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마인드 맵 활용 수업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김영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의 고찰을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마인드 맵 활용 수업을 한 실험 집단은 전통적인 수업을 한 비교 집단보다 초등학교 아동의 학습동기에 있어 효과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마인드 맵 활용 수업을 한 실험 집단은 전통적인 수업을 한 비교 집단보다 초등학교 아동의 학업성취에 있어 효과가 있을 것이다. 위의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M초등학교 5학년 2개 반 6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의 동질성 여부를 밝히기 위해 사전검사를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험 처치를 위해 마인드 맵 활용 수업모형을 국어, 사회, 과학과에 한하여 5월 22일부터 7월 15일까지 8주간 실험 처치하였다. 실험 집단에는 지도교수와 전문가의 지도·조언을 받아 마인드 맵 활용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여 실험 처치 수업에 활용하고 비교 집단에는 그 학급의 담임교사가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하도록 통제되었다. 실험 처치 후, 가설 1과 가설 2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여 두 집단의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이러한 결과의 통계 처리 및 분석은 SPSSWIN(version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인드 맵 활용 수업을 적용하여 수업한 실험 집단과 전통적인 학습을 한 비교 집단의 사후 학습동기 검사의 평균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실험 집단이 비교 집단에 비해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다변량분산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에는 학습동기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인드 맵 활용 수업을 적용하여 수업한 실험 집단과 전통적인 학습을 한 비교 집단의 사후 학업성취도 검사의 평균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실험 집단이 전통적인 방법으로 학습한 비교 집단보다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 간에는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의거하여 볼 때, 마인드 맵 활용 수업은 초등학교 아동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 대상과 적용 교과에 한계가 있으므로 차후 실험 집단의 확대와 교과 등의 확대를 통한 보완·검증의 과제가 남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mind map instruction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n the basis of reviewing related literature and preceding studies, the following research hypotheses were formulated. Hypotheses 1. The level of student motivation will vary between the group of students using the mind mapping teaching style and the group of students receiving traditional instruction. Hypotheses 2.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ill vary between the students using mind mapping and the students using traditional instruction. Sixty-four 5th grade students from Daejeon Elementary school were selected to help test the above hypotheses. Pretesting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composed of thirty-two students who were to participate in mind map instruction, and the other group was composed of thirty-two students(comparative group) who were to participate in a traditional teaching-learning situation. The Mind map instruction model was applied during Korean, Social Studies and Science classes, three times a week for 8 weeks between May 22nd and July 15th, 2006. SPSSWIN(version 12.0) was employed to analyze the gathered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is research. First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learning motivation levels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Second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cademic achievement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In conclusion, mind map instruction i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teaching-learning with regards to children's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is study, mind mapping exercises are effective and useful additions to a lesson plan as they help to motivate students. This new motivation, in each subject area, leads to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opic and improved grades for the students.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 because of limited number of experimental students and the applied class subject. Further research, using larger groups of students and a greater variety of subject areas, is recommended to confirm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 마인드맵을 활용한 한국 문학 읽기 교육 방안 연구 : <진달래꽃> 사례를 중심으로

