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李贄의 여성관 연구

        박찬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明末 李贄(1527∼1602)의 여성관에 대한 철학적 탐구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李贄의 여성관이 그의 철학적 사유에 토대 해 있음을 밝히고, 李贄의 여성관의 의미와 지위를 드러내는 데 있다. 李贄의 여성관에는 그가 일구어 낸 삼교합일과 만민평등, 그리고 음양론과 동심론이 잘 녹아 있다. 그러나 한편 李贄의 여성관에 대해 이중적이라는 비판이 없지 않은 데 필자는 그것의 원인을 李贄의 철학의 모순에서 살폈다. 모순된 철학의 귀결로서의 李贄의 여성관이 가지는 근본적인 한계에도 불구하고, 李贄의 여성관은 전통적 여성관에서 비켜 선 것으로 그 자체의 의미와 지위를 평가할 수 있다. 李贄의 만민평등관의 배경으로 실존적 회의와, 삼교귀유설 그리고 그의 인간존재론의 근거를 들 수 있다. 李贄는 유·불·도를 재구성하면서 삼교의 합일, 곧 三敎歸儒를 이루는데, 삼교에 대한 이와 같은 그의 관용은 남녀식견의 평등을 수용하는 배경이 된다. 또한 李贄는 인식주체의 명덕이 곧 불교의 대원경지이며, 모든 사람이 생지를 갖추어 태어났다는 데서 범인과 성인, 천자와 서인의 일치를 구했다. 그러나 삼교합일의 추구나 만민평등의 제시가 남녀평등의 전환을 위한 직접적인 담론은 아니다. 李贄의 여성관을 이해하기 위한 철학적 담론으로 필자는 다음 둘을 주목했다. 그것은 전통적인 周易에 대한 이해와 그가 새롭게 통찰해 낸 자아론이다. 필자는 동심에 대한 李贄의 통찰은 그의 독특한 자아론을 형성하는 데, 이는 남녀의 대대 이전에 한 개체의 고유성에 주목하여 결과적으로 남녀식견의 평등론을 제시할 수 있게 한 담론이었다고 간주한다. 그러나 필자는 무엇보다 李贄의 남녀관이 주역의 음양론의 영향 아래에 있음을 적시했다. 물론 그의 음양론은 차별이 아닌 차이로서의 유별을 정당화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나, 여전히 그것은 인간 존재의 근거를 보편적 동심에 둔 그의 인간존재론과 모순을 일으킬 문제를 안고 있다. 동심에 기초한 보편적인 인간존재론이 다시 內外의 유별을 함의한 남녀관을 취하는 모순의 문제가 李贄의 남녀관을 이루고 있다. 정합을 이루지 못하는 논의의 근원은 李贄의 새로운 여성관이 기성의 남녀관의 틀을 벗어나지 못한 채 제출되었던 데에 기인한다. 그러나 李贄의 여성관은 음양론을 견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통적인 여성관에서 비켜 서 있었다. 이는 중국의 전통적인 여성관의 일별을 통해서 확인될 수 있는 것이다. 李贄의 여성관의 제출은 중국여성사에서 비교할 수 없는 전대미문의 사건인 데 이는 또한 서구 최초의 페미니즘인 자유주의 페미니즘의 측면에서 살폈을 때도 유의미한 측면이 있다. 부녀 재가와 자유로운 배우자의 선택에 대한 李贄의 주장에서, 그리고 국가와 가문의 흥망의 원인을 여성에게 돌리는 그간의 설명 방식을 분명히 반박하고, 처음으로 남녀동석의 교육을 실시하며, 남녀식견의 불평등론에 대해 구체적인 반론을 제기하는 데서 남녀평등 사상의 맹아를 읽는 것은 정당하다. 李贄의 여성관은 남녀유별과 동심에 기초한 보편적인 인간존재론의 모순이 해결되지 않은 채 남녀식견의 평등으로 그 한계를 드러냈다. 남녀유별과 동심에 기초한 보편적인 인간존재론의 모순 해법은 앞으로 이론의 재구성을 통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李贄의 여성관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새롭게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 하나는 철저하게 이지의 동심론을 통해 그의 여성관을 재구성하는 방법이며 다른 하나는 그의 부부론이 함의하는 차이를 적극적으로 되살려 재구성하는 방법이다. 전자는 이지 철학에서 길어 올린 그의 자아론을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이며 후자는 전통적인 음양론의 영향사에 놓인 이지의 철학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는 것인데, 양자 모두 오늘날 서구 페미니즘 철학의 일부와 비교될 측면이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작업은 이 논문 이후의 과제이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Li Chih(李贄)''s conception of women, concentering on revealing a strong connection between his conception of women and philosophical discourseLi Chih''s viewpoint on women is influenced by his philosophical discourse on ethics, cosmology such as The Three teaching Converge in Confucianism(三敎歸儒), human equality, yin-yang doctrine, and the childlike mind and heart(童心). In this paper, I keep an eye on two significant philosophical discourses to understand Li Chih''s conception of women, one is Li''s cosmology, yin-yang doctrine, and the other is Li''s idea of the self, On the Childlike Mind and Heart. The one feature of Li Chih''s conception of women is that it''s under traditional yin-yang doctrine. The most remarkable characteristic of Li Chih''s yin-yang doctrine, to some extent, does not imply the hierarchical distinction of the male-female, in other words, traditional women-oppressive doctrine. But Li Chih''s ambivalent conception of Women has been criticized, it is a natural consequence of his philosophical discourses''s inconsistence. I consider that Li Chih'' gender equality discourse is a result that produced under the influence of childlike mind and heart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theory of new human existence. However, the background issue is whether ontological yin-yang doctrine is compatible with the universal self, the childlike mind and heart. The problem is that Li Chih''s yin-yang doctrine can not be easily compatible with the childlike mind and heart in principle. More significant is the fact that Li Chih''s the childlike mind and heart is under yin-yang doctrine, so that he can only insist on the spiritual, and the intellectual equality, not on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equality between the sexes. Li Chih''s conception of women, however, breaks itself of a traditional conception of women, and it has also its own distinctive aspects even when compared with the view of Liberal feminism. Li Chih''s defense of gender equality, advising women to remarry, and co-education are good examples which make his philosophy be the first feminist theory in China history. Li Chih''s conception of women has still implies philosophical discourses''s inconsistence, which is a problem awaiting solution. To solve the problem of Li Chih''s ambivalent conception of Women is twofold: (1) it is likely to create gender free perspective through the childlike mind and heart, and (2) it is likely to inquire into gender differences under yin-yang doctrine. At any rate, the investigation of Li Chih''s conception of women by gender free strategy or gender sensitive strategy will be the subject matter of the following study.

