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산국제락페스티벌의 현황과 개선방안

        임희진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오늘날 락페스티벌을 비롯한 대중음악페스티벌은 음악 생산과 소비의 새로운 형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대중음악페스티벌은 국가나 지역의 이미지를 제고하고 문화산업으로서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페스티벌 주최 측의 입장에서는 성공적인 개최를 통해 경제적 이익을 누릴 수 있다. 출연진의 입장에서는 라이브무대를 통해 자신의 음악적 정체성을 표출하고 팬들과 직접적인 교감을 나눌 수 있고, 다른 뮤지션과 교류하고 외국의 유명한 페스티벌에 진출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관람객의 입장에서는 다양한 뮤지션과 음악 장르를 직접 접할 기회를 갖고, 무엇보다 유희ㆍ일탈ㆍ자유ㆍ해방의 공간에서 억압되어 있던 자아를 분출할 수 있다. 한편, 아이돌그룹이 사실상 대중음악시장을 장악하고 있고 댄스나 발라드 등 일부 장르만이 기형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오늘날의 대중음악 현실에서, 대중음악페스티벌은 대안적 음악활동의 한 가지 방식으로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뮤지컬 위주이긴 하지만 최근 들어 공연산업이 활성화되면서, 음악관계자들의 대중음악페스티벌에 대한 관심도 증대하였고 새로운 페스티벌을 기획하고 개최하는 작업도 늘어나고 있다. 부산국제락페스티벌은 국제 규모를 지향하는 락 장르의 페스티벌로는 국내에서 가장 긴 역사를 지닌 대중음악페스티벌이다. 2009년에 10주년을 맞은 이 행사는 매년 8월 초에 부산 다대포해수욕장에서 무료로 열리고 있다. 부산국제락페스티벌은 긴 역사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그 정체성이 뚜렷하지 못하며, 페스티벌을 상징할만한 대표적 프로그램도 지니고 있지 못한 상태이다. 초기에는 참가국 수가 2000년 5개국, 2001년 10개국, 2002년 12개국 등으로 계속 늘어났지만 이후에는 평균 5~6개국 정도에서 답보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부산국제락페스티벌이 ‘국제’라는 타이틀을 내걸고 세계적 규모를 지향하는 페스티벌로서는 아직 미흡한 측면이 많이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1990년대 후반부터 국내에서 다른 대중음악페스티벌이 개최되기 시작하여 현재 그 수가 상당히 늘어났으며, 앞으로도 새로운 대중음악페스티벌이 계속해서 생겨날 것으로 전망된다. 결과적으로 국내 대중음악페스티벌간의 경쟁이 더욱 격화되고, 내용이 충실하지 않거나 인기가 없는 페스티벌은 위기를 맞고 퇴출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대중음악페스티벌로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지만 아직도 그 정체성이 미흡한 부산국제락페스티벌의 과거와 현재를 돌이켜보고 미래를 향한 발전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부산국제락페스티벌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겠지만, 이 연구에서는 크게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고자 한다. 그것은 프로그램 측면, 조직ㆍ예산 측면, 홍보ㆍ마케팅 측면이다. 이들 세 측면에서 부산국제락페스티벌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한 다음, 그것을 기반으로 개선방안을 도출한다. This study presents some developing strategies for Busan International Rock Festival(BIRF) which has 10 years' long history, while having no distinctive features as one of the leading international music festivals. For this purpose, I examined the major issues and problems faced by the BIRF from three aspects: first, main and accompanying programs, second, organizing committee and its budget, third, promotional marketing. And I analyzed the strong and weak points of the BIRF by comparing to other rock festivals in Korea, and proposed improvement plan for the BIRF based on the analyses. First, in the aspect of programs, charging for admission, a new festival location, program alliance with the world-famous rock festivals, development of various accompanying programs, opening the Asian Indie Band Contest, and secured spaces to bringing up Busan's local bands are needed. Next, in the organizing and budgeting aspect, changing the organizer of the BIRF to an independent legal entity, diversification of its financial resourses, and support at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level are required. Finally, in the aspect of promotional marketing, the BIRF needs to activate the internet website and internet marketing, and the master class program.

