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운전자의 불안전 행동과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김세련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Recently increasing interactions between human being and machines with developing various technologies are generalization and produce comport, but errors and accidents from the interactions are also being increasing. One example of the most generalized interactions is a relation between cars and drivers. Most of car accidents have occurred because people act in judgment errors or faults rather than mechanical faults or circumstances. In this aspect, if specific correlations between human personality and unsafe acts are researched,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optimize and apply efficiently the factors of human being into some cases of accident prevention. As researching the correlation between Unsafe Act and people’s personality that could make accidents between cars and drivers, this study selected 200 car drivers and surveyed them by using Enneagram and KDBQ questionnair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 First, among the center groups of the Enneagram, it is the Belly Type, called Jang Hyung in Korean, which has aggressive and angry personality that is related to unsafe acts, and it is the lowest style that is Heart-Centered style. Second, the type 8 and 9 people, who have weaknesses such as aggressive, defiant, and insensitive personality among the 9 styles of the Enneagram, show the highest possibility of unsafe acts. Third, as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s of unsafe act occurrences based on gender, only m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each center group of Enneagram, and the male Belly Type showed the more frequent unsafe acts. When the results are summarized, this study verifies that the Enneagram personality styles could be a helpful tool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unsafe acts. Depending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needed to consider operating a personality style indicator and hiring Heart-Centered drivers in driver selection processes of large transfer companies to operate trucks or public transfer companies for Bus or Taxi. Because people of the type 8 and 9 among the Belly Type have the higher possibility to make unsafe acts than other type’s drivers, it could be more easy for the people to link accidents. If safety educations and managements for the people could be maintained, it would be effective for the safety accident prevention. More over, when work could be appropriately allocated depending on risk and difficulty after driver resources are divided as following their personality styles and prevention educations could be conducted together, this study expects its effects could be more efficient. 최근 다양한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인간과 기계간의 상호작용은 많은 분야와 생활 가까이에서 보편화되고 편리함을 주는 동시에 그에 따른 오류와 사고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으로 자동차와 운전자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대부분의 교통사고는 기계의 결함이나 주위환경에 의한 원인보다는 인간의 판단오류나 과실에 의한 행위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간의 성격 부분과 불안전 행위에 대한 구체적인 상관관계를 연구해 본다면 향후 사고예방에 있어 인적 요소를 조금 더 최적화하고 효율적으로 적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와 운전자 사이에서 사고를 일으키는 성격유형과 Unsafe act와의 상관관계를 탐색하고자 200명의 운전자를 대상으로 에니어그램 검사와 KDBQ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에니어그램 중심그룹 중 인간의 높은 불안전한 행위와 연관 있는 그룹은 공격적이고 분노의 특성을 갖고 있는 장형이었으며 가장 낮은 유형은 가슴 유형이었다. 둘째, 에니어그램 9가지 유형 안에서는 공격적, 반항적, 무감각한 단점들이 나타나는 8번과 9번이 불안전한 행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별을 기준으로 Unsafe act의 발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성의 경우에만 중심그룹별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남성 장형 사람들이 높은 unsafe act를 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분류는 불안전행위로 야기되는 사고 예방을 위한 도구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화물차를 운용하는 대규모 운송업체나, 버스나 택시등과 같은 대중교통업체의 운전자 선발 프로세스에서 성격유형검사검사와 함께 가슴형 운전자의 선발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장형 그룹 안에서도 8번, 9번 유형의 운전자의 경우 다른 유형의 운전자에 비해 불안전한 행위의 발생가능성이 높으므로 사고와 연결이 보다 쉽게 될 수 있다.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안전 교육과 관리가 이어질 수 있다면 안전사고예방에 있어 효과적일 것이다. 더불어 운전자 직군에 있어서 성격유형별 구분에 따라 인적자원을 구분한 뒤 위험 난이도에 따른 업무를 적절하게 배분 하고 예방교육이 함께 이뤄질 수 있다면 그 효과는 더욱 증대될 것으로 기대 된다.

