변위해석 방법에 대한 연구

        이태훈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토의 70%가 산악지대인 우리나라는 산업성장과 교통망확장 주거지 및 도심지 개발을 위해서 사면을 절취해 용지를 확보하고 새로운 영구사면을 형성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생성되는 사면은 토사사면, 암반사면, 복합사면으로 나타나고 사면에 따라서 특성에 맞는 설계로 사면이 설계 되어야 한다. 그러나, 토사 및 암반의 분류에 따라 설계되는 방식보다는 획일화된 설계 방식으로 비탈면이 조성되고 있다. 그러므로, 합리적이고 안정적인 비탈면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토사 및 암석의 종류에 따른 물성치를 적용하여 해석하고 시공 및 유지관리가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유사한 방향성을 갖는 불연속면의 대규모 개발공사 현장에서 사면의 안정성을 검토할 때 불연속면의 조사내용이 수치해석 적용에 차이점을 보이는지 알고자 한다. 따라서, 정밀한 불연속면 조사를 통하여 수치해석 방법을 실시하고, 일반적으로 검토에 사용되는 모델에서의 수치해석 결과를 분석하여 각각의 차이점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정밀지표지질조사와 평사투영해석을 수행한 후 실내시험을 실시하여 암석의 공학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산정해 유한요소법과 개별요소법으로 해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해석된 파괴 모형을 분석하여, 실제사면과 가장 유사한 모습을 보이는 신뢰성이 높은 해석방안을 찾고자 하며, 연구지역과 유사한 암반사면에 적용방안으로 제시하려 한다. Our nation, where the highlands cover seventy percent of the territory, shows increasing cases of which slopes are cut to secure sites and create new slopes, in order to develop urban and residential areas, to expand traffic network, and to achieve industrial growth. The created slopes a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soil slope, rock slope and complex slope. And the slopes need to be designed in accordance with each characteristic. However, the slopes are being created with standardized design methodology, without consideration of soil or rock categorization. Therefore, in order to create more practical and stable slopes, it requires to apply material properties with consideration of soil or rock categorization, and further analyze, construct and maintain them. This study is to acknowledge the difference of researched data about discontinuities to application of numerical analysis when reviewing the slope's stability at large construction sites of discontinuity. Therefore, it has reviewed differences in numerically analyzed results that are obtained from precise inspections on discontinuities and general models for reviewing purposes. For this, it performed precise geological ground survey and stereographic projection analysis, and further performed indoor tests to analyze the results using finite element methods(FEM) and discrete element methods(DEM), whilst quantitatively calculating engineering properties of rock mass. In this study, it is to analyze the calculated fracture models, to find more trustful analysing methodology that shows the most similar shape to the real slope, and to suggest applicable methodologies to rock slopes that are similar to that of researched areas.

      • Balanced Propofol Sedation vs. Propofol Monosedation in Therapeutic ERCP and EUS: A prospective randomized, double-blind study : 치료적 ERCP/EUS에서 단계적 프로포폴 수면과 프로포폴 단독 수면의 전향적 이중맹검 비교연구

        이태훈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47

        Background/Aims: Prolonged or complex endoscopic procedures are frequently performed under deep sedation. However, no studies have compared balanced propofol sedation (BPS) and propofol alone titrated to moderate levels of sedation in therapeutic ERCP or EUS. We designed this study to compare the sedation efficacy and safety of BPS and propofol monosedation in therapeutic ERCP and interventional EUS. Design and Setting: A prospective randomized double-blind study in a tertiary-care referral center. Patients and Intervention: A total of 218 consecutive patients who were scheduled for therapeutic ERCP or EUS were enrolled from April to September, 2011. BPS (midazolam, fentanyl, and propofol) or propofol monosedation titrated to a moderate level of sedation by trained registered nurses was performed under endoscopist supervision. Main Outcome Measurements: The primary objective was to compare sedation efficacy. Secondary outcomes included sedation safety, procedure outcomes, and complication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dation efficacy, safety, procedure outcomes and complications, with the exception of recovery time. Mean recovery time (standard deviation) was 18.37 (7.86) minutes in BPS group and 13.4 (6.24) minutes in propofol monosedation group, respectively (P < .001). In a safety analysis, cardiopulmonary complication rates related to BPS and propofol monosedation were 7.8% (8/102) and 9.6% (10/104), respectively (P = .652). No patient required assisted ventilation or permanent termination of a procedure in either group. Technical success rates of endoscopic procedure were 96.3% and 97.2%, respectively (P = .701). Endoscopic procedure-related complications and outcomes did not differ depending on the sedation protocol. Conclusions: Propofol monosedation by trained, registered sedation nurses under supervision was an efficient and safe sedative method in therapeutic ERCP and EUS. It provided a rapid recovery time without differences in sedation efficacy, quality, and safety.