      • 대중음악 페스티벌 내 혼잡지각이 관람만족도 및 재관람 의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관람동기 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다운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3343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혼잡지각’변수를 활용한 연구들은 혼잡지각을 부정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활용해온 연구들이 대다수였다. 그러나 이는 각기 다른 산업들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연구 결과로 유흥적 특성을 가진 문화예술 산업에 적용할 경우 상이한 결과가 도출될 수도 있을 것임을 검증해 볼 필요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단으로는 문화예술 산업의 특성과 추세를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대상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며,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경우 현재 K-POP과 함께 문화예술 산업의 핵심 축을 이루고 있는 산업으로서, 문화예술 산업이 가진 유흥적 특성과 추세를 반영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대상이 될 것이다. 또한 기존의 대중음악 페스티벌 연구는 콘텐츠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본 연구는 혼잡지각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지닌다. 본 연구는 대중음악 페스티벌 15곳에 방문하여 관람한 경험이 있는 이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대중음악 페스티벌 방문시 느꼈던 혼잡지각이 관람 만족도 및 재관람 의사에 미치는 긍·부정의 영향관계를 검증해보고 관람 동기 유형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명의 대중음악 페스티벌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통계분석 방법으로는 SPSS 25.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5.0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가설 검증 결과 혼잡지각 내 인적혼잡은 관람 만족도에 긍정의 영향을 미치고 공간혼잡은 부정의 영향을 미침을 검증하였으며 인적혼잡 및 공간혼잡은 재관람 의사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으나 관람만족도를 통한 매개효과는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한 관람동기 유형인 탈일탈성, 교육탐구성, 체험관람성 중에서는 탈일탈성 유형만이 인적혼잡 및 공간혼잡 모두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형임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혼잡지각의 긍정적 영향효과를 검증하는 후속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특성을 도출하여 영향관계를 살펴봄으로서, 대중문화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연구에 유의미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페스티벌 기획 단계에서 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획 방향을 제안하는데 기여하고, 나아가 지속적인 성공을 위한 티켓 판매 전략 설계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Most of previous studies have used 'congestion perception' as a variable that affects negatively. However, the results can be varied depending on industry. Thus, it is necessary to verify how the variable affects in the area of ‘culture and arts industry.’ For verification, it is important to choose the subjects that can well represent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culture and arts industry’, and ‘popular music festivals’ which are core axis of ‘culture and arts industry’ with K-POP can be well suitable for this. Previous studies in ‘popular music festivals’ has only focused on contents, but this study deals with ‘perception congestion’, which is a big difference compared to previous research.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ngestion perception’ on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of ‘popular music festivals’, and to verify satisfaction level depending on the types of motivation.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is conducted on 200 visitors from ‘popular music festival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are conducted using SPSS 25.0. In addi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are conducted using AMOS 25.0. The research is verified that human conges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viewing satisfaction while spatial congestion has a negative effect. Human congestion and spatial congestion have no direct relation with re-viewing intention, however has indirect relation through viewing satisfaction. Furthermore, it is examined that deviance affects human congestion, spatial congestion, and viewing satisfaction while other watching motivations such as education and experience do no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key data for future studies dealing with positive effects of ‘congestion perception’, and will be a significant basis for various studies of ‘popular culture industry.’ Moreover, this study suggests planning direction for audience satisfaction in festivals, and ticket sales strategy.

      • 국내 대중음악축제의 연구 : 자라섬 국제 재즈페스티벌을 중심으로

        최진희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3343

        The modern society is shifting from a creative society led by culture, from a agricultural society and an industrial society; the quality of life is valued more than any other times in history and the value of culture and arts has never been higher. With the increase in national income per capita, the five-day-a-week work system, and the change in the lifestyle, which focuses leisure and labor activities in culture and arts, many festivals of culture and arts have been created. In particular, pop music festivals can become a genre of pop culture where performers and audiences can form a music community and pop music festivals are growing fast as great opportunities for the modern people to satisfy their cultural desire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major cases of pop music festivals in Korea so that the popularity of pop music festivals can be used for the revitalization of music industry and can develop into world-class music festivals. The cases studied for the theoretical discussion and case study of pop musical festivals were “Ssamji Sound Festival”, “Incheon Pentaport Rock Festival”, “Grand Mint Festival,” and “Jarasum International Jazz Festival”. The study was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gram and of Jarasum International Jazz Festival.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sustainable growth and development of pop music festivals in Korea.

