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대인관계유형이 스마트폰 활용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 Focused on perceived social support

        이현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heck the types of relationship of university students and how perceived social-support influence on addiction to smart phone. And this research has done to see the impact on smart phone addiction by perceived social-support according to the types of relationship. After analyzing the each group (Smart phone addiction = A , General user group = B ), First, In group A, the more willful people turned out to be more smart phone addict and the more appeased people turned out to be less addict to smart phone. In group B, the less willful and less social people turned out to be even more addict to smart phone and generous people tend to have less addict to smart phone. Second, In group A, people who feel that they are supported by their parents materially and feel that they are supported informationally by same sex friends are tend to have strong addict to smart phone and people who feel that they are supported emotionally by their same sex friends tend to have less addict to smartphone. In group B, people who feel that they are supported by the same sex friends informationally tend to have strong addict to smart phone. And people who feel that they are supported emotionally by their same sex friends, and supported materially by their parents tend to have less addict to smart phone. Third, In group A, generous type of people who feel that they are supported materially by their parents tend to have strong addict to smart phone. In group B, unsociable people who feel that they are supported materially by their parents tend to have less addict to smart phone. These results represent that we need to departmentalize the types of people who can be easily fallen on smart phone addi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대인관계유형과 지각된 사회적지지가 각각 스마트폰 중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대인관계유형에 따라 지각된 사회적지지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는 데 있다. 각각 스마트폰 중독군과 일반사용자군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첫째, 스마트폰 중독군에서는 자기주장이 강한 유형일수록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강했고, 남에게 잘 양보하는 유형일수록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약하게 나타났다. 일반사용자군에서는 자기주장이 약하고 비사교적일수록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강하게 나타났고, 남에게 잘 양보하는 유형은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약하게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군에서는 부모님에게 물질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고 지각할수록, 동성친구에게 정보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고 지각할수록 스마트폰 중독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고 동성친구에게 정서적 지지를 받고 있다고 지각할수록 스마트폰 중독 성향이 약하게 나타났다. 일반사용자군에서는 동성친구들에게 물질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고 지각할수록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강했고 동성친구의 정서적인 지지를 받고있다고 지각할수록, 부모님에게 물질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고 지각할수록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약했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군에서는 타인에게 양보를 잘하는 유형은 부모님에게 물질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고 지각할수록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강했고, 일반사용자군에서는 대인관계를 회피하려는 유형이 부모님에게 물질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고 지각할수록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약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스마트폰 중독에 쉽게 빠지는 유형의 사용자들을 좀 더 세분화해서 구분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 あいさつ行動の日韓比較硏究

        김향래 奈良女子大學 2000 해외박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상생활의 다양한 장면 안에서 보여지는 인사행동을 통하여, 사회안의 행동규범및 대인관계의 특징을 사회학적인 시점에서 파악하는데에 있다. 인사행동은, 인간이 사회라는 집단을 형성하며 살아가는데에 있어 필요한 중요한 대인의례의 한 형태로서, 거의 모든 사회가 독자적으로 갖고 있는 행동규범이다. 본 연구에서는 같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이웃나라로서 역사적 ·문화적으로 많은 상호 영향을 끼쳐오고 있는 일본과 한국을 대상으로 하여, 현재 양국에서 보여지는 인사행동을 비교 검토하고자 했다. 서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논문의 구성및 의의에 대하여 논하였으며, 논문의 전체적인 전망과 계획을 세웠다. 제Ⅰ장에서는, 사회언어학적 접근에서 연구되어진 인사행동 연구의 분류및 분석을, 필자가 독자적으로 정리, 수정하여, 제Ⅱ장부터 제Ⅳ장에 걸친 인사행동 연구의 실증적인 조사벙법의 분석 틀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거기에서 확인된 제반 지견을, 비교문화적, 또는 상호작용의례(Interaction Ritual)론적인 접근으로부터 재검토하는 작업을 통하여, 필자 자신의 입장을 명시하였다. 제Ⅱ장과 제Ⅲ장에서는, 가정과 가정 밖의 생활(특히, 회사생활)을 중심으로 하여 실제 생활에서는 관찰하기 어려운 인사행동을, 텔레비젼의 드라마를 사용하여 분석했다. 