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상황이야기 중재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윤은미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사회상황이야기 중재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보고자 하였으며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사회상황이야기 중재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아동의 정보 요구하기, 행위 및 사물 요구하기, 질문에 대한 반응하기, 요구에 반응하기 기능을 향상시키는가 이다. 연구대상은 8~10세 까지의 지적장애 아동 3명으로 본 연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하였으며, 연구자가 재구성한 의사소통 기능 평가도구에 의해 기초선, 중재, 유지단계를 평가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상황이야기 중재 프로그램을 지적장애 아동에게 실시한 결과 대상아동 모두 정보 요구하기, 행위 및 사물 요구하기, 질문에 대한 반응하기, 요구에 대한 반응하기 기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 명의 대상자간 다소 차이는 있지만 모두 사회상황이야기 중재 프로그램 통하여 의사소통 기능의 기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social stories intervention program on the communication functions of mental retardation children. Thre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between 8 and 10 participated in this study.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 was designed to see the effects.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steps were tested by the communication-function assessment t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 First, after performing the social stories intervention program, an ability of children was improved in information-requesting. Second, after performing the social stories intervention program, an ability of children was improved in action-requesting and object-requesting. Third, after performing the social stories intervention program, an ability of children was improved in response of questions. Forth, after performing the social stories intervention program, an ability of children was improved in response of requirements. In conclusion, a communication skill of all children was improved by a social stories intervention program.

      • 제3차 조선교육령 시기의 '국사지리' 교육

        윤은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일제의 식민지 지배를 받던 제3차 조선교육령 시기 4년제 심상소학교에서 시행된 국사지리교육의 성격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3차 조선교육령의 시행과 함께 4년제 심상소학교에 새롭게 國史地理 과목을 신설하게 된 취지와 교과서에 나타난 역사와 지리 통합의 의미, 『國史地理』 교과서의 역사관을 분석하고, 국사지리 과목의 교수학습방법을 살펴보았다. 1937년 중·일전쟁을 일으킨 일본은 식민지 주민의 국민통합과 전쟁동원을 위한 일련의 정책을 실시하였다. 1938년 전시체제에 적합하도록 조선교육령을 개정하여 제3차 조선교육령을 공포하였다. 제3차 조선교육령에서는 ‘충량한 황국신민 양성’을 목표로 시대적 사명을 인식할 수 있는 과목으로 역사를 중시하였다. 이에 따라 6년제 심상소학교뿐 아니라 4년제 심상소학교에서도 역사교육을 강화하여 4학년에 국사지리과를 설치하고 교과서로 『國史地理』상·하권을 편찬하였다. 외형적으로 볼 때 4년제 심상소학교의 『國史地理』는 6년제 심상소학교의 국사와 지리과목을 통합한 것이지만, 단순히 역사와 지리를 하나로 묶은 것은 아니었다. 역사와 지리를 상호밀접한 관련 속에서 이해하도록 한 『國史地理』는 내용의 2/3가 역사, 1/3이 지리로 구성되어 있다. 최초의 통합 교과서인 『國史地理』는 이전의 국사교과서와 달리 인물중심의 구성원리가 아닌 국가 발전 단계에 따른 내용구성원리를 채택하였다. 『國史地理』는 역사 속에서 일본의 지리적 現勢와 유래를 보여주기 위해 일본에 대한 전체 개관과 함께 지리적 개관으로 영역, 지형, 국토의 특색 등을 서술하고, 중요도시와 각 지방의 地誌的 내용을 서술한 후, 일본의 세력 범위에 있는 중국과 만주, 태평양 지역 등 외국지리에 대해 설명하였다. 외국지리는 일본의 지리적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만주와 중국 중심으로, ‘여러 나라 지리의 요지’라고 되어 있으나 태평양 지역과 세계의 대도시에 대해 간략하게 다루고 있을 뿐 그 밖의 지역은 거의 나오지 않는다. 즉 국토의 전체개관 → 각 지방이나 도시의 地誌的 내용(일본에서 식민지 순서대로) → 국토전체의 계통지리적 내용 → 일본의 세력이 미치는 외국의 지리라는 순서대로 구성된 것이다. 이렇게 해서 일본의 지리적 현정세와 유래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지리적 성장을 할 수 있었던 역사적 과정을 파악하고, 일본의 국토가 개발되고 공간적으로 확대되었음을 인식하게 하려는 목적에서 나왔다. 역사를 지리적(공간적)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인식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취지로 편찬된 『國史地理』의 역사관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천황 중심의 서술이다. 천황이 곧 국가라는 논리에 입각해 천황의 자비에 보답하기 위해서는 천황과 국가에 대해 충성을 다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둘째, 내선일체 이데올로기를 반영하여 일본에 의한 한국지배를 적극적으로 옹호하였다. 셋째, 세계속 일본의 지위를 강조하여 일본에 대한 자긍심을 지니게 하고, 해외 진출을 위한 침략과 전쟁에 앞장서야 한다는 의식을 심어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국사지리는 역사와 지리를 통합한 과목이었지만 그 목적은 황국신민의 도를 가르치는데 있었다. 이는 모든 과목에서 나타나는 이 시기 교육의 본질적 성격이었다. 현대의 교과 내 또는 교과 간이나, 교과와 생활을 통합하려는 시도와는 다른 의미의 통합을 한 것이다. 통합된 인격과 사상에 대한 지적 안목보다는 무조건적 믿음을 가지게 하기 위한 통합으로, 교육적 의미를 부여할 수 없는 이데올로기적인 통합이었다.