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대공연 시 무대불안 요인에 관한 연구 : 예술고 발레전공자를 중심으로

        최하나 우석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 문 요 약 본 연구는 예술고등학교 발레전공 학생들이 무대공연 시에 느끼는 무대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전문 무용공연 활동을 함에 있어서 무대불안 요인을 적극적으로 극복함은 물론 전문무용수로서의 무대공연능력을 고양하기 위한 방법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북과 전남 지역소재 예술고등학교 발레전공자를 대상으로 직접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응답 결과를 정리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검증 한 후 논의한 결과 발레전공자의 성별, 학년별, 경력별, 연습시간별, 무대공연 참여횟수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개인적 특성의 경우 성별에 따른 무대공연 불안에 관한 차이 검증을 위한 T-test 결과 정서적 신체적, 인지적 요인 모두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평균값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서는 무대공연 불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무용경력에 따른 무대 공연 불안의 차이 검증을 위한 일원변량분석 결과 인지적 요인이 2% 수준으로 다소 높은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정서적, 인지적 요인은 1%로 정도의 차이를 보여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레전공 고등학생들의 무용참여빈도(참여시간, 참여기간 등)에 따른 무대공연 불안의 차이 검증을 위한 일원변량분석 결과 매일 연습하는 경우가 가장 무대공연불안을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량연마를 위한 시간적 노력이 거듭될수록 무대공연 불안은 더욱 더 감소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무용공연 횟수(경험)에 따른 무대 공연 불안의 차이 검증을 위한 일원변량분석 결과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무대 참여정도가 높을수록 무대공연 불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즉. 빈도가 낮을수록, 시간이 낮을수록, 기간이 적을수록 무대공연 불안정도가 높았다. 이를 종합해보면 신체적으로 불리한 상황에 처해있는 무용수라 하더라도 끓임 없는 연습과 무대공연 참가를 통하여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으며, 정서적인 불안감은 자아성찰을 통하여, 인지적 불안은 이 분야에서 최고이어야 한다는 자신의 기대심리를 다소 낮게 설정하거나 주위의 의식을 적절하게 배제할 수 있는 능력을 쌓아감으로서 충분히 극복할 수 요인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 된 연구대상자의 수나, 지역적 안배가 매우 협소하여 전체 발레전공자의 무대공연불안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없었다는 한계점이 대두될 수도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향후 보다 연구의 대상을 광역화하고 다층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발레전공자의 무대공연 불안 요인을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연구의 진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 Study on Stage Anxiety of Stage Performances - Focus on the Ballet Major Students' of Arts High School - Choi, Ha-na Major of Da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Ballet is a performance art that expresses the dancer's ideas and feelings through the aesthetic motions of the body. But dancer's psychological anxiety for performance often causes poor performance that is much worse than the dancer's highest skills displayed during practice. This study purpose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stage anxiety ballet-majoring students suffer when they are performing on the stage. For more resonable research in this study the factors such as trait of character, recognition of dancing capability, degree of dance participation and level of dance achievement are controlled as dependent variables, and stage anxiety as independent variab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et as the population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dancing(ballet) in arts high schools in Jeonbuk and Jeonnam currently as of 2008, and selected 109 students from them using satisfied purposive sampling. The collected samples were processed by SPSS(11.0 Version) to find out how much stage anxiety is affected. After process of the meaningful data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Dancer's anxiety for stage performance was partially different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Thus, Male students suffer stage anxiety more than female students. 2. High participation in dancing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anxiety for stage performance. That is, anxiety for stage performance was higher in students who danced less frequently and for short time and whose experience in dancing was not long. 3. Period of dance participation, one of factor related to perceived dance capability, has positive influence on stage anxiety. High dancing history had a positive effect on anxiety for stage performance. Consequently, the longer period, the lower stage anxiety.

