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골프장 POND(담수지)의 수처리에 관한 연구

        김춘봉 경원대학교 환경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논문은 친환경 골프장의 구성요건 중에서 가장 첨예하게 대두되는 POND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물확보와 보존 및 수질정화에 대한 방안을 종합적으로 살폈다. 물확보와 보존 및 수질오염 및 정화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골프장에 적용되고 있는 물처리 기법을 조사∙분석함으로서 친환경 골프장 조성시 필요한 골프장 pond의 전반에 관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였다. 먼저 친환경 골프장의 개념을 정리하고 조성방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POND가 골프장의 가장 중요한 친환경 요소임을 확인하고 POND의 종류와 기능을 밝혔다. 수질오염의 원인은 POND의 기능이 폭우시 많은 우수량을 흡수하므로 조절기능도 하지만 골프코스에 사용되는 제초제, 살충제, 살균제 등 각종 잔류 농약을 우기시 연못으로 모이게 하여 용해후 방류하거나 재활용 하는 목적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재활용을 위해서는 고도의 수질정화가 요구되며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공법의 적용은 골프장의 여건 및 목적에 매우 다양하다. 친환경적인 물확보 및 보존방안으로는 물순환 시스템 분석을 통한 환경친화적 골프장 조성기법의 정립, 수질정화 공법 및 적용사례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수처리 방안은 물순환시스템의 도입, 습지연못의 도입 및 환경공학적 수처리 공법으로서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공법이 있는데, 수처리의 도입 및 생물학적 공법도입이 바람직하다.

      • 도시하천 재생을 위한 계획과정 및 실행방안 연구 : 안양시 수암천을 대상으로

        김영현 경원대학교 환경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하천 주변의 토지이용 밀도가 높은 도시하천의 경우, 홍수 소통의 치수목적으로 저수로 및 고수부지의 정비, 하도의 선형정비, 하천제방의 축조 등으로 하천 환경이 개변되었다. 특히 저수로가 직강화되면서 자연하천의 곡선형은 직선형으로 바뀌었고, 저수로 호안부는 콘크리트화 되었다. 저수로 호안부는 생태적 생산성과 생물종 다양성이 높은 곳으로 자연하천 생태계에 있어서는 추이대(ecotone)에 해당된다. 추이대의 콘크리트화는 일차적으로 추이대에서 서식하는 동식물의 발생을 저해하고 이차적으로 하천생태계 전반에 걸쳐 지대한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최근 들어 하천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생태적으로 교란된 하천 생태계를 재생, 복원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천생태계의 재생, 복원은 하천의 치수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하천 생태계를 자연에 가깝게 복원하여 생태계의 다양성을 높이도록 정비하는 것을 말한다. 하천의 생태적 기능을 재생시키려면 하천생태계의 단계적 교란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복구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하천생태계의 교란이 하천 지형의 교란에서 비롯되었듯이 하천지형 형성과정의 이해를 통한 교란된 지형기반의 복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자연하천에 가까운 하천지형의 복구가 이루어지면 후속적으로 생태적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하천생태계가 순차적으로 재생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도시화 과정으로 인한 교란된 도시하천환경을 생태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계획 및 실행방안 작성을 목적으로 수행되었고 연구대상하천으로는 안양천 유역에 포함되고 한강의 제 2차 지류이며, 전형적인 도시하천의 특성을 지닌 수암천 수계로 하였다. 연구과정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의 초기단계에 이론적고찰을 통해 하천생태계의 이해와 도시하천의 이해를 바탕으로 도시하천의 생태계 교란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국내외 하천복원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외 선례연구 분석을 진행하였다. 수암천 수계의 하천수변환경조사(River Corridor Survey)를 시행하여 수암천의 수리적, 생태적, 공간적, 경관적 특성을 분석하고, 그 분석을 기초로하여 주요계획전략을 제시하고 친환경적 계획과 생태적 재생을 유도할 수 있는 실행방안이 작성되었다. 주요 계획전략으로는 첫째, 미래상 및 기본방향의 설정으로 하천계획의 목적을 달성하고 실행사업의 진행을 촉진시킨다. 둘째, 하천관리지구를 구분한다. 수암천의 하천특성 및 토지이용을 고려 하여 생태보전지구, 자연경관지구, 근린친수지구, 도심친수지구로 구분하였다. 셋째, 하천공간구상을 통해 하천생태계 회복 및 하천공간 이용면적을 확보하였다. 넷째, 종․횡단 연속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자연형하천정비 실행 공법을 적용하였다. 친환경적계획으로 하천관리 지구구분을 통한 하천공간구조 계획을 수립하여 하천 연변 공원과 공간적 연계성을 강화하였고, 하천생태계 재생계획을 통해 수암천 생태계의 고유성, 역동성, 다양성을 복원하고 하천 연속성을 강화하였다. 그리고 상류구간을 제외하고는 거의 전구간이 건천화 되어있는 수암천의 유지유량계획을 수립 생태기능의 회복과 함께 하천경관의 질을 향상시킨다. 하천 공간계획은 Greenway를 활용 하천 공간 주변과의 연계성을 통해 일상의 활동공간이 되도록 하였다. 주요실행방안으로는 종․횡단연속성 확보를 위한 실행공법을 적용한다. 종단 연속성 확보를 위한 실행공법으로는 하도선형조정, 하도내공법인 Step & Pool, Pool & Riffle, 그리고 저수호안공법을 실행한다. 횡단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완경사제방을 조성하여 삼덕공원과 수암천을 공간적으로 연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암천 뿐만 아니라 다른 도시하천의 친환경적 계획 및 하천과 연계된 공원화 사업과 연계하여 생태적 기능을 회복하고 자정능력을 향상시키며, 도심과 자연을 연결할 수 있는 주요 생태통로 및 친수공간을 조성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주요어 : River Corridor Survey, Step & Pool, Pool & Riffle, 완경사제방

