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전문대학원생의 정보이용행태 연구

        김유중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As the number of Specialized Graduate Schools is increas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GSE) are also gradually growing to satisfy the new demands from Korean education society. The majority members of GSE students are current teachers, and the schools offer both Masters and Doctoral degree courses. Information use behaviors of these GSE students are being altered dramatically since the subject areas in their education field are diversified and also subdivided into small catego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w information use behavior of GSE students and suggest more effective reference service system to fulfill their needs. This study examined four factors. The first factor was GSE students’ purpose of pursuing graduate level studies and their devotion to the course works. The second factor was common information use behavior of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SE and their core job description. The third factor was the different information behaviors of GSE students between their roles as teachers and graduate students. The fourth factor was the relations between student characteristics and how well they utilize the library based on the frequency of library visits. To understand GSE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their common information use behavior, this study researched preliminary studies on similar areas. It also accomplished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students, who have used the library previously, started from November 20 to 30, 2016. The surveys from 146 GSE students were also conducted to make sure the research results are objective and universal. Based on the preliminary studies, the primary ro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student guidance and teaching classes, and numerous studies emphasize that the teachers should be encouraged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ity all the time. The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was used to analyze GSE students’ purpose of pursuing graduate study, the nature of elementary level teaching, their information use behavior, information needs, and the library use behavior. The survey results were led to verify the different information behaviors based on student’s gender, age, work experience, and job requirements. Thesis results were also utilized to quantify the differences. The findings that are measur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are shown in the following. Firstly, most of the GSE students are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y value the studies on teaching and guidance methods the most. They often seek for teaching materials or information about classroom management, and these are mostly found in online communities, seminars/professional development sessions, and the commercial websites that are related to the education field. Secondly, the difficulties on information search are caused by not knowing the sources and the extra accessing fees for using certain materials. Most of the students preferred using scholarly websites rather than visiting the library; however, higher they value the graduate course works, more often they utilized the library services. Thirdly, the main reasons for not visiting the library or the library website were either their busy work schedules or being aware of other convenient ways to access the scholarly website through external sources. Librarian’s assistance was often considered unnecessary as students felt confident enough to achieve the information themselves. On the other hand, majority of the students showed their demands on a greater collection of major books in the library. Fourthly, the number of library visits is relevant to the number of accessing the library website and attending the library’s user educations. It is also shown that the successful library user education changes students’ point of views on librarians and their performances, and it improves the satisfactory level of their library experiences as well.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proved that it is positively necessary to develop better library reference service system to support GSE students to enhance their performances as teachers and students. It will also give the library society a significant chance to support the reformation in the education field that they have yet to achieve. 전문직의 양성과 계속교육을 위한 전문대학원의 설립과 함께 우리나라 교직 분야에서도 시대 변화와 사회 요구에 맞추어 교육전문대학원이 설립·운영되고 있다. 