        CHENWENJING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읽기는 언어 능력의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의 흥미 와 적극성을 불러일으키는 동시에 읽기 능력을 어떻게 향상하는 과제는 계속 발전 하고 있다. 특히 고급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는 한국 인문사회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문학 작품을 읽게 되는데, 사회적 배경의 차이로 인해 그 의미를 어떻게 효과 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을지가 문제이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읽기 교육의 목표는 단순히 문장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아니라 담화로서 텍스트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다양한 읽기 교육 방법을 활용 해야 한다. 유연한 읽기 방법은 모든 장르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에 서 출발하여 기본적인 정보 파악에서 심층적인 의미 이해에 이르기까지 읽기 능력 을 향상시켜야 한다. 마인드맵은 좌뇌와 우뇌를 충분히 개발하여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이다. 학습자는 읽기 과정에서 마인드맵을 그리는 것은 텍스트 의 내용과 대화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다. 마인드맵을 이루어 나가면 텍스트 관련한 내용을 파악하는지를 점검하고 사고하여 핵심 단어나 핵심 이미지를 형성하고 조절 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고급 단계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마인드맵을 활용 하여 스키마와 연계하는 과정에서 창의적 사고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읽기 교육 방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1장에서 외국인 학습자가 읽기 능력은 낮은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 마인드맵을 활용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필요성을 강조하고, 연구 목적 및 방법을 제시한다. 또 본 연구는 이론적 토대를 위하여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 연구, 마인드맵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 그리고 마인드맵을 활용한 읽기 교육 방안 연구와 관련한 선행 연구를 검토했다. 2장에서 먼저 읽기의 특성, 과정, 목표 등을 정리하면서 외국어로서 한국어 읽기 교육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읽기 이해능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읽기 교육의 방향을 명시하고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는 읽기 전략의 유형을 명시하면서 문학 읽기 전략도 제시될 것이다. 다음에 마인드맵의 개념과 구조 특성을 통해 마 인드맵의 장점을 제시하고 한국어 읽기 교육과 연관성을 규명함으로써 마인드맵은 읽기 교육에서 활용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문학 작품은 읽기 자료로 서의 교육적 의미를 확인하고 문학 작품 선정 기준을 정리하고 선정 결과를 제시하 고자 한다. 3장에서는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고자 한다. 이 조사 항목은 응답자 기본적인 사항, 마인드맵에 대한 인 식 정도 조사, 그리고 마인드맵을 활용한 읽기 지도에 대한 태도 조사 세 가지 내 용을 중심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더불어 조사 결과를 양적·질적 분석하고 고자 한 다. 4장에서 마인드맵 모형의 틀을 기반으로 모형을 제시하고 고급 단계 중국인 한국 어 학습자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해 구체적인 읽기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전에 마 인드맵 설명 및 마인드맵을 연습 활동을 포함하는 교육과정을 제시고자 한다. 5장에서 마인드맵 수업 모형에 따라 읽기 수업의 과정을 ‘도입-읽기-정리’세가 지의 단계로 나누어 마인드맵을 활용한 읽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 6장에서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여 한국어 읽기 교육에 대한 의의와 마인드 맵을 활용한 읽기 교육 방안 제시에만 그치고 읽기 교육 현장에서 실제적인 사후 교육 효과를 입증하지 못하였다고 마인드맵에 대한 소개 및 연습의 사전 조사의 적 은 수의 학생을 중심으로 정확한 결과 분석을 완성할 수 없었다는 제한점을 제시하 면서 미래의 연구 과제를 제언하고자 한다. 앞으로 연구에서 읽기 지도안 모형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교육 방안을 교실에서 실시하여 학생들의 학습 결과물을 제 시하고 사후 설문 조사와 사후 활동 결과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마인드맵’활동은 학습자 주도로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는 것을 기대한다. 주요어: 마인드맵, 한국어 문학 읽기 교육, 고급 중국인 학습자

      • 마인드 맵을 활용한 미술 표현에 대한 연구 : 발도르프의 교육사상을 중심으로

        강은주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교육은 많은 변화를 추구하며 새로운 교육적 전략을 요구한다. 이는 종래의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를 위한 창의적인 교육이 되도록 현 교육은 좀 더 새로운 학습방법을 연구하며 변화를 시도해야 한다. 이러한 점은 미술교육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렇다면 과연 급변하는 시대에 올바른 미술교육은 무엇이며, 21세기에 필요한 창의적인 학습 방법은 무엇인지? 본 연구는 발도르프 교육사상을 중심으로 아동의 본성을 이해하며 각 개인의 예술성에 중점을 두어 창의적이고 개성있는 미술표현이 되도록 마인드 맵을 활용한 미술교육을 제안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의 주요 내용은 크게 발도르프 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 부분과 미술교육을 위한 마인드 맵의 총체적인 이해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마인드 맵을 활용한 미술표현에 대한 수업지도 실제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실제 수업 지도에서는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여 미술수업에 적용하고 아동들의 학습 결과물 및 작품 감상을 통하여 마인드 맵 활동이 창의적인 미술표현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수업지도 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의 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도르프 교육사상을 통하여 아동의 본성을 이해하며 내면의 정신적 세계를 자유롭게 표현하는 과정에 의미를 두어 각자 타고난 예술적 소질을 개발할 수 있었다. 둘째, 마인드 맵 활동을 통하여 주제에 대한 다양한 상상을 하며 새로운 발상으로 사고를 확산시켜 창의적인 미술표현을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셋째, 마인드 맵 작성을 통하여 자기 스스로 주도적인 학습이 되며 미술표현에 대한 두려움이 없어지고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넷째, 마인드 맵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작품의 의도 계획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전체적인 미술작품의 구성이 짜임새 있게 표현 되었다. 따라서 발도르프 교육사상을 중심으로 마인드 맵을 활용한 미술교육은 아동의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무한한 상상력과 창의력을 신장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학습방법이라고 본다. 앞으로 마인드 맵 학습방법을 여러 교육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유용하게 활용한다면 아동들의 학습활동에 더욱 더 용기와 자신감을 갖게 할 것이라 믿는다.

