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개방성을 고려한 도시집합주거에 관한 연구 : 중규모 중층 집합주거 계획안

        안규용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산업화 시대로부터 양산되어 온 경제성과 기능주의에 입각한 도시화 경향과 사회적 상황은 많은 부분에서 문제점을 양산해왔다. 지금까지의 주택정책 또한 급격한 도시화, 산업화, 핵가족화 현상등에 따른 도시주택의 양적인 문제의 대응에 치중한 나머지 주택의 질적 향상과 주거환경의 향상에 대한 고려는 미흡하게 진행되어 왔다. 특히 대도시에 밀집한 인구를 신속히 수용하기 위해서 공급되어 왔던 대단위 주거단지는 유기적인 도시와 건축 사이의 흐름을 단절시키고 주변환경을 파괴하며 주거의 획일화의 주된 원인 중에 하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의 인식과 함께 도시주거라는 전제 하에서 출발하였다. 도시는 건축이라는 단위의 집합체만으로 성립될 수 없으며, 도시를 구성하는 인자들 상호간 조화로운 순환과 연계와 같은 유기적 관계 속에서 형성되어진다. 도시의 주거 또한 스스로 자생하고 기능하는 독립된 개체로서 존재할 수 없으며, 도시 전체의 관계성과 흐름 안에서 존재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도시적 흐름에 순응하고, 폐쇄적 도시환경의 극복을 위해 개방성에서 문제 해결의 방법을 모색하여 대단위 주거단지에 대한 대안으로서 기능할 도시주거의 계획을 그 목적으로 하며, 본 연구를 통해 다루어지는 개방성의 유형에는 시각적 개방성을 포함하여, 자기 완결적이며 폐쇄적인 도시맥락에 대해 소통과 흐름을 확보하는 도시연계를 위한 외부 공간의 계획요소에도 많은 비중을 둔다. 대단위 주거단지의 획일성과 폐쇄성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중규모의 블록형 주거단지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도시 집합주거에 도시적, 시각적 개방성을 구현할 수 있는 계획요소의 모색 이후 이를 최종적으로 계획대지에 적용하였다.

      • 윤영선 희곡의 개방성 연구

        김종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개방성이란 단순히 수용자의 입장에서 작품을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창작의 과정에서부터 작품을 열린 상태로 만드는 것, 즉 작품 내에 불확정적이고 애매모호한 부분을 적극적으로 도입함으로써 수용자로 하여금 더욱더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주는 특성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개방성이 윤영선의 희곡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며, 또한 어떠한 효과를 불러일으키는지를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분석의 대상으로는 윤영선의 희곡 중에서도 개방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사팔뜨기 선문답>, <떠벌이 우리 아버지 암에 걸리셨네>, <나무는 신발가게를 찾아가지 않는다>를 선택하였으며, 본론에 해당하는 Ⅱ장에서 대사, 배경, 플롯이라는 세 개의 큰 묶음으로 나누어 위의 세 작품들에 나타난 개방성의 양상과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론의 1장 대사 부분에서는 개방성의 양상이 ‘대화의 단절’과 ‘언어의 해체’로 나타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윤영선의 희곡에서는 대화가 거의 없고 대부분 독백의 형태로 제시된다. 이러한 대사의 양상에서는 그 맥락을 쉽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층적인 해석이 가능해진다. 한편, 대화의 단절이 극단적으로 진행되면 언어의 해체 현상이 일어난다. 이때 언어는 의미를 잃고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며 파편화된 상태로 제시된다. 이러한 언어의 해체 현상은 수용자로 하여금 언어의 의미를 특정할 수 없게 하는 동시에 스스로 그 의미를 끊임없이 해석하도록 유도한다는 점에서 개방성의 효과를 드러내고 있다고 보았다. 2장 배경 부분에서는 ‘비사실적 시공간’과 ‘환영의 파괴’라는 두 개의 양상으로 나누어 개방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윤영선의 희곡에서는 대부분의 시공간이 사실적으로 제시되지 않고 있는데, 그것이 무대적 시공간의 현장성 혹은 놀이적인 것을 강조하는 것임을 설명하였다. 시공간이 비사실적으로 형성되면 현실적 차원에서 시공간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더욱더 다양한 의미가 생성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개방성의 효과를 획득하고 있음을 밝혔다. ‘환영의 파괴’에서는 윤영선의 희곡이 완벽한 환영을 추구하기보다는 자기지시적인 면을 드러내어 환영을 깨뜨리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환영이 깨어지면 극적 현실은 명료함을 잃고 허구와 실재가 공존하게 되는데, 그것이 수용자로 하여금 다층적인 차원에서 작품을 파악하도록 해준다는 점에서 개방성의 효과를 자아내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3장 플롯에서는 ‘탈 개연적 구조’와 ‘단일한 해석의 거부’라는 두 개의 장으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탈 개연적 구조’에서는 윤영선의 희곡이 비개연적이고 분절되어있는 방식으로 극을 전개시킨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희곡의 내용을 하나의 관점으로 맥락화하지 못하도록 만드는데, 바로 그러한 특성이 플롯을 다층적으로 이해하도록 이끈다는 점에서 개방성의 효과를 지니고 있음을 밝혔다. ‘단일한 해석의 거부’에서는 윤영선의 희곡이 일부러 내용을 불명확하고 애매하게 만듦으로써 그 비어있는 부분을 수용자가 직접 채워 넣도록 유도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때 수용자는 하나의 관점이 아닌 다양한 관점에서 작품을 이해하게 되며, 그러한 과정을 거쳐 결국 단일한 해석을 거부하게 된다는 점에서 개방성과 연결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 도시 포켓파크의 평가요소와 개방성에 관한 연구

