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년기 여성의 차문화 교육요구도 연구- 기초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김영인 성신여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茶文化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중년기 여성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요구하는 茶文化 교육의 내용, 교육프로그램의 운영방법, 그리고 茶文化 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조사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茶文化 교육기관에서 1년 이상의 교육 경험을 가진 40~50대 주부인 중년기 여성들을 임의표집 하였다. 설문지는 서울, 대전, 대구, 전주에 소재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지자체 관할 교육기관, 법인체 교육기관 등에 배부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총 330부를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茶文化 교육내용에 대한 전반적인 요구도는 5점 척도에서 평균 4.07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20개 茶文化 교육내용 항목 중 가장 높은 요구도를 보인 것은 차에 담긴 정신(4.42)과 차인의 마음가짐(4.42)에 관한 것이었다. 그 다음으로 평균 이상의 높은 요구도를 나타낸 것은 차와 예절(4.40), 차의 성분과 효능(4.34), 한국의 차(4.30), 차의 분류(4.27), 차의 역사(4.22), 차의 종류별 차 우리기(4.20), 다구(4.11), 차의 종류별 차 맛 구별하기(4.07) 등이었다. 茶文化 교육내용 전체에 대한 요구도에 있어 집단간 차이는 조사대상자의 거주지역, 교육동기, 향후 강사활동여부에 따라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서울·대구·전주에 거주하는 집단에서, 茶文化를 깊이 있게 배우고 마음의 수양을 쌓고자 하는 개인적 동기를 가진 집단에서, 그리고 향후 강사활동을 희망하는 집단에서 전반적으로 茶文化 교육내용에 대한 높은 요구도를 나타냈다. 2. 茶文化 교육프로그램 운영방법에 대한 요구도는 5점 척도에서 평균 4.10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14개 茶文化 교육프로그램 운영방법의 항목 중 가장 높은 요구도를 보인 것은 교육 담당강사는 茶文化 분야의 전문가이어야 한다(4.35)였으며, 그 다음으로 평균 이상의 높은 요구도를 나타낸 것은 茶文化 교육은 이론과 실습이 병행되어야 한다(4.30), 茶文化 교육에 관한 이론은 체계적이어야 한다(4.28), 茶文化 교육의 강의내용은 이해하기 쉬워야 한다(4.27), 교육내용은 실제 茶 생활에 유용해야 한다(4.24), 교육장소에는 다구가 충분하게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4.15), 茶文化 강의내용은 흥미로워야 한다(4.12)였다. 한편 茶文化 교육프로그램 운영방법 전체에 대한 요구도에 있어 집단간 차이는 조사대상자의 학력과 향후 강사활동여부에 따라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학력이 높은 집단에서, 그리고 향후 강사활동을 원하는 집단에서 체계적인 茶文化 교육프로그램의 운영과 교육시설이용의 용이성 그리고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방법에 대한 요구도를 높게 나타냈다. 3. 茶文化 교육 활성화방안에 대한 요구도는 5점 척도에서 평균 4.05의 점수를 나타냈다. 5개 茶文化 교육 활성화방안의 항목 중 가장 높은 요구도를 보인 것은 교육 후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어야 한다(4.14)였고, 그 다음으로는 교육수준의 단계별 체계화된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어져야 한다(4.12), 수강생 중 전문 강사를 꾸준히 양성해야 한다(4.07)로 이는 평균 이상의 점수를 나타냈다. 그밖에 茶文 化 교육의 활성화 방안으로 교육이 종료한 후 지속적인 교류의 장 마련(4.04), 교육 종료 후 이수증이나 자격증 수여(3.90)에 대한 요구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茶文化 교육 활성화방안 전체에 대한 요구도에 있어 집단간 차이는 거주지역, 학력, 교육기관의 운영주체, 향후 강사활동여부에 따라 유의미하게 나타나 서울·대구·전주 지역의 집단에서, 학력이 높은 집단에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 소속한 집단에서, 그리고 향후 강사활동을 원하는 집단에서 茶文化 교육 활성화방안에 대해 높은 요구와 관심을 보였다. 오늘날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지자체, 법인체 등이 운영의 주체가 되어 전국적으로 茶文化 교육이 확산되어 가고 있으나 중년기 여성들의 茶文化 교육에 대한 요구가 제대로 파악되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는 중년기의 삶의 안정과 정체성의 재확립에 중요한 매개가 되는 茶文化를 통하여 심신의 건강과 원만한 인간관계를 영위해나갈 수 있도록 茶文化 교육의 내용, 교육프로그램의 운영방법 그리고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중년기 여성들의 다양한 요구를 파악하고, 茶文化 교육을 담당하는 전문가들과의 상호 의견조정과 의사소통을 통한 보다 체계적인 茶文化 교육과정이 모색되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tea culture, how to manage education programs, and methods to activate education focused on which middle aged women's demand who were in the educational organ for tea culture demand. In order to analyze them, This researcher sorted out the middle aged women from 40 to 50 years old who had learned tea culture in educational organs for tea culture more than one year and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lifelong-education organs, educational organs under local self governing bodies, and corporate bodies in Seoul, Daejeon, Daegu, and Jeonju. And This researcher used the collected 330 questionnaires as analyzing datum. The results were followings. 