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신생아 완화간호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임종간호 스트레스

        이승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완화간호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조사하고 세 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향후 신생아 완화간호 교육프로그램과 신생아 완화의료를 위한 간호 프로토콜 제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신생아 완화의료 및 임종을 경험하는 부모와 가족들에게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지지 간호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소재의 7 개 종합병원의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와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간호사 112 명을 대상으로 시행했으며, 자료수집은 2021 년 7 월 9 일 부터 2021 년 7월20일 까지 온라인 설문조사 방법을 활용하였다. 완화간호에 대한 지식은 Ross 등(1996)이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The Palliative Care Quiz for Nursing(PCQN)을 Kim 등(2011)이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완화간호에 대한 태도는 Kain 등(2009)이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The Neonatal Palliative Care Attitude Scale (NiPCAS)”를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장수현(2013)이 개발한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 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를 이용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완화간호에 대한 지식을 분석한 결과 20 점을 기준으로 평균 8.82±2.83 이었으며,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의 임상 경력 (F=5.99, p=.003)과 총 임상 경력(F=4.15, p=.018)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2) 완화간호에 대한 태도는 총점 60 점을 기준으로 전체 문항의 평균은 40.00±6.27 점 이었으며, 각 하위 영역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조직에 대한 태도 요인은 총점 5점 중 3.87±0.96점, 자원에 대한 태도 요인은 3.06±1.16 점, 의료인에 대한 요인은 2.90±0.78 점 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완화간호에 대한 태도에서는 총점을 기준으로 했을 때 완화의료 기관 해당 유무(t=-3.13, p=.002), 완화간호 교육 유무(t=-2.63, p=.010), 신생아집중치료실 내 완화간호 프로토콜 유무(t=-3.59, p=<.001)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하위항목으로 살펴보면, 하위 영역 중 ‘조직’ 과 관련된 태도에서 자녀의 유무(t=2.10, p=.038), 완화 기관 해당 유무(t=-2.14, p=.036), 그리고 신생아집중치료실 내 완화간호 프로토콜 유무(t=-2.65, p=.009)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완화간호에 대한 태도 하위 영역 중 ‘자원’ 과 관련된 태도에서는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의 경력(F=4.48, p=.013), 완화의료 기관 해당 유무(t=-3.22,p=.002), 완화간호 교육 유무(t=-3.57, p=<.001), 신생아집중치료실 내 완화간호 프로토콜 유무(t=-4.20, p=<.001)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3)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총점 평균은 145 점 중 110.83±15.935 점 이었으며, 3.82±0.55 이었다. 다만,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완화간호에 대한 지식, 태도 그리고 임종간호 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를 위한 직무교육 및 보수교육프로그램에 완화간호와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 5 점 만점을 기준으로 등의 교육프로그램을 활성화를 통해 지식 함양 및 긍정적 태도를 형성해야 하며, 아직까지 국내의 상황에서 미비한 신생아 완화간호 프로토콜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향후 소아청소년 완화의료 시범사업을 통한 제도적, 물리적, 환경적 기조와 더불어 신생아 완화의료 및 임종을 경험하는 부모와 가족들에게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지지 간호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is study is a study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ttitude, and the stress of End-of-life care of nurse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nd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 variables. It was conducted for 111 nurses who have worked within 1 year or working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at seven tertiary hospitals at level III NICUs in South Korea.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ly 9, 2021 to July 20, 2021. Knowledge of palliative care was measured by The Palliative Care Quiz for Nursing (PCQN) developed by Ross et al. (1996) for nurses, attitudes toward palliative care was measured by the NiPCAS developed by Kain(2009), and the stress of end-of-life care was measured by the Neonatal end-of-life care stress developed by Jang(2013).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3.0 win program to process computational statistics,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ject's knowledge of palliative care, the average was 8.82±2.83 (range 0-15 points) based on 20 points. The difference was existed in clinical experience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F=5.99, p=.003) and total clinical experience (F=4.15, p=.018). 2) The average palliative care attitude of all questions based on the total score of 120 points was 82.05±8.68, and when divided into each subscale, the attitude factor toward the organization was 3.87±0.96 out of 5 points, and the attitude factor toward resources was 3.06±1.16 points. The total score of attitudes toward palliative care differed depending on the palliative care institutions (t=-3.13, p=.002), palliative care education (t=-2.63, p=.010) and palliative nursing protocol in the NICU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t=-3.59, p=<.001). Attitude related to ‘organization’ among the subscale of attitude toward palliative care,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having children (t=2.10, p=.038), palliative care institutions (t=- 2.14, p=.036), palliative nursing protocol in the NICU(t=- 2.65, p=.009). Attitudes related to ‘resource’ among the subscale of attitude toward palliative care,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experience in NICU(F=4.48, p=.013), palliative care institutions(t=-3.22, p=.002), palliative education (t=-3.57, p=<.001), and palliative nursing protocol in the NICU(t=-4.20, p=<.001). 3) The average of the total score of end-of-life care stress was 110.83±15.935 out of 145 points, and 3.82±0.55 based on the score out of 5. However, in this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nd-of-life care stre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4)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in th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ttitude, and the end-of-life care stress of nurse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education programs such as job training for nurse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should be activated to foster knowledge and form a positive attitude. Moreover, the need for neonatal palliative care protocols, which are still insufficient in the domestic situation, is emphasized and used as a basic data to help provide professional and systematic support to parents and families experiencing neonatal palliative care and death.

