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예술적 도시재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뉴욕 덤보(DUMBO)와 서울 문래예술창작촌 사례를 중심으로

        박은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recent years, Culture & Art Regeneration has been a new trend in the global cities. This study focuses on what factors have strong influence on Culture & Art Regeneration the global cities push ahead. DUMBO in Brooklyn, New York is one of the successful cases of Culture & Art Regeneration. Artists moved on to DUMBO hold a festival and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aking DUMBO’s placeness and introducing it to the world. Declined area soon revived and it has been attracting lots of people, art galleries and new businesses. Culture & Art Regeneration is also ongoing in Mullae art village in Seoul. The two cases are not the same, but they have lots of common characteristics on regeneration background, main agent of the generation and culture program they have. This study researches on each cases and compar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order to draw the key factor affecting sustainability of Culture & Art Regeneration. There are many advanced studies about Culture & Art Regeneration. They summarized some details needed to make Culture & Art Regeneration sustainable. The factors mostly mentioned are citizen participation, public-private networks, horizontal communication, supplying finances, community based, effective utilization of the urban resources, establishment of an organization for the Culture & Art Regeneration and participation of artists. Each cases are compared by these factor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wo cases comes from public-private partnership. City of New York has community boards, BID(business improvement district) and some organizations which try to reinforce coopera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parts. Such organizations are participating actively in the DUMBO’s Culture & Art Regeneration. However, there are not cooperation organizations for the regeneration in Mullae art village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is very weak. The conclusion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is that building public-private partnership up is most important task for the Culture & Art Regeneration. Especially, maintaining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securing the finances flexibly from each sectors are suggested. To generalize this analysis, in-depth interviews of 8 experts were carried out. All interviewee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and agreed with the fact that a key factor determining the success of the Culture & Art Regeneration is public-private Cooperation. Also, a long-term perspective is required for establishing the cooperation systems which is necessary to ensure the sustainable Culture & Art Regeneration. Keywords : Culture & Art Regeneration, Public-Private Partnership, Placeness, Sustainability, Gentrification 본 연구는 세계 도시들이 문화예술적 도시재생을 추진할 때, 그 효과를 높이고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뉴욕과 서울의 비슷한 도시재생 사례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두 도시의 비슷한 도시재생 사례인 덤보(DUMBO)와 문래예술창작촌을 선정했다. 우선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시재생 추진 주체들이 문화예술적 도시재생을 추진할 때 고려하는 세부 요인들을 선별하였다. 이 요인들을 분석틀로 활용하여 사례별로 각각의 요인들이 어느 정도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비슷한 재생사례끼리의 비교를 통해서 문화예술적 도시재생이 지속가능하며 성공적으로 평가 받기 위해서는 민관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특히 민과 관이 수평적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재생을 위한 재원을 민과 관에서 유연하게 조달하는 것이 중요했다. 더 나아가, 뉴욕시와 서울시의 문화예술적 도시재생 추진에 있어서의 차이점을 도출하였는데 뉴욕시가 서울시에 비해 민관의 수평적 협력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구를 활용하고 있었으며, 민간부문의 인력과 재원을 적극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뉴욕과 서울 시민들의 후원 및 기부에 대한 인식 차이도 문화예술적 도시재생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비교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한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각계 전문가들이 문화예술적 도시재생에 있어서 민간부문의 참여 수준에 대한 견해에는 조금씩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로 민관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중·장기적인 시각에서 재생을 추진하여 지역주민과 예술가와 장소가 상호작용하면서 지속가능한 재생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요소로 나타났다. 주요어 : 문화예술적 도시재생, 민관협력, 장소성, 지속가능성, 젠트리피케이션 지도교수 : 오동훈