        손운걸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포켓파크는 도시의 공공녹지로, 주로 주변 시민들을 위한 것이다. 도시의 자연환경을 보완하는 중요한 공공공간이다. 포켓파크의 사용은 사용자가 자연환경의 결핍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다.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점점 더 많은 주민이 도시 중심부에 거주하고 있다. 포켓파크 이용자는 주로 고령자다. 우리는 노인들의 포켓파크 이용에 대한 심리적, 감정적 분석을 바탕으로 포켓파크의 평가 요소에 관한 기초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이 연구의 연구 그룹은 고령자와 일반인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포켓파크의 평가 요소를 비교했다. 연구 과정에서 문헌 조사법, 대면 인터뷰법, 설문 조사법이 채택됐다. 먼저, 본문은 포켓파크를 시작으로 포켓파크의 유형, 특징, 주요 사용자와 기능을 정리했다. 둘째, 이전 연구자들의 연구 토론에서 관련 문헌과 대면 인터뷰를 통해 평가 요소를 정리하고 실증연구를 진행했다. 포켓파크의 평가 요인은 군집화 분석을 통해 개발 및 발견됐다. 고령자와 일반인은 몇 가지 요소에서 차이가 있다. 고령자와 일반인은 평가 요인에서 전반적으로 일반인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그러나 내용적으로는 개방성 평가 인자에서만 노인의 점수가 일반인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 결과 고령자들은 포켓파크에서 성적 요소를 개방하는 것이 일반인보다 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는 사회적 환경과 노인의 생리적 심리에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포켓파크의 개방성 요소에 대한 연구 방향을 정립하여 포켓파크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기초적으로 할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고령자와 일반인을 구분하는 기초에서 포켓파크의 개방성에 대한 비교 연구를 진행했다. 포켓파크의 개방성 영향 요인 중 ‘개방성 평가 항목’을 중심으로 관련 분석을 진행한다. 지금까지의 포켓파크에 대한 연구에서 개방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언급되기는 했지만, 실제로 개방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포켓파크 이용자를 '고령자'와 '일반인'으로 구분하여 이용자 간의 개방성 평가 항목별 상관 분석을 실시하여 서로의 차이를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도시 포켓파크는 도시의 중요한 친환경 공개 공간이며, 이러한 종류의 포켓파크는 지금까지 여러 가지 연구를 수행해 왔다. 이러한 도시 포켓파크의 여러 요소 중에서 '개방성'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높이 평가되고 있으나 아직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는 없다. 본 연구는 도시 포켓파크의 ‘개방성 요소’를 기초로 하여 각 요소의 가중치를 적용한다. 이를 위해 전문가의 설문과 자문을 거쳐 AHP 방법을 활용하여 상위 항목에 해당하는 평가요소의 중요도와 하위 항목에 해당하는 평가요소의 중요도를 알아낸다. 각 평가 요소의 가중치를 종합적으로 산출했다. 도시 포켓파크의 ‘개방성 평가요소’의 가중치 결과를 활용하여 시티포켓파크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며, 평가 결과에 따른 개방성 평가요소 간의 차이를 계량화하여 측정했다. 본 연구는 도시 포켓파크의 ‘개방성’을 개선하기 위한 심층적인 연구를 시도했다. 이를 위해 개방성 관련 세부 평가 항목의 가중치를 계량화하고 개방성 자체평가를 통해 비교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그리하여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세목을 찾아 보완하는 것은 지속해서 개선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이용하여 실제적인 비교 평가를 실시하여 검증할 필요가 있다.

