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나라 중독의 사회경제적 비용 연구

        이은선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5

        Objective: The socioeconomic costs of poisoning in South Korea was determined through analyse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and gender, and the socioeconomic costs of poisoning caused by primary poisonous substances. Method: Routine examination data among the National Patient Samples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in 2010 and 2011 classified as poisoning (T36.0-T65.9) and statistics data regarding causes of death from Statistics Korea were selected as the preliminary data. 9,048 patients (4,644 patients in 2010 and 4,404 patients in 2011) who had routine examination health insurance records with poisoning as the principal diagnosis, and 10,022 casualties (4,932 casualties in 2010 and 5,090 casualties in 2011) with poisoning as the immediate cause of death from January 1, 2010 to December 31, 2011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study. The socioeconomic costs were estimated by totalling direct medical costs required for treatment of poisoning, non-direct medical costs including transportation costs and caregiver's cost, and lost productivity costs occurred during the duration of illness and premature death. Result: The economic burden from poisoning and subsequent death in South Korea was approximately KRW 768.5 billion in 2010 and approximately KRW 921.7 billion in 2011, totalling KRW 1690.3 billion for two years. Among the total socioeconomic cost, 90% of total burden was attributed to indirect costs, consisting of lost productivity costs and premature death costs. Further, the mortality cost from intentional poisoning with the purpose of suicide was KRW 611.9 billion(79.6%) in 2010 and KRW 775.5 billion(84.1%) in 2011, incurring high socioeconomic costs. The socioeconomic costs attributed to ten primary poisonous substances including some pharmaceuticals, pesticides, and carbon monoxide was KRW 720.6 billion in 2010 and KRW 863 billion in 2011, accounting for 93.8% and 93.6% of total socioeconomic costs of its respective years.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a significant amount of socioeconomic costs occurred due to poisoning from specific poisonous substances or for the purpose of suicide. It is urgent to carry out active preventive measures and institutional management of poisonous substances in order to reduce the case fatality rate due to poisoning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ationally operated poisoning management center and find measures to reduce socioeconomic costs from poisoning accidents. 목적: 연령, 성별 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주요 중독 원인물질 및 중독사망의 의도성 여부에 따른 사회경제적 비용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중독의 사회경제적 비용을 파악하였다. 방법: 2010년과 2011년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환자표본자료 중 중독(T36.0 -T65.9)으로 분류된 건강보험 청구자료와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자료 등을 기초자료를 하였다. 2010년 1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중독을 주상병명으로 하여 건강보험 수진기록이 있는 환자 9,048명(2010년 4,644명, 2011년 4,404명)과 사망의 직접원인이 중독인 사망자 10,022명(2010년 4,932명, 2011년 5,090명)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중독치료에 소요된 직접의료비, 교통비 및 간병비에 해당하는 직접비의료비, 작업손실비와 조기사망비인 생산성 손실비용의 총합인 간접비로 구성된 중독의 사회경제적 비용을 추계하였다. 결과: 중독으로 인한 우리나라의 사회경제적 비용은 2010년 약 7,685억 원, 2011년 약 9,217억 원으로 2년 동안 약 1조 6,903억 원 규모의 사회경제적비용이 발생하였다. 전체 사회경제적 비용 중 작업손실비와 조기사망비로 구성된 간접비가 전체 부담의 90%를 웃도는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자살을 목적으로 한 의도적 중독의 사망 비용이 2010년 6,119억 원(79.6%), 2011년 7,755억 원(84.1%)으로 높은 사회경제적 비용을 초래하고 있었다. 또한 일부 의약품 및 살충제, 일산화탄소 등을 포함한 주요 중독원인물질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2010년 7,206억 원, 2011년 8,630억 원으로 해당 년도 전체 중독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의 각각 93.8%, 93.6%에 해당하는 비용이었다. 결론: 특정 주요 중독원인물질이나 자살을 목적으로 한 중독으로 인해 막대한 규모의 사회경제적 비용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독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감소하기 위해 적극적인 예방 및 중독물질에 대한 제도적 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위해 국가 차원의 중독관리센터를 설립하여 중독사고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감소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할 것 이다.

