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목회상담을 통한 스트레스 극복에 관한 연구

        성찬용 亞細亞聯合神學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stresses and strains can be coped with through effective pastoral counseling. The following, therefore, is to suggest a few ways to relive stress. A. Discipline Yourself through Religious Practice Stress is surmountable through religious discipline. Religion helps us cope with the problem and go above and beyond it. Religious practice is a resource to use to get rid of stress. First, worship God. Worship is of primary importance in terms of conversation with the Lord, service devoted to Him, throughout our lives and a channel for restoring relationship with the Almighty. joyous and peaceful life can be achieved by offering gratitude and glorification to the Lord. Therefore, worship is resource of value in terms of restoring relationship with God and opening a conversation with Him. Second, pray to God. Through Practing incessant prayer, one of precious tools, to help restore a relationship with the Lord and to escape stress, Christians can overcome uneasiness and anxiety, which are byproducts of stress. Third, study the Bible. Religious practice is also possible through reading and studying the Holy Book because incessant meditation and conversation with scriptures surely enables us to cope with stress. The incomparable privilege of pastoral counsellors is to give guidance and meaning to life on the basis of the Bible. Religious practice through Scripture meditation is, therefore, indispensable for getting energy, ability, and courageous mind through which we are able to come over all the sources of stress. The Bible opens a channel to know God's will, changes our lives, consoles our sorrows, and grants emotional well-being. B. Accept the Guidance of the Holy Spirit Pastoral counseling can be successful with the help of the Holy Spirit. Competent counselors, therefore, are unable to give counsel without the Holy Spirit. A harmonious combination of the two roles of the Holy Spirit sanctification and regeneration enables Christians to acquire the ability to help people. Pastoral counselors have to recognize the comprehensive involvement of the Holy Spirit in counseling and ask for His guidance and help because pastoral counseling is under the guidance of the Holy Ghost. First, the Holy Spirit is a counselor. and the fountain for the development of all the virtuous spiritual fruits inclusive of sanctification. Besides, the Holy Spirit bestows rebirth on sinners who are doomed to eternal death. Second, the Holy Spirit works in on a counselor. The Holy Spirit works through the Scriptures, through groups of believers, and though their worship. Also, the Holy Spirit not only works in a counselor but also helps develop himself to be come intuitive and intelligent. Third, the Holy Spirit works in a counselee. The pastoral counselor works on the assumption that counseling will bring in a counselee fundamental changes in terms of personality and life. He believes in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working in a counselee to be converted and sanctified. The Holy Spirit makes him aware of his sin and helps clarify his problems through counselling. With the power of love, the Holy Ghost guides him to spiritual maturity through counseling. C. Seek after Christlikeness Christlikeness implies other-centeredness and powerfulness. Jesus Christ also came over stress through other-centeredness and powerfulness. He served his neighbors and highlighted an other-centered life while showing exemplary leadership. His incarnation, ministry, and redemption prove well that His personality was entirely other-centered. His personality and authority originated from and were empowered by the Holy Spirit. His omnipotence brought the dead back to life, healed physical and psychological wounds, and helped mature people's personalities. Therefore, we need to be transformed into other-centered person and use the abilities bestowed by God in a more positive, constructive way. When a counselee puts off his old self-centered self and puts on the new other-centered self through counseling, he will be able to come over stress with a new attitude of mind.