      • 정상 신생아에서 제대혈의 leptin농도와 성별, 출생체중, 체질량 지수 및 성장 호르몬과의 연관성

        김세련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Leptin은 에너지 대사를 조절하는 것 이외에 자궁내 태아 발육에도 관련이 있으리라 생각되나 정확한 역할에 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가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신생아의 제대혈에서 leptin과 성장 호르몬의 농도를 측정하여 leptin과 출생 체중, 분만시 제태 연령, 성별, 출생 당시의 키, 출생시 체질량 지수, 분만 당시 모체의 체질량·지수, Ponderal Index 및 성장 호르몬과의 연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전체 46명 중 여아는 15명, 남아는 31명 이었고, leptin의 농도는 남아에서 4.63±2.4㎍/ℓ, 여아에서 6.94±2.5㎍/ℓ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0.0050), 출생 체중, 출생 시 신장 및 체질량 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leptin 농도는 제태 연령, Ponderal Index, 모체의 체질량 지수, 태반 무게 및 성장 호르몬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The roles of leptin have been knownthat regulate energy expenditure and intrauterine fetal growth. But, the action mechanisms of leptin are poorly understood. We measured leptin and growth hormone levels in venous cord blood of healthy neonates and analysed the relationships of leptin with birth weight, gestational age, gender, birth height, body mass index, maternal body mass index, Ponderal Index and growth hormone. In 46 healthy neonates, female is 15 and male is 31. The concentration of leptinis 4.63±2.44 ㎍/ℓ in male and 6.94±2.57 ㎍ /ℓ in female.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0.0050)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leptin concentration and birth weight, birth height and body mass index,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geatational age, Ponderal Index, placental weight and GH.

      • 사티어 성장모델의 일치성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세련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사회에서 평등한 부부관계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결혼생활의 안정은 단순한 결혼생활의 유지보다는 자신과 배우자 그리고 부부관계가 모두 존중되어 조화를 이루는 결혼생활의 만족을 통해 이뤄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조화로운 부부관계를 위해서는 부부가 평등한 관계에서 만나 일치성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사티어 성장모델의 일치성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우선, 부부를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일치성과 결혼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는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일치성의 각 하위영역들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유자녀 부부 245쌍을 조사하여 그 중 158쌍(316부)의 질문지가 최종분석에서 사용되었다. 그리고 조사도구로는 자기보고식으로 답하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Ver. 12.0 program을 활용하여 Cronbach의 α계수,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정, 일원분산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부부의 일치성 및 결혼만족도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일치성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남편의 경우 교육수준, 직업, 종교유무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부인의 경우 교육수준과 주관적 경제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대인간 차원은 남편 부인 모두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고, 심리내적 차원은 남편 부인 모두 교육수준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으며, 영성 차원은 남편 부인 모두 교육수준, 종교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그 외 추가적으로 남편의 경우 직업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었으며, 부인의 경우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라서도 차이를 나타냈다. 결혼만족도의 차이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남편이 부인보다 높게 나타났다. 남편의 경우 교육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부인의 경우 교육수준, 결혼기간, 주관적 경제수준에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일치성의 하위영역(대인간 차원, 심리내적 차원, 영성 차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변인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사회인구학적 특성의 영향력은 없었고, 자신의 일치성 하위영역 중 대인간 차원의 영향력이 부인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한편, 배우자의 일치성 하위영역 중 심리내적 차원이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인의 경우 사회인구학적 특성에서는 결혼기간과 주관적 경제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었고, 일치성 하위영역에서는 자신과 배우자의 대인간 차원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통해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의 결혼만족도는 사회인구학적 변인보다 심리적 변인인 일치성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 일치성의 하위영역 중 대인간 차원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다. 