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부모 가정 성인 진입기 자녀의 심리적 독립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현지수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85

        This research intends to adopt phenomenological study to understand in-depth about how children of single-parent families experience psychological independence during the phase of emerging adulthood.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s with 14 children of single-parent families who were in the phase of emerging adulthoo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structures and meanings of the subjects’ psychological independence could be identified by six groups including “a nest that is difficult to stay”, “independence that feels far away”, “a turning point for independence”, “attempting to be a mature child”, “living myself by letting it go”, and “alone but together” as well as 18 bundles of topics including “wishing to stay away from parent”, “wanting something by being independent”, “still hoping to depend on parent”, “still needs more preparation for independence”, “thinking about delaying the independence”, “starting to understand parent”, “reduced bonding with parent”, “parent is not as helpful as before”, “feeling pressured to be independent for parent”, “difficult to let go of the sense of responsibility toward family”, “feels it is wrong to keep away from parent”, “determines to be functionally independent”, “letting go of the responsibility toward family”, “formation of ego”, “believes to be capable of anything independently”, “making efforts to form relationship desired by parent and myself”, “feels relieved by being economically independent”, and “forming a balanced relationship”. To the children of single-parent families, the arms of their parents were “1. a nest that is difficult to stay” but due to “2. independence that feels far away”, they waver between their desire to depend on their parents and the hope of being independent. They encounter “3. a turning point for independence” and determine to be independent to compensate for their single parents’ lives. However, at this time, the participants wish to be independent only functionally and they “4. attempt to be a mature child” since they still feel responsible and guilty. After that, they experience “5. Living “myself” by letting it go” and reach a true psychological independence by letting go of sense of responsibility and becoming the subject of their lives. They become “6. alone but together” to maintain a balanced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as separate adults. Lastly, the structures of psychological independence by children of single-parent families were identified to discuss measures to help their psychological independence in the field of counseling.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 성인진입기 자녀들이 심리적 독립에서 경험하는 것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에 한부모 가정 성인 진입기 자녀 14명과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부모 가정 성인 진입기 자녀가 심리적 독립에서 경험하는 것은 총 6가지의 범주와 그 하위의 주제묶음 18개, 62개 주제의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한부모 가정 성인 진입기 자녀의 심리적 독립 경험의 구조와 의미를 파악할 수 있었다.한부모가정 성인진입기 자녀의 심리적 독립은 한부모에게 이제까지의 힘든 삶을 보상해주고 싶은 죄책감과 책임감이 그들이 가진 책임감을 내려놓고 인생의 주체가 되기 전까지 그들의 심리적 독립에 계속해서 영향을 미쳤다. 한부모 가정 성인 진입기 자녀에게 부모의 품은 ‘1. 머무르기엔 힘겨운 둥지’이지만 ‘2. 멀게만 느껴지는 독립’으로 인해 부모에게 의존하고 싶은 마음 사이에서 독립을 망설이게 된다. 그러다 ‘3. 홀로서기를 향한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며 이제까지 한부모의 삶을 보상해 주기 위해 독립을 이루기로 결심하게 된다. 하지만 이때 참여자들이 그리는 독립은 심리적 독립 중에서도 기능적 독립 뿐이며, 한편으로 아직은 부모에 대한 책임감과 죄책감에 매여 마음은 부모에게서 분리되지 못하는 부모를 위한 ‘4. 철든 아이가 되려 한다’. 이후 ‘5. 내려놓고 ‘나’를 살다‘에서 부모를 향한 책임감을 내려 놓으며 자기 자신이 인생의 주체가 되고 진정한 심리적 독립을 이루게 된다. 이들은 한부모와 ’6. 홀로, 그리고 함께‘ 같은 성인으로서 살아가며 적절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한부모 가정 성인 진입기 자녀가 심리적 독립 현상의 구조를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상담 현장에서의 이들의 심리적 독립을 돕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성인진입기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진로모색 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곽지영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의 목적은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성인진입기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진로모색 과정을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성인진입기 상담전공 대학원생들이 진로모색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고, 진로모색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성인진입기 상담전공 대학원생 1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고, Strauss &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방코딩에서 89개의 개념과 39개의 하위범주, 1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중심현상은 ‘현실과 내적 가치 사이의 불균형’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의 원인이 된 인과적 조건은 ‘내적 가치에 이끌려 상담의 길에 들어섬’으로 나타났으며,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은 ‘사회적 기대와 시선의 인식’, ‘독립이라는 발달과업’, ‘기대와는 다른 상담자의 현실’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조절하는 중재적 조건은 ‘상담자에 대한 부모의 태도’, ‘주변의 정서적 지지’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모호함을 