      •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의료장비 알람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제경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43

        Abstract Factors affecting alarm management activities for medical devices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Lee, Je Kyung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Ulsan Supervised by Prof. Jang, Aele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medical device alarms, alarm fatigue, patient safety culture, and alarm management activities among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alarm management activities for medical device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February 2, 2021 to February 28, 2021.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56 ICU nurses at two tertiary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and one tertiary general hospital and one general hospital located in U City, South Korea,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after receiving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Committee (IRB) at U University. This study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at consists of a total of 118 items, including 10 items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items regarding alarm-related characteristics, 18 items regarding perception of alarms, nine item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alarm-related issues, eight items regarding alarm fatigue, 44 items regarding patient safety culture, and 22 items regarding alarm management activ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By gender,10.3% were men and 89.7% were women. The average age was 28.89±5.90 years old, with 69.2% in their 20s, 24.4% in their 30s, and 6.4% in their 40s. In terms of marital status, 27.6% were married, and 72.4% were unmarried. In terms of education level, 78.8% had an associate's degree, 16.7% had a bachelor's degree, and 4.5% had a master's degree or higher. In terms of hospital size, 64.1% were tertiary hospital nurses, and 35.9% were general hospital nurses. In terms of working department, 48.1% were nurses working in internal medicine ICU, 34.0% in surgical ICU, and 17.9% in cardiovascular ICU. The average clinical career length was 5.83±6.25 years, with 39.7% having a clinical career length of < 3 years, 22.4% having a clinical career length of 3 to 5 years, 21.8% having a clinical career length of 5 to 10 years, and 16% having a clinical career length of ≥ 10 years. The average number of patients one nurse was in charge of was 2.85±0.64. In terms of shift patterns, 96.8% were three-shift workers, and 3.2% were two-shift workers. The average level of physical fatigue in the past one week was 7.41±1.43 out of a total of 10 points. 2. With regard to the alarm-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e medical devices that emit alarms included ventilators (98.1%), infusion pumps (96.8%), physiological monitors (93.6%),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equipment (80.1%), and the hemodialyzer (66.7%). With regard to alarm management, 92.3% reported that when a medical device sounded an alarm, the causes of the alarm were solved. The medical device with the highest alarm fatigue was physiological monitors (48.8%), followed by ventilators (24.4%),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equipment (18.6%), and infusion pumps (5.1%). In the recent two years, 80.1% received education on how to use medical devices, and 64.7% received education on medical device alarm management. As for the education methods on how to use medical devices, 76.8% were given a brief explanation in the ICU while on duty, and the medical devices in which they were educated included ventilators (83.2%), fluid infusion pumps (62.4%),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equipment (61.6%), and physiological monitors (52.8%). As for the education method on alarm management, 70.3% of the participants were briefed in the ICU while on duty, and the medical devices in which they were educated included ventilators (79.2%), infusion pumps (68.3%),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61.4%), and physiological monitors (55.4%). In addition, 37.8% experienced medical device alarm-related patient safety accidents, of whom 10.9% had direct experiences and 26.9% had indirect experiences. Among those who had experienced such accidents, 67.8% received feedback such as recommended education on medical device alarms or guideline changes. The mean score for the need for alarm-related regular education was 4.05±0.76 out of 5 points. 3. The mean score for the perception of medical device alarms among the participants was 3.48±0.30 out of 5 points. Among alarm-related issues, the perceived most important issue was that “Frequent false alarms, which lead to reduced attention or response to alarms when they occur.” The score for alarm fatigue among the participants was 3.58±0.50 out of 5 points. The score for patient safety culture was 3.39±0.23 out of 5 points. The score for alarm management activities among the participants was 2.66±0.37 out of 4 points. 4.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alarms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F=3.897, p=.022) among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larm-related characteristics. 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arm fatigu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experiencing patient safety accidents (F=3.730, p=.026). 6.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ient safety cultur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ceiving education on how to use medical device (t=3.492, p=.001)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ceiving education on medical device alarm management (t=3.148, p=.002). 7.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arm management activities according to hospital size (t=-3.482, p=.001),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ceiving education on how to use medical devices (t=3.295, p=.001),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ceiving education on medical device alarm management (t=3.788, p=<.001). 