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제조업 비숙련 노동수요 결정요인 분석

        유태경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최근 한국경제의 중요한 이슈는 소득불평등 심화 현상이다. 이것은 한국만의 독특한 현상이 아니라 1980년대부터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러 연구결과에 의하면 이런 소득불평등 심화현상은 제조업 부문의 비숙련노동의 임금하락과 고용불안에 기인한다. 이런 현상이 1990년대 이후 한국 제조업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다. 한국경제에서 제조업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고용 없는 성장’(jobless growth)으로 숙련노동과 비숙련노동 간 임금격차가 확대되고 비정규직 등 고용형태 변화로 고용불안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경제학계에서 다양한 이론적 모색이 이루어졌는데 대표적인 이론이 숙련노동 편향 기술진보가설과 국제무역가설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배경 하에서 어떤 요인들이 비숙련노동수요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분석하였다. 주요 요인들로는 인적자본론과 비용이론을 통해 숙련노동(고학력노동)과 비숙련노동(저학력노동)의 임금, 자본과 제조업 생산량 변수가, 숙련노동 편향 기술진보가설에서 기술진보 변수(정부연구개발비)가, 국제무역가설에서 세계화 변수(총무역액)가 각각 유도되었다. 이러한 변수들을 바탕으로 트랜스로그 비용함수(trans-log cost function)를 설정하고, 두 노동임금에 대해 1차동차함수와 자본에 대해 규모수익불면의 제약조건 등을 고려한 비용비중함수(cost share function)형태의 추정모형을 유도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각 변수에 사용된 시계열자료는 최근 23년(1993- 2015)간 자료이다. 이때 추정식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실증분석의 추정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숙련노동 임금은 비숙련노동수요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종속변수와 숙련노동이 어느 것이냐에 관계없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숙련노동 임금은 비숙련노동수요에 음(-)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 숙련노동과 비숙련노동 간에 강한 보완요소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셋째, 제조업 생산량은 비숙련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도 미치지 않았고 방향도 불명확하여 어떤 결론도 추론하기 힘들다. 넷째, 자본은 전반적으로 비숙련노동수요에 음(-)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한국 제조업에서 자본설비와 비숙련노동수요 간 대체관계가 성립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섯째, 기술진보가 비숙련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일관성이 없다. 비용함수가 1차동차함수와 규모의 수익불변인 경우를 제외하고 기술진보는 비숙련노동에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한국 제조업 부문 노동시장에서 대체적으로 숙련노동편향기술진보 가설이 지지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섯째, 무역은 대부분 일관되게 비숙련노동수요에 음(-)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한국 제조업 노동시장에서 국제무역가설이 지지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일곱째, 숙련노동임금(상대임금 포함)이 비숙련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으며 기술진보, 자본과 세계화 순으로 이어졌다. 즉 한국 제조업노동시장에서는 기술진보나 세계화의 영향보다는 숙련노동시장의 변화가 비숙련노동수요에 가장 영향력이 크다. 앞으로 한국 제조업 부문에서 숙련노동임금 상승, 자본설비 증가, 숙련노동 편향 기술진보와 세계화 진전이 예상이 되므로 앞의 실증분석에 의하면 비숙련노동수요는 급감할 수밖에 없다. 미래에 한국 노동시장에서 비숙련노동임금의 하락과 고용불안 가중이 심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교육과 훈련을 통해 숙련노동으로 전환을 모색하고 비숙련노동의 실업증가에 따른 사회안전망 확충을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기술진보의 지표로 정부의 연구개발비 지원예산액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실질적인 기술진보의 효과를 측정하려면 민간기업의 연구개발비도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을 포함한 더 포괄적인 연구는 향후과제로 남긴다. Recently one of the most significant issues is that the income inequality is intensified in Korean economy. This phenomenon does happen in not only Korea but also in the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USA since 1980’s. A lot of articles related to that issue has pointed that recent intensification of income inequality in advanced countries is mainly attributed to wage decrease and unstable employment of unskilled labor in labor market of manufacturing industry. In Korea economy, the proportion of manufacturing industry is continuously reduced and jobless growth leads to expansion of wage gap between skilled labor and unskilled labor and also to employment unstability of unskilled labor. The steady efforts of academic world in economics to explain this phenomenon produced the hypothesis of skilled-biased technical progress and the hypothesis of international trade. Under this background of labor market, this thesis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determinants of unskilled labor demand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Based on the human capital theory and the cost theory, major factors such as wages of skilled and unskilled labor, capital and total quantity of production in manufacturing industry are derived. The variable of technical progress is added as a factor and the amount of total trade as a factor. I set up trans-log cost function for the estimation model which is designed to make analysis of how and by which factors affect unskilled labor demand, considering the constraint of first degree homogeneous function in terms of factor price and constant returns to scale(CRS) in terms of capital. The derived estimation equations are as follows. (1) Not first degree homogeneous cost function and CRS (2) First degree homogeneous cost function and not CRS (3) Not first degree homogeneous cost function but CRS (4) First degree homogeneous cost function and CRS Based on the above estimation equations and the date issu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by using the method of fully modified ORS(ordinary least square). The purport of the estim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wage of unskilled labor does not affect unskilled labor demand. The parameter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does not matter which variable is used as dependent variable. Secondly, the wage of skilled labor is negatively related with the unskilled labor demand, which means there is a mutually complimentary relation between skilled labor and unskilled labor. Thirdly, the effect of production quantity on unskilled labor demand is not clear. Part of parameter is jus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direction is inconsistent. Therefore it is hard to make some inferences. Fourthly, capital is negatively related with unskilled labor demand in the whole, which means there is a substitutive relation between capital and unskilled labor demand. Fifthly, the effect of technical progress on unskilled labor demand is not clear. Except first degree homogeneous fuction and CRS, technical progress is positively related with unskilled labor, which does not support the hypothesis of skilled-biased techincal progress. Sixthly, trade is negatively related with unskilled labor demand in the whole, which support the hypothesis of international trade. Seventhly the effect of wage of skilled labor on unskilled labor demand is strongest among the above determinants, followed by technical progress, capital and trade. In the future to come, as wage increase of skilled labor, increase of capital facility, skilled-biased technical progress and globalization trend are anticipated, following this model, wage decrease and unstable employment of unskilled labor are expected to happen. Therefore the government policies should be prepared to transform unskilled labor into skilled labor by supporting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unskilled labor and to cover the unemployment of unskilled labor by establishing social safety net as social welfare policy.