      • 성악공연 전공의 무대불안 요인분석에 따른 음악치료 방안연구

        하단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무대불안은 현재 대학의 실천 교육에서 보편적인 현상이며 모든 공연자가 항상 직면해야 하는 일종 심리상태다. 무대불안장애는 일종의 특별한 불안 유형이고 무대불안장애가 있는 공연자는 공연 전이나 공연 중에서 기억 공백, 긴장, 집중력 부족, 두려움 등 자기 통제를 받지 않는 상황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공연자의 공연 상태에 영향을 미쳐 공연의 질이 떨어질 수 있고, 심지어 제대로 공연하지 못해 공연 실패까지 초래할 수 있다. 무대불안장애가 심한 공연자는 과도한 긴장으로 공연을 잘 못한다면 다시 무대에 서는 용기가 없어질 수도 있다. 이에 무대불안 관련 현상과 문제는 많은 음악 전공자, 공연단체, 기타 단체와 밀접하게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음악 치료는 정신의학과 음악학이 겹쳐서 이루어진 새로운 형태의 학제 학과로 독특성을 지니며 최근 몇 년 동안 실천으로도 널리 사용된다. 음악치료는 정서가 사람의 인지에 중요한 역할을 함과 음악은 정서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한다. 또한, 인간의 심리상태를 어느 정도 변화시킬 수 있고 다양한 스트레스와 불안을 완화하는 등 일련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어 인간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것을 통하여 치료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필자가 음악공연성악을 전공한 음악대학 졸업생으로서 무대공연에 대한 깊은 인식과 실천경험을 가지고 있어 음악치료라는 과제에 관심이 많다. 따라서 본 문은 음악치료가 공연불안을 해소하는 데에 좋은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문은 먼저 음악치료와 무대불안장애에 관한 이론으로 시작하며 이 이론을 바탕으로 음악치료 기술을 응용하여 무대불안에 개입하고 관련 실험을 실행한다. 본 문은 국내외 관련 연구 성과를 참고하고 정성적·정량적 방법을 사용하여 이 과제를 연구한다. 실험의 주요 연구대상은 후베이(湖北)H대학 예술학원의 음악공연 성악을 전공하는 학생이다. 연구 과정은 먼저 공연 전의 무대불안장애에 관한 설문지를 통해 맞는 지원자를 선별해 낸 후 그들에게 추가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이다. 실험 과정에서 여러 음악적 기술을 사용하여 긴장 문제를 해결하는 시도를 하고 치료과정을 기록하고 분석한다. 음악치료를 응용하는 과정에서 여러 문제와 원인을 찾아낸 결과, 음악 치료가 성악을 공연하는 학생들의 무대공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결국 입증되었다. Stage performance anxiety is a common phenomenon in college practice education at present. The nervousness before stage performance is a psychological state that every performer often needs to face.Stage anxiety is a special type of anxiety, which is often manifested in the stage performer's unconstrained state such as memory pauses, nervousness, difficulty in concentration and fear before or during performance.It can affect the performance status of the performers, which may lead to the deterioration of the performance quality, and even the failure of the performance due to the failure of the performance. The phenomenon and problems of stage anxiety are closely related to music students, performing groups and other groups. Music therapy is a new frontier subject, which is a cross-disciplinary subject combining psychological medicine and musicology, and has been widely used in practice in recent years. It emphasizes that emo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human cognition and is closely related to health. Music has a great influence on emotion. It can change people's psychological condition to some extent. As a graduate of the College of Music majoring in vocal music, I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stage performance and practical experience, so I am interested in music therapy.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psychological intervention of music to relieve the tension and anxiety of vocal performers before performance. This paper begins with the theory of music therapy and stage performance anxiety. Based on this theory, music therapy technology is applied to intervention of stage performance anxiety and related experiments are carried out. Combining the research achievements at home and abroad, the author adopt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to study the subject. The main subjects of the experiment were students majoring in music performance vocal music in the College of Art of Hubei Second Normal University.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questionnaire on stage anxiety before performing and then tested further. Various musical techniques were used to solve the stress problem, and the treatment process was recorded and analyzed. In the process of using music therapy to find out the problems and causes, the therapeutic effect of music therapy has been proved effectively.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tage performance ability of vocal performance students.

