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사교육 참여의 관계

        이은주 아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사교육 참여의 수준을 알아보고 그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의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고등학생의 사교육 참여의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고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사교육 참여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6개 시(구리시, 남양주시, 안산시, 용인시, 평택시, 화성시)에 소재한 7개 일반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 2학년 남・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는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통하여 총 444부를 배부하였으며, 그중에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349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의 수준은 전반적으로 낮지는 않았으며, 고등학생들의 미래지향시간관 하위 변인에서 가치의 측면보다 연속성의 측면이 더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미래지향시간관 연속성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사교육 참여의 수준을 분석한 결과 대학 입시에 필요한 주요 과목에서의 성적 향상을 위해 사교육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사교육 참여 시간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사교육 참여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고등학생이 생각하는 사교육 이유 중 ‘공부와 진학에 대한 정보 습득’의 경우에만 미래지향 시간관과 사교육 참여 시간 사이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고등학생들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사교육 참여 수준 사이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이 아니었다는 것은 개인발달적 특성 이외의 조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성별에 따른 미래지향시간관의 유의미한 차이와, 사교육 참여 동기에 따른 미래지향시간관과 사교육 참여의 유의미한 부적 관계의 결과에 주목하여 맞춤형 진로지도를 보완한다면, 청소년들의 미래지향시간관이나 진로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사교육의 질적인 변화를 모색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이다.

      • 부모애착과 소명의식의 관계 :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적응성의 이중매개효과

        박희영 한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5

        본 연구는 일과 삶에서의 만족을 이끄는 구성개념인 소명의식에 관하여, 소명의식을 예측하는 변인과 기제를 알아보았다. 소명의식을 발견하는 과정에는 사회적인 요인과 심리적인 요인이 작용하였다. 따라서 소명의식을 준거변인으로 설정한 후 부모애착이 소명의식을 예측하는 과정에서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적응성의 역할을 탐색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1) 부모애착과 소명의식의 관계, (2) 두 변인 사이에서 미래지향시간관의 매개효과, (3) 두 변인 사이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마지막으로 (4)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적응성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가설을 수립하였다. 이후에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한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48명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부모애착과 소명의식의 관계에서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적응성 은 각각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미래지향시간관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했고, 진로적응성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했다.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적응성이 순차적으로 간접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 두 변인의 완전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소명의 발견 과정에는 타인과의 관계, 미래에 관한 인식, 진로적응역량이 복합적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구직자와 직장인을 대상으로 소명의식을 적용할 때 소명의식 자체에 관한 교육과 훈련보다는 과정 지향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육 훈련 담당자가 소명의식의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데 있어 사회적 요소와 개인적 역량을 복합적으로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ariables and mechanisms that predict the Calling, which is a constituent concept that leads to satisfaction in work and life.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were expected to work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Calling. Therefore, after setting the Calling as the reference variable, the role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Adaptability was explored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the Calling. Specifically, in this study, a hypothesis was established to confirm (1)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Calling, (2) the mediating effe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between the two variables, (3)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between the two variables, and finally (4)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Adaptability. After that,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line for undergraduate students. Among the collected data, 248 responses were analyzed,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Looking a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Adaptability show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Calling, respectivel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was confirmed, and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was confirmed. And as a result of verifying whether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Adaptability sequentially showed indirect effects, a complete double-mediated effect of the two variables was found. By synthesizing these research results, the process of predicting Calling was interpreted,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escrib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lationships with others, perceptions of the future, and career adaptation capabilities work in a combination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calling. Therefore, when applying a sense of calling to job seekers and office workers, a process-oriented approach is needed rather than education and training on the sense of calling itself. This study proposes that education and training personnel consider social factors and personal competencies in combination in designing programs for the cultivation of a sense of calling.