      • 피부미용 실습교육에서 비디오 피드백의 제공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박찬영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사 중심의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으로 변해가고 있는 요즘, 비디오 피드백은 학습자들이 동작에 대한 정보를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 스스로 행동교정에 대한 학습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본 연구는 피부미용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피부미용 실습교육 중 클렌징 테크닉을 배우는 과정에서 비디오 피드백을 적용하여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를 비교분석하여 학생들의 피부미용 실습교육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설계는 양적연구로 피부미용 실습교육에서 비디오 피드백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적용하였다. 2014년 3월부터 6월까지 주1회 150분 피부미용 전공수업을 수강하는 충남소재 H대학교의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군 16명, 대조군 16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절차는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대조군은 강의와 시범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교육방법을 제공받았고, 실험군은 전통적인 교육방법과 함께 비디오 피드백을 적용한 교육방법을 제공받았다. 실험 중간 주차에 실험군과 대조군의 학업성취도 중간평가를 실시하고, 실험이 종료된 후에 실험군 대조군 사후조사를 시행하였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측정도구는 이석재 등(2003)이 개발하고 조윤정(2011)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고, 학업성취도 평가도구는 정가애 등(2013)이 개발한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학습만족도 검사 도구는 최정은(2013)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평가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의 계수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디오 피드백을 제공받은 실험군과 받지 않은 대조군의 사후검사 검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t=7.363, p=.016), 각 집단별 검증결과도 실험군(t=-8.005, p=.000)이 대조군(t=1.074, p=.038)보다 통계적으로 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으므로 ‘피부미용 실습교육에서 비디오 피드백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높을 것이다.’의 제 1가설에 대해서 입증되었다. 둘째, 학업성취도 중간평가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t=1.766, p=.090), 최종평가에서는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학업성취도 점수가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높아(t=6.325, p=.047), ‘피부미용 실습교육에서 비디오 피드백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학업성취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의 제 2가설에 대해서 입증되었다. 셋째, 학습만족도에서 실험군 4.27±0.43점, 대조군 4.18±0.56점으로 전반적으로 두 그룹 모두 높은 점수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t=.491, p=.168), ‘피부미용 실습교육에서 비디오 피드백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학습만족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의 제 3가설은 기각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피부미용 실습교육에서 비디오 피드백의 활용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 교육임이 입증되었으나, 학습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학습만족도는 비디오 피드백을 받은 실험군과 받지 않은 대조군 모두 높은 점수의 결과를 보여 연구대상이 1학년 1학기 처음 피부미용 전공수업인 것을 감안한다면 비디오 피드백을 적용한 피부미용 실습교육 또한 학습자들에게 흥미 있는 교육방법이라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피부미용 실습교육에서 비디오 피드백의 제공은 자기주도적 학습으로 학업성취도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비디오 피드백은 동료평가와 더불어 피부미용 교육에 있어서 다양한 교과목에 적용하여 연구가 진행되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서울의 외국인 밀집지역 유형화와 도시·건축 환경에 관한 연구

        박찬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Against the backdrop of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ers residing in South Korea recently witnessed, various issues related to immigrant communities have been observed across the South Korean society. On such grounds, this study aims to delve into the fundamental cause of these issues. Current policies for foreigners in South Korea lacks the flexibility to embrace the diversity of immigrant communities. Also, since studies related to policies for foreigners in South Korea are not only outdated, but also since the data used in the studies are heavily weighted towards residential purposes of foreign nationals only, these studies and policies fail to take into account the diverse residential types and nationalities of foreigners. Policies and studies regarding immigrants that have been created in the past seem to have disregarded the diverse circumstances and characteristics of immigrants and immigrant communities, but instead focused only on specific situations or characteristics. This lack of diversity proved to be inappropriate for accommodating the constantly changing and multiplying immigrant communities. The foremost goal for the future regarding immigrant communities in South Korea is to identify elements found commonly across all immigrant communities to formulate policies and conduct studies that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an inclusive culture. To address the issues found in current policies for immigrants in South Korea,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distinct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ies from which the immigrants have come; compares and analyzes such characteristics; categorizes the areas densely populated with foreign nationals in Korea into different types; and seeks methods to achieve social integration by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t aspects of urban architectural environment for each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practically applied to designing new policies and follow-up studies on immigrant communities in South Korea to ultimately help immigrant communities successfully assimilate into Korean society and to truly accomplish social integration among Korean nationals and immigrants. The study first categorizes immigrant communities in South Korea into different types based on social capital and cultural aspects of the communities, which are regarded as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immigrant communities. Next, the study examines the urban architectural environment of each type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rban architectural environment an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for each type of immigrant community. The brief summary of each chapter is outlined below. Chapter two focuses on community theory and national culture theory. Based