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미술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배영희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이 연구는 유아기의 감각을 자극하는 다양한 재료와 미술활동으로 전인발달에 도움을 주는 유아미술교육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양성기관에서 유아미술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유아미술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미술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유아미술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은 어떠한가? 1-2. 누리과정에서 제시한 유아미술교육에 대한 내용은 어떠한가? 1-3. 유아미술교육에 대한 교수-학습방법은 어떠한가? 1-4. 유아미술교육에 대한 평가는 어떠한가? 1-5. 유아미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역할은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D시에 소재한 2, 3년제 대학 및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1학년부터 4학년 학생들 4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연구 도구로는 이인숙(2001)의 구성 및 체제를 바탕으로 김은자(2010), 누리과정해설서(2015), 백선예(2010), 심지희(2013)의 연구를 기초로 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과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유아미술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내용의 하위영역으로는 유아미술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 누리과정에서 제시한 유아미술교육, 유아미술교육의 교수-학습방법, 유아미술교육 평가, 유아미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사대상자의 배경 변인과 인식도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유아미술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에서 대부분의 예비유아교사들이 미술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미술교육의 목적은 전인발달을 돕는데 있으며 목표는 창의적 능력개발을 돕는데 있다고 하였다. 공동미술작품이 유아의 사회성 및 협동심에 도움이 되며 유아의 창의성과 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누리과정에서 제시한 유아미술교육인식에서 현재 양성기관에서는 누리과정에 준거하여 체계적으로 배우고 있고 예술경험의 내용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순서로는 미술활동으로 표현하기가 높았다. 또, 유아가 자연과 사물을 보며 탐색, 표현, 감상하는 능력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미술교육의 교수-학습방법에서는 교육과정에 맞게 주제선정과 계획안을 작성해야 하며 미술활동은 주 3-4회, 30-40분미만이 적당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교수매체로는 사진이나 그림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였고 공동미술작업은 유아에게 필요한 활동이며 횟수는 한 달에 1회가 적당할 것으로 인식하였다. 유아미술교육 활동 시 어렵다고 예상되는 점으로는 교사에 비례해 유아의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의 작품은 평가해야하며 유아의 요구에 따라 전시를 하여야 한다고 나왔다. 유아미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역할에서는 주제에 대해 먼저 이야기를 나눈 후 미술활동이 전개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예비유아교사들이 미술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미술교육이 유아의 전인발달에 있어 필요한 학습영역이라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으로 현직에서 활동하게 될 예비유아교사들을 위한 더욱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유아미술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With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which is helpful in full development with various materials and artistic activities which stimulate the sense of Early Childh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s the purpose mentioned above, there are several questions for the research to see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1. What is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on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1-1. What is the general contents about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1-2. What is the contents about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suggested by Nuri-Curriculum? 1-3. How is the studying method and professor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1-4. How is the assessment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1-5. How is the role of teachers about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446 students who go to four-year universities and two or three year universities located in D, and the tools of the research, which was based on Lee In Sook's composition and system, and researches of Kim Eunja, Nuri-curriculum guide book, Baek Seonye and Sim Jihee were revised and co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bareas of Recognition contents of Preliminary teacher about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are general contents about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suggested by Nuri-Curriculum, Teaching-learning method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assessment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and the role of teachers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he analysis of data was performed by calculating frequency and percentages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in order to figure out Background Variables and Recognition using SPSS 21.0 program. To summariz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mo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and needs for Art Education in general contents. The purpose of Art Education is to help Full development and the goal is to help in developing creative ability. It is said that the collaborative art work help children’s sociality and co-operation and affect children’s creativity and emotional development. They were learing th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suggested by Nuri-Curriculum at A positive organ, and expressing by artistic activity was outstanding in artistic experiences. Also it shows that children have ability to explore, express and appreciate nature and things. In Teaching-learning metho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hoosing subject based on the curriculum and making plan are needed. Three or four times a week for 30-40 minutes of art activities are proper. pictures and paintings were good for teaching media. Joint art work is an essential activity for children and once a month is proper. The difficult things during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here are too many children compared to the number of teachers whose duty is to evaluate children’s works and exhibit if the children want. The role of teachers is to talk about the subject before the art activities start. In conclusi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and they regard this education as an essential things for holistic development of infants. It is meaningful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more efficient and systematic early childhood art curriculum for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ill be active in the future.