      • 도시주변 신개발지의 개발특성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를 사례지역으로

        박선형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outward expansion of urban areas accompanies with land use conversion from non-urban uses to urban use in city edge. The expansion inevitably requires additional investment for infrastructure. In order to control the social burden of the investment, the characteristics of land development which cause social costs should be identified. However, such studies are scanty. The fundamental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newly developed lands in the edge of metropolitan city, and to contribute efficient urban growth management by providing land transformation information. For these purposes, the various data are employed to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newly developed lands in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areas. The Landsat TM 5 imagery data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newly developed areas between 1990 and 2000. The basic statistical unit data created by the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as overlapped with the results of satellite image analysis to derive the density of development. The results of satellite image analysis were overlapped with 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to identify land use of the newly developed areas. The main findings are follows. First, the dominant land use type of the newly developed area is the residential uses. The residential development was affected by the ambitious national housing supply policy - two-million house construction plan - in early 1990s. Second, the land use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developed area is not identical across the study region. The dominant land use types of the Dalseo district are residential and manufacturing, that of Bukgu District is residential, and those of Suseong District is public use. Third, the residential development can be characterized as high density development. The density of the newly developed areas in both gross and net density standard is much higher than existing urban areas. Therefore, American standard of urban sprawl -- low-density dispersed development -- is not occurred in Korean metropolitan c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some policy implication for urban growth management policy for Korean cities. 도시의 외연적 확산은 도시 주변부의 농지나 녹지지역을 도시적 용도로 전환시킨다. 일반적으로 도시주변부의 개발은 도시기반시설의 설치비용 및 교통비용 등의 사회적 비용을 수반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시의 확산과정에 있어서의 새롭게 개발되는 도시 주변부의 개발특징을 파악하고 도시확산을 합리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한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현재 신개발지의 개발특성에 대한 분석은 매우 미흡하며, 기존의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을 이용한 단순한 토지피복분류에 의한 도시성장패턴과 토지피복현황(land cover)을 파악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어 신개발지의 용도(land use) 및 밀도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이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1990년과 2000년 사이의 신개발지를 대상으로 위성영상, 토지관리정보시스템, 센서스 자료 등을 GIS로 구축·활용하여 토지이용전환에 영향을 주는 요인, 토지이용현황 및 공간적 분포, 개발 밀도 등을 중심으로 개발특성을 도출함으로서 도시개발의 입지, 규모, 밀도 등의 도시성장관리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도시토지의 미래수요를 파악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였다. 첫째, 주거용도로의 개발이 도시개발을 주도하였다. 주택200만호건설계획에 의한 대규모 주거단지개발은 전체 개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토지이용전환의 용도와 규모는 지역마다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달서구의 토지용도는 주로 주거와 산업용지로 전환된 반면, 북구는 주거용지로, 수성구는 공공용지로의 개발이 나타났다. 셋째, 대부분의 주거개발은 고밀도 위주의 개발이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지에 있어서 기개발지와 신개발지의 밀도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총밀도, 순밀도 모두 신개발지가 기개발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첫째, 기존의 연구들이 단순한 토지피복현황만을 살펴본 반면 본 연구에서는 국토계획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용도지역으로 구분하여 신개발지의 개발용도를 살펴보고 있어 도시성장관리에 필요한 실증적인 정보를 제공해주고 있다. 둘째, 도시의 개발밀도를 총밀도 뿐만아니라 순밀도를 기준으로 기개발지와 신개발지의 밀도차이를 검증하여 압축개발과 토지의 혼합이용을 권장하는 지속가능한 개발과 같은 성장관리정책수립에 필수적인 정보를 생산하였다. 셋째, 공간자료와 속성자료의 통합 분석을 통해 다양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위성영상을 통해 도시의 확산규모, 방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지관리정보시스템과 기초단위구와 통합하여 용도지역, 밀도 등을 분석하였다. 이는 도시개발의 입지, 규모, 토지이용변화, 밀도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도시성장관리정책수립에 필수적인 정보를 생산하였다.