      •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의 지정기준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의왕시 내손동 일원 제1종 일반주거지역 중심으로

        추문석 경원대학교 환경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도시는 다양한 주거형태가 제공되어야 건강한 주거환경이 조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그중 단독주택지는 효과적으로 관리된다면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주거지의 역할이 가능하다. 하지만 현재 주거환경개선사업시 단독주택 주거지(제1종일반주거지역) 주거환경정비사업의 경우에도 그 지정기준이 동일하게 적용됨으로써 단독주택 주거지가 없어지고 있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단독주택지를 개선하고 보전하기 위한 지원방안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해 공동주택건설방식에 의하여 공동주택지로 전환되는 단독주택지의 무분별한 훼손이 진행되고 있어 개발예정구역 지정 단계에서부터 지정조건의 강화를 통해 무분별한 공동주택지 개발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정비사업 중 제1종일반주거지지역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의왕시 내손정비예정구역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현행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구역 지정기준을 알아보고 경기도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조례에 의한 정비구역지정기준에 맞추어 내손동 일원 제1종일반주거지역의 4개 구역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정비구역지정 조건 중 1개의 조건만 충족하더라도 정비구역지정 대상이 되는 현행 지정기준으로 인하여 주거환경이나 기반시설부문에서는 양호한 내손 정비예정구역이 노후불량률 조건에 맞아 사업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제2종일반주거지역으로 1단계 종상향하여 공동주택 위주의 개발 사업을 추진하게 되어 단독주택 주거지의 무분별한 훼손이 예상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업추진의 용이성 및 사업성 확보 위주의 공동주택건설방식으로 인한 원주민의 재정착 감소, 주거지의 고층ㆍ고밀화, 부동산 투기와 맞물린 지가 상승 등의 많은 문제점과 획일적인 아파트 중심의 재개발ㆍ재건축 방식의 한계를 인식하고,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서 정한 목적(도시기능의 회복이 필요하거나 주거환경이 불량한 지역을 계획적으로 정비하고 노후불량건축물을 효율적으로 개량하기 위함)에 맞게 제1종일반주거지역 내의 비교적 기반시설이 양호한 단독 주택지를 보전하기 위해 현행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서 정하는 정비구역 지정(주거환경개선사업 지정 중심) 기준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The City with diverse type of the residence could be regarded as healthy and environmentally-sound residence. If the detached housing district is managed effectively, it is possible to play a eco-friendly and sustainable role. However, while perform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the same designation criteria as a Apartment Housing District Development was applied to the Detached Housing District Development (1st class General Residential Area). It resulted in reducing the detached housing district, what’s worse, the measures for improving and preserving the detached housing district is still under the insufficient situation. As a result, indiscriminate development for the detached housing district by the apartment-oriented housing development resulted in converting the detached housing district to apartment housing district. Therefore it is needed to deter from the indiscriminate apartment-oriented housing development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the designation criteria from the initial phase of select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District. Based on the case study of Naeson-dong Housing Improvement District which aimed at developing the 1st class General Residential Area among currently on-progressing Improvement Projects, This study researched the current designation criteria for the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District and the result derived from the simulation on 4 district in the Naeson-dong 1st class General Residential Area, according to the designation criteria under the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Act of Gyeonggi-do. Naeson-dong district was approved and designated as a General Residential Environment District in accordance with the ratio of deteriorated building, despite having good environmental condition in the aspect of residence and infra-structure. By the current district designation criteria,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District could be selected by satisfying only one condition of the designation criteria of the Improvement District. Consequently, 1st class General Residential Area was upgraded to the 2nd class General Residential Area and Apartment-oriented Improvement was implemented, It caused indiscriminate development on the detached housing district. As a consequence, this study aim to realize the problem such as migration of the native, high-rise & high-density development and land price rise connected with speculation in real estate and the limitation of the apartment-oriented development which is focused on the easiness of project development and secureness of business value. The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Act was enacted for the improvement of district with poor residential environment, efficient development for deteriorated building and the recovery of urban function. This study would like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designation criteria implemented by the current The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Act and suggest the suitable method to preserve the detached housing district with comparably good condition in 1st class General Residential Area. Keyword :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District,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Act, 1st class General Residential Area, Detached Housing District

