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은퇴 노인의 성공적 노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종교생활의 조절효과분석을 중심으로

        이경숙 조선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Abstract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on Successful Aging of the Retired Elderly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Religious Life - GyeongSook, Lee Advisor : Prof. Hwie-seo, Park, Ph.D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apply SOC(Selective, Optimization, Compensation) model developed in Europe to the retired elderly, to find the factors that responding resource and strategy influence on successful aging and to analyze the factors using religion as a moderator variable. Unlike other studies on existing successful aging, this study approached successful aging of elderly using SOC model and aging scale developed in Korea. Previous studies on successful aging can be classified into two areas: first, the studies are focused on the subcomponents of successful aging to analyze the meaning; second, the studies assume components of successful aging and analyze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components. These previous studies on successful aging were focused on the ambiguity of successful aging concept, meaning that, successful aging may have different components and influence factors upon individuals and social environment. The earlier studies before the ambiguity tried to define successful aging under given environment more clearly and were able to find out the factors to a certain extent.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nalyzed how successful aging is influenced by SOC strategy on responding factor based on life-span development theory and whether the elderly has a religion or not in Korean society. Study subjects are limited to the retired elderly, not general elderly because aging condition may vary up to environment in the past and present and physical condition. Thus, studies on successful aging should be progressed upon various spectrum appeared in terms of the elderly.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d successful aging on the retired elderly who leave their position. Successful aging scale developed in Korea ar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self-regulating life, satisfaction with children, acceptance for others, self-completion orientation, active participation in life and self-acceptance. SOC strategy means successful aging application model that consists of three factors - selective,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 based on life-span development theory. That is, SOC strategy is a theory that successful aging is achieved by overcoming loss from aging by the following process: 1) select appropriate action for given strategy; 2) optimize the skill owned; 3) compensate the loss. This SOC strategy may vary according to general strategy of the elderly. In this study, successful aging is analyzed under the relationship between SOC strategy and the responding resources that affect the strategy, such as physical ability, cognitive ability, economic ability, human relationship ability, emotional ability and local community source, or directly without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resources. Also, this study analyzes how religion affects successful aging via SOC resources and strategy. First, influenc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are established through literature review from specialty texts, research papers, reports and other statistical materials on successful aging. Second, based on influenc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causality model is prepared by setting resource variables related to aging as independent variable, SOC (Selective, Optimization, Compensation) strategy as parameter, and religion as a moderator variable to see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influenc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upon religion. Third, survey was performed to verify casuality model. We visit 500 elderly over 55 who live in G city, participate in the retired local government officials club or participate in the elderly care center. Among 474 survey materials collected, total 274 survey data answered faithfully by the retired elderly is used for analysis. To raise the reliability of survey, we visit the place of the retired local government officials club and elderly care center and more and fully explain about the study purpose and survey and perform pre-survey to solve any inconvenience for the subjects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employing volunteers to help them read the survey questions to the elderly who have poor hearing, sight and are illiterate. For data analysis, AMOS V.8.0 program and SPSS V.18.0 were used to analyze hypothesis of study model using structural equation.