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디오피드백과 인지적 검토가 사회불안 경향성을 지닌 대학생의 자기평가와 사후처리과정에 미치는 영향

        안가영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비디오피드백과 인지적 검토가 사회불안의 부정적인 자기평가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사회불안의 유지요인으로 알려진 사후처리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제 치료 장면에서 비디오피드백 과정은 전과 후에 인지적 준비절차와 인지적 검토과정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검토가 비디오피드백의 효과를 증진시키는지를 실험적 방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회피 및 불편감 척도(K-SADS)를 사용하여 사회불안이 높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총 5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발표수행을 하도록 한 후, 비디오피드백 후에 인지적 검토가 주어지는 조건(VF+CR조건)과 비디오피드백만 받은 조건(VF only조건), 통제조건에 무선할당하였다. 그 결과 수행에 대한 자기평가에서 VF+CR조건은 통제조건보다 긍정적이었으나, VF only조건은 통제조건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러한 경향성은 평가의 행동적 측면보다는 신체적 측면에서 두드러졌다. 하지만 비디오피드백과 인지적 검토는 일주일 후의 2차 수행에 대한 예기불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사후처리과정에서도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추가적인 분석에서 비디오피드백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경우, 비디오피드백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비디오피드백과 인지적 검토의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 of video feedback and cognitive review on improvement of negative self-evaluation and post-event processing known to maintaining factor of social anxiety. When used in the context of actual treatment for social anxiety disorder, video feedback is both preceded and followed by cognitive preparation and cognitive review. However experimental studies on video feedback followed by cognitive review is absent. In this study, 58 socially anxious undergraduate students screened by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K-SADS) were asked to perform a short speech before a video camera and then randomly assigned to video feedback+cognitive condition(VF+CR), video feedback only(VF only) condition and control condition. Following the video feedback with cognitive review, participants evaluated there performance positively than control. But VF only condition was not differed from controls in self-evaluation. Especially these tendency was notable in physical aspects than behavior aspects. However video feedback and cognitive review did not affect on post-event processing and anticipatory anxiety about second speech that 1 week after. Additionally, when attitude toward video feedback is positive, the effect of video feedback was stronger than that when attitude is negative. With these results, the effect of video feedback followed cognitive review was discussed.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 초등학교 고학년의 발표불안 감소를 위한 비디오피드백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김선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발표불안 감소를 위한 비디오피드백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ㆍ적용하여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발표불안 감소를 위한 비디오피드백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발표불안 감소를 위한 비디오피드백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발표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가? 이다. 연구대상은 C 시에 있는 B 초등학교 5학년 학생 33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5학년 2반 학생 17명을 실험집단으로, 옆 반인 5학년 1반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박인우(1995)의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하였으며, 9월 4일부터 10월 10일까지 매주 1-2회기 씩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전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1991)에서 개발된 대중 앞 발표불안검사와 김혁곤(1992)의 사회적 불안검사, 임순봉(1991)의 발표불안 척도를 참조하여 임만택(1994)이 초등학생의 수준을 고려하여 개발한 검사를 사용하여 사전ㆍ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 자료는 SPSS/Window 22.0에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하였고, 양적결과가 가지는 신뢰성을 보완하기 위해 집단원들의 회기별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 내용을 함께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발표불안 변화는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용분석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즉, 비디오피드백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발표불안 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비디오피드백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발표불안을 감소시켰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발표불안이 높은 학생부터 낮은 학생이 섞여 있는 반 전체를 대상으로 실제 발표환경과 같은 상황에서 진행되었음에도 효과가 있었다. 프로그램 자료들은 초등학교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높였고, 발표불안의 감소로 인해 학생들 삶의 다른 영역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기대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수가 많은 학급을 대상으로 할 경우 회기수의 조정이 필요하다. 둘째, 효과가 장기간 지속는지 여부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집단원 개개인의 요구를 반영하여 맞춤식 프로그램이 제공되면 좋겠다. 넷째, 다른 학교와 학급에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 일반화할 필요가 있다.