그러므로 결혼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치성의 이차 수준인 대인간 차원에서의 접근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일치성의 하위영역 중 심리내적 차원과 영성 차원은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으나, 일치성의 세 차원은 서로 상호보완적이며, 동시에 작용한다는 사티어 성장모델의 이론적 근거에 따라 심리내적 차원과 영성 차원이 대인간 차원에 영향을 미쳐 결혼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갖는다고 예상할 수 있다. 그러므로 결혼만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부부가 평등한 관계에서 만나 일치적인 대처로 들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셋째, 일치성의 하위영역이 성별에 따라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다. 성별에 따른 대인간 차원의 영향력은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비해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남편의 결혼만족도는 배우자인 부인의 심리내적 차원에 영향을 받는다. 부인의 결혼만족도는 배우자인 남편의 대인간 차원에 영향을 받으며, 이 영향력은 부인 자신의 대인간 차원보다 더 큰 영향력을 보이므로 부인이 남편에 비해 배우자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차이를 통해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밝히고자 한다. 첫째, 우리나라 전체 부부의 결혼만족도로 일반화 하는 데는 제한점이 있다. 둘째, 부부를 한 단위로 표집 하였으나 성별에 따른 일치성과 결혼만족도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분석방법에 있어 하나의 단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셋째, 부부의 일치성을 구조화된 질문지만으로 밝혀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현대 부부에게 요구되고 있는 평등한 부부관계의 의미를 인간 내면의 에너지인 영성을 근간으로 제시하는 일치성을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중요성이 인식된다. 이러한 의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address the effect of congruence in the Satir Growth Model on the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To begin with, the differences in congruence and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of couples were identified in social demographic quality, and then the effect of each subordinate dimensions in social demographic quality and congruence of couples on marital satisfaction levd was determined. For this thesis, 245 couples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who had children were surveyed and 316 questionnaires(158 couples) were analyzed finally. An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had the form of answering to oneself was used as a survey instrument. Using SPSS WIN Ver. 12.0 program for analysis of gathered data, this thesis practised α coefficient,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 of this thesis was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of couples were affected by congruence, psychological variables, more than social demographic variables. And interpersonal dimension among subordinate dimensions of congruence indicated significant effects. Second, intrapsychic dimension and spiritual dimension among subordinate dimensions of congruence didn't affect significantly on marital satisfaction level, but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basis of Satir Growth Model, intrapsychic dimension and spiritual dimension had affection on interpersonal dimension. So intrapsychic dimension and spiritual dimension had indirect effects on marital satisfaction level. Third, sexual difference showed differences in effects of subordinate dimensions of congruence on marital satisfaction level.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dimension according to sexual difference affected marital satisfaction level of husbands more than wives, and the levels of marital satisfaction of husbands were affected by intrapsychic dimension of wives. Marital satisfaction level of wives were affected by interpersonal dimension of husbands, and this effect was bigger than wives' interpersonal dimension. Hence, it can be suggested that wives were affected by their spouse more than husbands. This thesis had importance in that it explored the meaning of equal marital relations required in this society through congruence of couples.

      • 크라우드펀딩의 법적 문제와 개선방안 : 증권형·대출형 크라우드펀딩을 중심으로