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uccessful aging factors such as physical ability, cognitive ability, economic ability, human relationship ability, emotional ability and local community source are different upon characteristics of the retired elderly. For male, if the subjects are younger, live with someone, have high income level and are college graduates, the results are relatively positive. Second, SOC strategy also indicates difference up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most cases, if they are younger, live with someone, have high income level and are college graduates and they are positive to their health, the results are positive in terms of the strategy. Third, recognition on own successful aging level indicates that if they have a job, are male, live with someone, have high income level and are college graduates and they are positive to their health, the results show positive. Fourth, the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ccessful aging factor and SOC strategy indicates that all the factors excluding physical ability, such as cognitive ability, economic ability, human relationship ability, emotional ability and local community source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SOC strategy. Fifth, the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ccessful aging factors and successful aging level indicates that all the successful aging factor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successful aging level. Sixth, the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 strategy and successful aging level indicates that as the better SOC strategy is, the higher successful aging level they have. Seventh, analysis result of moderating effect of religion on successful aging factors and SOC strategy indicates that for the subjects with religion, cognitive ability, emotional ability and human relationship ability among successful aging factors have a higher influence on SOC strategy than for the subjects without religion. Eighth, analysis result of moderating effect of relig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ccessful aging factors and successful aging level indicates that for the subjects with religion, cognitive ability and emotional ability have a relatively higher influence on successful aging than for the subjects without religion.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shown in the study results: First, recent studies are focused on the view on successful aging related to elderly life satisfaction from negative view on aging and aging society and from positive aspects on this. This study sets successful aging factors, SOC strategy and successful aging as study variables and analyzes the moderating effect by religion. Thus, it follows the flow of studies on new gerontology and investigates the parts that have not been proved to contribute to theoretical development in this area. Second, this study employed SOC model as a successful aging responding strategy that uses selection,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which is developed with life management strategy for successful aging in terms of life-span development theory. This model recently issued is based on strength perspective that consider the elderly as active and positive independent subjects. This study is considered to contribute to the application and verification of SOC model and development of successful aging theory based on it by verifying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stablished model and successful aging factors such as physical ability, cognitive ability, economic ability, human relationship ability, emotional ability and local community source. Third, studies on successful aging in Korea have approached from various angles: study on successful aging model, development of components, recognition and definition of successful aging and relationship between successful aging and religion and development of scale and so on. However, there is lack of studies on successful aging in practical society in Korea using successful aging model. Therefore, this study is considered to offer the opportunity to expand the scope of study on successful aging by applying successful aging scale developed in Korea to the elderly and verifying it scientifically. Key words : successful aging, Selection, Optimization, Compensation, retired elderly, religious.

      • 영상 동화를 활용한 정착교수가 비장애 초등학생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경숙 대구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상 동화를 활용한 정착교수가 비장애 초등학생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문제는 첫째, 영상 동화를 활용한 정착교수가 비장애 초등학생들의 장애 수용 태도의 인식적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와 영상 동화를 활용한 정착교수가 비장애 초등학생들의 장애 수용 태도의 행동적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대구시에 위치한 한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 학생 3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16명씩 선정하였다. 그리고 중재는 아침 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정착교수를 실시하였다. 연구 절차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설정, 사전검사, 영상 동화를 활용한 정착교수 실시, 사후검사로 진행되었다. 연구 절차의 전 과정은 2017년 6월 8일부터 7월 14일까지 이루어졌다. 