      •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기질과 역할수행능력간의 관계 연구

        우순형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aims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temperament and role performance ability of teachers, minimize the imbalance between role expectation and actual role performance of teacher, and enrich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improving role performance ability of teachers. For the purpose, I set 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 (1) What is the general propensity of kindergarten teacher’s temperament? (2) What is the difference of role performance ability depending on related variables of kindergarten teacher?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temperament and role performance ability? This study carried out to 300 teachers at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in Daejeon. The test tool for teacher’s temperament was based on the two tools. One is DOTS-R(The Revised Dimension Of Temperament Survey) designed by Windle & Lerner(1986) and also modified·adapted by Sun Jeong, Kim(1998). The other is the test tool designed by Hyeong Ju, Kim(2011).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Rating Scale: ECTRRS developed by Bu Kyeong, Jo & Saracho(1997) was reconfigured adapted to a purpose based on the test tools designed by Se Eun, Kim(2014), Kyeong Ae, Lee(2010), Hyeong Ju, Jeong(2008), and Sun Hee, Han(2014) for the measurement tool for role performance ability of teacher. Data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calculating Cronbachalpa using SPSS to verify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for teacher’s temperament & role performance.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teacher’s general background was carried out,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calculated based on the research problems, and T-test and F-test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each variables. Also,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temperament and role performance.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 is as follow: First, All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had emotionally positive temperame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ing the tendency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temperament. By contrast, temperament of athletic act level occurred in daily life and sleep was low. Second, The result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eacher’s role performance ability depending on sociodemographic variables was as follow: Role performance ability had no difference depending on a working type. In point of the difference of role performance ability depending on an age, the older teacher was, the higher teacher’s role performance ability teacher had. In point of the difference of role performance ability depending on a academic background, the teacher who graduated from a four-year-course college owned higher teacher’s role performance ability than the teacher who graduated from a tow-year-course college. In point of the difference of role performance ability depending on a career, the seven-year to nine-year teacher had the highest teacher’s role performance ability. Finally, a married teacher had higher role performance ability than an unmarried teacher in point of the difference of role performance ability depending on a marital status of kindergarten teacher. Third, the resul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temperament and role performance ability was as follow: Teacher’s temperament was correlated with the sub-components of role performance ability excepted flexibility. In the relation between activity level of teacher’s temperament and role performance ability, the lower teacher’s temperament of activity level was, the better the teacher performed all roles. And in the relation between accessibility and role performance ability, the higher teacher’s temperament of accessibility was, the better the teacher performed all roles. Also, in the relation between mood of teacher’s temperament and role performance ability, the higher teacher’s temperament of mood was, the better the teacher performed all roles. And in the relation between teacher’s attention-concentration & attention-retentivity and role performance ability, the higher teacher’s temperament of attention-concentration & attention-retentivity, the better the teacher performed all roles. However, flexibility of teacher’s temperament wasn’t correlated with role performance ability. In other words, flexibility which means adaption of teacher’s new situation and stimulation and role performance ability weren’t influenced each other. Through above research result, works and roles were properly distributed to discern temperamental characteristic of the kindergarten teacher. Also, teachers try to minimize imbalance between each roles to cognize the insufficient part of himself/herself in role performance. 이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기질의 차이와 교사기질에 따른 역할수행능력 간 의 관계를 살펴보고, 유아교사가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역할 간 기대치와의 불균형을 최소화하여 역할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유아교육기관 교사기질의 일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역할수행능력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 3〕유아교육기관 교사기질과 역할수행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 연구는 대전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재직 중인 300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는 Windle과 Lerner(1986)가 제작한 교사기질 검사도구 DOTS-R(The Revised Dimension Of Temperament Survey)을 김선정(1998)이 수정·번안하여 사용한 것과 김형주(2011)의 연구도구를 바탕으로 하였다. 교사의 역할수행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조부경과 Saracho(1997)가 개발한 교사 자신이 평정하는 역할수행 평정도구(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Rating Scale :ECTRRS)를 김세은(2014), 이경애(2010), 정현주(2008), 한선희(2014)의 도구에서 이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에 사용된 교사기질 및 역할수행에 대한 측정도구의 신뢰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내적일치도(Cronbachalpa)를 산출하였다.