      • 개방성의 형태가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 : 전유성 메커니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서화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개방형 혁신의 중요성이 확대됨으로 인해 개방형 혁신은 새로운 연구의 흐름이 되 었다. 최근의 연구는 개방형 혁신 전략이 기업의 혁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중점을 두지만, 개방성의 형태와 관련된 연구는 부족하다. 또한, 개방형 혁신을 위해 개방을 해야 하지만 기업의 혁신을 보호해야하기도 한다는 모순이 존재한다. 최근 이 와 관련하여 혁신 보호 연구의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방성의 형태가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개방성의 형태와 제품혁신의 관계는 전 유성 메커니즘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OECD에서 개발하고 배포하는 CIS(community innovation survey)를 기반 으로 국내 실정에 맞게 작성된 KIS(Korean innovation survey)의 가장 최신 자료인 2013년부터 2015년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성의 형태는 제품혁신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외부 탐색은 활용적 혁신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협업은 탐험적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 유성 메커니즘은 개방성의 형태와 제품혁신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가진다. 구 체적으로 공식적 전유성 메커니즘은 외부 탐색과 활용적 혁신의 관계에 정(+)의 조절 효과를 보였으며, 비공식적 전유성 메커니즘은 협업과 탐험적 혁신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개방성의 형태를 기존의 방식과는 다르게 외부 탐색과 협업으로 구분하였으며, 이에 따라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혁신의 유형과 적합한 개방성의 형태를 파악하였다. 둘째, 전유성 메 커니즘의 특성에 따라 개방성의 형태와 제품혁신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을 파악하여 개방성의 형태와 제품혁신의 유형에 따라 더 적합한 전유성 메커니즘 유형을 파악하였다. Open innovation has become a new tr end of resear ch as the importance of open innovation has expanded. Recent studies focus on how open innovation strategies affect innovation in enterprises, but lack research related to the form of openness. There is also a contradiction that an entity should open up for open innovation but also protect its innovation. In this rega rd, the need for research on innovation protection has expanded. Therefore, this study looked at the effect of the form of openness on product innovation, and explore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 of openness and product innovation depends on the appropriation mechanisms. This study used data from 2013 to 2015, the latest data from the Korean Innovation Survey (KIS) , which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by the OEC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orm of openness has a positive eff ect on product innovation. Specifically, external search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exploitative innovation, and collaboration has show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exploratory innovation. Second, the appropriation mechanisms has a positive moderating eff 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 of openness and product innovation. Specifically, it was shown that formal appropriation mechanisms had a positive e ffect on the r elationship between external se arch and product innovation, and that informal appropriation mechanism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on and exploratory innov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First, this study has divided the form of openness into external search and collaboration, unlike the existing method, and thus identified the type of product innovation and the appropriation mechanisms and form of openness by identifying the impact on product innovation. Secon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ropriation mechanisms, it was identified that it had the ef fect of mode rating effect the form of openness and the relationship of product innovation, so that depending on the type of openness and the type of product innovation, the type of appropriation mechanisms more suitable was identified.