      • 한국에서의 알레르기성 비염의 질병부담 비용 측정

        김소영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78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입원 외래 방문으로 치료 받은 환자들의 1년간 직접비용과 간접비용을 측정하여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인한 질병부담 비용을 측정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2007년 단면시점에서 건강보험공단에 주상병코드 J30 code로 보험청구가 발생한 알레르기성 비염환자를 대상으로 외래진료비와 입원진료비, 비급여 진료비(not-covered cost), 약국처방조제비 (Pharmacy cost), 일반의약품 구매비 (OTC cost)를 포함하는 직접의료비 (direct medical care costs)를 추계하였다. 또한 외래나 입원 방문에 소요된 교통비와 입원 간병비가 포함된 직접비의료비(direct non-medical care costs)를 추계하여 직접비용 항목으로 직접의료비와 직접비의료비를 구하였다. 또한 간접비용 항목으로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인한 외래방문, 혹은 입원 진료에 의한 생산성손실 (Lost productivity)계산하여 총 질병비염 부담으로 추계하였다. 연구결과 : 비용추계에 앞서 알레르기성 비염의 2007년 단면시점에서 유병률을 살펴보면 남자의 경우 약 8%, 여자의 경우 10%의 유병률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15세 이하의 소아에 있어서는 알레르기성 비염이 약 9%∼18%로 높게 나타났다. 직접비용 항목 중 직접의료비는 총 2,412억 규모로 나타났으며 이중 건강보험급여가 844억 규모이고 본인부담금이 410억, 비급여 부분이 148억으로 집계되었다. 약국처방조제비는 916억으로 추계되었으며 일반의약품비는 95억 규모이었다. 직접비의료비 항목인 교통비는 142억, 입원진료로 인한 간병비는 35억 규모로 계산되었다. 간접비용인 생산성손실 항목은 566억으로 계산되었다. 결과적으로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인한 총 질병부담금은 3,139억 규모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인 2005년 암의 경제적 비용부담 추계의 연구 결과와 비교해 볼 때 주요 6대 암중 자궁경부암의 경제적 비용인 3,700여억원과 유사한 경제적 비용이 발생되는 것으로 추계되었다. 1인당 질병부담 비용으로 산정해 보면, 입원환자의 경우 1인당 총 69,900원 외래이용환자의 경우 1인당 총 1,437,451원으로 계산되었다. 총 질병부담비용 중에는 약국처방조제비가 3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건강보험급여비용이 28%, 생산성손실이 19% 순으로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건강보험공단에서 발표하고 있는 다빈도 상병 급여 현황에서 급여 순위가 10위이며 환자수가 430만명으로 추산되는 만성 질환인 알레르기성 비염의 사회 경제적 질병부담 비용이 3,000억이 넘는 규모로 측정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치료와 예방을 위한 환경조절 즉, 집먼지 진드기의 퇴치와 항균 제품의 구매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적 비용과, 한방치료 비용, 면역요법 등을 위한 치료비용 등은 연구의 계산에서 포함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인한 숙면의 방해 그로 인한 낮활동의 방해 등의 생산성 손실 부분은 객관적인 자료의 부족으로 질병부담비용에 추계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인해 상당히 큰 보건의료비가 지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의료 정책의 수립과 의료자원의 배분 등의 정책의 우선 순위를 결정함에 있어서 기초 자료나 근거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주제어 : 알레르기성 비염, 경제적부담, 사회경제적 비용 The Economic Burden of Allergic Rhinitis in Korea Department of Public Health Policy and Hospital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University (Supervising Professor: Yoon, Seok-Jun ) Kim, So Young Background: Allergic rhinitis is the most prevalent allergic disease and a number of recent studies have shown the high prevalence and high cost of this disease all over the world. However, there is no study for the economic burden of allergic rhinitis in Korea, even though it is ranked 10th for reimbursement from the insurer's and societal perspective. Objective: This study estimated the healthcare utilization and costs of allergic rhiniths in Korea. Methods: This study extracted the insurance claims record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base for determining the health care services provided to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in 2007. The total AR related cost was the sum of the direct medical care costs: the costs paid by insurers and patients, the not-coved care costs, the prescribed pharma costs and the over the count pharmacy costs, and also the direct non-medical care costs: the transportation costs for visits in outpatients and inpatients and the guardian's cost for hospitalized patients, as well as the indirect cost : the lost productivity. Result: A total of 4,068,517 people were identified as having allergic rhihitis, yielding a prevalence of 8~10%. The prevalence for children under 15 years of was 9~18% higher than the prevalence for adults. The total direct medical care costs were 241.2 billion won, the transportation costs were 14.2 billion won and the guardian's cost were 3.5 billion won. The lost productivity was estimated to be 56.6 billion won. Therefore, the economic burden of allergic rhinitis could be 313.9 billion won, with this amount being similar to that of cervical cancer, 370 billion won. Conclusion: Allergic rhinitis was a very frequent disease with doctor's prescription benefits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2007. The economic burden has been estimated to be almost 300 billion won. However, this study excluded other societal burdens such as disordered sleep and daily activities, alternative medicine costs, environment control costs, immunity medication costs etc. If those costs are included in the economic burden of allergic rhinits, then the total cost will be much higher. Further study on this subject is recommended. Key words: Allergic rhinitis, Economic burden, socioeconomic costs, medical expense