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일반적 배경은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연구문제에 근거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내고, 각 변인에 따라 t-test검증 및 F-tes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교사기질과 역할수행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교사기질의 경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육기관 교사 모두 정서적으로 긍정적인 기질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에 반해, 일상생활 및 수면 시 나타날 수 있는 운동적 활동수준의 기질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역할수행능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근무유형에 따라서는 역할수행능력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른 역할수행능력의 차이에서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역할수행능력이 능숙함을 알 수 있었다. 학력에 따른 역할수행능력의 차이에서는 4년제 대학을 졸업한 교사가 전문대를 졸업한 교사보다는 역할수행능력이 능숙하였으며, 경력에 따른 역할수행능력의 차이에서는 7~9년차 교사가 역할수행능력이 능숙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담당유아연령에 따른 역할수행능력의 차이에서는 만 5세반의 교사가 역할수행능력이 능숙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결혼유무에 따른 역할수행능력의 차이에서는 결혼한 교사가 결혼을 하지 않은 교사보다 역할수행능력에 있어 능숙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사기질과 역할수행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기질과 역할수행능력 간에서는 융통성을 제외한 나머지 하위 요소들에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사기질의 활동수준과 역할수행능력 간에서는 교사의 활동 수준에 대한 기질이 낮을수록 모든 역할을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접근성과 역할수행능력 간에서는 교사의 접근성에 대한 기질이 높을수록 모든 역할을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기질의 기분과 역할수행능력 간에서는 교사의 기분에 대한 기질이 높을수록 모든 역할을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규칙성과 역할수행능력 간에서는 교사의 규칙성에 대한 기질이 높을수록 모든 역할을 잘 수행하는 것으로, 주의집중력 및 주의지속력과 역할수행능력 간에서는 교사의 주의집중력 및 주의지속력에 대한 기질이 높을수록 모든 역할을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기질의 융통성과 역할수행능력 간에서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의 새로운 상황이나 자극에 대한 적응도를 나타내는 융통성에 대한 기질과 역할수행능력 간에는 서로 영향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유아교사의 기질적 특성을 파악하여 적절한 업무 및 역할을 분담하도록 하고, 유아교사는 역할수행을 함에 있어 자신에게 부족한 부분을 인식하여 역할들 간의 불균형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 유치원에서의 요리활동 운영실태 및 내용분석

        권문희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basis of study analyze cooking activity recognize operation actual conditions of kindergarten cooking activity, and to have appeared in the weekly educational proposal and the monthly educational proposal are analyzed, and to will contribute to all of children a few developments has a purpose.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are set up. 1. What about operation actual conditions of cooking activities in kindergarten ? 1-1. What about cooking activities form in kindergarten? 1-2. What about teacher's realization about cooking activities in kindergarten? 2. What about contents of cooking activities that appear in kindergarten educational proposal ? 2-1. What are kind of cooking activities that appear in kindergarten educational proposal ? 2-2. What are materials of cooking activities that appear in kindergarten educational proposal ? 2-3. What are material change of cooking activities that appear in kindergarten educational proposal ? The research object 84 person teachers who work in the private kindergarten which is located in Daejeon of Korea and these people question investigated in the object. Also it will select teachers of 26 people with random and their this monthly and weekly educational proposal of the one year for it draws up it will hold and it collected. The copy of question which is used from this research it drew up with the question item regarding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kindergarten teacher and operation actual condition of cooking activity. The data which is collected used the SPSS/PC+ and the electric computer to control and with the percentage the whole reaction and a tendency it produced it analyzed. The collection data for a cooking activity the teacher of 26 people which it selects from 2005. 3. until 2006. 2. ‘Education activity data book’ it classified with the foundation which will pick up especially with the cooking activity which appears inside the monthly and weekly education proposal of the 6th curriculum which it draws up it analyzed. It is a result regarding the operation actual condition analysis of cooking activity from the kindergarten. First, from the investigation regarding the execution yes or no of cooking activity from the kindergarten cooking activity it is executing from all kindergartens And two times are many most at one months and they do, at yearly one time frequently, or that at weekly one time or they do, answer back. Second, against the cooking activity necessity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that the object person all cooking activity is necessary, answer back. With the recognition against the effect where the cooking activity goes mad to an child advancement in the emotional advancement of the child many effect, answer back. It is a result which analyzes the cooking activity of monthly and weekly educational proposal. First, type of cooking activity it did the cooking activity of 65 kinds to execute total 168 times cooking activities from 26 educational proposals. One years result which it classifies especially a cooking activity plentifully compared a cooking activity at the month when September is different and it executed. Second, The material which it uses in the cooking activiti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5 basic food group as the result, the 3rd group(fruit and vegetable) was used frequently. Third, for change in material by methods of the cooking activities 'chemical change by heat' was the most shown as 86 times(51.2%), and 'change by physical handing' 82 times(47%).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요리활동의 운영 실태를 알아보고 주간교육계획안과 월간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요리활동을 분석함으로써 유아들의 전인적인 발달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기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에서 요리활동의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1-1. 유치원에서 요리활동의 형태는 어떠한가? 1-2. 유치원에서 요리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치원 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요리활동의 내용은 어떠한가? 2-1. 유치원 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요리활동의 종류는 어떠한가? 2-2. 유치원 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요리활동의 재료는 어떠한가? 2-3. 