분석 결과, 가정생활의 경우, 인사행동의 언어적인 표현과 비언어적인 표현의 빈도는 한국에 비해 일본이 각각 2배와 5배에 가깝게 많이 보여졌다. 반면 사회생활의 경우, 언어적인 표현은 한국이, 비언어적인 표현은 일본에서 많이 보여졌다. 인사행동의 정형성 수준은, 전체적으로 볼 때 한국에 비해 일본이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의뢰전후:의뢰할때, 사죄, 감사, 위로>>등 개별적인 장면에서는 일본보다 한국이 더욱 높은 정형성 수준을 보였다. 또한, 일본의 가정생활의 경우, 손윗 사람이 손 아래 사람에게 정중한 인사말을 사용하는 장면이 보여졌으나, 한국의 경우, 그러한 장면이 전혀 보여지고 있지 않아 대조를 이루었다. 제Ⅳ장에서는, 일한의 인사행동이 실제 생활 안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보기 위하여, 일본에 거주하는 한국인과 한국에 거주하는 일본인을 대상으로 앙케이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양국인이 본 한국인과 일본인의 대인관계는 각각, (1 자기 중시형 ⇔ 사회중시형),(2 내용 중시형 ⇔ 형식 중시형),(3 자기 개방형 ⇔ 자기 폐쇄형),(4 절대적 상하관계형 ⇔ 상대적 상하관계형)으로 대비되어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양국인의 대인관계 유형을, 「우리」와「남」이라는 분석 틀 안에서 검토한 결과, 한국인은 일본인에 비해 자기의 관심에 근거한 「우리」의 인간관계를 중시하는 반면, 자기와의 관계가 전혀 없는 「남」에 대해서는 차가운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제Ⅴ장 상호작용의례론에서 본 인사행동은, 일본의 경우, 인사행동의 언어적인 표현에서는 세련된 정형어를 많이 사용하므로써 상대방에 대한 관심과 존경의 마음을 전하는 적극적인 제시적 의례(Presentational Ritual)가 사용 되었다. 그에 비해 한국은, 각각의 상황이나 상대방과의 관계에 따라 다양한 인사말을 구사하는 제시적 의례가 사용 되었다. 또한 일본인의 경우, 상대방과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므로써 회피적 의례(Avoidance Ritual)의 규율을 지키고 있는 반면, 한국인의 경우, 상대방과의 접촉을 통하여 상호 친밀감과 유호적인 감정을 전달하는 경향을 보였다. 종장에서는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일한의 인사행동이, 빈도의 차이, 정형성의 문제, 상하 ·친소관계의 형태에서 각각 상이한 모습을 보이며, 또한 대인관계 유형에서는, 한국인의 「우리」와「남」의 구별의식이 일본인의 그것보다 강하며, 「우리」와「남」에 대한 양국인의 태도 또한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사실을 종합하여 재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인사행동이라고 하는 극히 일상적인 테마를 통하여, 일한의 행동규범 및 대인관계의 특징을 새로운 측면에서 밝혀 보았다. 이러한 인사행동의 일한 비교연구는, 양국간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데에 필요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 대인관계문제유형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중학생의 채팅 중독에 미치는 영향

        안정화 경성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대인관계문제유형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중학생의 채팅 중독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 type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have on the internet chatting addiction of middle-school students

      • 아동의 대인관계 성향에 따른 놀이유형과 자아효능감과의 관계

        장보경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대인관계성향, 즐겨 참여하는 놀이유형, 자아효능감의 일반적인 특성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아동의 놀이경험이 개인의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져 온 자아효능감과의 관계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대인관계성향에 따라 놀이유형과 자아효능감과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비교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4개 초등학교 3, 6학년 남녀 아동 277명이었고, 이들을 대상으로 대인관계성향척도, 놀이유형척도, 자아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방법으로는 t-검정과 상관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대인관계성향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본 결과, 관계지향적인 특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직까지 서양의 개인주의 보다는 우리나라의 집단주의정서가 이어져 내려오면서 아동이 대인관계를 맺는 과정에서 주로 동정·수용·사교·우호적인 관계지향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성에 따른 대인관계성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여아가 남아보다 관계지향적인 특성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결과는 여아가 남아보다는 타인에게 더욱 허용적이고 동정적으로 다가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아동의 놀이유형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본 결과, 모험놀이 참여도가 가장 높았다. 이는 아동들이 자전거나 인라인 스케이트와 같은 모험과 도전요소가 내포된 놀이를 가장 즐겨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성에 따른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경쟁놀이를 남아가 여아에 비해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남아들이 승패가 있는 구기 운동이나, 격렬한 투기 운동 등으로 이루어진 경쟁놀이에 여아에 비해 많이 참여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아동의 자아효능감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본 결과, 신체적 효능감을 가장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요즘의 아동들은 예전에 비해 자신의 용모를 가꾸는데 신경을 많이 쓰고, 영양가 있는 식생활로 건강관리가 잘 이루어지면서 신체적 효능감을 가장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남아와 여아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아동의 놀이유형과 자아효능감은 서로 밀접한 관계이며, 4가지 놀이유형 중 모험놀이와 경쟁놀이가 자아효능감의 모든 하위요인과 가장 밀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모험놀이 중 인라인 스케이트나 자전거 타기, 놀이기구 타기는 혼자서도 할 수 있는 놀이이지만 놀이터나 학교 운동장에서 다른 아동들과 어울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며, 근육을 조절하면서 해야 하는 놀이이므로 자아효능감을 높여주는데 유익하다고 할 수 있고, 또한 경쟁놀이는 규칙을 이해하고, 전략을 짜며, 다른 아동들과 함께 하고, 신체를 대체로 많이 활용하는 놀이이기 때문에 자아효능감의 모든 요인과 상관을 나타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경쟁, 우연, 모험놀이와 자아효능감의 관계는 여아가 남아보다 더 밀접하였다. 