      • 음악 교육에 있어서 시창·청음 교육의 중요성과 지도방법 연구 : 중학교 3학년 음악교과서 중심으로

        유태경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을 접한다는 것은 눈을 통하여 악보를 보고 연주하거나, 귀를 통하여 연주되는 음악을 듣는 경우를 말한다. 음악의 기본 활동은 귀로 듣거나 노래를 부르는 것으로 이에 관련하여 시창과 청음은 모든 음악 영역에 기초가 되는 분야이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부분 모두에서 실음 위주의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음악은 음을 듣고 연주함으로서 이루어지는 예술 활동이므로 실음 위주의 교육은 지극히 당연한 것이다. 시창 · 청음은 음을 읽고, 들리는 음을 악보에 기보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이러한 점에서 실음 위주의 교육과정과 연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가창이나 감상, 기악악보를 스스로 읽을 수 있고, 창작시에도 자신이 적은 악곡을 마음속으로 읽어 내려갈 수 있으려면 시창 능력이 있어야 하며, 기악의 경우 자신이 악보를 읽으며 연주하고 있는 부분이 바르게 연주가 되고 있는지 알기 위해서는 정확한 청음 능력이 필요하다. 또 감상영역은 청각이 필요한 활동이니 만큼 청음의 중요성은 말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시창 · 청음이 다른 음악 활동 영역 중 가장 기초가 되는 영역이며, 동시에 가장 중요한 과목이다. Encountering music refers to the case that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looking at a musical score through eyes, or listening to the played music through ears. Basic activities of music are listening to musical sound or singing. In this regard, singing by looking at musical scores and listening to musical sound become the basics in all musical domains. In the currently executed music curriculum, practical music-focused education is pursued in the fields of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Music is an artistic activity carried out by listening to musical sound and playing the musical instruments; therefore, practical music-focused education is taken for granted. Singing by looking at musical scores and listening to musical sound are to read notes and write the notes heard on a musical score. In this way, they are associated with practical music-focused education. The ability of singing by looking at musical scores should be equipped with in order to sing, appreciate music, read instrumental music scores and read the musical piece that one created in one's mind in the case of creating music. When it comes to instrumental music, precise ability of listening to musical sound is needed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playing the musical instrument is properly done, while looking at a musical score and plying. The appreciation domain needs the sense of hearing, and its importance is huge. Hence, singing by looking at musical scores and listening to musical sound are the most basic! domains among other musical activities, and simultaneously are the most important subjects. Nonetheless, it was found out that theory-oriented education was carried out in middle schools, and the education of singing by looking at musical scores and listening to musical sound has hardly been executed through the analyses of the third year middle school textbooks. This study stressed the importance of signing by looking at musical scores and listening to musical sound, which have been rarely taught at school. This paper also undertook the study focused on subject matter songs in the textbooks in line with the level of the thir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students sing by looking at musical scores, even the students encounter the concerned songs first time via learning the subject matter songs in the textbooks and studying tunes that can be acquired from those songs, and identify the acquired tunes through musical instrumental sounds. Singing by looking at musical scores and listening to musical sound are the training of eyes and ears; therefore, step-by-step and systematic learning and constant practices are needed from the elementary school years. Teachers should research with thorough teaching plans and the sense of responsibility, as well as identifying the importance of their education. Teachers also require an attitude to wait and encourage students so that they can find musical tones through musical thinking. Although, the efficiency of singing by looking at musical scores and listening to musical sound can be low compared to the investment of long-term education, they should not be negligently treated, because they are the basic subjects in music.