        김세련 전남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크라우드펀딩(Crowdfunding)은 자금수요자가 자신의 사업이나 자금조달 목적을 홍보하여 불특정 대중(crowd)으로부터 자금공급 여부에 대한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을 이끌어 내고, 온라인상의 전문중개기관(intermediation)을 통해 소액의 자금을 조달(funding)하는 행위이다. 이러한 크라우드펀딩은 오프라인 금융시장에서 시작되어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SNS 활성화로 인하여 기금마련에서부터 투자자들의 자금 마련을 위한 수단으로까지 성장하였다. 특히 금융형 크라우드펀딩인 증권형·대출형 크라우드펀딩은 자금수요자는 대안적 자금조달 수단으로서 활용하고, 자금공급자는 저금리에 따른 투자수익확대를 위해 활용한다는 점에서 빠르게 발전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대적 의미의 새로운 투자와 자금조달의 금융 플랫폼 이면에는 금융소비자보호의 문제가 발생한다. 즉, 자금수요자의 입장에서는 정보공개에 따른 지식재산권 유출문제 및 크라우드펀딩 관련 중개업자의 무분별한 채권추심 및 이자독촉, 신용정보 오남용의 문제가 발생한다. 반면 자금공급자의 입장에서는 관련 펀드의 성격, 규모, 리스크에 대한 충분한 정보의 수집이 불충분하여 정보비대칭 현상이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자금공급자가 제공한 정보에 대해서 신뢰할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역선택의 문제 및 자금수요자의 도덕적 해이 문제와 사기 및 채무불이행 문제가 발생한다. 전자소비자계약 이론은 정보비대칭성에 근거하여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이론인데, 크라우드펀딩에서 체결되는 계약도 고전적 계약과는 달리 정보비대칭성이 존재하는 계약이므로 자기책임원칙이 일정부분 수정되어 상대적으로 열악한 위치에 있는 소비자, 특히 금융형 크라우드펀딩에서는 금융소비자를 보호하여야 한다. 따라서 정보비대칭 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중개업자의 역할과 책임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2015년 7월 6일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을 도입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은 신생기업의 자금조달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마련되었지만, 개정된 법률로 인하여 추가적인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온라인소액투자중개업자는 크라우드펀딩의 특성상 단순중개 업무만 하도록 하여 자본시장법상 설명의무(동법 제47조)와 이에 대한 손해배상책임(동법 제48조)이 배제되었다. 반면 발행인의 정보게재의무(동법 제117조의10 제2항) 및 이에 대한 중개인의 사실확인의무(동법 제117조의11)가 도입되었지만 정보비대칭성을 제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사실확인의무는 소극적인 의무에 불과하고 적극적인 사기방지조치의무가 도입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발행인은 증권의 발행조건과 재무상태 등을 기재한 서류 또는 사업계획서 중 중요사항에 관한 거짓의 기재 또는 표시가 있거나, 중요사항이 기재 또는 표시되지 아니함으로써 온라인소액투자중개를 통하여 증권을 취득한 자가 손해를 입은 경우에 손해배상책임이 인정되지만(동법 제117조의12), 손해배상책임 주체에서 중개인은 배제되었다.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자금수요자에 대한 정보를 많이 가지고 있는 중개인의 책임이 한정되었다. 또한 대출형 크라우드펀딩 시장은 국내에서 급속히 성장하고 있지만 「대부업 등의 등록 및 금융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이나 자본시장법에서 이를 중개할 플랫폼을 감안한 법적 규제체계가 마련되지 않았다. 특히 대부중개업자는 대부업법상 미등록 대부업자를 중개하지 못하는 한계로 인하여(동법 제11조의2 제1항) P2P대출 중개업자는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통신판매중개업자로 등록하여 영업 중에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대부업법상의 최고 이자율 제한(동법 제8조 제1항) 등의 차입자 보호 규정이 배제되어 금융소비자 보호에 미흡하다. 또한 현재 간접대출형이 대부분인데 간접대출형에서 금전소비대차계약에 기한 채권은 금융회사가 가지고 있으므로 자금공급자는 자금수요자에게 직접 채무의 이행을 청구할 수 없어 자금공급자의 권리가 제한적이다. 따라서 P2P대출에서 자금공급자와 자금수요자를 보호할 법적 규제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금융형 크라우드펀딩에 관한 국내의 법적 규제 상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법적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연구한 선행연구가 미비하였다. 또한 국내 학술 논문도 이미 자본시장법상 제도화가 된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에 대해서만 주로 연구하고, 대출형 크라우드펀딩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하였다. 특히, 자금공급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자금수요자를 보호하는 대부업법만의 규제로는 한계가 있다. 이에 미국의 SEC(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도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P2P대출 중개업자가 발행하는 약속어음(notes)을 투자계약 및 증권법상 어음이라고 유권해석하여 중개업자를 증권법상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P2P대출 중개업자를 자본시장법상 규제하여 투자자를 보호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자금공급자의 대출채권, 원리금수취권, 담보금반환청구권 및 담보수수료지급청구권이 자본시장법의 증권에 해당되는지에 대한 법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금융형 크라우드펀딩을 이용하는 금융소비자를 보호하고 중개업자를 규제하기 위한 법적 개선방안을 입법론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특히 해외의 입법상황을 비교법적으로 연구하여 우리나라에 도입될 수 있는 부분을 검토하였다. 나아가 크라우드펀딩 관련 이해당사자의 이해관계 및 법적 규제가 경제에 미칠 수 있는 파급효과를 고려하여 법경제학적 방법론으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그래서 증권형 크라우드펀딩과 관련하여서는 현행 자본시장법상의 온라인소액투자중개업자의 의무를 강화하고 투자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대출형 크라우드펀딩에 관해서는 법적 규제방안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현재, 자금공급자의 채권이 자본시장법상 증권에 해당되는지 알아보고, P2P대출 중개업자를 자본시장법으로 규제할 수 있는지에 대해 심도 있게 연구하였다.

