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년·취업세대 드라마의 장르적 성격과 그 의미 : 드라마 <미생>·<송곳>, 영화 <10분>·<오피스>를 중심으로

        김영인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0년대의 우리 청년 ‧ 취업세대가 직면한 시대적 상황은 개인의 경험적 차원이란 국면을 초월하여 조직의 수직관계, 권위적 위계문화, 불투명한 고용실태 등으로 대변되는 사회적 모순에서 비롯한 문화현상을 야기하면서 세대갈등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이 한국 영화와 TV드라마 속에 재현되면서 청년‧ 취업세대 드라마의 한국형 장르를 형성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네 작품, 즉 TV드라마 <미생> ‧ <송곳>, 영화 <오피스> ‧ <10분> 을 택하여 분석함으로써 이같은 청년‧ 취업세대 드라마의 장르의 도식성을 도출하고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플롯, 인물형, 배경이 영화 장르를 결정하는 주요소라는 토마스 샤츠의 주장을 기조로 하여 장르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 도식은 동시대의 환경이나 사회적 담론을 주제 삼아 사회극을 위반 → 위기/시련 → 교정 → 재통합/분열이란 네 단계의 전개과정으로 분류한 터너의 도식과 본질적으로 일치한다고 인식할 수 있었다. 또한 청년세대 드라마의 거시구조와 미시구조가 공통적으로 관례화된 내러티브 도식의 장르로 진행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적 분석틀을 네 작품에 적용하였을 때 <입사 → 도전 → 위기/시련 → 결말>이라는 유사한 플롯의 거시구조 도식이 발견되었다. 이 도식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결말로서 각각의 작품에서 외형상 실패 → 재도전, 절반의 성공 → 재도전, 또는 관객에게 선택을 맡기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출되지만 결국 대다수의 우리 젊은 세대가 경험하는 불확실한 미래의 모습을 도식화하고 있는 것이다.

      • 독서클럽 토의를 통한 요약하기 지도 방안연구

        김영인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요약하기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다. 읽기는 독자의 선행 지식이나 인지구조에 의해 새롭게 해석되고 구성되는 능동적 과정으로 읽기의 텍스트 이해에 필수 전략은 요약하기이다. 읽기는 단순히 글의 해독이 아닌 의미구성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전략만을 지식의 형태로 지도하는 수업은 맹목적으로 연습을 강조하게 되어, 또 다른 독해기능 지도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공동체 속에서 그 의미를 함께 논의하고 공유해 나가는 독서클럽 토의를 통하여 개별 독자가 텍스트와 함께 작용함은 물론, 독서클럽 토의활동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며 공동의 의미를 구축해 나갈 수 있는 장점을 살려 지도 단계를 설정하였다. 설명문, 전기문, 이야기 글 등의 다양한 글 유형을 제시하여 요약하기 지도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이 연구는 독서클럽 토의 학습을 통한 요약하기 전략의 효율성을 살펴보고, 글의 종류에 따라 효과가 어떻게 다른지를 밝히고 효과적인 요약하기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3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독서클럽 토의 학습을 통한 요약하기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요약하기 능력은 통제 집단에 비해 요약하기에서 의미있는 향상을 보일 것이다. 둘째. 독서클럽 토의 학습을 통한 요약하기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요약하기에서 글의 종류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셋째. 학생들의 독서 능력과 요약하기 능력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해결하기 위해서 2장에서는 독해와 요약의 개념과 텍스트 구조분석 이론에 의한 요약하기 규칙, 독서클럽 토의 학습에 대한 개념 및 특성, 토의의 필요성과 토의 학습의 절차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독서클럽 토의를 통한 요약하기의 구체적인 지도 방안으로 요약하기 전략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독서클럽 토의를 통한 요약하기를 실제 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실제 수업을 소개하였다. 4장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한 요약 능력 비교실험을 하였고, 실험에 대한 분석과 결과에 대한 해석 및 논의를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한 실험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소집단토의를 이용한 요약하기 전략 훈련을 받은 실험 집단과 교사용 지도서에 따라 일반적인 독해 수업을 받은 통제 집단사이의 사전ㆍ사후 요약하기 능력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설명문, 전기문, 이야기 글을 중심으로 글의 종류에 따른 요약하기 효과와 독서 능력과 요약하기와의 상관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소집단 토의 학습을 통한 요약하기 전략 훈련이 요약하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면에서는,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요약하기 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소집단 토의 학습을 통한 요약하기 전략 훈련을 받은 실험 집단의 글의 종류에 따른 효과를 비교해 본 결과, 글의 종류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독서 능력과 요약하기 능력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검증에서 매우 높은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는 소집단 토의 학습이 요약하기에 얼마나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는가를 보여주고, 요약하기 기능을 실질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text summarizing strategy that could be effectively applied to students. Reading is an active meaning constructing process by reader's prior knowledge and cognitive structure. That is, reading is not a decoding process but a meaning making process. Then, a