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술심리상담사의 슈퍼비전기능, 일터영성, 심리적웰빙 간의 관계분석

        송경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심리상담사의 성별, 연령에 따른 슈퍼비전기능, 심리적웰빙, 일터영성의 차이분석 및 슈퍼비전기능, 심리적웰빙, 일터영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예술심리상담사의 심리적웰빙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었다.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N구, B구, J구, D구, U군) 소재 상담센터에 소속되어 있는 예술심리상담사이다. 설문조사는 2020년 6월 11일부터 2020년 11월 16일까지 실시하였다. 측정 도구는 슈퍼비전기능, 일터영성, 심리적웰빙을 사용하였다. 또한 통계분석은 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및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해 적률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심리상담사의 슈퍼비전기능, 일터영성, 심리적웰빙은 각각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연령에 따른 일터영성은 40대 상담사가 20대와 30대 상담사보다 각각 더 높았고, 심리적웰빙은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슈퍼비전기능은 연령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둘째, 슈퍼비전기능의 하위요인 중 교육적 기능은 심리적웰빙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대인관계를 높여주었으나 행정적 기능과 지지적 기능은 각각 높여주지 못하였다. 슈퍼비전기능의 하위요인 중 교육적 기능과 지지적 기능은 각각 심리적웰빙의 하위요인인 삶의 목적을 높여주었으나 행정적 기능은 높여주지 못하였다. 셋째, 슈퍼비전기능의 모든 하위요인(행정적 기능, 교육적 기능, 지지적 기능)은 일터영성을 높여주었다. 넷째, 일터영성의 하위요인 중 ‘일에 대한 소명의식’과‘자신을 넘어서는 초월의식’은 심리적웰빙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대인관계를 높여주었으나 ‘타인에 대한 공감의식’과‘자신에 대한 내면의식’은 각각 높여주지 못하였다. 일터영성의 하위요인 중 ‘일에 대한 소명의식’과‘자신에 대한 내면의식’은 각각 심리적웰빙의 하위요인인 삶의 목적을 높여주었으나 ‘타인에 대한 공감의식’과‘자신을 넘어서는 초월의식’은 높여주지 못하였다. 분석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아래와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예술심리상담사의 연령에 따른 일터영성과 심리적웰빙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일터영성과 심리적웰빙 향상을 위해 연령을 반영한 수준별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연령대에 맞는 일터영성과 심리적웰빙에 대한 보수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예술심리상담사의 슈퍼비전기능 하위요인인 ‘교육적 기능’과 지지적 기능’은 심리적웰빙의‘삶의 목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슈퍼비전기능의‘교육적 기능’은 심리적웰빙의 ‘긍정적 대인관계’에도 긍정적 영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예술심리상담사에 대한 슈퍼비전 프로그램에서 각 요인의 긍정적인 면을 고려한 후, 이를 바탕으로 슈퍼바이지에 대한 상담 및 교육이 요구되어진다. 셋째, 슈퍼비전기능의 하위요인(교육적, 행정적, 지지적 기능)은 일터영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술심리상담사의 일터영성 증진의 방안으로 업무수행과 운영관리 능력의 강화교육, 심리상담요법에 대한 보수교육, 심리적인 지지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정기적인 세미나 개최 및 산림치유, 해양치유 활동 등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활성화 방안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일터영성의 ‘일에 대한 소명의식’과‘자신을 넘어서는 초월의식’이 심리적웰빙의 ‘긍정적 대인관계’에, ‘일에 대한 소명의식’과 ‘자신에 대한 내면의식’은 심리적웰빙의 ‘삶의 목적’에 긍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슈퍼바이지의 심리적웰빙(삶의 목적, 긍정적 대인관계)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특히 심리적웰빙의 향상 방안 중에서 상처치유, 감사일기 쓰기, 유언장 기록하기, 서로 칭찬하기 등의 긍정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among supervision fun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workplace spirituality of art psychology counselors and to investigat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an differences. Based on this, the study aimed to provide guidance to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e study, art psychology counselors who belong to counseling centers of Ulsan Metropolitan City were surveyed from the 11th of June 2020 to the 16th of November 2020. Research instruments of supervision function, workplace spiritu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used. As analysis method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R program for data processing, and to test hypothese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reveal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n differences by gender in supervision function, workplace spiritu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age, the counselors in their 40’s showed greater levels of workplace spirituality than those in their 20’s and 30’s, and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psychological well-being. However, by ag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pervision function. Second, educational function of art psychology counselor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psychological well-being, but did not have positive effects on administrative function and supportive function. Both educational function and supportive function of supervision function showed positive effects on purpose of life of psychological well-being, but did not on administrative function. Third, all the subfactors of supervision function(administrative, educational, supportive functions) showed positive effects on workplace spirituality. Fourth, sense of calling to work and sense of transcendence beyond oneself of workplace spirituality showed positive effects on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psychological well-being, but did not on sense of empathy for others and inner consciousness about oneself. Sense of calling to work and inner consciousness about oneself of work spirituality showed positive effects on purpose of life of psychological well-being, but did not on sense of empathy for others and sense of transcendence beyond oneself.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discussion of this paper,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 workplace spiritu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among groups by age of art psychology counsel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educational programs and systematic support measures by age level to improve workplace spiritu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rt psychology counselors. Second, educational function and supportive function of supervision function of art psychology counselors had positive effects on purpose of life, and educational fun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fore, based on the considerations of the positive aspects of each factor in the supervision program for art psychology counselo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for supervisees. Third, the sub-factors of the supervision function (educational, administrative, and supportive function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workplace spirituality. Therefore, as a way to enhance workplace spirituality of art psychology counselor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pport such as strengthening education for work performance and operation management skills, maintenance education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therapy, and psychological support. To this end, regular seminars and educational programs utilizing forest healing and marine healing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and activated. Fourth, sense of calling to work and sense of transcendence beyond oneself of workplace spirituality had positive effects on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alling to work and inner consciousness about oneself had positive effects on purpose of life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fore, it is strongly encouraged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purpose of life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supervisees. In particular, among the measures to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positive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wound healing, writing a gratitude diary, writing a will, and praising each other.