      • 김소진 소설 연구 : 갈등 및 극복의 양상을 중심으로

        박혜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고는 90년대 문단의 조류와는 다소 동떨어진 지점에서 독특한 문학세계를 구축했던 김소진 소설 속 갈등을 전체적으로 살펴보고 그 원인과 양상 및 갈등 극복의 양상을 탐색한 논의이다. 김소진 소설 속 갈등에 대한 논의는 주로 ‘아버지’나 ‘어머니’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아버지, 어머니와의 갈등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만, 김소진 소설 속 갈등 및 극복의 양상에 대한 전체적인 연구가 이뤄지는 것이 김소진 소설세계를 탐구하는 데 보다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어 논의를 펼치게 되었다. 본고의 연구 범위는 미완성된 작품을 제외한 김소진 소설 전체이다. 김소진 소설에 나타나는 갈등을 분석하는 연구방법론으로 사회학, 심리학, 문학에서의 갈등이론을 고찰하였다. 사회학에서의 갈등이 개인과 그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세력 사이의 갈등에 중점을 두었다면 심리학은 개인 내면의 갈등에 중점을 두고 있다. 문학에서의 갈등은 그것이 소설의 핵심요소로 기능하는 것에서 중요성이 드러난다. 작품 속에서 갈등의 양상과 결말은 작가의 역량과 개인적 성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소설의 핵심을 드러내주는 중요한 단서가 되며, 작가의 세계관과 연결되어 소설의 주제의식을 드러내주기도 한다. 또한 개인의 내면적 갈등이라 할지라도 그것이 사회와 따로 떨어져서 발생할 수는 없기 때문에, 갈등을 통해 당대 사회의 변화 모습까지도 파악해낼 수 있다. Ⅱ장에서는 김소진 소설에 나타나는 갈등을 크게 가족과의 갈등, 사회와의 갈등으로 구분하였다. 가족과의 갈등은 다시 아버지와 나의 갈등, 어머니와 나의 갈등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사회와의 갈등은 다시 밥풀떼기들이 가난으로 인해 사회와 겪는 갈등, 지식인이 이데올로기와 겪는 갈등으로 나누어 각 갈등의 양상과 원인을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의 갈등이 극복되는 양상과 갈등의 해결 모색에 대해 살펴보았다. 가족과의 갈등에서 아버지에 대한 갈등은 아버지의 시대 및 아버지의 자리를 이해함으로써 갈등의 극복으로 나아가게 되고 이는 다시 어머니의 자리를 이해하는 것으로 이어져 어머니와의 갈등도 극복하게 된다. 그러나 사회와의 갈등에서는 밥풀떼기들과 사회와의 갈등 및 지식인들과 사회와의 갈등은 갈등을 극복하지 못하고 갈등의 해결을 모색하는 데 그쳐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김소진 소설의 갈등의 양상 및 극복, 해결 방안의 모색의 의미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김소진 소설에서 아버지는 테제도 안티테제도 아니었지만 결국 그 테제와 안티테제에 의해 희생당한 삶을 살아가야만 했고, 어머니의 삶 역시 그러했다. 아버지의 이야기는 단순한 가족사를 넘어 우리의 현대사로 확대된다. 김소진의 상처는 그 혼자만의 것이 아니라, 가족은 물론 미아리 산동네에 삶을 부리고 하루하루를 견디는 밥풀떼기들의 삶이기도 한 것이다. 아버지와 관련된 가족사에서 남북분단의 역사적 아픔을 그려내고, 더 나아가 가족을 둘러싸고 있는 달동네 이웃의 삶의 모습을 통해 그 시대 민중의 구체적인 일상의 세계로 되돌리는 인식의 확대를 보여준다. 또한 80년대 운동권 지식인들이 이데올로기-사회와 겪어야 했던 갈등을 그려내어 현실의 부정성을 고민하고 이들의 모습을 통해 현재 우리의 삶을 성찰하게 한다. 본 연구는 이전의 김소진 소설의 갈등에 대한 연구가 아버지와 어머니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것에서 더 나아가 김소진 소설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갈등 및 극복의 양상이 의미하는 바를 좀 더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살펴 본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본 연구가 김소진 소설 속 갈등 및 극복의 양상에 대한 완결된 논의라 할 수 없지만, 짧은 작품 활동기간에도 불구하고 자신만의 문학세계를 펼쳤던 김소진 소설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This piece of writing generally looks at the conflicts in the stories written by Kim, So-Jin that constructed a unique literature world in a different view to the literature trend on the 1990's, and is a discussion that investigates the causes & aspects, and the aspects of the overcome conflicts. The discussion on the conflicts in the stories written by Kim, So-Jin mainly focuses on the 'father' or the 'mother'. The discussion was made as conducting a general research on the conflicts and overcoming aspects in the stories written by Kim, So-Jin was thought to be more appropriate than investigating the story world of Kim, So-Jin,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the conflicts between the mother and the father is large. The research range of this writing is the whole story written by Kim, So-Jin, excepting the unfinished pieces. The study methodology that analyzes the conflicts in the stories of Kim, So-Jin was used to observe the sociology, psychology, literature conflict theories. If the conflicts of sociology focused on the conflicts of an individual, or between the individual's surrounding influences, the psychology would be focusing on the inner conflicts of an individual. The importance can be seen within the conflicts of literature as they function as the main factor of the story. As the aspects of conflict within the piece, and the conclusion are varied depending on the capability and the personal taste of the author, they become an important condition that tells the core of the story and emphasizes the topic of the story as it links with the outlook of the world. In addition, the change of today's society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conflicts, as the inner conflicts of an individual cannot arise when separated with the society. Chapter II is divided largely into conflicts within families and society of the stories written by Kim, So-Jin. The conflicts within families were re-divided into the conflicts between father and I, mother and I and were observed. The conflicts within the society were divided into conflicts within the society due to poverty, and the ideologic conflicts to observe the aspects and causes of each conflict. Chapter III looks at finding the solution to the aspects and conflicts that are overcome in Chapter II. The conflicts within family understand the generation and position of the father to overcome the conflicts, then the position of the mother is understood to overcome the conflict of the mother. The conflicts within the society however, does not overcome the conflicts between the low-class and the society, and the conflicts between the intellectual and the society, to understand the limits of finding the solutions. Chapter IV observes the meanings of the aspects and overcome of the conflicts in the stories of Kim, So-Jin, and finding the solutions. In the story written by Kim, So-Jin, the father was neither of These nor anti-These, but had to live a life full of sacrifice owing to the These and the anti-These and so did the mother. The story of the father expands from a simple family history to our modern history. The pain of Kim, So-Jin is not felt alone, but is felt by the families as they live a low-class life that survives by settling in the poor areas. The family history relevant to the father draws the historic pain of the North and South division, and shows the expansion of the cognition that restores the regular world of the people in that period through the lives of the poor neighbors who surround the family. Furthermore, it shows the conflicts that had to be faced by the activist group intellectuals of the 1980s with the ideology society, to worry about the reality denial and makes us introspect our current lives on this. This study stretches out further from the study on the conflicts of the former stories written by Kim, So-Jin that focused on the father and the mother, to target the whole story so that the meanings of the conflicts and the aspects of overcome can be signified by a systematic analysis. Even though this study cannot be said to be a completed discussion on the conflicts and aspects of overcome within the story of Kim, So-Jin, it aims in expanding the understanding range of the stories written by Kim, So-Jin that opened up a unique literature world, despite the short period of work on it.