      •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브랜드 자산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ETPB) 기반으로

        곽길동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43

        아시아 각국에서 급성장한 대중음악 페스티벌은 20년 동안 음악, 공연, 관광을 아우르는 새로운 문화형태로 자리 잡았고 도시개발 등 다른 분야에서도 독특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음반산업의 몰락에 따라 음악 페스티벌 공연은 대중음악과 아티스트에게 새로운 발전공간을 마련해 준다. 음악 페스티벌은 소비 진작과 문화생활의 풍요로움, 문화산업 간 융합과 문화교류 가속화 등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에서도 음악 페스티벌 산업이 커지면서 동질화와 신생 페스티벌들이 지속적으로 개최하지 못하는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한국에서 음악 페스티벌은 지역축제에 의존하고 있는 반면에 중국 음악 페스티벌이 이미 고도의 시장화와 상품화된 문화 소비재로서 브랜드화가 시작됐다. 이러한 같은 발전 시기에 있는 두 모델 중에 첫 번째 모델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지만 두 번째에 대한 검토는 아직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에서 가장 대표성 있는 대중음악 페스티벌 대상으로 그의 브랜드 전략을 분석하고 브랜드 자산이 어떻게 고객의 소비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고 다른 대중음악 페스티벌에 브랜드화 방안을 제시하여 발전 방향을 밝혀주는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와 이론 배경을 검토한 후 브랜드 자산 개념과 계획행동이론 모델을 활용하여 연구의 변수를 확정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브랜드 자산, 계획행동요인과 재방문 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탐색하는 연구 모형을 구축하였다. 설문조사를 진행한 후에 수집된 표본으로 측정 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인하고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 모형의 적합도와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브랜드 자산인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충성도는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태도와 주관적 규범은 재방문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며 개최도시는 일부의 브랜드 자산과 태도에 유의적인 조절효과가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통해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브랜드화 경영전략을 도출하였으며 지속적으로 개최하는 방안을 실행하기 위해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연구 과정에서의 부족함을 설명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Pop Music Festivals have developed rapidly in Asian countries in just 20 years, and have become a new cultural form integrating music, performances and sightseeing. Pop Music Festivals has a unique role in other fields such as urban development. With the decline of the record industry, Music Festival performances have provided new development space for Pop Music and Popular musicians. The rapid growth of Music Festivals has shown sustainable development potential in stimulating consumption, enriching people's cultural life, and accelerating the integration of cultural industries and cultural exchanges. The problems of homogenization and the unsustainable holding of new-born festivals are becoming more and more serious, not only in the expansion of the music festival industry in Korea and China, In Korea, music festivals depend on regional celebrations, while Chinese Music Festivals, as highly marketable and commoditized cultural consumer goods, have begun to be branded. Among the two models in the same development period, although much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first model, the research on the second model is far from enough. Hence this research took the most representative Pop Music Festival in China as the object, analyzed its Brand Strategy, explored how various Brand Equity affect the Customers' Consumption Process, and proposed branding plans to other Popular Music Festivals to clarify the development direction. After reviewing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oretical background, the variables of the study were confirmed by using the Brand Equity concept and the Planned Behavior Theory Model,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a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to explor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Brand Equity of Popular Music Festivals, Planned Action Factors, and Revisit Intentions. After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the collected specimens were used to confirm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and the joint degree and significance of the model were ident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rom the analysis results,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have a positive impact on Attitude,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have a positive impact on Revisit Intention, and the host city h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Brand Equity and Attitude. Finally,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a management strategy for branding a Pop Music Festival was deriv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to implement a plan to hold it continuously. In addition, deficiencies in the research process were explained and direc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티벌 공연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 - <#우리의무대를지켜주세요> 공연 기획자를 중심으로 -