즉, 여아의 경쟁, 우연, 모험 놀이 참여도가 높을수록 자아효능감이 높아지는 경향이 남아보다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대인관계 성향에 따른 놀이유형과 자아효능감과의 관계에서 공통적인 특징을 발견하였다. 즉, 대인관계 성향의 세 하위요인의 하 집단이 상집단보다 놀이유형과 자아효능감간의 관계가 더 밀접하였다. 이는 의존적이거나, 친구관계를 잘 맺지 못하거나, 자기폐쇄적인 아동이 그렇지 않은 아동들보다 놀이의 참여도가 높아질수록 자아효능감 향상에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격렬하고 활기찬 놀이들을 주로 포함하고 있는 경쟁놀이와 모험놀이가 사회정서적 효능감 및 신체적 효능감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이는 정적인 놀이보다는 바깥놀이들이 아동의 자아효능감을 높여주는데 더욱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general featur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ndency, types of favorite plays that children participate and sense of self-efficacy. Also,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relationship between play-experience of children and sense of self-efficacy that is proved as important factor for individual development. Researched people are 277 male and female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ndency measure, type of play measure and sense of self-efficacy measure were used for the research. Major research methods are t-test and mutual relation analysis. Followings are summing up of proved results by the research. First, after checking general features of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ndency, it is proved that relationship intended feature is the highest. This explains that sympathy, acceptance, socializing and amicableness are major to be formed as a relationship intended feature when children ent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cause Korean traditional grouping emotion is still stronger than western individualism. As we researched differenc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ndency between both genders, female children is more intended to be relationship intentional, and this explains that female children is more permissive and sympathetic when they try to reach other people. For the ‘children’s types of play’ research, adventure play has the highest participating rate. This explains that children likes some plays like in-line skating or bicycle which implies adventure factor and challenging factor. After research of differences by gender, it is proved that male children do more competitive plays comparing to female children. This explains that male children like to do competitive plays like ball sports or rough fighting sports which is to have winner and loser. After we check general features of children’s sense of self-efficacy, it is proved that children recognize physical sense of self-efficacy most highly. This explains that nowadays, children pay more attention to beauty and as they have better nutritious condition than the past, they feel physical sense of self-efficacy most highly. And for this factor, there is no difference shown by genders. Second, children’s types of play and sense of self-efficacy are in close relation. Adventure and competitive plays are in the closest relation with every sub-factor of sense of self-efficacy among 4 types of plays. That is, adventure plays like in-line skate, bicycle race or rides are able to play alone not like plays in playground or on the ground. Those are to play together with other children and give opportunity to hang out together. Also, they are useful plays to improve sense of self-efficacy because it is needed to control muscles when children play those. Therefore, competition plays are in close relation with all the factors of sense of self-efficacy because children need to understand rules, have strategy, have teamwork wit! h the other children and use their body a lot. Male children are in closer relation with competition, coincidence, adventure plays and sense of self-efficacy. That is, female children's sense of self-efficacy is stronger than male children's when female children's participating rate of competition, coincidence and adventure plays is high. Third, it is proved that common things in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plays up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ndency and sense of self-efficacy exist. That is, sub group of three sub 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 in closer relation with types of plays and sense of self-efficacy than upper group. This suggests it is more effective for the children who doesn't make friends easily or who is dependent or self-closed to improve sense of self-efficacy when they participate plays more than other children who are not like them. Particularly, competitive plays that include dynamic plays in it and adventure plays are in close relation with social and sentimental sense of efficacy. This explains that outside plays is more useful for children to improve sense of self-efficacy that non-moving plays inside.