유치원 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요리활동의 재료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84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치원에서 요리활동의 운영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는 총 100부의 설문지가 배부되었으며, 이중 회수되지 못하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84부가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또한 대상자 중 26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그들이 일년동안 작성한 월간교육계획안과 주간교육계획안을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유치원 교사의 일반적 배경과 요리활동의 운영 실태에 관한 문항으로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를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백분율로 산출하여 전체적인 반응 및 경향을 분석하였다. 요리활동을 위한 수집 자료는 앞서 선정한 26명의 교사가 2005년 3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작성한 월간계획안과 주간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제6차 교육과정의 요리활동으로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집을 토대로 주제별로 분류하고 배열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월간교육계획안과 주간교육계획안을 작성한 교사의 경력을 3년 미만과 3년 이상으로 분류하여 요리활동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월간교육계획안과 주간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요리활동은 월별로 일괄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유치원에서의 요리활동 운영실태 분석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에서 요리활동의 실시여부에 관한 조사에서는 요리활동은 모든 유치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요리활동의 실시 횟수로는 한 달에 두 번이 가장 많았고 수시로 하거나 일주일에 한 번 또는 연 1회로 한다고 응답하였다. 1회 요리활동 소요시간으로 20~40분 이하로 41.7%로 가장 많았다. 요리활동을 계획하는 방법으로는「단원이나 계절에 맞게 계획하는 경우」50%이며, 다음으로「유아의 관심과 흥미에 맞게 계획하는 경우」38.1%로 나타났다. 그 외,「행사 전·후」또는「관련주제에 맞춰 계획한다」,「교사의 관심에 따라 계획한다」등으로 응답하였다. 요리활동의 사전활동으로「이야기나누기」72.3%로 가장 많았으며,「관련활동(동화, 노래 부르기 등)」16.9%,「규칙정하기」9% 순으로 나왔다. 사후활동으로는「간식을 먹는다」34.9%로 가장 많았고,「요리활동에 대한 평가」33.7%,「연관된 다양한 활동을 한다」30.1% 순으로 나왔다. 요리활동시 가정의 연계여부는「연계하고 있다」35.7%이며, 「연계하지 않는다」54%이다. 요리활동시 가정과 연계방법으로「요리재료만 집에서 준비한다」82.1%로 가장 많았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의 요리활동에 대한 필요성 인식정도는 대상자 전원 요리활동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요리활동의 흥미정도는「흥미롭다」61.9%로 가장 많았다. 유아발달에 미친 영향에 대한 인식으로 요리활동은 유아의「정서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교사가 41.7%로 가장 많았고,「인지발달」31%,「사회발달」16.7%,「신체발달」8.3%,「언어발달」2.4%로 요리활동은 유아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요리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관심도는「적극적으로 협조한다」에 47.6% 응답하였고 다음으로「기관에서 활동하는 것은 선호하지만 재료준비에 있어 비협조적이다」46.4% 응답하였다. 예상외로「싫어한다」1.2%와「관심없다」라고 답한 경우도 4.8%나 되었다. 요리활동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안전과 교육효과에 가장 많은 수가 응답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음식 맛의 구별과 요리기구 사용방법에 대해서 중요시 하였다. 그리고 요리기구에 대한 사용방법과 안전수칙의 인식정도는「알고 있음」64.3%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활발한 요리활동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는「기관의 시설정비가 필요하다」53.6%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교사의 인식변화」36.9%가 응답하였다. 월간교육계획안과 주간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요리활동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리활동의 종류는 26개 교육계획안에서 총 168회 요리활동을 실시하였고 65가지의 요리활동을 하였다. 요리활동을 월별로 분류한 결과는 일년 중 9월이 다른 달에 비해 요리활동을 많이 실시하였다. 둘째, 요리활동에 사용하는 재료들을 다섯가지 기초 식품군으로 분류한 결과 3군(과일과 야채류)이 제일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에는 4군(곡물과 감자류), 1군(어육류 및 알류), 5군(유지류), 2군(우유 및 유제품류) 순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셋째, 요리활동의 재료변화는 열을 가했을 때 일어나는 재료의 화학적 변화가 86회(51.2%)로 제일 많으며, 얼음이나 과일을 가는 등의 물리적 조작에 따른 물리적 변화가 82회(47%)로 나타났다.

      • WEB기반 도덕수업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 남북한 통일정책과 통일의 과제를 중심으로

        이근수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TV나 VTR, INTERNET등 영상매체에 길들여진 학생들에게 WEB 기반 도덕수업이 자기 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통일 교육 단원을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웹 코스웨어를 설계 및 구현 하게 되었다. 웹 코스웨어 설계 및 구현을 위해 먼저 고등학교 1학년 도덕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자기주도적 학습과 WEB 기반 교육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점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전통적인 수업을 한 비교 집단(A)과, WEB 기반의 교수-학습 자료를 학습자에게 적용한 실험 집단(B)간에는 학업 성취도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위해 두 집단간에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유의도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여 주었다. 즉, WEB기반 학습과 전통 방식 중심 수업에서의 기초 학력과 성취도의 차이 검증 결과 두 방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웹 코스웨어를 활용한 학습과 전통적인 방식의 학습의 평균을 비교해 볼 때, 웹 코스웨어를 활용한 집단의 평균이 전통적인 방식의 수업을 받은 집단의 평균보다 훨씬 높았으며 t 검증 결과 p<0.005 수준에서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924, p<0.005). 따라서 연구결과 전통적인 방식의 학습보다 웹 기반 도덕 학습을 수업에 활용하는 것이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신장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 web-based ethics learning on self-leading learning of high school students. The web-based ethics instruction program used was developed specifically for the research project using PHP and My-SQL. The content of the web-based ethics instruction program consisted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Unit" from the 10th Grade Ethics Curriculum of Korea. In order to design and implement the web-based ethics instruction program, the 10th Grade Ethics Curriculum of Korea was analyzed and the effectiveness of web-based education was investigated theoretically from the standpoint of the self-leading learning. Subjects were 56 first-grade students from a high school in Choong-Nam.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web-based ethics learning group and the traditional learning group. After class, a academical achievement test was administered to these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using SPSS. The research hypothesis was as follows : There would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ademical achievement between the web-based ethics learning group and the traditional learning group. The result were as follows : The academical achievement(M=79.1071) of the web-based ethics learning group was higher than that(M=65.3214) of the traditional learning group. (t= -2.924, p<.005). The above result being considered, the following conclusion can be made :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web-based ethics learning group and the traditional learning group. Therefore, the web-based ethics learning i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learning in increasing the self-leading ability.

