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야금 교재 변천에 관한 연구 : 산조가야금과 25현가야금의 기초교본에 기하여

        박민경 용인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악 교육은 단순한 악곡의 전수가 아닌 전통음악에 내제된 정서와 아름다움, 국악의 특징과 정신 등이 병행되는 포괄적인 교육이여야 하고 전통 음악의 선율과 장단 등의 외형적인 것 외에 음악의 본질적인 요소를 배우는 것이다. 이러한 국악 교육에 있어 여러 악기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가장 널리 보급되어 있는 가야금은 1960년대 이후 악보가 오선보로 기보 되면서 교재는 가야금 교육이 이루어지는 모든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가야금 교육을 위해서는 현재까지 출판 되어진 가야금 교재들의 구성과 내용을 점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논문은 현재까지 출판된 가야금 교재 중 14권을 선정하여 이론과정, 기초수법 연습곡, 연주곡의 세 항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각 교재의 특징을 고찰한 후 비교를 통해 가야금 교재가 시대가 흘러가면서 그 내용이 어떻게 변화 되었는지의 변천을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산조 가야금 교본의 경우 시대가 변함에 따라 첫째, 이론과정은 공통적으로 수록된 가야금의 구조, 명칭, 조율법, 수법기호 이외에 악기 관리, 다양한 가야금의 종류, 공연하는 모습, 가야금 미래에 대한 이야기가 추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음악 이론적인 부분까지 수록되었고 장단의 경우 장구와 장단의 전반적인 설명까지 자세히 수록되고 기본 장단 이외에 변형장단이 추가되었으며 이론과정의 부분이 그림과 흑백사진에서 컬러사진으로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초수법 연습곡은 순차진행의 스케일 연습곡뿐만 아닌 동요, 전래동요, 찬송가, 민요 등이 추가되었고 가곡, 외국민요, 풍류의 다양한 형태로 수법을 익히며 창작 국악곡까지 더해져 현대적으로 변화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주곡의 경우 산조나 민요 등의 전통적인 곡뿐만 아니라 2 ․ 3중주, 신민요, 찬송가, 신곡 이외에 외국곡과 가요 등 현대곡까지 여러 형태의 연주곡이 추가되고 산조의 경우 성금련류 산조 외에 다른 류 들이 추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25현 가야금 교본의 경우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나와 있는 교재들은 수적으로도 적고 기초 교육에 대한 부분도 미흡하여 양적 뿐만 아니라 기초부터 심화까지 다루어진 다양한 교재가 필요하다. 기초 교육을 위해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다양한 연습곡과 연주곡을 개발하고 그것을 연주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수록한 교재가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뚜렷한 지도 계획의 방향을 가지고 음악적인 면과 이론적인 면을 고려해서 단계적이고 점진적인 교본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며 시대적 감각에 어울리는 곡을 선정하여 학습자들의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을 해야 할 것이다.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hould involve the traditional emotion inherent in our music and the beauty of it as well as the spirit and characteristics. It shouldn't be transferring musical piece simply because you should learn the essential factors of the music besides the apparent things like rhythm and melody. There are a lot of musical instruments for these education but Gayagum is the most popular one. In 1960, its music was written on the staff notation and the material was used on anywhere Gayagum education was going. For the systematic and phased education of Gayagum,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published materials up until now. Therefore, in this article, I chose 14 books among Gayagum materials published up until now, and I analyzed them dividing them into theory, etude for basic techniques and musics. By consideration and contrast of the characteristics shown on each material, I analyzed the result of its change as time passes and below is the conclusion of my study. Material of Sanjo Gayagum has been changed firstly, in the theory part, commonly the structure of Gayagum, name of part, tuning technique, technique sign, management of the instrument, introduction of various Gayagum, performance picture and story about the future. It also added basic theory of music and when they were explaining rhythm part, basic rhythm and transformational one was also explained. Besides, they even changed their picture from black to color one. Secondly, on the list of etude for training basic techniques, in addition to step by step scale music, children's song, traditional song, chant, song, foreign folk song and even created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added. So I could feel that it was changing in a modern style. Thirdly, music list involved Sanjo, traditional song and also duet, trio, new folk songs, chant new song, foreign music and popular songs jumped on the list. Especially various kinds of Sanjo were added aside from Sunggumryun Sanjo. The demand of teaching materials for 25strings Gayagum is increasing but the number of them is relatively small and also basic education part is not enough in them. Therefore, the improvement on quantity as well as quality of material is necessary from beginner to expert. For the foundation education, various music according to performer’s level should be developed and the specific way how to play should be also suggested on the material. With clear guidance plan and direction, teachers should consider both theoretical aspect and performance aspect when they make a new, systematic and organized teaching material. It is also important to choose sensible music for students and this would hel

      • 초보 학습자를 위한 가야금 교본 비교 분석연구 : 「황병주 가야금 교본」,「박재희 가야금 교본」,「이제, 가야금」을 중심으로

        조승혜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가야금 교본을 비교 분석하여 가야금 교육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내용들을 파악하고 정리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초보 학습자들이 각 교본을 통하여 학습할 수 있는 음악적 요소를 분석하고 각 교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3권의 가야금 교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가야금 교본의 목록은 「황병주 가야금 교본」, 「박재희 가야금 교본」, 「이제, 가야금」이다. 3권의 가야금 교본에 대한 구성을 알아보고, 연습곡 분석과 민요 분석을 통하여 초보 학습자들이 어떠한 음악적 요소를 학습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3권의 가야금 교본의 구성, 연습곡, 민요를 비교하여 각 교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작성하였다.우선으로 전체적인 구성 연구를 진행하여 각 교본의 구성을 조사하였다. 목차별로 나누어 연구하며 교본을 살펴보았으며 3권의 교본에 공통으로 수록된 구성은 이론과 민요였다. 「황병주 가야금 교본」은 연습곡, 산조, 장구 장단을 수록하였다. 「박재희 가야금 교본」은 동요, 산조, 장구 장단을 수록하였으며 「이제, 가야금」은 연습곡, 동요, 2중주곡을 수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교본 구성 연구를 진행 후 각 교본의 연습곡 분석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어떠한 음악적 요소를 학습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황병주 가야금 교본」,「이제, 가야금」에는 오른손과 왼손을 나누어서 수법 연습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박재희 가야금 교본」은 연습곡이 따로 수록되어 있지 않아 동요를 연습곡으로 진행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모든 교본에 수록되어 있던 민요는 차례대로 나열 후 장단 분류하였다. 그리고 공통으로 수록된 민요를 선정 후 장단별 민요를 난이도순으로 아리랑, 늴리리야, 군밤타령, 몽금포타령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 가야금 교육의 실질적인 교본 선택과 수업 지도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가야금 전승의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Gayageum textbooks to figure out and organize the contents that are actually necessary in the Gayageum education field. We analyzed musical elements that beginners can learn through each textbook and compare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each textbook. We selected the following three Gayageum textbooks: 「Gayageum Textbook by Hwang Byungju」, 「Gayageum Textbook by Park Jaehee」, 「Now, Gayageum」. We analyzed the compositions of three Gayageum textbooks and searched what musical elements beginners can learn through analysis of practice songs and folk songs. In addition, we compared the compositions, practice songs, and folk songs of the three Gayageum textbooks and organize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each textbook.We checked the overall composition first to analyze the composition of each textbook. We analyzed the compositions by subject, and we found that the composition commonly included in the three textbooks was theory and folk songs. The「Gayageum Textbook by Hwang Byungju」contains practice songs, Sanjos, and rhythms of Janggu. The「Gayageum Textbook by Park Jaehee」contains children’s songs, Sanjos, and rhythms of Janggu and the「Now, Gayageum」contains practice songs, children’s songs, and duet songs. After analyzing the compositions of the textbooks, we analyzed the practice songs of each textbook to search what musical elements beginners could learn.「Gayageum Textbook by Hwang Byungju」and「Now, Gayageum」allow beginners to practice the playing technique by dividing the right and left hands. The 「Gayageum Textbook by Park Jaehee」does not contain practice songs, so beginners should use children's songs as practice songs. We listed the folk songs in all the textbooks in order and classified them by type of rhythm. And after selecting the commonly contained folk songs, we analyzed the folk songs classified by type of rhythm in the order of difficulty, Arirang, Nuilliliya, Gunbam Taryeong, and Monggeumpo Taryeong.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selecting practical textbooks and teaching lessons in Gayageum education, and also in the hand down of Gayageum.