      • 도시 하천 워터프론트 경관이미지 및 선호요인 분석 : 한강 이촌 워터프론트를 대상으로

        임윤주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Waterfront was positioned as the space of enhancing the national image as well as the urban image. Accordingly, due to the emphasis on the interest in waterfront with lots of attractions, our country was also started in earnest a plan for forming the differentiated space and for offering diverse spaces to citizens. Waterfront implies space that is situated on a boundary line between waters and landward. The waterfront in urban stream is the attractable space in a sense that can feel nature in a city and that can offer comfortable space to citizens. In case of our country, 12 citizen parks are formed in Han River. However, just a few sports facilities can be enjoyed including simple exercises like a walk and jogging at the waterfront park. Diverse facilities are lacking culturally or educationally. Thus, it became the background that came to start this study. Consequently, a research was seen to be necessary that grasps the preference and the preferential factors targeting users after analyzing the landscape image and eliciting the landscape elements in order to create space available for increasing value of waterfront. This study was progressed in order to transform it into the valuable waterfront by analyzing the preferential factors based on the derived landscape elements. Regarding the research objectives, first, the aim is to elicit the components in waterfront through analyzing a preceding research and to elicit the landscape adjectives and the landscape evaluation items through the preliminary survey and the expert questionnaire. Second, the aim is to analyze the landscape image that users feel, and to elicit the character in landscape. Third, the aim is to examine about which elements are important in forming the waterfront landscape by analyzing the preference and the preferential factors in waterfront. As for the research progression and the research method, the landscape elements in waterfront were derived after defining a concept of waterfront and examining a basic theory through a literature survey. The preference was surveyed after analyzing the character by landscape element through carrying out questionnaire research targeting experts and general people based on this. The research contents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 in waterfront landscape can be classified into aesthetics, environment, and usability. Second, the landscape elements of corresponding to each character can be elicited through considering a preceding research. The evaluation items for aesthetics included landmark, design in waterfront, shape and color in signboard, landscape in the daytime and at night, water surface and sky, shape and color in architecture, modeling around, shape and lighting in a bridge, and skyline. The evaluation items for environment included pedestrian's stability, maintenance condition for a sidewalk, condition for the street facilities, comfortable road environment, clean water quality, richness in gardening, richness in waters, diversity in habitats and wild animals, access to the car lane, access to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infrastructure, continuity with the surrounding region, parking facilities, and access to bicycle lane. The evaluation items for usability included security of water-friendly space, the rest facilities, commercial facilities, shopping facilities, sports facilities, cultural facilities, recreation facilities, educational facilities, event and festival, and historical architecture. However, in order to be available for actually applying the findings in this study, the realistic situation needs to be the research subject. Thus, the strict control was difficult like the laboratory experiment in physics & chemistry or psychology. Therefore, there is necessity of flexibly applying according to a situation while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findings rather than strictly applying these findings. However, given continuing the properly experimental design and the repetitive research in the face of this fundamental problem about a research of application, it is expected to be probably conducive greatly to making a plan for landscape scientifically and rationally. 워터프론트는 도시의 이미지 뿐 아니라 국가의 이미지를 높여주는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역시 볼거리 많은 워터프론트에 대한 관심의 고조로 차별화된 공간을 조성하고 시민들에게 다양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계획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워터프론트는 수역과 육역의 경계선에 위치한 공간을 말하며 도시 하천에서의 워터프론트는 도시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다는 점과 시민들에게 쾌적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있는 공간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강에 12개의 시민공원이 조성되어 있지만 수변의 공원에서 산책과 조깅 같은 단순한 운동을 비롯하여 몇 가지의 운동 시설을 즐길 수 있을 뿐, 문화적으로 혹은 교육적으로 다양한 시설이 부족한 것이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된 배경이 되었다. 따라서 워터프론트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공간을 창출하기 위하여 경관이미지를 분석하고 경관요소를 도출한 후 이용자를 대상으로 선호도 및 선호요인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는 도출된 경관요소를 바탕으로 선호요인을 분석하여 가치 있는 워터프론트로 변모시키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워터프론트 구성요소들을 도출하고 예비조사와 전문가 설문을 통해 경관형용사와 경관 평가항목을 도출하고자 한다. 둘째, 이용자들이 느끼는 경관이미지를 분석하고 경관의 성격을 도출하고자 한다. 셋째, 워터프론트의 선호도와 선호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어떤 요소가 워터프론트 경관을 형성하는데 중요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논문의 진행 및 연구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하여 워터프론트의 개념을 정의하고 기초 이론을 살펴본 후, 워터프론트의 경관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전문가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경관요소별 성격을 분석한 후,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첫째, 워터프론트 경관의 성격을 심미성, 환경성, 이용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둘째, 각각의 성격에 해당되는 경관요소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도출할 수 있다. 심미성에 대한 평가항목에는 랜드마크, 호안의 디자인, 간판의 형태 및 색채, 낮과 밤의 경관, 수면과 하늘, 건축물의 형태 및 색채, 주변의 조형물, 교량의 형태 및 조명, 스카이 라인이 포함되며 환경성에 대한 평가항목에는 보행자 안정성, 보도의 정비상태, 가로시설물의 상태, 쾌적한 도로환경, 깨끗한 수질, 식생의 풍부함, 수역의 풍부함, 서식처 및 야생동물의 다양성, 승용차로의 접근, 대중교통으로의 접근, 안내 기반시설, 주변지역과의 연속성, 주차시설, 자전거로의 접근이 포함되었다. 이용성에 대한 평가항목에는 친수공간의 확보, 휴게시설, 상업시설, 쇼핑시설, 운동시설, 문화시설, 레크레이션 시설, 교육시설, 이벤트 및 축제, 역사건축물을 포함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실제로 적용가능하기 위해서는 실제적 상황을 연구대상으로 하여야하기 때문에 물리·화학이나 심리학에서의 실험실 실험과 같이 엄격한 통제가 어려웠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의 결과들을 엄격하게 적용하기 보다는 연구결과의 의미를 이해하면서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적용연구의 근본적인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실험설계와 반복적인 연구를 계속한다면 경관계획을 과학적 합리적으로 만드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도시개발사업의 수행방식별 주택분양가격 추정에 관한 연구

