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과 자기통제의 조절된 매개효과

        조아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진로발달의 전환점에 속해 있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미래지향시간관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미래지향시간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고 자기통제가 그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 만 29세 이하의 성인 남녀 3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Mahalanobis 이상치를 제거한 348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통해 주요 변인 간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ROCESS Macro v.4.2를 이용하여 매개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직접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진로적응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자기통제가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이 진로적응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진로준비행동을 예측하였으며,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가 자기통제를 통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기통제 수준이 높을수록 미래지향시간관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이 강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기통제가 높을수록 개인은 미래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고, 현재와 미래의 연결성을 고려하여 현재 시점에 선택과 결정을 내린다. 이는 곧 개인이 진로영역에 더욱 잘 적응하도록 돕게 되고, 결국 실제적인 진로준비행동으로 이어지게 된다. 한편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직접적인 관계는 살펴볼 수 없었다. 이는 한국의 경제 저성장으로 인해 위축된 취업시장에서 대학생들이 보다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을 할 수 있도록 단순히 미래에 가치를 두는 것뿐만 아니라 직면한 어려움에 대처할 수 있는 심리사회적 자원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결과이기도 하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진로 적응 및 준비행동에 있어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통제를 다루는 개입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moderated by self-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in South Korea. Undergraduate students, at a critical juncture in their career development, often face challenges stemming from Korea’s competitive job market and economic stagna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350 undergraduate students aged 19 to 29 from four-year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fter removing Mahalanobis outliers, data from 348 participants were analyzed. Measures included scales assessing future time perspective, career adaptability, self-contro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PROCESS Macro v4.2.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career adaptabilit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self-control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such that the positive influence of future time perspective on career adaptability was stronger for individuals with higher levels of self-contro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uture time perspective influence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directly through career adaptability and that self-control regulates this pathway. Specifically, students with higher self-control are better able to recognize the value of the future and make decisions that enhance their adaptability, ultimately leading to more acti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lternatively,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identified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suggest that in the context of Korea’s economic stagnation and challenging job market, psychological and social resources that enable individuals to cope with present difficulties are essential for acti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study underscores the need for counseling interventions that address both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elf-control to enhance career adaptability and preparation behaviors among college students. Additionally, i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time perspective when providing career-related guidance.