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Japan initially decided not to let four- year-course schools teach history and geography, but made a new decision to let four-year-course Simsang elementary schools(尋常小學校) offer a national history(Japanese history)/geography course when the third educational ordinance for Joseon(朝鮮敎育令)was enforc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ed light on the intent of Japan about the decision, and it's also meant to analyze the textbooks of that course to discuss the meaning of the integration of history and geography and view of history. Along with the enforcement of the third educational ordinance for Joseon, Japan waged the Sino-Japanese War and pushed ahead with a series of policies to facilitate the unity of residents in their colonies and recruit soldiers. Japan was aware that education was mandatory for fortifying its colonial rule, and announced the revised educational ordinance for Joseon in 1938 in light of wartime conditions. The third educational ordinance aimed at nurturing the loyal people of the Japanese emperor and attached importance to history education as means to have children realize their missions. Hence not only six-year-course Simsang elementary schools but four-year-course ones provided more intensive history education by offering a fourth-grade national history(Japanese history)/geography class and producing two volumes of textbooks. The national history(Japanese history)/geography class of four-year-course Simsang elementary schools was ostensibly a combination of national history(Japanese history) and geography classes of six-year-course Simsang elementary schools, but that was more than a mere combination of the two in essential. That class was designed to understand national history(Japanese history) and geography in view of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History and geography respectively accounted for two-thirds and one-third of the textbooks. Unlike existing national history(Japanese history) textbooks, the first integrated textbooks attempted to give a change by describing history based on the stage of national development instead of focusing on historical figures. An overview of Japan was offered to explain the origin and geographic circumstances of the nation, and then an geographic outline was presented such as the territory, topography,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 and the geographic features of major cities and provinces. The geography of adjacent foreign countries was explained, including China, Manchria and the Pacific area that were under the influence of Japan in addition. Specifically, the geography of Manchria and China that were closely related to the geographic growth of Japan was mainly introduced. One of the segments in the textbooks was entitled 'places of great geographic importance in the world,' but few explanations were provided about the other foreign regions except for simple statement on the Pacific area and large foreign cities in the world. Thus, the textbooks consisted of an overview of the land, the geographic features of the provinces and cities of Japan and its colonies, the hierarchical geography of the land, and the geography of foreign countries under the influence of Japan in order to show the geographic conditions and origin of the nation. Such a structure of the textbooks made it possible to grasp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nation's geographic growth and to realize that national development was concurrent with land development and spatial enlargement. Therefore learners got to see history from a standpoint of geographic(spatial) development. As for view of history, the textbooks demand that learners be dedicated to Japan and the Japanese emperor in return for his mercy on the ground that the emperor was the very nation. At the same time, the textbooks advocated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on the ground of the Naesonilche ideology, and stressed the status of Japan in the world to have learners take pride in the nation. And the textbooks emphasized that learners should take the initiative in war of aggression as well. In conclusion, the national history(Japanese history)/geography course was basically a combination of history and geography but aimed at teaching the duties of the people of the Japanese emperor. As a matter of fact, every contemporary subject and every kind of education pursued the same object. Indeed, the integration of national history(Japanese history) and geography was different from that of modern subjects. As the integrated class aimed to instill blind devotion into learners instead of building up character and fostering well-rounded intellectual abilities, that could be said as an ideological integration of two different courses that had no educational meaning.