1. The standard of satisfaction for educational contents of tea culture showed high score, average 4.07 in 5.0 score. Among 20 items for them, the mind(4.42) in tea and the people's attitudes of maind(4.07), who like and learn tea and tea ceremony. Next, what showed the high the standard of demand was manners(4.40), the elements and efficacies(4.34), Korean teas(4.30), the classification of tea(4.27), the history of tea(4.22), the boiling of teas according to theirs kinds(4.20), tea sets(4.11), the classification of taste of different teas(4.07) in good order. The demand for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tea culture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people's domiciles, motives for education, yes or no for the teaching activities. Groups who had individual motives to improve self-culture and to deeply learn tea culture, groups who lived in Seoul, Daegu, and Jeonju and groups who hoped the teaching activities in the future showed high standard of satisfaction for the educational for tea culture. 2. The standard of demand for educational programs on tea culture showed high score, 4.10 in 5.0 score. Among 14 items for the methods to manage educational programs, what indicated the highest was the demand that undertaking lecturers for the education should be specialists(4.35). And next the demand was that theories and practices on the education for tea culture should be carried out side by side(4.30), theories on tea culture education must systematic(4.28), the educational contents ought to be easy to understand(4.27), the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useful in tea-life(4.24), there should be enough tea sets in education places(4.15), and the contents for tea culture should be interesting(4.12) in regular sequence. On the other hand, what showed low the standard of demand was that the requests of trainess should be reflected in the construction of educational contents(3.85)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supplied by computers through on-line(3.83). The demand for the overall the method to manage education programs resulted in differences according to scholarly attainments of participators and yes or no for the teaching activities. That is, groups who had high scholarly attainments and wanted to work as teaching lecturers indicated the high standard of demand. 3. The standard of demand for the methods to activate education for tea culture indicated average 4.05 score in 5.0. Among 5 items for them, what showed the highest the standard of demand was that the opportunity to utilizing what they learned in our daily lives after learning tea culture education(4.14). Next, systematic education according to its level should be continuously established(4.12), specialist in trainees should be incessantly cultivated(4.07). Those were over the average score. Also, preparation for interchanging places after finishing learning(4.04), conferment of papers to confirm the completion for the education and certificates(3.90) showed high demand. Groups indicated differences in the demand on the method to activate tea culture education according to domiciles, scholarly attainments, operating subjects of educational organs, and yes or no for teaching activities. That is, the high interest and demand appeared on the method to activate tea culture education in groups in Seoul, Daegu, Jeonju, groups in high scholarly attainments, groups in lifelong-educational organizations under universities, and groups who hoped teaching lecturers in the future. Lifelong-educational organs, local self governing bodies, and corporate bodies objecting middle aged women have expanded tea culture education nowadays. The demand of middle aged women on tea culture education has not been well understood until now. Tea culture education would become an important intermediary in establishing the safe and identity of middle aged's lives because of the increase of middle aged women's amicable relationships and health of body.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various middle aged women's demands and to search systematic education courses for tea culture through communication with specialists and mediation.

