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교사의 정서적 자기이해 체험

        이영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교사의 정서적 자기이해 체험 이영아 충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심리학·교육과정전공 (지도교수 손 은 령) 본 연구는 최근 학교 현장에서 교권 침해 및 소진을 경험하고 있는 교사들이 자신의 정서를 인식하고 수용하며 자기이해를 경험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학생들과 어떻게 만나고 성장해나가는지를 van Manen의 체험 연구의 절차를 적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교사들의 정서적 자기이해 체험의 내용은 무엇이고, 어떠한 과정을 거치는가, 또한 체험의 교육적 의미와 본질적 주제는 어떤 것인지를 현상학적 물음을 제기함으로써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1과 2를 2010년 9월부터 2015년 2월까지 10번 이상의 교육 분석과 정서 초점적 상담을 진행하였고. 이후 이 과정에 대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및 관련 자료 등을 수집하여 체험의 내용과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먼저 체험의 내용을 일화 형식으로 기술하고, van Manen의 생활세계의 주제가 되는 네 개의 실존체인 시간, 공간, 신체, 관계에 따라 체험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체험에 대한 본질적 의미를 찾고자 Heidderger의 현존재 분석과 Gadamer의 교육적 해석학에 입각하여 드러난 체험의 내용을 해석학적 순환과 확장으로 재해석하고자 노력하였다. 네 개의 실존체를 통해 분석한 체험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과 공간 차원에서 두 교사는 돌이킬 수 없는 과거의 시․공간을 살아가다가 정서적으로 자기를 이해하는 과정을 겪으면서 지금, 여기에서 현존하는 존재방식으로 살아가게 된다. 둘째 신체와 관계 차원에서 두 교사는 자기의 몸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비로소 홀로 살아가던 삶의 방식을 벗어나 학생들에게 관심을 갖게 되어 진정한 만남을 경험하게 된다. 이 체험의 내용은 정서적 자기이해를 체험한 교사가 과거에서 현재로, 자기 폐쇄성에서 자기 개방성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드러내고 있다. 교사의 정서적 자기이해에 대한 체험의 의미는 3가지의 대주제와 12가지 하위 주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3가지 대주제는 시간에 따른 연구 참여자의 역동적 변화 양상에 비추어 어둠 속에서 홀로 헤매다가 정서적 자기 이해를 통해 상징적으로 은밀한 빛을 경험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학생들과의 만남을 통해 함께 성장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첫째, 어둠 속에서 홀로 헤매던 두 교사는 불안과 우울로부터 도망치고, 정서에 대핸 부정적으로 평가하며, 학생과의 만남에서 일방적인 소통을 하면서 교사 역할로서의 가면극에 빠져 살아가고 있다. 둘째, 두 교사는 정서적 자기이해를 경험하면서 의미 있는 타인으로부터 있는 그대로 존중받고, 자신의 정서를 알아차리며, 지금-여기에서 현존하는 자기를 이해하고 수용하면서 처음으로 자유를 누리게 된다. 셋째, 정서를 통해 자기이해를 경험한 두 교사는 학생들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고 진정한 만남을 경험하면서 갈등을 통해 새롭게 배워나가며 마침내 자기 존재로써 학생들을 가르치게 된다. 본 연구의 결론은 해석학적 반성과 순환에 의해 연구 결과의 의미를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드러난 세 가지 의미는 교육철학적 해석학의 입장에서 첫째, 교사는 실존적 불안과 우울감을 토대로 현존재로서의 자기이해 과정을 경험하는 것, 둘째, 교사는 정서적 자기이해를 통해 세계-내-존재로 자신을 둘러싼 세계와 의미 있는 타인들에 대해 관심을 두고 진정으로 이해하게 되는 것, 셋째, 마침내 공동체의 인간성인 ‘사이존재’로서 ‘나’와 ‘너’가 인격적으로 만나면서 함께 성장하며 살아가게 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사의 정서를 통한 교육적 성장에 대한 체험 내용과 의미를 새롭게 구성하고 실천적 대안으로 교사 교육 및 학생 교육에서 정서적 교육과정과 집단프로그램이 도입되어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그러나 연구자를 포함한 두 교사의 사례로는 교육 현장에서의 적용과 일반화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교사교육과 학생 교육과정에서 정서적 자기이해를 위한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식에 대한 구체적 제안이 이루어지지 않은 점에서 연구의 제한점이 있으므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주제어 : 교사의 정서, 자기이해, 현존재, 체험연구, 해석학적 현상학 ABSTRACT A dissertation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a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Education conferred in August 2017. Teachers' emotional self-understanding experience Young-Ah Lee Education Psychology and Curriculum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Eun-Young 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teachers who experienced violation of teacher rights and energy exhaustion in the school field perceived their emotions and how they meet and grow with students through self-understanding by accepting them through van Manen's experiential research method . Therefore, this researcher tried to examine what the contents of the experience of emotional self-understanding of teachers are, what kind of process they are going through, and