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교사의 수업개선 노력, 수업효능감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하윤진 진주교육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에서는 학교장 수업지도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수준과 수업개선 노력, 수업효능감이 학생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이러한 교사특성이 사회경제적 지위가 다른 학생 학업성적 차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의 2차년도 조사 결과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자료의 처리를 위해 t-test, ANOVA, 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한 통계프로그램은 SPSS 20.0을 사용하였으며, 통계 처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교사에 비해 남교사의 학교장 수업지도성 인식과 수업개선 노력이 높으며 마찬가지로 일반교사 보다 부장교사의 인식도와 노력 정도가 모두 높았다. 또한 학사학위소지 교사 보다 석사이상의 학위를 소지한 교사이거나 경력이 많을수록 학교장 수업지도성에 대한 인식과 수업개선 노력 정도, 수업효능감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배경특성에 따라 학교장 수업지도성, 수업개선 노력, 수업효능감이 달리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학교장 수업지도성은 수업개선 노력과 수업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 학교장 수업지도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교사의 수업개선 노력 정도가 많으며 수업효능감도 높아진다. 또한 학교장 수업지도성은 수업개선 노력과 수업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학생 학업성취도에 간접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교교육 현장에서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교사와 학생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교사의 수업개선 노력과 수업효능감은 학생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수업개선 노력은 학생 학업성취도에 대한 직접효과와 수업효능감을 통한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교사들이 수업개선활동에 최대한 많이 참여할 때 학생 학업성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업효능감은 학생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직접효과를 가진다. 교사의 수업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도 점차 향상되며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학생의 사회경제적 지위 수준이 낮은 하위집단 학생 학업성취도에 교사의 적극적인 수업개선 노력이 성적 향상에 영향을 미치며, 상위집단 학생 학업성취도에는 교사의 높은 수업효능감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생 배경변인으로 인한 학업 성적 차이를 교사의 수업개선 노력과 수업효능감을 통해 줄일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학교장 수업지도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수업개선 노력, 수업효능감이 학생 학업성취도에 직접적, 간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수업개선 노력과 수업효능감을 통해 학생 학업성취에 간접효과를 주는 학교장 수업지도성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고, 학교장 수업지도성을 강화할 수 있는 연수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또한 학생 학업성취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수업개선 노력을 제고하며 수업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제도적 지원 방안을 모색한다면 학생 학업성적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수업관련 특성 질 개선 및 전문성 향상과 사회경제적지위에 따른 학업성적 격차 완화를 위해 공헌하게 될 것이다.

      • 자기수업컨설팅에 대한 중등교원의 인식 및 요구조사

        최윤정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에서 자기수업컨설팅에 대한 교원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함으로써, 자기수업컨설팅의 현황을 파악하고, 자기수업컨설팅의 교육 현장에 알맞은 방식으로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 과제를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작위로 표집된 중등교사 2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IBM SPSS Statistics(ver.25)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혹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Borich의 요구도 공식 그리고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등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배경변인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수업을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수업컨설팅의 필요성 여부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교수학습능력을 신장하기 위해 자기수업컨설팅을 필요로 하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자기수업컨설팅의 원리에서 중등교사들은 수업개선을 위해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노력, 자신의 수업에 대한 성찰, 교사를 수업의 주체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실행도 또한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되돌아보기 영역에서는 수업개선을 위해 교육과정의 재조직 및 재해석 작업, 교사의 수업철학, 학생의 사회·정서적 특성 그리고 교사의 역량과 수업철학을 정리하여 자신의 활동을 성찰하는 것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실행도 또한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들여다보기 영역에서는 수업개선을 위해서 실제 수업전략과 학생들의 수업전략 간의 일치도 분석, 학생들의 학습전략과 교육 내용조직화 전략 간의 일치도 분석, 학생들의 동기수준과 사용되는 동기전략 간의 일치도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실행도 또한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새롭게 경험하기 영역에서는 새로운 전략의 개선사항을 찾아 지속적으로 수정·보완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는 것과 새로운 전략을 필요에 따라 변화 적용하는 융통성 있는 수업을 하는 것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실행도 또한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원들의 자기수업컨설팅의 효과에 대한 기대가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수업컨설팅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자기수업컨설팅관련 사례모음집을 제공하고, 지원 과제로 교사들의 자발적인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나타났다. 자기수업컨설팅을 수행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교사 자신의 의지라고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수업컨설팅이 수업개선을 위한 수단으로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첫째, 자기수업컨설팅에 대한 중등교원들의 인식 개선을 통해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둘째, 중등교원들도 수업개선을 위해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노력이 교수자로서 필수적인 것으로 인지하고 성찰하는 자세를 지녀야 한다. 셋째, 교원은 수업개선의 주체로서 스스로를 인식하고 수업개선을 위한 전략들을 수업을 구성하는 요소들 간의 관계성을 고려하며 실행하여야 한다. 넷째 자기수업컨설팅과 관련된 자료를 개발, 보급 및 관련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자기수업컨설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중등학교 교원들이 학생들에게 배움이 일어날 수 있는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수업개선을 통해 수업전문성 향상을 할 수 있는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