      • 미래지향시간관 군집에 따른 대학생의 진로동기 및 학업성취도 차이

        천지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49727

        대학생은 학업을 병행함과 동시에 직업세계로의 진출을 앞두고 다양한 진로 관련 활동을 하게 된다. 이때 미래에 대한 개인의 관점인 미래지향시간관(Future Time Perspective; FTP)과 동기는 앞으로의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많은 연구에서 시간관이 높고 내재화된 동기일수록 긍정적으로 여기지만 시간에 대한 관점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으며 중요한 일을 하는 데 반드시 내재적으로 동기화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학습자마다 다양한 시간관과 다양한 동기 수준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별적인 교육적 개입이 필요함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변인중심분석이 아닌 사람중심분석을 통해 개인의 다양한 미래지향시간관 유형과 다양한 동기 수준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미래지향시간관의 하위요인에 따라 군집을 도출하고, 군집에 따라 자기결정성 진로동기 및 학업성취도 수준이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해 155명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결정성 진로동기 및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도출된 미래지향시간관 군집 유형간의 자기결정성 진로동기,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MANOVA를 통해 분석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낮은 FTP형(13.5%)’, ‘높은 확장성형(16.1%)’, ‘중간 FTP형(19.3%)’, ‘높은 FTP형(23.8%)’, ‘낮은 속도형(27%)’으로 5개의 군집이 추출되었다. 5개의 군집 간에는 학업성취도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속도 요인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구체적으로 ‘높은 FTP형’, ‘중간 FTP형’ 순서로 높았으며 ‘낮은 속도형’, ‘높은 확장성형’, ‘낮은 FTP형’의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속도 요인에 따라 그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자기결정성 진로동기 유형 중 무동기는 미래지향시간관의 전체 수준이 높으면 그 수준이 낮았고 미래지향시간관의 전체 수준이 낮으면 수준이 높았다. 또한 각 군집의 가치 요인의 수준에 따라 내재동기의 수준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높은 FTP형’, ‘낮은 FTP형’, ‘낮은 속도형’, ‘높은 확장성형’, ‘중간 FTP형’ 순서로 내재동기의 수준이 높았다. 그러나 외적 조절동기와 부과된 조절동기는 군집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사람 중심 분석인 군집분석을 통해 대학생들의 미래지향시간관의 수준이 어떠한지 확인하였으며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는지를 보여주는 경험적 증거를 제공하였다. 또한 각 하위요인과 자기결정성 진로동기,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군집 내에서 어떠한 요인을 증진시키는 것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결과적으로 가치 요인이 진로동기 중 내재동기와, 속도 요인이 학업성취도와 긍정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래지향시간관의 전체적인 수준이 높은 것이 진로동기 및 학업성취도와의 긍정적인 관계로 이어짐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단순히 미래지향시간관의 평균 수준이 높다고 하여 모든 면에서 적응적인 모습을 보이거나, 미래지향시간관의 평균 수준이 낮다고 하여 모든 면에서 비적응적인 모습을 보인 것이 아니므로 미래지향시간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의 미래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각 유형별로 차별적인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개별적인 진로 교육 프로그램이나 상담을 통해 적응적인 대학생활과 진로 준비를 할 수 있게 대학 내에서 교육 제도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derived clusters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future time perspective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sed whether the levels of self-determination Career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differed according to the cluster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college students nationwide, and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by measuring the future time perspective, self-determination Career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155 students. Then, we analysed the differences in self-determination Career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the cluster types of future time perspective using MANOVA.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five clusters were extracted: low FTP (13.5%), high extension (16.1%), medium FTP (19.3%), high FTP (23.8%), and low speed (27%).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mong the five clusters, with the higher the speed factor,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Specifically, ‘high FTP’ and ‘medium FTP’ had the highest academic achievement, while ‘low speed’, ‘high extension’, and ‘low FTP’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ir levels depending on the speed factor. Among the self-determination career motivation types, amotivation was lower when the overall level of future time perspective was high and higher when the overall level of future time perspective was low. In addition, the level of intrinsic motivation var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value factors in each cluster. Specifically, high FTP, low FTP, low speed, high extension, and medium FTP had higher levels of intrinsic motivation. However, external regulation and introjected regulation motiva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lusters. This study provided empirical evidence to identify the level and form of future time perspective among university students through cluster analysis, a person-centred analysis, and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subfactor and self-determination Career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discussed which factors within the clusters can be enhanced to produce positive results. We found that the value factor was positively related to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pace factor was positively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We also found that a higher overall level of future time perspective wa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career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a high average level of future time perspective does not mean that a person is adaptive in all aspects, and a low average level of future time perspective does not mean that a person is maladaptive in all aspects, suggesting that in order to improve future time perspective, differentiated educational support is needed for each type of individual by identifying their perception of the future.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al systems within universities to help students prepare for adaptive university life and careers through individual career education programmes and counselling.

      • 고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사교육 참여의 관계

        이은주 아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사교육 참여의 수준을 알아보고 그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의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고등학생의 사교육 참여의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고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사교육 참여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6개 시(구리시, 남양주시, 안산시, 용인시, 평택시, 화성시)에 소재한 7개 일반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 2학년 남・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는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통하여 총 444부를 배부하였으며, 그중에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349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의 수준은 전반적으로 낮지는 않았으며, 고등학생들의 미래지향시간관 하위 변인에서 가치의 측면보다 연속성의 측면이 더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미래지향시간관 연속성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사교육 참여의 수준을 분석한 결과 대학 입시에 필요한 주요 과목에서의 성적 향상을 위해 사교육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사교육 참여 시간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사교육 참여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고등학생이 생각하는 사교육 이유 중 ‘공부와 진학에 대한 정보 습득’의 경우에만 미래지향 시간관과 사교육 참여 시간 사이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고등학생들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사교육 참여 수준 사이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이 아니었다는 것은 개인발달적 특성 이외의 조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성별에 따른 미래지향시간관의 유의미한 차이와, 사교육 참여 동기에 따른 미래지향시간관과 사교육 참여의 유의미한 부적 관계의 결과에 주목하여 맞춤형 진로지도를 보완한다면, 청소년들의 미래지향시간관이나 진로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사교육의 질적인 변화를 모색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이다.