홀로 감내하기’, ‘진로를 고민하며 결정을 망설이기’, ‘내적 진로동기를 강화하기’, ‘패기 있게 도전하기’, ‘현실적인 제약을 극복해 나가기’, ‘상담자 상에 대한 인식을 제고 하기’, ‘상담자의 길에 한 걸음 다가서기’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결과는 ‘현실을 마주하고 진로를 모색해감’, ‘상담공부를 통해 정체감을 형성해감’, ‘진로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성인진입기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진로모색 과정은 ‘갈등 및 혼란 단계’, ‘불안정 단계’, ‘시도 단계’, ‘명료화 단계’의 4단계로 나타났으며, 선택코딩 절차를 통해 핵심범주는 ‘현실과 내적 가치 사이의 불균형 속에서 현실을 마주하고 내적 동기와 가치를 기억하며 진로를 모색해 나아감’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성인진입기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진로모색 과정을 이해하고, 그들이 진로를 모색하는 데 필요한 실질적인 방안 및 지원책 마련을 위한 경험적 근거자료를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ubstantive theory that explains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in their emerging adulthood.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this study examines what these students experience throughout their career exploration process, and what elements they are affected by. Total 13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in their emerging adulthood were interviewed, in which its result was analyzed based on the ground theory suggested by Strauss & Corbin(1998). The analysis resulted in 89 concepts, 39 sub-categories, and 17 categories, in which the central phenomenon was identified as ‘the discrepancy between reality and internal value’. The causal condition of the central phenomenon was identified as ‘entering the counseling field driven by internal value’, while the contextual condition that affects the central phenomenon was identified as ‘recognizing social expectations and perspectives’, ‘independence as a developmental task’, and ‘the discrepancy between expectation and reality as a counselor’. The intervening conditions that control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y for the central phenomenon were seen as ‘Parents’ attitude towards counselors’, and ‘emotional support from surrounding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tolerating the ambiguity alone’, ‘hesitating to make a career choice’, ‘reinforcing internal career motivation’, ‘taking on bold challenges’, ‘overcoming practical constraints’, ‘an improved perception of the counselor image’, and ‘taking a step forward to become a counselor’. Their following results were ‘facing the reality and proceeding to career exploration’, ‘forming a sense of self identity by studying counseling’, and ‘becoming certain about the career path’. The chronological process of career exploration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in their emerging adulthood derived from this study is presented in four stages, ‘Conflict and Confusion’, ‘Instability’, ‘Attempt’, and ‘Clarification’. The core category examined by the optional coding process is found as ‘Facing the reality and proceeding towards career exploration, reminding oneself of the internal motivation amid the discrepancy between reality and internal valu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s understands the career exploration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in their emerging adulthood and provides an experiential evidence for future development of necessary practical support.

      • 20대 성인진입기 비혼 여성의 성역할 여정에 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

        정문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70

        본 연구는 현재 한국사회 20대 성인진입기 비혼 여성들이 경험하는 성역할 여정이 어떠한지를 드러내고, 체험의 중층적 의미를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van Manen(1990)이 제안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20대를 지나며 성역할 변화를 경험한 20대 여성,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1년 6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는 심층면담과 문학작품이나 영상자료 및 어원 자료, 기사 수집 등의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 결과 20대 성인진입기 비혼 여성들이 경험하는 성역할 여정의 본질적 주제는 ‘여성으로 살아가기와의 낯선 마주침’, ‘착한 딸의 세계를 떠나고 돌아 옴’, ‘여성으로서 가능성의 세계를 확장함’, ‘여성으로서 나만의 고유함을 창조해 감’으로 드러났다. 첫 번째 주제인 ‘여성으로 살아가기와의 낯선 마주침’은 20대 여성들이 스무 살 이후 여성으로서의 고유한 경험이 많아지면서 청소년기까지 내면화 한 성역할을 변화시키는 자극을 만나는 경험이다. 여성으로서 요구되는 외모 가꾸기에 대한 갈등, 남성의 물리적 힘에 대한 긴장과 경계, 남자친구와의 성관계 경험의 무게를 홀로 감당하는 속에 여성으로서의 자신을 낯설게 만나고 있음을 드러낸다. 둘째, ‘착한 딸의 세계를 떠나고 돌아 옴’은 10대까지 내면화 한 여성으로서의 자아를 성찰하고 재구성하며 부모와의 관계를 조정하는 경험이다. 참여자들은 스무 살이 되며 부모의 통금이나 외박 제한에 저항하거나 맞서고, 진로 문제나 남자 친구와 관련한 경험 속에서 착한 딸로서의 한계에 부딪히면서 자기와의 싸움을 진행하고 있었다. 이 과정을 거치며 자율적인 내면의 힘이 커지며 부모와 보다 상호적으로 관계 맺고 있었다. 세 번째 ‘여성으로서 가능성의 세계를 확장함’은 대학교 입학과 졸업, 직장 취업과 이직 등을 통해 새롭게 열린 공간 속에서 ‘새로운 경험’에 도전하며 성취를 하는 경험이다. 참여자들은 이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여성으로서 미래 모습을 변경하거나 구체화하고 있었다. 이 과정에 여자 친구는 여성으로서 경험하는 일상을 공감하고 나누는 소중한 관계로, 직장이나 사회에서 만난 여자 선배들은 여성으로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는 조언자이자 안내자로 의미화 되고 있었다. 네 번째 ‘여성으로서 나만의 고유함을 창조해 감’은 20대 초중반 성역할 변화를 경험한 여성들은 여전히 일상에서 성역할 고정관념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면서도 여성으로서 자기만의 고유함을 창조해가는 경험을 드러낸다. 