      • 초등학교 방과 후 활동을 통한 가야금 지도법 연구 : 초등학교 3~6학년 교과서에 실린 민요 가창 제재곡을 중심으로

        민보경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3~6학년 교과서에 수록된 민요 가창 제재곡을 우리나라 대표 현악기인 가야금으로 직접 연주하면서 노래 부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춘천에 있는 부안 초등학교 가야금부를 대상으로 지도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야금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가야금의 유래 및 역사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가야금의 기본 연주자세와 음 맞추기에 대해 알아보았다. 셋째, 초등학교 3~6학년 교과서에 실린 민요 가창 제재곡을 가야금 운지법에맞도록 그에 따른 주법을 제시하였다. 넷째, 민요의 소박함을 알고 우리음악의 소중함을 느끼게 하였다. 다섯째, 장구에 대한 친숙함을 갖게 하고 장구의 기본 장단을 습득하여 가야금연주에 흥겨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가야금의 전반적인 이해와 연주를 통하여 국악에 대한 흥미를 유발 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우리의 음악교육은 서양음악 중심이었기 때문에 서양음악의 지식ㆍ논리와는 다른 우리 전통음악의 지식과 논리를 아동들이 쉽게 받아들여 이를 즐기기에는 어려운 실정이었다. 따라서, 방과 후 활동을 통하여 아동의 수준과 난이도에 맞는 연습곡을 재구성하여 아동의 흥미를 유발시켜 교과서에 수록된 곡을 가야금으로 연주 할 수 있는 음악적 성취감을 얻게 하였다. 앞으로 방과 후 활동뿐만 아니라 현장 음악 교육에서도 국악기를 접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으면 좋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bout Folksong o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for grade 3 through 6 which is played by Gayagum. The contents for teaching a group of students for Gayagum in Buan elementary school which is located in ChunCheon are as follows. First, studied about the history and origin of Gayagum in order to help understand Gayagum. Second, studied a proper way of keeping a basic position for playing Gayagum and how to adjust its sound. Third, analyzed and listed Gayagum's corresponding positions with fingering numbers on all songs listed on current elementary third and sixth grade textbooks. Fourth, realized how simple a folk song is and helped feel that Korean music is valuable. Fifth, helped feel excitement of playing Gayagum by learning the basic rhythm and becoming familiar with Janggu. Through this overall understanding of Gayagum and its performance, tried to arouse interest in Korean classical music. Since our music education has focused on Western music, it was difficult for children to take the knowledge and logic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hich is totaly different from Western music. Therefore reconstructed the level of an a practice for children through after school activity and make them arouse interest. Also helped feel a sense of musical achievement that they are able to play Gayagum. I hope there will be many opportunities to come into contact with Korean music instrument not only after school activities but also authentic education in music class.