      • 폐기물 매립지를 활용한 골프장 조성계획 : 강릉시 하시동리 풍호를 대상으로

        한승익 경원대학교 환경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폐기물 매립지를 이용하여 경관을 향상시키고 토지의 효율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골프장 계획을 제안하였다. 매립지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여 대상지에 적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매립지 골프장은 혐오스런 매립지 환경을 변화시킴으로써 환경훼손이 아닌 환경개선이라는 순기능적 성격을 갖는다. 둘째, 매립지 골프장은 지반침하로 인한 불안적 요소를 넓은 잔디밭 및 녹지로 조성함으로써 지형안정에 적합한 환경복원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로써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의 필요성을 고려할 때 폐기물 매립지의 골프장 건설은 앞으로 중요한 과제이며 외국의 시공사례를 본보기로 하여 보다 다각적인 연구와 기법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소형 공동주택용 환기시스템의 현장 적용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신동호 경원대학교 환경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건물의 대형화, 고층화, 복잡화, 고기밀화의 진행과 생활양식의 변화로 실내 거주 시간이 80%에 이르게 됨에 따라 실내 공기환경의 오염에 의한 폐해는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아토피 피부병, 새건물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과 같은 환경성 질병의 피해사례 증가와 매스컴에 의한 많은 보도로 인하여 국민들의 실내공기환경에 대한 인식 크게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환경부) 개정 과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국토해양부) 등을 재정하면서 실내 공기 환경 악화에 대응하고 있다.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1조의 “100세대 이상의 신축공동주택에 대한 자연환기설비혹은 기계환기설비의 설치 의무화”는 실내 공기질 제어에 있어서 가장 큰 관심과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국민들의 깨끗한 실내 공기환경에 대한 열망과 정책적 움직임에 따라 환기관련 업체들은 활발히 다양한 주택적용을 위한 환기시스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면적이 작은 소형 공동주택에 적용을 위한 환기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형 공동주택에 적용되고 있는 환기시스템 3종을 선정하여 환기 및 에너지 성능 평가를 통하여, 각 시스템별 현장 적용성을 검토하였으며, 얻은 결론은 아래와 같다. 1) 각 환기시스템들의 급·배기구의 위치 및 개수 변화에 따른 환기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 CFD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각 설정상황에 따른 해석 결과 환기 성능의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는 실체적이 작은 소형 공동주택의 경우 도입된 외기와 실내공기의 혼합이 빠르게 이루어지므로 급·배기구의 위치와 개수는 환기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2) 체적 117㎥의 소형 아파트에 각 환기시스템을 시공하여 환기 성능을 평가한 결과 덕트형은 환기효율 90%로서 측정 환기시스템 중 가장 좋은 환기성능을 나타냈다. 창문형과 벽관통형은 각각 환기횟수 시간당 0.59회, 0.57회로서 약 67%의 환기효율을 보여 환기 성능이 법적 기준치인 시간 당 0.7회를 만족하지 못하였다. 창문형과 벽관통형은 경제성 및 시공성에 장점이 있지만, 수평방향으로 급·배기가 이루어져 급기가 충분히 확산되지 못하여 환기성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이 개선된다면 소형 공동주택에 적합한 환기시스템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3) 전열교환에 의한 외기부하 제거율은 덕트형 약 51%, 창문형 58%, 벽관통형 44%로 측정되었으며, 전열교환형 환기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약 19000 ~ 25000원의 도시가스 요금이 절감되었다. 난방 시 소비전력량과 난방에 의한 가스소비량을 합한 에너지 소비량이 가장 작은 것은 창문형 이었다. 이는 다른 환기시스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전열교환효율에 기인한 것이다.

