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마트기기 활성화에 대한 초등교사의 대응 양상

        유혜민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교육 현장의 스마트기기 활성화에 대해 초등학교 교사들의 대응 양상을 스마트기기 활용 방식을 통해 살펴보며, 이에 대한 활용 요인을 살펴본다. 또한, 스마 트기기가 보급된 교육 현장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의 경험을 통해 스마트기기 활성화로 인한 교육 현장의 실제와 교육적 의미를 연구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경상남도 관내 A초등학교 교사 10명과 면담을 하였으며, 관련된 문헌 및 각종 공문서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A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은 경상남도 교육청에서 보급한 1인 1스마트기기를 학교 및 가정에서 활용하며 1) , 개인에게 대여된 단말기이기 때문에 학생이 가정에서 충전을 하며 보관 및 수업에서 사용할 준비를 해야 한다. 교사 10명과 진행한 면담 속 스마트기기는 경상남도 교육청에서 보급한 1인 1스마트기기인 아이북을 뜻하며, 아이북이 아닌 기기의 언급에 대해서는 해당 기기의 종류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1. 스마트기기 도입에 대해 초등교사들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가? 연구 문제2. 스마트기기 활용 경험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 참여자들의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수업 시간과 수업 외의 시간에 스마트기기를 활용하는 양상을 보였다. 먼저 수업 시간에는 학생 간, 학생-교사 간 학습자료와 결과물 공유, 조사학습, 가상 모형 체험, 소프트웨어 학습을 위해 1인 1스마 트기기가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프라인 공간에서 대면으로 행해지던 교육 활동 들이 온라인 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특징이 나타나며, 모든 학생들이 동일한 기기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활용 방식에 크게 작용한다. 수업 외의 시간에는 방과 후 학습, 소통 통로, 컴퓨터 기능 익히기, 독서 활동을 위해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 후 SW/AI동아리와 보충학습을 위해 교사는 학생 들이 스마트기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였으며, 학생들이 어디에서나 스마트기기를 휴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간과 시간적 제약이 극복되었다는 특징을 보인다. 교사와 학생들과의 소통과 학급 자치 활동을 위해 스마트기기가 활용되며, 학생들은 컴퓨 터에 흥미를 붙이고 기능을 익히기 위해 교육용 프로그램에 접속하여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놀이를 하거나 타자 연습을 하는 등 스마트기기 활용에 대해 교육 현장이 수용적인 태도를 보이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이 독서 활동을 할 때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도서 검색, 독후 기록장 작성 등의 습관을 들일 수 있도록 학급에서 지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현장의 스마트기기 보급 및 활용이 활성화된 것에 대해 교사들의 대응 양상이 위와 같이 나타나는 영향 요인으로는 시대적 요구, 교사 개인의 활용 의지 및 능력, 동료 교사의 영향, 교사의 수업관, 스마트기기 활용을 요구하는 대회로 인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사회의 변화에 맞춰 이에 맞는 교육이 학생들에게 제공되어야 한다는 요구, 교사 개인이 스마트기기를 수업에 활용하고자 하는 의지와 스마트기기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 동료 교사의 도움으로 수업에 스마트기기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조언 받는 등 동료 교사의 영향으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하게 되는 계기가 나타났으며, 교사의 수업관 또한 활용 요인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각종 수업 연구 대회에서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스마트기기를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기기 활용 경험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은 크게 교육 실천에 대한 지원과 교육적 의미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교육 실천을 위한 지원으로서 환경적 제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효과적인 수업도구, 학습지도 환경개선, 실질적 지원 및 협조의 필요, 활용 시 발생하는 어려움 해결 필요, 위에서 아래로의 보급, 교사 소진으로 도출할 수있다. 교육적 의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자율성(自律性) 증진, 학생 수업태도 개선, 스마트기기 활용에 대한 인식 변화, 스마트기기 활용의 효과성에 대한 의문, 디지털 리터 러시 선행의 필요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교육 현장에서의 스마트기기 활용과 관련된 연구 주제를 연구한 다양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반영하여 학교 환경 특성, 교사 업무 환경 특성, 학생 특성 등 다방면의 요소들을 고려하여 스마트기기 활용 정책이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실질적 지원에 대한 교사들의 희망을 바탕으로 교육 행정적 제반으로서의 지속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확장된 연구 대상을 선정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교육 현장에 적합한 스마트기기 활성화를 위해 스마트기기 활용 요인 중 어떤 영향 요인이 우세한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sponse patter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the activation of smart devices in educational settings by investigating the utilization methods of smart devices. It also explor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utilization. Additionally, it is a qualitative study that investigates the actual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mart device activation in elementary school setting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eachers 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smart devices are widely distributed. For the researc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teachers from A Elementary School in Gyeongsangnam-do, and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relevant literature and various official documents. Students in grades 4-6 at A Elementary School utilize 1:1 smart devices provided by the 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 at school and home. Since these devices are personally assigned, students are responsible for charging and preparing them for use in class at home. The research questions set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pond to the introduction of smart devices?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ir experiences with the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What is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The analysis of interview contents with research participants revealed that teachers' use of smart devices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during class time and outside of class time. Firstly, during class time, it was observed that individual smart devices were used for student-to-student and student-to-teacher sharing of learning materials and outcomes, inquiry-based learning, virtual model experiences, and software-based learning. Educational activities that were traditionally conducted face-to-face in offline spaces are now taking place in online spaces, and the fact that all students can use the same device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utilization method. Secondly, outside of class time, smart devices were found to be used for after-school learning, communication channels, acquiring computer skills, and reading activities. Teachers guided students in using smart devices for after-school software/AI clubs and supplementary learning, overcoming spatial and temporal constraints as students can carry smart devices anywhere. Smart devices were employed for communication with teachers and students, classroom autonomy activities, and engaging students in educational programs to develop interest and proficiency in computer use. The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use of smart devices for student guidance were analyzed as societal demands, teachers' individual willingness and abilities, influence from colleagues, teaching philosophy, and participation in competitions requiring the use of smart devices. The study revealed that societal demands for education to align with social changes, teachers' personal willingness and abilities to use smart devices in teaching, guidance from colleagues on how to incorporate smart devices into lessons, and teachers' teaching philosophies all played a role in the adoption of smart devices. Furthermore, teachers actively embraced the use of smart devices to achieve good results in various educational research competitions.