      • 수업개선에 대한 인식변화 : Flanders와 Tuckman의 수업분석법을 중심으로

        배준혁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centered on the Flanders and Tuckman's class analysis method and aims to study about the change in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class improvement.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are Flanders' verbal interaction analysis method and Tuckman's classroom atmosphere analysis methods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teacher's teaching techniques and the class atmosphere? Secondly,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class improvement perception among teachers who use one of the differing Flanders' and Tuckman's class analysis methods? Study methods were conducted by combining both information science and research study. Theoretical background was supported by the information science, and the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by a questionnaire. The modified (version of) Flanders' and Tuckman's class analysis methods by professor Kim are used as the class analysis tools. The questionnaire about class improvement consists of two sub-categories with a total of 28 question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00 teachers in 10 elementary schools in the Gyeonggi province and 268 were returned. Out of 268 questionnaires, eight were incomplete. Thus, 260 datums were processed.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Quantification Methods by the version of SPSS 18.0 for Window. The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gender, teaching experience, position, and level of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the nondirective and receptive class form was found through the index computation of Flanders' verbal interaction analysis metho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irst lesson, we discerned the low indexes. These numbers showed that the flow of the class atmosphere was permissive because of the diversity in the students' speaking rate and the teachers' indirective speaking rate. Second, we collected four excellent teaching videos in order to figure out how Tuckman's class analysis method affects the improvement of the class atmosphere setting techniques in an educational setting. We analyzed the impacts by not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second score in each category. As a result, the class analysis by Tuckman's method helps to improve the class atmosphere setting skills for teachers. In other words, this computer-assisted analysis shows it was very helpful for the four aspects of the class atmosphere: creativity, vitality, scrupulosity, and generosity. In particular, this study showed that it is possible for the teachers themselves to figure out the weak points among the class atmosphere areas and bring more creativity, activity, meticulousness, and generosity into their classrooms. Third, when we studied the changes of recognition of class improvemen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that were dependent on these background variables: gender, teaching experience, position, and level of education. The managing teachers have a higher interest in class improvement than other teachers. When we applied the Flanders' verbal interactions analysis method to the verbal interaction subjects, their teaching skills improved remarkably. Another interesting discovery was made when we applied the Tuckman's class atmosphere analysis method: The male teachers had higher results than the female teachers in the improvement of aching skills. This happened again when we studied the teaching of technique improvement of the class analysis depending on Flanders' and Tuckman's class analysis method. View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recognition of class improvement using two class analysis methods have some differences in the two teaching techniques that were studied. These two techniques focus on: the verbal interaction curriculum or the importance of the class atmosphere by background variables. In addition, the political support such as, the lessening administrative task of school, is needed for class improvement. A change of teachers' recognition is not the only important aspect in creating a positive learning atmosphere. Other areas, such as the banning of corporal punishment (the rights of students), the negative perceptions toward class assessment, and the deep distrust of the analysis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본 연구는 Flanders와 Tuckman의 수업분석법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교사의 수업개선에 대한 인식변화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며,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Flanders의 언어상호작용 및 Tuckman의 수업분위기 분석법이 교사의 수업기술 및 수업분위기 개선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배경변인별 Flanders와 Tuckman의 수업분석법을 중심으로 수업개선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조사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는데 문헌연구를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체계화하였고 조사연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업분석도구는 김경현 교수가 수정ㆍ보완한 Flanders와 Tuckman의 수업분석법을 사용하였으며, 수업개선에 대한 설문지는 2개의 하위 영역에 총 28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경기도 지역의 10개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300명의 교사에게 배부하여 268부를 회수하고 표기 누락된 8부를 제외한 260부를 결과 처리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Window용 SPSS 18.0 버전을 사용하여 수량화를 통한 양적인 통계처리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으며, 성별, 교직경력, 직위, 학력별 비교를 위해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Flanders의 언어상호작용 분석법을 통한 지수 산출을 통해 비지시적이고 수용적인 수업 형태를 보았다. 1차 수업분석을 통해 부족한 지수를 파악하여 수업에서 학생 발화와 교사의 비지시적인 발화 비율을 다변화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용적이고 허용적인 수업으로 진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현장에서 Tuckman의 수업분석법이 수업분위기 조성기술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4명의 우수 수업영상을 수집하여 각 영역별로 얻어진 1차 수업분석 점수와 2차 수업분석 점수와의 차이를 계산하여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Tuckman의 수업분석법을 통한 수업분석이 수업자의 수업분위기 조성기술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Tuckman의 데이터화된 컴퓨터 보조 수업분석을 통해 수업분위기의 네 영역인 창의성, 활기성, 치밀성, 온화성의 개선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특히 자기수업의 부족한 수업분위기 영역을 파악하여 수업을 보다 창의적이고, 활기차고, 치밀하고, 온화하게 조성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개선에 대한 인식변화를 Flanders의 언어상호작용 분석법과 Tuckman의 수업분위기 분석법을 통해 설문분석으로 알아보았을 때 배경변일별(성별, 교직경력, 직위, 학력)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수업개선에 대한 관심도에서 부장교사가 일반교사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언어상호작용 교과에 Flanders의 언어상호작용 수업분석법을 적용시 수업기술향상 효과에 대해서도 부장교사가 일반교사 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Tuckman의 수업분위기 분석법 적용시 수업기술향상 효과에 대해서는 남자교사가 여자교사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FlandersㆍTuckman의 수업분석법을 통한 교사의 수업분석이 수업기술 향상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남자교사가 여자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볼 때 두 수업분석법에 따른 수업개선에 대한 인식에서 언어상호작용 교과에서의 수업기술 측면, 수업분위기의 중요성이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수업개선을 위한 학교의 행정업무감소 등 정책적인 지원도 필요하다고 보았다. 