      • 혈액투석환자의 극복력 측정도구 개발

        김은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7

        만성질환자수가 늘어나면서 만성신부전 환자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 혈액투석환자의 수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며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혈액투석환자들은 질병으로 인한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자가간호를 하며 혈액투석기에 의존하며 평생 살아가야 한다. 혈액투석환자들에게는 혈액투석이 생명연장을 위한 유지치료로서, 남은 인생을 잘 살아가기 위해서는 위기를 극복하며 한단계 성장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극복력은 역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여 역경 이전수준으로 돌아가는 힘이나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혈액투석환자와 같은 위기를 극복하며 살아가야 하는 환자에게 반드시 필요한 개념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혈액투석환자의 극복력의 개념 및 측정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극복력의 개념 및 속성을 밝히고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3단계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 단계는 Shuwartz-Barcott & Kim (2000)의 혼종모형(Hybrid Model)에 따라 문헌고찰(국,내외 문헌31편)과 현장연구(K대학교 부속병원 혈액투석환자 7명)를 분석하여 혈액투석환자의 극복력에 대한 개념을 개발하여 그 속성을 파악하고 정의하여 3가지 차원 및 10가지 속성이 도출되었다. 두 번째는 도구 개발 단계로, 첫 번째 단계에서 분석한 혈액투석환자의 극복력 차원 및 속성들을 토대로 혈액투석환자 극복력에 대한 측정도구의 초기 문항을 25문항이 도출되었으며, 내용타당도 검정과 안면타당도 검정을 통한 문항수정으로 최종20문항으로 구성되였다. 세 번째는 도구평가단계로 개발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소재 K대학 부속병원 인공신장실 및 신장내과 통원환자 중 혈액투석환자 125명의 참가자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8월부터 9월까지 시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AMOS 2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3개 요인(삶에서의 긍정적 의미추구, 자신의 일상으로 혈액투석의 수용, 소중한 인간관계를 통한 삶의 의지 구축)이 추출되었으며 본 도구의 전체 설명력은 64.01%으로 충분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다. 확인적 요인분석 에서는 모형적합도 검정을 통해 모형의 수용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집중타당도 검정을 통해 구성개념을 일관되게 잘 측정하는지 확인하였다. 기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혈액투석환자의 극복력 측정도구와 코나-데이비슨 회복력 척도(CD-RISC) 간의 상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기준타당도가 검증되었다. 구성개념 타당도에서 판별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혈액투석환자의 극복력 측정도구와 인지된 무력감 측정도구 간의 상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판별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의 Cronbach’s α 값은 .936이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 계수는 .852로 도구의 안정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도구에서는 반영이 되지 않았던 혈액투석환자의 극복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고, 개발된 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본 도구는 혈액투석환자의 극복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중재연구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며, 이론 및 실무에 다양하게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분단극복을 위한 교회의 역할