      • 효소를 이용한 인삼열매추출물의 생물전환 및 항산화능 평가

        김영인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Panax ginseng C. A. Meyer has been used as medicinal plant for many years in Asia. Ginseng roots have been studied widely for many years, but ginseng berry have only recently studied. Ginseng berry had potential b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and contained minor ginsenosides. In particular, minor ginsenosides such as ginsenoside F1 are easy to digest and absorb in the body.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method of bioconversion from major ginsenosides to minor ginsenosides in ginseng berry extract. Firstly, we confirmed that naringinase hydrolysed rhamnose and glucose, resulting in transformation from ginsenoside Re to F1. And PPD type ginsenosides were transformed by hemicellulase, β-glucosidase and endo-/exo-arabinase. The transformed product, which had more ginsenoside F1,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GBE having fewer ginsenoside F1. And hemicellulase, β-glucosidase and endo-/exo-arabinanase transformed PPD type ginsenoside. Next, we tried to investigate microorganisms which produce the enzyme having the bioconversion activity. When the microbe having the enzyme with bioconversion activtiy was found and optimized culture condition, it has the possibility of being an industrially useful strain.

      • 司馬遷 經濟思想 硏究

        김영인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史記≫는 中國 最初의 文明時代인 黃帝 時代에서 前漢武帝 시기까지 2,500 餘年의 歷史를 서술한 130권의 방대한 歷史書이다. ≪史記≫는 완성 이후 2千年 동안 中國의 모든 歷史書 中에서 가장 널리 읽혔고, 그 體裁는 正史의 模範이 되었다. ≪史記≫는 紀傳體 형식으로 기술 되었다. 이 형식은 이후 中國 歷代 王朝史의 編纂에 採用되었다. 紀傳體는 帝王의 卽位 시대에 따라 記錄하는 단순한 歷史編纂 方式이 아니다. 그것은 統治者를 中心으로 여기에 屬한 臣下들의 傳記&#8228;統治制度&#8228;文物 등을 分類, 敍述하여 王朝 全體의 體制를 理解하기 쉽도록 한 기술체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歷史的 事實 뿐 아니라 歷史的 視覺의 多樣性까지 表現하고 있어서 生動感 있는 歷史를 再現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곧 ≪史記≫는 시대의 繼續的인 變化와 여러 地域 間의 相互有機的인 關係, 그리고 그 안에서 進行된 人間의 삶에 대한 全體的인 眺望을 提示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또한 역사의 因果的인 關係와 事件의 背後에서 作用하는 普遍的인 原理까지도 함께 省察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史記≫는 中國의 時空에서 展開된 다양한 人間의 다양한 活動과 생각들을 網羅한 것이라 해도 무방하다. 