      •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성취동기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HUANG YIQI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4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future time perspectives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on academic procrastin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as follows. First, is there a correlation between the future time perspective,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Second, how does the future time perspective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affect their academic procrastination? Third, how does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affect their academic procrastination? In this study, 308 Chinese students were enrolled in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from October 3rd to 17th, 2021. The future time perspective,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were measured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through a self-report questionnaire. A total of 30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of which 286 people were analyzed by SPSS 22.0, excluding 22 copies that were not suitable for the study. As an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 observe the significant correlation and influence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irst of all, future time perspective,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sub-factors all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nd value,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sub-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Next,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both sub-factors,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sub-factors of achievement motiv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addition, the future time perspectiv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motivation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factors of achievement motivation. The sub-factor value of the future time perspectiv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achievement motivation and sub-factors, and connectedne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motivation and sub-factors passion, hope, and confidence,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dventure.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uture time perspectives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on academic procrastination. It was found that future time perspectiv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and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nd when looking at the impa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ub-factor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value, academic initiation procrastination, and academic completion procrastination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Still, connectedness and sub-factor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were found that academic initiation procrastination and academic completion procrastin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The sub-factors of achievement motivation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sub-factor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Therefore,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Chinese students in Korea pay attention to their future, have clear goals, study hard and actively practice to improve their future development can be better. It can be seen that the motivation to avoid is caused by not practising or feeling the fear of failure, and thus academic procrastination is shown more in the learning situation. So, depending on how important the future is to Chinese students in Korea, and whether they perceive that the present brass and future goals are connected to influence the future, if their extrinsic motivation and intrinsic achievement motivation match, it will help to lower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Chinese students in Korea who are experiencing problems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to develop their ability to become independent and solve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at may arise in school or counselling through education and devising a way to better adapt to studying abroad. 본 연구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성취동기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 성취동기, 학업지연행동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가? 둘째,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이 학업지연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성취동기가 학업지연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와 경기권 소재의 대학에서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30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1년 10월 3일부터 10월 17일까지 약 보름 동안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 성취동기, 학업지연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8부의 설문자료를 수집하였고, 그중에서 설문에 불성실하게 대답하여 연구에 적합하지 않은 22부를 제외하고 286명의 자료가 분석 대상이 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했다.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 성취동기, 학업지연행동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와 영향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미래지향시간관, 성취동기, 학업지연행동이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우선, 미래지향시간관과 학업지연행동 및 하위요인은 모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미래지향시간관의 하위요인인 가치와 학업지연행동 및 하위변인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연속성과 학업지연행동 및 하위변인은 모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그다음, 성취동기와 학업지연행동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으며, 성취동기의 하위요인과 학업지연행동 및 학업지연행동의 하위요인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미래지향시간관은 성취동기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성취동기의 하위요인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미래지향시간관의 하위요인 가치는 성취동기 및 성취동기의 하위요인과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연속성은 성취동기 및 성취동기의 하위요인인 열정, 희망, 자신감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지만, 모험심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성취동기가 학업지연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미래지향시간관과 성취동기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미래지향시간관과 학업지연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취동기와 학업지연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획인되었다. 그리고 미래지향시간관과 성취동기의 하위요인이 학업지연행동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가치와 학업적 착수 지연행동, 학업적 완수 지연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연속성과 학업적 착수 지연행동, 학업적 완수 지연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취동기의 하위요인이 학업지연행동의 하위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것이 나타났다. 따라서 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이 자신의 미래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며, 뚜렷한 목표를 가지고 더 나아질 수 있도록 열심히 공부하고 능동적으로 행동함으로써 학업지연행동이 잘 나타나지는 않지만, 목표를 달성하려는 과정에서 계획대로 실천하지 않거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느껴서 회피하려는 동기가 생겨 학습상황에서 지연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은 미래를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현재의 활동과 미래의 목표가 연결되어 있어 미래에 영향을 준다고 인식하는지에 따라 자신의 외적 동기와 내적 성취동기가 일치한다면 학업지연행동의 빈도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향후 학업지연행동의 문제를 겪고 있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이 자립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게 하고, 이들이 유학 생활에서 생길 수 있는 심리적 어려움을 학교 혹은 상담 장면에서의 교육을 통해 해소해서 학업지연행동의 빈도를 낮추고 유학 생활을 잘 적응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미래지향목표, 미래지향시간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

