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드너의 대인관계 지능 및 개인이해 지능을 적용한 세계민요 지도방안 : 중학교 2학년 중심으로

        손은혜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According to the revised Music Education Curriculum 2007, musical activities can develop students’ musical potential and creativity and enhance understanding of life through recognition of social value of music. The purpose of music education described in the Curriculum is the motivation of the current study. Today we live in the new era where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share the information and different culture thanks to development of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nges is that the world has more multi-racial and multi-cultural societies. South Korea is facing the issues in relation with growing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international marriage as well; however, the society is not well prepared or educated for this new phenomenon . Especially Korean have insufficient understanding on other races or other cultures since they have been taught the concept of a “racially homogeneous nation”. Thus, there is an urgent ne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make people prepare for new multicultural society. Music can be a very efficient way to teach multi-cultural society because music is an excellent communication tool all the time as language i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seek a way to use music to build up students’ musical talent and creativity, and to help them to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in other culture, and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life with recognition of the social value of music. In order to recognize the social value of music, students need to understand other cultures and to have correct identity on their own culture through examination of their own culture. The author developed a new music instruction-learning plan to enhanc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by applying the Inter-personal intelligence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of Howard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raditional folk music represents unique characteristic of each ethnic or national group. The author intended to help students appreciate unique musical communication styles of different ethnic or national groups in the music class using world folk songs. The main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is literature review. The author reviewed the literature referring to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focusing on inter/intra-personal intelligence to see the implication of the theory on music education. In addition, the literature o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 which world folk music is used as educational material, and on the characteristics of folk music from different areas or nations was reviewed. And, the author examined and analyzed the folk songs of other nations in the music textbooks of nine publishers which are used in 8thgrade music class in Korea in order to see the current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of Korean middle school. As the main result of the this study, an instruction-learning model for middle school music class using folk music of other national and ethnic groups was come up with by applying the inter-personal intelligence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of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s a way of application of self-understanding intelligence, students write personal journal, group journal, and mutual evaluation in the class. And they are expected to improve their inter-personal intelligence by group work. In addition, the instruction-learning plan contains a variety of the activities students participate in groups and experience other cultures, so that they appreciate different cultures as importance as their own culture. This new form of music class and activities are expected to develop both social skills and creativity of the students.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르면 음악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은 잠재된 음악성과 창의성을 계발할 수 있고 음악의 사회적 가치를 인식하여 삶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고 하였다. 교육과정에 제시된 ‘음악의 사회적 가치를 인식하여 삶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는 교육목적의 필요성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 시대는 교통, 정보의 발달로 인해 모든 사람이 전 세계의 정보와 문화를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그 중에 가장 달라진 현상은 다인종,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이다. 우리나라 역시 이주노동자 가정이나 국제결혼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데 이를 위한 준비와 교육의 필요성이 부족한 현실이다. 특히 우리교육은 ‘단일민족국가’개념을 가지고 있어서 다른 인종뿐 아니라 다양한 문화를 받아들이는 이해력이 부족하다. 그래서 이를 위한 준비인 ‘다문화교육’이 시행되어야 한다. 음악은 언어와 같은 것이므로 어느 시대, 민족에게나 소통하는 수단이 된다. 그러므로 다문화주의 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매우 좋은 도구이다. 본 논문은 학생의 잠재된 음악성과 창의성을 계발하고 음악의 사회적 가치를 인식하여 세계시민으로써 소통(疏通) 하고 삶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음악의 사회적 가치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상대 문화를 이해하고 자신의 문화를 성찰하여 문화적 정체성을 가져야 한다. 이를 적용하기 위해 가드너가 제시한 다중지능 이론 중 개인이해 지능과 대인관계지능을 적용한 세계민요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였다. 민요는 자연적으로 발생된 노래로 각 민족의 국민성, 민족성을 나타낸다. 학생들은 세계민요를 통해 각 나라가 가진 특유의 음악 어법을 이해하고 양식미를 볼 줄 아는 눈을 키운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 연구이다. 이론적 배경으로 다중지능 이론 중 개인이해 지능과 대인관계지능이 음악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세계민요의 근간이 되는 다문화주의 음악교육과 역할을 알아보고 각 지역의 민요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중학교 2학년의 9종 교과서에 수록된 세계민요의 분석으로 현재 행해지는 다문화 음악교육의 실태를 알아보았다. 지도방안으로는 개인이해 지능과 대인관계지능을 적용한 세계민요 교수-학습 모형을 만들어 구체적인 수업방안을 마련해보았다. 모둠을 통한 대인관계지능과 수업마다 활용하는 개인 일지, 모둠일지, 상호평가를 통한 자기 이해지능 적용해 보았다. 즉 지도방안은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임하는 여러 가지 활동을 통하여 다양한 문화집단에 속한 나라에 대해 이해와 평등관계를 중시하게 되고 다른 집단의 문화를 자신이 속한 문화와 같이 동등하게 가치 있게 여길 수 있게 된다. 음악의 사회성과 창의성을 동시에 계발 시킬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로 음악교육과 사회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세계민요를 대상으로 한 중학교 기악 합주 지도 방안 : 5개 대륙을 대상으로

