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출제한명령이 보호관찰청소년의 재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현주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curfew order on recidivism of juvenile probationers in case of controlling the influential variables of recidivism such as their personal, family, school and probation service facto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934 juvenile probationers under the age of 19 who were put under probation in 2010 in probation offices across the nation. Out of them, 967 teens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from among 5,186 probationers who committed another offense while being under prob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ther 967 adolescent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recidivist group. The recidivist checklists drawn up by their probation officers were analyzed by a binary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juvenile probationers investigated, they were at the average age of 15.97. 42.4 percent dropped out of school, and 51.1 percent couldn't live with their real parents due to family dissolution. They started to commit a crime at the average age of 14.99, and their mean previous crime frequency was 2.18. 53.2 percent were under probation because of theft-related crimes, and 44.7 percent became recidivists by committing a theft-related crime again. Second, when the recidivist group and non-recidivist group were compared, the recidivist group stated to commit a crime at a younger age, and their previous crime frequency was larger. They were from broken families such as single-parent families and were ever been abused by their parents. They had an experience to be expelled from school, and many were underachieving students. They had less experiences to participate in special programs provided by the probation offices. Third, curfew order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recidivism risk even after the influential factors involving personal, family, school and probation service factors were under control. When the control variables were additionally taken into account, the adolescents who weren't give the curfew order were 43.6% more likely to commit another offense than the others who were. Finally, experiences of taking special programs were identified as the factor to have the largest impact on their recidivism, followed by expulsion from school, academic achievemen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urfew order, experiences of being abused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rent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what kind of intervention should be provided for juvenile probationers to stay away from committing another offense was discussed. First, it's found that the curfew order exercised an influence on reducing the possibility of recidivism among the juvenile probationers. So future research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determining how to make use of the curfew order in a more effective way. Second, participation experiences in special programs were identified as the factor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curbing the recidivism of the juvenile probationers out of the multiple factors involving their personal factor, family factor, school factor, probation factor and curfew order. Therefore what kinds of programs could be most effective at preventing juvenile probationers from committing another offense should be investigated. Third, the school factor of the teens was found to exert a larger influence on their recidivism than their family factor, which indicated that school social work plans should be implemented in a more efficient manner. As those who were ever dismissed from school were twofold more likely to commit another offense than the others who weren't, more extensive educational welfare should be pursued to prevent adolescents from being dismissed from school. Finally, the juvenile probationers who committed more crimes, who were ever expelled from school, who lagged behind in academic achievement and whose families were broken were more likely to commit another offense, and adolescents who have those risk factors should be placed under stricter probation 본 연구는 보호관찰청소년의 개인요인, 가족요인, 학교요인, 보호관찰서비스요인 등 재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통제한 상황에서 외출제한명령이 보호관찰청소년의 재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0년 전국 보호관찰소에서 보호관찰을 실시한 19세 미만 청소년 중 보호관찰 기간에 재범한 5,186명 중 무작위 표본추출한 재범자 집단 967명과 재범자 집단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비재범자 집단 967명인 총 1,934명을 대상으로 보호관창청소년의 담당 보호관찰관이 작성한 재범자평가표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이 적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평균 연령은 15.97세이고 학교를 중퇴한 청소년이 42.4%를, 가정이 해체되어 친부모와 함께 살 수 없는 청소년이 50.1%를 차지했다. 최초 범죄연령은 평균 14.99세, 이전 범죄회수는 평균 2.18회였고 절도 관련 범죄로 보호관찰 중인 청소년이 53.2%였으며 마찬가지로 절도 관련 범죄로 재범한 청소년이 44.7%였다. 둘째, 비재범자 집단과 재범자 집단을 비교하였을 때 재범자 집단의 경우 최초 범죄연령이 낮았고 이전 범죄회수가 많았고 부모 형태가 한부모 등 결손되었고 부모로부터 학대받은 경험이 있었으며 학교를 탈락한 경험이 있었고 학업성취도가 하인 경우가 많았고 보호관찰소에서 특별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적었다. 셋째, 외출제한명령은 청소년의 재범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요인, 가족요인, 학교요인, 보호관찰서비스요인 등을 통제한 이후에도 재범 위험성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다. 통제변수를 함께 고려하였을 때 외출제한명령이 없는 청소년이 외출제한명령이 있는 청소년과 비교할 때 재범 위험성이 43.6%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보호관찰청소년의 재범 발생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특별 프로그램 참여 경험, 학교 탈락 경험, 학업성취도, 외출제한명령 부과 여부, 피학대경험, 부모 결손 유무 순이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호관찰청소년의 효과적인 재범 방지를 위해 더 필요한 개입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외출제한명령이 부과되는 것이 실제 보호관찰청소년의 재범 위험성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통해 외출제한명령을 보다 효과적으로 집행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이 제기되었다. 둘째, 개인요인, 가족요인, 학교요인, 보호관찰서비스요인, 외출제한명령 부과 여부 등 여러 요인 중에서도 보호관찰청소년의 재범 억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특별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었다는 연구 결과를 통해 과연 어떤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재범 억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청소년의 가족 요인보다 학교 요인이 재범 발생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통해 학교사회복지 사업이 더욱 효과적으로 실시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학교 탈락 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경험이 없는 청소년에 비해 재범 발생이 2배 이상 높은 바, 청소년이 학교를 탈락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교육복지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전 범죄회수가 많고 학교를 탈락한 경험이 있고 학업성취도가 낮으며 결손 가정에서 생활하는 보호관찰청소년이 재범위험성이 높다는 결과를 통해 이러한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의 보호관찰이 보다 심층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제주도지역 보호관찰청소년의 가족건강성, 학교적응성, 자아타력성과 정서행동문제 간의 관계 분석