곧 ≪史記≫는 한편의 방대한 通史이자 文化史이며, 시대를 아우르는 綜合史인 것이다. 또한 ≪史記≫는 司馬遷 本人이 當時 士人으로서 가장 치욕스러운 宮刑을 받아 좌절과 울분 속에서 完成한 悲劇的인 삶의 經驗이 녹아있는 歷史書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文章을 보면 많은 사람들의 삶의 歷程을 冷徹하게 觀察, 追跡하여 批判하면서 敎訓을 주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司馬遷은 個人의 悲劇을 克服하여 절실하고 냉철한 歷史的 眞實 추구로 昇華시키면서 客觀的으로 歷史를 評價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史記≫의 생명력인 것이다. 本稿는 ≪史記≫에 내함 되어 있는 사마천 자신의 개인적, 사회적 成就 중에서 연구자들이 심도 있게 다룬 적 없는 經濟 分野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史記≫의 사회적 성취는 百姓들에게 直接的이고 가장 切實한 경제문제를 문학적 필력으로써 시대에 호소한 것에 있고, 또한 자신의 문학적 성취를 통해서 사상을 ≪史記≫ 속에서 전개하였다는 것에 개인적 성취가 있다. 그 중에서 본고의 주제는 경제사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있다. 內容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第1章에서는 ≪史記≫의 일반적인 硏究槪況과 硏究方向에 대하여 기술했다. 第2章에서는 司馬遷의 생평 및 ≪史記≫ 저술의 한 축이 되는 遭禍와 發憤에 대해 기술했다. 第3章에서는 간략하게 ≪史記≫ 저술의 역사적 배경과 구성 그리고 찬술종지 및 진보사상과 ≪史記≫의 經濟思想의 근간인 3가지 書&#8228;傳을 중심으로 敍述方法과 內容, 目的을 고찰했다. 第4章은 사마천 경제사상의 연원에 대해 필자의 견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선진제가의 사상을 중심으로 義理幷重思想&#8228;本末幷重思想&#8228;經濟人才思想의 연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재 중국의 여러 학자들의 주장도 함께 살펴보았다. 第5章은 本稿의 硏究 核心 主題인 ≪史記≫의 經濟方面에 관한 考察이다. 연구범위는 ≪史記≫에서 經濟史傳이라 불리는 <貨殖列傳>&#8228;<平準書>&#8228;<河渠書>와 <本紀>&#8228;<世家>&#8228;<表&#8231;序>&#8228;<列傳> 등의 記事나 人物을 中心으로 고찰했다. 第1節에서는 모든 일에는 人間이 中心이라는 司馬遷의 經濟人才思想을 고찰했다. 여기서는 經世致用의 實行者인 人才分野를 살펴보고자했다. 第2節에서는 經世致用의 核心인 治國富民思想을 고찰했다. 第3節에서는 經世致用의 實際 모형이라 할 수 있는 本業(農業)과 末業(商業)을 同時에 發展시켜야 한다는 本末幷重思想을 고찰했다. 第4節에서는 고대의 선진제가도 자주 주장한 義利幷重思想을 고찰했다. 이는 物質과 精神의 關係라고 볼 수 있는 義와 利의 相關關係이다. 여기에서는 ≪史記≫ 以前의 여러 思想家들의 思想도 함께 比較고찰했다. 第5節에서는 人間과 땅의 結合에서, 땅을 中心으로 한 經濟地理觀을 고찰했다. 그리고 자연의 개조와 이용부분과 교역중심이 되는 물산과 교통 부분도 함께 고찰했다. 第6節에서는 <平準書>를 中心으로 한 均輸와 平準問題를 당시의 황제인 무제와 정책의 實行者인 官吏들의 모습과 함께 고찰했다. 第6章에서는 司馬遷 경제사상의 意義에 대해 고찰했는데 이장에서는 현재 중국의 여러 학자들이 주장하는 사마천 경제사상의 의의와 그 한계에 대하여 아울러 살펴보았다. 第7章에서는 司馬遷 경제사상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司馬遷과 동시대의 인물인 桑弘羊과 ≪漢書≫ 저자인 班固 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第8章 結論에서는 본론에서 論議된 것들을 整理하고 列傳에 나타난 物質과 精神의 關係에 대한 筆者의 견해를 피력하고자했다.