      • PC통신유형과 청소년의 대인관계 형성에 관한 연구 :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李秉國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사회성 발달이 확대되는 고등학생들을 상대로 PC통신 이용선호 유형과 대인관계형성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려 하는 것이다. 오늘날, 정보화 사회에서 PC통신이 생활화되어 가는 추세에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CMC)에 대하여 종래 논의의 비관적 관점에서는 CMC가 사회성발달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주장이 있는 반면, 낙관적 관점에서는 사회성 발달에 채널로서의 기능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보는 면도 있다. 그러나 CMC 활동을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으로 단언할 수는 없으며, 사용자의 특성, 사용환경 등 다양한 변인별로 상이한 영향을 준다는 주장이 강력하게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C통신 유형을 인격적 상호작용과 비인격적 상호작용이라는 기준을 중심으로 하여 통신메뉴의 선호하는 특성을 세 가지 유형 즉 지식정보추구형, 사교대화형, 게임오락형으로 분류한 후, 이 각각이 청소년의 대인관계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것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PC통신 이용선호유형과 일상의 사회성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PC통신 이용선호유형과 PC통신 내 대인관계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셋째, 일상의 사회성과 PC통신 내 대인관계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이를 조사하기 위해 서울·경기 지역의 12개 남 여, 인문, 실업계 고등학교의 1, 2학년 중 PC통신 가입자만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결과에 대하여 빈도분석, ANOVA분석, 등을 통해 통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C통신 이용선호유형과 일상의 사회성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사교대화형 35.46/50점은, 게임오락형 34.75점, 정보추구형 33.44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ANOVA Test결과 0.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이는 사교대화형과 정보추구형간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다. 둘째, PC통신 이용선호유형과 PC통신 내 대인관계를 알아 본 결과, PC통신 내 대인관계의 사회성 면에서 사교대화형은 62.99/100점 정보추구형은 52.99점, 게임오락형 50.59점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ANOVA Test 결과 0.000수준 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 차이는 사교대화형과 정보추구형, 사교대화형과 게임오락형 간의 평균차이에서 기인한 것이다. 셋째, 일상의 사회성과 PC통신 내 대인관계를 알아 본 결과,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평균적으로는 일상의 사회성 정도에 따라 PC통신 내 대인관계의 사회성은 비례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교대화형은 일상의 사회성 정도에 따라 통신 내 사회성도 비례적으로 증감을 보였으나, 게임오락형은 일상의 사회성은 높은데 반해 PC통신 내 대인관계 사회성은 가장 낮게 나타나 이중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PC통신 활동과 대인관계는 한마디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고 이용하는 선호유형에 따라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본다. 인격적인 상호작용인 사교대화형인 경우는 대인관계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비인격적인 일방 내지 상호작용인 정보추구형이나 게임오락형인 경우는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특히 사교대화형인 경우는 일상의 사회성도 높고 통신 내 대인관계도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볼 때 오늘날 시대에 통신활동이 대인관계의 한 패턴이 되어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제언을 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이 통신유형을 선별 이용할 수 있는 자기통제능력을 길러 주어야 할 것이다. 통신에 중독 되어 많은 시간과 심한 집착을 기울여 생활에 지장을 받아서는 안 된다. 또는 PC통신 자체를 부정적인 면만 염려하여 부모가 차단시키는 것보다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잘 분별하여 정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기통제 능력을 길러 주어야 할 것이다. 둘째,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화 시대에 맞게 PC통신의 문화를 잘 분석하고 관찰하여 역기능적인 면에도 관심을 갖고 청소년들의 문화가 건전하게 발전해나갈 수 있도록 끊임없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relation between the type of utility preference in personal computer(PC) communication and formation in personal relationship about the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magnified in the development of sociality. Today, PC communication is the keynote of life in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Concerning computer media communication, usual viewers take a negative view that computer media communication causes bad influence in development of sociality, on the other hand, possibility of function as channel in development of sociality is affirmative in some positive view. But the maintenance that cannot assert that computer media communication is positive or negative and that affects from various variable of user's characteristic, user's environment and so on becomes strongly influential. So,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ffirmative or negative influence on human relations in youth, I would classify the PC communication type into three classes that The type of pursui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type of social life and conversation and The type of game and pleasure to examine by the standard of personal communication and impersonal communication. The subjects of study are as follows: 1. Will the level of social nature be related to the type of utility preference? 