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회복적 서클을 활용한 갈등해결프로그램이 아동의 갈등해결능력과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

        배민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Restorative Circles on children's conflict resolution ability and sense of community.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1.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Restorative Circles will improve children's conflict resolution ability. 1-2.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Restorative Circles will improve the sub-factors of children's conflict resolution ability: conflict awareness, communication proficiency, issue clarification aptitude, alternative solution exploration, and implementation assessment capabilities. 2-1.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Restorative Circles will improve children’s sense of community. 2-2.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Restorative Circles will improve the sub-factors of sense of community: member awareness, mutual influence awareness, need fulfillment and integration, and emotional connection.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38 fourth-grade children from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Preliminary tests assessing conflict resolution ability and sense of community were conducted among the children. Subsequently, two homogeneous groups were formulated, each consisting of 19 individuals designated as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a 10-session conflict resolution program, employing restorative circles, over five weeks—conducted twice weekly with each session lasting 40 minutes—facilitated by the researcher and a co-facilitator, a primary school teacher, and an expert in restorative life education. The Conflict Resolution Ability Scale (Oh Myung-hwa, 2018) and The Sense of Community Scale (Park Ga-na, 2009) were utilized as measurement instruments. To safeguard the rights of the participants, ethical approval was obtained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effects of this research,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25.0. Homogeneity tests were executed on the preliminary data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a Split-Plot Factorial Design, involving within-subject and between-subject variables, was employed to validate effects on conflict resolution abilities and sense of community across three testing periods (pre, post, and follow-up). A two-way repeated-measures ANOVA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ifferences pertaining to measurement timelines and group types,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set at .0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1.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Restorative Circles improved children's conflict resolution ability. 1-2.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Restorative Circles improved the sub-factors of children's conflict resolution abilities, namely, conflict awareness, communication proficiency, issue clarification aptitude, alternative solution exploration, and implementation assessment capabilities. 2-1.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Restorative Circles partially improved children’s sense of community. 2-2.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Restorative Circles improved the sub-factors of sense of community: emotional connection. The research significance of this paper executed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Restorative Circles, adding in the enhancement of conflict resolution abilities and community consciousness. Moreover, it systematically developed a program employing restorative circles to fortify conflict resolution abilities—comprising conflict recognition, communication aptitude, issue clarification, alternative solution seeking, and execution evaluation—and empirically validated the efficacy of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Moreover,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Restorative Circles improved the sub-factors of sense of community: emotional connection.

      • 평화교육을 위한 갈등해결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구호진 春川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710