      • 푸드아트심리상담이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이지혜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정서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푸드아트심리상 담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프로그램은 조임숙(2013) 의 푸드아트심리상담 프로그램을 토대로 하여 8회기로 구성을 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사후 동일 실험으로 설계 하여 단일집단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S시에 소재하고 있는 요양원의 요양보호사 6명을 대상으로 연구자를 포함하여 푸드아트 심리상담 전문가 2명이 2017년 7월 13일부터 8월 30일까지 49일간 진행을 하였으며, 푸드아트심리상담 실시 전과 후에 사전⦁사후 척도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기효능감 척도는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에 극복능력, 자신감, 성취력, 목표달성 가능성 등을 포함시켜 일부를 수정 하여 구성한 박충배(2011)의 논문척도를 사용한 박정규(2014)의 논문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기효능감의 측정은 자기평가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본 척도의 문항은 8개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푸드아트심리상담이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푸드아트심리상담 적용 후 자기효능감이 증진되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푸드아트심리상담이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푸드아트심리상담 적용 후 직무스트레스의 감소를 도모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능동적인 표현내용을 중심으로 진행한 푸드아트심리상담으로 진행을 거듭할수록 부정적인 표현이 감소하고, 긍정적인 표현이 증가되는 모습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푸드아트심리상담의 적용이 과도한 직무몰 입과 대인관계상의 갈등으로 이직의도가 빈번이 발생하는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 증진과 직무스트레스의 감소를 도모하는데 긍정적인 영향를 가져 올 수 있음을 검증한 첫 번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food - art psychological counseling affecting the change of emotions of caregivers. The program consisted of 8 sessions based on ‘Food art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 by Cho, Yim Sook(2013) and the same pretest-posttest was designed to prove the effect of the program with a single group. Subjects of the study were 6 caregivers of scenior care center located in S city of Gyeonggi-Do. For the study, six care workers were conducted for about 49 days from July 13 th 2017 to August 30 th 2017 by two food art psychological counseling specialists and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Self-efficacy scale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y Park, Jung Gyu(2014) and the scale was edited including conquest capability, self-confidence, accomplishment, posibility to achieve the goal etc. by Park, Chung Bae(2011) from general self-efficacy scale. Self-efficacy test was made from 8 questions by using self test metho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to analyze the effects of food art psychological counseling on the self - esteem of caregiver showed that the self -esteem after applying food art psychological counseling was increased and it showed significant effect. Second,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food art psychological counseling on caregiver shows the positive role to reduce job stress before and after applying food art psychological counseling. Third, this study showed that the more negative expression decreased and positive expression increased the more the progress of food art psychological counseling centered on active expression of caregiver. These results is meaningful on the first study to prove that the application of food art psychological counseling can reduce job stress of caregiver and positively affect self-efficacy that the intension of job change and resignation frequently happened due to excessive job engagement and the conflict of personal relationship.

      • 유식학의 상담심리학적 이해와 적용

        김경일 경성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3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서양의 상담이론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지가 40여 년이 넘었다. 이제는 상담이론이 학문으로서 확고한 기틀을 잡고 상담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많은 상담이론 중에서도 상담자들은 주로 정신분석 상담이론을 비롯하여 인본주의 상담이론이나 인지행동치료 상담이론에 기반을 두고 상담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상담이론이 특정 지역과 관계없이 어느 나라에서나 적용이 가능할 수도 있지만 문화적 전통과 환경에 따라 각 지역마다 특정 이론이 더 선호될 수가 있다. 다시 말하자면 어떤 이론이 특정지역의 정서와 문화에 더 적합할 수도 있고 전혀 맞지 않을 수도 있다. 이것은 나라마다 생활양식에 차이가 있고 감정표현에도 차이가 있기 때문인데, 이는 문화보편주의 입장과 문화상대주의 입장의 차이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상담이론이 우리나라의 상담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는 있지만, 이것이 서양의 문화를 기반으로 서양인의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었기 때문에 우리의 정서와 문화에 적합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한국인들은 전통적으로 겸손을 미덕으로 여겨왔다. 이러한 의식으로 인해 한국인들은 감정이나 욕구를 적극적으로 표현하지 않는 경향이 있지만, 서양인들은 이와 달리 감정이나 욕구를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데 더 익숙한 사람들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우리의 문화와 정서를 기반으로 하여 심리적 문제를 해결해 온 방식, 즉 유교, 불교, 무속신앙 등을 기반으로 하여 만들어진 고유의 방법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우리가 심리적 문제를 해결해 온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두고, 여기에서 서양의 상담이론의 요소를 찾아내어 한국인에게 적합한 새로운 상담이론으로 체계화하고 구체화할 수 있는 방안은 없을까? 한국인의 정서와 문화에 적합한 상담이론을 만들고자 노력한 이동식(1974)은 상담에 우리의 전통사상인 도(道)의 개념을 도입하여 동양의 명상(冥想), 즉 수도(修道)인 정심요법(淨心療法)이 정신치료의 극치라고 하였다. 왜냐하면 수도의 목표는 현실을 왜곡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를 바라보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정신분석상담에서는 무의식을 부정적인 힘의 근원으로 파악하고 무의식의 분석과 통찰을 통해 이를 달성하고자 했고, 불교의 참선 특히 간화선(看話禪)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힘을 총동원해서 부정적인 힘인 애응지물(碍膺之物)을 녹이고자 하였다. 따라서 불교사상이 인간의 번뇌를 소멸하고 존재의 실상을 깨달아 궁극에는 이고득락(離苦得樂)을 추구하는 것으로, 내담자의 불편을 해소하고 성장을 추구하는 현대적 의미의 상담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불교사상 중에서 공사상과 유식사상은 가장 대표적인 사상으로서 특히 유식사상은 인간의 마음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 것으로 불교심리학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유식학(唯識學)을 근거로 하여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상담과정으로 구안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다. 유식학은 기원 2-3세기경에 확립된 것으로 사람의 마음의 구조와 작용에 대해 현대심리학이 미치지 못하는 부분까지 세밀하게 설명하고 있다. 유식학은 사람의 마음을 8가지의 단계로 나누어 팔식(八識)이라 하고, 마음의 작용을 다시 51가지로 구분하여 51심소(心所)라고 한다. 8식과 51심소의 작용과 현상을 이해하고 현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으면 대상과 사물을 왜곡하지 않고 올바르게 인식하게 되고 부정적인 감정이나 갈등, 그리고 심리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유식학은 인간의 마음을 어떻게 설명하고 있으며, 인간의 마음을 변화시키기 위해 어떠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지를 밝혀보고, 그것이 하나의 상담이론과 방법으로 체계화할 수 있는지를 모색해 보고자 한다. 