      • 개방형 연구실과 공간분리된 연구실에서의 실내공기질 비교에 관한 연구

        유태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각 대학이나 연구기관에서는 설치된 연구실의 안전·보건관리와 사고로 인한 피해복구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그중 특히 대학의 연구활동종사자들은 화학, 생물, 기계, 전기, 방사선 등 다양한 위험요인에 노출되고 매년 입학과 졸업이라는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연구활동종사자가 수시로 바뀌는 실정이다. 그로 인해 구성원들의 안전·보건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학업에 밀려 뒷전이 되는 상황에서 다양한 위험요인으로 인한 사고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각 기관의 다양한 상황 및 조건을 개선하고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연구실 설치·운영 가이드라인을 배포하여 조금 더 안전한 연구실 구축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가이드라인 일반 건축 부분에서 연구실의 실험공간과 공부공간을 분리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명확한 이점에 대한 과학적 평가 결과의 제시 없이 기존 미 분리된 공간을 리모델링하여 분리시키는 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연구실과 공간분리된 연구실 간 실내공기질의 차이는 일정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조사대상인 생물연구실은 세균 배양 및 바이러스 등을 취급하기 때문에 실험 종료 후 자외선 조사와 70% EtOH을 상시 분무 소독하는 실험실 특성 상 부유 세균 및 진균이 생존하기 어려운 환경일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론으로 생물 연구실의 개방형 연구실과 공간분리된 연구실 간 실내공기질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고, 특히 부유 세균과 진균이 생존하기 어려운 자외선 조사와 TVOCs가 높을 수밖에 없는 환경인만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권고하는 바와 같이 생물연구실 소속 연구활동종사자들 역시 공간분리된 연구실에서 연구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Currently, in accordance with the Act on the Creation of a Safe Environment for Laboratories, each university or research institute performs tasks such as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of installed laboratories and recovery from accidents. Among them, research workers at universities are exposed to various risk factors such as chemistry, biology, machinery, electricity, and radiation, and research workers are frequently changed due to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admission and graduation every year. As a result, accidents due to various risk factors are constantly increasing in a situation where the importance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of employees is behind the scenes. In order to improve the various situations and conditions of each of these institutions,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provides guidelines for the establishment of a more secure laboratory by distributing laboratory installation and operation guidelines. Guidelines It is recommended to separate the experimental and study spaces of the laboratory from the general architectural section. However, without presenting the scientific evaluation results for the clear advantages, the existing unseparated space is remodeled and separated.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door air quality between the open laboratory and the space-separated laboratory. In particular, because the biological laboratory under investigation handles bacterial culture and viruses, it is thought that suspended bacteria and fungi are unlikely to survive due to the laboratory characteristics of UV irradiation and 70% EtOH spray disinfection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As a result of thi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door air quality between open and space-separated biological laboratory and the space-separated laboratory, and in particular, it is an environment in which irradiated UV rays and TVOCs, which are difficult to survive in floating bacteria and fungi, are inevitably high. Sufficient support and ventilation systems should be improved so that researchers working in the laboratory can continue their research activities in a space-separated laboratory.

