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화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에 따른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차이

        이민경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화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에 따른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화에 따른 보육교사의 인식에 따라 행복감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화에 따른 보육교사의 인식에 따라 교사효능감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해 부산, 울산, 경남에 소재한 국공립, 법인, 민간, 가정 어린이집에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화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에 따른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화에 따른 보육교사의 인식에 따라 행복감에 차이가 있다. 부정적 인식 수준이 긍정적인 인식 수준보다 행복감이 높다. 둘째,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화에 따른 보육교사의 인식에 따라 교사효능감에는 차이가 있다. 부정적 인식 수준이 긍정적인 인식 수준보다 교사효능감이 높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화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은 여전히 부정적인 것으로 알 수 있다. 하지만 단순히 CCTV 설치 의무화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만으로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말해준다. 따라서 CCTV로 인한 교사의 불편함을 줄이고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노력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 어린이집 CCTV 설치의무화에 따른 교사의 인식 및 어려움과 바람

        이영아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어린이집 CCTV 설치의무화 법령이 시행되면서 어린이집에 새로이 CCTV를 설치하여 현재 교실에서 CCTV와 함께 생활하고 있는 교사들이 CCTV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어려움은 무엇인지, 원하는 바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린이집 CCTV 설치의무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어린이집 CCTV 설치의무화에 따른 교사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3. 어린이집 CCTV 설치의무화에 따른 교사의 바람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어린이집 CCTV 설치의무화 법에 따라 CCTV가 설치되어 현재 생활하고 있는 D시의 어린이집 교사 10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2016년 5월부터 7월까지 총 10주 동안 연구 참여자별 2회씩의 심층개별면담으로 이루어졌으며, 추가적인 내용이 더 필요한 경우 전화나 E-mail을 이용한 서신 면담을 병행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심층 면담 전사 자료와 서신면담, 연구자의 연구 저널 등을 분류하고 조직하여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어린이집 CCTV 설치의무화에 따른 교사의 인식과 어려움, 바람 이렇게 3가지 범주로 나누어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어린이집 CCTV 설치의무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첫째,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였으며 ‘감시’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CCTV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둘째, 준비 없이 찾아온 CCTV로 인해 법의 세부내용을 잘 모르고 있으며, CCTV에 관련된 교육이나 안내를 충분히 받지 못했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CCTV가 설치된 시점에 교사로서의 슬럼프를 경험하고, 낮아진 자존감으로 인해 어린이집을 퇴직하는 교사들의 사례도 많았다. 넷째, 폐쇄회로 텔레비전과 달리 실시간 송출이 가능한 네트워크 카메라에 대해 학부모의 실시간 감시와 교사의 사생활 침해로 대부분 교사들의 거부감이 컸으며, 보호자와 보육교직원 전원의 동의를 받아 네트워크 카메라를 설치할 수 있다는 영유아보육법 내용에서 교사의 자발적인 동의가 과연 가능한지 우려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CCTV와 함께 생활하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여전히 CCTV에 대해 부정적인 교사들도 있었으나, 이제는 긍정적으로 보게 되었다는 인식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어린이집 CCTV 설치의무화에 따른 교사의 어려움은 첫째, 단시간에 만든 법으로 마음의 준비가 되지 않았고 감시에 대한 걱정으로 심리적인 부담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각지대 없이 CCTV가 설치된 교실에서 옷 갈아입거나 잠깐씩 쉴 수 있는 공간이 없어 편히 숨 쉴 수 없는 교실을 지적하였다. 셋째, CCTV 화면을 통한 오해의 소지가 걱정되어 큰 동작을 조심하고 소심해진 행동이 변화되었다고 표현하였다. 넷째, 자칫 때리는 모습으로 비춰질까 머리나 얼굴을 쓰다듬거나 엉덩이를 두드려주는 등의 스킨쉽이 줄어들고 위축된 애정표현에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다섯째, CCTV를 의식하다보니 교사로서 꼭 해야 할 훈육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예전보다 아이들을 돌보기가 어려워진 훈육을 지적하였다. 여섯째, CCTV가 오히려 부모와 교사 사이에 궁금함을 만들고 의심하는 마음을 더 부추기는 것 같다며 진심으로 대하기 어려운 아동과 학부모를 변화된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일곱째, CCTV 설치 및 책임 관리자인 원장님의 모니터 감시와 직ㆍ간접적인 피드백으로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제3의 눈 원장님이 불편하다고 이야기하였다. 여덟째, 다른 교육기관에는 없는 어린이집 CCTV 의무화 설치에 반감을 가지며 존중받지 못한 어린이집 교사의 사라진 인권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집 CCTV 설치의무화에 따른 교사의 바람은 첫째, 교육이나 개별적인 안내를 통해 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알려달라고 이야기하였다. 둘째, 부정적인 CCTV 인식 개선을 위해 CCTV가 도와줄 수 있는 것, 교사 보호 등의 긍정적인 면을 공익광고나 방송 프로그램 등을 통해 보여 달라는 바람을 표현하였다. 셋째, 교사 대 아동 비율 축소, 교사 처우 개선, 양질의 교사 양성을 위한 제도적인 방안을 개선하여 양질의 교사들이 좀 더 합리적인 환경에서 아이들을 보육할 수 있도록 바꿔 달라고 이야기하였다. 넷째, 교사의 인권을 위해 CCTV 영상을 보호해주고 휴게 공간과 시간을 마련해주며, 교사 인권 지침서 등을 제작하여 교사의 인권을 지켜달라는 바람을 표현하였다. 다섯째, 바람직한 아동 양육을 위한 가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어린이집에서만 키우는 것이 아닌 국가와 함께하는 부모교육을 통해 가정과 어린이집이 함께 하기를 바라고 있었다. 여섯째, CCTV 감시가 이루어지는 어려운 상황을 이겨내고 지금도 묵묵히 보육현장을 지키고 있는 교사들의 진심과 바람이 언젠가는 더 좋아질 거라는 희망을 주길 기대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어린이집 CCTV 설치의무화를 겪고 있는 교사들이 초기의 부정적인 CCTV 인식에서 조금씩 긍정적인 인식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다양한 어려움 속에서도 보육현장의 발전을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아동과 교사가 행복한 보육환경의 개선을 위해 국가적인 차원의 노력과 제도적인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화에 대한 원장, 교사, 어머니의 인식 및 요구