결혼을 하기 위해서는 여자도 안정적인 직장이 필요한 문제와 가부장적이지 않으면서도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를 만나는 어려움이 있었고, 결혼을 통해 직장 커리어가 중단되거나 엄마 역할, 며느리 역할 등 또 다른 역할의 확장으로 인해 ‘나를 잃게 될 것 같은 두려움’을 갖고 있기도 하였다. 결혼을 꼭 해야 한다는 무게를 내려놓고, 결혼하지 않고도 건강하게 살 수 있는 가능성으로서의 비혼을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현재 한국사회 20대 비혼 여성들은 성인진입기의 발달적 과제와 더불어 외부로부터의 요구되는 여성으로서의 성역할, 청소년기까지 내면화 한 성역할 속에서 고군분투하며 성역할 여정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변화된 젠더 규범 속에서 20대 여성들이 하는 여성으로서의 경험과 심리내적 체험을 풍부하게 드러내었다. 현재 20대 여성들의 성인진입기 발달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성역할에 대한 발달과 성장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고, 성역할 갈등으로 고통 받는 내담자들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 성인진입기 청년들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경계선 성격성향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김수빈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내면화된 수치심이 성인진입기 청년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경계선 성격성향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성격장애로 진단받지는 않았지만 경계선 성격성향으로 인해 개인·사회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성인진입기 청년들을 이해하고, 적절한 상담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2019년 9월∼10월 두 달 간 서울과 경기지역 대학교,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성인진입기(만 18세∼25세)청년들에게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용한 척도는 아동기 외상 질문지(CTQ), 갈등관리행동척도(CTS)중 부부폭력노출 척도,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 경계선 성격장애 척도(PAI-BOR)이다. 수집된 자료는 Baron과 Kenny(1986)의 매개검증분석방법을 활용하여, SPSS 18.0 통계분석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수인 아동기 학대경험과 내면화된 수치심, 경계선 성격성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수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각 변수의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동기 학대경험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학대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하위요인인 실수불안을 제외하고 두 변수 간 모든 하위요인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아동기 학대경험의 모든 하위요인은 경계선 성격성향의 모든 하위요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내면화된 수치심과 경계선 성격성향의 모든 하위요인 간에도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다른 선행연구와 같은 맥락의 결과이며, 아동기 학대경험의 빈도가 많을수록 내면화된 수치심의 정도가 심해지며, 내면화된 수치심과 경계선 성격성향의 관계도 정도 면에서 그렇다는 의미이다. 둘째, 아동기 학대경험이 경계선 성격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동기 학대경험은 경계선 성격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기 학대경험이 많을수록 경계선 성격성향의 정도가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아동기 학대경험과 경계선 성격성향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은 아동기 학대경험과 경계선 성격성향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아동기 학대경험이 경계선 성격성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내면화된 수치심도 경계선 성격성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진입기라는 현대사회문화를 반영한 발달단계에 있는 청년들의 아동기 학대경험이 경계선 성격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이라는 보다 본질적인 심리적 변수가 경계선 성격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최근의 경계선 성격성향 연구들이 언어화되거나 이해되기 어려운 초기경험과 관련된 심리적 변수에 주목하는 것과 맥을 같이 하고자 하였다. 셋째, 학대경험에 부부폭력노출을 포함하면서, 비교적 연구가 적은 부부폭력노출과 내면화된 수치심, 경계선 성격성향이라는 주요변수로 연구를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넷째, 상담장면에서 경계선 성격성향 증상의 어려움으로 내방한 내담자의 사례를 개념화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내면화된 수치심이 상담자에 의해서도 자극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조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childhood abuse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merging adul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foundation to better understand emerging adults who are having difficulty in their personal and social life due to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and provide a means to establish an appropriate counseling approach. For this study, a self-report inventory was provided to emerging adults (age between 18∼25) throughout th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Kyeonggi and online community. The Scale used for this study is Childhood Traumatic Questionnaire(CTQ),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in Conflict Tactics Scales(CTS), Internalized Shame Scale(ISS), and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Borderline Features Scale (PAI-BOR). Collected data had been analyzed by utilizing Baron and Kenny’s (1986) Mediation Method and SPSS 18.0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An overview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existing between major variable such as childhood abuse experience, internalized shame,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the existence of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had been confirmed. Additionally,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ubfactors of each variable reveal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subfactors of two variable excluding the fear of failure, a subfactor of internalized shame, and physical abuse, a subfactor of childhood abuse. All subfactors of childhood abus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subfactors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and internalized