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ntroduction of smart devices could be broadly categorized into support for educational practice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al support for educational practice included the need for effective teaching tools, improvement of learning environment, practical support and collaboration, resolution of difficulties arising from utilization, top-down distribution, and teacher burnout. Teachers' perceptions of educational significance included the analysis of autonomy enhancement, improvement of student attitudes toward classes, changes in perceptions of smart device use, skepticism about the effectiveness of smart device use, and the necessity of digital literacy preceden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posed. First, considering the diverse results of variou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use of smart devices in educational settings, policies for the use of smart devices should take into account various factors such as schoo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teacher work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student characteristics. Second, continuous support from educational administration should be provided based on teachers' hopes for practical support. Thir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select an expanded research target, and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determine which factors among those influencing the use of smart devices are predominant for the effective activation of smart devices in educational settings."

      • 스마트기기를 통한 초등학생의 디지털 활동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보윤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기초연구로서, 초등학생의 스마트기기를 통한 디지털 활동 경험을 당사자의 시각에서 조망해봄으로써 경험의 본질적인 의미를 밝히고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 테크놀로지 통합 학습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초등학생의 스마트기기를 통한 디지털 활동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이다.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실제적인 경험의 목소리를 고찰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따랐다. 스마트기기 중독 자가 진단에서 일반 사용자군에 속하며 자신의 경험을 생생하게 잘 표현할 수 있는 3,4,5,6학년 학생 9명을 전형적 사례 표집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심층 면담에 앞서 사전 활동지를 작성하도록 함으로써 연구 참여자들이 관련 경험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자는 자료 분석의 전 과정에서 ‘판단 중지’를 실시하여 의식의 지향성을 멈추고 현상을 ‘본질 직관’하고자 노력하였으며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연구 참여자들의 개인적 속성보다는 공통적 속성을 발견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연구 결과 총 272개의 의미 있는 진술(significant statemanet), 47개의 구성된 의미(fomulated meaning), 18개의 주제(themes), 6개의 주제 모음(theme clusters)이 도출되었다. 이 주제와 주제 모음들은 연구 문제의 답으로서 경험의 본질을 구성하는 의미구조라고 판단되었으며, 연구자는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스마트기기를 통한 디지털 활동 경험을 획득, 관계, 놀이, 정체성, 통제, 문제해결이라는 구조로 이해할 수 있었다. 초등학생의 스마트기기를 통한 디지털 활동 경험은 ‘선물 받은 입장권’으로서 스마트기기를 획득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이후 초등학생들은 주로 관계 맺기와 놀이의 맥락에서 디지털 활동을 하면서 ‘항상 연결된 너와 나’, ‘한 가지로 누리는 즐거움’을 경험한다. 또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디지털 활동 경험의 전반에 걸쳐 이중적인 정체감과 자유와 통제 사이의 갈등을 겪는데, 이는 ‘멋진 나와 그렇지 못한 나’, ‘내 맘대로 하고 싶지만’이라는 인식으로 나타난다. 초등학생들은 스마트기기로 디지털 활동을 하며 겪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더 나은 사용을 위한 고군분투’ 단계로 나아간다.연구 결과를 통해 초등학생의 일상 경험적 측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측면, 테크놀로지 통합 학습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초등학생의 일상 경험적 측면에서는 첫째, 초등학생들이 스마트기기 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사회적 차원의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자녀의 스마트기기 사용에 있어서 부모가 일관적인 양육 태도를 견지할 수 있도록 돕는 방안이 요구된다.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측면에서는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소재로서 초등학생의 일상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역량 중 ‘표현과 생산’, ‘이해와 비평’에 초점을 둔 교육 설계가 필요하다. 셋째, 디지털 리터러시 기반역량과 관련하여 ‘윤리와 보안’, ‘웰빙과 문화’에 집중하여 교육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 테크놀로지 통합 학습 측면에서는 첫째, 스마트기기를 수업에 통합할 때 그 사용방안에 있어서 학습자에게 자율적인 선택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스마트기기 기반 온라인 학습을 설계할 때에는 학습자의 동기를 확실히 유발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학습자의 문화에 대한 이해는 교수설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전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파악된 초등학생의 스마트기기를 통한 디지털 활동 경험의 본질적 의미가 초등학생의 삶과 밀접하게 연계된 교육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As a basic research,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essential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gital activity experience through smart devices by viewing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t tried to draw implication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technology integrated learning. The research question set in this study is “What is the essential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gital activity experiences through smart devices?”This study followed a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to examine the voi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tual experiences. As a typical case sample, nine students in grades 3, 4, 5, and 6 were sampled, and they belonged to the general user group in self-diagnosis for smart device addiction and were able to express their experiences vividl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y participants. In addition, prior to the in-depth interview, research participants were asked to fill out a preliminary activity sheet so that they could activate the relevant experiences. In the entire process of data analysis, the researcher tried to stop the orientation of consciousness and to intuit the essence of the phenomenon. By apply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the researcher tried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by focusing on discovering common attributes rather than individual attributes of the study participants.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272 significant statemanets, 47 fomulated meanings, 18 themes, and 6 theme clusters were derived. These themes and theme clusters were considered to be the semantic structures that constitute the essence of experience and as answers to the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was able to understand the digital activity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smart devices in the structure of acquisition, relationship, play, identity, control, and problem solving.