      • Structural basis for target search and recognition in protein complexes probed by NMR spectroscopy

        유태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rotein-protein interaction is important in many b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enzyme catalysis, immune response, and cell signaling.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basis for the protein interactions, since there is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biological function in cell. NMR spectroscopy has become a powerful analytical tool for the protein structure and dynamics at the molecular level and emphasizing the application in biomolecular systems. Many proteins have been studied on the determination of protein structure and the biological functions using NMR. In this thesis, I demonstrate that the target search process of a protein complex can be visualized by NMR paramagnetic relaxation enhancement (PRE), and that the specific target recognition can be achieved by unusual coupling of binding and unfolding. In Chapter I, the target search pathway via encounter complex ensemble is characterized between the N-terminal domain of enzyme I (EIN) and the heat-stable histidine phosphocarrier (HPr) of bacterial phosphotransferase system (PTS). The encounter complex ensemble represents short-lived and lowly-populated nonspecific complexes that quickly relax into the final specific complex. It has been difficult to experimentally detect the encounter complexes, but the recent application of PRE was enabled to prove the characterization of transient encounter complexes during protein-protein association. I employed rational mutations of EIN based on PRE data, which potentially perturbed the target search pathway, and examined how the mutations altered the encounter complex formation and also the equilibrium binding constant. If encounter complexes at specific region influences the protein association, they are classified as productive encounter, otherwise non-productive. Mapping the region of productive encounter complexes on the surface of EIN, I visually demonstrate the allowed and disallowed target search pathways between EIN and HPr. In Chapter II, the complex structure of fibronectin extradomain B (EDB) and a specific binding peptide (aptide, APT) was determined by NMR spectroscopy. EDB is a prominent marker of tumor angiogenesis, and APT is a small peptide (26 aa) with a beta-hairpin scaffold and two engineered target binding arms. APT recognizes EDB via an unusual beta strand replacement mechanism, in which APT permanently unfolds the entire C-terminal beta strand of EDB and forms a new intermolecular beta sheet within the complex. Thus the interaction interface of EDB is not located on the surface, but buried inside of the protein. Unfolding of EDB exposes the hydrophobic binding interface that is specifically recognized by APT. The unique binding mode of coupled binding and unfolding will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the diverse protein interactions.

