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 정책 분석을 통한 한국어교육기관의 운영 개선 방안

        김수현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4351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 유치ㆍ관리 정책 분석을 통한 한국어교육기 관의 운영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교육부와 법무부 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ㆍ관리 정책을 분석을 토대로 유학생 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을 탐색하여 한국어교육기관을 중심으로 한 운영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외국인 유학생 정책의 문제점?개선방안에 대하여 논 의한 연구 및 정책보고서를 살펴보았다. 공통적으로 한국유학 홍보 부족, 국내 수학 여건의 취약을 외국인 유학생 정책의 문 제점으로 지적하였다. 그러나 구체적인 개선 방안이 아닌 정부차원 혹은 대학들의 지속적인 노력을 제고하는데 그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장에서는 교육부와 법무부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ㆍ관리 정책을 정리ㆍ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한국유학 홍보 및 정보 부족, 둘째, 외국인 유학생의 사후 관리 부족, 셋째, 국내생활의 여건 취약으로 나타났다. 3장에서는 교육부?법무부의 외국인 유학생 정책 분석을 토대로 외국 인 유학생 및 한국어교육기관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먼저 서울 소재 4년 제 인증 대학?대학원 및 한국어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55명의 외국인 유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설문조사 결과 대부분의 유학 생들이 한국유학에 대한 정보 부족을 겪은바 있으며 한국문화 적응, 학 교생활 등의 어려움 또한 겪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한국어 교육기관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지역별 2곳의 한국어교육기관을 임 의 선정하여 사이트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국어교육기관의 현황을 분 석한 결과 외국인 유학생에게 시간제 취업(아르바이트) 제도, 유학생 보 험 등 한국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외에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상담, 장학금 지원 등도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4장에서 외국인 유학생 정책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한 국어교육기관의 운영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SNS를 활용한 한 국유학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한국생활 적응 및 한국어 학습을 위 한 1:1 멘토ㆍ멘티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상 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한국유학 생활에 필요한 정보(시간제 취업, 보험)를 제공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 정책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실질 적으로 한국어교육기관이 수행할 수 있는 운영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노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가 국내의 많은 한국어교육기관 운영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 한다. This is the research dealing with the operation improvement plan of Korean Language Institut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ttraction&management policy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the operation improvement plan of Korean Language Institute exploring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s of international students’ polic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ttraction&management policy for international student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Justice. In chapter 1, it illuminate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explores researches and policy reports discussing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 of the policy for international students. They say in common that problems of the policy for international students are the lack of promotion and the weakness of studying conditions in Korea. However, they don't suggest specific improvement plans, but they only raise consistent efforts by government and universities. In chapter 2, it analyzes and organizes the attraction&management policy for international students dividing the international student-related-government into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Justice in respect. It shows that problems of the policy are the lack of promotion and information regarding studying in Korea, the poor follow-up service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vulnerable conditions living in Korea. In chapter 3, based on above problems, it conducts a survey and explores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policy and Korean Language Institute. Those who questioned are 55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in a four-year-course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in Seoul. The result shows most of them have difficulty because of the lack of information studying in Korea and they also have difficulty in adjusting Korean culture and school life while studying in Korea. After analyzing the current condition of Korean Language Institute based on the survey, many of them do not inform necessary information required for living and studying in Korea such as insurance, part-time job and etc. In chapter 4, based on problems of the current policy for international students, it suggests the following four things as operation improvement plans by Korean Language Institute; first,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studying in Korea through SNS, second, one-to-one mentor&mentee program for adjusting Korean life, third, mandatory counselling, and fourth, providing information required for living in Korea(part-time job, medical insurance). Based on problems of the current policy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it makes an effort to suggest practical operation improvement plan by Korean Language Institute. Therefore, this research expects to hopefully help many Korean Language Institutes operate smoothy for international students.