실험집단의 중재는 6월 15일부터 7월 7일까지 19회기의 정착교수로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실시한 정착교수의 단계는 내 생각(Ⅰ)단계, 앵커보기 단계, 문제 확인 단계, 문제 해결 단계, 내 생각(Ⅱ) 단계의 다섯 단계이다. 정착교수에 활용된 동영상 앵커는 영상 동화를 활용하였으며 영상 동화 시청 후에는 장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모둠토의, 게임, 현장답사 등의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영상 동화를 활용한 정착교수가 비장애 초등학생들이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 태도 변화에 있어 인식적 측면의 변화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실험 집단 학생들이 영상 동화를 활용한 정착교수를 받는 동안 장애를 가진 학생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형성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여러 가지 장애를 가진 장애학생을 영상 동화로 접하면서 각 장애에 대한 정보 수준이 높아져 장애학생들의 장애 특징에 초점을 둔 응답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행동적 측면에는 영상 동화를 활용한 정착교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초등학생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학생보다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chored instruction using animation on the change of acceptance attitude toward disabled students of non-disabl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problems are divided into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attitude as follows. First, what change does the anchored instruction using animation in the cognitive aspect of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what change does the anchored instruction using animation in behavioral aspect of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 students who were from two classes of fif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in Daegu and they were divided into 16 of experimental group and 16 of comparison group. Experiment was carried out from June 8 to July 14, 2017, as following procedure; setting up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 Also 19 sessions anchored instruction were provided for experimental group students from June 15 to July 7. The steps of the anchored instruction conducted in the research are the five stages of Stating My Idea(Ⅰ), Watching Anchor, Identifying Problem, Problem Solving, and Stating My Idea(Ⅱ). The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used at each stage was composed of animation mentioned as effective in the previous research. It also includes activities such as group discussions, games, and field trips to enhance understanding after watching the vide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cognitive aspec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ble-bodi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However this doesn't indicate that anchored instruction using animation formed a negative perception toward disabled students. Rather, it was found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focused on the disability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due to the increased level of information about each disability while recognizing various disabilities from the animation. Second, in the behavioral aspect,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anchored instruction program showed positive effects than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not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 자폐적 대상에 대한 정신분석적 연구 : A Psychoanalytic Study On Autistic Objects

        이경숙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자폐적 대상에 대한 정신분석적 연구 한신대 정신분석 대학원 심리학과 정신분석 전공 이경숙 지도교수 최명균 자폐적 대상은 자폐 아동들 각자가 자신에게 독특한 방식으로 특정 개체, 특정한 대상을 강박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이것은 자폐아동이 그 대상에 집착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자폐적 대상은 강박적으로 사용됨으로 인해 자폐 아동의 상호작용과 발달을 가로막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따라서 자폐적 대상은 보통 제거되어야 할 것으로 여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자폐적 대상을 자폐증 구조를 가진 주체의 고유한 심리적 구조에서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것으로 보는 정신분석적 시각으로 접근하여 자폐적 대상이 자폐 아동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연구하였다. 연구 과제는 세 가지로 첫째, 자폐적 대상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둘째, 자폐증 구조를 가진 주체에게 자폐적 대상은 어떤 의미를 지니며 어떠한 기능을 하는가? 셋째, 자폐적 대상은 치료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으며, 사회 안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는 데 어떻게 쓰일 수 있는가? 이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문헌연구는 위니캇의 ‘존재의 연속’과 비온의 ‘향성’에 대한 꼬르비쉐르의 연구를 바탕으로, 자폐적 대상에 대한 터스틴의 견해를 따라 논의를 전개하면서 빅과 앙지외의 피부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였고, 미트라니의 ‘점착성-유사 대상관계’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자폐적 대상에 관해 제기한 세 가지 연구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자폐적 대상의 형성은 터스틴의 견해를 따라 분리에 대한 외상으로 형성된다고 본다. 이는 존재의 연속성이 깨지는 경험이며 살아있는 대상과의 실패를 나타낸다. 따라서 자폐 아동은 살아있는 대상이 아닌 자폐적 대상을 선택해 그 대상과의 동등시를 통해 존재의 연속성을 유지하려 한다. 따라서 자폐적 대상은 인간이 타자에 의해서 자신을 확인할 수밖에 없는 존재임을 감안할 때 자폐 아동이 존재의 연속성이 깨지는 위기에 맞서 찾아낸 하나의 해결책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자폐적 대상은 분리에 따른 외상적 상황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며 피난처로 사용되고 아동을 공포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자폐적 대상은 자폐 아동에게 살아있는 대상을 대신해 ‘존재의 연속성’을 제공하며, 이를 바탕으로 자폐 아동은 제한된 삶을 살 수 있다. 