유식학은 마음의 구조와 작용을 세밀하게 나누어 설명하고 있으며, 고통과 고통의 원인, 그리고 고통을 극복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고 있으므로 상담이론과 방법으로의 체계화 가능성은 매우 크다고 본다. 특히 유식학은 정신분석학이나 인간중심 상담, 그리고 인지행동치료의 주요한 상담적 요소들을 갖추고 있다. 정신분석학의 무의식의 개념을 심화시키고, 구체화하고 있으며, 인간중심 상담의 긍정적인 가능성을 개유불성(皆有佛性)의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고, 인지행동치료의 현실 인식의 왜곡과정을 치밀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유식학을 분석하고 이에 입각하여 우리나라 사람들의 문화와 정서에 알맞은 새로운 상담이론과 상담과정으로 구성하는 것은 외래문화를 주체적으로 수용하는 바람직한 태도라 하겠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상담토착화와 상담이론의 발전 차원에서 볼 때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또한 이 연구는 한국적 상담의 새로운 시도로서 상담현장에서 한국인의 감정양식에 보다 적합한 상담방법을 모색한다는 점에서도 큰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식학의 사상체계를 분석하고 상담심리학적인 요소를 추출하여 유식학을 바탕으로 상담이론과 방법을 모색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유식학은 인간의 마음을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마음의 구조와 작용을 분석하고, 인식의 왜곡이 발생하는 원인과 과정을 고찰한다. 유식학에 근거하여 인간의 마음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함으로써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의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다룰 수가 있을 것이다. 둘째는 유식학에 내포된 상담심리학적 요소를 분석한다. 유식학의 여러 사상들 가운데 특히 상담심리학적으로 적용 가능한 요소를 추출하고 상담 장면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고찰한다. 이는 유식학의 다양한 상담심리학적 요소들을 통해 내담자들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내담자의 특성에 맞는 상담을 진행할 수가 있을 것이다. 셋째, 유식학의 상담심리학적인 요소를 바탕으로 상담이론을 구성하고, 현장에 적용 가능한 상담과정을 구안한다. 이는 한국적인 상담의 모색을 위한 또 하나의 시도가 될 것이다. 2.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유식학의 주요 사상들을 근간으로 하여 하나의 상담 모델을 구안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 내용은 유식학의 사상체계를 분석하고, 유식학의 주요 사상들을 상담심리학적 관점에서 해석하며, 유식학의 상담심리학적인 요소들을 중심으로 상담이론과 상담과정을 구성하는 것이다. 유식학은 대승불교의 핵심사상으로서 모든 것은 마음을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음을 밝히고 있다. 마음을 심, 의, 식으로 구분하고 심은 아뢰야식, 의는 말라식, 식은 육식이라 하며, 육식은 다시 의식과 안이비설신의 다섯 가지 감각으로 구분한다. 모두 8가지로 구분하므로 팔식설이라고 한다. 아뢰야식은 장식, 무몰식이라 하여 생사윤회를 가능하게 하는 모든 종자가 함장되어 있는 보관창고와 같은 곳이다. 말라식은 항심사량하는 마음이다. 항상 살피고 사량하며 집착하는 마음이다. 사량이란 연려, 관찰, 분별, 집취의 뜻이다. 따라서 아탐과 아애의 주체이며 번뇌의 뿌리가 숨어 있는 곳이다. 탐진치의 삼독을 일으켜 해탈을 방해하므로 수행자는 반드시 말라식의 번뇌를 극복해야 한다. 육식은 의식으로서 전오식(안이비설신)이 인식한 내용을 판단하고 분별하는 마음의 작용을 말하며 능변식이라고도 한다. 전오식은 의식이 없으면 그 자체로는 작용하지 못하는 마음이다. 육식의 작용은 변행(邊行), 별경(別境), 선(善), 번뇌(煩惱), 수번뇌(隋煩惱), 부정(不定)의 6가지가 있으며 이것은 마음의 작용으로서 심소(心所)라고 한다. 전오식은 다섯 가지의 감각기관으로서 다른 식들에 비해 단순하기 때문에 전오식이라고 통칭하여 부른다. 유식학은 51가지의 마음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5변행․5별경․11선․6번뇌․20수번뇌․4부정이 그것이다. 5변행심소는 인식작용을 나타내는 심리적인 요소이며, 5별경심소는 대상에 따라 일어나는 심리작용이며, 11선은 착한 마음을 일어나게 하는 심리적인 요소들이며, 6번뇌와 20수번뇌는 번뇌의 근원과 구체적인 종류를 나타내며, 4부정심소는 선악이 결정되지 않은 마음의 작용을 설명하고 있다. 유식학에는 상담심리학적인 요소들이 다양하게 포함되어 있다. 팔식설을 통해 자신의 마음을 관찰하는 것은 정신분석에서의 통찰과 비교할 수 있으며 무의식의 의식화는 말라식의 번뇌를 극복하고 소멸해 가는 과정과 비교할 수 있다. 오심설(五心說)은 의식이 대상을 의식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마음의 인식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삼분별설(三分別設)은 대상을 식별하는 정신작용으로서 사람들의 인식능력을 설명하는 것이며, 삼량설(三量設)은 대상을 인식할 때 나타나는 세 가지 종류의 판단으로서 인식과정의 오류를 밝히고 있다. 상담에 있어 내담자의 주관적인 인식에 의한 왜곡을 설명한다. 삼성설(三性設)은 사람들이 대상을 인식하는 방법의 기본적인 관점을 설명하는 것으로 인지상담에 있어서 인지의 과정과 비교해서 설명할 수 있다. 사분설(四分設)은 심의식의 기능을 네 가지로 구분한 것으로 인식의 주체와 객체의 관계를 규명하고 있다. 삼류경설(三類境設)은 인식의 대상이 되는 객관의 종류와 성질을 밝히고 대상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왜곡의 원인을 설명한다. 전식득지설(轉識得智說)은 번뇌에 물든 식(마음)을 전환하여 지혜의 마음으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 오감각을 성소작지로 바꾸고 의식을 묘관찰지로 바꾸고, 말라식을 평등성지로 바꾸고, 아뢰야식을 대원경지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 유식학의 궁극적 목표가 결국은 전식득지가 된다. 대원경지는 아뢰야식에 쌓여있는 무시이래의 갈애와 한, 갈등, 적개심 등이 모두 소멸되는 경지로서 수행의 가장 높은 단계를 말하는데, 상담의 목표로 설정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상담에서는 말라식의 번뇌를 소멸하고 이르게 되는 평등성지를 목표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오성각별성(五姓各別性)은 사람의 선천적인 개인차를 설명한 것으로 다섯 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보살종성을 지닌 사람은 최상의 근기를 가지고 태어난 것으로 보살의 성품을 지닌 사람이며, 무성종성은 최하의 근기를 가지고 태어난 사람으로서 불성을 갖추지 못한 부류의 사람들이다. 오성각별성은 상담에 있어서 내담자의 근기에 따라 상담의 목표와 방법을 달리 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오중유식관(五重唯識觀)은 유식수행에 있어서 다섯 가지의 수행관법을 설명한 것으로, 처음에는 거칠고 큰 번뇌를 버리는 데서 시작하여 점점 작고 미세한 번뇌까지를 모두 버리고 마침내 참 성품을 깨닫도록 하는 수행의 단계를 밝히고 있다. 사연설(四緣說)은 마음이 움직이는데 필요한 네 가지의 조건을 설명한 것으로 종자에 인연이 작용해야, 즉 원인이 작용해야 마음은 움직이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번뇌장(煩惱障)과 소지장(所知障)은 인간의 번뇌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자아(자신 또는 주체)에 대한 집착은 번뇌장이며, 대상(객체, 나 이외의 모든 것)에 대한 집착은 소지장이라고 한다. 내담자의 문제는 대부분 나와 대상에 대한 집착에서 비롯되며 집착을 통찰하고 집착에서 벗어나는 것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종자론(種子論)은 사람의 마음의 바탕에 들어있는 심리적 요인이나 인자들을 망라하여 종자라고 한다. 종자에는 여섯 가지의 성질이 구비되어 있는데, 어떠한 환경이나 영향에 의해 발현하게 된다. 종자의 특성은 정신분석학의 무의식의 개념과 비슷하지만, 유식의 종자론은 출생 이전의 선천적인 것까지를 포함하고 있으나 무의식은 출생 이후의 경험의 총합으로 설명하는 것이 서로 다르다. 유식학의 다양한 상담심리학적인 요소들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상담이론과 방법을 구안하기 위해서는 인간이해의 방식이 제시되어야 한다. 유식학은 첫째, 인간을 종자론의 관점에서 이해한다. 정신분석적 입장은 무의식의 내용들을 대체로 부정적으로 보지만 유식학은 부정과 긍정, 그리고 부정도 긍정도 아닌 요소들이 모두 포함된 것으로 본다. 둘째, 유식학은 인간을 선천적인 차이를 지닌 존재로 이해하며, 그것을 오성각별성이라 하여 다섯 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셋째는 지금-여기의 의식을 강조한다. 유식학은 종자론적 입장을 취해서 선천적인 요인을 강조하지만 지금-여기의 의식을 가장 중요시 한다. 아뢰야식의 종자나 말라식의 번뇌들은 그 자체로는 어떠한 작용도 할 수가 없으며, 그것이 발현되는 것은 오직 의식을 통해서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넷째는 인간을 실현가능성을 지닌 존재로 이해한다. Rogers는 인간은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려는 경향성을 지닌 존재로 보았는데 유식의 인간이해 방식과 유사하다. 다섯째는 무아론적인 이해이다. 인간을 무아론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불교만의 독특한 이해방식이다. 유식학은 인간의 다양한 심리적인 문제의 원인들을 아집과 아애로서 설명한다. 정신분석 치료에서도 환자의 중심적인 양상을 갈애, 인정욕구, 관심, 칭찬받고 싶은 욕구 등으로 설명하며 그것이 충족되지 못함으로 인해서 적개심, 죄악감, 불안감 등이 발생한다고 본다. 심리적 문제의 또 하나의 원인은 말라식의 번뇌작용이다. 말라식에는 네 가지의 근본번뇌와 여섯 가지의 번뇌 그리고 20가지의 수번뇌가 들어 있어서 끊임없이 의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번뇌의 강도는 개인의 경험에 따라 다르지만 번뇌의 유형은 누구나 지니고 있다고 본다. 따라서 심리적 문제의 해결을 번뇌의 극복으로 볼 수 있다. 육식과 말라식의 불일치도 심리적 문제의 원인이다. 의식은 대상을 인식할 때에 현량(現量), 비량(比量), 비량(非量)의 세 가지 종류가 모두 작용하지만, 말라식은 주관적으로 인식하므로 실제의 모습을 보지 못하고 착각이나 환상으로서 인식하게 된다. 