text summarizing strategy plays a crucial role in understanding text. However, reading instruction that views a reading strategy as knowledge itself has had a tendency to overemphasize drills of it so that it as good as have taught another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Instead, readers together should make the meaning of text and share the ideas in a learning community for small group discussion. In this regard, specific lesson plans were set with the advantage of book club discussion in which readers collaboratively solve the problem and construct the meaning of text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focused on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learning about the text summarizing strategy by presenting a variety of genres such as informational text, biographic text, and narrative text. Also, it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text summarizing strategy through book club discussion on writing and further explored whether differences in text genres influence the effect of a text summarizing strategy on it. For them, three hypotheses were developed. Firs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summarizing activity through book club discussion significantly will outperform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a summarizing activity through book club discussion on the text summarizing tests. Second, differences in text genres will influence text summarizing ability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summarizing activity through book club discussion. Third, there will be a significant correlationship between readers' reading ability and their text summarizing ability. For literatures review, some related literature were reviewed in the chapter 2: Concepts of reading comprehension and text summarizing, text summarizing rules based on text structure analysis theory,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book club discussion, and the need of discussion and the procedures of discussion learning. Aa a specific way of summarizing texts through book club discussion, a text summarizing strategy was examined in the chapter 3. Instructional model being able to apply a text summarizing strategy through book club discussion to a classroom was designed and the text summarizing lessons were performed. In the chapter 4. scores on the text summarizing test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compared. Additionally, data analyses and interpretation and discussion of the findings were in the presented. The following procedure were followed in this study: (a) This study tested whether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summarizing activity through book club discussion significantly will outperform students who received a traditional reading lessons based on a teachers's edition of language arts on the pre and post text summarizing tests, (b) it tested whether differences in text genres (i.e., informational text, biographic text, and narrative text) influence text summarizing ability of students, and (c) a correlationship between readers' reading ability and their text summarizing ability was tested.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outperformed the control group on the text summarizing tests, indicating a text summarizing strategy training through small group discussion positively influences students' summarizing ability.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text summarizing strategy training through small group discussion produced different performance on the different types of text, indicating differences in text genres influence students´ summarizing ability. Third, there was a very high correlationship between readers' reading ability and their text summarizing abil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found that small group discussion has a positive impact on readers' text summarizing and furthermore, it provided an effective way of teaching a text summarizing strategy.