        평화교육은 많은 구조적 모순을 지니고 있는 우리 사회와 입시 경쟁 위주의 교육풍토에 꼭 필요한 교육이다. 특히 남·북한이 대치하고 있는 분단상황에서 안보위주의 소극적 평화개념에 치중해 온 통일교육의 변화의 일환으로 더더욱 필요한 교육이다. 많은 학자들은 통일교육을 평화교육적 시각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적극적인 통일교육을 위해서는 분단 현실과 통일의 당위성에 대한 지식 전수뿐만 아니라, 갈등과 분쟁을 대화와 비폭력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려는 평화능력을 길러야 한다. 또 서로 '다름'에도 차별하지 않고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이런 점에서 앞으로의 통일교육은 공존교육과 평화교육의 성격과 내용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평화교육적 통일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독일 통일 이후 동·서독 주민들의 갈등에 관한 사례연구를 보면 통일이 된지 13년이 되어 가는 지금도 동·서독 주민사이에 갈등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동·서독 주민은 통일 전에 인적, 문화적으로 여러 방면의 교류와 교환정책을 통해서 서로를 상당히 많이 알고 있다고 생각했으나 통일 후에 부딪혀보니 서로를 너무나 모르고 지냈다고 인정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 비추어 볼 때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고 해도 남북한 동포가 내적인 통일을 동시에 이루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것을 쉽게 짐작 할 수 있다. 남북한 동포는 50년이 넘게 서로 다른 정치체제와 이념 속에서 살아오면서 각기 다른 세계관, 가치관, 생활관을 익혀 왔다. 이런 상황에서 통일이 되면 엄청난 갈등과 문제가 표면화 될 것이고 그것은 사회 혼란으로 다가올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대부분의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지식 전달 교육이나 행사 중심의 교육, 추상적인 북한 이해 교육만으로는 해결 될 수 없다. 결국 다양한 문제와 여러 갈등 상황을 피하지 않고 자신 있게 맞서며, 실생활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평화적인 능력을 길러 주는 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평화적인 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갈등해결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갈등의 개념, 갈등 대응 유형, 갈등분석방법, 의사소통 기법, 분노조절, 고정관념 버리기로 영역을 정하여 학교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는 갈등해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런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길러질 것이고 이는 통일을 위한 내적 기반이 될 것이다. Peace education is certainly necessary for our society with the structural inconsistency and for an educational climate centering on the competition of an entrance examination. In particular, under the divided circumstances of inter-Korean confrontation, it is a much more required education as part of a change for peace education which has put special stress on a passive conception of peace focusing on security. Many scholars are asserting that unification education must be approached from a viewpoint of peace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a positive peace education, it needs to cultivate a peaceful ability striving to solve a conflict and a dispute with a method of conversation and nonviolence, as well as to transfer knowledge on the reality of a division and on the necessity of unification. Also, it needs to have an attitude toward being able to live together without distinction regardless of 'being different' each other.' In this context, as to the futuristic unification education, it needs to carry out a peaceful and educational unification education to positively accept the nature and contents of coexistence education and peace education. Given seeing a case study on a conflict between residents of the two Germanies since the unification of Germany, a conflict between residents of the two Germanies is being surveyed to be serious even now when approaching the 13th year after its unification. Residents of the two Germanies thought that they know very much about each other through the interchange and the exchange policy in the several human and cultural directions before unification, but are recognizing that they got along without knowing too much each other while confronting after the unification. In light of these circumstances, it can easily guess that it will be difficult for inter-Korean compatriots to simultaneously attain the internal unification, even though the Korean Peninsula is unified. Inter-Korea compatriots have been accustomed to each different world view, value system and living view while having lived in the middle of mutually different political system and ideology for more than 50 years. Under this situation, if the unification is attained, a tremendous conflict and problem will be disclosed, and that matter will approach as a social confusion. However, this problem can't be solved merely by a knowledge-transfer education, an event-centered education, and an abstractive education of understanding North Korea, which have been carried out in most schools. After all, it devoutly requires an education to bring up a peaceful ability of confidently confronting without avoiding various problems and several conflict situations, and of applying it directly to a real lif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s aiming at fostering a peaceful ability. For this, it developed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s capable of being directly utilized at a school site, with choosing spheres as a concept of conflict, a conflict-confrontation type, a conflict-analysis method, communication technique, indignation control, and abandonment of a fixed idea. Through this program, it will bring up students' ability to solve peacefully a conflict, and this will be a internal base aiming at unification.