8. The alarm management activiti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verage number of patients in charge of nurses (r=-.283, p=<.001), alarm fatigue (r=-.173, p=.031), and the perceived third-most important alarm-related issue that “Over-reliance on alarms to call attention to patient problems.” (r=-.283, p=.048). Patient safety culture (r=.251, p=.002)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ceived ninth-most important alarm-related issue that “Difficulty in hearing alarms when they occur.” (r=.224, p=.005). 9.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alarm management activities among the participants,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inputting the participants’ alarm-related characteristic variables in the first stage, alarm perception and alarm fatigue variables in the second stage, and patient safety culture variables in the third stage. The most significant explanatory variable was the perceived important alarm-related issue “Difficulty in hearing alarms when they occur.” (β=-.254, p=.001), followed by patient safety culture (β=.174, p=.025), and hospital size (β=.226, p=.028).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for alarm management activities was 23.0% (F=6.773, p<.001, adj.R2=.230). In conclusion, this study determined the levels of perception of medical device alarms, alarm fatigue, patient safety culture, and alarm management activities among ICU nurses, and found that the factors affecting alarm management activities included a perceived important alarm-related issue that “Difficulty in hearing alarms when they occur.”, patient safety culture, and hospital siz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strategies and education to reduce alarm fatigue among ICU nurses and promote their alarm management activities. 국문 초록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의료장비 알람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 연구는 집중치료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의료장비에 대한 알람인식, 알람피로, 환자안전문화, 알람관리 활동의 정도를 확인하고 알람관리 활동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2월 2일부터 2월 28일까지였으며, 연구 대상은 B광역시 소재 2개 상급종합병원, U시 소재 1개 상급종합병원과 1개 종합병원에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집중치료실 간호사 156명으로 U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 후 진행되었다.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로 일반적 특성 10문항, 알람 관련 특성 7문항, 알람인식 18문항, 알람 관련 문제 중요도 순위 9문항, 알람피로 8문항, 환자안전문화 44문항, 알람관리 활동 22문항이며 총 11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목적에 따라 t-test와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은 남자가 10.3%, 여자가 89.7%였으며, 평균연령은 28.89±5.90세로 20대가 69.2%, 30대가 24.4%, 40대가 6.4%였다. 결혼상태는 기혼이 27.6%, 미혼이 72.4%였다. 학력은 학사가 78.8%, 전문학사가 16.7%, 석사이상은 4.5%였고, 병원규모에 따른 상급종합병원 간호사는 64.1%, 종합병원 간호사는 35.9%였다. 근무부서는 내과계 집중치료실이 48.1%, 외과계 집중치료실이 34.0%, 심혈관계 집중치료실이 17.9%였다. 총 임상경력은 평균 5.83±6.25년으로 3년 미만이 39.7%, 3년에서 5년 미만이 22.4%, 5년에서 10년 미만이 21.8%, 10년 이상이 16%였다. 집중치료실 근무경력은 평균 4.54±4.66년으로 3년 미만이 47.4%, 3년에서 5년 미만이 21.2%, 5년에서 10년 미만이 21.2%, 10년 이상이 10.3%였다. 간호사 한명이 평균적으로 담당하는 환자의 수는 평균 2.85±0.64명이었으며, 근무형태는 3교대가 96.8%, 2교대는 3.2%였다. 최근 1주일 내 신체적으로 느끼는 피로의 정도는 총 10점 만점에 평균 7.41±1.43점이었다. 2. 대상자의 알람 관련 특성 중 알람을 유발하는 의료장비는 인공호흡기가 98.1%, 수액주입펌프 96.8%, 생리학적 모니터 93.6%, 지속적 신대체 요법 장비 80.1%, 혈액투석기 66.7%였다. 의료장비 알람유발 시 관리방법으로 알람의 원인을 해결한다는 응답이 92.3%였고, 알람피로도가 가장 높은 의료장비로는 생리학적 모니터가 48.8%, 인공호흡기가 24.4%, 지속적 신대체 요법 장비가 18.6%, 수액주입펌프는 5.1%였다. 최근 2년 이내 의료장비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은 80.1%가 받았고, 최근 2년 이내 의료장비 알람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은 64.7%가 받았다. 의료장비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방법은 근무 중 짧은 집중치료실 내 설명이 76.8%였고, 교육받은 의료장비는 인공호흡기 83.2%, 수액주입펌프 62.4%, 지속적 신대체 요법 장비 61.6%, 생리학적 모니터 52.8%였다. 알람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방법 역시 근무 중 짧은 집중치료실 내 설명이 70.3%였고, 교육받은 의료장비는 인공호흡기 79.2%, 수액주입펌프 68.3%, 지속적 신대체 요법 장비 61.4%, 생리학적 모니터 55.4%였다. 의료장비 알람 관련 환자안전사고는 37.8%가 경험했으며 그 중 직접 경험은 10.9%, 간접 경험은 26.9%였다. 경험자 중 67.8%는 의료장비 알람과 관련된 개선교육이나 지침변경 등의 피드백을 받았다. 알람과 관련하여 정기적인 교육의 필요성은 총 5점 만점에 평균 4.05±0.76점이었다. 3. 대상자의 알람인식은 총 5점 만점에 평균 3.48±0.30이었다. 알람과 관련된 문제 중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1위는 ‘자주 발생하는 위양성 알람으로 인해 알람에 대한 경각심과 대처가 감소한다.’였다. 대상자의 알람피로는 총 5점 만점에 3.58±0.50이었고, 환자안전문화는 총 5점 만점에 3.39±0.23점이었다. 대상자의 알람관리 활동의 정도는 총 4점 만점에 2.66±0.37점이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알람 관련 특성에 따른 알람인식은 교육정도(F=3.897, p=.02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알람 관련 특성에 따른 알람피로는 환자안전사고 경험여부(F=3.730, p=.026)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알람 관련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는 의료장비 사용방법 교육 유무(t=3.492, p=.001), 의료장비 알람관리 방법 교육 유무(t=3.148, p=.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7.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알람 관련 특성에 따른 알람관리 활동은 병원규모(t=-3.482, p=.001), 의료장비 사용방법 교육 유무(t=3.295, p=.001), 의료장비 알람관리 방법 교육 유무(t=3.788,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8. 알람관리 활동은 간호사의 평균 담당 환자 수(r=-.283, p=<.001)와 알람피로(r=-.173, p=.031), 알람 관련 문제 중요도 3위인 ‘환자상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알람에 과도하게 의존한다.’(r=-.283, p=.048)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환자안전문화((r=.251, p=.002)와 알람 관련 문제 중요도 9위인 ‘알람 소리가 잘 안 들린다.’(r=.224, p=.005)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9. 대상자의 알람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첫 번째 단계에는 대상자의 알람 관련 특성 변수를, 두 번째 단계에는 알림인식과 알람피로를, 세 번째 단계에는 환자안전문화를 입력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개별 변수로는 알람 관련 문제 중요도 중 ‘알람소리가 잘 안 들린다.’(β=-.254, p=.001), 환자안전문화(β=.174, p=.025), 병원규모(β=.226, p=.028)의 순서로 유의한 설명변수였으며, 이 변수의 알람관리 활동에 대한 설명력은 23.0%였다(F=6.773, p<.001, adj.R2=.230).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집중지료실 간호사의 의료장비에 대한 알람인식, 알람피로, 환자안전문화, 알람관리 활동의 정도를 확인하고, 알람 관련 문제 중요도 중 ‘알람소리가 잘 안 들린다.’, 환자안전문화, 병원규모가 알람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알람피로를 줄이고 알람관리 활동 증진을 위한 중재 전략과 교육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미숙아 발달지지를 위한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한나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3340

