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시학습체제에서의 사이버교육요인이 공무원 사이버교육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박명규 부경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As extending necessity and demand of training with cyber education by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trend is gradually expanding cyber education is for educational training for local public service employee. And interest and demand about cyber education are increasing by the educational training environment of officials is changing by building of the always learning system. The necessity of systematic study is presented to continue quantity expansion to achievement of goal of educational training and preference for self-development. In this research, I studied primary factors of cyber education based on preexisting research and demonstration research about cyber education and deducted always learning system, system factor of learning, as new factor. I tried to examine whether recognition about always learning system and support factors of always learning affect to affinity of cyber education, whether learning factors and interaction affect to affinity of cyber education and whether factors of learners of cyber education affect to affinity of cyber education to persons who finished cyber education of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ials Training Institute. I distributed 422 of questionnaires for data acquisition and used 361 of them for the final analysis. I conducted characterization,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research subject by SPSS 12.0 statistic package. And I inspected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by AMOS 4.0 statistic package. The summary of result of research are as below. The first, learning factors, recognition of always learning system and support factors of always learning affect to factors of learners, but interaction don’t affect to it. The second, learning factors, interaction, recognition of always learning system affect to affinity of cyber education meaningfully, but support factors of always learning don’t affect to it. The third, factor of learners affect to affinity of cyber education meaningfully. I expect that these results can provide revitalization of cyber education for officials and a operating plan and can utilize as basic data to make learner’s affinity about cyber education. 본 연구는 상시학습체제에서 학습 요인, 상호작용, 학습자요인, 그리고 학습제도요인 등 사이버교육 요인들이 공무원 사이버교육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부산광역시 공무원을 중심으로 실증연구를 하였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사회과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SPSS 12.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 분석, 요인 분석, 신뢰성 분석, 상관관계 분석 등을 실시하였고, AMOS 4.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실증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요인과 상시학습제도인식, 상시학습지원요인이 학습자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습활동을 위한 상호작용은 학습자요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요인, 상호작용, 상시학습제도인식은 사이버교육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시학습지원요인은 사이버교육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 요인은 사이버교육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기술의 발달과 교육훈련 제도의 변화로 공무원들의 능력개발을 위한 다양한 자기개발 기회가 확대되고 교육훈련기관에서의 교육훈련도 다양해짐에 따라 사이버교육의 확대는 시대적 추세라 할 것이다. 그러나 공무원들은 여전히 사이버교육의 융통성을 이해하면서도 인터넷에 의한 학습보다는 전통적인 면대면 수업인 집합교육을 여전히 선호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사이버교육은 업무시간외에 별도로 개인적인 시간을 할애하여 야 하므로 교육훈련의 목적달성이나 개인능력 발전이 무시되어 형식적인 학습이나 제3자를 통한 대리학습 등으로 단순히 학습시간의 이수를 위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시학습체제의 정착을 위해서는 공무원들의 상시학습제도에 대한 인식 제고와 상시학습 인정범위의 확대, 직급별 최저 이수시간의 조정 및 공무원교육훈련기관의 교육과정을 다양화하여 공무원들의 능력개발에 자발적 참여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교육훈련제도의 변화에 따른 사이버교육의 활성화와 선호도 향상을 위해서는 사이버교육용 학습콘텐츠를 체계적으로 구성하여 학습효과 제고와 편의성을 강화하고, 평가방법 다양화와 평가항목별 반영 비율 조정을 통해 자발적인 사이버교육 참여와 능동적 학습활동을 이끌어 내어야 하겠으며, 웹 기반의 인터넷 사용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정보화교육 강화를 통해 컴퓨터 사용에 대한 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등의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상시학습체제시행 초기라 아직까지 부서장의 인식이나 지원, 직장 내 학습 분위기 등 상시학습지원은 미흡한 것으로 보여 사이버교육 선호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보이나, 부하직원 양성을 위한 부서장의 교육훈련 성과책임 등 조직측면의 지원을 강화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에 대한 관심을 높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사이버교육의 특성상 장기간의 교육기간에도 불구하고 집합교육에 비해 인정시간이 적으므로 적정시간의 집합교육을 병행하여 인정시간을 늘이는 효과와 더불어 사이버교육의 단점을 보완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이버교육에 대한 관심과 선호를 이끌어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교육훈련에 있어서 새로운 교육용 매체나 기술은 그 자체로는 어떠한 교육적 목적을 지니고 있지 않다. 사이버교육이 단지 진보적이고 최신의 교육방법이라는 이유로 단순히 수용하는 것은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사이버 교육훈련을 통한 교육훈련 목적달성과 공무원의 역량 강화는 학습제도와 사이버교육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결과와 이론적 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성공적으로 시행될 수 있을 것이다.