      • 마인드 맵 기법이 수학과 수준별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수열 단원 복습단계에 적용

        김보람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문제 해결력과 더불어 제반 고등 사고 능력을 함께 포함하는 '수학적 힘(mathematical power)'의 신장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여기서 수학적 힘이란 창의적 사고력, 논리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문제 해결 능력, 추론 능력, 의사 소통 능력, 수학에 대한 자신감과 긍정적인 태도, 수학과 인접 학문과의 관련성 및 수학의 유용성 인식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이러한 수학적 힘을 기르기 위해서는 수학교사로서 수학에 대한 학생들의 능력과 개인 차이를 고려하여 학생 개개인의 수준에 대응되는 차별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수업을 고안하고 실시하려는 노력을 꾸준히 해 나가야 할 것이다. 그런 의미로 금번 연구는 단순히 문제풀이에 그치고 있는 각 단원의 복습단계에서의 수업형태를 마인드 맵이라는 기법을 활용하여 활동적인 소집단 협력 학습 체제로의 변화를 주어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보고 그 효율성을 수준별로 평가해 봄으로써 새로운 수업 방안을 모색해 보려는 것이다.

      • 마인드 맵이 수학의 정의적 영역 및 전체 학습 내용 파악에 미치는 영향

        박혜연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제 7 차 교육과정에 따르면 21세기의 지식 기반, 정보화 기반 사회에서의 학교교육의 중점은 단순 기능인의 양성보다는 자기 주도적으로 지적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인간의 양성에 있다. 이에 대비하기 위한 수학과의 역할은 수학의 기본적인 개념, 원리, 법칙을 토대로 탐구하고 예측하며 논리적으로 추론하는 능력, 또는 수학을 통한 정보를 교환하는 능력 등의 수학적 힘을 기르게 하는 것이다(허경철 외, 2001). 그러나 실제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은 수학의 기호사용이나 수학의 추상적이고 형식적인 부분에서 수학의 어려움에 당면하고 있으며, 단순히 공식을 외우는 식의 단편적 지식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선수 학습을 확인할 때 느끼는 점은 학생들이 선수 학습과 본시 학습에서 배울 내용사이의 관계를 잘 파악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중요 개념들 사이의 연결망을 형성시켜 줌으로써 보다 창의적이고 강한 수학적 힘을 키우고자 하는 바램으로 마인드 맵을 이용한 학습 방법을 생각하기에 이르렀다. 마인드 맵이란 영국의 토니부잔(Tony Buzan)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마인드 맵은 마음의 지도란 뜻으로 중요한 사실이나 개념을 재빨리 파악해서, 그 사상들이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가를 간단한 기호나 문자 또는 그림으로 나타내고, 색과 다양한 디자인을 이용하여 학습의 파지효과와 사고의 기술을 발휘할 수 있는 학습을 말한다(류창원,1999).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10-가 공통수학 이차방정식 단원의 정리 단계에서 학생들에게 마인드 맵을 그리게 하는 것이 학생들의 수학의 정의적 영역 및 단원의 학습 내용을 전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2) 마인드 맵을 그릴 때 상·중·하 그룹별 특징을 알아본다. (3) 마인드 맵을 그리는 과정에서 어떠한 장애요인이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해결 할 수 있는 대안을 생각해 본다. (4)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마인드 맵을 이용한 교사의 지도 방법을 알아본다. 위의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인드 맵을 활용한 노트법이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과 한 단원의 전체 학습 내용 파악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았다. 마인드 맵 노트법은 수학적 성향 중 흥미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한 단원의 전체 학습 내용 파악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단원을 그림 하나에 표현하는 마인드 맵 노트법을 통해 각각의 개념과 공식들의 연계 과정을 보는 것은 학생들에게 수학책이 복잡한 공식과 개념을 담고 있는 것이 아니라, 불과 몇 장의 종이로 표현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줌으로 인해서 학생들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며 학습 부담감을 상대적으로 줄여 줌으로서 정신적 중압감을 감소시켜 정의적 측면에서 상승효과를 불러일으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마인드 맵 노트법은 단순히 개념과 공식을 외우는 것이 아니라 개념들 사이의 관계성을 파악하여 정리함으로 해서 한 단원의 전체 학습 내용 파악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생들이 작성한 마인드 맵의 상·중·하 그룹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상위 