즉, 비량(非量)으로서만 대상을 인식한다는 것이다. 정신분석적 입장에서 보면 의식과 무의식의 불일치이며, 치료의 목적은 무의식의 의식화로 볼 수 있다. 이밖에도 유식학은 인지의 오류가 발생하는 과정으로서 염정심을 비롯하여 수념분별, 계탁분별, 비량(比量), 비량(非量), 변계소집성, 견분, 독연경, 대질경, 등을 들고 있다. 유식상담의 목표는 전식득지로서 오염된 마음을 닦아 밝은 지혜의 마음을 구비하여 고통의 근원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이다. 당면한 문제의 해결에 그치지 않고 번뇌를 극복함으로서 근원적인 치료를 목표로 한다. 유식상담의 상담자는 유식학에 대한 사상적인 이해가 깊고 정확해야 하며, 상담자 자신이 유식 수행을 실천해야 한다. 상담의 기법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상담자 자신이 내면의 번뇌를 다스리지 못하면 상담을 진행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유식상담의 진행과정은 내담자의 근기와 심리적 문제 유형에 따라 달라지지만 대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자신을 드러내는 것이다. 내담자의 감정을 다루기 위해서 자신의 속마음을 드러나게 해야 한다. 상담자는 공감을 통해서 내담자의 문제를 구체화, 명료화한 다음에 내담자의 번뇌를 파악해야 한다. 둘째는 문제의 원인을 이해하는 것으로 인식의 오류를 깨닫는 것이다. 셋째는 지금의 자신의 모습을 살피는 것으로 지관수행을 실천한다. 넷째는 말라식에 대한 이해로서 자신의 내면을 살피는 작업을 한다. 다섯째는 근원적인 마음으로서의 아뢰야식에 대한 존재를 이해하고 역할을 살피는 것이다. 여섯째는 선한 일을 실천하고 지혜를 쌓아가는 것이다. 마지막에는 최고의 지혜인 대원경지를 향해 나아가는 것으로 이 단계는 모든 내담자에게 요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내담자가 스스로 수행을 통해 이르러야 할 궁극의 도달점이다. 일반적으로 상담의 종결은 내담자의 현실적 문제가 해결되었을 때에 하면 된다. 그러나 유식상담에서는 단순하게 문제의 해결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말라식에 내재한 근원적인 번뇌를 극복하는 것으로서 종결 이후에도 끊임없이 선행을 닦고 지혜를 쌓아가는 일을 실천해야 한다. 상담의 관계는 종결되었다 할지라도 내담자가 스스로 실천하고 수행해야 할 과정은 계속해서 이어져야 한다. 유식학을 바탕으로 해서 상담이론과 상담과정을 구성하는 것은 매우 필요한 일이며 또한 가능한 일이다. 유식학은 인간이해를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인간의 심리적 문제의 발생 원인과 극복 방법을 단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유식학에는 기존의 상담이론들이 가지고 있는 주요한 상담심리학적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인간이해의 방식이나 심리적 문제의 발생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해서도 유식학적 관점에서 대부분 설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유식학은 고정된 관점으로 인간을 이해하지 않는다. 여러 가지 관점을 통해서 인간을 이해하면서도 상호 모순이나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기존의 상담이론들이 인간 심리의 어느 한 측면에 초점을 두거나 특히 강조하면서 구안된 것이라면 유식학은 인간의 마음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유식학은 문제해결의 방식을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다. 하나의 방식을 모든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방식을 제시하면서 내담자의 근기에 따라 필요한 방식을 취하도록 한다. 유식상담자는 내담자의 근기를 파악하고 개개인에 적합한 방식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이 상담자의 능력이다. 유식상담이 기존의 여러 상담이론들과 다른 점은 내담자의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하도록 수행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시적인 문제의 해결이 아니라 번뇌를 극복함으로서 심리적인 문제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을 해소시킨다. 이는 유식상담의 목표가 기존의 상담목표보다 더 높은 곳을 지향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유식상담의 특징은 통찰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살피는 작업들을 중요시하면서도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면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훈습을 강조함으로서 구체적으로 착한 행동을 권장하고 악행을 멀리하라고 한다. 유식학은 관념적이고 논리적인 사상이면서도 특히 실천수행을 강조한다. 따라서 유식학을 바탕으로 하여 상담이론을 구성하는 일은 가능하며, 한국인의 문화와 감정 표현 양식을 반영하고 구체적인 행동의 실천과 수행 중심의 상담 모델 개발이란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의가 있다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identify how Only-consciousness explains human being's mind 2) to analyze counseling-psychological elements contained in Only-consciousness 3) to present some counseling theory obtained counseling-psychological elements of only-consciousness, and 4) to identify some possible counseling model which is adaptable in practice. The main ideas of only-consciousness and the elements of counseling psychology will be discussed to examine the purpose. The cont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studies comparing oriental and western counseling theories are examined. Second, ideas of only-consciousness and its essential contents are examined. Third, ideas of only-consciousness are studied within the framework of counseling psychology. Fourth, some applicable counseling theories are cross-examined to find out whether only-consciousness can be used as a counseling theory. Only-consciousness is an essential idea in Mahayanist Buddhism, and it clearly defines that nothing can exist without including mind. According to the theory, mind is described in eight types of consciousness; 8th consciousness, 7th consciousness, 6th consciousness, and sense of an eye, a nose, an ear, a tongue, the body. In addition, it classifies 51 kinds of mind processes. It is essential to present the ways of understanding human beings in order to seek counseling theories and methods in only-consciousness. First, only-consciousness comprehends human being within the framework of seed. Second, it defines human being as individuals who exhibit congenital differences from the birth.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re are five different types to identify people five type of human nature. Third, it emphasizes the consciousness of 'here and now'. Fourth, it understands man as the existence that realizable. Fifth, it is understanding non-self In only-consciousness, the approach toward a variety of psychological malfunction of human being is that reasons of malfunction are occurred by egotism, self-loving, 7th consciousness an affliction operation of 7th consciousness, disagreement of 7th consciousness and an error of cogni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counseling in only-consciousness is to escape from sources of suffering by purifying polluted mind and practicing to obtain wisdom. The goal is not only the solutions of the problems but the fundamental treatment by overcoming agony of mind A general process of counseling in only-consciousness is the following. First, a counselor has to show up himself or herself. It is very important to gain sympathy form a client in order to draw out clients' true feelings. Through this empathy, a counselor should identify Second, it is also important to realize the error of cognition, through the sources of suffering. Third, JiGwan practice is practiced by reflecting the presence of oneself. Fourth, it is to observe one's inside as a understanding about 7th consciousness. Fifth, it is to understands the existence about 8th consciousness as elementary a few mind, and to consider role. Sixth, it is to practice good deeds and accumulate