      • 가야금을 통한 국악 특활 교육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특별활동 중심으로

        엄원자 단국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7807

        本 論文은 초등학교에서의 特別活動 교과과목으로 우리나라의 傳統國樂器인 가야금 실기의 적합성 여부와 그 이유를 살펴본 글이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내에 소재한 3개의 초등학교생 75명을 대상으로 1년간 가야금을 지도하였고, 지도과정상에 나타난 문제들을 硏究 觀察하였다. 첫째, 가야금 국악 특활반 학생들의 설문 응답에서도 분명하게 나타날 것처럼 학생들은 가야금 특활을 매우 재미있고 유익한 경험으로 받아 들였다. 둘째, 가야금을 통하여 傳統音樂을 접근하면서부터 이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갖게 되었다. 셋째, 초등학교 시절부터 가야금을 통해 우리 음악을 체험하므로 해서 우리 음악의 우수성을 알게 되었고, 나아가 우리 면족이, 고유한 音樂文化를 지켜온 文化民族임을 알게 되었다고 피력했다. 넷째, 가야금 이외에도 또 다른 國樂器를 배우고 싶다고 대다수의 학생들이 응답하였고, 국악학교에 진학하거나 일반 중학교에 가서도 가야금을 전공으로 하고 싶다는 매우 적극적인 반응을 보인 학생들도 많았다. 이러한 학생들의 반응뿐 아니라, 가야금 특활반을 지도해 온 교사의 입장에서도 다음과 같은 이유로 국악 특활반은 매우 적합한 교과목이라고 판단된다. 첫째, 가야금 특활반 이외의 학생들도 매우 강한 호기심을 갖고 배우고 싶다고 희망했으며, 둘째, 가야금 특활반에 대해 학교장을 비롯한 전 교사들이 지대한 관심을 보여 주었다. 셋째, 가야금 특활반을 운영하면서부터 학교의 구성원, 즉, 학생들 자신은 물론이고 교사, 그리고 학부모들 모두가 우리 음악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伽倻琴 특활반에 선정된 소수의 학생들뿐만 아니라 전체 학생들에게도 확대시킬 가치가 있는 교과목이라 확신한다. 그리고 社會的 입장에서 고려해 본다 하여도, 그 이유는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첫째, 우리 사회가 청소년 탈선과 범죄가 점증되고, 傳統的 道德律에 의한 倫理가 상실되어 갈 뿐 아니라 무분별한 외국 퇴폐문화 속에서 삶에 대한 건전한 가치관을 잃고 탈선하여 결국 범죄에 이르게 되는 청소년이 해마다 늘어가고 있으므로 초등학교 어린이들부터 傳統 文化敎育을 통해 이 심각한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건전한 情神과 價値觀을 형성 시킬 수 있다. 둘째, 우리 스스로가 우리 文化의 特殊性과 個別性을 소중히 여기지 않는다면 이 세상의 그 어느 민족도 우리 文化를 소중히 여기지 않을 것이다. 86아시안 게임과 88서울 올림픽에서의 文化 축전은 이러한 사실을 우리에게 확인시켜 주었던 좋은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傳統音樂은 남북한 한민족의 정신적 동질성 회복을 위한 가장 공통적인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념으로 말미암아 갈라졌던 남북한의 政治, 社會 敎育의 차이는 결국 文化的 통합으로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傳統文化, 특히 傳練音樂은 민족 동질성 회복을 위한 중요한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에서의 가야금 특활반 운영은 학생, 교사, 그리고 사회적 입장에서 고려해 본다 해도 21세기의 참다운 한국인을 길러 내기 위한 국적 있는 敎育의 일환으로 절대 필요한 敎科目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한정된 소수 인원뿐 아니라 이를 전학년 전교생에게 확대해 나가야 할 必要性은 크다고 하겠다. In this thesis, I tried to find cat whether it is appropriate or not to tea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w to play traditional Korean music instrument, Kayakum as an extra curricular activity. For that reason, I have to study and research 75students of any 3 elementary schools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for one year, teaching them Kayakom. I'm going to report some of the results I've found during the research. First of all, the students answerd it was very benificial and interesting experience for themselves to learn Kayakum, when I give questionaires to the students who had been in Kayakum class. As the second, They say that they can have interest and affection on all kinds of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while they learn Kayakum. As the third, as they learn Kayakum, they come to know very well about our own culture as well as tradional music, which is very unique and distinctive. They also say that they can be really proud of our own culture. And the fourth, almost all of students who answered, they say they want to learn some other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other than Kayakum. As the teacher who taught the students Kayakum, I myself also think it is a good idea to teach them our own traditional music. For the first reason, even the students who aren't enrolled for Kayakum class they also show a lot of interest on Kayakum learning and they're eager to learn. As the second, all of the teachers and principals of those elementary schools', they showed a lot of interest on that class, too. But among all of other benefits, the best influence from teaching Kayakum is that, I think, all of the students, teachers, and their parents can have a chance to approach our cultural property, that is, our traditional music instrument, Kayakum. Even I can renew my attitude to my own major. Therefore, I think this Kayakum class must be expanded to all students. Considering social asperets, there are even more proper reasons for teaching Kayakum. In current society or our own, many people deviate from the right path and they commit much more crimes than before. Morality is now vanished by an inflow of indiscreet alien decadence. In fact, Never have pubic morals been more deploiably corrupt And that it is serious for the youth those who have poor judement on things aroud themselves. In these cases, we can help the students form their own valus of life and sound spirts as well as solve those serious problems that we face now, by teaching them traditional cultural education. As the second reason, we ourselves should value our own cultural distinctiveness and uniqueness, otherwise none of other countries or peoples will value our own culture. Those cultural performances during 86 Asian Game and 88 Seoul Olympice were very good examples. As the thrid, the only way to unif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spiritual nationality is th commom element, traditional music. The difference in political, social, and educational aspects which are originated from the dividing owing to an ideological split must be assimilated by cultural unification. Especially traditional music can be one of the keys. As a conclusion, teaching Kayakum to 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n extra curricular activity is an indispensable subject for the students, teachers, and in our cultural aspects. Also in social sapects, we can raise desirable typical Koreans by teaching them our own culture. So, I think this class should be expanded to all students of all years.