        이영승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10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uture-oriented goals,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ch a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among various variables for the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34 male and 225 female students in G a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 used to examine and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In addition, it conducted 5000 bootstrapping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and analyzed with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ML). The analysis of this study used SPSS 27.00 and Amos 25.00 programs. First, because of the study, extrinsic future-oriented goals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ere found to ha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of them.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Future-oriented goals can not derive from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owev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creases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creases through future-oriented goals and a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Second, because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oriented goals and career-preparation behavior as a study on the career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 effect on career-preparation behavior was significant. In addition,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the intrinsic future-oriented goal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mediating the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Through this, there are significant results in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future-oriented goals and the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However, it was found that driv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future-oriented goal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s challeng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should have a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by setting future-oriented goals if they want to lead career exploration, information collection, job experience,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Students with a future-oriented perspective are more likely to have a sense of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 초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 그릿과 학업지연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의 매개효과

        정지은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10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 그릿, 성취목표, 학업지연의 관계를 파악하고, 성취목표가 미래지향시간관, 그릿, 학업지연 사이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미래지향시간관, 그릿, 성취목표는 학업지연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성취목표는 미래지향시간관, 그릿, 학업지연 사이를 어떻게 매개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소재의 2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6학년 274명(남학생 137명, 여학생 137명)을 대상으로 미래지향시간관, 그릿, 성취목표, 학업지연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다중병렬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한 결과 자료는 모형에 잘 부합되었으며 완전매개모형보다는 부분매개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의 경로를 살펴보면 미래지향시간관은 능동지연을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며, 그릿은 수동지연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수행접근목표는 수동지연을 부적으로, 수행회피목표는 수동지연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 그릿이 수동지연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변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다른 변인에 비해 학업지연과의 관계를 살펴본 선행연구의 수가 적은 편이므로 지연행동을 막아주는 변인으로 그릿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미래지향시간관과 그릿이 학업지연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취목표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릿→수행회피목표→수동지연 경로에서의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그릿과 수동지연의 관계에서 수행회피목표가 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릿, 수행회피목표, 지연행동의 매개 관계를 통해, 학습자의 수동지연을 낮추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열정과 인내를 가지도록 하는 것과 목표추구에 있어서 적극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지연이 동기적 요인에 의해 변화가 가능하다는 관점에 따라 초등학생의 학업지연과 이들에 영향을 미치는 목표 관련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였다. 최근 학업지연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기질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환경적 요인이나 동기적 요인들과 관련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학업지연의 부정적 측면을 강조한 수동지연과 더불어 지연에 있어 개인의 조절적 특성과 관련되는 능동지연과의 비교 연구는 학업지연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그릿과 학업지연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유의한 매개효과는 그릿-수행회피목표-수동지연의 경로에서 나타났는데, 이는 미루는 행동을 줄이는 데 있어서 그릿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며, 초등학생에게 있어 장기적인 목표의 설정과 목표를 위해 열정과 끈기를 가지는 학습 태도가 중요함을 뜻한다. 특히 본 연구에 쓰인 그릿 척도는 장기적인 수행에 걸리는 기간(6개월 이상)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더 긴 시간 동안 해야 하는 프로젝트나 과제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장기적인 목표와 관련된 것임을 더 쉽게 이해하도록 도왔다. 셋째, 연구 결과를 통해 학생들의 회피 기제를 낮추고, 수동지연행동을 줄이기 위해서 초등학생에게 장기적인 목표 설정과 과제 수행의 경험을 늘려줄 필요성이 있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초등학생들은 중학교급 이상의 학생들에 비해 장기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과제에 익숙하지 않은 편이다. 따라서 학업지연행동을 보이는 학생들에게 적어도 한 학기 이상의 시간이 걸리는 장기적인 학습 프로젝트를 제시하고 학생들 각자가 프로젝트 성공에 필요한 단기 목표를 세우고 실천하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 대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이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조혜리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10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이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대학생이 적극적인 진로관여행동을 함으로써 마주할 불확실한 직업사회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개인의 역량을 스스로 키울 수 있게끔 돕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은 진로관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이다. 둘째, 대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관여행동 간 영향관계에서 수행목표지향성과 숙달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셋째, 대학생의 수행목표지향성과 진로관여행동 간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넷째, 대학생의 숙달목표지향성과 진로관여행동 간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서울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32건의 응답을 SPSS 23.0과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은 진로관여행동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관여행동 사이의 관계에서 수행목표지향성과 숙달목표지향성 모두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대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관여행동 간 수행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에 대해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숙달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에 대해서는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진로 관련 변인의 관계성을 다양화하여 이론적 확장에 기여하였다. 둘째,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관여행동의 영향관계에 대해 선행연구와 상반된 결과를 도출하여 인지적인 측면과 행동적인 측면이 필연적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음을 재고하게 하였다. 셋째, COVID-19와 같은 환경적인 어려움 속에서도 대학생의 진로관여행동을 촉진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논의해볼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는 매개변인인 수행목표지향성과 숙달목표지향성이 모두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future time perspective on the occupational engagement,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goal is to provide information so that university students can properly respond to the uncertain job society they will face by actively engaging in career paths, and help individuals develop their own capabilities. The following questions delineate the scope of the investigation. First, it is to reveal how university students' future time perspective has an effect on the occupational engagement. Second, it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and mastery goal orien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future time perspective and occupational engagement. Third, it is to reveal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occupational engagement. Fourth, it is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stery goal orien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occupational engagement.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junior and senior enrolled in a four-year-course university in Seoul, and a total of 332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university students' future time perspective did not directly affect occupational engagement. Second, both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and mastery goal orientation showed completely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future time perspective and occupational engagement.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foun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occupational engagement of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the mediating effect of mastery goal orientation,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it contributed to theoretical expansion by diversifying the relationships of career-related variables. Second, it drew contradictory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occupational engagement, which made it possible to reconsider that the cognitive aspect and the behavioral aspect may not inevitably lead. Third, it allowed us to actively discuss ways to promote university students' occupational engagement in the face of environmental difficulties such as COVID-19.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both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and mastery goal orientation, which are mediators, showed completely mediating effects.