        The purpose of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nurses’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for developmental support care of Preterm Infants. The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stage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based on the ADDIE model. In this study, methodological research was employed during the three former stages (analysis, design and development) and a pre-test / post-test quasi-experimental study design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employed during the last stag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he NICU nurses’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for developmental support care of preterm infants was drafted after analyzing the subject analysis, program theme analysis, environmental analysis, and demand analysis. The program was finalized after consultation with a group of 12 experts. The program consisted of four sessions. The themes of the sessions were as follows. The first session dealt with the concept for developmental support care of preterm infants; the second session included family support, healing environment support, stress and pain management, and sleep support. The third session comprised supportive positioning, skin protection, nutrition optimization, and sensory stimulation; developmental support care of preterm infants nursing apply were covered in the fourth session. Each session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closing. The educational materials including zoom, padlet, quiz, and diary were used in the program. A total of 39 nurses working in the NICU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20 nurs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9 nurses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ent through a total of 4 sessions of NICU nurses’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for developmental support care of preterm infants once a week for 4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not provided of program. Data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re collected through base-line, post and follow-up test from August 30, 2021 to October 28, 2021. The outcome variables were included nursing knowledge of developmental support care for preterm infants, nursing attitude towards developmental support care for preterm infants and nursing competence in developmental support care for preterm infa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4.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program's effectivenes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sult of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n nursing knowledge of developmental support care for preterm infants revealed that there were no sigi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groups and times (F=1.38, p=.258).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F=10.81, p<.001) and the main effect of times was significant (F=12.97, p<.001).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esult supports the first hypothesis. 2.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n nursing attitude toward developmental support care for preterm infant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groups and times (F=2.06 p=.14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F=0.23, p=.635).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esult rejects the second hypothesis. 3. The analysis of the program’s effect on nursing competence in developmental support care for preterm infants indicat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groups and times (F=4.46 p=.019).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esult supports the third hypothesis. The result is considered that the NICU nurses’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for developmental support care of preterm infants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nurses’ knowledge and competence in developmental support care of preterm infant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applying this program to the nursing practice in the NICU will improve nursing performance of developmental support care of preterm infants. This will in turn contribute to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preterm infants.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planned and executed to be implemented non-face-to-face in the consideration of the nurses’ shift work. However, all programs were organized to be conducted face-to-face, so follow-up studies in face-to-face situation are recommended. Moreover, to maintain and improve the quality of care for preterm infants, it is suggested that this program be used for practical education and continuous education of nurses in the NICU.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repeatedly conducting studies to accumulate empirical evidence will ensure the effectiveness of nursing attitude of the developed program in this study. 본 연구는 미숙아 발달지지를 위한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미숙아 발달지지를 위한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 역량 강화 프로그램은 ADDIE 교수설계 모형을 바탕으로 분석, 설계, 개발, 실행 및 평가의 단계를 거쳐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설계·개발 단계를 활용한 방법론적 연구와 실행·평가 단계를 활용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 설계를 적용하였다. 미숙아 발달지지를 위한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 역량 강화 프로그램은 대상자 분석, 프로그램 주제 분석, 환경분석 그리고 대상자 요구분석을 통해 초안을 구성하고 12명의 전문가 집단 자문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프로그램은 4회차로 구성하였으며, 회차별 주제로 1차시는 미숙아 발달지지의 개념, 2차시는 가족지지·치유환경지지·스트레스 및 통증관리·수면지지, 3차시는 체위지지·피부보호·영양최적화·감각자극, 4차시는 미숙아 발달지지 간호 적용으로 설정하였다. 각 회차별 틀은 도입-전개-정리로 구성하였고, 프로그램 교수 매체로는 zoom, padlet, 퀴즈, 수행일지를 활용하였다. 프로그램 실행은 신생아집중치료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총 3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군 20명, 대조군 19명으로 배정하였다. 실험군에 4주 동안 주 1회, 총 4차시의 미숙아 발달지지를 위한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대조군에게는 미숙아 발달지지를 위한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시행하지 않았다. 효과 검증을 위한 자료 수집은 2021년 8월 30일부터 2021년 10월 28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사전조사와 2차례 사후조사를 통해 미숙아 발달지지 간호지식, 미숙아 발달지지 간호태도, 미숙아 발달지지 간호역량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프로그램 효과 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미숙아 발달지지 간호지식에 대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은 유의미하지 않았고(F=1.38, p=.258), 집단 간의 주효과는 유의미하였으며(F=10.81, p<.001), 시간 간의 주효과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F=12.97, p<.001). 따라서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 2. 미숙아 발달지지 간호태도에 대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은 유의미하지 않았고(F=2.06 p=.142), 집단 간의 주효과도 유의미하지 않았다(F=0.23, p=.635). 따라서 제 2가설은 기각되었다. 3. 미숙아 발달지지 간호역량에 대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F=4.46 p=.019). 따라서 제 3가설은 지지되었다. 본 연구에서 미숙아 발달지지를 위한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미숙아 발달지지 간호지식과 미숙아 발달지지 간호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프로그램을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실무에 확산 적용함으로써 간호사의 미숙아 발달지지 수행을 장려하고, 궁극적으로 미숙아의 발달을 증진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간호사 교대 근무를 고려하여 비대면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실행하였지만, 모든 프로그램은 대면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대면 적용으로 후속 연구를 시행할 것을 제언한다. 그리고 미숙아 돌봄의 질을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해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 대상 실무교육 및 지속교육에 본 프로그램을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의 간호태도 효과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축적하기 위해 반복연구를 실시할 것을 제언한다.