      • 베트남 여성 이민자 모음의 음향학적 특징과 사회언어학적 변인

        윤은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vowels as defined by acoustical analysis using seven vowels for three formant frequencies (F1, F2, and F3), formant zone and vowel working space in Vietnamese migrant females in comparison with Korean females and to search for the intrinsic formant frequency and bark scale in Vietnamese migrant females' Korean vowels. And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to research the relation between Korean vowels' characteristic produced by Vietnamese migrant females and Sociolinguistic variations. Subjects and Methods Twenty eight Vietnamese migrant females and twenty Korean females participated. Subjects were instructed to use comfortable conversational levels of pitch and loudness while sustaining the 7 Korean vowels /a/, /i/, /u/, /e/, /o/, /ɔ/, /ɯ/. Speech samples of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using CSL system on linear predictive coding(LPC) and Plotformant program. Results and Conclu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intrinsic formant frequency produced by Vietnamese migrant females might be differ from Korean females.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he formant frequencies values between two groups. Vietnamese migrant females exhibited smaller vowel working space areas compared to Korean females. And the former's vowel working space are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ark values. And Age and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of the Sociolinguistic variation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Vietnamese migrant females' vowel working space area. In addition, Vietnamese migrant females' vowel working space area and bark scale also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acoustic differences in some vowel parameters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migrant females and sociolinguistic variations made an effect on vowel's working space areas and bark scale.

      • 초급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교육을 위한 유음 연구

        윤은미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iquid sound produced by Vietnamese learners through the speech analysis program in order to help the beginner level Vietnamese learners learn accurate pronunciation of the Korean liquid sound. Based on the results, we presented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that can be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Vietnamese stude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onunciat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Korean liquid sound /ㄹ/, which are produced by beginner Vietnamese learners who are studying Korean, we recorded ten Vietnamese females and ten males. We also constructed the CV and VC syllabic recording materials to examine the pronunciation patterns of the Korean liquid sound in word-initial and word-final. After analyzing the resonance formants using Praat, a speech analysis program, the formants of the Vietnamese learners were compared with the formants of native Korean speakers. We also conducted an evaluation to check the pronunciation errors of Vietnamese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Vietnamese female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F2 value of vowels /아/ compared to formants of Korean female students. Vietnamese male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vowel /아/ compared to formants of Korean male students. Secondly, the resonance formants of the vowels were measured in the CV syllable structure /라/, /리/, /루/ and the VC syllable structure /알/, /일/, /울/.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V syllable structure between the groups of female student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F3 of /루/ between the groups of male students. The VC syllable structure showed a marked difference between Vietnamese and Korean students. Vietnamese female stude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lues of Korean female students in both LF1 and LF2 values of /알/, /일/, and /울/.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the LF1 value of /일/ and /울/ except for /알/ was lower than the LF1 value calculated by Korean male students. Also the LF3 value of /울/ was higher in Vietnamese male students than in Korean male students. Thirdly, after listening to the voice file for the liquid sound produced by the beginner Vietnamese learners the following evaluation was conducted. As a result in the CV syllable structure, the Vietnamese female student ratio of flap sound [ɾ] (56.67%) in all vowels was lower than that of lateral sound [l] (30.8%) and replaced by nasal sounds [n]. However, unlike female students, the proportion of flap sound [ɾ](56.67%) was higher than that of lateral sound [l](43.33%). Additionally, there were no other errors in the CV syllable structure except for the substitution. Next, in the VC syllable structure, both females and males showed a tendency to pronounce a nasal sound [n] regardless of following a vowel in a group. Female students showed three kinds of errors, such as substitution, distortion, and omission. In the case of substitution, the liquid sound was replaced by [n] and [ŋ]. In the case of distortion, the liquid sound was pronounced by [ɹ] and [ɻ]. They changed the VC syllable structure to the VVC syllable. Male students only showed substitution and distortion errors, and pronounced liquid sounds such as [n], [ɹ], [ɻ].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three chapters,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liquid sound pronunciation was presented. For beginner Vietnamese learners, they were presented the vowel /이/ or /우/ first, and then the teach vowel /아/. After this they was presented the CV syllable structure, and practiced the VC or CVC syllable structure of liquid sound. In order to prevent substitution errors, we presented a sequence of listening, recognition (using articulation method and articulation position) through accurate sound prese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honetically analyze the Korean liquid sound /ㄹ/ of beginner Vietnamese Korean learners, and to compare the results with those who are Korean native speakers and to investigate their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ve foun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of the Korean liquid sound /ㄹ/, which shows frequent errors that are present for beginner Vietnamese Korean learners.