        민윤희 조선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ays of effectively improving the externalized and internalized maladaptive behaviours of adolescents on probation by focusing on their personal strengths and temperament. This study seeks to find ways of promoting subjective well-being and improving the maladaptive behaviours of adolescents on probation. To this end, personal strengths intervention is used based on the standpoint of striving for a positive emotional behaviour state. Moreover,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externalized and internalized maladaptive behaviours of adolescents on probation and analysed the correlations among family strength, school adaptation, ego resilience, and the adolescents’ emotional/behavioural problems. The influence of family strength and school adaptation, with ego resilience as a mediator, on emotional/behavioural problems was investigated to reveal indirect/direct effects and structural causality among emotional/ behavioural problems. Based on the objectives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s mentioned abo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how severe are the emotional/behavioural problems of adolescents on probation? Second, what are the clinical classifications for these emotional/ behavioural problems? Third, are there differences among family strength, school adaptation, and ego resilience according to these clinical classifications? Finally, how do family strength and school adaptation, influence emotional/ behaviour problems in adolescents on probation, using ego resilience as a mediator?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administered to adolescents reporting to Jeju city’s only probation office. Approximately 360 out of 700 adolescents aged 13 to 19 years old, who were under the supervision and monitoring of the Jeju probation office, were surveyed. A total of 346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out of the 360 that were distributed, and 39 of these were excluded on the basis of being partially or insincerely answered. A total of 307 questionnaires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with SPSS 20.0 and AMOS 20.0 using differential calculu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ow severe are the emotional/behavioural problems of adolescents on probation? As for externalized behavioural problems, violation of probation requirements had the highest degree of severity, and externalized problems showed higher degree of severity compared to internalized behavioural problems. Adolescents with externalizing problems can be described as having a strong desire for recognition, and this suggests that externalized behavioural problems are related to the aggressive behavioural problems of adolescents on probation that occur because of attachment issues with their family members. In terms of the severity of emotional/behavioural problems in adolescents on probation, the total of all the behavioural problems showed a high degree of severity, and the externalized problems showed an even higher degree of severity than the total behaviour problems. As for the sub-factor, probation violation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severity in terms of problems. Internalized problems showed lower degrees of severity compared to the externalized problems and anxiety/depression, shrinkage/depression as sub-factors of internalized problems showed lower degrees. In sum, depression appeared to have little influence on the total problematic behaviours and externalized problems such as violation of probation and cognitive distortions are the highest causative of emotional/ behavioural problems in adolescents on probation whereas cognitive problems, aggressive behaviours, and social immaturity have an effect on the total problematic behaviours. Second, what are the clinical classifications for these emotional /behavioural problems? In this study, the externalized behaviour of probation violation showed a very strong correlation. The study results showed internalized problems are influenced by cognitive distortions such as self-degradation, social immaturity, anxiety, depression and externalized problems are influenced by violation, and aggression. Third, are there differences among family strength, school adaptation, and ego resilience according to these clinical classifications? An F-test was performed with the K-YSR scale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family strength, school adaptation, and the ego resilience of adolescents on probation influence the clinical types of emotional/ behavioural problems. Also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ment variables—family strength, school adaptation, and emotional/behavioural problems. Recent studies have recognized that family strength is an important factor in adolescents on probation. Studies had shown that physical health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Family strength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anxiety/depression in previous studies, an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consistent with this finding. The path coefficient results, which represent causality between the factors of emotional/behavioural problems, showed that family strength has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In regards to the school adaptation differences of adolescents on probation, according to emotional/behavioural problem clinical type, adolescents on probation have a very difficult time adapting to school due to uncontrollable anger, aggressiveness, and various internalized problems that make them feel nervous, intimidated, and distracted. School maladjustment begins in childhood and, when it gains prominence, it takes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and effort to change the behaviour.