the educational meaning and essential theme of experience by raising the phenomenological question. From September 2010 to February 2015, the author conducted more than a ten times training analyzes and emotional focus counseling for two research participants. In addition, the author observed this proces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collected relevant data to find out the content and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The data collected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first describe the contents of the experience in anecdotal form and analyze the aspect of experience according to the four existential essence of van Manen 's life world, time, space. In addition, the author tried to reinterpret the contents of experience revealed by Heidderger's analysis of Dasein and Gadamer' s educational hermeneutics as hermeneutical circulation and expansion. The contents of the experience analyzed through four existential essence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time and space dimension, the two teachers experience emotional self-understanding while living the irreversible past time and space, and live in the way of 'Dasei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the relationship, the two teachers become interested in their own body, so they become interested in the students and experience a true meet. The content of this experience reveals the process in which the teacher who experienced emotional self-understanding changes from past to present, from self-closeness to self-opening.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eacher 's emotional self-understanding was divided into three main topics and 12 sub-topics. The authors interpreted the three major themes as dynamic changes of the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time, and the authors found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symbolic secret light through emotional self-understanding while wandering alone in the dark, and The teacher and the student meet and they grow together. First, the two teachers who wandered alone in the dark escaped from anxiety and depression and evaluated their emotions negatively. This phenomenon shows that the two teachers live in a one-way communication with the students and act as the actors of the plays that simply play the teacher role. Second, the two teachers experience emotional self-understanding and are properly respected by others who are meaningful, so that the two teachers, while understanding their emotions, find the present selves in "now & here" and seek freedom for the first time. Third, the two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self-understanding through emotions experience a real encounter as they become interested in students, learn new things through conflicts, and finally meet students through true self. In conclusion, the author attempted to reinterpret the meaning of the study results by hermeneutical reflection and hermeneutical circulation. From the standpoint of educational philosophical hermeneutics, the three meanings revealed in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experienced the process of self-understanding as 'Dasein' based on the anxiety and depression of existence. Secondly, through the emotional self-understanding, the teacher became interested in the world around him and others meaningful as 'world-in -being' and really understood. Third, at last, we are a community with humanity, 'I' and 'you' meet on the basis of personality and grow together. This study suggests that emotional curriculum and group program should be introduced to teachers' education and student education as a practical alternative that teachers experience educational growth through emotion and newly construct contents and meaning.