2. Will connection between the type of utility preference in PC communication and the personal relationship in PC communication be related to? 3. Will the real social nature be related to the personal relationship in PC communication? I came into operation to verify this study hypothesis the research of question intended for 600 humanity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freshman or junior, member of PC communication who live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Among the result of question, I collected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the frequency, ANOVA and soo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result between the type of utility preference in PC communication and real social nature, The type of social life and conversation 35.46/50, The type of game and pleasure 34.75, The type of pursui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33.44 was in order of high level of real social nature. And that was caused by difference of 0.01 in the significance level through ANOVA Test between The type social life and conversation and The type of pursui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2. According to the result between the type of utility preference and the personal relationship in PC communication, there were in order of high level of The type of social life and conversation 62.99/100, The type of pursui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52.99, The type of game and pleasure 50.59 in sociality of personal relation in PC communication. The difference was caused by difference of mean between The type of social life and conversation and The type of pursui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type of social life and conversation and The type of game and pleasure. It showed 0.000 in the significance level through ANOVA Test. 3. According to the result between the real social nature and personal relationship, there were no import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ut the sociality of personal relation in PC communication was in proportion to social nature on the average. Especially, The type of social life and conversation increased and decreased in proportion to real social nature with sociality in PC communication but The type of game and pleasure showed up dualism that was high in real social nature, however, was lowest in personal relationship in PC communication. Finally, I cannot assert that an influence on the personal relationship to a personal computer communication is positive or negative but I think that can have an influence by the type of utility preference. The type of social life and conversation which personal communication has an affirma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personal relationship, but The type of pursui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r The type of game and pleasure which impersonal one side or both sides operation hasn't. Especially, The type of social life and conversation has a high level of social nature and a good personal relationship in PC communication, and it means that personal computer communication becomes a pattern of 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these results, proposals for the farther study are as follows: 1. We should cultivate students that could have self control ability that sort out and utilize the type of PC communication. Addicted PC communication that spends much time and shows serious persistence causes people inconvenience. Parents should cultivate students that could have the power of judgement in order to utilize the proper information in a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 rather than intercept the PC communication, worrying about the negative effect in PC communication in itself. 2. We should analyze and investigate the culture of PC communication to meet the contemporary needs in a period of information that is swift and changeful. Farther study should be accomplished successively in order to progress soundly the culture of youth.