      • 통일 교육의 평화주의적 접근에 관한 연구

        윤정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91

        남북한 화해의 무드가 감돌고 있는 지금 시대가 절실히 요청하는 것은 바로 남북한 통일 사회를 준비하는 것이다. 이것은 통일의 문제가 더 이상 미래의 문제가 아니며, 지금부터 풀어내야 할 현실의 문제로 다가왔음을 뜻하는 바이다. 기존 통일 교육은 남한우월의식에서 비롯되어, 북한에 대한 왜곡된 시각과 비평화적인 통일을 교육시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남북한 통일 사회를 준비하기 위해, 기존 통일교육을 재검토하고, 새로운 시각에서 통일 교육을 접근해보고자 한다. 특히, 평화교육을 통일 교육에 접목시킴으로써, 남북한 통일 미래사회의 평화문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평화 교육은 21세기의 평화문화를 창조하고 정의를 보장하기 위한 도덕적인 상상력과 용기를 포용하기 위한 것이다. 평화교육을 통해서 적극적인 평화개념을 이해하고, 평화문화가 우리의 일상생활에 자리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평화통일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이다. 평화교육은 분단갈등을 해소하고, 남북한 통일 이후 사회의 평화적인 미래를 보장해줄 것이다. 평화 교육 중에서 특히, 갈등해결프로그램은 통일 이후 남북한 주민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분단문화로 인해 남남갈등이 야기되는 현 사회의 갈등을 해소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본 논문은 크게 두 가지로 구성하였다. 첫째, 기존 통일 교육의 문제점과 평화교육이 왜 필요한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평화의 개념 중에서도 특히, 적극적인 평화개념을 이해하고, 평화교육의 개념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둘째, 해외 다양한 평화교육 프로그램 중 미국의 갈등 프로그램과 이를 적용하여 실천할 수 있는 학교 통일 교육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업안을 통해서 보다 적극적인 평화문화를 창시할 수 있고, 학생들이 보다 능동적으로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적극자로 교육시키고자 한다. 더욱이, 갈등 해결 프로그램은 미래 통일 사회 뿐만 아니라, 남남 갈등해결과 함께 일상적인 삶의 갈등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남북한 통일은 체제 통일 이상의 것을 의미한다. 사람과 사람의 통일이며, 가치와 의식을 통일이다. 이것은 우월적인 체제가 열등한 체제를 막무가내 식으로 흡수하는 것은 지양하는 것이다. 다름을 인정하고, 다자들이 공존할 수 있는 통일 사회를 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자를 인정할 수 있는 감수성과 차이을 받아들일 수 있는 이성이 함께 필요하다. 평화교육을 통일 교육에 접목시키는 것이야 말로, 남북한 통일 미래사회를 준비하고, 같음속의 다름을 인정할 수 있는 공존하는 사회로 나아가는 초석이 될 것이다.

      • 어울림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김택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존중감과 갈등해결 모듈 중심으로 구성된 어울림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존중감과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연구 가설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존중감과 갈등해결전략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둘째, 어울림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어울림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의 갈등해결전략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광주시 소재 A초등학교 6학년 중 유사한 환경의 두 개 학급 학생 74명을 선정하여 한 학급은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은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연구처치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학교폭력예방을 위해 2013년에 개발하고 2018년에 개정하여 보급한 어울림프로그램을 자기존중감과 갈등해결 모듈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주 2회 40분간 12회에 걸쳐 진행하였다. 검사 도구는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서 Coopersmith(1967)가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참고하여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개발하고 오민영(2015)이 수정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아동이 친구와의 갈등상황에서 보이는 갈등해결전략을 측정하기 위해 배선영(1999)의 ‘아동용 갈등해결전략 척도’에 문항을 더한 하지원(2005)의 척도를 사용하려 하였다. 그런데 선행연구에서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항들이 있어 Rahim(1985)의 대인간 갈등해결척도와 비교하고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도는 .05로 설정했다.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과 갈등해결전략의 하위요인들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어울림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사전검사의 영향을 배제한 어울림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양적 자료가 갖는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프로그램 종료 후 각 회기별 활동지와 소감문과 바탕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효과 및 영향을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갈등해결전략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의 4가지 하위요인 모두가 갈등해결전략의 절충 및 협력전략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그리고 총체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이 갈등해결전략 중 지배전략과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어울림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검사결과를 독립표본 t검정과 공분산 분석한 결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학교적 자아존중감 모두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어울림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갈등해결전략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검사결과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했을 때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공분산 분석에서 아동의 갈등해결전략 중 회피전략을 감소시키는 긍정적인 변화가 통계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자아존중감과 갈등해결전략의 상관관계를 밝힐 수 있었고 어울림프로그램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갈등해결전략에 긍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어울림프로그램은 학교 내에서 발생하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갈등문제해결과 학교폭력예방에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어울림프로그램의 효과적 활동과 개선될 부분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질적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자아존중감과 갈등해결전략의 상관관계를 고려할 때 학교폭력예방교육은 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다만 의식적인 변화가 갈등상황에서 실질적인 행동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단기간의 수업처치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어울림프로그램의 전체 모듈 중에서 일부를 중심으로 적용했는데 향후 다른 영역의 모듈도 함께 적용하여 그 효과를 밝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Harmony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senior students. The research hypothesis was set as follow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ildren 's self-esteem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d the non-participating control group. Third,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between experiment group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4 students from 2 classroom in 6th grade of A elementary school in Gwangju city, Gyeonggi do, and one class was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class was control group.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pre-post 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Harmony program was develop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2013 to prevent school violence and revised in 2018. The Harmony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reorganized around self-esteem and conflict resolution module. The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40 minutes, 12 times in total. In order to measure the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test tool was modified by Oh, Minyoung(2015), which was developed by Choi, Boga and Jeon, guiyeon(1993) with reference to the self-esteem inventory developed by Coopersmith(1967). In order to measure th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f children in conflict situations with their friends, we used the modified inventory of Bae, sunyoung(2000)’s 'Children' s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nd Ha,jiwon(2005)'s inventory. In advanced study, Low-confidence test questions were revised by comparing with Rahim(1985)'s inventory of interpersonal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The pre-post test was performed o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using SPSS program.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05.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of self-esteem and sub-factors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covariance analysis(ANCOVA)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Harmony program, which excluded the effects of the pre-test. In order to supplement the quantitative analysis,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based on the activities and essays of each session, and analyzed the effects of the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Four sub-factors of self-esteem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mpromise and cooperation strategy. And overall self-esteem and social self- esteem correlated with dominant strategies among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Second, the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steem of experimental group. As a result of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ovariance analysis of the 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child’s overall self esteem, social self esteem, family self esteem and school self esteem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ird, the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xperimental group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n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on the test result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However, covariance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positive changes that reduce the avoidance strategies among children 's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Harmony program can positively change the child's self-esteem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Harmony program can be an effective way to solve the conflict problem and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of students' opinions on effective activities and improvement areas of the program was confirmed.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should be directed toward improving student 's self-esteem. However, in order for conscious change to lead to actual action in conflict situation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tinuous education that can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short-term instruction. In this study, some of the modules of the Harmony program were applied mainly, and future studies should be done to apply the modules of other areas together to clarify the effects.