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two teachers including the researcher, it would be difficult to apply and generalize such a program to the educational field.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to the study because there is no specific suggestion about contents and method of emotional self-understanding in teacher education and student curriculum. Therefore, follow-up research is needed. Key words : Teacher's emotions, Self-understanding, Dasein, Experiential research, Hermeneutic phenomenology

      • 『新刊救荒撮要』의 국어학적 연구

        이영아 淑明女子大學校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新刊救荒撮要」를 대상으로 하여 전반적인 국어학적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新刊救荒撮要」란 1660년 西原 현감이었던 신속(申 )이 饑饉을 구제할 목적으로 만든 책으로,「救荒撮要」(1554)와「救荒補遺方」(1660)을 합한 것이다. 본 문헌에 대한 異本은 모두 9 가지로, 본고는 이 중에서 근대국어의 언어상을 반영하는〈국립본, 가람본, 무성본, 정문연본〉의 네 가지를 대상으로 비교·검토하였다. 본 문헌의 異本들은 1660년에서 1668년 사이에 간행된 것으로, 대체적으로 중세 자료와 큰 차이는 없으나 몇몇 용례에서 특이한 형태들이 보인다. 표기나 문법 면에서는 그다지 큰 변동은 보이지 않으나, 음운이나 형태 면에서는 근대 국어의 면모를 보인다. 1. 표기론적 고찰 합용병서는 'ㅂ'계, 'ㅅ'계, 'ㅄ'계 중 'ㅂ'계와 'ㅅ'계만 나타난다. 'ㅂ'계 역시 근대국어에서 'ㅂ'계나 'ㅄ'계가 'ㅅ'계로 통일되는 현상을 그대로 따라가고 있으나, 일부 단어에서〈국립본〉만이 'ㅂ'계를 고수하는 보수적 성향을 띠고 있다. 종성 'ㅅ'과 'ㄷ'의 표기에 있어서는 모두 'ㄷ'종성이 'ㅅ'종성으로 바뀌어 표기되어 나타난다. 한편 'ㅅ'을 'ㄷ'으로 바꾸어 표기하지는 않았지만, 'ㅅ'이 'ㄴ'앞에서 'ㄴ'으로 표기된 예들도 보인다. 연철·중철·분철 표기에 있어서는 연철 표기가 분철 표기 보다 조금 우세하게 나타나며,「촬요」의 경우에는 연철이,「보유」의 경우엔 분철이 우세하게 나타난다. 근대국어의 표기 방식 중 특이한 것은 바로 유기음 표기인데, 본 문헌에서는 '볏ㅌ'와 같이 제 2 유형이 일반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2. 음운론적 고찰 근대국어의 특징인 구개음화는 'ㄷ' 구개음화만이 나타난다. 중세 때 쓰여진「촬요」에서는 구개음화가 나타나지 않으며「보유」에서만 나타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바로〈정문연본〉의 구개음화 현상이다. 왜냐하면〈정문연본〉은 다른 異本들과 달리 보수적인 성향을 띠어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과도교정까지 나타나기 때문이다. 중세국어에서는 철저하게 지켜지던 모음조화의 경우 목적격 조사와 처격 조사에서 가장 심한 混記를 보이고 있다. 특히 목적격 조사의 경우〈국립본, 가람본, 무성본〉은 체언의 곡용보다 용언의 활용에서 더 잘 지켜진다. 반면에〈정문연본〉의 경우는 용언의 활용이 체언의 곡용보다 잘 지켜지고 있다. 부사격 조사의 경우도 다른 형태들보다 '처소'의 부사격 조사가 심하게 混記되고 있는데,「보유」보다는「촬요」에서 더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원순모음화의 경우 본 문헌에서는 순행 원순모음화만 나타난다. 異本들 중에서는〈정문연본〉만 원순모음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다른 세 異本들은 철저하게 원순모음화를 회피하고 있다. 3. 형태·통사론적 고찰 먼저 형태론적인 측면에서 곡용 형태와 활용 형태를 살펴본 다음 이를 기반으로 본 문헌에 나타나는 사동문과 피동문, 부정문을 살펴보았다. 격조사 중에서는 주격·목적격·보격·관형격·부사격의 5 가지만이 나타난다. 조사의 체계는 대체로 16세기와 유사하다. 격조사 중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바로 부사격 조사이다. 왜냐하면 다른 조사들과는 달리 부사격 조사는 가장 근대적인 형태들을 많이 주기 때문이다. 특히 '처소'와 '동반'의 부사격 조사들이 이러한 경향을 많이 띠고 있다. 보조사로는 '대조, 지적, 선택, 역시, 비교, 추종, 단독'의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들이 있는데, 이들 역시 격조사와 마찬가지로 16세기의 보조사 체계를 유지하고 있어 '대조, 단독'의 형태에서만 근대적인 면모가 나타난다. 선어말어미에서는 의약서라는 문헌적 성격 때문에 시제의 선어말어미 중 현재 시제를 나타내는 '­ ­'만이 주로 나타나며, 간혹 추측의 선어말어미 '­리­'와 감동법 선어말어미 '­도­'도 나타난다. 어말어미로는 종결어미, 연결어미, 전성어미가 모두 나타나는데, 종결어미에서는 평서형, 명령형, 감탄형의 3 가지만 나타난다. 연결어미로는 대등적 연결어미, 종결적 연결어미, 보연결어미가 모두 나타나는데, 이들 역시 대체로 16세기의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보조적 연결어미 또한 중세국어의 체계에 따라 '­아/어,­게,­디'의 세 가지 형태가 나타난다. 사동문은 현대국어와 마찬가지로 접사적 사동문과 통사적 사동문이 주를 이룬다. 접사적 사동문은 접사적 사동을 실현시키는 다양한 사동 접미사 중 가장 일반적인 '­이­,­히­,­기­,­오­' 만이 나타나며, 통사적 사동문은 '­게 ?다'와 같은 구성만이 나타난다. 피동문은 피동법을 실현하는 방법 중 접사적 피동만이 나타나는데, 이는 '막히다'의 한 단어에만 국한되어 있다. 부정문의 경우 단형 부정문과 장형 부정문이 모두 나타나는데, 장형 부정문이 단형 부정문보다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다. 단형 부정문의 경우 '아니'와 '못'을 선행한 예문만이 나타난다. 반면에 장형 부정문에서는 '아니, 못, 말'의 세 가지 유형이 모두 나타난다.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Shin-gan-gu-whang-chal-yo(新刊救荒撮要)」 from the viewpoint of the national language study. 