      • 유아교육기관의 급식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및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김혜자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4335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급식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 지역에 소재 하는 42개 유치원과 67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원 32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급식에 대한 관심도는 매우 높다. 특히 기관운영의 책임을 맡고 있는 원장들을 중심으로 종일제를 운영하고 있는 기관일수록 급식에 대한 관심이 높다. 둘째, 현재 유아교육기관에서는 급식의 주된 목적을 기본생활습관 지도를 위한 한 방안으로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가장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급식의 결과에 대해 만족하고 있다. 유아교육현장에서의 급식은 영양지도 보다는 식습관에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 셋째, 현재 대부분의 유아교육기관에서는 단체급식을 실시하고 있다. 급식의 운영형태는 자체적으로 밥·반찬을 모두 조리하여 제공하는 완전한 자체급식이 대부분이지만, 밥은 자체에서, 반찬은 외부식품회사에 위탁하여 준비하는 절충형 급식도 이루어지고 있다. 넷째, 급식위생 및 영양교육에 관한 연수경험은 저조하다. 어린이집 종사자들은 각 구청 위생과에서, 유치원 종사자들은 교육청에서 제한된 연수를 받았을 뿐이다. 급식위생 및 영양교육에 관한 요구도가 높으므로 연수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급식위생 및 영양교육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전문가 및 영양사가 해주기를 바라고 있다. 주 1회 정도로 시간을 정하여 점심시간 직전과 이야기 나누기 시간을 활용하여 위생과 영양교육이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있다. 여섯째, 현재 대부분의 유아교육기관은 조리실을 구비하고 있으며, 조리실과 급식실을 함께 구비하고 있는 기관은 극히 일부에 불과한 실정이다. 급식실이 따로 없는 관계로 대부분은 각 교실을 급식 장소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곱째, 현재 대부분의 유아교육기관은 조리원을 배치하고 있으며, 영양사와 조리원을 함께 배치하고 있는 기관은 극히 일부이다. 그러나 별도의 직원을 배치하고 있지 않은 기관도 상당수에 이르고 있다. 대부분은 원아들의 영양교육을 위해 영양사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으나, 상당수의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식단작성을 원장이나 교사가 해도 되며, 경제적인 부담을 이유로 영양사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않고 있다. 여덟째, 유아교육현장에서 급식운영을 하는데 있어서 겪게 되는 가장 큰 애로사항은 국고보조의 미비, 인력 부족, 무조건적인 법적 규제이다. 유아교육기관에서 급식운영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원장·교사에게 위생 및 영양교육을 일정시간 연수시켜 영양교육 및 급식운영에 대한 권한을 각 유아교육기관의 자율에 맡기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영양사를 관할 교육청에 공동 배치하여 식단관리를 하고, 조리 및 원아들에 대한 영양교육은 각 유치원의 조리원 및 교사가 담당하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lunch programs at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and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Th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a questionnaire given to 322 teachers working at 42 kindergartens and 67 preschool houses located in Dae-jeon City and the Choong-nam Province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show a high interest in lunch programs. Especially institutions operating on a full-time basis, with a superintendent, show a high interest. Second,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put the foremost purpose of a lunch program in the formation of right eating habits that are one way to teach basic life customs, and they are satisfied with the results of their lunch program. The priority of the lunch program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lies in eating habits rather than nutrition teaching. Third, most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practice a group lunch program. The provision of the lunch program is mostly a complete self-lunch provided with self-cooked rice and side dishes, but there is also a combined lunch with self-provided rice and side dishes from an outside food company. Fourth, there is little training in hygiene and nutrition education. Employees of preschool houses received only limited training at the hygiene department in each district office and employees of kindergartens at the Education Offic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expansion of the training opportunities since hygiene and nutrition education are highly demanded. Fifth,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expect specialists and dieticians to take charge in hygiene and nutrition education. They hope hygiene and nutrition education will be done before lunchtime and during conversation time set once a week. Sixth, most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equip their kitchen, but there are very few institutions with both a kitchen and cafeteria. Since there is not a separate cafeteria, most institutions use classrooms for the lunchroom. Seventh, most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have a cook, but there are very few institutions with both a cook and dietician. Besides, there are quite a few institutions without both. Most institutions claim they need a dietician for nutrition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Nonetheless, quite a few institutions think the menu can be made out by the superintendent or teachers and do not greatly feel the need for a dietician due to the financial burden. Eighth, the greatest difficulties of lunch manage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re the lack of government support, lack of personnel and legal regulations. To put in practice the good management of a lunch program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t is best that the superintendent and teachers should be trained in hygiene and nutrition education, so nutrition education and lunch program management can be conducted at each institution's discretion; if required, a dietician should be placed in the jurisdiction Education Office to jointly take care of the menu, and a cook and teacher in each kindergarten should be in charge of preparing lunch and nutrition education for the children.