      • 태권도 미디어 콘텐츠의 SNS 마케팅이 브랜드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게이지먼트의 매개효과

        이태훈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태권도 미디어 콘텐츠의 SNS 마케팅이 브랜드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게이지먼트의 매개효과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태권도학 전공 이태훈 본 연구는 태권도 미디어 콘텐츠의 SNS마케팅이 브랜드태도 및 행동의 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여 SNS마케팅과 브랜드태도, 행동의도 사 이에서 인게이지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룰 바탕으로 SNS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서 태권도 미디어 콘텐츠의 이용자가 태권도수련 의 향을 향상 시키고, 운동 욕구를 자극할 수 있도록 하며,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서 태권도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대상은 태권도를 수련 하고있 는 고등학생과 태권도를 전공 하고있는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고, 비확률표본추출법(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중 편의표본추출법 (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422명의 표본을 수집하였으 며, 회수된 설문지 중 이중 응답과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는 본 연구에 서 사용할 수 없다고 판단되어 80부를 제외한 342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를 분석하기 위해 SPSS ver. 25와 PROCESS Macro v4.1(Hayes, 2017)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태권도 미디어 콘텐츠의 SNS마케팅은 인게이지먼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위요인인 정보제공성, 상호작용성은 영향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미디어 콘텐츠의 SNS마케팅은 브랜드태도에 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보제공성, 상호작용성, 정보신뢰성은 영 향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태권도 미디어 콘텐츠의 SNS마케팅은 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보제공성, 상호작용성, 정보신뢰성은 영향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게이지먼트가 브랜드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다섯째, 인게이지먼트가 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여섯째, 브랜드태도가 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일곱째, 태권도 미디어 콘텐츠의 SNS마케팅이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 향 관계에서 인게이지먼트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인게이지먼트가 SNS마 케팅과 브랜드태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정(+)적인 매개효과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태권도 미디어 콘텐츠의 SNS마케팅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인게이지먼트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인게이지먼트가 SNS마케팅 과 행동의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정(+)적인 매개효과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적인 검증들이 나타났기 때문에 SNS의 미디어 콘텐 츠를 통해서 태권도 발전에 충분히 이바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태권도 발차기 기술의 발전, 태권도의 단순한 홍보에서 그치지 않고 변해가는 시 대에 걸맞게 충분히 태권도의 발전 또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하고 있는 SNS이기 때문에 충분히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둘 수 있다고 판단된다.

      •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공정과 집합조직의 상관관계 연구

        이태훈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Study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exture in non-oriented electrical steels Tae-Hoon Lee Department of Information and Nano Materials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abstract According to high power saving, high efficiency and miniaturization of appliances, low core loss and high flux density non-oriented electrical steels are demanded. The core loss of non-oriented electrical steels is affected by content of Silicon, thickness of a plate, grain size and texture mainly. The flux density is changed by content of Silicon and texture. Consequently, in oder to improve the flux density and diminish the core loss, it is important that the grain is made up optimum grain size and <100>∥ND texture that includes easy magnetizing direction. One of the methods that improve magnetic property is hot band annealing. When undergoing many process, hat band annealing is affected at grain size and texture of final products. This study is focused on understa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exture.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공정과 집합조직의 상관관계 연구 이 태 훈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정보나노소재공학과 요 약 최근 전기기기의 고절전화, 고효율화, 소형화 추세에 따라 철손이 낮으면서 동시에 자속밀도도 높은 무방향성 전기강판이 요구되고 있다.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철손은 주로 규소의 함량과 판의 두께에 의해 좌우되지만 결정립의 크기와 집합조직에 따라서도 변한다. 또한 자속밀도는 규소의 함량에 따라 대부분 결정되지만 집합조직에 따라 현저히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철손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자속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결정립을 적정크기로 성장시키고, 이러한 결정립들이 자화에 용이한 축을 포함한 {200}, {110}면을 갖도록 집합조직을 형성하는 것이 관건이다. 두 가지 자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 중 하나는 열연판 소둔을 실시하는 것이다. 열연판 소둔은 여러 공정을 거쳤을 때 최종제품의 결정립과 집합조직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는 열간압연, 열연판 소둔, 냉간압연, 최종소둔에 거치는 단계의 각 제조공정이 집합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최종제품의 집합조직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 웹 기반 소프트웨어의 정형 검증