      • 조현병 환자를 위한 비디오 피드백을 활용한 자기감찰 프로그램의 효과

        신영선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7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ocial and practical functions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by conducting a self-monitoring program using video feedback to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o this end, the final 17 people registered at the H Psychiatric Health Center in Seoul were selected and assigned wirelessly to nine treatment groups and eight control groups. The treatment group conducted a self-monitoring program using video feedback twice a week on a total of 10 occasions. The pre-post assessment tools for assessing the efficacy of both groups consisted of the following: First, a clinical interview tool called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 that changes the severity of the symptoms, and a Korea version of Questionnaire of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K-QCAE) function, which is self-reporting test. We also measured changes in the execution function with the Korean version of Wisconsin Card Sorting Test(WCST) and the Korean version of Chomsler Number Inspection (Digit Span). In particular, in this study, the Social Skills Scales for Observers and the Social Appraisal Sacale for Self-reporting and Observers were used to assess treatment process variables. The data analysis collected in this study used the SPSS 18.0 program,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treatment group participating in the magnetic inspection program using video feedback significantly improved cognitive empathy after treat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a significant improvement was observed after treatment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function (observant evaluation)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rd, when we looked at the changes in the program period of the treatment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ocial relevance and social life skill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field of performance. Through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self-monitoring program using video feedback is effective in enhancing social life skills and response technologies that select socially appropriate behavior, helping to improve one's own and other visionary think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self-monitoring program using video feedback has an effect on improving the social functioning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조현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비디오 피드백을 활용한 자기감찰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조현병 환자들의 사회적 기능과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소재 H 정신건강센터에 등록된 조현병 진단기준을 충족하는 최종 17명을 선정하여 치료집단 9명와 통제집단 8명에 무선적으로 배정하였다. 치료집단은 비디오 피드백을 활용한 자기감찰 프로그램을 주 2회 총 10회기에 걸쳐 진행하였다. 두 집단의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한 사전·사후 평가 도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우선, 임상 면접도구인 간편 정신상태 평정 척도(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BPRS)로 증상 심각도의 변화를, 자기보고식 검사인 한국판 자기보고식 인지적·정서적 공감 척도(Korea version of Questionnaire of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K-QCAE)와 대인관계기능 척도를 사용하여 사회적 기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신경인지검사인 한국판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Wisconsin Card Sorting Test; WCST)와 한국판 웩슬러 숫자 소검사(Digit Span)로 실행기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치료과정 변인을 평가하기 위하여 관찰자용 사회생활기술 척도(Social Skills Scales)와 자기보고용과 관찰자용 사회적 적절성 척도(Social Appropriateness Scale)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디오 피드백을 활용한 자기감찰 프로그램에 참여한 치료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치료 후에 인지적 공감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치료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대인관계기능(관찰자평정)에서 치료 후 유의한 향상이 관찰되었다. 셋째, 치료집단의 프로그램 회기별 변화를 살펴보았을 때, 사회적 적절성과 사회생활 기술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반면, 실행기능 부문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비디오 피드백을 활용한 자기감찰 프로그램이 자기 및 타인 조망적 사고의 향상을 도우며, 나아가 사회적으로 적절한 행동을 선택하는 사회생활기술 및 대처기술의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비디오 피드백을 활용한 자기감찰 프로그램이 조현병 환자들의 사회적 기능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비디오피드백 기법을 활용한 교수·학습이 말하기 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

        강병규 부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se days, it has been significantly emphasized to express one's thoughts or opinions. A number of people in highly developed societies want to improve their language skills in both speaking and writing. People tend to face difficulty in expressing communication through speaking and writing compared to the comprehensive communication of listening and reading. However, the Korean education system still focuses on using the cramming and memorizing method of teaching for SAT's. When it comes to speaking, education needs to include not only its main function of teaching but also an accompanying method to aid public speaking anxiety. This study focuses on public speaking anxiety in the teaching of speaking in Korean classes which use the teaching-learning method with video-feedback. The individual needs of the student must be diagnosed accurately for public speaking anxiety. Nonetheless it seems challenging to use the teaching-learning method to reduce public speaking anxiety in classes, especially ones consisting of many students. With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teaching-learning has been changed. Accordingly, due to a continuous class development project started in 2000, video-feedback programs are being used for individual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public speak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video-feedback to aid public speaking anxiety. The teaching-learning model for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video-feedback method for classes consisting of many students. Firstly, I conducted a survey to examine ‘speaking anxiety’ targeting 1st year students in middle schools. The result shows that the students evaluate their language proficiency as average but they still want to improve their expressive language skill such as speaking and writing.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peaking anxiety between genders, both having the average degree of anxiety. Among these students, I selected just under 30% who have a high degree of speaking anxiety. After randomly assigning students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led group, I conducted the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video-feedback’ three tim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For an objective diagnose on their speaking anxiety, I also practiced on non participating students asking them to observe a video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evaluat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ly, the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video-feedback can reduce speaking anxiety. Secondly, the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video feedback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rnal factors causing speaking anxiety, especially making significant changes on cognitive factors and behavioral factors. Thirdly, the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video-feedback can improve students presentation behavior.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rovements and potential of practicing the teaching-learning model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video-feedback method in classes with many students. Moreover, students can gain feedback on their speaking anxiety through internet cafe's and school websites, which could help better engage them in their classes. Through this research not only will it improve chances to communicate between peers but also it can be expected to have benefits for building positive human relationships and living in society.