        강동오 안양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도시개발법 제정 이후 도시개발사업과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있었다. 그러나 분석 자료의 한계로 인하여 대부분의 연구들은 과거 택지개발사업과 토지구획정리사업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러나 사업규모, 수용 인구 등 여러 가지 점에서 현재 추진 중인 도시개발사업과는 차이가 있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이 실제 사례들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각각의 사업지마다 다르게 적용된 사업추진방식 각각을 분석할 수는 있었지만, 실질적으로 개별 사업지에서 어떠한 방식이 더 저렴하게 공동주택을 분양할 수 있는지 등은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상의 사례지를 만들어 사업추진방식별로 동일한 토지이용계획을 적용하여 공동주택 분양가격을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체사업과', '수주사업'만을 고려하였을 때 자체사업이 분양가격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수용방식'과 '환지방식'을 고려하였을 때 '환지방식'이 분양가격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환지방식'으로 도시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자체사업'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장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렇게 도출된 결과는 기존의 연구들이 가지고 있던 현실과의 격차를 줄였다는 의의가 있으며, 도시개발사업의 결과물인 공동주택 분양시 어떠한 방법으로 추진하였을 때 가장 저렴하게 분양할 수 있는 가를 보여줌으로써 향후 공공이 도시개발사업 추진 시 사업추진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After establishing the urban development law,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urban development enterprise. But because of limit of analysis data, most of them have to use the housing developments and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enterprise data for analysis. There are difference from project scale and capacity of population between urban development enterprise promoting now and them. Although the studies based on actual cases could analyze the method of driving projects for each of them, problems about which method is cheap still remain. This study makes supposed case. By the method of driving projects, the case is applied same land use planning and calculated sale price of an apartment house.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considering only 'receiving projects' and 'own projects' way, sale price of own projects are cheaper. Second, considering 'expropriation of land' and 'land substitution', sale price of land substitution is cheaper.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ost cheapest way is 'land substitution' with 'own project' wa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e decrease of gap between presence housing market situation and past studies which was concerned with urban development. And we can know the most cheapest way of housing supply. So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he suggestion of additional studies concerned with urban development project

      • 도시지역 가로녹지경관의 심미성 증진을 위한 초화류 식재설계의 모델 개발 : 서울시 강남 일원 테헤란로를 대상으로

        이성도 경원대학교 환경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는 1970년대부터 가속화된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해 각종 환경오염의 심화 자연생태계 파괴, 도시 열섬현상이 심각한 국가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훼손되어가는 도시 환경개선을 위해 도시녹지 중 중앙분리녹지와 가로수정비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녹지 뿐 만이 아니고 경관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원예조경이 도입되어 일년초를 도심 녹지공간을 이용하여 식재하거나 이동식 콘솔박스 등을 이용하여 경관을 살리고 있는 실정이다. 도시녹지는 도시 내의 각종 이질적 토지이용을 순화 분리시키고 각 종 환경오염의 피해를 공간상에서 차단시키거나 재해를 경감시키고 시설물의 보호와 쾌적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녹지를 말하며 도시기능의 증대와 생활환경의 질을 재고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도시 녹지 공간으로서 중요한 중앙분리녹지는 각종 재해와 환경오염을 저감하거나 격리시키는 기능 뿐 만 아니라 도시민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도시 경관 향상과 같은 심미성 기능도 중요시 되고 있다. 이는 시민들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쾌적한 도시환경과 녹지 공간에 대한 요구가 늘고 있으며 도시녹지를 바라보는 시각이 많이 바뀐 것에 기인되고 있다. 이제 도심 도로변 중앙분리녹지는 과거 도시개발에 따라 조성된 영향 저감기능 일변도에서 다양한 도시녹지 기능을 충족할 수 있는 중앙분리녹지 재정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도심 도로변 중앙분리녹지의 기능보완은 현재 녹지의 형태, 지형구조 및 실재현황개선과 심미성 향상, 녹지 공간의 효율적 이용을 통하여 매년 반복되는 몇 개월마다 교체방식의 일년초 식재에 다른 경제적 실효와 시간적 관상 손실을 최소화 하여야 하겠다. 연구대상지는 도심,도로변 중앙녹지이며 다양한 토지이용을 필요로 하는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중앙 분리녹지 와 도로변 가로수를 선정하였다. 테헤란로의 구간을 3개구역으로 구분하여 구간별 특징을 살리고 주변지역의 경관조화를 이루고 식재의 내용을 변화를 주어 심미성을 주었으며 구역거리마다 관목의 수종을 특성있게 심어 경관미를 살리려고 노력했다.. 이 지역은 도심대로변 녹지이므로 도시민의 접근성이 높고, 많은 교통량이 왕래하는 곳으로 상업지역, 근린시설, 고층아파트지역 등 유동 인구밀집지역이며 다양한 시설이 분포된 지역특징이 있다. 그러나 연구대상지 중앙분리녹지는 녹지의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 채 대부분 차량 영향 저감기능 일변도의 획일적인 식재기능 및 식재양식으로 조성되어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앙분리녹지와 인도변 가로수 주변 토지이용과 식재현황을 파악하고 두곳의 토지이용을 고려하여 초화류 식재를 통하여 완충녹지의 기능을 재설정한 후 경관개선, 심미성 증진, 효율성 극대화, 주변 경관조화, 경제성 강화 등의 식재방안을 제안하였다. Since 1970's urbanization was rapidly increasing in Korea, results in sever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egradation of ecosystem, specially heat island phenomenon. Concentration of population to urban space generated intensive land use, and so insufficient space, especially roadside become main cause of confliction and complexity, aggravated amenity of residents. Accordingly streetscape in urban should be situated as core space and landscape resources, which is various values joint and contact. In spite of importance as urban node, streetscape is very poor functionally and esthetically. Interesting and seasonal change is very insufficient and monotonous through total streetscape. We need to improve bleak urban landscape by introduction of seasonal characters and remodelling of green infra in streetscap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informations necessary to remodelling of streetscape focused on green infra. Study area is Tehaeran street(from Kangnam Station to Samsung station of lane 2 of Seoul metro) main road passing through east-west of Kangnam town, Seoul metropolitan. This street has boulevard structure having driveway above 50m with central buffer zone of 4m width and pedestrian route toward both roadside of 6-7m width. Main tree is sycamore(Plantanus occidentalis), height above 10m and braod tree crown, and diameter of average 30cm. This tree was planted 3 row (both pedestrian route and central buffer zone) with intervals of 4-8m. This study considered cost-effective planting design model centered to herbaceous & climbers to improve esthetic quality under maintenance of main tree. Accordingly new planting method was designed considering unity and variety of total streetscape and sectional streetscape simultaneously. This planting model has attractive structural landscape with vertical dimension(climbers with height of 1-2m) and horizontal composition (gradual sequence with mixed bed of wild herb showing seasonal succession).