      • 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의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따른 과제가치, 미래지향시간관의 차이

        배세희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ask value and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according to the profiles of college students' academic delay behavior,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immersion. For this purpose, academic delay behavior,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commitment, task value, and future-oriented perspective were measured for 351 students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Gyeongbuk and Gyeongnam. With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latent profile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Mplu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our latent profile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the latent profile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passive procrastination, active procrastin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First, "the Non-Procrastination Group" showed the lowest level of passive procrastination and active procrastination, and the highest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Second, "the Active-Procrastination Group" had the lowest passive procrastination after the non-procrastination group, but had the highest level of active procrastination, and was second only to the non-procrastination group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Third, the mixed-type group, both passive and active procrastination showed average levels, and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Passive Procrastination group”, but lower than those of the active and non-procrastination groups. Fourth, “the Passive Procrastination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of passive procrastination, followed by the non-procrastination group in active procrastination, and showed the lowest level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ask value and the future time perspective according to the latent profile classified as the next, "the Non-Procrastination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in the task value and the future time perspective. "the Active-Procrastination Group" and the mixed group showed the second highest level after the non- procrastination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Lastly, the passive delay group showed the lowest level. This study looked at various aspects of passive procrastination and active procrastination by examining profiles that simultaneously considered passive procrastination, active procrastin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Also, it is noteworthy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n-Procrastination Group", the active delay group, and the passive procrastination group in the task value and future time perspective when the study on whether active delay was a positive type was in progress.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에 대한 프로파일에 따른 과제가치와 미래지향시간관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북, 경남지역에 소재한 대학에서 35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지연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과제가치, 미래지향시간관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SPSS 통계프로그램과 Mplus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잠재프로파일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의 수동지연행동, 능동지연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의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4개의 잠재프로파일을 확인하였다. 첫째, 비지연집단은 수동지연행동과 능동지연행동이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났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이 가장 높았다. 둘째, 능동지연집단은 수동지연행동이 비지연집단 다음으로 낮으나 능동지연행동의 수준이 가장 높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에서 비지연집단 다음으로 높았다. 셋째, 혼합형집단은 수동지연행동과 능동지연행동이 모두 평균 수준을 나타내며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은 수동지연집단보다 높지만, 능동지연집단, 비지연집단보다 낮게 나타났다. 넷째, 수동지연집단은 수동지연행동의 수준이 가장 높으며, 능동지연행동의 수준은 비지연집단 다음으로 낮고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은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분류된 잠재프로파일에 따라 과제가치와 미래지향시간관을 살펴본 결과 비지연집단은 과제가치와 미래지향시간관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능동지연집단과 혼합형집단은 비지연집단 다음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나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수동지연집단은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수동지연행동, 능동지연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을 동시에 고려한 프로파일을 살펴봄으로써 수동지연행동, 능동지연행동의 다양한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능동지연행동이 긍정적인 유형인지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과제가치, 미래지향시간관에서 비지연집단, 능동지연집단, 수동지연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 미래시간인식이 아동의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수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95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이 