shame. Such result matches those of precedented studies meaning more exposure to childhood abuse results in more intense internalized shame and such positive correlation exists between the intensity of internalized shame and the extent of displaying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Second, by conduct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hildhood abuse on the develop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t was confirmed that experience of childhood abuse does exer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This suggests that more frequent exposure to childhood abuse is related to a stronger degree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Third, by conduct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between childhood abuse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t was confirmed that internalized shame does partially mediate between childhood abuse and the develop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This means that although the develop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s directly affected by previous experience of childhood abuse, internalized shame also exerts an indirect effect o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This study and its findings are meaningful in following ways. First,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alidated the effect the experience of childhood abuse has in the develop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merging adults. Second, the study investigated to prove how internalized shame, a more essential psychological variable, affect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Such attempt was in context with other recent studies which focused on psychological variable related to earlier experience which can be difficult to verbally express or understood. Third, by including exposure to parental-conflict within the category of childhood abuse, the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major variable such as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internalized shame,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three variables which only a limited number of study covers. Last, the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basic data for conceptualizing cases of subjects who sought counsel due to the difficulties related to symptoms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The study highlight the necessity of understanding the fact that internalized shame of a subject may be affected by the counselor as well.  

      • 가족돌봄청년의 돌봄 경험과 가족역동

        김서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7

        Young adult carers (YACs) who provide care for their family members have received increasing social and academic attention. However, related research and public policy have mainly focused on primary YACs in single-parent families or grandparent-headed families. A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experiences of YACs in Korea, but very few or no studies have explored the link between caregiving and emerging adulthood or considered family dynamics. Unlike caregiving in middle or older adulthood, caring for parents and grandparents in young adulthood is considered a non-normative, off-time event that may bring many changes and difficulties. It is also important to consider the dynamics of the YAC's whole family given that YACs become caregivers in a family context and it is where they face challenges and interact on a daily basi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lived experiences of YACs who are caregivers for parents or grandparents from developmental and family systems perspectiv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unmarried women and men aged 19-34 who had routinely provided care for a parent or grandparent due to illness or disability for more than six months within the past year. Using reflexive thematic analysis, five central themes emerged from the data. The participants inevitably assumed caregiving responsibilities due to family coercion or family structures. YACs were chosen to become caregivers because they were not actively involved in economic activities. YACs were also "hidden" primary caregivers. Although they did not perceive that they were the primary caregiver when other family members such as their parents were also caregivers, the participants performed a similar level of care compared to the acknowledged caregiver in the family over an extended period of time. In addition, unlike the expectation that the parent generation would take care of the grandparents in multi-generational families, some parents handed over the caregiving responsibility to the YACs, or they co-cared for the ill or disabled person, or the care recipient only received care from the YACs. The YACs' family dynamics was the key context for YACs' caregiving experie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YACs and care recipients as well