      • 패션모델전공학생의 패션쇼 무대몰입이 무대만족과 무대불안에 미치는 영향

        김소영 서경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1

        The fashion model puts a lot of effort and concentration to perform the given role as best as possible the moment the fashion show stage begins. Through immersion in the fashion show stage, fashion models can overcome their limitations, demonstrate their latent abilities, and feel satisfaction through joy and a sense of achievement. We can see cases where fashion models regret and reflect when they cannot express their walking well on stage. They may lose their satisfaction on the stage because of their anxiety. Therefore, fashion models need to make efforts to increase their self-regulation ability and adaptability to the changing stage through various experiences of stage performance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model majoring university students' fashion show stage immersion on stage satisfaction and stage anxiety. A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 A total of 374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data analysis. SPSS 21.0 was used in this study to find out the effect of stage immersion on stage satisfaction, the effect of stage immersion on stage anxiety, and the effect of stage satisfaction on stage anxiety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As analysis method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ub-component dimensions by research variable, fashion show stage commitment was classified as performance commitment factor, stage satisfaction was classified as technical achievement satisfaction factor, personal achievement satisfaction factor, and stage anxiety was classified as field environment anxiety factor and physical emotional anxiety factor.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fashion show stage immersion on stage satisfaction, performance immers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technical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male college students showed a relatively higher rate than female college students. This is presumed to be due to the higher level of stage satisfaction among male university students because females have relatively more walking skills and directing skills compared to males due to the gender characteristics of fashion models. As a result of classifying by grade, first grade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technical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third grade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personal achievement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fashion show stage immersion on stage anxiety by gender, although it is a negative relationship, it lacks explanatory power. However, performance commitment has explanatory power for skill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skill achievement satisfaction has explanatory power for physical emotional anxiety.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performance immersion has some explanatory power for physical emotional anxiety through skill achievement satisfaction. It is judged that their anxiety decreased because they practiced and tried their best without regretting their role.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by grade, a negative (-) relationship was found in which physical emotional anxiety decreased as performance commitment increased, and it was found to have explanatory power in the first and fourth grades. It can be assumed that freshmen, first-year students, practiced their best in the work spirit they had to perform, and the higher the immersion, the higher the confidence and the lower the anxiety. It is assumed that fourth graders have less stage anxiety because they had more fashion show experiences than other grades.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tage satisfaction on stage anxiety by gender, a negative (-) relationship was found that as skill achievement satisfaction increased, physical emotional anxiety decreased. When classified by grade, a negative (-) relationship appeared in which physical emotional anxiety decreased as skill achievement satisfaction increased. A fashion model is a job that shows clothes to others, and it is assumed that there will be a change in emotions depending on the reaction of the other person when they express themselves well, such as walking and posing. In addition, when the other person's response is positive, it is presumed that physical emotional instability will be reduced by receiving a sen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It is also assumed that anxiety about the stage decreases by gaining trust and stability through walking and pose practice. 패션모델은 패션쇼 무대가 시작되는 순간 주어진 역할을 최대한 잘 수행하기 위해 수많은 노력과 집중을 한다. 패션쇼 무대몰입을 통해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기도 하고 잠재된 능력을 발휘하기도 하며 희열과 성취감을 통해 만족을 느낄 수 있다. 무대 위에서 자신의 워킹을 잘 표현하지 못할 경우 후회와 반성을 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불안으로 인해서 무대에 대한 자신의 만족이 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패션모델은 무대공연의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 자기 조절능력을 높이고 변화하는 무대에 대한 적응력을 기르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모델전공 대학생의 패션쇼 무대몰입이 무대만족과 무대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374부이다.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무대몰입이 무대만족에 미치는 영향, 무대몰입이 무대불안에 미치는 영향, 무대만족이 무대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는 SPSS 21.0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변인별 하위 구성차원을 알아본 결과, 패션쇼 무대몰입은 수행몰입 요인, 무대만족은 기술성취만족 요인, 개인성취만족 요인, 무대불안은 현장환경불안 요인, 신체정서불안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패션쇼 무대몰입이 무대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수행몰입이 기술성취만족에 정(+)의 관계를 보였으며, 남자 대학생이 여자 대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패션모델의 성별 특성상, 남성에 비해 여성은 상대적으로 워킹기술 및 연출력이 더 많음으로 남자 대학생의 무대만족이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추측된다. 학년별로 구분한 결과, 기술성취만족은 1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성취만족은 3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패션쇼 무대몰입이 무대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성별로 구분하여 알아본 결과, 부의 관계이지만 설명력이 부족하다. 하지만 수행몰입이 기술성취만족에 설명력이 있으며, 기술성취만족이 신체정서불안에 설명력이 있다. 즉, 수행몰입이 기술성취만족을 통해 신체정서불안에 일부 설명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자신의 역할을 후회 없이 최선을 다해 연습하고 노력하였기 때문에 불안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학년별로 구분한 결과, 수행몰입이 증가할수록 신체정서불안은 감소하는 부(-)의 관계가 나타났으며, 1학년과 4학년에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입생인 1학년은 수행해야 하는 직업정신으로 최선을 다하여 연습하고 몰입이 높을수록 자신감이 높아져 불안이 낮은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4학년은 패션쇼 경험이 다른 학년에 비해 많았기 때문에 무대불안이 낮은 것으로 추측된다. 넷째, 무대만족이 무대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성별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기술성취만족이 증가할수록 신체정서불안은 감소하는 부(-)의 관계가 나타났다. 학년별로 구분하였을 때, 기술성취만족이 증가할수록 신체정서불안은 감소하는 부(-)의 관계로 나타났으며, 1학년, 2학년, 4학년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모델은 의상을 타인에게 선보이는 직업으로 워킹, 포즈 등 잘 표현해냈을 때, 상대방의 반응에 따라 감정의 변화가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상대방의 반응이 긍정적일 때, 심리적인 안정감을 받아 신체정서불안이 감소할 것으로 짐작된다. 또한 워킹 및 포즈 연습을 통해 자신에 대한 신뢰와 안정을 얻음으로써 무대에 대한 불안이 감소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 대학댄스전공생들의 실패내성, 무대불안, 댄스수행능력과의 관계