      • 슈퍼비전요인이 지역사회복지관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영인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슈퍼비전 요인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이 개편되면서 중요시된 사례관리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슈퍼비전을 통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시작하게 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시·경기도·인천시 내 142개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127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주요한 문제로서 슈퍼비전 요인 중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슈퍼바이저의 지지적 행동특성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슈퍼바이저는 사례관리자를 강점관점으로 보고 사례관리자의 결정권을 지지해주며 슈퍼바이저는 정직하고 성실한 모습을 통해 사례관리자에게 관계적으로 도움을 주는 것과 사례관리자의 능력성장을 중요시하고 사례관리 수행에 있어 이용 가능한 정보를 제공해 주며 문제 중심보다는 해결책을 강조하는 슈퍼바이저의 참여적 도움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슈퍼비전의 요인 중 슈퍼비전의 교육적 기능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슈퍼바이저가 교육적 기능을 많이 활용할수록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사례관리자가 사례관리를 수행하는데 사례관리의 전반적 과정을 논의하는 것을 슈퍼바이저와 함께 하는 것 뿐 아니라 사례관리자의 책임성의 한계인식, 자기인식향상, 이론적 지식 향상을 위한 교육적인 슈퍼비전을 통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슈퍼바이저의 지지적 행동특성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으로 슈퍼바이저는 강점관점, 존중, 자율성, 신뢰, 이해와 같은 슈퍼바이저의 태도와 지식습득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사례관리자의 교육 뿐 아니라 슈퍼바이저의 교육과 훈련의 시스템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강점관점의 실천이 클라이언트에게만 실천되는 것이 아니라 사례관리자에게도 실천된다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지역사회복지관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슈퍼비전의 기능중 교육적 기능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사례관리자의 자기개발의 기회 및 전문적인 지식향상을 위한 기회확대와 교육비 지원 등 교육을 위한 지원과 내부시스템의 안착화가 필요하다. 셋째,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슈퍼바이저의 경우에는 사회복지 경력이 바탕이 되는 슈퍼바이저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실천경험과 교육훈련을 받은 경력의 사회복지사가 슈퍼바이저가 될 수 있도록 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supervision factors associated with self - efficacy of case manage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I began this study with the feeling that how supervision develop the self - efficacy of community welfare center case managers who have became important role by reform of the funtion of community welfare center. For this stduy, 127 case managers of 142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City, Gyeonggi Province, Incheon City participated and there are the crucial results. First, the supportive behavior characteristic of supervisors has the most important effect on the self - efficacy of case managers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Supervisor's behaviors affects the morale of case magers such as supporting the decision of case managers, helping social relationship for case managers with good reputation, developing case manager's ability,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ase and focusing on a solution rather a problem. Second, the educational role, one of the factors of supervision have an effect on the self - efficacy of case managers. It means that using more educational function have an good influence on self - efficacy of case managers with more satisfaction. Self-efficiency of case managers is risen with not only solving a process of a case together with a supervisor but also a supervisor's understanding of the limit of authority, self-awareness-advancement, cooperation discussion, and educational supervision for theoretical knowledge improvement. There are suggestions on this study. First, supervisor should make an effort to achieve the attitude such as strength perspective, respect, autonomy, trust, understanding because the supportive behavior characteristic of superviso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elf - efficacy of case manager. In addition, the education program system should be strengthened not only for case managers but also for supervisors. If the practice of strength perspective apply on not only clients but also case managers, the self-efficacy of case managers will be better level. Second, social workers who managing case at community welfare center need supports and interests. According to the effect of educational function on self - efficacy, the financial plan and the system for the opportunity for case managers' self - development and professional skills. Third, an experienced person in social welfare sector should be selected to the supervisor of case manager. We need to make a personal system which social workers of broad experience become a supervisor.

      • 가정위탁양육 중도해지 촉발 요인에 관한 연구

        김영인 仁川大學校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가정위탁양육의 동기부터 중도해지 촉발요인을 살펴보고 중도해지의 원인을 도출하여 이를 보전할 수 있는 실제적인 정책제안을 하고 실천지향적인 심층 탐색을 하고자 15명의 위탁부모를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과 이론적 개념을 배경으로 한 연구결과로 위탁아동 관련요인, 친부모 관련요인, 위탁부모 관련요인, 위탁기관 관련요인, 기타 관련요인이 촉발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위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가정위탁양육 개시부터 계약해지에 이르는 과정을 살펴본 후 중도해지의 원인 및 촉발요인을 도출하여 이를 보장할 수 있는 시대적인 정책제안을 하고자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이에 우리는 현 가정위탁보호사업 중에서 중도해지에 중점을 두고 그에 대한 원인과 촉발요인의 문제점을 파악해 앞으로 가정위탁 보호 사업에서 중도해지의 가능성을 줄이고자 대책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가정위탁과 관련된 국내 학술지, 학위 논문, 단행본 등을 검토하였으며 보건복지부, 가정위탁지원센터와 같은 기관의 자료와 관련 기관을 방문함으로써 가정위탁에 대한 여러 가지 관련 정보를 얻어 심층인터뷰를 하여 중도해지 하고자 하는 촉발요인을 다각도에서 알아보고 제도적 보완책을 마련하고자 인천지역 가정위탁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위탁가정의 계약해지로 이어지는 위험요인을 최소화하기위해서는 위탁기관에서 지속적으로 아동 및 청소년 문화에 대한 교육기회 제공, 친부모의 물질 및 행위중독 관련 상담과 가족치료, 위탁부모의 직업과 경제적 안정을 위한 고용촉진 및 자활후견센터 등의 연계, 위탁기관의 상담교육 및 후원체제의 지속적인 계발, 가정위탁보호의 활성화를 위하여 적절한 양육비 지원과 아동에 대한 금전적 지원이 필요하다.