체벌금지(학생인권)관련 학습분위기 중요성, 수업평가에 대한 부정적 인식, 분석 방법 자체에 대하 불신 등 교사의 의식 전환 및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만 5세반 이야기나누기 수업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조인지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의 목적은 실행연구를 통해 유치원 만 5세반의 이야기나누기 수업을 반성적 사고로 성찰하고 지식 전달의 이야기나누기 수업에서 유아들이 주도성을 가지고 수업에 참여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실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나누기 수업 개선을 위해 교사가 실천한 양상은 무엇인가? 둘째, 교사와 유아에게 이야기나누기 수업 개선의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자의 수업을 개선을 목적으로 하였기에 본 연구자는 연구자가 담임하고 있는 28명의 유아와 함께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2016년 8월부터 2017년 03월까지 8개월간 이야기나누기 수업 개선을 위한 질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들은 세그멘팅-주제어 짓기-유목화하기-연구 축 잡기-글쓰기의 과정을 거쳐 이야기나누기 수업 개선을 진행해 나갔다. 이런 과정에서 구체적인 교사의 이야기나누기 수업 개선을 위한 실천은 무엇인지, 수업 개선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교사는 이야기나누기 수업 시 항상 교사가 이야기 할 순서를 정해주거나 유아가 유아를 ‘지목’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지목하기’는 이야기나누기 보다 ‘지목받기’를 위한 시간으로 전락하여 이야기나누기 수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교사는 주제와 상관없이 28명의 유아들 모두 교사를 향해 앉도록 반원의 대형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반원형의 수업은 유아들이 서로 상호작용하기 보다는 교사 대 28명 유아들의 대화에 가까웠다. 교사는 집단의 크기를 고려하지 수업 진행으로 유아들에게 참여 기회를 주지 못하였다. 많은 숫자의 유아들이 이야기나누기에 참여하다보니 상대적으로 1명의 유아가 이야기나누기 수업 때 발언하는 기회가 적었다. 또한 유아들은 많은 친구들의 이야기를 오랜 시간 앉아 들어줘야 하는 시간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지식전달에만 몰두하여 유아들의 흥미와 관심을 살피지 못하였다. 이야기나누기 수업에 문제점을 인식한 교사는 수업을 개선하고자 이야기순서 정하기를 교사에서 유아로 전환하였으며, 교사를 향한 반원 대형을 유아 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원형 대형으로 전환하였다. 또한, 집단의 크기를 줄여 유아들의 이야기나누기 참여 기회를 늘렸으며, ‘이야기꾼’ 이야기나누기를 진행하며 지식전달에서 유아들이 이끌어나가는 이야기나누기 수업으로 바꿔나갔다. 교사는 이야기나누기 수업 개선의 노력을 통해 이야기나누기 시간의 의미를 깨닫게 되었으며, 가르침의 의미를 알게 되었다. 그로인해 유아들은 이야기나누기 수업의 주체가 되었고, 이야기나누기 수업 시간을 소통하는 시간으로 행복감을 느끼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행복한 이야기나누기 수업에서 유아들은 친구의 이야기를 저절로 경청하게 되었고, 친구들의 경청은 동기유발로 작용하게 되어 이야기나누기 수업이 기다려지는 시간으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유아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꺼내놓으며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후속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제주시에 위치한 G유치원에서 연구자가 담임하고 있는 28명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행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사례만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단기적으로 진행하여 만 5세 희망반의 이야기나누기 수업 개선 과정을 살펴보았는데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장기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후속연구에서는 이야기나누기의 더욱 다양한 변인을 고려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hich is execution research, is to introspect story sharing class of 5-year old class of kindergarten through reflective thinking and to find practice ways for children to participate in story sharing class of knowledge delivery actively. Followings are the concrete research subjects to fulfill these purposes. First, what is the aspect that teachers practiced to improve story sharing class? Second, what is the meaning of story sharing class improvement for both of them, teachers and children? For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with 28 children together who were taught by researcher. This research was proceeded for 8 months, from August. 2016 to March. 2017, as qualitative research to improve story sharing class.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through following steps, ① segmenting. ② making subject words. ③ classification process, ④ grasping main structure of research, ⑤ writing process, and it proceeded the improvement of story sharing class. Through these steps, this research examined the meaning of class improvement and practice for concrete story sharing class improvement of teachers. As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the teacher only let one child to ‘pointed out’ other child or gave children the turn to tell their story when they had story sharing class. However, as teacher used ‘pointing out’, then the class did not go well for children only focused on being ‘pointed out’ rather focusing on sharing their story. Also, regardless of themes, teacher proceeded the class as letting the children sit in half moon shape to let them watch teacher. Sitting in half moon shape was almost same of talking teacher versus 28 children rather than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For the class progression that regardless of group size, teacher failed to give children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Since large number of children were participating in story sharing, the number of each child’s speaking opportunity was relatively low in story sharing class. Also, the class time became the time that children had to listen to other friends’ story for long time. Lastly, since teacher only cared for delivering knowledge, he/she was not able to figure out the interests and attention of children. To improve the class, teacher who recognized the problems of story sharing class handed over the right for deciding story sharing order from teacher to children, and changed half moon shape of class, which was heading to teacher, to circular shape, which made children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lso, by decreasing the size of group, teacher increased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story sharing of children, and by proceeding story sharing of ‘storyteller’, teacher changed the story sharing class from delivering knowledge to the class that is led by children. For the effort to improve story sharing class, teacher realized the meaning of class, and meaning of teaching. Through this, children became main agents of story sharing class, and they started to feel happiness as they regarded story sharing class as time of communicating. The happy story sharing class let the children to listen for others automatically. Listening for others worked as motivation, so it made children to eagerly expect this class. But also, children put their own stories naturally and tried to show their existence. Followings are the proposals for follow-up studies.First, this research was done as executive research which took target 28 children were attending G kindergarten in Jeju which was the researcher worked for. Therefore, it is quite irrational to generalize only by this case. Second, this research only examined class improvement process of 5-year old children’s class named Hope in short term, so it is necessary for follow-up studies to have long term research. Third, the researcher expects for follow-up studies to consider more various variables of story sharing.