      • 學校長의 意思決定 開放性과 敎師의 士氣와의 關係

        오재옥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6

        학교장의 의사결정 개방성과 교사의 사기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학교의 교육 목표를 달성하는 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자료를 제공할 目的으로 본 연구를 추진하게 되었다. 이러한 目的에 따라 설곁된 硏究 問題는 다음과 같다. (1) 학교장의 의사결정의 개방성은 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교사의 사기는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학교장의 의사결정 개방성과 교사의 사기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이론적 배경에서 양변인에 관한 문헌 고찰을 하였으며, 종합된 결과를 중심으로 양변인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조사 방법론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표집은 제주도내 초등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는 학교장의 의사결정 개방성 척도와 사기 척도 등 2 개가 사용되었으며 전자는 교육과정·예산 운영, 교직원인사, 학생관리, 학부모·지역사회 등에 관한 하위요인 24 개 문항으로, 후자는 안정감, 만족감, 성취감, 자존감 등을 하위요인으로하는 24 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의사결정 개방성은 성별이나 교사의 직위에 따른 차는 있으나 교사가 근무하는 소재지나 경력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 즉 도시지역 교장의 의사결정 개방성 평균이 농촌지역 평균 보다 더 높았다. 그리고 교사의 경력별로 볼 때에도 경력이 높을수록 학교장의 의사결정 개방성을 더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사기는 성별이나 지역별, 그리고 경력에 따른 차이는 없으나 교사의 직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보직교사가 일반교사 보다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장의 의사결정 개방성의 하위요인과 교사의 사기 하위요인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교직원 인사는 교사의 사기의 모든 요인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은 교사의 사기가 직위에 따라 유의한 차가 있다는 결론과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내에서 교직원의 인사는 보다 개방적이고 객관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학교장의 의사결정 개방성의 요인들은 교사의 사기의 요인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만큼 학교장은 가능한 의사결정을 함에 있어서 보다 적극적이고 과감한 개방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next thesis writer some other information for promoting efficiency in achieving some educational goals of a school through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a school principal's open decision making and his teacher's morale. The following questions are asked for this study: (1) What differences are there by a school principal's open decision making and his teacher's morale? (2) What differences are there the teacher's morale by their general haracter? (3) What relation is there between a school principal's open decision making and his teacher's morale? Setting up these thesis, considered the document about both variables through theoretical background and organized the lower factor that composed the both variables centering around the unified result. This study was achieved by social research methodology and set up the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in Cheju as a standard group. And this study used measures of a school principal's open decision making and his teacher's morale. The former composed 24 questions of the lower factors that about the curriculum, the operation of the budget, the personal management of the teaching staff, the management of students, and the parents ?local community etc. and the latter composed 24 questions of the lower factors that about stability,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self-respect etc.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 school principal's open decision making made little difference by sex or teacher's position but made a difference by their career or locality of their school. In other words, a school principal who lived in urban area showed higher open decision making than one who lived in rural area. And in the point of teacher's career, the higher their career, the higher their perception of their principal's open decision making. Second, the teacher's morale made little difference by their sex or locality of their school and their career but their position related to their morale. That is the appointment teachers showed higher average than the general ones. Third, the lower factor of a school principal's open decision making related to those of his teacher's morale. Especially, the personal management of the teaching staff had a great influences on every factors of teacher's morale. Equally, teacher's morale related to their position in the school. For that reasons, the personal management of the teaching staff in the school must be more open and maintain the objectivity. In this way, the factors of a school principal's open decision making related to those of his teacher's morale largely. So that, a school principal is demanded the positive and active open decision making.