      •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를 위한 고위험신생아 완화간호 교육 콘텐츠 개발

        이은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27

        Introduction: High-risk newborns encounter the simultaneous risk significant mortality and the potential for recovery, making palliative care application valuable in this population. However, the implementation of neonatal palliative care(NPC) in clinical settings remains limited, as existing educational programs primary focus on end-of-life situations, thus restricting their applicability to all high-risk newborn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comprehensive educational contents for NPC, with the goals of promoting NPC for high-risk newborns. Methods: This study is a methodological research aimed at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s of NPC, comprising two main phases. In the first phase,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with 18 expert panels to identify the composition areas of NPC. The Delphi surveys conducted over three-rounds, and the first-round questionnaire consisted of 13 open-ended questions based on the 8 domains of palliative care suggested by the National Coalition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d relevant literature. In the second pha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148 nurses who had worked in level III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NICU) for at least six months to assess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NPC.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4th to December 13th, 2022, and analyzed using SPSS/WIN 26.0 software, employing various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paired t-test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Borich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LF) model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and determine the priorities of NPC for NICU nurses. Results: The composition areas of NPC were derived and categorized into 5 core domains, 12 sub-domains, encompassing a total of 66 educational topics. The core domains of NPC include ‘Physiological Care’, ‘Family-Centered Care’, ‘Continuity of Care’, ‘Nurs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Multidisciplinary Team Approach’. The sub-domains under ‘Physiological Care’ include comprehensive assessment and basic needs intervention; ‘Family-Centered Care’, include family-centered approach, family-friendly environment, and family education; ‘Continuity of Care’, include maintaining accessibility, preparedness for implementation, and resource coordination; ‘Professional Development’, include supporting nurse and professional nursing knowledge; and for ‘Multidisciplinary Team Approach’, include constructing multidisciplinary team and the roles of nurses within the multidisciplinary team.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NICU nurses’ educational needs in NPC, the top priority items were identified. In the first priority, items such as ‘Coordinating the tasks of intensive care and NPC’, ‘Managing stress and psychological distress’ and ‘Protective strategies in ethical/legal conflict situations’. In the second priority, items such as ‘End-of-life care for high-risk newborns’, ‘Referral to appropriate healthcare institutions based on disease stage and treatment direction’, and ‘Efforts to identify the latest NPC trends’. In the third priority, items such as ‘Creating or providing activities for family participation’, ‘Providing opportunities for family involvement in high-risk newborn care’, ‘Family education on individual growth and development of high-risk newborns’, ‘Family education on social bias related to high-risk newborns’, ‘Rehabilitative care for high-risk newborns’, ‘Guidance on community-based services after discharge from the NICU’, ‘Self-reflection for nurses to eliminate preconceptions’, ‘Assessing the risk of developmental disorders in high-risk newborns and individual interventions’, and ‘Being Aware of the support strategies in unprecedented ethical/legal conflict situations’. Discussions and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offer a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topics in NPC across diverse areas, providing robust scientific evidence that can be utilized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and guidelines.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significant as these results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competencies of NICU nurses in NPC and fostering the integration of NPC. 서론: 고위험신생아는 사망의 위험이 크지만 회복의 가능성 또한 높아 완화간호의 적용이 유용한 연령대이다. 그러나 실무현장에서의 완화간호 수행률은 매우 낮은 수준이며, 기존의 완화간호 교육 프로그램은 임종상황에 국한되어 모든 고위험신생아에게 적용하기엔 제한적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포괄적인 고위험신생아 완화간호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고위험신생아 완화간호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고위험신생아 완화간호 교육 콘텐츠를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방법론적 연구(methodological research)로, 두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첫번째 단계에서는 고위험신생아 완화간호의 구성영역을 확인하기 위해 18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총 3회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1차 설문지는 National Coalition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에서 제시하는 완화간호의 8가지 도메인과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13개의 개방형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두번째 단계에서는 우리나라 상급종합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148명을 대상으로 고위험신생아 완화간호 중요도 및 수행도를 조사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11월 4일부터 12월 13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aired t-test, 중요도-수행도 분석(IPA),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LF) model을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고위험신생아 완화간호 교육요구를 분석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연구결과: 고위험신생아 완화간호의 구성영역은 총 5개의 핵심영역, 12개의 세부 하위영역, 66개의 교육주제로 도출되었다. 고위험신생아 완화간호의 핵심영역은 ‘생리적 간호’, ‘가족중심 간호’, ‘간호의 연속성 유지’, ‘간호전문인력 양성’, ‘다학제팀 접근’이 선정되었으며, 핵심영역에 따른 세부 하위영역으로는 ‘생리적 간호’는 통합적 사정, 기본요구 중재, ‘가족중심 간호’는 가족단위 접근, 가족친화적 환경, 가족교육, ‘간호의 연속성 유지’는 접근성 유지, 이행 준비, 자원연계, ‘간호전문인력 양성’은 간호사 지원, 전문간호지식, ‘다학제팀 접근’은 다학제팀 구성, 다학제팀 간호사 역할로 분류하였다.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고위험신생아 완화간호 교육요구를 분석한 결과, 1순위에는 고위험신생아 중환자 간호 업무와 완화간호 업무 조정, ‘고위험신생아 완화간호를 수행하는 간호사의 스트레스 및 심리적 고통 관리’, ‘윤리적/법적 갈등 상황에서 간호사 자신을 보호하는 방안 숙지’ 문항이 포함되었다. 2순위에는 ‘고위험신생아 가족을 위한 사별간호’, ‘질병단계 및 치료방향에 따른 적합한 의료기관으로 연계’, ‘완화간호와 관련된 고위험신생아의 최신 간호 경향을 파악하기 위한 시도’ 문항이 포함되었다. 3순위에는 ‘가족참여형 활동 구성 또는 안내’, ‘가족이 참여할 수 있는 고위험신생아 케어 기회 제공’, ‘고위험신생아의 개별적인 성장발달과 관련된 가족교육’, ‘고위험신생아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관련된 가족교육’, ‘고위험신생아 재활간호’, ‘신생아집중치료실 퇴원 이후 지역사회내 연계 가능한 서비스 안내’, ‘간호사의 선입견 배제를 위한 자기성찰(self-reflection)’, ‘고위험신생아의 발달장애 위험성 사정 및 개별적인 개입’, ‘선례가 없는 윤리적/법적 갈등상황에서의 지원 방안 숙지’ 문항이 포함되었다. 결론 및 논의: 본 연구의 결과는 고위험신생아 완화간호의 다양한 영역에 대한 교육주제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있어 고위험신생아 완화간호 교육 프로그램 및 지침 개발에 과학적인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고위험신생아 완화간호 역량 향상과 고위험신생아 완화간호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가족 파트너십 방해요인과 촉진요인 : 혼합연구방법적용