      • 一部 農村地域 在家老人의 落傷發生率과 社會經濟的 費用推計

        이상곤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9678

        Background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incidence and socioeconomic cost estimation of fall injury in rural elderly. Methods :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based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to 2,295 elderly people living in rural communities(1 Myoen and 1 Eup of Gyoengnam) who are 65 year old or older, during period of February 1, 2010 and March 31, 2010. The socioeconomic costs due to falls of elderly in 2009 was estimated by direct costs and indirect costs. The direct costs included medical costs of both items which are health insurance covered and non-covered amount. The indirect costs included nursing costs, diaper costs, transportation costs, health function food costs, medical assistance device costs, and productivity loss costs. Results : Among 2,295 subjects in this study group, 735 subjects(32.0%) experienced fall injury during last one year. The direct costs due to fall injury turned out 596,466,000won(56.6%). Indirect cost was 458,081,000won(43.4%). Among indirect cost, the productivity loss costs was 274,993,000won, health function food purchase cost was 65,531,100won, nursing costs was 48,755,000won, and transportation costs was 43,122,000won. Total socioeconomic costs of the study subjects by falls yielded to 1,054,547,000won in direct and indirect costs. Socioeconomic costs was 459,500won per study subject based on 2,295 total study subjects and 1,435,000won per elderly experienced fall injury among 735 elderlies with fall injury. Conclusions : When above calculated socioeconomic costs of 2,295 subjects are applied to 1,067,262 Korean rural elderly population in 2009, the socioeconomic costs owing to fall injury can be estimated as much as 343,614,988,000won. In future, socioeconomic costs due to injury such as falls expected to be increased as number of elderly increase. Therefore, injury prevention program and study for socioeconomic costs reduction of elderly is needed.