      • 열린교육의 開放性과 學級風土와의 關係

        김동윤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열린교육의 개방성과 학급풍토와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열린교육 수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하는 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열린교육의 開放性은 特性別로 知覺의 差異가 있는가 ? 2. 學級風土는 特性別로 知覺의 差異가 있는가 ? 3. 열린교육의 開放性과 學級風土와는 어떠한 關係가 있는가 ?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열린교육의 개방성 하위요인으로「풍부한 학습자료, 아동의 주도적 학습활동, 융통적인 교육과정 운영, 교사·아동 상호작용, 진단정보로서의 평가, 지원적인 교사, 교수자원의 활용」을, 학급풍토의 하위요인으로「응집성, 갈등, 곤란도, 만족도, 경쟁심」을, 연구의 추진을 위한 특성으로는「지역별, 성별, 학급규모별, 담임교사의 성별」을 설정하였다. 표집대상은 제주도내 시지역 7개 학급, 읍·면지역 13개 학급을 표집하여 464명의 6학년 남·여학생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이상과 같이 수행한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생이 지각한 열린교육의 개방성은 지역별, 학급규모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나, 학생의 성별, 담임교사의 성별로는 차이가 없다. 초등학교 학생의 개방성에 대한 지각은 도시지역 초등학생보다 읍·면지역 초등학생의 지각이 더 높고, 규모가 큰 학급의 학생보다는 규모가 작은 학급의 학생이 더 높게 지각하고 있다. 둘째, 초등학교 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는 지역별, 학급규모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나, 학생의 성별, 담임교사의 성별로는 차이가 없다. 초등학교 학생의 학급풍토에 대한 지각은 도시지역 초등학생보다는 읍·면지역 초등학생의 지각이 더 높고, 규모가 큰 학급의 학생보다 규모가 작은 학급의 학생이 더 높게 지각하고 있다. 셋째, 초등학교 학생이 인식하는 열린교육의 개방성과 학급풍토와의 관계는「지역별, 학급규모별, 학생의 성별, 담임교사의 성별」로 요인별에 따라 유의한 상관이 있으나, 개방성 요인과 학급풍토 요인 중 경쟁심과는 상관이 낮고, 개방성 요인 중 교수자원의 활용과 학급풍토 요인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없다. 넷째, 전체적으로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열린교육의 개방성과 학급풍토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으나, 개방성 요인 중 진단정보로서의 평가를 제외한 요인과 학급풍토 요인 중 경쟁심간에, 개방성 요인 중 교수자원의 활용과 학급풍토 요인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없다. 이상에서 초등학생의 개방성과 학급풍토에 대한 지각의 차이가 지역별로는 읍·면 지역에서, 학급규모별로는 소인수 학급에서 더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은 학생수의 소규모라는 점에서 두 특성별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열린교육과 긍정적인 학급풍토 조성을 위해서는 소인수 학급조직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개방성요인과 학급풍토요인 중 경쟁심간의 낮은 상관은 열린교육의 실천 과정에서 학습활동에 대한 석차위주의 평가 방법보다 수행평가 등의 과정평가를 중시하고 있어서 경쟁심에 대한 낮은 지각의 원인으로 볼 수 있으며, 개방성요인 중 교수자원의 활용과 학급풍토요인과의 낮은 상관은 현실적으로 학부모 및 지역사회 인사들을 교수자원으로서 활용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하고 있는 개방성 요인과 학급풍토 요인별 상관정도만을 밝히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상관적 요인들 중에 개방성요인과 학급풍토요인 중 갈등, 곤란도간에는 원인을 알 수는 없지만 부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고, 양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한 연구는 계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the pupils recognize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n education and its affections on the classroom climate, and thu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available for the execution of the open education. The following questions have been answered in the course of the study. 1. Can pupils' recognition of the openness of the open education be differed with the variables of class styles ? 