      •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토지이용 변화가 도시동태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성남시를 중심으로

        안천호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807

        도시는 하나의 거대한 시스템이며, 또한 도시는 다수의 하위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들 하위 시스템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해서 동태성을 갖는다. 즉 인구, 산업경제, 주택, 환경, 교통, 토지이용 등과 같은 하위 시스템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도시는 점점 복잡계적 특성을 보이며 성장하기도 하고 쇠퇴하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도시의 동태적 특성을 기본 전제로 하여 성남시를 대상으로 용도지역의 변경에 따른 도시의 다양한 하위 시스템이 장기적으로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구축된 시뮬레이션 모형상에서 용도지역 변화정도에 따른 정책 모의실험을 수행하여 대안별 정책 시나리오들이 성남시의 도시 동태성에 어떠한 변화를 초래하는지를 살펴보고, 그 결과에 따른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의 모형구축과 시나리오에 따른 시뮬레이션 분석에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프로그램인 스텔라(STELLA) VERSION 8.1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용도지역관리모형의 시뮬레이션 결과 성남시 인구는 2020년 1,293,734명, 주택수는 273,911호, 기업체수는 79,525개사, 자동차수는 382,545대로 추정되었다. 또한 용도지역관리모형 구축을 토대로 그린벨트 해제 확대적용(정책실험모형Ⅰ), 용적률 완화 확대적용(정책실험모형Ⅱ) 및 그린벨트 변경시 사업용지 개발 확대적용(정책실험모형Ⅲ)에 대한 정책실험을 실시하여 성남시의 하위 시스템의 변화추이를 분석하였다. 그린벨트를 추가로 해제하게 되면 주택수는 기본모형에 비해 2020년 4,906호(1.76%)로 증가하고, 인구수도 2020년 12,145명(0.93%) 으로 증가하였으며, 따라서 그린벨트를 추가 해제하면 주택수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용적률을 추가로 완화하게 되면 기본모형에 비해 주택수는 2020년 62,715호(19.24%), 인구수는 2020년 127,191명(9.51%)의 상당히 높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기업체수와 자동차수의 증가도 상당히 높은 증가율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린벨트 해제시 사업용지를 확대하면 기본모형과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기업체수가 가장 많이 증가하고 기업체수 증가에 따른 인구 및 자동차수 증가로 이어지고 있으나, 주택수는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용적률 조정정책을 활용한 개발계획의 수립 및 집행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의 정책실험 결과, 그린벨트 완화보다는 용적률을 상승시키는 정책이 도시 하위 시스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게 나타나므로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용적률 조정정책을 이용한 개발계획수립 및 수행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그린벨트 해제시 적정 사업용지 확보에 따른 배드타운화 방지가 필요하다. 그린벨트 지역을 해제하면 정책실험 결과에서 보듯이 주거지역과 녹지지역의 면적이 증가하여 주택수의 증가율이 크게 나타나고 있으나, 기업체수의 증가율은 아주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성남시가 서울 및 타 경기도지역의 배드타운화가 되는 것을 방지하려면 사업용지 개발을 적극 확대하여 기업체에 필요한 토지용도를 적극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그린벨트 해제에 따른 종합적인 영향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모형의 분석결과 용도지역의 경우 주거, 상업 및 공업지역은 일정한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그린벨트 지역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패턴을 보여주고 있으며, 따라서 향후 가용토지자원을 고려하여 그린벨트 해제에 대해서는 신중하고도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넷째, 도시 하위시스템간 상호 영향관계를 고려한 종합적인 정책집행이 필요하다. 용적률의 완화정책은 주택수 및 인구수 증가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지만 산업의 미약에 따라 직장매력도가 감소되는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하므로 산업용지의 보급에도 정책적인 지원이 동시에 추진되어야 균형잡힌 도시성장을 이룰수 있으며, 반대로 지나친 개발용지의 보급은 기업체수의 증가를 가져오지만 주택수의 감소에 따른 주택매력도가 저하되어 인구유출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 또한 주택보급과 관련된 정책에도 관심을 기울어야 하겠다. 따라서 도시 하위시스템간의 영향관계를 고려한 종합적인 정책이 필요하다. 다섯째, 도시내 도시기본계획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도시기본계획 등의 계획과 계획관련 각종 정책과 제도를 입안하여 이에 대한 집행만 수행하였을 뿐, 각종 계획과 정책에 대한 영향과 문제점, 그 파급효과 등에 대한 평가과정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해당도시의 변화를 지속적이고 상시적으로 조사하고 각종 계획이나 정책의 영향을 평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수행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로서는 다양한 하위 시스템에 포함되어야 할 변수는 너무나 많고 다양하나,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변수들이 너무 적고 개념을 너무 단순화하여 적용함으로써 발생되는 내재적 한계가 있다. 또한 인접한 서 A city is one enormous system. Since it is composed of multiple subsystems, its dynamics will depend on interactions between those subsystems. That is,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its sub-systems such as population, industrial economics, housing, environment, traffic, land use, etc., a city will have more and more complex characteristics which may lead to its growth and decline. With the basic assumption of such complex characteristics of urban dynamic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alternative land use will effect various urban sub-systems in the long run using a case of Seongnam City. I will also examine how the alternative policy scenarios bring about the changes on urban dynamics of Seongnam City by executing policy simulation experiments per alternative land use on the basic simulation model. Therefore we can derive a policy proposal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xperiments. System dynamics program STELLA VERSION 8.1 has been used for model construction and simulation analysis per scenarios for this study.