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needed in order to investigate possible ways of resolving the maladaptation by focusing on personal vulnerability rather than an individual’s positive aspec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ego resilience both in externalization and in internalization, showing a negative correlation in reference to emotional/behavioural problems in ego resilience differences according to clinical categories for adolescents. Externalization appeared to be more frequent than internalization. Subtypes of emotional/behavioural problems are all inherent in adolescents; however, knowing which kind of problem is more prominent is crucial. If externalized problems are more prominent, violence will be more prominent, and if internalized problems are more prominent, related psychiatric problems will arise. This study shows that emotional/behavioural problems have direct negative effects on ego resilience. Emotional/behavioural problems displa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ir relationships with ego resilience. Finally, how do family strength and school adaptation, influence emotional/ behaviour problems in adolescents on probation, using ego resilience as a mediator? A validation examination was performed in order to assess the emotional/behavioural model’s goodness of fit, and a test was performed on the measurement model to examine whether it successfully measures latent variable of measurement factors. The estimates of structural paths were calculated from the study model of emotional/behavioural problems, and the measurement model path coefficient was also calculated in order to test the statistical feasibility of the latent factors of the emotional/ behavioural problems study model and the relationships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latent factors. To speculate concerning the contributing factors that affect emotional/behavioural problems, the effects of path coefficients on emotional/behavioural problems, family strength, school adaptation, and the ego resilience measurement model were analysed,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ego resilience were investigated to see if they had significance in terms of family strength, school adaptation, or emotional/behavioural problems. The study results are certainly informative. Among family strength, school adaptation, and ego resilience according to internalized problem clinical types, family strength had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s, whereas ego resilience had the least significant differences. Similarly, family strength showed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s and school adaptation, showed the least among the externalized problem clinical types of family strength, school adaptation, and ego resilience. As for emotional/behavioural problems, family strength, school adaptation, and ego resilience were shown to be clinical issues. Such results suggest that family-related factors have the strongest influence on juvenile delinquents, causing them to be placed on probation and fall into clinical emotional/behavioural problems. Accordingly, ego resilience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paths of emotional/behavioural problems, family strength, and ego resilience. However, in terms of emotional/behavioural problems, neither paths of school adaptation, nor ego resilience showed an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family strength, as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adolescents on probation, has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ir emotional/behavioural problems. This implies that an unhealthy family environment leads adolescents to grow up under great stress. Thus, family strength served as the main factor that leads to these adolescents being socially stigmatized. The estimates of structural paths indicate that a healthy famil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ego resilience. However, in this study family interactions appeared to cause emotional problems, thus showing negative correlations with ego resilience. Ego resilience has to do with individuals’ person characteristics; thus, if one’s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is unhealthy, anger and impulsivity will arise. In this case, potential ego resilience may be less significant. Additionally, ego resilience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paths of family strength, ego resilience, and emotional/behavioural problems, but the mediating role of ego resilience was not significant for the paths of school adaptation, ego resilience, or emotional/behavioural problems. This suggests that the presence of healthy family relationships, loving parents, and caring will increase ego resilience and have positive influences on emotional/behavioural problems. Key words: Adolescents on probation, Family strengths, School Adaptatio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behavioural problems, Estimates of a study’s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ying the suitability of the emotional/behavioural problems measurement mode