      •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갈등해결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정난숙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갈등해결능력을 높이기 위한 갈등해결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일상생활 속에서 부딪치는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는데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갈등해결과 관련한 문헌을 고찰하고,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및 현장전문가를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위한 갈등해결 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하였다. 갈등해결 프로그램 모형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갈등해결의 과정을 갈등경험탐색, 갈등해결전략학습, 갈등문제해결의 3단계로 나누어 구성하였는데, 각 단계의 하위목표는 다음과 같다. 제 1단계의 목표는 생활 속 갈등경험을 탐색함으로써 자신의 갈등해결방식을 인식하는 것이다. 제 2단계의 목표는 기존의 갈등해결방식 외에 서로가 만족할 수 있는 새로운 갈등해결전략의 학습이다. 제 3단계의 목표는 초등학생들이 직면한 갈등을 협력하는 갈등해결방식을 적용하여 평화적으로 해결해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갈등해결 프로그램 선행연구의 고찰, 예비연구 결과를 통합하여 12회기의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위한 갈등해결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B시에 사는 S 초등학교 6학년 남녀 학생을 모집하여 실험, 비교, 통제집단에 각각 무선으로 10명씩 배치하고, 실험집단에는 갈등해결 프로그램과 비교집단에는 또래조정자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이 기간에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실험 및 비교집단은 주 2회, 각 40분씩 전체 12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비교,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또래간 갈등해결전략검사, 의사소통능력검사를 프로그램 실시 전, 후, 추후(4주후)에 실시하였고, 집단(실험, 비교, 통제)과 측정시기(사전검사, 사후검사, 추후검사)에 따라 갈등해결전략과 의사소통능력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측정시기를 반복측정변인으로 한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만일 집단과 측정시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집단과 측정시기 각각에 대한 단순주효과를 검증하고 아울러 집단과 측정시기별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사후검증(LSD)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자의 변화모습을 파악하기 위하여 회기별 소감문과 프로그램 종료 4주 후 실험집단 참여자를 개인 면담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 프로그램의 실험집단은 비교집단 및 통제집단과 비교해서 갈등해결전략에서 협력전략은 유의미하게 상승하였고, 지배전략은 유의미하게 하강하였으며, 양보 및 회피전략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또한, 의사소통능력 전체에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는데, 해석능력, 목표설정능력, 메시지 전환능력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본 프로그램은 초등 고학년 학생들이 건설적으로 갈등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학교에서 갈등해결교육을 하고자 하는 교사들에게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갈등해결교육을 보편화하는데 이바지할 것이다.