그러므로 자폐적 대상은 주체의 외상의 지점을 나타내며 발달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되지만, 다른 측면에서 자폐적 대상은 삶의 구심점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것은 자폐적 대상이 양가성을 지니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며, 따라서 자폐적 대상은 주체가 존재하려는 선택의 산물이자 분리의 시도이며 대상을 향한 인간의 원초적 의지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세 번째, 사례 분석을 통해 자폐증자가 자폐적 대상을 자신의 불안을 다스리는 도구로 사용하고, 이를 통해 어떻게 사회 안에 자신의 자리를 찾을 수 있는지를 알 수 있었다. 또한 자폐적 대상을 중심으로 한 자폐 아동과의 작업에서 자폐적 대상을 치료적 자원으로 활용함으로써 치료자와 관계를 성립하고, 더 나아가 주변 사람들과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더불어 자폐적 대상과 아동의 관계 방식이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치료 현장에서 자폐적 대상에 대한 적극적 사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자폐적 대상을 통해 치료자와 관계를 성립하고,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형성하며, 이를 통해 사회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지점을 적극적으로 함께 찾아보고 고민해 보아야 하는 것이다. 이는 자폐증자의 증상인 자폐적 대상이 주체의 해결책으로서 외부 세상과 접촉하는 하나의 접점의 지점이자 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자폐적 대상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자폐적 대상을 치료적 관점에서 새롭게 바라볼 것을 요청하며, 이를 치료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A Psychoanalytic Study on Autistic Objects The Graduate School of Hanshin University Department of Psychology, Major in Psychoanalysis, Kyung Suk Lee Supervised by Myung Kyun Choi An autistic object refers to an autistic child utilizing a specific object in a compulsive manner which reveals the child’s obsession toward the object. Such compulsive usage of autistic objects is believed to be interfering with the child’s interactions with others and his/her developmental trajectory thus, needs to be removed. This paper studied what autistic objects mean to autistic children using a psychoanalytic approach that regards autistic objects as an essential requirement in a unique psychic structure of a subject with an autistic structure. There are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are autistic objects formed? Second, what do autistic objects mean to a subject with an autistic structure and what functions do they serve? Third, in what way can autistic objects be used in therapy and how can it be utilized for autistic individuals when adjusting him/herself to a society? The paper revolves around these three research questions and arguments are presented and expanded based on Winnicott’s ‘continuity of being’ and Korbivcher’s research on Bion’s ‘Tropism’. The arguments also examine and elaborate on Tustin’s theories on autistic objects as well as Bick’s and Anzieu’s research on ‘skin-ego’. Additionally, Mitrani’s ‘adhesive pseudo-object relation’ is addressed and a case study is presented along with the literature reviews. The three research task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ustin, autistic object is formed in response to a trauma caused by separation. Such traumatic experience indicates a cessation of continuity of being and a failure with a living object. Consequently, an autistic child attempts to maintain his/her continuity of being by choosing a non-living autistic object and identifying him/herself with it. Considering how one’s being is validated by another human being in life, the usage of an autistic object can be regarded as a solution taken by the child for his/her broken continuity of being. Second, autistic objects alleviate anxiety produced from a traumatic situation precipitated by separation and act as a protective shelter for an autistic child from the fear of separation. In addition, an autistic object provides the ‘continuity of being’ in a living object’s stead and with its aid, an autistic child can live a restricted life. Therefore, on one hand, autistic objects indicate the point where the subject experienced the trauma and interfere with his/her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autistic objects play a pivotal role in subjects’ lives. This implies the ambivalent nature of autistic objects. Thus, autistic objects are the consequence of subjects’ struggle to survive, the subjects’ attempt to separate from their caregivers and human’s primitive desire for an object. Third, it was observed from the case study how an autistic individual mitigates his/her anxiety and acclimates to the outside world using autistic objects. Furthermore, it was discovered through the case study that autistic objects can be resourceful in establishing a therapeutic relationship as well as relationships the child forms with others. In the end, there was a change in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istic object and the child. Hence, there is a need for autistic objects in therapeutic settings when treating autistic children. Using autistic objects, an autistic child can form a relationship with a therapist and with others. As a result, the therapist and the child together can actively search for a suitable pathway for the child to grow closer to the outside world. This demonstrates how autistic objects can potentially become a conjunction and at the same time an entryway to the outside world. Thus, this advanced understanding concerning autistic objects demands a new perspective towards autistic objects and ways to utilize them in therapy.