      • 청소년 애착유형이 공격성과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보호관찰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경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인성이 형성되어가는 청소년기에 있어 부모와의 애착관계는 청소년의 행동이나 삶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가 없는 보호관찰청소년의 애착을 연구하고 싶은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애착관계가 잘 형성된 청소년은 자존감도 높고 자기통제력도 높아 범죄적 상황에서도 공격성과 비행성이 낮다는 기존의 선행 연구에 따라 보호관찰청소년이 일반청소년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 지 알고 싶었다. 이에 연구 목표는 보호관찰청소년과 일반청소년 간의 비교를 통한 청소년 애착유형이 공격성과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실험집단인 보호관찰청소년은 현재 보호관찰중인 15세 이상 19세 미만의 보호관찰 청소년 100명으로 표집되었으며, 통제집단은 분당 소재 고교에 재학중인 범죄력이 전혀 없는 15세 이상 19세 미만의 일반 학생청소년 90명으로 표집하여 변별력을 높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애착척도는 청소년 자신이 애착대상을 필요로 할 때 얼마나 반응적이냐에 따라 친밀성, 의존성, 불안의 정도에 따라 친밀애착(친밀↑의존↑불안↓), 의존애착(친밀↑의존↑불안↑), 불안애착(친밀↓의존↓불안↑)으로, 공격성 척도는 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분노감, 적대감으로, 비행척도는 폭력일반지위비행, 사회질서비행, 성비행, 재산비행으로 분류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호관찰여부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보호관찰청소년이 일반청소년에 비해 부모와 동거하는 비율, 부모의 학력, 생활수준이 낮았다. 또한 공격성과 비행에도 보호관찰청소년이 분노감, 폭력일반지위비행, 사회질서비행, 성비행에서 일반청소년 보다 유의한 차이가 났다. 둘째, 전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는 학교재학 그룹이 비재학 그룹보다 의존애착, 분노감, 폭력일반지위비행, 사회질서비행, 성비행에서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부모 동거 그룹이 비동거 그룹보다 폭력일반지위비행, 사회질서비행, 성비행에서 낮은 수치를 보였고, 생활형편에서도 못사는 청소년이 잘사는 청소년 보다 불안애착, 언어적 공격성, 분노감, 적대감에서 수치가 높았다. 셋째, 보호관찰청소년과 일반청소년 간 애착유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보호관찰청소년은 친밀애착(M=3.63)〉의존애착(M=3.16)〉불안애착(M=2.55) 순으로, 일반청소년도 친밀애착(M=3.64)〉의존애착(M=3.30)〉불안애착(M=2.51) 순으로 평균 수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집단 간의 친밀애착, 의존애착, 불안애착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청소년의 애착유형, 공격성, 비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보호관찰청소년의 경우에는 의존애착이 공격성 유형 중 분노감, 적대감과 부(-)의 관계를 보였으며, 일반청소년의 경우에는 불안애착이 공격성 중 신체적 공격성, 분노감, 적대감과 비행 중 폭력일반지위비행, 사회질서비행, 성비행, 재산비행과 정(+)의 관계를 보였다. 다섯째, 청소년 애착유형이 보호관찰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공격성의 하위요인 중 적대감에는 유의한 영향(R²=22.8%, P=.000, P<.001)이 나타났으며, 특히 불안애착이 일반청소년의 적대감에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불안감을 느낄 때 일반청소년들이 심리적으로 더 취약해 적대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여섯째, 청소년 애착유형이 보호관찰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불안애착에서 일반청소년이 폭력일반지위비행, 사회질서비행, 재산비행에서 낮은 영향이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불안감을 느낄 때 다소 비행성이 있는 보호관찰청소년 보다 일반청소년이 심리적으로 더 비행으로 빠질 가능성이 높음을 나타낸다. 위의 연구 결과, 청소년 애착유형이 보호관찰청소년과 일반청소년 간 차이점이 없으나 실제 공격성과 비행에는 질적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본 연구에서 보호관찰청소년 애착은 공격성을 매개로 해서 비행과 연결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어 보호관찰 지도현장에서 청소년의 애착에 더욱 활발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보호관찰청소년의 강점관점 사례관리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윤은미 계명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보호관찰청소년들이 가족, 학교, 사회환경 속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비행과 보호관찰처분 과정을 통해 자신과 자신의 삶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는지에 대해 탐색함으로써 그들의 삶을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강점관점 사례관리가 보호관찰청소년의 자기인식과 가족외 사회적 관계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에 대한 경험과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여 보호관찰청소년 대상 사례관리에 필요한 실천적 함의,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호관찰청소년 중 단기보호관찰(4호), 장기보호관찰(5호)를 받은 7명을 대상으로 10회의 강점관점 사례관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Clandinin과 Connelly의 내러티브 탐구에 의거하여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아래와 같이 시간적 차원에서의 참여자의 변화, 공간적 차원에서의 참여자의 변화, 사회적 차원에서의 참여자의 변화로 보호관찰청소년들의 강점관점 사례관리 경험의 의미가 도출되었다. 첫째, 시간적 차원에서의 참여자의 변화를 살펴보면, 연구 참여자들은 비행으로 인해 ‘문제아’, ‘보호관찰청소년’이라는 부정적 시선과 무시를 경험하여 자신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나 자신의 숨겨진 강점을 찾아갈 수 있도록 지지와 격려, 관심을 가지고 협력하였을 때 사례관리를 통해 자신감을 갖게 되었고, 주체적으로 자신의 삶을 계획하고자 하였다. 또한 또래 간 비행동조와 같은 부정적 관계를 정리하고 또래에 의존하기 보다는 독립적으로 생활하기 위한 도전을 하였다. 강점관점 사례관리에서의 존중받고, 지지 받는 경험이 사람에 대한 신뢰와 자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갖게 하는데 큰 의미가 있었다. 둘째, 공간적 차원에서의 참여자의 변화는 강점관점 사례관리는 연구 참여자들이 가지고 있는 욕구와 그것을 이루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공간, 고민을 털어놓는 공간, 자신이 존중받는 공간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강점관점 사례관리를 통해 자신의 강점과 내면의 힘을 발견하는 기회를 가졌으며, 스스로가 삶의 주인공이 되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해보는 연습을 통해 자신을 성숙시켜 나가는 긍정적 삶을 위한 ‘연습 공간’과 같은 의미가 있다. 셋째, 개인적․사회적 차원에서의 참여자의 변화를 살펴보면, 강점관점 사례관리를 통해 연구자와 참여자의 관계에서 ‘함께 하기’라는 상호작용이 이루어졌다. 이런 협력의 경험이 연구 참여자 개인내적으로는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사회적 차원에서 대인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 참여자들은 강점관점 사례관리 현장과 가족, 학교, 사회 환경이라는 공간에서 연구자, 가족, 선생님, 친구, 또래와의 관계에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강점관점 사례관리가 연구 참여자의 긍정적 자기인식, 대인관계 개선과 자신에게 처한 문제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기회의 장으로서의 의미가 크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강점관점 사례관리를 실천을 위해 사례관리자의 강점관점에 대한 인식탐색의 중요성과 강점관점 사례관리 시 보호관찰청소년에 대해 사례관리 안내교육의 필요성, 사례관리 실천에서 필요한 사례관리자의 상담기술 능력 함양과 보호관찰청소년의 내적 힘과 자기결정능력에 대한 신뢰와 지속적인 관심, 적극적 아웃리치의 필요 등의 실천적 함의와 보호관찰처분 전체과정에서의 강점관점 사례관리 적용을 위한 시스템 구축과 보호관찰청소년에 대한 개별화된 접근 방안 마련, 사례관리를 위한 지역사회복지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인적, 물적 자원의 활용방안 모색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understand the lives of the adolescents under probation by exploring their experiences in family, school, and social environment, as well as their recognition on themselves and on their lives as they went through a phase of delinquency and probation. Further, it aims to derive some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for case management approach with adolescents under probation by examining the management experience and its importance in terms of the changes that was brought by strength-based case management to the self-awareness of the teenagers under probation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family members and society. Accordingly, the research managed 10 strength-based cases with 7 adolescents undergoing either short-term probation (Juvenile Act Article 32, Section 1, Clause 4) or long-term probation (Clause 5), th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Clandinin and Connelly’s narrative inquiry to grasp the importance of case management experiences. The findings of research are summarized below in three dimensions; changes in the participants over time, changes in the participants over space, and finally, the social dimension of the changes in the participants. First, it was witnessed that the participants make changes over time. Initially, they had negative self-awareness due to negative views and disregard from the society upon ‘juvenile offender’ and ‘juvenile under probation’ for their delinquency, but they were able to have more self-confidence and become more autonomous with their life-plans. This change was possible through the case management that provided with emotional support, encouragement, and attention for them to find strength in themselves. Moreover, participants