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아동센터의 급식운영실태 및 만족도조사에 따른 개선방향 연구 :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김진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830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들의 급식 만족도를 조사하고 지역아동센터의 급식운영 실태조사를 통해 아동들에게 안전한 급식제공 및 종사자의 올바른 인식과 더불어 지역아동센터의 급식운영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경기지역에 소재한 지역아동센터를 대상으로 문헌조사와 더불어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센터장 및 교사 대상으로는 전자우편, 우편발송, 직접방문으로 70개소 지역아동센터에서 100명에게 일반기초조사, 급식운영현황, 지역아동센터의 급식운영 개선 및 발전방향 등을 조사하였고, 아동대상으로는 지역아동센터 7개소에서 126명에게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로 일반기초조사, 아침식사에 대한 분석, 급식에 대한 분석을 조사하였으며 SPSS ver 16.0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의 급식 만족도 조사를 통해 미흡한 부분과 보완점 및 올바른 급식운영방안을 제안하고, 지역아동센터의 급식운영 실태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서 향후 지역아동센터의 급식운영방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자료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는 대부분 급식을 실시하며 대다수의 아동이 급식을 이용하고 있다. 둘째,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급식만족도는 대다수 만족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30명 이하의 소수 인원으로 기호도 높은 메뉴와 적온배식 및 풍부한 양으로 학교급식, 가정 식사 비교 시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셋째, 지역아동센터의 운영형황에서 교사 및 급식부분 전문 인력이 부족하고, 취사부 인력이 부족하여 운영의 어려움이 많았다. 넷째, 근무종사자의 급식부분에서 위생적인 관리와 서류적인 보완점이 많았고, 숙지가 미흡했다. 다섯째, 급식개선의 필요한 부분은 급식예산문제로 재기되었다.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지역 내 센터도 매년 늘어나는 추세이다. 지역아동센터는 야간보호기관교육으로 아동복지정책 전반에 걸쳐 사회복지 및 아동청소년 교육·복지 통합 교육 사업으로 자리매김 하였지만, 매일 지급되는 지역아동센터의 급식복지는 미흡한 실정이다. 지역아동센터가 아동·청소년의 전문 복지시설로 발전하고, 다가오는 미 래사회의 중심단체로 선진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급식운영 방안에 대한 정책적 제언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인력지원(급식전문)이 확보되어야 한다. 둘째, 예산지원(인건비)이 적극 필요하다 셋째, 지역아동센터 내 주방시설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정기적인 위생교육실시 등 교육적지원이 되어져야 한다.

      • 초록중학교 학생의 교원능력개발평가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김다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830