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 of the basic land use management model in this study, it is estimated that population of Seongnam City is 1,293,734, the number of houses is 273,911, the number of business is 79,525 and the number of cars is 382,545 in 2020. Also, I experimented 'Enlarged Application of Green Belt Relaxation (policy experiment model I)', 'Enlarged Application of Floor Area Ratio Relaxation ( policy experiment model II)' and 'Enlarged Application of land development for business purposes associated with the green belt change (policy experiment model III)' based on land use management model, and analysed the trend of urban sub-systems of Seongnam City. When green belt is additionally released, the number of houses is increased by 4,906 (1.76%) and population is increased by 12,145(0.93%) in 2020 compared to the original model. Therefore it is analysed that additional release of green belt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number of houses. When floor area ratio is additionally released the analysis shows that the number of houses is increased by 62,715 (19.24%), the population will be increased highly by 127,191 (9.51%), and also the number of business and cars are increasing at significantly high rate. When the land for business uses is enlarged when the part of green belt is released, the analysis shows that the number of companies are mostly increased so as to the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cars, however the number of houses is decreasing.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have policy proposal as follows. First, development plan and execution utilizing floor area ratio adjustment policy is necessary. According to the policy simulation experiment of this study, the policy of increasing floor area ratio has much bigger impact on urban sub-system than green belt release, it is more desirable to establish and execute the development plan using floor area ratio adjustment by providing various incentives. Second, when green belt is release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and for business purposes to certain extent in order to prevent the city to become a so-called 'Bedtown'. As you can see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when part of green belt is released, both the residential area and the green zone will be increased and this will lead to increase in the number of houses, but the number of business will be increased by slight numbers only.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eongnam City from becoming a 'bedtown' of Seoul and other Gyung-gi area,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and development for business purposes and to provide more land for business positively. Third, it is necessary to hav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impact of green belt release.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odel shows that residential, commercial and industrial areas are increasing gradually to certain level whereas, green belt area is continuously decreasing. Therefore with consideration of land resources limitation in future we need prudent and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consequences of any green belt release. Fourth, execution of the comprehensive policy that took mutual impacts and interactions between urban sub-systems into consideration is necessary. Even though the floor area ratio relaxation policy has great impact on the number of houses and the population, it is possible to have negative impact of reduced working attractiveness depends on industrial weakness, therefore for the provision of industrial land it must be accompanied by some supporting policy in order to have balanced urban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excessive development of land for business purposes will lead to increased number of business, but reduced residential attractiveness due to the small number of houses can be led to population leakage, so we must consider the comprehensive housing policy as wel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policy which took the mutual impacts and interactions between urban sub-systems into consideration. Last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ntinuous monitoring system of basic city plan within the city. Most of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offices just plan and carry out the execution of various policies and systems relating to basic urban plans, but there is no actual evaluation process of impacts, problems and consequences of various plans and policies. It is vital to establish a system which is able to evaluate the impact on the city and to exercise continuous monitoring of various plans and policies. As a limit of this study, there are so many variables to be considered in various sub-systems in reality, but there is a potential limitation due to simplification of concepts and use of limited number of variables in this study. Also, adjacent Seoul and Gyung-gi area were not treated as one integrated model based on open urban system, it can be indicated as limitations that there is realistic limitation of get