2. May the pupils' recognition of the classroom climate be differed with the variables of class styles ? 3. Does the openness of the open education have anything to do with classroom climate in with the variables of class styles ? To make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above, such subcategories for the open education are premised as the plentiful teaching aids, the children-orientated class, the curriculum flexibility, the teacher-pupil interaction, the diagnosis evaluation, a supporting teacher, and the utilization of teaching sources. In the mean time, the subcategories used for the classroom climate are mutualization, rivalry, difficulty, satisfaction, and competitiveness. 464 six-year pupils from 7 classes of rural area and 13 classes of urban area have been available for this study. This study may be concluded as follows. Firstly, the pupils' recognition of what the open education is in practice like is differed in the level of significance in the variables of areas and class sizes, but it does not show any difference in those of genders of both pupils and teachers. As for the areas, the pupils of the rural areas recognize what the open education is like better than those of the urban areas. The small-size-class pupils have more appropriate recognition of the practicality of the open education than those of the large-size class. In the second place, the difference of the pupils' recognition of the classroom climate turns out to have significant level with the variables of areas and class size, but both pupils and teachers, regardless of genders, are not differed. The pupils in the country prove to have higher recognition of the classroom climate than those of the cities ; those of the small-size class seem to have more appropriate sense of the classroom climate then those of the large-size class. Thirdly shown is that the fact that the openness of the open education and the classroom climate are co-related with each other has the significant level with the variables of areas, class sizes, the genders of both the pupils' and teachers. But the variable of competitiveness of the openness is little correlated with that of the classroom climate. The openness subcategories of the teaching source and the classroom climate have nothing to do with each other in the sense of the statistics significance. The fourth revelation of this study is that, as for the pupils, the openness and the classroom climate have the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statistics. It is also revealed that, between all the openness subcategories except for the teaching source and competitiveness of the classroom climate, between the utilization of teaching sources, the openness subcategory and all the classroom climate subcategories, there is not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other.