      • 예술경영 교육기관 개선방안 연구 :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경영과 예술전문사 과정 피교육자를 대상으로

        황도민 한국예술종합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34334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경영 예술전문사 과정은 국내 석사학위 수준의 예술경영 관련 교육기관 중 비교적 초기라 할 수 있는 2000학년도에 설립․운영됐다. 한국예술종합학교가 추구하는 ‘실기 중심’의 교과과정은 예술경영과에 와서는 ‘현장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본 학과를 경험한 다수의 피교육자의 교육적 만족도는 천차만별이었다. 연구자는 한국예술종합학교라는 교육기관에서 다양한 교육과정을 겪으며 학교만의 특성과 장점, 그리고 한계점에 대해 인지하게 됐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경영 예술전문사 피교육자의 만족도를 파악하고 개선사항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됐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경영과 예술전문사 피교육자의 만족도를 파악, 분석하여 예술경영 교육기관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 두 가지 연구방법을 사용했다. 우선 전수조사를 기본으로 하여 진행된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적 특성과 학과에 관한 만족도를 살펴봤다. 심층인터뷰는 설문조사와 연결점을 갖고 있는데, 연구자가 정한 기준에 의해 선정된 대상자와 설문조사에서 파악된 내용을 바탕으로 자유로운 대담 형식으로 진행됐다. 이를 통해 다양한 의견과 제언이 나타났지만, 특히 입시고사, 커리큘럼, 인적 네트워크, 교․강사진, 행정체계에 관한 개선사항이 다수의 응답자에 의해 거론됐다. 입시고사에서는 현재 영어에만 집중되어 있는 고사방식을 다각화 할 필요와 논술고사 도입 등이 거론됐으며, 커리큘럼에서는 홍보 및 마케팅 관련 수업 보완과 법률수업의 강화, 커리큘럼을 통한 인적 네트워크 공고화라는 의견이 언급됐다. 동문회 활성화의 필요성과 교내 타 예술전공 학생과의 교류 활성화가 대두됐으며, 학생들의 다양한 배경을 고려한 교․강사진 보완, 연극원 전임교수 보완 등이 요구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학과보다는 학교 자체의 개선사항으로 행정체계에 관한 다양한 의견이 언급됐다. 조사 결과 눈에 띄었던 점은 다수의 학생이 학과가 학교 내 입지 및 대외적 영향력이 과거에 비해 약해졌다고 느낀다는 점이다. 이런 점은 입시 지원자 수의 감소, 점차 낮아지는 만족도 등 연구에서 나타난 일련의 현상으로 단순히 개개인의 의견만은 아니라는 것이 드러났다. 학과의 발전과 예술경영 교육기관으로서의 방향성을 위해 언급된 요소들이 하나 둘씩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The Department of Art Management (Graduate Course) a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was founded in 2000, relatively early compared to other graduate school-level art management graduate institution in South Korea. The 'practice-oriented' curriculum pursued by the school is operated as 'field-oriented' in the Department of Art Management. However, the level of educational satisfaction experienced by a majority of educatees were multifarious. The author became aware of the characteristics,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fter undergoing several undergraduate curricula and felt the need to identify the variation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experienced by educates of Department of Art Management (Graduate Course) a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variation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experienced by educates of Department of Art Management (Graduate Course) a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nd explore improvement measures for graduate institution of arts management. To achieve this, two research methods were exploited: survey and interview. The entire sample pool of educates were surveyed to determine their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department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f any.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the survey questionnaire. They were in a free conversation form based on the answers provided in the questionnaire by each interviewer. Through them, a number of suggestions developed, but most indicated areas of improvement regarding entrance exam, curriculum, human network, instructors and teachers and administrative system. With regard to entrance exam, the need for diversification of the test that is too concerted on English and adding essays. With regard to the curriculum, reinforcement in PR and marketing-related classes, law courses and consolidation of human network through curriculum were mentioned. Surveyees and interviewees also commented on the need for an alumni association, exchange with students from other art schools, reinforced instructors and teachers in consideration of the assorted backgrounds of the students, and improved full-time faculty members for the School of Theater. Lastly, rather than the departments, the surveyees and interviewees provided a wide range of ideas regarding the administration system of the school.