      • 역할놀이 비디오 피드백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영어 말하기 학습효과

        이정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의 목적은 말하기 지도방법 중 하나인 대사 읽기 활동과 역할놀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방편으로 비디오 피드백을 이용할 때 학생들의 영어 말하기 능력과, 정의적 측면에 학습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과 비디오를 이용한 구두대화일지와 비슷한 유형의 영어 말하기 비디오 피드백의 지도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하기 위해 첫째, 말하기 지도, 역할놀이 및 피드백과 관련된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아동 31명을 대상으로 컴퓨터 활용능력과 인터넷 사용 유형과 영어 학습에 대한 기초 설문을 실시하여 온라인 비디오 피드백을 실시할 수 있는지 여건을 알아보았다. 셋째, 실험 A반과 실험 B반 총 6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12주간 역할놀이에 대한 비디오 피드백 실험을 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서울특별시 소재 S 초등학교 2개 반 61명을 실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A반은 온라인(on-line)기반의 학급 홈페이지를 활용하여 비디오 피드백을 실시하였고, 실험 B반은 오프라인(off-line)을 기반으로 교실에서 캠코더를 직접 TV와 연결하여 비디오 피드백을 실시하였다. 실험 A, B반 각각 말하기와 정의적 영역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양적 연구에 대한 보충자료로서 질적 연구방법인 설문지와 면접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말하기 능력에 대한 사전 평가에서 실험 A반과 실험 B반의 측정 결과 두 집단을 동질 집단으로 간주를 할 수 있었으며, 실험 A반의 말하기 능력의 평균이 실험 B반 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말하기 능력에 대한 사후 평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실험 A반의 경우 평균값이 실험 B반 보다 오르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정의적 영역은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내용으로는 학생들의 역할놀이에 대한 흥미도, 참여도, 만족도로 구성을 하였으며, 역시 사전과 사후로 구분하여 비교를 하였다. 정의적 영역의 사전 실험 결과는 실험 A, B반 모두 비슷한 결과를 보여 동질집단으로 실험을 시작하였다. 사후 평가에서 실험 A반이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실험 B반의 경우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지는 못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분석해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지연 피드백을 실시하는 것이 즉각 피드백을 하는 것보다도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 이유로 자신들의 역할놀이를 시청하는 것과 온라인을 통한 피드백은 사라지지 않고 남아있어 학생들이 언제든지 반복 시청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오프라인의 구두 형태의 피드백과는 차이점이 있다. 또, 학생들은 자기 자신의 모습을 보기도 하지만 다른 학생들의 역할놀이 활동을 관찰하게 되므로 다른 학생들의 영어 말하기를 보고 자극을 받았다. 둘째, 캠코더를 역할놀이 수업에 도입을 함으로써 역할놀이와 영어 말하기 학습 활동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학생들은 좋던 싫던 간에 캠코더에 자신의 모습을 비추게 되므로 역할놀이 활동을 충실하게 하여야 하였다. 이는 역할놀이가 개인이 혼자서 하는 학습 활동이 아닌 모둠 활동이었기 때문에 학생들이 모둠에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 또 재미있고 즐겁게 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셋째, 역할놀이 비디오 피드백 활동은 역할놀이 활동 중에 협동심, 집중력, 자신감과 오류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는 효과를 보여 주었다. 다른 학생들의 실수도 즐겁게 시청하기도 하고, 또 한 번의 발표를 위해 역할놀이 대사를 열심히 외우는 활동을 함께 하였다. 셋째, 교사의 피드백 활동은 역할놀이 활동을 좋아하는 아이들과 싫어하는 아이들 모두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로 다가왔다. 역할놀이가 싫은 부정적인 학생들의 경우에도 역할놀이 활동 자체는 싫어하였지만 교사와 비디오 피드백 활동을 통해 변화하려는 생각을 나타내 주었다.