      • 항공사 객실 승무원 준비생의 외향성 및 개방성이 직업선택 동기에 미치는 영향: 자기향상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아름 충북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6

        국문초록 항공사 객실 승무원은 면대면 서비스라는 직업적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지원자 개개인의 성격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개인의 성격 특성에 따라 직업선택의 동기를 파악하고 접근한다면 어떠한 성격의 지원자들이 객실 승무원이라는 직업을 선택하는지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원자들의 취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BIG 5 성격특성 중 ‘외향성’과 ‘개방성’에 초점을 두고 항공사 객실승무원 준비생의 성격특성이 직업선택의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향상동기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적인 특성(성별, 나이, 학력)을 통제변수로 설정하고, 성격특성(외향성, 개방성)은 독립변수로 직업선택동기(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를 종속변수로, 자기향상 동기는 조절변수로 설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SPSS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기초통계 및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상관관계를 분석한 후,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외향성은 직업선택 내재적 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향상 동기는 외향성과 내재적 동기에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자기향상동기가 높을 때 승무원 지망생의 외향성 성격특성이 직업선택 내재적 동기와의 정(+)적인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남을 확인 하였다. 또한 외향성은 직업선택 외재적 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향상 동기는 외향성과 외재적 동기에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자기향상동기가 높을 때, 외향성과 외재적동기의 정(+)적인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남을 확인 하였다. 다음으로 개방성은 직업선택 내재적 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향상 동기는 개방성과 내재적 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방성은 직업선택 외재적 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향상동기는 개방성과 외재적 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향상동기가 높을 때 개방성과 직업선택 외재적 동기의 정(+)적인 관계가 더 강화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항공사 객실 승무원 준비생의 성격특성 중 외향성 및 개방성이 직업선택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면서 좀 더 많은 연구대상자를 확보하지 못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는데 다소 한계점을 갖는다. 그러나 객실 승무원 지망생의 지원 동기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어떠한 동기 요인을 증가시켜야 우수한 객실 승무원을 확보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증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점과 BIG 5의 성격특성을 모두 반영하기 보다는 객실 승무원이 성격에 더 부합되는 ‘외향성’과 ‘개방성’의 두 가지의 성격특성에 집중적으로 초점을 둠으로써 이를 통해 자기향상 동기의 시너지 효과를 보고자 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차별성이 있다. 후속 연구를 위해서는 첫째, 외향적 성격과 개방적 성격의 사람들이 취업하였을 때 실제로 성과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둘째, 자료를 수집함에 있어서 객실 승무원 지망생의 설문에만 의존하였으므로 상사-부하 쌍 또는 동료-동료 쌍의 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in february 2022. Airline cabin crew applicants have a professional characteristic of face-to-face servic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the personality of each applicant. Understanding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job according to an individual'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can identify what kind of personality applicants choose a job as a cabin attendant. In other words, it can enhance the job competitiveness of applicant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extroversion' and ‘openness to experience' among BIG 5 personality traits, and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nhancement motive in the effect of personality traits of airline cabin crew applicants on job selection motive. For analysis, personal characteristics(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are set as control variables, personality characteristics(extro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a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job selection motive(intrinsic motive, extrinsic motive)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self-enhancement motive as the moderator variable. Th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method after testing basic statistics, reliability and validity verification, and correlation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extrover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election intrinsic motive. Self-enhancement motive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extroversion and intrinsic motiv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when self-enhancement motive was high,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extroverted personality and the intrinsic motive for job selection was stronger. Also, it was found that extrovers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xtrinsic motive for job selection. Self-enhancement motive was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extroversion and extrinsic motiv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xtraversion and extrinsic motive was stronger when self-enhancement motive was high than when it was low. Next, Openness to experie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rinsic motive for job select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self-enhancement motive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openness to experience and intrinsic motive. Also, it was found that openness to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xtrinsic motive for job selection. Self-enhancement motive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openness to experience and extrinsic motiv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openness to experience and extrinsic motive for job selection was strengthened when self-enhancement motive was high.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hat it failed to investigate a larger number of subjects while analyzing the effects of cabin attendant extraversion and openness to experience on job selection motive.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that it presented the empirical results of which motive factors must be increased to secure excellent cabin crew by identifying the motive factors of the cabin crew aspirants. In addition, this thesis confirmed the synergistic effect of self-enhancement motive by focusing on the two personality traits of 'extroversion' and 'openness to experience', which are more suited to cabin crew's personality, rather than reflecting all of the personality traits of BIG 5. There is a difference in research. Advice for futur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tudy whether people with high extroversion and openness to experience actually influence their performance when they find employment. Second, it is suggested that studies of leader-subordinate dyad or colleague-colleague dyad are necessary because only the questionnaires of cabin crew aspirants were relied on for data collection. Key words: extra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job selection motive, self-enhancement motive

      • 청소년의 성격특성과 학습전략 사용 수준의 관계 : 개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우예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6