        본 연구는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학생만족도조사에 참여하면서 겪은 경험을 통해 형성된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 문항 해석, 요구사항 등에 관한 학생들의 의견을 알아봄으로써 교원능력개발평가 학생만족도조사의 개선을 위한 유의미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능력개발평가에 참여한 학생들의 만족도조사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학생들은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학생만족도조사 문항을 어떻게 해 석하고 받아들이는가? 셋째,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학생만족도조사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는 무 엇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록중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4명, 3학년 학생 4명, 총 8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원능력개발평가에 참여한 중학생들의 인식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중학생들은 학생들이 선생님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었다. 교원 능력개발평가가 교사의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고 학생의 의견을 전달하 는 방법이 된다는 시각을 보였다. 또한 학생이 수업이나 교사를 평가하 기에 가장 적임자라는 생각이 드러나기도 했다. 둘째, 중학생들은 교사를 평가하는 것은 교사를 위한 것이라는 관점을 보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를 통해 교사가 한층 더 성장할 수 있고, 교사 개개인의 장점을 살리고 피드백과 응원을 전할 수 있다고 보았다. 셋째, 주위에 감정적 평가를 하 거나 건성으로 참여할만한 학생들이 있다고 하였다. 성숙하지 못한 의식 을 가지고 참여하는 학생이 있을지라도 대부분의 학생이 진솔하게 참여 하기에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시행 전 교육이나 시행 방식 개선을 통해 해 결해야 할 문제라고 보았다. 넷째, 중학생들은 단점에 대한 언급과 불만 섞인 학생들의 말투로 인해 평가 결과가 교사에게 상처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교사가 평가 결과로 충격을 받을 것에 대해 염려하면서 도 제대로 된 평가를 해야 한다는 의견을 드러내기도 했다. 교사가 학생 의 특성을 감안하여 결과를 받아들이고 피드백을 얻어 전문성을 향상시 키기를 바랐다. 학생만족도조사의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해석과 생각을 살펴보았을 때 첫째, 학생들은 자기성찰문항이 필요 없다고 하였다. 스스로를 점검한다 는 문항의 의도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었으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의견 이 지배적이었다. 둘째, 학습환경 조성 지표문항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하 고 복잡하다고 하였다. 문항의 정확한 의미를 이해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저마다 다른 단어에 중점을 두고 해석하였다. 학생들이 원하는 바를 반영하지 못한 문항이라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셋째, 평가내용 및 방법 지표문항에 대해 학생들은 평가의 의미를 저마다 다르게 해석하였 다. 본래 의도인 학습 수준 판단 및 성적과 관련된 평가보다는 학생을 공정하게 판단하는가의 여부로 해석한 학생들이 다수였다. 넷째, 개별학 생 특성 파악 지표문항에서는 무엇을 묻고 싶은 것인지 알 수 없다고 하였다. 개별 특성과 비대면 생활지도가 무엇을 말하고 싶은 것인지에 대 해 의견이 달랐다. 또한 비대면이라는 단어가 코로나19 상황을 반영한 것임을 알아차리지 못하여 선택이 곤란하다는 경우도 있었다. 다섯째, 학생 들은 인성지도 지표문항에서 나타나는 체계적인 인성지도의 의미를 알기 가 어렵다고 하였다. 인성에 대한 교육을 떠올렸으나 떠올리는 상황은 모 두 달랐다. 또한 문항의 표현에 있어 단어 조합에 대한 괴리감을 느꼈다. 학생만족도조사를 경험하면서 학생들이 떠올린 개선 및 요구사항은 다 음과 같았다. 첫째, 학생들은 평가 참여에 의무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공교육 성장을 위한 평가의 목적을 위해서는 법에 따라 행해지는 다른 교육활동들처럼 모든 학생이 필수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둘째, 학생만족도조사의 문항에 대한 보완을 요구하였다. 학생들은 국어 수준이 다소 부족한 경우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직관적이고 단순한 문항이 제시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문항 내용에 학생들이 원하는 바나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바가 반영되기를 바랐다. 그리고 문항에서 다루는 내용과 문항 수가 추가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셋째, 연구에 참여한 모든 학생이 평가가 학교에서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교생 모두가 학생만족도조사에만 집중하여 참여할 수 있는 시간이 마련되면 좋겠다고 하였다. 넷째, 안내 방법의 개 선을 요구하였다. 문서보다는 직접적으로 안내하는 방식이 내용 전달에 훨씬 효과적이라고 보았다. 또한 평가 시스템을 활용한 안내를 건의하였다. 취지와 참여 방법과 같은 기본적 사항뿐만 아니라 문항 내용에 대한 상세한 안내가 있다면 더 심도 있는 참여가 가능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다섯째, 학생만족도조사가 이루어지는 시기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개선을 원하는지에 따라 의견이 조금씩 달랐다. 평가에서의 피드백이 변화로 드러나기 위해서는 숙고할 시간이 필요하기에 여름방학 전인 1학기 말이 적합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교사의 지도 개선이 장기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므로 교사를 충분히 알고 난 2학기 9-10월에 평가 가 진행되어도 좋다는 의견도 나왔다. 저마다 의견은 달랐지만, 교사에 대해 충분히 알아갈 시간과 변화에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기를 바란다는 점이 드러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 능력개발평가를 폐지하기보다 거론되는 문제들을 개선할 방안을 찾는 것 이 바람직할 것이다. 둘째, 교육부 및 교육청 차원에서 제시되는 교원능력개발평가 기본 문항의 정비와 개선이 요구된다. 셋째, 학생들의 진정성 있는 참여를 위해 학생만족도조사의 시행과 관련된 학생들의 요구가 반영될 필요가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정책적 제언으로 첫째, 기존 이용되던 교육청 제공 문항을 재검토하고 학생과 교사의 의견을 반영하여 실질적으로 교육의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문항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각 학교의 실정에 맞는 시간 확보, 안정적인 평가 안내, 진정성 있는 평가 참여, 적절한 평가 시기 등 지속적인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첫째, 연구 대상의 범위를 확대하여 지역별 중학생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둘째, 다양한 평가문항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A광역시교육청에서 제공한 기본 평가 문항만을 다루었기에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있어서 제한점을 지닌다. 더 많은 사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지방의회 의정활동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성남시의회를 중심으로