on these theories, elements related to social capital and elements that serve as the basis of value judgments for immigrant communities apart from the social norm are examined. Next, studies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immigrant communities and the existing categorization of these communities are studied. The above theories and preceding studies become the backbone of this study in drawing up the variables that are regarded as characteristics unique to immigrant communities. In chapter three, the overall process of categorizing multiple immigrant communities is designed and variables for the study are extracted. Firstly, the areas heavily populated with immigrants to be studied are selected. Based on the theories and preceding studies mentioned in the previous chapter, variables for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ve countries from which the immigrants have come and variables for distinguish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circumstances and status in South Korea are identifi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mmigrant communities by the native country of the immigrants. In chapter four, cluster analysis is conducted based on the data derived from the previous chapter. The collected data is standardized and non-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i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number of clusters. Then,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is conducted to categorize the immigrant communities that show similar characteristics into four clusters. Lastly, ANOVA (Analysis of variance) test is conducted to validate the variables. Chapter five delves deeper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lements of urban architectural environm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four types of immigrant communities. Firstly, the four types of immigrant communities are analyz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Next, elements of urban architectural environment of each type are analyzed to identify how the characteristics of immigrant community affect the urban architectural environment for each type. Last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elements are identifi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categorize immigrant communities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architectural environment of each type, and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elem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deepen our understandings of immigrant communities in the future.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critical resources for developing policies for immigrants currently residing in South Korea as well as for presenting a new paradigm for studies and policies for foreign nationals in the future. It is highly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moting true social integration by helping the immigrants settle and assimilate successfully into Korean society. Successful assimilation of foreign nationals into Korean society will precipitate multiple positive effects including enhancement of the city’s image and revitalization of the regional economy. Moreover, the assimilation of immigrants into the culture will elevate the national image as a country that embraces cultural diversity and fosters inclusion on a global level. 본 연구는 국내 체류 외국인의 급증과 이주민 공동체에 대한 다양한 사회적 이슈가 대두되면서 무엇이 문제인가 의문을 제기하면서 시작하였다. 현재 국내 외국인 정책은 이주민 공동체의 다양성을 받아드리기에 부족하고 관련 연구는 과거 외국인 밀집지역의 일부 외국인 체류 기준에 따른 결과물로 현재 외국인의 국적과 체류유형의 다양함을 분석하지 못해 현재 이주민 공동체와 외국인 밀집지역 상황에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는 이주민 공동체와 관련된 정책과 연구가 이주민의 상황을 이해하고 특성을 고려한 정책과 연구가 아니라 현재 이슈와 상황에 대한 것만 고려하여 상황이 조금만 변하여도 기존의 정책이 작동하지 않는 결과가 나타나는 등 빠르게 증가하고 다양화되어가는 이주민 공동체를 수용하기는 적합하지 않았다. 상황이 변하여도 변하지 않는 이주민 공동체의 특성을 조사하여 그에 맞는 정책과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주민 공동체의 안정적 정착과 성공적 사회통합을 위해 국가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고유의 특성을 실증 조사하고 국가간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국내 외국인 밀집지역의 유형을 도출하고 유형별 도시·건축적 영향과 사회통합을 위한 방향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유형별 외국인 밀집지역에 적합한 연구가 진행되고 새로운 정책이 수립되어 다양한 이주민 공동체의 안정적 정착과 국내사회로의 동화를 이룰 것을 기대한다. 본 연구는 국내 상황이 변하여도 국가별 이주민 공동체의 근본 속성인 사회자본과 문화 특성이 반영된 외국인 밀집지역 유형을 도출하고 도시건축의 특성을 조사하여 이주민 공동체의 특성과의 연관성을 고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첫째, 공동체 이론과 국가 문화이론에 대해 검토하였다. 공동체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사회자본 요소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국가의 사회적 규범과는 다른 어떠한 행동을 위한 가치판단의 근거가 되는 국가 문화이론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외국인 밀집지역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기존의 유형화 연구를 검토하였다. 3가지 선행연구를 검토하면서 이주민 공동체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변수를 도출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3장은 외국인 밀집지역의 유형을 도출하기 연구 설계와 변수 측정을 하였다. 우선 연구대상 지역과 대상 국가를 선정하고 선행연구와 이론을 근거로 출신국 특성을 분석하는 변수와 체류국 거주지의 현황을 분석할 수 있는 출신국 변수와 체류국 변수를 선정하고 국가별 이주민 공동체 특성을 실증 조사하였다. 4장은 측정한 국가별 이주민 공동체 데이터를 기반을 두어 군집분석을 하였다. 군집분석을 하기 위해 실증 조사된 다양한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비계층군집분석을 통해 군집의 수를 정하고 계층적군집분석을 통해 유사한 특성을 보인 4가지 군집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ANOVA 검증을 통해서 변수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5장은 도출된 외국인 밀집지역 유형 4가지의 이주민 공동체 특성과 도시건축 환경 특성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우선 도출된 4가지 유형이 어떠한 요소들에 의해 유형화되었는지 유형별 이주민 공동체 특성을 조사하여 유형별 특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이주민 공동체의 특성이 외국인 밀집지역의 도시건축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유형별 도시건축 환경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두 특성간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적 분석을 통해 외국인 밀집지역의 유형을 도출하고, 유형별 도시건축 환경의 특성을 확인하고 두 특성간 연관성을 확인한 첫 도시·건축 연구라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결과물을 통해 이주민 공동체에 대한 이해와 유형별 외국인 밀집지역의 도시건축 환경과 그에 따른 현재 정책 수립과 보완에 대한 주요한 시사점을 가지며 새로운 패러다임의 이주민 관련 정책과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외국인 밀집지역의 유형에 적합한 정책이 수립되고 보완되어 이주민의 안정적인 정착과 국내 주류사회와 동화를 이루어 한국과 성공적인 통합이 되길 기대한다. 이를 통해 지역 경제에는 도시 이미지 개선과 도시 활성화 등 긍정적 영향을 주어 다양성도 인정하는 성공한 다문화 국가로 발돋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어린이철학 도덕교육론 정초에 관한 연구 : 립먼의 듀이 철학 수용과 변용을 중심으로