      • 다문화 음악교육에서 세계민요를 활용한 오카리나 지도방안 연구 : 초등학교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유태경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은 지금 빠르게 다문화 사회로 들어서고 있다. 고질적인 사회 문제인 3D 업종 기피, 저 출산, 그리고 고령화로 인해 외국인이 급속하게 국내로 유입되고 있으며, 정보통신기술과 교통의 발달로 인한 세계화 추세는 그 증가세에 한 몫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 사회는 지금 변화의 분기점 앞에 서 있다. 다인종 국가 안에서 야기되는 많은 사회적 갈등들을 해소할 수 있는 대책이 시급하게 요구되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대책은 바로 다문화교육에서부터 시작되어져야 한다. 다문화교육은 미래에 터져 나올 문제들을 완화시키도록 방파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음악교육을 통한 다문화교육은 타문화를 이해하는데 용이한 대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지금 이 사회는 다문화음악교육이 날로 필요해지는 시점에 와 있다. 그러나 현재 다문화 음악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에 비해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소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가창, 감상교육 위주로만 진행되고 있어 상대적으로 기악교육은 소홀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 음악교육의 협소함을 인식하고 다양성을 넓히고자 세계 민속악기로서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오카리나를 선정하여 기초과정 단계별 교수-학습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대상은 발달과정상 어릴수록 음악을 순수하게 받아들이는 초등학생으로 하였으며, 악곡의 선정은 오카리나 기초과정임을 감안해 음악요소 난이도가 비교적 쉬운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세계민요를 활용하였다. 연구를 위해 먼저, 다문화 음악교육 관점에서 세계민요를 활용하거나 기악지도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시사점을 얻었으며, 문헌을 통하여 다문화 음악교육의 개념, 다문화 음악교육의 필요성, 다문화 음악교육에서 세계민요 교육의 가치, 다문화 음악교육에서 기악교육의 중요성, 그리고 다문화 음악교육에서 오카리나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오카리나 악기에 대한 이해와 실제적 연주법을 제시하고, 초등학교 3~4학년 8종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세계민요 총 62곡을 오카리나 학습에 활용할 수 있도록 난이도별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모두 7곡을 선별하여 오카리나 기초과정 7단계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3단계 필리핀 민요 지도안을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해 보았으며, 수업이 끝나고 수업 내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 분석한 결과 본 연구의 효과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받을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다문화 음악교육의 다양성을 넓히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 기악교육의 활성화를 기대해 본다. 주요어: 오카리나, 초등기악교육, 세계민요, 다문화 음악교육

      • 사실적인 피부 렌더링을 위한 쉐이딩 인터페이스

        유태경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의 발전으로 컴퓨터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들은 실제와 구분하기 힘든 수준에 이르렀다. 최근 영화들에 유행처럼 등장하는 디지털 배우들이 이러한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인간과 똑같은 CG 캐릭터를 만드는 일은 연구 과제로 남아 있으며 사실적인 디지털 배우를 만들기 위한 노력은 계속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실적인 인간 캐릭터 생성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사실적인 피부 렌더링을 위한 피부 쉐이더를 제안하였다. 기존의 전통적인 쉐이더에서 표현하기 힘들었던 피부의 광학 특성을 표현하기 위해 표면하 산란 모델을 적용하였다. 관찰을 통해서 단일 산란과 다중 산란 성분을 확인하고 단일 산란은 공학적인 근사를 통해 다중 산란은 페이킹 방법을 통해 구현하였다. 제안한 피부 쉐이더를 적용한 렌더링 이미지는 기존의 전통적인 쉐이더를 적용한 이미지에 비해 피부의 반투명성을 잘 표현하고 피부의 피지, 표피, 진피 층을 각각 정반사, 다중 산란, 단일 산란으로 모델링할 수 있었다. 기존의 반투명성 페이킹 방법과 비교했을 때 추가적인 라이트를 생성하지 않고도 확산 산란 성분을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라이팅 설정이 되어있는 환경에 적용할 때 기존의 설정을 그대로 반영할 수 없기 때문에 추가적인 조절이 필요하고 다른 물체들과 균형 있는 라이팅에 어려움이 있다. 앞으로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고 실제적인 텍스쳐링에 적합하도록 조절하는 연구가 필요하겠다.