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 of digital activities through smart devices begins with acquiring smart devices as “gift tickets”. Since th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inly engage in digital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relationship and play, and experience ‘always connected you and me’ and ‘the joy of having one thing.’ In addition, throughout the experience of digital activities through smart devices, there are a dual sense of identity and a conflict between freedom and control, which are indicated by the perception that ‘I'm cool and I'm not,’ and ‘I want to do what I want’. Elementary school students go to the stage of ‘struggling for better us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ey face while doing digital activities with smart devices.Through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were drawn from the aspect of everyday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aspec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the aspect of learning in which technology is integrated. In terms of everyday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social alternatives so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enjoy leisure in various ways other than smart devices. Second, there is a need for a way to help parents maintain a consistent parenting attitude in their children's use of smart devices.In terms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veryday contex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the subjec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Second, when designing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cus on “expression and production” and “understanding and criticism” of digital literacy performance competency. Third, with regard to digital literacy foundation competency, it is necessary to focus on ‘ethics and security’ and ‘well-being and culture’ when composing educational content.In terms of technology-integrated learning, first, when integrating smart devices into a class, it is necessary to provide learners with an opportunity of autonomous choice in terms of how to use them. Second, when designing smart device-based online learning,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reliably induce learners' motivation or control their departure from learning.Understanding the learner's culture is the most important premise for instructional design. It is hoped that the essential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gital experience through smart devices identified in this study will lead to education closely linked to their lives.

      • 스마트기기 활용 학습이 경도장애학생의 교과흥미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재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스마트기기 활용 학습이 경도장애학생의 교과흥미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각각 4명을 선정하여, 실험기간은 2013년 9월 셋째 주부터 10월 넷째 주까지 6주 동안 주 3-4회씩 총 12차시에 걸쳐 진행하였다. 교육내용은 노래와 관련된 주제별 학습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교수를 실시하고 통제집단에게는 스마트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교수‧학습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기기 활용 학습이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경도장애학생의 교과흥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29 < .05).둘째, 스마트기기 활용 학습이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경도장애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486 > .05). 즉 스마트기기 활용 학습을 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교과 내용, 교과 가치 및 노력, 교과에 대한 유능감에 있어서 향상을 보였다. 한편, 스마트기기 활용 학습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효능감(p=.029 < .05)에서는 효과가 있었으나 과제난이도 선호, 자신감에서는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스마트기기 활용 학습은 학업성취가 낮으나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가 없는 경도장애학생에게 있어서 과제난이도 선호, 자신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스마트기기 활용 학습은 경도장애학생의 교과흥미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기기 활용 학습은 경도장애학생들의 교과에 대한 흥미와 주의집중, 수업 참여 등의 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관성력 측정을 위한 스마트 기기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교수학습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권태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서책형 교과서을 기반으로 스마트 러닝을 실현하고자 개발된 디지털 교과서는 2014학년도부터 학교에서 적용되고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실험은 실험 동영상, 시뮬레이션 등의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지만, 디지털 교과서의 기반인 스마트 기기의 센서를 활용하여 실험하지는 않는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해외의 경우 스마트 기기를 실험 도구로 취급하여 여러 실험을 수행하였고, 디지털 교과서에 적용하면 개인이 실험 도구를 소지한 것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2013년 73%에 이르는 높은 스마트 폰 보급률과 높은 ICT 리터리시 수준을 이용하면 학생들이 쉽게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실험에 적응하리라 기대되지만, 2013년 안드로이드의 운영체제 점유율이 90%에 이르는 국내 스마트 기기 환경은 해외와 차이가 있어 적합한 교육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를 실험 도구로 사용하는 실험 수업 자료를 개발 및 적용하여 스마트 기기를 실험 도구로 사용하는 실험의 특징을 보여주는 실험을 개발하고, 학생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실험 수행 능력을 확인하며, 교사들의 의견을 통해 활용 방안에 탐색하고자 하였다. 개발한 관성력 측정 실험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제시된 일반 상대성 이론 관련 단원 물리 I ‘시공간의 새로운 이해’ 의 탐구 활동 예시로 제시된 ‘엘리베이터에서 무게 재기’ 실험을 바탕으로 하였다. 실험에 사용되는 스마트 기기의 센서는 제조사에서 제공한 설명서에 따라 MBL 의 센서와 성능이 유사함을 확인하였고,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은 Android SDK와 eclipse을 이용하여, 중력가속도를 제외한 가속도의 측정, 자료의 기록(최대최솟값), Sampling Rate 등을 실험에 적합하도록 개발하고, 플레이 스토어에 등록하였다. 실험 수업의 적용 대상은 교직경력 4, 7년차인 교사 A, B에게 수업 전후로 인터뷰를 하였고, 이들이 지도하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 14명과 2학년 학생 8명에게 수업 후 설문하였다. 교사는 물리I을 지도한 경험이 있으며, 학생도 기이수한 학생이었다. 수업 지도안은 5E 순환학습모형에 기반을 두어 작성하였고, 지도안에 따라 수업은 2차시로 나누어 참여와 설명 후 실험을 탐색 과정으로 보고 2-3일의 시간동안 학교 밖에서 실험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인터뷰 이전에 질문지를 작성하여 전 수업의 상황과 실험을 수행하지 않은 이유, 개발된 실험 수업의 활용방안에 대한 의견을 듣고자 했다. 학생 설문지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실험의 수행 능력을 확인하고자 실험의 쉬움 정도와 어려운 점, 실험 시간, 다른 상황에서 스마트 기기의 센서 사용경험을 설문하였다. 적용 결과 64%(n=14)가 실험을 수행하고,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설문에는 실험을 수행한 학생만 참여하였으며, 스마트 기기를 사용한 실험의 쉬움 정도의 평균은 리커르트 5단계 척도법에 의해 3.21로 보통과 쉬움 사이였다. 실험 시간이 20분 이상 걸린다고 답한 학생이 실험을 수행한 학생 중 50%(n=7)으로 가장 많았고, 실험 중 어려운 점으로 변화하는 저울의 눈금 읽기를 선택한 학생이 43%(n=6)으로 가장 많았고, 스마트 기기 이용의 어려움을 선택한 학생은 없었다. 다른 상황에서 스마트 기기의 센서를 사용한 경험은 2명의 학생만이 답변하였다. 인터뷰에서는 교사 모두 수업 시간의 시간 부족을 이유로 이전에 지도한 수업에서 실험을 하지 않았다고 답했으며, 실험 수업 적용 이후 교사 A는 실험을 과제로 제시하는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고, 교사 B는 실험 자료가 교과서에 탑재되면 자율학습이 가능한 실험을 활용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스마트 기기를 실험 도구로 사용하는 실험에 학생이 큰 어려움을 느끼지 않고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에 걸리는 시간은 학교 밖 실험이기에 다른 사람의 엘리베이터 사용과 같은 예측하지 못한 변인이 있었다. 스마트 기기를 사용한 단 한 번의 실험 경험으로 다른 상황에서 스마트 기기의 센서를 사용하려는 태도로 쉽게 연결되지 않았다. 참여한 교사는 실험 기구를 개인이 소지하고, 휴대할 수 있음으로 인해 실험을 과제나 자율학습의 방법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실험 도구의 편리성과 휴대성, 개인 소지라는 특징에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실험의 활용 가능성은 과학 교육에서 스마트 러닝을 실현하는데 시사점을 준다.