        남윤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27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가족과의 파트너십 형성의 방해요인과 촉진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양적연구 후 질적연구를 수행한 혼합연구방법의 설명적 순차 설계로 이루어졌다. 먼저 시행한 양적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 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파트너십의 속성별 중요도와 수행도를 조사하여 SPSS 22.0 프로그램으로 평균, 표준편차, paired t-test,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이후 시행한 질적연구는 양적연구 대상자 중 인터뷰에 동의한 간호사 17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내용분석방법으로 파트너십의 방해요인과 촉진요인을 최종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 양적 연구에서 간호사와 가족 간 파트너십의 중요도는 평균 4.25±0.14점, 수행도는 3.87±0.22점이었다. 파트너십 속성 중 민감성과 조심성은 높은 중요도와 수행도를 보여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가족 파트너십 형성에 긍정적 요인으로 확인된 반면, 정보공유와 의사소통은 상대적으로 낮은 중요도와 수행도를 보여 파트너십 형성의 부정적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자료를 통합하여 도출된 파트너십의 방해요인은 ‘아직은 주 양육자가 아닌 부모’, ‘불안한 가족과의 조심스러운 의사소통’, ‘고통을 겪는 부모를 위로하기 어려움’, ‘어렵고 막막하게만 느껴지는 파트너십’,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순위’, ‘환경적 지원 부족’, ‘제도화되지 못한 가족간호’이었다. 촉진요인으로는 ‘주 양육자일 수밖에 없는 부모’, ‘부모와 같은 마음으로 조력자 역할 수행’, ‘파트너십의 성공 경험’, ‘제도적 지원’이 최종 도출되었다. 결론 :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의 가족 파트너십 형성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입원 초기부터 부모를 주 양육자로 존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신생아집중치료실 환아 가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들의 요구를 반영하는 공감과 지지가 필요하다. 또한, 파트너십에 대한 중요 개념과 가치에 대한 이해를 위한 교육과 가족과의 상호작용, 의사소통, 정서적 지지 등을 위한 대인관계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간호사 훈련이 요구된다. 이와 더불어 가족 파트너십 형성을 통한 질 높은 가족간호가 적용될 수 있도록 가족간호 제도 정착과 환경적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진정요법 지식과 간호실무 역량요인에 대한 상관성 분석

        장혜주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3327

        It is necessary for critical care nurses to improve clinical capacity to maintain the quality of care for patients receiving sedation therapy in intensive care unit (ICU). In 2013, the World Federation of Societies of Intensive and Critical Care Medicine (WFSICCM) proposed a new paradigm to encourage active uses of light sedation to maintain the patient’s consciousness for pain, sedation and delirium treatment at the ICU. However, there is lack of studies which investigate associations among sedation knowledge and nursing competences when Korean ICU nurses use sedation therapy. Therefore,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correlation study aims to provide fundamental knowledge to improve the nursing practice competence for the nurse-centered sedation therapy for Korean ICU nurses. The study participants (n = 91) were recruited from the intensive care units of two tertiary hospitals in Korea.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examine the levels of knowledge on the sedation therapy and nursing practice compete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version 21.0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or corresponding non-parametric analys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total knowledge score on the sedation therapy in ICU nurses was 17.97 (±1.91) out of 20 points, and the correct answer rate was 89.85%. The mean score of the basic knowledge domain was 10.74(±.77) out of 11 points, and the mean score of the latest trend was 7.23 (±1.45) out of 9 points. 2. The study results on the nursing practice competence for the sedation therapy in ICU nurses were as follows: In the ‘attitude’, using sedative drugs was positive for patients with assisted mechanical ventilation. In the ‘subjective norms’, ICU nurses reported that they were strongly influenced by others in performing the sedation therapy, specifically clinicians rather than family caregivers. In the 'orders and goal', they were independnet to manage the levels of sedation therapy, and in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hey were found to be influenced by other than patients’ during the sedation therapy. In the ‘sedation practices’, the use of the sedation therapy tended to increase, and in the ‘Intention to sedate all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the intention to use the sedation therapy when they cared for patients with mechanical ventilation. 3. Scores of ICU nurses’ total knowledge, basic knowledge, and latest trend knowledge on the sedation therapy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by the sedation education time (p <.01). 4. The subjective norms, which is a subdomain of the nursing practice competence for the sedation therapy in ICU nurs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ir age (p = .05), education level(p = .04), clinical work experience (p = .05), and working department(p = .04). The prescription and goal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use of the sedation therapy protocol (p < .01). 5.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ICU nurses’ basic knowledge on the sedation therapy and latest trend knowledge (r = .42, p < .01). The attitude of nursing practice competence for the sedation therap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ubjective norms (r = .31, p < .01), orders and goals (r = .23, p = .03),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r = .23, p = .03), Sedation practices (r = .33, p < .01), and sedation intention (r =.48, p < .01). The subjective norm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orders and goal (r = .39, p < .01)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r = .39, p < .01), and the sedation practic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edation intention (r= .35, p < .01). This study suggests that ICU nurses should develop various competencies comprehensively in order to perform an appropriate sedation therapy. The development of nursing practice competence to perform an appropriate sedation therapy is essential, which seems to be a goal of protocol development for the nurse-centered sedation therapy at the same time. 집중치료실 간호사는 치료중인 환자의 정신적 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편안함을 제공하고 스트레스원의 관리를 위해 적정한 진정요법의 사용하는 역량을 갖추어야한다. 최근 세계 중환자 의학회(World Federation of Societies of Intensive and Critical Care Medicine, WFSICCM)는 집중치료실 성인 환자의 통증, 진정, 섬망 치료를 위해 환자의 의식을 유지한 얕은 진정(light sedation)의 적극 사용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도입하였다. 따라서 간호사 중심의 진정요법을 위한 간호실무 역량을 향상을 위해 국내 집중치료실 간호사 대상의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대학병원 집중치료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진정요법 지식과 간호실무 역량요인을 확인하여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횡단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국내 3차병원 2곳의 집중치료실에서 일하는 간호사 총 91명을 조사하였다. 선정된 대상자에게서는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진정요법의 지식 및 간호실무 역량요인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versio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 분석 혹은 해당되는 비모수 분석법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진정요법의 지식총점은 총 20점 중 평균 17.97(±1.91)점으로 정답률은 89.85%로 조사되었다. 기본 지식 영역은 총 11점 중 평균 10.74 (±.77)점이, 최신경향 총 9점 중 평균 7.23(±1.45)점으로 측정 되었다. 2.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진정요법 간호실무 역량요인 조사 결과 ‘태도’는 기계적 보조 환기 환자에게 진정제 약물 사용이 긍정적이며 ‘주관적 신념’은 진정요법의 수행에서 타인에게 강한 영향을 받는다고 나타났다. ‘처방 및 목표’에서는 진정요법을 결정할 수 있는 독립성을 갖고 있으며 ‘조절요인’은 진정요법의 수행에서 환자가 아닌 타 영향을 받는다고 나타났다. ‘수행’은 진정요법 사용을 증가하는 성향이며 ‘기계적 환기 치료 환자의 진정 의도’ 영역에서 기계적 환기 치료 환자에게 진정요법 사용 의도는 높지 않다고 나타났다. 3.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진정요법의 지식 총점, 기본지식, 최신동향 지식 모두 진정교육 시간(p < .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4.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진정요법 간호실무 역량요인의 세부영역인 주관적인 신념은 연령(p = .05), 학력(p = .04), 임상경력(p = .05), 근무부서(p = .04)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처방 및 목표는 진정요법 프로토콜 사용 여부(p < .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진정요법의 기본 지식과 최신동향 지식은 양의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 = .42, p < .01). 진정요법의 간호실무 역량요인의 태도는 주관적 신념(r = .31, p < .01), 처방 및 목표(r = .23, p = .03), 조절요인(r = .23, p = .03), 수행(r = .33, p < .01), 진정의도(r =.48, p < .01)와 양의 상관관계에 있으며 주관적인 신념은 처방 및 목표(r = .39, p < .01), 조절요인(r = .39, p < .01)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수행은 진정의도(r = .35, p < .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권은진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3327