      • 가야금 교본 분석 : 12현 산조가야금 교본 중심으로

        김미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 민속음악의 전통적인 음악 교육은 대부분 구전심수에 의한 도제식 교육이었으나 1960년대 이후 많은 교본이 출판되었다. 그러나 고급 과정에 비해 초보자를 위한 교본이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야금 교본 학습 내용 구성을 알아보고 각 교본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초급 과정과 중급 과정의 비중과 내용을 알아보고자 현재 출판되고 있는 가야금 교본 분석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교본 분석에 앞서 교본 분석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문헌 연구와 가야금 교본 내용의 구성상의 특징을 분석하여 공통점을 찾아내고자 지금까지 출판된 38권의 가야금 교본 중 긴 산조 교본 21권과 2권의 증보 발행된 교본을 제외하고, 15권의 분석된 내용의 구성에 근거하여 총 7부분의 설문을 제작하여 가야금 전문인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오른손·왼손 수법 연습곡은 초급 과정에서, 민요 및 간단한 현대곡의 편곡은 중급 과정에서, 산조는 고급 과정에서 학습해야 할 과정으로 나타났다. 교본 개발에 대한 응답으로는 각 과정별 교본이 필요하다(79.39%)는 결과가 나왔고, 양손을 현침쪽에서 사용하는 학습 시기에 대한 응답에서는 초급 과정(32.73%)에서 실시가 조금 우세하였으나, 중급 과정(24.85%)과 고급 과정(23.03%) 실시도 비슷하게 나왔다. 장단 학습에 대해서는 초급 과정(40.61%)에서 실시하여 중급 과정(47.27%)에서 강조되어야 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 외 연습곡의 선정 및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81.21%)는 의견이 나왔으며, 각 단계의 학습과정에서 필요한 학습 요건 및 오른손·왼손 수법의 효과적인 학습 순서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출판중인 6권의 교본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1) 초급 과정(오른손·왼손 수법 연습곡)의 비율을 살펴보면 평균 비율은 9.8%로 전체 비율의 10% 미만으로 나타났다. 초급 과정을 가장 많이 다룬 교본은 문재숙의 『가야금의 첫 걸음(14%)』이었으며, 김해숙의 『청흥둥당(13%)』, 김정예의 『현대인을 위한 가야금 교본(10%)』, 황병주의 『가야금 교본(9%)』, 박재희의 『가야금 교본(8%)』, 성심온의 『가야금 주법의 이해(5%)』 순으로 나타났다. 초급 과정의 비율이 매우 적게 나타났다. (2) 중급 과정(민요 및 간단한 현대곡 편곡)의 평균 비율을 살펴보면 35.7%로 나타났다. 중급 과정을 가장 많이 다룬 교본은 김정예의 『현대인을 위한 가야금 교본(56%)』로 나타났고, 문재숙의 『가야금의 첫 걸음(51%)』, 황병주의 『가야금 교본(35%)』, 김해숙의 『청흥둥당(35%)』, 박재희의 『가야금 교본(33%)』, 성심온의 『가야금 주법의 이해(4%)』 순으로 나타났다. (3) 고급 과정(산조 과정)의 평균 비율을 살펴보면 30.8%로 나타났다. 고급 과정을 가장 많이 다룬 교본은 박재희의 『가야금 교본(51%)』이었으며 황병주의 『가야금 교본(44%)』, 성심온의 『가야금 주법의 이해(42%)』, 김해숙의 『청흥둥당(25%)』, 김정예의 『현대인을 위한 가야금 교본(17%)』, 문재숙의 『가야금의 첫 걸음(6%)』 순으로 나타났으나, 고급 과정 교본으로는 위에서 분석된 교본 외에도 각 유파의 긴 산조 교본이 많이 출판되어 있다. (4) 양손을 모두 현침쪽에서 사용하는 주법(두손모음주법)에 대한 연습곡이 포함된 교본은 중급 과정인 현대곡에서 문재숙의 『가야금의 첫 걸음』과 김정예의 『현대인을 위한 가야금 교본』에서 다루고 있다. (5) 장단 학습을 연습곡으로 초급 과정에서 다룬 교본은 문재숙의 『가야금의 첫 걸음』, 중급 과정에서는 김해숙의 『청흥둥당 가야금 연습곡집』이었고, 나머지 교본은 민요와 산조에 장단을 제시형으로 다루고 있다. 위의 결과에서 고급 과정에 비해 초급 과정과 중급 과정을 위한 교본은 매우 적게 나타났다. 특히 설문 조사에서 초급 과정의 연습이 매우 중요하며 많이 다루어야 된다는 결과가 나왔으나, 현행 교본에서는 매우 적은 비율(10%미만)로 초급 과정을 다루고 있다. 앞으로 연구를 통하여 더욱 많은 초급 과정과 중급 과정을 위한 연습곡들의 선택·개발이 뒤따라야 할 것이며, 두손모음주법과 관련하여서는 어느 학습과정에서 어떻게 학습을 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Most of Korean folk musician have adopt an education of apprentices by an oral method of teaching without any manual as conventional musical education on Korean folk music. However, though, many manuals have been published since 1960, there are relatively fewer manuals for beginner's class course than ones for high grade cours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composition of Kayagum learning contents and finds out relative importance and contents of the primary grade and intermediate grade courses after examining features of each manual through analysis of Kayagum manuals which have been being published until now. In the study, analyses of Kayagum manuals have been performed in a basis of a questionnaire in order to find out common points through analyzing the compositional features of the contents of Kayagum manuals and other literature studies.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7 part questions based on analyses of compositional contents of 15 manuals except for 21 San-Jo manuals and 2 revisions among total 38 Kayagum textbooks.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recommends that primary grade course deal with right- and left-hand mechanism(technical skills) etudes, intermediate grade course deal with Min-Yo (Korean Folk Song) and arrangements of simple modem music, and high grade course deal with San-Jo in learning. It is also recommended that manuals are composed step by step according to each course (79.39 %). It is shown that 32.73 % answers agree to primary grade course, 24.85 % answers agree to intermediate grade course, and 23.03% answers agree to high grade course as a proper learning time when execution using two hand joining near string's pillow among the styles of rendition (by both hands) of Kaya-gum is taught to a learner. The results for Jang-Dan learning show that 40.61 % answers agree to dealing at primary grade course and then 47.27 % answers agree to emphasizing at intermediate grade course. In addition, it is recommend that selection or developments of etudes should be made (81.21 %). Leaning requirements of each course and efficient learning procedure for right- and left-hand mechanism(technical skills) are included. Through this questionnaire, 6 manuals which are being published at present are analyzed as follows. (1) There are 9.8 % contents dealing with primary grade (right- and left-hand mechanism(technical skills) etudes) and this occupies less than 10 % of overall contents. The manual dealing with contents of primary grade at the largest rate is Jae-Suk Moon's "The first step of Kaya-gum" (14 %) and Hae-Suk Kim's "Chung-Heung-Dung-Dang" (13%) and as other manuals, there are Jung-Ye Kim's "Kaya-gum manual for the moderners"(10%), Byung-Ju Hwang's "Kayagum manual" (9%), Jae-Hee Park's "Kayagum manual" (8%)' and Sim-On Sung's "Understanding of Kayagum skill" (5%). Manuals dealing with primary grade are significantly insufficient. (2) There are 35.7 % contents dealing with intermediate grade (Min-Yo (Korean Folk Song) and arrangements of simple modern music). The manual dealing with contents of intermediate grade at the largest rate is Jung-Ye Kim's "Kaya-gum manual for the moderners"(56%) and as other manuals, there are Jae-Suk Moon's "The first step of Kaya-gum" (51 %), Byung-Ju Hwang's "Kayagum manual" (35%)' Hae-Suk Kim's "Chung-Heung-Dung-Dang" (35%), Jae-Hee Park's "Kayagum manual" (33%)' Sim-On Sung's "Understanding of Kayagum skill" (4%). (3) There are 30.8 % contents dealing with high grade (San-Jo course). The manual dealing with contents of high grade at the largest rate is Jae-Hee Parks "Kayagum manual" (51%), and as other manuals, there are Byung-Ju Hwang's "Kayagum manual'' (44%)' Sim-On Sung's "Understanding of Kayagum skill" (42%), Hae-Suk Kim's "Chung-Heung-Dung-Dang" (25 %), Jung-Ye Km's "Kaya-gum manual for the moderners"(l7%), and Jae-Suk Moon's "The first step of Kaya-gum" (6%). In addition, there are many San-Jo manuals of each school as manuals of high grade course. (4) As manuals including etudes of DuSon-Moum(using two hand joining near string's pillow) execution among the styles of rendition (by both hands) of Kaya-gum, there are Jae-Suk Moon's "The first step of Kaya-gum" (51%) and Jung-Ye Kim's "Kaya-gum manual for the moderners"(56%) (5) Jae-Suk Moon's "The first step of Kaya-gum" is primary grade manual dealing with Jang-Dan learning etudes and Hae-Suk Kim's "Collection of Chung-Heung-Dung-Dang Kayagum etudes" is intermediate grade manual dealing with Jang-Dan learning etudes. The other manuals introduce only Jang-dan(the rhythm) in Min-Yo and San-Jo. In conclusion, there are relatively fewer primary and intermediate grade manuals in comparison to high grade manuals. In particular,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how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perform the exercises of primary grade course and many exercises should be included in the course. Existing manuals include very fewer contents of primary grade course (less than 10 %). Forward, through studies, the selection and developments of etudes for primary and intermediate grade should be made. It is needed to study when to educate and how to educate DuSon-Moum(using two hand joining near string's pillow) execution.