        강주석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의 목적은 먼저 민족의 분단이 우리 사회에 가져온 부정적인 영향을 기술하는 것이다. 그리고 교회가 왜 이 분단의 문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지를 살펴보고, 또 분단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교회의 본질적인 사명과 연결되어 있다면, 교회는 어떤 구체적인 노력을 기울일 수 있는지를 나름대로 제시해 보았다. 1장에서는 한반도 분단의 현실을 직시하고자 했다. 세계적 차원에서 탈냉전이 도래했고 따라서 한반도에도 냉전의 결과물인 분단을 극복하고 통일을 이룩하기 위한 새로운 환경이 형성되었다. 사회주의권이 몰락하였고 그것과 무관하지 않게 북한체제는 위기를 맞이하게 된다. 그러나 '탈냉전시대의 비동시성'으로서 한반도의 상황은 여전히 냉전적 대결구도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물론 김대중 정부가 선택한 대북포용정책의 성과로서 남북정상회담이라는 소중한 결실도 있었다. 하지만, 2001년 8.15 민족통일대축전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 사회는 아직 냉전의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남과 북의 분단은 남한 내에서도 분열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왜 우리사회에는 이와 같은 냉전의식이 여전히 강력한 효력을 발휘하고있는가? 이어지는 글에서는 반공주의와 관련해서 남한사회에 어떻게 분단의식이 형성되었고 재생산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해방공간, 한국전쟁 그리고 군부독재의 통치기간 등, 시대에 따라 생산되고 확대 강화된 반공주의가 한국사회에서 갖는 위치는 각별한 것이었다. 특히, 이러한 분단의식이 재생산되는데 있어서 한국의 보수언론은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어서 분단이 국내정치 발전에 얼마나 큰 장애 요소로 작용했는지가 언급되었다. '적대적 의존관계와'와 '통일정치게임'이라는 개념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남과 북의 정치세력들은 모두, 민족의 분단을 자신들의 정권안정을 위해 이용해 왔다. 또한 국가안보를 구실로 국가폭력을 자행하면서 사회가 민주적으로 성숙되지 못하게 했다. 1장의 마지막에서는 한반도에 엄존하고 있는 군사적 대립의 상황을 살펴보았다. 한반도에서는 여전히 '주적'인 북한에 의한 위협을 구실로 군비증강의 악순환이 지속되고 있으며, 과도한 군사화는 경제적인 손실 뿐 아니라, 사회전반에 걸쳐 다양한 차원의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2장에서는 앞에서 언급된 한반도 분단의 현실을 비구원의 상황으로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교회 통일사목의 원리를 살펴보고자 했다. 우선 우리가 추구하는 통일은 서로를 적대하는 분단요인들을 해소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룩되어야 한다. 같은 맥락에서 교회의 통일사목도 분열이라는 비극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에 집중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교회는 민족의 화해를 위한 노력을 전개해야 한다. 분열을 죄의 결과로 파악하는 그리스도교적 전통에 따라 이 비구원의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느님과 화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런데 그 화해 역시 바로 하느님께서 원하시기에 가능한 것이고,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통해 이미 우리에게 주어진 것이다. 하느님과의 화해를 통해 인류는 서로 화해할 수 있으며, 화해를 통해서만이 분열이 극복될 수 있다. 이어서 우리가 지향하는 통일의 의미를 성서적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구약의 이스라엘 백성은 통일왕국의 분열을 체험하면서 유배라는 가장 비참한 상황을 맞이했고, 여기에서 분열된 것이 하나로 모아지고 죄가 용서되며 하느님의 정의가 실현되는 새로운 희망을 기대하게 된다. 예수님도 사회적 약자들을 거부하지 않으시고 분열된 이스라엘 백성을 모으시려 했으며, 또한 초대교회에서도 여러 공동체들이 각자의 다양성을 유지하면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 안에 일치를 이루려는 노력을 계속했다. 3장에서는 분단을 극복하기 위해 교회가 어떤 구체적인 노력을 기울일 수 있는지를 제시해보고자 했다. 먼저 주교회의 민족화해위원회의 유래와 활동 등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았고, 민족의 화해를 위해 상징적이며 실제적인 행동으로서 교회의 참회를 언급했다. 교회가 분단체제의 형성과 고착화에 일정부분 기여했다는 사실은 스스로를 부끄럽게 한다. 그러나 교회는 이런 반성과 고백행위, 그 자체를 통해서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실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교회가 분단 극복을 위해 구체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면, 앞에서 언급되었던 국가보안법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가보안법은 분단을 고착화시키는 악법일 뿐 아니라, 사회의 민주적 발전을 가로막아왔으며, 이제는 그 필요성 자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해야 할 시점이 되었다. 이어서 교회가 외면할 수 없는 시급한 현안 중에 하나로 북한이탈주민의 문제를 언급했다. 교회는 민족의 화해를 위해서 북한이탈주민에 당연한 관심을 보여야하고, 남한에 정착하지 못한 북한이탈주민에 대해서도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중국 내 북한이탈주민'들에 대해서도 민족의 화해라는 취지에 어긋나지 않는 접근이 필요함을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북한의 복음화 문제를 언급했는데, 북한 선교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 즉 '재건주의 노선'은 개선되어야 함을 지적했다. 공동선이 실현되는 통일국가를 위해서 어느 한쪽에 의한 흡수통일이 지양되어야 하는 것처럼, 남한교회의 일방적인 역할을 절대시하는 좁은 의미의 '선교'에서는 진정한 화해의 정신을 찾아볼 수 없다. 또한 북한의 복음화를 위해 대북지원사업이 갖는 각별한 의미를 언급했다. 대북지원사업은 북한 주민들 겪는 비구원의 상황을 개선시키는 실질적인 활동이면서, 종교에 대한 반감이 강한 그들에게 교회에 대한 우호적인 감정을 전달할 수 있는 등, 우리가 지향하는 복음화의 다양한 측면을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교회는 평화를 중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평화를 구현하기 위한 교회의 사명은 인간 내면의 영적 차원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인간 사회의 모든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한반도의 분단 상황이 평화와는 거리가 먼 비 구원의 상황이라면, 교회는 당연히 분단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전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감상적인 통일 지상주의나 부국강병을 위한 통일 등, 통일에 대한 기존의 당위성들에 비판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교회가 지향하는 통일의 원리는 더 큰 설득력을 갖는다. 우리가 지향하는 통일은 다양한 가치들이 인정되고 사회적 약자들에게도 해방이 선포되며, 궁극적으로 하느님의 정의가 실현되는 평화를 위한 것이어야 한다. 그리고 이는 민족의 진정한 화해를 통해서만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참된 화해란 정의와 무관한 것이 아니며, 바로 정의가 실현되고 평화가 이룩되는 것이다. This paper has been written to look at the negative parts which the division brought in Korean society. And also thought of the church's role in this problem. In the first chapter, I wanted to show the reality of the division of Korea. After the World War II, the cold war came to the whole world. But Korea tried to overcome the division and to be united in one. And Socialism became ruined after the Cold War, which gave a big shock in North Korea. But still Korea wasn't free from the Cold war. Though the Government of Kim Dae Jung chose political measures or tolerance, and it made possible of North and South Korea's conference. But as you can see in 8.15 festival which held in 2001, our society still has many difficulties escaping of the Cold War system. And it brings many divisions inside the South Korea. Then why a Cold War still has a strong effect on our society? I wanted to think of Anti-communist and how it took shape and reproduce in South. It had many differences during the times of liberate, Korea War, and dictatorship of military armies. And specially conservatism speeches gave a strong effect in reproducing Anti-communist. After that I wanted to show how many obstacles had been in South's politic because of the division. North and South politicians used the division to settle the political power. And also made far from democratic. In the last part of the first chapter, I wanted to look at the reality of Korea Military, which stands face to face. Still in South Korea, military extension happens by excuse of North's violence. But it's only a loss of economy, and it just brings only negative problems. In the second chapter, I wanted to look at the Catholic church's role of overcoming the division. First, we have to pursue the unification by getting rid of hostile relations. So also the church has to work for the same propose, and make an effort of reconciliation. In catholic doctrine, a split is a result of humans sin. So, first we have to make peace with God. And it's what God wants most of. Jesus showed it by his cross. We can make peace only by compromising with God. And I thought of the meanings of overcoming division in the Bible. In the Old Testament, Israel had to experience banishment by their division. And when they recover it and became an one nation, their sins had been all forgiven and God's justice came true. Jesus Christ tried to gather Israel which was seperated during his life, and became friends with people who had no power. And the early stage of church also tried to unite together in God by keeping it's variety. In the third chapter, I tried to show what can the church do in reality ways to recover the division. First, I search short of what it did and do in conference of bishops a committee of making peace. And what the church do in actual conditions. In the past Catholic helped in some ways of division. But nowadays after many reconsideration, Catholic tries to make reconciliation and harmony between North & South. If the church starts to be in a realistic role, it has to be concern in the law for national's security. The law for national's security sticks to the division and stops democratic growth. And I wanted to think of North Korean who left their country. Of course Catholic church has to take care of them and give appropriate help. And also help the people who left North, but went to China. In the last part, I referenced delivering good news to North. Nowadays we have to make a new understanding. To make a real united country is not being united from one country. So we can't find a sincere compromise in South Korea' church which importants an one way reconciliation. It's just a narrow Preaching religion. And I reminded of the special meaning of helping North for delivering good news. Helping North can be a realistic activity of improving the North's condition, send the chuch's good images. We could satisfy our variety values of which we design of good news. Catholic church has to bring peace in this sad situation. Church's work don't stop at person's spirit, it includes every part of human society. And what Catholic designs of unification is more adapted to nowadays thoughts as just mental thoughts of unification and an unification for powerful nation. Our dream of unification is concluding such different values, a man of feeble strength can also enjoy freedom, and profoundly be peaceful with justice of God. And it can only come true with reconciliation which has true hearts. Reconciliation always walk with justice and peace.