시급해지며 기후변화 교육 내용과 행동 변인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환경교육에서는 미래세대와 타 생물종까지 아울러 생각하는 생태시민성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먼 미래까지 내다보는 역량을 기르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미래 시간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행동의 주요 변인으로 다루는 연구나 교육적 시도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이 가진 미래에 대한 인식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자하는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미래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을 첫째, 앞으로 남은 시간에 대해 심리적으로 지각하는 정도인 미래시간조망과 둘째, 인지-동기적 구인으로서 미래에 대한 총체적 관점을 의미하는 미래지향시간관으로 나누어 각각의 변인이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두 가지 실험연구로 확인하였다. 먼저, 아동의 미래시간조망과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초등학교 6학년 188명을 대상으로 환경 위기 시계로 미래 환경에 대해 유한성을 인식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미래 환경에 대한 시간적 거리감과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를 설문하였다. 이후 집단 간 행동의도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정으로, 두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아동의 미래지향시간관과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초등학교 5,6학년 89명을 대상으로 Husman&Shell의 미래지향성 척도와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를 측정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두 변인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30년 후의 미래 환경에 대한 시간적 거리감이 짧을수록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자극물의 검증 과정에서 시간의 유한성을 인식한 아동이 통제집단의 아동보다 동일한 거리의 미래 환경을 더 가깝게 느끼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미래지향성이 높을수록 아동의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환경행동의도에 아동의 미래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확장된 미래시간조망을 가질 수 있도록 환경교육에서 환경위기시계와 같은 제한된 미래에 대한 인식을 갖게 할 수 있는 교육 및 교육자료가 필요하다. 둘째, 환경행동의 변인 중 하나로 주관적 시간인식을 다루었으며 아동의 미래지향성의 향상이 환경행동에 주요 변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s education to cope with the climate crisis becomes urgent, discussions on the content and behavioral variable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are becoming more active. In environmental education, efforts are continuing to develop the ability to look far into the future with the aim of fostering ecological citizenship that also think about future generations and other species. However, research or educational attempts to deal with subjective perception of future time as a major variable of behavior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whether children's Future Time Perspective(FTP) affects their climate change behavioral intention. Therefore, Future Time Perspective was firstly divided into FTP meaning a future time view, which is the degree of psychological perception of the remaining time, and secondly, FTP meaning a future-oriented perspective, which means a total perspective on the future as a cognitive-motivated factor. Two experimental studies confirmed whether each variable affects the climate change behavioral intention. First, in order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future time view and climate change behavioral intention, 188 6th grade students in Seoul surveyed psychological perspection of the remaining time and behavioral intention deal with climate change. In this survey, stude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that recognizes finiteness in the future environment with an environmental crisis clock and a control group. Next, in order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future-oriented perspective and behavior intention, 89 5,6th grade students in Seoul survey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investigat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horter the psychological distance to the future environment 30 years later, the higher the willingnes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In the process of verifying the experimental stimulus,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 who recognized the finiteness of time felt closer to the future environment of the same distance than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future-oriented perspective, the higher the children's climate change behavioral intention and therefore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child's future affects the climate change behavioral inten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and educational materials that can make children aware of a limited future, such as an environmental crisis clock, are need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so that they can have an expanded future view. Second, subjective time perception was dealt with as one of the variables of environmental behavioral intention, suggesting that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future orientation can be a major variable in climate change behavioral intention.