        이태훈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웹 의 편리성 때문에 웹 기반 소프트웨어의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기존에 웹 과 관련 없는 소프트웨어도 접근과 사용의 편의성 때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축을 웹 기반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웹 기반 소프트웨어의 수가 증가하고 많은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한다면 기존 소프트웨어에 비해서 더욱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웹 기반 소프트웨어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소프트웨어 설계 및 검증 기술을 웹 기반 소프트웨어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웹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에는 기존에 개발된 설계 기술과 검증 기술이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안전한 웹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정형 검증 기술을 자바로 작성된 웹 기반 소프트웨어에 적용한다. 본 논문에서 검사하는 검증 속성은 3가지 종류가 존재한다. 첫 번째 검사 속성은 일반적인 프로그램 오류이다.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중에 자원 누수와 assert 위반에 대한 검사를 수행한다. . 두 번째 검사 속성은 웹 기반 소프트웨어가 설계 모델대로 동작하는지를 검증한다. 설계 단계에서 작성된 설계 모델과 실제 웹 기반 소프트웨어의 행위를 비교하여 설계 모델과 웹 기반 소프트웨어가 시뮬레이션 관계인지 아닌지를 자동으로 검사한다. 세 번째 검사 속성은 보안 취약점이다. 매달 국내에서만 수백 건의 침입 사고가 발생하고 대부분은 웹 기반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보안 취약점 때문에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장 널리 알려진 보안 취약점인 SQL Injection 에 대해서 보안 취약점 검사를 수행한다. 웹 기반 소프트웨어에서 3가지 속성을 검사하기 위해서 자바 모델 체킹 도구인 JavaPathFinder 를 이용하여 웹 기반 소프트웨어를 검증한다. 하지만 JavaPathFinder 는 웹 기반 소프트웨어를 위해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웹 기반 소프트웨어의 라이브러리들을 지원하고 있지 않고 검사 방법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서 JavaPathFinder 를 이용해서 웹 기반 소프트웨어의 검증 방법을 제안한다. 검증 도구를 큰 시스템에 적용할 때 검사해야하는 상태의 수가 증가하는 상태 폭발 문제가 발생한다. 대규모 웹 기반 소프트웨어 검증에서 발생하는 상태 폭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성되는 HTML 구문의 크기를 축소하는 기법과 중복되는 HTML tag 생성을 제거하는 방법과 불필요한 HTML 을 저장하지 않는 방법을 적용하여 효율적으로 검증을 수행할 수 있었다. 제안 된 검증 도구를 자바로 작성된 웹 기반 소프트웨어인 WebGoat 과 경기대 Single Sign On 시스템에 적용 하였다. WebGoat 은 OWASP 재단에서 개발한 보안 취약점 시연용 소프트웨어이다. 검증 도구를 이용해서 인위적으로 추가한 보안 취약점을 찾아낼 수 있었다. 경기대 Single Sign On(SSO) 시스템은 경기대학교의 통합 로그인 시스템이다. SSO 시스템의 설계 모델과 실제 구현을 비교해서 SSO 시스템의 구현이 설계 모델대로 동작하지 않는 것을 찾아냈다.