        박소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세계의 다양한 음악을 교육하는 것은 음악을 통해 그 나라의 민족의 민족성과 역사·문화·사회를 함께 경험하게 하여 세계 여러 나라의 다양한 문화를 총체적이고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타 문화권의 사람들을 심층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기르는 과정이 될 수 있다. 세계민요의 중요성은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모든 시대를 포함하여 다양한 음악을 지도할 때 그 음악이 속한 역사·문화적 배경과 관련하여 이해하고 설명해야 한다고 명시한 점을 통해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민요에 관한 음악교육의 지도방안 마련을 위해 첫째, 중학교 음악교육에서의 기악 교육과 세계민요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둘째, 세계민요에 관한 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셋째, 2015 개정 중학교 음악 교과서 14종에서 세계민요에 관한 학습 내용 및 지도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교 음악 교과서 14종에는 세계민요가 5개 대륙별로 다양한 악곡이 수록됐지만, 주로 가창과 감상 활동을 다루고 있었으며 기악, 창작, 신체표현 등의 음악 활동은 현저히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악 활동으로 제시된 경우는 독주 활동이 대부분이고, 기악 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학습 내용 및 지도내용이 제시되지 않는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2015 개정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세계민요 중 기악 합주 활동으로 적합한 악곡을 선정하고, 기악 합주 활동을 위해 악곡의 특징적인 리듬과 선율을 활용하여 타악기를 중심으로 편곡을 하였다. 편곡된 악곡은 중학교 수준의 음악 요소를 기악 활동과 함께 연계하여 습득하고 사회·문화·역사적 맥락에서 음악을 이해할 수 있도록 <표 40>에 제시한 기악 수업모형의 단계에 따른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타문화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을 버리고 음악적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타문화를 이해하고 경험하도록 하며, 합주를 통해 또래 친구와의 관계 속에서 협동심과 소통능력을 기르며 올바른 자아정체성을 확립해가고, 음악을 즐기는 태도와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갖기를 기대한다.