        양수영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대학댄스전공생들의 실패내성, 무대불안, 댄스수행능력과의 인과성을 규명하여 성공적인 대학생활과 전문댄서로의 성장에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교에서 댄스전공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표본 추출방법을 활용하였으며, 287부의 설문지를구성하여 , 실패내성질문지, 무대불안질문지, 댄스수행능력 질문지를 설문하여 본 연구목적에 맞게 분석하였다. 개인특성변인에 따른 실패내성, 무대불안, 댄스수행능력의 수준차이분석 결과, 첫째, 학년에 따른 실패내성, 무대불안, 댄스수행능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패내성의 과제선호에서 4학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에 따른 실패내성, 무대불안, 댄스수행능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패내성의 감정에서 방송댄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현대무용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무대불안의 자신감과 무대수행능력에서 현대무용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실패내성, 무대불안, 댄스수행능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패내성의 과제선호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대불안의 인지불안에서 여자가 남자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력에 따른 실패내성, 무대불안, 댄스수행능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무대불안의 신체불안에서 3년 이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수 있는 심리적인 방안과 프로그램들이 개발 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실패내성은 댄스수행능력과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댄스수행능력을 예측하는 주요 변수 인 것으로 예측된다. 셋째, 무대불안은 댄스수행능력과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무대불안에 대한 개인적인 측정을 통해 무대불안의 원인을 찾아 진단하고 상담을 통해 불안을 조절할 수 있는 방안과 관리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분석에서는 실패내성과 댄스수행능력관계에서 무대불안의 매개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댄스수행능력에 향상을 위해서는 무대불안을 조절하고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failure tolerance, stage anxiety, dance performance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 dance majors. 287 university student dance majors were surveyed on the failure tolerance questionnaire, stage anxiety questionnaire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questionnaire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SPSS 23.0 and AMOS 23.0 were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difference analysis(t-test and ONE-way ANOVA),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First, there was difference except some factors in failure tolerance, stage anxiety, dance performance ability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 such as sex, grade, career period, major field. Second, All factors had positive relation except stage anxiety factor. Stage anxiety factor had negative relation with all other factors. Third, failure tolerance had a negative effect on stage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 dance majors, failure tolerance had a positive effect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 dance majors and stage anxiety had a negative effect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 dance majors. Finally, stage anxie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ilure tolerance and university student dance majors.