      • 음주의 경제사회적 비용 추계

        전현준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3310

        최근 지속적인 알코올 소비량 증가와 이에 따른 폐해가 중요한 보건·사회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적정한 관련정책 마련의 근거자료로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음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추계에 관한 연구가 시급히 요구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가용자료를 중심으로 음주와 관련한 질병치료를 위한 의료비, 생산성 감소의 손실, 조기사망으로 인한 생산인력 손실, 재산피해, 각종 행정비용, 주류소비 지출에 대한 비용부분과 적정음주를 통한 편익부분으로 항목을 구분하였으며, 추계과정에서 적용한 Single(1999) 및 English(1995)의 음주원인 기여비율에 따라 음주의 경제사회적 비용을 제시하였다. 또한 추계과정에서 적용한 중요지표에 따라 손실규모가 과소.과대 평가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생산성 저하율, 할인율, 간접의료비 비율, 음주관련 산재보험비율에 대해서 민감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Single(1999)의 음주원인 기여비율을 적용한 추계에서는 음주로 인한 경제사회적 비용 총액은 14조 4,874억원으로 GDP 대비 2.78%에 이르며, 질병 및 과도한 음주로 인한 생산성 감소의 손실이 5조 9,722억원으로 전체비용의 41.22%로 가장 큰 손실을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질병과 사고로 인한 조기사망의 손실이 4조 2,868억원(29.59%), 주류소비 지출이 3조 37억원(20.73%), 질병치료를 위한 의료비가 9,267억원(6.40%), 교통사고 및 화재사고로 인한 재산피해액이 2,736억원(1.89%), 자동차보험 및 경찰행정비용이 244억원(0.17%) 순으로 나타났다. English(1995)의 음주원인 기여비율을 적용한 추계에서는 음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총액은 15조 1,286억원으로 GDP 대비 2.9%에 이르며, 질병 및 과도한 음주로 인한 생산성 감소의 손실이 6조 489억원으로 전체비용의 39.9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질병과 사고로 인한 조기사망의 손실이 4조 7,695억원(31.53%), 주류소비 지출이 3조 37억원(19.85%), 질병치료를 위한 의료비가 9,936억원(6.57%), 교통사고 및 화재사고로 인한 재산피해액이 2,885억원(1.91%), 자동차보험 및 경찰행정비용이 244억원(0.16%) 순으로 나타났다. 민감도 분석에서는 조기사망으로 인한 생산인력 손실분의 할인율 3%∼7%에 따라 전체 비용이 최소 13조 2,427억원에서 최대 17조 4,976억원으로 변동분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외 자료분석을 통해 다양한 음주원인 기여비율 및 가장 최근의 자료를 이용하여 손실규모를 산출하였으나 국내 음주 소비행태를 반영한 관련자료가 매우 제한적인 실정이었으므로 보다 정확한 추계를 위해서는 알코올 소비와 음주관련 폐해를 정기적으로 측정하는 체계가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With the current increase in alcohol consumption, and its abuse, it is becoming a serious health and social problem. Therefore, there is a demand on studies about the estimation of social economic cost, due to alcohol intake, as well-founded data of planning an appropriate relevant policy. In this study, focusing on the available data, a category was classified on benefit through appropriate alcohol drinking and cost on the expenses of lost productivity due to premature mortality, lower productivity, damage in property, various administration cost, alcohol consumption and medical care cost due to alcohol drinking. And the social economic cost of alcohol drinking was presented according to the alcohol aetiological fraction of Single (1999) and English (1995), applied in the estimation process. In addition, as there is a possibility of the scale of lose to be evaluated to be too little or exaggerated according to the important index applied in the estimation proces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ensitivity on-the-job reduction in productivity rate, discount rate, indirect medical cost rate, workmen's accident insurance cost rate related to alcohol drinking.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estimation process with the application of alcohol aetiological fraction of Single (1999), the total social economic cost due to alcohol drinking was 14 trillion 487.4 billion won- 2.78% of GDP- and the reduction and loss of production due to disease and excessive alcohol drinking was 5 trillion 972.2 billion won, the greatest loss with 41.22% of the total cost. In addition, the lost productivity by premature death due to accidents and diseases was 4 trillion 286.8 billion won (29.59%); expenses for alcohol consumption was 3 trillion 3.7 billion won (20.73%); medical cost to treat diseases was 926.7 billion won (6.40%); damage in property due to traffic accidents and fire was 273.6 billion won (1.89%); and the car insurance and police administration cost was 24.4 billion won (0.17%), in order. In the estimation process with the application of alcohol aetiological fraction of English (1995), the total social economic cost due to alcohol drinking was 15 trillion 128.6 billion won- 2.9% of GDP- the loss in the reduction of production due to diseases and excessive drinking was 6 trillion and 48.9 billion won, the greatest scale with 39.98% of the total cost. In addition, the lost productivity by premature death due to accidents and diseases was 4 trillion 769.5 billion won (31.53%); expenses for alcohol consumption was 3 trillion 3.7 billion won (19.85%); medical cost to treat diseases was 993.6 billion won (6.57%); damage in property due to traffic accidents and fire was 288.5 (1.91%); and the car insurance and police administration cost was 24.4 billion won (0.16%), in order. In the analysis of sensitivity, there was the greatest amount of fluctuation-from the minimum of 13 trillion 242.7 billion won to the maximum of 17 trillion 497.6 billion won- according to the discount rate of 3%∼7% of lost productivity due to premature death. In this study, the contribution ratio of various alcohol aetiological fraction was calculated through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data, and the scale of loss was calculated using the most recent data. However, as the domestic relevant data that reflects the types of alcohol consumption is very limited, a system that regularly measures the abuses relevant to alcohol consumption and alcohol abuse should be provided, for more precise estimation.