        이상호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829

        우리나라는 1990년 12월 지방의회의원선거법을 제정하고, 1991년 지방선거를 실시함으로써 1961년 지방의회의 해산이후 30년 만에 지방의회가 부활하였다. 이로 인해 지방의회는 주민의 의견을 수렴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정책과정에 반영하고,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주민복지와 지역발전 뿐만 아니라 지방행정의 민주화에 기여해 왔다. 지방의회 의정활동에 대한 평가에 있어 선행연구들은 지방의회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더불어, 자치단체의 견제기능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의 기대에 미흡하다는 부정적인 평가도 함께 병존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역주민에 의한 지방의회 의정활동에 대한 만족도 조사가 필요하며, 정례적인 지역주민의 만족도 조사결과가 지방의회에 환류 되어야 한다는 시각이다. 또한 지방의회 의정활동에 대한 만족도 조사는 지방의원들에게 주민대표로서의 책무성과 윤리성을 향상시키는 자극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방의회의 의정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진단하며, 지역주민들의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바람직한 의정활동 기반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문헌적 고찰과 설문조사방법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특히 성남시의회의 의정활동에 대한 만족도 분석을 위해 집행기관의 공무원(400명)과 지역주민(7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지방의회 의정활동의 만족도 조사에 나타난 결과에 기초하여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의회 의정활동 주요기능인 입법 및 의결기능, 예산 및 결산기능, 견제 및 감시기능, 주민대표기능 및 의정활동의 전반적 만족도에 있어 조사대상자들은 대체로 부정적으로(5점 만점에 평균=2.694)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지방의회는 의정활동 수행에 있어 지역주민과 집행부 공무원들의 인식을 제고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지방의원들은 선거구민들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의정활동보고회를 개최해야 할 뿐만 아니라 지역구의 민원사항을 수렴하는 적극적인 주민대표기능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또한 주민대표성을 위한 합리적이고 적정한 지방의원의 규모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할 것이다. 나아가 지방의회는 스스로의 존재가치를 입증하기 위해서라도 의정활동과 관련한 성과를 지역주민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등의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지방의회 의정활동의 전반적 만족도에 대해 입법 및 의결기능(β=.017), 예산 및 결산기능(β=.219), 견제 및 감시기능(β=.249), 주민대표기능(β=.409)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지방의회 의정활동의 만족도는 지방의원들에게 부여한 권한과 의무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는 노력이 매우 중요한 과제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지방의원들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지방의회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서 정책보좌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의회인사권의 독립, 보좌관제 활성화, 사무처의 보좌기능 강화 등) 마련과 더불어 지방의원들에게 정례적으로 집행기관이 수행하는 업무에 대한 교육 및 연수제도를 통한 견제 및 감시방안을 학습하는 장치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지방의회가 의정활동을 수행함에 있어 외부전문가 집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끝으로 선거구 주민들이 대리권을 수행하고 있는 지방의회에 대해 의정활동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점검과 관심을 가질 때 지방자치제는 보다 바람직하게 정착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집행기관과 지방의회간의 합리적인 역할정립이 곧 자유민주주의를 확산시키는 첩경이 될 것이다. 주제어: 지방의회의 의정활동, 의정활동의 만족도, 의정활동의 만족도조사

      •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경의·중앙선 이용자 만족도조사에 관한 연구

        정유숙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14

        본 논문에서는 경의·중앙선의 이용객을 대상으로 만족도조사를 실시하고자한다. 앞서 설문지를 작성할 요인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다. 설문조사 결과를 요인분석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작성한다. 운행서비스, 급행서비스, 환경서비스, 정보서비스, 안전서비스 각 5개의 항목으로 분류해 항목안의 매개변수가 만족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며, 어떠한 항목이 만족도가 높지 않기에 개선해야하는지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다섯개의 항목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졌다. 운행서비스가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급행서비스와 안전서비스가 다른 서비스에 비해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안전에 관한 시설물 설치나 정보제공을 통하여 안전에 대한 서비스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현재 운행 중에 있는 급행에 대해서 운행시간조정이나 열차 내 혼잡도 등의 해결을 통해 급행 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