      • 수학과 음악 융합인재교육으로 변화된 학교 밖 청소년의 수학학습 특성 분석

        김영인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4차 산업혁명 및 지능정보사회로의 급격한 변화로 정보과학기술의 역량을 함양한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사회적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20년 교육부는 융합교육 2030 종합계획을 발표하였고,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융합선택 과목 융합선택 과목은 교과 내·교과 간 주제 융합 과목, 실생활 체험 및 응용을 위한 과목으로 제시된다. 이 추가되는 방안이 논의 중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다양한 유형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융합인재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그러나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융합인재교육의 선행 연구는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교육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미래사회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학교 밖 청소년에게도 다양한 미래교육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요구에 따른 융합인재교육으로 변화된 학교 밖 청소년의 수학학습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수학과 음악의 융합인재교육에 초점을 두고 교수·학습 모형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수학과 음악 융합인재교육의 교수·학습 모형은 어떻게 구현되는가? 연구문제 2. 수학과 음악 융합인재교육 교수·학습 모형에 따른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어떻게 개발되는가? 연구문제 3. 수학과 음악 융합인재교육으로 변화된 학교 밖 청소년의 수학학습에 대한 정의적 영역 및 문제풀이 전략은 무엇인가? 첫 번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준영(2018)의 STEAM 수업설계 모형(AS-STEAM)을 참고하여 학교 밖 청소년 대상의 수학과 음악 융합인재교육 교수·학습 모형으로 재구성하였다. 분석, 주제 선정, 수업 유형 선정, 교육공학 및 교구 준비, 수업 자료 준비, 수업 적용, 동기 유발을 거친 총 7단계의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앞서 개발한 교수·학습 모형을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 대상 수학과 음악 융합인재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개발 원칙 및 방향은 자기주도적으로 발문에 답하여 창의·융합 탐구를 진행하고, 동료들과 협력하여 의견을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제목은 「Musimathics: 음악으로 만나는 수학」이며, 총 3차시로 이루어졌다. 1차시는 수학 요소로 내·외분점, 음악 요소로 피타고라스 음계, 순정률, 평균율을 선택하였다. 1차시의 제목은 ‘수학으로 만드는 악기 세상: 순정률로 만드는 플룻 악기’이며, 팬플룻 제작을 탐구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2차시는 수학 요소로 함수적 성질, 음악 요소로 조옮김을 선택하였다. 2차시의 제목은 ‘키 낮춰서 노래 부르는 데 수학이 필요해?: 조옮김의 수학적 계산’이며, 주요 탐구 활동은 Geogebra를 활용한 조옮김 악보 그리기로 구성하였다. 3차시의 제목은 ‘우리가 연주하는 수학적 대화’이며, 1차시에 만들었던 팬플룻 악기로 2차시의 편곡 음악을 연주하는 활동, 실생활에 활용되는 수학에 대해 상호 의견을 나누며 계속적인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세 번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Musimathics: 음악으로 만나는 수학」프로그램을 대전광역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의 고등학교 검정고시 수학 학습반 학생 5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에서 수집된 녹화 영상 및 면담 전사자료, 사전·사후 검사지, 자기평가지, 수행 과제물 등을 기반으로 정의적 영역 및 문제풀이 전략 변화에 대해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정의적 영역 변화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과 음악 융합인재교육의 활동 중심 수업은 수학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켰다. 둘째, 수학과 음악 융합인재교육의 기회 제공은 수학에 대한 가치 및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었다. 셋째, 수학과 음악 융합인재교육의 자율적인 의사소통 중심 학습 환경은 수학에 대한 자신감과 학습의욕을 향상시켰다. 문제풀이 전략 변화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과 음악의 융합인재교육을 통해 내·외분점에 대한 개념이해를 형성하고, 주어진 문제를 수식으로 표현하여 풀이하였다. 둘째, 수학과 음악 융합인재교육을 통해 함수적 대응 관계를 이해하고, 주어진 문제를 함수 기호와 함께 서술하여 풀이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in mathematical learning through applying STEAM education according to social needs for out-of-school youth.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nd program for mathematics and music STEAM education, and we implemented and analyzed the changes of affective area and problem-solving strategies. The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is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STEAM education with mathematics and music for out-of-school youth implemented? 2. How is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developed according to the model of STEAM education with mathematics and music? 