      • 유치원 단위 수업개선 연구교사제 운영 실태 및 교사의 인식 조사 : 서울시 공립 유치원을 중심으로

        정지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공립 유치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 단위 수업개선 연구교사제 운영 실태 및 공립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단위 수업개선 연구교사제 운영의 현황은 어떠한가? 2. 유치원 단위 수업개선 연구교사제에 대한 서울 공립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공립유치원에 재직중인 교사 224명이다. 연구도구는 수업연구에 관련된 문헌 및 관련 연구를 기초로 하고,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준하여 연구자가 직접 작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각 문항마다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인식에 대한 변인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χ²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 유치원 수업개선 연구교사제 운영의 실태를 살펴본 결과 교사의 과반수 이상이 경험을 하였고, 수업연구교사의 선정은 주로 교육청의 지명에 의해 이루어지며 교사 수에 비해 그 주기가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교사가 장학사의 장학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동료교사들의 협조는 대체로 협조적인 것로 나타났다. 수업연구 결과의 일반화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는데, 그 이유로는 그 자체가 형식적이고, 평상시 수업과 차이가 많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연구교사제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서울 공립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수업연구가 필요하다는 교사가 필요하지 않다는 교사보다 많았다. 필요한 이유로는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수업의 질 개선을 들고 있었고, 필요하지 않은 이유로는 수업연구가 형식적이고, 강제적이고 의무적으로 이루어지며, 교육과정에 파행을 가져오며, 일반화가 안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수업연구교사의 선정 방법이 타당하지 않으며, 그 이유로는 수업연구교사의 수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연구를 위한 연수 담당자로는 수업우수교사를 원하고 있었으며, 수업공개와 관련하여 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해서는 희망교사만 수업 공개를 하거나 수업 공개 횟수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공개의 횟수는 현재 연 3회에서 연 1회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나타났다. 수업 공개가 수업연구교사 본인이나 참관 교사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고 나타났으나 수업 공개 참관시 공연장 관람식의 참관 태도나, 수업자의 결점만 발견하려는 태도는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협의회의 바람직한 방향은 수업 내용과 관련된 주제 중심의 토의를 한다로 나타났다. 장학사에게 바라는 장학 영역은 수업 지도 기술, 유형별 수업 형태에 대한 요구로 나타났다. 수업연구교사를 위한 바람직한 지원 방법으로는 업무 경감 및 시간적 여유, 근평 상향 조정 및 승진 점수 부여 등이 요구된다. 일반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자신의 수업에 적용를 해보는 기회를 갖도록 한다고 인식하고 있어 무엇보다도 실천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수업연구제의 문제점으로는 교사의 자발성 부족을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의견으로 수업 공개 준비 과정에서 교육과정의 운영에 피해를 준다는 의견이 많아, 수업개선을 통한 유아들의 발달을 돕기 위한 본래의 목적에 어긋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ality of the research teachers and cognition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nd suggested how to improve.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identified: 1. What was the reality on the management of the research teachers for improvement of kindergarten instruction. 2. How was the perceived by teachers on the cognition for improvement of kindergarten instruction. The subject in this study was 224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For a survey, questionnaires were based on relevant references, researches and research questions which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χ²test and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dividual variab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Concerning the reality on the management of the research teachers for improvement of kindergarten instruction, the current way of selecting the research teachers who over a second were experienced was assigned by school district authority and the period was short comparing with the number of teachers. After the open instruction, the discussion items were consisted of average leveled supervisor's, principal's, and vice principal's advice, questions and answers, and topics of class. Most teachers were not satisfied with supervisor's supervise but were satisfied with coworkers' cooperation. The instruction generalization after the research instruction was not successful, because it was for form's sake and much different with the real instruction. Second, regarding the cognition of problems and improvement system for research teachers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There were more teachers than who needed for research instruction. Because the research instruction was formal, enforced, obligatory, and also it wasn't generalized, those who had teaching experiences didn't need any research instruction. The current way of selecting the research teachers was not reasonable, so there were too many research instruction teachers. Teachers perceived the necessity the superior able teachers for the research instruction and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want for teachers who want research instruction to do for releasing their stress from that and it is desirable to reduce the number of research instruction, once from 3 times which have been don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open instruction was helpful for the research instruction teacher and other observing teachers, but it was