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제

        박현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cogni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about teaching practices for student teachers and to show basis materials for improving teaching practices. To achieve this purpose, study subject is as follows; 1. According to teacher-related variables(guidance of practice teaching, teacher's history of teaching) and a type of institution, how different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about teaching practices of student teachers are? 2. According to teacher-related variables(guidance of practice teaching, teacher's history of teaching) and a type of institution, how different kindergarten teacher's practice is? 3. What are kindergarten teacher's requirements for teaching practices among student teac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74 teachers who worked at kinder- gartens in Gwangju and south Jaolla province.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prepared by this researcher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which included 63 items about the personal background of the teachers, etc. For data handling, SPSS program was utilized, an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employ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kindergarten teachers' outlook on teaching practices for student teachers, those who had ever guided would-be teachers took a better view of that than those who hadn't, and those who had more experience in teaching-practice guidance had a better opinion. Concerning connections between their history of teaching and their view, the teachers who had taught for seven or more years, the group with the largest teaching career, had the best opinion in every regard. This finding could be said to indicate that the more-experienced teachers wer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eaching practices. The type of institution and their age made a slight difference to their view, but that difference wasn'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eaching practices for student teachers those who had more experience in teaching-practice guidance took higher score and teaching practices for student teachers varied somewhat according to their frequency of guidance, their history of teaching, the type of institution and their age, but all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ird, in order to make teaching practices more successful, the kindergarten teachers asked student teachers to be active and willing to learn more, and they called on colleges of education, where preschool teachers were produced, to educate students to be perfectly ready for teaching practices and have a good personality in advance. As a way to improve teaching practices, the largest group of them called for the introduction of pre-teaching or more reinforced practices. Besides, they pointed out that specific, concrete guidelines should be provided in regard to the role of guidance teachers, workable guidance methods and on which they should focus. And hey also found it necessary for institutions where student teaching was conducted, university and relevant government agency to keep teaming up with one another and offer mutual support.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eaching practices weren't successful though the teachers were highly aware of their importance, and that it's required to improve student teaching from diverse angles by changing the relevant systems and environments. In the future, how student teachers, university, institution of being in charge of the practices and in-service teachers could make concerted efforts to enhance teaching practices should carefully be studied.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제를 알아보고 유치원교사 사전교육기관 및 실습지도교육기관의 교육실습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교사의 관련변인(실습지도경험, 교직경력, 교사연령)과 기관 유형(국·공립, 사립)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실제는 교사의 관련변인과 기관 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G시와 C도에 근무하는 유치원교사 40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290명의 응답자 중(회수율 72.5%)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7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기존의 문헌연구를 기초로 연구자가 개발한 설문지를 3차의 수정보완과정을 거쳐 교사의 개인적인 배경을 포함하여 총 6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검증과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사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실습지도경험이 없는 교사보다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가 높은 인식수준을 나타냈으며, 실습지도경험의 횟수가 많은 교사일수록 교육실습에 대해 높은 인식수준을 나타냈다. 교직경력에 따른 인식의 차이는 전체항목에서 교직경력이 가장 많은 ‘7년 이후’의 교사가 교육실습에 대해 가장 높은 인식수준을 나타냈다. 