        이유진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2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principals, teachers and mothers on compulsory CCTV installation in daycare centers and their needs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how to get rid of conflicts between the interest groups caused by CCTV installation and how to ensure the successful operation of CCTV.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operating state of daycare centers according to compulsory CCTV installation? 2. What is the awareness of principals, teachers and mothers on compulsory CCTV installation? 3. What is their needs for the desirable use of CCTV?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38 people in 82 daycare centers that were located in a metropolitan city(27 national/public daycare centers, 25 private daycare centers and 30 home-based daycare centers). They were 82 principals, 328 teachers and 328 mothers. The ratio of principal, teacher to mother stood at 1:4:4.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729 respondents(98.78%) were analyzed. As for data analysis, a statistical package SPSS 21.0 was employ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the following stages: First, x2(chi-square)-test was conducted to separately find out the awareness and needs of the principals, the teachers and the mothers. When the cells whose expected frequency was less than five accounted for 20 percent or more, Fisher exact test was carried out. Seco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utilized to analyze their responses to the items about the levels of awareness on the effectiveness of CCTV installation and the levels of needs for how to ensure desirable CCTV operation. ANCOVA and ANOVA were used to see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levels of awareness and needs. As for post-hoc test, LSD test and Scheffe test were conduc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operating state of CCTVs in the daycare centers, more CCTVs were installed and used after the compulsory system was introduced. As to the places for CCTV installation, the installation rates were highest in the daycare rooms in every type of institution, followed by indoor and outdoor playgrounds. The number of CCTV in each of the daycare rooms was one in compliance with the minimum CCTV installation standard. Second, concern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all the principals, teachers and mothers considered the system to be effective, and the type of institution made differences to their awareness of its effectiveness. The principals, teachers and mothers from home-based daycare centers and private daycare centers considered the system to be more effective a lot than those from the national/public daycare center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needs for how to ensure the desirable operation of CCTV, the teachers and the mothers thought that every daycare room must be equipped with a CCTV. But when they were asked where no CCTV should be installed, the principals and the teachers regarded the daycare rooms as the places that there should be no CCTVs. It implies that the teachers and the principals had different opinions on CCTV installation in the daycare rooms due to the possibility of the infringement of the human rights and privacy of teachers, infants and preschoolers though they admitted the value or necessity of footages as evidential data about safety accidents, questionable situations related to child abuse or other problem situations that might take place in the daycare rooms.