        국문 초록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간호학과 권 은 진 지도교수 김 숙 남 본 연구는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파악하기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2개의 대학병원과 양산시에 위치하는 1개의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6개월 이상의 집중치료실 경력 간호사들 중 설문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2년 11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207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죽음에 대한 인식은 이누미야 요시유키와 한상열(2004)이 개발한 사생관 척도를 차영례(2006)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이연옥(2004)이 개발한 임종간호 스트레스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WIN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 편차, t-test, one-way ANOVA 및 Scheffe's test를 이용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 대상자는 집중치료실 간호사 207명으로 이 중 25세 이하가 81명(39.1%) 여자가 203명(98.1%)이였으며, 대학교 졸업이 131명(63.3%), 미혼이 171명(82.7%), 종교는 무교가 111명(53.6%)으로 가장 많았다. 임상경력은 6개월에서 3년이 85명(41.1%), 집중치료실 경력은 6개월에서 3년이 98명(47.3%), 근무부서는 외과계 집중치료실이 59명(28.5%)로 가장 많았다. 임종간호 횟수는 7회 이상이 123명(59.5%), 호스피스 및 죽음교육을 받는 적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이 132명(63.8%), 직계가족의 임종을 경험한 적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은 104명(50.2%)으로 나타났다. 2)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하위영역 중 생명존중의지가 3.3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죽음에 대한 관심도가 2.70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전체 평균 점수는 3.78점이였다. 이중 임종환자와의 인간적 갈등이 3.9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임종환자 간호에 대한 부담감이 3.57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에서는 죽음에 대한 긍정도에서 호스피스 및 죽음교육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죽음에 대한 부정도에서는 근무부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죽음에 대한 관심도에서는 종교, 임종간호 횟수, 호스피스 및 죽음교육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생명존중의지 영역에는 종교, 호스피스 및 죽음교육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 분석에서는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와의 관계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한 결과 두 변인은 관련성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집중치료실 간호사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 하위영역 중 생명 존중의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보통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와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다른 변수를 포함한 심층 연구가 필요 할 것이며,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대한 소진예방과 임종간호 제공자로서 죽음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에 관한 연구를 제언한다. 주제어: 집중치료실, 간호사,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간호 스트레스 Abstract Perceptions of deaths and stress of end-of-life care for Intensive Care Unit nurses Kwon, Eun Jin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Advisor : Professor Kim, Sook Nam, Ph.D. Purpose: This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erceptions of deaths and stress of end-of-life care for Intensive Care Unit nurses.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working more than 6 months in 2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Busan and 1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Yangsan. This study gathered data between Nov. 1st and Dec. 30th, 2012 and total 207 Intensive Care Unit nurs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level of perception was measured by ‘View of Life and Death Scale’ revised by Young Rae Cha(2006), which was originally designed by Yoshiyuki Inumiya and Seong Yeol Han(2004). Then, the stress level was measured by 'end-of-life care stress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Yeon Ok Lee(2004). Obtaining data was statistically analysed by SPSS 20.0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s test. Result: One of the subcategories in View of Life and Death Scale, ‘life respect will' was scored as the highest point, 3.35 while ’death concerns' was scored as the lowest point, 2.70. Mean of stress level was 3.78. Personal conflict of terminally ill patient was 3.90 the highest score while the strain to care for terminally ill patient was 3.57 the lowest scor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erception difference by the individual's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death and the existence of hospice education.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negative attitude toward death depends on clinical units.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death concerns depends on religion, end-of-life care frequency, and the existence of hospice education. In life respect will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religion and the existence of hospice education. End-of-life care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stress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perceptions of death and the stress of end-of-life care by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two variables were irreleva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e highest-scored subcategory was 'life respect will' and the end-of-life care stress level was above the normal range. Conclusion: Due to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patient deaths and the end-of-life care stress, the in-depth study including other variables will be required. Thus, I suggest the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to prevent Intensive Care Unit nurses burnouts caused by the stress of end-of-life care an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about patient deaths as a End-of-life healthcare providers. Keyword: Intensive Care Unit, Nurse, Perceptions of deaths, Stress of end-of-life care

      • 미숙아 체위지지간호 교육이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지식과 수행에 미치는 효과