      • 사이버 교육의 개선방안 및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

        전세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 지식 정보화의 물결은 우리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21세기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을 바탕으로 나타난 인터넷 기반의 사이버 대학, 사이버 교육 모형은 기존의 전통적인 교육방식인 학교교육의 대안으로서 현재 긍정적인 인식을 받고 있다. 무한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모든 사람에게 열린교육" 을 제공할 수 있고, 교육서비스 불균형 해소와 새로운 학습과 강의 내용 등으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실현하는 데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진 사이버 교육에의 투자는 계속될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인터넷 기반의 사이버 대학, 사이버 교육을 실제의 교실수업환경과 비슷한 환경으로 구축하려는 노력과 다양한 컨텐츠 개발 투자는 계속될 것이며, 보다 발전된 형태의 사이버 교육이 나타날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학교 교육의 대안으로 큰 관심 속에 등장하고 있는 사이버 교육에 대해 살펴보고, 특히 사이버 대학을 중심으로 국내·외의 사이버 교육 사례 분석을 통해, 사이버 교육의 유형 및 방향 등을 분석하여, 그 동안의 사이버 교육에 대한 선입견과 부정적인 인식의 전환이 수반되어, 사이버 교육이 효과적으로 정착되고 활성화될 수 있도록 우리 나라 사이버 교육의 개선방안 및 교육적 효과에 대해 연구한다. Wave of 21th century knowledge information gained much changes to our society. Cyber college of internet base, cyber education model that appear with great development of 21th century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s receiving affirmative congnition present as the alternative of school education that is existent conventional education usage. Use Internet that is having infinite potential energy can offer "Whenever, Wherever, Open education to everybody", and can become good method to realize self-diredcted education by education service imbalance cough and new learning and lecture contents, and investment to cyber education that have much advantages is expected to be continued. Also, effort and various contents development investment to construct cyber college of internet base, cyber education to environment such as practical classroom class environment may be continued, and can expect cyber education of form that is developed more may appear. Examine about cyber education that is appearing in interest by the alternative of existing education in this research, and analyze type and direction of cyber education through cyber education example analysis of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because meantime of preconception about cyber education and conversion of negatory awareness are accompanied, cyber education studies about improvement way of our country cyber education and educational effect to be settled effectively and can be activated.