「Shin-gan-gu-whang-chal-yo」 is the book that aims at 'Sin-Sok(申 )' as 'Se-Won(西原)' administrator's relieving the people from a famine and that united 「Gu-whang-chal-yo」 and 「Gu-whang-po-yu-bang」.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four books among the nine different books 「Shin-gan-gu-whang-chal-yo」. Those were published from 1660 to 1668 and there appear peculiar forms in several examples. In spelling and grammar there isn't so big difference from other medieval sources, but in phoneme and morpheme there were appear modern Korean. 1. In the aspect of spelling In the different-consonants-paralleled spelling at the word-head, they appear a system of 'ㅅ', a system of 'ㅂ'. The only 〈Kuk-rip-bon〉 among the four books keep to old customs. The example of exchanging use of 'ㅅ' and 'ㄷ' at the end of the syllable which appear from the early part of the 16th century appears in this literature too, but the spelling of the final consonant 'ㅅ' is still predominant. In the aspect of the stem-ending spelling, 「Chal-yo」 mostly predominates the separated spelling. The peculiar among the aspect of spelling in modern Korean is the intensive variant of a word. It appear the second form as '볏ㅌ'. 2. In the aspect of phonology The palatalization of 'ㄷ' exists. 「Chal-yo」 which was written in the middle ages, does not seemed the palatalization. But the only 「Po-yu」 are seemed the palatalization. The palatalization of 〈Chung-mun-yon-bon〉 is being watched. 〈Chung-mun-yon-bon〉 appear excessiive proofreading, but does not do the palatalization. In the middle ages, vocal harmony passes through confusion owing to the non-phonemicization of '·'. In 〈Kuk-rip-bon〉, 〈Ka-ram-bon〉, 〈Mu-sung-bon〉, a direct object postposition applies the conjugation of a declinable word better than declension of the substantives. The other side, in 〈Chung-mun-yon-bon〉, it is opposite. In an adverb postposition, 'location' is very strongly confused and 「Chal-yo」 is more confusional that 「Po-yu」. In the literature, there exists porgressive assimilation rounded vocalization among the rounded vocalization. Also, the only 〈Chung-mun-yon-bon〉 among other books appears it. 3. In the aspect of morphology and of syntax First in the aspect of morphology, the case postposition has a nominative case, a objecticve case, a complemetative case, a attributive case, and a adverb case. The postposition system is relatively simplified compared with that of the 16th century. Among the case postposition, adverb postposition is remarkable. Because it shows the most modern form. In particular, 'location' and 'company' are apt to do. The supportive postposition is relatively simplified compared with that of the 16th century, but 'contrast, singleness' supportive postposition isn't. In prefinal ending, the present tense '-ㄴ-' among a tense exists ow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is literature. Sometimes the conjectural prefinal ending( '-리-') and the impressed prefinal ending is used. In the aspect of the ending of a word, the closing ending appears declarative sentence, imperative sentence, exclamatory sentence. The connected ending and sopporting a connection the ending of a word are simplified compared with that of the 16th tury. Second, factitive sentence is similar to the modern Korean. In derirativation factitive sentence, facititive suffix '-이-', '-히-', '­기­', '-오-' appear. In syntax factitive sentence, the sentence structure '-게 ?다' appears. In passive sentence, this literature appears derivative passivity, but which is limited to '막히다.' In the negative sentence, long sentence negative is superior to short sentence negative. sentence negative has the example which has '아니' and '못' in front of the verb. But long sentence negative has the example of '아니, 못, 말.'