      • 온라인 수업환경에서 학습자 참여와 학습만족도 및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와 교수실재감의 효과에 대한 연구

        김세련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러닝은 기본적으로“교육 상황이 아닌 학습 상황”(강창동, 채선희, 백영균, 홍후조, 2003)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학습의 확대를 가정하고 있다(박인우, 2004). 따라서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는 교육보다는 학습에, 교수자보다 학습자에 초점을 맞춰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교육은 학습과 수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교육보다 학습이 강조되면 교육의 일부분밖에 파악할 수 없다. 이러닝 역시“교사의 통제권이 통합된 학습 환경”으로 파악하여야 학습효과를 보장할 수 있으며, 면대면 수업의 대안이 될 수 있다(박인우, 2004). 이러닝 환경에서의 학습효과를 분석할 때 교육의 개념에 주목하여 학습자 변인과 교수자 변인을 통합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 변인으로 이러닝 준비도를, 교수자 변인으로 교수 실재감을 설정하였다. 온라인 환경에서의 학습은 학습자와 교수자가 서로 독립된 시공간에서 매체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면대면 환경의 학습자와 달리 별도의 준비와 역량이 요구된다. 하지만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 수준이 높다고 해도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결여되어 있다면 우수한 교육이라 보기 어려우며(박인우, 2004),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 수준이 낮은 경우에도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 환경에 적응하거나 학습 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유추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 변인인 이러닝 준비도가 학습자 참여, 학습 만족도, 인지된 학업성취도를 예측할 때 교수자 변인인 교수실재감이 매개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방송통신고등학교 재학생 대상으로 340부 설문지를 배포하여 287부를 최종 통계 분석에 이용하였다. 이러닝 준비도 측정 도구는 김정선과 강민석, 신성욱(2012)이 개발한 도구를 활용하였으며, 교수실재감은 고은현(2007)의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도구를 통해 측정하였다. 학습자의 수업 참여를 측정하기 위하여 차민정 외(2010)가 개발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학습만족도는 고은현(2007)과 Eom, Wen과 Ashill(2006), Shin과 Chan(2004)의 도구에서 일부 문항을 활용하였다. 인지된 학업성취도는 임진호(2006), Sun, Tsai, Finger, Chen과 Yeh(2008)의 도구에서 일부 문항을 활용하였다. 변인간의 관계는 SPSS 19.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은 3단계에 걸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온라인 수업환경에서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와 교수실재감이 학습자 참여와 학습만족도 및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 준비도는 학습자 참여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이러닝 준비도가 학습자 참여를 예측할 때 교수실재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러닝 준비도는 학습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이러닝 준비도가 학습만족도를 예측할 때 교수실재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러닝 준비도는 인지된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이러닝 준비도가 인지된 학업성취도를 예측할 때 교수실재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와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실재감이 학습효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갖추어야 할 준비 수준을 높이고, 교수실재감을 높일 수 있는 교수-학습 모델을 개발할 때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하지만 본 연구의 대상은 여성에 한정되어 있으며, 이러닝 준비도와 교수실재감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의 부재로 이 둘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지 못한 한계점을 지닌다. 각 변인의 하위요인을 고려하여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일반대학원생의 교육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김세련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일반대학원생의 교육만족도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일반대학원생의 교육만족도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 ‘구성요인 설정’, ‘문항개발’,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세 단계에 따라 연구를 실시하였다. 첫 번째, ‘구성요인 설정’ 단계에서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일반대학원생의 교육만족도 구인화 모형을 잠정적으로 설정하고,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여 구인화 모형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그 결과, 교육만족도의 하위요인으로 교육과정, 교수학습, 학습성과, 연구지도, 연구문화, 학사행정, 대학원생활 지원, 연구활동 지원 8개 영역을 최종적으로 설정하였다. 두 번째, ‘문항개발’ 단계에서는 일반대학원생의 교육만족도의 각 하위영역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89개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두 차례의 전문가 검토를 통해 문항을 수정 및 보완하여 84개 문항을 예비문항으로 도출하였다. 본조사에 앞서 예비조사를 통해 예비문항의 적절성 및 이해도를 확인하였다. 세 번째,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단계에서는 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양분하여 각각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교육만족도의 구성요인으로 설정하였던 8개 요인(교육과정, 교수학습, 학습성과, 연구지도, 연구문화, 학사행정, 대학원생활 지원, 연구활동 지원)이 안정적으로 추출되었으며, 총 49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가 다른 표본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8요인 모형’과 8개 요인들이 교육만족도라는 단일 개념으로 묶일 수 있다고 가정한 ‘위계적 2차 요인 모형’의 적합도를 비교 검증하였다. 8요인 모형은 8개 요인의 관계만을 파악하는 반면, 위계적 2차 요인 모형은 8개 요인간의 관계가 교육만족도라는 개념에 의해 얼마나 잘 설명되는지 파악할 수 있다. 