      • PECERA 학술지에 발표된 유아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이수진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PECERA 학술지에 발표된 유아교육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서 세계 각 국가에서 주목하고 있는 유아교육의 주제 및 목표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표자 소속 국가별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둘째, 연구 분야별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셋째, 연구 방법별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해 PECERA에 발표된 연구논문 157편의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ECERA에 발표된 논문은 한국인 연구자의 논문(26편)이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그 다음은 미국(22편), 호주(18편), 대만(11편)이었다. 둘째, 연구 분야별 관심주제는 ‘사회성’, ‘교사’, ‘언어교육’ 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셋째, 수집 자료에 대한 분석은 질적분석 방법과 양적분석 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연구 방법으로는 조사연구와 현장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유아교육 관련 연구는 국가 간의 경계를 넘어 유아교육관련 연구자들 간의 학문적 교류와 소통이 넓게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동향은 미래시대를 살아가야 할 유아들이 세계인으로서의 자질과 역랑을 갖출 수 있게 하는 교육의 역할을 이끌어 가는 동력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둘째, 한국 유아교육자들의 연구 활동이 다른 나라의 유아교육자들에 비해 매우 활발하다. 이러한 경향은 한국의 유아교육 수준이 다른 나라의 유아교육 수준을 선도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반증해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유아교육에 대한 국가별 연구 관심사는 그 나라의 사회 문화적 특징이 반영되거나 그 나라의 사회 문화적 여건이나 상황을 변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는 경향이 있다. 각 나라에서 수행되고 있는 연구 주제와 결과에 대해서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각 나라의 여건이나 상황은 다른 나라의 여건이나 상황에도 언제나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사회성, 교사, 언어교육에 대한 주제는 유아교육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해소하고 해결해야 할 연구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사회성, 교사, 언어교육 문제는 현대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필연적인 현상이기 때문이다. 세계인으로서 서로 공감하고 공존하는 삶을 살아가는 것은 미래시대 인간으로서 갖추어야 할 과제이고 조건이라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다섯째, 연구방법은 어떤 것이든 모두 소중하다. 연구 방법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연구 방법을 통해서 도출된 연구 결과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어떤 연구방법이 적용되든지 간에 그러한 연구 방법을 통해서 도출된 연구의 결과들이 우리의 삶에 의미를 부여해주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러한 결과들은 후속되는 연구를 이끄는 기반으로 활용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론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기하였다. 첫째, PECERA를 넘어 유럽과 구미 각국의 유아교육 연구동향을 보다 폭넓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미래시대를 지향하는 유아교육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세계 각국의 유아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둘째, 한국의 유아교육이 세계인으로서의 미래시대 지도자를 양성하는 선도자로서 발전하기 위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미 다른 나라의 유아교육자들이 한국의 유아교육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셋째, 다른 나라의 유아교육 제도와 관심사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다른 나라의 유아교육 제도와 관심사를 아는 것은 미래시대를 대비하는 유아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기반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넷째, 유아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공동체로서 살아가는 인간다움을 길러주기 위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언어적 의사소통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 또한 함께 수행할 필요가 있다. 사회성-의사소통-교사의 역할은 함께 연결되어 있는 연구 과제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유아 동화지도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및 활동실태에 관한 연구

        김영미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Under the goal of analyzing the perceptions and activities of the teachers and parents in respect to fairy tale instructions for Children's,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ers and parents of a kindergarten located in Daejeon for their perceptions and activities of fairy tale instructions on the field. For that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What kind of difference is there in the perceptions of teaching methods for fairy tale instructions between the teachers and parents? 2. What are the types of fairy tales preferred by the teachers and parents? 3. What ar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fairy tales preferred by the teachers and parents? The research tool used in the study was a questionnaire revised and supplemented by the investigator based on the one used in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Fairy Tale Instructions at a Kindergarten" by Jeong Hyeon-suk(1995) and the one used in "An Investigating Study on Picture Books Preferred by the Teachers and Parents" by Jo Eun-ju(1998). The collected data were treated with the SPSS Win 12.0 and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Those research procedures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it was investigated how the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d the teaching methods of fairy tale instructions. As a result, both the groups said the goal of fairy tale instructions was to improve Children's abilities of creative expression and preferred the traditional Korean fairy tales. They also believed that the Children's interest and demand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choosing a fairy tale and that literary activities in cooperation with the family were importan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oo; while the teachers said expressive activities were conducted much such as drawing at the kindergarten for after-reading activities, the parents preferred talking and thinking about the contents of the tales for after-reading activities. It's apparent