      • 사이버교육에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및 학습동기가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탁진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보통신 공학의 급속한 발달로 우리 사회는 여러 분야에서 급격한 변화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기업도 이러한 변화 양상에 주도적으로 대처하며, 정보화 사회에 걸맞은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기존의 전통적인 교육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새로운 기업교육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다. 새로운 형태의 기업교육은 보다 학습자 중심적이고, 현장화와 적시화(JIT; just-in-time)를 지향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점에서 효과적인 교육적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 인터넷을 활용한 사이버교육(cyber education)이다. 사이버 교육체제는 컴퓨터 네트웍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내용을 학습 할 수 있게 하는 열린 학습체제로서 대부분의 기업에서 도입,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사이버 교육체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지침 및 기반 환경이 부족하고 사이버 교육체제를 기업환경과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하나의 체제로 인식하는 총체적 관점이 미약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내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사이버교육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및 학습동기가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여 보다 더 효과적인 사이버교육 체제설정에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 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사이버교육에서 개인별 특성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사이버교육에서 개인별 특성에 따른 학습동기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사이버교육에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학습동기간에는 상관이 있는가? 넷째, 사이버교육에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및 학습동기가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교육은 원격교육으로서 기존의 수동적인 학습태도에서 벗어나 과제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학습의지로써 학습에 임할 때에 학습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성별, 직위, 학력별로 다른 정도의 자기주도학습 방법을 적용시켜야 한다. 둘째, 성인학습자들은 대개 직장과 학습을 겸하므로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더욱이 여자 사원 에게는 학습동기의 하위요인 중 관련성 과 만족감 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즉, 사이버교육 운영자는 과정을 개설 할 때 교과 내용에 대한 상세 설명과 함께 여자학습자 본인의 흥미나 목표에 대한 관련성을 제시해 줄 필요가 있으며 강화, 보상 및 공정성에 대한 홍보를 철저히 하여 만족감을 높여 줄 수 있어야 한다. 대졸이상 사원 에 비해서 고졸 사원에게는 자신감 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한다. 즉, 고졸 사원들의 지속적인 동기화를 위해서는 학습에 대한 관련성을 인식시킨 후 학습자가 학습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믿게 하는 자신감이 부여되어야 한다. 여기서의 자신감은 성공을 보장해 준다는 의미보다는 학습자가 받아들일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도전감을 제공해 주는 것이다. 셋째, 사이버교육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를 높이는 방법의 모색은 학습동기의 하위요인인 주의력, 관련성, 자신감 및 만족감을 높이는 방법과 동일 선상에서 추진되어야 한다. 넷째, 사이버교육에 있어서 학습성취도 증대를 위해서는 학습동기의 관련성 요인과 자신감 요인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적극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학습동기의 만족감 요인은 사이버교육의 현실적 측면에서 보았을 때 시사점이 많다. 사이버교육에서 학습자는 자신의 노력의 결과가 자신의 기대에 일치하고, 학습 결과에 만족할 때에 학습에 대한 동기가 계속 유지될 것이다. 그러나 외재적 보상 이 학습자 행동의 자연적인 결과가 아니고 다른 사람의 통제하에 있다고 학습자가 생각하게 되면 학습성취도는 감소될 수도 있다. 또한 성취결과의 평가 에 있어서도 객관적이며 공정하지 못하다고 생각할 때 학습성취도가 감소될 것이다. 학습동기의 만족감에 영향을 주는 강화, 보상, 공정성 등의 조건화 체계가 적절히 적용된다면 학습자는 보상을 받게되는 때를 예측할 수 있고, 평가결과의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활동과 결과 사이의 일관성이 유지되어 학습성취도 증대에 기여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본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사항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사이버 학습자로 하여금 자기 주도적 학습의지 및 학습동기를 가지고 학습자 스스로 학습을 계획하고 실천, 유지 및 평가에 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학습 컨텐츠 개발, 학습자 원격통제 및 객관적인 평가에 관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및 학습동기 요인 전반적인 부분에서 학습성취도와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후속연구로는 학습동기의 하위요인에 관한 구성요소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사이버 학습자에게 구체적으로 대비시킴으로써 학습성취도 증대에 보다 더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engineering technology, our society shows signs of enormous changes in various fields. In order to respond actively to such changes and train their employees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information-intensive society, domestic companies are making efforts to depart from the conventional education paradigm towards a new in-company education paradigm. The new in-company education paradigm aims at a learner-centered spot-wise JTT (Just-In-Time). Thus, the Cyber education is being suggested as one of the effective in-company education models. Since the Cyber education system using the computer network is an open education system transcending time and place, many big companies are introducing or relying on it. However, guidelines and foundation for effective use of the Cyber education system have yet to be established, while few companies see the new education system as a system related to business environment in an