wisdom. Finally, it is to go forward a grand state, the highest wisdom, which might not be required for all clients because it is a goal for all clients to reach out by themselves. In general, theories in only-consciousness contains a human understanding way and counseling-psychological similar to established theori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plain solutions of problems through only-consciousness. Theories in only-consciousness do not understand people with a fixed viewpoint. Even if there exist several levels of identifying people, there is no contradictory or conflict to understand people. Given the fact that established theories have been developed to focus on one specific aspect among human's psychological dimension, counseling in only-consciousness observe human being as a whole. Moreover, counseling in only-consciousness present a variety of solutions to problems according to clients' ego-strength, not applying a single solution for everyone.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counseling in only-consciousness and established theories is that it clearly presents practical methods to treat one's problems at present as well as to approach one's fundamental problems. In other words, it emphasizes the way how to deal with sources of difficulties in order to overcome, rather than presentation of temporary solution. The characteristic of counseling in only-consciousness can be defines as practical ways of reflecting one's inside. It also teaches to practice deeds but to keep sinful deeds away. Only-consciousness is not only logical and spiritual but also practical. Therefore, it is clear that it is possible to establish counselling theories based on Only-consciousness, and it is meaningful to develop counseling models for Korean people. However, this study does not include actual counseling sessions; thus, the effectiveness and possible problems are not verified. Therefore, applications in the field are strongly needed, and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theories and practical application will be modified in this study.

      • 긍정심리상담 및 치료프로그램이 대학생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박찬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기존 연구들을 통해 검증된 긍정심리상담 및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제한된 범위 내에서 확인하고 그 효과를 정신건강의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김진영, 고영건(2009)이 개발한 고대 멘탈휘트니스 긍정심리상담 및 치료프로그램이 실시되었다. 본 프로그램이 대학생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K 대학교에서 교양수업을 수강하는 일반 대학생 60명을 대상으로 일주일에 1회씩 10회기, 총 10주간 시행하여 그 변화를 살펴보았다. 전체 참가자는 전공, 학번, 성별 등을 고려하여 총 5개의 집단에 임의할당 되었으며 각 집단은 독립된 치료자가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전체 60명 중 3회 이상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9명을 제외하고 총 51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안녕감, 낙관성, 그리고 방어유형을 대학생 정신건강의 지표로 설정하였고 측정을 위해 주관적 안녕감을 측정하는 주관적 안녕감 척도(Subjective well-being), 낙관성을 측정하는 낙관성 척도(Attribution Style Questionnaire: ASQ), 방어유형을 측정하는 한국판 방어유형질문지(Korean version of Defense Style Questionnaire: K-DSQ)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로 사용하는 방어유형을 중심으로 군집분석을 통해 세 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적응집단: 건강한 심리적 특성을 지니는 집단, 부적응 집단: 부적응적 심리적 특성을 지니는 집단, 경계선 집단: 적응집단과 부적응 집단의 중간에 위치하는 집단), 분류된 집단 간 긍정심리상담 및 치료의 지표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주관적 안녕감, 낙관성의 유의한 상승이 보고되었으며 상승 정도에 대하여 앞서 분류한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개별 방어유형의 경우에도 프로그램 참가 후 유의한 변화를 보였는데 이 변화는 각각 안녕감과 낙관성의 변화량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끝으로, 이러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positive psycho-counseling and therapy on university students in a limited extend, and further to explore its effectiveness specifically in terms of their mental health. In this study, Korea University Mental Fitness Positive Psychotherapy Program(Kim, & Ko, 2009) was administrat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on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60 students taking course of liberal arts at K university, located in Seoul were recruited. They were asked to participate total 10 session, once a week. Considering differences of major, school year, and gender, purposive assignment to 5 groups were conducted. Each group program was conducted by an independent counselor. Data of 9 students who missed more than 3 session were excluded at final analysis. In this study, subjective wellbeing, optimism and defense style were set as an indicator of the students' mental health. Subjective wellbeing Scale, Attribution Style Questionnaire, and Korean version of Defense style Questionnaire were used to measure each index of mental health.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ed.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depending on the patterns of each defense style(Adaptive group: mentally healthy group, Maladaptive group: carrying psychological dysfunction characteristics, Borderline group: located in the middle of Adaptive group and Maladaptive group). Groups classified based on defense sty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itive psych-counseling and therapy indices. After participation in this program,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subjective wellbeing and optimism. This changes were in accordance with the same level in each different group. In addition,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levels of each defense style after the program participation. This chang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hanges of subjective well-being and optimism.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노동심리상담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투쟁사업장 노동자를 중심으로