      •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미래지향 시간관, 자기통제력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인과적 관계

        최화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3342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미래지향 시간관, 자기통제력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간의 인과적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고, 모형 내 변인 간 관계를 구명하였다. 연구의 모집단은 우리나라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2013년 기준 4년제 대학교 총 188개교의 재학생 수는 1,505,445명이었다.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을 선정하기 위하여 층화군집 및 비율표집을 활용하여, 지역, 전공계열 및 학년을 고려하여 총 560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진로결정수준, 미래지향 시간관, 자기통제력, 진로결정자기효능감 4가지 영역에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묻는 영역을 포함하여 질문지를 제작하고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4년 10월 13일부터 10월 24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우편조사 및 온라인 조사를 통해 배포된 560부 중 503부가 회수되었다(회수율 89.8%). 이 중 무응답 및 불성실 응답, 이상치 응답 등을 제외한 489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서 사용되어 유효 자료율은 87.3%를 보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for Windows와 Amo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등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형 적합도 및 변인 간 영향관계를 구명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추리통계 분석에 있어 통계적 유의 수준은 5%로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미래지향 시간관, 자기통제력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간의 인과모형은 변인 간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기에 적합하였다. 둘째, 가설적 구조모형의 경로계수(β)는 미래지향 시간관과 진로결정수준 .139, 자기통제력과 진로결정수준 .281,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 .279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래지향 시간관과 진로결정수준의 영향 관계에서 미래지향 시간관이 자기통제력을 매개로 하여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간접효과의 경로계수가 .075,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175, 자기통제력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결정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045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자기통제력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하여 미치는 간접효과가 .170으로 나타나 자기통제력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설정한 구조모형은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증 자료를 설명하기에 적합하며,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간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미래지향 시간관은 진로결정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이 미래에 가치를 두고 현재와 미래가 연결되어있다고 인식하는 것은 진로결정수준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며, 자기통제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통해 간접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자기통제력은 진로결정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통제력은 진로결정수준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동시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을 향상시키고, 보다 효과적인 진로지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미래지향 시간관과 함께 자기통제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입시위주의 중등교육을 거친 대학생들은 자신의 미래에 대해 고려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성장하였으며, 직업적으로 충분히 성숙되지 못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미래지향 시간관 가질 수 있도록 조력하여, 개개인이 진로에 대해 고민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자기통제력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나아가 진로결정수준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연구의 결론을 기반으로 하여, 후속 연구와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별 다양한 층화 기준을 고려하였으나,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보다 세분화된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둘째, 국내 대학생의 미래지향 시간관에 대한 후속 연구를 위해서는 국내 대학생의 미래지향 시간관에 대한 측정도구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척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넷째, 대학생의 미래지향 시간관과 자기통제력은 개인의 학습력 혹은 학습성과와 관계가 높은 변인으로, 학습과 관련한 변인을 포함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