      • 중학교 미술과 수업에서의 재료 활용에 관한 실태 조사

        김영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술교육은 미적 안목을 육성하고 조형능력을 함양하며 창의성을 계발하여 미적 인간을 기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술은 문제를 해결하는 답을 구하는데 있어 옳거나 그른 방법이 없고 단지 학생들에게 상상력을 사용할 기회와 다양한 문제 해결책을 만들어 낼 기회를 제공해 준다. 미술교육은 다양한 재료 경험을 통하여 환경을 다양한 시각으로 보는 능력을 길러 주고 시각적 대상을 새로운 차원에서 표현하는 창의성을 길러주며 조화로운 품성과 미적 감각을 길러주는 정서 교과로서의 본질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실제 미술 수업에서는 여러 가지 이유로 교과서에 실린 내용 중 일부 만이 반복적으로 실시되고 있고, 한정된 재료를 이용한 수업으로 인해 학생들의 창의적인 사고력을 향상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행 교과서를 중심으로 내용과 사용재료를 살펴보고, 서울특별시 소재 중학교를 질문지를 이용하여 수업내용과 사용 재료를 조사하였다.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는 회화영역에서 특히 편중된 재료 사용이 나타나고 있다. 소묘에서는 대부분 연필을 사용하고 있고, 채색화에서는 수채물감이 많이 사용되었다. 한국화 수업에서는 적절한 재료가 갖추어지지 않은 채, 수채용 도구나 서예용 도구로 대체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재료와 기법으로 실시할 수 있는 판화, 조소, 디자인 수업에서도 학교 시설과 시간, 학생들의 경제적 부담 등을 고려하여, 한정된 재료에 국한된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입체구성에서 비교적 여러 가지 재료를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족한 수업 시간 수로 중학생 수준에서 가능한 수업도 심도 있게 다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학생들이 자신의 작품을 평가하고 느낌을 정리할 기회도 갖지 못한다. 또한 저가의 품질이 떨어지는 재료나 대체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재료의 특성, 효과, 올바른 사용방법을 체험하지 못한다. 다양한 재료를 이용해 작품을 제작해 보는 것은 폭 넓은 경험을 제공하고, 창의력 신장을 도와준다. 매년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나 표현방식이 아닌 학생들이 체험해 보지 못하여 호기심과 창작의욕을 자극할 수 있는 양질의 재료 선택과 올바른 사용법 표현 방법상의 특징, 작품의 감상 태도 등을 지도할 수 있는 수업이 되도록 교사들의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준비가 있어야 한다. 또한 다양한 재료를 이용한 수업이 가능하도록 학교의 시설과 적정 수업 시간의 배정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art education is to cultivate artistic human beings by developing artistic judgment, formativeness, and creativity. Art presents not correct answers but various chances to develop creativity in the process of problem-solving to the students. So art education has the characteristic of emotional subject which can cultivate students' characters, artistic sense, and creativity. And it is also important character to widen the students' view of environment through their experiences with various materials. However, students cannot develop their creativity in art classes at school because only a few parts of the curriculum are selected repeatedly and taught to them with limited materials. This paper deals with the contents and the materials in school textbooks and a survey of middle school teachers in Seoul which was made to see the real classroom activities and materials. In the area of painting, the usage of materials is very limited: pencil in drawing, water color in color painting, substitutional materials in Korean painting. In the areas of print, sculpture, and design which can deal with various materials and skills, only a few materials are used on account of facilities, time, and economic reasons. We can just find various materials in the area of constructions compared with other areas. The lack of time in art class is another problem. It prevents students from taking intensive classes, and it makes students cannot have enough time to appreciate and evaluate their own work. The usage of inferior materials in low price and substitutional materials is not good. It keeps students from learning the specific features, effects, and the correct usage of each materials through experience. In conclusion, making works with various materials in art class is very important. It helps students to develop their creativity and gives a chance to experience. Selecting good materials to motivate students' interest is important. too. Therefore teachers' active and systematic preparation is needed to teach correct usages, features, and the way of appreciation. Improving school facilities and proper time allotment are also needed.