as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 family members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overall care experiences. For many YACs, caring for parents was "unnatural," which led them to provide care only because they were tied to the family. However, many YACs who cared for their grandparents perceived that caregiving was a "natural" experience that allowed them to repay the love and care that the grandparents had provided in the past. In addition, relationships with other family members were perceived as either support or a stressor. Some YACs were able to endure the burden of caregiving thanks to family support, but some wanted to escape from caregiving responsibilities because of the tensions and conflict in the family. The participants thought that they had lost their emerging adulthood due to their caregiving burden. At the same time, they thought that emerging adulthood was a better time to provide care because they had nothing to lose given the developmental stage. Their responsibilities interfered with the YACs' lives or they had to change plans for college graduation, employment, dating, and marriage, which are major life events du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As a result, they could not properly experience emerging adulthood, a period of possibilities, self-focus, and identity exploration. However, many YACs also regarded family caregiving as a steppingstone for the future and an opportunity for the family to become clos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experiences of family caregiving in emerging and young adulthood with a focus on family dynamics, which have been overlook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YACs' experiences were deeply intertwined with their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 dynamics of the family as a whole. In addition, YACs' experiences during emerging and young adulthood were not considered a hindrance to them, but rather, the experience helped them develop. These results suggest that family caregiving during this period can be a mixed blessing with both positive and negative attributes. 최근 질병이나 장애 등으로 돌봄을 필요로 하는 가족구성원에게 돌봄을 제공하는 가족돌봄청년에 대한 사회적, 학문적 관심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가족돌봄청년을 둘러싼 국내의 논의는 주로 한부모가족의 자녀나 조손가족의 손자녀인 청년 주돌봄제공자와 돌봄수혜자의 관계에만 집중되어 있다. 국내 가족돌봄청년의 돌봄 경험을 탐색한 선행연구가 소수 있으나, 청년시기라는 맥락과 가족돌봄의 맞물림, 그리고 청년을 둘러싼 가족의 역동까지 살펴본 연구는 부족하다. 생애과정관점과 성인진입기 관점에서 봤을 때 청년시기 가족돌봄은 시기적으로 어울리지 않는 비규범적 사건이며, 청년은 가족돌봄으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다. 그러나 청년시기 가족돌봄이 오히려 긍정적인 경험이 될 수도 있어 가족돌봄청년의 청년시기 특성을 중심으로 가족돌봄 경험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돌봄을 제공하는 청년과 돌봄을 받는 가족구성원의 관계뿐만 아니라 다른 가족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이나 가족구조와 같은 전체 가족의 맥락도 청년의 경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가족돌봄청년의 청년시기 맥락과 함께 가족돌봄청년의 가족역동 또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년의 부모 및 조부모 돌봄 경험을 청년이라는 시기적 특성과 가족역동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질병이나 장애 등으로 돌봄을 필요로 하는 부모 또는 조부모에게 신체적 돌봄 또는 생활 전반의 편의를 돕는 돌봄을 6개월 이상 일상적으로 제공하고 있거나 최근 1년 이내에 제공하였던 만 19-34세 미혼남녀 7명을 심층면접하였다. 성찰적 주제분석법으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잉여인력 청년에게 떠넘겨진 가족돌봄', '가족 속 숨겨진 주돌봄제공자', '감정을 억눌러야 하는 조부모 돌봄, 뿌리치지 못하는 부모 돌봄', '가족돌봄으로 청년시기를 잃어버림', '청년이라서 차라리 나은 가족돌봄'의 다섯 가지 중심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가족의 강요 혹은 가족구조적 상황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가족을 돌보게 되었다. 가족 중 아버지나 친척의 관점에서 청년은 경제활동을 활발하게 하지 않고 있었으며, 코로나19라는 시기와 맞물려 집에 머무르며 생산노동을 하지 않는 인력으로 인식되었다. 이에 청년은 가족 내 돌봄을 제공하기에 적절한 인물로 여겨져 성인전이기의 주요 생애사건에서 방해나 변화를 경험하거나 성인진입기 특성을 제대로 누리지 못한 채 가족돌봄을 떠맡게 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을 주돌봄제공자로 인식하지 않았지만, 가족 내 주돌봄제공자와 비슷한 수준의 돌봄을 장시간 동안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숨겨진' 주돌봄제공자였다. 특히 3세대 가족에서 부모세대가 조부모 돌봄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과 달리, 가족돌봄청년들의 부모세대는 청년에게 조부모 돌봄을 떠넘기거나, 청년과 공동으로 돌보거나, 자녀인 청년으로부터 역으로 돌봄을 받기도 하였다. 전체 가족의 역동 또한 청년시기 가족돌봄 경험 전반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부모에게 의존하는 청년이 증가하는 한국가족의 맥락에서, 청년시기에 반대로 부모를 돌본다는 것은 청년들에게 자연스러운 일이 아니었다. 그러나 조부모 돌봄은 부모 돌봄에 비해 비교적 자연스러운 사건으로 인식하였고, 과거에 조부모로부터 받은 돌봄을 갚는 활동이라고 여겼다. 그러나 조부모에 대한 양가감정은 피할 수 없었다. 가족의 지지나 불화와 같이 돌봄수혜자뿐 아니라 다른 가족구성원과의 관계 또한 돌봄을 견디게 하거나 돌봄에서 벗어나고 싶게 만드는 등, 가족돌봄청년의 가족역동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이 드러났다. 연구참여자들은 가족돌봄으로 인해 청년시기를 잃었다고 생각하기도 하였지만, 어차피 잃을 것이 없는 시기라 가족을 돌보기에 차라리 나은 시기라고 생각하기도 하였다. 가족돌봄은 청년시기에 경험하는 생애사건 및 성인진입기 특성과 긴밀하게 맞물리는 경험이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성인전이기의 대표적인 생애사건인 졸업, 취업, 연애, 결혼 등의 영역에서 방해나 변화를 경험했다. 또한, 돌봄으로 인한 시간과 에너지 소진으로 자기자신에게 집중하거나 정체성을 탐색하는 가능성의 시기인 성인진입기를 제대로 누리지 못했다. 그러나 더 이른 시기와 더 늦은 시기와의 비교를 통해 자신이 처한 가족돌봄 상황을 차라리 나은 것으로 평가하나, 막막한 청년시기에 돌봄을 해서 오히려 잃을 것이 없었다고 생각하기도 하였다. 또한, 가족돌봄으로 인해 청년시기를 희생했다고 인식하면서도 가족돌봄 경험을 미래를 위한 발판이자 가족이 더 친밀해질 수 있었던 기회로 여겼다. 