      • 베트남 중부지역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양상

        윤은미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ose students who learned Korean in the central part of Vietna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onophthong, diphthong, and consonants (plosives and phonemes) spoken by Vietnamese students through acoustic phonetic analysis and auditory perception method. Additionally, it was to find out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students who learned Vietnamese and the Korean speakers who did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fo(?) and F1 in all Korean monophthongs produced by Vietnamese students. In the case of /a/, /u/, and /o/, the difference in F2 shows all the acoustic parameter values in the vowel were differen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F2. Also,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vowel space area using F1 and F2 of monophthongs. Second, all parameters (except for D2, D3, and IF1) of /ja/ in the Korean diphthong calculated by the Vietnamese students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a/ and /wi/ were all different values except D3, IF2, and D1. T1F1, T2F2, T3F2, D1, D2, and IF1 showed a different value from /wɛ/ in Korean speakers. In /we/ of T1F1, T2F2, T3F2, D1, IF1, and IF2 Vietnamese students and Korean speakers varied slightly. The /wj/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Korean speaker in all parameters except D3, IF1, and IF2. Third, we looked into Korean plosives produced by Vietnames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articulation positions. The bilabial plosiv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nationalities in all parameters except VD of the fortis and fo(?) value of the aspirated stop.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VD and TD of the fortis stop in the alveolar plosive. In the velar plosiv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Vietnamese and Korean speakers in all the parameters, except for the VD of fortis stop and the fo value of aspirated stop. In the palatal affricate, only the fo value of the aspirated stop was no different from that of the Korean speaker. In addition, VOT, RBI, VD, and TD showed differences. Fourth, the overall consonant accuracy Ⅰ was 77.86 (± 10.42), and the consonant accuracy Ⅱ was 76.01 (± 8.77). Female students showed high consonant accuracy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compared to males; and intermediate speakers showed much higher consonant accuracy than beginners. Fifth, the most frequent errors caused by inaccurate discrimination of articulation methods turned out to be voiced sounds of unvoiced sounds, and incorrect recognition of articulation placed in the Korean pronunciation of Vietnamese speakers. The most common error type was substitution, followed by distortion and addition, and omission at the final stop. Lastly,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word intelligence of Vietnamese students, the average intelligence of all Vietnamese speakers was 5.53(±.543). The average of male speakers was 5.64(±.574). The average of female speakers was 5.51(±.057). The word intelligence was slightly higher in females, however there was some evidence of a large standard deviation. The Korean level and the consonant accuracy I and II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word intelligence.

      • 유아통합교육에 대한 통합어린이집 일반학부모의 인식

        윤은미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유아통학교육에 대한 통합어린이집 일반학부모의 인식을 발달지체유아에 대한 관심 유무와 통합교육에 대한 관심유무에 따라 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통합교육에 대한 일반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통합교육 효과에 대한 통합어린이집 일반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성공적인 유아통합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강서구에 위치하고 있는 ( J,E.B.D )구립어린이집중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4곳을 선정하여 일반학부모 총180명을 연구표집 대상으로 하였다. 18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이중 148부를 회수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설문지로서 강근희(2005)의 발달지체유아 통합교육에 관한 어린이집교사와 유아부모의 인식 조사, 김윤정(2004)의 발달지체유아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와 학부모 인식에 관한 연구, 김태욱(2003)의 발달지체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유치원 학부모 인식, 등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설문자의 문항구성은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통합교육의 효과,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으로 총 26문항의 구성하여 사용 하였다. 자료처리는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대상자의 발달지체유아 관심유무와 통합교육관심 유무에 따른 학부모인식을 파악하기위해 카이제곱검증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통합교육 효과와 성공적인 통합교육개선방안에 대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인 통합어린이집 일반학부모의 대다수는 통합교육에 관심과 발달지체 유아에게 관심이 있었으며, 어린이집 통합교육실시에 대해 찬성하였으며, 발달지체유아에 대한 관심유무와 통합교육 관심 유무와 관계없이 모두 찬성하였다. 하지만 발달지체유아에게 관심이 있고 통합교육에 관심이 있는 학부모가 더 많이 찬성하였다. 둘째, 통합교육효과는 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에게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특히 일반학부모의 우려와 달리 일반유아가 발달지체유아의 부적절한 행동을 모방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비교적 많았다. 셋째, 성공적인 통합교육 개선방안으로 일반학부모 들은 발달지제 유아를 위한 자료 및 시설 확충, 법적인 지지, 특수교사 배치 의무화, 원장(시설장), 학부모 인식제고 등이 모두 필요하다고 하였다.