      • 어문저작물에 대한 실질적 유사성 판단에 관한 연구 : 방송대본 중심으로

        김영인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modern society, culture and various mass communications have been rapidly developed and along with this trend, people could encounter with broadcasting program through media like TV and radio. What is essentially used in a process of producing broadcasting program is television script. It is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a category of dramatic works in terms of the fact that it is naturally a literary works in a broad category while it has to have dramatic elements indispensably. In other words, television script is a means of imaging it as literary works and in a process of and as a result of imagining, detailed expression and idea of a writer are represented. Development of various mass communications and internet in the modern society brought forth cultural development and its globalization upon us and as various works were diversified and digitalized, its convenient access was enabled as well. However, various copyright infringement case such as unauthorised reproduction, distribution and typically plagiarism is increased day by day and it became a problem as a frequently occurred global dispute. For example, a controversy that a drama production company plagiarized a part or whole of animation of a certain cartoonist, other controversy that a singer plagiarized original song of other signer and besides, controversy, dispute relevant to copyright infringement of film, photo and computer program have been taken place consistently. Generally, in order to have copyright infringement status to be acknowledged, first, original works should be belonged to the plaintiff and it is required to determine whether infringed works was based on the original works and there is any substantial similarity between the two art works. When observing infringement standard, most of trial precedents specify it by applying a concept of 'on the ground of(accessability)' as a subjective requirement and 'substantial similarity'as an objective requirement. In a process of determining copyright infringement status first, idea and expression shall be discriminated based on dichotomy of idea-expression. Its reason is that under copyright act, it protects only detailed expression of the literary works. And in connection with accessability, whether infringed works was created by original works will be determined and acknowledged by accessability status to the works of the plaintiff by the defendant and noticeable similarity between the two literary works. Furthermore, if accessability should be acknowledged, substantial similarity status between the two works would be discriminated. In order to determine substantial similarity of literary works, a case that generally comprehensive similarity is acknowledged by reproducing fundamental essence of the works and other case that literary similarity between the two works is acknowledged by reproducing detailed contents shall be considered. Therefore, substantial similarity status shall be generally determined after comprehensively, non-literary observing, analyzing each expression element of the works and then observing partially, literary similar parts additionally. However, in considerable number of court precedents, copyright infringement status is differently judged depending on each case. Because at the time of determining infringement status, it is a general practice to apply dichotomy of idea-expression as a standard discriminating idea and express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each case and theory of such standard is also not consistent. And as there are several methods in determining substantial similarity and approach method is different depending on each case, it shows also inconsistent practice. In addition, in standard of copyright infringement, as a written provision is not specified in copyright act and determining standard is different depending on each country based on its ambiguous concept, there is a difficulty in solving a dispute. Therefore, in keeping pace with growing broadcasting market, consistent position of the court would be required in reinforcing copyright system and determining copyright infringement and systematic, detailed analytic research shall be performed in determining substantial similarity. 