      • 세계민요 오카리나 연주 학습에 기반한 다문화 음악교육 접근법 : 초등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백지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음악교육의 개념 및 중요성 고찰을 통해 다문화 음악교육의 목표를 살펴보고 교사에게는 이를 달성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 학생에게는 가창 및 감상 영역에서 한 발 더 나아간 다문화 음악교육을 받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통합교과 교과서에 수록된 세계민요를 오카리나를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지도하는 방안을 구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다문화 음악교육의 개념 및 중요성, 세계민요의 교육적 가치, 오카리나의 연주법과 교육적 가치, 지도방안에 대한 배경지식을 탐색하여 이론적 배경을 정립하고 다문화 음악교육 및 세계민요와 오카리나를 활용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그러나 다문화 음악교육을 위한 실제적인 교수학습 방안과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연구들은 많았으나 초등 저학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과 통합적 교육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어서 초등 저학년 교사들이 현장에서 교과 통합적 특성을 고려한 다문화 음악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도 자료가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다문화 음악교육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현행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및 2학년 통합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세계민요와 관련 단원의 주요 학습 목표 및 학습 활동을 분석하였으며 다문화 음악교육에서 강조하는 각 나라의 문화적 요소를 분석하여 실제 수업에서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오카리나를 활용한 세계민요 지도를 위한 실제적인 교수학습 방안의 구안에서는 제재곡에 대한 악곡 탐색과 학습 활동 과정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였고 2학년 수준에 맞는 문화적 배경에 대한 탐색 및 제재곡과 관련 있는 놀이 및 춤 등의 활동을 통해 세계 여러 나라에 대한 관심과 흥미도 및 음악적 이해를 키울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세계민요에 대해 굉장히 흥미 있어 하고 수업 후 다른 나라와 다른 나라의 민요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졌으며, 수업 때 배운 곡 이외의 다른 나라 민요도 오카리나로 연주해보고 싶다고 한 것으로 보아 오카리나를 통한 다문화 음악교육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오카리나 이외의 다른 악기로도 세계민요를 배워보고 싶다는 의견은 다양한 기악활동을 통한 다문화 음악교육의 방법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이 기악활동 중심 접근을 통한 다문화 음악교육 지도 방안의 제시는 현재 가창과 감상영역에 치우쳐 있는 다문화 음악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초등 저학년 학습자에게 세계민요의 악곡들을 직접 표현하고 느끼며 다문화 악곡들과 감성을 동화할 수 있는 교육적 경험들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and importance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achieve it. In addition, students are expected to receive a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at is one step further from singing and listening learning activities. it is aimed at systematically guiding the second graders utilizing world folk songs based on the concrete and joyous ocarina performance. In this paper,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searched for the concept and importance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educational values ​​of world folk songs, ocarina's playing method and educational value. And researcher checked the precedent research o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nd world folk song and ocarina. As a result, there are many studies that suggest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programs fo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but most of them do not reflect the fact that the integrated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s done. So, researcher learn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 concrete guidance materials that encompass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considering the integrated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researcher analyze the music and curriculum of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and the global folk song related unit in the second grade integrated textbook. Specifically, the main learning objectives and learning activities were analyzed, and the cultural elements of each country highlighted in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ere analyzed and presented in the classroom learning. In addition, researcher systematically suggested the process of discovering songs and learning activities for the representative songs in order to make a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the world folksong instruction using ocarina. Through the activities related to the search for the cultural background suitable for the second grade and the play related to the recording, Students have expanded the understanding of interest and music in many countries of the world. Such an activity-centered approach may provide guidance for lower-grad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o help overcome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hich is currently focused on the parts of singing and listening, and to broaden the diversity of the world folksong education.

      •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2015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세계민요 수업지도안 연구

        허윤영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2

        현 코로나19(COVID-19) 시대에는 감염을 차단하고 예방하기 위한 상호 간의 협력과 소통이 필요시 되며 공동체 의식이 더욱 부각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소집단을 통해 구성원들이 함께 소통하여 학습하는 협동학습은 교육현장에서 더욱 중요시 되며 이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여섯 가지 핵심역량 중 음악적 소통 역량에 맞물린다. 또한 문화적 공동체 역량의 함양을 위한 교육적 소재로 세계의 민요는 그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 학교 현장에서는 타인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세계의 다양한 문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음악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세계민요 수업 지도방안을 고안하였다. 협동학습과 세계민요를 통하여 학습자들이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하며 다양한 문화와 음악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수업 지도방안은 총 4차시로 구성된다. 1차시 수업은 비대면 수업으로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세계민요 수업을 안내하고, 아시아 대륙의 중국 민요 <모리화>, 유럽 대륙의 이탈리아 민요 <산타 루치아>, 아프리카 대륙의 케냐 민요 <잠보>, 아메리카 대륙의 멕시코 민요 <라 쿠카라차>, 오세아니아 대륙의 뉴질랜드 민요 <연가>를 소개하도록 계획하였다. 또한 제재곡에 대한 학습자들의 흥미에 따라 다섯 모둠을 구성하고, 온라인 소회의실을 통하여 모둠별로 제재곡을 감상하며 소통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2차시 수업은 각 모둠별로 친밀감을 가지기 위한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도록 하고 토론을 통해 제재곡에서 탐구할 주제를 정하여 개별적 탐구 활동을 수행하도록 계획하였다. 3차시 수업은 제재곡의 모둠 음악연주를 포함한 다양한 내용의 발표를 위해 모둠별 집단발표를 준비하도록 계획하였다. 4차시 수업은 모둠별 집단발표 및 반성과 평가하는 활동을 마련하였다. 협동학습을 적용한 세계민요 수업지도안을 통해 학습자들이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여 소통 역량과 문화적 공동체 역량을 함양하도록 하는 수업지도안 설계에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주요어: 협동학습 모형, 세계민요 수업, 2015 개정 교육과정