그룹의 학생들은 기초적인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그 기반위에 다른 내용을 첨가함으로서 기초적인 내용과 새로운 내용을 일관성 있게 이어나가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상위 그룹으로 갈수록 선의 개수가 늘어나고 학습내용 사이에 연계성을 더욱 잘 연계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중위 그룹의 학생들 또한 마인드 맵을 노트의 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에 큰 어려움을 겪지 않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중위그룹의 학생 및 하위 그룹의 학생들은 중요 학습 내용사이의 관련성을 찾아내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다른 어느 그룹보다도 하위 그룹의 학생들이 마인드 맵을 하며 흥미로워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일지 관찰과 개별 인터뷰결과 자신들도 수학에 관련된 내용으로 마인드 맵을 작성한 것에 대해 자랑스럽게 생각하였으며 수학에 취미가 붙을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 같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마인드 맵은 그룹별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학습 내용 전체를 파악하고 기억하는데 도움을 주며, 딱딱한 수학이 아닌 흥미롭고 지루하지 않은 수학으로의 상승효과를 주었다. 셋째, 마인드 맵을 그리는 과정에서 느끼는 장애요인은 다음과 같았다. 학생들이 겪는 대부분의 어려움은 세가지 측면에서 나타났다. 하나는 이들이 알고 있는 개념들 사이의 연관성을 인지하는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예술적 감각을 어느 정도 요구하는 마인드 맵의 작성은 깔끔하고 명료한 그림을 구성하지 못하는 학생에게는 오히려 큰 부담을 지우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개념 자체를 분명하게 알지 못하고 기계적으로 외운다는 것이다. 넷째,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교사가 수학적 대상을 연구하고 학생들을 지도할 때, 그 대상이 갖는 여러 가지 성질을 먼저 분석해 보고 그 성질들 사이 또는 그 성질과 다른 성질들 사이에 성립할 수 있는 관계를 살펴봄으로서 새로운 수학적 구조나 체계를 구성시키는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도구적 이해뿐 아니라 관계적 이해를 할 수 있도록 조력해주며 이때 방법으로 마인드 맵을 도입하여 선수 학습과 후수 학습사이의 관계를 매 단원 인지시켜 주는 것도 좋을 것이다. 또한 예술적 감각에 대한 부분은 교사가 마인드 맵의 기본적인 틀을 제공하거나 주어진 용지에 구획을 나누어 사용하도록 유도하고 마인드 맵을 단순화 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마인드 맵 노트법을 사용하여 학생들이 이미 가지고 있는 지적 영역에 정의적 측면을 지원함으로써 양과 음의 조화를 통한 효과적인 수학 학습을 경험할 수 있었다. This study shows how the learning based on mind-map influences the emotional domain of math and the grasp of the whole study-content in a lesson. Also it was desinged searching for what students have difficulty on when they draw mind-map and the alternatives for that. This study was based on an mock exam in March which three first-grade students in high school in Chung Nam province took. And the learning based on mind-map which includes three-group students - high level, medium level, low level - was applied to the stud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mind-map, I could find that when it comes to higher groups, the lines in mind-map and contents increase and students catch well the relation between previous learning and after-learning. Also throughout mind-map I could find that the emotional sphere which students had before is added to the intellectual sphere and this harmony between two sphere is effective for learning Math. Also I could final that mind-map, a way to show several Math concepts in a paper, helps students to catch the whole study-contents in a lesson and to prepare for challenging the other field. In conclusion it was proved that the instruction based on mind-map is an effective way to improve learning level for students who need intellectual faculties as well as for those who have already had them.