      • 지방도시의 도심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아산시 온양동을 중심으로

        김한직 경원대학교 산업환경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47

        우리나라는 1960년을 시작으로 하여 급속한 도시화·산업화를 겪어왔다. 그로 인하여 대도시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중소도시는 무분별한 도시 확장과 함께 도심 기능이 외곽으로 분산되고, 상주인구 감소, 산업활동 위축 등 도심쇠퇴현상이 나타났다. 도심쇠퇴는 도심만이 가지고 있는 특성의 소멸, 지역의 물리적 쇠퇴의 지속, 생활환경 악화에 따른 지역인구 기반의 감소, 경쟁력의 약화에 따른 경제중심지로서의 위상의 약화 등의 도시문제를 파생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에 관한 대책은 부분적이거나 단편적인 처방에 그치고 있다. 1990년부터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의 관점에서 도심을 활성화함으로써 도시의 부흥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적 전환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도시성장관리의 측면에서 도심지역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기법들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으나 일회성으로 끝나고 있다. 따라서 과거의 급속한 도시화로 인한 고성장과 효율지향적인 외곽신시가지 개발위주의 도시정책에서 벗어나 도시의 모든 지역이 활력을 가질 수 있도록 도시정책을 전환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하에 본 연구는 중소도시에서 진행되고 있는 도심쇠퇴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도시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범위와 연구방법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첫째, 도심의 쇠퇴와 도심재생에 관한 이론적 고찰에서는 도시지역의 개념과 기능을 정의하여 도심재생을 위한 접근방법을 살펴보고 외국의 관련 사례를 검토하여 시사점을 도출한다. 둘째, 도심쇠퇴의 양상과 구체적 원인을 분석한다. 셋째, 도심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기본방향과 전략을 도출하고, 구체적인 도심활성화를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으로 아산시 온양동 일대를 선정하였다. 온양동 일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아산시는 KTX 및 일반전철의 2008년말 개통과 더불어 탕정·둔포지역에는 대규모 산업단지조성, 협력업체의 공장건설, 아산신도시건설이 진행되고 있으며, 배방지역에는 대규모 아파트단지 조성 등 시외곽의 활발한 도시건설이 진행되고 있고, 내부에서는 정비사업을 통해 주거환경 및 재개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온양동은 아산시의 오랜 역사를 보유하고 중심성을 지닌 도심권에도 불구하고 상업지역기능을 대응하는 기반시설 미비로 인하여 생활, 문화, 중심상업기능 저하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도심 상권의 이동과 인구유출현상도 보이고 있다. 온양동 일대는 장래 주변지역과의 성장을 감안하여 원도심으로서의 기능재생이 필요하다.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고찰과 대상지역에 대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 분석에 있어서는 기존의 통계자료와 대상지역을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도심쇠퇴에 대한 인식과 도심의 여건을 분석하였고, 조사내용은 도심의 위상, 주민형태, 발전방향, 도심지역의 기능성과 쾌적성 등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온양동이 쇠퇴하는 원인은 외곽지역의 개발에 따라 시가지가 확산되었고 이에 따라 도심의 중심성이 약화되었다. 둘째, 도심에서는 대부분의 필지가 소규모로 분할되어 있어 기반시설이 적절한 시기에 정비하지 못하고 노후 불량한 상태로 방치되었다. 그리고 외곽지역 택지개발 지구에 근린생활시설을 비롯하여 상업시설이 입지하고 외곽간선도로가 정비됨에 따라 중대형 할인점이 입지함으로써 도심의 중심기능이 쇠퇴하게 되었다. 또한 노후한 상권환경과 지역성을 살리지 못한 문화·관광시설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관광객이 감소하고 있어 도심쇠퇴를 촉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 기능의 활성화를 위해 지역성을 살린 문화·관광시설 구축, 정주환경의 개선, 상업기능의 활성화를 제시하였고, 쾌적성 증진을 위해 물리적 환경의 정비, 쾌적한 도심환경 정비, 공영주차장 및 주차안내시스템의 확보 등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도심쇠퇴의 개선을 위해서는 공간 구조차원에서 도심과 외곽기능간의 적절하고도 모순되지 않는 분담과 각각의 역할이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도심활성화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도시전체상황을 충분히 반영하는 도시활성화 종합계획 등의 계획적인 수단이 갖추어져야 하고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여 실질적인 도심활성화의 의사결정권을 갖는 조직이 설립되어 사업의 특성에 따라 조화 있게 시행·관리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도심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이 용이하기 위해서는 기존 법률과 보완적인 관계를 갖는 도심활성화지원법의 제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도심은 환경변화에 부합하는 기능을 수용하여 활성화하는 한편, 개성 있고 쾌적한 도심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도시전체의 발전을 이끌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들이 상호 파트너십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Korea has experienced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since the 1960s. Therefore, many metropolitan cities and most local cities have been expanded recklessly and have lost their original functions to the suburbs. The number of urban residences has decreased and industrial activities have been depressed in urban centers. Degeneration of urban centers has caused various urban problems, such as extinction of original characteristics of urban cities, physical degeneration of certain regions, decrease in local population with poor living environments, and weakening authority as economic centers. However, there are only partial