이는 지도경험이 많은 교사 일수록 교육실습에 대한 중요성 또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기관유형과 교사연령에 따른 인식수준의 차이는 세부적으로 미비하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실제는 실습지도경험의 횟수가 많은 교사일수록 높은 실제수준을 나타냈으며, 교사의 교직경력, 기관유형, 교사연령은 세부항목에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유치원 교사들은 교육실습의 개선방향을 위한 요구사항으로 실습생에게는 ‘배우려는 마음자세와 적극적인 태도’를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대학기관에는 ‘실습전 실습생에게 태도, 마음가짐, 인성 등에 대한 사전교육 실시’를 실습제도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는 ‘사전실습 실시 또는 실습강화’를 가장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습지도 교사의 역할, 실습지도 교사의 지도방법, 실습지도 교사의 지도 내용 등에 관한 구체적인 지침자료와 실습기관, 대학, 교육부처 간에 지속적인 협조체제 및 지원체제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유치원 교사들은 교육실습의 중요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 그 실제는 낮으며, 이를 위해서는 교사 뿐 아니라 제도, 환경 등 여러 관련 변인들의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더욱이 보다 나은 교육실습을 위해 예비교사, 대학, 실습기관, 교사의 지속적이고 협조적인 노력과 교류를 위한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는 추후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공업고등학교 현장실습교육의 내실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명규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 사회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현장 적응 능력을 갖춘 우수한 기능 인력을 양성하는데 걸림돌이 되는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즉 학교, 학생, 산업체에서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현장 실습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 현장 실습 교육의 운영 실태와 1994~1997년까지 시범 운영을 거쳐 1998년 이후 단계적으로 확대 실시하고자 하는 공고 2+1체제를 학교와 산업체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교사, 학생,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현장 실습의 실시 시기는 3학년 2학기부터, 기간은 현행 1~6개월을 3~6개월(최소 의무기간 3개월)로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습 업체는 취업 가능성이 있고 시설과 수용 능력이 갖추어진 산업체만 선정하되 전공별 한 업체의 적정 파견 인원은 대기업 10명 이하, 중소기업 4명 이하가 이상적이다. 2. 실습생이 현장 적응을 못하고 귀교(이탈)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산업체에서는 직무 조건을 개선하고 전공과 연계된 분야에 배치하며 인격적 대우를 해야 한다. 학교에서는 파견할 업체를 사전 답사하여 그 업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사전 교육시 인성 교육에 중점을 두어 지도해야 한다. 학생은 산업 현장에 적응하려는 적극적인 자세와 노력하고 인내하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3. 학교와 산업체간에 인적·물적 교류를 확대하여 산업체에서는 기자재 및 설비를 실습용으로 기증하여 활용케 하고, 정부에서는 재정을 지원한 업체에 대해 세제 혜택을 주어야 한다. 학교에서는 산업 현장 인식의 폭을 넓히도록 현장 기술자 및 기업체 인사의 초청 강연을 수시로 실시해야 한다. 4. 현장 실습 중 발생하는 산업 재해에 대한 보상이 공정하게 이루어지도록 산업 재해 보험 혜택을 인정하거나 학교 안전 공제회에 보상 규정을 두어야 한다. 5. 현장 실습을 이수한 학생을 통해 얻은 실습한 업체에 대한 직무 조건 등 다양한 정보(자료)를 매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차후 현장 실습 파견시 활용하도록 한다. 6. 공고의 교육 과정을 2+1체제로 개편하여 현장 실습 기간을 1년으로 전환하려는 목적을 현행 체제에서도 해결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므로 공고의 교육과정을 2+1체제로 개편할 필요성이 없다고 본다. 7. 2+1교육체제에 의한 1년간 현장 실습의 부정적 측면으로는 고도화된 산업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기초 교육이 2년간으로는 부족, 실습생을 수용할 산업체의 교육 시설 미비, 실습 현장에서의 생활 지도 및 진로 지도 문제, 현장 실습에 임하는 학생과 학교에 잔류하는 학생간의 교육 과정의 이원화 가능성, 실습 현장에서의 성적 평가에 대한 공정성 문제, 대부분의 학생들이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을 선호하므로 실제 인력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의 어려움이 그대로 지속될 가능성 등 많은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2+1교육체제로의 교육 과정 개편은 신중히 재고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field practical practices in the technical high school and to propose diverse schemes to remedy their existing problems. This thesis also made an attempt to survey extent of understanding and recognizing the 2+1 system, similar to the dual system in Germany, in school and industry which has been enforced to the model schools from 1994 to 1997 and will be spreaded throughout the county by stages from 1998. The data are collected through mail survey from three groups, 258 third students, 142 teachers in the technical high school and 122 persons concerned in industry. Questionnaire i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existing knowledge, preliminary survey, and logical reasoning and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by a statistical package employed to test homogeneities and associations for responses of three groups. From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various schemes are proposed for the starting time and length of practice period, number of trainees per company, problems to quit trainee's job by shortage of selfadjustment, cooperation between school and industry, financial supports from the governments, compensations for industry accident, and information management, etc. And the results from respondents in school and industry for the 2+1 system are negative on the whole, because of insufficient basic technical education in school and unpreparedness to receive it in industry.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formation of education system to convert the present professional practices into the 2+1 system in the technical high school may be reconsidered deliberately. But it is yet premature to generalize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of which subjects are covered not by nationwide but by througout Pusan and Kyungsang-Nam-do districts. Further researches with larger sample size and also with more elaborated research methodology will be need to improve the results of this study.