      • AI교육 정착을 위한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및 AI교육 관련 인식조사

        최을용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smart device dissemination policies based on teachers' perception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ways to the stable institutionalization of AI education. To this end, satisfaction with Smart Device-based Teaching & Learning and perceived usefulness, degree of acceptance, and interest in AI education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107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onging to the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were sampled using the method of quota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and an onlin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used as a research tool.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SPSS 25.0 program and R-Studio program were used. Frequency analysis, respons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ross-tabulation, t-test, ANOVA, and Scheffe's test were performed for difference testing.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Smart Device-based Teaching & Learning and perceived usefulness, degree of acceptance, and degree of interest in AI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mart Device-based Teaching & Learning experienc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teacher and the grade in charge. According to age group, 30∼40 years of age, and depending on grade level, homeroom teachers and subject-only teachers in all grades except for 1st graders had a high rate of Smart Device-based Teaching & Learning experience. The degree of attempt at Smart Device-based Teaching & Learning was higher for upper grade homeroom teachers than for lower grade homeroom teachers, and the higher they perceived that they were better at teaching using smart devices, the higher it tended to appear. Self-efficacy in Smart Device-based Teaching & Learning was higher for head teachers than for regular teachers, and the more attempt at Smart Device-based Teaching & Learning, the higher it appeared. Second, satisfaction with Smart Device-based Teaching & Learning generally was high. In particular, the response rate that it was helpful to induce students' interest was high. However, satisfaction with the aspect of maintaining and managing smart devices for Smart Device-based Teaching & Learning was relatively low.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who higher atempt at Smart Device-based Teaching & Learning and teachers who recognize that they are good at Smart Device-based Teaching & Learning are highly satisfied. As for the good points of the Smart Device-based Teaching & Learning, individual learning and the use of various and high-quality learning materials were most cited, and the most difficult points were the learning gap between students and copyright issues of digital content. The proportion of teachers who thought that providing various class materials and establishing a smart environment was high in order to activate Smart Device-based Teaching & Learning. Third, teachers' perceived usefulness of AI education was generally high. Depending on the age group, those in their 20s and 30s were higher, and according to the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with less than 21 years of experience were higher than teachers with more than 21 years. Teachers' degree of acceptance of AI education w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eachers' perceived usefulness or degree of interest in AI education. Specifically, the response to participate in the training for AI education was high, but the response to a more active level of using it in class or attending a research meeting was somewhat low.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acceptance of AI education was higher for teachers who had Smart Device-based Teaching & Learning than teachers who had not. Teachers' degree of interest in AI education was found to be higher in teachers who had Smart Device-based Teaching & Learning experience than in teachers who had not, and teachers who higher attempt at Smart Device-based Teaching & Learning are higher than teachers who had not. According to the grade level, first grade homeroom teacher's degree of interest was relatively low. In addition, teachers' interest tended to be focused on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on students and their job changes. Fourth,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hich is the perception of Smart Device-based Teaching & Learning, and perceived usefulness, degree of acceptance, and degree of interest, which are perceptions of AI educ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degree of acceptance, and degree of interest in AI education all increased as the satisfaction with Smart Device-based Teaching & Learning increased. Fifth, the proportion of teachers who recognized that the spread of smart devices would be helpful for AI education was high, because the use of smart devices would provide various materials necessary for AI class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lso an opinion that the spread of smart devices would not help AI education. The percentage of teachers who responded as the reason for the low performance and defects of smart devices was high. Sixth, the most necessary for vitalizing AI education was the provision of class contents and the expansion of various teacher training opportunities. Also, there was a response that it was necessary to prepare separate subjects and secure hours for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AI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e following three measures were proposed for the establishment of AI education.