        문현진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3309

        목적 : 본 연구는 인천 G종합병원의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체위지지간호 도구를 이용한 미숙아 체위지지간호 교육을 실시하고 간호사들의 지식과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한 단일군 전후 실험설계로 유사실험연구이다. 대상 및 방법 : 인천 G종합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 35명을 대상으로 2019년 6월 1일부터 2019년 8월 28일까지 수행하였다. 사전조사로 체위지지간호에 대한 지식을 설문지로 수집하고 체위지지간호 수행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하였다. 실험처치로 파워포인트 및 동영상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한 이론교육을 시행하고, 1회 20분 동안 직접 체위지지간호 도구를 이용하여 일대일 수행 교육을 시행하였다. 실험처치 2주후 사후조사로 체위지지간호에 대한 지식을 설문지로 수집하고 체위지지간호 수행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실시하고 실험 전후를 비교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1.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를 위한 체위지지간호 교육프로그램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 1. “체위지지간호 교육 전보다 교육을 받은 후 간호사의 체위지지간호에 대한 지식점수는 증가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교육 전보다 교육 후 지식점수가 높았으므로(Z=-5.09, p<.001), 가설 1은 지지되었다. 2) 가설 2. “체위지지간호 교육 전보다 교육을 받은 후 간호사의 체위지지간호에 대한 수행점수는 증가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교육 전보다 교육 후 수행점수가 높았으므로(Z=-5.16, p<.001), 가설 2는 지지되었다. 2. 체위지지간호 지식 측정도구 항목 중 체위지지간호 교육 전보다 교육 시행 후 가장 정답률이 높아진 항목은 ‘초극소 저체중아는 대뇌 혈류의 상승을 예방하기 위해 생후 첫 몇 일동안 앙와위를 취해주도록 권장한다’로 54.3%가 상승하였다. 교육 후 오답률이 가장 높아진 항목은 ‘재태기간 36주 경에는 태아의 근 긴장도 증가로 중앙신체선열(손과 다리를 중앙으로 모으는 것)을 유지할 수 있다’로 5.7% 감소하였다. 3. 체위지지간호 수행 관찰 결과 교육 전 후 차이가 가장 큰 항목은 ‘자세를 바꾸는 과정에도 적어도 한 손은 항상 holding을 유지한다’로 3.55의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체위지지간호 교육이 체위지지간호 지식 및 수행의 역량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고,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또한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더 많은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에게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지속적 교육을 통해 체위지지간호의 질을 향상시켜 미숙아의 발달 및 신경계, 근골격계 등의 장, 단기적 문제의 예방을 기대해 볼 수 있겠다.

      •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신생아 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의 지속효과

        임초연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295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신생아 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 시행 후 신생아 소생술 지식, 수행자신감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와 지속성을 분석하기 위해 단일군 반복측정 분산분석설계를 적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는 인천 G 종합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 35명을 대상으로 2021년 8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이루어졌다. 교육 1주 전 사전조사로 신생아 소생술에 대한 지식 및 수행자신감을 설문지로 수집하고, 신생아 소생술 수행능력에 대한 동영상을 촬영하였다. 실험 처치인 신생아 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은 총 80분 시행하였다. 지식교육은 파워포인트 및 동영상을 이용하여 1회 30분 동안 1:6으로 시행하였고, 시뮬레이션 교육은 사전교육 15분, 시뮬레이션 실습 15분, 팀 디브리핑 20분 시행하였다. 교육 1주 후 사전조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지식, 수행자신감, 수행능력 1차 사후조사, 교육 3주 후 2차 사후조사, 교육 5주 후 3차 사후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고, t-test, paired t-test, repeated measure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 도구들의 신뢰도는 KR-20과 Cronbach's α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신생아 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 전보다 교육을 받은 후 간호사의 신생아 소생술 지식 점수는 증가할 것이다.”는 paired t-test 분석 결과 교육 전보다 교육 1주 후 지식 점수가 증가하여(t=-8.38, p<.001), 가설 1은 지지되었다. 가설 2: “신생아 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 전보다 교육을 받은 후 간호사의 신생아 소생술 수행자신감 점수는 증가할 것이다.”는 paired t-test 분석 결과 교육전보다 교육 1주 후 수행자신감 점수가 증가하여(t=-5.87, p<.001), 가설 2는 지지되었다. 가설 3: “신생아 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 전보다 교육을 받은 후 간호사의 신생아 소생술 수행능력 점수는 증가할 것이다.”는 paired t-test 분석 결과 교육전보다 교육 1주 후 수행능력점수가 증가하여(t=-7.05, p<.001), 가설 3은 지지되었다. 가설 4: “신생아 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는 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repeated measure ANOVA 분석 결과 신생아 소생술 지식(F=40.40, p<.001), 수행자신감(F=34.44, p<.001) 및 수행능력(F=82.29, p<.001)은 시간 경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4는 지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신생아 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이 신생아 소생술 지식, 수행자신감,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육 방법임을 확인하였고, 교육 5주 후 효과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시간 경과에 따른 효과를 지속시키기 위한 재교육 시점에 관련해서 더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임상에서 신생아 소생술 교육의 체계화와 간호사의 지식과 수행자신감, 수행능력의 향상에 도움 될 것이라 기대한다.

      •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윤리적 환경과 도덕적 고뇌

        전유정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279

        Purpos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factors that cause moral distress and to explore the ethical climate and moral distress in nurses who work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Method :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52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at seven university hospital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2nd October to 22nd November 2013, using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questions about the nurses' perceptions of the ethical climate and the level of moral distr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following metrics: percentages,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the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PASW Statistics program version 20.0. Results : The average perception with regard to the ethical climate score was 86.82 (9.15), and the average moral distress score was 108.37 (52.72). Regarding the perception of moral distres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marital status, clinical experience, and NICU service career. Perceptions of ethical climate and moral distress (r=-0.541, p<.001) were negatively correlated.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moral distress explained 45.1% of the variance in clinical experience, the NICU service career and the ethical climate (manager, doctor, and patient). Conclusion: An organizational approach that considers the peculiarities of neonatal nursing is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moral distress of nurs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interventions considering factors that cause moral distres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as identified in this study is recomme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