        홍윤경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 문 요 약 본 연구는 노동심리상담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로 노동심리상담 영역 중 투쟁사업장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선 투쟁사업장 노동자들의 심리상담 경험을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경험의 본질을 밝히는 데 있다. 하지만 여기에 그치지 않고 노동심리상담의 특징에 대한 고찰을 병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리해고, 비정규직, 노조 탄압 등의 이유로 투쟁을 하였거나 현재 투쟁 중인 노동자 중 개인심리상담 경험이 8회기 이상인 노동자 12명을 심층 면접하여 그 내용을 지오르지(A.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4개의 구성요소와 24개의 중심의미, 61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였다. 첫째, 상담에 대한 사전 인식은 투쟁에 방해가 될 것 같다거나 두려움과 거부감을 갖는 등 부정적인 경우가 더 많았다. 둘째, 상담에 접근하게 된 계기를 보면 트라우마 등의 심리적 고통이 바탕이 되었지만, 투쟁의 주체인 노동조합의 조직적 결정, 함께 연대하고 신뢰하던 마음치유활동가의 제안, 투쟁에 도움이 되려는 마음 등 투쟁사업장 노동자이기에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더 많았다. 셋째, 이들이 경험한 상담은 우선 상담자로부터 수용과 공감을 받으니 극도로 외부로만 향하던 시선을 나의 내면으로 가지고 올 수 있었고, 그간의 힘듦을 토해냄으로 심리적 고통을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자유로움을 경험하고, 타인 이해와 타인 수용 나아가 타인 조망까지 가능해졌고, 이는 가족관계와 삶의 구체적인 영역에서 변화를 일으켰다. 또 투쟁사업장 노동자들이 느끼는 주요한 상담 경험은 상담자 요인으로, 상담자가 자신들과 비슷한 경험을 했거나 투쟁 상황을 잘 이해하고 지지하고 있는 것이 상담에 있어서 결정적인 요소가 되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이들이 상담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사전 인식과는 반대로 상담은 투쟁의 방해물이 아닌 도움이 되었다는 것인데, 이는 상담에 대한 인식변화와 기대로 이어졌다. 한편, 투쟁 상황이 변하지 않는 한 개인의 변화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등 투쟁사업장이기에 발생하는 한계들도 드러났기에 앞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다른 투쟁사업장 노동자들에게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상담을 권하고 있으며, 노동조합이 보다 우선순위를 가지고 상담사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 투쟁사업장 노동자들에게는 개인상담 뿐만 아니라 집단상담을 병행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투쟁사업장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상담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이를 통해 드러난 노동심리상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동심리상담에서 상담자는 가장 중요하고도 절대적인 요인이다. 둘째, 노동심리상담은 조직의 결정과 의뢰로 시작되고, 조직 전체에 대한 치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셋째, 노동심리상담은 일반적인 상담의 틀을 넘어서는 새로운 방식을 인정한다. 상담자가 투쟁 현장으로 찾아가거나 고공농성장에 올라가서 상담을 하는 경우도 있고, 심리상담이 조직상담을 포괄하기도 한다. 넷째, 노동심리상담은 위기상담일 가능성이 높다. 다섯째, 투쟁 상황 등 구조적인 요소가 상담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사전 우려와는 달리 노동심리상담은 투쟁에 도움이 되었다. 일곱째, 노동심리상담에는 마음치유활동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투쟁사업장 노동자들에 대한 상담이 구체적으로 어떤 경험이었지를 드러냄으로써 노동심리상담의 특징을 논할 수 있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연구대상을 투쟁사업장 노동자로 한정함으로써 노동심리상담의 많은 영역 중 일부의 모습을 드러낼 수밖에 없었다는 점, 연구 참여자 전원이 노조를 통해 상담을 했으므로 개인적으로 상담에 접근했던 이들의 경험은 포괄할 수 없었다는 점, 연구 참여자 12명 중 여성이 3명으로 다소 남성 편향된 자료일 수밖에 없었다는 점, 다양한 치유활동 영역 중 개인상담 경험만 연구했다는 점의 한계를 가진다. 앞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노동심리상담 영역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계속되어 노동심리상담 이론이 정립되고 확산되기를 바란다. 또 노동심리상담을 하는 상담자와 마음치유활동가가 늘어나서 우리 사회를 치유하기 위해 애쓰는 사람들을 위한 노동심리상담이 확대되기를 바란다. 주요 용어 : 노동심리상담, 노동자상담, 투쟁사업장, 노동자, 투쟁, 마음치유활동가, 심리상담, 심리치유, 치유상담, 치유의 경험

      •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심리상담을 받은 학령기 특수교육대상자 어머니의 경험 연구

        정은숙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심리상담을 받은 학령기 특수교육대상자 어머니의 생생한 경험을 있는 그대로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그 경험의 본질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서울특별시교육청 산하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심리상담을 10회기 이상 받은 경험이 있는 학령기 특수교육대상자 어머니 8명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7월부터 2022년 1월까지이다. 자료는 심층면접에 의해 수집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심리상담을 받은 학령기 특수교육 대상자 어머니의 경험은 ‘행복한 삶을 위해 내면의 힘을 끌어올리는 마중물’이라는 본질을 중심으로 93개의 의미단위요약, 34개의 하위구성요소, 8개의 본질적 주제로 구성되었다.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심리상담을 받은 학령기 특수교육 대상자 어머니 경험의 본질적 주제는‘가시덤불을 헤쳐가는 삶’, ‘행복한 삶을 위해 샘물을 찾아온 시간’, ‘공감 한 모금에 마음이 열리는 시공간’, ‘문제의 근간을 찾아 흔든 시간’, ‘방어기제 없는 낯선 나를 만난 시간’, ‘내면의 힘을 키우고 끌어올린 시간’, ‘내면의 힘을 삶에 적용한 시간’, ‘변화와 희망을 품고 다시 길을 나선 시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령기 특수교육대상자 어머니들이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심리상담을 받은 후의 경험을 심도 있게 탐색하여 그 경험의 의미를 이해함으로써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학령기 특수교육대상자 어머니들을 위한 전문적인 심리상담 개입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학령기 특수교육대상자 어머니의 심층적인 경험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학령기 특수교육대상자 어머니들에 대한 인식 및 제도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행복감 향상을 위한 긍정심리 적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전민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행복감 향상을 위한 긍정심리 적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실시하여 학교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행복감 향상을 위한 긍정심리 적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할 것이며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행복감 향상을 위한 긍정심리 적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J시 특성화고등학교 2학년 학생 중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24명 중 12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 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학생 12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행복감 향상을 위한 긍정심리 적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박인우(1995)의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총 11회기로 구안하여 9월 5일부터 10월 7일까지 1주에 2회 방과후 시간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는 김종백과 김태은(2008)의 학교행복 검사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Windows 12.0에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행복감 향상을 위한 긍정심리 적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교행복감의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행복감의 하위영역별 분석결과에서는 실험집단의 ‘자기효능감’, ‘학습활동의 즐거움’, ‘대인관계’ 영역에서의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한 결과 이 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행복감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생들의 긍정적인 특성들을 강화하고 강점을 계발하여 학교에서 행복한 상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긍정심리를 적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행복감 향상에 도움을 줌으로써 실제 교육현장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행복일기와 행복실천법의 효과를 검증하고 이와 관련한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행복감 향상을 위한 긍정심리 적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가 일정한 기간이 지난 후에도 지속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추수지도를 통한 효과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행복감과 높은 상관을 보이는 긍정심리 구성요소가 무엇인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 호스피스 환자를 위한 심리상담 모형개발 및 적용