교육전문대학원의 구성 학생은 현직 교사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학위 과정은 석사와 박사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교육전문대학원생의 정보추구 방식은 급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연구주제의 다변화와 세분화에 따라 다양한 유형과 주제의 정보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육전문대학원생의 정보이용행태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효율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교육전문대학원생의 개인적 특성을 바탕으로 이들의 학업추구 목적과 학업·직무의 비중 정도를 조사하고 둘째, 초등교사의 주요직무와 직무관련 정보의 필요도와 정보의 출처를 분석하며 셋째, 교사와 대학원생으로서 역할에 따른 정보이용행태를 구분하여 그 차이를 알아보며 넷째, 소속 도서관의 이용 정도를 바탕으로 개인적 특성과 도서관이용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교육전문대학원과 초등교사의 특성을 알아보고 정보이용행태 이론을 기반으로 대학원생과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정보이용행태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교육전문대학원생의 개인적 성향과 정보이용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우선 탐색으로 예비조사인 심층면담을 2016년 11월20일부터 10일간 도서관 이용경험이 있는 4명의 대상자를 임의 선정하여 조사함으로서 설문조사의 문항개발과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예비연구의 객관적 검증과 일반적 적용을 위하여 교육전문대학원생 1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인적 특성과 정보이용행태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초등교사의 교육활동에서 가장 본질적인 것은 교과수업이며 일반 교사의 특성을 함께하는 초등교사의 주요 직무는 학생지도이며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교사의 전문적 역량은 지속적으로 신장되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비조사인 심층면담을 통해 학업추구 목적과 초등교직의 특성, 정보추구 목적과 정보의 필요도, 도서관 이용정도를 파악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성별, 연령, 경력, 역할에 따른 정보이용행태의 차이를 객관적인 데이터로 확인하고 도서관 이용정도의 빈도를 바탕으로 항목간의 관련성과 도서관 만족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대부분인 교육전문대학원생은 교사의 가르침과 지도방법에 대한 학업을 가장 높게 추구하며 직무분야에서는 학생생활지도를 가장 우선으로 생각하고 직무관련 정보는 교과학습 정보를 가장 많이 필요로 하지만 교과학습과 학생생활지도와 학교·학급경영 정보도 많이 필요로 하고 있었고 관련 정보는 온라인 교사커뮤니티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며 다음으로 동료 및 전문가와 세미나·연수자료, 교육기관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업용 교육웹정보에도 많은 관심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정보수집의 어려운 점은 정보소재의 파악과 유료정보에 대한 부담으로 조사되었고 대학원 학업정보는 외부학술사이트를 선호하며 도서관 정보이용과 방문은 매우 저조하였으나 학업의 비중을 높게 추구할수록 도서관 이용정도가 높게 조사되었다. 셋째, 도서관 방문과 홈페이지 접속이 저조한 이유에 대하여 바쁜 일과와 외부접속으로 전자정보원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고 자신의 정보활용 능력과 주변의 지인을 통해 도서관 사서의 도움 없이도 정보이용에 큰 문제가 없으며 도서관에 대한 희망사항은 전공도서의 확충을 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도서관 방문빈도는 홈페이지 접속 횟수와 도서관 이용자교육 수강과 관련이 있으며 이용자교육의 수강은 사서의 만족도로 이어지고 사서의 만족도는 도서관 만족도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이 교육전문대학원생의 정보이용행태에 대한 실제적인 검증과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전문대학원생의 전문성과 학위취득을 지원하기 위한 효율적인 정보지원 방안을 마련함으로서 교육전문대학원생은 물론 나아가 초등교육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 교육대학원생의 진로장벽, 학업지연행동, 학업적의지전략, 학업불안 간의 관계

        김혜진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areer barriers, academic procrastination, academic will strategies, and academic anxiety of graduate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procrast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variabl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05 graduat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wher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re established.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using Google Docks online app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related to academic anxiety of graduate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anxiety and career barriers, academic anxiety and academic delay behavior, career barriers and academic delay behavior of graduate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would strategy and academic delay behavior. This means that the lower the career barriers of graduate students, the lower the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the higher the academic will strategy, the lower the academic anxiet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al model, the measured structural model showed good fit. In the final model, the academic will strategy of graduate studen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and academic anxiety, but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academic anxiety.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academic procrastination was found to have been suppressed in the process of influencing academic anxiety of graduat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이 연구에서는 교육대학원생들의 진로장벽, 학업지연행동, 학업적의지전략, 학업불안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고, 연구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학업지연행동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대학원이 설치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교육대학원생 총 20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방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방식 설문조사는 구글독스 온라인 앱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상관분석, 기술통계분석,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생의 학업불안과 관련한 변인들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교육대학원생의 학업불안과 진로장벽, 학업불안과 학업지연행동, 진로장벽과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학업적 의지전략과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부정 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교육대학원생의 진로장벽이 낮을수록, 학업지연행동이 낮을수록, 학업적 의지전략이 높을수록 학업불안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 측정된 구조모형은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다. 그리고 최종모형에서는 교육대학원생의 학업적 의지전략은 학업지연행동과 학업불안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진로장벽과 학업불안의 관계에서 학업지연행동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교육대학원생의 진로장벽이 학업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학업지연행동의 억제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논의하였으며, 교육에 주는 시사점 및 제한점, 추후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일반대학원생의 교육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김세련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2303