      • COVID-19감염전담병원 간호사의 극복력과 긍정심리자본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원수용 한양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2020년 국내 COVID-19 감염병이 발생한 이후 COVID-19 감염전담병원으로 지정된 종합병원 간호사의 극복력과 긍정심리자본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의 감염전담병원으로 지정되어 운영 중인 6개의 경기도의료원(포천, 의정부, 파주, 수원, 안성, 이천) 지역거점공공병원에서 COVID-19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격리 입원 중인 환자를 직접 간호한 지 3개월 이상 된 간호사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자료수집은 IRB 승인을 받은 후, 2022년 3월 30일부터 4월 13일까지 하였으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121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Polk의 극복력 간호모델을 근거로 개발한 극복력 측정도구(박미미 & 박지원, 2016), Luthans와 Youssef가 개발한 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 (PCQ)를 간호사 대상으로 수정·보완한 긍정심리자본 측정도구(김인숙, 2015)와 Pines, Aronson과 KAfry가 개발한 도구를 간호사 대상으로 수정·보완한 소진 측정도구(문숙자 & 한상숙, 2011)를 사용하였다. 최종 12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OVID-19 감염전담병원 간호사의 극복력 점수는 5점 만점에 3.71±0.53점, 긍정심리자본 점수는 5점 만점에3.48±0.56점, 소진의 점수는 5점 만점에 3.14±0.69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극복력은 연령(t=-2.36, p=.020), 최종학력(t=-2.03, p=.045), 코로나 환자 교육 횟수(t=4.91, p=.003), 개인보호장구 착용 교육 횟수(t=-2.88, p=.005), 주관적 건강상태(t=7.18,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긍정심리자본은 연령(t=-3.06, p=.003), 결혼 유무(t=3.29, p=.001), 최종 학력(t=-2.37, p=.020), 근무 경력(t=3.68, p=.014), 코로나 환자 교육 횟수(t=5.68, p=.001), 개인 보호장구 착용 교육 횟수(t=-3.47, p=.001), MERS 확진환자 및 의심환자 간호 경험(t=2.64, p=.010), 거주 형태(t=4.07, p=.020), 주관적 건강상태(t=8.23,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은 연령(t=2.94, p=.004), 결혼 유무(t=-2.51, p=.013), 근무 경력(t=3.07, p=.031), 평균 근무 시간(t=-2.30, p=.023), 개인보호장구 착용 교육 횟수(t=2.09, p=.039), MERS 확진환자 및 의심환자 간호경험(t=-2.73, p=.007), 주관적 건강상태(t=23.71,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극복력과 긍정심리자본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89, p<.001), 극복력과 소진 간(r=.-67, p<.001), 긍정심리자본과 소진 간(r=.-72, p<.001)에는 모두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6. 대상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긍정심리자본(β=-.418, p=.004)이 부(-)의 영향을, 주관적 건강상태에서 보통(β=.19, p=.008)과 건강하지 못한 편(β=.33, p<.001)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모형의 설명력은 58.8%로 나타났다(F=15.27, p<.001). 본 연구 결과, COVID-19감염전담병원 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감염전담병원 간호사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 긍정심리자본 강화와 건강상태를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국가적 차원의 다양한 지원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어머니의 극복