      • 신재생에너지생산량 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계수에 관한 연구

        김윤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06

        본 연구는 신재생에너지원별 보정계수와 지역기후가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비율 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적합한 계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현행 법규와 국내 기상데이터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1) 국내에 시행되고 있는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에 규정된 신재생에너지 원별보정계수를 조사한 결과 현행 원별보정계수는 초기투자비에 편중된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해결하고자 투자회수기간을 이용하여 신보정계수를 도출하였다. 2)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상데이터는 건물에너지 성능평가에 적합하도록 특정 기상요소에 가중치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HASP방식을 이용하여 신재생에너지 성능평가에 적합한 기상데이터(K-REWD)를 작성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대한민국 지역별 신재생에너지생산량을 산출하여, 신재생에너지 지역기후계수를 도출하였다. 3) 대상건물을 선정하고 신재생에너지 신보정계수와 지역기후계수를 적용한 KRE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재생에너지 최적화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중기온이 높고 일사량이 많은 대구와 제주지방은 태양광 12%, 태양열 16% 지열 60%, 연료전지 12%가 최적안으로 도출되었으며, 2017년 기준 건축물 예상에너지사용량의 21%에 해당하는 신재생에너지 설치의무량은 세 지역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region climate and correction coefficient of each new renewable energy source on calculating the new renewable energy supply obligation ratio, and propose an appropriate coefficient. Thus, current laws in force and domestic climate data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1)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correction coefficient for each new renewable energy source prescribed in the "New Energy and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Usage, and Supply Promotion Law" that is currently enforced in Korea showed that current correction coefficients for each energy source were concentrated on initial investments. In an effort to resolve this issue, the investment collection period was used to derive upon a new correction coefficient. 2) Climate data that is used in Korea was focused on certain climate factors so that they would be suitable for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s. Thus, the HASP method was used to formulate climate data that would be suitable for new renewable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s (K-REWD), and this was used to calculate the amount of new renewable energy that is produced in each region of South Korea and derive upon a new renewable energy region climate coefficient. 3) Target buildings were selected and the KRESS program, which applies the new correction coefficient for new renewable energy and region climate coefficient, was used to conduct an optimized simulation for new renewable energy. The results showed that 12% for sunlight, 16% for solar heat, 60% for terrestrial heat, an 12% for fuel cells were optimal for Daegu and Jeju regions, which are regions that have a high year round temperature and receive large amounts of sunlight. Further, the obligatory installation amount for new renewable energy, which is 21% of expected energy use for buildings as of 2017, was satisfied in all three regions.

      •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화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이 교사의 자존감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미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31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nursing teacher's recognizing about mandatory installment of CCTV in childcare center, which is enforced in November 2015, on self-esteem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 For this, several subjects for inquiry were established. Subject 1. What can be said about the relationship among nursing teacher's recognizing about mandatory installment of CCTV in childcare center, self-esteem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 Subject 2. What is the influence of sub-factor of nursing teacher's recognizing about mandatory installment of CCTV in childcare center on self-esteem. Subject 3. What is the influence of sub-factor of nursing teacher's recognizing about mandatory installment of CCTV in childcare center on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 Subject 4. What is the influence of total score of nursing teacher's recognizing on self-esteem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 For this study, nursing teachers were selected who's from domestic, private, workplace, corporation, public childcare center in Busan. Also, 26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used as data for statistics process except for 18 questionnaires which is uncollectable and including insincere answers. The collected data for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Ver.23 program and the process is as in the following.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among nursing teacher's recognizing about mandatory installment of CCTV, self-esteem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 In addition, Step wise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nursing teacher's recognizing about mandatory installment of CCTV in childcare center on self-esteem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 Also,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execu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otal score of nursing teacher's recognizing about mandatory installment of CCTV on self-esteem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 The conclusions drawn by result and discussion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re i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teacher's recognizing about mandatory installment of CCTV and self-esteem,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 Second, the sub-factors of nursing teacher's recognizing about mandatory installment of CCTV, gaining parent's trust and the inducing stress about teacher workload have an effect on self-esteem. Third, the sub-factor of nursing teacher's recognizing about mandatory installment of CCTV, the inducing stress about teacher workload has an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 Finally, the total score of nursing teacher's recognizing has an effect on self-esteem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화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이 보육교사의 자존감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화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교사의 자존감, 이직의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화에 대한 보육교사 인식이 교사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화에 대한 보육교사 인식이 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4. 보육교사의 CCTV 설치 의무화에 대한 인식 총점이 교사의 자존감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가정, 민간, 직장, 법인,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지 260부를 배부하여 미회수 및 불성실한 답변을 한 18부를 제외하고 242부를 통계처리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수집된 자료는 SPSS Ver.23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화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교사의 자존감, 이직의도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화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이 교사의 자존감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의 단계선택(step wise)을 실시하였고,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화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총점이 교사의 자존감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보육교사의 자존감과 이직의도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화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하위요인 중 부모 신뢰감만이 교사직무 스트레스가 되어 교사의 자존감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화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하위요인 중 교사직무 스트레스 유발이 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화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총점이 교사의 자존감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