      • 雜劇 <<劉晨阮肇誤入桃源>> 연구

        이경숙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本稿在四&#20010;方面上分析了明代王子一的&#26434;&#21095;《&#21016;辰阮肇&#35823;入桃源》。 1。&#28170;源 我&#20204;&#20174;&#36825;作品的&#39064;目上可以看得出&#26469;,作品的背景就是桃源。在中&#22269;文&#23398;&#21382;史上&#36825;桃源是常常出&#29616;的一&#20010;理想空&#38388;。所以首先看了和其他作品里的桃源有什&#20040;差&#21035;。 2。&#26500;造 &#26434;&#21095;《&#21016;辰阮肇&#35823;入桃源》是明出神仙道化&#21095;。&#36825;&#31181;神仙道化&#21095;有典刑&#26500;造, 但&#36825;作品和典刑神仙道化&#21095;比&#36739;的&#35805;有不同的地方,所以通&#36807;分析&#36825;&#20010;作品的&#26500;造要&#25214;了作品自己的特征。 3。登&#22330;人物 在神仙道化&#21095;里道&#33073;者和被&#33073;者是必&#39035;登&#22330;的人物而表&#29616;着作品的性格。所以&#20026;了知道&#36825;作品的性格、特征、&#21019;作目的需要分析。 4。主&#39064; 以上&#31508;者分析了本&#21095;《&#21016;辰阮肇&#35823;入桃源》的&#28170;源、&#26500;造、登&#22330;人物等三&#20010;方面后&#23548;出了&#20004;&#20010; 主&#39064;。 &#32467;&#35770;. 本&#21095;《&#21016;辰阮肇&#35823;入桃源》是以明出王子一&#20889;的神仙道化&#21095;&#20026;外面&#26500;造上和典刑的神仙道化&#21095;差不多,但那里面的本&#26469;目的不是道&#33073;而&#20026;了上流&#23618;的&#23089;&#20048;&#21019;作的。

      • 초등영작문에서 연어 사용과 영작 능력의 상관성 연구

        이경숙 울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초등영작문에서 연어 사용과 영작 능력의 상관성 연구 영어교육전공 이경숙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영어영재반 학생의 영작문을 분석하여 연어 빈도와 영작문 질과의 상관성, 어휘적 연어의 종류와 영작문 질과의 상관성, 영작문 능력 상급자와 하급자간의 연어 능력의 차이점 및 유사점을 조사하여 영어영재반 학생의 영작문 교수와 학습에 도움을 주는데 있다. 제 2장에서는 영어교육에서 어휘적 접근법의 중요성과 연어의 개념 및 유형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어휘력과 텍스트 구성의 관계, 어휘력, 연어 능력과 영작과의 상관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실증적 연구를 제시했다. 제 3장에서는 연어 빈도와 영작문 질과의 상관성, 어휘적 연어 종류와 영작문의 질과의 상관성, 영작 능력의 상급자와 하급자간의 연어 능력의 차이점 및 유사점을 검증하였다. 제 4장에서는 영작에 사용한 연어의 수와 작문 점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연어 빈도와 영작 능력이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연어 종류와 영작의 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연어 종류와 영작 능력은 상관관계가 높다는 것을 밝혔다. 영작 능력 상급자와 하급자의 영작 능력과 연어 능력은 두 집단 사이에 차이가 있었다. 영작 능력 상급자는 하급자보다 더 다양하고 많은 연어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어 능력과 영작 점수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제 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연어의 빈도와 종류는 영작의 질과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있고, 영작 상급 집단과 하급 집단 간의 영작 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밝혀냈다. 이 결과는 영작에 사용된 연어의 빈도와 종류의 차이를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어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을 위해 연어 능력과 말하기, 쓰기에 대한 관련성 연구는 계속되어야 한다.

      •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경숙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생활만족도를 살펴보고,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생활만족도 향상에 기여하고 호스피스 서비스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이론적ㆍ실천적 함의를 도출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근거 및 선행연구 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되는 독립변수(사회인구학적 특성, 노화불안, 죽음불안, 죽음에 대한 태도)을 선정하여 이 요인들이 종속변수인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살펴보는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북도 일원에서 활동하고 있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이며, 2012년 8월부터 2개월에 걸쳐 편의표집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배포된 설문지 총 160부 가운데 155부가 회수되었으며, 불성실 응답과 이상치가 있는 설문지 15부를 제외한 후 최종적으로 140부를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t-검정,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 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스피스 자원봉사자가 인식하고 있는 생활만족은 5점 만점의 척도에서 3.00점(SD=0.53)으로써 중간 정도의 생활만족 수준을 나타내었다. 둘째,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 종교와 여가활동은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노화불안 역시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노화를 불안하게 인식하지 않을수록 생활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불안이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죽음을 불안하게 인식하지 않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는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생활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모형 4>는 <모형 3>에 투입된 변수들을(사회인구학적 요인, 노화불안, 죽음불안) 통제한 상태에서 죽음에 대한 태도를 추가로 투입한 것인데, 모형이 전반적으로 유의하였으며(F=5.608, p<0.001), 독립변수들의 생활만족에 대한 설명력은 32.5%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그 다음은 <모형 3>으로 <모형2>에 투입된 변수들을(사회인구학적 요인, 노화불안) 통제한 상태에서 죽음불안을 추가로 투입한 것으로 모형이 전반적으로 유의하였으며(F=4.128, p<0.001) 설명력은 24.2%로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은 <모형 2>로 <모형 1>에 투입된 변수들을(사회인구학적요인) 통제한 상태에서 노화불안을 추가로 투입한 것으로 모형이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F=2.602, p<0.001), 설명력은 15.3%로 세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모형 1>은 사회인구학적 특성요인을 투입한것으로 유의하게(F=2.069, p<0.05) 분석되었으며, 설명력은 10.3%로 가장 설명력이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도출된 함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실천적 함의를 보면,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죽음과 노화를 불안하게 인식하지 않을수록 생활만족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는 실천적 개입 방안에 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한다.