the problem while their observation, their observation attitude and the attitude which tried to find the research teacher's faults. The desirable way of discussion should be focus on the subject related the contents of the class. It was shown that the supervisory criteria for supervisor should be required the class distinguished from the style. The desirable way of support is to lower teacher workload, give enough time, favorable condition for work evaluation and promotion. And the way of generalization is that teachers should have recognition for having chances to adopt their teaching and importance of their participating. It was identified that the problem of the research instruction subject was the lack of teacher's spontaneity. Teachers perceived that preparing the open instruction took much time and was little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infants through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 quality.

      • 교사자율성, 교사협력이 수업혁신에 미치는 영향 : 서울지역 일반고와 혁신고 비교

        안혜정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교사자율성, 교사협력, 교사효능감이 수업개선에 미치는 영향과 그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일반고와 혁신고에서 각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에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한 조사는 서울지역 26개 고등학교 교사 434명으로 20개 일반고 교사 215명, 지정 5년 이상 경과된 6개 혁신고 교사 219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교사자율성, 교사협력, 교사 개인효능감, 교사 집단효능감, 수업개선 노력 등을 측정하였고, 자료의 통계적 유의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술통계치를 구하고, 각 변인들의 구조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과 다중집단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였다. 자료처리에는 SPSS Statistics 20과 SPSS AMOS 24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자율성은 교사협력, 교사 개인효능감, 수업개선에 두루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협력은 교사 집단효능감과 수업개선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수업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경로는 교사자율성과 수업개선을 직접적으로 잇는 경로와 교사협력을 매개로 수업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했다. 셋째, 일반고와 혁신고는 구조적 관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고는 교사자율성과 수업개선을 잇는 경로가 유의하지 않아 직접적인 영향을 설명할 수 없었고, 교사협력을 매개로하는 경로만 유의했다. 혁신고는 교사자율성과 수업개선을 잇는 경로와 교사협력을 매개로하는 경로가 모두 유의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자율성과 교사협력이 수업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하고 교사자율성 확대와 교사협력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논하였다. 핵심어: 교사자율성, 교사협력, 교사 개인효능감, 교사 집단효능감, 수업개선, 수업혁신, 일반고, 혁신고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teacher’s autonomy, teacher collaboration and teacher efficacy on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the structured relationships of each variable in regular high schools and innovation high school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434 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were surveyed. They were composed of 215 from 20 regular high schools and 219 from 6 high schools which have been designated as innovation high schools more than 5 years. Based on the advanced researches, teacher autonomy, teacher collaboration, teacher self-efficacy, teacher group-efficacy and effort for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 were measured using measurement instruments with well tested validity and reliability, followed b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o grasp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data. Also,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ultiple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employed to learn the structured relationships of each variable. SPSS Statistics 20 and SPSS AMOS 24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path connecting teacher autonomy to teacher collaboration, teacher self-efficacy and improvement of instruction was significant. The path connecting through teacher collaboration to teacher group-efficacy and Improvement of instruction was also meaningful. Secondly, as for the significant path influencing Improvement of instruction, there was a significance in both the direct path connecting teacher autonomy to Improvement of instruction and the path of teacher autonomy influencing Improvement of instruction via teacher collaboration. Third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regular high schools and innovation high schools. The path connecting teacher autonomy to improvement of instruction in regular high schools was meaningless and it was not possible to explain any correlation with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it showed a significance in innovation schools. From a result of th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the effect of teacher autonomy and teacher collaboration on Improvement of instruction, and suggests the political proposal for expanding teacher autonomy and constructing teacher collaboration system. Keywords : Teacher Autonomy, Teacher Collaboration, Teacher Self-efficacy, Teacher Group-efficacy, Improvement on instruction, Regular School, Innovation School