        본 연구는 일반대학원생의 교육만족도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일반대학원생의 교육만족도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 ‘구성요인 설정’, ‘문항개발’,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세 단계에 따라 연구를 실시하였다. 첫 번째, ‘구성요인 설정’ 단계에서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일반대학원생의 교육만족도 구인화 모형을 잠정적으로 설정하고,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여 구인화 모형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그 결과, 교육만족도의 하위요인으로 교육과정, 교수학습, 학습성과, 연구지도, 연구문화, 학사행정, 대학원생활 지원, 연구활동 지원 8개 영역을 최종적으로 설정하였다. 두 번째, ‘문항개발’ 단계에서는 일반대학원생의 교육만족도의 각 하위영역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89개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두 차례의 전문가 검토를 통해 문항을 수정 및 보완하여 84개 문항을 예비문항으로 도출하였다. 본조사에 앞서 예비조사를 통해 예비문항의 적절성 및 이해도를 확인하였다. 세 번째,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단계에서는 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양분하여 각각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교육만족도의 구성요인으로 설정하였던 8개 요인(교육과정, 교수학습, 학습성과, 연구지도, 연구문화, 학사행정, 대학원생활 지원, 연구활동 지원)이 안정적으로 추출되었으며, 총 49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가 다른 표본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8요인 모형’과 8개 요인들이 교육만족도라는 단일 개념으로 묶일 수 있다고 가정한 ‘위계적 2차 요인 모형’의 적합도를 비교 검증하였다. 8요인 모형은 8개 요인의 관계만을 파악하는 반면, 위계적 2차 요인 모형은 8개 요인간의 관계가 교육만족도라는 개념에 의해 얼마나 잘 설명되는지 파악할 수 있다. 검증 결과, 위계적 2차 요인 모형은 8개 요인 모형과 비교하였을 때 적합도 차이가 미미하여 위계적 2차 요인 모형을 선정하여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개발한 일반대학원생 교육만족도 측정도구는 8개 요인, 49개 문항으로 구성되며, 전체 신뢰도는 α=.966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반대학원 교육만족도를 실증적으로 탐색한 연구가 부재한 상황에서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대학원 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에서 교육만족도 조사를 계획하려는 교육기관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형 엘리트의 탄생 : 동남아시아인 한국(어)학 전공 대학원생의 유학 경험을 중심으로

        김수은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19 국내박사

        RANK : 232237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Southeast Asian students studying abroad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strategic knowledge mobility in western-centric globalized academia, based on a qualitative survey of the experiences of Southeast Asia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Studies at Korean universities. In particular, this thesis focuses o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students’ scholar/researcher identity within Korean society and at their universities, rather than the policy aspect of Korea that involves attracting more foreign students and expanding the field of Korean Studies.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decision of Southeast Asian students to study abroad in Korea is a compromise of their semi-global dreams. The mobility of international students usually focuses on the US/West, the perceived center of economy and academics. Choosing Korea as the location for higher education and jobs and trying to achieve the dream of becoming a knowledge elite through Korea not only requires compromises and rationalization but also affects students’ elite identity and attitude after studying abroad. Second, this thesis clarifies how Southeast Asian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avoid discrimination through multi-layered and multi-faceted responses by intertwining their identity as a university student in Seoul with their identity as a Southeast Asian, which, on its own, often evokes low status connotations in Korean society. They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he people of their country of origin by emphasizing their personal value and abilities and sometimes resort to agreeing with the assertions of discrimination in order to ingratiate themselves with Koreans. At the same time, their experience of neglect and alienation within the academic setting of Korean Studies (or language) is an element that contributes to the imperfection of the elite identity they pursue. Third, this thesis presents their elite identity as that of a “Koreanized elite.” This term implies an imperfect elite identity created by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s and behavior patterns of the Korean academia that they have acquired while studying in Korea, in conjunction with the economic dependency rooted in the ongoing master-disciple relations and research grants affecting them even after they return to their home countries. While they are professors of Korean Studies (and/or language) at their local universities, they are not fully recognized as Korean Studies scholars within the realm of educational and academic activities. As both beneficiaries and co-conspirators of Korea's national promotion, these Southeast Asian scholars maintain multifaceted and complex feelings for Korea. This thesis highlights knowledge mobility from the periphery to Korea, which has not been widely studied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In particular, rather than simply describing the experiences of international students, this thesis analyzes how these Southeast Asian students, whose aim is upward class mobility by studying abroad, develop their identities as elites, and how their relationship with Korea continues to affect their elite identities beyond their periods of academic exchange.