      • 다문화 음악교육에서 세계민요를 활용한 오카리나 지도방안 연구 : 초등학교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유태경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1

        한국은 지금 빠르게 다문화 사회로 들어서고 있다. 고질적인 사회 문제인 3D 업종 기피, 저 출산, 그리고 고령화로 인해 외국인이 급속하게 국내로 유입되고 있으며, 정보통신기술과 교통의 발달로 인한 세계화 추세는 그 증가세에 한 몫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 사회는 지금 변화의 분기점 앞에 서 있다. 다인종 국가 안에서 야기되는 많은 사회적 갈등들을 해소할 수 있는 대책이 시급하게 요구되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대책은 바로 다문화교육에서부터 시작되어져야 한다. 다문화교육은 미래에 터져 나올 문제들을 완화시키도록 방파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음악교육을 통한 다문화교육은 타문화를 이해하는데 용이한 대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지금 이 사회는 다문화음악교육이 날로 필요해지는 시점에 와 있다. 그러나 현재 다문화 음악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에 비해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소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가창, 감상교육 위주로만 진행되고 있어 상대적으로 기악교육은 소홀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 음악교육의 협소함을 인식하고 다양성을 넓히고자 세계 민속악기로서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오카리나를 선정하여 기초과정 단계별 교수-학습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대상은 발달과정상 어릴수록 음악을 순수하게 받아들이는 초등학생으로 하였으며, 악곡의 선정은 오카리나 기초과정임을 감안해 음악요소 난이도가 비교적 쉬운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세계민요를 활용하였다. 연구를 위해 먼저, 다문화 음악교육 관점에서 세계민요를 활용하거나 기악지도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시사점을 얻었으며, 문헌을 통하여 다문화 음악교육의 개념, 다문화 음악교육의 필요성, 다문화 음악교육에서 세계민요 교육의 가치, 다문화 음악교육에서 기악교육의 중요성, 그리고 다문화 음악교육에서 오카리나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오카리나 악기에 대한 이해와 실제적 연주법을 제시하고, 초등학교 3~4학년 8종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세계민요 총 62곡을 오카리나 학습에 활용할 수 있도록 난이도별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모두 7곡을 선별하여 오카리나 기초과정 7단계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3단계 필리핀 민요 지도안을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해 보았으며, 수업이 끝나고 수업 내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 분석한 결과 본 연구의 효과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받을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다문화 음악교육의 다양성을 넓히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 기악교육의 활성화를 기대해 본다. 주요어: 오카리나, 초등기악교육, 세계민요, 다문화 음악교육

      • 다문화 음악교육을 위한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세계민요 분석 및 수업지도안 연구 : 문제 중심 학습(PBL)을 중심으로