have managed to pull themselves out of the negative relationships among peers conforming to misbehavior, and challenged to be independent rather than being dependent on peers. The experience of being respected and supported during the strength-based case management showed its significance in building trust in people and in raising positive self-awareness. Second, the strength-based case management played an important role to provide a space with different functions which allows the participants to; express their desires and seek the ways to realize them, look for consultations, and be respected, which in other words can be referred as changes in participants over space. The participants were given an opportunity to acknowledge their strengths and inner power through the strength-based case management. This means that it provided with a “rehearsal space” for them to live a more positive life by maturing themselves through practicing problem-solving skills with their own issues while being the owner of their own lives. Third, the individual and social dimension of the changes in participants was seen in the interaction of “being togeth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nt and researcher throughout the process of taking the strength-based case management. This experience of cooperation helped the participants in individual level to have positive self-awareness, and in social level it encouraged them to work on interpersonal relations, which illustrated a positive change in their relationship between family members, teachers, friends, and peers in different spaces including where strength-based case management took place, as well as family, school and social environment. This research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strength-based case management is important in a sense that i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the participants to raise their positive self-awareness,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trengthen their problem-solving skills. In oder for the realization of strength-based case management, this research derives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First,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cluding; an importance of studying the perception of participants on strengths-based approach, counseling skill development for the case managers which is essential in case management, trust as well as continued attention on the inner power and self-determination capability of the adolescents under probation, and a need for active outreach. Second, political implications were outlined as devising a system to apply strength-based case management throughout the probation period, provision of ways in which an individual access is allowed for the adolescents, training for professionals on case management, and finally, securing both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by affiliating with local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 자원상담원의 보호관찰 청소년 상담경험에 관한 연구

        신혜란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ttempt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probation counseling, and to examine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counseling for juvenile delinquents under probation based on the counseling experience. Research participants were consisted of 11 volunteer counselors who are currently counseling for adolescent probationers at the probation office selected by theoretical sampling,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a semi-structured interviews.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applied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1998)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of analysi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147 concepts, 53 subcategories, and 19 categories were drawn. Analysis of correlations among the identified categories reached the causative conditions that appeared to be ‘The first start that is not as easy as thought’, ‘Uneasy encounter with adolescent probationers’, ‘A pity but also frightening child’, ‘Attitudes and recognition towards voluntary counseling activities of probation officer’, and the central phenomenon appeared to be ‘Continuing counseling as much as possible in spite of the agitation’. The contextual conditions that affect the central phenomenon and become the background of the whole paradigm appeared to be ‘An inapplicable counseling theory on probation consultation’ and ‘vulnerable environment of adolescent probationers’. In addition, the intermediary conditions that promote or inhibit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appeared to be ‘Factors that help probation counseling’, and ‘Energy obtained from accompanied colleague counselors’. Furthermore,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hich is a way of dealing with the central phenomenon appeared to be ‘Being on the same side with adolescent probationers’, ‘Not staying on the past of adolescent probationers’, ‘nudging gently along not to end the relationship’, ‘Being flexible in counseling’, ‘Providing practical help to adolescent probationers’, ‘Going together with the probation officer’. The final result appeared to be ‘Tolerating unskilled counseling’, ‘Adolescent probationers changing during counseling’, ‘The experience gained as time goes by’. In the process analysis that inks chronological counseling experiences of adolescent probationers, the volunteer counselors were shown to repeat the steps of ‘Getting to know’, ‘Waiting’, ‘Melting into’, and ‘Moving forward’ from the initiation step to the termination step of the consultation. The key category that represents the central subject of this research appeared to be ‘Enthusiastically starting the voluntary counseling for adolescent probationers, and then continuing to move forward within the range of their capacity as compromising with reality’. Also, as a result of categorizing the relationship and the pattern that appear repeatedly focused on the key category, the counseling type of volunteer counselors were intimacy type, substitutive parent type, counseling limit setting type, education guidance type. This study finds its purpose from utilizing the preliminary data that takes the entire view of the counseling process of adolescent probationers, to confirm recognition of the role of volunteer counselors, and to understan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counseling adolescent probationers at the national level. Also,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further profound comprehension of the adolescent probationers and help finding concrete measures for practical probation counseling. 