organic way. With such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effects of adult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and learning motives on their learning performance in the Cyber education, and thereby, suggesting some specific ways to develop a more effective Cyber education system. To this end, the following study points were set up; First, in the Cyber education how would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s differ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Second, in the Cyber education how would learners' learning motives differ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Third, in the Cyber education would there be any correlation between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s and their learning motives? Fourth, in the Cyber education what would be the difference of the effects on learning performance between leaner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s and their learning mot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nce the Cyber education is delivered remote, its learning effects will be maximized only if learners depart from the conventional or passive learning attitude and instead, face the Cyber education positively. In this regard, it will be necessary to apply different self-directed learning scales depending on learners' gender, social status and academic backgrounds. Second, since most of the adult learners are working students, they need to be motivated appropriately to learn more effectively. For the 'female' working students, in particular, we need to explore the ways to improve the levels of 'relevance' and 'satisfaction' that are sub-factors of the learning motives. In other words, the Cyber education operators are requested to explain about the relevance of a Cyber education program to their personal interests or goals, while sufficiently briefing on such motives as reinforcement, compensation or fair treatment. Especially, those women who were graduated from high schools should be more encouraged than those college graduates to be confident in the Cyber education. In order to continue to motivate the high school graduate females, it may well be necessary to make them aware of the relevance of the Cyber education program and then, assure them of a success in the program. Here, the sense of confidence may be defined as spirit of challenge rather than a warranty of success. Third, in order to enhanc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for an effective operation of the Cyber education, it will be necessary to explore the ways to enhance such sub-factors of learning motives as concentration power,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simultaneously. Fourth, it is also deemed necessary to maximize the effects of such sub-factors of learning motives as 'relevance' and 'confidence' in order to improve the learning performance in the Cyber education. Merely, the sub-factor 'satisfaction' seems to be much suggestive in consideration of the reality of the Cyber education. In the Cyber education, only when learners feel that the results of their efforts match their expectation or feel satisfied with the results of their learning, their learning motives would continued to be maintained. However, if a learner feels that 'an extraneous compensation' might not be a natural result from leaner's learning behavior but be controlled by others, his or her learning performance might be lower. In addition, if a learner feel that the 'assessment' of their learning is neither objective nor fair, his or her learning performance might also be lower. To the contrary, if such sub-factors as reinforcement, compensation and fair treatment can be applied appropriately, learners would be able to anticipate when their efforts are compensated. If so,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would be perceived fair by learners. Then, as learning activities and results can be correlated with each other consistently, learning performances will be higher.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ut forty and s; First, various learning contents need to be developed with researches into controls and objective assessment of Cyber education so that the learners may be self-directed and -motivated enough to design their own learning plan and thereby, put it into practice, maintain it and assess their learning performances for themselves. Second, since this study is focused only on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and learning motives in relation with their learning performance, it is hoped that it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analyzing the sub-factors of learning motives in depth and exploring more effective ways to help improve the learning performance in the Cyber education.