        김근면 고려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study was developed to find and analyze the resilience type of mothers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children by using Q-methodology and prepare the basis of the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to improve the resilience of mothers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children. The Q-population was organiz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11 mothers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children aged 3 to 7 and by referring to the related literature. A total of 41 Q-sample was selected after gathering opinions from professtionals on randomly -selected statement. The researcher selected the final 41 statements that are believe to represent the resilience in terms of philosophical, dispositional, relational, situational patterns. Based on the P-sample of 27 mothers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children, Q-sorting was performed by 9-point-scale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subjective recogni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rough PC-QUNAL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6 resilience types of mothers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children. Type I : 『 The pursuing positive meaning』 Mothers in type I 『The pursuing positive meaning』 tend to rely on spirituality when they face adversities related to their children and to use resources actively with positive attitude in order to overcome the adversities. For this type, they need the nursing intervention strategy which could strengthen the strong points, provide successive information to cope with the problems which might occur as children grow in the long term view and reinforce supporting systems enabling them to get over it through correlating community resources. Type II : 『 The pursuing supportive relationship』 Mothers in type II 『The pursuing supportive relationship』 consider the adversities related to their children as their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They are likely to thought their social self is important and resolve the problems by means of their social relationships, whereas it is possible for them to be daunted because of a sense of inferiority in their relationships. Therefore, this type needs the nursing intervention strategy which encourages them to accept the situation positively by making attachment to their children. What is more, the nursing intervention should make their fathers participate in children''''s treatment and education, so that the family-support could be realized. Lastly, by making people share information at the self-help group, it can improve self-efficacy and prevent them from being dispirited in the relationships. Type III : 『 The head for self-achievement 』 Mothers in type III 『The head for self-achievement』are apt to overcome adversities by their strong sense of self and identity. Since they apt to react sensitively against children''''s effect and resolve stressful situations by themselves, we have to provide them with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children''''s conditions and appropriate guidance about the treatment and teaching methods so as to help them keep a consistent attitude for their children. Moreover, the nursing intervention should include stress-management skills for prevention against burn-out. Type IV : 『 The determined 』 Mothers in type IV 『The determined』 are likely to have strong wills to overcome adversities by themselves at all times and to make an effort continuously owing to the fact that they put their children''''s treatment and education first over anything. Although it is desirable that they are devoted to the treatment and education, we have to think about family-oriented therapy as planning the nursing intervention; through the methods which relieve the mothers from stressful time and involve husbands in the treatment and education, which are also good for conjugal relations. Type V : 『The self-accusation 』 Mothers in type V 『The self-accusation』 trait to recover the balance focusing on the causal attribution of disability and accept the children''''s disability. They will overcome the adversities alone. But they have a sense of inferiority and withering due to the negative self-esteem therefore they apt to be unsociable and isolated. Thus, the nursing intervention should satisfy the needs by providing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the children treatment and education to help parents to admit their negative situation positively and to be active on overcoming. It also needs to include the methods which make mothers peaceful and create a stable atmosphere at home through continuous encouragement and family support. Type VI : 『 The pursuing cooperative stability 』 Mothers in type VI 『The pursuing cooperative stability』 tend to regard adversities as matters which they must solve by themselvesand to give priority to husband or family support. They try to recover an emotional stability through the emotional support and interaction. Besides they resolve the problems occurring as their children grow by gaining social common sympathy. Therefore, a scheme focusing on activating support systems for them should be prepared, in order to cope with the troubles in the long term view. It would be completed by extending husband-limited supporting resources such as self-help group by means of the education related to children''''s requirement and growth, interaction between parents-children and siblings, external factors affecting children and teaching methods. To sum up, by finding and analyzing the 6 resilience types of mothers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children, this study suggests a hypothesis related to the resilience. It is thus significant since the nursing interventions which make it possible to transfer the situation positively from maladjustment to adjustment were actually applied.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o be put to practical use as a basic reference in order to prepare individual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for mothers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children. ------------------------------------------------------------------ 【Key Word】Mothers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children, Resilience, Q-methodology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이용하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어머니의 극복력의 유형을 확인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설명함으로써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어머니의 극복력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하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어머니의 극복력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전략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어머니의 극복력에 대한 Q-모집단은 만 3세-7세 사이의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어머니 11명과의 심층면담과 관련 문헌의 고찰을 통해 구성하였으며 극복력의 하위 차원인 철학적, 성향적, 관계적, 상황적 패턴을 가장 잘 대표한다고 생각되는 진술문을 연구자가 임의로 선택한 후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41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어머니 27명을 P-표본으로 하여 주관적으로 인지한 동의 정도에 따라 9점 척도 상에서 Q-분류를 실시하였으며 PC-QUNAL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어머니의 극복력은 6개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유형 I 『긍정적 의미 추구형』은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과 관련된 역경의 상황을 영성에 의존하여 해석하며 아동으로 인한 문제해결을 위해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원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역경을 극복해 나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유형은 이러한 장점을 강화시키고 장기적인 시각에 입각하여 아동의 성장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단계별 정보 제공과 연계 가능한 지역사회 자원의 소개를 통하여 대상자 스스로가 위기상황을 극복할 수 있게 하는 지지체계를 강화시키는 간호중재 전략이 요구된다. 유형 II『지지적 관계추구형』은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과 관련된 역경의 상황을 을 부모의 책임과 의무로 수용한다. 자신의 사회적 자아상에 대한 의미가 크며 문제와 위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자신의 사회적 관계를 통해 해결하고자하는 욕구가 강한 반면 대인관계에서의 열등감으로 위축을 경험할 가능성이 큰 유형이다. 따라서 이 유형은 아동에 대한 애착 형성을 도와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며 남편과 함께 아동의 치료와 교육에 참여를 격려하여 가족 지지가 가능하게 하고 자조 모임을 통하여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효능감을 증진시켜 대인관계에서의 위축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간호중재가 요구된다. 유형 III 『자아 성취지향형』은 자신의 자아감과 정체성에 대한 인식이 강하여 이를 통해 역경을 극복하고자 하는 유형이다. 아동의 반응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이 있으며 스트레스 상황 발생 시 혼자 해결하려고 하는 특성을 가지므로 이 유형에 대한 간호중재를 고려할 때 아이의 상태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과 함께 이와 관련된 치료와 교육 방법에 대한 적절한 가이드를 통해 아동에게 일관된 자세를 가지고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스트레스 관리 방법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간호중재가 요구된다. 유형 IV 『결단적 목표지향형』은 역경에 대하여 자신이 해결하고 이겨내야 한다는 강한 의지를 가지고 아이의 치료와 교육을 우선시하여 항상 아이의 교육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신이 주도가 되어 끊임없이 노력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적극적인 자세로 치료와 교육에 몰입하는 것은 긍정적인 것으로 사료되나 간호 중재 계획 시 자신의 요구를 돌보고 stressful한 시간으로부터의 위협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더불어 남편을 아동의 치료와 교육에 포함시켜 보다 친밀한 부부관계를 쌓을 수 있도록 하여 가족 중심의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을 고려하는 중재가 요구된다. 유형 V 『자기책임 부여형』 은 아동의 장애의 원인에 대하여 사고의 초점을 두고 있으며 자신의 책임으로 수용하여 이를 자신이 극복해야하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을 통하여 균형을 회복하고자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부정적인 자아감으로 인하여 대인관계에서 열등감과 위축감을 느끼며 타인에게 폐쇄적이고 고립된 특성도 함께 나타난다. 따라서 이 유형은 부정적인 상황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아동의 치료와 교육을 위한 적극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아동의 상태와 치료, 교육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제공하고 지속적인 격려와 가족들의 지지를 통해 어머니 자신의 심리적인 안정감을 회복하여 가정에 정서적으로 안정된 분위기를 제공해 주는 중재 방법이 요구된다. 유형 VI『협력적 안정추구형』은 역경을 자신이 해결해야할 문제로 인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남편이나 가족의 지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형으로 정서적 지지와 감정적 교류를 통해 심리적 안정을 회복하고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사회적 지지를 통해 아동의 양육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유형은 장기적인 시각을 가지고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대처할 수 있도록 아동의 성장과 요구, 부모-자녀, 형제간의 상호작용, 아동에게 영향을 주는 가정 및 외적 요인, 아동지도법 등과 관련된 교육을 통한 적절한지지 자원과 더불어 자조 모임의 참여 등 남편에게 국한된 지지 자원을 확대시켜 지지체계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어머니의 극복력에 대한 6개 유형의 확인 및 분석을 통하여 극복력과 관련된 가설을 제시하고 이들을 적응-부적응의 연속선상에서 긍정적인 적응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중재방법의 적용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는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어머니의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된 간호중재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핵심어 :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어머니, 극복력, Q-방법론