본 연구는 자원상담원의 보호관찰 청소년 상담경험을 통해 보호관찰 상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이며, 보호관찰 청소년 상담과정과 보호관찰 청소년 상담 특성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 모집은 이론적 표본 추출에 따라 현재 보호관찰소에서 보호관찰 청소년들을 상담하고 있는 자원상담원 11명으로 이루어졌고, 반 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해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연구방법 중 근거이론 접근방법(Strauss & Corbin, 1990, 1998)의 주요 절차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147개의 개념, 53개의 하위범주, 1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범주들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인과적 조건으로는 ‘생각보다 쉽지 않은 첫 시작’, ‘만남 자체가 수월하지 않음’, ‘안타까우면서도 두렵기도 한 아이’, ‘상담에 대한 낮은 인식과 비협조적 환경’으로 나타났으며, 중심현상은 ‘흔들림 속에서도 내가 할 수 있는 상담을 계속함’ 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면서 패러다임 전체의 배경이 되는 맥락적 조건으로는 ‘보호관찰 상담에 적용하기 어려운 상담이론’ 과 ‘보호관찰 청소년들이 가진 취약한 환경’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중재적 조건으로는 ‘보호관찰 상담에 도움이 요인들’, ‘ 동료상담원과 함께 가면서 얻는 힘’으로 나타났다. 또 중심현상에 대처하는 방식인 작용/상호작용으로는 ‘보호관찰 청소년과 같은 편에 서기’, ‘보호관찰 청소년의 과거에 머무르지 않기’, ‘관계를 끊어지지 않게 살살 당기면서 가기’와 ‘유연한 상담하기’, ‘보호관찰 청소년에게 실질적인 도움주기’, ‘보호관찰관과 함께 협력하기’로 나타났다. 마지막 결과로는 ‘상담종결의 다양한 의미를 받아들임’, ‘상담 중 변화하는 보호관찰 청소년’, ‘상담효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 ‘시간이 지나며 얻게 되는 경험’으로 나타났다. 보호관찰 청소년 상담경험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결짓는 과정분석에서는 자원상담원이 보호관찰 청소년을 만나서 상담을 종결하기까지 ‘알아가기’, ‘기다려주기’, ‘내어주기’, ‘녹아들기’, ‘나아가기’ 의 단계를 반복적으로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본 연구의 중심주제를 대변하는 핵심범주는 ‘의욕적으로 보호관찰 청소년 자원상담을 시작했다가, 내가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현실적인 타협을 해가며 앞으로 나아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관계와 패턴을 유형화 한 결과 자원상담원의 상담유형은 친근형, 부모대리형, 상담한계 설정형, 교육지도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호관찰 청소년 상담과정을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자원상담원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며, 국가적인 차원에서 보호관찰 청소년 상담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이해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그리고 본 연구가 보호관찰 청소년을 조금 더 이해하고 실질적인 보호관찰 상담에 도움을 주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찾아가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보호관찰청소년 대상 보호관찰위원의 멘토링 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천주교 의정부교구 교정사목위원회 위원들을 중심으로

        김주연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2021년 대검찰청 자료에 의하면, 청소년 범죄 발생건수는 약 5만4천여 건에 이르고 있으며, 총 범죄 건수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2010년에는 5.8%, 2016년 3.9%(76,000명)등 소폭의 증감을 보이고 있지만, 강력범죄(흉악)의 발생 비는 2013년 34.4건에서 감소추이를 보이다가 2016년부터 꾸준히 증가하여 2021년에는 45.2건이었다(대검찰청, 2021). 아울러 성인 재범자수 및 재범률은 감소하는 반면, 청소년 범죄자 및 재범률은 증가하고 있다. 청소년의 보호관찰기간 경과 기준 재범 현황을 보면 2015년에는 83.3%, 2016년에는 88.6% 2017년 90.4%, 2018년 89.6%의 보호관찰 처분을 받은 청소년들이 1년 이내에 재범을 저질렀는데, 성인보호관찰 재범사건의 경우 2018년 64.9% 2019년 62.6% 것에 비교하여 현저히 높은 수준인 것이다(법무부, 2021). 소년보호관찰제도란, 비행 또는 죄를 저지른 소년을 교도소, 소년원 등 수용시설에 구금하지 않고 가정과 학교, 직장에서 정상적인 생활을 하도록 하되, 보호관찰관의 지도·감독을 통해 준수사항을 지키도록 하고 사회봉사명령이나 수강명령을 통해 범죄성을 개선하는 선진 형사정책이다(법무부, 2021). 2021년 전국 법원에서 결정된 소년보호사건 35,064건 중 보호관찰을 포함한 처분이 22,144건으로 63.2%에 이르고 있어 보호관찰은 실제로 가장 중요한 소년보호처분으로 활용되고 있다(사법연감, 2022). 2023년 현재 전국 18개 보호관찰소 및 39개지소에서 실시하는 멘토링 활동은 체험멘토링, 학습멘토링, 집단상담 형식의 멘토링으로, 체험 및 상담 활동을 하고 있었는데, 지역사회 환경이나 특수성을 고려해 한시적이거나 산발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주교 의정부교구 교정사목위원회'를 중심으로 하는 보호관찰청소년 대상 보호관찰위원의 멘토링 활동 경험을 총체적으로 살펴보고 유형화 하였는데, 특히 멘토와 멘티가 1:1로 매칭되어 최소 6개월∼1년 이상의 구조화 된 멘토링 (멘티 및 부모상담 및 가정방문, 동아리지원, 장학사업, 난방비지원 및 사후관리 등)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는 곳으로는 유일하다. 아울러 연구참여자는 멘토링을 5년이상 중단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보호관찰위원 9명을 2021년 7월부터∼2022년 4월까지 개인터뷰 및 포커스 그룹인터뷰 하였다. 청소년보호관찰 멘토링 활동의 시작에서부터 현재까지의 경험을 통해 멘토링 활동 과정 속에서 나타난 활동의 지속요인과 보호관찰처분을 받고 있는 비행청소년을 둘러싼 보호관찰소라는 특수한 환경의 이해를 통해 민간자원봉사 기관인 ‘천주교 의정부교구 교정사목위원회’와의 상호작용을 탐색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자료분석은 질적 사례연구로 수집된 자료의 녹취록의 내용을 반복적 분석하고, 보호관찰 멘토링 활동경험을 시간적 흐름에 따라 주요상황조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시간적 흐름에 따른 분석은 일련의 과정에 대한 분석으로 참여자들의 활동시작과 지속하고 있는 현재시점까지의 의미들을 살펴봄으로써 관련 상황을 도출하였다. 각 사례들의 멘토링 경험을 3가지 상위범주와 7가지 하위범주, 17가지 패턴을 분석하였는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범주화하고 패턴화 하였다. 분석결과 보호관찰위원의 멘토링 경험에 관한 과정은, 상위범주인 ‘사적인 시작과 느슨한 참여’로 나타났고, 이에 속한 하위범주는 ‘느슨한 참여의 계기’로, 패턴으로는 ‘개인적 동기와 관심’, ‘종교적 열정과 관심’, ‘느슨한 참여의 시작’으로 나타났다, 하위범주인 ‘서툰 초기 멘토링 경험’ 안에서는, ‘무작정 뛰어들기’ 시작한 첫사례, ‘서툴게 경계 허물기’로 나타났다. 상위범주인 ‘경험적 지식을 통한 멘토의 성장’은, 하위범주인 ‘열정과 냉정의 균형 찾기’ 안의, ‘멘티들의 성장과 자부심’, ‘열정을 냉각시키는 중단 경험’의 패턴으로, 하위범주인 ‘지속가능한 활동 위한 경계짓기’는 ‘돌아보기 : 개인이 아닌 환경’, ‘거리두고 인정하기’, ‘한계인정과 노하우 만들기’의 패턴으로 나타났다. ‘천주교 의정부교구 교정사목위원회’ 활동의 지속요인으로는 상위범주인 ‘지속가능한 보호관찰의 환경적 배경’의, 하위범주인 ‘지속의 어려움 : 구조적 한계’ 안에서는, ‘보호관찰 활동의 유연함 : 양날의 검’, ‘비협조적인 기관의 모습’, ‘봉사라는 근본적 한계’로, 하위범주인 ‘지속의 배경⑴ : 오래된 끈끈함’ 안에서는, ‘느슨하지만 단단한 맺음’, ‘구성원들의 신뢰와지지’ 패턴으로, 하위범주인 ‘지속의 배경⑵ : 자원의 특수성’에서는 ‘신앙적 공동체의 특성’, ‘교구의 지속적인 관심’ 으로 나타났다.

      • 보호관찰을 받은 청소년들의 경험 연구

        정기명 성균관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9727