      • 보호관찰청소년의 강점관점 사례관리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윤은미 계명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보호관찰청소년들이 가족, 학교, 사회환경 속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비행과 보호관찰처분 과정을 통해 자신과 자신의 삶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는지에 대해 탐색함으로써 그들의 삶을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강점관점 사례관리가 보호관찰청소년의 자기인식과 가족외 사회적 관계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에 대한 경험과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여 보호관찰청소년 대상 사례관리에 필요한 실천적 함의,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호관찰청소년 중 단기보호관찰(4호), 장기보호관찰(5호)를 받은 7명을 대상으로 10회의 강점관점 사례관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Clandinin과 Connelly의 내러티브 탐구에 의거하여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아래와 같이 시간적 차원에서의 참여자의 변화, 공간적 차원에서의 참여자의 변화, 사회적 차원에서의 참여자의 변화로 보호관찰청소년들의 강점관점 사례관리 경험의 의미가 도출되었다. 첫째, 시간적 차원에서의 참여자의 변화를 살펴보면, 연구 참여자들은 비행으로 인해 ‘문제아’, ‘보호관찰청소년’이라는 부정적 시선과 무시를 경험하여 자신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나 자신의 숨겨진 강점을 찾아갈 수 있도록 지지와 격려, 관심을 가지고 협력하였을 때 사례관리를 통해 자신감을 갖게 되었고, 주체적으로 자신의 삶을 계획하고자 하였다. 또한 또래 간 비행동조와 같은 부정적 관계를 정리하고 또래에 의존하기 보다는 독립적으로 생활하기 위한 도전을 하였다. 강점관점 사례관리에서의 존중받고, 지지 받는 경험이 사람에 대한 신뢰와 자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갖게 하는데 큰 의미가 있었다. 둘째, 공간적 차원에서의 참여자의 변화는 강점관점 사례관리는 연구 참여자들이 가지고 있는 욕구와 그것을 이루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공간, 고민을 털어놓는 공간, 자신이 존중받는 공간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강점관점 사례관리를 통해 자신의 강점과 내면의 힘을 발견하는 기회를 가졌으며, 스스로가 삶의 주인공이 되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해보는 연습을 통해 자신을 성숙시켜 나가는 긍정적 삶을 위한 ‘연습 공간’과 같은 의미가 있다. 셋째, 개인적․사회적 차원에서의 참여자의 변화를 살펴보면, 강점관점 사례관리를 통해 연구자와 참여자의 관계에서 ‘함께 하기’라는 상호작용이 이루어졌다. 이런 협력의 경험이 연구 참여자 개인내적으로는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사회적 차원에서 대인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 참여자들은 강점관점 사례관리 현장과 가족, 학교, 사회 환경이라는 공간에서 연구자, 가족, 선생님, 친구, 또래와의 관계에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강점관점 사례관리가 연구 참여자의 긍정적 자기인식, 대인관계 개선과 자신에게 처한 문제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기회의 장으로서의 의미가 크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강점관점 사례관리를 실천을 위해 사례관리자의 강점관점에 대한 인식탐색의 중요성과 강점관점 사례관리 시 보호관찰청소년에 대해 사례관리 안내교육의 필요성, 사례관리 실천에서 필요한 사례관리자의 상담기술 능력 함양과 보호관찰청소년의 내적 힘과 자기결정능력에 대한 신뢰와 지속적인 관심, 적극적 아웃리치의 필요 등의 실천적 함의와 보호관찰처분 전체과정에서의 강점관점 사례관리 적용을 위한 시스템 구축과 보호관찰청소년에 대한 개별화된 접근 방안 마련, 사례관리를 위한 지역사회복지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인적, 물적 자원의 활용방안 모색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understand the lives of the adolescents under probation by exploring their experiences in family, school, and social environment, as well as their recognition on themselves and on their lives as they went through a phase of delinquency and probation. Further, it aims to derive some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for case management approach with adolescents under probation by examining the management experience and its importance in terms of the changes that was brought by strength-based case management to the self-awareness of the teenagers under probation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family members and society. Accordingly, the research managed 10 strength-based cases with 7 adolescents undergoing either short-term probation (Juvenile Act Article 32, Section 1, Clause 4) or long-term probation (Clause 5), th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Clandinin and Connelly’s narrative inquiry to grasp the importance of case management experiences. The findings of research are summarized below in three dimensions; changes in the participants over time, changes in the participants over space, and finally, the social dimension of the changes in the participants. First, it was witnessed that the participants make changes over time. Initially, they had negative self-awareness due to negative views and disregard from the society upon ‘juvenile offender’ and ‘juvenile under probation’ for their delinquency, but they were able to have more self-confidence and become more autonomous with their life-plans. This change was possible through the case management that provided with emotional support, encouragement, and attention for them to find strength in themselves. Moreover, participants have managed to pull themselves out of the negative relationships among peers conforming to misbehavior, and challenged to be independent rather than being dependent on peers. The experience of being respected and supported during the strength-based case management showed its significance in building trust in people and in raising positive self-awareness. Second, the strength-based case management played an important role to provide a space with different functions which allows the participants to; express their desires and seek the ways to realize them, look for consultations, and be respected, which in other words can be referred as changes in participants over space. The participants were given an opportunity to acknowledge their strengths and