      • 피부미용 실습교육에서 비디오 피드백의 제공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박찬영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318

        교사 중심의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으로 변해가고 있는 요즘, 비디오 피드백은 학습자들이 동작에 대한 정보를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 스스로 행동교정에 대한 학습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본 연구는 피부미용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피부미용 실습교육 중 클렌징 테크닉을 배우는 과정에서 비디오 피드백을 적용하여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를 비교분석하여 학생들의 피부미용 실습교육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설계는 양적연구로 피부미용 실습교육에서 비디오 피드백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적용하였다. 2014년 3월부터 6월까지 주1회 150분 피부미용 전공수업을 수강하는 충남소재 H대학교의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군 16명, 대조군 16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절차는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대조군은 강의와 시범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교육방법을 제공받았고, 실험군은 전통적인 교육방법과 함께 비디오 피드백을 적용한 교육방법을 제공받았다. 실험 중간 주차에 실험군과 대조군의 학업성취도 중간평가를 실시하고, 실험이 종료된 후에 실험군 대조군 사후조사를 시행하였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측정도구는 이석재 등(2003)이 개발하고 조윤정(2011)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고, 학업성취도 평가도구는 정가애 등(2013)이 개발한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학습만족도 검사 도구는 최정은(2013)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평가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의 계수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디오 피드백을 제공받은 실험군과 받지 않은 대조군의 사후검사 검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t=7.363, p=.016), 각 집단별 검증결과도 실험군(t=-8.005, p=.000)이 대조군(t=1.074, p=.038)보다 통계적으로 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으므로 ‘피부미용 실습교육에서 비디오 피드백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높을 것이다.’의 제 1가설에 대해서 입증되었다. 둘째, 학업성취도 중간평가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t=1.766, p=.090), 최종평가에서는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학업성취도 점수가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높아(t=6.325, p=.047), ‘피부미용 실습교육에서 비디오 피드백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학업성취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의 제 2가설에 대해서 입증되었다. 셋째, 학습만족도에서 실험군 4.27±0.43점, 대조군 4.18±0.56점으로 전반적으로 두 그룹 모두 높은 점수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t=.491, p=.168), ‘피부미용 실습교육에서 비디오 피드백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학습만족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의 제 3가설은 기각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피부미용 실습교육에서 비디오 피드백의 활용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 교육임이 입증되었으나, 학습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학습만족도는 비디오 피드백을 받은 실험군과 받지 않은 대조군 모두 높은 점수의 결과를 보여 연구대상이 1학년 1학기 처음 피부미용 전공수업인 것을 감안한다면 비디오 피드백을 적용한 피부미용 실습교육 또한 학습자들에게 흥미 있는 교육방법이라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피부미용 실습교육에서 비디오 피드백의 제공은 자기주도적 학습으로 학업성취도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비디오 피드백은 동료평가와 더불어 피부미용 교육에 있어서 다양한 교과목에 적용하여 연구가 진행되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휴대전화를 활용한 비디오 피드백 제공이 학업성취도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미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2317

        이 연구의 목적은 휴대전화를 활용한 비디오 피드백 제공에 따른 학업성취도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모바일 학습과 비디오 피드백 각각에 관련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휴대전화의 다양한 기능으로 인한 무한한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비디오 피드백의 도구로 활용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휴대전화의 다양한 기능 중 동영상 촬영 기능을 수업에 활용함으로 인해 효과적인 비디오 피드백 제공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소재의 K고등학교 1학년 중 실험집단 30명, 통제집단 3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대상 과목은 체육이었다. 동일한 체육교사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휴대전화를 비디오 피드백 제공 도구로 활용한 수업과 기존의 일반적인 수업을 하도록 하였다. 휴대전화를 활용한 비디오 피드백 제공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기 전후에 각각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로 학업성취도 점수를 위한 골프수행능력을 평가하였고, 22문항으로 구성된 신체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휴대전화 활용에 따른 학업성취도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공분산분석을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학업성취도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휴대전화를 활용한 비디오 피드백 제공 여부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쳤다. 사전 학업성취도 검사와 사후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휴대전화를 수업에서 피드백 도구로 활용한 실험집단의 학업성취도가 더 높게 상승하였다. 둘째, 휴대전화를 활용한 비디오 피드백 제공 여부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사전 신체적 자기효능감 검사와 사후 신체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한 결과, 휴대전화를 활용하여 비디오 피드백을 제공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더 높게 상승하였다. 우리나라 교육현장에서 휴대전화는 학습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휴대 전화를 적절한 교수학습 도구로 사용했을 시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 한국어 발표불안 완화를 위한 비디오 피드백 활용 연구