or one-time solutions to these problems. Various policies and measures have been applied since the 1990s to revitalize the urban centers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nd urban growth management, but these policies and measures have not been consistent. Urban policies should no longer pursue high growth and efficiency-oriented suburban development for fast urbanization, but need to be updated for all urban regions to regain energy. In this respe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possible improvement measures to prevent urban degeneration in local cities to contribute to sustainable urban growt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llowing scope and methodologies. The scope of this study was focused on three aspects: first, the concept and functions of urban regions were defined to approach urban regeneration and discuss foreign cases in the theoretical study of urban degeneration and regeneration. Second, urban degeneration was described and specific reasons were analyzed. Third, fundamental directions and strategies to revitalize urban centers were derived and specific policy alternatives were suggested for urban rejuvenation. This study selected Onyang-dong of Asan. Onyang-dong was selected because Asan will open KTX and general subway routes at the end of 2008. In addition, Tangjeong and Dunpo regions are establishing large-scale industrial complexes, factories, and Asan New City and the suburban areas of Baebang are adding large-scale apartment complexes. The city has been improving and redevelop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However, Onyang-dong, despite that it has a historical, central urban area, lacks infrastructures to sustain the commercial zones. Its residential, cultural, and commercial functions have been decreasing and many of its commercial centers and populations have been lost. Onyang-dong must recover its functions as an urban center, considering the growth of surrounding areas in the future. This study employed theoretical studies and substantial analysis. For substantial analysis, existing statistics of given subjects were analyzed and surveys were conducted. The survey on local residents was analyzed to understand their awareness of urban degeneration and analyze urban circumstances. The survey considered dignity of urban center, residential types, development possibilities, functionality and pleasance of urban center. The following we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the reason why Onyang-dong was degenerated was because the urban area has expanded and decentralized with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in the suburban area. Second, most lots in the urban center were small and not suitable for infrastructural development. Third, new neighborhood infrastructures and commercial zones were established near new residential zones in the suburbs and mid/large discount stores were situated along the suburban arterial roads. These new structures decentralized the urban center. Fourth, old commercial zones and undistinguished cultural/tourism facilities have failed to attract tourists. This study suggested localized cultural/tourism facilities, improved residential environment, and revitalized commercial zones to rejuvenate the urban center. To improve pleasance, improved physical environment, pleasant urban landscaping, and public parking lots with parking guide system were suggested. To prevent urban degeneration, it would be important to assign appropriate and non-conflicting roles to urban areas and the suburbs. For systemized urban rejuvenation, there must be a comprehensive urban rejuvenation plans for every section of the city and a decision- making organization shall be established to make actual decisions for balanced execution and management of urban rejuvenation. To make a comprehensive approach to urban issues, it is also necessary to enact urban rejuvenation act that supplements existing laws. Urban centers shall revitalize various functions for environmental changes and create unique and pleasant urban spaces for sustainable urban growth. In order to do so, the local government and residents shall form a mutual partnership to work together.