      • 학교급식소에서 이용되는 새싹채소의 소독방법에 따른 미생물적 품질연구

        이영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새싹채소는 여러 가지 건강효능이 알려지면서 대표적인 웰빙(well-being)채소로서 학교급식소에서 그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재배와 유통과정의 특성상 초기 미생물오염도가 높고 가열처리없이 생으로 섭취함으로써 식중독 사고의 원인식품으로 자주 지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급식소의 식품 안전성 확보를 위해 새싹채소의 효과적인 소독 방법을 모색하고 실용 가능한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도매 시장에서 구입한 알팔파, 브로콜리, 클로버, 적무 등 4종의 새싹채소를 대상으로 염소수와 식초수로 소독을 실시한 후, 각 소독제의 농도 및 침지시간에 따른 미생물 제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총균수, 대장균군수, 대장균수를 측정하였고,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새싹채소의 초기 미생물 오염 수준이 총균수의 경우 107 CFU/g 이상, 대장균군수는 106 CFU/g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대장균수의 경우 알팔파와 브로콜리새싹에서 103~104 CFU/g의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새싹채소를 염소수로 소독한 결과, 염소농도 100ppm군에서 감균 효과가 가장 커서 총균수는 8.0⨉105~2.7⨉106 CFU/g, 대장균군수는 4.3⨉105~4.6⨉105 CFU/g의 수준을 나타냈다. 특히 대장균의 경우 염소농도 100ppm군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100ppm의 염소수에 효과적인 침지시간을 조사한 결과, 클로버새싹을 제외한 3종의 새싹채소의 총균수는 30분과 60분 침지 시 4.4⨉105~9.9⨉105 CFU/g으로 생채소 미생물 안전 기준치(106CFU/g 미만)를 만족하는 수준을 나타냈다. 대장균군수의 경우 30분경과 시 감소하여 9.1⨉104~2.4⨉105 CFU/g이었으나 기준치보다 훨씬 높았고, 이후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대장균은 5분 이상 침지 시 모두 사멸한 것으로 나타났다. 알팔파새싹을 식초수로 소독한 결과, 총균수의 경우 초산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초산 2% 농도에서 9.0⨉105 CFU/g으로 안전 기준치를 만족하였고, 대장균군수는 1% 농도에서 1.5⨉105 CFU/g으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초산농도 1% 식초수의 침지시간별로 소독한 결과, 총균수의 경우 모든 처리군에서 안전 기준치를 만족하였고, 특히 60분과 90분 처리 시 CFU/g의 수준을 나타냈다. 대장균군수는 90분 처리 시 9.1⨉103 CFU/g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기준치(103 CFU/g 미만)를 초과하였다. 대장균은 1% 식초수 처리 시 모두 사멸하였다. 염소수 소독에 따른 알팔파새싹의 관능적 품질 평가에서 염소농도에 상관없이 ‘냄새’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6점 이상의 품질을 나타냈고, 침지시간이 5분, 90분인 경우도 6점 이상의 높은 점수를 보였다. 식초수 소독에 따른 관능 품질 평가에서 식초 농도가 증가할수록,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원재료에 비해 외관, 변색, 냄새, 질감 및 전체적 품질 모두에서 유의적(p<0.001)으로 낮은 점수를 보여 관능 품질이 급격히 저하되었다. 초산 농도 1%, 2% 처리군은 생식재료로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 중학교 수학 교과의 대수적 구조에 관한 연구

        이영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중학교 수학 교과의 대수적 구조를 심도 있게 파악해 봄으로써 교사들의 대수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수적 구조인 이항연산, 군, 환, 체의 개념이 중학교 수학 교과에서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대수적 구조와 연계된 중학교 수학 교과의 내용들은 어느 하나 중요하지 않은 부분이 없다. 그러나 중학교 3학년 이차방정식의 풀이 과정에서 이용된 정역의 개념은 고등학교 수학 교과의 고차방정식에서도계속해서 적용되는 중요한 내용이다. 그러므로 수학 교사는 대수적 구조를 좀 더 확실하게 이해하고 이차방정식의 풀이 과정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연구를 통해 내린 결론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help teachers' understanding of algebraic concepts through in-depth examination of algebraic structures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the algebraic structures of concepts such as binary operation, group, ring and field were interconnected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related to algebraic structures are all important without exception. However, the concept of integral domain used in the process of solving 9th-grade quadratic equations is particularly important because it is applied continuously to high-degree equations in high school mathematic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mathematics teachers need to have a more deep understanding of algebraic structures in order to teach how to solve quadratic equations.