      • 사이버교육에서의 운용개선에 관한 연구

        임동현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TV를 통한 원격교육방식이 국내에 도입되기 시작한 이래, 인터넷 및 통신기술의 발달로 이제는 사이버교육 방식이 보편화되어 시간과 장소에 구애없이 수업을 들을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강의실에서의 수업방식에 비해 사이버교육의 강의방식이 어떤 효과와 문제점을 가져다주는지 조사하고, 이를 분석하여 사이버교육의 시스템 및 운영개선을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표본대상을 D대학의 사이버강좌를 적용하였으며, 통계 팩키지로 spss와 Excel을 사용하여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Distance Education on TV in Korea, Cyber learning systems have become more and more popular as internet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ve developed rapidly. Thanks to Cyber learning systems, learners are able to participate in classes regardless of space and time. This study is to research what effects and difficulties evolve regarding the Cyber Education teaching method in comparison with the traditional classroom method, and to propose guidelines for improving Cyber Education operation. The data for the study is collected from the Cyber class at D college and is approved with SPSS and Excel programs for reliability.

      • 경상남도교육청 지방공무원의 사이버교육 운영실태와 인식 연구

        양희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교육훈련기관에서 제공하는 사이버교육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경상남도교육청 지방공무원들의 사이버교육 인식 실태를 분석하여, 사이버교육 운영실태와 개선방안에 따른 인식을 토대로 사이버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나아가 스마트교육혁명이라 일컫는 이러닝 환경의 변화를 상기시켜 스마트러닝을 통하여 상시적으로 학습하는 조직문화를 다함께 인식해 보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훈련기관에서 제공하는 사이버교육 현황을 통해 최근 동향과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최근 1년간 사이버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상남도교육청 지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이버교육의 운영실태와 관련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상남도교육연수원의 원격연수와 지방자치인재개발원의 나라배움터 운영현황 분석 결과, 위 두 교육훈련기관은 교육훈련을 통할하는 각종 법규와 기관의 운영방향을 통해 사이버교육의 상시학습 환경 구축을 강조하고 있으며, 특히 모바일 과정의 지속적인 확대 및 활용 유도를 통해 스마트 기술의 등장에 걸맞는 이러닝 환경의 변화를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이버교육의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교육훈련 기관별, 과정별로 실질적인 사례 기반의 자료와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둘째, 경상남도교육청 지방공무원들의 역량강화와 상시적으로 학습하는 조직문화 인식을 위하여 교육훈련기관에서 제공하는 사이버교육의 필요성 및 운영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한 결과, ⅰ) 경상남도교육청 지방공무원들은 사이버교육의 필요성과 목적 달성도를 전반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ⅱ) 사이버교육과정의 참여도는 약간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높게 나타난 사이버교육의 필요성에 대비하여 본연의 교육 목적이 효율적으로 달성될 수 없을 것이라는 인식을 갖게 한다. ⅲ)사이버교육의 전반적인 운영실태에 관한 인식은 대체적으로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총 7개 항목 중 가장 낮게 인식되는 것은 교수와 학습자간 커뮤니티 형성 정도이며 그 다음으로 사이버교육과정의 직급별, 수준별 선택의 다양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ⅳ) 스마트러닝의 활용실태와 필요성 인식정도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스마트러닝의 수강경험이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모바일로 학습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가 더 많이 제공되어야 함에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ⅴ) 사이버교육의 전반적인 학습효과 및 만족도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ⅵ) 사이버교육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가장 높게 인식된 항목은 다양한 교육내용 제공이며, 사이버교육과정 중 확대해야 할 교육내용으로 인문교양과목이 가장 많았다. ⅶ) 마지막으로 사이버교육 활성화를 위한 개선사항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연수내용(46.3%), 연수환경(23.7%), 연수운영(18.5%), 연수방법(11.5%)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이버교육 활성화 방안으로는 ⅰ) 학습에 흥미를 높이고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컨텐츠 개발이 필요하며 ⅱ) 사이버교육과정의 직렬별, 직급별 수준별 교육과정 확대가 필요하다. ⅲ) 인문 소양 과목 등 다양한 교육내용의 확대 제공이 필요하며, ⅳ)모바일 겸용과정의 확대 제공 및 홍보가 필요하다

      • 사이버교육 컨텐츠 개발기법의 분석에 관한 연구

        오찬호 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교 교육에서 교육내용을 전달하는 강력한 매체로 웹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웹기반 사이버교육은 자율성, 시공간 초월성, 양방향성, 수요자중심으로 대표되는 교육 패러다임이다. 다양한 교육 컨텐츠로 교수 자료가 학습자에게 제공되어지고 학교에서는 앞다투어 사이버교욱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사이버교육시스템을 구축하는 일부의 양상들은 오히려 사이버교육의 잠재적 가치와 효과들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장기적인 안목과 사이버공간의 특성들을 외면한 채 기존의 교육방법들을 그대로 적용하면서 기대했던 교육목표를 달성조차 못하고 자원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사이버교육 실시에 관한 체제적인 기획을 바탕으로 설계와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웹 교육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다양한 능력 중에서 특히 웹 교육을 위한 기본 컨텐츠를 설계, 개발하는 과정과 절차를 이해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가상의 원격교육 방식으로 진행되는 웹 기반 사이버교육 환경에서는 컨텐츠의 질과 설계, 제시방식, 상호작용방식이 웹교육과정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 교육환경에서 어떻게 하면 보다 양질의, 만족스러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지 그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 보고 구체적 설계의 요소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The Web is embossed as the powerful media to deliver educational contents in school education. Cyber education based on the Web is the educational paradigm represented by autonomic, spatio-temporal transcendental, bidirectional, and customer-centered propensity. Learning materials are provided to a learner with a variety of educational contents and cyber educational systems are developed competitively in many schools. However, partial aspects to establish cyber educational system are rather working with factors to impede dormant values and effects of cyber education. While turning away a long-term eye and characteristics of a cyber space, applying the existing educational ways brought about shortage of expected educational goal and waste of resources. A design and development based on a systematic planning for execution of cyber education must be accomplishment. It is above all others in importance to understand processes and procedures of designing and developing basic contents for the Web education among various ability required to be a specialist of the Web education. Because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a success or failure of the Web curriculum depends on quality and designing of contents, presentation method, interaction method in cyber, educational environment based on the Web.