inner power through the strength-based case management. This means that it provided with a “rehearsal space” for them to live a more positive life by maturing themselves through practicing problem-solving skills with their own issues while being the owner of their own lives. Third, the individual and social dimension of the changes in participants was seen in the interaction of “being togeth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nt and researcher throughout the process of taking the strength-based case management. This experience of cooperation helped the participants in individual level to have positive self-awareness, and in social level it encouraged them to work on interpersonal relations, which illustrated a positive change in their relationship between family members, teachers, friends, and peers in different spaces including where strength-based case management took place, as well as family, school and social environment. This research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strength-based case management is important in a sense that i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the participants to raise their positive self-awareness,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trengthen their problem-solving skills. In oder for the realization of strength-based case management, this research derives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First,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cluding; an importance of studying the perception of participants on strengths-based approach, counseling skill development for the case managers which is essential in case management, trust as well as continued attention on the inner power and self-determination capability of the adolescents under probation, and a need for active outreach. Second, political implications were outlined as devising a system to apply strength-based case management throughout the probation period, provision of ways in which an individual access is allowed for the adolescents, training for professionals on case management, and finally, securing both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by affiliating with local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 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 속담 교육 방안 연구 : 한류드라마 자막활용을 중심으로

        윤은미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Korean Proverb Education Plan for English Speakers - Focused on Using Hallyu drama Subtitles- Yoon, Eun-Mi Dept. of Korean Studies The Graduate School of Sun Moo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Korean proverb education plan for English speakers by using Korean-language translation subtitles.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filters out the potential for distortion and misunderstanding arising from cultural differences at a time when the world is focusing on Korean culture with Korean dramas and ‘K-pop’ including ‘BTS(Bangtan Boys). When teaching Korean, Korean proverbs, and Korean culture to foreign learners who use English as their everyday language, intends to suggest a method of education applying the ‘equivalent translation’ technique that converts Korean proverbs in English subtitles on Korean Hallyu dramas into familiar English proverbs. First of all, four school institutions were selected and compared with the current status of proverb education in textbooks and proverbs in mass media. In addition, to analyze errors in the English subtitles shown in 25 Korean dramas, <Boys over Flowers> video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English speakers who had experienced Korean language classes and analyzed the language of Korean proverbs in high English expression subtitles. As a result, Korean proverbs are most easily understood when translated into familiar English idioms or English proverbs on an equal basis. To verify this, five dramas that reflect various situations, including Korean society, politics, culture, etc., were selected to examin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errors in English subtitles. Then, among the traditional Korean proverbs described in the Korean textbook, the proverbs that overlapped in dramas reflecting Korean society were selected and organized to make a list necessar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teaching procedures carried out based on the educational plan prepared from some of the above list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This is an ‘integrated education plan’ that combines the primary learning phase applying the ‘PPP teaching model’ and the secondary deep learning phase utilizing ‘Flipped Learning’ technique, and that intends to multitask by simultaneously activating the four areas of language: listening,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This is not just a theoretical study of the proverb’s discourse and practical use in the classroom, but a role play using the dialogue that appears in the drama with realism, a practical activity learning phase. It suggested that the Korean proverbial education can be maximized by smoothly understanding the conversation with native Korean speakers outside of the classroom and allowing them to embrace culture naturally.