현대사회는 문화 그리고 각종 매스컴들이 급속하게 발전하였고, 그에 따라 TV와 라디오와 같은 매체를 통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접하게 되었다. 방송 프로그램이 제작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것이 방송대본이다. 방송대본은 큰 범주에서 어문저작물임에는 물론이고 극적인 요소를 필수적으로 가지고 있는 점에서 극적저작물의 범주에 속한다고 하였다. 다시 말해, 방송대본은 어문저작물로서 영상화를 하기 위한 수단인 것이고 영상화 하는 과정과 그 결과에서 저작자의 구체적 표현 및 아이디어가 나타나게 된다. 현대사회의 각종 매스컴과 인터넷의 발달은 우리에게 문화발전과 세계화를 가져왔고 각종 저작물들이 다양해지고 디지털화 되면서 접근 또한 용이해졌다. 그러나 무단복제 및 배포, 대표적으로 표절과 같은 각종 저작권 침해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분쟁이 잦아지면서 문제가 되고 있다. 예컨대, 한 만화작가의 작품을 어느 드라마 제작사가 만화의 일부 또는 전부를 도용했다는 논란, 어느 가수가 다른 노래를 표절했다는 논란 등 이 밖에도 영화나 사진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에까지 저작권의 침해와 관련한 논란 및 분쟁들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저작권 침해 여부가 인정되기 위해서는 우선 원 저작물이 원고의 저작물이어야 하고, 침해 저작물이 원 저작물에 의거하였는지, 그리고 두 저작물간의 실질적 유사성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대다수의 판례들도 그 침해 기준을 살펴볼 때 주관적 요건으로서의 ‘의거’와 객관적 요건으로서의 ‘실질적 유사성’이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그 침해 기준을 정하고 있다. 저작권 침해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우선 아이디어-표현 이분법에 따라 아이디어와 표현을 구분하여 한다. 그 이유는 저작권법은 저작물의 구체적인 그 표현만을 보호대상으로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의거성과 관련하여, 침해 저작물이 원 저작물에 의거하여 창작되었는지 여부는 피고가 원고의 작품에 접근 가능성이 있었는지와 양 저작물간의 현저한 유사성이 있다면 의거가 인정될 것이다. 나아가 의거가 인정된다면 양 저작물 간의 실질적 유사성 존재여부를 가려야 한다. 어문저작물에 대한 실질적 유사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작품 속의 근본적인 본질 또는 구조를 복제함으로써 전체로서 포괄적인 유사성이 인정되는 것과 작품 속의 특정한 행이나 절 또는 기타 세부적인 부분이 복제됨으로써 두 저작물 사이에 문언적 유사성이 인정되는 것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실질적 유사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저작물의 각 표현 요소를 기준으로 포괄적·비문언적으로 분석하여 살펴보고, 부분적·문언적으로 유사한 부분을 보조적으로 살펴본 후 이를 종합하여 실질적 유사여부를 판단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 판례들은 사안에 따라 저작권 침해 여부를 달리 판시하는 경우가 상당히 있다. 왜냐하면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 아이디어-표현 이분법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는 아이디어와 표현을 구분하는 기준이 사례별로 다르고 그 기준에 관한 이론 또한 일관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질적 유사성 판단방식에 대하여도 여러 가지 방식이 있어 사안에 따라 접근 방법을 달리하므로 이 또한 일관되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저작권 침해 기준에 있어 저작권법에 명시된 명문이 없고, 각 나라마다 판단하는 기준이 다르며 모호한 개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분쟁 해결에 있어 어려움을 갖고 있다. 따라서 우리 사회는 성장하는 방송시장에 발맞춰 방송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제도의 강화와 저작권 침해 여부 판단에 있어 법원의 일관된 입장 그리고 실질적 유사성을 판단함에 있어 체계적이고 정밀한 분석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치위생학생의 윤리성향과 자아존중감이 환자 의료정보보호 인지에 미치는 영향

        김영인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is a cross-sectional correlation study to examine correlation among ethics position, self-esteem, and perception of patient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also figure out factors influencing their perception of patient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This paper used the structuraliz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modifying and complementing the EPQ(Ethics Position Questionnaire) developed by Forsyth (1980), the self-esteem measuring tool developed by Rosenburg (1986), and also the measuring tool for perception of patient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developed and used by Lee Mi-young (2004). 500 students were selected with the stratified sampling method from universities having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in Korea, and the research was performed from September 1st till November 1st, 2013 with the self-reporting method. For data analysis, SPSS 12.0 was employed, and for the consideration on the subjects, deliberation was done by IRB (IRB No : P01-201311-SB-03). 