3. What are the affective area and problem-solving strategies for mathematical learning that have changed STEAM education with mathematics and music for out-of-school youth? This study is developed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math and music STEAM education for out-of-school youth by reorganizing an AS-STEAM mode.. It consists of a total of seven stages: Analyze, Select a theme, Select a class type, Ready to educational technology and materials, Establish a plan, Apply, and Motivate. Based on the prior to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for math and music STEAM education was developed. The developmental principles and directions of the program were set up to self-directed answer questions to conduct creative and convergence capabilities, and to freely share opinions in cooperation with colleagues. The titl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developed is “Musimathics: Mathematics with Music”, which consists of a total of three lessons. The first lesson is “Math-making Musical Instrument World: Pan Flute Made with Just Intonation”, which combines internally and externally dividing points with Pythagorean scales, just intonation, and temperament; the main activity consisted of pan flute making. In the second lesson, with a combination of functional properties and transposition “Do you need mathematics to sing by lowering the key?: Mathematical Calculation of Transposition.” The main activity consisted of transposition score drawing using computer program GeoGebra. The third lesson is “Mathematical Dialogue We Make”, and it consisted of activities that play music previously arranged with pan flute instruments and motivate continuous learning about mathematics used in real life. The “Musimathics: Mathematics with Music” program applied an experiment on five students in the math class of the high school qualification examination at the out-of-school youth support center in Daejeon.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affective area and problem-solving strategies based on recorded videos, interview transcription, pre-post test results, self-evaluation results, and performance tasks. The analysis results of characteristic in affective area are as follows: first, the activity-oriented class of mathematics and music STEAM education aroused interest in mathematics. Seco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mathematics and music STEAM education instilled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value of mathematics and STEAM education. Third, the autonomous communication-oriented learning environment of mathematics and music STEAM education improved confidence and motivation to learn in mathematic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haracteristic in problem-solving strateg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STEAM education with mathematics and music, conceptual understanding of internally and externally dividing points was formed, and the given problem was solved with formula expression. Second, functional correspondence relationship was understood, and the given problem was solved with symbols associated with the function. This study not only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 affective area and problem-solving strategy by conducting STEAM education linked to the qualification examination, but also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math learning forward for out-of-school youth.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nd results, various STEAM education programs for out-of-school youth should be developed and expanded to foster future competencies and provide new changes for out-of-school youth. Second, it can be used for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convergence elective subjects in the reformed curriculum by referring to the mathematics and music convergence STEAM program of this study. As the subjects and fields of STEAM education are diversified and systematized, students in need of receiv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will be reduced, and there will be a world where the name of out-of-school youth and alternative education will not be necessary. Therefore, it would expect that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created by interest in education of out-of-school youth will be used as an innovative idea in school education to achieve a virtuous cycle.