      • 예비 유아 교사의 교육실습 불안

        신은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에 대한 불안요인을 알아보고 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 불안은 어떠한가? 1-1. 교육실습 하기 전 어린이집 실습 경험유무에 따라 교육실습 불안도에 차이가 있는가? 1-2. 교육실습 기관의 유형에 따라 교육실습 불안도에 차이가 있는가? 2. 기질과 교육실습 불안의 관계는 어떠한가? 3. 교사 효능감의 수준과 교육실습 불안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지역에 소재 한 후반기 유치원 교육실습을 실시하는 대학의 졸업반 학생 233명이었다. 교육실습의 불안, 기질과 교사 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불안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Hart(1987)가 제작한 STAS(Student Teacher Anxiety Scale)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2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척도이다. 교사 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Enochs와 Riggs(1990)에 의해 개발된 과학 교수 효능감 측정도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를 유치원 교사 효능감 측정도구로 수정하여 사용한 이분려(1998)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2개의 하위영역,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척도이다. 기질을 측정하기위한 도구는 Buss와 Plomin(1984)이 개발한 성인용 EAS(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20문항으로 되어 있으며 5점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A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t검정, 윌콕슨 순위합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에 대한 불안은 5점 척도에서 전체 평균 3.45로 나타났다. 불안이 높은 순서대로 하위 영역을 살펴보면,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평가(M=3.52)에서 불안이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 유아와의 상호작용(M=3.47), 교육활동 계획 및 운영(M=3.44), 유치원 직원들과의 인간관계(M=3.20)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실습 할 기관유형에 따른 교육실습에 대한 불안은 사립유치원의 경우(3.51%)가 공립유치원(3.17%)과 대학부속 유치원(3.12%)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실습 전 어린이집에서의 실습 경험유무에 따른 예비교사들의 불안은 세 기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에 대한 불안과 기질과의 상관 관계는 교육실습 불안과 기질의 하위영역인 정서성과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활동성과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에 대한 불안은 정서성이 높을수록 높아지고, 활동성이 높을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에 대한 불안과 교사 효능감과의 상관관계는 일반적인 교사 효능감과의 관계에서는 상호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인 효능감과의 관계에서는 효능감이 높을수록 불안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udent teachers' anxiety factors and provide the fundamental indication to find the way of releasing anxiety.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identified; 1. How was the student teachers' anxiety of the teaching practice? 1-1 Were there any difference of anxiety degree whether having teaching experience in kindergarten or not? 1-2 Were there any difference of anxiety degree according to the style of instruction organization?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ment and the student teachers' anxiety of the teaching practice?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effectiveness and the student teachers' anxiety of the teaching practice? The subject in this study were 233 senior students of college who took part in the student practicing in the latter of the year. For the surve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effectiveness and the student teachers' anxiety of the teaching practic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STAS(Student Teacher Anxiety Scale) which were developed by Hart(1987) was used for the anxiety measurement. There were 25 questions in this kit and each question was measured by 5 point. For the teachers' effectiveness measurement, Yeebunryeo(1998) which was corrected as a measurement kit from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which was developed by Enochs and Riggs(1990) was used. There were 25 questions in this kit and each question was measured by 5 point. EAS(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 for adults which was developed by Buss and Plomin(1984) was used for the temperament determination. There were 20 questions in this kit and each question was measured by 5 poi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d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dividual variable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the student teachers' anxiety of the teaching practice was 3.45. Regarding the order of the anxiety ratio was, the anxiety of practical evaluation was the highest with 3.47%, the relations between infants and professionality with 3.46%, control the class with 3.43%, and class planning with 3.40%. According to having teaching experience in kindergarten, there was no difference in 3 instruction organizations which were be subjects of survey. Second, Between the temperament and the student teachers' anxiety of the teaching practice had the relationship in emotional sense, that is to say, the student teachers' anxiety of the teaching practice was increased as emotional sense was high, and decreased as activity was high. Third, It was perceived that there was no relations between the teachers' effectiveness and the student teachers' anxiety of the teaching practice. And for the personal effectiveness, the higher effectiveness, the lower anxiety was shown.