      • 대학생의 애착유형과 자아정체감 및 대인관계성향과의 관계

        황경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33342

        애착의 질적특성은 자신과 다른 사람에 대해 상이한 신념을 갖도록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애착유형과 자아정체감 및 대인관계성향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애착유형과 자아정체감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들의 애착유형과 대인관계심향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자아정체감 수준과 대인관계성향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원광대학교에서 인간행동과 심리 또는 선과 인격수련을 수강하는 517명의 대학생을 임으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서 애착유형검사(ECL), 자아정체감검사, 대인관계성향검사가 사용되었다. 연구문제1, 2는 일원변량분(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연구문제 3은 Pearson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에 바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애착유형에 따른 자아정체감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1). 안정형 애착유형의 사람이 두려움형 애착유형의 사람보다 자아정체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애착유형에 따른 대인관계성향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1). 두려움형 애착유형의 사람이 다른 애착유형의 사람보다 지배적-우월적, 경쟁적-공경적, 과시적-자기도취적, 반항적-불신적인 대인관계 성향이 높았다. 셋째, 자아정체감과 대인관계성향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자아 정체감 수준이 높을수록 독립적-책임감적 대인관계성향이 있으며(r=.491), 자아정체감 수준이 낮을수록 반항적-불신적 대인관계성향이 있다(r=-.18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애착유형과 자아정체감 및 대인관계성향과는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자아정체감 확립이 가장 요구되고 대인관계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성인초기의 대학생 시기에 자아의 통합체로서의 자아정체감 확립과 원만한 대인관계형성을 도울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및 상담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또한 사회·정서적 영역의 역기능과 관련이 높은 불안정 애착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과 불안정 애착을 교정하기 위한 치료적 방법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adult attachment style, ident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 tendency. The following problems are concerned with this research. 1. What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ttachment styles and the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2. What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ttachment styles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 tendency of university students? 3. What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dentity level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 tendency? To analyze the above problems, 517 students, sampled from Wonkwang University located in Iksan-city, wer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nd some test models were used, such as Attachment style test(ECL: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identity test, Interpersonal relation tendency. Specifically, F-test(One-way Anova) for the research problem 1 and 2, Significance level test of correlation coefficient for research problem 3 were us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n identity level,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attachment style. And also, the identity level of security attachment style was higher than that of fearful-avoidance attachment style. Second, on interpersonal relation tendency,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attachment style. Especially in the case of fearful-avoidance attachment style, the interpersonal relation was revealed with a dominance-ascendance, competitive-aggressive, exhibitionistic -narcissistic and rebellious-distrustful tendency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styles. Third, the ident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interpersonal relation tendency. The higher in the degree of the identity, the more in independent-responsible tendency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r=.491). The lower in the degree of the identity, the more in rebellious-distrustful tendency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r=-.183). It may be given as a conclusion that the attachment style of the students in university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identity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 tendency. This statistics shows that some training programs and counselling ones need to make the identity established as a self-integration and shape the interpersonal relation harmonized during the university life. From now on with this, the involved ones needs to think of and work out some methods for keeping out the insecure attachment style, mainly related with an dysfunction in social and emotional parts, and correcting it.