      • 서울시 상수도서비스 시민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미선 서울시립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8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fluencing factors upon citizen satisfaction index of drinking water service and offer the basic informations to plan strategy to improve it. There are surveys of 150 consumers by interviews. Also various informations have been collected by searching for documentary records related to it. According to the result of surveys, drinking water quality has been regarded as the best important factor to citizen, but it's citizen satisfaction index has been rated lowest. And dissatisfaction of drinking water quality seemed to be connected to dissatisfaction of charge for drinking water. It means that the improvement of drinking water quality is the most essential factor to improve citizen satisfaction index. But citizens' dissatisfaction of drinking water quality seems to be caused by having been informed of negative informations about contamination of source water and drinking water by media. Also an odor of drinking water seems like to that. That is to say, citizens has been affected by a serious of doubts more than objective informations about drinking water quality. Therefore the Office of Waterworks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to plan short and long term strategies to deal with influencing factors upon citizen satisfaction index. Specially, to improve the citizen satisfaction index of drinking water quality, it needs to drive drinking water quality improvement projects and develope various public relations strategy.

      • 초등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학생만족도조사 도구 개발

        김수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6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atisfied with their teachers and developing the students' satisfaction survey tool for teachers to improve the lack of teaching ability themselves using it.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areas and elements for Students' Satisfaction Survey? 1-1. What is the area to survey students' satisfaction in Teacher Evaluation? 1-2 What are the areas and elements shown in Students' Satisfaction Survey to reflect from a students' point of view? 2. Is the tool of Students' Satisfaction Survey developed in this research reliable and valid? To solve the above research purpose and questions, the researcher set up the standard of classification of Students' Satisfaction Survey through reviewing the literature. Based on this standard,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ontent of 845 open-ended response questionnaires from Students' Satisfaction Survey in Teacher Evalu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hen composed of preliminary questions for Students' Satisfaction Survey. In this research, 4th to 6th-ye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participated in preliminary survey and made use of 173 questionnaires from this survey for analysis. Furthermore, the finally selected questions were surveyed by the 4th to 6th-ye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and a total of 1,451 questionnaires from this main survey were analyzed. Lastly 240 students in the 4th to 6th-ye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were surveyed, then 219 questionnaires among them were analyzed for verification of case. A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Nvivo 8.0 for content analysis, SPSS 15.0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nderstanding of question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t-test, AMOS 7.0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utilized. The research results in the following. First, as a result of giving careful consideration of previous researches by dividing them into the areas of Teacher Evaluation by teachers and those by students, I selected teaching ability, guidance ability, and a teacher's personality quality as the three areas that can be surveyed for Students' Satisfaction with teachers. and I adopted them as the standard of classification for content analysi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 of open-ended response questionnaires from Students' Satisfaction Survey in Teacher Evalu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 selected 44 elements and 9 areas of lesson planning, language ability, feedback to students, student management, interaction, professional development, personality, passion, gratitude and effort. However, deleting the area of gratitude and effort, finally I set up 8 areas and 40 elements for the preliminary questions. In addition, from the test of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questions based on a survey of 30 4th-year students,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questions was comparatively high with an average of more than 3 points from 40 questions. Third, as a result of exploratory data analysis, 5 questions for Factor 1, 5 questions for Factor 2, 3 questions for Factor 3, 3 questions for Factor 4, 3 questions for Factor 5, 4 questions for Factor 6, a total of 6 areas and 22 question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confidence level of the tool, Cronbach ⍺ coefficient was within the range of .850~.937 and the total value of its confidence level was .961. Thus, this tool was proved to be very reliable. Also,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verified that the construct validity was very high. The fit indexes chosen by the study were TLI, CFI, RMSEA to get a safety from samples, and the results showed TLI=.948, CFI=.956, and RMSEA=.052. When TLI and CFI are over .90 and RMSEA value is under .05, the fit is evaluated to have o good conformance.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model analyzed by the study has a good conformance. Fifth, I conducted verification of case to compare the existing tool of Students' Satisfaction Survey and the new tool developed in this research.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understanding of question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tools and the tool in this research showed a little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of questions. Moreover,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f the existing tool, only one factor was analyzed. When we analyzed it under the condition of 2 factors, there was only one factor with Eigen Value 1 and the rest of factors were composed of 3 questions among a total of 18 questions. Finally, as a result of paired sample t-test on the 7 similar questions between the two tools, the newly developed Students' Satisfaction Survey questionnaire had less standard deviation. Based on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I've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Students consider very important teachers' personality qualities such as their passion and personality as well as teaching and guidance ability.In addition, because students are not able to observe teachers' comprehensive duties, it is found out they show the limited satisfaction with some subordinate areas such as lesson planning, sympathy between teacher and student, teacher's attitude. That is to say, students are not evaluation experts, so we can say that they should not evaluate all the areas of Teacher Evaluation but should take part in the satisfaction survey on the areas observed from students' point of view. From that perspective, it is significant that we develop a new Students' Satisfaction Survey Tool originated from students' empirical awareness and secured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establishment of the areas and indexes of Students' Satisfaction Survey and policy improvement of the existing tool.