      • 작업장내 화학물질 관리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비용편익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오성업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295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산업안전보건법상 화학물질 관리 법안에 근거하여 화학물질의 규제기준치 변경에 따른 비용편익 분석과 관리수준의 변경에 따른 비용편익 분석을 통해 경제적 부담 및 사회적 편익에 대한 타당성 및 적합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규제 기준치 변경 대상물질은 벤젠, 트리클로로에틸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관리수준 변경 대상 물질은 1,2-디클로로프로판과 인듐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관리수준 변경은 두 가지 시나리오로 분류(노출기준 설정물질 → 특례를 받는 관리대상 유해물질, 특례를 받지 않은 관리대상 유해물질)하여 측정하였다. 규제기준치 변경의 경우 기존 사업장에 발생되던 비용에서 증가하는 것이므로 공학적 대책인 국소배기관련 장치 비용과 기준치 초과 근로자 비율, 초과시 과태료 등을 비용항목으로 산출하였다. 관리수준 변경에 따른 비용 측정은 국소배기관련 비용, 밀폐설비 관련 비용, 보호구 관련 비용, 화학물질 관리 비용,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작성비용, 특별안전보건교육 비용, 작업환경측정비용, 특수건강진단 비용 등 총 8가지 항목을 통해 경제적 부담을 산출하였다. 편익의 경우 직업병 감소효과와 화재/폭발/누출 감소 효과를 대상으로 델파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규제기준치 및 관리수준 변경으로 인한 사회적 편익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규제기준치 변경에 따른 총 비용 측정결과 벤젠 현행기준이 0원(10년, 20년, 30년), 개정기준이 14,312,854,804원(10년), 22,686,183,379원(20년), 27,588,185,978원(30년) 으로 나타났으며, 트리클로로에틸렌은 현행기준이 756,337,307원(10년), 1,193,265,990원(20년), 1,449,057,401원(30년)이며 개정기준은 25,758,637,103원(10년), 40,832,676,641원(20년), 49,657,480,343원(30년)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총편익 산출결과 벤젠이 44,947,061,592원(10년), 71,260,445,903원(20년), 86,665,105,726원(30년)이고 트리클로로에틸렌은 58,575,632,690원(10년), 92,867,599,277원(20년), 112,943,165,145원(30년)으로 측정되었다. 인듐과 1,2-디클로로프로판의 관리수준 변경에 대한 총비용 산출결과 특례시 10년 기준 393,198,932원, 20년 기준 623,232,609원, 30년 기준 757,901,358원이고 미특례는 10년 기준 10,707,785,385원, 20년 기준 16,356,771,675원, 30년 기준 19,663,860,992원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총편익은 1,2-디클로로프로판이 61,029,116,557원(10년), 96,757,427,624원(20년), 117,673,873,475원(30년), 인듐이 62,065,297,243원(10년), 98,400,220,170원(20년), 119,671,795,152원(30년) 으로 각각 산출되었다. 결 론 규제기준치 변경에 따른 벤젠의 순편익은 현행기준일 때 44,947,061,592원(10년), 71,260,445,903원(20년), 86,665,105,726원(30년) 이고 개정기준은 30,634,206,788원(10년), 48,574,262,524원(20년), 59,076,919,748원(30년) 으로 나타났다. 트리클로로에틸렌은 현행기준일 때 순편익이 57,819,295,383원(10년), 91,674,333,287원(20년), 111,494,107,744원(30년)이고 개정기준은 32,816,995,587원(10년), 52,034,922,636원(20년), 63,285,684,802원(30년) 으로 각각 나타났다. 관리수준 변경에 따른 1,2-디클로로프로판의 순 편익은 미특례시 50,321,331,172원(10년), 80,400,655,949원(20년), 98,010,012,483원(30년), 특례시 60,635,917,625원(10년), 96,134,195,015원(20년), 116,915,972,117원(30년) 으로 나타났다. 인듐의 경우 미특례시 순편익이 51,357,511,858원(10년), 82,043,448,495원(20년), 100,007,934,160원(30년)이며 특례시는 61,672,098,311원(10년), 97,776,987,561원(20년), 118,913,893,794원(30년) 으로 분석되었다. 본 평가 결과에 근거하였을 때 대상물질의 규제 기준치 및 관리수준 변경에 따른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충분히 수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알코올 중독 관련 주종 및 주종별 알코올의 사회경제적 비용 추계