      • 시각효과 프로덕션에서 크리처의 모발표현을 위한 새로운 단계적 방법론

        유태경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영화 영상 산업과 시각효과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시각효과 프로덕션에서 디지털 크리처가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커지고 있다. 크리처를 사실적으로 제작하는 기술은 물론 크리처의 모발과 의복 등을 제작하는 기술은 프로덕션의 기술 경쟁력을 좌우하는 기준이다. 특히 국내 프로덕션은 할리우드 메이저 스튜디오에 비해 이러한 기술의 개발이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모발 있는 크리처를 제작하기 위한 모발 다듬기와 모발 시뮬레이션 기술을 제안하고 단계적 크리처 모발표현 파이프라인을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는 영화 『미스터 고』 제작을 중심으로 고릴라 크리처를 제작하기 위해 모발 다듬기와 시뮬레이션에 단계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는 방법론에 대해 제안한다. 가이드 모발 가닥, 중간 모발 가닥, 최종 모발 가닥의 세 단계로 크리처의 모발을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에서도 장면의 클로즈업 정도에 따라 적합한 수준의 단계에서 시뮬레이션을 계산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또한 각 파트 간에 데이터를 어떤 흐름과 형태로 전달하지가 적합한지에 대한 효율적인 디자인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단계적 모발 표현 방법론은 이전 방식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첫째, 제안한 모발 다듬기 방법은 크리처의 모발표현에 효과적이다. 제안한 가이드 모발 가닥, 중간 모발 가닥, 최종 모발 가닥, 3 단계 모발표현 시스템은 품질 높은 모발을 제작하는 데에도 적합하지만 무엇보다도 프로덕션 환경에서 의사 결정을 효율적으로 하는데 적합하다. 모발의 분포, 실루엣, 덩어리짐을 포함한 자세한 형태, 곱슬거림을 포함한 모발의 느낌 순으로 모발을 다듬어 나갈 수 있는 계층적 구조를 가지기 때문이다. 또 수정이 용이하다. 가이드 모발 가닥에서는 전체 곡률만 정의하고 세부 형태는 수정자의 조합으로 생성하기 때문에 수정 사항이 생겼을 때 반영하기 쉽다. 둘째, 제안한 모발 시뮬레이션 방법은 크리처 모발의 움직임 표현에 효과적이다. 모발의 움직임을 만드는 방식도 기존의 일반적인 질량 스프링 모델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단일 스프링으로 목표점을 정하고 역운동학을 이용하여 모발을 변형함으로써 계산이 간단하고 빠르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크리처 파트의 피드백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전체 파이프라인이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본다. 향후 연구에서는 모발 다듬기를 보다 직관적으로 할 수 있도록 커브 디포머(curve deformer)와 같은 유틸리티(utility)를 모발표현 시스템에 추가하고 모발 뭉침 표현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보다 다양한 제어가 가능하게 할 계획이다. 시뮬레이션에서는 모발과 모발 사이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더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만드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In spite of increased demand for furry creatures in the visual effects and feature animation industry, modeling realistic fur remains a very hard challenging process. There are many researches to model a comparatively small number of hair strands over the past two decades, but there is no solution for controlling a number of animal’s fur strands that is widely accepted in the graphics industry. In this paper, we propose effective fur grooming approach which can be used in production pipeline. This approach was developed to make a movie in which a gorilla is a main character. Most of fur grooming artists is accustomed to controlling curves directly as modeler. In general, artists try to groom fur using existing tools like Shave and Haircut, however, it is limited to control the detail shape of curve also brush interface is not intuitive. Intuitiveness of interface equals familiarity with interface [Jef Raskin, 1994]. We provide artists with direct control of the shape of the fur strand using curve deformer or curve components (CV or hull). In the method, incremental grooming approach is employed for efficient control, which allows artist to control a large number of curves through three steps. Proposed approach is aimed at fur grooming artist who has experienced in modeling. Proposed incremental grooming approach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which are stage of guide strands, stage of mid strands, and stage of fur strands (final renderable strands). We model a fur strand as a Catmull-Rom spline [Catmull et al. 1974], which is defined by and passes through a sequence of control points {p1, p2, ..., pn}. In each step, several modifiers are applied to the fur system to tweak the shape of curve. Every modifier has parameters to use texture map, white noise, and Perlin noise. The following steps are our grooming process by artist. 1. Divide creature’s body into sections. (manually) 2. Model representative curves per section. (manually) 3. Place roughly guide strands on body to be proper resolution. (manually) 4. Find closest point on mesh and place exactly guide strands on body surface (automatically) 5. Enter target number for mid strands in consider of clumping (grooming system). 6. Add modifier to make rough curl on mid strands (in grooming system). 7. Generate mid strands (in grooming system) 8. Tweak the shape of mid strands directly (manually or with curve deformer). 9. Enter target number of fur strands (in grooming system). We have introduced incremental grooming approach for furry creatures. This approach is well-suited for production decision-making because we can control the distribution of fur, the silhouette of overall shape, detail shape, and the texture of fur in order. Our technique also allows an artist to revise fur strands easier by less tweak with separation of orientation control and detail shape control. In our fur grooming system, what we tweak is what we get, but there is typically a tradeoff between the amount of user control and the amount of manual input time.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apply hierarchical dynamics and clumping. Our pseudo dynamics model can be applied for entire fur strands.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do that for efficiency.