      • 만성질환아의 극복력(resilience) 측정도구 개발

        김동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만성질환아의 극복력 측정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도구 개발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진행되었다. 우선 문헌 고찰을 통하여 극복력의 특성을 개인 내적 특성, 대처 양상 특성, 대인 관계 특성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이들 특성을 기초로 하여 기존의 문헌과 도구, 만성질환아 어머니 면담자료를 근거로 극복력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대표할 수 있는 91문항을 선정, 개발하였다. 선정된 문항은 전문가 9명에게 두 차례에 걸쳐 타당도를 검정 받아 53문항으로 수정 보완하였다. 도구는 자가보고식의 4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본 조사를 수행하기 전에 초등학생 2명과 초등학교 교사 1명에게 문항의 이해도를 검증 받는 과정을 거쳤고 또한, 천식, 당뇨, 신증후군 아동 25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실시하여 예비도구의 신뢰도가 Cronbach's α가 .94임을 확인하였으며 질병에 따른 대상자간의 신뢰도를 검증하여 차이가 없음을 확인한 후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은 10-15세의 천식, 당뇨, 신증후군을 진단 받고 지속적으로 치료받고 있는 아동 2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우선 문항간 상관계수가 0.3이하인 문항은 전체 척도 영역내에 기여하는 바가 낮은 것으로 평가하여 삭제하였다. 다음 조사-재조사 신뢰도 검증을 통하여 첫 조사시 문항의 점수와 3주 후에 측정한 재조사시의 점수를 Pearson 상관계 수로 검정하여 p값이 .05이상인 문항은 상관관계가 낮아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여 삭제하였다. 이렇게 정제 과정을 거친 32문항의 전체 Cronbach's α값은 .91이였으며 각 특성별로는 개인 내적 특성 .84, 대처 양상 특성 .83, 대인 관계 특성 .82로 높은 내적일관성을 나타내었다. 32문항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주요인 분석방법에 의해 요인분석을 하였다. 요인 추출은 eigen value가 1.0이상인 다섯 가지 요인을 추출하였고 직교회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32문항 모두 요인적재량이 .30이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요인 회전과 요인 명명의 결과 개인 내적 특성은 긍정적 자기 이해의 요인으로 구성되었고 대처 양상 특성은 자립성과 자원동원성의 두 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대인 관계 특성은 긍정적 가족관계 인지와 친밀성의 두 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도구의 구성요인으로 규명하였던 하부개념들의 문항이 초기에 제시한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보여 도구의 구성 타당도를 지지 받았다. 또한, 개발된 도구와 아동이 자신의 극복력을 스스로 평가하여 점수를 기록한 NRS(Numeric Rating Score)와는 p값 .0001이하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소아우울척도(Child Depression Inventory)와는 p값 .0001이하의 역상관관계를 보여 준거 타당도에도 지지를 받았다. 이상과 같은 도구 개발 과정을 거쳐 32문항의 개인 내적 특성, 대처 양상 특성, 대인 관계 특성의 세 가지 특성으로 구분된 4점 척도의 자가보고 형식의 극복력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위의 연구결과에서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극복력 측정 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도구로 평가되었으며 앞으로 본 도구의 사용으로 연구와 실무 면에서 만성질환아가 가지고 있는 강점과 약점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각 아동의 특성과 상황이 고려된 극복력을 높일 수 있는 개별적이고 다양한 중재 방안이 개발될 것으로 본다. 또한, 이를 통한 많은 실증적 입증을 통해 극복력의 이론 개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ment to measure resilience in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For item construction, components in three domains,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coping, and intra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drawn from an ext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existing instruments and interviews with parents. A total of 91 items were selected for the first draft. Nine experts scored this instrument for clinical validity using a self-report 4-point Likert scale which reduced the number of items in the preliminary instrument to 53. To further refine the instrument and 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202 children with asthma, diabetes mellitus or nephrotic syndrome. Using corrected items to total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est-retest reliability, this instrument was reduced to 32 items as the final instrument. 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 of the instrument was with orthomax rotation indicated the factor structure represented five factors. (positive self-understanding, self-reliance, resourcefulness, perception of positive family relationship, and intimacy). The instrument showed a high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α .91).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0.51, p<0.0001) with the Numerical Rating Score and negative correlation (r=-0.60, p<0.0001) with the Child Depression Inventory support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 In conclusion, this instrument demonstrates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herefore it is an appropriate measurement of resilience in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 이혼위기를 극복한 중년기 남성의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아버지학교 참여자들을 중심으로