1. About ethics posi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idealism position received 3.84 points, and relativism position got 3.54 points. And about the category of ethics position, higher points were gotten in situationists, absolutists, subjectivists, and exceptionists in order. Regarding idealism posi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the major (p=0.001), satisfaction with clinical training (p=0.031), and recognition on ethics codes (p=0.001). About relativistic disposi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hool system (p=0.027) and the school record (p=0.011). And regarding self-esteem and perception of patient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situationists received the highest points. 2. Self-esteem got 3.55 points out of 5, the perfect score.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ade (p=0.007), personality (p<0.001), family climate (p<0.001), monthly average income (p=0.004), school record (p<0.001), satisfaction with the major (p<0.001), satisfaction with clinical training (p<0.001), and recognition on ethics codes (p=0.010). 3. perception of patient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received 4.12 points out of 5, the perfect score,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ade (p=0.048) and satisfaction with the major (p=0.020). 4. Regarding self-esteem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the category of ethics position, there was a more higher level of difference in satisfisers than subjectivists or exceptionists. About perception of patient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there was the lowest level of difference in exceptionists (p<0.001). 5. About the correlation among their idealism position, self-esteem, and perception of patient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among all the variables. 6.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perception of patient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were idealism position (β=0.204, p<0.001) and self-esteem (β=0.176, p<0.001), and this model’s corrected explanatory power was 10.4%. Based on the results above, we can see that as idealism position and self-esteem become higher, perception of patient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gets higher, too.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eded to develop and vitalize proper programs that can enhance ethics consciousness, idealism position, and self-esteem in dental hygiene students with the education for their basic refinement and major refinement. 본 연구는 치위생학생의 윤리성향과 자아존중감 및 환자 의료정보보호 인지의 관계를 알아보고, 환자 의료정보보호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상관성 횡단면조사연구이다. Forsyth(1980)이 개발한 EPQ(Ethics Position Questionnaire) 측정도구와 Rosenburg(1986)가 개발한 자아존중감 및 이미영(2004)이 개발하여 사용한 환자 의료정보보호 인지 측정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만든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2013년 9월 1일부터 11월 1일까지 전국의 치위생(학)과가 개설된 대학에서 층화추출방법으로 500명을 선정하여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고려사항으로 공용생명윤리위원회에서 심의를 받았다(IRB No : P01-201311-SB-03). 1. 치위생학생의 윤리성향에서 이상주의 성향은 3.84점, 상대주의 성향은 3.54점으로 나타났고, 윤리성향 분류는 상황론자, 절대론자, 주관론자, 예외론자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치위생학생의 이상주의 성향에는 전공 만족도(P=0.001), 임상실습 만족도(P=0.031), 윤리강령 인지정도(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상대주의 성향에는 학제(P=0.027), 학업성적(P=0.01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위생학생의 자아존중감와 환자 의료정보보호 인지도는 상황론자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2. 자아존중감은 최고점수 5점만점에서 3.55점이었으며, 학년(P=0.007), 성격(P<0.001), 가정 분위기(P<0.001), 월평균소득(p=0.004), 학업성적(P<0.001), 전공 만족도(P<0.001), 임상실습 만족도(P<0.001), 윤리강령 인지정도(P=0.010)에서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다. 3. 환자 의료정보보호 인지도는 최고점수 5점 만점에서 4.12점으로 나타났으며, 학년(P=0.048), 전공만족도(P=0.020)에서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다. 4. 치위생학생의 윤리성향의 분류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상황론자가 주관론자 및 예외론자보다 높은 수준으로 차이가 있었다. 환자 의료정보보호 인지도는 예외론자가 가장 낮은 수준으로 차이가 있었다(P<0.001). 5. 이상주의 성향, 자아존중감,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인지도의 관련성에서는 변수들 간에는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환자 의료정보보호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이상주의 성향(β=0.204, P<0.001)과 자아존중감(β=0.176, P<0.001)으로 나타났으며, 이 모형의 수정된 설명력은 10.4%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이상주의 성향과 자아존중감이 높아질수록 환자 의료정보보호 인지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위생 학생의 기초 교양 및 전공소양교육에서 윤리의식수준과 이상주의 성향 및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제시된다.