        신성식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3292

        음주인구의 비율이 매년 높아지고 있다. 알코올로 인한 폐해도 크지고 있다. 음주로 인한 대표적인 폐해가 알코올 중독자이다. 현재 알코올 중독에 관한 정확한 통계가 없다. 정부에서 350만명 정도로 추정해 사용할 뿐이다. 알코올 중독을 야기하는 술이 어떤 것인지, 어떤 술이 알코올의 사회 경제적 비용을 많이 발생시켰는지 조사한 적이 없다.$$a$$a알코올 중독자 600명을 설문조사해 중독을 야기한 술이 어떤 것인지를 조사했다. 국세청과 관세청의 자료를 활용해 2003년 국내 주류 공급량과 순수 알코올 공급량, 주종별 순수 알코올 공급량의 비율을 산출했다.$$a$$a그 결과 알코올 중독자의 85.9%가 치료 서비스를 받기 한 달 전에 가장 많이 마신 술로 소주를 꼽았다. 맥주는 6.6%에 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탁주, 양주 등이었다.$$a$$a알코올 중독자들의 44%는 소주를 많이 마시는 이유로 값이 싸고 빨리 취해서라고 답했다. 입맛에 맞아서 소주를 마신다는 사람도 35.1% 였다. 구하기가 쉬워서라고 답한 사람은 7.1%, 주변에서 많이 마시기 때문이라고 답한 사람은 6.2% 였다.$$a$$a소주를 마시다 알코올 중독자가 된 사람 중 42.7%가 월소득이 100만원을 밑돌았다. 101만~200만원인 사람은 33.4% 였다.$$a$$a2003년 기준으로 주종 별 순수 알코올 공급량을 조사했다. 이를 산출하기 위해 먼저 주종별 알코올 공급량부터 조사했다. 2003년 국내에서 생산됐거나 수입된 알코올은 314만㎘로 맥주가 60.9%, 소주가 29.6%, 탁주와 약주가 6.02%, 위스키 1.2% 였다.$$a$$a술에 들어있는 알코올 함유량(맥주 4도, 소주 22도)을 뽑은 게 순수 알코올 공급량이다. 2003년 순수 알코올 공급량은 2537만6978㎏이다. 주종 별로는 소주가 63.6%로 가장 많다. 다음으로 맥주가 23.8%, 위스키 4.8%, 탁주와 약주 4.1%, 청주 1.2% 등이다.$$a$$a연세대 보건대학원 이락현이 산출한 2003년 알코올의 사회 경제적 비용은 24조2719억원이다.$$a$$a순수 알코올 공급량의 주종 별 비율에 따라 알코올의 사회 경제적 비용을 나눠 주종별 비용을 구했다. 소주가 15조4345억원, 맥주가 5조7840억원, 위스키가 1조1724억원 등이었다.$$a$$a소주가 알코올의 사회 경제적 비용의 대부분을 야기하는데도 우리나라의 소주 주세는 맥주보다 18% 포인트 낮게 책정돼 있다. 소주는 주로 소득이 낮은 계층이 많이 마시기 때문에 값을 올릴 경우 소비를 줄일 수 있다.$$a$$a정부는 2005년 중순 소주세를 인상하려다 서민에게 부담을 준다는 반대에 부닥쳐 인상 방침을 철회한 적이 있다. 이번 연구는 소주 세율을 올리면 서민에게 경제적 부담을 줄 수도 있지만 낮은 가격 때문에 서민들이 알코올 중독과 같은 사회 경제적 폐해를 더 본다는 점을 밝혀냈다.$$a$$a Drinking population is growing every year. Ill effects due to alcohol is also increasing. The major ill effect caused by drinking is cultivating alcoholics. There is no concret statistics on alcoholics. Korean government suggests an estimated number of 3,000,000. There has never been any study on the types of alcohol that cultivate alcoholics or on the kinds of alcohol that costs socioeconomic expenses.$$a$$aThis thesis analyses the socioeconomic expenses of alcohol in detail and depth. The result is that 85.9% of alcoholics ranked soju as the main type of alcohol they had drunk the most, a month before their medical treatment. Beer was counted by only 6.6% of alcoholics. Makkolli and whiskey came next. Asked why they drank soju the most, 44% of alcoholics replied that is was cheap and it made them get drunk faster. 35.1% of alcoholics answered that they preferred the taste. 5.8% answered it was easy to buy and 5.1% pointed out it was commonly drank by others.$$a$$a42.7% of alcoholics who preferred soju had monthly income of less than 1,000,000 won. Only 33.4% earned between 1,010,000~2,000,000 won. It could be easily understood that soju is the principle factor leading to alcoholics and the main reason for its popularity is the low price.$$a$$aPure amount of alcohol supply by types of alcoholic beverages as of 2003 had been examined. First, amount of alcohol supply of different types of alcoholic beverages was calculated. Total amount of alcoholic beverages manufactured or imported in 2003 was 3,140,000㎘: beer accounted for 60.9%, soju 29.6%, makkolli and clear strained rice wine 6.02% and whiskey 1.2%.$$a$$aPure amount of alcohol supply is drawn from alcohol content in alcoholic beverages: beer 4% and soju 22%. Pure amount of alcohol supply in 2003 was 25,376,978㎏. By types of alcoholic beverages, soju had the largest portion, which accounted for 63.6%. Beer 23.8%, whiskey 4.8%, makkolli and rice wine 4.1% and clear strained rice wine 1.2% followed.$$a$$aLee Lak-Hyun of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Health calculated that socioeconomic expenses in 2003 amounted to 24 trilllion won.$$a$$aSocioeconomic expenses of types of alcohol can be derived from dividing socioeconomic expenses by the portion of pure amount of alcohol supply of different types of alcoholic beverages. Soju accounts for 15.4 trillion, beer 5.78 trillion, whiskey 1.17 trillion won.$$a$$aLiquor tax of soju is allotted 18% point less than beer although soju arouses most of the socioeconomic expenses of alcohol. Consumption of soju could be reduced by raising price since soju is usually drunk by the low-income bracket.$$a$$aIn mid 2005 Korea government planned to raise tax on soju, but the policy had failed and withdrawn due to opposition that it would give burden on the common people. This thesis made clear that raising soju tax might put economic burden on the populace but at the same time the low price of soju could lead to more socioeconomi ill effects such as cultivating alcoholics$$a$$a