      • 문화도시 부산의 유휴공간 활용 방안 연구

        박은선 동아대학교 예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문화가 21세기의 패러다임이 되고 전 세계가 기존의 도시를 문화적으로 재구성 하려는 노력들을 하고 있다. 세계가 자유화, 개방화, 다양화, 정보화됨에 따라 국가 간의 경쟁뿐만 아니라 도시들 간의 새로운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 지역의 독특한 장소나 정체성은 도시 경쟁력 확보에서 생존 할 수 있는 자산이 되고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도시이미지, 도시마케팅, 도시브랜드 등의 용어가 낯설지 않듯이 도시발전의 전략에서도 중요한 요소가 되고 ‘삶의 질 향상’과 ‘경제의 활성화’는 그 기본 방향이 되고 있다. 1970년대 중반이후 포디즘적 생산체계가 한계에 부딪히면서 문화와 경제의 해석이 변화하고 도시를 바라보는 시각이 다양해지고 분화되어졌다. 이에 탈산업화와 구조조정의 부정적 이미지를 문화적, 예술적 요인을 활용하여 매력적인 도시로 이미지를 창출하게 되었고, 특정문화시설은 그 자체만으로 문화적 상징과 관광지가 될 수 있었다. 또한 경제적인 측면, 창의성, 결속력 등을 조성하여 도시 경쟁력에 긍정적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우리 환경에 맞는 한국형 문화도시 발전모델 구축이 필요 하다. 본 논문은 구 산업 사회의 잔유물로 버려진 공간과 과도한 개발로 방치된 유휴공간들을 문화공간으로 활성화하여 문화도시 발전에 기초가 되기 위한 모색이었다. 부산이라는 지역적 특색을 감안하여 국외 사례연구는 항구도시로서 문화적 클러스터와 인프라, 선도적인 정책과 파트너 쉽 그리고 가장 중요한 주민과의 소통으로 함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경제 활성화로 성공한 성공사례들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부산의 유휴공간을 내용에 따라 첫째, 폐부지의 유휴 공간, 둘째, 소외지역의 유휴 공간, 셋째, 일반시민 근린생활공간의 유휴 공간, 넷째 스토리텔링이 있는 공간의 유휴공간을 제한 선정하여 아직 미흡한 유휴공간들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새로운 용도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부산시의 문화 비전 2020과 문화정책 방향 아래 부산이 문화도시로 발전 할 수 있으려면 1. 무엇보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정책들 (문화생산에 필요한 하부구조의 확충, 도시 활성화를 위한 선도개발계획으로서의 문화시설물 구축, 문화유산을 위한 장소 마케팅) 등을 보다 효율적인 공간의 확대 등 내실 있게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2. 문화도시전략은 문화관광 인프라의 확충만으로는 필요충분조건이 되지 못한다. 제도로서의 문화뿐만 아니라 과정으로서의 문화전략 구축도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여기서 핵심적인 전문가들의 인적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3. 부산에서 소외되어 있는 여러 공간을 단위수준(구)에서 부터 의사소통만을 구축하여 이를 지역문화의 프로그램을 통한 의사소통체계 등에 관한 조사 및 검토 등이 필요하다. 4. 지역 사례, 국외 사례의 긍정적인 모범사례에 안주하기보다도 부산의 지역적 특성(해양도시)을 고려한 문화 도시로서의 정체성을 살려야 한다. 5. 지자체의 적극적인 재정지원과 함께, 지역민들의 문화교육에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 그리고 부산이 앞으로 지향해야 하는 유휴공간의 활용을 위해서는 1. 공간범위가 확장되고 시공간적 집중성이 극복되어야 한다. 2. 역사, 지역문화, 전통에 기반 하여 공동체의식과 지역정체성이 고취, 장소성이 형성되어야 한다. 3. 문화전문가 참여를 제도화 하고 콘텐츠의 창조적 생산과 계승을 통하여 문화 예술적 완성도와 학습 창의성을 가지도록 해야 한다. 4.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여러 가지 공간을 형성하여 일상에서의 탐구를 통한 문화 소통 공간의 역할을 해야 한다. 5. 기획, 준비, 평가의 체계성이 이루어진 문화행정의 내실을 통하여 문화 도시로서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해야 한다. 역사와 삶의 공유 장소로서 공간 그중에서도 버려진 공간에 문화적 상상력을 더해 정체성과 경쟁력을 확보하고 더 나아가 문화공간의 활성화로 지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인간이 존중되고 더 나은 삶, 쾌적한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의 욕구에 맞는 21세기 문화도시야말로 국가경쟁력의 기초가 될 수 있으며 경쟁력 있는 도시로서 새롭게 발돋움하게 될 것이다.