        Examining the probation experience of adolescent probationers is the best way to determine whether adolescent probation prevents adolescent delinquents from committing second offense and rehabilitates them by guiding them in the right direction. This study arose from the necessity to consider what effects adolescent probation has on the life of adolescent delinquents by looking at their probation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an insider. This study uses the grounded theory, because it systematically reveals the conditions and context in which adolescent probation is effective. In this study, 14 adolescents were interviewed, and 4 different types of probation experiences were classified through an open, connecting and selected coding process of the interview data. The four probation categories include “active compliance-heteronymous,” “active compliance-autonomous,” “passive compliance,” “ reluctant compliance.” Participants classified as “active compliance-heteronymous” abide by their probation punishment and make genuine efforts to try to improve their way of life. They accept the probation officer's unilateral and coercive instruction, as it can keep them in line. “Active compliance-autonomous” individuals obediently abide by the probation guidelines. However, in their autonomous behavior, they do not voluntarily follow the coercive commands of the probation officer. They have a willingness to change their behavior and can benefit from probation without the supervision of a probation officer. While those of the “passive compliance” type outwardly conform to the probation, they do not accept the probation internally. They just want to remove themselves from the current situation that seduced them into delinquency. Individuals of the “reluctant compliance” type display outward conformity to probation because they fear additional punishment, and their animosity and antipathy accumulate in their minds. Thus, they want to get through their probation punishment as quickly as possible. From technically analyzing the data into a process of reactions, coping mechanism, and adjustments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five steps to an adolescent probation were identified: encounters→delinquency→probation→reflection→hope. These steps are specifically described as follows: “lonely friends meet,” “they seek to gratify their desire and engage in misconduct for amusement,” “they outwardly conform to probation,” “they express inner acceptance or harbor antipathy,” and “they try to erase the memory or to have hope.” Whether an adolescent probationer converts his outward conformity to probation into inner acceptance or reluctance depends on his reflection and repentance regarding his misconduct. Repentance comes from a sense of guilt, and a sense of guilt comes from the conventional step of morality in which an action is morally accepted by the approval of others. However, without a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that promotes respect for the laws of society, nobody can make progress in the conventional step of morality. The problem is that there is no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Most adolescent delinquents come from families in which there are structural and functional defec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the fact that if an adolescent probationer remains in the preconventional steps of morality caused by a negative support system, the two goals of probation-the prevention of recidivism and rehabilitation-cannot be fully accomplished.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several important fact: First, adolescent probation that seeks the prevention of recidivism and rehabilitation should consider concrete and realistic measures to develop adolescent delinquents' morality. Second, adolescent probation should provide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not only to the adolescent probationer but also to his family which may not be adequately supportive. Third, probation officer should become a resource broker who can take advantage of a variety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 the community. 청소년 보호관찰이 과연 선도를 통한 비행청소년의 재범방지와 재활이라는 입법취지에 부합하는 실효성을 거두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청소년 보호관찰 대상자들의 생생한 보호관찰경험을 들여다보는 것이다. 이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서 비행청소년들에게 보호관찰경험이 그들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내부자적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보호관찰이 구체적으로 그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 근거 짓기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이 방법론이 구체적인 조건과 맥락 속에서 보호관찰경험의 의미를 밝히는데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보호관찰을 받은 청소년 1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하였으며, 심층 면접을 통해 얻은 원자료를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한 결과 보호관찰경험을 ‘적극적 순응형-타율형,’ ‘적극적 순응형-자율형,’ ‘소극적 순응형,’ ‘반감적 순응형’ 등 4 가지로 분류하였다. ‘적극적 순응형-타율형’은 보호관찰을 받는 것에 대해 외형적으로 순응하는 모습을 보이며 이것을 내면적 수용으로 전환해 자신의 삶의 태도에 대한 개선의 계기로 삼고자 한다. 특히 그들은 보호관찰관의 강압적이고 일방적인 지시를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있는데 이것이 나약한 의지를 지닌 자신을 붙잡아 준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적극적 순응형-자율형’의 경우 역시 보호관찰을 순순히 받아들인다. 그러나 매사에 자율적인 모습을 보이기에 보호관찰관의 강압적인 지시를 못마땅하게 생각한다. 그는 변화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기에 보호관찰관의 지도감독 없이도 자신의 삶을 반성하며 잘못된 생활태도를 고쳐 나간다. ‘소극적 순응형’의 참여자들은 보호관찰에 대한 외형적 순응을 내면적 수용으로 전환하지 못한 채 그들을 범죄로 유혹하는 현 상황을 벗어나고 싶은 마음만이 있을 뿐이다. ‘반감적 순응형’의 참여자들은 보호관찰에 대한 외형적 순응은 가중처벌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선택한 전략일 뿐이며 그들의 마음속에는 적개심과 반감이 쌓여 가고 있다. 그래서 그들은 귀찮고 짜증나는 보호관찰을 받는 현 상황을 한시 바삐 벗어나고 싶어 한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현상에 대한 반응과 대처 그리고 조정을 기술하는 과정분석을 통해 비행청소년의 보호관찰경험을 만남→비행→보호관찰→성찰→소망의 5단계 로 파악해 볼 수 있었는데 이들 각 단계는 구체적으로 ‘외로운 친구끼리 만나기’, ‘욕망의 충족과 유희로서의 비행’, ‘보호관찰에 외형적으로 순응하기’, ‘내면적 수용 또는 반감쌓기’, ‘기억지우기 또는 소망갖기’로 전개됨을 알 수 있었다. 보호관찰에 대해 모든 연구참여자들이 공통적으로 보이는 외형적 순응의 이면에서 이처럼 보호관찰에 대한 내면적 순응이나 또는 반감이라는 상반된 반응이 일어나는 까닭은 자신의 비행에 대한 진정한 후회와 반성이 있느냐의 여부에 달려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후회와 반성은 죄의식에서 비롯되고 죄의식은 인습단계의 도덕성이 형성되어 있어야 생겨나며, 인습단계의 도덕성은 타인의 승인을 통해 어떤 행위가 옳은 행위인지를 배울 수 있고, 법과 사회의 질서를 존중하는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른바 심리적 지지체계의 존재를 필요로 한다. 그런데 문제는 대부분의 비행청소년들에게는 이런 심리적 지지체계 대신에 구조적이며 기능적인 결손 가정이 야기하는 부정적 지지체계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부정적 지지체계로 인해 청소년보호관찰대상자가 전인습적 단계의 도덕성에 머무를 경우 비행청소년에 대한 보호관찰은 재범방지와 재활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제대로 달성할 수 없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중요한 사실을 깨닫게 해준다. 첫째는 재범방지와 재활을 목표로 하는 청소년 보호관찰이 가장 관심을 기울여야 할 점은 도덕성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체적이며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점이며, 둘째는 청소년보호관찰대상자 뿐 아니라 그들에게 부정적 지지체계의 기능을 하는 가족들에 대해서도 보호관찰에서 활용되고 있는 교정 및 재활 프로그램을 포함한 사회복지적 개입이 있어야 한다는 점이며, 셋째는 이를 위해 보호관찰관은 케이스워커(case worker)의 역할을 넘어 체계적으로 지역사회의 다양한 인적 물적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자원중개자(resource broker)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이다.