      • 대중교통 이용자 만족도에 대한 연구 : 수도권 M버스와 광역버스를 중심으로

        권기현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65

        수도권 광역버스는 그동안 굴곡노선으로 인한 통행시간 증가와 출·퇴근시 서서가기 힘들 정도의 심각한 차내 혼잡함으로 이용객이 불편했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09년 8월 국토해양부에서는 고양시 일산, 용인시 수지, 화성시 동탄, 남양주시 호평, 인천시 송도 지역에 기존 광역버스 노선과는 별도로 정류장수를 줄여 이동성을 높인 M버스(Metropolitan Bus)를 개통하였다. M버스는 국내 최초로 입석이 없는 ‘전 좌석 정원제'를 도입함과 동시에 정차 정류장을 기·종점에서 5㎞ 이내에만 각각 4개씩 두어 기존 광역버스보다 쾌적성과 이동성 향상에 중점을 두었고, 여기에 운행 정보 전광판, 공기정화기 구비 등 기존 버스와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으로는 새롭게 도입되어 운행 중인 M버스와 기존에 운행 중인 광역버스에 대한 대중교통 유형별 이용자의 정량적, 정성적인 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수행 하는 것이다. 그리고 두 버스교통 수단 간의 만족도 비교를 통하여 향후 수도권의 광역버스교통의 부문별 차별화된 개선전략 수립을 마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이용자를 대상으로 중요도-만족도 설문조사(정량, 정성)를 실시하여 신뢰성분석, 상관분석, 요인분석을 통해 통계적 검증을 거쳤다. 그리고 일반적인 중요도-만족도 조사인 IPA분석 대신 두 수단 만족도를 동시에 비교가 가능한 분석방법인 M-IPA 분석을 활용하였다. 서비스 특성 분석결과 M버스는 종합적인 서비스 측면에서 버스요금과 같은 ‘경제성’과 정류장 개수와 같은 ‘편리성’ 그리고 차내 혼잡도와 같은 ‘쾌적성’과 버스를 타고 내리는 계단의 높이에 따른 ‘안전성’ 항목에서는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집에서 버스를 타기위한 접근 용이성과 같은 ‘접근성’과 버스승차 대시시간과 같은 ‘정시성’ 항목과 타교통수단 연계정보와 같은 ‘정보성’ 항목에서 개선을 필요로 하고 있다. 광역버스는 집에서 버스를 타기위한 접근 용이성과 같은 ‘접근성’은 만족도가 높은 반면 차내 혼잡도와 같은 ‘쾌적성’과 정류소 개수와 같은 ‘편리성’에서 만족도가 낮아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초등학교 방과 후 오케스트라 수업실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 양산시 중심으로