        박찬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Many researchers acknowledge the connection between the philosophy for children and Dewey’s philosophy, but little has been said about how Dewey’s philosophical ideas influenced it This gave rise to the problem of not accurately explaining the formation of children’s philosophy’s moral education. As a result, teachers and researchers focused on applying philosophy for children in class without the groundwork of philosophy for children’s moral education theory. This study justifies that the philosophy for children’s moral education is the result of the interpretation and transformation of Dewey’s philosophical system, clarifies that it is an effective pedagogy in achieving moral autonomy and moral socialization,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Korean moral education. The study began with an outline of Dewey’s philosophy: naturalistic metaphysics, instrumentalist theory of knowledge, ethics and moral education. Dewey defines the naturalistic metaphysics as ‘cognizance of the generic traits of existence.’ One of its categories is ‘the event’, which means to be “in a moving, growing never finished process”, the other is ‘the relationship’, which includes the interaction of the organism with the environment and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of body-mind. Next, Dewey’s theory of knowledge, excluding traditional epistemology such as the quest for certainty, is presented as what he termed a “warranted assertion.” Finally, Dewey’s ethics emphasizes the ethical inquiry, instead of universal ethical principles, and focuses on the problem-solving by the use of moral imagination. Dewey’s moral education is presented on the individual and the social level; birth of the public and of the great community created by the activity of intelligent inquiry and communication. Lipman’s philosophy for children is under the influence of Dewey philosophy. First, philosophy for children, influenced by Dewey’s metaphysics, rejects dualism. Lipman accepts Dewey’s concept, ‘the tertiary quality’ which pervades in the problem situation. As Dewey’s theory of knowledge is not a quest for certainty but a theory of reasonableness, philosophy for children seeks also the theory of truth, ‘reasonableness’. Lipman took Dewey’s “warranted assertions”, and shared Dewey’s conception ‘imagination’ that implies the mental rehearsals with possible outcomes. Finally, philosophy for children emphasized an ethical inquiry that followed Dewey in pursuit of reasonable judgment and reasoning. Dewey’s belief that the growth of personal experiences must be realized in the community also continues to philosophy for children. Philosophy for children’s moral education adopted and transformed Dewey’s philosophical system. First. what was accepted is Lipman’s higher-order thinking presented in 1991 in which Dewey’s reflective and qualitative thinking are, in that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are guided by the pervasive quality of the inquiry situation. In addition, the emphasis on ‘reasonableness’ in philosophy for children can be said to be the acceptance point of Dewey’s theory of knowledge, denying the moral law as synthetic a priori propositions. Finally, Dewey's insight that the problem of moral education is the same as that of democracy, leads to the demand of the inquiry community as a democratic community for Lipman. But Dewey’s philosophical system is also transformed in philosophy for children’s moral education. Lipman defined higher-order thinking as a fusion of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but by 1995, he further refined it by including caring thinking. Again in 2003, Lipman calls critical thinking, creative thinking and caring thinking multi-dimensional thinking or transactive thinking. Next, the transformation of Dewey's scientific inquiry into philosophical inquiry is a feature of the philosophy for children. Finally, for Dewey, the inquiry was considered possible in both formal and hidden curriculum, so that he did not need to have a separate subject for moral education. But Lipman found it more appropriate to set up an ethical inquiry as an independent subject for practice and for the intrinsic value of the subject. Philosophy for children’s moral education as doing philosophy is characterized by ethical inquiry and an integrated moral education. Philosophy for children, on the one hand, stands for a philosophy, and on the other, for a pedagogy. Using narrative texts and philosophical inquiry communities as methodologies under the regulative idea of reasonableness and democracy enabled philosophy for children to be effective pedagogy for moral education at the individual and social levels. However, philosophy for children must be a pedagogy that is effective in achieving the two goals of moral education, moral autonomy and moral socialization through the unique methodology under the regulative idea of reasonableness and democracy. But it is inherently limited by the very nature of pedagogy, not science of education, but practical theory. In other words, it is not the only child philosophy, but also is limited in that it cannot cover all the strengths of other pedagogies that foster moral and civil character. Nevertheless, when our moral education pursues the ideals of moral education of moral autonomy and socialization together with the cultivation of moral and civil character, philosophy for children’s moral education must be one of the most effective moral education pedagogy for this.