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perception of Smart Device-based Teaching &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AI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eachers' satisfaction with Smart Device-based Teaching & Learning and induce them to have positive experiences so that positive perceptions and acceptance attitudes can be transferred to AI education. Second, in order to recognize the usefulness of AI education, accept it more actively, and increase degree of interest, sufficient materials that can be used for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classes should be provided. Third, to implement AI education more systematically, it is necessary to expand class hours or establish new subjects such as elementary information subjec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was conducted using the method of quota sampling for only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onging to Gangwon-do. Second, in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Smart Device-based Teaching & Learning and perceptions of AI education, parameters or adjustment effects that could have an impact were not considered. As a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by expanding satisfaction with Smart Device-based Teaching & Learning and awareness of AI education to not only teachers but also students and parents, and it is necessary to further confirm whether positive perception of AI education will lead to actual acceptance. 본 연구는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스마트기기 보급 정책의 효과를 판단하고 AI교육의 안정적인 정착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AI교육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수용 정도, 관심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강원도교육청 소속 초등교사 107명이며, 할당 표집과 스노우볼 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표집하였고, 연구 도구로는 온라인 설문지를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과 R-Studio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기술 통계는 빈도 분석, 응답 평균, 표준편차 등을 산출하였고 차이 검정을 위해서는 교차분석, t검정, ANOVA 등을 하였다.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만족도와 AI교육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수용 정도, 관심도 간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경험의 유무는 교사의 연령대와 담당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령대에 따라서는 30∼40대가, 담당 학년에 따라서는 1학년 담임을 제외한 모든 학년의 담임과 교과 전담 교사가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을 경험해 본 비율이 높았다.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시도 정도는 고학년 담임교사들이 저학년 담임교사보다 더 높았다. 또한,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을 더 잘한다고 인식할수록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시도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효능감은 부장 교사가 일반교사보다 높았으며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을 많이 할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었다. 특히, 학생들의 흥미 유발에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을 위해 스마트기기를 유지, 관리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을 자주 하는 교사들과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을 잘한다고 인식하는 교사들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의 좋았던 점으로는 개별학습과 다양하고 질 좋은 수업 자료의 활용이 가능했던 것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어려웠던 점으로는 학생들의 학습 격차와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문제를 가장 많이 꼽았다.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수업 자료의 제공과 스마트 환경 구축이라고 생각하는 교사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AI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각된 유용성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에 따라서는 20∼30대가 높았으며 교직 경력에 따라서는 21년 미만인 교사가 21년 이상인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AI교육에 대한 교사의 수용 정도는 AI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각된 유용성이나 관심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AI교육을 위해 연수에 참여하겠다는 응답은 높았으나 수업에 활용하거나 연구회에 참석하겠다는 등 좀 더 적극적인 수준의 응답은 다소 낮게 나타났다. 다만,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을 해본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AI교육 수용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을 자주 시도하는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AI교육 수용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I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는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을 해본 교사와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을 자주 시도하는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담당 학년에 따라서는 1학년 담임교사들의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의 관심은 AI교육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본인의 직무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에 대한 인식인 만족도와 AI 교육에 대한 인식인 지각된 유용성, 수용 정도, 관심도는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AI 교육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수용 정도, 관심도가 모두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마트기기의 보급이 AI교육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인식하는 교사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스마트기기의 활용이 AI교육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었다. 반면에 스마트기기의 보급이 AI교육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존재하였는데 기존에 보급된 스마트기기의 저성능과 스마트기기가 갖는 교수 매체로서의 결함을 이유로 응답한 교사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AI교육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수업 콘텐츠의 제공과 다양한 교사 연수 기회 확대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으나 인프라 구축, 인공지능교육을 위한 별도의 교과 마련 및 시수 확보라는 응답도 존재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AI교육 정착을 위한 3가지 방안을 제언하였다. 첫째,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교사들의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긍정적인 경험을 갖도록 유도하여 AI교육으로 긍정적인 인식과 수용 태도가 전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AI교육의 유용성을 인지하고 좀 더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서 충분한 교사 연수 과정과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들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AI교육을 보다 더 체계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수업 시수를 확대하거나 초등 정보 교과와 같은 과목의 신설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강원도 소속 초등학교 교사만을 대상으로 할당 표집의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AI교육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영향을 줄 수 있는 매개 변수나 조절 효과를 고려하지 않았다. 후속 연구로는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AI교육에 대한 인식을 교사뿐만 아니라 학생, 학부모 등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AI교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실제 수용으로 이어질 것인지 추가로 확인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학 문제 만들기 학습에서 수학적 사고 분석