      • 大學生의 心理類型과 對人關係性向의 關係 硏究

        백유미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33342

        본 연구는 개인의 심리경향에 따라 대인관계성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여 그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상담장면에서와 일상생활에서 심리경향을 통한 자기이해 및 심리경향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대인관계성향의 예견을 통해 문제의 예방, 치료 더 나아가 원만한 대인관계와 인간성을 갖게 하고 개인 및 집단상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배경변인 즉 성별, 가족형태, 출생순위, 종교 등에 따라 대인관계성향과 심리경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힌다. 둘째, 대학생의 심리유형의 선호지표와 대인관계가 유의한 상관이 있는지를 밝힌다.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4년재 대학에 재학중인 남녀대학생을 대상으로 표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배포된 설문지는 260부이고 회수된 질문지는 240부로써 약 80%의 회수율을 나타냈으며, 회수된 자료 가운데서 무응답이 많거나 신뢰롭게 반응하지 못했다고 판단된 11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29부를 본 연구의 분석자료로 이용하였다. 그리고 자료처리를 위해 사용된 통계방법은 기술통계 및 Cronbach α, t검증, one-way ANOVA, 피어슨 적률상관관계 등이었다. 본 연구의 연구내용을 중심으로 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가족형태, 출생순위, 종교 등 배경변인에 따른 심리경향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둘째, 대인관계성향의 하위영역인 역할성향이 성별에 따라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즉 남학생의 지배적-우월적 역할성향이 여학생보다 크고 집단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남자가 지배적이고 우월적인 성향이 강하다는 선행연구(한광희, 1982)와 일치한다. 한편 가족형태별, 출생순위별, 종교별 등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하위집단간의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독립적-책임감적 역할성향을 보면 성별에 따라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나타내고 가족형태별, 출생순위별, 종교별 등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하위집단간의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독립적-책임감적 대인관계성은 출생순위, 종교, 가족형태와 관련이 없다는 선행연구(심혜영, 1992)와 일치한다. 대학생의 대인관계성향의 하위영역인 사회관계성향이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먼저 사교적-우호적 사회관계성향을 보면, 출생순위에 따라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집단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장남(여)이 다른 형제들에 비해 사교적이고 우호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방문희, 1991)에서 출생순위별에 따라 대인관계성향에 차이가 있다는 것과 일치한다. 한편 성별, 가족형태별, 종교의 유무에 따라서는 하위집단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음으로 동정적-수용적 사회관계성향은 성별, 가족형태별, 출생순위별, 종교별 등의 배경변이에 따라 하위집단간의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음으로 대인관계성향의 하위영역인 표현성향이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분석결과로 경쟁적-공격적 표현성향을 보면, 성별과 출생순위에 따라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즉 남학생의 경쟁적-공격적 표현성향 평균점수는 여학생의 그것과 약 2.03의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집단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출생순위에 따라 집단간에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경쟁적이고 공격적 표현성향이 강하고 출생순위에 따라 집단간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반면에 가족형태별, 종교별 등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하위집단간의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과시적, 자기도취적 표현성향을 보면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성별과 출생순위에 따라 과시적-자기도취적 성향이 차이가 있다는 선행연구(방문희, 1992)와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으로 반항적-불신적 표현성향에서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집단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나머지 가족형태별, 출생순위별, 종교별 등의 배경변이에 따라서는 하위집단간의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대인관계성향과 심리경향간의 상관관계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향적-내향적 심리경향과 사교-우호적 성향이 가장 높은 부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 즉 외향적인 경향을 가진 사람일수록 사교-우호적 성향이 강하고 이와 마찬가지로 이들은 과시적-자기도취적 성향도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지배적-우월적 성향, 경쟁적-공격적 성향 순이었다. 그러나 동정적-수용적 경향과 반항적-불신적 경향에 있어서는 .10이하의 대체로 낮은 상관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감각적-직관적 심리경향과 부적상관을 나타내고 있는 대인관계성향의 하위영역으로는 경쟁적-공격적, 과시적-자기도취적 성향이 있다. 반면에 감각적-직관적 경향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지배적-우월적, 동정적-수용적, 사교적-우호적, 반항적-불신적 성향이다. 직관적 심리경향과 가장 좋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반항적-불신적 성향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대인관계성향과 감각적-직관적 심리경향의 상관에 있어서는 .10이하의 대체로 낮은 상관을 나타냈다. 이러한 상관계수는 영가설 하에서 표집오차로 인해 발생할 확률로 추정해 본 결과 대인관계성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대인관계성향과 사고적-감정적 심리경향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사고적-감정적 심리경향과 부적상관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지배적-우월적, 독립적-책임감적, 동정적-수용적, 경쟁적-공격적 그리고 과시적-자기도취적 성향이다. 반면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사교적-우호적 성향과 반항적-불신적 성향이다. 