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tinue follow-up research as there are insufficient experimental result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by presenting only a ‘unified education method’ using drama. 국문요약 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 속담 교육 방안 연구 - 한류 드라마 자막 활용을 중심으로- 윤 은 미 한국학과 한국언어문화 전공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이 연구는 한류드라마 번역 자막을 활용하여 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 속담 교육 방안을 연구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는 최근 한국 드라마와 ‘방탄소년단’을 비롯한 ‘K-pop’으로 세계가 한국의 문화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시점에서 문화적 차이에서 발생하는 왜곡과 오해의 소지를 여과시켜 한국 문화와 전통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권 학습자에게 한국의 속담 및 문화를 교육할 때, 그들에게 친숙한 영어권의 속담으로 변환하는 ‘등가적 번역’ 기법을 적용하여 교육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4개 학교 기관을 선정하여 교재 속 속담교육 현황과 대중 매체 속 속담 현황을 비교분석하여 보았다. 또한 한국 드라마 영상에 나타난 영어자막의 오류 분석을 위해 한국어 수업 경험이 있는 영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 드라마 <꽃보다 남자> 총 25편에 나타난 한국 속담의 영어 자막 번역을 실제 사례로 설문조사한 후 이해도 높은 표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속담을 영어권 화자들이 가장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영어 관용표현이나 영어속담으로 등가 번역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의 사회, 정치, 문화, 등 다양한 상황이 반영된 드라마 5편을 선정하여 영어자막의 오류의 현황을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현시대를 반영한 드라마 속에 중복되어 등장하는 속담을 찾아 교수 목록을 정리하였고, 그 중 학습목표를 선정하여 교안을 작성하고 모형에 따라 교육을 실시하는 교수 절차를 소개하였다. 교수모형의 1차시에는 ‘PPP 수업 모형’을 적용한 학습의 단계와 2차시에서는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기법을 활용한 심화학습으로, 4개의 언어영역(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을 동시 활성화하는 ‘통합 교육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는 교실 안에서 속담의 담화 화용적 쓰임의 이론 학습과 현실감을 갖춘 드라마 속 대사로 역할극(Role Play)을 행하는 실제적 활동 학습 단계를 거친 후, 교실 밖 한국 원어민과의 대화를 원활히 이해하고 문화를 자연스럽게 수용토록 하면 한국 속담 교육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음을 제안했다. 그러나 드라마를 활용한 ‘통합교육 방안’만을 제시하여 교육효과를 검증할 충분한 실험결과가 뒤따르지 못한 한계가 있어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한국인과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거절화행 비교 연구 : 체면과 공손성을 중심으로

        윤은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과 고급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거절화행 실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가를 체면과 공손성을 중심으로 논의해 보았다. 외국어 학습자가 대화 상대와 대화의 장면에 맞게 목표어를 적절히 운용할 수 있는 온전한 의사소통능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어휘나 문법에 대한 규칙의 습득과 더불어 목표어의 화용적・사회문화적 규칙까지 익혀야 한다. 특히 화용적・사회문화적 규칙 중에서 대화를 지배하는 보편적 원리로 거론되나 문화나 언어권마다 구체적 실현 양상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난 공손성과 체면 보호의 실현 양상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에 본 연구는 영어권 학습자에게 초점을 맞추어 그들이 체면손상의 위험이 큰 거절화행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를 주로 공손성과 체면 보호의 측면에서 알아 보고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 보완되어야 할 점들을 모색해 보았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언급하고 연구 방법에 대한 개략적 소개와 함께 본 연구가 지닌 제한점을 밝혔다. 2장에서는 본 연구에 필요한 제반 이론들을 다루었는데 우선 화행에 대한 개념과 거절화행의 특성 및 변인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거절화행은 본질적으로 청자의 체면을 손상하는 특성을 지니므로 체면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과 기제들이 수반됨을 밝혔다. 또한 거절화행은 거절화행을 유도하는 시작화행에 따라 양상이 달라지며 이외에도 청자와의 사회적 거리, 청자의 화자에 대한 사회적 힘이 거절의 양상을 결정짓는 요소가 됨을 논했다. 한국어와 영어의 거절화행의 차이는 기존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직․간접성, 청자의 사회적 지위 및 청자와의 친밀도 등에 대한 민감도, 거절의 내용적인 면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언어적 상호작용을 지배하는 공손 원리에 대한 이론은 Brown & Levinson의 이론을 중심으로 소개했다. 마지막으로 체면보호를 위한 언어적 장치에 대한 개념과 유형을 기존 연구들을 통해 알아 보았다. 3장에서는 연구를 위한 방법을 소개했다. 실험 도구는 6개의 역할극으로 3개는 요청상황, 3개는 초대 상황으로 설정했으며 또한 요청자나 초대자의 사회적 지위와 친밀도를 달리 구성했다. 실험 대상은 한국어 모어화자 20명, 영어를 모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 20명, 영어 모어화자 20명으로, 한국어 모어화자와 영어를 모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로, 영어 모어화자는 영어로 역할극을 수행했다. 모든 역할극은 녹음, 전사했다. 전사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도구를 설정했는데 본 연구가 역할극을 실험도구로 사용했으므로 담화완성형 설문지를 사용한 기존 연구들에서 사용한 분석 도구와는 다른 기준으로 유형을 분류했다. 즉, 온전한 담화연속체의 맥락 내에서 거절자의 태도와 의도를 파악하여 직접 거절, 이유제시설명, 회피, 기타로 거절실현 유형을 설정했다. 이 외에 상대의 체면손상을 보상하는 보조적 발화들을 보조 전략이라 칭하고 존칭 사용, 감사 표현, 사과 표현, 관심 표시, 공감대 강조, 수락소망 표시, 거절 후 보상 등 7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4장에서는 전사 자료를 상황별로 그리고 사회적 지위 및 친밀도에 따라 분석했다. 대체로 영어 모어화자 집단이 한국어 모어화자 집단에 비해 더 직접적으로 거절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위에 대해서는 모든 집단에서 체면보호에 대한 정도가 높아서 사회적 지위를 의식함이 보편적 현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한국어 모어화자 집단이 영어 모어화자 집단에 비해 그 민감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친밀도 변인에 있어서는 일관된 특징이 나타나지 않았다. 단 한국어 모어화자 집단이 영어 모어화자 집단에 비해 초대상황에서 친밀도가 높은 상대의 체면을 미세한 차이로 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면보호를 위한 보조 전략의 총 사용량은 한국인 집단, 영어를 모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 집단, 영어 모어 화자 집단의 순으로 많았다. 