      • 고등학생이 지각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미래지향시간관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최미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49725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미래지향시간관, 진로결정수준을 파악하고,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미래지향시간관이 진로결정수준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미래지향시간관이 진로결 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의 각 하위요인과 미래지향시 간관의 각 하위요인이 진로결정수준의 각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연구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 음의 절차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진로결정수준,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미래지향시간관의 정규성 및 수 준을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고, 평균, 표준편차, 왜도 및 첨도 를 산출하였다. 둘째, 진로결정수준,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및 미래지향시간관 간의 상관관 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 시하였다. 셋째,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미래지향시간관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수준, 고등학생이 지각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미래지향시 간관의 수준을 확인한 결과, 긍정적 부모양육태도(M=4.03)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미래지향시간관(M=3.53), 진로결정수준(M=3.42) 순으로 높았다. 둘째, 진로결정수준, 고등학생이 지각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미래지향시 간관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중 자율성 지지와 미래지향시간관 중 속도 간의 관계를 제외한 모든 변인들 간의 상관이 통계적 으로 유의함이 확인되었다. 셋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미래지향시간관이 진로결 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중에서는 자율성 지지, 미래지향시간관 중에서는 연계성, 확장성, 속도가 진로결정수준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단기적인 입시 중심의 학습에 놓인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미래 지향시간관에 초점을 두고, 이 요인이 부모양육태도와 함께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등 학생 자녀를 둔 부모는 자녀가 부모의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 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며, 자녀에게 선택의 기회를 주는 등 자율성을 지지 해 주는 자세와 사회적 규칙을 적용하도록 이끄는 구조제공이 필요함을 확인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미래를 염두에 두고 시간을 관리하며, 신중하게 진로 를 선택할 수 있도록 미래지향시간관을 갖게 지도하는 것의 중요성도 확인하 였다. 이를 바탕으로 부모는 자녀와의 관계를 개선하고 자율성과 책임감을 키 워주는 양육을 실천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는 학생들이 미래지향시 간관을 형성하도록 돕는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제공하여, 고등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부모애착과 소명의식의 관계 :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적응성의 이중매개효과

        박희영 한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5

        본 연구는 일과 삶에서의 만족을 이끄는 구성개념인 소명의식에 관하여, 소명의식을 예측하는 변인과 기제를 알아보았다. 소명의식을 발견하는 과정에는 사회적인 요인과 심리적인 요인이 작용하였다. 따라서 소명의식을 준거변인으로 설정한 후 부모애착이 소명의식을 예측하는 과정에서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적응성의 역할을 탐색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1) 부모애착과 소명의식의 관계, (2) 두 변인 사이에서 미래지향시간관의 매개효과, (3) 두 변인 사이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마지막으로 (4)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적응성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가설을 수립하였다. 이후에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한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48명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부모애착과 소명의식의 관계에서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적응성 은 각각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미래지향시간관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했고, 진로적응성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했다.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적응성이 순차적으로 간접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 두 변인의 완전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소명의 발견 과정에는 타인과의 관계, 미래에 관한 인식, 진로적응역량이 복합적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구직자와 직장인을 대상으로 소명의식을 적용할 때 소명의식 자체에 관한 교육과 훈련보다는 과정 지향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육 훈련 담당자가 소명의식의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데 있어 사회적 요소와 개인적 역량을 복합적으로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ariables and mechanisms that predict the Calling, which is a constituent concept that leads to satisfaction in work and life.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were expected to work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Calling. Therefore, after setting the Calling as the reference variable, the role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Adaptability was explored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the Calling. Specifically, in this study, a hypothesis was established to confirm (1)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Calling, (2) the mediating effe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between the two variables, (3)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between the two variables, and finally (4)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Adaptability. After that,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line for undergraduate students. Among the collected data, 248 responses were analyzed,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Looking a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Adaptability show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Calling, respectivel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was confirmed, and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was confirmed. And as a result of verifying whether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areer Adaptability sequentially showed indirect effects, a complete double-mediated effect of the two variables was found. By synthesizing these research results, the process of predicting Calling was interpreted,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escrib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lationships with others, perceptions of the future, and career adaptation capabilities work in a combination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calling. Therefore, when applying a sense of calling to job seekers and office workers, a process-oriented approach is needed rather than education and training on the sense of calling itself. This study proposes that education and training personnel consider social factors and personal competencies in combination in designing programs for the cultivation of a sense of calling.