        윤소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316

        외국인 유학생들의 발표불안을 완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비디오 피드백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 3명을 대상으로 비디오 피드백을 2회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들의 발표불안이 줄어든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다만 그 정도에 있어서는 개인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실험 이후 비디오 피드백의 효과에 대하여 긍정적이었다고 응답하였으며 자신의 발표 모습을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고 공통적으로 이야기했다. 이후의 발표를 위해 비디오 피드백을 다시 스스로 사용하겠냐는 질문에는 엇갈린 반응이 나왔다. 따라서 비디오 피드백은 한국어 발표 교육을 위한 수업에서 교사의 보조와 함께 제공된다면 그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비디오 피드백을 활용한 정서훈련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정서인식에 미치는 영향

        권경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287

        일반인이나 다른 임상 집단에 비해 조현병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게서 다른 사람의 감정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능력이 손상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정서 인식의 결함은 조현병 환자가 사회적으로 철수되고 소외되도록 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는 비디오 피드백을 활용한 정서훈련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정서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합천시 소재의 K 정신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만성 조현병 환자로, 처치집단 10명, 주의통제집단 10명, 비처치집단 10명 총 30명이었다. 처치집단에게는 비디오 피드백을 활용한 정서훈련프로그램과 병원 내 주간재활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주의통제집단은 비디오 피드백을 배제한 정서훈련프로그램과 병원 내 주간재활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비처치집단에게는 병원 내 주간재활프로그램만을 실시하였다. 정서훈련프로그램은 용인 정서관리훈련프로그램(Yongin-Emotion Management Training: Y-EMT)을 수정·재구성하여 주 2회 60분간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특질상위기분척도(Trait Meta-Mood Scale; TMMS)와 정서행동 평가에 더하여, 몰핑 기법을 이용하여 제작한 얼굴표정 정서인식 과제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보고식 정서 인식 능력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관찰자가 평가한 정서 인식에서 자기 감정 인식은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타인 감정 인식은 처치집단이 주의통제집단과 비처치집단에 비해 유의한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얼굴표정을 통한 정서 인식 정확도에서 처치집단이 주의통제집단과 비처치집단에 비해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넷째, 얼굴표정으로 통한 정서 인식 민감도에서 처치집단과 주의통제집단이 비처치집단에 비해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으며, 처지집단과 주의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만성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비디오 피드백을 활용한 정서훈련프로그램을 실시했을 때, 타인의 표정에 나타난 정서 인식 능력의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이 얼굴표정을 통한 정서 인식 향상에 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비디오 피드백의 경우 얼굴에 나타난 표정이 어떤 감정을 나타내는지 정확하게 인식하는 능력과 얼굴표정에 대한 민감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the emotional training program using video feedback facilitate emotion recognition for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a thirty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hospitalized in K mental hospital, located in Hapcheon. The participants was pseudo-randomly assigned to a treatment group(n=10), an attention control group(n=10), and the non-treatment group(n=10) For the treatment group, the patients were treated for eight session in a group therapy, the treatment protocol includes emotional training program using video feedback and the weekly rehabilitation program in the hospital. For the attention control group, the patients were treated the treatment protocol includes emotional training program without video feedback and the weekly rehabilitation program in the hospital. For the non-treatment group, the patients were treated only the weekly rehabilitation program in the hospital. The emotional training program based on Yongin-Emotion Management Training:Y-EMT, in which we amend and reconstructed for emotion recognition were done out twice a week for 60 minutes. All participants completed a Trait Meta-Mood Scale:TMMS, and an emotional behavior assessment by mental health practitioner, and a computerized facial morphing task. The results in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self-report emotion recognition ability. Second,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in self-emotion recognition in emotion recognition assessed by the observer. However, the treatment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effects in emotion recognition of others than those in the attention control group and the non-treatment group. Third, emotion recognition accuracy through facial expression of the treatment group was more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at of the attention control group and the non-treatment group. Fourth, emotion recognition sensitivity through facial expression of the treatment group and attention control group was more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e non-treatment group. The abov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emotional training program using video feedback for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i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ability to recognize other people’s emotion. In addition this program was effective for improving emotion recognition through facial express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비디오 피드백을 포함한 상황 이야기(social story) 중재가 초등학교 자폐 아동의 수업참여 행동 및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임은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2287