      • 初等學校 社會科 敎室 授業 改善을 위한 實行硏究 : 敎師 中心으로부터 學生 活動 中心 授業으로

        박천영 春川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학생들이 왜 사회과를 그토록 싫어할까!." , "학생들이 사회과에 흥미를 가지고 스스로 즐겁게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하는 교사로서의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궁극적으로 연구자 자신의 수업을 개선하고, 교육 현장의 교사들이 현실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수업을 이끌어 갈 수 있게 도움을 주며, 정책을 입안하는 행정가들과 학교의 관리자들이 현장교사들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그들의 교육 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행연구 방법을 적응하였다. 지금까지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학습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는 많았다. 그러나 이 연구들은 대부분이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의 학업성취나 프로그램이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주로 연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현장의 모습을 인정하면서 특정한 프로그램을 특정한 상황에 적용했을 때 가장 좋은 사회과의 수업 방법이 무엇인지를 찾아 개선해 가는 연구 방법이 필요하였기에 본 연구를 실행연구 방법으로 수행하게 된 것이다. 연구자는 연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 하였다. 우선 학교ㆍ학중ㆍ학생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학생ㆍ동료교사ㆍ연구자 자신의 다양한 반응을 충해 사회과의 문제점과 수업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1차 개선안을 개발하여 연구자 담당 학급에 적용해보았다. 또한, 1차 개선안의 적용 결과를 위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고 개선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구자 담당 학급에 적응해보았다. 마지막으로 개발한 프로램을 적용하면서 생긴 문제점과 결과들을 모아 종합ㆍ분석하여 본 논문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교실수업 재산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원칙 1.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한 다양한 수업 방법의 적용』, 『원칙 2. 학생 활동 중심으로 수업을 구성』, 『원칙 3. 수업 개선을 위해 교사 자신의 수업기능 향상을 위한 노력』, 『원칙 4. 간소하면서도 학생의 흥미와 수준에 맞는 적절한 자료의 준비』, 『원칙 5. 평가와 수업 활동을 일관되게 유지』, 『원칙 6. 학교 자체의 실정을 인정하고 융통성을 갖고 수업을 구성』 하기의 여섯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학생들이 사회과에 흥미를 가지고 스스로 즐겁게 공부하기 위한 실행연구의 수행에서 학습자요인, 수업요인, 환경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야 의미있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 학생들이 사회과에 흥미를 가지고 스스로 즐겁게 공부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수업 자체의 개선 노력도 중요하지만 이에 앞서 사회과에 얼마나 높은 인식과 관심을 두느냐 하는 것, 수업에 여전히 흥미를 갖지 못하고 소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들을 위해 다방면의 인식과 능력을 가지려고 노력하는 것, 그리고 관리자들은 교사들의 수업 준비를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해 주어야 한다는 것과 학교의 운영에 있어서 시대 변화의 흐름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 등이 제언되었다. This research was first initiated to find a solution to the questions such as "Why do the students dislike social studies?" and "What will be a good way to get the students interested in learning social studies by themsel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mainly focused on the way to improve my own teaching skills, to help teachers to make theil classes more desirable ones in spite of current difficult environment, and to make the policy mak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understand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and support their teaching activities. Action research was used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 have been a number of studies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so far. However, these research are mostly dedicated to the effects of program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r learning attitudes. Action research was necessary to find out what is the best teaching method of social studios, when certain program was applied to the specific circumstance under the given school conditions. The following methods were used to solve the potential problems of my teaching. First, actual conditions of the school, classes, and students were analzed. Second, problem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various factors that affect social studies lessons were assessed by response of students, tcacllers, and myself. Preliminary improvement Plan was developed from this result and applied to my own class. Also the application result of the preliminary improvement plan was assessed by response of students, teachers, and myself. Then the upgraded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my own class. Finally, the effects were analyzed during the application of developed program. Factors to improve my lesson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six principles : 『Principle 1. Applying various teaching methods pertinent to students' levels』, 『Principle 2. Organizing student activity-centered lessons』, 『Principle 3. Making efforts to enhance my own teaching ability』, 『Principle 4. Preparing for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hich are simple and reflect students' levels and interests』, 『Principle 5. Maintaining consistency of assessment and lesson activity』, 『Principle 6. Organizing the lessons with flexibility in consideration of school's conditions』. This studt found that meaningful teaching results can be obtained when such factors as students, lessons, and environment operate together. In conclusion, several suggestions are made to get the students interested in leaming social studies by themselves. In addition to efforts to improve teacller's own lessons, the teacher's recognition and concern on the social studies are important. Also, efforts to obtain various abilities to teach negative students effectively are very important.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secure enough time for teachers to prepare the lessons, and consider the change of times in school management.