      •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의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유지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1593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tents and meanings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second language self by drawing out narratives on the personal experiences as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used narrative inquiry research method as a main research method because narrative inquiry i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to research in terms of respecting, understanding, and exploring experience as an approach to studying human life, so that it can derive the most in-depth meaning of experiences. Specifically, based on the design of narrative inquiry, the research was conducted cyclically in the process of ‘Being in the Field’, ‘From Field to Field Text’, ‘From Field Text to Intermediate Research Text’, and ‘From Intermediate Research Text to Research Text’. A total of six foreig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selected during the preliminary interviews and the first interviews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ing their second language self based on a relatively similar learning experience. The field text was collected mainly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he intermediate research text was reviewed with the study participants to form the final research text. The implications of their second language self change experiences in the participants’ narratives were implicitly constructed using the metaphors ‘For a new journey’, ‘Meeting myself in a strange place’, ‘Floating after losing one's paddle’, ‘Sending a signal’, and ‘Unfinished voyage’. ‘For a new journey’ means an experience that has led research participants' lives to new experiences while meeting their own second language selves. The participants had high expectations and goals when they first learned Korean and entered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just like boarding a ship for a new journey. ‘Meeting myself in a strange place’ is an experience where participants face a new Korean language self in a strange place―a graduate school in Korea. The participants felt strange about the new place because there were more foreigners than they had imagined, and there were fewer practical classes than they had expected. ‘Floating after losing one's paddle’ means that the participants lost their paddle of Korean language, which had previously determined the direction of the ship and created motivation in their lives, thus losing their goals and powers in the graduate school process. It was influenced by the fact that it was not easy to become a Korean language teacher even after graduating from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ending a signal’ means that the participants continue to try to interact outside to find a breakthrough in their own way, instead of drifting away from what was expected. Participants in this study have tried their own experienc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such as finding suitable friends or using the Internet to find Korean language learners outside graduate schools, making textbooks or teaching classes. ‘Unfinished voyage’ means that participants have found the potential to move forward in the future after their graduate experience of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lthough they once had a difficult time and lost their way, their new experience in a strange place has broadened the horizon of research participants' lives, and although they have not found a clear destination or goal, they can find a wide range of possibilities that they can go anywhere through their paddle of Korean language. Discussions ab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s personal just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fe experiences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ultimately it was time for me to reflect on my own graduate school experiences as well as their lives. Some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looked back on their graduate school experience and thought about how to proceed. This has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lives of researcher and research participants. The practical justification is that through the voice of the participants, we can understand them and their lives deeply. The study participants are member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sometimes the highest level of learners, and sometimes the beginner level Korean language pre-teachers.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s purpose is to train Korean language teachers, helping foster more specialized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future. If they can understand the new features found in the experiences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they can adapt to the appropriate educational environment. Finally, it is social justification. With foreigners coming to Korea steadily flowing into the university, the micro approach to overseas students, or attempts to understand them as individuals, is still in a fairly weak stage. In particular, there is a lack of in-depth research to understand foreig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ho came to learn Korean as a profession. This problem-consciousness means that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focused on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masters' degrees with a limited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discussed in-depth their experiences with Korean language self.