      • 교과교육 관련 수업과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생명과학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비전 및 실행 변화

        유주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미래 사회에 걸맞은 과학 수업의 모습이 지금과 달라져야 한다면 그러한 수업은 어떤 모습이며, 수업의 변화를 만들어내는 예비교사를 길러내는 데 사범대 교과교육 관련 교육과정은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을까?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과학교사의 좋은 과학 수업에 대한 관점(이하 비전)과 수업 실행이 사범대학 교육과정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어떻게 변화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문화역사적 활동이론(Engeström, 2001; Lave & Wenger, 1991)에 기반하여 다섯 명의 생물교육 전공 예비과학교사의 좋은 과학 수업에 대한 비전 및 수업 실행 변화 과정을 교과교육 관련 강좌(생명과학 교재연구 및 지도법)와 교육실습을 포함한 사범대학 교육과정의 맥락에서 약 1년에 걸쳐 탐구하였다.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배경을 지닌 예비교사의 좋은 과학 수업에 대한 비전과 수업 실행은 교과교육 강좌 및 교육실습을 통해 어떻게 변화하는가? 둘째, 교과교육 강좌와 교육실습 활동이 예비교사의 비전과 수업 실행 변화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질적 다중 사례 연구 방법(Merriam, 2015)을 활용하였으며, 연구 자료는 1) 3-4학년 중 세 번에 걸쳐 작성한 좋은 과학 수업에 대한 비전 진술서, 2) 2-3회의 반구조화된 면담, 3) 교과교육 관련 강좌 및 교육실습에서 예비교사들이 실행한 과학 수업 촬영 영상, 4) 그 수업들에 대한 수업지도안 및 성찰 기록물, 그리고 5) 연구자의 필드 노트이다. 자료 분석은 첫째, 3-4학년에 걸친 연구 기간 중 수집한 수업 관련 다양한 자료들 속에 드러난 다섯 참여자의 좋은 과학 수업에 대한 비전과 실행을 분석틀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연구 질문 1). 둘째, 다섯 참여자들의 비전과 수업 실행의 변화 양상에 영향을 미친 교과교육 관련 강좌와 교육실습 경험을 활동이론(Engeström, 2001)을 활용해 분석하였다(연구 질문 2). 연구 결과, 이들의 약 1년 동안의 비전과 수업 실행 변화 양상은 세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룹Ⅰ은 3학년 2학기 교과교육 강좌를 수강하며 ‘개념 이해 및 지식 전달’에서 ‘의미 형성 중심’ 수업으로의 비전 변화를 보였고, 교육실습에서 변화된 비전을 실현에 옮겼으며, 교육실습 이후에도 변화된 비전을 그대로 유지했다. 그룹Ⅱ는 그룹Ⅰ과 같이 교과교육 강좌를 거치며 변화한 비전이 교육실습 이후에도 유지되었으나, 교육실습에서는 본인의 비전대로의 수업을 실행으로 옮기지 못하였다. 그룹Ⅲ은 교과교육 수업을 듣기 이전부터 의미 형성 중심의 수업 비전을 가지고 있었으며, 교육실습에서도 학생을 수업에 어느 정도 중심적으로 고려하였다. 예비과학교사의 비전 및 수업 실행의 변화에 기여한 교과교육 관련 강좌 및 교육실습 활동체계가 공통적으로 제공한 경험은 다음과 같다: 1) 학창 시절 경험해보지 못한, 학생을 중심으로 하며 자연 현상에 대한 의미 형성을 지원하는 과학 수업을 할 기회를 제공 받은 것, 2) 동료 예비교사들과 공동의 책임을 지고 과학 수업을 설계, 실행, 성찰하며, 바람직한 과학 수업에 대한 의미를 함께 만들어 가는 것, 3) 수업을 실행하는 것에 더해 다른 교사의 수업을 참관하고 학생의 입장에서 수업에 참여해보는 등 다양한 역할로 과학 수업에 참여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사범대의 교과교육 관련 강좌의 활동체계와 교육실습 활동체계의 일치 정도가 예비교사들의 비전 및 수업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변화하는 미래 사회에 걸맞은 과학 수업을 할 수 있는 예비교사를 길러내기 위한 교사 양성 기관이 제공해줄 수 있는 교육실습을 비롯한 교과교육 관련 교육과정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대안으로서 의의가 있다. If science classes suitable for the future society should be different from now, what would such classes look like, and and what role can teaching practice-embedded courses at the College of Education play in fostering pre-service teachers(hereinafter referred to as PSTs) who make changes in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PSTs' perspectives(hereinafter referred to as visions) on good science classes and teaching practices change through the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Education. Based on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Engeström, 2001; Lave & Wenger, 1991), the changes in PSTs’ visions of good science classes and teaching practices were explored for about a year in the context of the College of Education curriculum, including the methods course called ‘Materials and Method in Biology Education’ and a month long teaching practicum. For this purpose, two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how does the vision and practice of good science class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from various backgrounds changes through the methods course and the teaching practicum? Second, how do the methods course and the teaching practicum activities play a role in changing the vision and teaching practice of the five PSTs? Employing qualitative multiple-case study research methods(Merriam, 2015), the following datas are analyzed; 1) vision statements for good science classes three times out of grades 3-4; 2) semi-structured interviews 2-3 times; 3) teaching videos performed in the methods course and the teaching practicum, and 5) field notes.