        이상만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학 문제 만들기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한 후,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사고와 생성된 문제를 분석함으로써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실제적으로 어떻게 구현되는지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학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문제 만들기 교수-학습 수업모형의 구현 양상은 어떠한가? 2.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만든 수학 문제는 지필 환경에서 만든 수학 문제와 비교하여 어떤 특징이 있는가? 3.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학 문제 만들기 학습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는 어떠한가? 위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학생 4명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고,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학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문제 만들기 교수-학습 수업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수업에 적용하여 활동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를 동영상과 관찰 기록지, 학생 활동 결과물, 학생 수업 후 소감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만든 수학 문제와 지필 환경에서 만든 수학 문제를 비교하기 위해 연구대상으로 설정한 학생과 비슷한 수학 학습 능력과 글쓰기 능력을 가진 학생 4명을 선정하여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활동 결과물을 문제의 완성도와 복잡성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학 문제 만들기 모형은 도입, 개념이해, 개념활용, 정리의 네 단계로 이루어졌다. 이 단계 중에서 스마트기기 활용이 가장 중요한 역할은 하는 단계는 개념활용 단계로, 개념활용 단계는 문제 요소 파악하기, 실시간 공유가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활용하여 문제 만들기, 실시간 피드백하기, 상호평가 및 반성의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학생들은 수학 문제 만들기 학습 목표에 효율적으로 도달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모형을 다른 주제나 단원에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둘째, 스마트기기 활용 환경에서 수학 문제를 만들 때, 실시간 피드백을 통해 다방면에서 문제 수정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정은 문제의 완성도와 복잡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문제를 만드는 과정에서 교사-학생, 학생-학생, 학생 스스로의 초인지적 피드백을 통해 문제의 계속적인 수정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기기가 갖는 협업적 체계의 특성을 스마트수업에 활용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셋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학 문제 만들기 모형을 적용한 수업 중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사고를 확인할 수 있었다. 문제 요소 파악하기 활동에서는 주로 기초적 사고 기능, 실시간 공유가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활용하여 문제 만들기 활동에서는 주로 발전적 사고 기능, 상호평가 및 반성의 활동에서는 주로 복합적 사고 전략이 관찰되었다. 스마트기기의 특성은 수업에서 적절히 구현되었으며, 스마트기기의 실시간 공유 기능은 활동과정에서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를 자극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기기가 갖는 시·공간의 확장과 실시간 연결의 특성을 스마트수업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 인식 연구

        마혜미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 문 초 록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 인식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유아교육과정 마 혜 미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의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경기지역 어린이집·유치원에 재직, 3-5세를 담당하는 교사와 어린이집·유치원에 자녀가 재원 중인 학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4년 4월 28일~5월 16일까지 방문, 우편, e-mail, 모바일로 배포하여 어린이집 교사 120부, 유치원 교사 100부, 총 220부 중 198부(90%)가 회수되고 어린이집 이용 학부모 180부, 유치원 이용 학부모 100부, 총 280부 중 255부(91%)가 회수되었다. 그중 누락되거나 부실 기재된 20부를 제외한 433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질문지는 이기숙 외(2011)의 ‘미디어 안전교육의 필요성 및 내용’과 보건복지부 외(2013)의 전자미디어의 범주 및 활동방법, 미래창조과학부 외(2013)의 미디어 안전교육 프로그램 교사용 지도서, 주효정(2009)의 전자미디어 및 전자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육실태 등을 참고해 질문지를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보완해 제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인식에 대한 집단 간 인식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χ²검증, 독립적 t-test를 실시하였으며 개방형 질문은 두 집단이 유사하게 응답한 의견을 중심으로 정리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기기 관련 교육경험, 스마트기기 사용이 유아에게 위험한 것인지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유아에게 영향을 주는 스마트기기와 그에 대한 관심도는 교사와 학부모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스마트기기 안전 교육이 누리과정 내용범주에 포함된 것을 인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필요성 정도는 교사와 학부모가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교사와 학부모는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교사와 학부모가 일부 있었고 집단 간 인식 차이가 없었다.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내용에 따른 필요성 중 ‘스마트기기 사용이 유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기기의 과몰입 위험성에 대한 내용에 대한 교육 필요성’, ‘인터넷 세계에서의 인터넷 윤리의식에 대한 내용을 교육할 필요성’, ‘유해한 스마트기기로부터 스스로 보호할 수 있는 선택 및 활용에 대한 내용 교육의 필요성’에 교사와 학부모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스마트기기의 적정이용시간에 대한 기준을 안내할 필요성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교사와 부모가 모두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인식 차이가 없었다.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에 대한 지도원칙, 적절한 교수매체, 적절한 활동형태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가 없었다. 반면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실시에 바람직한 연령을 교사와 학부모가 공통적으로 만3세~만5세가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실시에 적절한 연령임을 높은 비율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이외의 연령에서 인식 차이를 보였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에 적절한 실시횟수,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실시에 적절한 그룹형태, 적절한 담당자, 교육 실시에 필요한 자료, 적절한 교육 장소에 대한 인식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아대상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실시 경험, 스마트기기 관련 교육 및 연수 참여 정도에 대한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을 실시하지 못하거나 소극적인 원인,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활성화를 위해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에 대해서는 교사와 학부모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실행 및 보완점에 대한 개방형 문항에서 ‘유아교육기관 및 가정과 연계된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을 실시할 필요성이 있다.’ 등을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각적이며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고 실제적인 실행을 위해 국가적인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ABSTRACT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Regarding to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Ma, Hye-Mi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ucksung Wome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and parents about the safety education of smart devices and compar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For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are set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Are there any different perceptions between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and parents regarding to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Research Question 2. Are there any different perceptions between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and parents regarding to the problem of safety education and activation plan for smart devices. This study was done targeting for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3 to 5 year old children at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and the children's par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 total of 220 questionnaires for teachers of child care centers(120 copies) and kindergarten(100 copies) were distributed from April 28, 2004 to May 16 in person, by postal mail, e-mail or mobile and collected 198(90%) out of them, and 255 copies(91%) were collected from the total 280 questionnaires for parents using child care centers(180) and kindergartens(100).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433 copies excluding 20 questionnaires with insufficient or insincere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and modified by the researcher for this study with reference to 'The Needs and Contents for Media Safety Education' by Lee, Gisook, et al.(2011), 'The Category and Activity Method of Electronic Media'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t al.