        손재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49

        초등학교 방과 후 학교는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한다는 교육 목표 아래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를 통한 다채로운 교육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상남도 양산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방과 후 오케스트라 수업의 실태와 만족도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양산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중 방과 후 오케스트라 활동을 운영 중인 11개교 중 2개교를 선정하여 학생 78명, 학부모 64명, 교사 1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의 문항 내용은 ①, ②로 구성되었다. ① 학생과 학부모를 위한 설문의 내용은 방과 후 오케스트라 교육에 대한 만족도, 방과 후 오케스트라 운영에 대한 만족도, 방과 후 오케스트라 활동에 대한 만족도, 담당 강사에 대한 만족도 조사이다. ② 교사를 위한 설문은 방과 후 오케스트라 운영 예산에 관한 설문, 강사 및 오케스트라 구성에 대한 설문, 방과 후 오케스트라 악기 현황에 대한 설문, 교육만족도 및 오케스트라 교육이 학생들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설문 등으로 구성하였다. 설문 통계를 분석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이 오케스트라 활동을 방과 후 수업으로 선택한 이유는 다양한 악기를 경험하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다른 무엇보다 비용적인 측면에 대한 만족도가 36.6%로 가장 높았다. 학생과 학부모 응답자의 100%가 방과 후 오케스트라 활동이 지속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그 이유로는 다양한 경험을 지속하게 하고, 단체 생활을 통해 협동심, 사회성을 길러주며, 삶의 질을 향상 시키고, 대외 활동을 통해 성취감을 느끼게 해준다는 다양한 의견들이 나왔다. 또한 방과 후 오케스트라 활동에 만족하는 이유에 대한 응답으로 학교 측의 예산 편성과 프로그램의 내용, 강사진 구성, 교내 악기의 원활한 수습 등의 응답을 얻음으로써 투명하게 방과 후 학교의 오케스트라 수업이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코로나19로 단체 합주수업과 활동들이 위축되는 이 시기에 학생과 학부모, 교사 모두가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는 방과 후 오케스트라 수업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더욱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고 확장되기를 바란다. Under the educational goal of fostering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s, elementary schools have opened various after-school programs and are providing various educational experiences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of students. This study examined the conditions and satisfaction of after-school orchestra classes in Yangsan-si, Gyeongsangnam-do. To this end, 2 out of 11 elementary schools operating after-school orchestra activities were selected to survey 78 students, 64 parents, and 12 teachers. The survey has been composed as the following The survey for students and parents consisted of questions regarding satisfaction with the after-school orchestra education, operation, activities, and the instructors in charge. The survey for teachers consisted of questions regarding the budget for the operation of the after-school orchestra, the composition of instructors and orchestras, the status of after-school orchestral instruments, and the impact of education on students' social skil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survey statistics are as the following: The most common reason why the students chose orchestra classes as the after-school activities was to experience various musical instruments. Cost aspect was highest at 36.6% regarding satisfaction level. 100% of students and parents responded that orchestra activities should continue after school, and the reasons were that they can enjoy the variety of experience, foster cooperation and social skills through communal experience, improve quality of life, and experience fulfillment through external activities, etc. In addition, by obtaining the responses to the reason for being satisfied with after-school orchestra activities as budgeting, program contents, instructor composition, and adequate supply of school instruments, it was possible to deduce that the activities were being operated transparently. At a time when group ensemble classes and activities are being restricted due to Covid-19, we hope that after-school orchestra classes, which are highly satisfactory to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will be developed and expanded in more diverse forms in the post-Covid era.