      • 초등학생의 갈등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학급 또래조정 운영에 관한 연구

        김희양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34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갈등해결 능력 향상을 위해 학급 또래조정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가 추진되었다. 첫째, 갈등해결교육에 대한 이론적 조망을 위하여 관련 논문, 단행본, 인터넷 등을 통하여 갈등해결교육의 개념, 갈등해결의 유형, 갈등해결의 방법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현재 초등학교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갈등해결교육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셋째, 갈등해결교육의 한 방안으로 또래조정 모형의 개념 및 의의를 문헌연구방법으로 탐구하였으며, 국내‧외 운영사례를 파악하기 위해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초등학교 학급에서 실시할 수 있는 또래조정 교육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6개 영역(갈등이해영역, 자아존중영역, 대인관계영역, 의사소통영역, 문제해결 및 의사결정영역, 또래조정이해영역)으로 구성된 총32차시의 또래조정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다섯째, 또래조정교육 프로그램과 학급 또래조정 운영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갈등해결 유형과 갈등해결 기초 능력 조사도구는 Alexander가 개발한 ‘The Conflict Resolution Measure: Friend, Parents, Co-workers(CRM:FPC)’를 바탕으로 최창욱(2005)이 「청소년 갈등해결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에서 사용한 설문문항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갈등해결교육은 우리가 살면서 만날 수 있는 여러 갈등을 자연스러운 삶의 한 현상으로 받아들이고 갈등 상황에 놓였을 때 자신의 문제와 타인의 문제를 직시하여 대화를 통해 서로가 만족하는 상생의 해결방법을 찾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육이다. 갈등을 어떻게 다루고 해결할 수 있는지에 따라 아동은 발달심리적 기제에 영향을 받는다. 둘째, 우리나라에서 갈등해결교육은 학교 교육과정에 녹아 들어있지 못하여 아직까지 저변이 넓지 못한 실정이다. 갈등해결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학교 중점과제나 청소년 인성 관련 프로그램에 부분 첨가되어 있고 일부 시민단체가 중심이 되어 갈등해결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셋째, 또래조정은 현재 미국, 캐나다, 북아일랜드, 호주, 필리핀 등 각국에서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2년 약 79개 초·중·고등학교가 ‘또래조정’을 시범적으로 운영하였고 차츰 그 저변을 넓히고 있는 실정이다. 넷째, 또래조정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갈등해결 유형에 대한 독립변인 T 검정 결과, 실험집단 학생들은 5% 유의수준 내에서 공격유형과 회피유형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 내에서 갈등당사자나 또래조정자로 또래조정에 직접적으로 참여해본 경험은 학생들의 갈등해결 유형 중 공격유형을 유의미하게 경감시켰다. 학생들은 또래조정에 참여하며 평화적인 대화의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기에 욕설이나 폭력을 사용하여 갈등을 해결하는 공격 성향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또래조정 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한 실험집단 학생들은 갈등해결 기초 능력 중 갈등이해능력, 자기이해능력, 인간관계능력, 문제해결능력, 의사결정 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조정에 직접 참여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인간관계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받았는데, 이 결과를 통하여 또래조정의 경험이 학생들로 하여금 갈등상황에서 공격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건설적, 협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학급중심 또래조정 운영과 관련한 연구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일반화를 위하여 보다 많은 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고 프로그램의 미비점을 보완해야 한다. 둘째, 학년 및 학령에 맞추어 실시할 수 있는 차별화 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셋째, 또래조정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며 교육프로그램 전문기관을 지정하고 운영하여 또래조정 교육 전문가가 양성되어야 한다. 넷째, 교사 연수 및 교육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갈등해결교육의 중요성과 또래조정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가 명확히 인식하고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을 때 또래조정이 갈등해결교육으로써 그 효과성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해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갈등인식과 갈등해결전략 및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희진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42