      • 중등특수교육기관의 전환교육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배명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4319

        본 연구는 전라남도 중등부 특수교육기관 전환교육의 실태를 분석,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환교육에 대한 이론을 검토하고 전남지역의 현황을 보고하였으며 전남지역 109개 중등 특수학급 및 7개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중등 특수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총 97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처리는 통계패키지 SPSS 12.0k를 사용,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과 교차분석(Pearson의 검정과 Fisher의 exact test),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전환교육계획, 전환평가, 중·고등학교 간 전환교육 연계성의 문제, 전환교육과정 주요내용, 현행 교육과정에서의 전환교육 문제점, 시설 및 기자재 확보 및 활용도, 학부모와의 협조체제, 전환교육 실행을 위한 지원 여건 등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 결과 및 제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환교육계획수립을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전환평가를 실시하여 학생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수집하여야 하나 학교현장에서 전환평가의 중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수준이 매우 낮은 실정으로 특수학교의 경우도 34.4%만이 평가를 실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실시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 적절한 평가도구가 없어서, 교사들의 관찰만으로 충분하기 때문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선교사들이 현장에서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전환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고, 다양한 평가도구를 개발·보급함으로써 활용도를 높여 개별화전환교육계획에 반영하여 지도토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체계적으로 전환교육을 실시하지 못한 원인으로 74.4%의 교사가 표준화된 교육과정 미흡으로 응답하였다. 이는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 내용이 진로 발달 단계에 따라 편성되어 있지 못하며 특수학급 운영방식이 시간제 운영인 경우가 많아서 특수학급에서의 진로교육이 실시되지 않고 대부분 일반학급 학생들과 같은 진로교육을 받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학교교육과정에서 진로·직업교과내용의 문제점으로 비현장감, 적성과 능력에 맞지 않는 일제수업 등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는 사회의 요구와 시대적인 변화에 대응하여 교과내용을 구성하여야 하며, 장애학생의 개개인의 특성과 독특한 요구에 따라 기술습득에 요구되는 훈련내용과 정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다양한 직업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진로 및 직업교육 내용을 고려하여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장애학생의 경우 학부모와의 협력체제는 매우 중요하나 학교현장에서 전환교육을 위한 부모교육이 제대로 실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하여 학부모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구성과 더불어 강의와 토의방식 병행, 소집단 구성을 통한 방법, 전문 상담교사제 운영을 통한 수시상담 등을 통하여 학부모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시설/기자재는 전반적으로 부족한 상태이며, 활용상태도 저조한 실정으로 나타났으며, 인근교육기관과의 자료공유 및 특수학교 직업훈련실 활용방안,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직업훈련실 설치, 일반학교의 기자재 활용 등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여섯째, 지역사회와 학교의 협력체제는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차이는 있으나 보통, 또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도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전환관련기관을 이용하는데 접근성이 떨어지거나, 지역사회에서 장애아들에게 수용적이지 못하기 때문으로 인식하고 있다. 장애학생에게 지역사회의 다양한 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관련기관과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협력과 서비스조정이 필요하다. 지역사회 중심의 통합 시스템을 구축을 위하여 특수교육지원센터를 (가칭)전환교육 지원센터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강화하여야 하며, 관련기관과 협의를 통하여 지역에 장애인 전환 전문교육기관을 발굴하여 장애학생의 인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체제가 마련 되여야 할 것이다.

      • 교육행정기관 송무행정의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모색 : 충청북도교육청을 중심으로

        최창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4319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problems of litigation administration in the state agencies of Korea and present a way to rationalize it. For the purpose, the study has analyzed the general situation of the litigation administration of regiona, along with the writer's empirical job experiences in the Chung-buk office of education(CBE) First, the study compares the litigation administration of CBE with other provincial office of edcation. In order to find out problems in the litigation administration, after dividing litigation and administration litigation, the study describes the current situation of litigation administration in Korea and the CBE and analyzes the problems from 1998 until 2007. State litigation means the civil litigation in which the state in involved as a litigant, or participant. For its speciality, in this kind of litigation the state can designate an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 prosecutor, a public officer of legal affairs, or an employee of the participating state agency, as a litigant. And in state litigation, the state is exempt from tax and guarantee about the litigation. In the order hand, administration litigation is defined as the litigation filed to protect the people from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and interests by any illegal, or unjust conduct of state agencies, and settle disputes in relation to application of public law. The analyzed problems of the litigation administration of CBE are used to seek rationalization solutions, classified ad the common ones applied to all Korean state agencies and the special ones of the CBE only. The idea of rationalization is sought divided by long-term and short-term, based on comparison of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examples. For the long-term method of rationalization, personnel, and job management of litigation administration and the matters accompanying new law, or revision of law, or requiring social agreements. In conclusion, the study presents the realistic idea of rationalization of litigation administration by reviewing the long-term and short-term methods, pointing out limitations of the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충청북도교육청 송무행정의 현황과 실태 분석을 통하여 그 문제점을 알아보고 또한 필자가 송무행정을 직접 수행하면서 경험한 사례를 바탕으로 지방교육행정기관 송무행정의 실태분석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모색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98년도부터 2007년도 까지 10년간 충청북도교육청에서 수행한 국가소송, 행정소송, 민사소송 사건에 대한 분석과 16개 시·도교육청 송무담당자를 대상으로 송무행정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송무행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문부서 조직이 구성되고 이에 필요한 전문 인적자원이 충원되어야 증가하고 있는 각종 소송사건을 유연하게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송무행정 조직의 송무담당자는 송무행정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을 숙지하고 송무수행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문교육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교육행정기관에서 송무행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소송증가 및 패소원인, 조직관리, 인적구성 및 교육, 소송수행, 기타 송무행정과 관련된 문제점에 대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 우리나라 金融機關의 敎育訓練 現況과 改善方案