      • 사이버교육에서의 멀티미디어 디자인에 관한 연구 : 국내 컴퓨터 사이버교육을 중심으로

        한선화 朝鮮大學校 産業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shift from industrial society to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of 21st Century is leading to fundamental changes on the society as a whole and also individual's life. The appearance of Internet makes it possible to do things at home that have been previously done outside home. Working at home, electronic commerce, remote conferences are the examples. Cyber education also has brought fresh changes. It not only offers varieties of education to fit individuals, but also goes beyond time and space, which makes governments take an active interest in revitalization of it. However, the assessment of domestic cyber education is not very positive in that it does not provide more effective, interesting education compared to traditional one. This results from lack of full understanding of those who are engaged in domestic cyber education, and lack of varieties of contents of cyber education. Given this idea, this study suggests that multimedia design is in the center of cyber education. This study will examine some relevant cases. Analysis of domestic cyber education from survey of users of cyber education will be also cov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esirable direction of domestic multimedia design of cyber education.

      • 사이버교육시스템 구축을 위한 웹 기반 문제은행과 가상시험시스템 설계 및 구현

        이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사이버교육은 오늘날 우리들의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새로운 교육패러다임으로, 현재 국내에서는 전국 대부분의 대학 및 기업체들이 이미 사이버교육을 실시하고 있거나 준비 중에 있다. 사이버교육의 성공적인 실시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추진목표, 대상 학습자 및 커리큐럼을 수립, 분석, 편성하고, 이에 입각하여 적용할 사이버교육의 유형을 선택한 후, IT인프라, 교육컨텐트, 지원체제 및 통제적 요인들을 상호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구축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교육의 한 요소인 IT인프라 측면에서 사이버교육의 시스템적 본질을 이해할 수 있도록 사이버교육시스템의 구축 현황을 살펴보고, 시스템을 쉽게 구축할 수 있는 사이버교육시스템 구축 S/W의 기능 및 특징을 살펴보았다. 사이버교육시스템 구축 S/W가 제공하는 기능은 크게 학사관리지원 기능, 교재저작지원 기능, 학습지원 기능, 평가지원 기능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평가지원 기능-문제은행/가상시험 시스템을 웹 기반에서 실제 설계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웹 기반 문제은행/가상시험 시스템은 기존의 사이버교육시스템 구축 S/W에 미흡한 기능으로 크게 두 가지 기능-문제은행 기능과 가상시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문제은행 기능은 문항을 과목별, 단원별로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기능과 다양한 방법으로 시험지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가상시험 기능은 시험장을 관리하고, 가상 시험을 생성하며, 가상 공간 또는 전용시험장에서 가상시험을 치를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시험 후 시험결과를 조회하거나 반영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문제은행/가상시험 시스템은 웹 기반으로 구축되어 C/S환경에서 구축된 시스템과는 달리 Client에 별도의 시스템 설치가 필요 없어 진정한 시공간을 초월한 사이버교육시스템을 구현하였다는 의의를 가지고 있다. 또한 기능적 측면에서는 기존의 사이버교육시스템 구축 S/W에는 미흡한 평가지원기능-문제은행 기능과 가상시험 시스템을 구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결국 인터넷을 통해 학습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가상의 공간에서 온라인 시험 등의 시간을 초월한 열린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교육의 질 향상 및 정보의 가치를 극대화하여 경쟁력 있고 미래 지향적인 선진화된 21세기 교육 환경을 구축을 선도할 수 있을 것이다. Cyber-education, an emerging education paradigm today, is being run or getting ready at most of educational institutes and companies in Korea. For the successful cyber-education, the type of cyber-education must be selected based on the objectives, target learners and curriculum which are planned, analyzed or organized at the first stage. Then, IT infrastructure, contents, supporting system and management should be implemented in the connection with one another. In this study, the status of implementing cyber-education has been investigated to clarify the substance of cyber-education system. Also the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web-based software for implementing cyber-education have been examined, then insufficient features were implemented additionally. The web-based self-study system has four features; management of school works, authoring of teaching materials, learning and test. The web-based question pool/virtual test system has been implemented by using a software tool for building cyber-education system. The web-based question pool/virtual test system is composed of question pool and virtual test system. The question pool manages questions systematically by subjects or chapters, and creates test sheets in various ways. The virtual test system manages test rooms, creates virtual tests, executes tests and inquires test results. The system in this study has been developed by using internet technology, which requires no software on client side as in client/server environment. This means that it provides open education opportunity over time restriction through online test in virtual space. The question pool/virtual test system, of which features are not good enough in existing softwares for building cyber education system, will be highlighted in this study. The quality of education is expected to be improved and the value of information be maximized, so that the educational conditions can be competitive and advanced in 21C.