      • 도시지역 가로녹지경관의 심미성 증진을 위한 초화류 식재설계의 모델 개발 : 서울시 강남 일원 테헤란로를 대상으로

        이성도 경원대학교 환경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47

        우리나라는 1970년대부터 가속화된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해 각종 환경오염의 심화 자연생태계 파괴, 도시 열섬현상이 심각한 국가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훼손되어가는 도시 환경개선을 위해 도시녹지 중 중앙분리녹지와 가로수정비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녹지 뿐 만이 아니고 경관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원예조경이 도입되어 일년초를 도심 녹지공간을 이용하여 식재하거나 이동식 콘솔박스 등을 이용하여 경관을 살리고 있는 실정이다. 도시녹지는 도시 내의 각종 이질적 토지이용을 순화 분리시키고 각 종 환경오염의 피해를 공간상에서 차단시키거나 재해를 경감시키고 시설물의 보호와 쾌적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녹지를 말하며 도시기능의 증대와 생활환경의 질을 재고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도시 녹지 공간으로서 중요한 중앙분리녹지는 각종 재해와 환경오염을 저감하거나 격리시키는 기능 뿐 만 아니라 도시민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도시 경관 향상과 같은 심미성 기능도 중요시 되고 있다. 이는 시민들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쾌적한 도시환경과 녹지 공간에 대한 요구가 늘고 있으며 도시녹지를 바라보는 시각이 많이 바뀐 것에 기인되고 있다. 이제 도심 도로변 중앙분리녹지는 과거 도시개발에 따라 조성된 영향 저감기능 일변도에서 다양한 도시녹지 기능을 충족할 수 있는 중앙분리녹지 재정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도심 도로변 중앙분리녹지의 기능보완은 현재 녹지의 형태, 지형구조 및 실재현황개선과 심미성 향상, 녹지 공간의 효율적 이용을 통하여 매년 반복되는 몇 개월마다 교체방식의 일년초 식재에 다른 경제적 실효와 시간적 관상 손실을 최소화 하여야 하겠다. 연구대상지는 도심,도로변 중앙녹지이며 다양한 토지이용을 필요로 하는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중앙 분리녹지 와 도로변 가로수를 선정하였다. 테헤란로의 구간을 3개구역으로 구분하여 구간별 특징을 살리고 주변지역의 경관조화를 이루고 식재의 내용을 변화를 주어 심미성을 주었으며 구역거리마다 관목의 수종을 특성있게 심어 경관미를 살리려고 노력했다.. 이 지역은 도심대로변 녹지이므로 도시민의 접근성이 높고, 많은 교통량이 왕래하는 곳으로 상업지역, 근린시설, 고층아파트지역 등 유동 인구밀집지역이며 다양한 시설이 분포된 지역특징이 있다. 그러나 연구대상지 중앙분리녹지는 녹지의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 채 대부분 차량 영향 저감기능 일변도의 획일적인 식재기능 및 식재양식으로 조성되어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앙분리녹지와 인도변 가로수 주변 토지이용과 식재현황을 파악하고 두곳의 토지이용을 고려하여 초화류 식재를 통하여 완충녹지의 기능을 재설정한 후 경관개선, 심미성 증진, 효율성 극대화, 주변 경관조화, 경제성 강화 등의 식재방안을 제안하였다. Since 1970's urbanization was rapidly increasing in Korea, results in sever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egradation of ecosystem, specially heat island phenomenon. Concentration of population to urban space generated intensive land use, and so insufficient space, especially roadside become main cause of confliction and complexity, aggravated amenity of residents. Accordingly streetscape in urban should be situated as core space and landscape resources, which is various values joint and contact. In spite of importance as urban node, streetscape is very poor functionally and esthetically. Interesting and seasonal change is very insufficient and monotonous through total streetscape. We need to improve bleak urban landscape by introduction of seasonal characters and remodelling of green infra in streetscap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informations necessary to remodelling of streetscape focused on green infra. Study area is Tehaeran street(from Kangnam Station to Samsung station of lane 2 of Seoul metro) main road passing through east-west of Kangnam town, Seoul metropolitan. This street has boulevard structure having driveway above 50m with central buffer zone of 4m width and pedestrian route toward both roadside of 6-7m width. Main tree is sycamore(Plantanus occidentalis), height above 10m and braod tree crown, and diameter of average 30cm. This tree was planted 3 row (both pedestrian route and central buffer zone) with intervals of 4-8m. This study considered cost-effective planting design model centered to herbaceous & climbers to improve esthetic quality under maintenance of main tree. Accordingly new planting method was designed considering unity and variety of total streetscape and sectional streetscape simultaneously. This planting model has attractive structural landscape with vertical dimension(climbers with height of 1-2m) and horizontal composition (gradual sequence with mixed bed of wild herb showing seasonal succession).