      • 가야금산조 중 단모리, 세산조시, 휘모리장단에 대한 고찰

        최윤정 한국예술종합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Sanjo is the most representative solo instrumental music of korea and is accompanied with Changgo and Puk. In Sanjo, 'frame of rhythm' makes up the large part of the musical structure. Sanjo tends to have a slow start and a gradual increase of the rhythm. Kayagu˘m Sanjo uses the rhythm of pansori which divides the movement. The movement of sanjo usually consists of chinyangjo, chugmori, chungjungmori and chajinmori but in Kayagu˘m Sanjo, most chajinmori and its kinds shows additional movements called tanmori, sesanjoshi hwimori. Presently known Kayagu˘m Sanjos are Kim Yun-do˘k's, Kim Juk-pa's, Kim Byung-ho's, Kang T'ae-hong's, So˘ng Ku˘m-yon's, Shim Sang-ko˘n's, So˘ Kong-cho˘l's, Ch'de Ok-san's. and many more. Among those, the last movements of the five branches - Kim Byung-ho's, Kang T'ae-hong's, Kim Juk-pa's and Ch'ue Ok-san's share the same rhythm and at the same time have their own names such as Tanmori, Sesanjosi, and Hwimori. Although there were some studies of these terms, those studies have been limited to the terms frequency or to just one sec, and never provide thorough concept of the terms of Sesanjosi and Tanmori. Therefore, in this book, 1'm suggesting, through the musical analysis of Tanmori, Sesanjosi, and Hwimori that are used in Kayagu˘m Sanjo, ways of straightening the definition of those words that have been in chaotic use, From the analysis of tanmori and sesanjoshi out of those five branches mentioned above, We can safely conclude the followings. First, in the case of Kim Byung-ho's and Kim Yun-do˘k's Kayagu˘m sanjo share the movements of chajinmori, hwimori, tanmori. And if we take a closer look at what they are, hajinmori movement is composed of the rhythm of chajinmori, hwimori the chajinmori rhythm, and tanmori the rhythm of hwimory. It is believed that the word 'Tsnmori came into use when they needed a different name for the last part of the Hwimori rhythm as the chajinmori had been called 'Hwimori' and 'Chajinmori as Nu˘ju˘n-Chajinmori. Therefore, the actual rhythm of hwimori movement for Kim Byung-ho's and Kim Yun-do˘k's Kayagu˘m Sanjo is the hwimori rhythm. Second, in Kayagu˘m Sanjo ofKang T'ae-hong's and Kim Juk-pa's branch. They have in common Chajinmori, Hwimori and Sesanjosi movement. In actuality, Chajinmori movements are made up of Nu˘ju˘n-Chajinmori rhythm and Hwimori of Chajinmori rhythm. It is believed that the word 'Sesanjoshi came into use when they needed a different name for the last part of the Hwimori rhythm as the Chajinmori had been called 'Hwimpri' and 'Chajimori' as Nu˘ju˘n-Chajinmori. Third, in the case of Kayagu˘m Sanjo for Choeoksan's branch which includes Nu˘ju˘n-Chajinmori and hwimori movements, there i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actual movement and rhythm. As discussed above, the movements of tanmori, sesanjoshia and hwimori in Kayagu˘m Sanjo are being used differently in the branches of Kim Yun-do˘k, Kang T'ae-hong's and Kim Juk-pa, but in tanmori and sesanjoshi are same as hwimori and are only different when it comes to the name, which leads us to the fact that reorganization of those terms shall be needed and also, it is advisable that chajinmori, hwimori and tanmori, just as Ch'oe Ok-san's Kayagu˘m Sanjo has been reflected as their real names, be renamed as nu˘ju˘n-chajinmori, chajinmori and hwimori. 산조는 전통음악 중 가장 대표적인 기악독주곡 형식이며, 장고나 북의 장단반주와 함께 연주된다. 산조에서 '장단의 틀'은 음악의 형식을 이루는 주요한 기둥이 된다. 산조의 장단은 반드시 느리게 시작하여 점차로 빨라지는 정형성을 갖는데, 가야금산조에는 판소리의 장단을 사용하며 그 장단에 의하여 악장이 구분된다. 산조의 악장 구성은 보통 진앙조·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로 되어 있으나, 가야금산조에는 자진모리 뒤에 대다수의 류에서 단모리·세산조시 또는 휘모리라고 불리우는 악장이 첨가된다. 현재 전해지고 있는 가야금 산조는 김윤덕류·김죽파류 김병호류·강태홍류·성금연류 심상건류 서공철류·최옥삼류 등 다수이다. 이 중 김병호류·김윤덕류·강태홍류·김죽파류·최옥삼류 가야금산조의 마지막 악장은 같은 장단을 사용하면서도 단모리·세산조시 휘모리 등 각기 다른 명칭으로 불리운다. 이 용어들에 대한 선행연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용어 사용의 실태조사에 그치거나, 용어 정리와 대안 제시를 한 경우에도 한 유파에 국한되는 등, 가야금산조 전반에서 세산조시·단모리 용어의 개념정립에 대해서는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븐고에서는 가야금산조에서 사용되는 단모리·세산조시·휘모리에 대한 음악적 분석을 통해 각 용어의 개념을 정리하고, 다소 무분별하게 혼용되고 있는 이 용어들에 대한 개념정립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앞서 언급한 다섯 유파의 단모리·세산조시 휘모리장단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단모리 악장을 포함하는 김병호류와 김윤덕류 가야금산조의 경우는 공통적으로 자진모리·휘모리·단모리 악장을 포함하고 있다. 그 실제 내용을 살펴보면, 자진모리 악장은 늦은자진모리장단으로 되어 있고, 휘모리 악장은 자진모리장단으로 되어있으며, 단모리 악장은 휘모리장단임을 알 수 있었다. 늦은자진모리장단의 악장을 '자진모리'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자진모리장단의 악장은 '휘모리'라는 명칭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휘모리장단의 마지막 악장은 다른 어떤 이름이 필요하였고, 따라서 '단모리'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결국 김병호류와 김윤덕류 가야금산조의 휘모리 악장의 실제 장단은 자진모리장단이고, 단모리 악장의 실제 장단은 휘모리장단이다. 둘째, 세산조시 악장을 포함하는 강태홍류와 김죽파류 가야금산조의 경우는 공통적으로 자진모리·휘모리·세산조시 악장을 포함하고 있다. 그 실제 내용은 자진모리 악장은 늦은자진모리장단으로 되어 있고, 휘모리 악장은 자진모리장단으로 되어 있으며, 세산조시 악장은 휘모리장단임을 알 수 있었다. 늦은자진모리장단의 악장을 '자진모리'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자진모리장단의 악장은 '휘모리'라는 명칭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휘모리장단의 마지막 악장은 다른 어떤 이름이 필요하였고, 따라서 '세산조시'라고 명명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셋째, 늦은자진모리와 휘모리 악장을 포함한 최옥삼류 가야금산조의 경우는 늦은자진모리·자진모리·휘모리로 구성되어 있어, 실제 장단과 악장의 이름이 가장 명확히 구분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가야금산조에서의 단모리·세산조시 휘모리의 악장은 김병호류 김윤덕류 강태홍류 김죽파류에서 서로 다른 명칭으로사용하고 있지만, 단모리와 세산조시는 휘모리와 동일한 한배의 같은 장단으로 명칭만 다르게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때문에 명칭에 따른 용어의 재정립이 필요하며, 실제의 장단 이름을 그대로 반영한 최옥산류 가야금산조와 같이, 자진모리 - 휘모리 - 단모리(세산조시)라는 악장명을 늦은자진모리 - 자진모리 - 휘모리로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 효과적인 가야금병창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 중학교 음악교과서 국악 가창곡을 중심으로