        윤민규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42

        [ABSTRACT]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Online Popular Music Festival : - Focusing on the Event Organizers of <#Save Our Stages> in Korea - This study aimed to deal with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focusing on the event organizers of <#Save Our Stages> in Korea, an online popular music festival held in March 2021. Based on this, it also aimed to arouse social interest in online popular music festivals that were not preceded in the past and to present the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online popular music festivals in the future. The scope of this study for the achievement of its purposes was <#Save Our Stages> in Korea, the pad campaign-type online popular music festival hel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with the purpose of revitalizing its indie live venues that have been stagnant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n addition, It selected five event organizers of <#Save Our Stages> in Korea and then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as a method for a qualitative study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 were as follows. First, the sustainability of the online popular music festival turned out to be rather negative, but considering that the future performance culture will be changed to be held both online and offline, it seem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on popular music festivals from various perspectives. Second, the problems of online popular music festivals included lack of budget and technical problems, so it seems that the technical problem should be solved by strengthening the online performance platform while securing the budget through an increase in both the quality of the festival and its ticket price. Third, it seems that there is a need to implement regulations without any discrimination between genres and to prepare practical support policies through close communication between the relevant industry officials and government ministries. It has a limitation that it has suggested improvement plans of and the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online popular music festivals with a single case of <#Save Our Stages> in Korea, but it has suggested that it would be a study on the problems that the Korean popular industry should solve in the future. [국 문 요 약]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티벌 공연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본 연구는 2021년 3월 개최된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티벌 <#우리의무대를지켜주세요> 공연 기획자를 중심으로 공연 현황 및 개선방안을 다루었다. 이를 통해 그간 선행되지 않았던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티벌에 대해 사회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향후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발전 가능성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의 범위는 <#우리의무대를지켜주세요>으로 COVID-19 팬데믹 사태로 인해 침체되어 있던 국내 인디 라이브 공연장을 활성화시키고자 국내에서 최초로 개최된 유료 캠페인형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티벌이다. 연구 방법은 심층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로 <#우리의무대를지켜주세요> 공연 기획자 5명을 선정해 진행하였다. 심층 인터뷰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지속 가능성은 다소 부정적이었지만 향후 공연 문화가 온-오프라인 동반 개최로 바뀔 것으로 예상해 다양한 관점에서 대중음악 페스티벌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문제점으로 예산의 부족, 기술적 문제가 존재했다. 이는 페스티벌의 질을 높여 티켓 가격을 상승시켜 예산을 확보하며, 온라인 공연 플랫폼 강화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관련 업계 관계자와 정부 부처의 긴밀한 의사소통을 통해 장르 간 차별 없는 규제와 실질적인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우리의무대를지켜주세요> 단일 사례로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개선방안 및 발전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대중음악계가 꼭 해결해야 할 문제에 대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 국내 대중음악 페스티벌 연구