      • 마인드맵을 활용한 한 장면 그림말하기가 언어발달지체아동의 어휘사용양상과 발화길이 증가에 미치는 영향

        조수은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생활연령 5세∼5세11개월의 언어발달지체아동 3명을 대상으로 마인드맵을 활용한 한 장면 그림 말하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어휘사용양상과 발화길이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언어발달지체아동은 단단어 표현 단계에서 오래 머물고, 단어 배열이 부적절하고, 문법형태소의 사용 오류가 많으며, 최소 단어만을 사용하여 평균문장의 길이가 짧은 편이며 그 구조도 단순하다 할 수 있다. 또, 다양한 어휘를 사용하여 표현하기보다는 제한적인 어휘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양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아동이 더욱 다양하고 풍부한 어휘를 사용하고, 구문의 정교함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들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이에 기존 학습기법으로 많이 사용되는 마인드맵 활동을 이용하였는데, 이는 학습의 집중효과, 흥미유발 및 자기주도성을 가지게 하며 학습의 효율성을 높여준다. 특히 어휘학습에 있어 그 효율성이 증명된 기법으로 단어를 연상하고 기억하여 사용하는데 있어 학습효과가 뛰어나다. 본 연구는 성남시 분당구에 거주하는 언어발달지체 아동 3명을 대상으로 총 18회기 동안 기초선, 중재, 유지단계를 거치는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로 진행하였다. 매회기마다 아동의 발화를 수집하여 어휘다양도, 총낱말수, 다른낱말수, 평균형태소 길이, 평균어절길이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인드맵을 활용한 한 장면 그림말하기 중재를 통해 언어발달지체아동의 어휘다양도, 다른낱말수, 총낱말수가 향상되었다. 둘째, 마인드맵을 활용한 한 장면 그림말하기 중재를 통해 언어발달지체아동의 평균형태소길이, 평균어절길이가 향상되었다. 따라서, 마인드맵을 이용한 한 장면 그림 말하기는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어휘사용양상과 발화길이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n vocabulary usage pattern and increase speech length was investigated by using a one-scene picture speech program using mind maps for three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of 5 to 5 years of age and 11 months.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have a long stay in a single word stage, are unable to arrange words inappropriately or use grammar morphemes correctly, and have a short and simple average sentence length using only a minimum number of words. In addition, rather than expressing using various vocabulary, it shows a pattern of repeatedly using limited vocabulary. Therefore, it is seen that interventions are necessary for children to use more diverse and rich vocabulary and to improve the sophistication of syntax. Therefore, the mind map activity, which is widely used as an existing learning technique, was used, which makes learning more focused, interesting, and self-directed, and improves the efficiency of learning. In particular, it is a technique that has proven its effectiveness in vocabulary learning, and has excellent learning effects in recalling, remembering, and using word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esigning a middle and multiple baselines between subjects who went through the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s for a total of 18 sessions for three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residing in Bundang-gu, Seongnam-si. The children's utterances were collected at each session, and Type-Token ration, number of total word, number of different word, mean length of utterance-morphem, and the mean length of utterance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Token ration,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 and the number of total words of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were improved through the mediation of speaking one scene using a mind map. Second, the mean length of utterance-morphem and average mean language utterance of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were improved through the mediation of one scene picture speaking using mind map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speaking of one scene picture using a mind map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Type-Token ration and the mean length of utterance of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 마인드맵을 활용한 문제만들기가 수학과 수준별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박원영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인드맵을 활용한 문제 만들기를 교수학습에 도입했을 때 수학과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검증해 보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마인드맵을 활용한 문제만들기‘ 교수학습을 도입한 수업이 학생들의 전체 집단 및 상&#8228;중&#8228;하 수준별로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2) ‘마인드맵을 활용한 문제만들기‘ 교수학습을 도입한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 과목에 대한 학습태도에 수준별로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마인드맵을 활용한 문제 만들기 수업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줌으로 학업 성취도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룹별로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특히 중위집단의 성적이 크게 향상되었다. 둘째, ‘마인드맵을 활용한 문제만들기‘ 교수학습을 도입한 수업은 학생들의 수학 과목에 대한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상수준보다 중&#8228;하수준 학생들에게 효과적이었다.