        김영애 용인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ropor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music curriculum is gradually expanding since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One genr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lk song with Gayageum has been selected for the educational places such as the discretionary activities for the class or after-school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he classes on it have been implemented. However, the classes are not equipped with the proper textbooks targeted for the use by beginners. This paper has selected 3 songs, ‘Milyang Arirang’,’Han-gang Sutaryeong’ and ‘Sandokkebi’ from the folk songs listed in the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for the class of folk song with Gayageum. For the children who are familiar with the western-style music sheet, the five-lined music sheets were made. Based on them, teaching-learning instruction proposal was devised and the results of instruction for the duration of six month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lesson, using the five-lined music sheet textbooks were as follows. First, during the class using the five-lined music textbooks which were marked with the melody, living tones and music signs, the students could easily understand and play folk song with Gayageum. Second, in the class using the five-lined music sheets as the textbook, the use of the five-lined music sheet expanded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song, contributing greatly to the learning activities. As a result, students became more confident and their performance was considerably improved. Third, the sound from the folk song and Gayeguem has its basis on Pansori, the Korean narrative form of songs, many have been experiencing with the representation of living tones through the five-lined music sheet. Fourth, ‘Milyang Arirang’,’Han-gang Sutaryeong’ and ‘Sandokkebi’ recorded in the five-lined music sheets consists of joyful melodies and interesting lyrics. Instead of the existing pansori or Namdo folk songs, the selection of these new folk songs led the students to become interested in the class and became an excellent music for folk song with Gayageum. Currently what is the most essential in the education of folk songs with Gayageum are the proper textbooks for the instructors to choose from to teach according to the level. If the music education developments for the five-lined music textbooks continue, the teaching of folk songs and Gayageum could be taught more effectively in various places of instruction. 7차 교육과정 이후 음악 교과과정 속의 국악비율은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국악의 한 장르인 가야금병창은 수업의 재량활동, 방과 후 특별활동 등 많은 국악교육 현장에서 채택되어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초급자를 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적절한 교재가 마련지 못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가야금병창의 수업을 위해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민요곡 중 ‘밀양아리랑’과 ‘한강수타령’, ‘산도깨비’의 3곡을 선정하여 서양 악보에 익숙한 아이들을 위해 오선악보 교재를 만들어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 하였으며 6개월간 지도한 결과를 추출하여 보았다. 오선악보 교재를 활용하여 지도한 수업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선악보 교재를 활용한 수업에서 학생들은 노래의 선율과 시김새, 주법기호 등이 오선악보에 표기되어 있어 가야금병창을 쉽게 이해하고 연주 할 수 있었다. 둘째, 오선악보 교재를 활용한 수업에서 학생들은 가야금병창의 학습활동에서 오선악보 교재가 곡의 이해를 높여 학습활동에 많은 도움을 준다고 느끼고 있었고 그 결과 곡에 대한 자신감이 늘어나 연주 실력이 향상 되었다. 셋째, 가야금병창의 소리는 판소리에 바탕을 두고 있어 많은 학생들이 시김새 표현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런 시김새의 선율을 오선악보에 표기 하여 학생들은 악보를 통해 보다 쉽게 표현 할 수 있었다. 넷째, 오선악보 교재에 수록된 민요 ‘밀양 아리랑’, ‘한강수 타령’, ‘산도깨비’는 흥겨운 가락과 재미있는 가사들로 이루어져 있다. 가야금병창곡으로 연주하던 기존의 판소리, 남도민요곡이 아닌 새로운 민요곡의 선정은 학생에게 수업에 대한 흥미를 갖게 하였으며 가야금병창의 좋은 연주곡이 될 수 있었다. 현재 가야금병창의 교육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수준에 알맞게 가르칠 수 있도록 교사가 선택할 수 있는 충분한 교재가 마련되는 것이다. 오선악보 교재에 대한 음악교육 작업이 꾸준히 이루어진다면 가야금병창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여러 수업의 현장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지도 할 수 있을 것이다.