        자폐 아동은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제시되는 사회적 단서들을 정확하게 해석하고 이해하는 것과 타인 및 자신의 적절한 반응을 인식하는데 어려움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인식의 결함은 상황적인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적절한 행동에 대한 인식의 부족으로 학급이나 수업 참여에 있어서 문제 행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러한 문제 행동은 학교 생활이나 또래 관계 등 여러 가지 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중재 방법이 요구된다. 자폐 아동의 문제 행동을 다루는 중재 방법은 자폐 아동의 인지적, 행동적 특성에 맞게 고려되어야 하며, 각 아동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개별적인 것이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중재 방법 중 하나는 자폐 아동의 특성을 반영한 개별적이고, 시각적인 교수 방법이며, 자폐 아동을 위한 사회적 상황에 대한 단서와 적절한 행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황 이야기 중재 방법이다. 상황 이야기 중재를 통해 자폐 아동의 문제 행동이 감소하고, 적절한 사회적 행동을 나타낸 결과들이 외국 문헌을 통해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특수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상황 이야기 중재가 지니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폐 아동이 지니는 시각적인 강점을 고려하여 비디오 자기 관찰 기법인 비디오 피드백을 포함하는 상황 이야기 중재를 실시함으로써 자폐 아동의 수업 참여 행동 발생률과 문제 행동 발생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천 S 초등학교의 특수 학급에서 수업 중 문제 행동을 보이는 자폐 아동 세 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의 세 단계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각 아동별로 기초선 4∼10회기, 중재 11∼24회기, 유지 4회기로 진행되었다. 중재 단계에서는 교실에서 연구자와 일대 일로 상황 이야기를 읽고, 이야기를 나눈 뒤, 자신의 모습이 담긴 비디오를 함께 관찰하였고, 수업 참여 행동 발생률과 문제 행동 발생률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중재 전 10분 동안 특수 학급 교사와 일대 일로 학습하는 상황에서 부분 간격 시간 표집법(partial interval time sampling)을 사용하여 관찰, 기록하였다. 또한 중재 효과가 유지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중재 종료 4주 후에 각 아동마다 4회기 동안 기초선과 동일한 상황에서 10분간 수업 참여 행동과 문제 행동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 아동 세 명의 수업 참여 행동이 기초선에서 낮은 발생률을 보였으나 비디오 피드백을 포함한 상황 이야기 중재 이후에 증가하였다. 둘째, 대상 아동 세 명의 문제 행동이 기초선에서 높은 발생률을 보였으나 비디오 피드백을 포함한 상황 이야기 중재가 시작된 후 감소하였다. 셋째, 세 명의 대상 아동 모두 비디오 피드백을 포함한 상황 이야기 중재를 통해 증가된 수업 참여 행동 발생률과 감소된 문제 행동 발생률이 유지되었다. 위의 결과를 통해 비디오 피드백을 포함한 상황 이야기 중재가 자폐 아동의 수업 참여 행동 발생률의 증가와 문제 행동 발생률의 감소 및 유지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비디오 피드백을 포함한 상황 이야기 중재는 사례 아동의 수업 참여 행동 발생률의 증가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 전략으로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자폐 아동의 문제 행동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으로서 상황 이야기 중재가 효과적임을 보고한 선행 연구를 지지하며, 국내 특수 교육 현장에서 상황 이야기 중재가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 h 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using video feedback in social story intervention to increase on-task behaviors and to reduce problem behaviors for three children with autism Intervention was conducted with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educator provided social story book activities and video feedback The evaluation was for 10 minutes before each intervention by partial interval time sampling and the intervention was offered for 20 minu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the subject's on-task behaviors were increased through using video feedback in social story intervention 2 The frequency of the subject's problem behaviors were reduced through using video feedback in social story intervention 3 The frequency of the subject's on-task behaviors and problem behaviors were maintained through using video feedback in social story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using video feedback in social story intervention is effective for children with autism who had problem behaviors And it was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existing literature and the need for futur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