      • 근린생활가로변 상가의 업종다양성 및 규모 적정성 연구 : 은평뉴타운 생활가로를 중심으로

        김소겸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48

        This study is focused on analysing the standard for fair demand by selecting the Eunpyeong New Town living street as target area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vibrant and happy village means the activation of community facilities in village. Eunpeyong New Town is a typical new town of Seoul where city space is completed and varied activities coincide and neighborhood living facility is quantitatively evaluated in terms of business scale and propriety of diversity. In this study, some evaluation instruments are utilized. First, by introducing a rate of self-sufficiency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of Statistics Korea in 2014 which is computed from the 6 sites; 3 sites(Sinsa2-dong, Eungam2-dong, Susaek-dong) are similar to Eunpyeong New Town living street and 3 sites(Yangcheon-Gu Sinwol3-dong, Yongsan-Gu Bogwang-dong, Seodaemun-gu Hongeun1-dong) and shows that the floating demand index value close to “0” meaning that external flow for shopping is insignificant. From the results of these statistics, a intensity analysis model of storekeeper is suggested. Also, a neighborhood standard model originally suggested from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in 2005 is used. This model was applied after being modified in this study. Finally, to verify the quantitative evaluation models(a intensity analysis model of storekeeper, a neighborhood standard model), the result of citizen satisfaction survey on living street carried out by Seoul Housing and Communities Corporation in 2017 is comparative analyzed Through the total investigation on the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located in 1st and 2nd district of Eunpyeong New Town, data such as a number of facilities, area, type of business was confirmed. By comparing the survey results and the analysis models, correlation were examined and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n neighborhood living street located in Eunpyeong New Town, there are a number of indicators that the diversity and magnitude of the industry are numerically inadequate. Also, it shows that the qualitative assessment of the residents’ satisfaction with the living standards was consistent with the quantitative evaluation. Street revitalization and local community formation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space planning and commercial & public facilities, considering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commercial district, location, and accessibility. If a neighborhood standard model originally suggested from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is modified by the yearly statistical data of Statistics Korea, It could be used as an important logical basis for community facilities planning including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cultural and public facilities, which serve as a key role in the future urban renewal projects. 본 연구는 활력 있는 마을, 행복한 동네는 커뮤니티가 살아있는 마을이라는 전제하에 커뮤니티시설 중 근린생활시설(이하 “근생시설”이라 함) 업종의 규모 및 다양함의 적정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도시공간이 완성되어 다양한 활동이 일어나는 서울의 대표적 신도시인 은평뉴타운 생활가로를 평가대상지로 선정하여 적정수요에 대한 기준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몇 가지 평가도구를 활용하였는데, 첫째 2014년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서 통계를 근거로 유동수요지수(자족율)의 개념을 도입하여, 평가대상지인 은평뉴타운 생활가로와 유사한 생활권인 은평구 3개 생활권 (신사2동, 응암2동, 수색동)과, 쇼핑 등을 위하여 외부 유출입이 미미한 곳으로 평가될 수 있는 유동수요지수 0% 전ㆍ후 서울시 3개 생활권(양천구 신월3동, 용산구 보광동, 서대문구 홍은1동)의 상가종사자집중도분석 모형을 구축 제시하였다. 또한 2005년 대한주택공사(현재 한국토지주택공사) 연구에서 제시한 근린표준모형을 보완하여 적용하였고, 마지막으로 이들 정량적 평가모형의 적용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2017년 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실시한 생활가로에 대한 주민만족도 설문조사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평가대상지인 은평뉴타운 생활가로에 대하여는 생활가로 1지구 및 생활가로 2지구로 나누어서 근생시설에 대하여 입점 업종, 업체수 및 면적을 전수 조사하였으며, 이 조사결과와 상가종사자집중도분석모형평가 - 근생표준모형평가 – 주민만족도설문조사결과를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연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은평뉴타운 생활가로 근린생활시설에 대하여 상가종사자집중도분석모형, 근린표준모형에 의한 정량적 평가를 한 결과 업종의 다양성 및 규모 적정성이 수치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평가 되었고, 설문지에 의한 생활가로변 거주민 만족도에 대한 정성적 평가결과 역시 정량적 평가와 일치되는 것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가로활성화 및 지역커뮤니티 형성은 근린시설 및 상권체계, 입지 및 접근성을 감안한 공간계획, 상가 및 공공시설 등 다각적 요소가 융․복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대한주택공사에서 연구 제시한 표준모형을 매년 조사 발표되는 통계청 전국산업체조사서를 근거로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상가종사자 집중분석 모형으로 보완 수정한다면 향후 기존시가지 도시재생사업 등으로 시행되는 소규모 마을 및 주거중심 공동체 회복의 핵심역할을 하는 근린생활시설 및 문화, 공공시설을 포함하는 커뮤니티시설 계획의 중요한 논리적 근거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learners regarding project-based and team-based instructions in the exam-free semester