        채유진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더 이상의 의료적 개입이 의미가 없기 때문에 의료진으로부터 호스피스 진단을 받은 환자에게 존엄을 유지시키며 얼마 남지 않은 삶을 마무리할 수 있는 기회제공을 위한 심리상담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따라서 호스피스 · 완화의료 분야에서 심리상담사는 다학제 팀의 구성원으로써 호스피스 환자를 위한 개발모형의 적용을 통하여 호스피스 환자 개인의 심리(정서), 사회, 영적 완화를 위한 전문적인 심리상담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연구자는 개발모형을 통해 기본 구조의 구축과 적합한 단계 및 과정의 제시를 바탕으로 심리상담 진행과정에서 각 단계에 필요한 상담 내용 구성과 프로토콜 등을 개발하여 접근의 편이성과 효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김창대 외(2002)가 제시한 프로그램 및 모형 개발을 위한 종합적 모형의 단계(1단계 목표수립, 2단계 프로그램 구성, 3단계 예비연구 및 장기적 효과제고 노력, 4단계 프로그램 실시 및 개선)를 기반으로 연구를 착수하였다. 먼저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1단계 목표수립에서 호스피스 기본 이론 및 문헌고찰을 진행하였고, 호스피스 · 완화의료 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요구조사(설문지법, 심층 인터뷰법)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법 요구조사는 호스피스 · 완화의료 종사자의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심리상담에 대한 현장 실용 가능여부의 탐색과 기본적 모형에서 필요로 하는 요소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심층 인터뷰법 요구조사는 호스피스 · 완화의료 기관 전문가를 대상으로 진행하여 개발모형을 위한 세부적 개입요소와 심층적 탐색을 파악하고 추출할 수 있도록 진행하였다. 수집된 요구조사 자료(설문지법, 심층 인터뷰법)는 정리, 분석, 추출 과정을 통하여 호스피스 환자를 위한 심리상담 개발모형에서 필요로 하는 구성요소 및 요인을 바탕으로 기본 구조를 구축하고 단계를 도식화하여 예비모형을 제시하였다. 개발 예비모형은 타당도와 신뢰도를 위해 호스피스 · 완화의료 전문가 및 심리상담 전문가 9인에게 의뢰하여 검증과 평가를 통해 수정 및 보완과정을 거친 후, 1차 최종모형과 참고 매뉴얼을 제시하였다. 1차 최종모형과 참고 매뉴얼은 예비모형과 같이 타당도와 신로도를 위해 위와 같은 관련 전문가 5인에게 의뢰하여 검증과 평가를 통해 수정 및 보완과정을 거친 후, 마지막 최종모형을 제시하였다. 개발 최종모형은 4단계의 과정 구축되었는데, 1단계는 도입단계(준비단계, 시작단계), 2단계는 전개단계(인식단계, 탐색단계), 3단계는 심층단계(심화단계, 실행단계), 4단계는 종결단계(마무리단계) 추가단계(문서작성단계)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본 개발모형은 호스피스 환자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환자의 증상, 상태, 환경 등에 따라 심리상담자는 다학제 팀과의 협의를 통해 개발모형의 단계, 회기, 시간 등을 유연하고 유동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자는 개발모형의 효과검증을 위하여 연구 참여를 희망하는 호스피스 환자를 모집한 후, 개발모형을 적용하여 질적 연구인 사례연구를 통해 개발모형에 대한 과정, 영향, 효과, 변화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연구 참여를 희망한 호스피스 환자 4인(남 3인, 여 1인)을 대상으로 환자의 증상, 상태, 환경 등을 고려한 다학제 팀(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 의사/한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자원봉사자, 종교인, 다양한 분야의 요법 전문가: 재활/물리치료, 심리상담, 음악치료, 미술치료, 원예치료 등)과의 협의결과를 통해 개발모형을 바탕으로 각 연구 참여자에게 맞는 심리상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 개인에게 맞추어진 심리상담이기 때문에 각 사례는 주제에 따라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차이점이 있지만, 사례 간 유사점으로 병원생활을 통해 되찾아가는 안정감, 투병과정에 대한 이야기, 자녀들에 대한 마음, 죽음에 대한 마음과 준비라는 주제를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들은 심리상담을 통해 자신의 미해결 문제 해결로 인해 편안한 마음을 가질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고, 죽음을 앞둔 시점에서 긍정적 대화를 이끌어준 것에 대한 고마움을 느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회상을 통해 과거의 생각 및 정리의 시간을 가지며 삶에 대한 보람과 만족감을 느꼈고 삶에 대한 여한이 없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호스피스 환자를 위한 심리상담 모형은 삶의 마지막 시간을 보내고 있는 호스피스 환자가 존엄의 유지 및 삶의 마무리와 정리 등의 기회제공 받으며 평화로운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 필요한 상담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호스피스 환자를 위한 심리상담 모형과 적용사례연구는 호스피스·완화의료 영역에서 심리상담을 진행하는 구성원들에게 활용도가 높은 도구로 작용할 것이고, 호스피스·완화의료 분야에서 심리상담 분야가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자리 잡는 데에 기여할 수 있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핵심되는 말 : 호스피스 환자, 심리상담 개발모형

      • 불성과 심리상담과의 관계성에 대한 一考察

        김은공 동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e Buddhist causality's point of view, human and environment, the nature and human are the organisms of co-existence and symbiosis. Human's selfishness tamed to sensitive desires satisfying Five aggregates ignored the truth of causality, it deepened the distance as making the tendency of cheapening life and loss of humanity. In the reality of the time when the host and guest were changed out of values about respecting human and life, we face the realistic agony, 'who am I?', 'what is the life to benefit me and others?'. In this thesis, I focused on the dynamics of Buddhadhatu latent over the Anitya for the research. It was to overcome the psychological symptoms of suffering caused by clinging to Five aggregates, the corporate body of material factors as 'I'. The argument of 'All sentient beings have Buddhadhatu. (一切衆生悉有佛性)' has the meaning of 'All people are the beings to be respected'. Generally, there are lots of tendencies to see the term of Buddhadhatu in the way of enlightenment. In this research, I demonstrated that we could recover the originally bright psychology by breaking down psychological disorders as finding out Buddhadhatu in the counsellor's point of view.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The phenomenon of suffering mind conflicts make is caused by lack of the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If accepting all the psychological acts in daily life as the work of Buddhadhatu, it is recognized by dynamic life energy. As facing the phenomenon with the insight of Prajnaparamita, we can find out the fact that the recognition on suffering is just the reflection of mind phenomenon. Prajnaparamita holds the positive act of the vow of Samantabhadra's practice. If depending on it, whoever can learn helpful psychology and set off the cognitive transmission of mind. If understanding human beings with Buddhadhatu, we can find out the effect of psychological healing as dissolving the discord mind and moreover the law of casuality of co-existing you and I. A variety of methodologies for psychotherapy in the West largely devoted to heal uneasiness minds. Positive psychology focused on the strength of human beings and concentrated on the systemic researches and studies. Especially in the recent times, the psychotherapy with the practice of the early Buddhism, e.g., Vipassana is gaining positive responses. The psychological counselling in the West raised concerns on the meditation psychological counselling by accepting a deep insight to human-beings' depth psychology of Buddhism. The role of psychology counsellor based on Buddhadhatu is to let the counsellor and the client travel for healing with a deep compassion and faith by sharing the proposition 'Human with Buddhadhatu'. It is possible to find the example of 