(2013), 'A Teacher's Guidebook for Media Safety Education Program' by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2013), and Teacher’s Understating and Operating status of Electronic Media and Electronic Media Education by Joo, Hyojeong(2009). On the basis of the collected data, χ² test and independent sample t -test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and parents regarding to the safety education of smart devices and the open-ended questionnaires were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similar opinion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f teacher and parent in regards to educational experience about smart devices and risk of using smart devices for children. It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f teacher and parent in regards to smart devices effecting on children and the level of interest in smart devices.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n regards to perception of recognizing whether safety education of smart devices is included in the Nuri curriculum and the necessity level of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Most of teachers and parents responded that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is needed while some of them did not agree with its necessity and there was no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the two groups.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and parents among the items of necessity of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including 'the effect of using smart devices on children's health', 'the necessity of educating about the risk of overindulgence in smart devices', 'the necessity of educating about the ethics consciousness on internet', and 'the necessity of educating about the choice and utilization of self-protecting from harmful smart devices'. On the contrary, both teachers and parents highly perceived 'the necessity of guidelines to criterion of appropriate set time during the use of smart devices' and they showed no difference in perception. It had no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regarding to guidance principle of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proper instructional media, and proper type of activity. Although teachers and parents had in common with perception at high rates that children aged 3 to 5 are desirable for implementing safety education of smart devices, there was difference in perception for any other aged children,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addition,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regarding to a proper frequency of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a proper type of group for implementing safety education of smart devices, a proper practitioner, a necessary material for implementing education, and a proper educational site.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regards to the experience of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the related education for smart devices,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raining courses.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regarding the immediate problems to address the failure or passiveness of implementing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and activation of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Among open-ended questions regarding to implementing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and complementing problems,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d commonly that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connected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and home'. Accordingly, it also needs to put forth a multilateral and continued effort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and to make a national effort for its actual implementation. Based on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proposed for future studies. First, fur

      •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의도적통제가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효정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실태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의도적통제가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경북에 소재한 유아교육 및 보육기관의 만 4~5세 249명 유아와 유아의 어머니를 그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윤미(2014)가 제작한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6)에서 개발한 척도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박주희(2001)가 제작한 척도 중 본 연구에 적합한 변인만 포함하여 연구에 사용하였으며, 의도적통제 수준은 CBQ-SF(Putnam & Rothbart, 2006) 중 의도적통제를 측정하는 32문항을 배윤진(2012)이 번안한 것을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SPSS 19.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배경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일반적 배경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증을 실시하였다. 예비분석으로 각 척도별 하위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분석에서는 단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어머니 양육행동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양육행동이 유아의 의도적통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의도적통제가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스마트기기 사용횟수는 일주일에 1~2회정도(52.6%), 스마트기기 1회 평균 사용 시간은 주로 20분 이내(39.8%)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마트기기 사용결정에 있어 상황에 따라 아이와 부모가 함께 결정한다(53.4%)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기관에 머무는 시간이 길수록 상황에 따라 부모와 함께 결정하는 비율이 비교적 높았고, 부모가 일정한 시간을 정해주는 비율은 기관에 머무는 시간이 길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유아들이 사용하는 스마트기기 선호 내용으로는 동화, 동요 동영상(48.2%)이 가장 많았으며, 남아가 여아보다 게임을 선호하는 경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가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이유로는 재미있어서(47,4%), 부모가 유아에게 스마트기기를 사용하게 하는 이유로는 자녀가 원해서(44.2%)로 나타났고, 어머니가 취업을 하지 않은 경우 자녀의 오락과 재미를 목적으로, 취업을 한 어머니의 경우 어머니 여가시간 확보를 위해서 사용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양육행동 중 한계설정 양육행동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양육행동(온정격려, 한계설정)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과몰입 수준이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가 자녀에게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더 많이 할수록 스마트기기에 과몰입 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의도적통제가 스마트기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유아의 의도적통제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 수준이 낮게 나타나 자기 스스로 정서를 조절하고 상황에 맞는 행동을 하는 유아일수록 스마트기기 과몰입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 양육행동이 유아의 의도적통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어머니가 양육행동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의도적통제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가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많이할수록, 유아가 의도적통제 기질을 더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아의 의도적통제가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과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지 알아 본 결과, 부분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 양육행동을 통해 유아의 의도적통제가 발달하고 이것이 어머니 양육행동과 스마트기기 과몰입의 관계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의도적통제가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어머니 양육행동이 긍정적일수록, 유아의 의도적통제가 높을수록 스마트기기 과몰입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양육행동 변인과 유아의 의도적통제 변인을 알아보고, 과몰입으로 나타나는 부정적 영향을 줄이기 위한 방안에 구체적인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과 자기조절능력 및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