      • Karlheinz Stockhausen 의 『Kreuzspiel』 분석연구

        이영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Modern music has variety of greatly many kinds and the all of the divisions have unique characteristics and techniques respectively. It is difficult to perfectively analyze modern musics. Therefore, I think that we need to analyze and research many modern musics not only to study a creative technique but also to know their originalities. The twelve - tone technique which originated by Arnold Schoenberg(1874-1951) has been passed down through his typical students ,Alban Berg(1885 - 1935) and Anton von Webern(1882-1945), and many other composers who were interested in twelve-tone. They have expanded the classical twelve-tone system and the tone-row technique prevailed in which rhythem, dynamics, articulation and tempo were serialized. By analyzing the works of "Kreuzspiel" which is called "total serialism", we may learn challenge spirit of him. As I stated above in details, several parameters such as pitch class, duration, and register cross over this composition. When it comes to pitch class and duration, it is composed of two hexachords, thus inversion is made. More inversion of eleven times made the whole hexachords inverse in he finale. He used twelve pitches and duration, each of which progresses from high tone to low tone and vice versa in section Ⅰ. The section Ⅱ was also used twelve pitches and durations like the section Ⅰ. However, in the second Ⅱ, the parameters progressed irregularly and maintained middle register originally. In the section Ⅲ, the parameter of the section Ⅰ retrograde. The length of each bar is 6½, 3(1/6) and 4⅓ respectively, and progresses regularly. This construction makes whole composition appeared systematically. In conclusion, for him showing us that the many parameters are established and progressed regularly, each part should be integrated. Stockhausen has many parameters compositions published so far including this composition. It may be difficult for me to explain his unique genius because of much originality. His music should be developed by other modern composers and I am sure that his original music would be foundation stone in improving modern music.

      • 바닥복사 냉방시스템의 열성능에 관한 실험 연구

        이영아 울산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에너지 절약형 건물의 목표는 낮은 에너지 소비로 거주자의 쾌적감을 달성하는 것이다. 특히 에너지 부족국가인 우리나라의 경우 건물에 소비되는 에너지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다. 우리나의 난방방법은 온돌이라고 하는 바닥복사 방식이며 냉방의 경우 대류방식인 히트펌프 방식이나 개별에어컨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공기 흐름식의 대류냉방은 하절기 전력소비를 과도하게 하며 냉기류의 불균형으로 불쾌감을 유발하는 반면 구조체 냉각방식인 바닥복사 냉방시스템은 낮은 에너지를 소비하면서 균일한 냉방효과를 유지할 수 있어 매우 유리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많은 냉난방 운영개선에도 불구하고 냉방시스템 효율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흡하여 본 연구에서는 냉방시스템의 실제적인 운전을 통하여 바닥복사 냉방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냉방을 유지하면서 저에너지를 목표로 한 적정 공급수 온도를 도출하기 위하여 단열강화 구조로 외벽을 마감한 실험실을 대상으로 냉방운전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실 규모에 적합한 냉방시스템을 구성하여 독립된 제어실을 통해 26개 지점의 온습도를 측정하였다. 하절기 최고 외기온을 반영하였으며 여러 차례의 예비실험으로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였다. 기존의 연구자료와 prEN-1264 기준 및 ASHRAE 기준의 공급수 온도 범위를 분석하여 본 실험의 공급수 온도 범위를 15℃, 16℃, 18℃로 설정하였으며 두 개의 실험실로 구분하여 결과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내용은 냉방운전 후 나타난 실내온도를 중심으로 외기온과 실내기온의 변화라는 두 개의 변수에 대하여 방정식을 유도하고 이를 연간 외부기온에 적용하여 냉방온도를 예측하는 것이다. 동일한 방법으로 냉방도시를 산정하고 소비전력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공급수와 환수의 온도차와 순환유량의 변화량으로 총 에너지량을 산출하여 에너지소비량과 실내온도 대비 적정 공급수 온도를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냉방운전 후 실내온도의 변화는 외기온 변화에 따라 균일한 양상을 보여 하나의 방정식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표준년 외기온을 이용하여 냉방도시를 산정하고 연간 총 소비전력량으로 적정 공급수 범위 16℃~17℃를 찾을 수 있었다. 이때 나타난 실내 바닥온도와 수직온도 분포는 ISO와 ASHRAE의 쾌적범위를 만족하였다. 또한 공급수와 환수의 온도차와 순환유량을 에너지소비량에 대입하여 연간 총에너지 소비량을 산출할 수 있었으며 공급수 온도변화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 추이를 통하여 적정 공급수 온도가 17℃임을 확인하였다. 향후 냉방시스템 운영시 본 연구의 공급수 온도 설정에 관한 실험 데이타가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현재 주거건물의 난방운전방식에 냉방시스템을 추가한다면 실내기기 부담에 대한 초기투자비를 절약할 수 있고 운전과 유지관리의 측면에서도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goal of building energy saving is to achieve user's comfort with low energy consumption. Especially, as Korea does not have enough energy sources, much attention is given to building energy consumption. In Korea for winter months, ondol heating is used while for summer months, heat pump method or individual air-conditioning are used. Convection cooling consumes lots of power and unbalanced stream of cooling air causes discomfort. However, radiant floor cooling system does not consume much power and maintain a uniform cooling effect. Much improvement has been made to heating and cooling systems, but enough studies have not been conduct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cooling system.