        학업은 청소년기의 발달 및 진로를 위해 요구되는 과업인 동시에 정신 건강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또한 상담 장면에서도 학업문제를 호소하는 청소년 내담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학습전략과 관련된 연구의 중요성 또한 증가하였다. 그러나 상담 분야의 선행연구는 학습전략에 대한 개입방법을 찾는 것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학습전략 사용에서 경험하는 학습자들의 내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격 특성과 학습전략 사용 수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이를 위해 학습전략 사용 수준이 평균 미만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전략 저사용 청소년 즉, 효과적인 학습전략 사용에서 어려움을 경험하는 청소년들의 성격 특성과 학습전략 사용 수준의 관계를 보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성실성과 개방성에 초점을 맞추어 성실성과 학습전략 사용 수준과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개방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확인하고자 한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성실성과 학습전략 사용 수준의 관계에서 개방성이 조절효과를 지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네 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을 통해 성실성과 전체적인 학습전략 사용 수준 및 인지 전략 사용 수준, 초인지 전략 사용 수준, 자원관리 전략 사용 수준 간의 관계에서 개방성의 조절효과가 각각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러한 연구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A 중학교와 B 중학교의 1, 2학년들의 학생종합 진단검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검사 대상자들 중에서 학습 전략 사용 수준이 평균 미만인 학생들을 연구 대상자로 선발하였고, 이들의 검사 결과를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은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성실성, 개방성, 성실성과 개방성의 상호작용 변인을 단계적으로 투입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시되었다. 첫째, 성실성과 전체적인 학습전략 사용 수준의 관계에서 개방성은 조절효과를 지녔으며 조절효과는 성실성의 영향을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제시되었다. 둘째, 성실성과 인지전략 사용 수준의 관계에서 개방성은 조절변인으로서 작용하였으며 조절효과는 성실성의 영향을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실성과 초인지 전략의 관계에서도 개방성은 조절효과를 지녔으며 조절효과는 강도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제시되었다. 넷째, 성실성과 자원관리 전략의 관계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지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를 통해 학습전략 사용 수준이 낮은 청소년들의 성격 특성과 학습전략 사용 수준 간의 관계를 알아볼 수 있었다. 이는 학업 문제를 경험하는 청소년들에 내적 특성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예측해볼 수 있었던 개방성의 조절효과를 분석을 통해 검증할 수 있었으며 성실성과 개방성을 함께 성격 변인으로 고려함으로써 성격 변인을 보다 정교화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개방성에 대한 이해를 심화함으로써 추후에 개입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는 데 있어서도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우리나라 대도시 고등학교 학교풍토의 개방성에 관한 연구

        손보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교원들이 인식하는 우리나라 대도시 고등학교 풍토의 개방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우리나라 학교풍토의 개방성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개방성 지수를 산출하여 개방성 정도를 나타내기 보다는 학교풍토의 하위변인들에 대한 점수를 비교하는 데 그치고 있다. 또한 측정도구에 있어서 OCDQ 또는 OCDQ-KOR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도구들은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중등학교까지 확대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용 학교풍토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우리나라 대도시 고등학교 풍토의 개방성 지수를 산출해서 개방성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대도시 고등학교 풍토의 개방성 지수를 산출하여 전체적인 개방성 정도를 알아보고 배경변인(성별, 설립유형, 학교계열, 학교규모, 교직경력, 직위)에 따라 교원이 지각하는 고등학교 풍토의 개방성 정도를 살펴보았다.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Kottkamp, Mulheren, & Hoy가 OCDQ를 중등학교용으로 수정해서 만든 OCDQ-RS를 사용하였다. 서울시내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학교설립 유형별, 계열별로 유층표집하여 32개 고등학교 600명의 교사들에게 설문지를 배부해서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외시키고 561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우리나라 대도시 고등학교 풍토의 개방성 지수는 1.42(평균 구간: -.80~.79)와 538.75(미국 평균 구간: 490~510)로 개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고등학교 풍토의 개방성 정도에 대하여 교원의 성별간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셋째, 고등학교 풍토의 개방성 정도에 대하여 교원의 설립유형별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립 고등학교의 교원들이 공립 고등학교의 교원들보다 학교풍토에 대하여 더 개방적이라고 인식하였다.넷째, 고등학교 풍토의 개방성 정도에 대하여 교원의 학교계열별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원들이 일반계 고등학교의 교원들보다 학교풍토의 개방성에 대하여 더 높게 인식하였다.다섯째, 고등학교 풍토의 개방성 정도에 대하여 교원의 학교규모별 인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소규모일수록 교원들이 인식하는 학교풍토는 더 개방적이었다.여섯째, 고등학교 풍토의 개방성 정도에 대하여 교원의 교직경력별 인식에는 차이가 없었다.일곱째, 고등학교 풍토의 개방성 정도에 대하여 교원의 직위별 인식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우리나라 대도시 고등학교의 교원들이 인식하는 전체적인 학교풍토의 개방성 정도는 평균 이상으로 개방성이 높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배경변인 중 공립 고등학교, 일반계 고등학교 및 대규모 고등학교 풍토의 개방성이 낮으므로 이에 대하여 개방적인 학교풍토가 될 수 있도록 학교 구성원들의 노력과 제도적인 보완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