        윤다교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32

        이 연구는 자유학기제의 전형적인 교수법인 과제 중심 교수법과 팀중심 교수법에 대한 성별과 학업 성취 수준에 따른 학습자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제중심 교수법과 팀 중심 교수법과 같은 학생중심교수법은 다양한 학습자들의 요구와 필요에 맞는 교육 과정 재편성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특히, 중학교 3학년 자기개발시기나 2025년부터 전면적으로 실시하는 고교학점제에서도 이 두 교수법의 활용도는 클 것으로 생각된다.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부산시 금정구에 있는 두학교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과제 중심 교수법과 팀 중심교수법에 대해서 참가자의 성별에 따른 두 개 집단, 학업 성취에 따른 세 개 집단으로 나누어 동일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이 자료는 SPSS ver.22로 기술 통계 분석을 하였다. 또한 설문 조사에 따른 질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학습자들과 교사에 대한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데이터의 양적 분석에만 치우치지 않고 질적 분석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업 중심 교수법에 대해서 성별과 학업 성취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도 존재하였다. 둘째, 팀 중심 교수법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팀별 수업에서도 남학생의 만족도가 여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팀 중심 교수법에 대한 학업 성취에 따른 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생들에 대한 심층 면접에서 대부분은 자유 학기에 실시되는 다양한 수업 모형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팀 중심 교수법에서는 팀 구성원과 팀 분위기에 따라 만족도가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였다. 넷째, 교사들과 심층 면접에서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자율성이 자유학기의 강점으로 선택되었다. 교육과정의 재구성을 통해 말하기, 쓰기 등의 수업을 개인별 프로젝트나 팀 과제로 설계할 수 있게 된 것은 자유 학기의 큰 장점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의 성공을 위해 제언과 한계점도 논의되었다. 첫째, 모든 학생들이 학생 중심 교수법을 선호했는데, 이는 교육 현장이 사회 변화에 따른 교육 환경에 대한 변화하는 학습자도 함께 모색하고 반영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둘째, 과제 중심 교수법을 실시할 때, 가르치고 있는 학생들의 성취 수준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성공적인 성취 과정을 이룰 수 있도록 단계를 잘 설정하여 구성해야 한다. 셋째, 팀 중심 교수법에는 교사의 적극적인 중간 개입과 적절한 피드백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첫째, 설문조사가 남·여 학교 각 1개교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 결과를 일반화할 수 없다. 둘째, 교육 활동인 과제 중심 교수법과 팀 중심 교수법의 만족도에 대해서만 살펴보았고, 평가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는 하지 못하였다. 핵심어: 자유학기, 과제중심학습법, 팀중심학습법, 학습자중심학습법, 학습자인식, 학습자 만족도, 자기개발시기, 고교학점제 This study examines learners’ satisfaction and perception toward ProjectBased Instruction and Team-Based Instruction, one of the most typical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es in the Exam-free Semester of middle school. The investigation is conducted based on gender and individual academic levels as criteria. The findings provide insights into how learners perceive Project-Based Instruction and Team-Based Instruction in the Exam-Free Semester and indicate the potential significance of introducing a period of self-directed exploration for third graders in middle school and implementing a credit system for high school students by 2025. The survey is administered using questionnaires for 180 female and 182 male middle school students taught in the Exam-Free Semester. SPSS 22 ver.22, as a statistics program, analyzes responses to the identical questionnaire from different groups. An in-depth interview is carried out to complement quantitative analysis. The m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le participants consistently show a stronger preference for Project-Based Instruction than their female counterparts, indicating a significant gender-based difference in learners’ satisfaction with Project-Based Instruction. Additionally, there is a considerable difference based on academic levels, with higher-level participants expressing greater satisfaction while lower-level participants seem less pleased with it. Further, in the case of Team-Based Instruction, more males tend to choose it compared to females, suggesting a significant genderbased difference in participants’ preferences. However,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academic levels. The results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learners' preferences and satisfaction levels with Project-Based and Team-Based Instruction during the Exam-Free Semester. Based on these findings, Pedagogical sugges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to enhance success in the Exam-Free Semester. The favorable tendency to learner-centered instruction over all the learners’ demographics suggests that education needs to be reflected by learners and societal increasing and changing needs. It is highly recommended to provide learners with the appropriate amount and level of the projects because learners can be more satisfied with and feel that they are benefited by completing the project. When designing Project-Based and Team-Based Instruction, instruction makes sure that they need to take more tentative considerations for female students. Key words: Exam-Free Semester, Project-Based Instruction, Team-Based Instructio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learners’ perceptions, learners’ satisfaction, exploitation period, a credit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