that they differed in their opinions about the after-reading activities. Second, as for the types of fairy tales preferred by the teachers and parents, while the parents preferred traditional Korean fairy tales, creative fairy tales, science fairy tales, life fairy tales, and fables in the descending order, the teachers did creative fairy tales, traditional fairy tales, fables, science fairy tales, and life fairy tales in the descending order. The result shows that there was difference in the types of fairy tales preferred between the parents and teachers. Third, as for the educational contents of fairy tales preferred by the teachers and parents, while the teachers preferred education, increasing creativity, basic life habits, development of sociality, and interest in the descending order, the parents did education, increasing creativity, development of sociality, fun, and basic life habits in the descending order. 본 연구는 유아들의 동화지도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과 활동실태를 분석해 보고자 대전에 소재한 유치원의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실행되었다. 이와 같이 동화지도에 대한 인식과 활동 실태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교사·학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동화지도에 따른 교수방법의 차이는 어떠한가? 2. 교사·학부모가 선호하는 동화 작품의 유형은 어떠한가? 3. 교사·학부모가 선호하는 동화의 교육 내용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정현숙(1995)의 ‘유치원에서의 동화지도 실태에 관한 연구’와 조은주(1998)의 ‘교사·부모가 선호하는 그림동화에 관한 조사연구’에서 제작된 설문지를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제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거쳐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학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동화지도 교수방법에 있어서 두 집단 모두 동화지도의 목적을 창의적인 표현능력 신장에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선호하는 동화는 우리나라 창작동화였다. 또한 동화 선정 시에는 유아의 흥미와 요구를 고려해야 함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가정 연계 문학 활동 또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동화를 통한 사후 활동에 있어서 교사는 유치원에서 그림으로 그려보기 등의 표현활동을 많이 하고 있다고 의견을 제시한 반면 학부모는 동화내용을 이야기해 보거나 생각해 보기 등 주로 언어적인 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와 학부모 간의 의견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학부모가 선호하는 동화작품의 유형을 살펴보면, 학부모가 가장 선호하는 동화 작품 유형은 전래동화, 창작동화, 과학동화, 생활동화, 우화 순으로 반응한데 반해 교사들이 선호하는 동화 작품 유형은 창작동화, 전래동화, 우화, 과학동화, 생활동화 순으로 반응하여 학부모와 교사가 선호하는 동화작품 유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학부모가 선호하는 동화의 교육 내용을 살펴보면 교사는 교육적, 창의성 신장, 기본생활습관, 사회성 발달, 흥미 순으로 선호하고 있었으며, 학부모는 교육적, 창의성 신장, 사회성 발달, 재미성, 기본생활습관 순으로 선호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는 교사와 학부모 두 집단 모두 유아시기에 형성될 동화내용의 교육적인 면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창의성 신장에 관한 내용 또한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유아교육기관의 급식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및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김혜자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급식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 지역에 소재 하는 42개 유치원과 67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원 32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급식에 대한 관심도는 매우 높다. 특히 기관운영의 책임을 맡고 있는 원장들을 중심으로 종일제를 운영하고 있는 기관일수록 급식에 대한 관심이 높다. 둘째, 현재 유아교육기관에서는 급식의 주된 목적을 기본생활습관 지도를 위한 한 방안으로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가장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급식의 결과에 대해 만족하고 있다. 유아교육현장에서의 급식은 영양지도 보다는 식습관에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 셋째, 현재 대부분의 유아교육기관에서는 단체급식을 실시하고 있다. 급식의 운영형태는 자체적으로 밥·반찬을 모두 조리하여 제공하는 완전한 자체급식이 대부분이지만, 밥은 자체에서, 반찬은 외부식품회사에 위탁하여 준비하는 절충형 급식도 이루어지고 있다. 넷째, 급식위생 및 영양교육에 관한 연수경험은 저조하다. 어린이집 종사자들은 각 구청 위생과에서, 유치원 종사자들은 교육청에서 제한된 연수를 받았을 뿐이다. 급식위생 및 영양교육에 관한 요구도가 높으므로 연수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급식위생 및 영양교육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전문가 및 영양사가 해주기를 바라고 있다. 주 1회 정도로 시간을 정하여 점심시간 직전과 이야기 나누기 시간을 활용하여 위생과 영양교육이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있다. 여섯째, 현재 대부분의 유아교육기관은 조리실을 구비하고 있으며, 조리실과 급식실을 함께 구비하고 있는 기관은 극히 일부에 불과한 실정이다. 급식실이 따로 없는 관계로 대부분은 각 교실을 급식 장소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곱째, 현재 대부분의 유아교육기관은 조리원을 배치하고 있으며, 영양사와 조리원을 함께 배치하고 있는 기관은 극히 일부이다. 그러나 별도의 직원을 배치하고 있지 않은 기관도 상당수에 이르고 있다. 대부분은 원아들의 영양교육을 위해 영양사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으나, 상당수의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식단작성을 원장이나 교사가 해도 되며, 경제적인 부담을 이유로 영양사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않고 있다. 여덟째, 유아교육현장에서 급식운영을 하는데 있어서 겪게 되는 가장 큰 애로사항은 국고보조의 미비, 인력 부족, 무조건적인 법적 규제이다. 유아교육기관에서 급식운영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원장·교사에게 위생 및 영양교육을 일정시간 연수시켜 영양교육 및 급식운영에 대한 권한을 각 유아교육기관의 자율에 맡기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영양사를 관할 교육청에 공동 배치하여 식단관리를 하고, 조리 및 원아들에 대한 영양교육은 각 유치원의 조리원 및 교사가 담당하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lunch programs at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and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Th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a questionnaire given to 322 teachers working at 42 kindergartens and 67 preschool houses located in Dae-jeon City and the Choong-nam Province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show a high interest in lunch programs. Especially institutions operating on a full-time basis, with a superintendent, show a high interest. Second,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put the foremost purpose of a lunch program in the formation of right eating habits that are one way to teach basic life customs, and they are satisfied with the results of their lunch