      • 스트릿 댄스 전공자의 2×2 성취목표성향과 자기관리가 무대불안에 미치는 영향

        김나래 동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0

        이 연구의 목적은 스트릿 댄스 전공자의 2×2 성취목표성향과 자기관리가 무대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대상은 2015년 현재 스트릿 댄스 전공을 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표집방법은 서울시 소재 대학 스트릿 댄스 전공 재학생들을 중점으로 총 325부를 표집 하였고, 편중된 응답이나 부실하다고 판단되는 데이터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98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자기평가기입법에 기초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지 구성은 배경변인으로 개인적 특성, 독립변인으로 성취목표성향, 매개변인은 자기관리, 그리고 종속변인으로 무대불안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자료처리방법으로는 설문지의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설문지는 제외시킨 다음 분석이 가능한 자료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 처리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특성 분석과 설문문항을 설명하기 위해서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스트릿 댄스 전공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성취목표성향과 자기관리, 그리고 무대불안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스트릿 댄스 전공자의 성취목표성향과 자기관리가 무대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인 성별, 학년, 전공, 경력, 연습시간, 대회참여횟수는 2x2 성취목표성향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인 성별, 학년, 전공, 경력, 연습시간, 대회참여횟수는 자기관리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인 성별, 학년, 전공, 경력 , 연습시간, 대회참여횟수는 무대불안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넷째, 2×2 성취목표성향은 자기관리의 하위요인인 훈련관리, 대인관리, 정신관리, 몸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2×2 성취목표성향은 무대불안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상태불안, 신체적 상태불안,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기관리는 무대불안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상태불안, 신체적 상태불안,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을 정리해보면, 스트릿 댄스 전공자의 자기관리는 무대불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성취목표성향은 자기관리와 무대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증명하고 있다. 이것은 스트릿 댄스 전공 학생들의 효과적인 무대불안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시사하고 있다. Primary research goal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stage anxiety developed from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management of a person majoring in street dance. Current students majoring in street dance were selected as statistical population, and there were a total of a 325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After excluding possibly deviated responses and inaccurate data, 298 students experimental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ponses were obtained by performing self-assessment and struchured surveys. Contents in these surveys were composed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at included background variables, achieving goal orient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self-management as medium variables, and stage anxiety as subordinated variables. The credibility of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and corrected by software(SPSS 18.0). In order to explain the questionnaires and analyze features of subjects(strdents), frequency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arried out initially. Then, statistical methods such as independent T-test, and the analysis of variance(ANOVA)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management, and stage anxiety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urthermor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for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management of an individual on his or her stage anxiety. The statistical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suggested the following six outcomes. First, selective and subtle differences in the investigated subjects' 2×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ere observed depending on one's characteristics such as sex, year, major, experience, practice time, and the number of competitions he or she entered. Second, selective and subtle differences in the investigated subjects' self-management were observed depending on one's characteristics such as sex, year, major, experience, practice time, and the number of competitions he or she entered. Third, selective and subtle differences in the investigated subjects' stage anxiety were observed depending on one's characteristics such as sex, year, major, experience, practice time, and the number of competitions he or she entered. Fourth, 2×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an individual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degree of self-management in terms of mentality, health, relationship, and training. Fifth, 2×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can also act as a factor in building self-confidence and this influence his of her stage anxiety level. Sixth, sub factors of self-management such as training, social relationships, mental and physical conditions selectively affect sub factors of stage anxiety such as self-confidence, cognitive instability, and physical instability; self-management as a whole does not directly his of her stage anxiety level. In conclusion, theses collected statistical results con be applied beyond street dancer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choreographers attempting to treat stage anxiety.