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radiant cooling system by directly operating cooling system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laboratory with heat insulation materials was used in order to determine the most appropriate temperature of supply water. And the laboratory was equipped with a proper cooling system and 26 points were designated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humidity. Based on prior work, prEN-1264 standard and ASHRAE standard, the temperatures of supply water for the study was set at 15℃, 16℃ and 18℃. Two test rooms were used for the test. The study elicits an equation about two parameters, outdoor temperature and indoor temperature after the operation of cooling system, and then it makes an estimate on cooling temperature by applying the equation to the outdoor temperature for a year. And the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power consumption for chosen cities, and it calculated total energy consumption based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supply water and return water, and circulated water volume, in order to find out the most appropriate temperature of supply water against energy consumption and indoor temperature. The study could elicit a equation as indoor temperature regularly changes according to changes in outdoor temperature and finally found out the appropriate temperature range of supply water is 16℃~17℃ for the selected test cities and their total power consumption. And it also found the temperature meets the user's comfort range by ISO and ASHRAE. Further, it determined the most appropriate temperature of supply water is 17℃ by calculating a total annual energy consumption and estimating the energy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emperature of water supply. Data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fundamental data for future studies on cooling system. If a cooling system is added to currently-used heating system, it is expected that initial cost will be saved and the efficiency of operation and maintenance will be also improved.

      • 남녀 대학생에서 거부민감성, 주의조절, 사회불안 간의 관계: 주의초점화와 주의전환의 매개 및 조절효과

        이영아 강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어릴 때 부모와의 관계를 통해 형성된 거부민감성은 사회적 위협이 존재할 때 빠르고 방어적인 반응을 취하게 함으로써 적응에 도움을 준다. 하지만 거부민감성이 사회적 상황에서 무분별하게 작동될 경우 대인관계를 손상시키며 이로 인해 불안 · 우울 등의 심리적 고통을 초래한다. 특히, 대학생 시기는 다양한 인간관계가 시작되는 시기로, 거부민감성이 한 개인의 성인기 삶 및 정신병리 측면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 주의조절(주의초점화 및 주의전환), 사회불안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를 위해 남녀 대학생 489명(남 261명, 여 228명)에게 거부민감성척도(RSQ), 주의력 조절 척도(ACQ), 사회적 상호불안 척도(SIAS), 사회공포증 척도(SPS)를 실시하였다. 가설 1은 거부민감성, 주의초점화, 주의전환, 사회불안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남녀를 나누어 분석하였다. 성별을 구분하여 상관관계를 확인해본 결과, 거부민감성과 사회불안의 하위유형인 수행불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성차가 발견되었는데, 여자가 남자보다 거부민감성과 수행불안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녀 모두 거부민감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상호작용불안과 수행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주의조절척도의 하위요인인 주의초점화와 주의전환은 거부민감성,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및 수행불안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가설 2에서는 남녀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주의초점화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남녀 대학생 모두에서 주의초점화가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수행불안에 유의미한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가설 3에서 남녀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주의전환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지만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오히려 주의전환은 남녀 대학생 모두에서 유의미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거부민감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주의과정이 인지적 취약성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밝혔다는 것과, 거부민감성이라는 동일한 취약성을 가진 경계선 성격장애와 사회불안 간에 주의과정에서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가와사끼병의 감마 글로불린 재 치료