program. The priority of the lunch program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lies in eating habits rather than nutrition teaching. Third, most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practice a group lunch program. The provision of the lunch program is mostly a complete self-lunch provided with self-cooked rice and side dishes, but there is also a combined lunch with self-provided rice and side dishes from an outside food company. Fourth, there is little training in hygiene and nutrition education. Employees of preschool houses received only limited training at the hygiene department in each district office and employees of kindergartens at the Education Offic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expansion of the training opportunities since hygiene and nutrition education are highly demanded. Fifth,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expect specialists and dieticians to take charge in hygiene and nutrition education. They hope hygiene and nutrition education will be done before lunchtime and during conversation time set once a week. Sixth, most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equip their kitchen, but there are very few institutions with both a kitchen and cafeteria. Since there is not a separate cafeteria, most institutions use classrooms for the lunchroom. Seventh, most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have a cook, but there are very few institutions with both a cook and dietician. Besides, there are quite a few institutions without both. Most institutions claim they need a dietician for nutrition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Nonetheless, quite a few institutions think the menu can be made out by the superintendent or teachers and do not greatly feel the need for a dietician due to the financial burden. Eighth, the greatest difficulties of lunch manage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re the lack of government support, lack of personnel and legal regulations. To put in practice the good management of a lunch program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t is best that the superintendent and teachers should be trained in hygiene and nutrition education, so nutrition education and lunch program management can be conducted at each institution's discretion; if required, a dietician should be placed in the jurisdiction Education Office to jointly take care of the menu, and a cook and teacher in each kindergarten should be in charge of preparing lunch and nutrition education for the children.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육진단평가의 실태 및 개선방안

        전영애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According to the aim of this research and the subject of research, analyz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nd discussed about that, finally I have get a conclusion, it's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 Diagnosis Assessment that take affect to children who educated for the handicapped in elementary school, usually regarded to made poor progress of the scholastic achievement, so now we assess that Agreement of Parent - Assessment - Distintion - IEP framing - entrance of the handicapped class, and we usually use an IQ test for Education Diagnosis Assessment's method. And today, people who participated in progress of this assessment are usually people in school, but there are an opinion that we must get assessment ·distintion experts needed for us. And on progress of Education Diagnosis Assessment, participation of parent is passive, because the parent do not fully understanded about their children. Second, Teachers are usually satisfied about Education Diagnosis Assessment that take affect to children who educated for the handicapped in elementary school. Third, a remedy of Education Diagnosis Assessment that take affect to children who educated for the handicapped in elementary school is development of new assessment ·distintion method and activation of service training system about Education Diagnosis Assessment, and many people propose that assessment ·distintion experts are entrusted by the local Office of Education, so we hope that there are appropriate assessment ·distintion about children who educated for the handicapped in elementary school. The suggestions that are mentioned this research and considerable matters in future research are like that as follows. First, for desirable Education Diagnosis Assessment, we need various service training system and expand clinical training about Education Diagnosis Assessment for special class teachers , so we must improve speciality of special class teachers. Second, activation of School Diagnosis Assessment Committee and Education for handicapped Committee in Office of Education, when we operate Education Diagnosis Assessment, people in school and experts in various parts are participate, so we must get synthetic assessment, and we keep assessment ·distintion experts per Office of Education so that we must observe the system to decide distintion and entrance that class. Third, in this research, we can find some divergence of opinion about Education Diagnosis Assessment whether does who have a special education teacher certificate or not. Children who have special educational request may receive proper educational management, we have to arrange the special teachers who have special education teacher certificate an increase of the staff, so we must achieve the effective and systematic educational activity.