      •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성취동기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HUANG YIQI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4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future time perspectives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on academic procrastin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as follows. First, is there a correlation between the future time perspective,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Second, how does the future time perspective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affect their academic procrastination? Third, how does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affect their academic procrastination? In this study, 308 Chinese students were enrolled in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from October 3rd to 17th, 2021. The future time perspective,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were measured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through a self-report questionnaire. A total of 30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of which 286 people were analyzed by SPSS 22.0, excluding 22 copies that were not suitable for the study. As an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 observe the significant correlation and influence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irst of all, future time perspective,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sub-factors all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nd value,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sub-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Next,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both sub-factors,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sub-factors of achievement motiv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addition, the future time perspectiv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motivation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factors of achievement motivation. The sub-factor value of the future time perspectiv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achievement motivation and sub-factors, and connectedne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motivation and sub-factors passion, hope, and confidence,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dventure.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uture time perspectives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on academic procrastination. It was found that future time perspectiv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and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nd when looking at the impa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ub-factor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value, academic initiation procrastination, and academic completion procrastination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Still, connectedness and sub-factor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were found that academic initiation procrastination and academic completion procrastin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The sub-factors of achievement motivation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sub-factor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Therefore,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Chinese students in Korea pay attention to their future, have clear goals, study hard and actively practice to improve their future development can be better. It can be seen that the motivation to avoid is caused by not practising or feeling the fear of failure, and thus academic procrastination is shown more in the learning situation. So, depending on how important the future is to Chinese students in Korea, and whether they perceive that the present brass and future goals are connected to influence the future, if their extrinsic motivation and intrinsic achievement motivation match, it will help to lower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Chinese students in Korea who are experiencing problems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to develop their ability to become independent and solve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at may arise in school or counselling through education and devising a way to better adapt to studying abroad. 본 연구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성취동기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 성취동기, 학업지연행동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가? 둘째,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이 학업지연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성취동기가 학업지연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와 경기권 소재의 대학에서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30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1년 10월 3일부터 10월 17일까지 약 보름 동안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 성취동기, 학업지연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8부의 설문자료를 수집하였고, 그중에서 설문에 불성실하게 대답하여 연구에 적합하지 않은 22부를 제외하고 286명의 자료가 분석 대상이 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했다.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 성취동기, 학업지연행동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와 영향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미래지향시간관, 성취동기, 학업지연행동이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우선, 미래지향시간관과 학업지연행동 및 하위요인은 모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미래지향시간관의 하위요인인 가치와 학업지연행동 및 하위변인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연속성과 학업지연행동 및 하위변인은 모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그다음, 성취동기와 학업지연행동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으며, 성취동기의 하위요인과 학업지연행동 및 학업지연행동의 하위요인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미래지향시간관은 성취동기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성취동기의 하위요인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미래지향시간관의 하위요인 가치는 성취동기 및 성취동기의 하위요인과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연속성은 성취동기 및 성취동기의 하위요인인 열정, 희망, 자신감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지만, 모험심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성취동기가 학업지연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미래지향시간관과 성취동기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미래지향시간관과 학업지연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취동기와 학업지연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획인되었다. 그리고 미래지향시간관과 성취동기의 하위요인이 학업지연행동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가치와 학업적 착수 지연행동, 학업적 완수 지연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연속성과 학업적 착수 지연행동, 학업적 완수 지연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취동기의 하위요인이 학업지연행동의 하위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것이 나타났다. 따라서 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이 자신의 미래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며, 뚜렷한 목표를 가지고 더 나아질 수 있도록 열심히 공부하고 능동적으로 행동함으로써 학업지연행동이 잘 나타나지는 않지만, 목표를 달성하려는 과정에서 계획대로 실천하지 않거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느껴서 회피하려는 동기가 생겨 학습상황에서 지연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은 미래를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현재의 활동과 미래의 목표가 연결되어 있어 미래에 영향을 준다고 인식하는지에 따라 자신의 외적 동기와 내적 성취동기가 일치한다면 학업지연행동의 빈도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향후 학업지연행동의 문제를 겪고 있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이 자립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게 하고, 이들이 유학 생활에서 생길 수 있는 심리적 어려움을 학교 혹은 상담 장면에서의 교육을 통해 해소해서 학업지연행동의 빈도를 낮추고 유학 생활을 잘 적응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 초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 그릿과 학업지연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의 매개효과