      • 재난위험 피해의 경제적 손실과 보험기능 도입 및 활성화 방안

        윤장근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3279

        오늘날 경제 규모가 발전함에 따라 그와 비례적으로 재난의 발생 형태와 규모가 과거에는 볼 수 없었던 양상으로 커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최근 5개년을 평균한 결과 재난 피해는 매년 30만 건의 사고로 재산 피해 7천억 원, 인명 피해 40만 명이 나타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재난 사고의 발생과 경제적 손실은 계속하여 증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재난 위험으로 인한 피해의 증가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해야 할 임무를 가지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국가적으로도 경제적 복구비용과 사회적 안정에 대한 역할에도 부담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재난 피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고 사회적 안정에 대한 보험제도 측면에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하지만 기존에도 재난 위험에 대한 보험 제도화의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그 논의의 범위가 제한적이어서 종합적이고 구체적이지 못한 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재난 위험 보험제도 연구와는 달리 재난의 개념에서부터 경제적 손실 규모, 사고사례 분석, 재난 위험 관련 보험체계 및 개선방안까지 종합적으로 연구하였다. 특히 기존에 시행되고 있는 의무 보험제도의 개선하고 재난 보험제도를 도입하여 재난위험에 대한 보험기능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재난 보험제도는 몇 가지 선결 과제 때문에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지만 반드시 도입되어야 할 제도이다. 재난 보험제도가 정착되면 사회적 불합리성을 시정하고, 피해자에게는 경제적 피해의 복구효과를 가져오며, 정부는 예산의 건전성을 확보하여 국가 재정 부담을 경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민간 재난 시설 소유관리자에 대한 재난관리 인식제고는 물론, 보험회사 및 유관 기관의 사고 예방 기능 확대 효과와 재난 관리의 일정 부문을 보험기관이 맡는 부수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제도의 도입시행과 안정적 정착화를 위해서는 정부, 보험회사 및 기타 유관기관 들의 밀접한 협력체제 구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Influence of osteoporosis following spine surgery on reoperation, readmission, and economic costs : an 8-year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in Korea