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the visions of good science classes and teaching practices of the five participants during the study period were analyzed using the framework(Research Question 1). Second, the experience of the methods courses and teaching practicum that influenced the changes in the vision and teaching practice of the five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the activity theory(Engeström, 2001) (Research Question 2). The analyses show that five PSTs’ vision and practice changes over a year, which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Group I showed changes in vision from 'content-focused’ to 'sense-making’ framing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methods course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third grade, and enacted the visions in the teaching practicum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fourth grade, and maintained the changed vision even after teaching practicum. Group II, like Group I, maintained their changed vision through the methods course even after the teaching practicum, but couldn’t enact their vision in the teaching practicum. Group III had the vision of sense-making framing of teaching and learning even before taking the methods course, and students were considered to be somewhat centered in the class in the teaching practicum. Common experiences of the methods course and the teaching practicum activities that contributed to changes in the PSTs’ vision and teaching practice are as follows; 1) Providing opportunities to practice teaching centered on students, which are not familiar with PSTs, 2) Designing, implementing, and reflecting on science classes with shared responsibility with fellow PSTs, and creating shared vision for good science classes together, and 3) In addition to practice science classes, PSTs participated in science classes in various roles, such as observing classes of other teachers and participating in classes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s. In this process, it was observed that congruence between the activity system of the method course of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e teaching practicum activity system influenced the vision and practice of P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an alternative to the curriculum, including the teaching practicum provided by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o foster PSTs who can practice science teaching suitable for the future society.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환경이 임상실습관련 무력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오윤경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환경이 임상실습관련 무력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임상실습교육환경을 개선하여 무력감은 낮추고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부산시에 소재하는 3년제와 4년제를 병행하는 일개 간호대학의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자들은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에서 2학년 2학기부터 3학년 1학기에 걸쳐 임상실습을 모두 마친 자이다. 본 연구의 참여에 동의한 16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최종 149부를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2015년 10월 5일부터 10월 9일까지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상실습교육환경은 5점 척도로 전체 평균 2.99±0.46점으로이었으며 하위 영역 중 학생만족이 3.31±0.65로 가장 높았으며, 직원-학생과의 관계가 2.69±0.75로 가장 낮았다. 2. 임상실습관련 무력감은 5점 척도로 문항의 평균 점수는 2.96±0.54이었다. 3. 임상실습관련 자기효능감의 전체 평균은 73.69±13.66이였으며, 25문항 중 점수가 높은 문항순으로는 혈당측정, 낙상 예방, 체온 조절위한 냉온요법 등의 순이었고, 낮은 문항은 유치 도뇨관 설치 및 유지가 가장 낮고, 관장하거나 좌약투여, 격리대상자 간호 등의 순이었다. 4. 임상실습교육환경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관련 무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일반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임상실습교육환경(=-.370, p<.001)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성별(=.217, p=005)이 유의한 영향요인이었다. 5. 임상실습교육환경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일반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임상실습교육환경(=.188 p=.018)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실습동료와의 관계(=.388, p<.001)가 유의한 영향요인이었다. 본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이 무력감을 낮추고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외적으로 양질의 간호교육환경 마련이 선행되어야 함과 동시에 자기효능감이나 대인관계 등의 내적인 요인을 강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 교대생들의 영어교과 교육실습에 관한 인식 및 실태 조사 연구