        정지은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10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 그릿, 성취목표, 학업지연의 관계를 파악하고, 성취목표가 미래지향시간관, 그릿, 학업지연 사이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미래지향시간관, 그릿, 성취목표는 학업지연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성취목표는 미래지향시간관, 그릿, 학업지연 사이를 어떻게 매개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소재의 2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6학년 274명(남학생 137명, 여학생 137명)을 대상으로 미래지향시간관, 그릿, 성취목표, 학업지연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다중병렬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한 결과 자료는 모형에 잘 부합되었으며 완전매개모형보다는 부분매개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의 경로를 살펴보면 미래지향시간관은 능동지연을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며, 그릿은 수동지연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수행접근목표는 수동지연을 부적으로, 수행회피목표는 수동지연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 그릿이 수동지연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변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다른 변인에 비해 학업지연과의 관계를 살펴본 선행연구의 수가 적은 편이므로 지연행동을 막아주는 변인으로 그릿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미래지향시간관과 그릿이 학업지연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취목표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릿→수행회피목표→수동지연 경로에서의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그릿과 수동지연의 관계에서 수행회피목표가 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릿, 수행회피목표, 지연행동의 매개 관계를 통해, 학습자의 수동지연을 낮추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열정과 인내를 가지도록 하는 것과 목표추구에 있어서 적극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지연이 동기적 요인에 의해 변화가 가능하다는 관점에 따라 초등학생의 학업지연과 이들에 영향을 미치는 목표 관련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였다. 최근 학업지연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기질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환경적 요인이나 동기적 요인들과 관련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학업지연의 부정적 측면을 강조한 수동지연과 더불어 지연에 있어 개인의 조절적 특성과 관련되는 능동지연과의 비교 연구는 학업지연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그릿과 학업지연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유의한 매개효과는 그릿-수행회피목표-수동지연의 경로에서 나타났는데, 이는 미루는 행동을 줄이는 데 있어서 그릿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며, 초등학생에게 있어 장기적인 목표의 설정과 목표를 위해 열정과 끈기를 가지는 학습 태도가 중요함을 뜻한다. 특히 본 연구에 쓰인 그릿 척도는 장기적인 수행에 걸리는 기간(6개월 이상)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더 긴 시간 동안 해야 하는 프로젝트나 과제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장기적인 목표와 관련된 것임을 더 쉽게 이해하도록 도왔다. 셋째, 연구 결과를 통해 학생들의 회피 기제를 낮추고, 수동지연행동을 줄이기 위해서 초등학생에게 장기적인 목표 설정과 과제 수행의 경험을 늘려줄 필요성이 있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초등학생들은 중학교급 이상의 학생들에 비해 장기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과제에 익숙하지 않은 편이다. 따라서 학업지연행동을 보이는 학생들에게 적어도 한 학기 이상의 시간이 걸리는 장기적인 학습 프로젝트를 제시하고 학생들 각자가 프로젝트 성공에 필요한 단기 목표를 세우고 실천하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 대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이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조혜리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10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이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대학생이 적극적인 진로관여행동을 함으로써 마주할 불확실한 직업사회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개인의 역량을 스스로 키울 수 있게끔 돕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은 진로관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이다. 둘째, 대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관여행동 간 영향관계에서 수행목표지향성과 숙달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셋째, 대학생의 수행목표지향성과 진로관여행동 간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넷째, 대학생의 숙달목표지향성과 진로관여행동 간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서울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32건의 응답을 SPSS 23.0과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은 진로관여행동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관여행동 사이의 관계에서 수행목표지향성과 숙달목표지향성 모두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대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관여행동 간 수행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에 대해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숙달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에 대해서는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진로 관련 변인의 관계성을 다양화하여 이론적 확장에 기여하였다. 둘째, 미래지향시간관과 진로관여행동의 영향관계에 대해 선행연구와 상반된 결과를 도출하여 인지적인 측면과 행동적인 측면이 필연적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음을 재고하게 하였다. 셋째, COVID-19와 같은 환경적인 어려움 속에서도 대학생의 진로관여행동을 촉진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논의해볼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는 매개변인인 수행목표지향성과 숙달목표지향성이 모두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future time perspective on the occupational engagement,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goal is to provide information so that university students can properly respond to the uncertain job society they will face by actively engaging in career paths, and help individuals develop their own capabilities. The following questions delineate the scope of the investigation. First, it is to reveal how university students' future time perspective has an effect on the occupational engagement. Second, it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and mastery goal orien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future time perspective and occupational engagement. Third, it is to reveal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occupational engagement. Fourth, it is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stery goal orien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occupational engagement.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junior and senior enrolled in a four-year-course university in Seoul, and a total of 332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university students' future time perspective did not directly affect occupational engagement. Second, both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and mastery goal orientation showed completely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future time perspective and occupational engagement.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foun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occupational engagement of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the mediating effect of mastery goal orientation,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it contributed to theoretical expansion by diversifying the relationships of career-related variables. Second, it drew contradictory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occupational engagement, which made it possible to reconsider that the cognitive aspect and the behavioral aspect may not inevitably lead. Third, it allowed us to actively discuss ways to promote university students' occupational engagement in the face of environmental difficulties such as COVID-19.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both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and mastery goal orientation, which are mediators, showed completely mediating effects.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미래지향목표, 미래지향시간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