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for children’s mor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firm before presenting suggestions about Korean moral educatio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philosophical education are seen here and there in the Middle School Ethics and in the High School Life and Ethics. In particular, higher order thinking is presented in middle school Ethics, and the community of ethical inquiry is introduced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Life and Ethic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reference book. However, these contents and methods are disorganized in the content and method of children's philosophy. In addition, the reference book seems to have mistaken the community of ethical inquiry as a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as a means, not as a methodology. But a bigger problem than this is the lack of linkage in school grades. According to the philosophy for children, elementary students could engage in ethical inquiry. Finally, the story texts of philosophy for children would be a good reference, considering that korean elementary moral textbooks have not stimulated the moral imagination. Despite these criticisms, it is significant that 2015 Revised Curriculum has embrace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philosophy for children. However, to be moral education as doing philosophy, a more rigorous understanding of philosophy for children’s moral education should be accompanied; in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basic ethical inquiry’ should be introduced, and in the secondary moral education, a more systematic moral inquiry and the construction of ‘community of ethical inquiry’ should be called for. 어린이철학과 듀이 철학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자들이 인정하고 있지만, 어떤 개념이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주었는지에 관한 논의는 드물었다. 그 관련성에 주목했을 때조차도 듀이 철학의 일부에 국한해서 어린이철학과의 연관 지점을 부분적으로 해명하는데 그쳤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어린이철학 도덕교육론의 형성을 정확하게 설명해 내지 못하는 문제로 이어졌다. 그 결과 연구자들은 어린이철학 도덕교육론의 정초 없이 대체로 각자 실천적 입각점에서 어린이철학을 응용하는 데 그치고 말았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에서 이 논문은 듀이 철학 전체를 조망하며 어린이철학과의 관련성을 밝히는데서 시작하였다. 논문은 어린이철학 도덕교육론이 듀이 철학의 수용과 변용의 결과임을 정당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철학이 철학함으로서의 도덕교육이자 통합적 도덕교육으로서 도덕적 자율성과 사회화를 성취하는 데 유효한 ‘페다고지’임을 밝혀 어린이철학 도덕교육론을 정초하며, 그것이 갖는 한국 도덕과 교육에 대한 함의를 제언하고자 하였다. 먼저 논문은 듀이 철학을 자연주의 형이상학, 도구주의 인식론 및 자연주의 윤리학 및 도덕교육으로 그 대강을 제시하였다. 듀이는 형이상학의 역할을 ‘존재의 일반적인 특징을 인식’하는 데서 찾았는데 형이상학적 범주 중 하나는 ‘사건’이다. 이는 존재하는 모든 것을 ‘동사적’으로 파악하겠다는 것이다. 또 다른 형이상학적 범주는 관계로서, 유기체와 환경의 상호작용 및 신체-마음의 불가분리의 관계가 여기에 해당한다. 한편 듀이 인식론은 확실성에 대한 탐구와 같은 전통적인 인식론을 배제하고 탐구를 통해 잠정적으로 보증된 주장을 추구한다. 이러한 듀이의 도구주의 인식론은 그의 자연주의 형이상학과 함께 자연주의 윤리학을 함축한다. 듀이의 윤리학은 윤리학적 원리 대신에 ‘더 나은 것이 선’이라는 명제를 표방하며 윤리적 탐구를 강조하고, 도덕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문제 해결에 주력한다. 그 결과 듀이에게서 기존의 공리주의나 칸트의 윤리학은 비판 대상이 되고, 도덕교육에서도 새롭게 규정된 습관과 충동, 지성 개념이 도덕적 행위를 설명한다. 듀이의 도덕교육은 개인적 차원과 함께 사회적 차원으로 제시되는데 이는 한편으로는 탐구와 의사소통에 의한 공중의 탄생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민주적인 공중들의 집합으로서 거대공동체의 구현으로 이어진다. 립먼의 어린이철학은 이상과 같은 듀이 철학의 영향 아래에 있다. 먼저 립먼의 어린이철학은 사고와 정서, 신체와 정신, 사실과 가치 등의 이분법을 배제한다는 점에서 이원론을 거부하는 듀이 형이상학의 영향 아래에 있다. 또한 립먼은 듀이와 같이 상황의 특수성에 대한 파악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문제상황 속에 스며들어 있는 제3성질이라는 듀이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인다. 한편으로 듀이의 인식론이 확실성에 대한 탐구가 아니라 합당성에 있듯이, 어린이철학도 근사치 혹은 적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당성을 진리론으로 동일하게 추구한다. 립먼은 듀이의 ‘보증된 주장’을 직접 취하고, ‘사고’를 듀이와 같이 자연적인 과정이고 도구적이며 활동적인 것으로 간주했다. 립먼은 문제해결 과정에서 가능한 결과들을 예견하는 듀이의 상상력의 함의를 공유하며, 듀이와 마찬가지로 관람자로서가 아니라 탐구자로서의 인식주관을 제시했다. 끝으로 어린이철학 윤리학에서도 공리주의와 칸트의 의무윤리, 가치명료화가 모두 비판된다. 아울러 립먼의 어린이철학은 듀이를 따라 보다 나은 논거를 추구하는 윤리적 탐구를 중시했다. 끝으로 개인의 경험의 성장은 공동체 속에서 구현되어야 한다는 듀이의 믿음 역시 립먼에게 이어진다. 어린이철학 도덕교육론에서 듀이 철학의 영향을 수용과 변용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용 지점부터 살피면, 듀이의 반성적 사고와 질성적 사고가 1991년에 제시된 립먼의 고차적 사고 속에 계승된 것이 대표적인 것이다. 그 외에 어린이철학에서 합당성의 강조도 듀이 철학의 수용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듀이의 합당성 개념이 도덕교육 차원에서 적용되어 선험적인 도덕법칙을 부정하고 문제상황을 해결하는 행위와 가치 개념을 연결시키게 했듯이, 립먼에게서 합당성은 추론과 판단의 조합의 결과이며 사고기술의 발달이 도덕교육의 관건이 된다. 끝으로 도덕교육적 문제의식은 민주주의의 문제와 동일하다는 듀이의 통찰 역시 립먼에게 민주주의 공동체로서의 탐구공동체가 요청되는 것으로 이어진다. 어린이철학의 탐구공동체에는 듀이의 거대공동체 이념이 보존되어 있다. 그러나 듀이 철학은 어린이철학 도덕교육에서 변용되기도 한다. 립먼은 고차적 사고를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의 융합으로서 정의했지만, 이후 1995년에 이르러서는 배려적 사고를 추가하며 재정의했다. 다시 2003년이 되면 립먼은 비판적 사고, 창조적 사고, 배려적 사고를 다차원적 사고 혹은 트랜스액티브 사고로 명명한다. 이는 듀이에게서 없었던 새로운 사고의 범주이다. 다음으로 듀이의 과학적 탐구를 철학적 탐구로 전환시킨 점을 변용의 특징으로 들 수 있다. 교실공동체의 확보는 듀이의 영향임에 틀림없지만, 어린이철학의 철학적 탐구공동체는 ‘철학적 탐구’를 강조한다는 의미에서 듀이 철학에서 없었던 것이다. 끝으로 듀이에게서 탐구는 교과활동과 비교과활동에서 가능한 것으로 보았기 때문에 그는 도덕교육을 위해 별도의 과목을 둘 필요가 없었고, 그래서도 안 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립먼은 실천적으로, 그리고 교과가 갖는 내재적 가치 때문에 윤리적 탐구를 독립교과로 마련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보았다. 결국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독립교과로서 ‘윤리적 탐구’를 다룰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어린이철학 도덕교육론은 듀이 철학을 수용하고 변용시키면서 장기간에 걸쳐 형성되었다. 어린이철학 도덕교육은 철학함으로서의 도덕교육으로 윤리적 탐구를 특징으로 하고, 통합적 도덕교육으로서의 성격 또한 갖고 있다. 즉, 그것은 도덕적 사고와 정서, 행위를 통합하고, 사실과 가치를 통합하며, 도덕적 상상력을 도덕교육 속으로 통합한다. 철학함으로서, 그리고 3중의 통합을 갖춘 도덕교육으로서 어린이철학은 다차원적 사고, 트랜스액티브 사고의 이름으로 사고력 교육을 목표로 삼았다. 어린이철학은 한편으로는 철학함을, 다른 한편으로 사고 페다고지를 표방하지만, 이 둘을 유기적으로 묶어내는 것이 방법론이다. 어린이철학은 합당성과 민주주의의 규제 이념 아래에서 이야기 텍스트와 철학적 탐구공동체를 방법론으로 삼는다. 특히 철학적 탐구공동체는 어린이철학으로 하여금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의 도덕교육을 동시에 구축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립먼의 어린이철학이 합당성과 민주주의라는 규제 이념 아래, 고유한 방법론을 통해 도덕적 자율성과 도덕적 사회화라는 두 가지 도덕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유효한 ‘페다고지’임에 틀림없지만 페다고지는 교육과학이 아니라 실천이론이라는 바로 그 ‘페다고지’ 본성에 의해 내적인 한계를 갖는다. 다시 말해, 립먼의 어린이철학은 ‘어린이와 함께 하는 철학(Philosophy with Children)’을 대신하지 못하고, 그 밖의 가능한 ‘어린이철학(Child Philosophy)’이 존재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그리고 도덕적, 시민적 인성을 함양케 하는 그 밖의 여러 페다고지들의 장점과 의의를 모두 포괄할 수는 없다는 점에서 제한적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도덕교육이 도덕적․시민적 인성의 함양과 함께 도덕적 자율성과 사회화라는 도덕교육의 목표를 이상으로서 추구할 때 어린이철학 도덕교육은 이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도덕교육 페다고지 중 하나임에 틀림없다. 