      • 수업개선을 위한 초등교사의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조사

        구미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수업개선을 위한 초등교사의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 실태, 활성화를 위한 요구를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수업개선을 위한 자기장학에 대해 초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교사가 실천하는 자기장학 실태는 어떠하며, 그 효과는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셋째, 자기장학 활성화를 위해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가?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경상남도 창원시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350명을 무선표집하였고, 설문에 응답한 자 303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빈도분석, (chi-square)검정,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e coding)과정을 거쳐 SPS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업개선을 위한 자기장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실태, 요구면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초등교사의 수업개선을 위한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은 높았다. 수업개선을 위한 자기장학을 96.7% 수준에서 이해하고 있었고, 경력이 높을수록 이해가 높았다. 초등교사의 97.7%가 수업개선을 위해서 자기장학이 필요하다고 인식했고, 중간경력 교사와 ‘대학원 재학, 졸업’한 교사는 자기장학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자기장학의 효과에 대해서는 78.6% 수준에서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였고, 직급과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인식하였다. 초등교사는 자기장학을 ‘교사 자신의 교수활동에 대한 자기반성과 자기 수정을 위해(36.3%)’, ‘수업개선을 위한 필요와 요구를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해보기 위해(30.7%)’, ‘자기의 개인적인 발전을 위해(26.1%)’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장학을 시작한 시점의 경우, ‘현직 발령 후 바로 시작(34.7%)’, ‘경력 3~5년(29.0%)’, ‘경력 9년 이후(17.2%)’, ‘경력 6~8년(12.2%)’ 순으로 나타났고, 경력이 적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자기장학 시작시점이 빨랐다. 자기장학 영역은 ‘수업방법 개선(50.8%)’, ‘수업활동 시 학생들과의 상호작용(38.2%)’, ‘수업에 대한 열의(6.0%)’, ‘수업매체 활용(4.0%)’, ‘수업환경(1.0%)’의 순으로 나타났다. 자기 장학을 시작한 동기는 ‘스스로의 수업개선 의지(78.5%)’, ‘동료교사 및 교육전문가의 조언(13.0%)’,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 실시(7.8%)’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가 실제로 자기장학의 여러 방법들을 실천하는 정도는 저조한 편이나, 이것이 수업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것과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교사가 실천하는 자기장학 실천방법으로는 ‘연수, 워크샵, 특강, 세미나 등 참석’, ‘시범학교 및 시범수업 참관’, ‘매체(전문서적, 방송, 인터넷 등) 활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원수강’, ‘멘토 및 컨설턴트(동료, 선배, 전문가) 요청 활동’에 대해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셋째, 자기장학 활성화를 위해 네 차원에서 초등교사가 요구한 것이 있었다. 교사차원에서는 ‘수업전문성을 위한 자율성과 자기발전의지, 의욕의 고취’를 요구했고, 학교 차원에서는 ‘각종 자기장학 활동에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는 시간적․심리적 지원’을 요구했다. 그리고 교육지원청 차원에서는 ‘잡무경감조치’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국가 차원에서는 ‘다양한 현직교육을 위한 시간적․물리적 지원 확대’와 ‘학급당 인원 감축’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 초등 도덕과 수업 개선방안 연구 : 교사의 수업반성을 중심으로