      • 가야금병창의 가야금과 장구에 관한 연구 : 춘향가 중 "사랑가"를 중심으로

        배미영 우석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A Research of Gayageum and Janggu in Gayageum Byeongchang -Focusing on the Sarangga of Chunhyangga- Mi young, Bae Music Education major Education Graduation School Woosuk University Director Professor : In taek, Sim Mainly Gayaguem Byeongchang played Daemoksori among Danga, Minyo(korea folk song), Daemoksori in Pansori. When it play with Gayaguem and Janggu, this gears harmony is very important thing, but sometime this gears played unmatch harmony perform. So, i analyzed Chunhyangga(love Is) to know how was played Gayaguem harmony and Janggu beat in Daemoksori of Pansori and comparative analysis according to Gayaguem harmony and Janggu beat in each part of Chunhyangga. Gayageum melody and Janggu beat comparative analysis in each part of Chunhyangga, the short gear follows. Gayaguem melody of Jinyangjo played main melody. when sound's breaktime is 5, 6 beat, this played different gayaguem melody according to Ki․Kyung․Kyul․Hai of this melody. so this don't have consistency. Gayaguem melody played with Janggu beat rhythm likely at last beat of a part. Janggu beat played Jinyangjo beat and mostly first beat used Kungpyun, played Ki․Kyung․Kyul․Hai beat according of chattering and melody. Janggu is used main Chaipyun more than Kungpyung. Gayaguem melody fo Jungmori played main melody when sound breaktime is 11, 12 beat, this played different gayaguem melody according to Ki․Kyung․Kyul․Hai of this melody. so this don't have consistency. Gayaguem melody played with Janggu beat rhythm likely at last beat of a part. Janggu beat played Junmori beat and it played Ki․Kyung․Kyul․Hai beat according of chattering and melody at 11, 12 beat. Janggu is used main Chaipyun. and middle part of Janggu beat don't play to transfer exactly melody. In this case, it played to emphasize meaning of chattering and progress of melody. Gayaguem melody fo Jungjungmori played main melody when sound breaktime is 10, 11, 12 beat, this played different gayaguem melody according to Ki․Kyung․Kyul․Hai of this melody. so this don't have consistency. Gayaguem melody played Janggu beat likely rhythm at last beat of a part. Janggu beat played Jungjungmori beat and it played Ki․Kyung․Kyul․Hai beat according of chattering and melody at 10, 11, 12 beat. Janggu is used main Chaipyun more than Kungpyung. and middle part of Janggu beat don't play to transfer exactly melody. if played at middle part, it played to emphasize meaning of chattering and progress of melody. Accordingly, Gayaguem technique would played more artful than common technique to transfer exactly melody and Janggu's Chapyun must match to the playing of the Gayaguem' tone in case of Gayaguem and Janggu together playing. 국 문 초 록 가야금병창의 가야금과 장구에 관한 연구 -춘향가 중 “사랑가”를 중심으로- 배미영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 심 인 택 가야금병창은 판소리의 대목소리 · 단가 · 민요 중 주로 판소리의 대목소리를 연주하고 있으며, 가야금병창의 연주를 보면 가야금과 장구가 함께 연주하고 있지만, 연주 중 어느 부분에서는 가야금 연주와 장구장단이 소리선율과 조화롭게 연주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가야금병창에서 연주되는 판소리의 대목소리에서 가야금과 장구가 어떻게 연주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춘향가 중 “사랑가”를 본 연구자가 직접 채보하였으며 각 장단별로 소리선율에 따른 가야금선율과 장구장단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각 장단의 소리선율에 따른 가야금선율과 장구장단을 비교·분석을 하면 다음과 같다. 진양조의 가야금선율은 소리선율의 주요음을 연주하고 있고, 소리선율이 쉬는 5, 6박에서는 소리선율의 기․경․결․해에 따라 가야금선율은 각각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일관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가야금선율은 한장단의 마지막 박에서 장구장단과 같은 리듬꼴로 연주하고 있다. 장구장단은 판소리의 진양조장단을 활용하여 연주하고 있고, 첫박은 궁편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5, 6박에서는 사설과 선율에 따라 기․경․결․해의 장단으로 연주하고 있다. 장구는 궁편 보다는 주로 채편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중모리의 가야금선율은 소리선율의 주요음을 연주하고 있고, 소리선율이 쉬는 11, 12박에서는 소리선율의 기․경․결․해에 따라 가야금선율은 각각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일관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가야금선율은 한장단의 마지막 박에서 장구장단과 같은 리듬꼴로 연주하고 있다. 장구장단은 판소리의 중모리장단을 활용하여 연주하고 있으며, 11, 12박에서는 사설과 선율에 따라 기․경․결․해의 장단으로 연주하고 있다. 장구는 궁편 보다는 주로 채편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소리선율을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장단의 중간 박은 대부분 연주하지 않으며, 장단의 중간에서 연주하는 경우 사설의 의미나 선율의 진행을 강조하기 위하여 연주하고 있다. 중중모리의 가야금선율은 소리선율의 주요음을 연주하고 있고, 소리선율이 쉬는 10, 11, 12박에서는 소리선율의 기․경․결․해에 따라 가야금선율이 각각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일관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가야금선율은 한장단의 마지막 박에서 장구장단과 같은 리듬꼴로 연주하고 있다. 장구장단은 판소리의 중중모리장단을 활용하여 연주하고 있으며, 10, 11, 12박에서는 사설과 선율에 따라 기․경․결․해의 장단으로 연주하고 있다. 장구는 궁편 보다는 주로 채편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소리선율을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장단의 중간 박은 대부분 연주하지 않으며, 장단의 중간에서 연주하는 경우 사설의 의미나 선율의 진행을 강조하기 위하여 연주하고 있다. 따라서 소리선율의 정확한 전달을 위하여 가야금의 연주법은 현재와 같이 소리선율을 따라서 연주하기 보다는 좀 더 기교적인 연주법이 연구되어야 하며, 가야금연주와 장구장단이 같은 리듬꼴로 연주하였을 경우는 장구장단의 채편은 가야금의 음량에 맞춰서 연주하여야 한다.

      • 가야금과 쟁의 기원에 관한 고찰

        유몽범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가야금(伽倻琴)과 쟁(箏)은 한국과 중국을 대표하는 발현(撥弦)악기로 악기의 구조, 형태, 제작 재료, 비슷한 연주방법을 가지고 있는 같은 계통의 악기이다. 가야금은 가야국에서 만들어진 현악기로 가얏고라고도 한다. 쟁은 진(秦)나라에서 성행했으며, 예로부터 진쟁(秦箏)이라 불렸다. 본 논문은 문헌 자료와 학자들이 발표한 각종 논문을 통해 가야금과 쟁의 기원을 각각 고찰한 후 고고학 유물을 통해 두 악기의 기원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가야금에 관한 최초의 문헌 기록은 12세기에 김부식 등이 편찬한『삼국사기(三國史記, 1145)』이다. 『삼국사기』「악지(樂志)」에 의하면 가야금은 가야국의 가실왕이 중국 악부(樂部)의 쟁을 본떠서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후 『삼국유사(三國遺事, 1281)』,『악학궤범(樂學軌範, 1493)』 등의 역사책에도 가야금에 관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쟁에 관한 최초의 문헌 기록은 전한(前漢, 기원전 202~8) 때 사마천(司馬遷)이 쓴 『사기(史記)』이다. 그리고 후한(後漢, 25~220) 때의 『설문해자(說文解字)』『석명(釋名)』 등의 역사책에도 쟁에 관한 기록이 있다. 가야금에 관한 최초의 유물 악기는 기원전 1세기의 신창동에서 발견된 것으로, 학자들은 이를 가야금의 원형이 되는 '고(琴)'로 추정한다. 그러나 이 유물악기는 가야금의 가장 특징적 부분인 '양이두(羊耳頭)'가 있는지는 확실치 않다. 이후 경주에서 출토한 4~6세기까지의 토우는 '양이두'를 가진 가야금이다. 이외에도 8세기에 만들어진 양이두를 가진 가야금은 '신라금(新羅琴)'이라는 이름으로 일본에 전해져서 나라(奈良)의 쇼소인(正倉院)에 보관되어 있다. 쟁에 관한 최초의 유물 악기는 전국(戰國, 기원전 475~기원전 221) 시대이다. 중국 강서 애묘(江西崖墓)와 강소 오현(江蘇吳縣)에서 발굴된 12현, 13현의 현악기는 전국시대의 쟁으로 여겨진다. 또한 전국시대 증후을묘(曾候乙墓)에서 출토된 축(筑)과 슬(瑟)도 있는데 학자들은 쟁이 이 악기들에서 기원되었다고 여긴다. 이외에도 전진(前秦, 350~394) 시기부터 청나라(淸, 1616~1912) 시기에 만들어진 돈황석굴(敦煌石窟) 벽화에서 쟁이 발견되었다. 이들 자료를 통해 쟁은 기원전 5세기 무렵에 만들어졌고, 이후 점점 다양한 현수의 쟁으로 발전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의 가야금과 중국의 쟁의 최초 기원은 아시아 남부에 존재하는 관형 대나무 지터류 악기인 죽통금(竹筒琴)이다. 이것이 발전하여 한국의 고대 현악기는 광주 신창동 유물악기에서 알 수 있듯이 1세기 무렵부터 8현 이상의 다양한 현수로 만들어졌다. 이외에도 각종 유물 악기나 『삼국지(三國志)』「위지(魏志)」「동이전(東夷傳)」등의 기록을 통해 한반도에 존재했던 '고'는 다양한 현수를 갖는 악기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의 쟁도 죽통금 시대인 5현 쟁에서 한나라 이후 12, 13현 쟁으로 발전했다. 5세기 무렵에는 가야국의 가실왕이 중국 12현 쟁의 현제(絃制)를 따라 12현의 가야금을 만든 것이 『삼국사기』「악지」에 가야금 창제설로 기록된 것이다. 그럼에도 가야금은 양이두를 갖고 한 통으로 만든다는 점에서 중국의 쟁과는 다른 가야국의 고유한 악기로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伽倻琴和箏作爲韓國和中國代表性的撥絃樂器,有着相似的構造、形態、制作材料、演奏方法,屬於同一種體系的樂器。伽倻琴作爲伽倻國制造的絃樂器,也被稱爲‘伽倻고(琴)’。箏盛行於秦國,以前也稱爲‘秦箏’。 本論文首先通過文獻記錄和學者們發表的各種論文分別考察了伽倻琴和箏的起源,然後通過文物對兩種樂器的起源進行了硏究。關於伽倻琴記載最早的歷史書是12世紀由金富植等人編撰的《三國史記》。據《三國史記》記載,伽倻琴是伽倻國的嘉實王仿照中國樂部的箏而造的。之後,又有《三國遺事,1281》,《樂學軌範,1493》等許多歷史書籍都記載了關於伽倻琴的內容。關於箏最早的記載是西漢(公元前202~8)時期司馬遷寫的《史記》。此後,又有東漢(25~220)時期的《說文解字》,《釋名》等歷史書籍都記載了關於箏的內容。 關於伽倻琴出土的最早文物是在新倉洞發掘的公元前1世紀的絃樂器‘琴’。學者們推斷那絃樂器是伽倻琴的原型。但是,根據發掘出的琴來看,很難確定那絃樂器到底有沒有伽倻琴最具特点的‘羊耳頭’部分。之後慶州出土的4世紀到6世紀之間的土偶中確定有伽倻琴,因爲這些文物中具有‘羊耳頭’構造。除此之外,8世紀時期具有‘羊耳頭’特点的伽倻琴流傳到日本, 日本人稱之爲‘新羅琴’, 現收藏於奈良的正倉院中。 關於箏出土的最早的文物是戰國(公元前475~公元前221年)時期。在中國江西崖墓和江蘇吳縣發掘的12絃、13絃的絃樂器,學者們認爲那是戰國箏。還有戰國時期曾侯乙墓出土的筑和瑟,學者們認爲箏起源於這些樂器。另外,從前秦時期(350~394)至淸朝時期(1616~1912)建成的敦煌石窟中也发發現了大量箏的壁畵。通過這些資料,我們知道箏是起源于5世紀的時候,幷且到唐朝的時候已經發展成了12,13絃。 韓國的伽倻琴和中國的箏最初起源是存在於亞洲南部的竹制管形樂器竹筒琴。通過這個樂器,韓國發展成像我們知道的新倉洞文物,從1世紀發展成了8弦以上的多種絃制的古代樂器。除此之外,根据各種樂器文物或《三國志》記載,我們知道存在于韓半島的古代樂器琴是具有多種絃數的樂器。中國的箏也是從竹筒琴時代的五絃箏發展到漢朝以後的十二、十三絃箏。5世紀時,伽倻國的嘉實王仿照中國12絃箏的絃數制造了12絃伽倻琴,記錄在《三國史記》<樂記>的伽倻琴創制中。除此之外,伽倻琴具有‘羊耳頭’構造幷且用一整個木頭制造的特点與中國的箏不同,是作爲伽倻國固有的樂器傳承到現在。