        이현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1

        [ABSTRACT] An Analysis of World Folk Songs and Class Guidance in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fo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Focusing on Problem Based Learning- Lee, Hyun Jin Major in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Korea, which has entered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o emphasize the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s a complaint against this reality. In order to develop effective music lessons in multicultural education, the PBL model was used, and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process of PBL lessons were correctly understood and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were prepared. In order to design and develop the cours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teps are taken. First of all, I understand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rrectly and think about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music subjects. Second, I learned about the concept of problem-centered learning (PBL) and learned about the course development proces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BL is studied to promote effective multicultural teaching and to implement the PBL model. Third, we investigate the concept of world folk songs and the necessity of world folk songs in music textbooks. Fourth,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world folk songs in music textbooks, the contents of world folk songs activities in textbooks, and whether they can be reflect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Three representative textbooks were selected for a detailed analysis of the activities of music textbooks, including the publication of "Gehaksa," "Segwang Music," and "Geum Sung." In order to effectively promote multicultural education by utilizing folk songs from around the world in music textbooks, PBL-based courses have been developed, and a total of five courses have been prepared. First, we set learning goals and developed problems to achieve them. Considering the interests of the course and various educational aspects, the contents were prepared in conjunction with other subjects. The course will be conducted by distributing various learning magazines such as introduction of the course development process until the problem is solved and a plan to carry out the task. Considering the various factors learned in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we are developing personal evaluation papers and collective evaluation papers, and reflective and process evaluation are carried out through two evaluation papers. The curriculum guidance plan is designed to organize multicultural concert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understand and accept the folk songs and cultures of various countries and take a step closer to multiculturalism. By making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folk songs from all over the world, and by learning about the culture and history of each country and even making them into pamphlets, one can develop a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attitud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world folk song analysis in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the world folk song section of music textbooks is not fully reflect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Most publishers have yet to mention any activiti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fore,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music subjects will be emphasized in order to support multicultural education in various fields using folk songs from around the world.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에 진입한 한국의 실정을 알고, 이러한 현실에 대한 고충으로서의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과 강조되는 점에 맞춰 세계민요를 활용한 효과적 수업을 진행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다문화 교육에 있어서 효과적인 음악수업을 개발하기 위하여 문제 중심 학습(PBL)모형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PBL 수업의 특성 및 전개 과정에 대해 바르게 알고 알맞은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 취지에 부합하는 수업 설계 및 개발을 위해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랐다. 첫째, 다문화 교육의 개념을 제대로 알고 음악 교과 내에서의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까지 살펴보았다. 둘째, 문제 중심 학습(PBL)의 개념을 알고 수업 전개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효과적인 다문화 수업을 위하여 학생들이 중심이 되는 수업을 실행하고자 PBL 모형을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 PBL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고찰하였다. 셋째, 세계민요의 개념과 음악 교과 내에서의 세계민요 수업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넷째, 음악 교과 내 세계민요 수록현황과 교과서별 세계민요의 활동 내용에 관한 분석 및 다문화 교육에 대한 반영 여부 까지 살펴보았다. 음악 교과서의 활동 내용에 관한 세부적인 분석은 대표 3종 교과서를 선정하였으며 해당 교과서는 ‘지학사’, ‘세광음악’, ‘금성’ 출판이다. 음악 교과서 내 세계민요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다문화 교육을 진행하기 위해, PBL을 기반으로 한 수업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해당하는 수업지도안은 총 5 차시까지 작성하였다. 우선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문제를 개발하였다. 수업의 흥미와 다양한 교육적 측면을 고려하여 타 교과와의 내용을 함께 연계하여 작성하였다. 문제를 해결하기까지의 수업 전개 과정에 대한 소개와 과제수행 계획안 등 여러 학습지를 배부하여 수업이 진행된다.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배우게 되는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개인 평가지와 모둠 평가지를 개발하였으며 두 개의 평가지를 통하여 성찰적 및 과정 평가가 이루어진다. 수업지도안은 다문화 교육을 위하여 다문화 음악회를 기획하는 내용으로 전개되었으며 음악회를 기획하는 과정 중 여러 나라의 민요와 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수용하며 다문화에 한 걸음 다가갈 수 있다는 취지의 내용을 담는다. 세계 여러 나라의 민요의 특징을 살려 노래 불러보고 각 나라의 문화, 역사 등에 대해 알며 이를 팜플렛으로 제작해보는 활동까지 해봄으로써 다문화를 이해하며 수용하는 자세를 키울 수 있다. 현재 중학교 음악 교과 내의 세계민요 분석 결과로써 음악 교과서의 세계민요 부분은 다문화 교육에 대한 반영 여부가 아직은 미비한 점을 볼 수 있다. 대다수의 출판사는 아직 다문화 교육에 관련한 활동 내용을 눈에 띄게 언급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 및 수업지도안 개발을 통하여 음악 교과 내 세계민요를 활용한 다양한 방면의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에 목적을 두며 앞으로의 음악 교과 내 다문화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강조하는 바이다.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17종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세계민요 분석