본 연구는 청년시기와 가족역동을 중심으로 가족돌봄청년의 돌봄 경험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특히, 청년시기라는 특수성과 가족의 상황과 역동이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청년의 돌봄 경험 속에서 맞물려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청년시기 가족돌봄 경험이 청년의 삶에 방해와 도전이 되기도 하지만, 이를 통해 성장하기도 한다는 것을 밝혔다.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김경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is study used a self-reported online survey of 200 college students in the emerging adult nationwide, and finally, 199 collected data were use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tests used were the Parenting Attitudes Scale,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cale,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Based on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was examin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in variables was verified using SPSS 26.0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attitud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parenting attitude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re positively related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parenting attitud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a mediation model was set up to examine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results show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is study confirmed that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influenc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in the emerging adult through the mediat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refore, this study provided data to understand the concepts and relationships of parenting attitude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order to enhanc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in the emerging adult,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long with implications for effective career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전국 성인진입기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보고식의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199명의 수집된 자료를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였다. 사용한 검사는 부모양육태도 척도, 긍정심리자본 척도, 진로준비행동 척도 검사이다. 이를 근거로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SPSS 26.0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양육태도는 긍정심리자본, 진로준비행동과 유의미한 상관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양육태도와 긍정심리자본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진로준비행동과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이는 부모양육태도, 긍정심리자본의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아진다는것을 의미한다. 둘째, 부모양육태도와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매개모형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부모양육태도와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이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지각된 부모양육태도가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 부모양육태도와 긍정심리자본의 개념 및 관계를 이해하는 자료를 제공하였고, 효과적인 진로교육을 위한 시사점과 함께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tional identity statuses, and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profiles of emerging adults

        김경민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2 국내석사

        RANK : 248618

        In rapidly changing world of work, setting one’s career based on self-determined attitude is getting important, particularly for emerging adults who face the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In the framework of Self-Determination Theory (Deci & Ryan, 2000), it is beneficial to provide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upportive environment to facilitate young adults in career development context. As there is possibility that one can have uneven basic need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context, the present study examined one’s satisfaction pattern and how it relate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emerging adults. Vocational identity statuses based on Vocational Identity Status Assessment (VISA) were used. With cross-sectional data of undergraduates students in Korea (N=540),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atter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vocational identity statuses. Cross-tabu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pattern and vocational identity statuses. The results of latent profile analysis identified four pattern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within emerging adults. The profiles were labeled as high-satisfaction, average, low-satisfaction, and relatedness-only group based on their satisfaction levels. By LPA, five vocational identity statuses were identified: Diffused, Undifferentiated, Foreclosed, Moratorium, and Achieved.