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죽음의 이해와 준비가 봉사자로서 교육되고 기본소양으로 갖추어져야만 환자 및 그 가족들의 죽음의 준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고 보기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현 상황에 맞는 적합한 프로그램의 전문적인 교육이 매우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호스피스 자원봉사들을 대상으로 좀 더 체계적인 경험을 감안한 단계별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고 단순히 종교적인 신앙심에만 의존하는 형태의 봉사활동보다는 전문인으로서의 활동이 가능하도록 체계적인 교육도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노화불안, 죽음불안 그리고 죽음에 대한 태도가 종속변수인 생활만족도에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지 즉, 변수들 간에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주요어: 호스피스, 호스피스 자원 봉사자, 생활만족도, 노화불안, 죽음불안, 죽음에 대한 태도. This study aims at a contribution to a hospice volunteer's life satisfaction and drawing a theoretical/ practical implication that can be helpful to improvement of hospice service by looking ar a hospice volunteer's life satisfaction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 selected independent variables (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ttitudes of death, fear of death, and anxiety of aging ) which are presumed to have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of volunteers in Hospice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evidences and the result of consideration in the advanced research and constructed the model study about how the variables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a dependent variable. The subjects of research that a volunteer of a hospice is working in Gwang-ju, Jellanam-do and Jellabuk-do. A survey is accomplish in a method of convenience sample through two months from August 2012. In the total of 160 survey sheets, 155 sheets are collected and survey sheets are answered insincere and irrelative therefore except these 15 sheets, 140 survey sheets with proper and correct answers are analyzed in conclusion. Statistical analysis implement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life satisfaction which hospice volunteer recognized shows mid range life satisfaction level as 3 out of 5 (SD=0.53). Second, it is confirmed that religion and leisure activity, which are kinds of hospice volunteer's social anthropology, beneficially affect life satisfaction. Third, aging anxiety was also analyzed as significant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less people anxiously recognize aging,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was shown.  Fourth, the death anxiety was analyzed as significant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less recognizable death anxiety the more high about life satisfaction. Fifth, the attitude for death of hospice volunteer was analyzed, which has an good affect on life satisfaction. That is, the more positive about attitude for death of hospice volunteer the more high about life satisfaction. Finally,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odel 4> committed variables(social and demographic factors, aging anxiety, death anxiety) controlled attitude toward death at <model 3>, which models are significance generally(F = 5.608, p <0.00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life satisfaction was analyzed to 32.5% the most highly. Then, <model 3> committed variables(social and demographic factors, aging anxiety) controlled attitude toward death anxiety additionally at <model 2>, which models are significance generally(F=4.128, p<0.001), the explanatory power explained 24.2% of the second. And then, <model 2> committed variables(social and demographic factors) controlled attitude toward aging anxiety additionally at <model 1>, which models were analyzed significance (F=2.602, p<0.001), the explanatory power explained 15.3% of the third. Finally, <model 1> was analyzed significance(F=2.069, p<0.05) committed characteristic factors of social and demographic factors.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look at the practical implications the more positive attitude about the death of the hospice volunteers the more aging and death anxiety is not recognized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this findings suggest some implications on the practical intervention plan. In order to improve a hospice volunteer's life satisfaction and to do their duty effectively, they need professional training. Only if they received an education in understanding of death as a basic knowledge, they can help preparation of death of patient and their family. Also, hospice volunteers will need step educational program from systematic experiences and they will need systematic education better than type of voluntary service dependence on religious belief. Finally, through this study, the aging anxiety, death anxiety and attitude to death of hospice volunteers whether there is the dependent variable, life satisfaction any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In other words, among the variables that could broaden understanding of theoretical implications can be said. Key words: hospice, hospice volunteers, life satisfaction, aging anxiety, death anxiety, attitudes of dea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