      • 동해안 별신굿의 전승집단에 관한 연구

        김영인 안동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nheritance groups of 'Donghaean Byeolsingut' can be divided into groups leading the inheritance such as the performance group, management group and acceptance group and groups assisting the inheritance such as government agencies, the residents of neighboring villages, influential people in the village, researchers, and media. All of them have different goals and features. The inheritance groups of Byeolsingut are composed of groups with different features and goals. Thus,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Byeolsingut, a study should involve all the inheritance groups.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features of each of the inheritance group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groups, and the effects of such relationships on the inheritance of Byeolsingut. Based on this, the study tried to Of groups leading the inheritance of 'Donghaean Byeolsingut', the performance group refers to the group whose members succeed shaman professions. The management group that represents the village and its economic power manage Byeolsingut. Before the right to manage common property was handed over to the fishing village guild, Nobangye worked as the management group. Now, the fishing village guild plays the role of the management group. Village residents who belong to the acceptance group accept the goal of Byeolsingut and get absorbed and feel interested in the Gut, assisting the Gut to be performed appropriately. They also play the role of the performance group by participating in the performance as characters. Groups assisting the inheritance include government agencies, the residents of neighboring villages, influential people in the village, media that have more influence on Byeolsingut performance than inheritance, and researchers. Byeolsingut inheritance groups are interrelat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anagement group acquires income necessary to make a living and satisfies the desire of the performance group by signing a contract with the performance group and paying the costs for the performance. The performance group and the acceptance group establish different relationships. The performance group satisfies the acceptance group's desire to hold religious rites and festivals. The acceptance group enables the performance group to maintain their livelihoods by demanding Byeolsingut to satisfy their desire. The management group fulfills what the acceptance group wants the performance group to carry out and redistributes common property through Byeolsingut. The management group secures one's position in the village through the acceptance group's evaluation. The acceptance group accomplishes its goals more faithfully through the management group. Groups assisting the inheritance establish relationships and interact with the acceptance group and the management group, but the relationships are not strong enough to sustain their willingness to inherit Byeolsingut. Government agencies, media, researchers and the residents of neighboring villages exert influence on Byeolsingut through interactions based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performance group, the outward group leading the inheritance. In the meantime, influential people in the village exert effects on Byeolsingut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he management group. There have been various reasons for the changes of the inheritance groups. As Byeolsingut has become designated as cultural asset, a method to inherit the Gut has become formalized. In addition, Nobangye was gradually weakened and the fishing village guild began to exercise more influence as the management group. In the meantime, due to the aging audience, beliefs in the Gut are getting weaker. Moreover, the designation of Byeolsingut as cultural asset is creating the inversion phenomena of knowledge on the Gut.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proved the inheritance groups of 'Donghaean Byeolsingut' consist of various small groups with its own goals and that the Gut has been passed down through the groups' interactions to accomplish their goals. In addition, the study also discovered reasons for the changes of the inheritance groups. However, the study is confined to Yeongdeok district, though Byeolsingut is being performed along Donghaean (Korea's east coast), ranging from Gyeongsangnam-do to Kangwon-do. Therefore, it has fail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features and relationships of the inheritance groups, according to cultural and social conditions of different district. It is suggested that future studies access the entire area of Donghaean (Korea's east coast)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inheritance groups of Byeolsingut according to geographical, cultural and social differences.

      • 상이한 교수매체의 혼합 활용이 초등학교 과학과 지식 습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영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에서는 상이한 교수매체의 혼합활용 여부와 혼합유형에 따른 집단 간의 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효율적인 교수매체의 선택과 활용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인 교구만을 활용한 수업 집단, 일반교구와 VTR자료를 활용한 수업 집단, 일반적인 교구와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집단으로 나누어서 교수매체의 혼합활용 여부와 혼합유형을 독립변인으로, 과학과 학업성취도와 과학적 태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1. 일반적인 교구만을 활용한 집단과 상이한 매체를 혼합하여 활용한 집 단 간에는 과학적 지식 습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가-2. 일반적인 교구만을 활용한 집단과 상이한 매체를 혼합하여 활용한 집 단 간에는 과학적 태도 형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나-1. 상이한 교수매체의 혼합활용 유형에 따라 과학적 지식 습득에 유의미 한 차이가 있는가? 나-2. 