        이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해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갈등인식과 갈등해결전략 및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해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갈등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해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갈등해결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해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조절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4~6학년 지적장애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실험통제집단설계를 적용하였다. 10명의 실험집단 학생들에게는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해결 프로그램을 4주 동안 12회기의 중재를 실시하였고, 10명의 통제집단 학생들에게는 아무런 중재를 제공하지 않았다. 중재 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갈등인식과 갈등해결전략 및 자기조절능력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갈등인식, 갈등해결전략, 자기조절능력의 변화 정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SPSS 27.0을 활용하여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해결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학생의 갈등인식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해결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학생의 갈등해결전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해결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면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해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갈등인식과 갈등해결전략 및 자기조절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임을 알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conflict resolution programs using picture books on conflict awareness,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self-regulation abilit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earch problem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affect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erception of conflict? Second, how does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affect th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rd, how does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affect the self-regulation abilit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this end, the pre- and post-experimental control group design was applied to 20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grades 4 to 6 attending special classes at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en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12 interventions for four weeks in a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and 10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provide any interventions. Conflict awareness,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self-regulation ability test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fter arbitration. Since then,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using SPSS 27.0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s conflict perception,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nd the degree of change in self-regulation abil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flict awareness amo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rd,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affects the self-regulation abilit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summarize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in improving conflict awareness,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self-regulation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부모-자녀관계의 갈등해결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모형 개발

        이기웅 호남신학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3334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자녀들이 부모-자녀 사이에서 발생하는 갈등의 특성과 원인, 그리고 자녀와 부모와의 갈등상황에서 자녀들이 수동적인 갈등완화 방식을 사용하게 되는 원인을 살펴보고 청소년기 자녀들이 능동적인 갈등해결방식으로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를 추출하여 집단상담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1장에서는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그리고 연구범위 및 방법에 대해 다루었다. 2장에서는 가족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성서적으로, 신학적으로 그리고 사회학적으로 분류하여 이해하여 보았다. 3장에서는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를 다루었는데 먼저 일반적 특질을 조사해보고 성서적으로는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가를 연구하였다. 다음으로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른 관계를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청년기, 성인자녀와의 관계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그리고 사회변화에 따른 부모-자녀관계를 마지막으로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자녀의 발달단계 중 청소년기를 중심으로 한 부모와 자녀간의 갈등에 대하여 논하였다. 5장에서는 부모와 자녀간의 갈등원인을 살펴보았는데 먼저 부모와의 지각불일치에 대한 갈등, 둘째 부모의 권위와 통제에 대한 갈등, 셋째 부모의 지나친 기대에 대한 부담으로 인한 갈등, 넷째 의사소통 미숙으로 인한 갈등에 대하여 다루었다. 6장에서는 부모와 자녀관계에서의 갈등해결방식에 대하여 의미와 중요성, 유형, 유형별 기능과 장단점을 연구하였고 마지막으로 능동적 갈등완화 방식으로 변화를 위한 조언을 하였다. 7장에서는 본 프로그램의 이론적 틀을 세 가지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먼저 자신에 대한 이해, 둘째 부모에 대한 입장 이해, 셋째 의사소통이 그것이다. 8장에서는 본 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서 연구하였던 선행연구자료들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해 보았다. 9장에서는 프로그램의 모형을 8회기로 나누어 만들어보았다. 1회기는 도입으로서 프로그램 안내와 자기소개를 하는 시간이다. 2회기와 3회기는 자신에 대한 이해로서 각각 갈등해결방식의 이해와 애착유형의 이해를 다루었다. 4회기와 5회기는 부모에 대한 입장 이해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각각 고차원적 지각활동과 역할연기를 다루었으며 6회기와 7회기는 의사소통에 관한 프로그램으로 각각 부모님에게 표현하는 법과 부모님의 얘기를 듣는 법을 다루었다. 마지막 8회기는 마무리로서 따뜻한 부모-자녀관계를 만들기라는 제목으로 지금까지의 활동경험에 대한 소감을 나눈다. 10장에서는 각 회기별 프로그램을 목적, 준비물, 강의, 활동, 마무리로 나누어 적용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자녀들이 부모와의 갈등상황에서 보다 능동적인 방법으로 갈등을 완화하는 방식으로의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모형을 개방하는데 있어서 능동적인 갈등완화 방법을 사용하기 위한 조건을 살펴보고 이에 도달할 수 있는 방안의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였다. 그런데 본 연구에서는 능동적인 갈등완화방법을 사용하는 조건을 찾는데 있어서 보다 풍부한 자료수집이 미비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실제 능동적인 갈등완화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 연구도 필요했으리라고 보는데 이것이 선행되지 못했다. 따라서 청소년 자녀들이 능동적인 갈등완화 방법으로의 개선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의 구성에 있어서 능동적인 갈등완화방법을 사용하기 위한 조건을 보다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당 청소년들의 특성에 대한 폭넓은 조사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되어진 갈등해결방식 척도는 대인간 갈등상황에서의 갈등해결방식을 언급하고 있어서 부모님과 자녀의 갈등해결방식의 독특한 상황과 특성에 관한 고려가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부모-자녀 갈등해결방식의 유형을 다루기에는 다소 일반적인 편이다. 본 연구의 효과가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검증되기 위해서는 부모-자녀 관계에서의 독특한 갈등해결 상황에서의 특수한 방식이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는 갈등해결 방식 척토의 선별이나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본 프로그램의 모형 개발에 그쳤는데 추후 실제적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통하여 그 효과를 분명하게 측정해야 할 것이다.