        신미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70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도덕 수업 자기평가 영역을 기본 지식과 능력, 수업설계, 수업실행, 교사의 전문성 제고 등의 영역으로 구분한 뒤 수업반성을 통해 나타난 변화 과정을 살펴 도덕수업 개선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주시에 근무하는 A교사와 청원군 S초등학교 분교에 근무하는 B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업반성의 과정을 순환 반복 적용하여 수업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수업촬영, 도덕수업 자기 평가 준거지 작성 및 체크리스트 작성, 수업 협의 기록 및 면담, 그리고 반성일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례기록과 귀납적 범주 분석의 방법의 의해 분석하였고, 삼각검증법에 의하여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2명의 연구 대상 교사의 개별 사례를 분석한 결과 도덕 수업의 변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기본 지식과 능력 영역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발달 수준에 대한 고려 면이 더욱 중요시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A교사인 경우 6학년의 발달 수준을 고려해 모둠 활동을 자주 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이야기하는 분위기를 마련해 주는 데 역점을 두었다. B교사인 경우 학생들의 경험과 관련된 흥미로운 제재를 선택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수업을 변화시켜 갔다. 그래서 경직되기 쉬운 토의 수업을 점점 원활히 할 수 있었다고 본다. 둘째, 수업 설계 영역에서는 수업 준비 및 사전 점검 면에서 처음 도덕수업과는 다른 점이 보였다. A교사는 교과서 위주로 하는 것도 한 시간 수업하기에 벅차다는 생각을 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수업 반성의 과정을 거치면서 교과서 외의 자료를 찾게 되고 수업에 대한 간단한 진행 메모를 하여 수업이 더욱 매끄럽게 진행되도록 하였다. B교사는 수업을 준비하면서 모둠 구성을 다양하게 하였다. 학생 인원이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소모둠(4-6명), 전체 토의, 교사위주의 토의, 학생위주의 토의 등 다양하게 운영하여 학생들에게 기대되는 수업으로 만들었다. 셋째, 수업 실행 영역에서는 교수 학습 방법 면이 다양하게 시도되었다. A교사는 수업 반성의 과정을 거치면서 교수학습방법을 다양하게 가져가는 특징을 보였다. 교과서 중심의 토의 위주 수업, 역할극을 활용한 수업,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자료 이용을 한 수업 등을 보여 주었다. B교사는 학교 특성상 자신감이 많이 결여된 학생들에게 자신감을 키울 수 있도록 토의수업방법을 다양화하였다. 넷째, 교사의 전문성 제고 영역에서 연구대상 교사들은 공통적으로 자신의 수업 행동이나 말투, 태도 자세 등을 관찰할 기회를 가짐으로써 문제점을 쉽게 인식할 수 있었고, 이렇게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부적절한 수업행동을 비교적 단시간 내 개선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제언해 본다면 첫째, 본 연구는 단 기간에 걸쳐 이루어진 연구이지만 교사의 수업반성과정을 장기간에 걸쳐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종단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교사는 수업 공개에 대한 심적 부담을 탐구적 자세와 열린 자세로 극복해야 한다. 셋째, 교사의 개인적 가치관과 실천 그리고 반성과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보는 다양한 측면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초등학교 창작표현활동 수업개선을 위한 실행 연구

        정경아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69

        본 연구는 충청북도 청원군 남이면에 위치한 소규모 초등학교의 5학년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초등학교 창작표현활동의 수업내용과 방법을 재구성하여 수업에 적용한 후 연구자의 반성적 성찰을 통해 창작표현활동 수업 시 야기되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고, 수업을 재계획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통한 수업개선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나아가 본 연구는 연구자 개인의 수업개선 뿐만 아니라 연구자와 같은 고민을 하고 있는 초등교사들에게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창작표현활동 수업의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체육과의 창작표현활동 수업을 주제로 수업의 계획- 적용 - 반성의 사이클을 반복 순환하는 과정을 통해 연구자의 창작표현활동 수업을 개선해 나가는 실행연구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1차 수업 실행 후 창작표현활동 수업에 임하는 학생들의 태도가 소극적이어서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위한 해결책이 필요하였다.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움직임 구성에서의 주제 전개방법에 대한 해결책과 수업의 환경에서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학생들의 무용일기, 교사의 수업 성찰일기, 학습 결과물, 수업 사진 및 동영상 촬영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2회에 걸쳐 학생과 심층면담을 하였고, 전문가의 수업 참여 관찰 및 전문가의 지도 조언을 받았다. 수정하여 2차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였으며 1차 수업 실행과 같은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1차 수업에서 야기되었던 대부분의 문제는 해결이 되었고, 수업의 계획- 적용 - 반성의 사이클을 반복 순환하는 지속적인 과정을 통해 교수-학습 방법 개선의 효과가 있었다. This study is to seek solutions for those problems occurred during creative expression activity class through researcher's reflectional self examination and to improve class through replanning of class and its application after implementing to reorganize contents and a method of class for creative expression activity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applying it for 5th grade students of a small elementary school located at Nami-Myun, Chungwon-Gun, Chungcheongbuk-Do. For this study, a researcher used an action study methodology in that a researcher improved creative expression activity class by implementing a plan-apply-reflect cycle of class with a subject of creative expression activity class of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After the first implementation, a solution to have students participated in class more actively was required as their attitude for creative expression activity class was passive. In order to seek solutions for ways to spread out a subject in action organization that students might have troubles to do and for problems in class environments, a dancing diary of students, a review diary of class of teachers, hard results of learning, pictures and motion pictures of class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n, in depth interview with students were implemented twice and a class visit and an advice by professionals was given. After modification, the second class was planned to implement and data was collected to analyze as in the first class. Most of the problems occurred in the first class were resolved and there was an improvement in a teaching-learning method through a continuing process of a plan-apply-reflect cy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