      • 실용무용 전공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능력믿음이 무대불안 및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김보화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99

        본 연구는 실용무용 전공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능력믿음이 무대불안 및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광주에 소재 하고 있는 실용무용학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유목적적 표집(purposeful sampling)방법을 이용하여 234명의 유효표본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된 설문지의 구성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5문항, 완벽주의 성향 20문항, 능력믿음 12문항, 무대불안 16문항, 공연자신감 12문항으로 총 6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한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SPSS window Ver.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대상을 통해 수집된 설문지를 기초로 자료를 분석하고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완벽주의 성향, 능력믿음, 무대불안, 공연자신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완벽주의 성향, 무대불안, 공연자신감은 차이가 있었다. 학년에 따라서는 무대불안에 차이가 있었으며, 공연 횟수에 따라서는 완벽주의 성향, 능력믿음, 무대불안, 공연자신감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완벽주의 성향, 능력믿음, 무대불안, 공연자신감의 하위요인은 부분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완벽주의 성향의 하위요인인 개인기준은 무대불안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신체적 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수행의심의 경우 정서적, 신체적, 인지적 불안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실수염려는 정서적, 신체적, 인지적 불안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완벽주의 성향의 하위요인인 개인기준은 공연자신감의 하위요인인 무용 숙련, 인지효율, 회복탄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실수염려의 경우에는 무용 숙련, 인지효율 회복탄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능력믿음의 하위요인인 고정된 믿음은 무대불안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신체적, 인지적 불안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증가된 믿음의 경우에는 신체적 불안에만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능력믿음의 하위요인인 증가된 믿음은 공연자신감의 하위요인인 무용 숙련, 인지효율, 회복탄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무용수들의 무대불안 척도개발과 무대불안이 수행에 미치는 효과

        부혜숙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86

        본 연구는 무용수들의 무대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불안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무대불안 척도를 개발하여 무용변인(전공별, 참가부분별, 경력별, 수상횟수별, 기대수준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광주, 전남 지역 무용 콩쿨에 출전한 무용수 112명을 대상으로 무대불안에 관한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공연 1시간 전에 불안 검사지를 응답자들에게 배포하여 무용수의 심리적 상태를 파악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무대불안 검사지 개발은 4가지 요인 즉 자신감, 신체적 불안, 인지적 불안, 편안함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별 불안요인에서는 자신감, 인지적 불안에서만 차이가 있었는데 자신감에서는 발레가 현대무용, 한국무용보다 유의(P<.05)한 차를 보였고, 인지적 불안에서는 현대무용, 한국무용이 발레보다 유의(P<.001)한 차를 보였다. 셋째, 참가부분별 불안요인에서는 인지적 불안만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독무가 군무에 비해 유의(P<.05)한 차를 보였다. 넷째, 경력별 불안요인에서는 자신감, 인지적 불안에서만 차이가 있었는데 경력이 낮을수록 인지적 불안이 유의(P<.001)한 차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수상횟수별 불안요인에서는 자신감과 인지적 불안요인에서만 차이가 있었는데 수상횟수가 많을수록 자신감에서 유의(P<.05)한 차를 보였고, 수상횟수가 적을수록 인지적 불안에서 유의(P<.01)한 차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론에 따라 무대불안은 무용수들의 최적무용수행을 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대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처방이나 노력이 필요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performance and inventory development of stage anxiety. The subjects are 112 dancers who take part dance contest in Kwangju and Chonnam area. The method is anxiety questionnaire. 112 dancers were required to write questionnaire before beginning contest one hou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was one way ANOVA in stage anxiety(confidence, somatic anxiety, cognitive anxiety, comfort factor). Second, major anxiety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style of participation anxiety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th, career anxiety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frequence of prize anxiety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stage anxiety was import problem to dancers.

      • 무용공연 전 심리적 불안이 무용공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도경 용인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71