      • 3세대와 4세대 이동통신망에서 음성통화서비스 품질의 비교 연구

        이태훈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3세대와 4세대 이동통신망에서 음성통화서비스 품질의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Quality of Voice Call Service in 3rd Generation and 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산업경영공학과 이 태 훈 지 도 교 수 최 우 용 스마트폰 가입자의 확산으로 인하여 데이터 사용량은 2010년 이후 급증하였고, 유트브와 트위터 등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하고자 사용자 요구 사항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구글과 애플사가 안드로이드와 IOS라는 스마트폰 OS와 앱스토어라는 새로운 서비스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 시장에 영향을 주는 기업으로 부상하였다. 이처럼 급변하는 통신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존 이동 통신 사업자들은 데이터 분산 및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하여 차세대 이동 통신망 도입 시기를 단축하였고, 새로운 수익 사업 모델 및 음성과 데이터가 융합된 새로운 서비스 개발을 모색하고 있다. 이동 통신 서비스는 1989년 아날로그 음성 통화 서비스를 시작으로, 1990년대 중반 문자 메시지 전송과 디지털 음성 통화 서비스가 가능한 2세대 방식으로, 그리고 2000년 이후에는 저속의 데이터 서비스와 사진 및 저화질 동영상을 주고 받을 수 있는 3세대 이동 통신 방식으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국내 이통 통신 사업자인 LG유플러스와 SK텔레콤은 2011년 7월 고속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는 4세대 이동 통신 표준 방식인 LTE (Long Term Evolution) 서비스를 상용화 하였고, 현재 지속적으로 가입자가 증가하고 있다. 음성, 사진, 데이터, 비디오 등이 결합된 새로운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한 개의 전송 매체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 음성 서비스 망은 음성 서비스만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서, 융합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주파수 대역폭 (bandwidth)과 전송 속도가 충분하지 않다. 그래서 고속의 이동통신 데이터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전송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인터넷 망에서 음성을 실어 보내는 서비스를 VoIP (Voice Over IP)라고 하고, 4세대 이동 통신인 LTE 서비스 망에 음성을 전송하는 방식을 VoLTE (Voice Over LTE) 서비스라고 한다. 고속의 LTE 망을 이용한 VoLTE 서비스는 효율적으로 음성을 전송하는 기술을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음성을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연구는 3세대 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음성 전송 방식과 4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인 VoLTE 서비스의 음성 전송 방식의 차이점과 관련한 기술에 대해서 조사하였고, 두 방식의 음성 통화 품질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VoLTE서비스는 3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에 비해서 통화 접속 시간이 2배 이상 빨라졌고, 상대적으로 더 미약한 신호 세기에서도 음성통화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음성 통화 품질도 3세대 이동 통신 방식에 비해서 35%이상 개선되었음이 확인되었고, 동시에 FTP와 같은 일반 데이터 사용량이 증가하여도 음성 서비스용 패킷에 대한 전송 지연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VoLTE 서비스는 데이터망에 음성을 실어 보내는 방식으로 실시간 음성 서비스 처리 가능성에 대한 의문점이 있었으나 본 연구를 통하여 실시간 음성 통화 서비스가 문제없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육군 소부대 도시지역 전투능력 강화 방안 연구

        이태훈 우석대학교 국방정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록> 육군 소부대 도시지역 전투능력 강화 방안 연구 국방정책학전공 이 태 훈 지도교수 남궁 승 필 21세기의 전쟁양상은 지난 세기와는 다르게 도시지역전투가 일반화되었다. 북한도 이러한 전쟁양상의 변화에 발맞춰 특수작전부대를 활용한 도시지역에서의 테러와 비선형 전투를 집중적으로 준비하고 있다. 따라서 육군은 이러한 북한의 새로운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방책을 구상해야 하며, 특히 소부대의 도시지역 전투능력 향상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육군은 미래 전장의 중심이 도시지역이 될 것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준비해야 한다. 둘째, 미 육군이 실전을 통해 얻은 교훈을 벤치마킹하여 육군 소부대의 무기체계에 적용해야 한다. 셋째, 소부대의 도시지역 전투기술을 향상 및 유지시킬 수 있는 전문교육기관을 설립하며 넷째, 육군 소부대의 도시지역전투 수행능력을 부여하기 위한 훈련체계와 편제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방개혁을 통해 위의 네 가지 방안이 실현된다면 변화하는 전쟁양상과 북한의 위협에 즉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으며, 한반도 미래전의 중심이 될 도시지역전투에서 승리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n Ways to Strengthen MOUT Capabilities of the ROKA's Small Units Department of National Defense Policy : Lee, Tae-Hun Advisor : Professor Nam-Gung, Seung-pil Wars in the 21st century have been generalized military operations in urban terrain (MOUT) compared with last century. DPKR is also preparing for urban terrors and nonlinear urban combats using SOFs. Therefore, the ROKA is required to cope with these new threats of DPKR, and spur to improve small units' MOUT capabilities in particular. This study suggests three ways from a problematic perspective as mentioned above. First of all, the ROKA must recognize the fact that the urban area will be major combat fields in the future. Secondly, the ROKA has to benchmark the US Army's weapon system upgraded through the Iraq and Afghanistan War. Thirdly, the ROKA is required to build the training center to develop small units' MOUT tactics, techniques, training systems, and organizations. Fourth, continuous development of training system and organization for granting the capability of the army subcompacts to perform combat in urban areas. The ROKA can equip abilities for adapting to changing wars and DPKR's new threats and simultaneously overwhelm the enemy wherever it executes the MOUT if three ways are actualized through ongoing Defense Reforms. Keywords: MOUT, SOFs, small units, Defense Refo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