      • 중도 귀국 청소년의 적응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김영인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is to understand, describe, interpret, and inquiry about how Korean Third Culture Kids(KTCK) adjust after they returned to Korea in their teenage years. In order to disclose the path of KTCK's adjustment thoroughly, narrative inquiry was used as the primary research method. Through the research participants' lived experiences, the study shows the common characteristics among the KTCK's adjustment. First of all, they all feel a sense of heterogeneity back in Korea which leads to the identity of marginality. Secondly, preparation for college is a huge factor for adjusting KTCK in Korea. Last but not least, the readjustment of supportive relationships―family, friends, and God―play a significant role. According to the intercultural approach of E. Y. Lartey, KTCK have their own contextuality, perspectives, and individuality. The circumstance, they face after returned to Korea, poses a lot of changes in family, at school, and other relationships. KTCK have distinctive perspectives which non-KTCK do not have. Though KTCK share common characteristics among themselves as the marginality, the individual also has their own unique narrative. Based on JY Lee's marginality theory, KTCK are a new marginality(in-beyond), the coexistence of In-between and In-both. KTCK do display both negative(in-between) and positive(in-both) traits of marginality. KTCK's experiences as the margin enable them to be an inclusive, open-ended, and creative nexus. 본 연구는 청소년 시기에 해외의 이질적인 문화를 겪고 돌아온 중도 귀국 청소년들이 한국에 적응하는 과정을 다각도로 살펴보고 이들의 이야기(narrative)를 입체적으로 드러내는 데 목적이 있다. 중도 귀국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들은 연구 대상의 귀국 직후 학교 생활과 적응에 주로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귀국 후 적응의 과정이 단기간에 이뤄지지 않는다는 역문화충격 이론에 기초해, 귀국 직후최대 5년까지 적응 기간을 가진 귀국 청소년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했다. 10명을 대상으로 한 예비 연구를 통해 귀국한 지 5년이 넘은 참여자들은 귀국 후 상황에 대해 상세히 기억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해외 거주 경험이 1년 이상 되고 귀국 후 5년이 지나지 않은 3 명의 중도 귀국 청소년들로 연구 대상을 한정했다. 이들의 적응과정을 보다 심층적으로 다루고자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를 연구방법으로 선택했다. 공간성, 시간성, 사회성이라는 3차원적 내러티브 공간 안에서 중도 귀국 청소년들이 재해석 하는 스스로의 적응의 과정을 살펴봤다. 적응할 때 도움이 되었던 개인 내적 자원과 관계적 자원이 무엇인지 볼 수 있었다. 주변인(marginality)으로서 중도 귀국 청소년들은 어떤 삶의 변화를 경험하는지도 알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내러티브에는 다음의 세 가지 공통된 이야기가 있었다. 먼저 중도 귀국 청소년이라는 성장 배경 때문에 느낀 일반 학생들과의 이질감이다. 이 이질감이 중도 귀국 청소년 스스로를 주변인으로 느끼게 만들었다. 둘째, 대학입시라는 상황이 세 명의 중도 귀국 청소년들의 적응 과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이들이 어려움 속에서 적응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은 지지적인 관계(가족, 친구, 하나님)가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것이다. Lartey의 상호문화성이론으로 중도 귀국 청소년들의 상황성(contextuality)을 살펴보면, 이들은 귀국 후 가족 환경의 변화, 학교 환경의 변화, 교사와의 관계에서의 변화, 교우 관계에서의 변화를 경험한다. 중도 귀국 청소년들의 관점(multiple perspectives)에서 보면 한국 생활에서 중도 귀국 청소년들은 이질감과 불편함을 느끼는 동시에 흥미롭고 긍정적이라고 생각하는 경험도 했다. JY Lee의 틀에서 보면 귀국 후 철저한 주변인의 삶을 겪는 중도 귀국 청소년들은 경계에 서서 어떤 세계에도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는 In-between의 경험을 하고, 경계에 서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세계에 동시에 속하는 In-both의 경험도 한다. 이 두 가지를 모두 경험하는 중도 귀국 청소년에게서 JY Lee가 새롭게 정의하는 In-beyond의 주변성을 발견할 수 있다. 경계에 놓인 존재로서의 경험 때문에 중도 귀국 청소년들은 더 넓은 포용력과 창조적 힘을 가진 주변인(marginality)으로 재탄생한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 귀국 청소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했다. 다각적 내러티브를 통해서 귀국 청소년들이 귀국 후 경험하는 것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탐색했다. 둘째로 귀국 청소년 스스로 평가하고 재해석한 귀국 후 자신의 삶을 들여다 볼 수 있었다. 셋째로 단순한 주변인이 아닌 In-beyond 이론상의 주변인들(marginality)로서 중도 귀국 청소년들의 목소리를 담아냈다. 마지막으로 스스로 성공적으로 재적응했다고 평가하는 세 명의 연구 참여자들의 내러티브에서 적응에 도움이 되었던 개인 내적 요소와 관계적 요소를 발견했다. 이를 분석해 앞으로 마주할 중도 귀국 청소년들에게 제공 가능한 구체적 도움의 형태를 구상해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