      • 마인드맵을 통한 언어훈련이 중증 발달장애아의 수용 및 표현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배수정 용인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whether language training with mind map for children with serious developmental disability is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per child, adjective and activity.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4 children with serious developmental disability, 9 to 12 at their age, who were in elementary school and available for indicating presented figure data by hand and representing their intention over words in the expression language. The procedure of study was executed at the steps of prior test - training - post test, and prior test was made with the tool of Korea Standard Acceptance Vocabulary Test (2001b), and post test was done with the same tool after completing training step. The conclusion from the study result and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the language training with mind map was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for children with serious developmental disability. There was more or less difference from the child, all of the children showed the improvement of vocabulary generally. Hence, the vocabulary training with meaning network connection was proved to be effective even on the children with serious developmental disability. Second, they showed the improvement of creating vocabulary per part of speech also. The improvement was made in order of noun, verb, and adjective in frequency, however, similar rate of increase and decrease were indicated in all the parts of speech; because the number of noun is largest in selected part of speech. Such result indicated that the children with lower intellectual ability were in difficulty in the acquirement of verb to show the inner or state or the change of state and adjective to show descriptive word rather than concrete and practical noun. Thir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activity per home life, social life, leisure life, and school lif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were improved in order of home life, social life, and school life, and acceptance vocabulary were slightly larger than expression vocabulary in frequency. It is considered that the range of activity and environment of the children with serious developmental disability were made mainly in home and school and they showed difficulty in acquiring the languages related to leisure life or economic life since they did not have the opportunity of such life frequent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roaden the range of activity for them and perform the situation to be expressed actually through various experiences. Synthesizing the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mind map was a program to be executed focusing on the children with serious developmental disability in high function, however, it helped the improvement of vocabulary for the serious children with autistic propensity in low function or serious state also. 본 연구의 목적은 중증 발달장애아동의 마인드맵을 통한 언어훈련이 아동별, 품사별, 활동별로 수용 및 표현 어휘력 향상에 효과적인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만9세부터 12세까지(생활연령)의 중증 발달장애 아동 4명으로 그림 자료를 제시하였을 때 손으로 지적이 가능하고, 표현언어 수준은 단어 이상의 의사표현이 가능한 아동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사전-훈련-사후검사단계로 실시되었고, 어휘력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표준수용어휘력검사(2001b)도구로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훈련단계를 거친 후 동일한 도구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논의에 의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인드맵을 통한 언어훈련이 중증 발달장애아동의 수용 및 표현 어휘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대상아동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모든 아동에게서 어휘력 향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의미망 연결을 통한 어휘훈련이 중증의 발달장애아동에게도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둘째, 품사별의 어휘산출에서도 향상을 보였다. 그 중 빈도로 보면 명사, 동사, 형용사의 순으로 향상을 보였으나, 비율로는 품사 모두 비슷한 증감률을 보였다. 이는 선정된 품사 중 명사의 수가 가장 많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이런 결과는 지적능력이 낮은 아동일수록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명사보다 내적상태 혹은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동사 혹은 꾸미는 말을 나타내는 형용사의 습득에 어려움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활동별로는 가정생활, 사회생활, 학교생활, 여가생활, 경제생활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수용 및 표현어휘에서 가정생활, 사회생활, 학교생활의 순으로 향상되었으며, 빈도에서 수용어휘가 표현어휘보다 약간 많았다. 이는 중증의 장애아의 경우 활동범위와 환경이 주로 가정과 학교에서 이뤄지기 때문으로 볼 수 있으며, 여가생활이나 경제생활의 기회를 자주 갖지 못하므로 그와 관련된 어휘의 습득에도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들에게 활동범위를 넓혀주고, 다양한 경험을 통해 실제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상황의 연출이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결론을 종합해 볼 때, 마인드맵 프로그램이 주로 고기능의 발달장애아동을 중심으로 실시되는 프로그램이지만, 저기능 혹은 중증의 발달장애아동들에게도 어휘력 향상에 도움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