        이영아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가와사끼병의 치료에서 IVGG 재 치료가 필요했던 경우의 빈도와 임상적 특징, 재 치료시 안전성, 관상 동맥 병변의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1년 1월부터 1999년 8월까지 고신 대학교 복음 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가와사끼병으로 진단 받고, IVGG 1 g/kg를 2일간 투여한 환자 27례, 2 g/kg를 투여한 46례, 총 73례 중 IVGG 재 치료가 필요했던 6례를 대상으로 임상 증상, 기본 검사 소견, 심초음파 소견을 후향적으로 살펴보았다. 재 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기준은 발열의 유무로 결정하였으며, 발열양상은 초회 IVGG 투여종료 후 48시간이상 38.3 ℃이상의 발열이 지속되는 것을 persistent fever, 48시간 동안 체온이 38.3 ℃이하로 측정되다가 다시 38.3 ℃이상 측정되는 것을 recrudescent fever, IVGG투여 전 기초 심에코도 검사에서 정상 소견을 보이다가 IVGG투여 후 새로운 관상 동맥 병변이 발생한 경우를 치료 실패로 정의하였다. 결과 : IVGG으로 치료한 73례 중 persistent fever 2례, recrudescent fever 4례로 총 6례인 8.21%에서 IVGG 재 치료를 하였으며, 재 치료한 6례 중 1례는 1 g/kg, 나머지 5례는 2 g/kg를 투여하였다. 초회 치료군과 재 치료군 사이의 연령 및 성별 분포, 치료 전 발열 기간, 혈액검사 소견은 차이가 없었으나 CRP는 재 치료군에서 의미 있게 높았다(P=0.009). 치료 실패는 초회 치료군과 재 치료군 모두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IVGG 투여 후 발열과 오한등이 가볍게 있었으나 점적 속도를 줄이거나 잠시 투여를 중단함으로써 소실되었으며 중독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가와사끼병의 IVGG 재 치료는 안전하고 임상 증상과 관상 동맥 병변의 예후에 호전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Purpos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outcome and safety of intravenous gamma-globulin (IVGG) retreatment in Kawasaki disease. Methods : A clinical observation of the therapeutic effect, laboratory finding and echocardiogram were carried out on 73 patients with Kawasaki disease in Kosin University Hospital from 1991 to 1999. 27 patients were treated with 1 g/kg/day IVGG for 2 days, 46 patients were treated with 2 g/kg for 10hours. The clinical indication for retreatment was fever. Persistent fever was defined as temperature≥38.3℃ persisted beyond 48hr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infusion. Recrudescent fever was defined as temperature ≤38.3℃ for 48hr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infusion, followed by temperature≥38.3℃. Treatment failure serious complicatio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clinical charicteristics except CRP between one course IVGG infusion and retreatment was defined as the development of new coronary artery abnormalities after IVGG treatment in a child with normal baseline echocardiogram. Results : The 6 patients(8.21%) were retreated with IVGG. Two were retreated due to persistent fever and three due to recrudescent fever. Among retreated patients, one was retreated with 1 g/kg and the others with 2 g/kg. Nobody had group(P=0.009). Treatment failure was not found in both groups.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the IVGG retreatment of Kwasaki disease may improve the clinical course and coronary artery outcome.

      • 의사소통훈련 부모교육이 초등학생 자녀의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영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에게 실시 할 때, 자녀의 도덕성 발달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의사소통훈련 부모교육이 초등학생 자녀의 도덕성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 의사소통훈련 부모교육이 초등학생 자녀의 도덕성 발달에서 남녀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연구단지 내의 1개의 초등학교 2-6학년 중 학부모와 자녀를 대상으로, 집단의 크기 및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고려하여 저․고학년 각각 실험집단에 28명, 통제집단에 28명을 배치하였다. 연구 도구로 STEP 프로그램과 PET 프로그램에 대한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의사소통 훈련에 초점을 두고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에 맞게 재구성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도덕성 발달을 알아보기 위하여 DIT 간편형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가설에 대하여 비교하고자 하는 두 집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취한 후에, t검증을 통하여 유의수준 95%에서 가설이 의미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t검증을 통하여 나온 P값이 0.05보다 작으면 두 집단 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다고 판단하며, 따라서 가설이 옳다고 판단한다. t검증은 미니탭(minitab)을 통하여 실시하였으며, 양적 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집단의 학부모들이 작성한 소감문에서 프로그램 효과와 관련된 표현을 정리하여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질적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훈련 부모교육은 고학년 자녀의 도덕성 발달과 자율적 판단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의사소통훈련 부모교육은 저학년 자녀의 도덕성 발달과 자율적 판단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셋째, 의사소통훈련 부모교육과 자녀의 도덕성 발달에서 남녀 간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사소통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에게 실시하였을 때 초등학교 고학년의 경우 도덕성 발달과 자율적 판단능력에 영향을 미쳤으나 저학년의 경우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는 고학년의 경우, 부모와 자녀 간에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한 부모의 개입이 아동의 도덕성 발달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저학년의 경우, 의사소통훈련 부모교육의 영향이 미미하다고 해석할 수도 있지만, 언어능력과 상관관계가 높은 DIT를 저학년에게 적용하기에 무리가 있다고 볼 수도 있다. 또한 실험집단의 도덕성 발달의 남녀 비교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어 부모와 자녀간의 의사소통 시 남녀의 차이를 두지 않아도 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