검증 결과, 위계적 2차 요인 모형은 8개 요인 모형과 비교하였을 때 적합도 차이가 미미하여 위계적 2차 요인 모형을 선정하여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개발한 일반대학원생 교육만족도 측정도구는 8개 요인, 49개 문항으로 구성되며, 전체 신뢰도는 α=.966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반대학원 교육만족도를 실증적으로 탐색한 연구가 부재한 상황에서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대학원 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에서 교육만족도 조사를 계획하려는 교육기관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피부미용종사자의 직무특성이 직무몰입 및 성장욕구,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세련 영산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sheds a light on influence of estheticians' job characteristics on their job commitment, growth needs and job performance, as well as mediation effects of their job commitment and growth needs. I have surveyed a total of 260 skin care shop employees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nd conducted analysis of frequency, reliability of measuring tools, factors and correlations using SPSS Ver. 23.0. I have also conducted the F test to analyze differences in sanitary management according to operation types of skin care shops. Moreover, my regression analysis for hypothesis verification show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my analysis on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sanitary management according to operation types of skin care shops has shown that personal brand shops have relatively better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sanitary management than franchises. Second, factors comprising estheticians' job characteristics such as skills, work variety, task identity, task importance, autonomy and feedback have been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job commitment, growth needs and job performance. Third, as a result of looking into mediation effects of their job commitment and growth need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stheticians' job characteristics and job performance, some partial mediation effects have been confirmed. From the above results of this study, it has been known that internal/external factors such as current situations or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skin care shops that estheticians experience have an influence on their job performance by stimulating their focus on their job and their growth needs. It has been shown that the greater their job expertise, influence on other people and self-esteemare, the better their job performance is. In particular, estheticians with stronger focus and commitment to their job and higher growth needs as well as more job expertise, influence and self-esteem regarding their job are more likely to achieve higher job efficiency.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angible/intangible compensation systems through their performance are required to strengthen and stimulate their job commitment and growth needs with systems to manage/maintain them. 본 연구는 피부미용종사자의 직무특성이 직무몰입과 성장욕구 그리고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직무몰입과 성장욕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피부관리실에서 근무하는 종사자 총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Ver.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 및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피부관리실의 운영형태에 따른 위생관리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F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가설검증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부관리실 운영형태에 따른 위생관리에 대한 인식과 실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개인 브랜드샵이 가맹점(프랜차이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위생관리에 대한 인식과 실행이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부미용종사자의 직무특성을 구성하는 요인인 기술 및 업무다양성, 과업 정체성, 과업 중요성, 자율성, 피드백은 직무몰입, 성장욕구,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부미용종사자의 직무특성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직무몰입과 성장욕구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피부미용종사자들이 경험하는 피부미용실의 현 상황 또는 조직 특성과 같은 내.외부적인 요인은 직무에 대한 집중력과 개인의 성장욕구를 자극하여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에 대한 전문성,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이 클수록, 직무에 대한 자존감이 높을수록 직무성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화된 직무에 대한 집중력, 몰입도와 높은 성장욕구를 가진 피부미용종사자일수록 자신이 수행하는 직무에 대한 전문성, 직무의 영향력과 직무에 대한 자존감이 높을수록 그만큼의 업무능률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직무에 대한 몰입도와 성장욕구를 강화시키고 자극하기 위해서는 성과에 의해서 얻게 되는 유.무형의 보상체계가 필요하며 이를 관리.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사료된다.