      • 중학교 사이버가정학습체제에서 학습자 배경 특성과 학습 전략에 따른 교육만족도 분석

        김영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f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educational satisfaction by learner's background variables in cyber home learning service, and whether learner's learning strategies influences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For qualitative data analysis, the learners' opinions on cyber home learning service were surveyed. To accomplish the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educational satisfaction on cyber home learning service according to a learner's background variables? 1-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educational satisfaction by gender? 1-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educational satisfaction by residential districts? 1-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educational satisfaction by grade? 1-4.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educational satisfaction by subject matters? 1-5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educational satisfaction by learning time? 1-6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educational satisfaction by learning quantity? 2. How much does learner's learning strategies influence on educational satisfaction? 3. How about the learner's opinions on cyber home learning service? For this research, 1095 junior students were selected among 3000 junior students who attended cyber home learning service in D city. The questionnaire for the research was developed based on the ones used in Lee (2002) and Choi & No(2002). For the data analysi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produced by using SPSS 12.0. The t-test and ANOVA were used to analyze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by learner's background variables. th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learning strategie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lso, to analyze the learner's opinions about cyber home learnng service, the open-ended questionnaire was us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educati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arner's background variables, 8th graders, men, and 2 hours of study group showed more satisfaction. Second, in learning strategies, self-directed strategies showed the strongest influence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follwed by time management strategies and expression strategies. Third, in the analysis of the learner's opinion about cyber home learning service, the people who had said that there should be an improvement in the teaching of the tutor were 197 out of 1075 which is 18.3%, and most of them said that the tutors' responses should be faster and accurate, then their communication should be more .kind and fine 41.8%, 449 out of 1075, responded that their attitude had changed during the cyber home learning service, and most people said that they got more systematic studying attitude, and had fun. People who suggested their opinions about cyber home learning service were 893 out of 1075(83.1%), Most of them were satisfied and wanted to continue the service, and a number of people pointed out that continuous improvement should be done.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가정학습체제에서 학습자의 배경 특성에 따라 교육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학습자의 학습 전략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질적 자료 분석을 위해 사이버가정학습체제에 대한 학습자의 의견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사이버가정학습체제에서 학습자의 배경 특성에 따라 교육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1-1. 성별에 따른 교육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1-2. 거주지에 따른 교육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1-3. 학년에 따른 교육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1-4. 수강 과목에 따른 교육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1-5. 수강 시간대에 따른 교육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1-6. 학습 시간의 양에 따른 교육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2. 학습자의 학습 전략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사이버가정학습체제에 대한 학습자의 의견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D광역시 교육청의 사이버가정학습에 참여한 중학생 3,000명 중 설문에 응답한 1,075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조사도구는 이인숙(2002)과 최광신, 노진덕(2002)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연구자가 연구 목적에 맞게 개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위를 산출하였으며, 학습자의 배경 특성에 따른 교육만족도 분석을 위해 t-검정과 ANOVA를 실시하였고, 학습자의 학습 전략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이버가정학습체제에 대한 학습자의 의견을 알아보기 위해서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응답 내용을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배경 특성에 따른 교육만족도에는 남자보다 여자가, 학년이 2학년이며, 학습 시간의 양이 2시간 이상인 경우 교육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의 학습 전략의 하위 영역 중에서는 자기주도 전략이 학습자의 교육만족도를 높이는데 가장 의미 있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두 번째로 시간관리 전략이, 세 번째로 표현 전략이 교육만족도에 영향력이 있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사이버가정학습체제에 대한 학습자의 의견 분석에서는 사이버가정학습 튜터의 지도에 있어 개선할 점이 있다고 답변한 응답자가 전체 1,075명 중 197명으로 18.3%를 차지하였으며, 그 중 학습자의 질문에 대한 튜터의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원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사이버 상에서의 친절하고 섬세한 의사소통을 원하였다. 사이버가정학습을 수강하면서 학습 태도에 변화가 있다고 답변한 응답자가 전체 1,075명 중 449명으로 41.8%를 차지하였으며, 규칙적으로 학습하는 습관이 생겼다고 답변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학습에 대한 흥미가 생겼다고 답변한 응답자도 많았다. 사이버가정학습체제에 대한 의견을 제시한 응답자가 전체 1,075명 중 893명으로 83.1%를 차지하였으며, 좋거나 만족하며 계속하기를 원한다고 답변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앞으로 좀 더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많았다.