상이한 교수매체의 혼합활용 유형에 따라 과학적 태도 형성에 유의미 한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탐색해 보기 위하여 학업성취도 사전검사와 과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집단임이 확인된 인천광역시 소재의 S초등학교 6학년 3개반 학생 96명을 대상으로 상이한 교수매체를 혼합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한 실험 수업을 모두 마친 후 학업성취도 사후검사와 과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의 실험결과 분석은 t-검증 및 일원변량분석 방법을 활용하였고, 자료 처리를 위한 도구로 SPSS 12.0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일반적인 교구를 활용한 집단과 일반교구와 비디오 자료, 일반교구와 멀티미디어 자료를 혼합 활용한 집단 간의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F=3.056, p>.05). 둘째, 일반적인 교구를 활용한 집단과 일반교구와 비디오 자료, 일반교구와 멀티미디어 자료를 혼합 활용한 집단 간의 과학적 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F=1.988, p>.05). 셋째, 일반교구와 비디오 자료를 혼합 활용한 집단과 일반교구와 멀티미디어 자료를 혼합 활용한 집단 간의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595, p>.554). 넷째, 일반교구와 비디오 자료를 혼합 활용한 집단과 일반교구와 멀티미디어 자료를 혼합 활용한 집단 간의 과학적 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217, p>.829).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의하면 교수매체의 혼합활용 여부가 과학과 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상이한 교수매체의 혼합유형이 과학과 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과학과의 생물 단원에서 벗어나 화학, 물리, 지구과학 단원 및 다른 교과로의 범위 확대와 학생들의 특성 및 수준을 고려한 교수매체의 활용이 학습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며, 과학적 태도와 같은 정의적 영역의 연구는 장기간의 실험기간을 바탕으로 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is aimed at finding out an efficient choice of teaching medium and its application plan by looking into whether there exists an mixed application of different teaching media or not, and whether there exists a difference in learning accomplishment subsequent to a mixed pattern of teaching and scientific attitude between group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set up whether to mix teaching media and a mixed pattern of teaching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science and learning accomplishment as a subordinate variable by dividing teaching groups into the one using general teaching tools only, the one using general teaching tools and VTR-based materials, and the one using general teaching tools and mult-media-based materials. The research issues which were substantially set up in relation to the above-mentioned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A-1.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quisition of scientific knowledge between the group using only general teaching tools and the other group using teaching tools mixed with different teaching media? A-2.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ormation of scientific attitude between the group using only general teaching tools and the other group using teaching tools mixed with different teaching media? B-1.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quisition of scientific knowledge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he mixed application of different teaching media? B-2.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ormation of scientific attitude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he mixed application of different teaching media?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conducted a lesson with the application of the teaching method mixed with different teaching media for 96 schoolchildren belonging to 3 classes of the sixth grader at S elementary school located at Incheon metropolitan city, which was confirmed to be a homogeneous group from the pre-examination of learning accomplishment and scientific attitude. After completing experiment lesson for this research, this research conducted a post-examination of their learning accomplishment and scientific attitude. For the analysis of the experiement result in this research, one-way ANOVA was applied while using SPSS 12.0 as a tool for data processing.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the process of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came o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accomplishment between the group using general teaching tool and the one using general teaching tools together with video-based materials, and the one using general teaching tools along with multi-media(F=3.056, p>.05). Second, there didn't appear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ientific attitude between the group using general teaching tools and the one using general teaching tools and video-based materials, and the one using general teaching tools mixed with multi-media-based materials(F=1.099, p>.05). Third, there didn't appear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accomplishment between the group using general teaching tool and video-based materials and the one using general teaching tool and multi-media-based materials(t=.595, p>.554). Fourth, there didn't appear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ientific attitude between the group using general teaching tool mixed with video-based materials and the one using general teaching tools mixed with multi-media-based materials(t=.217, p>.829). According to such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whether to mix other teaching medium with general teaching tools doesn't have any specific effect on science, learning accomplishment and scientific attitude. Likewise, it was revealed that the mixed pattern of different teaching media doesn't have a specific effect on science, learning accomplishment and scientific attitude. On the basis of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hat the later research should expand its research scope to the unit of chemistry, physics, and earth science as well as other subjects instead of limiting its scope to biology unit of science subject; in addition, there needs to be a verification process as to what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teaching media,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characteristic and level, on their learning accomplishment, and the research on definitive sector, such as scientific attitude, needs to go under verification centering on its effectiveness on the basis of a long-term experiment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