이상과 같은 어린이철학 도덕교육론의 관점에서 한국 도덕과 교육에 대한 제언을 하기 전에,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는 철학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산견된다는 것이다. 특히 중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및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과 ‘생활과 윤리’는 일부이지만 철학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포함하고 있다. 다시 말해, 중학교 도덕과 내용체계에는 고차적 사고력이 명시되어 있고, ‘생활과 윤리’의 교수․학습 방법에는 탐구공동체 혹은 윤리적 탐구공동체의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교과는 어린이철학의 내용과 방법이 비체계적으로 흩어져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생활과 윤리’나 ‘윤리와 사상’에서는 모두 ‘도덕적 탐구’가 강조되고, 일부에서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탐구공동체’ 혹은 ‘윤리적 탐구공동체’가 권장되고 있지만 그 안내는 소박하다. 게다가 윤리적 탐구공동체가 탐구적 절차에 대한 소개로 그치고 있는 것은 철학적 탐구공동체를 방법론이 아니라 하나의 수단으로서의 교수․학습방법으로 오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지적보다 더 큰 문제는 학교 급별의 연계성 차원이 결여되었던 데 있다. 초등 도덕과에는 탐구적 대화 및 도덕적 성찰을 강조하는 부분이 적은데, 어린이철학에 따르면 초등학교 중․고학년은 윤리적 탐구를 시도하기에 충분한 연령이다. 따라서 초등학교 중․고학년 도덕과에서 윤리적 탐구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지금까지 초등 도덕교과서가 흥미롭지 않고, 도덕적 상상력을 자극하지 못하는 전개가 적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었음을 염두에 두면 어린이철학의 이야기 텍스트도 좋은 참고사항이 될 것이다.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은 중등 도덕과를 중심으로 철학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수용된 것은 고무적이다. 이후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는 어린이철학 도덕교육론에 대한 엄밀한 이해를 통해, 보다 더 세련된 기술 방식과 안내 혹은 연수가 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초등 도덕과에서는 기초적인 ‘윤리적 탐구’가 도입되어야 할 것이고, 중등 도덕과에서는 보다 더 체계적이고 유기적인 ‘도덕적 탐구’와 그것을 가능하게 할 ‘윤리적 탐구공동체’의 건설이 요청되어야 할 것이다.

      • 방호용 군용차량 플랫폼의 구조 최적화 설계

        박찬영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he design optimization of military wheeled vehicle platform under design constraints was studied at conceptual design phase. The multi-design-constraint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urvivability, mobility and structural stability ; especially, survivability such as ballistic and mine protection is considered most critical in the design fields of the ground weapon systems. Therefore, in this study, ballistic and mine protections along with the least twist deformation were selected as the multi -disciplinary design constraints, and also the light weight which affects vehicle mobility was included in the purpose function. The final design was optimized according to the four phases. As the first phase, the reliability of ballistic and mine blast analyses should be proven valid as tools to perform the virtual tests. In order to prove the simulation reliability, the simulation results of ballistic and mine blast were compared with the test results of flat armor plate. As the second phase, the length, width and height of a base model by reviewing from the dimensions of similar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bat vehicles were decided. The thickness of front, side, top, rear and bottom of a base model was selected as design variables and then ballistic and mine blast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cide at each thickness level according to the MIL and NATO standard. As the third phase, the effect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design variables which affect performance indices such as ballistic protection, mine blast protection, structural strength and stiffness. The two design variables were extracted from the first five design variables by a main effect analysis and an ANOVA (Analysis of Variance) method. This phase was also divided to four steps, and as the 1st step, the design variables which affect purpose function and design constraints were selected from a base model. As the 2nd step, test cases were decided through DOE (Design of Experiment). As the 3rd step, the numerical analysis for test cases were performed, and then as the 4th step, design variables which affect performance indices were extracted by ANOVA and main effect analysis, and then they were redefined. As the fourth phase, the 2nd DOE for the two design variables which were extracted from five design variables at the previous phase were executed to minimize test cases, and then the 2nd analysis were also performed. Finally, the best optimal thicknesses satisfied with the purpose function and three design constraints at each position was decided by the optimal procedure of RSM (response surface method) as a statistical way. In this study, the optimal design procedure for combat vehicle platform with protection capacity was suggested and an optimized set of plate thicknesses was decided to satisfy the desired condition of three constraints and one purpose function. 본 논문은 휠 타입의 군용 전투차량 차체 플랫폼 기본설계 단계에서 다분야 설계제한 조건을 고려한 최적화 설계에 대한 연구이다. 다분야 설계제한 조건으로는 생존성, 기동성, 구조 안전성 등 여러 가지 성능조건이 있으며, 특히 생존성 조건인 피탄 및 지뢰폭압 방호는 여러 설계제한 조건 중 지상무기분야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성능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분야 설계제한 조건을 피탄 및 지뢰폭압 방호와 차량의 내구성에 영향을 주는 최소 비틀림 변위로 정하였고, 또한 차량의 기동성능을 좌우하는 경량화를 목적함수로 정하였다. 최적화 설계는 총 4 단계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실험점 수행을 위해서 가상실험 방법인 피탄, 폭압 시뮬레이션의 신뢰성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설계변수 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피탄 및 폭압해석 결과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기 수행되었던 평판 장갑판재의 피탄 및 폭압 실험과 해석결과 비교를 통한 해석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최적화 차체 플랫폼 설계를 수행하기 위해서 단순화된 기준모델을 결정하는 단계로써, 기 개발되어 상용화 되어 있는 국내 ⋅외 유사 군용 전투차량의 제원을 기준으로 길이, 폭, 높이 등을 결정하였다. 차량 차체의 전면, 측면, 상부, 후면 및 바닥면의 두께를 설계변수(design variables)로 결정하였고, MIL 및 NATO 군사규격 범위내의 설계변수 수준을 정의하기 위해서 피탄 및 폭압해석 등의 충격해석을 수행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 피탄 방호, 지뢰폭압 방호 및 구조 플랫폼 강도, 강성 등의 성능지수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설계변수를 결정하기 위해서 효과 분석 (effect analysis) 수행하는 단계이며, 분산분석 (ANOVA)과 주효과 분석 (main effect analysis)을 통해서 총 5개의 설계 변수로부터 2개의 변수를 추출 하였다. 효과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또한 4 단계로 나누어지는데, 1 단계는 기본모델에서 목적함수와 설계제한조건에 영향을 주는 설계변수를 선택한 후, 2 단계에서 시험계획법 (DOE)을 사용하여 실험점을 생성하였고, 3 단계는 생성된 실험점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고, 4 단계에서 해석결과를 이용하여 해석결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선별하는 방법으로 진행한 후, 주효과 분석과 분산분석을 사용하여 각 해석조건별 성능지수에 유의한 설계변수를 재 정의 하였다. 네 번째 단계는 전 단계에서 재 정의된 유의한 설계변수로 부터 2차 실험계획법을 사용하여 실험점의 수를 최소화하고 각 실험점의 해석을 수행한 후, 최종적으로 통계적인 방법인 반응표면법 (response surface method)의 최적화 절차를 적용하여 설계변수의 최적 두께치수를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결과로서 목적함수인 차체 경량화, 설계제한 조건인 피탄 방호, 지뢰폭압 방호 및 비틀림 최소 변위 등을 만족시키는 군용 전투차량 차체 플랫폼의 위치별 최적 두께치수를 결정하였고, 방호용 군용 전투차량 차체 최적화 설계방법을 제시하였다.