      • 시간별 교통량 변화에 따른 환경오염지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조동명 暻園大學校 産業環境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우리나라는 지난 30여년간의 고도 경제성장에 따라 토지이용상의 변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1990년대 이후 각종 국책사업 및 민간건설 부문에 의한 개발사업이 활발히 진행되어 토지이용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교통시설의 추가적인 확충을 불러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천 인당 도로길이는 1.35km로서 일본의 1/7배, 유럽국가의 1/4∼1/12배, 미국에 비해서는 1/19배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도로건설 사업에 대해서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는 자동차의 운행대수 또한 2004년 기준 1,500만대에 육박하고 있다. 그러나, 도로가 활동인구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주거지역과 연접하여 분포함에 따라 차량통행에 의한 대기오염과 교통소음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간별 교통량 변화에 따른 환경오염지도를 예측 모델링을 통하여 구축하고 저감방안을 수립하였다. 대상지역은 인구 및 자동차 등록대수가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는 시흥시 정왕대로로 결정하고 일중 시간대별로 교통량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기오염모델링은 ISC3, 소음모델링은 Sound-Plan을 이용하였으며, 예측된 대기오염도 및 소음도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기준으로 재분류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EPA의 PSI 및 OECD에서 제시하고 있는 소음도등급(dn등급)을 도입하였다. PSI - 대기오염물질별 오염농도를 0∼500으로 지수화하고 총 6개 등급으로 분류하고 격자별로 Color를 부여하여 구분 dn(damage n%)등급 - 소음에 의해 피해가 심한 주민의 비율(%)을 총 6개 등급으로 분류하고 격자별로 d0∼d25의 문자를 부여하여 구분 또한, 일중 교통량 변화에 따른 PSI 및 dn 등급의 변화 양상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Arc View9.0을 이용하여 두가지 등급을 중첩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시흥시의 경우 주간시간대 교통량 변화가 크지 않아 시간대별 오염도 변화 양상을 보는데 미흡한 점이 있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1. 시흥시 정왕대로의 첨두시는 18시로 도로구간을 중심으로 PSI 지수 301∼500의 HAZARDOUS 등급(Maroon) 및 소음도 등급 d25 수준(피해가 심한 주민의 비율 25%)을 보이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2. 대기오염등급 PSI를 결정하는 주 오염물질(critical pollutant)은 도로상 재비산되는 PM-10이다. 3. 대기오염의 경우 등급별 면적 분포가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소음의 경우 도로변을 중심으로 확산범위가 제한된다. 따라서, 대기오염의 경우 효과적인 저감을 위해서는 발생원 대책 위주로 저감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저감방안 수립시 화물차량 통행 제한, 도로변 살수차량 운행 등의 발생원 대책을 제시하였다. 예측결과에 따르면 첨두시(18시) 화물차량이 차지하는 비율은 24%를 차지하는 반면에 비산먼지 유발율은 화물차량이 45.4%를 차지하고 있어 정왕대로 주거지역을 통과하는 화물차량의 제한만으로 50%에 가까운 PM-10 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통행량 대비 발생 소음도가 큰 화물차량의 제한으로 교통소음도 저감에 효과적인 대책으로 판단된다. 또한, 기상여건에 따른 유동적인 살수 실시로 EPA에서는 비산먼지의 50%를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어 도로변 지역을 중심으로 살수차량 운행을 저감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모델링을 통한 대기 및 소음도를 예측하고 지표를 통한 환경오염지도를 구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예측값은 환경오염의 여러 가지 인자를 배제한 상태에서 차량통행만을 고려한 예측치이므로 실측치와는 상당한 오차가 예상된다. 따라서, 도시 활동인구의 동선을 중심으로 현장 실측을 통하여 예측모형과의 비교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예측모형의 일반화를 통하여 도로교통에 따른 환경오염 저감대책을 발생원 대책과 도시 활동인구(피해자측)에 대한 대책으로 구분하여 도시 여건에 맞는 효율적인 시행으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In Korea, the change of land use have progressed rapidly during the last 30 years with the high growth of economy. Especially, since the 90's, development work has progressed highly by many kind of national policy and private construction. That has required the additional expansion of transport facilities which is bound up with land use. However, the length of road per 1,000 people in Korea is 1.35km, which is 1/7 times of Japan, 1/4-1/12 times and 1/19 times. Therefore, the road construction has progressed steadily and the number of cars which use the road is close in upon 15,000,000 in 2004. However, as roads are distributed near residential areas considering the access of economically productive population, air pollution and traffic noise are rising their head as social problems. In this study, the environment pollution map by hourly traffic volume change throughout expectation modeling was made and plans for reduction of pollution were established. The subject area was decided to be Jeong-wang main road, where the number of car registration had increase steadily, and the volume of traffic was investigated per hour. ISCS was used as an air pollution modeling and ISC3 used as a noise modeling. In order to re-sort the air pollution and noise on the basis of the effect on body, PSI of EPA and noise level(dn grade), which OECD recommended, were introduced as follows. PSI - The density of pollution in each pollutant ranges from 0 to 500 and it is classified to 6 degrees and divided by different colors for each lattice. DN(damage n%) degree - Percentage of residents who suffer intensely from noise is classified to 6 grades and divided by d0∼d25 for each lattice. Also, two kinds of degree were presented by AricView 9.0 in order to grasp easily the changes of the PSI and dn degree according as the change of traffic volume during one day. In the case of Si-heung city, the changes during the day was not so considerable, so the changes of pollution degree per hour was not obviously presented. 1. The peak time of traffic in Jeon-wang main road in Si-heung city was 18 o'clock. 301-500 degree in HAZARDOUS and d25 degree- means 25% of the residents are suffering extremely from the noise- in noise pollution were predicted. 2. The critical pollutant deciding PCI, air pollution degree, showed PM-10 which required re-entrainment. 3. In the case of the air pollution, it was expected that the area distribution of each degree would expand extensively, but in the case of noise pollution, the extend of diffusion was limited to the side of the roads.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ollution, the plan for reduction of pollution, focusing on solving the main causes, should be conceived for the effective reduction. Therefore, the measures to reduce the causes, such as the suspension of traffic on freight vehicles and operation of sprinklers, are presented when devising the plan for redu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prediction, at 6 o'clock in the evening, the peak time of traffic, the percentage of freight vehicles formed 24% of the number of vehicles, while the freight vehicles contributed 45% in the induction of arsenic acid dust. So that the PM-10 reduction effect of nearly 50% is expected just by limiting the passing of freight vehicles. And the limitation of big-size freight vehicles, which cause much noise in comparison with traffic volume, is judged to be a effective way of reducing the traffic noise. Also, it is presented that sprinkling water with the consideration of weather can reduce 50% of arsenic acid dust. Therefore, the operation of sprinklers around the side of road can be suggested. This study suggests the methods to predict the level of air pollution and noise and to build environment pollution maps by index. But the predictive number n was calculated with considering just the traffic not other elements causing the pollutions, so the considerable error can be expected. Therefore, the actual survey focusing on the movement line of active residents should be compared with the expectation models. Futhermore, by generalizing the expectation models, the measures to reduce the pollution should be divided into the measures to reduce the cause of pollution and the measures to compensate the residents suffering from the pollution. And I hope the measures can contribute to constituting agreeable environment.