한국인 집단은 특히 모든 상황에서 상대의 곤란한 상황에 감정적으로 동참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사회적 지위가 높은 상대에게는 존칭을 빈번하게 사용하는 특징을 나타냈다. 한편 명제내용과 직․간접성 면에서 동일한 거절실현 유형이라도 한국인 집단의 경우 표층언어차원의 통사구조 및 어휘의 적절한 운용을 통해 상대의 체면을 더 보호하는 느낌을 주었다.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언어적 장치를 한국어 모어화자 집단의 전사자료를 중심으로 귀납적으로 분석했다. 5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어 교육에서 보완해야 할 점과 활용방안을 간략히 논해 보았다. 먼저 교재의 대화문에 거절상황에 대한 맥락 정보를 입체적으로 그리고 명료하게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들에게 대화의 화용적・사회문화적 특성을 인식시킬 것을 제안했다. 두 번째로 교수・학습 활동에서는 대화문이나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 연습, 역할극, 토론 등을 통해 학습자들이 대화의 장면과 상대에 따라 적절한 공손전략 및 체면손상 완화 기제를 사용해 거절을 하는 연습의 기회를 제공할 것을 제안했다. 6장은 맺음말로 본 연구의 내용을 총괄적으로 정리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and English speech act of refusal with a special emphasis on saving face and politeness. While intentions to be polite and to consider others’ face are found in all human verbal interactions, notions of politeness and saving face are culturally specific, and knowledge of these comprise an important part of the pragmatic and socio-cultural rules of a specific language. This research attempt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pragmatic and socio-cultural competence of native English speakers learning Korean through examining how they differ from native Korean speakers in realizing the speech act of refusal with reference to politeness and face saving. Chapter 1 introduces the rationale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discusses its methodology and limitations. The theoretical basis and frameworks for the study are introduced in Chapter 2, including speech act theories, characteristics and parameters of the speech act of refusal.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English refusals are examined through previous studies. Politeness theory, mainly of Brown & Levinson''s, is introduced and lastly, concepts and types of linguistic devices used to save face are discussed through previous research. In Chapter 3, the methodology employed for the study is described. The experimental tool used is six role-plays, consisting of three requesting and three inviting situations. In each role-play, the requesters and inviters have different social power over and different social distance with the requestee and invitee. The subjects are 20 Koreans, 20 English native speakers learning Korean, and 20 English native speakers. The first two subject groups implement role-playing in Korean, and the third group, in English. All the role-plays are tape-recorded and transcribed. Transcriptions are analyzed with taxonomy developed for this study, which consists of four ''refusing styles'': direct refusal, reasonexplanation, avoidance, and etcetera. Supplementary utterances to protect the hearer''s face are defined as ''subsidiary strategies'' and classified into 7 types: using deferential address terms, thanking, apologizing, showing interests, claiming common ground, expressing wants to accept, redressing after the refusal. Chapter 4 analyzes each role-play and discusses the way in which refusals differ with interlocutors of different social power and solidarity. In general, English native speakers are found to be more direct than Korean native speakers. As for the parameter of the hearer''s social position, every group shows a similar pattern of making efforts to the protect face of the hearer of a higher position. However, Koreans are more sensitive to social power. This is validated by the fact that Koreans explain situations that they cannot control, such as past events or situations in which they are involved with others and have social responsibility. English native speakers are more likely to refuse due to personal plans. As for the social distance with the hearer, no meaningful result is found. However, Koreans turn out to be less considerate of the hearer''s face compared to English native speakers in inviting situations. Total number of subsidiary strategies is highest among Korean native speakers, followed by English native learners of Korean, and then English native speakers. Koreans in particular often show empathy with the hearers and use deferential address terms for the hearer of higher position. Lastly, linguistic devices that are used to give the impression of being more considerate of hearer''s face are inductively analyzed based on the transcriptions of Koreans. Chapter 5 discusses ways to improve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it suggests the provisions of solid and clear contextual information in the dialogues of the textbook, and will thus let learners be aware of pragmatic and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 dialogues. Secondly, specific suggestions are included to offer opportunities for the learners to use proper politeness strategies and linguistic devices to alleviate face threatening situations through practices using dialogue materials, role-play, audio・visual materials, and discussion. The 6th chapter concludes th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