        박정연 한국예술종합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33342

        국내 대중음악 페스티벌 시장은 해가 갈수록 그 규모와 숫자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이 시장 전반을 다룬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대중음악 페스티벌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한 1999년부터 2017년까지 총 19년간 진행된 국내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은 클래식 음악을 제외한 중대형 규모로 진행된 대중음악 페스티벌 총 109개였으며, 이들을 총 11개의 요소별로 분류하였다. 이 조사대상을 바탕으로 크게 두 가지로 형태로 나누어 분석을 시도하였다. 첫 번째 연구는 분류 요소별 분석이다. 총 109개 페스티벌을 대상으로 9개의 분류요소별로 빈도, 교차분석을 시도하였으며, 19년간 진행된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일반적인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국내 대중음악 페스티벌은 2일 이상의 형태로 많이 진행되었으며, 개최시기는 여름과 가을에 집중되어 있었다. 개최지역은 서울지역이 가장 높은 개최율을 나타냈으며, 재원조성형태에 있어서는 민간 형태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입장료는 유료 형태가 높게 나타났다. 두 번째는 주제별 분석으로 주요음악장르별 분석, 지속기간에 따른 분석, 시기별 구분에 따른 분석 세 가지로 진행되었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요 음악별 분석에서는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락 중심 페스티벌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팝 중심 페스티벌, 일렉트로닉 뮤직 페스티벌, 재즈 페스티벌, 월드뮤직 페스티벌 순으로 나타났다. 각 주요 음악장르에서 나타난 요소별 세부 특징은 상이했다. 지속기간에 따른 분석에서는 10년 이상 장기 지속한 페스티벌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으며, 락 중심과 재즈 페스티벌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개최지역에서는 서울지역 외 경기인천, 그 외지역 등 골고루 분포되어 있었다. 재원조성 형태에서는 민간+공공의 형태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입장료의 형태는 유료가 무료보다 조금 더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시기별 구분에 따른 분석에서는 각 시기별로 중심이 되는 음악 장르들이 변화하였는데, 1기는 락 중심과 재즈 페스티벌, 2기는 팝 중심 페스티벌, 3기는 팝 중심과 일렉트로닉 뮤직 페스티벌 비율이 높아졌다. 개최시기에서는 1,2,3기 모두 여름과 가을이 높은 비율을 나타냈지만, 3기에 들어서는 페스티벌이 개최수가 증가함과 동시에 봄에 개최되는 빈도수도 높아짐으로써, 1기와 2기에 비해 페스티벌 개최시기가 다양화됨을 살펴볼 수 있었다. 위의 분석들을 통해 19년 동안의 국내 대중음악 페스티벌 시장의 주요 특징과 흐름 및 변화를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앞으로도 다양한 관점의 국내 대중음악 페스티벌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본다. Despite the increase number and size of the Korean popular music festival market over the years,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on the market in genera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popular music festivals for 19 years from 1999, when Korean popular music festivals were fully activated in Korea, to 2017. The research subjects were a total of 109 popular music festivals held in a medium to large scale excluding classical music, categorized them with 11 elements. Based on the categorizations, two types of analysis were attempted. The first part is an analysis by classification element. A total of 109 festivals were analyzed for frequency and cross tabs analysis according to 9 classification factors. The general features of popular music festivals held for 19 years are as follows. Korean popular music festivals were mostly held in the form of more than two days, and the festivals were concentrated in summer and fall seasons. Seoul area showed the highest holding rate, the ratio of private type was high in the form of financial resources, and admission fee was higher in paid form. Second, the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ree types - main music genre analysis, duration, and perio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major music genre analysis, the rock-centered festivals accounted for the largest percentage, followed by pop-centered festivals, electronic music festivals, jazz festivals and world music festivals. The detailed features of each major music genre were different. In the analysis based on the duration, I focused on festivals that lasted more than 10 years, and the rock-centered and jazz festivals were higher in percentage. In the holding area, it was evenly distributed in Gyeonggi, Incheon and other areas except Seoul area. In the form of financial resources, the type of private + public was the highest, and the paying type of admission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fee free. Finally,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period, the main music genres changed over years. In the first period, the rock-center and the jazz festival were higher, the second period is the pop-center festival were higher, and the third period is the pop-center and the electronic music festival were higher in ratio. At the time of the festival, both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festival had a high rate of summer and fall, but the number of festivals in the third period’s festival increased and the number of festivals held in spring increased, seen as a transformation. Through the above analysis, I can see the major features, trends and changes for 19 years of the Korean popular music festival market. Based on the current study, I expect that there will be many active research with various perspectives on Korean popular music festivals.

      • 중한 야외 대중음악 페스티벌 비교 연구

        민지에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42

        중국, 한국 야외 대중음악 페스티벌 시장은 어떠한 변화와 과정을 거쳐서 성장해 온 것일까? 이 논문의 시작은 바로 이 물음에서 시작된다. 특정 주제와 관점으로 하나의 야외 대중음악 페스티벌을 집중적으로 다루거나, 특수한 시기에 대한 상황을 분석한 자료와 선행연구들을 찾아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종합적인 관점으로 1999년부터 2020년까지 10여 년 동안 중국, 한국 야외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현황을 정리하고 그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한국 야외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역사, 발전, 현황에 대한 포괄적인 제시하고 요약함으로써, 음악공연의 연구를 풍부하게 하는 것이다. 둘째, 중국 한국 기존 야외 대중음악 페스티벌을 비교하며 유사성과 차별점이 찾아냈다. 나중에 중한 야외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비교연구에 대해 도움을 제공할 것이다. 셋째, 중국 야외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야외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성공한 성공 경험을 참고하고 의견을 제공할 것이다. 이를 통해 건강하고 질서 있는 음악 페스티벌의 발전을 추진하려 한다.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China's economy and society, the entertainment and culture industry has seen unprecedented development. Outdoor music festivals, as an important diversion of the modern entertainment industry, started late in mainland China, but they have gradually taken their place in the music industry as a new mode of industrial development over the past decade or so, and the festival market in China is now showing a prosperous scene, with the number of annual outdoor music festivals reaching more than 100. Outdoor music festivals play a pivotal role in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the music industry and enhancing the cultural atmosphere of cities, but at the same time,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development of China's large outdoor music festival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a mixed picture. This paper first compares the origins and definitions of outdoor music festivals, and then organiz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outdoor music festivals in mainland China, which paves the way for the later chapters of this paper. Then, we compare and analyze four aspects of music festivals in China and Korea, such as the time, location, funding source, and music content, and use them to make an in-depth analysis and summary of the development status of outdoor music festivals in China. At the same time, the successful operation experience of Korean outdoor music festivals is combined to find out the development mode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festivals, and the inspiration for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Chinese music festivals. Chapter 4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the development status of Chinese music festivals from four different perspectives: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and summarizes the achievements and shortcomings in their development process. This part of the book helps to provide an overall grasp of the current situation of outdoor music festivals in China. It also helps to identify the source of the problems in their development, so that solutions can be proposed in a more targeted manner. Chapter 5 then addresses the shortcomings in the development of outdoor music festivals in China, and makes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strategies of outdoor music festivals in mainland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successful experiences of outdoor music festival operations outside of Korea. Translated with www.DeepL.com/Translator (free version)