        This study, performances before competing state of anxiety about the anxiety and dancers in stage performances at the differences and how to relieve the anxiety of each, and for research and analysis an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satisfaction after the concert performed by dancers of the dance performed on stage seeking to maximize aims. Surveyed populations, especially the type of dance performers, their experience, and the degree of anxiety, and in order to measure career and had to be balanced by the type of dance. Anxiety Questionnaire measured to the point of the competition before the race condition(CSAI-2) to respond to each of the performers, and after the concert, conducted the survey on satisfaction with the results of each analyzed in conjunction. Study the impact of competitive state anxiety on the general level of satisfaction factors (cognitive, physical, and self-confidence, etc.) relationship analysis, appeared as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certain satisfaction in cognitive anxiety 22, 25, cognitive anxiety somatic 5, satisfaction and confidence factor, while none showed. To set research hypotheses, using appropriate statistical techniques for analysis, a decision was adopted and dismissed. First of all, depending on your dance career will be competitive state anxiety (cognitive, physical, and will appear higher confidence) difference (career low). Second, depending on the age, competitive state anxiety (cognitive, physical, confident of the difference) will appear lower (higher age). Third, Competitive state anxiety, depending on the number of performances participation (cognitive, physical, confidence) of the difference (lower, the more the number of performances will appear) will be. Fourth, for each type of dance) (taepyeongmu, Salpuri competitive state anxiety (cognitive, physical, and self-confidence) difference will be. Fifth, will dance features the higher the level of competitive state anxiety (cognitive, physical, and confidence) of the differences appear more low (excellent). Analysis showed that all five hypotheses are adopted. These results, dance performance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bility to recognize the impact on competitive state anxiety factors (cognitive, physical, and self-confidence, etc.), dance performers, background variables(age, career, and the number of dance performances etc.)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state dance performances before competing and measures need to mitigate or eliminate the danger for himself and coaches dance performers, dance performances and the effort required to improve the satisfaction suggests. 무용수의 최대 목표는 최고의 무용수행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무용수행과 무용공연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심리적 상태는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무용공연 전 경쟁상태 불안과 무용수가 무용공연 시 무대에서 느끼는 불안감의 차이점과 각각의 불안감 해소 방법 등에 대해 분석・연구하고 무용공연 수행 후 만족도의 관계를 파악하여 무용수가 무대에서 무용수행의 극대화를 꾀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2년 5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7개월 동안 전문 무용인 30명을 대상으로 무용공연상황에서 한국 전통무용의 유형(태평무 15명, 살풀이 15명)별, 인지적 불안, 신체적 불안, 자신감 등을 통해 가장 무용공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무용공연 후 만족감을 주는 요소들을 조사하였다. 특히 춤의 유형별로 무용공연자 각자의 경력 사항과 불안감의 정도 등을 측정하기 위하여 조사대상자 집단을 경력별, 춤 유형별로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했다. 측정 시점으로는 공연 전 경쟁상태 불안 검사지(CSAI-2)를 각 무용공연자에게 응답하게 하고, 무용공연 후 만족도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여 각각의 결과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종합만족수준에 대한 경쟁상태 불안 요소(인지적, 신체적, 자신감 등)의 영향관계 분석 결과, 만족감에 확실하게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로 나타난 것은 총 27개 변수 중에 인지적 불안 22번, 인지적 불안 25번, 신체적 불안 5번, 만족도 1번등으로 나타났고, 자신감 요소는 없었다. 설정한 세부연구 가설에 대해 적합한 통계기법을 활용, 분석하여 채택과 기각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 첫째, 무용경력에 따라 경쟁상태불안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에 따라 경쟁상태 불안의 차이가 확실하게 보였다. 셋째, 무용공연 참가 횟수에 따라 경쟁상태 불안의 차이가 있은 것으 로 나타났다. 넷째, ‘춤의 유형(태평무, 살풀이)별로 경쟁상태 불안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에 대해서는 살풀이에 비해 태평무의 경우가 경쟁상태 불안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다섯째, ‘무용기능 수준이 우수할수록 경쟁상태 불안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에 대해서는 자신의 무용기능 수준을 높게 인 식할수록 경쟁상태 불안의 정도는 낮았다. 분석 결과 다섯 개의 가설이 모두 채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쟁상태불안 요소(인지적, 신체적, 자신감 등)에 대한 영향, 무용공연자 배경변인(연령, 경력, 무용공연회수 등)에 따른 만족도차이, 무용공연수행능력 인식에 따른 만족감 차이 등은 확실하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무용공연 전 경쟁상태불안 요소의 완화 혹은 해소를 위한 무용공연자 자신과 코치 등의 대책이 필요하고, 무용공연 후 만족감을 증대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무용전공자들의 무대불안 특성