        정경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research aims to review the pre-service teachers' personal preparation and the preparation at the universitys of education to become English teachers, and discover ideal directions of English teaching practice at school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the senior students in the universitys of education who went through teaching practice at 23 elementary substitute schools in 2009, and a questionnaire survey, daily log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them.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of teaching practice had confidences as well as intentions to teach English at schools, however according to the statistic results, their confidence level was lower than the intention to teach due to uncertainty on their English abilities. There was a criticism that English lectures at universitys of education are focused more on the theories, and show a big gap with the requirements in actual school settings, so practical English lectures concentrated more on class English practice are necessary. Second, as the results of investing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perception of English teaching practice in the students of universitys of education, only 494 (56.9%) among 868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demonstrate an English class, and the other 374 (43.1%) were not able to demonstrate it. The pre-service teachers sat in an English class of about 1 hour of average duration and the pre-service teachers in charge of elementary students above 3rd grade demonstrated English classes of about 1 hour. However, the pre-service teachers appointed to 1st and 2nd grade classes were rarely able to demonstrate English classes and received the supervision of English education specialists and teachers in relation to English classes. In the cas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of in-depth teaching practice in other subjects, the ratio of speaking English upon the demonstration of English class were 20~40% on average; the pre-service teachers of in-depth English teaching practice spoke English in the rate of more than 50%, planned activity classes, fun classes, consulted with education specialists, and it was appeared that 88.2% of the respondents satisfied in the consultations. Third, the restrictions in preceding English teaching practice were appeared as a lack of fluent English speaking ability and handling skills of class English, difficulties of teaching due to the differences of students' English levels, the fact that the opportunities of English teaching practice are lacking or absent because of the English education specialist system or the assignments to the lower grade classes, the difficulties in controlling the students, etc. Forth, in relation to the improvements of English teaching practice, it is anticipated that the opportunities of pre-service English teaching classes remaining as one or two and sitting-in opportunities remaining as three or four are expanded and the proper guidances on the procedure need to be prepared. Also, programs in regard to English teaching, i. e. class English used in class settings, English teaching-learning methods, understanding on students' English levels, lectures on English learning models and teaching activity skills, material preparation and application methods, and training in team-teaching with native speakers are expected to be set up and operated. Besides, in the university courses for English teaching practice, training in utilizing class English and establishing speaking English improvement programs, providing opportunities to demonstrate and practice pre-service English classes, and opening lectures on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skills, models of English classes, understanding o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al courses, materials to be utilized at English classes (activities, games) are anticipated. Several suggestion based on these findings listed above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need to put personal efforts to enhance the ratio of speaking English upon demonstration of English class from 20-40% to 60-80%. Second, the universitys of education and practical substitute schools need to prepare programs for the enhancement of English speaking abilities and confidenc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Third, practical substitute schools for the elementary level need to increase the opportunities of sitting-in and pre-service demonstration of English classes.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초등영어교사 양성 과정으로서의 교육실습을 통해 수업실습생들의 예비 영어교사로서의 개인적인 준비도 및 교육대학교에서의 준비도를 알아보고, 영어수업실습에 대한 실태 및 실습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바람직한 초등영어 수업실습의 방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년도에 23개 초등실습대용학교에서 수업실습 과정을 거친 교육대학교 4학년 재학생들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설문 조사 및 일지,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실습생들은 학교 현장에 나가 영어를 가르칠 의사가 있고 자신감도 있으나 자신의 영어구사 능력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여 가르치고자 하는 의사보다도 자신감이 높지 않았다. 