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Fisher’s exact tes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t distribution of vocational identity statuses among four basic needs profiles. High-satisfaction group showed more achieved and foreclosed status than proportion of them in total sample. Average group had more moratorium and achieved status, and low-satisfaction group had more diffused, undifferentiated, and moratorium status. Relatedness-only group, which had relatedness over the average level and lowest level of autonomy and competence, are more in diffused and moratorium statu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ors,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급변하는 직업 세계 속에서 자기주도적 태도를 바탕으로 진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는 특히 학교에서 직장으로의 전환을 앞둔 성인진입기 (Emerging adulthood)의 학생들에게 더욱 중요하다. 자기결정성이론(Deci & Ryan, 2000)에 의하면 기본 심리 욕구를 만족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청년들의 진로 발달에 도움이 된다. 개인이 처한 상황에 따라 기본 심리 욕구 충족이 균등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만족도 패턴을 살펴보고 그것이 청년들의 진로 발달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진로발달에 대한 요소로 VISA(Vocational Identity Status Assessment)에 기반한 진로정체감 지위가 사용되었다. 횡단 조사로 수집한 국내 학부생(N=540) 자료를 활용하여 개인 내 기본 심리 욕구 만족의 패턴과 진로정체감 지위를 파악하기 위해 잠재 프로파일 분석(LPA)을 수행하였다. 기본 심리 욕구 만족 패턴과 진로정체감 지위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수행하였다. 잠재 프로파일 분석 결과, 성인진입기 학생들의 기본 심리 욕구 만족 패턴은 네 가지 프로파일로 확인되었다. 기본 심리 욕구 만족 수준에 따라 프로파일들을 ‘높은 만족도의’, ‘평균의’, ‘낮은 만족도의’, ‘관계성만 있는’ 집단으로 각각 분류하였다. LPA에 의해 다섯 가지 진로정체감 지위가 확인되었다(혼란, 미분화, 유실, 유예, 성취). 교차분석과 피셔정확검정 결과 기본 심리 욕구 프로파일에 따른 진로정체감 지위 분포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높은 만족도 집단은 전체 표본에서 차지하는 비율보다 더 많은 성취와 유실 지위를 보였다. 평균 수준의 집단은 더 많은 유예, 성취 지위를, 낮은 만족도 집단은 혼란, 미분화, 유예 지위를 전체 분포보다 더 많이 가졌다. 관계성만 있는 집단은 기본 심리 욕구 중 관계성은 평균 이상이었으나 자율성, 유능성은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정체감 지위로는 혼란과 유예 지위에 분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함의와 제한점, 향후 연구과제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헬리콥터 부모양육태도가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장성의 매개효과

        김가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58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ssert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licopter parenting and depression in emerging adul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09 university students(272 male students and 337 female students) who enrolled in 25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in Korea. To measure the research variables,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Radloff, 1977), the Helicopter Parenting Scale(LeMoyne & Buchanan, 2011), and the Rathus Assertiveness Schedule(Rathus, 1973) were used. In order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y of the study variable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t tests were calculated. Also, path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erceived helicopter parenting increased the level of students’ depression and decreased the level of students’ assertiveness. In addition, the level of assertiven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the level of depression. Second, the level of assertiven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licopter parenting and depression. In conclusion, the higher the level of perceived helicopter parenting, the lower the level of students’ assertiveness, and subsequently the higher the level of their de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mproving the level of helicopter parenting and university students’ assertiveness would play a significant role in reducing their depression. 본 연구에서는 헬리콥터 부모양육태도가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주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25개(서울 16개, 경기 9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609명(남 272명, 여 337명)이었다. 대학생의 우울을 측정하기 위하여 전겸구, 최상진, 그리고 양병창(2001)이 한국판으로 번안하고 타당화한 Radloff(1977)의 역학연구센터 우울 척도를 사용하였다. 대학생이 지각한 헬리콥터 부모양육태도는 LeMoyne과 Buchanan(2011)이 개발한 헬리콥터 부모역할 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타당화한 Kwon, Yoo, 그리고 Bingham(2016)의 척도를 강시은과 이재림 (2017b)이 수정한 문항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대학생의 주장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Rathus(1973)가 개발하고 공지은과 오경자(2003)가 한국어로 번안하여 타당화한 라터스 주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척도를 사용하여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구성한 후에 편의표집 방법으로 선택한 대학을 방문하여 대학생들에게 질문지를 직접 배부하고 완성된 질문지를 바로 회수하는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일반적 경향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술통계, 독립표본 t 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헬리콥터 부모양육태도가 주장성을 매개로 대학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고, 부트스트랩(bootstrap) 방법을 사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헬리콥터 부모양육태도는 대학생의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대학생의 주장성은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헬리콥터 부모양육태도는 대학생의 주장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헬리콥터 부모양육태도가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주장성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부모의 헬리콥터 부모양육태도는 대학생의 주장성을 매개로 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대학생 자녀에 대한 부모의 헬리콥터 양육태도는 자녀의 주장성 발달을 저해함으로써 대학생의 우울을 야기한다.