        김수정 인천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과 자기조절능력 및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스마트기기 과의존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또래유능성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 정도에 따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또래유능성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살펴보기 위해 경기도 A시와 K시에 소재하고 있는 국공립어린이집 4개소의 만 3~5세 반 유아 360명을 대상으로 부모님과 담임교사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개발한 스마트폰 과의존 유아동 관찰자 척도(2016)를 스마트폰과 함께 태블릿 PC, 스마트 TV를 포함한 스마트기기 용어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측정을 위해 이정란(2003)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또래유능성 측정을 위해 박주희, 이은해(2001)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 실태를 살펴보면 스마트기기 과의존 고위험군은 전체 남아 113명 중 11명, 전체 여아 119명 중 4명으로 나타났으며, 잠재적위험군은 남아 10명, 여아 13명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사용자군은 남아 92명, 여아 102명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 실태를 살펴보면 고위험군은 만3세 전체 유아 76명 중 6명, 만4세 전체 유아 82명 중 4명, 만5세 전체 유아 74명 중 5명으로 나타났으며, 잠재적위험군은 만3세 2명, 만4세 7명, 만5세 14명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사용자군은 만3세 68명, 만4세 71명, 만5세 55명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에 따른 자기조절능력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에 따른 또래유능성 간에도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이 높을수록 자기조절능력과 또래유능성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 정도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Scheffe 사후검증 결과 스마트기기 과의존 잠재적위험군과 일반사용자군이 고위험군 보다 자기조절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 실태에 따른 또래유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Scheffe 사후검증 결과 스마트기기 일반사용자군이 과의존 고위험군 보다 또래유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 정도는 자기조절능력 및 또래유능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에 있어 과의존도 현상이 높아지지 않도록 스스로 혹은 주변인의 주기적인 관찰 및 점검 기회가 필요하며, 유아의 감정과 정서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한 지도를 비롯하여 또래유능성이 향상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경험에 대한 제공이 요구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self-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is the actual status of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in accordance with the age and sex of young children? Research Question 2. How are the relationships of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self-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Research Question 3.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self-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In order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parents and teachers in charge of 360 young children in 3-5Y classes of four national/public daycare centers in A & K cities of Gyeonggi-do. As the research tools, to measure young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the young children's smartphone over-dependence observer scale(2016) develop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was used by modifying the smartphone, tablet PC, and smart TV into the smart devices. In order to measure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the tool developed by Lee, Jeong-Ran(2003)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the tool developed by Park, Joo-Hee & Lee, Eun-Hae(2001)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actual status of young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in accordance with sex, the high-risk group of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included 11 boys out of whole 113 boys and four girls out of whole 119 girls while the potential high-risk group included ten boys and 13 girls. The general user group included 92 boys and 102 girls. In the actual status of young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in accordance with age, the high-risk group included six children out of whole 76 children in three-year old, four children out of whole 82 children in four-year old, and five children out of whole 74 children in five-year old while the potential high-risk group included two children in three-year old, seven children in four-year old, and 14 children in five-year old. The general user group included 68 children in three-year old, 71 children in four-year old, and 55 children in five-year old. Second, the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and self-regulation of young children showed th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hile the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and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showed th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In other words, when young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was higher, the self-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were low. Third,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young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In the results of the Scheffe's post-test, the potential high-risk group of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and the general user group showed the higher self-regulation than the high-risk group.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er competence in accordance with the actual status of young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In the results of the Scheffe's post-test, the general user group of smart devices showed the higher peer competence than the high-risk group of over-dependence. In conclusion, the degree of young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was closely related to the self-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Therefore, when young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gets higher, the children themselves or surrounding people should regularly observe and check them. It would be necessary to provide not only the instruction of how to regulate the emotion and feelings of young children, but also the program & experience for improving their peer competence. Keywords: Smart Devices,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Self-Regulation, Peer Compe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