        최하늘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1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음악교과서 17종에 수록되어 있는 다문화 영역 중 세계민요를 분석하고 교과서별로 학습활동에 따라 다문화 음악교육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정량적 분석을 기초로 하여 17종 교과서의 쪽수를 계수하였고, 다문화와 관련된 세계민요의 학습활동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과서 내의 다문화 영역의 양적 분포를 살펴보고, 대륙별 세계민요의 음악적 특징을 알아보았으며, 세계민요의 다문화 관련 학습활동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9개정 음악교과서 17종의 전체 쪽수 대비 세계민요 악곡 및 다문화 관련 영역의 비율은 7.9%를 나타내었다. 각 교과서에 따라서 비중은 최소 3.1%에서 최대 17.7%까지의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 음악교육은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지난 수차례의 교육과정 개정안에서 강조되어왔지만, 여전히 교과서 내의 다문화 음악교육의 비중은 채 10%가 안 되는 비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17종의 교과서 내의 세계민요 악곡들의 총 수록 횟수는 365번으로 계수되었고 각 교과서 별로 최소 10곡에서 최대 42곡의 세계민요 악곡이 실렸으며 평균적으로 약 21곡의 세계민요 악곡이 실린 것을 알 수 있었다. 대륙에 따른 분포도는 유럽 대륙의 악곡이 144번으로 가장 많았고 아시아,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순으로 나타났다. 교과서 내에는 다양한 민족의 민요가 수록되었지만 여전히 양적인 분포에 있어서는 서구 문화권에 편중되어있다. 다문화 교육을 위해서는 세계민요 악곡의 소개에 있어서 지리적으로 보다 균형 있는 분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셋째, 각 대륙에 따른 세계민요의 음악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악곡 별로 음계와 박자, 빠르기, 조성 및 음역을 조사하였고 이를 통해 전체적인 대륙별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넷째, 학습활동에 따른 분석기준을 세운 뒤, 각 교과서에 수록된 모든 세계민요 악곡들을 분류한 결과 표현하기 209회, 감상하기 66회, 생활화 32회로 표현하기 영역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계민요를 소개하며표현하기 영역 활동 이외의 다양한 내용을 구성하여 학생들이 악곡을 익히고 해당 민족의 문화를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 협동학습모형을 활용한 다문화음악 수업지도방안 연구 : 세계민요를 중심으로

        남유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0

        Due to various factors, the percentage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n society has rapidly increased, and this has led to various cultural issues. This social trend raised the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o the educational world and proposed the "community competenc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at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development of communities based on the values and attitudes required of members of local, national, and world communiti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one of the six core competencies. Music subjects can be a good mediu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Music expresses human emotions and thoughts with sound, and projects the ideas of each era and various aspects of culture, religion and politics. Among them, folk songs are genres that reflect the emotions, social image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peculiar to each nation. By learning the folk songs of each region, not only information about the region but also direct experiences such as singing, instrumental performance and appreciation can help you understand the culture more deepl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ultivate correct values that respect diverse cultures without discrimination through lessons in folk music around the world. As a method for teaching world folk songs, a model of cooperative learning in which learners can participate in the lessons in an active attitude is selected. Cooperative learning is kn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fulfillment and sociality of learners in a teaching method in which a group is formed, roles within the group are shared, and learning results are obtained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This researcher devised a method of teaching multicultural music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using autonomous a model of cooperative learning among various a model of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expected effec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learner can expect active participation in the class by utilizing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in which he/she plans his/her learning activities freely as a subject of learning away from the conventional class system. Secondly, through the activities of analyzing reg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by group, they will be able to experience and understand diverse cultures and develop the moral attitudes necessary for world citizens. Third, Students will be given the opportunity to organize their learning through group activities and individual activities, evaluate themselves, and reflect positively on themselves positively. To effectively teach the teaching proposals presented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understand collaborative learning and to actively participate in it. In addition to autonomous cooperative learning models, multicultural music teaching proposals using various cooperative learning models should be presented, and studies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should also be presented. 한국 사회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다문화 가정의 비율이 급속도로 증가하였고, 이로 인해 다양한 문화들과 마주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은 교육계에 다문화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대두시켰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지역ㆍ국가ㆍ세계 공동체의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가치와 태도를 가지고 공동체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공동체 역량(교육부)”을 6가지 핵심역량 중 하나로 제시하였다. 음악교과는 다문화 교육에 적합한 매개체가 될 수 있다. 음악은 인간의 감정과 사상을 소리로 표현하며 각 시대의 사상과 여러 나라의 문화, 종교, 정치 등 다각적인 모습을 투영하고 있다. 그 중 ‘민요’는 각 나라의 민족 특유의 정서와 사회상, 문화적 특징 등이 잘 반영되어 있는 장르이다. 각 지역의 민요를 학습함으로써 그 지역에 대한 정보습득뿐만 아니라 가창과 기악 연주, 감상 등 직접적인 경험으로 그 문화를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세계 민요 수업을 통해 다양한 문화를 차별하지 않고 존중하는 바른 가치관을 함양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세계민요를 수업하는 방법으로 학습자들이 능동적인 자세로 수업에 참여 할 수 있는 협동학습 모형을 선택하였다. 협동학습은 모둠을 구성하여 모둠 내 역할을 분담하고 상호간의 소통을 통하여 학습결과를 얻고자 하는 수업방법으로 학습자의 자아 성취도와 사회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자는 다양한 협동학습 모형 중 자율적 협동학습을 활용하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 음악수업 지도방안을 고안하였고,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전통적인 수업방식을 벗어나 학습자가 학습의 주체가 되어 자유롭게 학습활동을 계획해 나가는 협동학습 모형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능동적인 수업 참여를 기대할 수 있다. 둘째, 모둠별로 문화적 특징을 분석하는 활동을 통해 다양한 문화를 경험하고 이해할 수 있으며 세계시민으로서 필요한 도덕적 태도를 기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학습자는 모둠활동과 개별활동을 통해 학습내용을 정리하고 자신을 스스로 평가하며 긍정적인 자아성찰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도안의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서는 협동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가 필요하고,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도가 필요하다. 또한,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 외에도 다양한 협동학습모형이 활용된 다문화 음악 지도안이 제시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도 같이 제시되어야 하겠다.