        이창규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0 국내박사

        RANK : 233259

        With the rising incidences of degenerative spine diseases and osteoporosis among the aging population, concerns about spine surgery for older patients with osteoporosis have multiplied. Osteoporosis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ate of fracture, nonunion, and instrumentation failure resulting from decreased bone mineral density (BMD). It is exceedingly important to prevent these complications that can lead to increased morbidity and mortality in patient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valence of osteoporosis and risk factors, medical costs, reoperation, and readmission in patients who have undergone spine surgery, thus attempting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steoporosis using a large national sample. Data for this study were drawn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KNHIS) database, which contained data on 1 million nationals who were randomly recruited and nationally represented the entire Korean population. Patients who underwent spine surgery with thoracic or lumbar spine diseases and who were over 50 years between 2005 and 2008 were selected from the KNHIS database for the analysis. The weighting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on the entire Korean population that underwent spine surgery during the sample period. From this, 147,676 patient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Osteoporosis and non-Osteoporosis) and their progress was followed for 5-8 years. Based on the linear regression and multiple Cox regression analyses, in the postoperative 3 months, 12 months, and the whole follow-up period, respectively, patients with osteoporosi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rate of readmission with or without spine-related issues. (all readmission; OR, 1.16, 1.20, and 1.46, respectively; p<0.001) (spine disease related readmission; OR, 1.07, 1.08, and 1.26, respectively; p<0.001) Osteoporosi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nger hospital stays and increased medical costs regardless of the cause of spine disease. In spine related readmission, there was a 62-day difference in hospitalization time and a 2,327,262 KRW difference in medical costs between the osteoporosis(OsP) group and the non-osteoporosis group. Total medical costs of the OsP group were more than that of the non-OsP group by 800 billion KRW (about $800 million), and 310 billion KRW (about $310 million) in spine disease related cases. Osteoporosis increased the risk of reoperation in spine surgery, particularly fusion surgery. Moderate to severe osteoporosi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reoperation rate, especially in first 3 years. Among osteoporosis patients, taking anti-osteoporotic medication decreased reoperation rate by 5%. Osteoporosi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admission, hospitalization, and medical costs during the 5-8 years follow-up. It also increased the risk of reoperation in patients who underwent spine surgery, particularly fusion surgery. Severity of osteoporosis and use of anti-osteoporotic medication was associated with lowering the reoperation risk for the first 2-3 years. Therefore, proper management of osteoporosis is essential if considering spine surgery, particularly fusion surgery. Moreover, reducing the socioeconomic burden of such patients must be considered to provide greater relief.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퇴행성 척추 질환과 골다공증의 빈도는 증가하 고 있고, 이에 따라 골다공증을 가진 고령환자들의 척추 수술에 대한 관심과 걱정도 같이 증가한다. 골다공증은 골감소증으로 인해 골절의 위험성 뿐만 아니라 척추 수술로 인한 불유합과 고정 실패 등을 초래 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이병률과 사망률을 증가시킬수 있는 이러 한 합병증을 줄이는 것은 굉장히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척추 수술 받은 환자들에서 골다공증의 빈도와 위험요소, 의료비용, 재수술, 재 입원 등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빅데이터로 조사하였다. 국 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고, 이는 국민 전체수의 100 만명 코호트 자료이다. 2005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50세 이상 흉,요 추 척추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를 통계청자료를 이 용하여 가중치를 부여해 전체 인구를 추정하는 방식으로 자료를 얻었 다. 전체 147,676명이 추정되었고, 이를 골다공증이 있는 군과 골다 공증이 없는 군으로 나누어 최소 5년에서 8년까지 추적 관찰하였다. 그 결과, 골다공증은 전체 재입원과 척추 관련 재입원 모두에서 재입 원율을 의미있게 높였고, 기간에 따라서도 3개월, 12개월, 전 기간으 로 봤을때, 위험도가 의미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골다공증 은 전체 입원 일수와 의료비용에도 영향을 주었는데, 골다공증이 있 는 군에서 없는 군에 비해 입원일수는 평균 62일 정도 길었고, 의료 비용은 개인당 2,327,262원 정도 더 들었다. 총 의료비용은 골다공증 군에서 없는 군보다 8000억원 (전체 관련), 3100억원 (척추 관련)의 비용이 더 드는 것으로 파악했다. 골다공증은 재수술에서도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척추 유합술에서 두드러졌다. 골다공증의 심한 정도에 따라서도 골다공증이 중간 단계이상으로 심한 군에서 약한 군보다 첫 3년이내에 재수술률이 더 높았다. 골다공증 환자에서 골다공증 진단 은 받았으나 약은 복용하고 있지 않는 환자들이 꽤 많았고, 수술전 골다공증약을 복용하고 있던 군과 복용하고 있지 않던 골다공증환자 들을 비교하였을때, 골다공증 약을 복용하고 있던 군에서 5%정도 재 수술율이 낮았다.이처럼 골다공증은 5-8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재입 원률과 입원 일수, 의료비용에서는 의미있게 차이를 보였으며, 재수술 율은 척추 유합술에서 높았고, 골다공증이 심한 환자에서 3년이내, 골 다공증 약을 복용하고 있지 않는 환자에서 조금 더 유의하게 높은 것 으로 확인했다. 따라서 50세 이상 환자에서 척추 수술을 고려한다면, 골다공증을 적절하게 치료하고 예방하는 것이 환자의 만족도와 사회 경제적 비용을 줄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특히 척추 유합술시에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 연 구는 한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현재 늘어나는 척추 수술과 골다공증 에 대한 국내외 첫 연구이며, 보건 의료 정책 결정에 참고할 수 있는 연구라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