      • 부모의 신체에 대한 놀림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신체왜곡을 통해 여대생의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태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만 19세에서 만 29세 사이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신체에 대한 놀림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신체왜곡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에 재학중인 여대생 27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고 질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모의 신체에 대한 놀림은 Tantleff-Dunn 등(1995)이 개발하고 김은하 등(2016)이 한국어로 번안한 외모에 대한 피드백 척도(Feedback on Physical Appearance Scale)를 사용하여 신체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놀림의 정도에 대해 각각 응답하도록 하였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Hewitt와 Flett(1991)이 개발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HMPS)를 한기연(1993)이 한국어로 번안 및 타당화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하위요인 중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에 해당하는 문항을 사용하였다. 신체왜곡은 Littleton 등(2001)이 개발한 간편 신체왜곡 질문지(The Brief Body Dysmorphic Questionnaire)를 문정신(2002)이 번안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이상섭식행동은 Garner와 Garfinkel(1979)이 개발하고 이민규 등(1988)이 한국어로 번안 및 타당화한 단축형 식사태도검사(Eating Attitudes Test-26; EAT-26)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SPS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으며,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부모의 신체에 대한 놀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신체왜곡이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경로를 설정한 다음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살펴보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신체에 대한 놀림이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였다. 즉, 부모의 신체에 대한 놀림을 많이 경험할수록 여대생의 이상섭식행동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신체에 대한 놀림은 신체왜곡을 통해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였다. 즉, 부모의 신체에 대한 놀림을 많이 경험할수록 신체왜곡의 수준이 높았고, 이상섭식행동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신체왜곡을 통해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였다. 즉,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을 가지고 있을수록 신체왜곡의 수준이 높았고 이상섭식행동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신체에 대한 놀림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신체왜곡을 통해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이상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신체에 대한 놀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신체왜곡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상섭식행동에 있어 신체에 대한 인지적 측면의 중요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이상섭식행동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대생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effects of parent's body-related teasing,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disordered eating behavior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he indirect effects through body distortion. A total of 276 femal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using SPSS 22.0 and AMOS 23.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body-related teasing had direct effects on disordered eating behavior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strongly perceived parent's body-related teasing showed higher level of disordered eating behavior. Second, parent's body-related teasing had indirect effects on disordered eating behavior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rough body distorti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strongly perceived parent's body-related teasing had higher level of body distortion and showed disordered eating behavior. Lastly,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indirect effects on disordered eating behavior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rough body distorti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high level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higher level of body distortion and showed disordered eating behavior. In conclusion, this research examined the direct effect of parent's body-related teasing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disordered eating behavior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s well as indirect effect through body distortion. Also, this study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body distortion on disordered eating behavior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se result could be used as basic data to help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