사고적-감정적 심리경향과 경쟁-공격성향이 가장 높은 부적상관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사고적 경향을 가진 사람일수록 경쟁-공격적 성향이 강하고 이와 마찬가지로 이들은 독립적-책임감적 성향도 높다. 그러나 사교적-우호적 경향에 있어서는 .10이하의 대체로 낮은 상관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판단적-인식적 심리경향과 부적상관을 나타내고 있는 대인관계성향의 하위영역으로는 독립적-책임감적, 사교적-우호적 성향이 있다. 반면에 판단적-인식적 경향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지배적-우월적성향, 경쟁적-공격적 성향, 과시적-자기도취적 성향 그리고 반항적 불신적 성향이다. 판단적-인식적 심리경향과 독립적-책임감적 성향이 가장 높은 부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 즉 판단적 경향을 가진 사람일수록 독립적-책임감적 성향이 강하고, 이들은 대체로 낮은 수준이었지만 사교적-우호적이 나타났다. 그리고 나머지 지배-우월적, 동정-수용적, 경쟁-공격적, 과시-자기도취적 성향은 대체로 낮은 상관을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cover the correlations between personal psychological tenden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rientation in undergraduate students. To attain the goal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llowing research contents by looking at differences in personal characteristics: First, this study uncovered som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tendency; second, this study uncovered some differences in interpersonal relations orientation; and third, this study uncovered correlations between psychological tenden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rientation. The sample for this study was answers to questionnaires given to 229 undergraduate students from 2 universities in Daejeon. The questionnaires collected were coded for data processing. The statistical methods for data processing were Cronbach α, t-tests, one-way ANOVA, and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The conclusions that resulted from data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depending on responser's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sychological tendency. Second, based on the responser's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personal relations orientation. That is, to be male, they appeared to have a higher dominant-superiority and independent-responsible role inclination. To be first-born persons, they appeared to have a higher social-friendly relationship style. In the expressional inclination, to be males, to be first-born persons, they appeared to have a higher competitive and offensive inclination. Finally, there were som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ersonal psychological tenden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rientation. Especially, there was a highly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extroversion-introversional tendency and social-friendly relationships style. That is, the extroversions are more social and friendly in interpersonal relations than introversions.

      • 초등학교 특수학급 경도장애아동의 놀이유형과 대인관계성향

        김해숙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3342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경도장애아동의 놀이유형과 대인관계 성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광주, 하남, 일산, 안성, 인천 소재 초등학교 특수학급 경도장애아동을 대상으로 2007년 9월 27일부터 10월 20일까지 우편, 이메일, 직접전달 방식으로 120부를 배부하였고, 경기도 광주 11학급, 하남 3학급, 일산 2학급, 안성 2학급, 인천 2학급 지역 초등학교 특수학급 18개교 20학급을 대상으로 총 106부를 회수하였으며 설문에 응한 106명(88%)중 불성실한 응답 한 1부를 제외하고 105부의 사례를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장보경(2006)이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재구성, 보안하여 제작한 놀이유형 척도와 대인관계성향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11.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배경변인에 따라서 놀이유형과 대인관계 성향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변인 분산 분석(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특수학급 아동의 놀이유형과 대인관계 성향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적률상관계수를 구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특수학급 경도장애아동의 성별에 따른 놀이유형 조사 결과, 경쟁놀이, 우연놀이, 모방놀이, 모험놀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특수학급 경도장애아동의 학년에 따른 놀이유형 조사 결과, 경쟁놀이, 우연놀이, 모방놀이, 모험놀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특수학급 경도장애아동의 성별에 따른 대인관계 성향조사 결과, 역할성향, 관계성향, 표현성향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교 특수학급 경도장애아동의 학년에 따른 대인관계성향조사결과, 역할성향, 관계성향, 표현성향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초등학교 특수학급 경도장애아동의 놀이유형과 대인관계 성향 조사 결과, 모험놀이와 역할성향 간의 관계를 제외하면, 놀이변인들과 대인관계 성향 변인들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경쟁놀이, 우연놀이, 모방놀이에 많이 참여 할수록 역할성향, 관계성향, 표현성향의 점수가 높았다. 모험놀이에 많이 참여 할수록 관계성향, 표현성향의 점수는 높았으나 역할성향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이 제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