      • 육군 임무형 지휘의 탐색적 고찰과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 사례연구 중심으로

        박찬영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9년 현재, 한국 육군이 채택하고 있는 리더십의 구현 모델은 임무형지휘이다. 임무형 지휘가 우리 군에 도입된 시기는 20여년이 넘었으나, 아직까지 제대로 착근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임무형 지휘에 대해 독일과 미국의 임무형 지휘를 시대별로 탐색하여 의미를 고찰하고 미국과 독일, 베트남, 그리고 6.25전쟁의 전투사례에 대해 임무형지휘의 원칙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우리 육군의 전 제대 인원이 쉽게 이해함으로써 우리 군에 임무형지휘가 활성화 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연구목적을 두었다. 연구는 기존의 임무형 지휘에 관한 각종 문헌 자료와 연구논문을 통하여 임무형 지휘의 본질을 탐색적 고찰과 임무형지휘의 발생과 발전과정을 독일군의 임무형 지휘와 미군의 임무형 지휘를 제시하며 군 조직의 특성과 현대 전쟁 양상에 따른 임무형지휘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임무형지휘를 적용한 다양한 전투사례를 분석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임무형지휘 발전방안을 제시함으로서 임무형지휘를 실제로 정착시키는데 활용하도록 발전을 도모하였다. 임무형 지휘는 전장의 불확실성이라는 변하지 않는 전쟁의 본질속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지휘의 술과 통제의 과학 사이에 균형 유지를 가능하게 하여 성공적인 지휘통제로 이끌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본 논문의 전투사례 연구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복잡하면서도 불확실한 현재와 미래 전장에서 주도권을 유지한 가운데 전장에서 승리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지방대학교 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삶의 의미가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박찬영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지방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생활스트레스, 삶의 의미, 자살 생각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생활스트레스를 당면과제 스트레스와 대인관계 스트레스로 나누고 각 스트레스가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생활스트레스가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칠 때 삶의 의미의 조절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에 사용된 세 가지 변인 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전라북도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대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 도구는 개정판 대학생 생활스트레스 척도(전겸구, 김교현, 1991), 자살 생각(신민섭, 1992), 삶의 의미 척도(Steger, Frazier, Oishi, & Kaler, 2004)을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6.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 방법으로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스트레스가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생활스트레스와 하위변인인 당면과제 스트레스와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스트레스와 자살 생각 간의 관계에서 의미 발견이 조절변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당면과제 스트레스와 자살 생각 간의 관계에서는 삶의 의미와 하위요인인 의미 발견과 의미 추구 모두 조절변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생활스트레스와 자살 생각 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의미 추구는 조절효과가 없었다. 다섯째,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자살 생각 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하위요인인 의미 추구와 의미 발견은 조절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방대학교 학생의 자살 생각에 있어 생활스트레스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만, 삶의 의미가 조절 변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설문 대상은 전라북도 지역에 위치한 한 지방대학교 학생들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지방대학교 학생 전체로 일반화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방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양적 연구로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설문을 진행하는 동안 응답자들의 바람이나 개인적인 상황에 따라 응답이 편향되거나 왜곡되는 문제가 발생했을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자료 수집 방법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단순한 연구모형을 설정했기 때문에 스트레스 및 자살 생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우울, 무망감, 속박감 등과 같은 다른 변인들은 고려하지 않았다. 지방대학교 학생의 자살 예방에 대한 효과적인 정보를 얻기 위하여 이러한 변인이 추가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생활스트레스가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칠 때 삶의 의미의 조절효과가 일관적이지 못했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른 설문지를 사용하거나 표집 대상을 수정함으로써 반복 연구를 통한 조절효과 검증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life stress, the meaning of life, and suicide ideation in rural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subvariables of life stress, immediate task stress and interpersonal stress, and suicide ideation was examined. Th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meaning of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e ideation was also examin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500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Jeollabuk-do area. The measurement tools used were the revised version of the University Student Life Stress Scale(Jeon & Kim, 1991), Suicide Ideation (Shin, 1992), and the Scale of the Meaning of Life(Steger, Frazier, Oishi, & Kaler, 2004). Data was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6.0 progra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test the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life stress on suicide ideation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life stress and two subvariables of life stress had an effect on suicide ideation. Second, search for meaning played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e ideation. Third, the meaning of life and two subvariables, played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mmediate task stress and suicide ideation. Fourth, the meaning of life and presence of meaning had no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e ideation. Fifth, the meaning of life and two subvariables had no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suicide ide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life stress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suicide ideation of rural university students, but the meaning of life could be a moderating variabl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rom one university located in Jeollabuk-do area.