      • 도시동태모형을 활용한 성장관리수단의 평가 : 남양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박은아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도시는 인구, 산업, 주택, 교통, 환경 등 다양한 부문이 이루는 하나의 거대한 시스템으로서, 각 부문 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성장 또는 쇠퇴한다. 일반적으로 도시는 성장-전이-쇠퇴의 과정을 거치며, 성장단계에 따라 다양하고 복잡한 도시문제를 겪는다. 도시성장관리는 이러한 도시성장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도시 형태를 추구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우리나라의 도시성장관리는 1964년 대도시 인구집중방지책을 시작으로 1970년대 개발제한구역 지정, 1980년대 수도권정비계획 등 다양한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도시성장은 여전히 수도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개발가용지의 부족과 시가화지역의 확산 등의 문제로 도시성장관리 수단의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동태모형을 활용하여 도시성장을 전망하고, 도시성장관리 수단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Alfeld와 Graham의 도시동태모형을 남양주시에 적용하여 도시성장추이를 분석하며, 둘째, 그동안 도시성장관리 수단으로 시행되어온 정책들을 실험변수로 도입하여 모의실험을 수행함으로써 그 효과를 평가해 보고자 한다. 남양주시의 2001~2020년까지의 성장을 전망해 본 결과 남양주시는 현재 급격한 도시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는 성장단계의 도시로 2020년까지 지속적인 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2015년 이후 가용토지의 한계로 성장이 둔화되며 2020년 이후에는 정체에 이르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도시성장관리 수단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그동안 시행되었던 도시성장관리 수단을 적용한 결과 개발제한구역의 확대, 산업체 증설 억제, 인구유입 억제, 인구유출 촉진, 산업체 이전 촉진의 순의 효과가 있음을 나타냈다. 그러나 각 결과는 부문 간의 상쇄효과로 인해 인구집중 완화에 매우 효과적이더라도 다른 부문에 있어 또 다른 문제를 가져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개발제한구역의 확대는 남양주시의 인구유입을 가장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인구밀도를 낮추고, 세대-주택비율을 낮춤으로써 양호한 주택환경을 제공하지만, 노동-직업비율을 높여 구직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또한 가용토지를 축소시키기 때문에 토지나 주택, 건물가격이 더 빨리 상승되는 효과도 예측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사고에 기초한 도시동태모형을 통해 도시를 구성하는 하위시스템간의 동태적인 역학관계에 의한 도시성장추이를 분석하고 도시성장관리수단의 효과를 평가하고 비교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도시의 동태적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성장단계에 따른 정책의 도입과 정책의 우선순위에 따른 정책의 접근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바람직한 도시성장을 위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계적 추정으로 인한 단편적이고, 단기적인 계량경제학적 접근방법을 보완하여 통합적이고 장기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도시 창조성 지수 설정과 서울 및 6대 광역시의 창조성 비교 연구

        김영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창조성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도시의 창조성과 관련있는 요소들을 추출하고, 우리 도시의 창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연구해 보았다. 그리고 우리 도시의 창조적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존 연구의 창조도시에 대한 정의를 바탕으로 산업 및 문화 부문에서 도시의 창조성과 관련 있는 지표를 중심으로 도시의 창조성 지수(City Creativity Index)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서울 및 6개 광역시의 도시별 창조성을 구성영역별, 결정요인별, 세부지표별로 비교분석하고, 향후 도시의 창조성을 관리하고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시의 발전방향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