      • 인디레이블 아티스트의 입지마련을 위해 필요한 국내 페스티벌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소소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327

        20세기의 산업사회를 거쳐 21세기의 정보화 사회로 넘어가며, 국민의 소득수준이 증가하게 되었고, 잇따른 경제성장과 함께 현대인의 욕구에는 문화적 향유라는 측면이 추가되었다. 기본적인 의식주 외에 삶의 질을 높이는 문화적 향유에 대한 욕구는 문화생활에 대한 소비를 증가시켰고, 뮤지컬․영화 등 다양한 공연문화가 기획 및 제작되었으며, 공연산업시장이 생성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특히, 2000년대 이후 침체된 음반 산업의 불황을 타개하기 위한 대안으로 라이브 공연 형태의 음악페스티벌이 등장하게 된다. 초기의 80-90년대의 문화 정책정인 지원과 함께 이벤트성으로 개최되었던 형식과 달리, 200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민간 공연기획사 다수가 페스티벌 시장에 참여함으로써 내수시장이 커지게 된다. 페스티벌의 주된 선호연령은 20-30대의 청년 세대에서 나타났으며, 이들은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 음악을 즐기는 방식을 하나의 놀이문화로 인식하며, 새로운 문화로 받아들이게 된다. 이러한 수요로 인해, 대중음악 페스티벌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은 페스티벌의 분류 중에서도 인디레이블 아티스트가 가장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봄, 여름, 가을 시즌의 야외 대중음악 페스티벌에 주목하고자 한다. 더불어 인디레이블을 주된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인디레이블의 생성 및 발달은 1990년대부터 이루어져 왔으나, 공연으로 이익을 추구하고자 하는 아티스트와 레이블, 공연기획사의 욕구가 동시에 분출되었던 2000년대 중반이후를 분수령으로, 제작 및 발달이 급증하게 되었다. 일례로, 2015년 한해만 인디 록을 기반으로 한 페스티벌이 6‧7‧8월 여름 시즌동안 매주 개최되는 현상을 보이며, 대중음악페스티벌의 열풍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현재 국내에서 우후죽순으로 생겨나는 페스티벌의 초기 러쉬(rush) 단계에서, 페스티벌이 인디 아티스트와 상생하며 동반성장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우선 국내에서 활발하게 개최되고 있는 3대 페스티벌과 그 라인업을 구성하는 3대 인디레이블의 현황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 후 해외 유명 페스티벌의 사례와 비교해 봄으로써, 국내 페스티벌의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해외 유명 페스티벌의 사례와 비교하며, 국내 페스티벌이 개선해나가야 할 방안을 제시하려한다. 개선방안은 프로그램 측면, 조직적 측면, 마케팅‧홍보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본고의 논의를 통하여, 국내 대중음악 페스티벌이 호황을 지속적으로 이어나가며, 세계의 음악 팬들을 대한민국으로 이끌고, 또 하나의 세계적 문화 컨텐츠를 창출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 대중음악축제의 기획에 관한 연구 : 주요 대중음악축제를 중심으로