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tudy to other rural university students. It is necessary for further studies to include other rural university students from various locations. Second, this study was a quantitative study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refore, the response might be biased or distorted depending on the personal wishes or circumstances of the respondents.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include diverse data collection methods. Third, the study established a relatively simple research model. Other variables such as depression, hopelessness, and constriction, which may be related to stress and suicide ideation, were not considered..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include these variables in order to obtain effective information on the suicide prevention of rural university students. Fourth, in this stud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meaning of life was not consist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e ideation.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through repeated research using other questionnaires or modifying the subjects sampled.

      • 그림중심 그림책 읽기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및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박찬영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그림중심 그림책 읽기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및 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인지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험연구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김포시에 위치한 비슷한 생활수준을 보이는 두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사전검사를 통해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한 후 실험을 적용하고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 언어능력검사는 이경화(2004)에 의해 개발된 ‘한글출발, 한글도착’검사를 사용하였고, 창의성 검사도구는 이경화(2014) ‘유아용 통합창의성검사(K-ICT)'를 사용하였다. 그림중심 그림책 읽기활동을 실시하기 위한 그림책으로 유아의 연령과 흥미를 고려하여, 그림중심의 그림책을 12권 선정하였다. 실험은 2017년 10월22일부터 11월17일까지 6주에 걸쳐 주2회씩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유아는 그림중심 그림책 읽기활동을 하고 그림책을 보고 이야기나누기를 실시한 후 사후활동으로 그림중심 내용과 관련된 문학, 미술활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그림책을 읽고 감상하는 활동을 하였다. 검사지의 통계처리를 위해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실험 전 집단의 언어와 창의성 수준에서 동질성 확인을 위해 사전검사 점수를 이용하여, 두 집단 간 평균차이 검증(t-test)을 실시하였고 실험을 마친 후 실험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동질성이 확보된 요인에 대해, 사후검사 점수를 이용해 집단의 평균차이 검증을 재실시하였다. 사전검사에서 동질성이 확보되지 않은 요인에 대해서는 사전검사의 결과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중심 그림책 읽기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그림책을 읽어주기만 한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말하기 능력을 제외한 유아의 읽기, 듣기, 쓰기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고 전체 언어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중심 그림책 읽기활동이 유아의 언어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이며, 도형 창의성 향상에는 효과를 확인하지 못하였으나, 전체 창의적 능력 향상에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결과 그림중심 그림책 읽기활동이 언어능력 및 창의성 향상에 매우 도움이 되었으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rt-centered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and crea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4-year-old children with similar living standards attending two kindergartens in Kimpo city, who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after confirming the homogeneity of the groups through a pre-test, the experiment was applied and a post-test was performed. As the inspection tools, the 'Hangul starting and Hangul arrival' test developed by Lee Kyung-hwa (2004) was used to test language ability, and K-ICT (Integrated Creativity Test for Infants) of Lee Kyung-hwa (2014) was used to test creativity. The 12 picture books needed to carry out the art-centered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were selected considering the age and interest of the childre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6 weeks from October 22, 2017 to November 17, 2017.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children did art-centered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and literature and art activities related to the contents after reading and talking about the books, while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read the picture books and did appreciating activities. The SPSS 24.0 program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examination sheets, and to confirm the homogeneity in the language and creativity level of the groups before the experiment, the mean difference test (t-test) was performed between the two groups using the pre-test scores. After the experiment,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experiment, the mean difference test (t-test) was re-performed on the factors with homogeneity using the post-test score. For the factors that were not homogeneous in the pre-test, covariance analysis(ANCOVA) was conducted with the result of the pre-test as the covari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did art-centered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showed more improvement of overall language ability excluding speaking ability than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whom the picture books were only read to. Second, it was found that art-centered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language creativity, and although improvement in figure creativity was not seen, it was found that the activities positively affected the overall creative ability improvemen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art-centered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were effective programs in that they were very effective in improving language ability and crea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