        양명숙 대구가톨릭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7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performance levels and to coach dances effectively by seeing the degrees of stage anxiety and trait anxiety according to dancing major classification and career classification during theatrical performances. The subjects are total 241 persons who are middle-school students, high-school students, under-graduate students and professional dancers majoring in dance in Daegu and Gyung-buk Province.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that: 1) Compared trait anxiety with state anxiety, the degrees of state anxiety are higher than the degrees of trait anxiety regardless of majors(Korean traditional dancing, modern dancing and ballet) 2) Compared trait anxiety with state anxiety according to career classification, state anxiety is higher than trait anxiety from whole career classification. Statistically middle group(4~8years) does not have slight difference. 3) The degrees of anxiety according to dancing major classification have little differences. However, modern dancing or ballet shows higher numerical value than Korean traditional dancing. 4) In case of senior group, difference of the degrees of anxiety according to career classification show lower than junior group in trait anxiety and state anxiety.

      • 무용수의 무대불안과 점진이완훈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조윤라 명지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박사

        RANK : 248670

        이 연구는 점진이완기법의 훈련이 무대불안에 미치는 효과에 관하여 비교분석하고자 세부적으로 경력에 따른 상태불안과 특성불안 그리고 경쟁상태 불안은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평소 연습시, 공연전, 공연후에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를 알아보고 그러한 불안들은 점진이완기법의 훈련집단, 자율훈련집단, 그리고 통제집단 사이에서는 시행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아울러 이완훈련이 심박수에 미치는 영향을 집단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예술고등학교에서 발레를 전공하고 있는 학생 79명을 대상으로 경력별로 분류하여 상태-특성불안검사(STAI)를 평소연습시, 공연전·후에 실시하고 뒤따르는 연구에서는 점진 이완훈련의 효과에 대한 경쟁상태불안검사(CSAI-Ⅱ) 반응을 분석하고, 심박수의 변화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경력별 상태-특성불안의 차이는 유의하지 못하였다. 2. 경력별 두 집단 모두 평소 연습시와 공연전간의 상태불안은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다. 3. 경력별 두 집단은 공연전과 공연후 역시 두 경력 집단 모두 상태불안의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는 못하였으나 약간의 변화가 발견되었다. 4. 실험처치후 세집단 모두 평소 연습시보다 공연전에 상태불안의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5. 실험처치후 공연전과 공연후 역시 세집단 모두 상태불안의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6. 집단간의 경쟁상태불안은 유의한 차가 없었으나 시행간, 집단과 시행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심박수는 역시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시행간, 그리고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수준을 나타냈다. 경력에 따른 상태-특성불안의 차이는 그리 다양하지 못하며 점진이완기법의 훈련은 경쟁상태불안이나, 심박수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특히 공연전 인지적 생리적 불안감소에 현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는 무대 불안 감소를 위한 불안 통제 기법으로써 점진이완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결론을 얻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s of progressive relaxation training on dance stage anxiety. For detail,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state-trait anxiety and compititive state anxiety according to the subjects dance career.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laxation methods such as progressive relaxation and self regulation on the changes of anxieties and pulse rate (Beat Per Minute). Total of 79 art high school students who majored in ballet participated in the pre-test. The sample was comprised into 20 high career, and 20 low career. Both group responded to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CSAI), and pulse rate was measured at pratice time, Performance, and Post-performance. All data were analyzed by repeated measure of Analysis of Variance(ANOVA).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t significant state-trait anxieties differences between high career group and low career group. 2) There was no significant level of state anxiety changes for all two career groups between practice session and pre-performance. 3) There was slight level of state anxiety difference found between pre and post performance 4) There was significant level of state anxiety changes for all three groups between practice period and pre-performance. 5) There was significant level of state anxiety difference found between pre-performance and post-performance from all three groups. 6) There was not significant level of competitive state anxiety differences between groups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rom session and interaction effect. 7) There was not significant pulse rate differences between groups but, sessions and group and sessions showed significant level of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state-trait anxiety were not much different between career groups. But, the progressive relaxation training influences on state anxiety, competitive state anxitey, and pulse rate especially at pre-performance. It is strongly recommanded that the progressive relaxation method for the dance stage anxiety control techniq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