교육대학교에서의 영어강좌가 이론위주로 초둥학교 현장에서 요구되는 것과는 많은 차이가 있으며 따라서 교실영어 연습 위주의 영어 강좌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둘째, 교대생들의 영어교과 교육실습의 실태 및 인식에 대해 조사한 결과, 868명의 실습생 중 494명(56.9%)만이 영어수업을 시연하였고 나머지 374명(43.1%)은 영어수업을 시연하지 못했다. 실습생들은 평균 1시간 정도의 영어 수업 참관과 3학년 이상의 학년을 담당한 실습생들은 1시간 정도의 영어 수업을 시연하였으나 1, 2학년에 배정된 실습생들은 영어수업 시연을 거의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수업과 관련하여 전담교사 및 지도교사의 지도를 받았으며, 타교과심화 실습생의 경우, 영어수업 시연 시 영어사용 비율은 평균 20~40%였고 영어교과심화 실습생은 50%이상의 영어를 사용하였으며 응답자의 88.2%가 영어수업 협의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습생들 자신의 유창한 영어구사력 및 교실영어 활용 능력의 부족, 학생들의 영어수준의 차이로 인한 지도의 어려움, 영어전담 교사제 또는 저학년에 배정되어 영어 수업 실습의 기회가 적거나 없다는 것, 학생 통제의 어려움 등이 영어과 수업실습을 진행하는데 있어 제약점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습생들은 영어교과 교육실습의 개선점으로, 실습대용학교에서는 영어수업 참관과 시연 기회의 확대 및 적절한 지도, 영어 관련 연수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운영할 것을 바라고 있었다. 교육대학 교육과정에서는 실제 교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교실영어 활용 훈련 및 회화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개설, 영어수업을 시연하고 연습할 기회 제공, 다양한 교수법 및 교수기술, 영어수업모형, 초등영어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영어수업 시 활용 가능한 자료(활동, 게임)에 관한 강좌 등을 개설 또는 신설하여 운영할 것을 바라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생들은 영어수업 시연 시 영어 사용 비율을 20-40%에서 60-80%로 높일 수 있도록 개인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둘째, 교육대학교와 실습대용학교에서는 실습생들의 영어구사력 및 자신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마련하여야 하겠다. 셋째, 초등실습대용학교에서는 모범영어 수업 참관과 영어수업 시연의 기회를 늘려야 하겠다.

      • 교육실습의 실태 조사 및 개선 방향 : 과학교과 교육실습을 중심으로

        한은주 단국대학교 1994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사의 질은 교육의 질을 좌우할 만큼 교사의 자질이 교육에 미 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교육이 이루어지려면 훌 륭한 교사 양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 중등교사 양성을 위한 주된 교육기관의 교육과정 중 필수적인 과정의 하나가 교육실습이다. 이러한 교육 실습이 100여 년 가까이 시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체계적이지 못하고 미흡한 점이 많은 실정이다. 이러한 까닭으로 교육실습에 대한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이 여러 선행연구에 의해 연구되어 왔으나 그 대부분이 연구대상을 교육실습 지도교사나 실습교 학생으로 하였다. 즉 교육실습에 있어 실습의 주 역인 교생의 체험이 반영된 개선방안의 연구는 없었다. 때문에 본 연구자는 연구대상을 교생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이러 한 필요성에 입각하여 연구에 착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필요성에 입각하여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을 과학교육과 교생의 체험적 의견을 중심으로, 과학교육 분야의 교육실습 실태 및 그 문제점을 밝히고 그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데 두었다. 연구의 방법은 설문지 조사법과 자료분석법을 채택하였다. 이러 한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실습교 행사시 교생 참여는 교생 자신에게 큰 경험이 되므 로 실습교는 교생이 좀 더 많은 행사에 참여 할 수 있도록 교육실습 지도 계획을 수립해야겠다. 둘째, 4주간의 교육실습 기간 자체가 단기간임을 체감하며, 이에 따라 교생의 실제 수업 시행 시간수도 적으므로 좀더 많은 시간을 배당하는 방법을 강구해야겠다. 세째, 교생이 공통적으로 느낀 애로점은 학생통솔과 담임업무로 나타나 이에 대한 사전교육이 강화되어야 하겠다. 넷째, 바람직한 교육실습 시기를 조사한 결과 4월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고, 그 다음은 5월, 9월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바람직한 교육실습 시기는 각각의 시기별로의 장·단점을 면밀히 검 토하여 결정하여야겠다. 다섯째, 교육실습에 대한 대학에서의 사전교육중 현 교직분야 강 의는 이론에만 치우치고 있어 교육실습 현장에서 실제 활용할 수 있 는 교과 과정으로의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여겨진다. Quality of teacher have an important effect upon quality of education. Therfore honorable techer training is indispensable to accomplish desirable education. Teching practice is essential curriculum of a college of education. But teaching practice hasn't systematized so fa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rvey on status of teaching practice and to devise an improvement plan of teaching practice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use the survey method of questinnaire-sheets, and to analyze postscript of teching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Laboratory schools should be cooperated positively on teching practice. 2. Supervisors in laboratory schools must give the student techer a lot of opportunities of teaching practice. 3. Student techers replied that the hardest job is student discipline during teching practice. 4. The suitable time of teaching practice should be determined after due consideration both merits! and demerits each time 5. Lecture of teaching progession field in college of education have a bent for theory , therfore is should be improved practical education.