      • 다문화 교육으로서 세계민요를 소재로 한 합창 지도방안

        김예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86

        음악교육에 있어 세계민요 학습은 분명한 전문지식을 갖추어 목표를 설정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음악을 느끼고 이해하는 능력을 기르도록 함과 더불어 사회와 세계를 바라보는 바람직한 시각을 함양하도록 돕는데에 큰 의의가 있다.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도 모든 시대를 포함하여 음악을 지도할 때 각 음악이 속한 역사적ㆍ문화적 배경과 관련하여 이해하고 설명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세계민요 학습은 각 나라의 민족성과 역사ㆍ문화ㆍ사회를 총체적이고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더 나아가 각 문화권의 사람들을 심층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기에 급격히 세계화되어 다문화 학교나 다문화 학급이 생겨남에 따라 수반되는 일련의 사회적ㆍ교육적 문제를 겪고 있는 우리 사회에 중요한 해결의 수단이 될 수 있으므로 다문화 교육의 소재로 보다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에도 실제 수업에서는 다루지 않거나 교과서에도 주로 감상이나 가창 활동 위주로만 수록되는 등 아직 그 중요성이 저평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다문화 교육의 소재로서 세계민요를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2015개정 중학교 음악 교과서 14종을 분석하여 세계민요의 수록 현황과 학습활동 내용을 확인하여 5개 대륙별 제재곡을 선택하고 효과적인 다문화 수업을 위한 도구로 ‘합창’을 선택하여 그 의미와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먼저 수업 시수가 적은 것을 고려하여 교과서에 제시된 단성부 민요를 2부 합창으로 편곡(성부추가)하여 제시하였으며 언어적 문제로 합창수업에서 소외되는 학생들을 고려하여 악곡이나 각 나라의 특징적인 선율과 리듬을 활용한 기악악보를 추가하여 실제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지도방안을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타문화에 대한 선입견과 거부감을 버리고 음악수업을 통해 자연스럽게 경험하도록 하며 합창을 통해 친구와의 관계 속에서 소통능력과 공동체의식, 협동심을 기르고 다른문화를 바라보는 바람직한 시선과 포용력을 기름과 더불어 음악적 지식과 경험을 쌓기를 기대하며 이에 앞서 음악교육이 다문화교육의 핵심이 될 수 있음을 명심하고 적극적인 태도로 다문화 교육을 위한 다양한 음악 교수법들이 연구되고 싶제 수업에서도 활발히 적용되어 더욱 다양한 분야와 범위에서 음악교육의 당위성과 중요성이 입증되기를 소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