        정종일 全南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34318

        TODAY,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S IN BEING EMPHASIZED IN THE STRUCTURE OF SOCIETY AND INDUSTRIES, AND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HUMAN RESOURCES I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ENTERPR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MOST EFFECTIVE EDUCATION AND TRAINING PLAN FOR ATTAINING BUSINESS PURPOSE OF ENTERPRISE AND THE BETTER DEVELOPMENT OF BUSINESS ORGANIZ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T FIRST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STUDIED, AND THEN A EMPIRICAL SURVEY WAS MADE. THE DATA FOR THE EMPIRICAL STUDY WERE OBTAINED BY QUESTIONALRES WHICH HAD BEEN ASKED THE WORKERS OF KOREAN BANKS IN SEOUL. IN THIS STUDY IT IS AIMED TO ANALYZE CURRENT TRAINING AND DEVELOPMENT SYSTEM TO SEEK A RATIONAL IMPROVEMENTS FOR SYSTEM. THIS STUDY IS DIVIEDED INTO THE FOLLOWING. CHAPTER I: INTRODUCTION. CHAPTER II: RESERACH ON THE THEORY OF EDUCATION-TRAINING. CHAPTER III : PRESENT SITUATION EDUCATION-TRAINING ON THE BANKING SYSTEM IN KOREA. CHAPTER IV : FACING PROBLEMS AND IMPROVEMENT IN EDUCATION-TRAINING PROBLEMS. CHAPTER V : CONCLUSION. SOME PROBLEMS TO IMPROVE THE EFFICIENCY ABOUT EDUCATION TRAINING SYSTEM ARE AS FOLLOWS: 1. CHANGE OF MANAGER'S ESTABLISHED IDEAS ABOUT EDUCATION TRAINING. 2. RATIONALIZATION OF THE METHOD. 3. EXTENSION OF EXPENDITURE. 4. UPGRADING THE QUALITY OF THE PERSONNELS CONCERNED. 5. ESTABLISHMENT OF THE EFFECTIVE SYSTEM. 6. APPROPRIATENESS OF THE WAY OF EVALUATION ABOUT THE RESULT. 7. APPLICATION OF THE DATA ISSUED TO PERSONNEL ADMINISTRATION.

      • 幼兒敎育機關의 問題點과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 釜山市를 中心으로

        김갑숙 東亞大學校 大學院 1984 국내석사

        RANK : 2343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basic materials for improving the qualti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stablishing its desirable institution, to suggest its problems compairing and analysing the present states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 (teacher's qualifications, educational aims and curriculum, its existing facilities and equipment, its operation and finance) and to show up the expectations and attitudes of parents who enroll their children in these institu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71 parents and 104 teacher's who work in kinderganten, New community kindergartens, childhood educations of churches and art institutions. The questionnaires for teachers and parents were used based on a bibliography and pre-stuidies. The data were analysed by COBOL program to percentage and chi-square (X^(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1) Under the strict standards, the authorities should give sanction to the institution. It is desirable that the standard of their facilities and equipment should be established out of con sider action for children's development conditions, their playing realities and the upbringing of the goods for children up to this standard is needed. 2) Infant teacher's rate should be reduced to 20:1 3) New community kindergartens should be runned with a full-time system.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children of double-income families, from after school to the time of thier parent's coming home from work. Free kindergartens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children in the low income group in an aspect of children welfare. 4) The authorities should consider a counter-plan to the irregular operation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They must strictly control the pre-school education of unsanctioned educational institutions, or revise and obserb them into regular educational institutions. 5) Early children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restrain extra-activities with an overweight burden. 6) We should find and development the positive methods about the education and cultivation of parents in order to help parents realize rightly abou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