      • 장애아·일반아 통합교육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차이

        전수진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difference there was in the understanding and demand of the handicapped and normal children's parents on the integrated education in the general kindergarten. This study conducted the questionnaire research to inquire into the understanding and demand of 115 parents. The questionnaire relating to the understanding and demand for the integrated education was made up five sub-domains such as: the parents'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of integrated education; the parents' understanding and demand of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the demand and types of parental training; the cooperation factor for the successful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the influence on the handicapped and normal children in the integrated education. In processing data from the questionnaire research, the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progra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n the understanding and demand of retarded and normal children's parents.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the handicapped children's parents had higher understanding and more positive attitude of the integrated education than those of normal children. Second, the handicapped and normal children's parents thought the integrated education has one or two handicapped children per a class and the teacher training for integrated education was needed. Third, the handicapped children's parents group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han that of normal children's parents group at attitude on parental training. Fourth, the handicapped children's parents thought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the information sharing of the children's actions for the successful integrated education, but the normal children's parents selected trust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Fifth, the positive influence on normal children in the integrated education was withdrawal from dislike to handicapped children and the negative attitude of normal children was imitation of handicapped children's actions. Implication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is sample survey was limited to Daejeon metropolitan city. Accordingly it will be desirable to compare with other areas, and study their attitude for generalization of results. Second, the number of integrated education institutions must be enlarged by establishing a law of integrated education. Third, the parental training about integrated education must be conducted periodically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it in order to make integrated education successful. Fourth, we have to make the environment and system of integrated education for serious handicapped children who had not were educated in general kindergarten yet. Fifth, the study about understanding and demand of parents on kind of handicapped children will help to provide the foundation of successful integrated education.

      •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정미영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의 연령과 발달에 적합한 유아동작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한 후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 소재하는 S유치원에서 4, 5세를 대상으로 원아 4세 30명, 5세 3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004년 8월 16일부터 10월 15일까지 약 9주 동안 동작교육활동을 실시하여 사회기술 및 생활기술 발달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작교육활동은 유아의 성별 사회성 발달에 효과가 있는가를 살펴보면 남아와 여아 집단모두 사회기술 및 생활기술의 사전검사와 사후 검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사후검사가 사전검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성별 평균차를 살펴보면 남아가 여아보다 사회기술 및 생활기술이 더 높게 향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동작교육활동은 유아의 연령별 사회성 발달에 효과가 있는가를 살펴보면 4세아 와 5세아 집단 모두 사회기술 및 생활기술의 사전검사와 사후 검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사후검사가 사친검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연령별 평균차를 살펴보면 5세아 가 4세아 보다 사회기술 및 생활기술이 더 높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교육활동이 성별, 연령별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어 현장에서는 가능하면 유아기부터 성별, 연령별로 발달에 적합한 동작교육활동을 통해 사회성 발달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한 제언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는데 있어 실험처치를 실시한 경우를 통해 본 자료를 분석하였는데 추후 프로그램 적용집단과 적용하지 않은 집단 간에 차이를 비교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교사보고에 의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는데 교사의 주관적 평가 외에도 여러 사람에 의한 관찰자비교를 통한 분석, 아동행동변화 등의 직접 기술 및 객관적 평가에 의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ecute systematically the move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age a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n the fiel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n compare and measure the influence of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on the sociality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kindergartners of age 4 and 30 kindergartners of age 5 selected from S kindergarten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lso, in order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on the sociality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this study executed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during about 9 weeks from August 16 to October 15, 2004, and then compare and analyze the development of social skill and living skill.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ffect of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on the sociality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by gender, the boy group and the girl group all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of social skill and living skill. In both groups, the post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test. In the mean difference by gender, boys were enhanced more highly than girls in social skill and living skill. Second, in the effect of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on the sociality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by age, the age 4 group and the age 5 group all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of social skill and living skill. In both groups, the post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test. In the mean difference by age, the age 5 group were enhanced more highly than the age 4 group in social skill and living skill. Therefore, because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have the effect by gender and age, we propose that it should improve sociality development through the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appropriate from early childhood as much as possible.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measured the program effect of the expenmental group with experimental treatment, whereas it is need further studies that should compare the experimental group with experimental treatment to the control group without experimental treatment. Second, this study measured the program effect through using the questionnaire by the teacher report, whereas further studies should be executed by the analysis through observers' comparison, the direct description about children behavior change, and the objective evaluation, in addition with the subjective evaluation by the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