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in-depth the process of the second language self change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rough this, we could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second language self change experience they had. This will contribute to a more detailed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experiences of Korean language self change in foreign graduat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의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그들의 생생한 이야기 속에 담긴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고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 퍼즐은 첫째,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의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이 어떠한지 탐구한다’, 둘째,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의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탐구한다’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는 인간의 삶을 연구하는 접근법으로 경험을 존중하고, 이해하고, 탐구하기 때문에 연구 참여자가 가지고 있는 경험의 의미를 가장 심도 있게 이끌어낼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에 가장 적합한 연구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내러티브 탐구의 탐구 설계에 따라 ‘연구 한가운데로 들어가기’, ‘현장에서 현장 텍스트로’, ‘현장 텍스트에서 중간 연구 텍스트로’, ‘중간 연구 텍스트에서 연구 텍스트로’의 과정을 순환적으로 거치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비교적 유사한 학습 경험에 따른 제2언어 자아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예비 인터뷰 대화와 1차 인터뷰 대화에서 한국어교육을 전공하는 외국인 대학원생 중 석사 과정을 졸업 또는 수료하였으며 졸업 후에도 한국에서 몇 년 간 한국어와 관련된 일을 할 계획을 가진 대학원생 총 6명을 선정하였다. 주로 심층적인 인터뷰 대화를 통해 현장 텍스트를 수집하였으며, 중간 연구 텍스트를 연구 참여자들과 함께 검토하여 최종 연구 텍스트를 구성하였다. 한국어 자아의 변화 경험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 속에서 발견한 그들의 경험의 의미는 ‘새로운 여정을 위한 승선’,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 ‘노를 잃고 표류하다’, ‘무전을 보내다’, ‘끝나지 않은 항해’라는 비유를 통해 함축적으로 구성되었다. ‘새로운 여정을 위한 승선’은 한국어를 만나면서 연구 참여자들의 삶을 새로운 경험으로 이끌었던 경험을 의미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여행을 위해 처음 배에 오를 때처럼 한국어를 처음 배울 때와 한국어교육전공 대학원에 입학했을 때 높은 기대감과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는 연구 참여자들이 한국의 대학원이라는 낯선 곳에서 새로운 자신의 한국어 자아의 모습을 직면하게 된 경험을 의미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상상했던 것과 달리 한국인보다 외국인이 더 많은 점과 실습 수업이 생각보다 적은 점 등으로 인해 새로운 장소를 낯설게 느꼈다. 또한 타인에게 저평가를 받는 경우와 한국어 수준이 모어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과거 자신의 영어 자아와 비교하는 경우에 한국어를 사용하는 또 다른 나의 모습을 마주하게 됐다. ‘노를 잃고 표류하다’는 연구 참여자들이 삶에서 이전까지 배의 방향을 결정하고 동기를 만들어주었던 한국어라는 노를 잃어버린 채 표류하는 것으로 연구 참여자들이 대학원 과정에서 한국어 관련 목표와 동력을 잃고 무기력해 하는 경험을 의미한다. 이는 모호하고 높게 설정된 한국어 이상 자아와 한국어교육전공을 졸업한 뒤에도 한국어 교사가 되는 것이 쉽지 않다는 현실에 영향을 받았다. ‘무전을 보내다’는 연구 참여자들이 기대했던 것과 다른 상황에서 표류하는 데 그치지 않고 나름대로 돌파구를 찾기 위해 바깥으로 상호작용하려는 시도를 나타낸다. 연구 참여자들은 마음이 맞는 동료를 찾거나 인터넷을 활용해서 한국어 학습자를 대학원 밖에서 직접 찾은 뒤, 교재를 만들거나 수업을 하는 등 한국어교육과 관련된 경험을 스스로 시도해 나갔다. ‘끝나지 않은 항해’는 연구 참여자들이 한국어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원 경험 속에서 앞으로 미래에 나아갈 가능성을 찾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상하고 기대했던 것과 다른 상황을 만나 어려움을 겪고 방황한 적도 있었지만 결국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난 새로운 경험은 연구 참여자들의 삶의 지평을 넓혀 주었고, 분명한 목적지나 목표를 찾은 것은 아니지만 한국어라는 노를 통해서 어디로든 갈 수 있다는 다양한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게 됐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논의는 내러티브 탐구의 개인적 정당성, 실제적 정당성, 사회적 정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먼저, 개인적 정당성이다. 외국인 대학원생의 삶의 경험에 대한 이해라는 이 논문의 목적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연구자는 그들의 삶뿐만 아니라 연구자 스스로의 대학원 경험을 돌아보고 성찰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연구 참여자 중에는 자신의 삶에 대해 누군가가 대신 자서전을 써 주는 것 같아서 좋았다고 말한 사람도 있었고, 자신의 대학원 경험을 되돌아 보면서 앞으로 어떻게 나아가면 좋을지 고민해 보는 기회가 될 수 있었다는 사람도 있었다. 이처럼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삶에 변화를 가져온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교육에 전달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 즉 실제적 정당성은 연구 참여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그들과 그들의 삶을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어교육전공의 구성원으로서, 어느 때는 가장 높은 수준의 학습자이기도 하고 어느 때는 이제 막 시작 단계인 한국어 교사, 예비교사이기도 하다. 한국어교육전공은 한국어 교사를 양성하는 목적을 지닌 전공으로서 구성원에 해당하는 외국인 대학원생들의 경험을 통해 그들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교육 목표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외국인 대학원생들의 경험에서 발견된 새로운 점들을 이해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교육환경을 맞추어 나갈 수 있게 된다면, 앞으로 더욱 전문적인 한국어 교사들을 양성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정당성이다. 한국으로 유학 오는 외국인들이 꾸준히 대학으로 유입되고 있는 가운데 유학생들에 대한 미시적 측면의 접근, 즉 그들을 한 개인으로서 이해하려는 시도는 아직까지 상당히 미약한 단계에 있다. 특히 앞으로 한국어를 가르칠 것을 직업으로 삼고자 배우러 온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들에 대한 이해를 위한 심층적인 연구도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처음으로 한국어교육전공이라는 한정적인 전공의 외국인 석사과정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그들이 한국어와 함께 지나온 경험들을 심층적으로 논의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들의 제2언어 자아가 변화하는 과정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그들이 가지고 있는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로써 외국인 대학원생들이 가지는 다양한 한국어 자아 변화 경험을 보다 자세하고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