'Human with Buddhadhatu' in the chapter of the vow of Samantabhadra's practice, the Avatamska Sutra. From homage to Buddha to transferring all the merits to others, the main content of the vow of Samantabhadra's practice is based on Buddhadhatu of Non-distinction(不二) and shows the recovering positive human nature and respecting human-beings'. The vows of Samantabhadra's practice is based on homage, gratitude, admiration, consideration, and respect. They are explained in detail to enhance the positive psychology and personal ability. Even if a single vow of ten vows is just thoroughly accomplished, it is likely to have the mind of all the vows of practice. If practicing the vow of Samantabhadra's practice based on Prajna, we can convert suffering to positive psychology accepting dynamics of Buddhadhatu. As a concern for healing scars of the client, the counsellor should admire and accept the client's latent Buddhadhatu life. Enlightenment and illusion, Buddha and sentient beings are one body and a life(同體大悲·全一生命), so clients and counsellors co-exist. When the field of buddhist psychological counselling is considered as the place of practice which lets the counsellor and the client develop their lives, the vow of Samantabhadra's practice based on the Buddhadhatu of Non-distinction(不二) can be used as a good mechanism for counselling. 불교의 연기적 관점에서 이해할 때 인간과 환경, 자연과 인간은 공존, 공생해야 하는 유기체들이다. 오온을 만족시키는 감각적 욕락에 길들여진 인간의 독선은 연기(緣起)의 진리를 간과하였고, 그로 인하여 생명경시 풍조와 인간성 상실과 인간들 사이의 괴리감은 더욱 심화되었다. 인간존중, 생명존중에 대한 가치관에서 벗어나 주객이 전도된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현실은 ‘나는 누구인가’, ‘나와 남을 이롭게 하는 삶은 어떤 것인가’라는 현실적 고뇌와 대면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물질적 요소들의 결합체인 오온을 ‘나’라는 실체로 집착함으로써 비롯되는 괴로움의 심리 증상들을 극복하기 위해, 무상 너머에 잠재되어 있는 불성의 역동성에 주목하고 연구의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일체중생실유불성(一切衆生悉有佛性)’ 즉, ‘모든 중생들에게도 부처님과 똑같은 성품이 있다’는 선언은 ‘모든 사람들은 서로가 존중 받아야 될 존재’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불성이라는 용어를 깨달음 쪽으로만 연결하려는 경향이 많다. 본 연구는 상담자적 관점에서 불성발현을 통하여 장애심리를 타파하고 본래의 밝은 심리를 회복할 수 있음을 밝혔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마음의 갈등이 빚어내는 괴로움의 현상은 인간본성에 대한 이해관이 결여된 때문이다. 일상의 심리행위 모든 것을 불성의 작용으로 이해하게 되면 불성은 역동적인 생명의 에너지로 자각된다. 반야바라밀의 지혜로 현상을 직면할 때 괴로움에 대한 지각은 단지 마음현상의 투영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반야바라밀은 보현행원의 능동적 행을 담고 있어서 이에 의지하면 누구나 유익한 심리를 훈습하여 마음의 인식전환을 촉발시키게 된다. 불성으로 인간을 이해하면 상담자와 내담자의 갈등심리가 해소되는 심리 치유의 효과와 나아가 너와 나의 공존의 연기법을 알게 한다. 서양의 심리치료가 다양한 기법으로 장애심리들을 치료하는데 공헌한 점은 크다. 긍정심리학은 인간의 강점에 주력하면서 체계적인 탐구와 연구에 전념하였다. 특히 근자에 위빠사나 등 초기불교 수행을 주제로 채택한 심리치료 기법이 호응을 얻고 있다. 서양의 심리상담은 불교의 인간의 심층심리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수용함으로써 명상심리상담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켰다. 불성에 근간한 심리상담자의 역할은 내담자와 더불어 ‘불성인간’이란 명제를 공유하여, 깊은 연민과 신뢰로써 치유를 위한 여정을 함께 하는 것이다. ‘불성인간’의 모습은 화엄경의 보현행원에서 그 사례를 찾을 수 있다. 부처님을 예경하는 것으로부터 일체공덕을 회향하는 것까지 보현행원의 핵심 내용은 불이(不二)의 불성을 근간으로 ‘긍정적 인간회복과 인간존중’의 실재를 보여 주기 때문이다. 보현행원은 예경·감사·찬탄·배려·존중 등을 바탕으로 긍정적 심리와 개인의 능력을 강화시키는데 조력할 수 있는 구체적 행으로 일관되어 있다. 이 열 가지 가운데 한 가지만 온전히 행하여도 모든 행원의 마음을 갖추게 된다. 반야지혜를 근본으로 하고 보현행원을 실천하게 되면 괴로움에 직면하였을 때, 불성의 역동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긍정적 심리정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내담자의 상처 치유에 대한 관심만큼 상담자는 내담자의 잠재된 불성생명을 적극 찬탄하고 수용해 줌으로써 가능한 일이다. 깨달음과 미혹, 부처와 중생은 한 몸이며 하나의 생명(同體大悲·全一生命)이기 때문에 내담자가 있으므로 상담자가 존재하는 것이다. 불교 심리상담의 현장이 내담자와 상담자 서로의 삶을 성숙시켜 나가는 수행의 장(場)으로 볼 때 불이의 불성에 근간한 보현행원은 상담의 좋은 기제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정재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 가설은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로 설정하였다.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발달상 특성,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과 충청북도 C시 H초등학교 6학년 117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요구조사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사전회기 1회기와 자아수용 2회기, 긍정적 대인관계 1회기, 환경에 대한 통제력 2회기, 자율성 2회기, 삶의 목적 2회기, 개인적 성장 1회기, 종결회기 1회기의 총 12회기로 구안하였다.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발달적 관점에 따른 선행연구 분석 내용과 요구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회기별 목표를 구성하였으며, 기존의 프로그램을 수집․평가하여 프로그램을 선정하고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발달적 특성에 맞게 수정․보완하였으며, 기존의 프로그램에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발달적 특성을 적절하게 반영하기 어려운 경우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잠정적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또한 전문가의 자문과 예비 집단 적용을 통해 이론적 타당성과 현장 적용 및 일반화 가능성을 확인하고 수정․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구안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충청북도 J군 S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 중 1차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 11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2차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 11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연구자가 직접 주 2회(수, 금)씩 6주에 걸쳐 실험집단에게는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해 구안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반면, 통제집단에게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만 실시하였다. 사전 및 사후 검사 도구는 Ryff(1989)가 개발한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김혜원, 김명소(2000)가 번안하여 타당도를 검증한 것을 초등학생이 이해하기 쉽도록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사전․사후 검사의 자료처리는 SPSS/Windows 12.0에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양적 분석 결과를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하위 영역별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심리적 안녕감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 영역인 자아수용, 환경에 대한 통제력,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의 4개 영역에서는 실험집단 사전․사후 검사 결과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자율성과 긍정적 대인관계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집단원들의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하여 그들의 특성과 요구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을 새롭게 개발하였으며,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정한 기준에 따라 대상의 심리적 안녕감 수준을 구분하고, 심리적 안녕감 수준에 따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에 대한 단기간의 효과만을 검증하였으므로 보다 장기적으로 계획하여 사후의 효과를 검증한다면 더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