      • 보호관찰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비교

        문성숙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was to compare with 2 groups in order to see the differences of the career self- efficacy,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earch was performed as below; 114 Juveniles in probation and 147 average adolescents were picked and tested the questionaries of career self- efficacy,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se questionaries were gathered and analyzed by SPSS 12.0 statistics package. And the differences of 2 groups were conducted by F Verification Average Compari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there were not any meaningful differences of the career self- efficacy between Juveniles in probation and average adolescents. This study showed that everyone in 2 groups collected the information of their career, planed what to do with their goal setting and made their efforts and estimated themselves. Second, there were not any differences in their recognition of career decision level of between Juveniles in probation and average adolescents. This study represented that all in 2 groups confirmed the trouble factors of career decision level, experienced conflicts, found out information about career and had serious attitude for it. Thir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etween Juveniles in probation and average adolescents. In this study, Juveniles in probation were more prepared f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an average adolescents. The reason of this results seems to be effects of programs which Probation Center ran during probation for Juveniles in probation. Also, Juveniles in probation knew the needs of career, got information about career and tried to get a certificate or license. To sum up, there were not any differences of career self- efficacy, career decision level between Juveniles in probation and average adolescents. However, in the difference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Juveniles in probation were higher than average adolescents. The hope through this study is to be taken advantages of reference in making a program that guides juveniles in difficulties during career development.

      • 보호관찰청소년 대상의 멘토 활동실태 분석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변순희 계명대학교 여성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27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mentoring activities from mentors who have mentoring experience on teenagers on probation and to suggest a proposal on ways to revitalize the mentoring. To achieve this purpose, a textual study and a research were both used.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mentors with experience in mentoring activity on teenagers on probation from April 13, 2006 to 26th. Out of 80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tally 75 of them were sued in the analysis. Using a statistical program, SPSS 12.0K,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in the mentoring education and supervision, the satisfaction was high in mentoring education while that of supervision was low. People answered that the education program and training of supervision lacks real activities. Second, in the individual program and group program, the research was conducted according to mentors'gender of whether or not the mentor-mentee shares the same gender by t-test. As a result, there was a more positive answers from those who shared the same gender. Also, more than half of the people answered that the appropriate period of mentoring activities is the same as the period of probation. This shows a divergence from the reality where the period of mentoring activities last one year. Third, a research on the satisfaction about the institute was conducted to see the difficulties of carrying on the role of a mentor. Among the inquiry items, there was a high percentage of positive answers in 3 items. However, there was a low percentage of positive answers in financial support and remuneration of the institute. Through this result, it is evident that the financial support and remuneration is not appropriate although there is an appropriate cooperation and psychological support from the institute. Last, about the effectiveness of mentoring activities, there was a high percentage of positive answers about changes in the mentees. I was able to recheck the effects of the existing mentoring programs. Although there was only a small difference between the mentors' sex on the effectiveness, it was more effective when the mentor-mentee were of the opposite sex.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d like to make below proposals. First, in order to vitalize the mentoring activities, there must be an education where the contents of mentoring and supervision can be used in the reality. Second, the institute must consider appropriate financial support and remuneration. Third, there is a necessity to lengthen the period of mentoring program considering the period of probation. Forth, the effectiveness was high when the mentor and mentee shared the same sex. Thus, in order for a balance in the genders, an effort must be made to enhance the rate of participation of male mentors. Fifth, there is a necessity for a legal and a systematic provisions regarding mentoring activities of teenagers on probation. The advantages of the mentoring activities of teenagers on probation include creating an emotional relationship for a mentee's emotional tie and creating a broader system of support through mutual satisfaction. Also one can protect and guide the teenagers on probation as well as improving the teenagers'quality of life in the welfare perspective through the mentoring activities. If the mentoring activities which have many advantages are amended and supplemented, not only the future of teenagers but also that of the society will be bright. (초록) 본 연구는 보호관찰청소년 대상 멘토 활동 경험이 있는 멘토를 대상으로 멘토 활동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여 멘토활동의 활성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여 연구하였으며 조사연구를 위해 보호관찰청소년 대상 멘토 활동 경험이 있는 멘토를 중심으로 2006년 4월 13일부터 26일까지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배포된 80부의 설문지 중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총 75부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 12.0K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t-test, 일원변량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교육 및 수퍼비전에서 멘토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으나 수퍼비전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다. 수퍼비전에서 부족한 면에 대해 교육 및 훈련 내용이 실제 활동과 관련하여 부족하다고 답했다. 둘째, 개별 프로그램과 집단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서 멘토-멘티 결연관계가 이성인 경우와 동성인 경우를 t-test한 결과, 멘토-멘티의 성별이 남자-남자, 여자-여자로 구성된 동성인 경우가 긍정적이 응답이 높았다. 또한 멘토 활동의 적정한 기간에 대해 멘티의 보호관찰기간과 동일하게 진행되기를 과반수이상이 응답하여 현재 1년 단위로 진행되고 있는 멘토활동과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멘토 역할수행의 어려움에서 기관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항목 중 3항목에 대해서는 긍정적 응답이 높았으나, 기관의 재정지원과 보상에 대해서는 긍정적 응답이 낮았다. 이를 통해 기관에서 업무적인 협조나 정서적인 지원은 하고 있으나, 경제적인 지원 및 보상은 적절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멘토활동의 효과성에 대해 멘티의 변화는 긍정적인 응답이 높았다. 이로써 기존의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를 다시 확인하는 기회가 되었다. 그리고 멘토의 성별에 따른 효과성에 대한 차이는 적었으나, 멘토-멘티 결연관계가 동성인 경우 이성인 경우보다 효과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멘토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멘토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멘토교육 및 수퍼비전의 내용이 실제 활동에서 활용되도록 교육되어져야한다. 둘째, 기관은 멘토에게 적절한 재정지원과 보상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 셋째, 멘토링 프로그램의 기간을 멘티의 보호관찰기간을 고려하여 장기화 할 필요가 있다. 넷째, 멘토-멘티의 결연관계에서 동성일 경우 효과성이 높았다. 따라서 멘티와의 성비균형을 위해 남자 멘토의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다섯째, 보호관찰청소년 대상 멘토 활동의 법적·제도적 장치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보호관찰청소년 대상 멘토 활동은 정서적 결연 관계를 형성하여 멘티의 정서적인 유대, 상호만족을 통해 보다 폭넓은 지지체계를 형성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호관찰청소년을 보호하고 선도할 뿐만 아니라 청소년 복지의 측면에서 보호관찰청소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긍정적인 기능이 많은 멘토 활동을 수정·보완해 나간다면, 청소년의 미래뿐만 아니라 사회의 밝은 미래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