        김현지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ife experiences of middle-aged men who overcame the divorce crisis by serving as staff after completing their father's school.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pecific research question was stated as follows: First, what was the experience of a middle-aged men's divorce crisis? Second, what was the experience of overcoming a middle-aged men's divorce crisis and participating in the father's school? The data was analyzed in the four-step qualitative analysis framework by us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Giorigi presented. The experience of overcoming the divorce crisis of middle-aged men was classified into a total of 45 semantic units converted to the academic term. These were grouped into 12 sub-components and again derived into 4 components in final essential meanings. The essential meaning structure of middle-aged men's experience of overcoming the divorce crisis revealed by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first component is <The Process to Divorce Crisis: False to Recognizing Problems >. This shows the participant’s parents' marital relationship experienced in the original family before facing a divorce crisis, and shows the wrong culture and self-centeredness of men who disvalued their families and neglected their wives after marriage. The second component is <The Starting Point for Overcoming Divorce Crisis and Change: The recognition of the need for change>, This shows the unexpected crises that occurred in the lives of participants in addition to the divorce crisis when they were suffering with the issue, and shows how they recognized themselves after they participated involuntary in the father's school. The third component,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Divorce Crisis and Changes : The change in perception and behavior>, This represents the process of trying to live a changed life based on what the participants realized through their father's school. This includes features revealed in the lives of participants who became wife-focused and changed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wives, as they came to realize through continuous participation in father's school services and lectures. The fourth component is <The New Value Brought by the Process of Change: the hopeful present and future>. This represents the process of seeking more value beyond overcoming the divorce crisis, also shows that participants became more confident, happier, and are looking forward to the future by sharing their changes to others, striving for others lif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experience of men's lives who overcame the divorce crisis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Father's School was derived through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본 연구는 목적은 아버지학교를 수료한 후 스텝으로 봉사하며 이혼위기를 극복한 중년기 남성들의 삶의 경험을 탐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 질문은 첫째, 중년기 남성의 이혼위기 경험은 어떠했는가?, 둘째, 아버지학교 교육에 참여한 중년기 남성의 이혼위기 극복 경험은 어떠했는가? 이다. 본 연구자는 Giorigi가 제시한 기술적 현상학의 4단계 분석 틀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중년기 남성의 이혼위기 극복 경험은 학문적 의미로 변형된 총 45개의 의미단위로 분류된 후 12개의 하위구성요소 묶여 최종 4개의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중년기 남성의 이혼위기 극복 경험의 4개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구성요소, <이혼위기에 처하기까지 과정: 문제를 인식하지 못함>는 이혼위기를 직면하기 전까지 대상자가 원가족에서 경험한 부모의 부부관계를 보여주고 결혼 후에 가정에 소홀하고 아내를 중시하지 않고 행하던 잘못된 남성문화와 자기 위주로 살던 과정을 나타낸다. 두 번째 구성요소, <이혼위기 극복과 변화의 시발점: 변화 필요성 인식>는 이혼위기를 겪고 있던 당시에 이혼위기 이외에 연구대상자들의 삶 속에서 일어난 예기치 못한 위기들의 내용과 아버지학교에 비자발적으로 참여하게 된 후 자신을 인식한 과정을 나타낸다. 세 번째 구성요소, <이혼위기 극복 과정과 변화 내용: 인식과 행동의 변화>는 아버지학교를 통해 깨달은 것을 바탕으로 변화된 삶을 살기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지속적인 아버지학교 봉사 참여와 강의를 통한 인식의 확장, 알게된 만큼 아내 중심으로 살아가게 되는 모습들, 아내와의 변화된 관계 속에서 드러난 특징들을 포함하고 있다. 네 번째 구성요소, <변화의 과정이 가져온 새로운 가치: 희망적인 현재와 미래>는 이혼위기 극복을 넘어서 더 많은 가치를 추구하게 된 과정을 나타낸다. 자신의 변화 내용을 다른 이들에게 전하고 타인을 위한 삶을 위해 노력하며 인생에 더 자신 있고 행복감을 느끼며 미래를 기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아버지학교 참여를 통해 이혼 위기를 극복한 남성들의 삶의 경험을 질적 연구를 통해 그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살펴보았다는데 있다.

      • 정신질환자의 극복력, 자아존중감 및 가족관계

        이경숙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6

        정신질환자들은 질병과 많은 스트레스 역경에도 불구하고 심리 사회적으로 건강한 삶의 적응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의 극복력 수준을 확인하고 그것이 자아존중감과 가족관계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파악하여 정신질환자의 극복력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간호중재를 개발하는게 기초적인 도움이 되고자 시도된 서술성 상관성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시내 소재의 C대학병원, 경기도지역의 J정신병원, 충북지역의 J정신병원, 충남지역의 S정신병원, 서울시내 2곳의 사회복귀시설 등 총 6곳의 기관에서 DSM-Ⅳ 진단기준에 따른 정신과적 진단을 받았으며, 정신과 의사에 의해 현실지각 능력이 있다고 판정된 18세 이상 65세 이하의 남녀 200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자가보고식 설문도구를 사용하여 2008년 4월 1일부터 5월 3일까지 이루어졌다. 정신질환자의 극복력을 측정하기 위해 Wagnild와 Young(1993)이 개발한 극복력 척도(resilience scale)을 송양숙(2004)가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Rosenberg(1965)가 개발하고 전병제(1974)가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가족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Hudson(1997)이 개발하고 이희영(1997)이 번안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One way ANOVA로 분석하고 duncan’s test로 사후검증 하였고,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신질환자의 극복력은 평균 115.06±29.42 이었고, 과거 직업의 유무(F= 7.729), 종교(F=4.213), 교육수준(F=3.781), 주거형태(F=7.440), 다른질환의 유무(F=4.438), 약복용 중단 경험 유무(F= 5.339) 등이 정신질환자의 극복력과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은 평균 27.92±4.96이었고, 극복력과 양의 상관관계(p=.468)가 있는 것으로 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극복력이 높다. 3. 정신질환자의 가족관계는 평균 36.62±18.40이었고, 극복력과 음의 상관관계(p=-.306)가 있는 것으로 정신질환자의 가족관계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극복력이 낮다. 극복력은 외부의 도움에 의해 키워질 수 있고 적절한 중재를 통해 촉진될 수 있는 능력이므로, 실무에서 극복력의 개념을 도입하여 대상자의 강점과 필요한 자원을 파악 하는 것이 정신질환자의 극복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겠다. This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design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among psychiatric patients' resilience, self-esteem and family relations and on this basis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that will help enhance psychiatric patients' resilience. The subjects are 200 men and women aged 18-65 who were diagnosed in accordance with DSM-IV at 6 medical institutes. Their psychiatrists diagnosed them to be able to perceive rea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 - May 3, 2008 using a self-report questionaire. Resilience scale as developed by Wagnild and Young(1993) and translated by Song, Yang Suk(2004) was used to measure psychiatric patients' resilience. To measure self-esteem, a tool developed by Rosenberg(1965) and translated by Jeon, Byung Je(1974) was used. Another tool developed by Hudson(1997) and adapted by Lee, Hee Young(1997) was used to measure family relations. The data collected as above were analyzed in frequency, percentil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using t-test and One-way ANOVA with their correlations verified with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subjects' resilience is, on average, 115.06±29.42. Employment(F= 7.729), religion(F=4.213), level of education(F=3.781), housing(F=7.440), other disease(F=4.438) and continuation or discontinuation of medication(F=5.339) are found to be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resilience. 2. The subjects' self-esteem is, on average, 27.92±4.96. It was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silience(p=.468), which means the higher the self-esteem, the higher the resilience. 3. The subjects' family relations is on average 36.62±18.40. It was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silience(p=-.306), which means the higher the stresses of family relation the lower the resilience. Resilience can be promoted by outside help and proper intervention. It being the case, the introduction of resilience into nursing practice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subjects' strengths and necessary resources will help enhance the patients' resil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