      • 특기·적성 교육을 위한 웹 기반 사이버 교육 시스템 설계 및 구현

        남민경 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터넷이 세상에 알려진 이후로 인터넷의 각종 도구들은 웹으로 통합되고 있으며, 웹 브라우저의 발달은 사회 각 분야의 정보 전달 구조에 큰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현재 웹은 인터넷의 여러 기능들을 통합하고 있기 때문에 학습 교육 매체로는 가장 편리한 도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특기·적성 교육을 웹을 기반으로 구현함으로써 특기·적성 학습에 도움이 되고 특히 자격증 취득을 위한 발판을 마련해 주는 것에 있다. 우선 모든 사람이 인지하고 있듯이 현대인의 바쁜 삶과 동시에 컴퓨터 보급의 확산으로 남녀노소 대부분이 컴퓨터를 잘 다루고 컴퓨터와 함께 하는 시간이 많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와 동시에 교육에서도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 교육의 관심도가 급증하고 있다. 이렇게 관심도가 증가하면서 사이버 교육 시장은 활성화 되고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초, 중, 고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과과정 이외의 특기와 적성을 발굴해 내는 특기·적성 교육의 중요성 또한 확대가 되고 있다. 이렇게 확대가 되어진 특기 적성 교육 중 컴퓨터 자격증에 관한 것 또한 학생들 사이에 많은 관심을 불어 일으키고 있다. 이에 특기·적성 교육 파트 중 컴퓨터 자격증에 대한 교육을 사이버상에서 구현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 구현되어진 부분을 통해 다양한 컴퓨터 자격증 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여 그에 따른 확인학습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교육과 학습 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게 하고, 웹 상의 사이버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After Internet is known to the world, various tools of Internet is unified by web, and development of web browser makes big change to each field of society. Presently web unifies various functions of Internet. That is why it is the most convenient tool as education media. In this paper, talent and aptitude education is realized based on web, so it is helper to talent and aptitude education. especially it makes a platform to achieve a certification of qualification. Firstly, as all people recognize, by suffusing supply of computer and busy life of the moderners, almost everyone deals with it well, and time to use computer increases. At the same time, interest on cyber education through Internet increases in education. with increase of interest, cyber education market is being revitalized and changed. Also except for curriculum carried out in an elementary school, a junior high school, and a senior high school, the importance of talent and aptitude education that find out talent and aptitude is increasing. A certification of qualification on computer out of talent and aptitude education that is being enlarged like this is making an interest between students much. According to this, we have a goal that education about a certification of qualification on computer is realized on cyber. Also, through realized part, a information on a certification of qualification can be made full use of effectively, and remote education by using Internet and the degree of education completion can be accessed as a definite education. We can gain an accompanying effect that it can be used in cyber-education on web by doing th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