      • 효과적인 가야금 특기·적성교육을 위한 연간 교수-학습과정의 개발에 관한 연구

        임나래 건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글초록 :본 연구는 경기도 안양과 분당지역의 가야금 특기?적성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가야금 특기?적성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연간 교수-학습과정을 구성하여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이를 위하여 경기도 안양과 분당지역을 중심으로 가야금 특기?적성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6곳의 학교를 선정하여 교육을 받고 있는 73명의 학생과 6명의 강사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좀 더 자세한 현황을 알기 위해 2명의 강사와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조사 내용을 분석한 결과, 현재 가야금 특기?적성교육에 있어서 교재 및 교구, 교육방법, 평가 등 여러 방면에 걸쳐 가야금 특기?적성교육의 프로그램이 취미나 여가활동의 한 방편으로서 가야금을 배우는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끌기에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 및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실제 가야금 특기?적성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을 선정?조직하여 연간 60차시의 교수-학습과정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중점을 둔 지도 방법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첫째, 각 학습단계를 설정하여 특기?적성교육에 있어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각 단계별로 학생들의 흥미와 선호도를 고려하여 기존의 가야금 곡 외에 다양한 제재곡을 선정하고, 이를 가야금 연주에 맞게 편곡하여 효과적인 가야금 특기?적성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둘째, 평가 부분을 강화하고 다양한 평가 방법을 사용하였다.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현실을 감안하여 평가부분을 강화하고, 자기평가, 모둠평가, 교사평가, 감상의 평가 등 다양한 평가를 실시하도록 하였다.마지막으로, 가야금 특기?적성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이 모두 대회 및 연주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선정한 곡을 2성부로 편곡하여 수준별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연간 교수-학습 과정의 모델을 제시했을 뿐, 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실제적인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교수-학습 과정을 현장에 적용하는 것 까지 그 범위를 넓혀 가야금 특기?적성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이를 통해, 가야금 특기?적성교육이 활성화됨과 동시에 궁극적으로는 국악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쳐 학교교육 안에서 국악교육이 확고히 자리를 잡고 우리의 전통문화인 국악이 생활 속에 뿌리 내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영문초록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how Gayageum is taught in talent-aptitude education programs in Anyang and Bundang of Gyeonggi-do to understand the problems of talent-aptitude education of Gayageum and develop an effective yearly curriculum as a solution to existing problems.For this purpose, six schools in Anyang and Bundang of Gyeonggi-do that offer Gayageum education in talent-aptitude programs and a survey was distributed to seventy three students and six instructors. Two instructors were interviewed to make a more in-depth approach. As a result of the survey and interview:Most of students taking talent-aptitude educations in Gayageum feel learning Gayageum as a hobby or a leisure activity. Since, students are not motivated by materials, tools, and techniques. It is a main factor of losing student’s interest and enthusiasm eventually.To improve this problem, I choose realistic, enjoyable subjects drawing students' desire to learn Gayageum and make a 60 session-organized program for better talent-aptitude education in Gayageum.?This study focused on the following teaching techniques and contents :First, each step of learning enabled organized and effective learning in talent-aptitude programs. Various levels of musical pieces were selected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s and preferences and were arranged to meet Gayageum performances for effective and enjoyable learning. Second, various evaluation methods were introduced.The evaluation part of the program was reinforced and various methods, such as self evaluation, general evaluation, teacher evaluation, and appreciation evaluation, were applied. Last, a piece that was selected for all students in programs to participate in contests or concerts were arranged into two versions, considering students in different level of skills.However, It is necessary to verify how proposed yearly curriculum in this research works efficiently because I focused to build up a role model of curriculum.Therefore, I would like the role model in this research to be well applied in actual education field and believe that it is a useful method to advance talent-aptitude education of Gayageum.By doing so, extracurricular or aptitude programs in Gayageum will ultimately reviv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school education and in society and will take us closer to Korean traditional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