      • 현대 사회문화 안에서 MZ세대의 갈등해결을 위한 신앙 교육론적 접근

        박은규 감리교신학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32268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사회 문화와 MZ세대 사이에 발생하는 위기와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신앙교육의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MZ세대를 위한 신앙교육론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는 첫째, 현대사회의 특징을 이해하고 살펴보았다. 둘째, 현대사회의 청년 문제의 고찰을 위해 MZ세대의 특징과 갈등을 이해하였다. 셋째, MZ세대의 위기와 갈등의 고찰을 위해 인간 발달단계의 정체성의 형성과정을 고찰하였다. 넷째, MZ세대의 갈등 해결을 위한 영적 멘토링을 정체성 및 가치관의 형성을 위한 효과적인 신앙교육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오늘날 현대사회는 변동성(Volatility), 불확실성(Uncertainty), 복잡성(Complexity), 모호성(Ambiguity)의 특징을 갖고 있는데 이러한 사회문화적 배경 아래 MZ세대는 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불안정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 본 연구는 MZ세대가 겪는 갈등과 위기를 인간발달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체성의 혼돈으로 보았으며 이에 청년기의 중요한 과제로 정체성의 형성을 언급하였다. 아넷(Arnett)은 인간의 발달단계를 현대사회와 문화적 측면에서 접근하였으며 18세에서 29세의 청년기를 ‘성인 진입기’(Emerging Adulthood)로 구분하여 청소년에서 성인으로 진입하는 과정으로 보았다. ‘성인 진입기’는 인생의 중요한 과제로서 일(직업), 관계(사랑), 그리고 가치관(이념)의 탐색을 통해 정체성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현대사회의 예측 불가능한 불안한 미래는 청년들의 고용문제, 결혼문제 등과 같은 사회적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그 결과 청년들의 정체성 형성이 지연되어 많은 위기와 갈등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넷의 ‘성인 진입기’의 이론을 바탕으로 정체성 탐색의 시기, 불안정한 시기, 자기 초점적 시기, 끼어있는 고립의 시기, 그리고 무한한 가능성의 시기에 주목하며 MZ세대의 위기와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신앙교육의 접근으로 멘토링을 제시하였다.. ‘성인 진입기’의 진로 정체성 형성을 위해 리차드 던(Richard Dunn)의 영적 멘토링 방법론, 오스기니스의 소명론, 팀 켈러의 일과 영성, 고든 맥도날드의 내면세계의 질서, 그리고 폴 스티븐스의 일과 신학을 토대로 MZ세대를 위한 영적 멘토링 방법을 구성하였다. 더 나아가 영적 멘토링의 실제를 위해 ‘조해리의 창’(Johari Window)을 사용하여 멘토링을 진행하고 사례를 제시하였다. 멘토링 사례 결과, MZ세대는 자신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재확신하였고, 부르심의 소명 의식을 통해 인생의 목적과 방향을 새롭게 설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분명한 기대와 소망을 통해 예측 불가능한 불안의 시대를 살아가는 용기를 얻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청년세대의 문제를 사회학적, 심리학적, 신학적으로 접근하여 청년 사역을 위한 목회 이론으로서 멘토링을 소개 하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영적 멘토링을 통해 MZ세대의 신앙 정체성의 형성과 인생의 목적과 비전을 발견 하는데 도움이 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현대사회의 청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안으로서 한국교회에 ‘VUCA’ 멘토링을 새롭게 제시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