        이영승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10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uture-oriented goals,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ch a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among various variables for the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34 male and 225 female students in G a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 used to examine and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In addition, it conducted 5000 bootstrapping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and analyzed with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ML). The analysis of this study used SPSS 27.00 and Amos 25.00 programs. First, because of the study, extrinsic future-oriented goals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ere found to ha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of them.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Future-oriented goals can not derive from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owev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creases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creases through future-oriented goals and a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Second, because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oriented goals and career-preparation behavior as a study on the career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 effect on career-preparation behavior was significant. In addition,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the intrinsic future-oriented goal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mediating the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Through this, there are significant results in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future-oriented goals and the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However, it was found that driv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future-oriented goal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s challeng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should have a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by setting future-oriented goals if they want to lead career exploration, information collection, job experience,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Students with a future-oriented perspective are more likely to have a sense of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 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의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따른 과제가치, 미래지향시간관의 차이

        배세희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ask value and future-oriented time perspective according to the profiles of college students' academic delay behavior,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immersion. For this purpose, academic delay behavior,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commitment, task value, and future-oriented perspective were measured for 351 students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Gyeongbuk and Gyeongnam. With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latent profile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Mplu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our latent profile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the latent profile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passive procrastination, active procrastin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First, "the Non-Procrastination Group" showed the lowest level of passive procrastination and active procrastination, and the highest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Second, "the Active-Procrastination Group" had the lowest passive procrastination after the non-procrastination group, but had the highest level of active procrastination, and was second only to the non-procrastination group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Third, the mixed-type group, both passive and active procrastination showed average levels, and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Passive Procrastination group”, but lower than those of the active and non-procrastination groups. Fourth, “the Passive Procrastination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of passive procrastination, followed by the non-procrastination group in active procrastination, and showed the lowest level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ask value and the future time perspective according to the latent profile classified as the next, "the Non-Procrastination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in the task value and the future time perspective. "the Active-Procrastination Group" and the mixed group showed the second highest level after the non- procrastination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Lastly, the passive delay group showed the lowest level. This study looked at various aspects of passive procrastination and active procrastination by examining profiles that simultaneously considered passive procrastination, active procrastin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Also, it is noteworthy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n-Procrastination Group", the active delay group, and the passive procrastination group in the task value and future time perspective when the study on whether active delay was a positive type was in progress.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에 대한 프로파일에 따른 과제가치와 미래지향시간관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북, 경남지역에 소재한 대학에서 35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지연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과제가치, 미래지향시간관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SPSS 통계프로그램과 Mplus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잠재프로파일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의 수동지연행동, 능동지연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의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4개의 잠재프로파일을 확인하였다. 첫째, 비지연집단은 수동지연행동과 능동지연행동이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났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이 가장 높았다. 둘째, 능동지연집단은 수동지연행동이 비지연집단 다음으로 낮으나 능동지연행동의 수준이 가장 높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에서 비지연집단 다음으로 높았다. 셋째, 혼합형집단은 수동지연행동과 능동지연행동이 모두 평균 수준을 나타내며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은 수동지연집단보다 높지만, 능동지연집단, 비지연집단보다 낮게 나타났다. 넷째, 수동지연집단은 수동지연행동의 수준이 가장 높으며, 능동지연행동의 수준은 비지연집단 다음으로 낮고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은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분류된 잠재프로파일에 따라 과제가치와 미래지향시간관을 살펴본 결과 비지연집단은 과제가치와 미래지향시간관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능동지연집단과 혼합형집단은 비지연집단 다음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나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수동지연집단은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수동지연행동, 능동지연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을 동시에 고려한 프로파일을 살펴봄으로써 수동지연행동, 능동지연행동의 다양한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능동지연행동이 긍정적인 유형인지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과제가치, 미래지향시간관에서 비지연집단, 능동지연집단, 수동지연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