      •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프로그램이 아동의 공감능력 및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효과

        이은화 서울敎育大學校 敎育專門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33341

        본 연구의 목적은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공감능력 및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은 아동의 공감능력 증진에 효과적인가? 둘째,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은 아동의 갈등해결능력 증진에 효과적인가? 위의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해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B초등학교 5학년 8개 학급을 대상으로 공감능력과 갈등해결전략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동질성을 보인 다른 1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3주간 총 10회기의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종료 후,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두 집단 모두 공감능력과 갈등해결전략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SPSS 23.0을 활용한 검사지 반응의 통계적 분석, 프로그램 종료 후 아동 설문지, 매 회기별 소감문과 연구자가 관찰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집단 간 공감능력 및 갈등해결전략의 차이와 집단 내의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 분산 분석(MANOVA)을 실시하였으며, 검사지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공감능력이 유의미하게 증진되었으며,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 의사소통적 공감 모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갈등해결전략에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였다. 갈등해결전략의 하위요인인 회피전략은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양보전략과 절충 및 협력 전략은 높았고, 지배전략은 낮았다. 아동 소감문과 연구자의 관찰 내용 분석 결과, 아동들은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면서, 예전보다 갈등상황에서 상대방의 입장을 생각하고 마음에 공감하여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려는 태도를 보이게 되었다. 핫시팅, 전문가 집단회의, 역할개입 등의 드라마 활동을 통하여 실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서 타인에게 공감하고 표현해 보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이로 인해 갈등해결전략 역시 유의미한 변화를 하게 되었으며, 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는데 공감능력과 올바른 갈등해결전략이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공감능력 증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갈등해결전략의 변화에도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의 일반화를 위해 연구 대상자의 범위 확대가 필요하며,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긍정적 변화를 유지시키기 위한 후속프로그램의 개발 노력도 필요하다. 주요어 : 공감능력, 드라마,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 갈등해결전략 * 본 논문은 2019년 2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논문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