      • 옥상녹화 활성화 방안 연구

        이기덕 경원대학교 환경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지금까지 도시는 인구증가와 함께 산업화 등으로 지속적인 건축물과 기반시설이 들어서고, 그로인해 삭막한 환경으로 변모해왔다. 결과적으로 도시지역에서는 녹지가 점차 부족해지고 다양한 도시환경문제를 이야기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환경오염, 도시생태계악화, 도시내 기후의 변화 등은 부족한 녹지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들이다. 이러한 추세에 대지의 구매 부담이 없고 도시의 생태적 문제해결과 에너지절약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옥상녹화가 되어야한다. 옥상녹화는 도시 녹지축의 연결, 도시자연성 확보, 도시환경의 질적 향상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도시의 녹지감소에 따른 보안이라는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고층화, 거대화되어 가는 인공적인 건축물에 대한 조경 요소의 확대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인식부족과 경제성 등 여러가지 사유로 인하여 옥상공간은 건물 설비 설치공간이나 폐기물 야적, 불법 증측물 난발 등 주변 건물로부터 도시경관 및 환경을 저해하는 요소로 방치되어 있는 경우가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옥상녹화 조성사례를 조사하여 옥상녹화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기술하고자한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 연구범위 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옥상녹화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옥상조경의 역사, 국내외 동향 옥상녹화 기능과 경제적 효과, 도시환경개선, 기타효과, 옥상녹화시 고려사항 및 생태적 지속성과 내구성 그리고 경제성을 좌우하는 녹화시스템의 유형을 조사하여 각각의 특성을 정리하였다. 제3장에서는 옥상녹화 관련 법규에 대하여 외국의 사례 및 우리나라의 관련법규 및 지방자치단체의 조례, 지방자치 단체의 옥상녹화 지원현황 등을 조사하였으며, 옥상녹화 관련 제도 및 지원제도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옥상녹화의 국․내외 조성지역 중 언론에 소개되고, 기타 자료에 등재된 사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제5장에서는 성남시 관공서에 조성된 옥상녹화지에 대하여 현지조사를 통하여 식재수종, 이용현황, 관리실태 등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제6장에서는 옥상녹화활성화를 위하여 옥상녹화 지원을 위한 기반 체제 구축, 건축물별 옥상녹화 방안 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제7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였다.

      • 성남시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의 현지개량방식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경묵 경원대학교 산업환경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성남시의 “도시저소득주민을 위한 주거환경개선에 관한 임시조치법”에 의하여 고밀의 현지개량방식으로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이미 완료한 지역을 또다시 현지개량방식의 주거환경개선구역으로 지정한 지역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도시저소득주민을 위한 주거환경개선에 관한 임시조치법”에 의하여 고밀의 현지개량방식으로 조성된 지역의 경우 건축 및 도시계획 관련 조항 완화와 사업성 확보 등의 이유로 적정한 도시기반시설 확보 없이 고밀로 개발되었다. 1989년 “도시저소득주민을 위한 주거환경개선에 관한 임시조치법”이 제정된지 20년이 넘게 지났으며, 이제 주거환경개선사업으로 조성된 지역에 대한 재개발 시점이 도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남시의 26개 정비구역 중 현지개량방식으로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이미 완료하고, 또다시 현지개량방식의 주거환경개선구역으로 추진중에 있는 지역을 연구대상으로 현지개량방식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해보았다. 성남시가 성공적인 주거환경개선사업이 되기 위해서는 선행되어야 할 과제들이 많다. 그러나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하는 것은 현지개량방식시의 자체개량 곤란, 공동주택건설방식시 사업성 부족 등 본 연구 대상지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국가 및 지자체에서의 적극적인 개입이 무엇보다 필수적이다. 그리고 지자체의 역량 구축을 위하여 전문가의 양성과 각종 관련 법령의 정비 및 제도의 확충이 필요하다. 또한 지자체와 지역주민이 상호 신뢰하는 관계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지위와 역할에 최선을 다한다면 양질의 주거환경 개선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mporary law about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for low-income group' was enacted 20 years ago. Maintenance sections where are designated by 'The temporary law about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for low-income group' have been redeveloped without adequate urban infrastructure facilities that part of reason for ease the regulations about local architecture and town planning, for securing adequate profit and so on. Redevelopment areas are appointed by this Act may be required to again bec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ongnam city's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areas where are repeatedly designated and to draw up improvement. In this study, 26 maintenance areas in Seongnam city of local improve the way maintenance is completed, and again to promote the maintenance of a local improvement methods were studied in the region. Maintenance of these areas to analyze this issue is to provide an improvement. Seongnam city successful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in order to perform the many challenges that need to be followed. Improve the local improvement scheme itself is difficult and Compared with co-residential construction is a lack of feasibility. So The priority has to be active involvement in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than what is necessary. And local governments to build the capacity of professional development needs and various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of the expansion is needed. In addition, local governments and residents forms a relationship of mutual trust. And given their position and role to do their best, a better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will be d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