        박송희 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00511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초기 단계인 '대중음악전문축제 기획'에 관한 연구이다. 대중음악축제는 지역예술축제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국가의 음악산업 활성화에 일조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국내외 대중음악축제들의 현황과 운영사례 분석, 성공요인과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대중음악축제 기획의 바람직한 모델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논문의 구성으로 '해외 대중음악축제의 현황과 운영사례 분석' 부분에서는 각각 명확한 성격을 갖고 있는 후지록 페스티벌과 SXSW 페스티벌을 중심으로 축제 행사기획, 개최도시 환경, 운영조직, 재원조성, 프로그램, 무대구성, 홍보물, 운영전략을 제시하고 성공요인을 탐구하였다. '국내 대중음악축제의 현황과 운영사례 분석' 부분에서는 7개의 대중음악전문축제를 중심으로 축제 행사기획, 개최도시 환경, 운영조직, 재원조성, 프로그램, 무대구성을 분석하였다. 결론 부분에서는 해외 대중음악축제의 성공요인과 운영전략을 요약, 정리하고 국내 대중음악축제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대중음악축제 들의 현황과 운영사례 분석, 성공요인과 운영전략 분석, 문제점 분석을 통해서 '대중음악축제의 기획요소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bout 'the planning of pop music festival' which is at the beginning stage in Korea. The pop music festival can contribute to vitalize nation's music industry as well as plays a roll as a local art festival. Also the goal of this study is presenting the desirable model of the planning of pop music festival through the status and operation case analysis, success factors and problems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pop music festivals. 'The status and operation case analysis of overseas pop music festival ' in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researched the overview of festival, environment of the city holding the festival, operation body, financing, program, stage design, advertisements, operation strategy with Fuji Rock Festival and SXSW Festival. Success factors are reviewed from here. 'The status and operation case analysis of domestic pop music festival' also analyzed the overview of festivals, environment of the cities holding festivals, operation body, financing, program, stage design with seven pop music festivals. Finally, the conclusion part summarizes success factors and operation strategy of overseas pop music festivals and presents fundamental problems of domestic pop music festivals. Also 'planning factors of pop music festivals' are extracted from the consideration of the status and operation case analysis, success factors and operation strategy analysis, and problems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pop music festivals.

      • 대중음악축제의 방문동기, 축제이미지가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조은 청주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167743

        Korea's popular music festivals have increased in its scale and number over 10 years of history. Due to the success in 'Incheon Pentaport Rock Festival' and 'Jarasum Jazz Festival' in a few recent years, the added value and the potential of popular music festival are highlighted and new music festival has been soaring. It is the time to conduct studies in various aspects, so that these festivals can be successfully established.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implications to the future planning of popular music festivals and marketing activities, by investigating the effect relationship among visit motivation, festival image and behavioral intention for festival, targeting the visitors to '2010 Incheon Pentaport Rock Festival'. For the study, documentary studies and empirical studies were paralleled. With respect to documentary studies, to derive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the hypotheses for visit motivation, festival images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papers published both home and abroad, relating to these, have been referred to and the relations among relevant variables, were theoretically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study models derived based on documentary study, the study hypotheses were established. For empirical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visitors to 'Incheon Pentaport Rock Festival' in Jul, 2010.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random sampling design was selected, and self-administered method was used. With respect to the finally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PASW 18.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with respect to the satisfaction level of festival, visit motivation and festival images had the effects; indicating that the marketing strategy based on festival images should be prioritized for the improvement of satisfaction level in the future, and musicality and generality should be enhanced. Second, it was identified that with respect to behavioral intention, musicality and emotional images had great effects. Thus, the rate of return visit and recommendation should be enhanced by configuring interesting and dynamic programs, through inviting the musicians with high awareness from the public. Third, it was identified that with respect to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level of festival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satisfaction level of facilities and service was more important than the auditorium. Thus, the strategy based on the facilities and service, regarding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auditorium, such as the improvement of the auditorium and subsidiary facilities, and training of the marshalls and enhancement of their service minds are required. This study make a signification in view that the study targeted the popular music festivals for which no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until now; made a new attempt for an integrated study on visit motivation, festival image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visi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