      • 스마트병원의 의료 서비스스케이프 디자인 특성 요소에 관한 연구 : 서울아산병원 병동 내 공공공간을 중심으로

        김세련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전 세계적으로 현재 우리는 도시의 인구 과밀, 기반 시설 부족과 노화, 교통 혼잡, 인프라 및 에너지 부족 등의 다양한 문제를 마주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4차 산업 혁명에 따른 기술 발전으로 정보 통신 기술 즉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을 활용하여 국가 미래의 새로운 성장 동력의 역할로 스마트시티의 확산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 같은 변화에 따라 의료계에서도 기술을 광범위하게 적용하여 치료의 품질과 환자 중심의 경험을 향상 시키면서 비용을 줄이기 위한 인간 중심의 스마트병원이 대두되고 있다. 이는 점점 더 환자들은 더 나은 의료서비스를 요구하고, 환자 중심의 의료로 나아가며, 장!단기적 입원에 있어 병원의 공간 및 환경 또한 단순히 물리적 구조가 아닌 사회화가 일어나는 서비스 이용자로서 주체적 역할의 당위성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통해 국내외 서비스스케이프 개념 및 분석지표를 조사 분석 후 분석지표에 대해 종합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여 서비스스케이프의 특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의료 공간 서비스스케이프 분석 지표 선행 연구들의 기준점과 비교 분석하여 의료 서비스스케이프 분석 지표 및 특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스마트 시대에 따른 스마트병원의 개념과 공공공간의 문헌 고찰을 통한 병원 내 병동의 공공공간을 정의한 후, 스마트 서비스스케이프와 앞선 의료 서비스스케이프 분석 지표와 특성 요소를 병동의 공공공간에 따른 스마트병원의 특성 요소와 클러스터링을 하여 스마트병원의 의료 서비스스케이프 디자인 특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후 서울아산병원 병동 내 공공공간을 사례 대상으로 선정하여 국내 사례 분석을 통해 의료서비스 이용자에게 효과적이고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향후 스마트병원의 서비스스케이프 디자인의 기초 분석요소를 제공함에 있다. Currently, we are facing diverse global issues, such as overpopulation in cities, aging & lack of infrastructure, traffic congestion and energy shortage. To resolve these, the idea of a smart city is rapidly spreading as a novel driving force behind a nation's growth by utilizing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Embracing such advancements in technology, the medical community is experiencing an emergence of human-centered smart hospitals to reduce costs while improving the quality of care and patient-centered experiences through widespread application of technology. This leads to enhanced patient-centered medical care, and patients requesting for more valuable medical services. Furthermore, in short and long-term hospitalization, the space and environment of hospital also need justification for their independent role as the service user of socialization, not just a physical structure. Therefore, this study derived the characteristics and indicators of the medical servic escape after analyzing existing servicescape concepts and analysis indicators. Additionally, after defining the concept of smart hospitals and the meaning of public space in the smart era, public spaces within the AMC(Asan Medical Center) ward were selected as domestic cases. By analyzing the cases of smart medical servicescape, this study proposed basic indicators for the future design of the smart hospital servicescape to provide more efficient and sophisticated medical services and to promote human health impr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