      • 유치원 교사의 교육실습지도 직무만족도 연구

        이은희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보다 효율적인 유아교육실습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유치원 실습 지도교사가 교육실습 지도라는 직무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또 그 유아교육실습지도 직무만족이 관련변인(연령, 학력, 경력, 기관유형, 근무지역, 실습지도횟수)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문지법에 의한 조사 연구의 방법을 채택하였고, 연구의 도구는 유아교육 실습지도교사 직무만족에 관한 선행 도구가 없어서 관련자료( Paula Jorde-Bloom, 1989의 유치원 직무 만족 측정도구(ECJSS :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와 관계문헌을 참고하여 예비조사를 거쳐 본 연구자가 마련한 '유아교육실습지도 직무만족도'이다. 그리고 내용타당도 검사를 하여 6개의 하위영역으로 총 43문항의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충청남도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유아교육실습 협력 유치원을 중심으로 국·공립과 사립 유치원의 실습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29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조사된 질문지는 SPSS Windows용 7.5버전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Scheffe 사후검사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실습 지도교사들은 실습지도 직무만족과 관련하여 실습지도실제, 교육실습지도 근무환경, 실습생과의 관계에서 보통보다 조금 높은 만족을 보였으며, 원장과의 관계, 대학실습지도교수 관계에서는 보통이다라는 반응을 보였다. 그리고 실습지도 보상요인에 대해서는 불만스러워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육실습 지도교사의 실습지도 직무만족의 관련변인별 차이를 알아본 결과, 학력과 연령, 경력에 따라서는 실습지도 실제요인에서, 근무지역에 따라서는 실습지도 근무환경요인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논문은 1999년 8월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될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how much satisfaction Was about a kindergarten teacher's work of the guidance of practice teaching in kindergarten and to see how is the difference in a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work of the guidance of practice teaching, according to related matters (age, academic career, a personal experience, facilities type, workplace, the number of practice guidance, finally to get basic material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practice teaching in kindergarten. To achieve study purpose, investigator choose the study method by the questionnaire. With out precedent materials about a satisfaction of a kindergarten teacher's work of the guidance of practice teaching, investigator has made a survey about a satisfaction of a kindergarten teacher's work of the guidance of practice teaching by referring to related material (Paula Jorde-Bloom 1989, ECJSS ;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and related records, by preparing survey. The questionnaire consist of 43 questions which divide it into six lower domain through reasonable inspecting on contents. To perform this study, experienced 298 teachers of the guidance of practice teaching have surveried at the kindergarten cooperative school for practice teaching in kindergarten, at national kindergartens, at private kindergartens in Chung Nam Province and Dae Jeon City. Survey questionnaire has inspected by SPSS Window 7.5 Statistic Program and T-Inspection, One-way ANOVA, Scheffe' after inspe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Guidance teachers in practice teaching in kindergarten present relatively positive about a teacher's work of practice teaching but dissatisfied with the compensation of a teacher's work. 2. According to related matters (age, academic career, teaching experience, workplace), they have an influence on a satisfaction of a kindergarten teacher's work of practice teaching in kindergarten. In the reality of practice guidance and work conditions of practice teaching, lower domain is mainly influen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